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7658A -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 Google Patents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7658A
KR20030087658A KR10-2003-7012711A KR20037012711A KR20030087658A KR 20030087658 A KR20030087658 A KR 20030087658A KR 20037012711 A KR20037012711 A KR 20037012711A KR 20030087658 A KR20030087658 A KR 20030087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hoe
base member
fixing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2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3687B1 (ko
Inventor
도미오 후쿠이
Original Assignee
도미오 후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미오 후쿠이 filed Critical 도미오 후쿠이
Publication of KR20030087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6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8Elevating, i.e. height increas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9Equipment associated with footwear for walking on inclines to compensate for angle of incl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두창의 발뒤꿈치 또는 발끝 부분, 또는 구두의 측면의 높이를 조절하여 자연체에 가까운 자세에 의해 경사면을 오르내리거나 또는 경사면과 평행하게 보행 가능한 부재를 구비하는 구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1)는 발뒤꿈치부의 측면과 저면을 둘러싸도록 끼워맞춰지고, U자형 베이스 부재의 위쪽으로 연장되는 아암의 대략 중앙에는 측면으로부터 바깥 측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축(12b)이 설치된 베이스 부재(11)와, 양 아암(13, 14)의 대략 중앙에는 축(12b)을 꽂기 위한 축 구멍(13a, 14a)을 갖고, 저변 부재(15)는 각 아암의 하단 부근에 결합되는 설치 부재(16)와, 축(12b)에 결합하고, 베이스 부재(11)에 설치 부재(16)를 접합 가능한 고정 암나사(12a)를 구비하고, 경사면을 올라갈 때에는 설치 부재(16)의 아암이 구두창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고정 암나사(12a)로 베이스 부재(11)에 설치 부재(16)를 접합함으로써, 구두(1)의 발뒤꿈치 부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Shoe with members for slope walk}
사람이 평탄한 토지를 보행하는 경우에는 그 사람이 신고 있는 구두 등의 신발의 밑바닥(이하, 「구두창」으로 대표된다)은 대략 수평으로 유지되고, 상기 사람의 중심은 대략 발뒤꿈치 바로 위에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 상태는 가장 자연스럽게 보행하기 쉬운 자세이다(이하, 「자연체」라고 한다).
이에 대하여, 사람이 경사면이나 언덕길을 올라가는 경우에 구두창은 대략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발끝이 위를 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사람은 자연체로 보행할 수 없고, 자연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구두창의 후측부, 특히 발뒤꿈치 부분을 높게 하여 구두창을 경사면에 대하여 대략 수평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등산화에 관한 것으로, 그 등산화의 발뒤꿈치부에 보조 발뒤꿈치를설치한 등산화용 설치구(取付具)가 있었다(일본 실공소 제 42-11251호).
또한, 상기 고안의 결점을 개량하는 것으로서, 설치구를 발바닥의 장심에 접촉시켜, 저면(底面; 바닥)이 대략 반원 형상인 등산용 설치 기구가 있었다(일본 실개소 제 62-196004호). 이 고안에 대한 명세서에는 발뒤꿈치가 아닌 발바닥의 장심으로 체중을 지탱하기 때문에, 발바닥의 장심부 주변의 근육 피로 및 다리부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도 갖는 취지의 기재가 있다.
구두의 발뒤꿈치에 보조 발뒤꿈치를 설치하는 등산화에는 사이즈마다 설치구가 필요하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대략 반원 형상의 등산용 설치 기구는 상기 등산화용 설치구와 마찬가지로 통상적인 등산화에 대하여 별도의 설치구가 필요하고, 평탄길을 걷을 때는 그것을 분리해서 가지고 다니며, 경사면에 다다르면 그것을 부착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발바닥의 장심으로 체중을 확실하게 지탱함으로써, 발바닥의 장심부 주변의 근육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을 지도 모르지만, 체중이 걸리는 2개의 지점이 가까워지는 것에 의한 불안정감으로부터, 반대로 다리부, 특히 중심 바로 아래의 발뒤꿈치부나 장딴지부의 근육 피로를 증대시킬 것이라는 문제도 있다.
그런데, 상기와 동일한 생각에 의해, 반대로 경사면을 내려가는 경우에는 구두창의 앞 부분, 특히 발끝 부분의 높이를 높게 하여, 구두가 경사면에 접지하였을 때의 구두창을 대략 수평이 되도록 할 수 있다면 좋을 것이다.
또한, 경사면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걷는 경우에도, 양쪽 발의구두의 골짜기 측의 측면 높이를 높게 하여, 구두가 경사면에 설치되었을 때의 구두창을 대략 수평이 되도록 할 수 있다면 좋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구두창의 발뒤꿈치 및 발끝 부분의 높이 및 구두창의 측면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자연체에 가까운 자세에 의해 경사면을 오르내리거나 또는 경사면과 평행하게 보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부재를 구비하는 구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사면 또는 언덕길을 오르내릴 때 또는 경사면 또는 언덕길에 대하여 가로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할 때, 보다 자연스러운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등산화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의 U자형 쇠장식 아암 고정 부재(13)를 분리하였을 때의 상기 구두의 측면도, 도 1b는 그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구두의 이면도(裏面圖).
도 2a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의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 및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의 정면도, 도 2b는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와 U자형 부재 저변 부재(15)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의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 및 U자형 부재 저변 부재(15)의 동작 범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의 설치 부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2)의 배면도, 도 5b는 상기 구두의 측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2)의 설치 부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2)의 U자형 부재(22)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3)의 측면도, 도 8b는 상기 구두의 이면도.
도 9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3)의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33),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34) 및 U자형 부재 저변 부재(35)의 동작 범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3)의 설치 부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0)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0)의 설치 부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0)의 설치 부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는 구두의 발뒤꿈치의 양 측면 및 저면을 둘러싸도록 끼워맞춰지는 U자형 베이스 부재(base member)로서, U자형 베이스 부재의 양 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아암(arm)의 대략 중앙에는 상기 구두의 발뒤꿈치부의 측면에서 바깥 측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축이 설치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보다도 아암이 긴 U자형 설치 부재로서, 그 양 아암의 대략 중앙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축을 꽂기 위한 축 구멍을 갖고, 저변부는 상기 양 아암의 각각의 한쪽 끝 부근에 결합되는 설치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축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기 설치 부재를 접합할 수 있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경사면을 올라갈 때에는 상기 설치 부재의 아암이 구두의 측면에서 보아 구두창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상기 고정 부재로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기 설치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상기 구두의 발뒤꿈치 부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그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는 오르막 경사면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상기 구두창에 대한 상기 설치 부재의 아암의 각도를 대략 수직 위치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적어도 90°사이에서 회전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는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그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는 상기 설치 부재의 아암이 중앙에 축 구멍을 갖는 고정 부재와, 길이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슬라이딩용 세로 구멍을 갖는 슬라이딩 부재로 구성되어도 되고, 이 경우, 상기 설치 부재의 저변부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각각의 하단 또는 그 부근 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오르막 경사면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구두창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그 세로 구멍과 평행하게 또 하나의 세로 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대응하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세로 구멍과 평행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감쌀 수 있는 프레임을 갖거나, 또는, 상기 고정 부재에 축 구멍으로부터 그 고정 부재의 폭 방향 소정 거리에 그 세로 구멍에 끼워맞춰지는 위치에 작은 돌기를 설치하고, 또 하나의 세로 구멍에 작은 돌기가 끼워맞춰질 수 있는 등, 양자의 평행 관계를 확보하는 수단을 설치하여도 된다.
