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0522B1 - 자동차용 연료탱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연료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0522B1
KR100250522B1 KR1019960062207A KR19960062207A KR100250522B1 KR 100250522 B1 KR100250522 B1 KR 100250522B1 KR 1019960062207 A KR1019960062207 A KR 1019960062207A KR 19960062207 A KR19960062207 A KR 19960062207A KR 100250522 B1 KR100250522 B1 KR 100250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main body
conduit
injec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2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4164A (ko
Inventor
박용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2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0522B1/ko
Publication of KR19980044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0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05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주입시 연료의 과다 주입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차단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연료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연료탱크는 탱크본체(1)와, 이 본체(1)에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관(2), 본체(1)와 주입관(2)을 연통시키는 브리더 파이프(4), 그리고 본체(1)와 연료증발가스 포집장치인 캐니스터(6)를 연통시키는 도관(7)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도관(7)상에는 본체(1)와 캐니스터(6)의 차압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탱크 본체(1) 내부를 정압상태로 유지시키는 투 웨이 밸브(8)가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1)에 접하는 그 끝단에는 연료의 부력으로 작동되어 도관(7)을 폐쇄시키는 차단밸브(11)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연료의 액면이 일정높이 이상되어 도관이 폐쇄되면, 본체(1)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고, 압력상승에 따라 연료는 주입관(2)으로 상승되며 따라서, 센싱포트(10)가 작동되어 주입건(9)의 주입구가 폐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연료탱크는 주입건(9)으로부터 과도한 양의 연료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색인어]
연료탱크, 차단밸브, 자동차

