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0722A - 열 흡수층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 흡수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0722A
KR20030090722A KR10-2003-7013198A KR20037013198A KR20030090722A KR 20030090722 A KR20030090722 A KR 20030090722A KR 20037013198 A KR20037013198 A KR 20037013198A KR 20030090722 A KR20030090722 A KR 20030090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ating system
transparent
layers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3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틴 되블러
피터 비어
뤼디거 고니
모니카 스틸러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30090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72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9/00Polycarbon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22Static electricity metal bleed-off metallic stock
    • Y10S428/923Physica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22Static electricity metal bleed-off metallic stock
    • Y10S428/923Physical dimension
    • Y10S428/924Composite
    • Y10S428/926Thickness of individual layer specif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07Of polycarbon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52Of asbestos
    • Y10T428/31663As siloxane, silicone or sila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층(A)과 제 2 층(B)을 포함하는 투명 열 흡수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층(A)이 하나 이상의 유기 적외선 흡수제 및 하나 이상의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제 2 층(B)이 하나 이상의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제 1 층(A)이 층 시스템에서 유기 적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유일한 층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층 시스템의 제조방법, 용도 및 상기 층 시스템으로부터 제조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 흡수층 시스템{HEAT-ABSORBING LAYER SYSTEM}
자동차 분야 및 건물에 있어서, 예를 들면 폴리카르보네이트 같은 투명 열가소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된 광택(glazing) 시스템은, 유리로 된 통상적인 광택 시스템에 비해, 예를 들면 보다 높은 파단내성 및 경량화(weight saving) 같은 많은 이점들을 제공한다. 자동차 광택 시스템의 경우, 이는 위와 같은 이유로 교통사고시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하며, 경량화로 인해 연료 소모량은 감소된다. 끝으로, 투명 열가소성 중합체 및 투명 열가소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성형하기가 보다 쉬우므로, 디자인 하기가 훨씬 더 자유롭다.
그러나, 투명 열가소성 중합체의 높은 투열성(diathermancy)(즉 적외선 복사선의 투과) 때문에, 태양광의 영향을 받는 차량 내부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온도 상승이 초래될 수 있다. 패리 문(Parry Moon)의 문헌[Journal of the Franklin Institute 230, 583 내지 618 페이지(1940)]에 기술된 바에 따르면, 대부분의 태양 에너지는 400 내지 750㎚의 가시광선 영역 다음으로 650 내지 1100㎚의근적외선(NIR) 영역에 존재한다. 입사되는 태양 복사선은 차량 내부에 흡수되며, 예를 들면 5 내지 15㎛의 장파장 열 복사선으로서 방출된다. 통상적인 광택재 및 투명 열가소성 중합체는 특히 이러한 영역에서는 투명하지 않기 때문에, 열 복사선이 외부로 발산되지 못해, 온실효과가 생긴다. 이러한 효과를 최소로 하기 위해서는, NIR에서 광택 시스템의 투과를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폴리카르보네이트 같은 통상적인 투명 열가소성 중합체는 가시광선 영역과 NIR 영역 모두에서 투명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NIR 영역에서는 투명성이 가능한 한 낮고 스펙트럼의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투명성이 가능한 한 높은 첨가제가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에 맞는, 온도 상승을 제한하는 적외선 흡수제가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예를 들면 J. 파비안(J.Fabian), H. 나카즈미(H.Nakazumi), H.마쓰오카(Matsuoka)의 문헌[Chem.Rev.92, 1197(1992)], US 5 712 332, JP 06240146 A를 참조).
근적외선(NIR)에서 최대 흡수도를 갖는 염료가 상기 용도로는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옥외 용도에서는, 목적하는 스펙트럼 성질 외에도, 변색 및 퇴색에 대한 높은 장기간 내광성도 필요하다.
유기 근적외선 흡수제와 무기 근적외선 흡수제는 다르다. 무기 근적외선 흡수제는 통상적으로 높은 광안정성을 나타내지만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불용성이어서, 혼탁한 내지는 불투명한 성형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점을 갖는다. 이와는 반대로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용해성인 유기 근적외선 흡수제도 공지되어 있지만, 이는보다 낮은 광안정성을 나타낸다.
(A) 프탈로시아닌 적외선 흡수제와 (B) 자외선 흡수제를 모두 함유하는, 얇은 필름과 유사한 열 흡수 코팅 시스템이 JP 10-077360 A에 기술되어 있다. 이것을 사용하여 단열층의 내후성을 개선한다고 한다. 예로 든 한 실시양태에서, 두께가 0.13㎜인 필름-유사 코팅층이 제시되었는데, 이것은 프탈로시아닌 적외선 흡수제와 자외선 흡수제를 모두 함유한다. 이러한 유형의 코팅층이 48시간 동안의 촉진 내후성 시험(accelerated weathering test)에서 허용될만한 내후성을 갖는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실제 적용을 위해서는, 500 시간을 초과하는 내후성 시험이 요구된다. 더우기, 상기 공보에 기술된 얇은 필름-유사 코팅층은 부적당한 광학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자동차 광택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열 흡수 코팅 시스템의 내후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프탈로시아닌 적외선 흡수제 농도가 점점 감소되는 3개의 층을 포함하는 얇은 필름-유사 열 흡수 코팅재도 JP 10-077360 A에 제시되어 있다. 