KR20030091029A - 그릴 - Google Patents

그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1029A
KR20030091029A KR1020030009101A KR20030009101A KR20030091029A KR 20030091029 A KR20030091029 A KR 20030091029A KR 1020030009101 A KR1020030009101 A KR 1020030009101A KR 20030009101 A KR20030009101 A KR 20030009101A KR 20030091029 A KR20030091029 A KR 20030091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pushing
door
plate
gril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8116B1 (ko
Inventor
아라키요이치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30091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2Co-operating with a door, e.g. operated by the d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과제) 원터치로 그릴도어를 개방하고, 그릴접시를 밀어냄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그릴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그릴하우징(20)의 내부에 그릴접시(23)를 격납위치와 밀어냄위치의 사이에서 위치전환이 가능하게 장착한다. 이 그릴접시(23)에 대해서 상기 그릴접시(23)를 밀어냄위치로부터 격납위치로 밀어 넣을 때에 축세(蓄勢)되어 밀어내는 힘을 축세하는 플랫 스파이럴 스프링(29)을 설치한다. 상기 그릴도어(34)와 그릴하우징(20)의 사이에 그릴도어(34)를 폐쇄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로크기구(41)를 설치한다. 폐쇄위치에 유지된 그릴도어(34)에 의해서 상기 그릴접시(23)의 밀어냄방향의 탄지력을 유지한다. 상기 그릴도어(34)를 밀면, 로크기구(41)의 로크상태가 해제되어서 그릴접시(23)가 밀어냄위치를 향해 이동되고, 이 이동동작에 의해서 그릴도어(34)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된다.

Description

그릴{GRILL}
본 발명은 그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그릴도어의 폐쇄위치의 유지가 해제되면, 그릴접시가 자동적으로 그릴하우징으로부터 밀려 나오게 한 그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릴은 그릴하우징의 내부에 그릴접시를 수용하고, 그릴하우징의 전면 개구부에 그릴도어가 개폐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릴도어는 개구부에 있어서 폐쇄위치와 개방위치의 사이에 기복위치전환 가능하게 장착되는 방식과 그릴접시의 선단부 가장자리에 기복위치전환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릴접시의 밀어냄동작과 동시에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되는 방식 등이 있다. 또 그릴도어의 전면에는 손잡이가 설치되어 이 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그릴도어를 개방하고, 그 후에수동에 의해서 그릴접시를 그릴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하여 그릴접시 상의 조리된 식품을 꺼내도록 되어 있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그릴은 그릴도어를 개방하는 조작 후에 그릴접시를 수동에 의해서 인출하는 조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식품을 꺼내는 동작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그릴은 그릴도어의 전면에 전방으로 뻗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릴도어 전면의 평면성이 저하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그릴접시의 밀어냄동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그릴도어의 전면의 손잡이를 생략할 수도 있는 그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그릴부착 곤로의 제 1 실시형태의 그릴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그릴접시가 밀어냄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그릴의 종단면도
도 4는 그릴도어와 그릴접시의 사시도
도 5는 그릴도어의 확대 종단면도
도 6은 그릴하우징과 그릴도어의 로크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a)∼(c)는 각각 로크기구의 로크 해제동작을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그릴부착 곤로전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그릴부착 곤로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그릴의 종단면도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의 그릴부착 곤로의 그릴의 그릴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그릴부착 곤로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 그릴의 종단면도
도 12는 제 3 실시형태의 그릴부착 곤로의 그릴의 그릴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그릴하우징23 - 그릴접시
33 - 개구부34 - 그릴도어
35,42 - 캠암38 - 종동캠
41 - 로크기구43 - 로크핀
44 - 로크레버62 - 모터
