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6561A - 연료 주입시의 연료 되튀김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연료 주입시의 연료 되튀김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6561A
KR19990016561A KR1019970039136A KR19970039136A KR19990016561A KR 19990016561 A KR19990016561 A KR 19990016561A KR 1019970039136 A KR1019970039136 A KR 1019970039136A KR 19970039136 A KR19970039136 A KR 19970039136A KR 19990016561 A KR19990016561 A KR 19990016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ipe
tank
gun
inj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연관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39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6561A/ko
Publication of KR19990016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561A/ko

Links

Landscapes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유 건에 의한 연료의 자동 주유시 연료 탱크내에 채워지는 연료량이 일정 이상이 되면 연료 탱크내 압력 상승으로 일부의 연료가 주유 건이 꽂혀있는 연료 주입구에 분사되어 주유 건을 통한 연료 주유가 중단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주유시의 연료 되튀김 방지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하단부가 상기 연료 탱크(1)내에 일정 길이 삽입되고, 상단부는 연료 주입구(21)와 연통되도록 하여 퓨엘 셧 오프 파이프(3)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연료 탱크(1)내 연료가 일정 이상 채워지게 되면 상기의 퓨엘 셧 오프 파이프(3)를 통해서 연료 탱크(1)내의 일부 연료가 압송되어 연료 주입구(21)에서 분사되면서 주유 건(5)을 통한 급유가 중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연료 주입시의 연료 되튀김 방지구조
본 발명은 차량에의 연료 주입시 연료 탱크내 유량이 일정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증발가스 압력에 의해 일부의 연료가 연료 주입구 일측으로 분사되도록 하므로서 주유 건을 통한 자동 연료 주입이 조기에 중단될 수 있도록 하여 연료의 되튀김이 방지되도록 하는 연료 주입시의 연료 되튀김 방지구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유소에서 차량에 연료를 주입하게 될 때 급유기로부터 주유원이 주유 건(Refueling Gun)을 인출시켜 도 3에서와 같이 차량 연료 주입구(210)로 주유 건(400)의 노즐부(410)를 삽입시켜 급유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바 이러한 급유 수단인 상기의 주유 건(400)내에는 현재 상기 노즐부(410)를 통한 연료 공급이 단절되도록 하는 연료 주입 차단 장치가 장착되어 있어 연료 탱크(100)로부터 인출된 필러 넥(Filler Neck, 200)에 연료가 일정 이상 채워지게 되면 연료와의 접촉에 의해서 주유 건(400)의 노즐이 닫혀지게 되면서 더 이상 급유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주유 건(400)에는 내부로 연료가 접촉되면 자동으로 노즐이 닫혀지도록 하는 연료 주입 차단 장치가 장착되어 있어 통상적으로는 필러 넥(200)에 주유 건(400)을 걸어논 상태에서 상기 연료 주입 차단 장치에 연료가 접촉될 때까지는 일정 유량 자동으로 급유가 이루어지게 된다.
