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8281A - 연료탱크의 연료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연료탱크의 연료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8281A
KR20030088281A KR1020020026372A KR20020026372A KR20030088281A KR 20030088281 A KR20030088281 A KR 20030088281A KR 1020020026372 A KR1020020026372 A KR 1020020026372A KR 20020026372 A KR20020026372 A KR 20020026372A KR 20030088281 A KR20030088281 A KR 20030088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uel tank
tank
valv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9131B1 (ko
Inventor
서재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6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9131B1/ko
Publication of KR20030088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1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5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s, the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36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preventing overfilling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87Means to shield vehicle bodywork from fuel, e.g. during 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탱크에 연료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연료가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여 연료주입성을 향상하기 위한 연료탱크의 연료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 용적을 갖는 탱크와, 상기 탱크의 일측으로 주유를 위한 주유파이프가 형성되고, 상기 주유파이프의 하단부에 셧 오프 밸브가 형성되는 연료탱크에 있어서,
상기한 셧 오프 밸브의 상측에 호형상의 차단날개가 방사상으로 배열된 보조밸브가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한 셧 오프 밸브가 위치되는 연료탱크의 일측과 주유건의 오토 스톱 스위치의 홀이 위치되는 주유파이프의 일측을 연결하는 오토 스톱 제어파이프가 형성되어, 주유 도중에 연료탱크가 채워졌을 때 보다 신속하게 주유건의 오토 스톱 스위치가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탱크의 연료주입장치{Fuel filler apparatus for fuel tank}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연료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탱크에 연료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연료가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여 연료주입성을 향상하기 위한 연료탱크의 연료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연료탱크는 승용차량이나 상용차량의 경우에는 차체의 저면측에, 화물차량의 경우에는 차체의 측면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연료탱크의 상부 일측에는 연료를 충전하기 위한 주유파이프가 길게 연장된 채로 형성되므로서 주유자로 하여금 차체하부나 차체측면에 위치된 연료탱크에 원활한 주유를 수행할 수 있도록 주유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상기와 같은 연료탱크의 구성도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으로서, 연료탱크(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주유파이프(11)가 형성되고, 상기 연료탱크(10)의 상부 일측과, 상기 주유파이프(11)의 상부 일측 간에는 직경이 비교적 작은 레벨링 파이프(12)가 연결된다. 이 레벨링 파이프(12)는 주유시에 연료탱크(10) 내부에 상승하게 되는 압력을 주유파이프(11)의 상부 측으로 유도하여 연료탱크(10)에 연료가 채워질 때까지 원활한 주유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주유파이프(11)의 하단에는 연료가 과충전되는 경우에 이미 연료탱크(10)에 입력된 연료가 주유파이프(11)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셧 오프 밸브(13)가 형성된다. 상기 셧 오프 밸브(13)는 유체가 일방향제어되도록 하기 위해서 원추밸브(13a)가 스프링(13b)에 의해 탄력지지되므로서, 주유파이프(11)에서 연료탱크(10)로 유체가 흐르는 경우에는 연료의 주유압력에 의해 스프링이 가압되어 연료의 입력이 허용되지만, 상기한 연료탱크(10)에서 주유파이프(11) 측으로 연료가 역류되는 경우에는 스프링(13b)의 작동과 연료의 역류압력에 의해 상기한 원추밸브(13a)가 닫히게 되어 연료의 역류가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주유 도중에 연료탱크(10)에 연료가 가득 채워지게 되면 자동으로 주유건에서 연료가 주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토 스톱 스위치의 홀(16)이 주유건(15)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연료 주유과정에서 상기한 오토 스톱 스위치의 홀(16)에는 대기압력이 작용되는데, 연료탱크(10) 내에 연료가 채워진 다음 상기한 주유파이프(11)까지 연료가 채워지게 되면, 연료가 유면이 상기한 오토 스톱 스위치의 홀(16)을 연료가 막으면서 순간적인 압력변화에 의해서 그 내부에 형성된 차단밸브가 기계적으로 작동되어 연료주입이 정지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주유장치에서는 셧 오토 밸브의 원추밸브가 주유파이프를 완전하게 전폐시키지 못하였으며, 연료탱크 내에 연료가 가득 채워져 오토 스톱 스위치가 작동된 이후에야 상기한 셧 오토 밸브가 작동되므로서 연료탱크 내의 압력이 일반적인 상태보다 높을 경우에 상기한 셧 오토 밸브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연료탱크에 연료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연료가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여 연료주입성을 향상하기 위한 연료탱크의 연료주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소정 용적을 갖는 탱크와, 상기 탱크의 일측으로 주유를 위한 주유파이프가 형성되고, 상기 주유파이프의 하단부에 셧 오프 밸브가 형성되는 연료탱크에 있어서,
상기한 셧 오프 밸브의 상측에 호형상의 차단날개가 방사상으로 배열된 보조밸브가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한 셧 오프 밸브가 위치되는 연료탱크의 일측과 주유건의 오토 스톱 스위치의 홀이 위치되는 주유파이프의 일측을 연결하는 오토 스톱 제어파이프가 형성되어, 주유 도중에 연료탱크가 채워졌을 때 보다 신속하게 주유건의 오토 스톱 스위치가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되는 연료탱크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밸브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보조밸브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주입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상태도.
