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694B1 - 판 형상 물품용의 포장 구조 - Google Patents

판 형상 물품용의 포장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694B1
KR102035694B1 KR1020157005802A KR20157005802A KR102035694B1 KR 102035694 B1 KR102035694 B1 KR 102035694B1 KR 1020157005802 A KR1020157005802 A KR 1020157005802A KR 20157005802 A KR20157005802 A KR 20157005802A KR 102035694 B1 KR102035694 B1 KR 102035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accommodating chamber
plate
opening
shaped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5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3364A (ko
Inventor
미츠코 오가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ublication of KR20150043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4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increments of material, in webs, e.g. folded or tubular webs, or by subdividing tubes filled with liquid, semi-liquid, or plastic materials
    • B65D75/42Chains of interconnected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55Peelable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2Wrapped 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 상태에서 개별 포장할 수 있는 판 형상 물품용의 포장 구조, 포장 용기 및 개별 포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판 형상 물품용의 포장 구조는, 비통기성의 필름에 의하여 형성되어 복수의 수용 챔버(5)를 개별로 밀폐하는 포장 베이스(3)와, 수용 챔버(5)가 각각 분리될 수 있도록 포장 베이스(3)에 형성된 커트 라인(7)과, 포장 베이스(3)를 절첩하기 위한 절첩부(8)와, 각 수용 챔버(5)에 대응하여 각각 형성되어 수용 챔버(5)를 개봉하기 위한 개봉 구조(9)를 가진다. 절첩부(8)는, 커트 라인(7)을 따라 인접하는 수용 챔버(5)에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일측의 수용 챔버(5)의 일측 가장자리부(13)와 타측의 수용 챔버(5)의 타측 가장자리부(14)를 오버랩시키도록 절첩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포장 베이스(3)를 외부 박스에 나눠 수용하여, 포장 용기를 구성한다.

Description

판 형상 물품용의 포장 구조 {PACKAGING STRUCTURE FOR PLATE-SHAPED ARTICLE}
본 발명은, 판 형상 물품용의 포장 구조, 포장 용기 및 개별 포장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껌 등의 판 형상 물품을 개별 포장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개별 포장을 2개의 포장재에 의하여 구성하고, 판 형상 식품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서, 2개의 포장재를 오버랩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별 포장된 판 형상 식품을 복수개 배열하여 외부 박스 안에 수납한다. 일측의 포장재를 외부 박스에 고정한 상태에서, 타측의 포장재를 잡아 당김으로써,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11-12656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1에서는, 개별 포장의 2개의 포장재는, 소재가 종이 재료로 만들어지고, 통기성이 있었다. 또한, 2개의 포장재는, 서로 오버랩한 부분에서 당겨 걸려진 것뿐이었으므로, 식품의 풍미가 장기간 유지되도록, 기밀성의 향상이 요망되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 상태에서 개별 포장될 수 있는 판 형상 물품용의 포장 구조, 포장 용기 및 개별 포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판 형상 물품용의 포장 구조에 있어서, 비통기성의 필름을 포함하며, 복수의 수용 챔버를 정렬하여 구획하고, 상기 각 수용 챔버를 개별로 밀폐하는 구조의 포장 베이스와, 상기 수용 챔버가 각각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포장 베이스에 형성된 커트 라인과, 상기 커트 라인을 따라 인접하는 상기 수용 챔버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의 수용 챔버가 인접하는 타측의 수용 챔버와 대면하는 일측 가장자리부와, 타측의 수용 챔버가 인접하는 일측의 수용 챔버와 대면하는 타측 가장자리부를 오버랩시키도록 절첩하기 위한 절첩부와, 상기 각 수용 챔버에 대응하여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용 챔버를 개봉하기 위한 개봉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형상 물품의 포장 구조이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상기 포장 베이스는, 상기 수용 챔버와 수용 챔버 사이를 구획하는 씰 영역을 가지며, 상기 커트 라인은, 상기 포장 베이스의 일단 가장자리로부터 잘려져 상기 씰 영역을 연장하고, 상기 포장 베이스의 일단 가장자리와 반대측의 타측 가장자리 부근까지 형성되며, 또한, 상기 타측 가장자리 부근의 커트 라인 앞쪽 끝에는, 상기 커트 라인에 직교 방향의 절첩용 서브 컷이 형성되며, 역 T자 형상 커트 라인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판 형상 물품의 포장 구조이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상기 포장 베이스는, 상기 각 수용 챔버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 챔버의 길이 방향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수용 챔버를 도중부까지 덮는 고정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와, 상기 수용 챔버의 길이 방향 타단측으로부터 상기 수용 챔버를 덮고, 상기 고정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와 접합되는 개봉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봉 구조는, 상기 접합에 이용되는 약한 씰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기재의 판 형상 물품의 포장 구조이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상기 개봉 구조는, 상기 약한 씰 부가 맞대기 시밍(butt seaming)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 기재의 판 형상 물품의 포장 구조이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상기 필름은, 수지제 투명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판 형상 물품의 포장 구조이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은, 종이제 블랭크가 조립되어 형성되고, 개별 포장된 복수개의 판 형상 물품을 정렬하여 수납하기 위한 수납 챔버를 가지며, 상기 수납 챔버의 적어도 상면 및 전면 상부에 형성된 개구와, 상기 개구를 덮는 커버를 포함한 외부 박스와, 상기 외부 박스 안에 수납되는 판 형상 물품용의 개별 포장에 있어서, 비통기성의 필름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판 형상 물품을 길이 방향 일단측으로부터 도중부까지 수용하기 위한 절반 수용 챔버를 형성하는 제1 포장 부재, 비통기성의 필름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판 형상 물품을 길이 방향 타단측으로부터 도중부까지 수용하기 위한 절반 수용 챔버를 형성하는 제2 포장 부재, 및, 상기 제1 포장 부재 및 상기 제2 포장 부재를 접합하는 약한 씰 부를 포함하는 개별 포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이다.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은, 상기 약한 씰 부는, 맞대기 시밍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 기재의 포장 용기이다.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은, 상기 개별 포장은, 투명 필름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 기재의 포장 용기이다.
