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106B1 - 빨대 우유팩 - Google Patents

빨대 우유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106B1
KR102442106B1 KR1020200117321A KR20200117321A KR102442106B1 KR 102442106 B1 KR102442106 B1 KR 102442106B1 KR 1020200117321 A KR1020200117321 A KR 1020200117321A KR 20200117321 A KR20200117321 A KR 20200117321A KR 102442106 B1 KR102442106 B1 KR 102442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milk carton
folded
form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5521A (ko
Inventor
정우영
Original Assignee
정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영 filed Critical 정우영
Priority to KR1020200117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106B1/ko
Publication of KR20220035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conta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6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빨대 우유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라스틱 빨대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우유팩의 내부면을 형성하는 내지와, 상기 내지의 바깥면에 접합되어 우유팩의 외부면을 형성하는 외지와, 상기 내지의 일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되는 빨대를 포함하면서, 접힘에 따라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밀봉될 수 있는 우유팩이 형성되는 원지;를 포함하되, 상기 빨대는, 접힘시 우유팩의 측면을 이루는 내지 부분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내지와 일체를 이루며 원지의 접힘시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는 제1 관부와, 상기 제1 관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접힘시 우유팩의 측면을 이루는 내지 부분보다 상측에 배치되면서 원지의 접힘시 내지와 외지 사이에 위치되게끔 구부러진 제2 관부를 포함함과 더불어, 내지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지는, 내지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면서 원지의 접힘시 제2 관부가 위치되는 부분이 절취가능하게 형성된 빨대 우유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빨대 우유팩{Milk carton with straw}
본 발명은 빨대 우유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빨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빨대 동봉이 필요치 않는 빨대 우유팩에 관한 것이다.
우유팩은 통상 외부에 부착되거나 별도로 마련된 플라스틱 소재의 빨대를 사용하여 내용물을 섭취한다. 근래 플라스틱 빨대의 사용을 줄여 환경 오염을 줄이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라스틱 빨대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는 빨대 우유팩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빨대 우유팩은, 우유팩의 내부면을 형성하는 내지와, 상기 내지의 바깥면에 접합되어 우유팩의 외부면을 형성하는 외지와, 상기 내지의 일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되는 빨대를 포함하면서, 접힘에 따라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밀봉될 수 있는 우유팩이 형성되는 원지;를 포함하되, 상기 빨대는, 접힘시 우유팩의 측면을 이루는 내지 부분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내지와 일체를 이루며 원지의 접힘시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는 제1 관부와, 상기 제1 관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접힘시 우유팩의 측면을 이루는 내지 부분보다 상측에 배치되면서 원지의 접힘시 내지와 외지 사이에 위치되게끔 구부러진 제2 관부를 포함함과 더불어, 내지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지는, 내지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면서 원지의 접힘시 제2 관부가 위치되는 부분이 절취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빨대는, 내지의 일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마련된 빨대성형부가 말려 형성되되, 상기 빨대성형부는, 제2 관부가 제1 관부보다 두껍게 말리게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지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 빨대가 내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지와 외지 사이에 위치되는 제2 관부를 외부로 노출시켜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는바, 우유팩의 외부에 부착되거나 별도로 사용이 요구되던 플라스틱 빨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빨대 우유팩에서 빨대성형부가 마련된 내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빨대 우유팩에서 빨대성형부가 말려 빨대가 구비된 내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빨대 우유팩에서 빨대가 구부러진 내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빨대 우유팩에 적용되는 외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빨대 우유팩에 적용되는 내지와 외지가 접합됨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빨대 우유팩에 적용되는 내지가 우유팩 형태로 접혀진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인 빨대 우유팩을 보여주는 사시도.
