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7085A - 작업용 차량의 조향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용 차량의 조향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87085A KR20030087085A KR10-2003-7013918A KR20037013918A KR20030087085A KR 20030087085 A KR20030087085 A KR 20030087085A KR 20037013918 A KR20037013918 A KR 20037013918A KR 20030087085 A KR20030087085 A KR 200300870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e
- steering
- wheel
- mode switching
- rear wheel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62D7/15—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 B62D7/155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comprising a fluid interconnecting system between the steering control means of the different axles
- B62D7/1572—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comprising a fluid interconnecting system between the steering control means of the different axles provided with electro-hydraulic control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62D7/15—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 B62D7/1509—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with different steering modes, e.g. crab-steering, or steering specially adapted for reversing of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5—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non-masted
- B66F9/0655—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non-masted with a telescopic boo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68—Stee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모드 표시 장치(38)의 모드 램프(38a, 38b, 38c) 중 현재의 조타 모드에 대응하는 것은 황색으로 점등하고, 그 이외의 것은 녹색으로 점등하거나 또는 소등하는 것에 전륜(1, 1) 및 후륜(2, 2)이 중립인지 여부를 표시한다. 제어기(39)는 전후륜의 비중립시는 모드 절환 스위치(35)의 지시가 있어도 모드 절환 밸브(24)를 작동시키지 않고, 전후륜의 중립시는 모드 절환 스위치(35)의 지시가 있으면 그에 따른 조타 모드가 되도록 모드 절환 밸브(24)를 작동시킨다. 또한, 모드 표시 장치(38)에 현재의 조타 모드로서 항상 모드 절환 밸브(24)의 조타 모드에 대응한 조타 모드를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전륜 및 후륜의 조타 모드를 2륜 조타와 4륜 조타로 절환 가능한 작업용 차량에 있어서, 조작성이 우수하면서 신뢰성이 높은 조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용 차량의 조향 장치로서, 전륜 및 후륜과, 이 전륜 및 후륜의 스티어링을 꺾기 위한 조타 장치와, 이 조타 장치에 설치되어 전륜 및 후륜의 조타 모드를 2륜 조타(2WS)와 역위상 4륜 조타(4WS)와 동위상 4륜 조타(측방 이동)로 절환하는 모드 절환 수단과, 전륜 및 후륜의 조타 모드의 절환을 지시하는 모드 지시 수단을 구비한 것이 실제 기계로 채용되어 있다.
모드 지시 수단은「4WS」,「2WS」,「측방 이동」의 3개의 절환 위치를 갖는 다이얼식의 모드 절환 스위치이며, 각 절환 위치에「4WS」,「2WS」,「측방 이동」의 표시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모드 절환 스위치를 절환하면 즉시 모드 절환 수단의 모드 절환 밸브도 절환되고, 선택한 모드가 유효화된다. 전후륜이 중립이 되면 점등하는 중립 램프가 설치되어 있고, 운전자는 조타 모드를 절환할 때는, 중립 램프가 점등된 것을 확인하고 나서, 모드 선택 스위치를 절환한다.
유럽 특허 제0300774A2호나 제0439370A1호에는 모드 절환 스위치를 절환해도전륜이 중립이 될 때까지는 모드 절환 밸브가 절환되지 않도록 하고, 전륜이 중립으로 되어 처음으로 모드 절환 밸브가 절환되고, 선택한 모드가 유효화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륜 및 후륜을 갖는 작업용 차량의 조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륜 및 후륜의 조타 모드를 2륜 조타와 4륜 조타로 절환 가능하게 하는 작업용 차량의 조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작업용 차량의 조향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제어기의 처리 기능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3은 모드 표시 장치의 표시예를 동작예와 함께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조향 장치가 탑재되는 작업용 차량의 일례인 리프트ㆍ트랙의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조향 장치가 탑재되는 작업용 차량의 일례인 리프트ㆍ트랙의 상면도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실제 기계로 이용되고 있는 작업용 차량의 조향 장치에서는, 운전자가 무심코 전후륜이 중립이 아닐 때에 모드 선택 스위치를 절환한 경우라도, 모드 절환 밸브는 즉시 지시된 모드 위치로 절환되어 버리므로, 전후륜이 올바른 조타 모드 자세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4WS로부터 2WS로 절환할 때, 전륜 및 후륜이 중립으로 복귀하기 전에 모드 절환 스위치를 절환하면, 후륜이 비중립(직진 방향을 향하지 않은 자세)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2WS로 절환되어 버린다. 반대로, 2WS로부터 4WS로 절환할 때, 후륜이 중립으로 복귀하기 전에 모드 절환 스위치를 절환하면, 전륜과 후륜의 각도가 불일치한 상태에서 4WS로 절환되어 버린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티어링을 꺾으면, 차체는 운전자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주행할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 운전자는 항상 중립 램프에 의해 전후륜이 중립이 되었는지 여부를 주의 깊게 확인하면서 모드 선택 스위치를 절환하여 조작해야 할 필요가 있어 조작성이 나빴다.