이 코팅재는 입사광 복사선 쪽을 향하는 상부층에는 자외선 흡수제를, 중간층에는 자외선 흡수제와 프탈로시아닌 적외선 흡수제의 혼합물을, 입사광 복사선과 외면한 하부층에는 추가의 프탈로시아닌 적외선 흡수제를 함유한다. 이러한 유형의 코팅 시스템의 단점은, 라미네이션(lamination)에 의해 이러한 3층 코팅 시스템을 제조하는데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것과 이러한 코팅 시스템의 광학성질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외선-흡수 페인트 및/또는 자외선 흡수제를 높은 함량으로 갖는 공압출 층을 사용하여 특정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보호할 수 있다는 것도 알려져있다. 따라서 EP 0 110 221 A에 따르면, 예를 들면 자외선 흡수제를 3 내지 15중량%로 함유하는 층으로 폴리카르보네이트 플라스틱 시트를 코팅함으로써,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 플라스틱 시트의 내후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고 한다. 이 공보에 기술된 다층 시스템은 적외선 흡수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끝으로, EP 0 774 551 A에는 자외선-흡수 보호층을 제공하는 무기 안료를 기재로 하는 열 필터가 기술되어 있다. 무기 안료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용해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갖는데, 이것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명하고 낮은 탁도를 나타내는 성형물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뜻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제 1 층(A)과 하나의 제 2 층(B)을 함유하는 열 흡수 코팅 시스템, 그의 제조방법, 용도 및 상기 코팅 시스템으로부터 제조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근본 목적은, 제조방법이 가능한 한 간단하고 저렴하며, 탁월한 장기간 내후성을 갖고, 투명성 및 광택 같은 광학성질이 뛰어나고, 투명 플라스틱 광택 부재의 단열에 사용할 수 있는 열 흡수 코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본 발명에 따라서, 제 1 층(A)과 제 2 층(B)을 포함하는 투명 열 흡수 코팅 시스템으로써 달성하는데, 이 때 상기 제 1 층(A)은 하나 이상의 유기 적외선 흡수제 및 하나 이상의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상기 제 2 층(B)은 하나 이상의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며, 상기 제 1 층(A)은 코팅 시스템에서 유기 적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유일한 층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열 흡수 코팅 시스템은 유기 적외선 흡수제와 자외선 흡수제가 함께 하나의 층(층 A, "NIR/UV 층")에 혼입됨을 특징으로 한다. 2종의 첨가제가 하나의 층에 공존한다는 것은 많은 민감한 유기 적외선 흡수제가 자외선 복사선으로부터 보호된다는 것을 뜻한다. 유기 적외선 흡수제는 또한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추가의 층(층 B, "UV 층")에 의해 자외선 복사선에 의한 분해로부터 보호된다. 또다른 특별한 점은 층(A)이 본 발명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에서 유기 적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유일한 층이라는 것이다. 투명 코트 같은, 코팅 시스템에 임의적으로 함유되는 임의의 기타 층들도 역시 유기 적외선 흡수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자외선층(층 B)의 기능중 하나가 층(A)의 근적외선 염료를 자외선 복사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입사광 복사선 쪽을 향해 층(A) 위에 층(B)을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입사광 복사선 쪽을 향하는 면으로부터 시작할 때, 다음과 같은 코팅 구조가 유리하다: 층(B)-층(A). 이 때 특히 층(A)은 기재(예를 들면 플라스틱 자동차 전면유리)로서 작용한다. 층(A) 아래에 하나 이상의 추가의 층(B)을 배치하여, 예를 들면 층(B)-층(A)-층(B)의 코팅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도, 층(A)이 기재(예를 들면 플라스틱 자동차 전면유리)로서 작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원에서는, 유기 적외선 흡수제 및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층(A)) 및 각 면에 위치한 얇은 자외선 흡수제층(층(B))으로 이루어진, 양면에서 공압출된 시트를 예로 들 수 있다. 유기 적외선 흡수제 및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층(A)) 및 양쪽 페인트 필름에 위치한 자외선 흡수제(층(B))로 이루어진, 양면 페인팅된 시트 또는 사출성형품도 가능하다.
놀랍게도, NIR/UV 층 위에 단일 자외선 보호층을 배치시킴으로써, 열 흡수 코팅 시스템의 장기간 내후성의 적절한 개선 및 탁월한 광택도 및 투명도를 달성할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은 JP 10-077360 A에 기술된 단일층 단열 코팅재에 비해 장기간 내후성이 상당히 개선됨을 특징으로 한다. JP 10-077360 A에 기술된 3층 단열 코팅재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은 투명도 및 광택도가 상당히 개선되고 그 제조방법이 보다 간단하고 저렴함을 특징으로 한다. JP 10-077360 A의 교시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르면, 장기간 내후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코팅 시스템에서 근적외선 흡수제의 농도를 점점 낮출 목적으로 여러 개의 층에 근적외선 흡수제를 혼입시킬 필요는 없다는 것이 놀랍게도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에서 추가의 NIR 층을 없앰으로써, 열 흡수 코팅 시스템의 투명성 및 광택도 상당히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의 개개의 층들을 특정 두께로 제조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도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 1 층(A)은 두께가 2 내지 8㎜, 특히 3 내지 5㎜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 2 층(B)은 두께가 1 내지 100㎛이다. 제 2 층을 두께가 30 내지 80㎛, 특히 40 내지 60㎛인 중합체 필름으로서 제조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마찬가지로 제 2 층을 두께가 1 내지 30㎛, 특히 4 내지 10㎛인 페인트로서 제조할 수도 있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르는 열 흡수 코팅 시스템의 광학성질 및 장기간 내후성을 위해서는, NIR/UV 층(층 A)을 JP 10-077360 A에 기술된 얇은 필름-유사 코팅층이 아닌, 두께 0.8 내지 15㎜로 제조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얇은 층이 일반적으로 두꺼운 층보다 탁도가 더 좋다는 점에서 놀라운 일이다.0.8 내지 15㎜의 비교적 두꺼운 NIR/UV 층(층 A)이 1 내지 100㎛의 비교적 얇은 자외선 보호층(층 B)으로 코팅된 코팅 시스템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코팅재를 예를 들면 페인트 또는 얇은 중합체 필름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코팅 시스템은 탁월한 투명성 및 탁도와 함께, 뛰어난 장기간 내후성을 갖는다. 