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7384A - 진공을 이용한 연료 시스템 - Google Patents

진공을 이용한 연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7384A
KR20030007384A KR1020027006893A KR20027006893A KR20030007384A KR 20030007384 A KR20030007384 A KR 20030007384A KR 1020027006893 A KR1020027006893 A KR 1020027006893A KR 20027006893 A KR20027006893 A KR 20027006893A KR 20030007384 A KR20030007384 A KR 20030007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absorber
valve
tank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버크데이비드호워드
스테클러마이클제이.
Original Assignee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07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38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9Layout of the fuel vapour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04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adapted to avoid loss of fuel or fuel vapour, e.g. with vapour recover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19Valve arrangements in the ven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42Mounting of the venting means
    • B60K2015/03557Mounting of the venting means comprising elements of the venting device integrated in the fuel tank, e.g. vapor recover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출물 제로 연료 시스템은 연료증기를 억제하고 흡수하는 흡수통과 유체적으로 서로 연결된 연료 탱크를 포함한다. 상기 흡수통은 엔진 상기 흡입 매니폴드의 진공이 상기 흡수통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제어하는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서 흡입 매니폴드와 추가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흡수통은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한 밸브를 통해서 대기에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엔진의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동안, 상기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흡입 매니폴드가 엔진 소비를 위해 상기 흡수통으로부터의 연료증기를 뽑아내게 한다. 사전에 결정된 진공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밸브는 개방되어서, 외기가 상기 진공 릴리프 밸브를 통해 상기 시스템안으로 흐르게 하여 상기 흡수통의 퍼지를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진공을 이용한 연료 시스템{Vacuum based fuel system}
[003] 환경에 대한 우려들과 정부의 규제들은 휘발성의 탄화수소 연료증기의 대기중 배출물을 줄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 탄화수소 연료증기의 한가지 발생원은 가솔린(gasoline)이나 높은 휘발성을 가진 다른 탄화수소 연료들을 사용하는 차량들의 연료탱크들이다. 상기 연료증기는 상기 탱크들에 연료를 주입하는 동안과 상기 탱크들에 연료주입이 끝난 후에도 대기중으로 누출될 수 있다.
[004] 현재 생산되는 자동차들은 가솔린을 담고 있는 연료 저장 탱크, 액체연료를 엔진으로 보내고 남은 연료의 잔량을 측정하는 펌프 모듈과, 수집하고 보유하지 않으면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주변으로 증발하는 탄화수소 증기를 수집하고 보유하는 탄소로 채워진 흡수통(canister)을 포함하고 있다. 전형적으로, 상기 흡수통은 증기튜브(tube)와 상기 탱크의 윗부분에 장착된 밸브(valve) 조립체를 통해 상기 연료 탱크에 형성된 연료 증기를 수집하는 활성화된 목탄(charcoal)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흡수통은 또한 상기 흡수통에 저장된 연료증기를 상기 엔진이 작동하는 동안 연소를 위한 매니폴드로 배출하는 상기 차량 엔진의 흡입 매니폴드(intake manifold)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밸브 조립체는 연료증기가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상기 흡수통으로 자유롭게 흐르게 하기 위해서 충분히 낮은 연료 높이(level)에서 상기 밸브가 열려있게 할 수 있는 높이 반응 밸브(level responsive valve)를 대개 가지고 있다. 연료를 보급(refueling)하는 동안, 상기 연료 높이는 상기 탱크안에서 요구되는 연료의 최대 높이와 거의 같게 올라감에 따라, 부표(float)는 액체연료가 증기를 수용하는 흡수통속으로 흐르지 않게하는 상기 높이 반응 밸브를 폐쇄시키도록, 올려 질 수 있다.
[005]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과도한 연료증기를 제거하는 그러한 탑재 증기 회복 시스템들(vapor recovery systems)의 사용은 환경문제의 한가지 해결방안이다. 특히 종래의 시스템들은 주변으로 방출되는 증기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예를들면, U.S. EPA와 캘리포니아 에어 리소스 보드-3일(California Air Resource Board 3-day) 테스트 동안에, 그러한 시스템들은 0.5그램보다 적은 증기량이 누출되도록 생산되어 질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 생겨난 환경규제들은 연료 증기 배출량에 있어서 더 많은 감소를 요구한다.