여기서, 상기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도,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는 상기 설치 부재의 축 구멍으로부터 저변부까지의 길이가 상기 구두의 발뒤꿈치 부분의 측면의 수평 방향에서의 길이의 적어도 반분(半分) 이상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축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 아암 및 상기 구두의 발뒤꿈치를 관통하는 1개의 축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것 중의 어느 하나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의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축과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를 갖고 있어도 되고,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축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여, 스프링의 편압(偏壓)에 의해 베이스 부재의 아암 바깥 측으로 돌출하는 1개의 돌기를 설치하고, 이 돌기와 결합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갖는 링을 상기 설치 부재의 아암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베이스 부재의 축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고정시키고, 링 및 설치 부재의 아암을 회전하여 그 돌기와 링의 구멍의 결합에 의해 설치 부재의 아암을 필요한 각도로 고정시키고, 돌기는 링의 구멍의 바깥 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링의 구멍의 결합을 풀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는 구두의 구두창에 대하여 수직으로 그 구두의 배면에 결합되는 1 이상의 중공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슬라이딩할 수 있는 상기 실린더의 수와 동일한 수의 아암부로 이루어지는 설치 부재와,
상기 실린더와 상기 아암부의 각 쌍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 대하여 상기아암부를 원하는 위치에 접합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경사면을 올라갈 때에는 경사면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 부재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고정 부재로 소정 위치에 접합함으로써, 상기 구두의 발뒤꿈치 부분을 소정의 높이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그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는 상기 중공의 실린더가 1 이상의 원통형 또는 각진 통형으로, 상기 실린더가 복수 개인 경우, 이들의 실린더 내를 슬라이딩하는 복수 개의 아암부는 저변부에 의해 그 하단 부근의 모두를 결합하여도 된다. 또한, 이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는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아암부를 상기 실린더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수나사로, 상기 실린더가 이 수나사를 나사 결합하기 위해 그 내측 표면에 나사 홈을 구비하는 작은 구멍을 갖는 것으로 하여도 되고, 이 경우, 상기 아암부의 표면에는 상기 나사가 끼워맞춰지는 복수의 오목부 또는 가로 홈을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실린더가 복수 개 있는 경우, 모든 실린더 내의 동일한 높이의 적당한 위치에 수평 방향에 위치하는 1개의 봉으로 연결한 실린더 내부로 돌출할 수 있는 스프링으로 편압한 각각 1개의 스프링식 돌기를 설치하고, 이들의 모든 돌기를 1개의 봉으로 연결하고, 실린더 내를 상하로 움직이는 설치 부재의 상기 아암의 모두에는 이 돌기와 결합하는 복수 개의 오목부 또는 구멍을 설치하고, 이 스프링식 돌기를 실린더의 바깥쪽으로 편압하여 상기 아암을 상하로 움직여, 소정의 높이로 상기 스프링식 돌기를 아암의 오목부 또는 구멍과 결합시키도록 스프링의 편압을 개방함으로써 그 위치에서 설치 부재를 고정시키고, 스프링 돌기를 실린더 바깥쪽을향하여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아암의 오목부와의 결합을 풀어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는 구두의 발끝부의 측면 및 저면을 둘러싸도록 끼워맞춰지는 U자형 베이스 부재로서, U자형 베이스 부재의 저변부의 양 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아암을 갖고, 상기 아암의 대략 중앙에는 상기 구두의 발끝부의 측면에서 바깥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이 설치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보다도 아암이 긴 2개의 아암을 갖는 U자형 설치 부재로서, 그 양 아암의 대략 중앙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축을 꽂기 위한 축 구멍을 갖는 설치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축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기 설치 부재를 접합할 수 있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경사면을 내려갈 때에는 상기 설치 부재의 아암이 구두창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상기 고정 부재로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기 설치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상기 구두의 발끝 부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그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는 내리막 경사면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상기 구두창에 대한 상기 설치 부재의 아암의 각도를 대략 수직의 위치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적어도 90°사이에서 회전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는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그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는 상기 설치 부재가 중앙에 축 구멍을 갖는 2개의 고정 부재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용 세로 구멍을 갖는 2개의 슬라이딩 부재로 구성되어도 되고, 이 경우, 상기 설치 부재의 저변부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각각의 하단 부근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내리막 경사면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구두창에 대하여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는 대응하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세로 구멍과 평행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양 변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감쌀 수 있는 프레임을 갖는 등, 또는, 상기 고정 부재에 축 구멍으로부터 상기 고정 부재의 폭 방향 소정 거리에 작은 돌기를 갖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그 세로 구멍과 평행하게 또 하나의 세로 구멍을 설치하고, 이 또 하나의 세로 구멍에 작은 돌기가 끼워맞춰질 수 있는 등, 양자의 평행 관계를 확보하는 수단을 설치하여도 된다.
여기서, 그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는 상기 설치 부재의 축 구멍에서 저변부까지의 길이가 상기 구두의 발끝 부분의 측면의 수평 방향에서의 길이의 적어도 반분 이상이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축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 아암 및 상기 구두의 발끝부를 관통하는 1개의 축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어느 한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축과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를 갖고 있어도 되고,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축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위치하고, 스프링의 편압에 의해 베이스 부재의 아암 바깥 측으로 돌출하는 1개의 돌기를 설치하고, 이 돌기와 결합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갖는 링을 상기 설치 부재의 아암에고정시킴과 동시에, 베이스 부재의 축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고정시키고, 링 및 설치 부재의 아암을 회전시켜 돌기와 링 구멍의 결합에 의해 설치 부재의 아암을 필요한 각도로 고정시키고, 돌기는 링의 구멍의 바깥 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밀어넣음으로써 링의 구멍과의 결합을 풀어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는 상술한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의 각각의 부재를 각각에 따라서 구두의 발끝부 및 발뒤꿈치부에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 아암의 형상을 그 상단에서 직각으로 후방으로 굴곡되고 그 선단이 대략 구두창의 가장 뒷부분에 도달하는 플레이트형으로 하여 선단 부근에 상기의 베이스 부재의 제 1 축과 동일한 제 2 축을 설치하고, 설치 부재의 고정 부재에는 축 구멍과 반대의 끝 부근에 상기 고정 부재보다 길이가 약간 짧은 교차 부재의 한쪽 끝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접합하고, 이 교차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측에 복수의 오목형 절취부를 형성하고, 이 절취부를 상기 플레이트 선단 부근의 제 2 축에 결합시키고 고정구로 고정시킴으로써 설치 부재의 아암을 필요한 각도로 고정시키는[교차 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부재의 다른 끝은 절취부를 제 1 축에 결합시켜 고정한다]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에 기재된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는 구두의 발바닥의 장심 부분의 양 측면 및 저면을 둘러싸도록 끼워맞춰지는 U자형 베이스 부재로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발바닥의 장심 부분의 측면 및 그 반대측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양 플레이트부에는 1 이상의 원통형 또는 각진 통형의 중공의 실린더가 상기 플레이트부의 가로 폭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상기 플레이트부의 길이 방향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슬라이딩할 수 있는 상기 실린더의 수와 동일 수의 아암부로 이루어지는 상기 양 플레이트부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설치 부재와,
상기 실린더와 상기 아암부의 각 쌍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 대하여 상기 아암부를 원하는 위치에 접합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경사면에 대하여 대략 수평 방향으로 걸을 때에는 경사면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양쪽 발의 구두의 쌍방의 골짜기 측의 상기 설치 부재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고정 부재로 소정 위치에 접합함으로써, 상기 구두창 부분을 대략 수평으로 유지하여, 보행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그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공의 실린더가 1 이상의 원통형 또는 각진 통형이고, 상기 실린더가 복수 개인 경우, 이들의 실린더 내를 슬라이딩하는 복수 개의 아암부는 저변부에 의해 그 모든 아암부의 하단 부근을 결합하여도 된다. 또한, 이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는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아암부를 상기 실린더에 대하여 접합하여 고정시키는 수나사이고, 상기 실린더는 이 수나사를 나사 결합하기 위해 그 내측 표면에 나사 홈을 구비하는 작은 구멍을 갖는 것으로 하여도 되고, 이 경우, 상기 아암부의 표면에는 상기 수나사가 끼워맞춰지는 복수의 오목부 또는 가로 홈을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실린더가 복수 개인 경우, 모든 실린더 내의 동일한 높이의 적당한 위치에 수평 방향에 위치하는 1개의 봉으로 연결한 실린더 내부로 돌출할 수 있는 스프링으로 편압한 각각 1개의 스프링식 돌기를 설치하고, 실린더 내를 상하로 움직이는 설치 부재의 상기 아암의 모두에는 이 돌기와 결합하는 복수 개의 오목부 또는 구멍을 설치하고, 그 스프링식 돌기를 실린더의 바깥쪽으로 편압하여 상기 아암을 상하로 움직이고, 소정의 높이로 상기 스프링식 돌기를 아암의 오목부 또는 구멍과 결합시키도록 스프링의 편압을 개방함으로써 그 위치에서 설치 부재를 고정시켜, 스프링식 돌기를 실린더 바깥쪽을 향하여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아암의 오목부와의 결합을 풀어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는 상술한 구두의 측면에 실린더를 구비하는 어느 한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에, 상술한 구두의 발뒤꿈치 부분에 베이스 부재, 설치 부재, 및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의 각각의 부재, 또는, 상술한 구두의 배면에 실린더를 구비하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의 각각의 부재의 어느 하나와, 상술한 구두의 발끝 부분에 베이스 부재, 설치 부재, 및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의 각각의 부재를 한쪽 또는 양쪽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를 신는 것에 의해, 경사면의 경사에 의하지 않고 대략 일반적인 경사면의 상행 또는 하행 시 또는 경사면과 평행하게 보행할 때, 가장 자연스럽게 보행하기 쉬운 자세로 보행할 수 있다.
또한, 부재는 수납 또는 격납 가능하기 때문에, 경사면을 오르내릴 때 이외의 평탄한 장소를 보행할 때에도, 설치구를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된다. 이 때문에, 상기 구두의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구두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어떠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설명의 편의상, 경우에 따라서 구두로서 등산화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맨 먼저, 경사면을 올라가는 경우에 사용되는 발뒤꿈치 부분을 높일 수 있는 등산화에 대하여 설명한다(제 1 및 제 2 실시예).
(제 1 실시예)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의 보행용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는 등산화 이외에 베이스 부재(11), 고정 암나사(12a) 및 여기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 부착 축(12b),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 및 U자형 부재 저변 부재(15)를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11)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고, 이것은 예를 들어, 가늘고 긴 금속판으로 제작된 쇠장식으로,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의 발뒤꿈치부(4)의 측면에서 발뒤꿈치부(4)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에 구두창의 표면(지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구두창 및 구두의 측면을 따라서 U자형으로 끼워맞춰지고,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 비스 등으로 발뒤꿈치부(4)에 고정된다. 이 부재는 소정의 강도를 갖는 것이라면, 플라스틱이나 자기 재료등의 금속 이외의 재료여도 된다.
베이스 부재(11)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의 발뒤꿈치부(4)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하는 아암부(11a; 도 1a 참조) 및 상기 등산화(1)의 발뒤꿈치부(4)의 구두창 면에 결합하는 저면부(11b; 도 1b 참조)로 이루어진다. 각 아암부(11a)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상기 등산화(1)의 발뒤꿈치부(4)로부터 바깥 측을 향하여 수평으로 돌출된 금속 등의 짧은 수나사 부착 축(12b)이 양측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그 축(12b)의 선단 부분에는 고정 암나사(12a)용 나사 홈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11)의 수나사 부착 축(12b)은 이 베이스 부재(11)의 양 아암과 함께, 상기 등산화(1)의 발뒤꿈치부(4)를 관통하는 1개의 축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이 축(12b)은 베이스 부재(11)에 고정됨과 동시에, 등산화(1)의 발뒤꿈치부(4)의 내부에도 확실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는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상술한 베이스 부재(11)에 설치되는 각 부재(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 및 U자형 부재 저변 부재(15))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a에 있어서, 등산화(1)의 양 측면에 베이스 부재(11)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2개의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는 직사각형의 금속판으로, 각각의 중앙부 부근에 축 구멍(13a)을 갖는다. 이 고정 부재(13)는 반드시 항상 직사각형의 금속판일 필요는 없고, 원형 평판형이어도 되고, 경우에 따라서 그 대소는 문제되지 않는다. 또한, 이 고정 부재(13)는 조건에 따라서는 불필요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등산화(1)의 양 측면으로서, 상술한 고정 부재(13)와 베이스 부재(11) 사이에 어느 쪽에도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2개의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도, 직사각형의 금속판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재(14)의 베이스 부재(11)에 결합하였을 때에 있어서 광범위하게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그 길이는 U자형 부재 고정 부재(13)보다도 길다. 또한, 각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는 그 대략 중심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길이의 슬라이딩용 세로 구멍(14a)이 설치된다.