필러 넥(200)에 일정 이상의 연료가 채워지면서 주유 건(400)의 연료 주입 차단 장치에 의해 자동 급유가 중지되는 경우 그때부터는 주유원에 의해서 수동으로 주유 건(400)을 조작하여 급유를 하고, 이때부터는 채워지는 연료량을 직접 주유원이 가시적으로 확인하면서 소량씩 급유를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이 주유 건(400)에 의한 자동 급유시 필러 넥(200)에 일정 이상으로 연료가 채워지게 되면 연료 주입 차단 장치가 작동되기 전에 일정 높이로 상승된 연료에 주유 건(400)으로부터 연료가 쏟아져 내리게 되면 일부의 연료가 되튀겨 외부로 소모되기도 하는바 이에따라 불필요한 연료의 손실을 가져오게 될 뿐만 아니라 급유 장소의 주위가 항상 연료로 오염된 상태가 되고, 특히 최근 강화된 환경 오염 방지 규제 법규인 ORVR(On-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 System)이나 OBDⅡ 규정에 저촉되므로서 차량 수출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주유 건에 의한 연료의 자동 주유시 연료 탱크내에 채워지는 연료량이 일정 이상이 되면 연료 탱크내 압력 상승으로 일부의 연료가 주유 건이 꽂혀 있는 연료 주입구에 분사되면서 주유 건을 통한 연료 주유가 중단되면서 자동 급유시의 연료 되튀김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급유시 급유장소 주위의 오염을 방지하면서 각국의 각종 규제 법규들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하단부가 상기 연료 탱크내에 일정 길이 삽입되고, 상단부는 연료 주입구와 연통되도록 하여 퓨엘 셧 오프 파이프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연료 탱크내 연료가 일정 이상 채워지게 되면 상기의 퓨엘 셧 오프 파이프를 통해서 연료 탱크내의 일부 연료가 압송되어 연료 주입구에서 분사되면서 주유 건을 통한 급유가 중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특징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부 작동 구조도
도 3은 종전의 급유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 탱크
2 : 필러 넥(Filler Neck)
3 : 퓨엘 셧 오프 파이프(Fuel Shut Off Pipe)
21 : 연료 주입구
31 : 역류 방지 밸브
5 : 주유 건
이를 첨부한 실시예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 부호 1은 연료 탱크이고, 2는 필러 넥이며, 3은 퓨엘 셧 오프 파이프(Fuel Shut Off Pipe)이다.
상기의 연료 탱크(1)는 차량 주행에 필요한 연료가 일정량 채워지도록 하는 저장 탱크이며, 상기 필러 넥(2)은 차체 외측으로 형성된 연료 주입구(21)와 상기 연료 탱크(1)간을 연결되도록 한 연료 공급관이다.
또한 상기 퓨엘 셧 오프 파이프(3)는 연료 탱크(1)내에 하단부 일부가 삽입되고, 상단부는 필러 넥(2)의 상단부인 연료 주입구(21) 일측으로 연결되면서 연통이 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한편 연료 탱크(1)내로 삽입되는 퓨엘 셧 오프 파이프(3)는 연료 탱크(1)내에 연료가 일정 높이 이상 채워지게 되었을 때 하단부 일부가 연료에 잠겨지게 형성되며, 특히 상기와 같은 퓨엘 셧 오프 파이프(3)의 하단부에는 차량 전복시 상기 파이프(3)를 통한 연료의 역류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류 방지 밸브(31)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와 300은 증발 가스의 배출용 밴트 튜브이고, 51은 주유 건(5)의 연료가 방출되는 노즐부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조의 작용을 살펴보면 연료 주입구(21)에서 주유 건(5)에 의한 연료 주입시 주입되는 연료에 의해서 연료 탱크(1)내에는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압력 상승과 함께 필러 넥(2)에 일정 높이 이상 연료가 채워지게 되면 도 2에서와 같이 연료 탱크(1)로부터 하단부가 일부 잠겨진 퓨엣 셧 오프 파이프(3)를 통해 압력에 의해서 일부의 연료가 압송되어 상단부의 연료 주입구(21)측으로 분사되기 시작한다.
이렇게 연료 주입구(21)측으로 분사되는 연료가 상기의 연료 주입구(21)에 끼워진 주유 건(5)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주유 건(5)에 장착된 연료 주입 차단 장치를 작동시켜 더 이상 연료가 주입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종전에는 연료 주입구(21)에 끼워진 주유 건(5)에까지 유량이 도달되어야만 연료의 자동 주입이 중지되므로서 연료가 급유 중 필러 넥(2)에서 일부의 연료가 되튀기면서 외부로 방출되는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연료의 주입 중단을 종전보다는 필러 넥(2)의 보다 낮은 위치에서 수행시키게 되므로서 지나친 자동 주유에 의한 불필요한 연료 소모를 방지시킬 수가 있도록 한다.