66,67,75 - 스위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그릴하우징의 전면 개구부에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전환이 자유롭게 설치된 그릴도어와 상기 그릴도어를 항상 폐쇄위치로 유지하는 유지수단과 그릴하우징의 내부에 격납되는 격납위치와 상기 전면 개구부를 통해서 밀려 나오는 밀어냄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그릴접시와 상기 그릴접시를 격납위치로부터 밀어냄위치로 밀어 내는 밀어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밀어냄수단에 의해서 그릴접시가 밀어냄위치로 밀려 나올 때 상기그릴도어는 상기 유지수단에 의한 유지가 해제되어서 개방위치가 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릴접시의 밀어냄수단은 그릴접시를 격납위치와 밀어냄위치의 사이에서 왕복안내이동하는 접시안내기구와, 밀어냄위치로부터 격납위치로 수동에 의해서 밀어 넣어지는 과정에서 축세되고, 이 축세력에 의해서 그릴접시를 밀어냄동작하는 축세수단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그릴도어를 보통은 폐쇄위치에 로크하고, 또한 그릴도어를 푸시하거나 또는 스위치를 ON하면 로크상태가 해제되도록 한 로크기구로서, 그릴접시는 폐쇄위치에 있는 그릴도어에 의해서 격납위치에 유지되고, 로크기구의 로크상태가 해제되면 그릴접시에 의해서 그릴도어가 개방되도록 하고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릴접시의 밀어냄수단은 그릴접시를 격납위치와 밀어냄위치의 사이에서 왕복안내이동하는 접시안내기구와 밀어냄위치로부터 격납위치로 수동에 의해서 밀어 넣어지는 과정에서 축세되고, 이 축세력에 의해서 그릴접시를 밀어냄동작하는 축세수단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그릴도어를 항상 폐쇄위치에 유지하는 탄지부재 또는 자석 등의 폐쇄위치 유지수단이고, 그릴접시의 접시로크기구의 로크상태가 해제되면 그릴접시에 의해서 그릴도어가 개방되도록 하고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릴접시의 밀어냄수단은 그릴접시를 격납위치와 밀어냄위치의 사이에서 왕복안내이동하는 접시안내기구와 밀어냄위치와 격납위치의 사이에서, 적어도 밀어냄방향으로 그릴접시를 위치전환하는 모터 또는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구성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작동되어서 그릴접시가 그릴도어를 개방하면서 밀려 나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제 1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그릴부착 곤로의 일실시형태를 도 1∼도 8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릴부착 곤로(11)의 본체(12)의 중앙부에는 그릴(13)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12)의 전면 좌측부에는 그릴(13)의 점화버튼(1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12)의 상면에는 가스곤로(15)가 복수 개소에 설치되고, 본체(12)의 우측부 전면에는 가스곤로(15)의 점화버튼(16)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그릴(13)의 구성을 도 l∼도 7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그릴(13)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그릴하우징(20)을 구획 형성하는 좌우 1쌍의 측판(21,22)의 사이에는 그릴접시(23)가 격납되어서 격납위치를 잡는 그릴실(R)이 형성되어 있다. 그릴접시(23)는 격납위치와 이 격납위치로부터 밀려 나온 밀어냄위치와의 사이에서 위치전환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릴접시(23)의 후단부에는 좌우 양측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뻗은 피안내판(24)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피안내판(24)의 뻗은 부분(24a)은 상기 측판(21,22)에 용접 등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부착된 가이드레일(25)의 안내홈(25a)에 의해서 전후방향의 안내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피안내판(24) 및 가이드레일(25)에 의해서 그릴접시 안내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그릴접시(23)의 좌우 양측 외면에는 래크(26)가 용접에 의해서 고정되고, 그 하단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측판(21,22)에 장착된 피니언(27)이 맞물림되어 있다. 이 피니언(27)은 측판(21,22)에 대해서 축(2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플랫 스파이럴 스프링(29)은 그릴접시(23)를 격납위치로부터 밀어냄위치로 이동시키는 축세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이 플랫 스파이럴 스프링(29)은 그릴접시(23)가 도 3에 나타낸 밀어냄위치로부터 도 1에 나타낸 격납위치로 밀어 넣어질 때에 축세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가이드레일(25), 래크(26), 피니언(27), 축(28) 및 플랫 스파이럴 스프링(29) 등에 의해서 그릴접시(23)의 밀어냄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그릴접시(23)가 밀어냄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위치규제기구가 상기 피안내판(24)과 측판(21)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규제기구는 측판(21)에 대해서 가이드레일(25)의 단부와 대응해서 소정 위치에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돌기(31)와 