도 5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탱크 11 : 주유파이프
12 : 레벨링 파이프 13 : 셧 오프 밸브
14 : 케이스 15 : 주유건
16 : 오토 스톱 스위치의 홀 20 : 보조밸브
21 : 차단날개 22 : 지지체
30 : 오토 스톱 제어파이프 31 : 원웨이 밸브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연료주입장치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되는 연료탱크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밸브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보조밸브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주입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2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되는 보조밸브를 지시하는 것이고, 도면부호 30은 본 발명에 의한 오토 스톱 제어파이프를 지시하는 것이고, 일부의 도면부호는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사용된 부호가 그대로 인용된다.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한 보조밸브(20)와 오토 스톱 제어파이프(30)는 종래의 일반적인 연료탱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주유파이프(11)의 끝단에 마련되는 셧 오프 밸브(13)의 하단에 보조밸브(20)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한 셧 오프 밸브(13)가 위치되는 연료탱크(10)의 일측과 주유건(15)의 오토 스톱 스위치의 홀(16)이 위치되는 주유파이프(11)의 일측을 연결하는 오토 스톱 제어파이프(30)가 추가로 구성된다.
상기한 보조밸브(20)는 셧 오프 밸브(13)의 원형 케이스(14)의 상측 내주연에 호형상의 차단날개(22)가 방사상으로 여러개 배열되어 상기 케이스(14)의 원형입구를 차단하거나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차단날개(22)는 연료가 주입될 때 개방이 허용될 수 있도록, "+"자 형태의 지지체(21)가 상기 케이스(14)의 중심을 가로질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21)의 일측으로 상기한 차단날개(22)의 일측이 힌지(24)에 의해서 결합된다. 또한, 상기한 차단날개(22)는 연료가 주입되는 방향으로만 개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체(22)가 위치되는 케이스(14)의 내주연에는 스톱퍼 역할을 하는 걸림턱(23)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걸림턱(23)은 케이스의 내주연에 돌출형성되는 환형의 턱으로 구성되었으나, 이는 연료의 흐름에 지장이 없고 상기 차단날개(22)의 스톱퍼 역할을 하게 된다면 어떤 형태로든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오토 스톱 제어파이프(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셧 오프 밸브(13)가 마련되는 연료탱크(10)의 일측과 주유건(15)의 오토 스톱 스위치의 홀(16)이 위치되는 주유파이프(11)의 일측을 연결하는 소형 파이프로서, 상기한 셧 오프 밸브(13)가 작동되어 연료의 주입이 차단된 상태에서 레벨링 파이프(12)의 하부 입구가 연료에 의해 막히게 되어 연료탱크(10) 내의 압력해소공간이 폐쇄되었을 경우에, 상기한 오토 스톱 제어파이프(30)를 통해 연료탱크(10) 내의 연료 중 일부가 오토 스톱 스위치의 홀(16) 측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레벨링 파이프(12)를 통해서 연료탱크(10) 내의 압력이 해소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오토 스톱 제어파이프(30)로는 연료가 흐르기 않게 되고, 상기한 레벨링 파이프(22)의 입구까지 연료가 채워져 연료탱크 내의 압력이 해소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오토 스톱 제어파이프(30)를 통해 연료탱크(10) 내의 일부의 연료가 흘러 넘쳐 상기한 오토 스톱 스위치의 홀(16) 측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오토 스톱 제어파이프(30)의 도중에는 연료탱크(10)에서 오토 스톱 스위치의 홀(16) 측으로만 유체의 흐름방향이 허용되도록 하는 1웨이 밸브(31)가 설치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연료탱크(10)에 연료를 충전할 때에 대부분의 운전자 및 주유자는 연료탱크(10)에 연료가 완전히 채워지기를 바란다.