유럽 특허 제0300774A2호나 제0439370A1호에 기재된 작업용 차량의 조향 장치에서는, 상술한 문제는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종래 기술에서는 운전자가 무심코 전후륜이 중립이 아닐 때에 모드 절환 스위치를 절환한 경우라도, 모드 절환 스위치는 절환된 상태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타 모드(모드 절환 밸브의 절환 위치)는 전후륜이 중립이 되기까지의 동안, 지금까지의 상태가 유지되어 버려 모드 절환 스위치의 절환 상태와 실제의 조타 모드가 불일치가 되는 상태가 발생한다. 이 상태에서는 운전자는 모드 절환 스위치의 절환 상태가 실시의 조타 모드라 착각을 하여 조종을 실수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륜 및 후륜의 조타 모드를 2륜 조타와 4륜 조타로 절환 가능한 작업용 차량에 있어서, 조작성이 우수하면서 신뢰성이 높은 작업용 차량의 조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륜 및 후륜과, 이 전륜 및 후륜의 스티어링을 꺾기 위한 조타 장치를 구비한 작업용 차량의 조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타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전륜 및 후륜의 조타 모드를 2륜 조타와 4륜 조타로 절환하는 모드 절환 수단과, 상기 전륜 및 후륜의 조타 모드의 절환을 지시하는 모드 절환 지시 수단과, 상기 전륜 및 후륜의 현재의 조타 모드를 표시하는 제1 표시 수단과, 상기 전륜 및 후륜이 중립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제2 표시 수단과, 상기 제2 표시 수단이 전륜 및 후륜이 중립에 없는 것을 표시하고 있을 때는, 상기 모드 절환 지시 수단의 지시가 있어도 상기 모드 절환 수단을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제2 표시 수단이 전륜 및 후륜이 중립에 있는 것을 표시하고 있을 때는, 상기 모드 절환 지시 수단의 지시가 있으면 그에 따른 조타 모드가 되도록 상기 모드 절환 수단을 작동시키고, 또한 상기 모드 절환 지시 수단의 지시에 상관없이 상기 제1 표시 수단에 현재의 조타 모드로서 항상 상기 모드 절환 수단의 작동 상태에 대응한 조타 모드를 표시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1 표시 수단에 부가하여, 제2 표시 수단과 제어 수단을 제공하여 제2 표시 수단이 전륜 및 후륜이 중립에 없는 것을 표시하고 있을 때는, 모드 절환 지시 수단의 지시가 있어도 모드 절환 수단을 작동시키지 않고, 제2 표시 수단이 전륜 및 후륜이 중립에 있는 것을 표시하고 있을 때는, 모드 절환 지시 수단의 지시가 있으면 그에 따른 조타 모드가 되도록 모드 절환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무심코 전륜 및 후륜의 비중립시에 모드 절환 지시 수단을 조작해도 조타 모드는 절환되지 않고, 전륜 및 후륜을 항상 올바른 조타 모드 자세로 할 수 있어 우수한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모드 절환 지시 수단의 지시에 상관없이 제1 표시 수단에 현재의 조타 모드로서 항상 모드 절환 수단의 작동 상태에 대응한 조타 모드를 표시시킴으로써, 운전자가 무심코 전륜 및 후륜의 비중립시에 모드 절환 지시 수단을 조작해도, 상기한 바와 같이 모드 절환 수단이 절환되지 않으므로 제1 표시 수단의 표시도 절환되지 않고, 운전자는 항상 올바른 조타 모드를 인식하면서 조타 모드를 절환할 수 있어 높은 신뢰성을 발휘할 수 있다.
(2)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표시 수단은, 상기 조타 모드의 종류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현재의 조타 모드에 대응하는 것이 특정한 색깔로 점등하는 복수의 모드 램프를 갖고, 이들 복수의 모드 램프 중 현재의 조타 모드에 대응하는 모드 램프 이외의 모드 램프를 상기 제2 표시 수단으로서 기능시킨다.
이에 의해 제1 표시 수단의 모드 램프가 제2 표시 수단의 중립 표시 기능도겸하게 되어,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 수단의 모드 램프에 의해 현재의 조타 모드와 전륜 및 후륜이 중립에 있는지 여부를 동시에 알 수 있어 매우 사용하기 쉬운 것이 된다.
(3) 또한, 상기 (2)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표시 수단으로서의 모드 램프는 상기 전륜 및 후륜이 중립 위치에 있을 때, 현재의 조타 모드에 대응하는 모드 램프와 다른 색깔로 점등한다.