상기 피안내판(24)의 뻗은 부분(24a) 상면에 형성되고,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릴접시(23)가 밀어냄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이탈방지돌기(31)에 걸리는 이탈방지핀(32)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밀어냄위치에 있어서 그릴접시(23)의 선단부를 상향으로 조금 들어 올리면 이탈방지돌기(31)에 대한 이탈방지핀(32)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그릴접시(23)를 래크(26)와 함께 그릴하우징(20)으로부터 떼어내어 그릴접시(23)를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그릴접시(23)를 격납위치에 유지함과 아울러 그릴(13)의 전단부에 형성된 개구부(33)를 개폐하기 위한 그릴도어(34)의 부착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그릴도어(34)의 내면에는 좌우 1쌍의 캠암(35)이 연결되어 있다. 이 캠암(35)의 수평부(35a)의 전단부는 연결부(35b)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부(35b)에는 상기 그릴도어(34)의 내면에 부착한 후기하는 훅(60)을 떼어내기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있다. 상기 캠암(35)의 수평부(35a)의 후단부에는 캠부(35c)가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는 피안내핀(36)이 부착되어 있다. 이 피안내핀(36)은 상기 측판(21,22)에 형성된 안내홈(37)에 의해서 수평방향 전방 또는 후방으로 안내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캠암(35)의 수평부(35a)의 하단부 가장자리는 측판(21,22)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종동캠(38)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캠암(35), 피안내핀(36), 안내홈(37) 및 종동캠(38) 등에 의해서 그릴도어(34)의 안내기구 및 캠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그릴하우징(20)과 그릴도어(34)의 사이에 설치된 그릴도어(34)의 유지수단으로서의 로크기구(41)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그릴도어(34)의 내면에는 캠암(42)이 용접 등에 의해서 후방을 향해 일측이 지지되고, 그 선단부에는 로크핀(43)이 외측의 측판(21)을 향해서 지지되어있다. 상기 측판(21)의 소정 위치에는 로크레버(44)가 상기 로크핀(43)과 전후방향으로 대응하도록 지지축(45)에 의해서 상하방향의 회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로크레버(44)의 선단부에는 상기 로크핀(43)이 접촉되는 안내사면(44a)과 상기 로크핀(43)을 걸기 위한 걸림오목부(44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45)의 중간부(측판(21)과 로크레버(44)의 사이)에는 탄지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46)이 장착되고, 그 코일부(46a)는 지지축(45)에 권장되고, 바스프링부(46b)의 일단부는 측판(21)에 걸림되고, 타단부는 로크레버(44)의 상단면에 걸림되어 있다. 그리고, 이 코일 스프링(46)에 의해서 로크레버(44)를 보통은 지지축(45)을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코일부(46a)에 의해서 로크레버(44)가 측판(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상기 측판(21)의 소정 위치에는 스토퍼(47)가 부착되어 로크레버(44)의 최대 회동위치를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로크레버(44)에는 걸림 오목부(44b)와 대향되는 측에 경사면(44c)이 형성되어 있다. 도 7(a)는 그릴도어(34)가 로크기구(41)에 의해서 로크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 있어서, 그릴접시(23)는 격납위치가 되어 있고, 그릴도어(34)는 그릴실(R)의 전면 개구부(33)를 폐쇄하고 있다. 여기서 그릴접시(23)의 전단부가 그릴도어(34)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힘에 저항해서 그릴도어(34)를 푸시하면 상기 로크핀(43)이 경사면(44c)에 걸린다. 이 동작에 의해서 로크레버(44)가 코일부(46a)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측판(21)측으로 압압되고, 로크핀(43)의 선단면(43a)이 로크레버(44)의 측면(44d)에 걸리면, 로크레버(44)가 코일스프링(46)에 의해서 지지축(4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도 7(b) 참조〕. 이 로크레버(44)의 회동에 의해서 로크핀(43)과 로크레버(44)의 로크상태가 해제되어, 그릴도어(34)는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그릴접시(23)의 밀어냄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5를 중심으로 그릴도어(34)의 구성을 설명한다. 투명한 수지 화장판(51)의 내측면에는 복수(도 5에서는 1개소만 도시함)의 부착금구(52)가 나사(59)에 의해서 유지판(58)에 부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수지 화장판(51)의 내측면에는 스페이서(54)가 유지판(58)에 부착되어 있다. 열 강화 유리판(55)의 상하 양 단부 가장자리는 각각 위치 규제판(56,57)에 의해서 위치 규제되어 있다. 상기 열 강화 유리판(55)의 배면은 유지판(58)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유지판(58)에는 상기 캠암(35)의 연결부(35b)에 걸려지는 훅(60)이 용접되어 있다. 