제조상의 관점 및 자동차 광택 용도를 위한 특별한 성질의 관점에서 볼 때, 코팅 시스템에서 NIR/UV 층(층 A) 및 UV 층(층 B) 및 임의적으로 기타 층을 적당한 두께의 공압출된 중합체 층으로서 제조하는 것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은 층(A) 및 층(B) 외에도, 유기 적외선 흡수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투명층(C)을 또한 함유한다. 층(C)은 "투명 코트"라고도 하며, 내긁힘성을 개선시키거나 기계적 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투명 코트를 함유할 수 있다. 1 내지 3개의 투명 코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개의 투명 코트가 사용된다. 이 투명 코트를 코팅 시스템 내의 임의의 위치, 즉 층(A)과 층(B)의 위, 아래 및/또는 그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하기 코팅 구조(입사광 복사선 쪽을 향하는 면으로부터 시작함)를 갖는 코팅 시스템이 특히 유리하다: 층(B)-층(A)-층(C) 또는 층(C)-층(B)-층(A). 투명 코트(C)의 재료에 관해서는 특별한 제약이 없다. 그러나, 투명 코트는 중합체층 또는 유리층으로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유리하다. 투명 열가소성 플라스틱이 특히 중합체층으로서 적합하다.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PMMA 또는 PETG가 특히 적합한 투명 열가소성 플라스틱이다. 다른 층에서와 동일한 중합체를 층(C)에 사용하는 것이, 코팅 시스템의 광학성질에 유리하다. 층(A) 및/또는 층(B)이 폴리카르보네이트를 기재로 하는 층인 본 발명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층(C)도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PMMA 또는 PETG를 기재로 하는 층인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기 적외선 흡수제는 700 내지 1500㎚(근적외선=NIR)에서 가능한 한 높은 흡수도를 갖는 화합물이다. 문헌에 공지된 적외선 흡수제, 예를 들면 M.마쓰오카(Matsuoka)의 문헌[Infrared Absorbing Dyes, Plenum Press, New York, 1990]에 기술된 물질군이 적합하다. 프탈로시아닌, 나프탈로시아닌, 금속 착체, 아조 염료, 안트라퀴논, 쿼드라틱 산 유도체, 임모늄 염료, 페릴렌, 쿼테릴렌 및 폴리메틴의 물질군에서 선택된 적외선 흡수제가 특히 적합하다. 이 중에서, 프탈로시아닌 및 나프탈로시아닌이 가장 특히 적합하다. 부피가 큰 측기를 갖는 프탈로시아닌 및 나프탈로시아닌이,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대해 개선된 용해도를 갖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열 복사선에 대한 목적하는 흡수도 및 코팅 시스템의 적당한 투명성만 보장된다면, 층(A)에 함유된 유기 적외선 흡수제의 양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약이 없다. 층(A)이 유기 적외선 흡수제를 0.001 내지 10g/㎡, 특히 0.1 내지 1g/㎡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NIR/UV층(층 A)의 흡수계수 및 필름 두께에 따라서, 적외선 흡수제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00pp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ppm,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0ppm의 농도로 사용된다. 적외선 흡수제의 혼합물도 특히 적합하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라면 다양한 파장에서최대 흡수도를 갖는 염료를 사용함으로써, 근적외선 영역의 흡수도를 최적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자외선 흡수제는 400㎚ 미만에서 가능한 한 낮은 투과도를 갖고, 400㎚ 이상에서 가능한 한 높은 투과도를 갖는 화합물이다. 이러한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이 문헌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EP 0 839 623 A, WO 96/15102 및 EP 0 500 496 A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트리아졸, 트리아진, 벤조페논 및/또는 아릴화 시아노아크릴레이트이다.
특히 적합한 자외선 흡수제는 히드록시 벤조트리아졸, 예를 들면 2-(3',5'-비스(1,1-디메틸벤질)-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티누빈(Tinuvin, 등록상표) 234, 스위스 바젤 소재의 시바 스페지알리태텐케미(Ciba Spezialitaetenchemie)), 2-(2'-히드록시-5'-(3차-옥틸)페닐) 벤조트리아졸(티누빈 329, 스위스 바젤 소재의 시바 스페지알리태텐케미), 2-(2'-히드록시-3'-(2-부틸)-5'-(3차-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티누빈 350, 스위스 바젤 소재의 시바 스페지알리태텐케미), 비스(3-(2H-벤조트리아졸릴)-2-히드록시-5-3차-옥틸)메탄(티누빈 360, 스위스 바젤 소재의 시바 스페지알리태텐케미), 2-(히드록시-2-히드록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티누빈 1577, 스위스 바젤 소재의 시바 스페지알리태텐케미), 및 벤조페논 2,4-디히드록시 벤조페논(키마소브22(Chimasorb22, 등록상표), 스위스 바젤 소재의 시바 스페지알리태텐케미), 2-프로펜산, 2-시아노-3,3-디페닐-, 2,2-비스[[(2-시아노-1-옥소-3,3-디페닐-2-프로페닐)옥시]메틸]-1,3-프로판디일에스테르(9CI)(우비눌(Uvinul, 등록상표) 3030, 독일 루드빅샤펜 소재의 바스프 아게(BASF AG))이다. 이러한 자외선 흡수제들의 혼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나노급의 무기 자외선 흡수제를 유기 자외선 흡수제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TiO2, ZnO, CeO2가 바람직하다. 이들 입자의 크기는 100㎚ 미만이다. 이들의 제조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자외선 복사선에 대한 목적하는 흡수도 및 코팅 시스템의 적당한 투명성만 보장된다면, 코팅 시스템에 함유된 자외선 흡수제의 양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약이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층(A)은 자외선 흡수제를 0.1 내지 10%, 특히 0.2 내지 1%의 양으로 함유한다. 또한 층(B)이 자외선 흡수제를 0.1 내지 40%, 특히 1 내지 10%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층(A)와 층(B)의 기재에 대해서는, 그 재료가 높은 투명성 및 내후성을 갖고 있어서 자동차 광택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기만 하다면, 특별한 제약이 없다. 그러나, 코팅 시스템의 개개의 층들이 중합체 또는 페인트를 기재로 하는 층인 것이 특히 유리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유기 적외선 흡수제 및/또는 자외선 흡수제가, 개개의 층들에 함유된다면, 중합체 또는 페인트 필름으로 혼입됨을 뜻한다.