청구항 9 기재의 발명은, 판 형상 물품용의 개별 포장에 있어서, 비통기성 필름에 의하여 형성되고, 판 형상 물품을 밀폐하여 수용하는 수용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 챔버의 적어도 길이 방향에 따른 양측은, 상기 필름끼리 상호 대향된 씰 부에 의하여 밀봉되며, 상기 필름의 일단은, 상기 수용 챔버로부터 부상한 개봉 개시편이 되며, 상기 개봉 개시편을 쥐고 잡아 당김으로써, 상기 수용 챔버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측의 상기 씰 부가 벗겨져 개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형상 물품용의 개별 포장이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판 형상 물품을 각각 밀폐 상태로 개별 포장할 수 있다. 따라서, 판 형상 물품의 품질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개별 포장된 복수의 판 형상 물품을 일체적으로 취급할 수 있고, 게다가, 절첩부의 오버랩에 의하여, 포장 베이스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외부 박스 등에 넣기 쉽고, 정렬하여 수납된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수용 챔버를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다. 게다가, 역 T자 형상 커트 라인에 의하여, 절첩부의 오버랩을 형성하기 쉽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고정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를 외부 박스에 접착하는 등으로 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개봉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를 잡아 당기면, 약한 씰 부에서의 접합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판 형상 물품을 뽑아낼 수 있다. 이때, 판 형상 물품의 일단측을 노출시키면서, 판 형상 물품의 타단측을 개봉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로 덮은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판 형상 물품에 직접 손을 대지 않고도 취급하기 좋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맞대기 시밍(butt seaming)의 약한 씰 부에 의하여 판 형상 물품의 개별 포장을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투명 필름을 통하여 포장 상태의 판 형상 물품을 볼 수 있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판 형상 물품을 각각 밀폐 상태로 개별 포장할 수 있으며, 게다가 외부 박스에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판 형상 물품의 품질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포장 부재를 박스에 접착하는 등으로 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제2 포장 부재를 잡아 당김으로써, 약한 씰 부에서의 접합을 해제하여, 개봉할 수 있다. 이때, 판 형상 물품의 단부를 노출시키면서, 판 형상 물품을 제2 포장 부재로 덮은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판 형상 물품에 직접 손을 대지않고 취급하기 좋다.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맞대기 시밍의 약한 씰 부에 의하여, 판 형상 물품의 개별 포장을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투명 필름을 통하여 포장 상태의 판 형상 물품을 볼 수 있다.
청구항 9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판 형상 물품을 밀폐 상태에서 개별 포장할 수 있다. 따라서, 판 형상 물품의 품질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판 형상 물품을 용이하게 뽑아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발명에 의하여, 예를 들면, 츄잉껌 등의 판 형상 물품을 밀폐 상태에서 개별 포장함에 의하여, 풍미의 유지 등, 식품의 장기적인 품질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향료 등에 유래하는 냄새 물질의 확산을 막고, 인접하는 물품에 대하여 냄새가 옮겨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개별 포장된 다른 종류의 물품을, 하나의 개별 포장 용기에 조립된 제품을 유통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풍미가 다른 복수의 츄잉껌을 하나의 개별 포장 용기에 조립한, 다채로운 유형의 제품을 제조할 때에, 본 발명은 매우 유효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의 판 형상 물품용의 포장 구조가 적용된 포장체(1)의 정면도이며, 도 1(a)에 신장 상태를 나타내고, 도 1(b)에 절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2(a)는, 판 형상 물품용의 개별 포장(2)의 정면도이며, 도 2(b)는, 개별 포장(2)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개별 포장(28)의 사시도이며, (a)에 판 형상 물품(4)을 뽑아내기 전의 상태를, (b)에 판 형상 물품(4)를 뽑아낸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포장 용기(28)의 외부 박스(29)의 전개도이며, 외부 박스(29)에 설치된 포장 베이스(3)도 일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a)는, 개별 포장(2)의 요부의 제1 변형예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며, 도 5(b)는, 제2 변형예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의 판 형상 물품용의 포장 구조가 적용된 포장체(1A)의 정면도이며, 도 6(a)에 신장 상태를 나타내고, 도 6(b)에 절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7(a)는, 개별 포장(2A)의 모식도이며, 도 7(b)는, 개별 포장(2A)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며, 도 7(c)는, 개별 포장(2A)의 개봉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a)는, 개별 포장(2B)의 모식도이며, 도 8(b)는, 개별 포장(2B)의 개봉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개별 포장(2C)의 모식도이다.
도 10(a)는, 개별 포장(2D)의 모식도이며, 도 10(b)는, 개별 포장(2D)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며, 도 10(c)는, 개별 포장(2D)의 개봉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1(a)는, 개별 포장(2E)의 모식도이며, 도 11(b)는, 개별 포장(2E)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며, 도 11(c)는, 개별 포장(2E)의 개봉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2는, 개별 포장(2F)의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의 판 형상 물품용의 포장 구조가 적용된 포장체(1)의 정면도이며, 도 1(a)에 신장 상태를 나타내고, 도 1(b)에 절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1(a)를 참조하여, 포장체(1)는, 복수의 개별 포장(2)을 포함하는 포장 베이스(3)와, 포장 대상으로서의 복수의 판 형상 물품(4)을 포함하고 있다. 판 형상 물품(4)은, 예를 들면, 습기의 영향을 받기 쉽거나, 산소의 영향을 받기 쉬운 것, 냄새가 강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츄잉껌, 초콜릿, 캔디, 구운 과자, 쌀 과자, 반 생과자, 건강 식품, 반죽 과자 등의 식품이나, 고약(膏藥), 습포 등의 의약품, 의료용품, 화장품, 비누, 실리카겔 등의 건조제, 에이질리스(ageless) 등의 탈산소제, 산화방지제, 방충제, 도료, 고형 유지, 생분해성 소재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의 설명은, 판 형상 물품(4)이 츄잉껌(생략하여 '껌'이라고도 함.)인 것으로 하여 설명할 것이다.