[006] 지금까지, 단지 하나의 매우 복잡한 연료 시스템은 최근에 생겨난 증발 배출물 제로 요구조건(zero-evaporative emissions requirements)을 충족시키기 위해연료증기 배출물들을 줄일 수 있어 왔다. Honda R&D Company Ltd.에 의해 제출되고, 여기에 참고문헌으로 전체적으로 인용된 SAE지 1999-01-0771호에 설명된 이 시스템은 진공에서 유지되는 시스템이 탄화수소 증기를 방출하지 않는다는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SAE지에서 설명된 상기 시스템은 급유하는 동안만 상기 흡수통을 연료탱크에 단지 노출시킨다. 그 결과, 상기 시스템은 급유하는 동안을 제외한 모든 때에 연료증기를 수집하지 않는다.
게다가, 상기 종래의 시스템은 상기 탱크와 흡수통 사이에 특별한 밸브들을 필요로 하여, 이들은 상기 시스템의 작동을 이루기 위해서 급유하는 동안 동작되어야만 한다. 그러한 특별한 밸브들은 추가적인 고장 상태들(modes)을 제공하고, 상기 시스템의 비용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진공에 의지하는 증발 배출물 제로 연료 시스템(zero evaporative emissions fuel system)은 기존의 시스템들 보다 덜 복잡하고 급유할 때를 제외하고도 증기의 수집, 저장, 그리고 제거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001] 본 출원은 1999.12.10.자로 제출된 미국 가 특허출원(Provisional Patent Application) 제 60/170,234호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002]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 연료 탱크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연료 탱크들로부터의 원하지 않는 연료증기의 배출물들을 제거하기 위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0012]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잇점들은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과, 간략한 설명이 붙은 도면들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0013]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을 이용한 연료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0014]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을 이용한 연료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007] 증발 배출물 제로 연료 시스템(zero evaporative emissions fuel sysstem)이 개시된다. 상기 시스템은 연료증기를 억제하고 흡수하는 흡수통과 유체적으로 서로 연결된 연료 탱크를 포함한다. 상기 흡수통은 엔진 흡입 매니폴드와 상기 흡입 매니폴드의 진공이 상기 흡수통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제어하는 퍼지(purge)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추가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흡수통은 진공 릴리프 밸브와 급유 벤트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또한 대기와 서로 연결되어 있다.
[008] 상기 엔진이 정상작동을 하는 동안, 전자 제어 모듈(electronic control module)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purge solenoid valve)는 엔진의 요구에 반응하여 사전에 결정된 량을 개방하여, 상기 흡입 매니폴드의 진공이 엔진에 의한 연소를 위해 상기 흡수통으로부터 증기를 뽑아내게 한다. 상기 흡수통내의 사전에 결정된 진공압에서, 상기 진공 릴리프 밸브는 열려서, 외기가 상기 흡수통의 퍼지(purge)를 용이하게 하는 상기 진공 릴리프 밸브를 통해서 상기 시스템 안으로 흐르게 한다. 만일 상기 흡수통의 압력이 상기 사전에 결정된 진공압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진공 릴리프 밸브는 닫힐 것이다. 상기 연료 탱크가 상기 흡수통과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흡수통과 상기 연료탱크는 항상 같은 압력이다.
[009]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 매니폴드의 연료 혼합이 지나치게 농후 할 때나 만일 상기 흡입 매니폴드 진공이 상기 탱크와 흡수통내의 진공을 유지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면 상기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는 닫힐 것이다. 만일 양압(positive pressure)이 극한의 작동조건들 때문에 사전에 결정된 설정점(setpoint)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흡수통에 연결된 압력 릴리프 밸브는 상기 연료 탱크와 흡수통을 배출시키기 위해 작동한다.
[0010]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진공 릴리프와 상기 압력 릴리프 밸브들은 상기 급유 벤트 솔레노이드 밸브(refueling vent solenoid valve)를 개, 폐위치들 사이에서 사전에 결정된 압력 조건들에 반응하여 전자적으로 제어함으로서 제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들면, 상기 급유 벤트 솔레노이드는 급유를 위해 줄곧 열려 있을 것이지만, 상기 차량이 사전에 결정된 진공압이나 양압에 반응하여 주행하는 동안 단지 약간만 열려 있을 수 있다. 제어회로는 상기 벤트 솔레노이드가 열리고 닫히는 정도를 제어 할 수 있다.
