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5960A - 포장 용기 및 그 제조를 위한 시트 - Google Patents

포장 용기 및 그 제조를 위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5960A
KR20160115960A KR1020167023708A KR20167023708A KR20160115960A KR 20160115960 A KR20160115960 A KR 20160115960A KR 1020167023708 A KR1020167023708 A KR 1020167023708A KR 20167023708 A KR20167023708 A KR 20167023708A KR 20160115960 A KR20160115960 A KR 20160115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ackaging container
members
outle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코 오가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ublication of KR20160115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5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characterised by integral closure-flaps
    • B65D5/2066Cooperating flaps fixed together by separate mechanical elements, e.g. staples, clips, straps, labels,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8Drawer-and-shell 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7Individual packages joined together, e.g. by means of integral tabs
    • B65D5/4275Individual packages joined together, e.g. by means of integral tabs by bonding, adhesive, hook and loop-type fastene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43Lids held in closed position by application of separate elements, e.g. clips, s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포장 용기의 취출구를 1 쌍의 합착 부재에 의해 반복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 그 포장 용기를 조립한 후에 그 1 쌍의 합착 부재를 첩착시킴으로써 그 합착 부재가 그 포장 용기의 조립 공정에 대해 오동작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그 1 쌍의 합착 부재를 포장 용기에 순조롭게 첩착할 수 있도록 한다. 내용물을 수납하는 공간 및 그 내용물을 그 공간에 넣고 빼기 위한 취출구를 갖고, 1 쌍의 합착 부재에 의해 그 취출구가 반복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포장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취출구를 갖는 포장 용기를 형성하는 형성 공정과, 그 형성 공정으로 형성된 포장 용기에 대해, 그 취출구가 반복 개폐 가능하도록 1 쌍의 합착 부재를 첩착시키는 첩착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Description

포장 용기 및 그 제조를 위한 시트{PACKAGING CONTAINER AND SHEET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반복 개폐 가능한 개폐 수단이 형성된 포장 용기 및 그러한 포장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개폐 수단이 형성된 시트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폐 수단이 형성된 포장 용기는, 가공 식품이나 과자류를 포장하기 위한 용기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가공 식품이나 과자류, 예를 들어, 껌이나 초콜릿 등은, 한 번에 먹을 분량마다 포장지로 싼 것을, 소정의 개수씩 종이나 플라스틱의 포장 용기 (주머니나 박스 등) 에 수용하여 판매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판매된 껌이나 초콜릿을 구입한 소비자는, 구입한 껌이나 초콜릿의 전부를 한 번에 먹는 것이 아니라, 통상적으로 1 개씩 먹고, 나머지는 포장 용기에 넣은 채로 보존한다. 이 경우, 당해 포장 용기의 입구를 열어 껌이나 초콜릿을 1 개 꺼낸 후, 다음에 먹을 때까지는, 그 포장 용기의 입구를 다시 닫아 두는 것이 보존상 바람직하다.
한 번 개방한 포장 용기의 입구를 다시 닫는 방법으로서, 포장 용기가 주머니인 경우에는, 입구를 클립으로 끼우거나 입구에 파스너를 형성하여 닫는 방법 등이 있다. 혹은, 포장 용기가 본체와 덮개로 이루어지는 박스인 경우에는, 그 본체와 덮개를 서로 걸어맞추는 1 쌍의 구조로 형성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입구를 클립으로 끼우는 것으로는 아무래도 임시 고정이라는 인상이 강하고, 클립이 방해가 되기 때문에 휴대할 때의 취급성에도 난점이 있다. 또, 본체와 덮개를 서로 걸어맞추는 1 쌍의 구조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특히 유아나 고령자에게 있어서는 포장 용기의 입구를 개폐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상기 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박스상 포장 용기의 본체와 덮개 사이에 1 쌍의 면 파스너 (벨크로) 나 박편상 마그넷 (마그넷층 혹은 마그넷 시트) 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본체와 덮개에 각각 형성한 면 파스너나 박편상 마그넷끼리를 서로 가압하는 것만으로 당해 박스상 용기의 입구를 닫을 수 있고, 또 합착시킨 면 파스너나 박편상 마그넷끼리는 간단하게 박리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아나 고령자에게 있어서도 입구의 개폐가 용이해지고, 포켓 등에 넣어 휴대할 때의 취급성도 우수하다.
