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0618A - 포장용 용기 - Google Patents
포장용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90618A KR20030090618A KR10-2003-7009076A KR20037009076A KR20030090618A KR 20030090618 A KR20030090618 A KR 20030090618A KR 20037009076 A KR20037009076 A KR 20037009076A KR 20030090618 A KR20030090618 A KR 200300906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protruding piece
- wall
- front wall
- protrud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 B65D83/085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8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and for cutting interconnected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랩 필름등의 피포장체를 포장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용기 는, 용기 본체의 전면벽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편이 된 돌출편 부분을 화성하는 절단선을 형성하고, 돌출편 부분의 이면에, 그 돌출편부분에서 측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복귀 방지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한다면, 돌출편 부분을 용기의 외측으로 꺼내 돌출편으로 했을 경우, 복귀 방지부재가 돌출편의 주연으로부터 연장 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편이 평탄한 상태로 돌아오려고 해도, 복귀 방지부재가 용기 본체 전면벽에 접하므로, 돌출 상태가 유지된다.
Description
종래부터 여러 가지의 형식의 랩 필름을 포장하기 위한 용기가 알려져 있지만, 그 대부분은 판지제이고, 롤상에 감겨진 랩 필름을 수납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에 일체로 설치된 덮개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일반적으로, 용기로부터 나온 랩 필름을 절단하기 위한 커터가 덮개의 전면벽의 이면에 장착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용기를 이용한 경우, 덮개를 들어 올려 랩 필름의 선단부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필름 선단부를 손가락으로 꺼낸 후, 덮개를 닫아 커터에 의해, 꺼낸 랩 필름을 절단 하는 것이다.
랩 필름의 절단 후, 용기에 남은 랩 필름의 선단부는 덮개의 전면벽과 용기 본체의 전면벽과의 사이에 배치되지만, 용기 본체의 전면벽표면은 평활한 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필름 선단부 전체가 용기 본체의 전면벽에 밀착한 상태가 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이 필름 선단부가 용기 본체의 전면벽에 밀착 했을 때에는, 필름 선단부를 손가락으로 잡는 것이 곤란해지고, 특히, 노인이나 눈의 부자유스러운 사람에게 있다면, 필름 선단부의 위치를 찾아내는 것조차도 곤란하다. 따라서, 랩 필름의 인출에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종래, 실개평 6-51128호 공보나 특개평 11-59690호 공보등에 기재되어 있듯이, 용기 본체의 전면벽에 절단선을 넣어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편을 형성 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용기 1이 그 일례이며, 용기 본체 2의 전면벽 3의 돌출편 4의 존재에 의해 랩 필름 5의 선단부 전체가 전면벽 3에 밀착 하는 것을 방지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용기에 있어서는, 개봉한 후, 돌출편 4 를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눌러 외측에 내미게 한 필요가 있어, 귀찮았다.
또, 돌출편 4는, 용기 1의 재료인 판지(일반적으로는 코트 골판지)의 성질로부터 평탄한 상태로 돌아오려고 하므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 6을 이용해 돌출 상태를 유지 할 필요가 있다(실개평 6-51128호 공보 참조). 고무 6을 용기 1의 제조 공정에 부가하는 것은 시간이 들어, 제조 코스트를 높이게 되고, 또, 사용자에 고무를 다는 것을 요청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용기본체의 전면벽에 형성된 돌출편의 돌출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롤상에 감겨진 피포장체, 예를 들면 랩 필름으로 대표된 수지제 필름이나 종이, 알루미늄 호일등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포장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포장용기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덮개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덮개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체 전면벽을 전개하여 나타내는 도 2와 마찬가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체 전면벽을 전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롤상에 감겨진 랩 필름 등의 피포장체를 수납하는 용기 본체와 그 용기 본체의 후면벽의 정연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연설 되어 있는 덮개를 갖춘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의 전면벽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편이 되는 돌출편 부분을 화성하는 절단선을 형성하고, 돌출편 부분의 이면에, 그 돌출편부분에서 측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복귀 방지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돌출편 부분을 용기의 외측으로 꺼내 랩 필름 등의 선단부 전체의 밀착 방지용의 돌출편으로 했을 경우, 복귀 방지부재가 돌출편의 주연으로부터 연장 하고 있기 때문에, 돌출편이 안쪽으로 돌아오려고 해도, 복귀 방지부재가 용기 본체의 전면벽의 표면에 접해, 그 이상의 이동을 저지 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용기 본체의 전면벽이, 상기 용기 본체의 저면벽에 한쪽의 긴 모서리가 연설된 제1벽체와, 상기 제 1 벽체의 다른쪽 긴 모서리에 연설된 제2벽체에 있어서, 접어 구부러져 상기 제 1 벽체의 이면에 접착된 제2벽체로 이루어 진 경우에 있어서는, 돌출편 부분은 제1벽체에 화성 하고, 복귀 방지부재는, 돌출편 부분에 의해 덮인 제2벽체의 부위에 형성된 절단선에 의해 화성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이 경우, 복귀 방지부재를 돌출편에 별개로 부착할 필요는 없고, 용기용의 형지를 만드는 단계에서, 복귀 방지부재나 돌출편을 위한 절단선을 마련하는 것만으로 좋다.