[0011] 상기 흡수통과 상기 연료탱크는 항상 같은 압력이기 때문에, 단지 하나의 압력감지 장치만이 사용될 필요가 있다. 게다가, 상기 흡수통은 상기 탱크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언제든지 연료증기를 흡수할 수 있고, 연료를 급유하는 동안 증기를 단지 흡수하는 것 만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시스템의 복잡성은 여러 밸브들과 도관들(conduits)을 제거함으로서 감소되어, 상기 시스템의 비용까지도 더욱 감소시킨다.
[0013] 엔진38의 흡입 매니폴드(intake manifold)32로부터의 진공에 의지하는 증발 배출물 제로 연료 시스템(zero evaporative emissions fuel system)10이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연료 시스템10은 상기 엔진38에 연료를 보내주도록 된 연료펌프 모듈14과 연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부표와 같은 장치16를 포함하는 연료 탱크12를 포함하고 있다. 탱크12는 탱크12에 담겨진 상기 액체 연료로부터 증발하는 연료증기를 받아들이고, 수용하고 저장하는 흡수통18에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통18은 연료탱크12 안에 완전히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흡수통18은 연료탱크12로부터 떨어진 편리한 위치에 또한 배치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disclosure)의 목적들을 위해, 흡수통18은 상기 탱크12내에 위치된 것으로 설명되어 질 것이다. 추가적으로, 탱크12, 펌프 모듈(pump module)14과 흡수통18은 종래에 사용되어 질수 있는 부품들 일 수 있다. 특히, 탱크12는 플라스틱과 같은 임의의 단단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탱크12는 상기 탱크벽들을 통해서 연료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가지고 바람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0014] 증기튜브(vapor tube)28는 탱크12를 흡수통18에 유체적으로 연결한다. 추가적으로, 증기튜브28는 연료를 급유하는 동안 액체 연료가 흡수통18 안으로 흐르지 못하게 하는 연료 충진 제한 밸브(fuel fill limiting valve)2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센서(pressure sensor)22는 상기 연료탱크 또는 상기 흡수통내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배치된다. 상기 연료탱크와 흡수통내의 압력이 거의 같기 때문에, 단지 하나의 압력센서22만이 필요하다. 압력센서22는 바깥 대기압(도 1에 도시된)을 참조하는 한 쪽면을 가진 상대 압력센서(relative sensor)이거나, 상기 탱크내에 완전히 배치된 절대 압력센서일 수 있다. 그러므로 압력센서22는 시스템 압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흡수통18의 벤트 파이프(vent pipe)24를 포함하는 임의의 편리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0015] 연료탱크12는 상기 연료 충진 제한 밸브20와 흡수통18의 상류에 상기 증기튜브28에 부착되어 떨어져 있는 그레이드 벤트(grade vent)26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그레이드 벤트26는 임의의 상태(attitude)나 합리적으로 예상된 연료의 높이에서 액체 연료가 아닌 단지 공기와 증기가 증기튜브28를 통해서 흡수통18으로 뽑아내어지는 것을 확실하게 해준다.
[0016] 퍼지튜브(purge tube)30는 흡수통18을 엔진 흡입 매니폴드32로 유체적으로 서로 연결한다. 흡수통18으로부터 매니폴드32로의 증기흐름은 엔진 제어 모듈(ECM)36에 의해 제어되는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purge solenoid valve)34에 의해 제어된다. 흡입 매니폴드32는 엔진38에 연결되어서 퍼지튜브30를 통해 흐르는 임의의 연료 증기가 상기 엔진속으로 뽑아내어지고 연소된다.