또한,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는 대응하는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의 슬라이딩용 세로 구멍(14a)과 평행한 양 변의 가장자리(도 2a의 우측도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마주 보는 양 변을 따라서)에,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를 감쌀 수 있는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는 그 길이 방향의 양 변을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의 프레임에 의해 확실하게 고정시키기 때문에,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는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 외, U자형 부재 고정 부재(13)의 축 구멍(13a)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작은 돌기(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함과 동시에,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에 세로 구멍(14a)과 평행한 또 하나의 세로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고, 이 또 하나의 세로 구멍에 작은 돌기가 끼워맞춰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등,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와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의 평행 관계를 확보하는수단은 몇 개라도 생각할 수 있다.
도 2b에 있어서, 2개의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는 U자형 부재 저변 부재(15)와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각각의 대응하는 한쪽 끝 또는 이것과 가까운 부위가 U자형 부재 저변 부재(15)의 양단에 결합된다. 이 U자형 부재 저변 부재(15)는 발뒤꿈치 부분에 걸리는 상기 구두를 신는 사람의 체중을 지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재료여도 되지만, 등산할 때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면 경질인 것(예를 들어, 금속 등)이 좋다. 또한, 저변 부재(15)가 슬라이딩 부재(14)의 하단보다도 위쪽에 설치할 때는 당연히, 슬라이딩 부재(14)의 하단이 구두를 신는 사람의 체중을 부분적으로 지지하게 되므로, 이것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필요하다.
이하, 2개의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 2개의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 및 U자형 부재 저변 부재(15)를 총칭하여, 적절하게 U자형 부재(16)로서 설명한다(도 3b 참조).
도 3a는 상술한 부재를 등산화에 구비된 본 발명을 적용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의 U자형 부재(16)의 동작 범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자형 부재(16)는 베이스 부재(11)의 수나사 부착 축(12b)을 중심으로(도 3a에서는 고정 암나사(12a)의 후측에 있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음), 구두창에 대략 직각인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약 90도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a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U자형 아암 고정 부재(13)는 축구멍(13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지만, 발뒤꿈치 부분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없다. 그에 대하여, U자형 아암 슬라이딩 부재(14)는 회전도 슬라이딩도 가능하다.
도 3b는 도 3a에 있어서의 베이스 부재(11; 도 3a에서는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의 후측에 있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음)와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 및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 도 3b에 있어서, 이 접합부는 베이스 부재(11)의 수나사 부착 축(12b)에,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의 슬라이딩용 세로 구멍(14a),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의 축 구멍(13a)의 순서로 꽂히고, 그 위에서 고정 암나사(12a)를 이들의 구멍에 삽입하면서 수나사 부착 축(12b)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구두의 발뒤꿈치부(4)에 끼워맞춰져 있는 베이스 부재(11)의 아암부(11a)에 이들의 부재를 압접,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또한, U자형 부재(16)는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 및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를 베이스 부재(11)에 압접, 고정시키는 고정 암나사(12a)를 헐겁게 함으로써, 구두창의 표면(즉, 지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의 위치로부터 U자형 부재 저변 부재(15)가 구두의 후방을 향하여 수나사 부착 축(12b)을 중심으로 약 90° 회전하여 구두창 표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치할 수 있다(도 3a 참조).
그리고, U자형 부재(16)를 수직으로 한 후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를 최하위에 슬라이딩하여 고정시켰을 때 등산화(1)의 발뒤꿈치 부분의 높이가 최고가 되어, U자형 부재(16)를 수평으로 하였을 때 그 높이가 최저(즉, 등산화 그 자체의 발뒤꿈치의 높이)가 된다. 이와 같이,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 및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를 수평으로 하여 고정 암나사(12a)에 의해 등산화(1)의 발뒤꿈치부(4)의 측면에 압접,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구두의 U자형 부재(16)는 평탄한 장소에서의 보행에도 지장이 없도록 장착 가능하다.
여기서, U자형 부재(16)를 등산화(1)에 장착한 채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즉, U자형 부재 저변 부재(15)가 등산화(1)의 발뒤꿈치부(4)에 걸리지 않고서 수나사 부착 축(12b)을 중심으로 U자형 부재(16)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 U자형 부재 저변 부재(15)의 회전 반경, 즉, 수나사 부착 축(12b)으로부터 U자형 부재 저변 부재(15)까지의 길이는 도 3a에 있어서,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가 발뒤꿈치부(4)의 수평 방향 대략 중앙에 설치되었을 때는 상기 등산화(1)의 발뒤꿈치부(4)의 측면의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길이의 적어도 반분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등산화(1)의 발뒤꿈치 부분의 높이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 및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를 베이스 부재(13)에 압접, 고정시키고 있는 양측의 고정 암나사(12a)를 풀고, 등산화(1)의 발뒤꿈치 부분이 적당한 높이가 되도록 베이스 부재(11)의 수나사 부착 축(12b)을 중심으로 U자형 부재(16)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고, 그 위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암나사(12a)를 조여서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 및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를 베이스 부재(11)에 압접, 고정시킨다.
U자형 부재(16)를 구두창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하여도 상기 등산화의 발뒤꿈치 부분을 조정할 수 없을 만큼 급한 경사면인 경우에는 상기 방법과는 달리, 고정 암나사(12a)를 풀고 U자형 부재(16)를 구두창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한 후,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에 대하여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를 아래쪽으로 슬라이딩시키고, 오르막 경사면의 각도에 대하여 등산화(1)의 발뒤꿈치 부분을 적당한 높이로 조정한 후, 고정 암나사(12a)를 조임으로써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 및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를 위쪽에 압접, 고정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는, U자형 부재(16)를 사용하여 등산화(1)의 발뒤꿈치 부분의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조정함으로써, 이 등산화(1)를 신고 보행하는 사람의 몸을 보다 자연체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U자형 부재(16)를 압접,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 암나사(12a)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베이스 부재(11)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의 설치 부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 4에 있어서,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는 등산화 이외에, 베이스 부재(11), 축(12),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 U자형 부재 저변 부재(15), 링(17), 관통 구멍(링 구멍; 17a) 및 돌기(18)를 구비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의아암부와 베이스 부재(11)의 설치 부분만이 상기 실시예와 다르기 때문에, 변경점만을 설명하고, 그 밖의 설명은 생략한다.
링(17)은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의 바깥 측에 접촉하도록 베이스 부재(11)의 축(12)에 그 중심을 고정시켜, 소정의 각도(도면에서는 약 90°)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링(17)의 원주 상에는 일정한 각도마다 링(17)을 관통하는 구멍(17a)이 복수 설치된다. 이 링의 구멍(17a)은 베이스 부재(11)의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에 접촉하는 측으로 돌출하는 돌기(18)와 결합할 수 있다.
돌기(18)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1)의 축(12)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이격된 장소(도 4에서는, 축으로부터 발끝 방향측)로부터 돌출하는 것이지만, 이 돌기(18)는 스프링의 편압에 의해 베이스 부재(11)로부터 바깥 측으로 돌출하는 것이다.
이어서, 설치 부분을 변경한 등산화(1)의 발뒤꿈치 부분의 높이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경사면의 경사에 대응하여 등산화(1)의 발뒤꿈치 부분이 적당한 높이가 되도록, 돌기(18)를 링의 구멍(17a)의 바깥 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밀어넣음으로써 돌기(18)와 링의 구멍(17a)의 결합을 풀고, 링(17)과 함께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를 회전시켜 아암의 각도를 필요한 각도로 조절하여, 그 위치에서 돌기(18)를 밀어넣는 것을 멈춤으로써 베이스 부재(11)로부터 바깥 측으로 돌출한 돌기(18)와 대응하는 링의 구멍(17a)을 결합하고,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를 소정의 각도로 고정시켜, 원하는 등산화(1)의 발뒤꿈치 부분의 높이로 조정한다.
이상과 같이, 제 1 실시예의 설치 부분에 대한 변형예에서는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 등을 베이스 부재(11)에 접합하는 경우에 있어서, 고정 암나사(12a)와 수나사 부착 축(12b)을 사용하는 대신, 링(17)과 스프링식 돌기(18)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 때문에, 고정 암나사(12a)를 수나사 부착 축(12b)에 나사 결합하는 것보다도 간단하게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 등을 베이스 부재(11)에 압접,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보다 단시간에 등산화(1)의 발뒤꿈치 부분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를 생략하고 설명하였지만, 이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를 포함하여 아암의 각도를 조절하는 동시에,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등산화의 발뒤꿈치부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변형으로서, 도 13에 제 5 실시예로서 도시하는 설치 부분을 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11)의 양 아암의 형상을, 그 상단에 있어서 직각으로 후방으로 굴곡되어 그 선단이 대략 구두창의 가장 뒷부분에 도달하는 플레이트형으로 하여 그 선단 부근에 베이스 부재(11)의 제 1 축(12)과 동일한 제 2 축(39)을 설치하고, 설치 부재(16)의 고정 부재(13)에는 축 구멍(13a)과 반대의 끝 부근에 이 고정 부재보다 길이가 약간 짧은 교차 부재(40)의 한쪽 끝(41)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접합하여, 이 교차 부재(40)의 길이 방향의 일측 쪽에 복수의 오목형 절취부(42)를 설치하고, 이 절취부를 상기 플레이트 선단 부근의 제 2 축(39)에 결합시키고, 암나사 등의 고정구로 고정시킴으로써 설치 부재(16)의 아암(13) 또는 아암(13, 14)을 필요한 각도로 고정시킨다. 또한, 교차 부재(40)의 사용을 필요로 할 때는 상기 부재를 상기 아암의 주위로 회전시켜 부재의 절취부(42)를 제 1 축(12)에 결합시켜 고정시킨다. 이러한 설치 부분은 구두창의 전단으로 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의「후방」, 「가장 뒷부분」을 「전방」, 「가장 앞부분」이라고 바꿔 읽음으로써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8, 도 9, 도 10의 설치 부분을 변형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교차 부재(40)의 폭을 약간 작게 함으로써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2)의 보행용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 5에 있어서,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2)는 등산화 이외에, 2개의 고정 수나사(21), 1개의 U자형 부재(22) 및 2개의 실린더(23)를 구비한다.