또, 돌출편 부분은 용기 본체의 전면벽의 어느 부위에 설치해도 좋지만,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덮개의 전면벽에 의해 덮인 부위에 화성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터가 덮개 측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 다른 부위에 돌출편이 있어도, 랩 필름등의 피포장체를 절단한 직후에 남은 선단부를 돌출시킬 수가 없기 때문이다.
또, 돌출편 부분은, 용기 본체의 전면벽의 긴 방향 중앙부에 화성되고 있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돌출편이 설치되고 있는 경우, 거기서 피포장체를 잡게 되므로, 돌출편이 중앙부에 있으면, 피포장체를 잡는 위치도 피포장체의 폭방향의 중앙부가 되어, 한쪽 편에서의 주름 발생을 억제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또, 본 발명은, 덮개의 전면벽의 선단 테두리부에 피포장체 절단용의 커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이런 용기의 경우, 돌출편이 용기 본체의 전면벽에 의해 꽉 눌려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려고 하지만, 본 발명의 복귀 방지부재로 그것을 방지 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 해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 한다. 본 명세서에서 「위」와「아래」라는 말은 도면에 나타낸 위치 상태에서의 위, 아래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랩 필름 포장용의 용기의 제 1 실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2는 덮개를 연상태, 도 3은 덮개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용기 10은, 1매의 판지, 바람직하게는 코트 골판지로부터 만들어진다. 용기 10 용의 바람직한 코트 골판지로는, 예를 들면, 겉으로부터 순서로, 인쇄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투명 수지로 이루어진 코트층, 투명 표백 크라프트 종이로이루어진 백색계의 제 1 의 표층, 표백 크라프트 종이와 탈잉크 펄프(고지의 재생 펄프)로 이루어진 백색계의 제 2 의 표층, 및 고지의 재생 펄프로 이루어진 옛 종이층을 적층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코트 골판지의 경우, 접어 구부려도, 평탄한 상태로 돌아오려고 하는 특성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10은, 원통형의 지관 12에 롤상으로 휘감겨진 랩 필름 14를 수납하기 위한 용기 본체 16과 이 용기 본체 16에 일체로 연설된 덮개 18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가 닫힌 상태의 용기 10의 전체 형상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 형상을 이룬다.
용기 본체 16의 상부는, 랩 필름 14를 꺼내기 위한 개구부로서 개방되어 있다. 또, 덮개 18은, 용기 본체 16의 후면벽 20의 정연으로부터 연속해 늘어나 용기 본체 16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고, 용기 본체 16의 개구부를 가릴 수가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덮개 18의 전면벽(이하 「덮개 전면벽」이라고 하자) 22의 이면에는, 인출된 랩 필름 14를 절단하기 위한 톱니모양의 커터 24가 장착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덮개 전면벽 22의 선단 테두리는 V자 모양을 이루어, 그 형상에 맞추어 커터 24도 V자 모양의 것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V자 모양 커터 24를 채용한 용기 10의 경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른손으로 필름 선단부를 집고, 왼손의 엄지를 덮개 전면벽 22의 중앙부에 둔 상태로 용기 10을 왼손으로 잡아, 용기 10을 전측, 즉 화살표 A의 방향으로 비트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랩 필름 14의 절단 방법이 된다.
