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9412A - 위사 필러 및 위사 검지 방법 - Google Patents

위사 필러 및 위사 검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9412A
KR20030089412A KR10-2003-0006865A KR20030006865A KR20030089412A KR 20030089412 A KR20030089412 A KR 20030089412A KR 20030006865 A KR20030006865 A KR 20030006865A KR 20030089412 A KR20030089412 A KR 20030089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slit
filler
guide
guid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6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2848B1 (ko
Inventor
토시히로 기나메리
신이찌 혼고
Original Assignee
호쿠료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쿠료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호쿠료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9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8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18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34Weft stop mo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liquid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2700/00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looms; Weavening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Shuttles
    • D03J2700/06Auxiliary devices for inspecting, counting or meas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위사 필러(feeler) 및 위사 검지 방법은 바디침에 따른 위사의 통과를 허용하는 슬릿을 구비한 위사 필러에서 위사를 확실하게 검지하기 위한 것이다. 위사 검지 방법은 적어도 필러 본체에 형성된 슬릿의 광축보다도 위사 입구측의 영역을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슬릿의 연재방향에 연장하는 한쌍의 안내부를 슬릿에 대해서 중복하도록 위사 삽입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안내부를 갖는 위사 필러에서 위사 삽입되는 위사를 바디침에 따라 상기 안내부를 결합시킨 상태로 상기 슬릿간을 통과시켜서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사 필러 및 위사 검지 방법{Weft Feeler and Method of Weft Detection}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제트 룸(jet room)과 같은 무저 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필러 및 위사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얇은 판상을 한 이른바, 테이프 형상의 위사(플랫 얀(flat yarn) 즉 플랫 위사)를 이용한다. 테이프와 같은 직포(기포(基布))의 생산에는 지금까지 레피아 직포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레피아 직기에서는 직포의 생산성을 높이는 것에 한계가 있다. 현재는 위사 삽입 노즐과 위사 필러 등의 위사 삽입 부재(部在)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테이프 형상의 직포를 물분사 직기로 제직(製織)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트 직기의 위사를 검지 가능한 위사 필러의 1개로서 위사가 바디침에 따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슬릿을 필러 본체에 설치하여 위사 삽입 압력수의 일부가 체류하도록 하고, 상기 필러 본체에 위사 검지용 광선의 광축을 상기 광선이 슬릿을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형성한 종래 기술이 있다(특허공개 소57-13653호).
이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위사가 슬릿을 통과할 때에 슬릿 내에서의 위사 검지용 광선의 광로를 가로지르는 것에 의해서 수광(受光) 소자를 향하는 광선에 광량 변화를 발생시켜서 그 광량 변화에서의 유무를 검지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테이프 형상의 위사가 반투명의 위사의 경우, 그 위사가 물에 젖으면 무색투명의 상태가 되어 그 결과 위사가 슬릿을 통과하여도 수광 소자에의 광량(수광량)의 변화를 얻을 수 없고 위사를 검지할 수 없다.
또한 물분사 직기로 슬릿 내부로의 위사 삽입용 분사수의 진입을 방지하는 기술로서 다양한 위사 필러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개평 6-184880호, 특개평 10-168712호). 그러나 어느 하나의 종래 기술도 테이프 형상의 위사 검지에 대해서는 어떠한 고려도 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디침에 따른 위사의 통과를 허용하는 슬릿을 구비한 위사 필러에 있어서, 특히 위사를 확실하게 검지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사 필러를 구비한 직기 요부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직기에서 이용하는 위사 필러를 위사 삽입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위사 필러의 전기회로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1개의 안내수단을 이용한 실험에 의해서 얻은 전기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안내수단을 이용한 실험에 의해서 얻은 전기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안내수단을 이용한 실험에 의해서 얻어진 전기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위사 필러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위사 필러에서 위사의 자세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도 7에서의 A점, (B)는 도 7에서의 B점, (C)는 도 7에서의 C점, (D)는 도 7에서의 D점에서의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위사 필러의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위사 필러의 제4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위사 필러의 제5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위사 필러의 제6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위사 필러의 제7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위사 필러의 제8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위사의 이동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B)는 오목부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D)는 오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위사 필러의 제9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위사 필러의 제10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위사 필러 12: 위사
14: 경사(經絲) 16: 직포
20: 필러 본체 22, 24, 92, 94: 안내수단의 안내부재
30: 슬릿(slit) 34, 36: 필러 본체의 안내부재
38, 40: 광섬유 46, 48, 96, 98: 안내면
50, 52: 위사 수입구 56: 광축
58: 위사의 이동방향 100: 볼록부
102, 110: 오목부 112: 선재(線材)로서의 털
114: 지지부재
본 발명에 다른 위사 필러는 위사 검지용의 광선이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는슬릿으로서 위사 입구의 일단(一端)에 구비하는 슬릿을 갖는 필러 본체와 상기 필러 본체의 측방에 배치되어 위사를 안내하는 안내면을 갖는 위사 안내 수단을 포함하고, 안내면은 위사의 통과를 허용하는 각도로 상하방향에서의 상기 슬릿 위치의 근방을 상기 슬릿의 연재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여기서 「슬릿 위치의 근방」은 슬릿을 통과하는 위사가 안내부재의 안내면에 접촉하여도 상기 안내면에 의해서 위사의 통과를 저해하지 않은 슬릿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포함한다.
상기의 위사 필러에 있어서 위사는 슬릿을 통과하는 도중에 있어서 안내면에 의해서 안내되어 진행함으로서 자세가 변경되고, 슬릿 내부의 위사 부분의 자세도 변경된다. 이것에 의해서 위사는 슬릿 내부에 체류하는 물을 퍼내도록 슬릿 내부를 진행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서 보다 큰 요동이 슬릿 내부의 물에 발생한다.