U자형 부재(22)는 실린더(23)의 간격에 대응하는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2개의 수직 아암부(22a)와, 이들의 한쪽 끝(하단)을 밑바닥부에서 결합하는 1개의 시트(seat; 22b)로 이루어지지만, 이 수직 아암부(22a)의 수는 2개 이상이어도 된다. 2개 이상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실린더(23)도 이것에 대응하는 수를 갖고, 그것에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수직 아암부(22a)는 후술하는 실린더(23)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는 형상(예를 들어, 실린더(23)의 내경보다도 조금 작은 외형을 갖는 원주형)을 갖지만, 그 형상은 원주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각진 통형(예를 들어, 사각 기둥) 등이어도 된다.
2개의 실린더(23)는 구두창의 표면(지면)과 대략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비스 등에 의해 등산화의 후부 배면에 2점 이상으로 접합, 고정된다(접합부는 도시하지 않음). 수직 아암부(22a)가 동시에 그 사이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서로 평행하다.
또한, 각 실린더(23)는 그 내부가 중공이고, 소정의 높이(실린더(23)의 길이 방향에서 중심보다도 하측 쪽이 좋다.)에 상기 등산화의 후부 배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고정 수나사(21)를 나사 결합하기 위한 작은 구멍(23a)이 설치된다(도 5에서는 직접 도시되지 않지만, 도 5a를 참조). 이 작은 구멍(23a)은 그 내측 표면에 고정 수나사(21)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 홈을 갖는다. 이 작은 구멍(23a)에 고정 수나사(21)를 조임으로써, 실린더(23)에 삽입된 U자형 부재(22)의 수직 아암부(22a)를 압접하여, 원하는 위치에 U자형 부재(2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실린더(23)는 적당한 강도가 있는 것이라면 금속제 이외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고정 수나사(21)에 의한 U자형 부재(22)의 고정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하기 위해,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자형 부재(22)의 수직 아암부(22a)의 고정 수나사(21)와 접촉하는 표면 부분에는 고정 수나사(21)의 선단이 걸리는 가로 홈(22c)을 일정 간격으로 해두거나, 또는, 고정 수나사(21)의 선단이 걸리는 오목부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각 기구를 장착한 채로 평탄한 장소에서의 보행에도 지장이 없도록, U자형 부재(22)는 그 수직 아암부(22a)가 실린더(23) 내에 가장 깊게 삽입된 경우에는 그 시트(22b)가 지면에 접하지 않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실린더(23) 내에 격납되는 U자형 부재(22)의 아암부(22a)를 상하로 슬라이딩하여, 실린더(23)의 작은 구멍(23a)에 고정 수나사(21)를 나사 결합하여 압접, 고정시킴으로써, 등산화의 발뒤꿈치 부분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다음으로, 등산화(2)의 발뒤꿈치 부분의 높이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U자형 부재(22)를 실린더(23) 내에서 고정되어 있는 2개의 고정 수나사(21)를 풀고, 등산화(2)의 발뒤꿈치 부분이 적당한 높이가 되도록 2개의 수직 아암부(22a; 즉, U자형 부재(22))를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적당한 위치에 있어서, 상기 가로 홈(22c)에 고정 수나사(21)의 선이 압접되도록, 상기 2개의 나사(21)를 전부해서, U자형 부재(22)를 실린더(23) 내에 고정시킨다.
또한,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등산화(2)의 발뒤꿈치 부분의 높이는 보다 강고하게 압접,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고정 수나사(21)에 의해 고정되는 수직 아암부(22a)의 위치는 수직 아암부(22a)의 가로 홈(22c) 또는 오목부(24d)가 설치되어 있는 범위 내 뿐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2)는 U자형 부재(22) 등을 사용하여 등산화(2)의 발뒤꿈치 부분의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조정함으로써, 이 등산화(2)를 신고 보행하고 있는 사람의 몸을 보다 자연스러움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2)의 설치 부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 6에 있어서,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2)는 등산화 이외에도, 1개의 U자형 부재(22), 2개의 실린더(23), 1개의 바(봉; 24) 및 2개의 스프링식 돌기(25)를 구비한다. 이하, 본 변형예의 설치 부분에 관해서 설명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린더(23)의 형상이 원통형 또는 각진 통형의 어떠한 것이어도 되고, 그것들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상기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23)에는 작은 구멍(23a)이 있고, U자형 부재(22)에는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오목부(22d)가 있다. 이 오목부(22d)는 작은 구멍(23a)을 끼워 후술하는 스프링식 돌기(25)와 결합하여, U자형 부재(22)를 소정의 길이로 고정시킬 수 있다(즉, 등산화의 발뒤꿈치 부분을 소정의 높이로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오목부(22d)는 스프링식 돌기(25)와 결합할 수 있는 것이면, 상술한 가로 홈(22c)이어도 된다.
또한, 이 변형예에 있어서, 스프링식 돌기(25)는 수나사의 형상을 갖지 않고, 작은 구멍(23a)의 내측 표면도 나사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 점에서, 제 2 실시예의 다른 예와 비교하여, 실린더(23)의 제조가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오목부(22d)와 결합하는 스프링식 돌기(25)는 실린더(23)의 개수에 대응하는개수로 설치되고, 그것들은 전부 1개의 바(24)에 의해 연결, 고정된다. 그 때문에, 이 바(24)는, 일체로서 스프링의 편압을 받는다.
다음으로, 설치 부분을 변경한 등산화(2)의 발뒤꿈치 부분의 높이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경사면의 경사에 대응하여 등산화(2)의 발뒤꿈치 부분이 적용한 높이가 되도록 바(24)를 실린더(23)의 바깥 측을 향하여 잡아당김으로써, U자형 부재(22)의 아암부(22a)의 오목부(22d)와 복수의 스프링식 돌기(25)와의 결합을 풀고, U자형 부재(22)의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슬라이딩시켜 소정 위치로 조정한다. 그리고, 바(25)를 잡아당기는 것을 멈춤으로써 스프링식 돌기(25)와 오목부(22d)를 결합시켜, 그 위치에서 U자형 부재(22)를 고정시켜, 원하는 등산화(2)의 발뒤꿈치 부분의 높이로 조정한다.
이상과 같이, 제 2 실시예의 설치 부분(고정 부분)에 대한 변형예에서는 U자형 부재(22)를 실린더(23)와 소정의 위치에서 결합하는 경우에 있어서, 고정 수나사(21)를 사용하는 대신, 스프링식 돌기(25)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따라서, 고정 수나사(21)를 U자형 부재(22)의 가로 홈(22c)에 끼워지는 것 보다도 간단하게 U자형 부재(22)를 실린더(23)에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등산화(2)를 신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순간적으로 등산화(2)의 발뒤꿈치 부분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쇠장식 부착 등산화(2)의 U자형 부재(22)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 7에 있어서,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2)는 등산화 이외에, 1개의 고정 수나사(21),1개의 실린더(23) 및 1개의 슬라이딩판(26)을 구비한다. 이 도 7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2)는 실린더(23)를 하나로 한 점과, 수직 아암부(22a) 대신 하나의 슬라이딩판(26)으로 한 점(즉, 시트(22b)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점)에서 상기 도 5 및 도 6의 등산화(2)와는 다르다.
실린더(23)는 1개의 중공 직사각형 각주(각진 통형)로, 그 속을 슬라이딩판(26)이 슬라이딩 가능하다. 상술한 도 5 및 도 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린더(23)에는 상기 등산화(2)의 뒷 부분 배면에 대하여 수직인 소정의 높이(실린더(23)의 길이 방향으로서 중심보다도 하측 쪽이 좋다)에 고정 수나사(21)와 나사 결합하여 슬라이딩판(26)을 고정시키는 작은 구멍(23a)이 설치된다. 슬라이딩판(26)을 고정시키는 부재로서 고정 수나사(21)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 작은 구멍(23a)의 내표면은 암나사로 절단되어 있다. 또한, 이 실린더(23)는 적당한 강도가 있는 것이면 금속제 이외의 것이어도 된다.