종래의 가공 식품이나 과자류의 박스상 포장 용기의 대부분은, 판지나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지는 소정 형상의 1 장의 시트재를 절곡하여, 본체와 덮개가 일체로 된 박스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도 1 의 (a) 는 그러한 포장 용기 (110) 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 의 (b) 는 그러한 포장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시트재 (120) 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의 (b) 에 나타내는 시트재는, 도 1 의 (a) 에 나타나는 포장 용기를 평면으로 전개한 형상을 갖고 있고, 동 도면에 나타내는 접은 자국을 따라 절곡하고, 필요한 지점을 첩착 (貼着) 시키면, 본체 (111) 와 덮개부 (112) 를 갖는 박스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도 1 의 (b) 는, 박스상 포장 용기로 형성되었을 때에 당해 박스의 내면이 되는 측으로부터 시트재 (120) 를 본 도면이고, 그 시트재는, 장방형 배면 부재 (121) 와, 그 배면 부재의 4 변에 각각 연접하는 상하 좌우의 각 측면 부재와, 좌측면 부재 (122) 에 연접하는 좌전면 프레임 부재 (123) 와, 우측면 부재 (124) 에 연접하는 우전면 프레임 부재 (125) 와, 하측면 부재 (126) 에 연접하는 전면 (前面) 부재 (127) 와, 상측면 부재 (128) 에 연접하는 전면 덮개 부재 (129) 로 이루어지는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그 하측면 부재 (126) 의 좌변 및 우변에는, 그 좌 및 우측면 부재 (122 및 124) 에 각각 첩착시키기 위한 첩착편 (126a 및 126b) 이 연접된다.
도 1 의 (b) 에 나타내는 시트재는, 도 1 의 (a) 에 나타내는 포장 용기의 입구를 반복 개폐할 수 있도록, 그 표면에 면 파스너나 박편상 마그넷으로 이루어지는 1 쌍의 합착 부재 (130 및 131) 를 갖는다. 도 1 의 (a) 의 포장 용기 (110) 에 있어서, 1 쌍의 합착 부재 (130 및 131) 는, 본체 (111) 의 외표면의 일부와, 그것에 외측으로부터 합착되는 덮개부 (112) 의 내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1 쌍의 합착 부재를, 박스상으로 형성하기 전의 시트재의 표면에 형성하고, 그 후, 합착 부재가 형성된 시트재를 박스상으로 형성하도록 하면, 1 쌍의 합착 부재는 평면상의 시트재의 표면 또는 이면에 첩착하게 되기 때문에, 합착 부재를 시트재의 어디에라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이 합착 부재를 형성한 시트재는, 제조 과정에 있어서, 시트재를 겹쳤을 때에 시트재끼리가 부착되거나 합착 부재의 두께가 단차가 되어, 포장기의 동작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시트재를 박스상으로 형성한 후, 즉 제조 공정의 최종 단계 (단 내용물을 장전하고 덮개부를 닫기 전) 에 있어서 합착 부재를 형성하도록 하면,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문제는 저감 또는 해소된다. 그러나, 그 경우에는, 박스상으로 형성된 시트재에 1 쌍의 합착 부재를 첩착하게 되기 때문에, 합착 부재의 첩착이 반드시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납하는 공간 및 그 내용물을 그 공간에 넣고 빼기 위한 취출구를 갖고, 1 쌍의 합착 부재에 의해 그 취출구가 반복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포장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취출구를 갖는 포장 용기를 형성하는 형성 공정과, 그 형성 공정에서 형성된 포장 용기에 대해, 그 취출구가 반복 개폐 가능하도록 1 쌍의 합착 부재를 첩착시키는 첩착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이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납하는 공간 및 그 내용물을 그 공간에 넣고 빼기 위한 취출구를 갖고, 1 쌍의 합착 부재에 의해 그 취출구가 반복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포장 용기로서, 그 1 쌍의 합착 부재가, 그 취출구를 갖도록 형성된 포장 용기에 대해 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를 제공하고, 이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도 1 은 종래의 합착 부재가 형성된 박스상 포장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a) 및 그것을 형성하기 위한 합착 부재가 형성된 시트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b) 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기에 적합한 합착 부재가 형성된 포장 용기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a) ∼ (h) 이다.