상기 결과 위사 필러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서 물의 요동에 의한 큰 광량 변화가 슬릿을 통과하는 광선에 확실하게 발생하고, 수광 소자에서의 수광량 신호의 변화도 크고 또한 확실하게 발생하여 위사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위사 필러는 위사 검지용의 광선이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는 슬릿으로서 위사 입구를 일단에 구비하는 슬릿을 갖는 필러 본체와 상기 필러 본체의 측방에 배치되어 위사를 안내하는 안내면을 갖는 안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 및 상기 안내면의 적어도 한쪽은 상하방향에서의 상기 슬릿의 위치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움푹 들어간 복수의 오목부 또는 상하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볼록부를 상기 슬릿의 연재방향으로 연장하는 단면에 갖는다.
다른 위사 필러에 있어서 위사는 슬릿을 통과하는 도중에 안내면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따라 진행함으로서 진동을 발생하면서 슬릿 내부를 진행한다. 이것에 의해서 종래에 비해서 보다 큰 유동이 슬릿 내부의 물에 발생한다.
상기 결과, 다른 위사 필러에 의하면 최초의 위사 필러와 동일한 형태로 종래에 비해서 큰 광량 변화가 슬릿을 통과하는 광선에 확실하게 발생하고 수광 소자에서의 수광량 신호의 변화도 크게 또는 확실하게 발생하여 위사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상기 안내면은 상기 슬릿에 대한 높이 위치영역을 상하방향의 어느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횡단하여도 좋고 또는 적어도 상기 광축보다도 상기 위사 입구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더욱이, 상기 안내 수단은 위사를 상기 안내면에 누르는 보조 안내면을 상기 안내면에 대해서 상기 필러 본체와 반대측에 간격을 두고 가질 수 있다. 그와 같이 하면 위사가 확실하게 안내면을 따라서 이동하기 때문에 물의 유동이 보다 확실하게 크게 된다.
상기 안내면은 상기 필러 본체에 대해서 위사 삽입 방향 상류측에 배치된 안내부재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와 같이 하면 안내부재가 필러 본체에 대한 방수판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방수를 위한 개별의 부재를 일부러 설치할 필요가 없고 구조가 간략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위사 필러는 위사 검지용의 광선이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는 슬릿으로서 위사 입구를 일단에 구비하는 슬릿을 갖는 필러 본체와 상하방향에서의 상기 슬릿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요성의 복수의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선재(線材)는 상기 슬릿과 상기 필러 본체의 측방에 배치된 부재와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다른 위사 필러에 있어서 위사는 슬릿을 통과하는 도중에 부재에 결합하면서 슬릿 내부를 통과하기 때문에 선재의 가요성에 의해서 자세가 변경되어, 슬릿 내부의 위사 부분의 자세도 변경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종래에 비해서 보다 큰 유동이 슬릿 내부의 물에 발생한다.
더욱이 상기 결과 다른 위사 필러에 의하면 상기 2개의 위사 필러와 동일한 형태로 종래에 비해서 물의 유동에 의한 큰 광량 변화가 슬릿을 통과하는 광선에 확실하게 발생하고, 수광 소자에서의 수광량 신호의 변화가 크게 또한 확실하게 발생하여 위사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더욱이 다른 위사 필러는 상기 필러 본체의 측방에 배치되어 위사를 안내하는 안내면을 갖는 위사 안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선재는 상기 안내면에 형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위사 검지 방법은 물이 체류하고 또한 위사 검지 방법의 광선이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는 슬릿으로서 위사 입구의 일단에 구비하는 슬릿을 갖는 필러 본체와 적어도 상기 광축보다도 상기 위사 입구측의 영역을 포함하는 범위내에서 상기 슬릿의 연재방향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안내부로서 상기 슬릿에 대해서 중복하도록 상기 필러 본체의 측방에 위사 삽입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안내부를 갖는 위사 안내 수단을 포함하는 위사 필러에 의한 위사 검지 방법에 있어서,위사 삽입되는 테이프 형상의 위사를 바디침에 따라 상기 안내면에 결합시킨 상태로 상기 슬릿간을 통과시켜서 검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위사 검지 방법에 있어서 위사는 광축보다도 위사 입구측에 있어서 양쪽 안내부에 접촉하여 굴곡되면서 슬릿을 통과한다. 이것에 의해서 위사에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슬릿 내부에 체류하는 물에 유동이 발생하고 슬릿을 통과하는 광량이 변화한다. 이 결과 수광 소자에서의 수광량 신호의 변화가 크고 또한 확실하게 발생하여 위사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상기 양쪽 안내부의 상하방향에서의 중복량 및 양쪽 안내부의 간격의 적어도 한쪽은 위사가 상기 슬릿을 통과할 때에 진동을 발생하고 또한 위사의 통과를 허용하는 범위에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그와 같이 하면 위사의 진동이 보다 크게되기 때문에, 그 만큼 물의 유동이 크게 되고 위사를 보다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상기 위사는 해당 위사가 통과할 때의 상기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수광량 신호에 의거하여 검지할 수 있다.
상기 양쪽 안내부는 상기 필러 본체에 대해서 위사 삽입 방향 상류측에 배치된 안내부재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와 같이 하면 안내부재가 필러 본체에 대한 방수판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방수를 위한 개별적인 부재를 일부러 설치할 필요가 없고 구조가 간략화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도 1을 참조하면, 위사 필러(10)는 테이프 형상의 플랫 위사를 위사(12) 및 경사(經絲)(14)로서 이용하고, 테이프 형상 즉 띠상의 기포 즉 직포(16)를 제직하는 물분사 직기에 이용되고 있다. 플랫 위사를 위사(12)만으로 이용하는 직기에 이용하여도 좋다.
위사(12)는 도시하지 않은 위사 삽입 노즐용의 압력수와 함께 분사되어, 두께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된 경사(14)의 개구내에 두께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된 상태로 위사 삽입되어 바디(18)에 의해 직전(織前)에 부딪혀서 직포(16)에 섞어 넣어 짜여진다.