따라서 연료탱크(10)에 연료를 주유하는 경우에 주유파이프(11)에 주유건(15)의 노즐을 삽입하고 주유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면 연료의 주유가 시작되어진다.
주유가 시작되어 상기한 주유파이프(11)로 연료가 유입되면 연료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한 차단날개(22)들이 힌지점을 기준으로 하향되므로서 보조밸브(20)가 개방되어진다. 따라서 연료는 상기한 보조밸브(20)와 셧 오프 밸브(13)를 통해 연료탱크(10)에 충전되어진다.
이렇게 연료탱크(10)에 연료가 채워지는 과정에서 연료탱크(10) 내에 증가되는 압력은 상기한 레벨링 파이프(12)에 의해서 해소되어진다.
또한, 상기한 셧 오프 밸브(13)의 상측까지 연료가 채워지더라도 상기한 셧 오프 밸브(13) 및 보조밸브(20)에 의해서 상기한 연료탱크(20)로 입력되는 연료가 주유파이프(11)를 통해 역류되는 현상이 방지되어진다. 특히, 종래기술의 연료탱크와는 달리 본 발명에 의한 연료탱크(10)의 경우에는 셧 오프 밸브(13)의 기능을 보강해주는 보조밸브(2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서 연료의 역류방지효과가 증대된다.
그리고 연료탱크(10) 내에 연료가 가득 채워지게 되어, 상기한 레벨링 파이프(12)의 입구가 연료에 의해 막히게 되면 상기한 연료탱크(10) 내의 압력이 해소되지 않게 된다. 이때 연료탱크(10)의 압력해소를 위해서 상기한 오토 스톱 제어파이프(30)로 연료탱크(10) 내의 연료중 일부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주유건의 오토 스톱 스위치의 홀(16)로 일부의 연료가 유도되어 주유건(15)의 주유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연료탱크(10) 내에 연료가 가득차게 되었을 경우에 종래보다 신속하게 주유가 차단되므로서 연료의 과충전이 방지되며, 연료가 주유파이프(11)를 통해 외부로 흘러넘치게 되는 현상이 방지되어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연료를 주유하는 과정에서 연료탱크 내에 연료가 채워지게 되면 보다 신속하게 연료의 충전이 차단되어지고,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보조밸브가 추가로 형성되어지므로서, 연료의 주입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연료탱크 내의 연료과충전이 방지되므로서 주유파이프를 통해 연료가 외부로 흘러넘치게 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커다란 효과가 있다. 한편, 연료의 흘러넘침이 방지되므로서결과적으로는 에너지를 절약하는 계기가 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소정 용적을 갖는 탱크와, 상기 탱크의 일측으로 주유를 위한 주유파이프가 형성되고, 상기 주유파이프의 하단부에 셧 오프 밸브가 형성되는 연료탱크에 있어서,
    상기한 셧 오프 밸브(13)의 상측에 호형상의 차단날개(22)가 방사상으로 배열된 보조밸브(20)가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한 셧 오프 밸브(13)가 위치되는 연료탱크(10)의 일측과 주유건(15)의 오토 스톱 스위치의 홀(16)이 위치되는 주유파이프(11)의 일측을 연결하는 오토 스톱 제어파이프(30)가 형성되어, 주유 도중에 연료탱크가 채워졌을 때 보다 신속하게 주유건의 오토 스톱 스위치가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연료주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보조밸브(20)는 원통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자 형태의 지지체(21)가 형성되고, 그 지지체(21)의 일측으로 차단날개(22)의 일측이 힌지(24)에 의해서 결합되어지되, 상기 차단날개(22)는 연료가 주유되는 하측 방향으로 열릴 수 있도록만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연료주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오토 스톱 제어 파이프(30)의 도중에는 연료탱크(10)에서 오토 스톱스위치의 홀(16) 측으로만 유체의 흐름방향을 허용하는 1웨이 밸브(31)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연료주입장치.
