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177Y1 - 포장용 봉투 - Google Patents

포장용 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177Y1
KR200360177Y1 KR20-2004-0016617U KR20040016617U KR200360177Y1 KR 200360177 Y1 KR200360177 Y1 KR 200360177Y1 KR 20040016617 U KR20040016617 U KR 20040016617U KR 200360177 Y1 KR200360177 Y1 KR 2003601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contents
opening
backing paper
enve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6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영
Original Assignee
이훈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훈영 filed Critical 이훈영
Priority to KR20-2004-00166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1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1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1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8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 B65D33/20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4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D75/20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doubled around contents and hav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용 봉투에 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3면이 밀봉된 봉투 본체의 개방된 일단부를 통해 내용물을 넣어 밀폐시키는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용 봉투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10)의 개봉부(11) 안쪽 일측면에는 상단부에 접착제(20)를 접합시키고, 상기 접착제(20)에는 이면지(30)를 부착하되 상기 이면지(30)는 상기 접착제(20)의 접착면을 완전 커버한 후 상기 접착제(20)의 하단부로부터 상향 절곡시켜 절곡시킨 끝단부의 일부가 상기 개봉부(11)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위생적이면서 청결한 내용물 보관과 포장을 위한 불필요한 이동을 생략하여 내용물의 파손 및 물류 비용을 대폭 절감시키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포장용 봉투{Envelope for packing}
본 고안은 포장용 봉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교적 부피가 큰 내용물을 채운 상태에서 개봉 부위를 손쉽게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내용물 교체의 가능성을 배제하고, 미관을 한층 개선시킨 포장용 봉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봉투는 내부에 채워지는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포장용 봉투는 채워지는 내용물에 따라 재질이나 크기 그리고 밀폐 여부도 매우 다양하게 형성되고 있는 바 이러한 포장용 봉투는 단순히 내용물을 담거나 포장하기 위한 수준에서 최근에는 디자인을 매우 다양하게 적용시켜 내용물의 상품적 가치도 보다 향상시키는 광고적 기능도 동시에 하도록 하고 있다.
이런 다양한 포장용 봉투 중에 특히 일회용 용품을 포장하는 수지 필름 재질의 봉투는 대부분이 도 1에서와 같은 완전 밀봉형이다.
즉 대개 장방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용 봉투는 3면을 밀봉된 상태로 형성하여 개방된 한쪽 면을 통해 내용물을 삽입시킨 다음 개방된 면을 다시 밀봉시키는 방식으로 제품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특히 최근 숙박시설이나 대중목욕탕, 찜질방에서 사용되는 개인 일회용 물품은 통상 내용물을 제조하는 회사에서 별도로 포장용 봉투를 제작하는 회사에 포장용 봉투의 제작을 의뢰한 다음 제작된 내용물을 봉투 제작 회사에 보내어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내용물을 제조하는 회사에서는 마지막 개봉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장비가 별도로 없으므로 결국 봉투 제작에 내용물을 옮겨 마지막 봉투의 개봉부를 밀폐시킨 다음 다시 포장된 제품을 인도받는 방식으로 포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코자 일부에서는 포장용 봉투를 완전 밀봉형이 아닌 한쪽 면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도 2에서와 같이 개방 부위의 일측면을 보다 길게 연장되게 한 다음 연장면(1)의 끝단부측 안쪽면에는 양면 접착제(2)의 일측면이 접합되도록 하면서 그 이면에는 이면지가 양면 접착제(2)와 동일한 사이즈로 부착되어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구비되도록 하기도 한다.
이런 포장용 봉투는 내부로 내용물을 채운 다음 양면 접착제(2)의 이면지를 떼어낸 연장면(1)을 개방 부위가 커버되게 둘러 씌워지도록 하면서 이면지를 제거시킨 접착면이 연장면(1) 측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타측면의 외측면으로 접착되도록 하여서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런 접착식 포장은 내용물 제작 업체에서 봉투를 제작하는 업체에 봉투의 제작만을 맡기고 제작된 봉투를 내용물이 있는 곳으로 가져와 포장을 할 수가 있으므로 내용물이 이동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되는 편리함이 있다.