위사 필러(10)는 기부(基部) 및 선단부의 경계에 있어서 골곡되어 평면적으로 보아 L자형을 한 필러 본체(20)와 필러 본체(20)의 선단부에 필러 본체(20)에서 위사 삽입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위사(12)의 안내수단으로서 작용하는 한쌍의 안내부재(22, 24)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필러 본체(20)는 반(反)위사 삽입측 직단(織端)보다도 위사 삽입측에 검지 영역을 갖기 위한 직단 단측에서 연장하는 상·하의 부재(34, 36)에 의해서 상하방향에서 직포를 삽입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위사 필러(10)는 안내부재(22, 24)가 필러 본체(20)에 대해서 위사 삽입 방향에서의 상류측이 되도록 필러 본체(20)의 기부에서 설치부재(26)에 의해서 템플바(28)에 위사 삽입 방향 및 상하방향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러 본체(20)는 바디침에 따라 위사(12)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슬릿(30)을 선단부에 가지고 있으면서 슬릿(30)을 통과하여바디침을 한 위사(12를 대시시키는 개방공간(32)을 갖고 있다.
슬릿(30)은 위사(12)의 검지통로로서 작용하도록 개방공간(32)으로부터 작은 일정한 폭의 치수를 갖고 있으며 또한 위사(12)의 이동방향(58)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다. 슬릿(30)의 폭 치수(상하방향에서의 치수)는 분사된 물방울의 일부가 필러 본체(20)의 표면을 이동하여 슬릿(30)의 내부에 진입하여 항상 물이 슬릿(30) 내부에 체류하는 것과 같은 값, 예를 들면 수mm로 할 수 있다.
개방공간(32)은 기부에서 선단부에 걸쳐서 연장하고, 슬릿(30)에 연속하여 있다. 이 때문에 필러 본체(20)의 적어도 선단부는 슬릿(30) 및 개방공간(32)에 의해서 위사(12)가 통과 가능한 상하의 부재(34, 36)에 분할되어 있다.
결국, 상부 및 하부 부재(34 및 36)는 각각 위사(12)를 부재(34 및 36)의 선단부에서 부재(34 및 36)의 하부 단면 및 상부 단면을 향하여 내부 방향에 유도하도록 위사의 진입방향에 연재하는 유도면을 선단부에 형성하면서 부재(34 및 36)의 하부 단면 및 상부 단면의 가운데, 유도면에 이어지는 제1의 면영역(面領域)을 소정의 시간만큼 상하방향으로 이간시켜서 평행하게 연재시키는 것에 의해서 슬릿(30)을 형성하고, 더욱이 제1의 면영역에 이어지는 제2의 면영역을 제1의 면영역보다 더욱 상하방향으로 이간시켜서 평행하게 연재시키는 것에 의해서 개방공간(32)을 형성하고 있다.
필러 본체(20)는 도시하지 않은 투광 소자로 발생된 위사 검지용의 광선을 슬릿(30)에 안내하는 광섬유(38)와 슬릿(30)을 통과한 슬릿(30)을 통과한 광선을 받아 그 광선을 도시하지 않은 수광 소자에 안내하는 광섬유(40)를 구비하고 있다.이것에 의해서 슬릿(30)을 통과하는 광선의 광로와 그 광축(56)이 슬릿(30)에 형성되어 진다.
도시의 예에서는 투광 소자에 접속된 광섬유(38)를 상부 부재(34)에 배치하고 수광 소자에 접속된 광섬유(40)를 하면, 하부 부재(36)에 배치하고 있지만 양쪽 광섬유의 위치관계를 상하 반대로 하고 광섬유(38)를 하부 부재(36)에 배치하고 광섬유(40)를 상부 부재(34)에 배치하여도 좋다.
안내부재(22 및 24)는 슬릿(30)을 위사 삽입측에 두고 함께 덮도록 안내부재(24)가 안내부재(22)에 대해서 반위사 삽입측(필러 본체(20)측)에 위치하도록 각각 도 1에 나타내는 스페이서(42 및 44)와 도시하지 않은 나사부재에 의해서 필러 본체(20)에 위사 삽입 방향(도 2(A))에서 지면(紙面)에 수직의 방향)으로 간격(D)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안내부재(22)의 선단부의 하단 영역과 안내부재(24)의 선단부의 상단 영역은 상하방향에서의 슬릿(30)의 높이 위치와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중복량(D1)만큼 슬릿(30)에 대해서 중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안내부재(22)의 선단부의 하단 영역과 안내부재(24)의 상단부의 상단 영역은 각각 위사(12)를 안내하는 안내부로서 작용하고 그 안내부의 하면 및 상면은 각각 슬릿(30)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안내면(46 및 48)으로서 작용한다.
안내부재(22 및 24)에 부재(34 및 36)의 선단면은 바디침에 따라 이동하는 위사(12)를 받아들여서 대응하는 안내부재(22 및 24) 사이 및 부재(34 및 36)사이에 유도하도록 각각 호상의 유도면으로 되어 있으면서 위사 입구(50 및 52)를 각각함께 형성하고 있다.
안내부재(22 및 24)는 필러 본체(20)의 개방공간(32)과 동일한 형태의 취지의 개방공간(54)과 함께 형성하고 있다. 개방공간(54)은 안내부재(22, 24)의 안내면(46, 48) 사이의 간격으로 연결하고 있다.
위사 삽입 시, 위사(12)는 도시하지 않은 위사 삽입 노즐에서 압력수와 함께 분사된다. 이 때, 안내부재(22, 24)는 필러본체(20)에 대한 방수판으로서 작용한다. 이 때문에 압력수가 슬릿(30)에 작접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른바, 방수를 위한 개별의 부재를 일부러 설치할 필요가 없고 위사 필러의 구조가 간략화된다.
위사(14)의 개구에 위사 삽입된 위사(12)가 바디침 될 때 위사(12)는 바디침에 따라 도 2에 나타내는 화살표의 높이 위치를 그 화살방향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서 위사(12)는 먼저 안내수단의 안내부재(24)의 선단의 호상 유도면에 접속하고, 이어서 안내부재(22)의 선단의 호상 유도면에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서 위사(12)는 양쪽 호상 유도면에 의해서 안내되어 위사 수입구(50)에서 안내부재(22, 24)의 사이의 들어간다.