포장 베이스(3)는, 비통기성의 필름(후술할 부재(18, 19)가 상당한다. 도 2 참조)에 의하여 형성되며, 복수의 수용 챔버(5)를 정렬하여 구획된다. 필름은, 적어도 1장이 이용되며, 개별 포장(2)에서는 2장이 이용된다. 포장 베이스(3)는, 복수개의 껌(4)을 각각 수용 챔버(5)에 개별적으로 밀폐 상태에서 수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비통기성의 필름에서 개별 포장하여 포장 베이스(3)에 의하여, 복수개의 껌(4)을 각각 밀폐 상태에서 개별 포장할 수 있다. 따라서, 껌(4)의 풍미를 길게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껌(4)의 향이 길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껌(4)이 눅눅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별 포장(2)은, 밀봉되므로, 보관에 주의를 요하도록 부서지기 쉬운 판 형상 식품에 적용하는 경우라도, 이와 같은 식품을 취급하기 쉽게 된다.
각 수용 챔버(5)는, 정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수용 챔버(5)의 길이가 긴 방향이, 정렬 방향과 직교하여 배열되어 있다. 각 수용 챔버(5)는, 상호 대향하는 필름끼리를 히트 씰에 의하여 서로 접합한 씰 부나, 필름을 접어 젖힌 접어 젖힘부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다. 예를 들면, 씰 부는, 수용 챔버(5)의 좌우 양측 및 하측을 구획하며, 접어 젖힘부는, 수용 챔버(5)의 상측을 구획하고 있다.
포장 베이스(3)에 있어서 각 수용 챔버(5)를 구획하는 부분이, 개별 포장(2)을 구성한다. 각 수용 챔버(5)의 길이가 긴 방향의 일측 단부(도 1(a)에 있어서 하측의 단부)의 단부 씰 부(6)에서, 복수의 개별 포장(2)은, 상호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각 개별 포장된 복수개의 껌(4)을 포장 베이스(3)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포장 베이스(3)는, 상호 인접하는 수용 챔버(5)끼리의 사이를 구획하는 소정 폭의 띠 형상인 씰 영역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씰 영역에는, 커트 라인(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트 라인(7)을 따라 상호 인접하는 2개의 수용 챔버(5) 사이에는, 절첩부(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개별 포장(2)은, 수용 챔버(5)를 개봉하기 위한 개봉 구조(9)를 가지고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포장 베이스(3)와, 커트 라인(7)과, 절첩부(8)와, 개봉구조(9)를 포함하는 포장 구조에 의하여, 커트 라인(7)을 사이에 두고 지지하는 절첩부(8)의 한 쌍의 부분(13, 14)을 서로 오버랩시키도록 하여, 포장 베이스(3)를 절첩하고, 포장 베이스(3)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다. 복수의 수용 챔버(5)가 나열되는 방향에 관하여, 도 1(a)에 나타낸 신장 상태에서의 포장 베이스(3)의 길이보다도, 도 1(b)에 나타낸 절첩 상태에서의 포장 베이스(3)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포장 베이스(3)를 외부 박스 등에 수납하기 쉽다. 복수개의 껌(4)이 외부 박스 내에 정렬하여 수납된다. 또한, 커트 라인(7)에 의하여, 개별 포장(2)을 개별적으로 뽑아내기 쉽다.
커트 라인(7)은, 씰 영역에 있어서 필름의 표면과 뒷면을 관통하고, 상기 커트 라인(7)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2개의 수용 챔버(5)를 서로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트 라인(7)은, 수용 챔버(5)의 길이가 긴 방향에 관하여 필름의 일측 끝 가장자리(상단)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속하여 잘려지고, 포장 베이스(3)의 일측 끝 가장자리와는 반대측인 타측 끝 가장자리(하단) 부근까지 형성된다.
커트 라인(7)은, 잘려진 끝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잘려진 끝은, 수용 챔버(5)의 길이가 긴 방향에 관하여, 수용 챔버(5)의 타측 끝 가장자리측의 단부 위치를 넘어서, 포장 베이스(3)의 타측 끝 가장자리 부근의 위치에 도달한다. 잘려진 끝과 포장 베이스(3)의 타측 끝 가장자리 사이는, 잘려져 남겨진다.
커트 라인(7)은, 역 T자 형상 커트 라인으로 되어 있다. 즉, 커트 라인(7)은, 메인 커트(11)와, 절첩용 서브 커트(12)를 가진다. 메인 커트(11)는, 수용 챔버(5)의 길이가 긴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하여 있다. 절첩용 서브 커트(12)는, 포장 베이스(3)의 타측 끝 가장자리 부근의 메인 커트(11)의 앞쪽 끝에 형성되고, 메인 커트(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양측에 연장된다. 역 T자 형상 커트 라인에 의하여, 절첩부(8)의 오버랩을 형성하기 쉽다.
도 1(a)를 참조하여 절첩부(8)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절첩부(8)는, 커트 라인(7)을 따라 폭(B)의 직사각형을 이루며, 전술한 씰 영역이다. 한편, 각 수용 챔버(5)는, 길이가 긴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씰된 한 쌍의 측면 가장자리부(13, 14)를 가진다. 커트 라인(7)을 따라 2개의 수용 챔버(5)가 인접한다. 이중, 커트 라인(7)의 우측에 있는 일측의 수용 챔버(5)는, 커트 라인(7)의 좌측에 있는 타측의 수용 챔버(5)와 대면하는 일측 가장자리부(13)를 가지고 있다. 같은 형태로, 타측의 수용 챔버(5)는, 일측의 수용 챔버(5)와 대면하는 타측 가장자리부(14)를 가지고 있다. 커트 라인(7)을 사이에 둔 양측의 일측 가장자리부(14)와 타측 가장자리부(13)가, 절첩부(8)를 구성하고 있다. 커트 라인(7)에 의하여 일측 가장자리부(14)와 타측 가장자리부(13) 상호간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아지며, 일측 가장자리부(14)와 타측 가장자리부(13)를 오버랩시키도록 하여 절첩할 수 있게 된다(도 1(b) 참조).