투명한 수지 화장판(51)은 열 강화 유리판(55)의 전면에 부착금구(52)와 스페이서(54)에 나사(53)로 고정된다. 상기 수지 화장판(51)과 열 강화 유리판(55)의 사이에는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공기를 흐르게 하기 위한 냉각통로(61)가 형성되어 있어서 수지 화장판(51)의 온도상승이 방지되고, 그릴도어(34)의 전면을 푸시함에 있어서 뜨겁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그릴접시(23)에는 도시하지 않으나 식품을 얹어 놓기 위한 철망 등이 설치되고, 그릴하우징(20)의 상부공간 또는 측판(21,22)의 측벽부의 예를 들면 가스 버너, 전기 히터 등의 가열 수단이 설치되고, 여기서 소성열이 식품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한 그릴부착 곤로(11)에 대해서 그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은 그릴접시(23)가 격납위치에 유지됨과 아울러, 그릴도어(34)가 로크기구(41)에 의해서 개구부(33)를 폐쇄하는 위치에 유지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 있어서 그릴접시(23)를 조리된 식품과 함께 그릴하우징(20)으로부터 외부로 꺼내는 경우에는, 그릴도어(34)의 전면을 그릴접시(23)의 플랫 스파이럴 스프링(29)에 의한 밀어냄방향의 힘에 저항해서 푸시한다. 그러면 상기한 바와 같이 도 7(a)에 있어서 로크핀(43)이 로크레버(44)의 경사면(44c)을 압압하기 때문에, 로크레버(44)가 코일 스프링(46)의 코일부(46a)의 탄지력에 저항해서 지지축(45)을 따라 측판(21)측으로 변위된다. 이 때문에 로크레버(44)가 코일 스프링(46)의 바스프링부(46b)에 의해서 지지축(4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로크레버(44)는 스토퍼(47)에 걸리게 되어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위치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로크핀(43)과 로크레버(44)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있으므로, 그릴도어(34)의 압압동작을 해제하면 그릴접시(23)가 축세되어 있던 플랫 스파이럴 스프링(29)의 축세력에 의해서 전방으로 밀려 나오고, 이 그릴접시(23)의 밀어냄동작에 의해서 그릴도어(34)가 전방으로 밀려 나온다.
상기 그릴도어(34)의 전방으로의 이동은 캠암(35)의 피안내핀(36)이 안내홈(37)을 따라서 안내 이동됨과 아울러 캠암(35)의 수평부(35a)의 하단부 가장자리가 종동캠(38)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으므로 그릴도어(34)가 수평방향 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그릴도어(34)의 개방동작의 최종 단계에서 캠암(35)의캠부(35c)가 종동캠(38)에 대응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암(35)이 경사지게 되어 그릴도어(34)는 그릴접시(23)의 하측 소정 위치로 이동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릴접시(23)가 밀어냄위치로 이동되면 이탈방지돌기(31)에 이탈방지핀(32)이 걸리게 되어서 그릴접시(23)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방지되고, 소정의 밀어냄위치에 그릴접시(23)가 유지된다.
그릴접시(23)로부터 식품을 꺼낸 후, 그릴접시(23)를 그릴하우징(20)에 격납할 경우에는 도 3에 있어서 그릴도어(34)를 개구부(33)를 향해서 압압하면 캠기구의 작용에 의해 그릴도어(34)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서 그릴접시(23)의 선단부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그릴도어(34)를 더욱더 개구부(33)측으로 이동하면, 그릴접시(23)가 플랫 스파이럴 스프링(29)을 축세하면서 그릴하우징(20)을 향해 이동된다. 그릴도어(34)가 개구부에 접근하고 로크기구(41)의 로크핀(43)이 로크레버(44)의 안내사면(44a)에 맞닿음한 후에도 전진되면 로크레버(44)가 코일 스프링(46)의 탄지력에 저항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로크핀(43)이 걸림 오목부(44b)에 걸려지게 된다. 이 상태로 그릴도어(34)가 개구부(33)의 폐쇄위치에 로크되고 그릴접시(23)가 그릴하우징(20) 내의 격납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그릴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특징을 얻을 수 있다.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그릴도어(34)를 캠기구에 의해서 폐쇄위치와 그 전방의 개방위치의 사이에서 위치전환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그릴하우징(20)과 그릴도어(34)의 사이에 로크기구(41)를 설치하였다. 또 그릴하우징(20) 내에 격납되는 그릴접시(23)를 격납하는 동작의 행정에 있어서 축세되고, 폐쇄위치에 유지된 그릴도어(34)에 의해서 그릴접시(23)의 밀어냄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하였다. 이 때문에, 그릴도어(34)의 원터치의 푸시동작에 의해서 상기 로크기구(41)의 로크상태를 해제하여 그릴접시(23)를 자동적으로 격납위치에서 밀어냄위치로 이동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 그릴접시(23)의 밀어냄동작을 이용해서 그릴도어(34)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그릴접시(23)의 밀어냄동작을 그릴도어(34)의 1회의 푸시동작으로 극히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의해서 그릴도어(34)의 전면의 손잡이를 생략할 수 있어 그릴도어(34)의 평면성이 향상되고, 점화버튼(14,16)을 설치한 조작판과의 평면성을 향상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그릴접시(23)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밀어냄수단과 그릴도어(34)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안내하는 안내기구를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하고, 그릴접시(23)의 밀어냄동작을 이용해서 그릴도어(34)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하도록 하였다. 