이어서 위사(12)는 필러 본체(20)의 부재(34, 36)의 선단의 호상 유도면에 접속하고 양쪽 호상 유도면에 의해서 안내되어 위사 수입구(52)에서 부재(34, 36)으 사이의 슬릿(30)에 들어간다.
이어서 위사(12)는 안내부재(22, 24)의 사이 및 슬릿(30) 내부를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개방공간(32, 54)에 이동한다. 위사(12)는 슬릿(30)을 이동할 때에 슬릿(30)을 통과하는 광선을 차단한다. 이것에 의해서 수광 소자에서의 수광량이 변화하고 수광량 신호가 변화한다. 그러나 위사가 반투명 플랫 위사의 경우, 그와 같은 위사는 위사 삽입에 의해서 물에 젖으면 무색투명의 상태가 되고, 그 결과 위사가 슬릿(광로)을 통과하여도 수광량의 변화가 얻어지지 않는다.
위사(12)는 안내면(46, 48)을 형성하고 있는 안내부가 중복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부재(22, 24)의 사이를 이동할 때, 도 2(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부재(22)의 안내면(46)에 의해서 안내부재(24)의 안내면(48)이 눌려지면서 위사 검지용 광선의 광축보다도 위사 입구(50)측에서 양쪽 안내면(46, 48)에 접촉하고 굴곡되면서 슬릿(30)을 통과한다.
결국, 위사(12)는 바디침 운동에 의해서 양쪽 안내면(46, 48)에 접촉하고 만곡하면서 이른바 바짝 당겨지면서 양쪽 안내면(46, 48)을 통과한다. 이것에 의해서 큰 진동이 안내면(46, 48)을 통과하는 위사 부분에 발생하고 이 진동이 슬릿(30) 내부를 통과하는 위사 부분에도 이동하기 때문에 위사(12)에 큰 진동이 발생한다. 그 결과, 슬릿(30) 내부에 체류하는 물에 큰 유동이 발생하고 슬릿(30)을 통과하는 광량이 크게 변화한다. 결과적으로, 수광 소자에서의 수광량 신호의 변화가 크게 또는 확실하게 발생하고 위사(12)가 확실하게 검지된다.
안내부재(22, 24)의 안내부의 중복량(D1) 및 간격(D2)은 수광 소자에서의 실제의 수광량 신호의 발생상황을 관찰하면서 적당한 값으로 설정된다. 중복량(D1) 및 간격(D2)은 위사(12)의 종류(특히 폭 치수)에 따라서 예를 들면, 중복량D1=0.7 mm∼3mm와 간격 D2=0.7mm∼2mm으로 할 수 있다.
중복량(D1)을 크게 하거나 또는 간격(D2)을 작게 하면 위사가 슬릿(30), 특히 광축보다 위사 삽입 입구측의 영역을 통과할 때의 위사의 진동이 커진다. 그러나 중복량(D1) 및 간격(D2)은 위사의 통과를 방해하지 않은 범위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중복량(D1) 및 간격(D2)의 적어도 한쪽은 위사(12)가 슬릿(30)을 통과할 때에 진동을 발생하고 또한 위사(12)의 통과를 허용하는 범위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러 본체(20)와 안내부재(24)와의 간격은 양자의 사이에 물이 체류하지 않은 값, 예를 들면 2mm에서 5mm 정도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사 필러(10)는 더욱이 광원으로서의 투광기(投光器)(60)와 투광기(60)에서 슬릿(30)을 지난 광선을 수광하는 수광기(62)와 수광기(62)에서의 검출신호 즉 수광량 신호를 증폭하는 교류 증폭 회로(64)와 위사 검지를 위한 임계값을 설정하는 임계값 설정기(66)와 증폭기(64)의 출력신호 및 임계값을 이용하여 위사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별회로(68)를 포함한다.
투광기(60)는 위사 검지용의 광선을 도 2에서의 광섬유(38)에 지향시키고 수광기(62)는 광섬유(40)에서의 광선을 받아서 수광량에 대응하는 전기신호(즉 수광량 신호)를 발생한다.
교류 증폭 회로(64)는 도시의 예에서는 커플링 콘덴서(70) 및 투광기(72)를 수광기(62)의 출력과 연산 증폭기(74)의 마이너스측 입력과의 직렬에 접속하고 귀환용의 가변 저항기(76)를 연산 증폭기(74)에 병렬적으로 접속하고 연산 증폭기(74)의 플러스측 입력을 어스(earth)에 접속하고 있다.
즉, 교류 증폭 회로(64)는 반전 증폭기를 구성하고 있으며 수광기(62)에서의 검출신호를 커플링 콘덴서(70)에 통과하여 그 교류성분을 연산 증폭기(74)에 입력하여 교류성분의 신호를 연산 증폭기(74)에 있어서 가변 저항기(76)로부터 결정되는 증폭도에 따라서 위상 판정하여, 위상 반전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판별회로(68)는 소정의 검지시간을 갖는 타이밍 신호를 입력했을 때, 그 때의 수광량 신호의 레벨이 임계값 설정기(66)에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임계값 이상일 때는 위사가 있는 신호를 또는 임계값 미만일 때는 위사 없는 신호를 각각 단자(80)에 논리 출력한다. 위사 없는 신호는 직기를 정지시키는 이상신호로서 이용할 수 있다.
위사 검지용의 타이밍 신호는 직기의 주축(82)에 이 주축(82)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던 집게(84)를 근접센서(86)로 검지하는 것에 의해서 발생된다. 그와 같은 타이밍 신호로서 주축(82)의 회전각도로 315°에서 345°의 검지기간을 갖는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형상의 필러 본체(20) 및 안내부재(22, 24)를 이용하여, 안내부재(22, 24)의 중복량(D1) 및 간격(D2)을 변경했을 때, 오실로그래피에 얻어진 신호 파형을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측정조건
(1) 위사는 두께 0,02mm 및 폭 4.2mm의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했다.