예를 들면, 포장 베이스(3)에 의하여 복수개의 껌(4)이 포장된 최초는, 포장 베이스(3)는 신장 상태가 되어 있다. 이러한 신장 상태에서, 커트 라인(7)이 형성된다. 잘려 남겨진 단부 씰 부(6)가 접혀 구부러지고, 포장 베이스(3)는 절첩 상태가 된다. 절첩 상태에서, 단부 씰 부(6)의 영역(15)이, 히트 씰된다. 따라서, 절첩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포장 베이스(3)를 후술할 바와 같이 외부 박스에 고정하는 경우(도 3 참조)에는, 단부 씰 부(6)에서 고정된다.
포장 베이스(3) 및 개별 포장(2)용의 필름으로서는, 수지제 투명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필름을 통하여 포장 상태의 껌(4)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는, 포장 베이스(3) 및 개별 포장(2)을 구성하는 필름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면 좋다.
또한, 포장 베이스(3) 및 개별 포장(2)을 복수의 필름에 의하여 구성하는 경우에는, 필름마다 소재를 달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수지제 투명 필름과 알루미늄박의 양자를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 2(a)는, 껌(4)용의 개별 포장(4)의 정면도이며, 도 2(b)는, 개별 포장(2)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각 수용 챔버(5)는, 껌(4)을 길이가 긴 방향의 일단측(하단)으로부터 도중까지 수용하기 위한 하측의 절반 수용 챔버(16)와, 껌(4)을 길이가 긴 방향 타단측(상단)으로부터 도중까지 수용하기 위한 상측의 절반 수용 챔버(17)를 가진다. 절반 수용 챔버(16)는, 길이가 긴 방향에 관하여 단부 씰 부(6) 부근의 고정측에 배치되고, 절반 수용 챔버(17)는, 고정측과는 반대측의 개봉측에 배치된다. 길이가 긴 방향에 관하여, 절반 수용 챔버(17)는, 절반 수용 챔버(16)보다 길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절반 수용 챔버(16, 17) 각각의 길이가 긴 방향의 길이는, 기호에 대응하여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개별 포장(2)을 구성하는 필름은, 일측의 절반 수용 챔버(16)를 형성하는 제1 포장 부재로서의 고정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18)와, 타측의 절반 수용 챔버(17)를 형성하는 제2 포장 부재로서의 개봉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19)를 포함한다.
일측의 절반 수용 챔버(16)는, 고정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18)에 세 방향 씰을 실시함으로써 구획되어 있다.
타측의 절반 수용 챔버(17)는, 개봉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19)의 필름이 접어 젖혀짐과 동시에, 상호 대향하는 좌우의 끝 가장자리끼리 씰 됨으로써 구획된다.
고정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18)와 개봉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19)는, 상호 약한 씰 부(20)로 접합되어 있다.
고정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18)는, 수용 챔버(5)의 도중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단부(22, 23)를 가진다. 한 쌍의 단부(22, 23)는, 껌(4)을 사이에 둔 양측에 배치된다. 개봉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19)도 같은 형태의 한 쌍의 단부(24, 25)를 가진다. 고정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18)의 일측의 단부(22)와, 개봉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19)의 일측의 단부(24)가, 껌(4)에 있어서 같은 쪽에 배치되며, 이들 단부(22, 24)끼리, 서로 히트 씰에 의하여 접합되고, 약한 씰 부(20)를 구성한다. 같은 형태로, 단부(23, 25)가, 상호 히트 씰에 의하여 접합되고, 약한 씰 부(20)를 구성한다. 약한 씰 부(20)에서는, 표준적으린 히트 씰용의 접착제보다도 접합력이 약한 접착제가 이용된다.
수용 챔버(5)의 길이가 긴 방향에 관하여 약한 씰 부(2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개별 포장(2)을 뽑아낼 때의 포장재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껌의 씹고남은 찌꺼기를 버리기 위한 포장재에 이용될 때의 면적을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약한 씰 부(20)는 맞대기 시밍(butt seaming)에 의하여 형성된다. 즉, 고정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18)의 단부(22)와 개봉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19)의 단부(24)는, 이면끼리 서로 대향한 상태에서 씰 된다. 단부(23, 25)도 같은 형태이다. 맞대기 시밍은, 후술할 2개의 필름 표면과 이면을 겹쳐 붙이는 경우와 비교하여, 개별 포장(2)을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그리고, 약한 씰 부(20)에서 상호 접합된 단부(22, 24)는, 수용 챔버(5)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가, 수용 챔버(5)의 길이 방향의 개봉측을 향하여 절곡된다. 단부(23, 25)도 같은 형태이다. 이 경우에는, 개별 포장(2)을 한층 더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도 3은, 포장 용기(28)의 사시도이며, 도 3(a)에 껌(4)을 뽑아내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에 껌(4)을 뽑아낸 상태를 나타낸다.
식품 포장 용기(28)는, 직사각형의 종이제인 외부 박스(29)와, 외부 박스(29) 안에 수납된 복수의 개별 포장(2)을 포함하는 포장 베이스(3)를 가진다.
외부 박스(29)는, 개별 포장된 복수개의 껌(4)을 정렬하여 수납하기 위한 수납 챔버(30)를 가지고 있다. 수납 챔버(30)는, 전후 방향(X)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좌우 방향(Y) 및 상하 방향(Z)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큰 평평한 수납 챔버로 되어 있다. 수납 챔버(30)의 상면 및 전면 상부에는, 개구(31)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개구(31)를 덮는 커버(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박스(29)의 개구(31)는, 전면 하부나 측면에 형성되어도 좋으며, 이것에 대응한 커버(32)의 형상으로 되어도 좋다.
외부 박스(29)는, 전면 판(33), 후면 판(34), 우측면 판(35), 좌측면 판(36) 및 하면 판(37)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개방된 수납 챔버(30)를 구획하고 있다. 또한, 커버(32)는, 후면 판(34)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상면 판(38)과, 상면 판(38)에 연이어 형성된 커버 판(39)을 가지고 있다. 커버(3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면 판(38)이, 개구(31)를 상측으로부터 덮고, 커버 판(39)이, 전면 판(33)의 상부에 겹쳐진 상태에서 개구(31)를 전방으로부터 덮는다.