투명 열가소성 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관점에서, 투명 열가소성 중합체란 예를 들면 에틸렌적으로 불포화된 단량체의 중합체 및/또는 2작용성 반응성 화합물의 중축합물이다. 투명 열가소성 중합체의 예는 예를 들면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코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코폴리메타크릴레이트, 예를 들면 폴리메틸 또는 코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스티렌과의 공중합체, 예를 들면 투명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PSAN) 또는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을 기재로 하는 중합체 및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면 PET, PEN 또는 PETG 및 투명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다. 고리형 올레핀을 기재로 하는 중합체(예를 들면 토파스(TOPAS, 등록상표), 티코나(Ticona)의 제품), 테레프탈산의 중축합물 또는 공중축합물(copolycondensate),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코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CoPET) 또는 PETG도 혼입시킬 수 있다.
여러 투명 열가소성 중합체들의 혼합물도 가능하다.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비스페놀 A를 기재로 하는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1,3-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 시클로헥산을 기재로 하는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및 비스페놀 A와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 시클로헥산의 두 단량체를 기재로 하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이다.
본 발명의 관점에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와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둘 다를 가리키며, 폴리카르보네이트는 통상적인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디페놀, 탄산 유도체, 임의적으로는 사슬종결제 및 분지제로부터 공지된 방식으로 제조된다.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약 40년에 걸쳐 많은 특허 명세서에 기록되어 왔다. 본원에서는 예를 들어 쉬넬(Schnell)의 문헌["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Polymer Reviews, 제 9 권,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London, Sydney 1964], D.프레이태그(Freitag), U.그리고(Grigo), P.R.뮐러(Mueller), H.누베르트네(Nouvertne)(바이엘 아게)의 문헌["Polycarbonates" in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제 11 권, 제 2 판, 1988, 648 내지 718 페이지] 및 끝으로 닥터 U.그리고, K.키르크너(Kirchner) 및 P.R.뮐러의 문헌["Polycarbonate" in Becker/Braun, Kunststoff-Handbuch, 제 3/1 권, Polycarbonate, Polyacetale, Polyester, Celluloseester, Carl Hanser Verlag Munich, Vienna 1992, 117 내지 299 페이지]을 참조한다.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적합한 디페놀의 예는 히드로퀴논, 레조르시놀, 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히드록시페닐) 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 시클로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 설파이드, 비스(히드록시페닐) 에테르, 비스(히드록시페닐) 케톤,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폰, 비스(히드록시페닐) 설폭사이드, α,α'-비스(히드록시페닐)디이소프로필 벤젠, 및 이들의 고리-알킬화 및 고리-할로겐화 화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디페놀은 4,4'-디히드록시디페닐, 2,3-비스(4-히드록시페닐) 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p-디이소프로필 벤젠,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판,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 프로판,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 메탄,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판,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 술폰, 2,4-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2-메틸 부탄, 1,1-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p-디이소프로필 벤젠,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 프로판,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 프로판 및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 시클로헥산이다.
특히 바람직한 디페놀은 2,2-비스(4-히드록시페닐) 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 프로판,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 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 시클로헥산 및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 시클로헥산이다.
상기 및 기타 적합한 디페놀은 예를 들면 US-A 3 028 635, US-A 2 999 825, US-A 3 148 172, US-A 2 991 273, US-A 3 271 367, US-A 4 982 014 및 US-A 2 999 846, DE-A 1 570 703, DE-A 2 063 050, DE-A 2 036 052, DE-A 2 211 956 및 DE-A 3 832 396, FR-A 1 561 518, 논문["H.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1964"], JP-A 62039/1986, JP-A 62040/1986 및 JP-A 105550/1986에 기술되어 있다.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의 경우에는 단 하나의 디페놀이 사용되며,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경우에는 하나보다 많은 디페놀이 사용된다.
적합한 탄산 유도체는 예를 들면 포스겐 또는 디페닐 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사슬종결제는 모노페놀 및 모노카르복실산이다. 적합한 모노페놀은 페놀 그 자체, 알킬 페놀, 예를 들면 크레솔, p-3차-부틸 페놀, p-n-옥틸 페놀, p-이소옥틸 페놀, p-n-노닐 페놀 및 p-이소노닐 페놀, 할로페놀, 예를 들면 p-클로로페놀, 2,4-디클로로페놀, p-브로모페놀 및 2,4,6-트리브로모페놀, 2,4,6-트리요오딘 페놀, p-요오딘 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사슬종결제는 p-3차-부틸 페놀 및 페놀이다.
또한 적합한 모노카르복실산은 벤조산, 알킬 벤조산 및 할로벤조산이다.
바람직한 사슬종결제는 추가로 하기 화학식 I의 페놀이다.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C30-알킬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3차-부틸, 또는 분지형 또는 미분지형 C8및/또는 C9알킬 라디칼이다.
사용되는 사슬종결제의 양은, 각 경우에 사용된 디페놀의 몰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몰%이다. 사슬종결제를 포스겐화 전, 도중 또는 후에 첨가할 수 있다.
적합한 분지제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화학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3작용성 이상의 화합물이며, 특히 페놀성 OH기를 3개 이상 갖는 화합물이다.
적합한 분지제의 예는 플로로글루시놀,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 헵텐-2,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 헵탄, 1,3,5-트리(4-히드록시페닐) 벤젠, 1,1,1-트리(4-히드록시페닐) 에탄, 트리(4-히드록시페닐) 페닐메탄, 2,2-비스[4,4-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실]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 이소프로필) 페놀, 2,6-비스(2-히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놀, 2-(4-히드록시페닐)-2-(2,4-디히드록시페닐) 프로판, 헥사(4(4-히드록시페닐 이소프로필) 페닐) 오르토테레프탈산 에스테르, 테트라(4-히드록시페닐) 메탄, 테트라(4-(4-히드록시페닐 이소프로필) 페녹시) 메탄 및 1,4-비스(4',4"-디히드록시트리페닐 메틸) 벤젠 뿐만 아니라 2,4-디히드록시벤조산, 트리메스산, 시아누릭 클로라이드 및 3,3-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을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첨가되는 분지제의 양은, 각 경우에 사용되는 디페놀의 몰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몰%이다.