(2) 직기의 회전수는 600rpm으로 했다.
(3) 필러 본체(20)와 안내부재(24)와의 간격은 3mm로 했다.
(4) 안내부재(22, 24)의 간격(D2)은 1mm로 했다.
(5) 위사 검지용 타이밍 신호(FT)는 도 3에서의 검출 센서(86)의 출력점(A)에서 검출했다. 도 4 및 도 5의 어느 하나의 경우도, 회전각도로 315°에서 345°의 검지기간을 가지고 있었다.
(6) 위사 신호(FSIG)는 도 3에서의 교류 증폭기(64)의 출력점(B)에서 검출했다.
안내부재(22, 24)의 중복량(D1)에 대해서 도 4에 나타내는 파형은 0.5mm, 도 5에 나타내는 파형은 2mm로 했다.
참고로, 통상의 위사의 위사 삽입 시에서의 신호파형을 도 6에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나일론(50d)의 위사를 이용하여 직기를 650rpm으로 회전시킨 것을 제외하고, 도 4에 나타내는 파형의 때의 조건과 동일하게 했다.
도 4의 파형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안내부재(22, 24)의 중복량(D1)이 적으면 반투명의 위사는 이것이 물에 적을 경우 더욱 무색 투명 상태로 되어 위사가 필러 본체의 슬릿 및 안내수단의 안내부재 사이를 통과할지라도 슬릿을 통과할 때의 위사의 진동에 기인하여 수광 신호가 변화하는 위사 신호는 얻을 수 없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 명백한 것처럼, 검지가 비교적 용이한 일반적인 위사에서는 중복량(D1)이 도 4에 나타내는 예와 동일하여도 수광 신호의 변화가 크고 따라서 레벨이 큰 위사 신호가 1회전 발생하고 있다. 이 위사 신호의 발생시에는 위사가 바디침에 의해서 슬릿 내부의 광축을 통과하는 시기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중복량(D1)을 크게하는 것에 의해서 도 6에 나타내는 예에 비해서 낮은 레벨이지만 비교적 긴 기간에 걸쳐서 위사 신호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4.2mm의 폭이 넓은 위사의 검지는 도 5에 나타내는 예에 의해서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스트로보 발광에 의해서 위사의 통과 자세를 관찰한 결과, 도 6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안내부재(22, 24)의 안내면(46, 48)을 통과할 때 위사가 폭 방향으로 굴곡된 상태로 통과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때문에, 도 5의 예에서는 위사의 진동이 거의 안정적으로 발생하고, 그것에 의해서 위사 신호가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서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위사의 폭 치수가 작아지면 위사 신호의 레벨이 작아지는 것도 확인되었다. 그 원인을 확인하기 위한 상기와 동일한 형태로 스트로보 발광에 의해서 위사의 통과자세를 관찰한 결과, 폭 치수의 작은 위사는 굴곡이 없는 상태로 안내부재(22, 24)의 안내면(46, 48)을 통과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폭 치수가 작은 위사라도 위사가 폭 방향으로 구부러진 상태로 안내부재(22, 24)의 안내면(46, 48)을 통과하는 안내수단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안내수단의 안내부재(92)의 선단부 하단 영역과 안내부재(94)의 선단부의 상단 영역은 상하방향에서의 슬릿(30)의 높이 위치와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중복량(D1)만큼 슬릿(30)에 대해서 중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안내부재(22)의 선단부의 하단영역과 안내부재(24)의 선단부의 상단영역은 위사(12)를 안내하는 안내부로서 작용하고, 그들 안내부의 하면 및 상면은 각각 안내면(96 및 98)으로서 작용한다.
안내부재(92)의 안내면(96)은 위사(12)의 이동면과 슬릿(30)에 대해서 위사 입구(50)에서 개방공간(45)을 향해서 경사(傾斜) 하부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어 슬릿(30)의 높이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을 비스듬하게 횡단하는 경사 안내면으로 되어 있다. 안내부재(94)의 안내면(98)은 위사(12)의 이동면과 슬릿(30)에 대해서 위사 삽입 입구(50)에서 개방공간(54)을 향해서 경가 상부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어 슬릿(30)의 높이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을 비스듬하게 횡단하는 경사 안내면으로 되어 있다. 어느 하나의 경사 안내면도 수평방향으로 볼 때 슬릿(30)을 비스듬하게 횡단하여 상하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바디침을 할 때 위사(12)는 바디침에 따라 화살표의 높이 위치를 그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서 위사(12)는 우선 안내수단의 안내부재(94)의 호상 유도면에 접합하고, 이어서 안내부재(92)의 호상 유도면에 접합한다. 이것에 의해서 위사(12)는 안내부재(92, 94)의 호상 유도면에 의해서 안내되어 위사 수입구(50)에서 안내부재(92, 94)의 사이에 삽입한다.
이어서, 위사(12)는 필러 본체(20)의 안내부재(94, 96)의 선단의 호상면에 접합하여 그들 호상 유도면에 의해 안내되어 서서히 굴곡되면서 위사 수입구(52)에서 안내부재(94, 96)의 사이의 슬릿(30)에 들어간다.
이어서, 위사(12)는 안내부재(92, 94)의 사이 및 슬릿(30) 내부를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개방공간(32, 54)에 이동한다. 이 사이, 위사(12)는 안내부재(92)의 안내면(96) 및 안내부재(94)의 안내면(98)의 쌍방에 접하여 굴곡되면서 바디침 방향으로 진행한다.
결국, 안내부재(92)는 안내부재(94)에 대해서 필러 본체(94)와 반대측 즉, 위사 삽입측의 측방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안내부재(92)의 안내면(96)은 위사(12)를 이것으로부터 필러측에 설치된 안내부재(94)의 안내면(98)에 눌려지는 보조 안내면으로서 기능한다.
위사(12)는 이것이 슬릿(30)을 이동할 때 슬릿(30)을 통과하는 광선을 차단한다. 이것에 의해서, 수광 소자에서의 수광량이 변화하고 수광량 신호가 변화하기 때문에 수광량 신호의 변화를 기초로 위사(12)의 유무가 검지된다.