Description

자동차용 연료탱크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료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료주입시 연료가 과다하게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차단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연료탱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연료탱크는 엔진구동용으로 소모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용기로, 그 용량은 자동차의 용도나 구조에 따라 다르나 대략 1일 사용분(30~70ℓ)를 기준으로 결정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차체의 저면에 설치된다.
종래의 자동차용 연료탱크는 첨부된 도면의 제1도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강판으로 만든 탱크 본체(1)와 연료를 넣는 주입관(Filler Neck)(2)으로 구분되며, 본체(1)와 주입관(2)의 상단은 주입관(2)으로부터 본체(1)측으로만 연통시키는 원웨이 밸브(One Way Valve)(3)가 내장된 브리더 파이프(4)로 연결되어 있다.
이 브리더 파이프(4)는 본체(1)의 환기장치로 연료의 액면이 변동하여 본체(1) 내부가 부압으로 되었을때, 연료가 기화기로 공급되지 않거나 바깥 온도의 상승으로 본체(1) 내부의 압력이 높아졌을때, 연료가 기화기를 공급되지 않거나 바깥 온도의 상승으로 본체(1) 내부의 압력이 높아졌을때, 본체(1)와 주입관(2)의 선단을 연통시키므로서, 연료가 본체(1) 외부로 누유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주입관(2)의 단부에는 역류방지밸브(Shut Off Valve)(5)가 설치되어 본체(1)로부터 주입관(2)으로 연료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본체(1)는 캐니스터(Canister)(6)와 도관(7)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그 내부에 발생된 연료증발가스가 상기 캐니스터(6)에 포집되어 대기중으로 방출되지 않게 하고 있다.
상기 도관(7)에는 투웨이 밸브(Two Way Valve)(8)가 내장되어 있는데, 이것은 탱크안이 정압(定壓)이 되었을때 탱크내의 연료증발가스를 캐니스터(6)로 보내어 포집되게 하고, 부압이 되었을 경우에는 캐니스터(6)에서 신선한 공기가 흡입되게 하여 탱크내의 부압이 정압으로 환원되게 한다.
한편, 이상과 같은 연료탱크에 연료를 주입하는데에는 주입관(2)의 상단에 노즐부(9a)가 삽입되는 주입건(9)이 사용되는데, 이 주입건(9)에는 유면을 감지하여 내부의 주입구를 폐쇄시키는 센싱포트(Sensing Port)(10)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연료주입시 탱크의 연료가 주입관(2)의 상단까지 이르게 되면, 이 센싱포트(10)가 유면을 감지하여 주입건(9) 내부의 주입구를 폐쇄시켜 연료탱크에 연료가 과다 주입되지 않게 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연료탱크는 주입건(9)의 센싱포트(10)만으로 과도한 연료의 주입을 방지하는 연료차단방식이 채용되어 있어서, 연료의 주입과 동시에 본체(1) 내부의 가스가 투 웨이 밸브(8)를 통하여 캐니스터(6)로 배출되어 탱크내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주입건(9)으로부터 지나치게 많은 연료가 공급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료가 주입됨에 따라 탱크본채(1)내의 압력이 높아져 이 압력에 의하여 주입된 연료의 일부가 주입관으로 상승되어 주입건의 주입구가 센싱포트에 의하여 폐쇄되게 하므로써, 적정한 양의 연료만 본체에 저장되게 할 수 있는 연료차단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연료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주입관
3 : 원웨이 밸브 4 : 브리더 파이프
5 : 역류방지밸브 6 : 캐니스터
7 : 도관 8 : 투웨이 밸브
9 : 주입건 10 : 센싱 포트
11 : 차단밸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연료탱크는 연료가 저장되는 빈 용기인 연료탱크 본체, 본체의 연료 공급관인 연료주입관, 본체와 주입관 선단을 연통시키는 브리더 파이프, 본체와 캐니스터를 연통시키는 도관과, 상기 도관에 내장되는 투웨이 밸브, 상기 주입관의 끝단의 역류방지 밸브 등의 종래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며, 여기에 추가로 도관이 접하는 본체에 설치되는 차단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체(1)에 연료가 주입됨에 따라 차단밸브가 도관을 폐쇄시키므로 본체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저장된 연료의 일부가 주입관으로 상승된다. 그리고 이 연료의 액면을 감지한 센싱포트가 작동하여 주입건의 주입구를 폐쇄시킨다. 이렇게 일정이상의 연료가 주입되면, 주입관으로 상승된 액면에 따라 주입건의 주입구가 폐쇄되므로, 본체에 과도한 연료가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이상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연료탱크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 본체(1)는 대략 장방향의 빈 용기이며, 일측에는 차체의 외부로 노출된 주입구를 가지는 긴 파이프인 주입관(2)이 그 끝단의 일부가 상기 본체(1) 내로 삽입된 채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의 일측상부에는 주입관(2)의 선단부와 연통시키는 가는 도관인 브릭더 파이프(4)가 설치되며, 이 브리더 파이프(4)상에는 주입관(2)으로부터 본체(1)로만 개방되는 원 웨이 밸브(3)가 설치된다.
또, 본체(1)의 타측 상부에는 본체(1) 내부와 캐니스터(6)를 연통시키는 굵은 도관(7)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관(7)의 중간에는 양측의 차압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개방되는 투 웨이 밸브(8)가 설치되며, 본체(1)와 접하는 단부에는 연료주입시 연료의 과다주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연료의 부력으로 상승되는 부유체와 위로 돌기된 돌출부로 구성된 뜨개식 밸브인 차단밸브(11)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각 구성의 역할과 기능은 다음과 같다.
연료탱크 본체(1)는 주입관(2)을 통하여 공급된 연료를 저장하며, 상기 브리더 파이프(4)는 주입관(2)의 선단으로부터 탱크 본체(1)내로 유로를 개방하여 본체(1)내부에 부압이 걸리지 않게 한다.
그리고, 도관(7)은 본체(1)를 캐니스터(6)와 연통시키며, 여기에는 양측의 차압으로 작동되어 도관(7)을 정방향 또는 역방형으로 개방하는 투 웨이 밸브(8)가 내장되어 있어서, 본체(1) 내부가 정압(定壓)이 되었을때, 탱크내의 연료증발가스를 캐니스터(6)로 보내어 포집되게 하고, 부압이 되었을 경우에는 캐니스터(6)에서 신선한 공기가 흡입되게하여 본체에 부압이 걸리지 않게 한다.
한편, 도관(7)의 본체(1)측 입구단에 설치된 차단밸브(11)는 연료주입시 연료의 과다주입을 방지하기 위한 연료차단장치로서, 주입관(2)을 통하여 연료가 주입됨에 따라 상승되어 저장된 연료가 일정량 이상 다다르면 캐니스터(6)로 통하는 도관(7)을 밀폐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연료탱크는 연료주입시, 탱크(1)내에 연료가 기준량 이상 채워지면, 차단밸브(11)가 캐니스터(6)로 통하는 도관(7)을 폐쇄시킨다. 이렇게 도관(7)이 폐쇄되면, 연료주입량에 비례하여 본체(1)내의 압력이 높아지며, 주입관(2)으로 본체(1)에 저장된 연료가 상승된다. 그리고 주입건(9)의 센싱포트(10)는 상승된 연료의 액면을 감지하여 주입건(9)의 주입구를 폐쇄시킨다.
따라서, 차단밸브(11)는 연료주입시, 본체(1)의 도관(7)을 폐쇄시켜 본체(1) 내부의 압력을 높이므로써, 연료가 주입관(2)으로 상승되게 하여 탱크 본체(1)에 과도하게 공급되지 않게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주입시 연료탱크에 연료가 과다하게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각 청구항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