덧붙여, 도 2및 도 3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사용 개시전에는, 덮개 전면벽 22의 선단 테두리에는 개봉편이 미싱눈을 통해 연설 되어 있어 용기 본체 16의 전면벽(이하 「본체 전면벽」이라고 하자) 26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다. 이 개봉편에 의해 용기 10의 봉함이 되어 커터 24의 칼날이 노출 하는 것을 막고 있다. 사용시, 개봉편은 제거된다.
여기서, 본체 전면벽 26을 전개한 도 4도 참조 해, 본체 전면벽 26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체 전면벽 26은, 용기 본체 16의 저면벽 28에 한편의 로 연접된 구형의 제1벽체 26 a와, 이 제1벽체 26a와 절곡선 27로 연접된 사다리꼴의 제2벽체 26 b로 이루어지고, 제1벽체 26 a를 저면벽 28에 대해서 직각으로 접어 구부림과 동시에, 제2벽체 26 b를 절곡선 27에 따라 180도 접어 구부려 제1벽체의 이면에 접착제로 접착시키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부호 26 c의 부분은 용기 본체 16의 측면벽 30에 접착된 부분이다. 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2벽체26b의 폭 W1은 제 1벽체 26a의 폭 W2의 2분의 1-3분의 일 정도가 된다.
본체 전면벽 26을 구성하는 제1벽체 26 a의 긴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덮개를 닫은 상태의 덮개 전면벽 22에 의해 덮인 부위에는, U자 모양의 절단선 32가 들어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절단선 32는, 실질적으로 상하 방향( 제1벽체 26 a의 짧은 쪽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어 배치된 제1및 제2의 절단선 32 a, 32 b와, 이러한 절단선 32 a, 32 b의 하단(절곡선 27로부터 떨어진 측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도록 횡방향에 연장된 제3의 절단선 32 c로 구성되어 있다. U자 모양의 절단선 32의 양단, 즉 제1및 제2의 절단선 32 a, 32 b의 상단은, 절곡선 27에 이른 위치까지, 바람직하게는 절곡선 27을 약간 넘어 제2벽체 26 b에까지 비집고 들어간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3의 절단선 32 c의 중앙부는 절곡선 27 측에 만곡되고 있다. 이 절단선 32로 둘러싸인 부분(돌출편 부분) 34 a를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것으로 본체 전면벽 26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편 34가 형성된다.
본체 전면벽 26을 구성하는 제2벽체 26b의 중앙에 있어서, 돌출편부분 34 a의 안쪽이 되는 부위에는 2개의 절단선 36 a, 36 b가 들어 있다. 도 5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 절단선 36 a, 36 b는, 제2벽체 26b의 하연(자유선)으로부터 정연(절곡선) 27로 향해 연장되고, 정연 27에 가까울수록 양자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절단선 36 a, 36 b의 하단부 사이의 간격은 제1과 제2의 절단선 32 a, 32 b간의 간격보다 양간 커지도록, 그래서 절단선 36 a, 36 b의 상단부 사이의 간격은, 제1과 제2의 절단선 32 a, 32 b간의 간격보다 작아지도록 절단선 36 a, 36b는 형성되고 있다. 또, 돌출편 부분 34a를 외측으로 꺼낼 때에 절단선 36 a, 36 b의 사이에 화성된 부분 38이 그 움직임을 구속하지 않게, 절단선 36 a, 36 b의 상단으로부터 본체 전면벽 26의 정연 27까지의 거리 D1은, 제1및 제2의 절단선 32 a, 32 b의 상단에서 정연 27까지의 거리 D2보다 작게 되어 있다.