위사(12)는 경사진 안내면(96, 98)에 눌려서 굴곡하면서 안내부재(92, 94)의 사이를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 도중에 자세를 변경하여 슬릿(30) 내부의 위사부분의 자세도 변경된다. 이것에 의해서 위사는 슬릿(30) 내부에 체류하는 물을 퍼내기 위해서 슬릿(30) 내부를 진행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서 보다 큰 유동이 슬릿(30) 내부의 물에 발생한다.
위사(12)가 안내부재(92, 94)를 이동할 때의 상태를 도 8에 나타낸다.
위사(12)는 화살표로 나타내는 높이 위치를 우선 안내부재(94)에 접합하고 그 안내부재(98)에 의해서 밀어 올리는 슬릿(30)의 상면에 접촉하고, 이어서 안내부재(92)에 접합하여 그 안내면(96)에 의해서 눌려서 밑으로 내려지고 뒤틀린다.
이어서, 위사(12)는 안내면(96, 98)이 중복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도 7의 8A점에 이동되면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더욱 뒤틀린다.
이어서, 위사(12)는 도 7의 8B점에 이동되면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부재(94)에 의해서 더욱 눌려지는 것에 의해서 크게 굴곡되는 것과 함께 급사측에 끌어당겨진다.
이어서, 위사(12)는 광축(56)의 위치인 도 7의 8C점에 이동되면,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전한 상태로 뒤틀려진다.
이어서, 위사(12)는 도 7의 8D점에 이동되면 도 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부재(92)에 의해서 더욱 눌려지는 것에 의해서 슬릿(30)의 높이 위치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눌려지고, 슬릿(30)의 하부면에 접촉한다.
상기와 같이, 위사(12)의 통과를 허용하는 각도로 상하방향에서의 슬릿(30)의 위치의 근방을 슬릿(30)의 연재방향 및 상하방향의 양쪽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경사 안내면(96, 98)을 갖는 안내부재(92, 94)를 이용하면, 위사(12)가 자세를 변경하여 안내부재(92, 94)의 사이를 이동하기 때문에, 슬릿(30) 내부의 위사 부분의 자세도 변경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위사(12)는 바디침 운동에 따라 자세를 변경하면서 슬릿(30) 내부에 체류하는 물을 퍼내도록 슬릿(30) 내부를 진행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서 보다 큰 유동이 슬릿(30) 내의 물에 발생한다. 그 결과, 종래에 비해서 물의 유동에 의한 큰 광량 변화가 슬릿(30)을 통과하는 광선에 확실하게 발생하고, 수광 소자에서의 수광량 신호의 변화도 크게 또한 확실하게 발생하여 위사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 위치가 하부방향으로 되는 안내면(96)을 갖는(반(反)필러 본체(20)측의) 안내부재(90)에 안내면(96)에서 하부방향에 호상으로 돌출하는 돌출부(98)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00)는 슬릿(30) 내부의 광축(56)의 위치에 대응하는 곳에 형성되고 있다.
그와 같은 돌출부(100)를 높이 위치가 상부방향이 되는 안내면(98)을 갖는(필러 본체(20)측) 안내부재(94)에 안내면(98)에서 하부 방향으로 호상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00)를 형성하여도 좋다.
그와 같은 돌출부(100)를 안내면(96)(또는, 98)에 형성하면 도 7의 C점에 있어서, 위사(12)는 안내면(96)과 돌출부(100)와의 경계부근에서 접합하고, 접합점을 지점으로 하여 자세를 반전시키면서 돌출부(100)를 넘어가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위사(12)가 크게 굴곡되기 때문에 보다 큰 유동이 슬릿(30) 내의 물에 발생하고 수광 신호의 변화도 보다 크게 또한 보다 확실하게 발생하고 위사를 보다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안내면(96, 98)을 위사(12)의 이동방향 전방만큼 하부 방향이 되도록 경사를 이루는 대신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면(96, 98)을 위사(12)의 이동방향 전방(개방공간(54)측)만큼 상부방향이 되도록 경사를 이루어도 좋다.
도 2에 나타내는 안내부재(22, 24)에 대해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또는 도 7에 나타내는 안내부재(92, 94)에 대해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이상의 오목부(102)를 필러 본체(20)측의 안내부재(24, 94)의 안내면(48, 94)에 형성하여도 좋고 그와 같은 오목부(102)를 1이상의 볼록부(102)를 반필러 본체(20)측의 안내부재(22, 90)의 안내면(46, 94)에 형성하여도 좋다.
즉, 도 10에 있어서의 안내부재(24)의 오목부(102)는 위사의 통과를 허용하는 각도로 상하방향에서의 슬릿 위치의 근방을 슬릿(30)의 연재방향 및 상하방향의 양쪽에 교차하는 방향에 연장하는 안내면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의 안내부재(94)의 오목부(102)로 형성되는 안내면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형태의 안내면으로 할 수 있다.
양쪽의 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서술하면, 도 10에서의 안내부재(22)의 안내면(46) 및 볼록부에서 형성되는 안내면은 위사(12)를 안내부재(22)의 상기 안내면에 누르는 보조 안내면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오목부(100) 대신에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1이상의 볼록부(100)를 필러 본체(20)측의 안내부재(24, 94)의 안내면(48, 98)에 형성하여도 좋고, 그와 같은 볼록부(100)를 반(反)필러 본체(20)측의 안내부재(22, 92)의 안내면(46, 98)에 형성하여도 좋다.
더욱이,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100) 및 오목부(102)를 각각 반필러 본체(20)측의 안내부재(22, 92)의 안내면(46, 96) 및 필러 본체(20)측의 안내부재(24, 94)측의 안내면(48, 98)에 형성하여도 좋고, 볼록부(100) 및 오목부(102)를 상기와 반대로 각각 안내면(48, 98, 46 및 96)에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위사가 볼록부(100) 및 오목부(102)를 통과할 때의 장력의 저하 및 증대가 방지된다.