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납하는 공간 및 그 내용물을 그 공간에 넣고 빼기 위한 취출구를 갖고, 1 쌍의 합착 부재에 의해 그 취출구가 반복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포장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취출구를 갖는 포장 용기를 형성하는 형성 공정과, 그 형성 공정에서 형성된 포장 용기에 대해, 그 취출구가 반복 개폐 가능하도록 1 쌍의 합착 부재를 첩착시키는 첩착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취출구를 반복 개폐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1 쌍의 합착 부재, 전형적으로는 박편상 마그넷이나 면 파스너를, 그 취출구를 갖는 포장 용기를 형성한 후에 첩착시킨다. 이로써, 포장 용기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합착 부재의 존재에 의해 겹쳐진 시트재끼리가 부착되거나, 합착 부재의 두께에 의해 형성된 단차가 포장기 내에 걸려, 포장기의 동작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 취출구를 갖는 포장 용기로서 형성되고, 삼차원 형상을 갖게 된 구조체에, 1 쌍의 합착 부재를 첩착시키는 것은, 평면적인 시트재에 1 쌍의 합착 부재를 첩착시키는 것에 비하면, 반드시 용이한 것은 아니다. 특히, 포장 용기가 시트재를 가공함으로써 박스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동일 평면 상에 없는 2 개의 부위에 각각 박편상의 합착 부재를 첩착시키는 조작은, 시트재에 대해 1 쌍의 합착 부재를 첩착시키는 경우와 같이, 동일 평면 상에 있는 2 개의 부위에 각각 박편상의 합착 부재를 첩착시키는 것에 비하여 아무래도 복잡해진다. 본 발명은, 1 쌍의 합착 부재를 다른 부위에 각각 첩착시킬 때에, 복잡한 조작을 하지 않아도 되도록, 당해 첩착 공정에 있어서, 취출구가 봉쇄된 상태에서는, 1 쌍의 합착 부재의 일방이 본체 또는 덮개부의 외면에 형성되고, 취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1 쌍의 합착 부재의 쌍방이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렇다고는 하지만, 본 발명의 방법은, 반드시 1 쌍의 합착 부재를 첩착시키는 부위가 동일 평면상에 오는 구조의 포장 용기를 제조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쌍의 합착 부재를 첩착시키는 조작이 다소 복잡해졌다고 하더라도, 당해 포장 용기를 형성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1 쌍의 합착 부재를 갖고 있지 않은 것에 의한 장점이, 그것을 상회하면 본 발명의 방법을 채용할 의의는 충분히 있기 때문이다.
합착 부재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1 쌍의 박편상 마그넷 (마그넷 시트) 및 면 파스너 외에, 박편상 마그넷과 박편상의 철 시트의 조합이나, 반복 이합 가능한 점착 시트를 사용한 것 등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 취급 용이성 면에서, 1 쌍의 박편상 마그넷 또는 면 파스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적절한 구조의 포장 용기로는, 도 2 의 (a) ∼ (h)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이 있다. 도 2 의 (a) 에 나타내는 것은, 천장판이 개폐되어 덮개부로서 기능하는 직방체 형상의 포장 용기이다. 천장판의 한 변은 본체부의 측판의 하나의 상단변에 연결되어 있고, 천장판은 그 한 변을 지지축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에 의해 당해 용기의 취출구가 개방된다. 천장판의 상기 한 변에 대향하는 변에는 걸림편이 연결되어 있고, 그 걸림편의 내면과 본체의 측판의 하나의 외면 (용기 본체의 전면) 에 각각 첩착된 1 쌍의 합착 부재 (예를 들어 박편상 마그넷이나 면 파스너) 가 합착됨으로써 당해 용기의 취출구가 봉쇄된다 (직접 합착).
또한, 합착 부재로서 강력한 박편상 마그넷을 사용한 경우에는, 걸림편의 외면에 형성한 합착 부재와 본체의 전면에 형성한 합착 부재를 합착시켜도 된다 (간접 합착).
도 2 의 (b) 에 나타내는 것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쳐지는 2 장의 천장판편 (천장면) 이 개폐됨으로써 덮개부로서 기능하는 직방체 형상의 포장 용기이다. 2 장의 천장판편은 본체부의 대향하는 2 장의 측판의 상단변에 각각의 1 변이 연결되어 있고, 각 천장판편은 각각의 상기 1 변을 지지축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에 의해 당해 용기의 취출구가 개방된다. 2 장의 천장판편의 일방 (상측으로부터 겹쳐지는 쪽) 의 하면과 타방 (하측으로부터 겹쳐지는 쪽) 의 상면에 각각 첩착된 1 쌍의 합착 부재가 합착됨으로써, 당해 용기의 취출구가 봉쇄된다 (직접 합착).