슬라이딩판(26)은 생선묵판과 같은 직사각형 각주로, 상기 고정 수나사(21)와 접하는 표면 부분에는 오목부 또는 가로 홈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도 7에 있어서는 오목부(26a)를 도시한다). 이 슬라이딩판(26)도 실린더(23)와 같이 적당한 강도가 있는 것이면 어떠한 재료인 것이어도 된다. 그렇지만, 금속제이면 등산화(2)의 배면부 중량이 무거워져 보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경량인 강화 플라스틱 등이 좋은 경우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2이상의 수직 아암부(22a)를 사용하지 않고, 1개의 슬라이딩판(26)으로 하였기 때문에, 이들 수직 아암부(22a)의 한쪽 끝을 서로 고정시키는 시트(22b)가 불필요하다. 이 때문에, 변형예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2)는 상기 다른 제 2 실시예인 것에 비하여,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설치 부재의 제작이 간략화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슬라이딩판(26)을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1개의 고정 수나사(21)만을 도시하였지만, 고정 수나사(21)의 수는 1개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 간격으로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복수 사용되어도 된다(수평 방향의 경우, 작은 구멍(23a)은 적당한 거리를 두고 복수 구비되고, 오목부(26a) 또는 가로 홈은 작은 구멍(23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수직 방향으로 복수 배열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2개의 고정 수나사(21)가 사용되는 경우, 도 6의 스프링식 돌기(25)를 구비하는 바(24)를 이용할 수도 있다. 고정 수나사(21)가 1개인 경우보다도 복수 개인 경우 쪽이 슬라이딩판(26)을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이 변형예에 있어서의 등산화(2)의 발뒤꿈치 부분의 높이를 조정하는 방법은 상기 도 5 또는 도 6의 등산화(2)의 경우와 같기 때문에, 여기서는 중복 기재를 피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예)
다음으로, 경사면을 내려오는 경우에 사용되는 발 끝 부분을 높게 할 수 있는 등산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부재 부착 등산화(3)의 보행용 부재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3)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등산화 이외에, 베이스 부재(31), 고정 암나사(32a) 및 수나사 부착 축(32b),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33),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34) 및 U자형 부재 저변 부재(35)를 구비한다.
또한,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33),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34) 및 U자형 부재 저변 부재(35)는 제 1 실시예와 같은 구조이기 때문에, 그 도시를 생략하여, 제 1 실시예에서 사용한 도면(도 2)에 의해 설명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있어서의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의 축 구멍(13a)을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33)의 축 구멍(33a)과,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의 슬라이딩용 세로 구멍(14a)을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34)의 슬라이딩용 세로 구멍(34a)으로 한다.
베이스 부재(31)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베이스 부재(11)와 같은 구조로,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3)의 발끝부(5)의 측면에서 발끝부(5)의 길이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어느 정도 선단 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고, 구두창의 표면(지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구두창 및 구두의 측면을 따라 U자형으로 끼워맞춰져, 임의의 위치에 비스 등으로 구두창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베이스 부재(31)의 수나사 부착 축(32b)은 이 베이스 부재(31)의 양 아암과 함께, 상기 등산화(3)의 발끝부(5)를관통하는 1개의 축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이 축(32b)은 베이스 부재(31)에 고정됨과 동시에, 등산화(3)의 발끝부(3) 내부에도 확실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3)는 보다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다.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33)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와 같은 구조로(도 2a 참조), 그 대략 중심부에 축 구멍(33a)이 설치된다(도시 생략).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34)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와 같은 구조로(도 2a 및 도 2b 참조), 그 대략 중심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슬라이딩용 세로 구멍(34a)이 설치된다(도시 생략).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33)는 대응하는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34)의 슬라이딩용 세로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평행한 양변 가장자리에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34)를 감쌀 수 있는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34)는 그 길이 방향의 양변을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33)의 프레임에 의해 확실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3)는 보다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다.
U자형 부재 저변 부재(35)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2장의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34)와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그 양단이 각각 대응하는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34)의 한쪽 끝에 결합된다.
도 9는 상술한 부재를 등산화에 구비한 본 발명을 적용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3)의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33),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34) 및 U자형 부재 저변 부재(35)의 동작 범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3개의 부재를 총칭하여 적당히 U자형 부재(36)로서 설명한다.
U자형 부재(36)는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 및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를 베이스 부재(11)에 압접, 고정시키는 고정 암나사(32a)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구두창의 표면(즉, 지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위치로부터 U자형 부재 저변 부재(35)가 구두의 발끝 방향으로 수나사 부착 축(32b) 주위에 90°이상 회전하여 구두창 표면에 대하여 수평 또는 발끝 부분 위쪽에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등산화(3)는 U자형 부재(36)를 수평 또는 발끝부의 위쪽에 배치하였을 때에 등산화(3)의 발끝 부분의 높이가 최저가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 암나사(32a)를 조임으로써(수나사 부착 축(32b)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베이스 부재(31)의 측면에 압접, 고정시킴으로써, U자형 부재 저변 부재(35)가 구두의 선단 또는 발끝의 저면보다 위쪽에 배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등산화(3)는 평탄한 장소에 있어서의 보행에도 지장이 없도록 장착 가능하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등산화(3)의 발끝 부분의 높이를 광범위하게 조정 가능하게 하기 위해, U자형 부재(36)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거나 또는 경사면이 급한 경우에는, U자형 부재(36)를 구두창 표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하고, 나아가서는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34)를 아래쪽으로 슬라이딩시켜,그 위치에 있어서 고정 암나사(32a)를 조임으로써 U자형 부재(36)를 베이스 쇠장식(31)에 압접,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등산화(3)의 발끝 높이를 내려 경사면의 각도에 적합한 임의의 높이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3)의 설치 부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 10에 있어서,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3)는 등산화 이외에, 베이스 부재(31)(도시하지 않음), 축(32),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33),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34), U자형 부재 저변 부재(35), 링(37), 관통 홀(링 홀; 37a) 및 돌기(스프링식; 38)를 구비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33) 및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34)와 도시하지 않은 베이스 부재(31)와의 설치 부분만이 상기 도 9의 실시예와 다르다.
또한, 각 부재의 구성 및 그 동작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와 같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각 부재의 구성 및 그 동작이 같음으로써, 상기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와 유사(적용 장소의 표면이 경사인 오르막 내리막의 차이가 있다)한 효과를 갖는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 내지 3)는 그 발뒤꿈치 부분 또는 발끝 부분의 높이를 경사면의 각도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는 U자형 부재 아암 고정 부재(13 또는 33), U자형 부재 아암 슬라이딩 부재(14 또는 34) 및 U자형 부재 저변 부재(15 또는 35) 또는 U자형 부재(22) 또는 슬라이딩판(26) 및 실린더(23)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따라서, 보행중에 평탄지에서 경사면으로 또는 경사면에서 평탄지로 이를 때마다, 일일이 이들 설치 부재를 탈부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 내지 3)는 등산 시의 편리성이 향상함과 동시에, 설치 부재를 떼지 않은 채로 일반 생활에서도 그 구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 내지 3)는 경사면을 오르내릴 때에는, 어느 정도 떨어진 거리에 있는 2개의 부위에 있는 지점에 의해 체중을 지탱하게 되기 때문에,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행중의 안정감을 늘릴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3종류의 설치구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등산화는 이 중,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발뒤꿈치 부분에 설치할 수 있는 설치 부재 중 어느 하나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발끝 부분에 설치할 수 있는 설치 부재를 양쪽 모두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해, 각각의 실시예의 이점을 갖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를 제공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0)의 보행용 부재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 11에 있어서,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0)는 등산화 이외에, 2개의 고정 수나사(101), 1개의 U자형 부재(102) 및 2개의 실린더(103)를 등산화의 양 측면에 1세트(set)씩과 베이스 부재(104)를 구비한다(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도 11에서는, 반대 측면에 설치된 부재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등산화(10)의 측면에 배치된 부재 대부분은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등산화(2)의 배면에 설치된 설치 부재와 같은 구성이다.
베이스 부재(104)는 상기 제 1 및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등산화의 발뒤꿈치부(4) 또는 발끝부(5)에 U자형으로 끼워맞춰진 것과 동일한 구성으로, 등산화의 발바닥 장심 부분의 구두의 양 측면 및 구두창을 따라 U자형으로 끼워맞춰져,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 비스 등으로 고정된다. 베이스 쇠장식(104)의 구두 측면에 있어서의 가로 폭은 등산화(또는 사람)의 발바닥 장심에 대응하는 길이 정도이다.
U자형 쇠장식(102)은 실린더(103)의 간격에 대응하는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2개의 수직 아암부(102a)와, 이들 한쪽 끝(하단)을 밑바닥부에서 결합하는 1개의 시트(102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직 아암부(102a)의 수는 2개 이상이어도 되고, 이 경우, 실린더(103)도 이에 대응하는 수를 가지고, 그에 적합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수직 아암부(102a)는 실린더(103)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형상이면 되며, 예를 들어, 원주형이나 각진 통형 등의 형상이다.
실린더(103)는 베이스 쇠장식(104)의 길이 방향으로 대하여 적당한 위치에 있어서 베이스 쇠장식(104)의 2점 이상으로 비스 등에 의해 확실하게 고정된다(접합부는 도시하지 않음). 또한, 실린더(103)는 수직 아암부(102a)가 그 속을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그 내부가 중공이다.
실린더(103)는 소정의 높이에 작은 구멍이 설치된다(도시하지 않음). 이 작은 구멍은 그 내표면에 고정 수나사(101)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 홈을 갖는다. 이 실린더(23)는 적당한 강도가 있는 것이면 금속제 이외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정 수나사(101)에 의한 U자형 부재(102)의 고정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하기 위해,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U자형 부재(102)의 수직 아암부(102a)의 고정 수나사(101)와 접하는 표면 부분에는 고정 수나사(101)의 선단이 걸리는 가로 홈(102c)을 일정 간격으로 붙여 두거나 또는 고정 수나사(101)의 선단이 감입되는 오목부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등산화(10)의 측면 높이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등산화(10)는 경사면의 경사에 대하여 가로(수평) 방향으로 보행할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도 11에 있어서, 경사면을 수평 방향으로 보행할 때의 골짜기 측 부분에 해당하는 2개의 고정 수나사(101)를 느슨하게 하고, 등산화(10)의 경사면 골짜기 측의 측면 부분이 경사면의 각도에 대하여 적당한 높이가 되도록 2개의 수직 아암부(102a)(즉, U자형 부재(102))를 슬라이딩한다. 수직 아암부(102a)의 상기 가로 홈(102c)에 고정 수나사(101) 앞이 압접되도록 이 2개의 나사(101)를 조여 U자형 부재(102)를 실린더(103) 내에 고정시킨다.