상기 볼록부(100) 및 오목부(102)는 적어도 광축(56)보다 위사 수입구(50)측의 범위를 포함하는 곳, 바람직하게는 광축(56)의 근방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위사(12)가 슬릿(30) 내부를 통과할 때에 발생하는 물의 유동이 위사의 이동에 따라 광축까지 확실하게 전달되기 위해서 수광량 신호를 보다 확실하게 크게 할 수 있고 위사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안내면에 볼록부(100)와 오목부(102)를 형성할 경우, 그와 같이 하면 위사(12)가 크게 굴곡되기 때문에 보다 큰 유동이 슬릿(30) 내부의 물에 발생하고 수광량 신호의 변화도 크게 또한 보다 확실하게 발생하고 위사를 보다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상기 오목부(100) 및 오목부(102)는 도시의 예와 같은 반원형일 필요는 없고 톱니형, 파형, 삼각형, 사다리꼴 등의 위사의 통과를 허용하는 적절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58)에서 나타내는 위사의 이동방향 전방측 만큼 안내부재(92, 94)의 중복량이 크게 되도록 안내면(96, 98)의 경사각도를 다른 값으로 하여도 좋고, 한쪽의 안내면(98)(또는 96)을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도 좋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30)을 그 높이 위치가 개방공간(54)측 만큼 높게 되도록 경사지게 하여 광축을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도 좋다. 이 예에서는 반필러 본체(20)측의 안내부재(22)의 안내면(46)은 슬릿(30)을 가로질러 연장하도록 수평하게 연재되는 것에 대해서, 필러 본체(20)측의 안내부재(24)의 안내면(48)은 중복량이 개방공간(54)측 만큼 많아지도록 경사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필러 본체(20)측의 안내부재(24)의 안내면(48)을 수평하게 연재시켜서 반필러 본체(20)측의 안내부재(22)의 안내면(48)을 안내부재(22, 24)의 중복량이 개방공간(54)만큼 많아지도록 경사를 이루고 있어도 좋다. 또한, 슬릿(30) 자체를 상기와 반대로 높이 위치가 개방공간(54)측 만큼 낮아지도록 경사를 이루어서 광축(56)을 경사지게 하여도 좋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부재(24)를 필러 본체(20)보다도 반위사 삽입측에 배치한 예이고, 복수의 오목부(110)를 한쪽의 안내부재(24)(또는 22)에 위사의 이동방향에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복수의 요철(凹凸)을 한쪽의 안내부재(24)(또는 22)에 위사의 이동방향에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있다.
각 오목부(110)는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원형이라도 좋고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톱니형으로도 좋고 더욱이,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도 14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부재(24)는 안내부재(24)를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로 필러 본체(20)보다도 위사 삽입 측에 배치하면 슬릿(30)에 대한 방수 기능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오목부(110)를 대신하여 복수의 볼록부를 한쪽의 안내부재(24)(또는 22)에 위사의 이동방향에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복수의 요철(凹凸)을 한쪽의 안내부재(24)(또는 22)에 위사의 이동방향에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도 좋다.
더욱이,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필러 본체(20)의 상부 부재(34) 또는 하부 부재(36)의 슬릿(30)을 구성하는 하부 단면 또는 상부 단면에 설치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위사(12)를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에 확실하게 누르는 보조 안내면을 구비한 안내부재(24)를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오목부(또는 볼록부)를 한쪽의 안내부재에 위사의 이동방향에 간격을 두고 형성한 경우, 위사는 슬릿을 통과하는 도중에 있어서 안내면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따라 진행함으로서 진동을 발생하면서 슬릿 내부를 진행한다. 이것에 의해서 종래에 비해서 보다 큰 유동이 슬릿 내부의 물에 발생한다. 그 결과, 종래에 비해서 큰 광량 변화가 슬릿을 통과하는 광선에 확실하게 발생하고, 수광 소자에서의 수광량 신호의 변화도 크게 또한 확실하게 발생하고 위사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선재(線材)로서의 복수의 털(112)을 필러 본체(20)의 슬릿(30)을 형성하고 있는 상하의 면에 슬릿(30)의 연재방향에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에 연장하면서 상하방향에서의 높이 위치가 중복하도록 위사 검지용 광선의 광로를 제외하고 브러시(brush)상에 배치하고 있다. 털(112)은 위사가 접합했을 때에 휘어지지만 위사에 손상을 주지 않는 재료, 예를 들면 나일론 실로 할 수 있다.
털(112)을 필러 본체(20)에 배치하는 대신에,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털(112)을 필러 본체(20)의 부재(34)에 설치된 지지부재(114)의 하면에 설치되어도 좋고, 이미 설명한 각 실시예에서의 안내부재(22, 24(또는 92, 94)를 필러 본체(20)의 측방에 배치하고, 안내면(46)(또는 96)에 설치하여도 좋다.
그와 같은 털(112)을 이용하면 위사는 슬릿(30)을 통과하는 도중에 브러시(112)의 털에 결합하면서 슬릿(30) 내부를 통과하기 때문에, 털(112)의 가요성에 의해서 자세가 변경되고 슬릿(30) 내부의 위사 부분의 자세도 변경된다. 이것에 의해서 종래에 비해서 보다 큰 유동이 슬릿(30) 내부의 물에 발생한다. 그 결과, 종래에 비해서 물의 유동에 의한 큰 광량 변화가 슬릿(30)을 통과하는 광선에 확실하게 발생하고 수광 소자에서의 수광량 신호의 변화가 크게 또한 확실하게 발생하고 위사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디침에 따른 위사의 통과를 허용하는 슬릿을 구비한 위사 필러에서 위사를 확실하게 검지 할 수 있다.