  1.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탱크 본체(1)와, 상기 본체(1)와 차체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료 주입관(2)과, 상기 본체(1)와 상기 주입관(2) 선단을 연통시키는 브리더 파이프(4), 상기 본체(1)와 연료증발가스를 포집하는 장치인 캐니스터(6)를 연통시키는 도관(7)과, 상기 도관(7)에 내장되어 상기 본체(1)와 캐니스터(6)의 차압에 의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탱크 본체(1)의 내부가 정압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투웨이 밸브(8)와, 상기 주입관의 끝단에서 상기 본체(1)에서 주입관(2)으로 연료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 밸브(5)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연료 액면이 일정높이 이상되면 연료의 부력으로 작동되어 상기 도관(7)을 페쇄시키는 뜨개식의 차단밸브(11)를 상기 도관(7)의 본체(1)측 끝단에 설치하고, 상기 브리더 파이프(4)의 내부에 가스의 흐름을 탱크본체(1)측으로만 제한하는 원웨이 밸브(3)를 내설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
KR1019960062207A 1996-12-06 1996-12-06 자동차용 연료탱크 KR100250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207A KR100250522B1 (ko) 1996-12-06 1996-12-06 자동차용 연료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207A KR100250522B1 (ko) 1996-12-06 1996-12-06 자동차용 연료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164A KR19980044164A (ko) 1998-09-05
KR100250522B1 true KR100250522B1 (ko) 2000-05-01

Family

ID=19486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2207A KR100250522B1 (ko) 1996-12-06 1996-12-06 자동차용 연료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05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131B1 (ko) * 2002-05-14 2005-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연료주입장치
KR101326797B1 (ko) * 2007-11-15 2013-11-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 공급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0530A (ja) * 1992-05-22 1993-12-14 Yunikon Koki Kk ラベル保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0530A (ja) * 1992-05-22 1993-12-14 Yunikon Koki Kk ラベル保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164A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2809A (en) Fuel tank
US4790283A (en) Fuel tank
JP3902694B2 (ja) 燃料蒸気排出防止装置
US5850819A (en) Fuel evaporative emission treatment system
US5570672A (en) Fuel evaporative emission treatment system
US5205330A (en) Air breather system for fuel tank
JP2004529805A (ja) 燃料タンク
US5870997A (en) Evaporative fuel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30007384A (ko) 진공을 이용한 연료 시스템
KR100250522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
KR100428208B1 (ko) 연료 주입성 개선 및 연료증발가스 저감을 위한연료탱크의 레벨링 파이프
JPH039465Y2 (ko)
KR100283335B1 (ko) 연료탱크용 벤트 밸브
KR100501438B1 (ko) 연료탱크의 누유 방지장치
JPH05338449A (ja) 車両用燃料タンク
JP2001165003A (ja) 燃料タンク
KR200142102Y1 (ko) 연료탱크의 밸브장치
KR200221354Y1 (ko)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연료 역류 방지 구조
JPH0552153A (ja) 燃料流出防止装置
KR100501340B1 (ko) 연료 주입성 개선을 위한 연료 시스템
KR100418612B1 (ko) 자동차 연료탱크용 콘트롤밸브
JP3175464B2 (ja) 内燃機関の燃料処理装置
JP3055952B2 (ja) 車両の燃料タンク装置
JPH0336422Y2 (ko)
KR101326797B1 (ko) 차량용 연료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