이와 같이, 외부 박스(29)와 개별 포장(2)을 포함하는 식품 포장 용기(28)라면, 복수개의 껌(4)을 각각 밀폐 상태에서 개별 포장할 수 있고, 그리고 외부 박스(29) 안에 수납할 수 있다.
외부 박스(29)에는, 절첩 상태의 포장 베이스(3) 두 개가 전후로 배열되어 수납된다. 포장 베이스(3)의 단부 씰 부(6)가 외부 박스(29)의 내면에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다.
껌(4)을 취식할 때에는, 외부 박스(29)의 덮개(32)를 열고, 소망하는 개별 포장(2)을 뽑아내면 좋다. 이때, 개봉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19)와 껌(4)을 함께 쥐고 잡아 당기면, 고정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18)와 외부 박스(29)의 접착이 유지된 상태로, 고정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19)와 개봉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19)의 접합이 약한 씰 부(20)로 해제된다. 따라서, 개별 포장(2)을 개봉할 수 있다. 뽑혀 나온 껌(4)은, 일단측이 노출되면서, 껌(4)의 타단측이 개봉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19)에 의하여 덮인 상태이므로, 껌(4)을 취식하기 편리한다.
도 4는, 포장 용기(28)의 외부 박스(29)의 전개도이며, 외부 박스(29)에 설치된 포장 베이스(3)도 일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외부 박스(29)는, 종이제 블랭크(41)가 조립되어 형성되어 있다. 블랭크(41)는, 조립후에 외부 박스(29)의 각부, 즉, 전면 판(33), 후면 판(34), 우측면 판(35), 좌측면 판(36), 하면 판(37), 상면 판(38) 및 커버 판(39)이 되는 각 부분(42~48)을 가지고 있다. 또한, 블랭크(41)는, 하면 판(37)이 되는 부분(46)에 연이어 형성된 연장 형성판(49)과, 좌측면 판(35)이 되는 부분(44)에 연이어 형성되는 연장 형성판(50)을 가지고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연장 형성판(49)은, 후면 판(34)의 하부의 내면을 따라, 연장 형성판(50)은, 후면 판(34)의 측부의 내면을 따르도록 되어 있다.
블랭크(41)에는, 2개의 포장 베이스(3)가 견고하게 접착되어 있다. 일측 포장 베이스(3)의 단부 씰 부(6)가, 블랭크(41)의 전면 판(33)이 되는 부분(42)의 하부 내면에 접착된다. 타측의 포장 베이스(3)의 단부 씰 부(6)는, 블랭크(41)의 연장 형성판(49)에 접착된다. 여기서 이용되는 접착제는, 약한 씰 부(20)의 접착제보다도 접착력이 강한 것이다.
이와 같이, 포장 용기(28)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전개 상태의 외부 박스(29)에 포장 베이스(3)를 설치해 두고, 그 후, 외부 박스(29)를 조립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포장 베이스(3)를, 조립된 외부 박스(29)에 그 개구(31)로부터 조립하여, 외부 박스(29)에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외부 박스(29)에 수납하는 포장 베이스(3)의 수는, 2개로 한정되지 않으며, 1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실시 형태의 약한 씰 부(20)는, 맞대기 시밍 대신에,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도 5(a)는, 개별 포장(2)의 요부로서 약한 씰 부(20)의 제1 변형예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며, 도 5(b)는, 약한 씰 부(20)의 제2 변형예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5(a)와 같이, 약한 씰 부(20)는, 일측의 필름으로서의 고정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18)의 단부(22)의 이면과, 타측의 필름으로서의 개봉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19)의 단부(24)의 표면을, 소정 폭으로 접착하여도 좋다. 단부(23, 25)도 같은 형태이다.
또한, 도 5(b)와 같이, 일측의 필름으로서의 고정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18)의 단부(22)의 표면과, 타측의 필름으로서의 개봉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19)의 단부(24)의 이면을, 소정 폭으로 접착하여도 좋다. 단부(23, 25)도 같은 형태이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구성의 경우도, 맞대기 시밍과 같은 형태로, 껌(4)의 일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뽑아낼 수 있다.
또한, 이하와 같은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할 것이다. 그리고, 다른 구성에 관하여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와 같은 형태이며,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의 구성과 같은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의 판 형상 물품용의 포장 구조가 적용된 포장체(1A)의 정면도이며, 도 6(a)에 신장 상태를 나타내고, 도 6(b)에 절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포장체(1A)에서는, 전술한 포장 베이스(3) 대신에, 복수의 개별 포장(2A)을 포함한 포장 베이스(3A)를 가지고 있다. 개별 포장(2A) 및 포장 베이스(3A)는, 전술한 개별 포장(2) 및 포장 베이스(3)와는 하기의 점에서 다르며, 다른 점에서는 같다.
개별 포장(2A)은, 수용 챔버(5)를 구획하기 위한 필름 및 씰 부의 상태가 다르다. 또한, 개별 포장(2A)은, 개봉 구조(9A)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수반하여, 포장 베이스(3A)는, 각 개별 포장(2A)의 단부 씰부(6)에, 각 개별 포장(2A)을 잘라내기 위한 잘라냄 가능부로서의 눈금선(51)을 가지고 있다.
눈금선(51)은, 절취용의 복수의 작은 홀이 간헐적으로 점선 형상으로 나열되어 구성되고, 수용 챔버(5)가 나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눈금선(51)은, 복수의 개별 포장(2A)에 걸쳐 연속하여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눈금선(51)은, 수용 챔버(5) 내에 관통하지 않도록 하여, 포장 베이스(3A)의 단부 씰 부(6)를 필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포장 베이스(3A)와, 커트 라인(7)과, 절첩부(8)와, 개봉 구조(9A)를 포함한 포장 구조가 적용되어 있으며, 도 1에 나타낸 포장 구조와 같은 형태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껌(4)을 뽑아낼 때에는, 소망하는 개별 포장(2A)을 잡아 당겨, 포장 베이스(3A)의 눈금선(51)을 찢어내어, 뽑아 낸다. 그리고, 뽑아낸 후에, 개별 포장(2A)을 개봉 구조(9A)에 의하여 개봉한다.