이 때문에, 그릴도어(34)의 개방동작(위치)을 그릴접시(23)의 밀어냄수단과 무관하게 설정할 수 있고, 복잡한 연동기구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어서 구성을 간소화하고 제조 및 붙임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캠암(35), 피안내핀(36), 안내홈(37) 및 종동캠(38) 등으로 이루어진 캠기구를 이용해서 그릴도어(34)를 그릴접시(23)의 선단부 가장자리보다도 하측의 개방위치로 변위하도록 했기 때문에 개방동작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플랫 스파이럴 스프링(29)에 의해서 그릴접시(23)의 밀어냄동작에 요구되는 축세력을 유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구성을 간소화하고 제조 및 붙임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5)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그릴도어(34)에 손잡이가 없어도 그릴도어(34)의 푸시조작에 의해 그릴도어(34)의 유지상태의 해제가 가능하다. 또한, 그릴도어(34)를 수지 화장판(51)과 열 강화 유리판(55)의 2중구조로 해서 냉각통로(61)를 형성했기 때문에, 그릴도어(34)의 표면의 온도상승을 억제하여 손잡이가 없어도 그릴도어(34)의 푸시조작을 쾌적하게 행할 수 있다.
(제 2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2의 실시형태를 도 9 및 도 10에 따라서 설명 한다. 또한, 제 1의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피니언(27)에는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62)에 의해서 정역회전되는 톱니바퀴(63)가 맞물림되어 있다. 그릴도어(34)의 하단부 가장자리는 개구부(33)의 하단부 가장자리 근방에 축(64) 및 암(65)으로 이루어진 힌지기구에 의해서 소정 각도 범위(예를 들면 90°) 내에서 폐쇄위치인 기(起)상태와 개방위치인 복(伏)상태의 사이에서 위치전환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크기구(41)에는 밀어냄용의 스위치(66)가 설치되고, 그릴도어(34)를 푸시함으로써 로크레버(44)의 회동에 의해서 상기 스위치(66)가 작동되어 모터(62)가 기동되고, 그릴접시(23)가 격납위치에서 밀어냄위치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모터(62)는 도시생략한 그릴접시(23)의 위치검출수단에 의해 밀어냄위치에서 정지한다. 상기 점화버튼(14)을 설치한 조작판의 상부(도 8의 2점 쇄선 참조)에는 상기 모터(62)를 역회전시켜서 그릴접시(23)를 밀어냄위치로부터 격납위치로 이동하게 하기 위한 격납용의 스위치(6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모터(62)는 도시생략한 그릴접시(23)의 위치검출수단에 의해서 그릴접시(23)가 격납위치에 들어가면 정지한다.
따라서, 제 2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특징에 부가하여 이하의 특징을 얻을 수 있다.
(6)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그릴도어(34)를 압압하면 로크기구(41)가 해제되고 스위치(66)가 작동되기 때문에, 모터(62)가 기동되어 그릴접시(23)가 격납위치에서 밀어냄위치로 이동된다. 반대로 스위치(67)를 조작하면 모터(62)가 역전되어 그릴접시(23)가 밀어냄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이동된다. 이 때문에 그릴접시(23)의 밀어냄동작 및 격납동작을 각각 원터치로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제 3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3의 실시형태를 도 11 및 도 12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제 2의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실시형태의 로크기구(41) 및 스위치(66,67)를 생략하고 있다. 그릴도어(34)의 축(64)과 암(65)에 대해 폐쇄위치 유지수단으로서의 코일스프링(70)을 장착하여, 그릴도어(34)를 보통은 폐쇄위치에탄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그릴접시(23)의 하면에는 자석 등의 작동자(71)가 부착되고 이 작동자(71)의 전후방향의 이동궤적과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12)의 저면에는 그릴접시(23)의 격납위치를 검출하는 예를 들면 근접 스위치 등의 제 1 위치검출기(72)와 밀어냄위치를 검출하는 동일한 근접 스위치 등의 제 2 위치검출기(7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터(62)는 제어장치(74)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정역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제어장치(74)에는 그릴접시(23)의 밀어냄동작과 격납동작을 행하는 하나의 스위치(75)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어장치(74)는 상기 제 1 위치검출기(72) 및 제 2 위치검출기(73)의 ON·OFF의 앤드조건에 의거해서 모터(62)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75)는 도 8의 스위치(67)와 같이 조작부에 설치된다.