[0017]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상기 벤트 파이프(vent pipe)24는 흡수통18내의 진공압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와 흡수통18과 연료탱크12내의 극도의 압력 조건들을 방지하기 위해 설계된 일련의 밸브들에서 끝난다. 벤트 파이프24는 연료 충진 벤트 밸브(fuel filler vent valve)40, 과도압 릴리프 밸브(over-pressure relief valve)42와 진공 릴리프 밸브(vacuum relief valve)44에서 끝난다. 필터는 이물질(debris)이 상기 시스템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고 상기 밸브들의 실링면들(sealing surfaces)을 손상시키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밸브 입구들에 배치 될 수 있다. 폐회로의 작동조건 도중에, ECM36은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34를 개방시켜서, 흡수통18과 흡입 매니폴드32 사이에 있는 퍼지 튜브30를 개방시킨다. 진공 상태들이 흡입 매니폴드32에 존재하기 때문에, 연료증기는 퍼지 튜브30를 통해서 흡수통18으로부터 흡입 매니폴드32속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로부터 연소를 위해 엔진38내부로 공급된다. 압력센서22에 의해 표시된 것과 같이, 일단 필요한 진공정도가 되면, 진공 릴리프 밸브44는 약간 열리게 되어 외부 대기가 밸브44속으로, 벤트 파이프24를 통해 흡수통18으로 빨려 들어오게 한다. 진공이 흡입 매니폴드32내에서 퍼지 튜브30를 통해 흡수통18으로부터 증기를 뽑아내기에 충분하게 계속 존재하는 한, 증기는 벤트튜브24를 통해 그리고 진공 릴리프 밸브44를 통해 누출되지 않을 것이다.
[0018] 열과 연료 휘발성이 극심한 상태들일 때, 탱크12내의 상기 연료는 비등하기 시작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ECM36으로부터의 피드백(feedback)에 기초하여 엔진38은 연료탱크12내의 흡수통18으로부터 가능한한 많은 연료 증기를 소비할 것이다. 그러나, 만일 탱크12와 흡수통18내의 압력이 상기 엔진이 모든 연료 증기를 더 이상 소비할 수 없는 포인트(point)를 초과한다면, ECM36은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34를 닫아서 흡수통18을 밀봉한다. 그후에, 만일 흡수통18과 연료탱크12내의 압력이 사전에 결정된 설정점(set point)를 초과한다면, 과도압 릴리프 밸브(over pressure relief valve)42는 흡수통18과 탱크12내의 압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열릴 수 있다. 유사하게, 엔진38이 작동중일 때(고부하에서와 같이), 흡입 매니폴드32내의 압력은 탱크12와 흡수통18 내의 압력을 초과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ECM36은 퍼지튜브30를 통해 흡수통18 속으로 역류하지 않게 하기 위해 솔레노이드34를 또한 닫을 것이다. 결국, 엔진38이 작동하지 않을 때, 모든 밸브들은 닫힐 것이다. 만일 흡수통18과 탱크12내의 압력이 크게 변한다면, 과도압 릴리프 밸브42 또는 진공 릴리프 밸브44는 흡수통18이나 탱크12 또는 상기 두가지 장치들안에 있는 임의의 요소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열릴 것이다.
[0019] 연료 충진 벤트 밸브(fuel filler vent valve)40는 상기 차량 운전자에 의해 급유가 막 시작되는 징후에만 반응하여 개방된다. 개방될 때, 연료 충진 벤트 밸브40는 공기와 상기 연료 탱크내로부터의 증기가 증기 튜브28를 통해서 흡수통18으로 흐르게 한다. 연료 증기와 공기가 혼합된 것이 흡수통18을 통해 흐를 때, 상기 연료 증기는 상기 흡수통내에 흡수되어져서 단지 공기만이 벤트 파이프24를 통해 대기로 배기 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액체 연료는 급유하는 동안 상기 탱크12로부터 증기를 밀어내게 된다.
[0020] 진공을 이용한 연료 시스템110의 제 2 실시예는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흡입 매니폴드132에 연결된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134는 퍼지 튜브130를 통해 상기 연료 탱크112와 흡수통118로부터의 연료증기를 측정하기 위해 전자 제어 모듈(도시안됨)에 의해 제어된다. 도 2에서, 정상적으로 닫혀진 급유 벤트 솔레노이드(refueling vent solenoid)140는 대기가 벤트 파이프124를 통해 흡수통118으로 들어가는 것을(또는 나가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급유 벤트 솔레노이드140는 단지 액체 연료가 그 안에 수용되었을 때 공기가 상기 연료 탱크112로부터 누출되도록 개방된다. 정상적인 작동에 있어서, 진공 릴리프 밸브144는 상기 탱크가 필요한 진공정도에 다다를 때 열려지는데, 이 경우 공기는 흡수통118을 퍼지시키기 위해 상기 릴리프 밸브144와 벤트 파이프124를 통해서 안쪽으로 흐른다. 만일 상기 엔진에서 상기 연료혼합이 지나치게 농후하거나 흡입 매니폴드132 진공이 상기 탱크112와흡수통118에서 진공을 유지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면, 상기 전자제어 모듈은 상기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134를 닫을 것이다. 상기에서, 만일 지나치게 큰 양압(positive pressure)이 극한의 작동조건들 때문에 상기 탱크112나 흡수통118내에 형성되면, 상기 연료 충진 벤트 밸브(fuel filler vent valve)140는 상기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서 개방될 수 있다.