분지제를 수성-알칼리상에 디페놀 및 사슬종결제와 함께 첨가하거나, 아니면 포스겐화 전에 유기 용매에 용해된 채로 첨가한다. 에스테르교환방법을 사용할 경우, 분지제를 디페놀과 함께 첨가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또한 기타 통상적인 중합체 첨가제, 예를 들면 EP-A 0 839 623, WO 96/15102 및 EP-A 0 500 496에 기술된 항산화제 및 이형제 뿐만 아니라, 문헌에 공지된 난연제, 유리 섬유, 충전재, 발포제, 안료, 형광증백제 또는 염료를, 해당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대해 통상적인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5 중량% 이하의 양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양에 대해 0.01 내지5 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양에 대해 0.01 내지 1 중량%이다. 여러 첨가제들의 혼합물도 적합하다.
열가소성 폴리카르보네이트 내에서 불순물로서 존재하는 이온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0ppm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5ppm 미만이다.
열가소성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와 관련된 기준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하나보다 많은 열가소성 플라스틱 층이 사용될 경우, 이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성형물과 보호층의 적합한 조합이 예를 들면 EP 0 320 632 A에 언급되어 있다. 유사한 플라스틱들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페인트 시스템은 가교 성분이 아크릴레이트, 알릴, 에폭시, 실록산, 이소시아네이트, 무수물, 및/또는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작용기를 갖는 것들이다. 이러한 페인트 시스템에 대한 총론을 문헌["Lehrbuch der Lacke und Beschichtungen", 편집자: Dr. Hans Kittel, Verlag Hirzel, Stuttgart, 1998], 문헌["Lackkunstharze", Hans Wagner, Hans Friedrich Sarx, Carl Hanser Verlag Munich, 1971], 및 특히 에폭시 수지에 대해서는 문헌["Epoxy Resins, Chemistry and Technology", 편집자: Clayton A. May and Yoshio Tanaka, Marcel Dekker, Inc. New York, 1973, 제 7 장, 451 페이지 이하]에서 찾을 수 있다.
예를 들면 DE 4 020 316 A에 기술된 것 같은 실록산 페인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페인트 필름의 두께는 1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이다. 페인트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00mPa·s이다.
층(A), 층(B) 및/또는 층(C)에 사용되는 중합체 또는 페인트는 임의적으로 기타 첨가제, 예를 들면 EP 0 839 623 A1 및 EP 0 500 496 A1에 기술된 항산화제, 난연제, 충전재, 발포제, 통상적인 염료 및 안료, 형광증백제 및 기핵제 등을,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에 5 중량% 이하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총 혼합물에 대해 0.01 내지 5 중량%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의 양에 대해 0.01 내지 1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들의 혼합물도 적합하다.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또한 통상적인 열안정제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특히 적합한 열 안정제는 입체장애 페놀, 예를 들면 옥타데실-3-(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이르가녹스(Irganox, 등록상표) 1076, 스위스 바젤 소재의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Ciba Specialty Chemicals))이다. 본 발명에 따라 특히 적합한 다른 열안정제는 아인산염, 특히 트리스(2,4-디-3차-부틸페닐) 포스파이트(이르가포스(Irgafos, 등록상표) 168, 스위스 바젤 소재의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또는 수소화인, 예를 들면 트리페닐 포스핀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 내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또한 통상적인 이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이형제는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PETS) 또는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GMS)이다.
유기 적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 및 기타 첨가제를, 컴파운딩(compounding), 용액중 혼입, 공압출, 반죽, 사출성형에 의한 혼입 또는 마스터배치(masterbatch)로서 혼입과 같은 공지된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의 개개의 층들에 혼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을, 페인팅, 공압출, 침지코팅, 엠보싱, 라이닝(lining), 라미네이션, 샌드위치 성형, 용액으로부터 도포, 백 스프레잉(back spraying) 등과 같은 공지된 방법을 사용해서, 하나 이상의 임의적으로 상이한 단계로 제조할 수 있다.
개개의 층들을, 기본 부품을 성형하는 동시에 또는 그 직후에, 예를 들면 공압출 또는 샌드위치 성형에 의해, 서로의 위에 붙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을, 예를 들면 필름으로 라미네이팅하거나 용액으로 코팅시킴으로써, 최종 성형된 기본 부품위에 붙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코팅 구조물을 임의적으로는 후속적으로, 예를 들면 열성형법을 사용하여, 열가소성 플라스틱 상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을 예를 들면 다음 공정 단계로 제조할 수 있다.
(a) 유기 적외선 흡수제와 자외선 흡수제를 투명 중합체성 기재 또는 페인트 시스템과 혼합함으로써 층(A)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자외선 흡수제를 투명 중합체성 기재 또는 페인트 시스템과 혼합함으로써 층(B)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층(A)과 층(B)과 임의적으로 기타 층들을 공압출, 사출성형 또는 분무시킴으로써 코팅 시스템을 제조하는 단계.
자외선 및/또는 적외선 흡수제를 바람직하게는 중합체성 기재와 컴파운딩함으로써 혼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층(A)을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하고, 층(B)을 페인팅에 의해 제조하며, 임의적으로 기타 층들을 사출성형 또는 페인팅에 의해 제조한다.
개개의 층들을 바람직하게는 공압출로 제조한다.