그리고, 포장 베이스(3A)는, 개별 포장(2A) 대신에, 도 8에 나타낸 개별 포장(2B)이나 도 9에 나타내 개별 포장(2C)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이와 같은 포장 베이스(3A)를 도 3에 나타낸 외부 박스(29)에 격납하고, 포장 용기(28)를 구성하여도 좋다. 이하, 개별 포장(2A) 등을 순서대로 설명할 것이다.
도 7(a)는, 개별 포장(2A)의 모식도이며, 도 7(b)는, 개별 포장(2A)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며, 도 7(c)는, 개별 포장(2A)의 개봉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개별 포장(2A)은, 2장의 비통기성 필름(52, 53)을 서로 붙여서 세 방향 씰함으로써, 수용 챔버(5)를 형성하고 있다. 수용 챔버(5)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측과, 수용 챔버(5)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의 단부가, 씰 부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다.
일측의 필름(52)은, 절반 수용 챔버(16)의 전방측을 구획하고 있다. 타측의 필름(53)은, 절반 수용 챔버(16)의 후방측과, 절반 수용 챔버(17)를 구획하고 있으며, 수용 챔버(5)의 길이 방향의 개봉측의 단부(상단)에서 접어 젖혀진다. 일측의 필름(52)의 일측 단부의 표면과, 타측의 필름(53)의 일측 단부의 이면이, 수용 챔버(5)의 길이 방향의 도중부에 있어서, 히트 씰 되어 있다. 일측의 필름(52)의 타측 단부의 표면과, 타측의 필름(53)의 타측 단부의 이면이, 수용 챔버(5)의 길이 방향의 단부(하단)에 있어서 히트 씰 되어 있다.
개봉 구조(9A)는, 수용 챔버(5)의 길이 방향의 도중부에 형성되어 있다. 개봉 구조(9A)는, 개봉할 때에 손가락으로 집기 쉽도록 수용 챔버(5)로부터 떠오른 개봉 개시편(54)을 가지고 있다. 개봉 개시편(54)은, 타측의 필름(53)의 일단에 있어서, 히트 씰된 부분보다도 앞쪽 끝측의 부분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개봉 개시편(54)을 잡고, 수용 챔버(5)의 타단측(도 7(c)에 있어서 상측으로)으로 감싸 올림으로써, 수용 챔버(5)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측의 측면 가장자리부(13, 14)의 씰 부가 벗겨져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다.
도 8(a)는, 개별 포장(2B)의 모식도이며, 도 8(b)는, 개별 포장(2B)의 개봉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개별 포장(2B)은, 2장의 비통기성 필름(56, 57)을 사방 씰함으로써 수용 챔버(5)를 형성하고 있다. 수용 챔버(5)의 주위의 사방, 즉, 길이 방향에 따른 좌우 양측과, 길이 방향 양측의 상하 단부는, 씰 부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다. 일측의 필름(56)은, 수용 챔버(5)의 전방측을 구획하고 있다. 타측의 필름(57)은, 수용 챔버(5)의 후방측을 구획하고 있다.
개봉 구조(9B)는, 수용 챔버(5)의 길이 방향의 개봉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개봉 구조(9B)는, 일측의 필름(56)의 단부(상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개봉할 때에 손가락으로 쥐기 쉽도록, 이미 일측의 필름(57)에 있어서 대향하는 단부 및 수용 챔버(5)로부터 떠오른 개봉 개시편(58)을 가지고 있다. 개봉 개시편(58)은, 한 쌍의 필름(56, 57)의 상단부에 있어서, 상호 히트 씰 된 부분보다 앞쪽 끝측에서, 히트 씰 되지 않은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개봉 개시편(58)을 쥐고, 수용 챔버(5)를 향하여(도 8(b)에 있어서 하측으로) 젖혀서 잡아 당김으로써, 수용 챔버(5)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측의 측면 가장자리부(13, 14)의 씰 부가 벗겨져 개봉될 수 있다.
도 9는, 개별 포장(2C)의 모식도이다.
개별 포장(2C)은, 개봉 구조(9B) 대신에 개봉 구조(9C)를 가지는 점에서, 개별 포장(9B)과 다르다.
개봉 구조(9C)는, 수용 챔버(5)의 길이 방향의 일단으로서의 개봉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한 쌍의 필름(56, 57) 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개봉 개시부로서의 노치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노치는, 예를 들면 V자 형상의 절결이며, 그 양측 부분을 당겨 분리하도록 잡아 당김으로써, 한 쌍의 필름(56, 57)에 찢음선을 형성할 수 있으며, 개봉할 수 있다.
또한, 노치에 대신하여, 도시하지 않았으나, 개봉 안내 구조로서의 커트 테이프를 수용 챔버(5)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해 두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노치와 같은 형태로 개봉하기 쉽다. 또한, 개봉 안내 구조에 의하여 개봉할 때에 생성되는 찢음선을, 사용하고자 하는 방향에 따르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개봉시에, 개별 포장의 봉지가 생각하지 않은 방향으로 찢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개봉후의 봉지 형상을 개봉전과 거의 같은 형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개봉후의 개별 포장의 봉지에, 취식후의 껌의 씹고남은 찌꺼기를 넣어, 버릴 수 있다.
또한, 개별 포장(2, 2A, 2B, 2C)은, 포장 베이스(3, 3A)에 적용할 경우 외에, 개별로 이용하거나, 개별로 외부 박스(29)에 격납하여도 좋다.
같은 형태로, 이하의 도 10,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개별 포장(2D, 2E, 2F)을 개별로 이용하거나, 개별로 외부 박스(29)에 격납하여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별 포장(2A, 2B, 2C)에 있어서도, 껌(4)을 밀폐 상태에서 개별 포장할 수 있으며, 또한, 껌(4)을 용이하게 뽑아낼 수 있다. 같은 형태로, 개별 포장(2D, 2E, 2F)에 있어서도, 껌(4)을 밀폐 상태에서 개별 포장할 수 있으며, 껌(4)을 용이하게 뽑아낼 수 있다.