이에 의해 동일한 모드 램프를 이용하여, 점등한 색깔의 차이로 현재의 조타 모드와 전륜 및 후륜이 중립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4) 또한, 상기 (2) 또는 (3)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 절환 지시 수단은 상기 복수의 모드 램프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를 갖는다.
이에 의해 복수의 모드 램프(제1 및 제2 표시 수단)를 보면서 조타 모드의 절환을 지시할 수 있어, 매우 사용하기 쉬운 것이 된다.
(5) 상기 (4)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조작하였을 때만 신호를 출력하는 순간 작동 스위치이다.
이에 의해 운전자가 무심코 전륜 및 후륜의 비중립시에 모드 절환 지시 수단의 스위치를 조작해도, 스위치로부터 손을 떼면 신호는 소실하기 때문에 전륜 및 후륜이 중립이 되었을 때에 다시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으면 조타 모드는 절환되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 운전자의 의지로 확실하게 조타 모드를 절환할 수 있어, 또한 조작성 및 신뢰성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6) 또한, 상기 (1) 내지 (5)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 절환 수단은 상기 전륜 및 후륜의 조타 모드를 2륜 조타와 역위상 4륜 조타와 동위상 4륜 조타로 절환 가능하다.
이에 의해 2륜 조타와 역위상 4륜 조타와 동위상 4륜 조타의 3 종류의 조타 모드로 절환 가능한 것으로, 조작성이 우수하면서 신뢰성이 높은 조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작업용 차량의 조향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에 있어서, 작업용 차량은 좌우의 전륜(1, 1) 및 후륜(2, 2)을 갖고, 전륜(1, 1) 및 후륜(2, 2)은 각각 전차축(3, 3) 및 후차축(4, 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차축(3, 3)은 전차축체(5)의 양단에 스티어링 핀(6, 6)에 의해 회전 가능(조타 가능)하게 부착되고, 후차축(4, 4)은 후차축체(7)의 양단에 스티어링 핀(8, 8)에 의해 회전 가능(조타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전륜(1, 1) 및 후륜(2, 2)의 스티어링을 꺾기 위한 조타 장치(50)가 설치되고, 조타 장치(50)는 그 주요 부품으로서 스티어링 실린더(14, 15), 스티어링 밸브(23)를 갖는 동시에, 조타 장치(50)에는 전륜(1, 1) 및 후륜(2, 2)의 조타 모드를 2WS(전륜 2륜 조타)와 4WS(역위상 4륜 조타)와 측방 이동(동위상 4륜 조타)으로 절환하는 모드 절환 수단으로서 모드 절환 밸브(24)가 설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실린더(14, 15)는 각각 전차축체(5) 및 후차축체(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스티어링 실린더(14, 15)의 내부는 피스톤(16, 17)에 의해 2개의 실린더실(14a, 14b 및 15a, 15b)로 분할되고, 피스톤(16, 17)보다 실린더 외부로 좌우의 피스톤 로드(작동 로드)(16a, 16b 및 17a, 17b)를 돌출시키고 있다. 피스톤 로드(16a, 16b)의 선단부는 링크 부재(18, 18)를 거쳐서 스티어링 핀(6, 6)에 링크 결합되고, 피스톤 로드(17a, 17b)의 선단부는 링크 부재(19, 19)를 거쳐서 스티어링 핀(8, 8)에 링크 결합되어 있다.
스티어링 실린더(14)의 실린더실(14a)에 압력유가 유입되면 피스톤(16) 및 피스톤 로드(16a, 16b)는 도시 상방으로 이동하고, 스티어링 핀(6, 6)을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전륜(1, 1)의 방향을 진행 방향 우측 방향으로 바꾼다. 스티어링 실린더(14)의 실린더실(14b)에 압력유가 유입되면 피스톤(16) 및 피스톤 로드(16a, 16b)는 도시 하방으로 이동하고, 스티어링 핀(6, 6)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전륜(1, 1)의 방향을 진행 방향 좌측 방향으로 바꾼다. 스티어링 실린더(15)측도 마찬가지이다.
스티어링 밸브(23)는 펌프 포트(23a), 탱크 포트(23b)와 2개의 액추에이터 포트(23c, 23d)를 갖고, 펌프 포트(23a)는 펌프 라인(25)을 거쳐서 유압 펌프(21)에 접속되고, 탱크 포트(23b)는 탱크 라인(26)을 거쳐서 탱크(22)에 접속되고, 액추에이터 포트(23c)는 액추에이터 라인(27)을 거쳐서 전륜용 스티어링 실린더(14)의 실린더실(14a)측의 포트(14c)에 접속되고, 액추에이터 포트(23d)는 모드 절환 밸브(24) 중 하나의 포트(24a)에 접속되어 있다.