또한, 이와 같이 경사면 골짜기 측의 U자형 부재(102)를 소정의 높이로 고정시켰을 때, 등산화(10)의 경사면에 대하여 능선 측에 고정시킨 U자형 부재(102; 도시하지 않음)는 실린더(103) 내에서 가장 깊게(가장 높게) 감입되어, 능선 측의 등산화(10) 측면은 구두창의 높이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0)는 U자형 부재(102) 등을 사용하여 등산화(10) 경사면의 골짜기 측 부분의 측면만을 높게 함으로써, 이 등산화(10)를 신고 보행하고 있는 사람의 몸을 보다 자연스러움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한쪽 등산화(10)의 조정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양측 구두의 측면 높이를 조정할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방법도 있다. 즉, 경사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보행할 때, 골짜기 측의 발 쪽이 능선 측의 발에 비하여 낮아지기 때문에, 골짜기 측의 등산화(10)를 보다 높게 조정한다는 방법이다. 설명의 편의상, 오른손에 골짜기를 보면서(오른발이 골짜기 측) 수평으로 보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왼발의 등산화(10)를 상기 방법으로 조정한 후, 오른발의 등산화(10)에 대해서는, 능선 측(진행 방향으로 대하여 좌측)의 U자형 부재(102)를 왼발 등산화(10)의 골짜기 측 U자형 부재(102)보다도 높게 한다. 그리고, 오른발의 골짜기 측(진행 방향으로 대하여 우측)의 U자형 부재(102)를 경사면 각도에 따라서 능선 측의 측면 높이보다도 높게 한다. 이와 같이 양 발에 대해서 조정함으로써, 등산화(10)를 신고 보행하고 있는 사람의 몸을 한층 더 자연스러움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0)의 2개의 고정 수나사(101) 대신,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6의 스프링식 돌기(25)를 구비하는 바(24)를 이용할 수도 있다. 각 부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 12에 있어서,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0)는 등산화 이외에, 1개의 고정 수나사(101), 1개의 실린더(103) 및 하나의 슬라이딩판(26)을 등산화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한다. 이 도 12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0)는 실린더(103)를 하나로 한 점과, 수직 아암부(102a) 대신 하나의 슬라이딩판(105)으로 한 점(즉, 시트(102b)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점)에서 상기 도 11의 등산화(10)와는 다르다.
실린더(103)는 1개의 중공 직사각형 각주(각진 통형)로, 그 속을 슬라이딩판(26)이 슬라이딩 가능하다. 상술한 도 11의 등산화(10)와 마찬가지로, 실린더(103)에는 상기 등산화(10)의 측면에 대하여 수직인 소정의 높이(실린더(103)의 길이 방향으로서 중심보다도 하측 쪽이 좋다)에 고정 수나사(101)와 나사 결합하여 슬라이딩판(105)을 고정시키는 작은 구멍(103a; 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된다. 슬라이딩판(105)을 고정시키는 부재로서 고정 수나사(10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작은 구멍(103a)의 내표면은 암나사로 절단되어 있다. 또한, 이 실린더(103)는 적당한 강도가 있는 것이면 금속제 이외의 것이어도 된다.
슬라이딩판(105)은 생선묵판과 같은 직사각형 각주로, 상기 고정 수나사(101)와 접하는 표면 부분에는 오목부(105a) 또는 가로 홈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도 12에서는 오목부를 도시한다). 이 슬라이딩판(105)도 실린더(103)와 마찬가지로 적당한 강도가 있는 것이면 어떠한 재료의 것이어도 된다. 그렇지만, 금속제이면 등산화(10)의 양 측면부의 중량이 무거워져 보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경량인 강화 플라스틱 등이 좋은 경우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판(105)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시트(102b)가 불필요하다. 이 때문에, 변형예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0)는 상기 도 11의 실시예의 것에 비하여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설치 부재 제작이 간략화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슬라이딩판(105)을 고정시키기 위해 하나의 고정 수나사(101)만을 사용하였지만, 고정 수나사(101) 수는 1개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 간격으로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복수 개 사용되어도 된다(수평 방향의 경우, 작은 구멍(103a)은 적당한 거리를 두고 복수 구비되고, 오목부(105a) 또는 가로 홈은 작은 구멍(23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수직 방향으로 복수 배열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2개의 고정 수나사(101)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 2 실시예의 도 6에 있어서의 스프링식 돌기(25)를 구비하는 바(24)를 이용할 수도 있다. 고정 수나사(101)가 1개인 경우보다도 복수인 경우 쪽이 슬라이딩판(105)을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이 변형예에 있어서의 등산화(10)의 골짜기 측 측면부의 높이를 조정하는 방법은 상기 도 11의 등산화(10)의 경우와 같기 때문에, 여기서는 중복 기재를 피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제 4 실시예에서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0)는 그 발바닥의 장심 부근의 측면 부분의 높이를 경사면의 각도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는 U자형 부재(102) 또는 슬라이딩판(105) 및 실린더(103)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사면 보행용 등산화(10)에 의하면, 등산 중에 경사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보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보행하고 있는 사람의 몸을 보다 자연스러움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행중의 안정감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이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10)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발뒤꿈치 부분에 설치할 수 있는 설치 부재 중 어느 하나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발끝 부분에 설치할 수 있는 설치 부재를 양쪽 또는 한쪽에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해, 각각의 실시예의 이점을 갖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등산화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 및 변형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정구는 나사 이외의 공지한 부재를 적당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경사면을 오르내릴 때 이외의 평탄한 장소를 보행할 때에도, 경사면 보행용 설치 부재를 갖고 다니지 않아도 되며, 경사면의 경사에 상관 없이 발뒤꿈치 또는 발끝부의 높이를 조정하여 사용함으로써, 가장 자연스럽게 보행하기 쉬운 자세로 보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경사면에 평행하게 가로 방향으로 보행할 경우에는, 구두 측면의 골짜기 측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자연스럽게 보행하기 쉬운 자세로 보행할 수 있다.

Claims (42)

  1. 구두의 발뒤꿈치부의 양 측면 및 밑바닥면을 둘러싸듯이 끼워맞춰지는 U자형 베이스 부재로,
    U자형 베이스 부재의 저변부의 양단부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아암을 가지고, 상기 아암의 대략 중앙에는 상기 구두의 발뒤꿈치부의 측면에서 바깥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축이 설치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보다도 아암이 길고, 2개의 아암을 갖는 U자형 설치 부재로, 그 양 아암의 대략 중앙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축을 꽂기 위한 축 구멍을 갖는 설치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축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기 설치 부재를 접합할 수 있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경사면을 오를 때에는, 상기 설치 부재의 아암이 구두의 측면에서 보아 구두창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상기 고정 부재로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기 설치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상기 구두의 발뒤꿈치 부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승 경사면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상기 구두창에 대한 상기 설치 부재의 아암의 각도를 대략 수직인 위치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적어도 90°사이에서 회전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부재의 상기 아암은 중앙에 축 구멍을 갖는 고정 부재와, 대략 중앙으로부터 길이 방향의 한쪽 끝을 향하여 연장되는 슬라이딩용 세로 구멍을 갖는 슬라이딩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대응하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세로 구멍에 평행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양 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감쌀 수 있는 프레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세로 구멍에 평행하게 또 하나의 세로 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축 구멍으로부터 상기 고정 부재의 폭 방향 소정의 거리에 상기 세로 구멍에 끼워맞춰지는 위치에 작은 돌기를 설치하고, 상기 또 하나의 세로 구멍에 상기 작은 돌기가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부재의 저변 부재는 상기 설치 부재의 양 아암의 각 슬라이딩 부재의 한쪽 끝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승 경사면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구두창에 대하여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부재의 양 아암의 축 구멍에서 저변 부재까지의 길이는 상기 구두의 발뒤꿈치 부분의 측면의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의 적어도 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축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 아암 및 상기 구두의 발뒤꿈치부를 관통하는 1개의 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축과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 아암의 형상을 그 상단에 있어서 직각으로 후방으로 굴곡되어 그 선단이 대략 구두창의 가장 뒷 부분에 이르는 플레이트형으로 하여 선단 부근에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제 1 축과 동일한 제 2 축을 설치하여, 설치 부재의 고정 부재에는 축 구멍과 반대쪽 단부 가까이에 상기 고정 부재보다 길이가 약간 작은 교차 부재의 한쪽 끝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접합하여, 이 교차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측 쪽에 복수의 오목형 절취부를 설치하고, 이 절취부를 상기 플레이트 선단 부근의 제 2 축에 결합시켜 고정구로 고정시킴으로써, 설치 부재의 아암을 필요한 각도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 아암의 형상을 그 상단에서 직각으로 전방으로 굴곡되어 그 선단이 대략 구두창의 가장 앞 부분에 이르는 플레이트형으로 하여 선단 부근에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제 1 축과 같은 제 2 축을 설치하고, 설치 부재의 고정 부재에는 축 구멍과 반대쪽 단부 가까이에 상기 고정 부재보다 길이가 약간 작은 교차 부재의 한쪽 끝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접합하여, 이 교차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측 쪽에 복수의 오목형 절취부를 설치하고, 이 절취부를 상기 플레이트 선단 부근의 제 2 축에 결합시켜 고정구로 고정시킴으로써 설치 부재의 아암을 필요한 각도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축에 결합하는 고정구가 암나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13.