또한, 합착 부재로서 강력한 박편상 마그넷을 사용한 경우에는, 상측으로부터 겹쳐지는 천장판편의 상면과 하측으로부터 겹쳐지는 천장판편의 상면, 혹은, 상측으로부터 겹쳐지는 천장판편의 하면과 하측으로부터 겹쳐지는 천장판편의 하면, 상측으로부터 겹쳐지는 천장판편의 상면과 하측으로부터 겹쳐지는 천장판편의 하면에 각각 합착 부재를 형성해도 된다 (간접 합착).
도 2 의 (c) 에 나타내는 것은, 도 2 의 (a) 에 나타내는 것과 유사하지만, 여기서는 천장판 (천장면) 은 2 장의 천장판 시트가 겹친 것으로 이루어지고, 하측의 천장판 시트는 고정되어 있고, 상측의 천장판 시트만이 그 1 변을 지지축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하측의 천장판 시트는 그 일부의 영역이 절취선으로 다른 영역과 구획되어 있고, 절취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은 상측의 천장판 시트와 접착되어 있고, 상측의 천장판 시트가 상방으로 회전하면 절취선으로 절단되어 상측의 천장판 시트와 함께 상방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하측의 천장판 시트의 절취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취출구로서 개방된다. 상측의 천장판 시트의 지지축에 대향하는 변에는, 도 2 의 (a) 의 것과는 상이하게 걸림편은 연결되어 있지 않고, 상측의 천장판 시트의 하면과 하측의 천장판 시트의 상면의 상기 영역 외의 부분에는 1 쌍의 합착 부재가 첩착되어 있고, 이들이 합착됨으로써 당해 용기의 취출구가 봉쇄된다 (직접 합착).
또한, 합착 부재로서 강력한 박편상 마그넷을 사용한 경우에는, 상측의 천장판 시트의 상면에 형성한 합착 부재와, 하측의 천장판 시트의 상면에 형성한 합착 부재를 합착시켜도 된다 (간접 합착).
도 2 의 (d) 에 나타내는 것은, 박스상이 아니라 주머니상의 형태를 하고 있고, 주머니의 입구의 부분에 1 쌍의 합착 부재가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1 쌍의 합착 부재는, 모두 주머니의 내면에 첩착되어 직접 접촉하는 구조여도 되고, 합착 부재로서 강력한 박편상 마그넷을 사용한 경우에는, 그 적어도 일방이 주머니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는데, 본원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려면, 합착 부재로서 강력한 박편상 마그넷을 사용하여 1 쌍의 합착 부재의 쌍방을 주머니의 외면에 첩착시켜 합착시키는 것이 좋다 (간접 합착).
또, 도시하지는 않지만, 주머니의 입구의 부분에, 1 쌍의 합착 부재를 대향시키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약간만 어긋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 수평으로 2 장의 합착 부재를 첩착시킨 주머니의 2 장의 합착 부재의 중간 부분 (상하 방향) 을 수평으로 절곡함으로서, 2 장의 합착 부재가 합착되어, 주머니를 닫을 수 있다.
주머니에 사용하는 소재로는, 종이에 추가하여,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수지, 알루미늄박, 스틸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 의 (e) 에 나타내는 것은, 그 형상이 직방체 (사각 기둥) 가 아니라 육각 기둥인 점을 제외하고, 도 2 의 (b) 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한 구조이다.
도 2 의 (f) 에 나타내는 것은, 상면이 개방된 직방체의 내측 박스와 그 외측을 둘러싸는 외측 박스로 이루어지는 포장 용기이다. 내측 박스가 용기 본체로서 기능하고, 외측 박스가 덮개부로서 기능한다. 내측 박스는 외측 박스와 연결되어 있지 않고, 외측 박스로부터 외부로 미끄러져 나옴으로써 상면이 취출구로서 개방된다. 내측 박스가 미끄러져 나오는 외측 박스의 입구부에 위치하는 내측 박스의 측판의 상단변에는 걸림편이 연결되어 있고, 내측 박스를 외측 박스 중에 완전히 밀어넣은 상태에서 걸림편을 외측 박스의 상면을 향하여 절곡했을 때에, 걸림편의 하면과 외측 박스의 상면에 각각 첩착된 1 쌍의 합착 부재가 합착됨으로써, 당해 용기의 취출구가 봉쇄되어 고정된다 (직접 합착).
또한, 합착 부재로서 강력한 박편상 마그넷을 사용한 경우에는, 걸림편의 상면에 형성한 합착 부재와, 외측 박스의 상면에 형성한 합착 부재를 합착시켜도 된다 (간접 합착).