솔리드(solid) 시트외에도, 멀티-월(multi-wall) 시트(트윈-월(twin-wall) 시트, 트리플-월(triple-wall) 시트 등) 또는 주름진 시트(corrugated sheet)를 본 발명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이들을 식품용기, 전기 분야용 부품과 같은 사출성형품에 사용하거나, 안경 렌즈, 예를 들면 용접용 안경 같은 보안경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은 투열성이 있어서는 안되는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자동차 부품, 예를 들면 광택 부재, 자동차 선루프, 플라스틱 헤드램프 디퓨저, 및 건축 분야, 예를 들면 건물용 광택재, 온실 부품, 차내등(dome light), 버스 대합실 또는 유사한 분야에서 사용하는 것이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은 성형품의 제조, 특히 투명 플라스틱 광택 부재의 제조, 예를 들면 폴리카르보네이트 및/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를 기재로하는 플라스틱 광택 부재의 제조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조한 성형물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기준으로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시편을 제작하기 위해서, 평균분자량(GPC로 측정한 Mw)이 각각 약 28,000 및 20,000인 폴리카르보네이트(독일 레버쿠젠 소재의 바이엘 아게의 마크롤론(Makrolon, 등록상표) 2808 또는 마크롤론 DP 1265)를, 300℃에서 2축 압출기에서 표 1에 제시된 양의 첨가제와 컴파운딩한 후 펠렛화하였다. 이어서 이 펠렛으로부터 유색 견본(60㎜×40㎜×2㎜)을 압출시켰다. 조성물 R5 및 6을 250℃에서 바로 압출시켰다.
다음 화합물들을 적외선 흡수제로서 사용하였다:
적외선 흡수제(A): 바나딜-5,14,23,32-테트라페닐-2,3-나프탈로시아닌(독일 스테인하임 소재의 알드리치(Aldrich))
적외선 흡수제(B): 쿠퍼(II)-1,4,8,11,15,18,22,25-옥타부톡시-29H,31H-프탈로시아닌(독일 스테인하임 소재의 알드리치) 및
적외선 흡수제(C): KU3-2052(성분 A와 성분 B로 된, 독일 레버쿠젠 소재의 바이엘 아게에서 판매되는 시판용 2성분 근적외선 염료).
다음 화합물들을 자외선 흡수제로서 사용하였다:
자외선 흡수제(A): 2-(2'-히드록시-3'-(2-부틸)-5'(3차-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스위스 바젤 소재의 시바 스페지알리태텐케미의 티누빈 350) 및
자외선 흡수제(B): 비스(3-(2H-벤조트리아졸릴)-2-히드록시-5-3차-옥틸) 메탄(스위스 바젤 소재의 시바 스페지알리태텐케미의 티누빈 360).
샘플의 조성
조성물
R1 마크롤론 2808중 적외선 흡수제(A) 70ppm
2 마크롤론 2808중 적외선 흡수제(A) 70ppm + 0.3% 자외선 흡수제(A)
R3 마크롤론 2808중 적외선 흡수제(B) 70㎎
4 마크롤론 2808중 적외선 흡수제(B) 70㎎ + 0.3% 자외선 흡수제(A)
R5 마크롤론 DPI 1265중 적외선 흡수제(C)(성분 A 160ppm + 성분 B 240ppm)+ 0.1% 파라핀유
6 마크롤론 DPI 1265중 적외선 흡수제(C)(성분 A 160ppm + 성분 B 240ppm)+ 0.1% 파라핀유 + 0.3% 자외선 흡수제(A)
이어서 이 유색 견본들을, 마크롤론 3108중 5% 자외선 흡수제(B)로 이루어진 두께 100㎛의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으로, 155℃ 및 100kN에서 60초 동안 엠보싱함으로써, 코팅하였다.
실시예 2
조성물 2, 4 및 6, 및 참고 조성물 1, 3 및 5로부터 제조된 유색 견본들에 대한 투과 스펙트럼을 퍼킨 엘머(Perkin Elmer)의 "람다(lamda) 9" UV VIS-NIR 분광계로 측정하였다. 이어서 샘플을 0.35W/㎡에서 Xe WOM(102:18)을 사용하여 풍화(weather)시킨 후, 다시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근적외선에서 최대 흡수도에서의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조성물 2 및 4 및 참고 조성물 1 및 3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의 안정화 작용을 보다 잘 비교하기 위해서 제 2 최대 흡수도에서의 투과도도 측정하였다.
5000 시간 동안 Xe WOM에 적용한 후에, 조성물 2, 4 및 6, 및 참고 조성물 1, 3 및 5의 투과 성질(Δ는 T(5000시간)-T(0시간)을 뜻한다)
파장 스펙트럼에서의 위치 조성물 R1 조성물 2
T(O시간) T(5000시간) Δ T(0시간) T(5000시간) Δ
750㎚ 제 2 최대 흡수도 47.1% 55.6% 8.5% 47.5% 53.7% 6.2%
850㎚ 최대 흡수도 2.3% 6.4% 4.1% 2.3% 5.2% 2.9%
조성물 R3 조성물 4
T(0시간) T(5000시간) Δ T(0시간) T(5000시간) Δ
675㎚ 제 2 최대 흡수도 29.4% 38.5% 9.1% 31.1% 35.2% 4.1%
755㎚ 최대 흡수도 0.7% 2.6% 1.9% 0.9% 1.7% 0.8%
조성물 R5 조성물 6
T(0시간) T(5000시간) Δ T(0시간) T(5000시간) Δ
995㎚ 최대 흡수도 2.0% 31.0% 19.0% 2.3% 18.0% 15.7%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 2, 4 및 6에 대한 최대 흡수도 또는 제 2 최대 흡수도에서의 투과도는 참고 조성물 1, 3 및 5에 대한 것보다 덜 급격하게 증가한다. 이는 근적외선 염료가 풍화될 때 본 발명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조성물 2, 4 및 6)의 도움으로, 통상적인 자외선 보호층(참고 조성물 1, 3 및 5)에 의해서만 보호되는 것보다 덜 심하게 퇴색된다는 것을 뜻한다.
실시예 3
풍화된 샘플 및 풍화되지 않은 샘플에 대한 탁도를, 독일 데-82538 게르츠리드 소재의 BYK-가드너 게엠베하(BYK-Gardner GmbH)의 헤이즈-가르트 플러스장치(Haze-Gard plus instrument)를 사용하여, ASTM D 1003에 따라 결정하였다.