하지만 이런 접착식 밀폐 포장은 개봉이 용이하여 내용물을 꺼내 사용하는 데에는 편리하나 자칫 내용물이 교체될 수가 있는 위험성이 있는 바 즉 이미 사용한 일회용품 또는 비위생적인 상태가 된 내용물을 집어 넣고 재사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철저한 위생 관리가 필수적인 제품에 대해서 개봉이 용이하게 포장되었을 경우 물품 사용자들로부터는 신뢰성이 떨어지면서 제품을 취급하는 업소에 대한 신뢰도 저하시키면서 미관상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개방된 일단부의 안쪽면으로 접착제가 부착되고, 접착제에는 안쪽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인출되게 이면지가 부착되도록 하여 내용물을 삽입한 이후의 밀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와 위생에 대한 신뢰성이 대단히 향상되도록 하는 포장용 봉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밀폐형 포장용 봉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일부 개폐형 포장용 봉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봉투를 도시한 일부 생략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봉투를 이용한 포장 과정을 도시한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포장용 봉투로부터 내용물 인출을 위해 절개선을 따라 절개되는 구성을 예시한 일부 확대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봉투 본체 11 : 개봉부
20 : 접착제 30 : 이면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3면이 밀봉된 봉투 본체의 개방된 일단부를 통해 내용물을 넣어 밀폐시키는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용 봉투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의 개봉부 안쪽 일측면에는 상단부에 접착제를 접합시키고, 상기 접착제에는 이면지를 부착하되 상기 이면지는 상기 접착제의 접착면을 완전 커버한 후 상기 접착제의 하단부로부터 상향 절곡시켜 절곡시킨 끝단부의 일부가 상기 개봉부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인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수지 필름의 중심 부위를 접어 겹쳐지게 한 상태에서 적절한 폭으로 양측을 열압착식으로 커팅하게 되면 절곡되는 부위와 커팅되는 부위는 모두 밀봉되는 상태가 되고, 일단부만이 개방되게 함으로써 그 내부로 내용물을 넣을 수 있게 하는 포장용 봉투의 구성은 종전과 대동소이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봉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봉투 본체(10)와 접착제(20)와 이면지(30)로서 이루어진다.
봉투 본체(10)는 종전과 마찬가지로 박판의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이런 수지 필름을 가운데 부분이 접어지게 하면서 겹쳐지도록 한 다음 폭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마다 열압착식으로 커팅을 하게 되면 3면이 밀봉되고, 일면만이 개방되는 구성이다.
접착제(20)와 이면지(30)는 수지 필름이 겹쳐지도록 하기 전에 미리 부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겹쳐진 수지 필름을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열압착으로 커팅할 때 동시에 커팅된다.
따라서 접착제(20)와 이면지(30)는 3면이 밀봉된 봉투 본체(10)의 개방된 일단부 즉 도 4에서와 같이 봉투 본체(10)의 개봉부(11)에서 안쪽의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일측면으로 상단부에 부착되는 구성이다.
우선 봉투 본체(10)의 일측면에 접착제(20)를 부착시킨 다음 이 접착제(20)에 이면지(30)가 부착되도록 하여 봉투 본체(10)의 안쪽면에서 접착제(20)가 부착된 일측면과 마주보는 타측면이 이 접착제(20)에 붙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이면지(30)는 우선 접착제(20)의 봉투 본체(10)에 미접착되어 있는 접착면을 완전 커버하면서 접착되도록 한 다음 접착제(20)의 하단부에서 이면지(30)가 다시 절곡되어 상향 연장되도록 하되 이러한 연장 단부는 봉투 본체(10)의 개봉부(11) 상측으로 노출이 되게 구비되는 구성이다.