또한, 결과 위사 필러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서 물의 요동에 의한 큰 광량 변화가 슬릿을 통과하는 광선에 확실하게 발생하고, 수광 소자에서의 수광량 신호의 변화도 크고 또한 확실하게 발생하여 위사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1)

  1. 위사 검지용의 광선이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는 슬릿으로서 위사 입구를 일단에 구비하는 슬릿을 갖는 필러 본체와 상기 필러 본체의 측방에 배치되어 위사를 안내하는 안내면을 갖는 위사 안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면은 위사의 통과를 허용하는 각도로 상하방향에서의 상기 슬릿의 위치의 근방을 상기 슬릿의 연재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 연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사 필러.
  2. 위사 검지용의 광선이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는 슬릿으로서 위사 입구를 일단에 구비하는 슬릿을 갖는 필러 본체와 상기 필러 본체의 측방에 배치되어 위사를 안내하는 안내면을 갖는 위사 안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 및 상기 안내면의 적어도 한쪽은 상하방향에서의 상기 슬릿의 위치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움푹 들어간 복수의 오목부 또는 상하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볼록부를 상기 슬릿의 연재방향으로 연장하는 단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사 필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은 상기 슬릿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영역을 상하방향의 어느 하나의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횡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사 필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은 적어도 상기 광축보다도 상기 위사 입구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사 필러.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위사를 상기 안내면에 누르는 보조 안내면을 상기 안내면에 대해서 상기 필러 본체와 반대측의 측방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사 필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은 상기 필러 본체에 대해서 위사 삽입 방향 상류측에 배치된 안내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사 필러.
  7. 위사 검지용의 광선이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는 슬릿으로서 위사 입구를 일단에 구비하는 슬릿을 갖는 필러 본체와 상하방향에서의 상기 슬릿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요성의 복수의 선재를 포함하고,
    상기 선재는 상기 슬릿과 상기 필러 본체의 측방에 배치된 부재와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사 필러.
  8. 물이 체류하고 또한 위사 검지용의 광선이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는 슬릿으로서 위사 입구를 일단에 구비하는 슬릿을 갖는 필러 본체와 적어도 상기 광축보다도 상기 위사 입구측의 영역을 포함하는 범위내를 상기 슬릿의 연재방향에 연장하는 한쌍의 안내부로서 상기 슬릿에 대해서 중복하도록 상기 필러 본체의 측방에 위사 삽입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안내부를 갖는 위사 안내 수단을 포함하는 위사 필러에 의한 위사 검지 방법에 있어서,
    위사 삽입되는 테이프 형상의 위사를 바디침에 따라 상기 안내부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슬릿 사이를 통과시켜서 검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위사 검지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안내부의 상하방향에서의 중복량 및 상기 양쪽 안내부의 간격의 적어도 한쪽은 위사가 상기 슬릿을 통과할 때에 진동을 발생하고 또한 위사의 통과를 허용하는 범위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사 검지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는 상기 위사가 통과할 때의 상기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수광량 신호에 의거하여 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사 검지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안내부는 상기 필러 본체에 대해서 위사 삽입 방향 상류측에 배치된 안내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사 검지 방법.
KR10-2003-0006865A 2002-05-16 2003-02-04 위사 필러 및 위사 검지 방법 KR1005028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41026 2002-05-16
JP2002141026A JP3881278B2 (ja) 2002-05-16 2002-05-16 緯糸フィー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412A true KR20030089412A (ko) 2003-11-21
KR100502848B1 KR100502848B1 (ko) 2005-07-22

Family

ID=29544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6865A KR100502848B1 (ko) 2002-05-16 2003-02-04 위사 필러 및 위사 검지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881278B2 (ko)
KR (1) KR100502848B1 (ko)
CN (1) CN1323203C (ko)
TW (1) TWI2206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0686B2 (ja) * 2009-09-16 2014-06-25 津田駒工業株式会社 水噴射式織機用の緯糸検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653A (en) * 1980-06-26 1982-01-23 Sony Corp Flat type cathode-ray tube
JP2876321B2 (ja) * 1989-10-04 1999-03-31 日産テクシス株式会社 流体噴射式織機の緯糸処理装置
JP3032651B2 (ja) * 1992-10-15 2000-04-17 津田駒工業株式会社 水噴射式織機の緯糸検知装置
JP3282261B2 (ja) * 1993-01-25 2002-05-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20677B (en) 2004-09-01
JP2003336147A (ja) 2003-11-28
KR100502848B1 (ko) 2005-07-22
CN1459524A (zh) 2003-12-03
TW200307070A (en) 2003-12-01
JP3881278B2 (ja) 2007-02-14
CN1323203C (zh) 200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8284A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weft yarn in a jet loom
US4471816A (en) Optical weft sensor for a loom
KR100502848B1 (ko) 위사 필러 및 위사 검지 방법
US5025837A (en) Apparatus for measuring loom warp tension
KR100633554B1 (ko) 방적사의 인장을 검출하는 장치 및 방적사 센서
US4393647A (en) Snail wire arrangement for yarn breakage detection in ring frames
US4691647A (en) Optical thread breakage monitoring apparatus
JP5530686B2 (ja) 水噴射式織機用の緯糸検知装置
JPH0571046A (ja)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緯糸検知装置
US6062151A (en) Tufting needle with offset stem
JPH086307Y2 (ja) 光センサ
JP3246645B2 (ja) 織機の緯糸検知装置
KR830002721Y1 (ko) 젯트직기에 있어서 위사 탐지장치
JP2649468B2 (ja) 緯糸探知装置
JPS59199843A (ja) 空気噴射式織機の緯糸検知装置
PT942082E (pt) Dispositivo de estiramento e de deteccao do fio de trama, teares mecanicos com injector
JP2000079289A (ja) ミシンの糸有無検出装置
KR950006370Y1 (ko) 워터제트직기의 위사감지장치
JPS61245348A (ja) 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緯糸検出装置
JP2000073261A (ja) 流体噴射式織機
JPH0346575B2 (ko)
JP2606234Y2 (ja) エアジェット式織機の緯糸検知装置
JPS60155750A (ja) 空気噴射式織機における糸端牽引装置
GB2136564A (en) Monitoring textile thread
CN116605724A (zh) 纱线监视装置及纱线卷绕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