도 2 의 (g) 에 나타내는 것은, 2 개의 박스상 용기를 경첩상으로 연결한 것으로, 각 맞댐면에 취출구로서 기능하는 개구를 형성하면, 각각의 박스상 용기가 서로 용기 본체 및 덮개부로서 기능하게 된다. 각 맞댐면에 각각 첩착된 1 쌍의 합착 부재가 합착됨으로써, 각 박스상 용기의 취출구가 봉쇄되어 고정된다 (직접 합착).
도 2 의 (h) 에 나타내는 것은, 각 맞댐면에 형성한 개구부를 보다 크게 한 점과, 개구부의 방향을 바꾼 점을 제외하고, 도 2 의 (g) 에 나타내는 것과 거의 동일한 구조이다.
도 2 의 (a) ∼ (h) 에 나타내는 용기는, 도 2 의 (d) 에 나타내는 주머니상 용기를 제외하고, 시트재를 절곡함으로써 박스상으로 형성된 것이며, 그 취출구가 봉쇄된 상태에서, 그 1 쌍의 합착 부재의 일방이 그 본체 또는 그 덮개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 의 (d) 에 나타내는 주머니상 용기를 제외하고, 그 취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그 1 쌍의 합착 부재의 쌍방이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의 용기를 삼차원상으로 형성한 후에도, 1 쌍의 합착 부재를 소정의 지점에 형성하는 조작은 그다지 복잡한 것이 되지는 않는다. 또한, 주머니상의 용기의 입구에 1 쌍의 합착 부재를 형성하는 것은 용이하다.
그런데, 1 쌍의 합착 부재로서 박편상 마그넷 (혹은 박편상 마그넷과 박편상의 철 시트의 조합이어도 된다) 을 형성하는 경우, 그것들이 직접 접촉하여 합착됨으로써 용기의 입구가 닫혀지도록 하면, 당해 마그넷의 자력이 그다지 크지 않은 경우여도 충분한 부착력을 얻을 수 있지만, 당해 마그넷의 자력이 비교적 큰 경우에는, 그것들이 시트재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합착됨으로써 용기의 입구가 닫혀지도록 구성해도 충분한 부착력을 얻을 수 있다.
1 쌍의 합착 부재의 첩착은, 동시에 실시해도 되고, 어느 일방을 먼저 첩착시킨 후, 타방을 첩착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합착 부재의 첩착을 실시하는 포장 용기의 2 개 지점의 소정의 위치 중 어느 일방에, 서로 합착시킨 상태의 한 쌍의 합착 부재를 첩착시키고, 그 상태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합착 부재의 노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후에 포장 용기의 덮개를 닫음으로써, 상기 2 개 지점의 소정의 위치의 다른 일방에, 상기 외측에 위치하는 합착 부재가 첩착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1 쌍의 합착 부재로는, 1 쌍의 박편상 마그넷뿐만 아니라, 박편상 마그넷과 박편상의 철 시트의 조합이어도 되는 것이므로, 1 쌍의 합착 부재를 형성해야 하는 위치의 적어도 일방에 스틸박 등이 사용되고 있는 포장 용기의 경우에는, 그것에 대향하는 위치 쪽에만 박편상 마그넷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1 쌍의 합착 부재의 일방은 당해 용기를 구성하는 부분이라는 것이 되기 때문에, 합착 부재로는 1 장의 박편상 마그넷만을 사용하는 것이 된다.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1 쌍의 합착 부재를 첩착시킨다」라고 했을 때에는, 이와 같은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원발명의 포장 용기는, 도 2 의 (a) ∼ (h) 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이 출원은 2014년 1월 3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4-017287호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그 내용을 인용하여 이 출원의 일부로 하는 것이다.

Claims (8)

  1. 내용물을 수납하는 공간 및 그 내용물을 그 공간에 넣고 빼기 위한 취출구를 갖고, 1 쌍의 합착 부재에 의해 그 취출구가 반복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포장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취출구를 갖는 포장 용기를 형성하는 형성 공정과, 그 형성 공정으로 형성된 포장 용기에 대해, 그 취출구가 반복 개폐 가능하도록 1 쌍의 합착 부재를 첩착시키는 첩착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기가, 시트재를 절곡함으로써 박스상으로 형성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재가, 종이 또는 판지로 이루어지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 쌍의 합착 부재가, 1 쌍의 박편상 마그넷 또는 면 파스너인 방법.