다음에 제 3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작동자(71)에 의해서 제 1 위치검출기(72)가 ON상태에 있고, 제 2 위치검출기(73)가 OFF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스위치(75)를 푸시하면, 모터(62)가 기동되어서 그릴접시(23)가 격납위치로부터 밀려 나온다. 이 때, 그릴접시(23)의 선단면에 의해서 그릴도어(34)가 코일스프링(70)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회동된다. 그릴접시(23)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그릴접시(23)가 도 12에 나타낸 밀어냄위치로 이동되면, 작동자(71)가 제 2 위치검출기(73)에 대응해서 ON되기 때문에, 모터(62)가 정지되어서 그릴접시(23)가 밀어냄위치에 유지된다.
도 12의 상태에서는 제 1 위치검출기(72)가 OFF상태가 되고, 제 2 위치검출기(73)가 ON상태이다. 이 때문에 상기 스위치(75)를 다시 푸시하면, 모터(62)가 역전되어 그릴접시(23)가 밀어냄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이동된다. 이 이동 도중에 그릴도어(34)가 코일스프링(70)의 축세력에 의해서 개방위치인 복상태에서 폐쇄위치인 기립상태로 전환된다. 작동자(71)가 제 1 위치검출기(72)에 대향해서 제 1 위치검출기(72)가 ON되면, 상기 모터(62)의 역전이 정지되어서 그릴접시(23)가 격납위치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위치검출기(72)가 ON상태, 제 2 위치검출기(73)가 OFF상태가 되어 있으므로, 스위치(75)를 다시 푸시하면 모터(62)가 정회전되어서 그릴접시(23)가 밀어냄위치로 전환된다.
따라서, 제 3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2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특징에 부가하여 이하의 특징을 얻을 수 있다.
(7)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75)를 푸시할 때마다 모터(62)가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기 때문에, 그릴접시(23)가 격납위치와 밀어냄위치의 사이에서 전환된다. 이 때문에 그릴접시(23)의 밀어냄동작 및 격납동작을 하나의 스위치(75)에 의해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 상기 제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41)에 상당하는 로크기구를 접시로크기구로서 그릴하우징(20)과 그릴접시(23)에 설치하고, 그릴도어(34)의 유지수단으로서의 구성을 상기 로크기구(41) 대신에 제 3의 실시형태와 같이 폐쇄위치 유지수단으로서의 코일스프링(70)에 의해서 폐쇄위치에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그릴접시(23)의 접시로크기구의 로크가 조작부에 설치한 스위치 등에 의해서해제되면 그릴접시(23)가 밀어냄위치를 향해서 이동되고, 이 그릴접시(23)의 이동에 의해서 그릴도어(34)가 개방되도록 해도 된다.
○ 제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그릴도어(34)를 제 2의 실시형태와 같이 개구부(33)의 하부에서 축지하여 기복이 자유롭게 해도 된다.
○ 제 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수단으로서의 로크기구(41) 대신에 스프링이나 자석 등에 의해서 그릴도어(34)를 폐쇄위치에 유지하는 폐쇄위치 유지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 상기 로크기구(41)에 대해 점화버튼(14)에 의해서 그릴(13)이 작동되고 있을 때는, 상기 로크기구(41)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인터로크기구를 설치해도 된다.
○ 상기 그릴접시(23)를 슬라이더로 변경하여 이 슬라이더에 그릴접시(23)를 얹어 놓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 상기 스위치(75)를 밀어냄용과 격납용의 2개의 스위치로 분리해도 된다.
○ 그릴도어(34)의 로크기구(41)로서 예를 들면 전자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로크기구를 이용해서, 스위치를 ON하면 로크상태가 해제되도록 해도 된다.