도 10(a)는, 개별 포장(2D)의 모식도이며, 도 10(b)는, 개별 포장(2D)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며, 도 10(c)는, 개별 포장(2D)의 개봉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개별 포장(2D)은, 1장의 비통기성 필름(62)을 세방향 필로우(pillow) 포장함으로써, 수용 챔버(5)를 구획하고 있다. 수용 챔버(5)의 길이 방향에 따른 좌우 양측은, 씰 부에 의하여 밀봉하여 형성되어 있다. 수용 챔버(5)의 길이 방향의 양단은, 필름(62)이 접어 젖혀짐으로써 닫혀진다. 필름(62)은, 껌(4)을 둘러싸고 있다. 수용 챔버(5)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필름(62)의 양단은, 수용 챔버(5)의 길이 방향 도중부에 있어서, 수용 챔버(5)의 전면측(후면측이라도 좋음)에서, 상호 히트 씰되어 있다.
개봉 구조(9D)는, 수용 챔버(5)의 길이 방향의 도중부에 형성되어 있다. 개봉 구조(9D)는, 개봉 구조(9A, 도 7 참조)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봉 개시편(54)을 가지고 있다.
도 11(a)는, 개별 포장(2E)의 모식도이며, 도 11(b)는, 개별 포장(2E)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며, 도 11(c)는, 개별 포장(2E)의 개봉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개별 포장(2E)은, 2장의 비통기성 필름(64, 65)에 의하여 수용 챔버(5)를 형성하고 있다. 수용 챔버(5)의 길이 방향에 따른 일측의 측면 가장자리부(13)와, 수용 챔버(5)의 길이 방향 상하의 양단은, 씰 부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다. 측면 가장자리부(13)와는 반대측의 측면 가장자리부(14)는, 필름(64, 65)이 접어 젖혀져 닫혀진다. 일측의 필름(64)은, 일측의 절반 수용 챔버(16)를 구획하고 있다. 타측의 필름(65)은, 타측의 절반 수용 챔버(17)를 구획하고 있다. 개별 포장(2E)을 외부 박스(29)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절반 수용 챔버(16)측이 고정된다.
개봉 구조(9E)는, 수용 챔버(5)의 길이 방향의 도중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개봉 구조(9)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한 씰 부(20)를 가지고 있다. 또한, 약한 씰 부(20)는, 맞대기 시밍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약한 씰 부(20)로 상호 접합된 필름(64, 65)의 단부(22, 23, 24, 25)는, 개봉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넘어진다. 따라서, 개봉 구조(9E)에 있어서도, 개봉 구조(9)와 같은 형태로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도 12는, 개별 포장(2F)의 모식도이다.
개별 포장(2F)은, 1장의 비통기성 필름(67)을 세 방향 씰함으로써 수용 챔버(5)를 형성하고 있다. 수용 챔버(5)의 길이 방향에 따른 일측의 측면 가장자리부(13)와, 수용 챔버(5)의 길이 방향의 양단이 씰 부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다. 측면 가장자리부(14)는, 필름(67)이 접어 젖혀짐으로써 닫혀진다.
또한, 개봉 구조(9E)가 수용 챔버(5)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다. 개봉 구조(9E)는, 개봉 구조(9E, 도 9 참조)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노치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별 포장(2F)에 관하여도, 개별 포장(2C)과 같은 형태, 노치 대신에, 개봉 안내 구조로서의 커트 테이프를 수용 챔버(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해두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비통기성의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투명 필름 외에, 합성 수지제의 불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필름이라도 좋으며,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박이어도 좋고, 이들 합성 수지제의 필름이나 금속박을 점착한 종이라도 좋다. 투명 필름을 사용한 경우, 투명 필름을 통하여 포장 상태인 판 형상 물품(4)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필름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면 좋다. 또한, 2장의 필름을 사용하는 개별 포장(2A, 2B, 2C, 2E)에 관하여는, 개별 포장(2)과 같은 형태, 필름마다 소재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지제 투명 필름과 알루미늄박의 양자를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기타,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2, 2A, 2B, 2C, 2D, 2E, 2F...개별 포장
3, 3A...포장 베이스
4...판 형상 물품(판 형상 식품, 츄잉껌, 껌)
5...수용 챔버
7...커트 라인
8...절첩부(씰 영역)
9, 9A, 9B, 9C, 9D, 9E, 9F...개봉 구조
12...절첩용 서브 커트
13, 14...측면 가장자리부(절첩부(8)의 한 쌍의 부분)
16, 17...절반 수용 챔버
18...고정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제1 포장 부재, 필름)
19...개봉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제2 포장 부재, 필름)
20...약한 씰 부
28...포장 용기(식품 포장 용기)
29...외부 박스
30...수납 챔버
31...개구
32...커버
41...블랭크
52, 53, 56, 57, 62, 64, 65, 67...필름
54, 58...개봉 개시편
X...전후 방향
Y...좌우 방향
Z...상하 방향
1, 1A...포장체
6...단부 씰 부
11...메인 커트
15...(단부 씰 부(6)의) 영역
22, 23...(고정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18)의) 단부
24, 25...(개봉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19)의) 단부
33...전면 판
34...후면 판
35...우측면 판
36...좌측면 판
37...하면 판
38...상면 판
39...커버 판
42...(전면 판이 되는) 부분
43...(후면 판이 되는) 부분
44...(우측면 판이 되는) 부분
45...(좌측면 판이 되는) 부분
46...(하면 판이 되는) 부분
47...(상면 판이 되는) 부분
48...(커버 판이 되는) 부분
49, 50...연장 형성판
51...눈금선
B...(절첩부(8)의) 폭

Claims (9)

  1. 판 형상 물품용의 포장 구조에 있어서,
    비통기성의 필름을 포함하며, 복수의 수용 챔버를 정렬하여 구획하고, 상기 각 수용 챔버를 개별로 밀폐하는 구조의 포장 베이스와,
    상기 수용 챔버가 각각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포장 베이스에 형성된 커트 라인과,
    상기 커트 라인을 따라 인접하는 상기 수용 챔버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의 수용 챔버가 인접하는 타측의 수용 챔버와 대면하는 일측 가장자리부와, 타측의 수용 챔버가 인접하는 일측의 수용 챔버와 대면하는 타측 가장자리부를 오버랩시키도록 절첩하기 위한 절첩부와,
    상기 각 수용 챔버에 대응하여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용 챔버를 개봉하기 위한 개봉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형상 물품의 포장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장 베이스는, 상기 수용 챔버와 수용 챔버 사이를 구획하는 씰 영역을 가지며,