[0021] 결국, 도 2의 상기 진공 릴리프 밸브144는 전자적으로 상기 급유 벤트 솔레노이드 밸브140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거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조건들 하에서, 상기 급유 벤트 솔레노이드 밸브140는 급유를 위해 내내 개방되어 있을 것이지만,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 과도하거나 또는 낮은(under) 압력조건들에 반응하여 단지 상대적으로 작은 양을 개방하고 있을 것이다. 급유 벤트 솔레노이드 밸브140가 개방하고 있는 정도는 연료 탱크112의 압력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상기 전자 제어 모듈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제어되어 질 것이다.
[0022]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연료 탱크와 흡수통 모두에 진공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상기 엔진의 진공을 사용한다. 예전의 시도들과는 달리, 상기 흡수통은 차량이 작동하는 동안 상기 연료 탱크로부터 격리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연료 증기를 주변으로 방출하지 않으면서 차량이 작동하는 동안 상기 탱크와 흡수통의 퍼지는 언제나 이루어 질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흡수통과 탱크가 진공상태를 연속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흡수통의 퍼지는 강화되고, 상기 흡수통은 엔진 작동 후에 종래의 진공 연료시스템 보다 더 적은 연료 증기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는 흡수통의 퍼지를 제어해서 상기 엔진에서 연료 혼합체가 깨끗한 배출물들을 위해 정확한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 연료 시스템에 새로운 압력 감지장치를 추가함으로서, 상기 시스템내의 진공은 상기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ECM의 작동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흡수통의 깨끗한 공기 투입부에 있는 릴리프 밸브는 상기 연료 시스템에서 진공의 정도를 쉽게 제어한다. 다르게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밸브(PWM 구동 솔레노이드와 같은)는 상기 시스템에 추가 될 수 있고 상기 측정된 시스템 압력에 반응하여 구동될 수 있을 것이다. 두 경우 모두에 있어서, 상기 흡수통은 진공에 그 시간의 대부분을 소비해서 연료증기가 주변으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그 퍼지능력을 향상시킨다.
[0023] 본 발명의 많은 수정구조들과 변환구조들이 상기 개시내용들에 비추어 가능하다. 그러므로, 하기의 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 특별히 설명된 것과는 다르게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시스템들 보다 덜 복잡하고, 급유할 때를 제외하고도 증기의 수집, 저장 그리고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진공을 이용한 연료 시스템을 제공한다.

Claims (16)

  1. 증기 튜브(tube)를 통해서 연료증기 수집 흡수통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연료탱크;
    상기 흡수통을 엔진 흡입 매니폴드(intake manifold)에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퍼지(purge) 튜브;
    상기 흡수통을 대기에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벤트(vent) 튜브;
    상기 퍼지 튜브상에서 그것을 통한 흐름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 매니폴드와 상기 흡수통 사이에 배치된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한 퍼지 밸브; 및
    상기 벤트 튜브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한 밸브를 포함하는 연료 시스템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나 흡수통 중 하나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조립체에 부착되어 있는 압력 감지 장치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시스템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한 밸브가 솔레노이드 밸브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시스템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퍼지 밸브의 선택적인 작동은 전자식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시스템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튜브상에 진공 릴리프(relief) 밸브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진공 릴리프(relief) 밸브는 사전에 결정된 조건들에 반응하여 작동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시스템 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튜브상에 압력 릴리프(relief) 밸브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압력 릴리프(relief) 밸브는 사전에 결정된 조건들에 반응하여 작동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시스템 조립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vapor) 튜브상에 연료 충진 제한 밸브(fuel fill limiting valve)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연료 충진 제한 밸브는 액체 연료 높이에 반응하여 상기 증기 라인을 열고 닫을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시스템 조립체.