○ 그릴도어(34)의 유지수단으로서 그릴도어(34)를 스프링이나 자석 등의 폐쇄위치 유지수단에 의해서 보통은 폐쇄위치에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 그릴접시(23)의 밀어냄수단으로서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를 이용해도 된다.
○ 그릴하우징(20)과 그릴도어(34)의 사이에 로크기구가 해제되었을 때 그릴접시(23)의 밀어냄동작에 의해서 그릴도어(34)를 폐쇄위치에서 수평 전방의 개방위치 또는 상방의 개방위치로 안내 이동하는 도어안내기구를 설치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로부터 파악되는 기술사상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기술사상 1)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그릴하우징과 그릴도어의 사이에는 상기 로크기구가 해제되었을 때 그릴접시의 밀어냄동작에 의해서 그릴도어를 폐쇄위치에서 전방의 개방위치로 안내 이동하는 도어안내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그릴.
(기술사상 2) 기술사상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안내기구는 상기 그릴도어의 개방위치가 밀어냄위치에 있는 그릴접시의 선단부 가장자리보다도 하향으로 안내 이동하는 캠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그릴.
(기술사상 3) 기술사상 2에 있어서, 상기 캠기구는 그릴도어의 좌우 양측부로부터 후방으로 뻗는 캠암과 상기 캠암의 하부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종동캠과 캠암의 후단부를 그릴하우징의 내측면과 협동해서 전후방향으로 안내 이동하는 기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그릴.
(기술사상 4) 기술사상 2 또는 3에 있어서, 그릴도어는 폐쇄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전진한 후, 개방동작의 최종 단계에서 하방으로 변위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그릴.
(기술사상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그릴도어는 그 하단부에 있어서 그릴하우징의 개구부에 대해 힌지기구에 의해서 폐쇄위치와 개방위치의 사이에서 왕복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릴도어가 푸시되어서 로크기구가 해제되었을 때 밀어냄용 스위치에 의해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작동되어 그릴접시가 그릴도어를 개방하면서 밀어냄위치로 밀려 나오고, 조작판측에 설치한 격납용 스위치가 조작됨으로써 상기 액추에이터가 작동되어 그릴접시가 격납위치로 되돌아가도록 구성되어 있는 그릴.
(기술사상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는 그릴도어에 설치된 로크핀과 그릴하우징의 내측면에 설치된 로크레버를 구비하고, 로크레버는 그릴도어가 푸시되어서 로크핀이 전진하면 걸림 오목부에 걸리게 되고, 다시 그릴도어가 푸시되면 로크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그릴.
(기술사상 7)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릴도어는 외측에 위치하는 수지 화장판과 내측에 위치하는 열 강화 유리판을 소정의 간격을 두어서 연결 구성되고, 상기 간격에는 냉각용의 공기가 통하는 냉각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그릴.
(기술사상 8)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로크기구는 인터로크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그릴.
(정의) 본 명세서에 있어서, 그릴접시란 실시형태의 단체(單體)인 것 외에, 그릴하우징 내에 슬라이더를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그 슬라이더에 그릴접시를 얹어 놓은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릴접시의 밀어냄동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그릴도어의 전면의 손잡이를 생략할 수도 있다.

Claims (4)

  1. 그릴하우징의 전면 개구부에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전환이 자유롭게 설치된 그릴도어와,
    상기 그릴도어를 항상 폐쇄위치에 유지하는 유지수단과,
    그릴하우징의 내부에 격납되는 격납위치와 상기 전면 개구부를 개재해서 밀려 나오는 밀어냄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그릴접시와,
    상기 그릴접시를 격납위치로부터 밀어냄위치로 밀어내는 밀어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밀어냄수단에 의해서 그릴접시가 밀어냄위치로 밀려 나올 때, 상기 그릴도어는 상기 유지수단에 의한 유지가 해제되어서 개방위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릴접시의 밀어냄수단은 그릴접시를 격납위치와 밀어냄위치의 사이에서 왕복안내이동하는 접시안내기구와, 밀어냄위치로부터 격납위치로 수동에 의해서 밀어 넣어지는 과정에서 축세되고, 이 축세력에 의해서 그릴접시를 밀어냄동작하는 축세수단에 의해서 구성되고,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그릴도어를 보통은 폐쇄위치에 로크하고, 또한 그릴도어를 푸시하거나 또는 스위치를 ON하면 로크상태가 해제되도록 한 로크기구로서, 그릴접시는 폐쇄위치에 있는 그릴도어에 의해서 격납위치에 유지되고, 로크기구의 로크상태가 해제되면 그릴접시에 의해서 그릴도어가 개방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릴접시의 밀어냄수단은 그릴접시를 격납위치와 밀어냄위치의 사이에서 왕복안내이동하는 접시안내기구와, 밀어냄위치로부터 격납위치로 수동에 의해서 밀어 넣어지는 과정에서 축세되고, 이 축세력에 의해서 그릴접시를 밀어냄동작하는 축세수단에 의해서 구성되고,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그릴도어를 항상 폐쇄위치에 유지하는 탄지부재 또는 자석 등의 폐쇄위치 유지수단이고, 그릴접시의 접시로크기구의 로크상태가 해제되면 그릴접시에 의해서 그릴도어가 개방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릴접시의 밀어냄수단은 그릴접시를 격납위치와 밀어냄위치의 사이에서 왕복안내이동하는 접시안내기구와, 밀어냄위치와 격납위치의 사이에서 적어도 밀어냄방향으로 그릴접시를 위치전환하는 모터 또는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구성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작동되어서 그릴접시가 그릴도어를 개방하면서밀려 나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KR10-2003-0009101A 2002-05-24 2003-02-13 그릴 KR100498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51520 2002-05-24