3000시간 Xe WOM으로 풍화시키기 전과 후의 탁도 시험 및 탁도차 Δ
조성물 보호필름을 사용/사용하지 않음 Xe WOM 풍화 탁도 Δ
R5 사용하지 않음 0시간 0.6 -
R5 사용 0시간 0.9 -
R5 사용하지 않음 3000시간 28.0 27.4%
R5 사용 2000시간 5.8 4.9%
6 사용하지 않음 0시간 0.7 -
6 사용 0시간 1.3 -
6 사용하지 않음 3000시간 22.0 21.3%
6 사용 3000시간 5.0 3.7%
Δ는 풍화되지 않은 샘플과의 차이다.
표 3의 측정값들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르는 자외선 보호층(보호필름을 사용한 조성물 6)은 탁도가 단지 3.7% 증가한 반면, 참고 조성물의 경우에는 탁도가 4.9% 또는 심지어 21.3% 및 27.4%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절대 탁도도 풍화 후 본 발명에 따르는 보호층의 경우 더 낮았다.
실시예 4
풍화된 샘플 및 풍화되지 않은 샘플에 대한 광택도를 DIN 표준 67530에 따라 결정하였다.
광택도 시험
조성물 보호필름을 사용/사용하지 않음 Xe WOM 풍화 20°광택도 60°광택도
R1 사용하지 않음 0시간 163 149
R1 사용하지 않음 3000시간 99 112
R1 사용 5000시간 95 120
2 사용하지 않음 0시간 174 158
2 사용하지 않음 3000시간 137 135
2 사용 5000시간 119 138
표 4의 측정값들을 보면, 119% 및 138%에서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시스템(보호필름을 사용한 조성물 2)은, 어떤 경우에는 보다 짧은 시간동안 풍화된 참고 샘플보다도 5,000시간 Xe WOM 적용 후 보다 높은 광택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험결과로, 본 발명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은 그 제조방법이 간단하면서도, Xe WOM 풍화될 때, 심지어 5,000시간 동안 풍화된 후에도, 뛰어난 장기간 내후성을 가지며, 탁월한 투명성 및 우수한 광택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Claims (23)

  1. 제 1 층(A)과 제 2 층(B)을 포함하는 투명 열 흡수 코팅 시스템으로서, 이 때 제 1 층(A)은 하나 이상의 유기 적외선 흡수제 및 하나 이상의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제 2 층(B)은 하나 이상의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제 1 층(A)은 코팅 시스템에서 유기 적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유일한 층인, 투명 열 흡수 코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층(A)이 두께가 0.8 내지 15㎜, 특히 3 내지 6㎜임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층(B)이 두께가 1 내지 100㎛임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층(B)이 두께가 30 내지 80㎛, 특히 40 내지 60㎛인 중합체 필름으로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층(B)이 두께가 1 내지10㎛, 특히 4 내지 6㎛인 페인트로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층(A)과 층(B) 외에도, 적외선 흡수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투명층(C)도 코팅 시스템에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투명층(C)이 중합체 및(또는) 유리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층(A)이 유기 적외선 흡수제를 0.001 내지 10g/㎡, 특히 0.1 내지 1g/㎡의 양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층(A)이 자외선 흡수제를 0.1 내지 10%, 특히 0.2 내지 1%의 양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층(B)이 자외선 흡수제를 0.1 내지 40%, 특히 1 내지 10%의 양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외선 흡수제가 프탈로시아닌 및 나프탈로시아닌의 군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가 벤조트리아졸, 트리아진, 벤조페논 및 아릴화 시아노아크릴레이트의 군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시스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층(A)과 층(B)이 중합체 및(또는) 페인트를 기재로 하는 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투명 열가소성 플라스틱, 특히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가 중합체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페인트가 아크릴레이트, 알릴, 에폭시, 실록산, 이소시아네이트, 무수물 및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가교된 페인트의 군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페인트가 실록산 페인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시스템.
  17. (a) 유기 적외선 흡수제와 자외선 흡수제를 투명 중합체성 기재 또는 페인트 시스템과 혼합함으로써 층(A)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자외선 흡수제를 투명 중합체성 기재 또는 페인트 시스템과 혼합함으로써 층(B)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층(A)과 층(B)과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투명 코트(C)를 공압출, 사출성형 또는 분무시킴으로써 코팅 시스템을 제조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의 제조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혼합을 컴파운딩(compounding)에 의해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층(A)을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하고, 층(B)을 페인팅에 의해 제조하며, 층(C)을 사출성형 또는 페인팅에 의해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7 항 내지 제 1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층(A) 및 층(B) 및 임의적으로 층(C)을 공압출에 의해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하나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을 함유하는 성형물.
  22. 제 21 항에 있어서, 성형물이 투명 자동차 광택 부재, 특히 폴리카르보네이트 및(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를 기재로 하는 투명 자동차 광택 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물.
  23. 열 복사선으로부터 플라스틱 광택 부재를 보호하는데 있어서의, 제 1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코팅 시스템의 용도.