  8. 증기 튜브에 의해 유체적으로 서로 연결되어서 탱크내 액체 연료로부터의 증기가 흡수통에 수집되고 저장되는 연료 탱크와 연료증기 수집 흡수통;
    상기 흡수통을 엔진의 흡입 매니폴드(intake manifold)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퍼지(purge) 튜브;
    상기 흡수통으로부터 상기 매니폴드로의 증기 흐름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퍼지 튜브상에 있는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한 퍼지 밸브; 및
    상기 흡수통을 대기에 유체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벤트 튜브를 통해서 상기 흡수통과 상기 대기사이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한 밸브를 포함하는 벤트 파이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을 이용한 연료 시스템 조립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튜브는 사전에 결정된 조건들에 반응하여 상기 벤트 튜브를 선택적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압력 릴리프 밸브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벤트 튜브는 사전에 결정된 조건들에 반응하여 상기 벤트 튜브를 선택적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진공 릴리프 밸브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을 이용한 연료 시스템 조립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에 결정된 조건들은 압력 설정점들(setpoints)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을 이용한 연료 시스템 조립체.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또는 상기 흡수통안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위치된 압력센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탱크 또는 흡수통안의 압력에 반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밸브가 열림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을 이용한 연료 시스템 조립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액체연료가 상기 탱크안에서 공기를대체할 때, 급유신호(refueling signal)에 반응하여 공기가 상기 벤트 튜브를 통하여 상기 흡수통으로부터 대기로 흐르도록 열림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을 이용한 연료 시스템 조립체.
  13. 증기 튜브에 의해 유체적으로 서로 연결되어서 탱크내의 액체 연료로부터의 증기가 흡수통에 수집되고 저장되는 연료 탱크와 연료증기 수집 흡수통;
    상기 흡수통을 엔진의 흡입 매니폴드(intake manifold)에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퍼지(purge) 튜브;
    상기 흡수통으로부터 상기 매니폴드로의 증기 흐름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퍼지 튜브상에 장착되고, 그 작동은 전자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한 상기 퍼지밸브;
    상기 흡수통을 대기에 유체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벤트 튜브를 통해서 상기 흡수통과 상기 대기사이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한 밸브를 포함하는 벤트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벤트 파이프는 진공릴리프 밸브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진공 릴리프 밸브는 대기가 상기 벤트 튜브를 통해서 상기 흡수통으로 흐르게 하기 위해서 사전에 결정된 조건과 반응하여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을 이용한 연료 시스템 조립체.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나 흡수통 중 하나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조립체에 부착되어 있는 압력 감지 장치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을 이용한 연료 시스템 조립체.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퍼지 밸브는 상기 압력 감지장치에 반응하여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을 이용한 연료 시스템 조립체.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와 상기 흡수통은 거의 동일한 압력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을 이용한 연료 시스템 조립체.
KR1020027006893A 1999-12-10 2000-12-08 진공을 이용한 연료 시스템 KR200300073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023499P 1999-12-10 1999-12-10
US60/170,234 1999-12-10
US09/733,011 US6467464B2 (en) 1999-12-10 2000-12-08 Vacuum based fuel system
US09/733,011 2000-1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384A true KR20030007384A (ko) 2003-01-23

Family

ID=26865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893A KR20030007384A (ko) 1999-12-10 2000-12-08 진공을 이용한 연료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67464B2 (ko)
EP (1) EP1240422A1 (ko)
KR (1) KR20030007384A (ko)
WO (1) WO20010426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4811B1 (en) * 2000-10-04 2002-04-23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fuel evaporative emissions from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133400C2 (de) * 2001-07-13 2003-08-07 Siemens Ag Kraftstoffbehälter
ITTO20010945A1 (it) * 2001-10-05 2003-04-05 Dayco Fuel Man Spa Serbatoio per carburante.