JP2002151520A JP2003343853A (ja) 2002-05-24 2002-05-24 グリ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029A true KR20030091029A (ko) 2003-12-01
KR100498116B1 KR100498116B1 (ko) 2005-07-01

Family

ID=29769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101A KR100498116B1 (ko) 2002-05-24 2003-02-13 그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3343853A (ko)
KR (1) KR1004981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572B1 (ko) * 2004-10-14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레인지 및 그 제어 방법
KR100672456B1 (ko) * 2004-10-14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레인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0951B2 (ja) * 2004-05-25 2008-10-22 Thk株式会社 加熱調理装置
JP2006223532A (ja) * 2005-02-17 2006-08-31 Nidec Sankyo Corp グリル皿駆動方法
JP4495610B2 (ja) * 2005-02-17 2010-07-0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グリル
JP4699083B2 (ja) * 2005-04-28 2011-06-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2009213685A (ja) * 2008-03-11 2009-09-24 Panasonic Corp 加熱調理器
JP5198099B2 (ja) * 2008-03-11 2013-05-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5895139B2 (ja) * 2011-05-20 2016-03-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6770883B2 (ja) * 2016-12-05 2020-10-21 リンナイ株式会社 グリル
JP7099810B2 (ja) * 2017-08-25 2022-07-12 株式会社ハーマン グリル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572B1 (ko) * 2004-10-14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레인지 및 그 제어 방법
KR100672456B1 (ko) * 2004-10-14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레인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8116B1 (ko) 2005-07-01
JP2003343853A (ja)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8116B1 (ko) 그릴
CN108882828B (zh) 用于家具或家用器具的滑动和提升机构以及具有这种滑动和提升机构的家具或家用器具
US8327835B2 (en) Door locking mechanism for an oven having french-style doors
JP4143568B2 (ja) 冷蔵庫の扉開閉装置または扉閉鎖装置
KR100753731B1 (ko) 냉장고
EP2451334B1 (en) A dishwasher with automatically opening door
RU2584671C2 (ru) Бытовой прибор
KR20120031949A (ko) 슬라이딩 및 틸팅 도어 어셈블리
KR850001377Y1 (ko) 가열조리기의 문개폐 장치
WO2007113230A2 (en) A cooling device
CN111449500B (zh) 烹饪器具的上盖组件和具有其的烹饪器具
KR102227959B1 (ko) 냉장고
US11408667B2 (en) Water dispenser
US11788323B2 (en) Door locking device for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in particular a dishwasher, and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provided therewith
ES2781298T3 (es) Aparato de cocción con cerradura de puerta
US5401090A (en) Mechanical automatic aisle lock
CN105358782A (zh) 包括可翻转和可滑移的翼扇的窗户、门或类似件的配件
US20050006998A1 (en) Refrigerator with extendable supports
EP2846099B1 (en) Retaining and locking device for a door of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in particular an oven
CN209694936U (zh) 烹饪器具的上盖组件和具有其的烹饪器具
KR102617684B1 (ko) 냉장고
WO2019166358A1 (en) An oven comprising french style doors
JPS6041447Y2 (ja) 加熱調理器の扉開閉装置
CN212165584U (zh) 烹饪器具
WO2021019397A1 (en) Vertical h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