특히 이같은 연료 소모의 방지는 일단 주유 건(5)을 통해 배출된 연료에 대해서는 운저자가 요금을 계산해야 하므로 연료의 소모를 방지시키므로서 보다 연료비를 절감시킬 수가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간단한 구조에 의해 주유 건(5)에 의한 자동 주유시의 연료 소모를 방지하므로서 급유 장소 주위의 환경 오염을 보다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되는 동시에 차량 유지비를 절감시킬 수가 있게 되며, 특히 전세계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ORVR 및 OBDⅡ 규정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하단부가 상기 연료 탱크(1)내에 일정 길이 삽입되고, 상단부는 연료 주입구(21)와 연통되도록 하여 퓨엘 셧 오프 파이프(3)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연료 탱크(1)내 연료가 일정 이상 채워지게 되면 상기의 퓨엘 셧 오프 파이프(3)를 통해서 연료 탱크(1)내의 일부 연료가 압송되어 연료 주입구(21)에서 분사되면서 주유 건 (5)을 통한 급유가 중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주입시의 연료 되튀김 방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엘 셧 오프 파이프(3)의 연료 탱크(1)내로 삽입되는 하단부는 연료 탱크(1)내에 연료가 일정 높이 채워지게 되었을 때 끝단부 일부가 연료에 잠겨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주입시의 연료 되튀김 방지구조.
  3. 상기의 퓨엘 셧 오프 파이프(3)의 하단부에는 차량 전복시 상기 파이프(3)를 통한 연료의 역류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류 방지 밸브(31)가 형성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주입시의 연료 되튀김 방지구조
KR1019970039136A 1997-08-18 1997-08-18 연료 주입시의 연료 되튀김 방지 구조 KR199900165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136A KR19990016561A (ko) 1997-08-18 1997-08-18 연료 주입시의 연료 되튀김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136A KR19990016561A (ko) 1997-08-18 1997-08-18 연료 주입시의 연료 되튀김 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561A true KR19990016561A (ko) 1999-03-15

Family

ID=66046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136A KR19990016561A (ko) 1997-08-18 1997-08-18 연료 주입시의 연료 되튀김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65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0893B2 (ja) 燃料タンク
JPH11247729A (ja) 燃料蒸気減少型燃料システム
US6065507A (en) Onboard vapor recovery vehicle fill neck vapor block
KR20080106577A (ko) 연료 분사 노즐 억제자
US3845877A (en) Inlet insert
KR19990016561A (ko) 연료 주입시의 연료 되튀김 방지 구조
DE19547097A1 (de) Vorrichtung zur Versorgung einer Brennkraftmaschine mit Kraftstoff
KR100489131B1 (ko) 연료탱크의 연료주입장치
US4403589A (en) Spare tank system for motor vehicle
KR100951059B1 (ko) 야전용 주유장치
KR100250522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
KR100188541B1 (ko) 연료 주입 시스템의 베이퍼 처리장치
JPS60199731A (ja) 車両用燃料タンク
KR100501438B1 (ko) 연료탱크의 누유 방지장치
JP2505264Y2 (ja) 地下タンク装置の溢出防止装置
JPH07112797A (ja) 大型農業機械用給油装置
KR102585745B1 (ko) 연료의 역류방지장치
KR200307476Y1 (ko) 주유기용 밀폐캡
KR20170139252A (ko)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오버플로우 방지 장치
JPS60199728A (ja) 車両用燃料タンク
KR100418612B1 (ko) 자동차 연료탱크용 콘트롤밸브
KR20020054371A (ko) 연료 주입성 개선 및 연료증발가스 저감을 위한연료탱크의 레벨링 파이프
KR200221354Y1 (ko)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연료 역류 방지 구조
KR19980030711U (ko) 대기오염 방지용 자동차 주유 장치
JPH092083A (ja) 燃料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