KR10-2003-7013198A 2001-04-10 2002-03-28 열 흡수층 시스템 KR200300907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17785.2 2001-04-10
DE10117785A DE10117785A1 (de) 2001-04-10 2001-04-10 Wärmeabsorbierendes Schichtsystem
PCT/EP2002/003479 WO2002083412A1 (de) 2001-04-10 2002-03-28 Wärmeabsorbierendes schicht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722A true KR20030090722A (ko) 2003-11-28

Family

ID=768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3198A KR20030090722A (ko) 2001-04-10 2002-03-28 열 흡수층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893689B2 (ko)
EP (1) EP1379381A1 (ko)
JP (1) JP2004529007A (ko)
KR (1) KR20030090722A (ko)
CN (1) CN100374293C (ko)
BR (1) BR0208740A (ko)
CA (1) CA2443706A1 (ko)
DE (1) DE10117785A1 (ko)
IL (1) IL158253A0 (ko)
MX (1) MXPA03009192A (ko)
WO (1) WO2002083412A1 (ko)
ZA (1) ZA20030781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475B1 (ko) * 2005-08-22 2006-03-30 씨엠에스테크놀로지(주)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75524C (zh) * 2001-12-10 2009-04-08 拜尔材料科学股份公司 多层耐大气的着色片材
US6811841B1 (en) * 2003-04-15 2004-11-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stable structures
US20060083940A1 (en) * 2004-04-30 2006-04-20 Solomon Bekele Ultraviolet light absorbing composition
US20050277709A1 (en) * 2004-05-28 2005-12-15 Fisher William K Polymer layers having infrared absorbing particles
DE102004042095A1 (de) * 2004-08-30 2006-03-02 Röhm GmbH & Co. KG Schwer entflammbare Plattenmaterialien mit Metallic-Effekt
JP4653027B2 (ja) * 2006-06-30 2011-03-16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赤外線レーザー用フィルター
JP4653028B2 (ja) * 2006-06-30 2011-03-16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赤外線レーザー用フィルター
JP4999095B2 (ja) * 2006-12-27 2012-08-1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8181078A (ja) * 2006-12-27 2008-08-07 Nitto Denko Corp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3171176B (zh) * 2011-12-26 2016-04-20 辽宁辽杰科技有限公司 一种热塑性树脂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2013067811A (ja) * 2012-12-06 2013-04-18 Adeka Corp 遮光フィルム
CN104553215B (zh) * 2013-10-16 2017-05-24 北京化工大学 透明阻燃隔热防紫外高分子复合贴膜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4387880B (zh) * 2014-11-19 2016-08-24 中山市泰莱涂料化工有限公司 一种水性太阳能吸热涂料
CN113711113B (zh) * 2019-04-26 2023-07-28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光学材料用聚合性组合物、塑料透镜、护目镜、红外线传感器及红外线照相机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44911B1 (en) * 1980-07-14 1986-06-25 American Cyanamid Company Infrared absorbing polycarbonate eye protective lens
DE8233007U1 (de) 1982-11-25 1983-03-24 Röhm GmbH, 6100 Darmstadt Polycarbonat-kunststofftafel
JPS59129847U (ja) * 1983-02-17 1984-08-31 帝人株式会社 層成構造体
JPS6017329U (ja) * 1983-07-14 1985-02-05 帝人株式会社 積層透明体
US4767571A (en) * 1984-06-27 1988-08-30 Fuji Photo Film Co., Ltd. Infrared absorbent
CN1028373C (zh) * 1988-08-25 1995-05-10 无锡市化工研究设计院 一种光固化抗蚀印料
DE3837588A1 (de) * 1988-11-05 1990-05-10 Roehm Gmbh Schlagzaehe, uv-absorber-haltige methacrylatschutzschicht fuer polycarbonat
US5045854A (en) 1990-03-01 1991-09-03 Hewlett-Packard Company Integrated high speed synchronous counter with asynchronous read-out
JPH05295967A (ja) * 1992-04-15 1993-11-09 Japan Carlit Co Ltd:The 光線選択透過性ブラインド
DE4216103A1 (de) * 1992-05-15 1993-11-18 Roehm Gmbh Folie-geschützter Polycarbonatkunststoffkörper
US5712332A (en) 1993-01-13 1998-01-27 Nippon Shokubai Co. Method for absorbing heat radiation
JPH06240146A (ja) 1993-02-22 1994-08-30 Nippon Shokubai Co Ltd 熱線遮蔽材
JPH07188620A (ja) * 1993-12-27 1995-07-25 Mitsubishi Chem Mkv Co 表面保護フィルム
JP3361180B2 (ja) * 1994-04-28 2003-01-07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撥水性紫外線赤外線吸収ガラス及びその製法
JPH0827371A (ja) * 1994-05-09 1996-01-30 Japan Carlit Co Ltd:The 紫外線及び赤外線吸収樹脂組成物
JPH08165146A (ja) * 1994-12-12 1996-06-25 Central Glass Co Ltd 紫外線赤外線吸収ガラス
IL116039A0 (en) 1995-11-16 1996-01-31 Polygal Plastic panel
US5804102A (en) * 1995-12-22 1998-09-08 Mitsui Chemicals, Inc. Plasma display filter
JP3701406B2 (ja) * 1996-08-30 2005-09-28 株式会社日本触媒 熱線遮蔽材
KR100663677B1 (ko) * 1997-11-25 2007-06-04 산젠 가꼬 가부시키가이샤 흐림방지성다층필름
US6069244A (en) * 1998-02-03 2000-05-30 Nippon Shokubai Co., Ltd. Phthalocyanine compou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US6096852A (en) * 1998-05-12 2000-08-01 General Electric Company UV-stabilized and other modified polycarbonate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1039741A (ja) * 1999-07-27 2001-02-13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並びに合わせガラス構造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475B1 (ko) * 2005-08-22 2006-03-30 씨엠에스테크놀로지(주)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01861A (zh) 2004-06-02
IL158253A0 (en) 2004-05-12
MXPA03009192A (es) 2004-02-17
WO2002083412A1 (de) 2002-10-24
BR0208740A (pt) 2004-07-20
ZA200307815B (en) 2004-10-07
JP2004529007A (ja) 2004-09-24
DE10117785A1 (de) 2002-10-17
EP1379381A1 (de) 2004-01-14
CN100374293C (zh) 2008-03-12
US6893689B2 (en) 2005-05-17
US20030039821A1 (en) 2003-02-27
CA2443706A1 (en) 200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206B1 (ko) 열 흡수층 시스템
US7442430B2 (en) UV-stabilized polycarbonate moldings
KR101862896B1 (ko) 열흡수성 및 높은 내후성을 갖는 중합체 조성물
JP2004525802A5 (ko)
KR101828641B1 (ko) 열흡수성 및 높은 내후성을 갖는 중합체 조성물
US6893689B2 (en) Heat-absorbent multi-layer structure
KR20130063513A (ko) 열 흡수성 및 개선된 착색성을 갖는 중합체 조성물
US9726795B2 (en) Multilayer plastic structure having low energy transmission
AU2001265972B2 (en) Transparent thermoplastic composition
EP1266931A1 (de) Wärmeabsorbierende Polymer-Zusammensetz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