한편 봉투 본체(10)에는 개봉부(11)측 일단부에서 접착제(20)의 부착면 하부로 절개선(40)을 형성되게 할 수도 있고, 이러한 절개선(40)은 개봉부(11)에 대응되는 하단부에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며, 개봉부(11)와 이 개봉부(11)에 대응되는 상하부에 동시에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포장용 봉투는 일면이 개방된 상태로 제공되어 내용물을 삽입한 다음 밀봉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양측면은 열압착에 의해 커팅되면서 밀봉되도록 하고, 하단부는 단순히 접혀져 밀봉되도록 하는 구성인 봉투 본체(10)에서 상단부의 개봉부(11)가 개방된 상태로 개봉부(11)의 일측으로는 접착제(20)와 이면지(30)를 부착시켜 이 개봉부(11)의 이면지(30)와 봉투 본체(10)의 일측면 사이로 도 5에서와 같이 내용물이 삽입되도록 한다.
내용물을 삽입한 상태에서 간격이 벌어진 개봉부(11)는 양단부를 도 6에서와 같이 안쪽으로 눌러 면간 근접한 상태가 되게 한 다음 상향 인출된 이면지(30)의 인출부(31)를 위로 당겨 이면지(30)를 제거한다.
이면지(30)가 제거되면 접착제(20)의 이면지(30)가 붙어있던 접착면으로 봉투 본체(10)의 일측 안쪽면이 견고하게 접합되면서 봉투 본체(10)의 개봉부(11)를 완벽하게 밀봉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개봉부(11)가 밀봉되면 이 개봉부(11)를 통해서는 절대 내용물을 꺼낼 수가 없으므로 외부로부터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만일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 7에서와 같이 봉투 본체(1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및 상하단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도록 한 절개선(40)을 따라 봉투 본체(10)의 일부를 손으로 절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개선(40)을 따라 절개된 부위가 개방되면서 내용물 인출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내용물을 삽입한 직후 밀봉한 다음에는 개봉부(11)를 절대 개봉시킬 수 없도록 함으로써 삽입된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이미 사용한 내용물의 재사용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여 항상 위생적인 보관이 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고안은 내용물을 제작하는 업체에서 봉투를 제작하는 별도의 업체로부터 봉투를 가져다 내용물을 넣은 뒤 개봉부(11)를 밀봉한 다음 제품 출하를 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제품의 이동이 생략된다.
다시 말해 종전에는 내용물과 봉투가 별도의 업체에서 제작되면 내용물을 봉투 제작 업체로 이동시켜 내용물을 봉투에 넣은 다음 밀봉을 마친 상태에서 다시 내용물 제작 업체로 돌려보내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봉투 밀봉을 위해 내용물과 포장한 상태의 내용물을 다시 내용물 제작 업체로 이동시키게 되므로서 불필요한 물류비 상승과 이동 중 제품 손상을 초래하게 되는 폐단이 있다.
특히 이렇게 내용물을 이동시키다 보면 내용물은 봉투에 비해서 부피가 대단히 크므로 더욱 물류비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킨다.
즉 제품의 주체가 되는 내용물은 내용물대로 제작되고, 봉투는 봉투대로 제작되도록 한 다음 비교적 가볍고 부피가 작은 봉투를 대량으로 손쉽게 이동시켜 내용물 제작 업체에서 봉투 안에 내용물을 채운 다음 개봉부(11)를 밀봉시키기만 하면 납품이 바로 가능하므로 포장 과정을 대단히 단축시킬 수가 있다.