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 아암의 형상을 그 상단에서 직각으로 후방으로 굴곡되어 그 선단이 대략 구두창의 가장 뒷 부분에 이르는 플레이트형으로 하여 선단 부근에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제 1 축과 같은 제 2 축을 설치하고, 설치 부재의 고정 부재에는 축 구멍과 반대쪽 단부 가까이에 상기 고정 부재보다 길이가 약간 작은 교차 부재의 한쪽 끝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접합하여, 이 교차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측 쪽에 복수의 오목형 절취부를 설치하고, 이 절취부를 상기 플레이트 선단 부근의 제 2 축에 결합시켜 고정구로 고정시킴으로써 설치 부재의 아암을 필요한 각도로 고정시키고 교차 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교차 부재를 상기 아암 주위에 회전시켜 상기 부재의 절취부를 제 1 축에 결합시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14.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 아암의 형상을 그 상단에서 직각으로 전방으로 굴곡되어 그 선단이 대략 구두창의 가장 앞 부분에 이르는 플레이트형으로 하여 선단 부근에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제 1 축과 같은 제 2 축을 설치하고, 설치 부재의 고정 부재에는 축 구멍과 반대쪽 단부 가까이에 상기 고정 부재보다 길이가 약간 작은교차 부재의 한쪽 끝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접합하여, 이 교차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측 쪽에 복수의 오목형 절취부를 설치하여, 이 절취부를 상기 플레이트 선단 부근의 제 2 축에 결합시켜 고정구로 고정시킴으로써 설치 부재의 아암을 필요한 각도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15. 제 11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축에 결합하는 고정구가 암나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16.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격리하여 위치하고, 스프링의 편압에 의해 베이스 부재의 아암 바깥 측으로 돌출하는 1개의 돌기를 설치하여, 이 돌기와 결합하는 복수의 관통 홀을 원주 방향으로 서로 격리하여 갖는 링을 상기 설치 부재의 아암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베이스 부재의 축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고정시키고, 링 및 설치 부재의 아암을 회전하여 상기 돌기와 상기 링의 홀과의 결합에 의해 설치 부재의 아암을 필요한 각도로 고정시키고, 상기 돌기는 상기 링의 홀 바깥 측에서 내측으로 밀어넣음으로써 링 홀과의 결합을 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17. 구두의 구두창에 대하여 수직으로 그 구두의 배면에 결합되는 1 이상의 중공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슬라이딩할 수 있는 상기 실린더수와 같은 개수인 아암부로 이루어지는 설치 부재와,
    상기 실린더와 상기 아암부의 각 쌍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 대하여 상기 아암부를 원하는 위치에 접합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경사면을 오를 때에는, 경사면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 부재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고정 부재로 소정의 위치에 접합함으로써, 상기 구두의 발뒤꿈치 부분을 소정의 높이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실린더는 1 이상의 원통형 또는 각진 통형으로, 상기 실린더가 복수 개인 경우, 이들 실린더 내를 슬라이딩하는 복수 개의 아암부는 저변부에 의해 그 하단 부근 전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아암부를 상기 실린더에 대하여 접합하여 고정시키는 수나사로, 상기 실린더는 이 수나사를 나사 결합하기 위해 그 내표면에 나사 홈을 구비하는 작은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의 표면에는 상기 수나사가 끼워맞춰지는 복수의 오목부 또는 가로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21.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가 복수 개인 경우, 모든 실린더 내의 같은 높이의 적당한 위치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는 1개의 봉으로 연결한 실린더 내부로 돌출할 수 있는 스프링으로 편압한 각각 1개의 스프링식 돌기를 설치하여, 실린더 내를 오르내리는 설치 부재의 상기 아암의 전부에는 이 돌기와 결합하는 복수 개의 오목부 또는 구멍을 설치하여, 상기 스프링식 돌기를 실린더의 바깥쪽에 편압하여 상기 아암을 오르내려, 소정의 높이로 상기 스프링식 돌기를 아암의 오목부 또는 구멍과 결합시키도록 스프링의 편압을 개방함으로써 그 위치에서 설치 부재를 고정시켜, 스프링식 돌기를 실린더 바깥쪽을 향하여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아암의 오목부와의 결합을 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22. 구두의 발끝부 측면 및 밑바닥면을 둘러싸도록 끼워맞춰지는 U자형 베이스 부재로, U자형 베이스 부재의 저변부의 양단부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아암을 가지고, 상기 아암의 대략 중앙에는 상기 구두의 발끝부의 측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이 설치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보다도 아암이 긴 2개의 아암을 갖는 U자형 설치 부재로,그 양 아암의 대략 중앙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축을 꽂기 위한 축 구멍을 갖는 설치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축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기 설치 부재를 접합할 수 있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경사면을 내려올 때에는, 상기 설치 부재의 아암이 구두창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상기 고정 부재로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기 설치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상기 구두의 발끝 부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23. 제 20 항에 있어서,
    하강 경사면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상기 구두창에 대한 상기 설치 부재의 아암의 각도를 대략 수직인 위치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적어도 90°사이에서 회전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부재는 중앙에 축 구멍을 갖는 2개의 고정 부재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용 세로 구멍을 갖는 2개의 슬라이딩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대응하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세로 구멍에 평행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양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감쌀 수 있는 프레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축 구멍으로부터 상기 고정 부재의 폭 방향 소정의 거리에 작은 돌기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세로 구멍에 평행하게 또 하나의 세로 구멍을 설치하여, 상기 또 하나의 세로 구멍에 상기 작은 돌기가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27.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부재의 저변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 각각의 하단 부근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하강 경사면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구두창에 대하여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28.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부재의 축 구멍에서 저변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구두의 발끝 부분의 측면의 구두 길이 방향에서의 길이의 적어도 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29. 제 20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축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 아암 및 상기 구두의 발끝부를 관통시키는 1개의 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30. 제 20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축과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31. 제 20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격리하여 위치하고, 스프링의 편압에 의해 베이스 부재의 아암 바깥 측으로 돌출하는 1개의 돌기를 설치하여, 이 돌기와 결합하는 복수의 관통 홀을 원주 방향으로 서로 격리하여 갖는 링을 상기 설치 부재의 아암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베이스 부재의 축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고정시키고, 링 및 설치 부재의 아암을 회전하여 상기 돌기와 상기 링의 홀과의 결합에 의해 설치 부재의 아암을 필요한 각도로 고정시켜, 상기 돌기는 상기 링의 홀 바깥에서 안쪽으로 밀어넣음으로써 링 홀과의 결합을 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32. 제 20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 아암의 형상을 그 상단에서 직각으로 전방으로 굴곡되어 그 선단이 대략 구두창의 가장 앞 부분에 이르는 플레이트형으로 하여 선단 부근에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제 1 축과 같은 제 2 축을 설치하고, 설치 부재의 고정 부재에는 축 구멍과 반대쪽 단부 가까이에 상기 고정 부재보다 길이가 약간 작은 교차 부재의 한쪽 끝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접합하여, 이 교차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측 쪽에 복수의 오목형 절취부를 설치하고, 이 절취부를 상기 플레이트 선단 부근의 제 2 축에 결합시켜 고정구로 고정시킴으로써 설치 부재의 아암을 필요한 각도로 고정시키는[교차 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부재의 다른 끝은 절취부를 제 1 축에 결합시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33.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축에 결합하는 고정구가 암나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34. 제 20 항 내지 제 2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 아암의 형상을 그 상단에서 직각으로 후방으로 굴곡되어 그 선이 대강 구두창의 가장 뒷 부분에 이르는 플레이트형으로 하여 선단 부근에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제 1 축과 같은 제 2 축을 설치하고, 설치 부재의 고정 부재에는 축 구멍과 반대쪽 단부 가까이에 상기 고정 부재보다 길이가 약간 작은 교차 부재의 한쪽 끝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접합하여, 이 교차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측 쪽에 복수의 오목형 절취부를 설치하여, 이 절취부를 상기 플레이트 선단 부근의 제 2 축에 결합시켜 고정구로 고정시킴으로써 설치 부재의 아암을 필요한 각도로 고정시키고 교차 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교차 부재를 상기 아암 주위로 회전시켜 상기 부재의 절취부를 제 1 축에 결합시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35. 제 2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격리하여 위치하고, 스프링의 편압에 의해 베이스 부재의 아암 바깥 측으로 돌출하는 1개의 돌기를 설치하여, 이 돌기와 결합하는 복수의 관통 홀을 원주 방향으로 서로 격리하여 갖는 링을 상기 설치 부재의 아암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베이스 부재의 축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고정시켜, 링 및 설치 부재의 아암을 회전하여 상기 돌기와 상기 링의 홀과의 결합에 의해 설치 부재의 아암을 필요한 각도로 고정시켜, 상기 돌기는 상기 링의 홀의 바깥 측에서 안쪽으로 밀어넣음으로써 링 홀과의 결합을 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3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에 제 25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베이스 부재, 설치 부재 및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37. 구두의 발바닥 장심 부분의 양 측면 및 밑바닥면을 둘러싸도록 끼워맞춰지는 U자형 베이스 부재로, 상기 베이스 부재의 발바닥 장심 부분의 측면 및 그 반대 측면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양 플레이트부에는 1 이상의 원통형 또는 각진 통형의 중공 실린더가 상기 플레이트부의 가로 폭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상기 플레이트부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슬라이딩할 수 있는 상기 실린더의 수와 같은 개수인 아암부로 이루어지는 상기 양 플레이트부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설치 부재와,