본체 전면벽 26의 표면에는, 랩 필름 14의 되감김을 방지하기 위한 점착층이 설치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점착층은, 랩 필름 14의 절단 직후에 필름 선단부를 박리 가능하게 보관 유지 할 수가 있도록,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는 덮개 전면벽 22에 의해 덮인 부위에 형성된다. 도시한 실시 형태의 용기 10에서는, 덮개 전면벽 22의 중앙부를 누르면서 랩 필름 14를 절단 하기 위해, 점착층은, 본체 전면벽 26의 중앙부, 따라서 돌출편 34의 표면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 대해, 봉함된 용기 10을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 우선 개봉편(도시되지 않음)을 덮개 전면벽 22로부터 제거해, 덮개 18을 열고, 본체 전면벽 26의 이면에 손가락을 집어넣고, 제1벽체 26 a의 절단선 32에 둘러싸인 돌출편 부분 34 a를 외측으로 밀어낸다. 이것에 의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편 34가 형성되게 된다. 이때, 제 1벽체 26 a에 접착된 제2벽체 26 b의 절단선 36 a, 36 b에 의해 좁혀진 부분 38도 동시에 외측으로 밀려나오게 된다. 도5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부분 38의 아래모서리부 40은, 돌출편 부분 34a의 주연(즉 절단선 32)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돌출편 부분 34a를 돌출편 34로서 용기 10의 외측으로 인출한 상태에서는, 부분 38의 아래모서리부 40은, 본체 전면벽 26의 표면에 있어서, 돌출편 34에 인접하는 부위에 대치하게 된다. 따라서, 코트 골판지의특성에 의해 평탄한 원 상태로 돌아오려고 해도, 이 아래모서리부 40은, 본체 전면벽 26에 당접하기 때문에 복귀 방지부재로서 기능해, 돌출편 34의 돌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돌출편 34가 외측에 돌출된 상태에 있을 때, 랩 필름 14가 커터 24에 의해 절단 된 직후, 랩 필름 14의 선단부의 일부가 돌출편 34에 의해 본체 전면벽 26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부상한 상태가 되어, 사용자는 용이하게 랩 필름 14를 잡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3의 절단선 32 c가 만곡되어 돌출편 34 하연에 상향의 철부 42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 철부 42의 존재에 의해, 손가락을 돌출편 34의 아래 쪽에 삽입하기 쉬워져, 이것에 의해 랩 필름 14를 잡기가 보다 한층 용이하게 된다.
또, 이 때, 돌출편 34가 본체 전면벽 26의 긴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랩 필름 14의 폭방향의 중앙부를 맞추게 되므로, 랩 필름 14의 한쪽 편에 주름이 잡히는 폐해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랩 필름 14의 선단부를 잡으면, 소망한 길이를 꺼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 18을 제대로 닫아 용기 10을 잡고 있는 손의 엄지로 덮개 전면벽 22의 중앙부를 눌러 용기 10을 전방으로 비틀어 커터 24에 의해 랩 필름 14를 절단한다. 이 때, 덮개 전면벽 22를 통해 돌출편 34에 용기 안쪽으로의 힘이 작용 하지만, 복귀 방지부재 40의 존재에 의해, 돌출편 34는 돌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돌출편 34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부분 34a를 밀어 낸 필요가 없고, 또, 돌출편 34를 꺼낸 후에 불필요해졌을 경우에는, 용기 10의 안쪽에 되밀어내면 된다. 일단, 돌출편 34가 초기 상태가 되면, 복귀 방지부재 40이 제1벽체 26 a의이면에 접하므로, 외측에로의 돌출을 방지 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 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것은 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터가 덮개 전면벽에 장착되고 있지만, 용기 본체의 저면벽에 커터가 장착된 용기여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돌출편은 덮개 전면벽 22로 덮인 위치에 배설될 필요는 없다.
또, 돌출편은 1개소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소에 설치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 전면벽을 구성 한 제1벽체와 제2벽체에 절단선을 넣어 돌출편 및 복귀 방지부재를 형성 하도록 하고 있다. 절단선의 형성은, 용기의 형지를 제조하는 단계에 짜넣을 수가 있어 제조 코스트를 상승시키는 것은 아니고 간편한 방법이지만, 돌출편의 이면으로 복귀 방지부재가 될 종이조각을 별도로 접착 하는 일도 가능하다.