본 발명에서는 플라스틱 빨대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우유팩의 내부면을 형성하는 내지와, 상기 내지의 바깥면에 접합되어 우유팩의 외부면을 형성하는 외지와, 상기 내지의 일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되는 빨대를 포함하면서, 접힘에 따라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밀봉될 수 있는 우유팩이 형성되는 원지;를 포함하되, 상기 빨대는, 접힘시 우유팩의 측면을 이루는 내지 부분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내지와 일체를 이루며 원지의 접힘시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는 제1 관부와, 상기 제1 관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접힘시 우유팩의 측면을 이루는 내지 부분보다 상측에 배치되면서 원지의 접힘시 내지와 외지 사이에 위치되게끔 구부러진 제2 관부를 포함함과 더불어, 내지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지는, 내지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면서 원지의 접힘시 제2 관부가 위치되는 부분이 절취가능하게 형성된 빨대 우유팩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인 빨대 우유팩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빨대 우유팩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지(100), 외지(200) 및 빨대(300)를 포함하면서, 접힘에 따라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밀봉될 수 있는 우유팩(A)이 형성되는 원지를 포함한다.
접힘시 우유팩(A) 형태를 이루는 내지(100)와 외지(200)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며, 방수를 위해 적어도 우유팩(A)의 내부면을 형성하는 내지(100)의 일면과, 우유팩(A)의 외부면을 형성하는 외지(200)의 일면에, 폴리에틸렌(PE)이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빨대(300)도 내지(100)와 동일한 소재인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며, 방수를 위해 전체에 폴리에틸렌(PE)이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내지(100)는 접힘시 우유팩(A) 형태를 이루는 종이 재질의 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지(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빨대(30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빨대(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시 내지(100)의 내측, 즉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는 제1 관부(310)와, 내지(100)의 외측에 위치되면서 사용자의 입이 닫는 부분인 제2 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관부(310)는, 접힘시 우유팩(A)의 측면을 이루는 내지(100) 부분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내지(100)와 일체를 이룬다. 또한, 제2 관부(320)는 제1 관부(310)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접힘시 우유팩(A)의 측면을 이루는 내지(100) 부분보다 상측에 배치되면서 원지의 접힘시 내지(100)와 외지(200) 사이에 위치되게끔 구부러진다. 일 예로, 제2 관부(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부(310)에 대하여 약 90°를 이루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이러한 빨대(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지(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마련된 빨대성형부(300a)가 말려 형성될 수 있다. 빨대성형부(300a)에서 제1 관부(310)를 형성하는 부분은, 접힘시 우유팩(A)의 측면을 이루는 내지(100) 부분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그 길이가 우유팩(A)의 측면을 이루는 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제1 관부(310)가 수용공간 내에 수용될 시 우유팩(A)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빨대성형부(300a)에서 제1 관부(310)를 형성하는 부분은, 성형될 제1 관부(310)의 하단이 우유팩(A)의 바닥으로부터 약 3mm 정도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유팩(A)에 수용된 내용물을 섭취하고 미량 남은 경우, 사용자는 제1 관부(310)의 하단이 위치하는 쪽으로 우유팩(A)을 기울여 남은 내용물을 섭취함으로써, 최대한 내용물이 남지 않게끔 섭취할 수 있다.
그리고 빨대성형부(300a)에서 제2 관부(320)를 형성하는 부분은, 제1 관부(310)가 일체로 형성된 우유팩(A)의 일 측면과 상측으로 인접한 우유팩(A)의 상부면과 떨어진 상태를 이루면서, 빨대성형부(300a)에서 제1 관부(310)를 형성하는 부분으로부터 연장형성된다. 이때, 빨대성형부(300a)에서 제2 관부(320)를 형성하는 부분은, 제1 관부(310)를 형성하는 부분보다 긴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2 관부(320)가 제1 관부(310)보다 두껍게 말리게끔 할 수 있다.
또한, 빨대성형부(300a)에서 제2 관부(320)를 형성하는 부분은, 성형될 제2 관부(320)가 구부러졌을 때, 우유팩(A)의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게끔, 우유팩(A)의 측면을 이루는 4면 중 제2 관부(320)와 인접한 면의 폭보다 짧은 길이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지(100)와 동일하게, 접힘시 우유팩(A) 형태를 이루는 종이 재질의 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지(100)의 바깥면에 접합되고, 원지의 접힘시 제2 관부(320)가 위치되는 부분이 절취가능하게 형성된다.
일 예로, 외지(200)는, 접힘시 구부러진 제2 관부(320)가 내측에 위치되는 부분에 절취가능한 빨대수용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수용부(210)는 구부러져 내지(100)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2 관부(320)를 외측에서 감싸게끔 볼록하게 형성되며, 제2 관부(320)의 끝단이 위치되는 부분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2 관부(320)의 끝단보다 길게 형성된 부분이 찢어지도록 하여, 해당 부분을 사용자가 파지하여 빨대수용부(210)를 절취함에 따라 제2 관부(320)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빨대 우유팩은, 내지(10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 빨대(300)가 내지(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지(100)와 외지(200) 사이에 위치되는 제2 관부(320)를 외부로 노출시켜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는바, 우유팩(A)의 외부에 부착되거나 별도로 사용이 요구되던 플라스틱 빨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A : 우유팩
100 : 내지
200 : 외지 210 : 빨대수용부
300 : 빨대 300a : 빨대성형부
310 : 제1 관부 320 : 제2 관부