EP1359316B1 (en) * 2002-05-03 2007-04-18 Delphi Technologies, Inc. Fuel injection system
JP3975847B2 (ja) * 2002-07-15 2007-09-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蒸発ガス処理装置
US20040231325A1 (en) * 2003-05-23 2004-11-25 Nichols Gary A. Vehicle vacuum system and method
US20050089428A1 (en) * 2003-10-24 2005-04-28 Navarro Ramon M. Pump pulsation dampening attachment and method for dampening pump pulsations
GB2410477B (en) * 2004-01-29 2006-01-25 Visteon Global Tech Inc Fuel delivery module assembly
US7225798B2 (en) * 2005-05-31 2007-06-05 Sentec E&E Co., Ltd. Device combing fuel control valve and carbon canister, or fuel tank
JP4356897B2 (ja) * 2005-06-07 2009-11-04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US7225799B2 (en) * 2005-07-12 2007-06-05 Sentec E&E Co., Ltd. Device combining two-way valve and carbon canister and fuel tank with the same
US7350511B1 (en) * 2005-07-18 2008-04-01 Walbro Engine Management, L.L.C. Fuel vapor control system
US8281769B2 (en) * 2008-10-21 2012-10-09 Kohler Co. System and method for venting fuel vapors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016584B2 (ja) * 2008-11-26 2012-09-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密閉燃料タンク装置
JP5754437B2 (ja) * 2012-12-19 2015-07-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
US9303599B2 (en) 2013-02-21 2016-04-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system control
US9404446B2 (en) 2013-12-04 2016-08-02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fuel vapor recovery system
US9457649B2 (en) 2013-12-04 2016-10-04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fuel vapor recovery system
WO2016049320A1 (en) * 2014-09-24 2016-03-31 Eaton Corporation Electrically controlled fuel system module
US11698045B2 (en) 2014-09-24 2023-07-11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Electrically controlled fuel system module
WO2017200636A2 (en) 2016-05-16 2017-11-23 Eaton Corporation Electronic evaporative emissions management system
DE112017002449T5 (de) * 2016-06-09 2019-03-28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Elektronisches Kraftstofftanksystem mit nockenbetätigter Entlüftung mit Isolierung der Kanisterleitu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3359A (ja) 1994-04-27 1995-11-07 Nippondenso Co Ltd 蒸発燃料蒸散防止装置
JP3387216B2 (ja) 1994-07-11 2003-03-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蒸発燃料処理装置
JP3264129B2 (ja) * 1995-02-22 2002-03-11 スズキ株式会社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JP3339547B2 (ja) 1996-07-19 2002-10-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3444125B2 (ja) * 1996-12-27 2003-09-08 スズキ株式会社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US5906189A (en) * 1997-01-31 1999-05-25 Suzuki Motor Corporation Evaporative fuel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FR2771683B1 (fr) * 1997-12-02 2000-02-04 Solvay Reservoir a carburant
WO1999039094A2 (en) 1998-01-28 1999-08-05 Siemens Canada Limited Driver circuit for fuel vapor leak detection system
FR2774950B1 (fr) * 1998-02-19 2000-05-19 Plastic Omnium Cie Canister de reservoir a carburant et reservoir a carburant muni d'un tel cani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40422A1 (en) 2002-09-18
WO2001042642A1 (en) 2001-06-14
US6467464B2 (en) 2002-10-22
US20010029931A1 (en) 200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07384A (ko) 진공을 이용한 연료 시스템
US7467620B1 (en) Evaporative emission control system with new adsorbents
US6694955B1 (en) Marine engine with primary and secondary fuel reservoirs
US5906189A (en) Evaporative fuel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265311B1 (ko) 내연기관 연료탱크용 배기장치
CA2272526A1 (en) Tank venting arrangement for motor vehicles
JP2003286918A (ja) ベントシステムを有する燃料タンク
US1059813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uel system recirculation line variable orifice diagnostics
CN114379356A (zh) 用于无压力燃料箱的诊断方法
JP3705398B2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US6739361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obtaining a low-emission tanking operation of a tank system including a tank system of a motor vehicle
KR100213741B1 (ko) 연료 주입시의 증발가스 배출장치
JP3106608B2 (ja) 蒸発燃料制御装置
KR20070060434A (ko) 하이브리드 구동방식의 연료장치
JPH0534513B2 (ko)
JP2000282967A (ja) 蒸発燃料制御装置
JP3391209B2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JPH08324266A (ja) 車両用燃料蒸気排出防止タンク
KR100471480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컷밸브장치
KR200227702Y1 (ko) 연료증발가스의누출방지장치용벤트밸브의구조
JP3175464B2 (ja) 内燃機関の燃料処理装置
CN114109662A (zh) 用于车辆的燃料系统
JP3132334B2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JPH10246156A (ja) エンジンの蒸発燃料回収装置
JPH0552153A (ja) 燃料流出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