또, 복귀 방지부재는 돌출편의 좌우의 측방 뿐만 아니라, 하연으로부터 하부로 연장 시키는 형태도 생각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용기에 의해 포장된 피포장체는, 랩 필름 뿐만 아니라, 그 외의 수지제 필름이나 종이, 알루미늄 호일 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랩 필름등의 피포장체의 선단부의 일부가 돌출편의 존재에 의해 본체 전면벽으로부터 돌출된 상태가 되므로, 그 선단부를 용이하게 잡아 꺼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피포장체의 테두리의 위치를 찾아내는 것이 곤란한 상황이나, 눈의 부자유스러운 사람에게 있어, 유효하다. 게다가, 돌출편은 복귀 방지부재에 의해 돌출 상태가 유지되므로, 돌출편의 표면과 본체 전면벽의 다른 영역의 표면이 면이 하나가 되어 버린다고 하는 폐해가 방지되어 상시, 피포장체를 잡기 쉬운 상태가 유지된다.
또, 덮개 전면벽에 커터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덮개 전면벽을 랩 필름등의 피포장체와 함께 본체 전면벽에 꽉 누르는 동작이 있기 때문에, 돌출편이 원래의 평탄한 상태로 돌아오기 쉬우나, 그러한 타입의 포장용 용기에 대해, 본 발명은, 앞에서 본 돌출 유지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히 유효하다.
Claims (9)
- 롤상에 감겨진 랩 필름 등의 피포장체를 수납하는 용기 본체와 그 용기 본체의 후면벽의 정연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연설 되어 있는 덮개를 갖춘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의 전면벽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편이 되는 돌출편 부분을 화성하는 절단선을 형성하고, 돌출편 부분의 이면에, 그 돌출편부분에서 측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복귀 방지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 부분이,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덮개의 전면벽에 의해 덮이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전면벽의 부위에 화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 부분이,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전면벽의 긴 방향 중앙부에 화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상기 전면벽의 단 테두리부에 피포장체 절단용의 커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전면벽이, 상기 용기 본체의 저면벽에 한쪽의 긴 모서리가 연설된 제1벽체와, 상기 제 1 벽체의 다른쪽 긴 모서리에 연설된 제2벽체에 있어서, 접어 구부러져 상기 제 1 벽체의 이면에 접착된 제2벽체로 이루어 지고,상기 돌출편 부분이 상기 제 1벽체에 화성되어 있고,상기 복귀 방지부재가, 상기 돌출편 부분에 의해 덮인 상기 제 2벽체의 부위에 형성된 절단선에 의해 화성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 부분이,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덮개의 전면벽에 의해 덮이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전면벽의 부위에 화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 부분이,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전면벽의 긴 방향 중앙부에 화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상기 전면벽의 단 테두리부에 피포장체 절단용의 커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포장체가 수지제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1-00074303 | 2001-03-15 | ||
JP2001074303A JP4632334B2 (ja) | 2001-03-15 | 2001-03-15 | 包装用容器 |
PCT/JP2002/001744 WO2002074639A1 (fr) | 2001-03-15 | 2002-02-26 | Contenant d'emballa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90618A true KR20030090618A (ko) | 2003-11-28 |
KR100781303B1 KR100781303B1 (ko) | 2007-11-30 |
Family
ID=1893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7009076A KR100781303B1 (ko) | 2001-03-15 | 2002-02-26 | 포장용 용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4632334B2 (ko) |
KR (1) | KR100781303B1 (ko) |
CN (1) | CN1236968C (ko) |
TW (1) | TW567165B (ko) |
WO (1) | WO200207463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26431B2 (ja) | 2003-10-15 | 2009-09-09 | 株式会社クレハ | 包装用フィルム容器 |