Claims (2)

  1. 우유팩(A)의 내부면을 형성하는 내지(100)와, 상기 내지(100)의 바깥면에 접합되어 우유팩(A)의 외부면을 형성하는 외지(200)와, 상기 내지(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되는 빨대(300)를 포함하면서, 접힘에 따라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밀봉될 수 있는 우유팩(A)이 형성되는 원지;를 포함하되,
    상기 빨대(300)는, 접힘시 우유팩(A)의 측면을 이루는 내지(100) 부분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내지(100)와 일체를 이루며 원지의 접힘시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는 제1 관부(310)와, 상기 제1 관부(310)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접힘시 우유팩(A)의 측면을 이루는 내지(100) 부분보다 상측에 배치되면서 원지의 접힘시 내지(100)와 외지(200) 사이에 위치되게끔 구부러진 제2 관부(320)를 포함함과 더불어, 내지(10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지(200)는, 내지(100)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면서 원지의 접힘시 제2 관부(320)가 위치되는 부분이 절취가능하게 형성된, 빨대 우유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300)는, 내지(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마련된 빨대성형부(300a)가 말려 형성되되,
    상기 빨대성형부(300a)는, 제2 관부(320)가 제1 관부(310)보다 두껍게 말리게끔 형성된, 빨대 우유팩.
KR1020200117321A 2020-09-14 2020-09-14 빨대 우유팩 KR102442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321A KR102442106B1 (ko) 2020-09-14 2020-09-14 빨대 우유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321A KR102442106B1 (ko) 2020-09-14 2020-09-14 빨대 우유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521A KR20220035521A (ko) 2022-03-22
KR102442106B1 true KR102442106B1 (ko) 2022-09-08

Family

ID=80991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321A KR102442106B1 (ko) 2020-09-14 2020-09-14 빨대 우유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10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3444B2 (ja) * 2015-03-27 2018-11-14 明倫 久米 ストロー内蔵式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3338A (ko) * 2009-08-31 2011-03-08 이순채 빨대 내장형 음료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3444B2 (ja) * 2015-03-27 2018-11-14 明倫 久米 ストロー内蔵式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521A (ko)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9542B2 (en) Cigarette package
RU2255634C2 (ru) Упаковка для кур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ITBO20150185A1 (it) Pacchetto di articoli da fumo.
RU2288153C2 (ru) Упаковка для одноразовых предметов
IT201900001127A1 (it) Pacchetto rigido di articoli da fumo con doppio coperchio incernierato e sbozzato per realizzare detto pacchetto rigido di articoli da fumo.
JPH0752973A (ja) 細長い物品、特にシガレット用半硬質包装体
JP4825391B2 (ja) シガレット用ボックス包装体
KR102442106B1 (ko) 빨대 우유팩
JP2898825B2 (ja) シガレットなどのパック
ITMO20080178A1 (it) Pacchetto per articoli da fumo e relativo blank
KR102035694B1 (ko) 판 형상 물품용의 포장 구조
KR200456896Y1 (ko) 종이상자
KR20030090618A (ko) 포장용 용기
JP2004338767A (ja) 切花の保水容器及び梱包体
JP2540678Y2 (ja) 瓶類の包装用箱
KR200171704Y1 (ko) 미곡 및 잡곡용 종이 포장박스
AU556842B2 (en) Package with tear-open fin
JPH0415629Y2 (ko)
JP6475944B2 (ja) ゲーブルトップ型紙容器
ITBO20130090A1 (it) Confezione con un incarto provvisto di una apertura di estrazione richiudibile.
KR200390250Y1 (ko) 포장상자의 고정패드
KR200275318Y1 (ko) 포장용 케이스덮개
KR200298032Y1 (ko) 유연성 지지밴드를 이용한 방향제 포장구조
KR200189692Y1 (ko) 포장용 지상자
KR200165977Y1 (ko) 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