    상기 실린더와 상기 아암부 각 쌍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 대하여 상기 아암부를 원하는 위치에 접합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경사면에 대하여 대략 수평 방향으로 걸을 때에는, 경사면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양 발의 구두 쌍방의 골짜기 측의 상기 설치 부재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고정 부재로 소정의 위치에 접합함으로써, 상기 구두창 부분을 대략 수평으로 유지하여, 보행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공 실린더는 1 이상의 원통형 또는 각진 통형으로, 상기 실린더가 복수 개 있는 경우, 이들 실린더 내를 슬라이딩하는 복수 개의 아암부는 저변부에 의해 그 모든 아암부의 하단 부근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39.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아암부를 상기 실린더에 대하여 끼워맞춰 고정시키는 수나사로, 상기 실린더는 이 수나사를 나사 결합하기 위해 그 내표면에 나사 홈을 구비하는 작은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4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의 표면에는 상기 수나사가 끼워맞춰지는 복수의 오목부 또는 가로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41. 제 35 항 또는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가 복수 개인 경우, 모든 실린더 내의 같은 높이의 적당한 위치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는 1개의 봉으로 연결한 실린더 내부로 돌출할 수 있는 스프링으로 편압한 각각 1개의 스프링식 돌기를 설치하여, 실린더 내를 오르내리는 설치 부재의 상기 아암 전부에는 이 돌기와 결합하는 복수 개의 오목부 또는 구멍을 설치하여, 상기 스프링식 돌기를 실린더 바깥쪽에 편압하여 상기 아암을 오르내려, 소정의 높이로 상기 스프링식 돌기를 아암의 오목부 또는 구멍과 결합시키도록 스프링의 편압을 개방함으로써 그 위치에서 설치 부재를 고정시켜, 스프링식 돌기를 실린더 바깥쪽을 향하여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아암의 오목부와의 결합을 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42. 제 35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에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베이스 부재, 설치 부재 및 고정 부재 또는 제 17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실린더, 설치 부재 및 고정 부재와, 제 22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베이스 부재, 설치 부재 및 고정 부재를 한쪽 또는 양쪽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KR10-2003-7012711A 2001-03-30 2002-04-01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KR1005236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02270 2001-03-30
JP2001102270 2001-03-30
PCT/JP2002/003275 WO2002078479A1 (fr) 2001-03-30 2002-04-01 Chaussure dote d'elements pour la marche en pen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658A true KR20030087658A (ko) 2003-11-14
KR100523687B1 KR100523687B1 (ko) 2005-10-26

Family

ID=18955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2711A KR100523687B1 (ko) 2001-03-30 2002-04-01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7165343B2 (ko)
EP (1) EP1386552A4 (ko)
JP (1) JP3917940B2 (ko)
KR (1) KR100523687B1 (ko)
CN (2) CN1251627C (ko)
HK (1) HK1067018A1 (ko)
TW (1) TWI228398B (ko)
WO (1) WO20020784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57812B2 (en) 2002-08-19 2016-06-07 APOS—Medical and Sports Technologies Ltd. Proprioceptive/kinesthetic apparatus and method
US20080189987A1 (en) * 2005-05-25 2008-08-14 Peter Geisser Hiking Aid
US20070107260A1 (en) * 2005-11-11 2007-05-17 Pasternak Stephen M Variable friction sole for bowling and other shoes
US8337369B1 (en) 2005-12-19 2012-12-25 Jacobson Zachary T Adjustable quick-release ratcheting binding system for adjustable leg extensions
US7981003B1 (en) 2007-06-07 2011-07-19 Jacobson Zachary T Rear brace articulating stilt
US20100146817A1 (en) * 2008-12-17 2010-06-17 Crisp Enterprises, Inc. Footwear Having Adjustable-Height Heel and Method Therefor
EP2430104B1 (en) 2009-05-13 2014-08-20 Sun Chemical B.V. Modified polyamide acrylate oligomers
US8371045B2 (en) * 2009-10-13 2013-02-12 Georges-André Tambay Hiking boot attachment for descending slopes
RU2628626C2 (ru) 2010-06-29 2017-08-21 Апос-Медикал Энд Спортс Текнолоджис Лтд. Способы лечения патологии сустава нижней конечности и боли в нижней конечн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х реализации
CA2804252C (en) 2010-07-02 2020-03-24 Apos - Medical And Sports Technologies Ltd. Device and methods for tuning a skeletal muscle
CA3038203C (en) * 2010-07-21 2020-12-22 Apos Medical Assets Ltd. Footwear for reducing inversion, reducing eversion or both
US8813394B2 (en) 2011-06-29 2014-08-26 Etonic Holdings, Llc Bowling shoe outsole with interchangeable pads
KR102080154B1 (ko) 2011-12-08 2020-02-21 아포스-메디컬 앤드 스포츠 테크놀로지즈 엘티디. 신경 장애들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CA2812815A1 (en) * 2013-04-09 2014-10-09 Brun Del Re, Riccardo R. B. Apparatus for enhanced human-powered locomotion
CN103233586A (zh) * 2013-04-25 2013-08-07 金陵科技学院 一种扎筋鞋
CN103829441A (zh) * 2013-12-11 2014-06-04 胡瀛 一种两用鞋
KR20150070983A (ko) 2013-12-17 2015-06-25 카툴라, 인크. 소프트 바디 재료에 견고한 연결을 만들기 위한 신발 마찰 장치, 시스템 및 기구
CN108096817A (zh) * 2018-02-26 2018-06-01 李永宁 滑轮组件及滑轮鞋套
CN108323860A (zh) * 2018-05-14 2018-07-27 广东省特种设备检测研究院惠州检测院 一种自动调整角度的检验用鞋
CN108391894A (zh) * 2018-05-14 2018-08-14 广东省特种设备检测研究院惠州检测院 一种自适应斜坡的检验用鞋
CN108391893A (zh) * 2018-05-14 2018-08-14 广东省特种设备检测研究院惠州检测院 一种便于平衡的检验用鞋
EP3827691A1 (en) 2019-12-01 2021-06-02 Kahtoola, Inc. Footwear trac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DE202020001454U1 (de) 2020-04-08 2020-05-07 Udo Malisius Einrichtung zum Neigungsausgleich bei Schuhe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4462C (ko)
US380395A (en) * 1888-04-03 Device
US1107208A (en) * 1914-05-20 1914-08-11 George F Styche Shoe for roof-walking.
US1232114A (en) * 1916-01-21 1917-07-03 Hartvig Sorley Creeper.
CH91145A (de) * 1920-10-29 1921-10-17 Martina Schmid An Schuhen befestigbarer Laufteil zur Erleichterung des Begehens steiler Wege.
FR555195A (fr) 1922-08-18 1923-06-26 Appareil pour ascensions
US2484389A (en) * 1947-02-20 1949-10-11 Herman E Schatz Sport shoe and means of attachment
FR998611A (fr) * 1949-08-17 1952-01-21 Antidérapant adaptable à toutes chaussures, pour supprimer la fatigue, soit en montée, soit en descente
US2968878A (en) * 1958-05-31 1961-01-24 James A King Anti-slip device for boots and shoes
US3268927A (en) * 1964-07-21 1966-08-30 Markowitz Joel Skin diver fin
GB1349514A (en) * 1970-06-04 1974-04-03 Stokes H J Shoe for negotiating inclined surfaces
US3879864A (en) * 1974-03-21 1975-04-29 Raymond Lee Organization Inc Anti-slip attachment for overshoes
CH643716A5 (de) * 1978-11-15 1984-06-29 Nordica Spa Schischuh mit gehhilfe.
US4693022A (en) * 1986-02-14 1987-09-15 T. Entrepreneur, Inc. Garden tool
JPS6331604Y2 (ko) 1986-06-04 1988-08-23
JPH06197805A (ja) * 1992-06-15 1994-07-19 Manabu Nakagawa 斜面を水平に歩行することが出来る器具
US5645460A (en) * 1994-02-23 1997-07-08 Johnson; Carroll L. Retractable fin assembly
JPH08299018A (ja) * 1995-05-01 1996-11-19 Hajime Sakuma 身長を任意の高さに調節出来る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65343B2 (en) 2007-01-23
JP3917940B2 (ja) 2007-05-23
CN1251627C (zh) 2006-04-19
EP1386552A4 (en) 2006-06-21
HK1067018A1 (en) 2005-04-01
CN1523966A (zh) 2004-08-25
KR100523687B1 (ko) 2005-10-26
TWI228398B (en) 2005-03-01
EP1386552A1 (en) 2004-02-04
US20070072746A1 (en) 2007-03-29
US20040111925A1 (en) 2004-06-17
WO2002078479A1 (fr) 2002-10-10
CN1754478A (zh) 2006-04-05
JPWO2002078479A1 (ja) 2004-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3687B1 (ko) 경사면 보행용 부재 부착 구두
US6227072B1 (en) Light weight bicycle pedal
US5419060A (en) Shoe with detachable heel structure
US20100139118A1 (en) Crampon for golf shoes and climbing irons
KR100701458B1 (ko) 완충수단을 구비한 다이어트용 신발
ES2945134T3 (es) Zapato totalmente convertible de tacón a plano
JP2009279402A (ja) 靴底
US6859981B2 (en) Fine adjustable sliding buckle
KR101562288B1 (ko) 낚시용 발판 받침틀의 다리
US20090033046A1 (en) Roller shoe
US6357093B1 (en) Shoelace fastener
US6536196B2 (en) Strapless spur
KR101891112B1 (ko) 슬리퍼 밴드 연결장치
KR102091830B1 (ko) 기능성 신발 및 신발용 기능성 유닛
KR100693282B1 (ko) 탈착 가능한 뒷굽이 구비된 신발
US20200383429A1 (en) Shoe with replaceable heel
KR200480220Y1 (ko) 신발의 체결밴드 결속구조
US20170072289A1 (en) Adjustable roller skate
JP3261570B2 (ja) スポーツシューズのスパイク取付構造
KR20060084476A (ko) 신발착탈용 롤러스케이트
JP4112245B2 (ja) 義足
KR101652234B1 (ko) 착탈 가능한 미끄럼 방지구를 갖는 신발
KR200348256Y1 (ko) 신발에 장착되는 다기능 롤러 스케이트
KR100357404B1 (ko) 구두주걱이 일체로 형성된 구두
KR200381602Y1 (ko) 신발착탈용 롤러스케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