JP4963933B2 (ja) * | 2005-11-29 | 2012-06-27 | 株式会社クレハ | 包装用容器 |
JP2008239251A (ja) * | 2007-02-27 | 2008-10-09 | Kureha Corp | フラップ付きラップフィルム装置 |
JP2008239250A (ja) * | 2007-02-27 | 2008-10-09 | Kureha Corp | フラップ付きラップフィルム装置 |
CN101863329B (zh) * | 2009-04-15 | 2013-05-08 | 株式会社吴羽 | 容器以及包装材料收纳体 |
JP5963520B2 (ja) * | 2012-04-24 | 2016-08-03 | 株式会社クレハ | 長尺物が巻かれた巻回体を収容する容器および巻回体入り容器 |
JP6071245B2 (ja) * | 2012-05-09 | 2017-02-01 | 株式会社クレハ | 巻回体収容箱及び巻回体入り収容箱 |
JP2016049992A (ja) * | 2014-08-29 | 2016-04-11 | 共同印刷株式会社 | シート包装箱 |
MX2020004733A (es) * | 2017-11-16 | 2020-08-13 | Procter & Gamble | Lengueta para sostener.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2617U (ja) * | 1983-06-17 | 1985-01-10 | 金沢 繁穂 | 紙箱の開閉装置 |
JPH0413541U (ko) * | 1990-05-18 | 1992-02-04 | ||
JPH0651128U (ja) * | 1992-12-17 | 1994-07-12 | 順彦 佐藤 | ラップフイルム用カートン及び開口縁に設ける突出片 |
JPH08113247A (ja) * | 1994-10-08 | 1996-05-07 | Toyo Syst Kaihatsu Kenkyusho Kk | ラップ容器 |
JPH1159690A (ja) * | 1997-08-14 | 1999-03-02 | Kenji Yokoyama | ラップケースの口取り装置 |
JP2002120829A (ja) * | 2000-10-17 | 2002-04-23 | Hisayoshi Tando | ラップフィルムの収納ケース |
-
2001
- 2001-03-15 JP JP2001074303A patent/JP463233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
- 2002-02-26 KR KR1020037009076A patent/KR10078130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2-26 WO PCT/JP2002/001744 patent/WO200207463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2-02-26 CN CNB028063317A patent/CN1236968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3-13 TW TW091104682A patent/TW567165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567165B (en) | 2003-12-21 |
JP2002274533A (ja) | 2002-09-25 |
CN1236968C (zh) | 2006-01-18 |
WO2002074639A1 (fr) | 2002-09-26 |
KR100781303B1 (ko) | 2007-11-30 |
JP4632334B2 (ja) | 2011-02-16 |
CN1496321A (zh) | 2004-05-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81305B1 (ko) | 포장용 용기 | |
US5307988A (en) | Soft pack for paper tissues | |
US5738211A (en) | Packaging bag | |
KR100781303B1 (ko) | 포장용 용기 | |
US5624033A (en) | Package for film product | |
TWI388488B (zh) | Cling film device | |
KR950017665A (ko) | 포장케이스 | |
JP2009292515A (ja) | ヒンジリッド型パッケージ | |
JP3289982B2 (ja) | 包装容器製造用材料のストリップ | |
RU2196090C2 (ru) | Упаковка для сыпучих продуктов | |
JP3827761B2 (ja) | 包装用容器 | |
JPH0734823Y2 (ja) | ラップフィルムの収納ケース | |
FI90644C (fi) | Repäisyläppäaukolla ja sirotteluelimellä varustettu pakkaus | |
JP4220086B2 (ja) | 紙製ホルダー付き紙カップ容器 | |
KR200360177Y1 (ko) | 포장용 봉투 | |
JPH0637127U (ja) | シート分配ケース | |
KR102442106B1 (ko) | 빨대 우유팩 | |
JP2006335375A (ja) | 包装用容器 | |
JPH0728105Y2 (ja) | 包装用ウェブの包装容器 | |
JPH11278561A (ja) |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納容器とその製造方法 | |
KR200166181Y1 (ko) | 담배갑의 담배출구부분 은박지자동개봉{.} | |
TWM266271U (en) | Packing container | |
JP4498731B2 (ja) | 包装体 | |
JP3854428B2 (ja) | 便器の梱包構造 | |
JPH10258834A (ja) | ラップフィルム用カート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