KR10-2002-0026372A 2002-05-14 2002-05-14 연료탱크의 연료주입장치 KR100489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372A KR100489131B1 (ko) 2002-05-14 2002-05-14 연료탱크의 연료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372A KR100489131B1 (ko) 2002-05-14 2002-05-14 연료탱크의 연료주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281A true KR20030088281A (ko) 2003-11-19
KR100489131B1 KR100489131B1 (ko) 2005-05-17

Family

ID=32382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372A KR100489131B1 (ko) 2002-05-14 2002-05-14 연료탱크의 연료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91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900B1 (ko) * 2006-12-06 2008-01-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 주유구의 연료 역류방지장치
KR20170126154A (ko) * 2016-05-09 2017-1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주유중 오버플로우 방지 시스템
KR20170139252A (ko) * 2016-06-09 2017-1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오버플로우 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950B1 (ko) 2004-09-10 2010-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혼유방지용 주유구장치
KR102585745B1 (ko) * 2016-07-08 202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의 역류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896B2 (ja) * 1988-08-26 1994-03-02 松下電工株式会社 シャワー装置
JPH0520916U (ja) * 1991-08-30 1993-03-1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燃料噴き返し防止バルブ
KR100250522B1 (ko) * 1996-12-06 2000-05-01 정몽규 자동차용 연료탱크
KR100357571B1 (ko) * 1999-12-30 2002-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셧 오프 밸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900B1 (ko) * 2006-12-06 2008-01-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 주유구의 연료 역류방지장치
KR20170126154A (ko) * 2016-05-09 2017-1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주유중 오버플로우 방지 시스템
KR20170139252A (ko) * 2016-06-09 2017-1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오버플로우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9131B1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7334A (en) Fuel vapor recovery system control valve
US6016834A (en) Propane vehicle tank and shut-off valve
DE60216638D1 (de) Drucklose schnellfülleinrichtung und zugehöriges system für fahrzeuge
KR100489131B1 (ko) 연료탱크의 연료주입장치
AU4554000A (en) Safety valve, in particular for a refuelling vent line
KR20170126154A (ko) 연료주유중 오버플로우 방지 시스템
KR102463411B1 (ko)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오버플로우 방지 장치
JPH06508422A (ja) 天然ガス駆動型乗物用の耐衝突性電磁弁
KR200202862Y1 (ko) 엘피가스 차량용 과충전 방지밸브
JP3673891B2 (ja) 車両用燃料タンク装置
KR101702787B1 (ko) 자동차용 저속 디젤 주유가 가능한 혼유방지 주유구
KR101071771B1 (ko) 압축천연가스 차량의 가스용기밸브
EP1927555B1 (en) Load limiting device for tanks used for storing liquid fuels
KR200374138Y1 (ko) 이종연료 혼유방지 주유노즐
EP1230476B1 (en) Device for preventing diesel fuel re-priming for fuel burning apparatus
KR100570006B1 (ko) 연료탱크 레벨링 파이프의 니플 구조
KR200204292Y1 (ko) 멀티 기상공급밸브
KR200174304Y1 (ko) 연료누출방지장치
KR20060019723A (ko) 오버 플로우 리턴 파이프가 구비된 차량 연료주유장치의구조
KR100463058B1 (ko) 밴트 밸브 구조
KR100452726B1 (ko) 주유시 필러도어 주변의 오염방지장치
KR100398520B1 (ko) 버스용 연료탱크 압력 조절장치
KR19990030177U (ko) Lpg 자동차의 가스충전구조
JPH0540399Y2 (ko)
KR19990016561A (ko) 연료 주입시의 연료 되튀김 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5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5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5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