    상기 커트 라인은, 상기 포장 베이스의 일단 가장자리로부터 잘려져 상기 씰 영역을 연장하고, 상기 포장 베이스의 일단 가장자리와 반대측의 타측 가장자리 부근까지 형성되며, 또한, 상기 타측 가장자리 부근의 커트 라인 앞쪽 끝에는, 상기 커트 라인에 직교 방향의 절첩용 서브 컷이 형성되며, 역 T자 형상 커트 라인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형상 물품의 포장 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장 베이스는, 상기 각 수용 챔버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 챔버의 길이 방향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수용 챔버를 도중부까지 덮는 고정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와,
    상기 수용 챔버의 길이 방향 타단측으로부터 상기 수용 챔버를 덮고, 상기 고정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와 접합되는 개봉측 수용 챔버 형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봉 구조는, 상기 접합에 이용되는 약한 씰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형상 물품의 포장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봉 구조는, 상기 약한 씰 부가 맞대기 시밍(butt seaming)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형상 물품의 포장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수지제 투명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형상 물품의 포장 구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7005802A 2012-08-17 2013-06-26 판 형상 물품용의 포장 구조 KR1020356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81149 2012-08-17
JP2012181149A JP6103488B2 (ja) 2012-08-17 2012-08-17 板状物品用の包装構造
PCT/JP2013/067555 WO2014027513A1 (ja) 2012-08-17 2013-06-26 板状物品用の包装構造、包装容器および個包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364A KR20150043364A (ko) 2015-04-22
KR102035694B1 true KR102035694B1 (ko) 2019-10-23

Family

ID=5028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5802A KR102035694B1 (ko) 2012-08-17 2013-06-26 판 형상 물품용의 포장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103488B2 (ko)
KR (1) KR102035694B1 (ko)
CN (1) CN104540749A (ko)
TW (1) TW201410564A (ko)
WO (1) WO20140275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17211A4 (en) * 2015-06-30 2019-02-27 Wm. Wrigley Jr. Company PACKAGING FOR CONFECTIONERY PRODUCTS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20210198022A1 (en) * 2019-12-30 2021-07-01 Matthew Rubi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and dispensing personal servings of chocolate
GB202214603D0 (en) * 2022-10-04 2022-11-16 Kraft Foods Schweiz Holding Gmbh Packaging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5934A (ja) * 2001-01-31 2002-08-14 Toppan Printing Co Ltd イージーピール性包装袋
JP2011126563A (ja) * 2009-12-17 2011-06-30 Lotte Co Ltd 包装構造
JP2011126564A (ja) 2009-12-17 2011-06-30 Lotte Co Ltd 包装構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6842U (ja) * 1983-02-09 1984-08-27 高嶋 秀起 接着部を一周させた包装袋
JPH1191044A (ja) * 1997-09-18 1999-04-06 Dainippon Printing Co Ltd 易引裂性包装袋
JP2003170519A (ja) * 2001-12-05 2003-06-17 Oji Paper Co Ltd 帯電防止性透明フィルム
JP3860547B2 (ja) * 2003-02-12 2006-12-20 大江化学工業株式会社 品質保持剤包装体
JP2010030627A (ja) * 2008-07-28 2010-02-12 Hokushin Shoji:Kk 包装袋体
JP6057410B2 (ja) * 2012-06-07 2017-01-11 株式会社ロッテ 紙製包装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5934A (ja) * 2001-01-31 2002-08-14 Toppan Printing Co Ltd イージーピール性包装袋
JP2011126563A (ja) * 2009-12-17 2011-06-30 Lotte Co Ltd 包装構造
JP2011126564A (ja) 2009-12-17 2011-06-30 Lotte Co Ltd 包装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37262A (ja) 2014-02-27
CN104540749A (zh) 2015-04-22
TW201410564A (zh) 2014-03-16
KR20150043364A (ko) 2015-04-22
WO2014027513A1 (ja) 2014-02-20
JP6103488B2 (ja) 201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9400B2 (en) Flexible reclosable container with easy opening
US20010052480A1 (en) Paper container
JP6957498B2 (ja) 開封が簡単なタブを含む再密封可能な容器
KR20070113153A (ko) 개방 확인형 재밀봉식 봉입부
CA2975368A1 (en) Peel-openable package and opening structure for peel-openable package
KR102035694B1 (ko) 판 형상 물품용의 포장 구조
KR20180089397A (ko) 용기를 위한 재밀봉식 내부 패키지
JP5653446B2 (ja) 小分け可能な食品用の包装
KR20160115960A (ko) 포장 용기 및 그 제조를 위한 시트
JP2000139382A (ja) 米飯加工食品の包装体
CN108137187B (zh) 包含插入件的可重复密封的容器和其制造方法
JP5994247B2 (ja) 商品の包装方法および包装体
EP1568614B1 (en) Paper container
JP2016196335A (ja) 板状物品用の個包装
JP2013018502A (ja) 食品密封収容袋包装箱、食品密封収容袋包装体及び箱原板
JP4279060B2 (ja) 包装材および包装体
WO2016135912A1 (ja) パッケージ及び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JPH0751468Y2 (ja) 包装体の集合・分割を容易にするテープ及び集合包装体
KR200373935Y1 (ko) 샌드위치 포장용 필름
JPH11301734A (ja) スナック菓子類包装体および包装袋
KR101757004B1 (ko) 포장체 및 그 제조 방법
JPS5911072Y2 (ja) 開封機構具備の紙箱
JP2006321517A (ja) 包装袋
WO2020075363A1 (ja) 吸収性物品集合体及び吸収性物品集合体を製造する方法
WO2012117818A1 (ja) 食品の包装容器および包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