또한 포장 과정에서 내용물의 이동이 생략되면서 내용물 파손 등의 제품 손상을 최대한 방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특히 이동량 절감으로 물류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본 고안에 의한 봉투 밀봉은 밀봉 상태가 깔끔하게 이루어지므로 미관상으로도 고급스러울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입장에서도 완전 밀봉된 상태로서 보여지게 되므로 신뢰성을 한층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중간을 접혀지도록 한 두겹의 수지 필름 양측을 가열압착식 커팅에 의해 밀봉되도록 한 봉투 본체(10)의 일측 개봉부(11) 안쪽으로 일측면에 접착제(20)와 함께 이면지(30)가 부착되면서 이면지(30)의 일단이 개봉부(11)의 상측으로 인출되도록 한 간단한 구조 개선에 의해 봉투 본체(10)의 내부로 내용물을 넣은 상태에서 개봉부(11)에서 접착제(20)로부터 이면지(30)를 떼어 내어 접착제(20)에 봉투 본체(10)의 개봉부(11) 안쪽면이 접합되면서 개봉부(11)가 완전히 밀봉되게 함으로써 더욱 위생적이면서 청결한 내용물 보관과 포장을 위한 불필요한 이동을 생략하게 되어 내용물의 파손 및 물류 비용을 대폭 절감시키게 되는 대단히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Claims (3)

  1. 3면이 밀봉된 봉투 본체의 개방된 일단부를 통해 내용물을 넣어 밀폐시키는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용 봉투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의 개봉부 안쪽 일측면에는 상단부에 접착제를 접합시키고, 상기 접착제에는 이면지를 부착하되 상기 이면지는 상기 접착제의 접착면을 완전 커버한 후 상기 접착제의 하단부로부터 상향 절곡시켜 절곡시킨 끝단부의 일부가 상기 개봉부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인출되도록 하는 포장용 봉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의 개봉부측 접착제가 접착된 부위의 직하부에는 수평으로 절개선이 형성되는 포장용 봉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의 개봉부에 대응되는 하단부에는 수평으로 절개선이 형성되는 포장용 봉투.
KR20-2004-0016617U 2004-06-14 2004-06-14 포장용 봉투 KR2003601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617U KR200360177Y1 (ko) 2004-06-14 2004-06-14 포장용 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617U KR200360177Y1 (ko) 2004-06-14 2004-06-14 포장용 봉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177Y1 true KR200360177Y1 (ko) 2004-08-25

Family

ID=49349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617U KR200360177Y1 (ko) 2004-06-14 2004-06-14 포장용 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1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821B1 (ko) * 2016-04-01 2018-03-19 박정락 접착 체결 수단을 가지는 봉투
KR20220095473A (ko) * 2020-12-30 2022-07-07 박상미 비닐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821B1 (ko) * 2016-04-01 2018-03-19 박정락 접착 체결 수단을 가지는 봉투
KR20220095473A (ko) * 2020-12-30 2022-07-07 박상미 비닐백
KR102527130B1 (ko) * 2020-12-30 2023-04-28 박상미 비닐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6131C (en) Lid for snuffbox
CA2089226C (en) Package, especially soft-cup pack for cigarettes
JP6912464B2 (ja) ヒンジ式蓋と再貼付型密封フラップを有する包装とを備えたタバコ製品用硬質包装体
JP6957498B2 (ja) 開封が簡単なタブを含む再密封可能な容器
US20080203142A1 (en) Powder-Tight Packaging
RU2288153C2 (ru) Упаковка для одноразовых предметов
JP2013541475A (ja) 喫煙品用パック
JP2022519028A (ja) 2つのヒンジ式蓋を有した喫煙物品用硬質パッケージ、及び、そのような喫煙物品用硬質パッケージを製造するためのブランク
EP3085640B1 (en) Package of tobacco-related articles
KR200360177Y1 (ko) 포장용 봉투
JP2908301B2 (ja) ポップアップ式の積層腰折拭取紙の包装構造
JP3763927B2 (ja) 使い捨て箱形容器
JP4077720B2 (ja) 包装構造体
KR100781303B1 (ko) 포장용 용기
TW200938448A (en) Packing container
CN107848692B (zh) 软香烟包装
KR200383356Y1 (ko) 콘돔과 젤을 함께 내장한 포장팩
JP6855006B2 (ja) 喫煙品用パッケージ、対応するブランクおよびそのようなパッケージを形成する方法
KR100615945B1 (ko) 포장용 지퍼 용기
JP3122714B2 (ja) 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JPH0720692Y2 (ja) 包装体の蓋用ラベル
JP2009298427A (ja) 蓋付き容器
JPH10175666A (ja) 同時開封トレー収納カートン
JP7200485B2 (ja) 包装袋
JP3065231U (ja) 湿潤シ―ト用収納ケ―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