  5. 내용물을 수납하는 공간 및 그 내용물을 그 공간에 넣고 빼기 위한 취출구를 갖고, 1 쌍의 합착 부재에 의해 그 취출구가 반복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포장 용기로서, 그 1 쌍의 합착 부재가, 그 취출구를 갖도록 형성된 포장 용기에 대해 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기가, 시트재를 절곡함으로써 박스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취출구를 갖는 본체와, 그 취출구를 봉쇄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덮개부로 이루어지고, 그 취출구가 봉쇄된 상태에서, 그 1 쌍의 합착 부재의 일방이 그 본체 또는 그 덮개부의 외면에 형성되고, 그 취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그 1 쌍의 합착 부재의 쌍방이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도록 구성된 포장 용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재가, 종이 또는 판지로 이루어지는 포장 용기.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1 쌍의 합착 부재가, 1 쌍의 박편상 마그넷 또는 면 파스너인 포장 용기.
KR1020167023708A 2014-01-31 2015-01-28 포장 용기 및 그 제조를 위한 시트 KR201601159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17287A JP6308791B2 (ja) 2014-01-31 2014-01-31 包装容器およびその製造のためのシート
JPJP-P-2014-017287 2014-01-31
PCT/JP2015/000369 WO2015115096A1 (ja) 2014-01-31 2015-01-28 包装容器およびその製造のための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960A true KR20160115960A (ko) 2016-10-06

Family

ID=53756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708A KR20160115960A (ko) 2014-01-31 2015-01-28 포장 용기 및 그 제조를 위한 시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08791B2 (ko)
KR (1) KR20160115960A (ko)
WO (1) WO20151150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205243D0 (en) 2012-03-26 2012-05-09 Kraft Foods R & D Inc Packaging and method of opening
GB2511559B (en) 2013-03-07 2018-11-14 Mondelez Uk R&D Ltd Improved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Packaging
GB2511560B (en) 2013-03-07 2018-11-14 Mondelez Uk R&D Ltd Improved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Packaging
EP2944575A1 (en) 2014-05-16 2015-11-18 JT International S.A. Process for producing a pack of smoking articl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81Y2 (ja) * 1990-07-05 1995-02-01 株式会社マルタボール 蓋付包装用容器
US5316141A (en) * 1992-10-09 1994-05-31 Jalomo Bernabe F Remote control cover
US20050230465A1 (en) * 2004-04-17 2005-10-20 Metzler Steven P Resealable container with magnetic closure system
CA2711331C (en) * 2008-01-18 2013-10-08 Japan Tobacco Inc. Cigarette package
BR112013010024A2 (pt) * 2010-10-27 2016-08-02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embalagem para acomodar produto a qual pode ser fechada de forma magnétic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43124A (ja) 2015-08-06
JP6308791B2 (ja) 2018-04-11
WO2015115096A1 (ja)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1062B2 (en) Method of making packaging container for bulk solids
JP5280143B2 (ja) 可撓性素材でできた、特に粒状または粉末状製品用のスタンドアップパッケージ
US3765595A (en) Heat sealed food container
JP5430889B2 (ja) 特に液体、粘体、糊体、粒体または粉体製品のための、直立型の開閉容易な可撓性材料製のパッケージ
JP6957498B2 (ja) 開封が簡単なタブを含む再密封可能な容器
US20050147328A1 (en) Resealable package
KR20160115960A (ko) 포장 용기 및 그 제조를 위한 시트
CA2966622C (en) A package assembly, a blank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ckage assembly
KR102377959B1 (ko) 샌드위치 포장용 봉지 및 포장 샌드위치
KR20170017715A (ko) 샌드위치 포장용 봉지
KR20150136586A (ko) 포장 용기 및 그 제조를 위한 시트
JP6057410B2 (ja) 紙製包装容器
CN108137187B (zh) 包含插入件的可重复密封的容器和其制造方法
TW201410564A (zh) 板狀物品用之包裝構造,包裝容器及個別包裝
JP2015113157A (ja) 食品包装袋
EP3006361A1 (en) Container
JP2006321517A (ja) 包装袋
JP6461550B2 (ja) おにぎり包装材及び該包装材に包装されたおにぎり包装体
JP2022118836A (ja) 食品包装用袋
JPH09328143A (ja) 袋容器、箱容器、袋容器形成シート及び袋容器を箱状容器に組み立てる方法
RU2564591C2 (ru) Упаковка для порционируемого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JP3077569U (ja) 食品包装袋
JP3161914U (ja) 横開封カートン
JP2013169995A (ja) 自立型包装袋
JP2009234586A (ja) 化粧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