스티어링 밸브(23)는 핸들(40)에 의해 작동하는 1 종류의 서보 절환 밸브이며, 핸들(40)을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펌프 포트(23a)를 액추에이터 포트(23c)에 접속하고 또한 액추에이터 포트(23d)를 탱크 포트(23b)에 접속하는 동시에, 펌프 포트(23a)로부터 액추에이터 포트(23c)에 핸들(40)의 회전 각도에 따른 유량의 압력유가 공급되면 그들의 접속을 차단하고, 펌프 포트(23a)를 탱크 포트(23b)에 접속하는 도시한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핸들(40)을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펌프 포트(23a)를 액추에이터 포트(23d)에 접속하고 또한 액추에이터 포트(23c)를 탱크 포트(23b)에 접속하는 동시에, 펌프 포트(23a)로부터 액추에이터 포트(23c)에 핸들(4O)의 회전 각도에 따른 유량의 압력유가 공급되면 그들의 접속을 차단하고, 펌프 포트(23a)를 탱크 포트(23b)에 접속하는 도시한 상태로 복귀한다.
모드 절환 밸브(24)는 스티어링 밸브(23)와 전륜 스티어링 실린더(14) 및 후륜 스티어링 실린더(15) 사이에 있으며, 스티어링 밸브(23)로부터의 압력유의 공급처를 절환함으로써 전륜(1, 1) 및 후륜(2, 2)의 조타 모드를 2WS(전륜 2륜 조타) 모드와 4WS(역위상 4륜 조타) 모드와 측방 이동(동위상 4륜 조타) 모드로 절환하는 것이다.
즉, 모드 절환 밸브(24)는 4개의 포트(24a, 24b, 24c, 24d)를 갖고, 포트(24a)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밸브(23)의 액추에이터 포트(23d)에 액추에이터 라인(28)을 거쳐서 접속되고, 포트(24b)는 전륜용 스티어링 실린더(14)의 실린더실(14b)측의 포트(14d)에 액추에이터 라인(29)을 거쳐서 접속되고, 포트(24c, 24d)는 액추에이터 라인(30, 31)을 거쳐서 스티어링 실린더(15)의 실린더실(15a, 15b)측의 각각의 포트(15c, 15d)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모드 절환 밸브(24)는 좌우의 솔레노이드(33a, 33b)에 의해 제1 위치(A), 제2 위치(B), 제3 위치(C) 중 어느 하나로 절환되고, 제1 위치(A)에 있을 때는 포트(24a)를 포트(24b)에 접속하고 또한 포트(24c, 24d)를 차단하고, 제2 위치(B)로 절환하면 포트(24a)를 포트(24d)에 접속하고 또한 포트(24c)를 포트(24b)에 접속하고, 제3 위치(c)로 절환하면 포트(24a)를 포트(24c)에 접속하고 또한 포트(24d)를 포트(24b)에 접속한다.
또한, 모드 절환 밸브(24)의 제1 위치(A)는 2WS 모드로 하는 위치이며, 제2 위치(B)는 4WS 모드로 하는 위치이며, 제3 위치(C)는 측방 이동 모드로 하는 위치이다.
모드 절환 밸브(24)가 제1 위치(A)에 있을 때, 예를 들어 핸들(40)을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밸브(23)의 액추에이터(23c)에공급된 핸들(40)의 회전 각도에 따른 유량의 압력유가 액추에이터 라인(27), 포트(14c)를 거쳐서 스티어링 실린더(14)의 실린더실(14a)에 공급되어, 전륜(1, 1)의 방향을 진행 방향 우측 방향으로 바꾼다. 이 때, 실린더실(14b)로부터의 배출유는 포트(14d), 액추에이터 라인(29), 모드 절환 밸브(24)의 포트(24b, 24a), 액추에이터 라인(28), 스티어링 밸브(23)의 액추에이터 포트(23d), 탱크 포트(23b), 탱크 라인(26)을 거쳐서 탱크(22)로 복귀된다. 또한, 전륜(1, 1)의 변경 각도 조타 각도는 스티어링 밸브(23)로부터의 압력유의 공급 유량[핸들(40)의 회전 각도]에 따른 각도가 된다.
모드 절환 밸브(24)가 제1 위치(A)에 있을 때에 핸들(40)을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밸브(23)의 액추에이터 포트(23d)에 공급된 핸들(40)의 회전 각도에 따른 유량의 압력유가 액추에이터 라인(28), 모드 절환 밸브(24)의 포트(24a, 24b), 액추에이터 라인(29), 포트(14d)를 거쳐서 스티어링 실린더(14)의 실린더실(14b)에 공급되어, 전륜(1, 1)의 방향을 진행 방향 좌측 방향으로 바꾼다. 이 때, 실린더실(14a)로부터의 배출유는 포트(14c), 액추에이터 라인(27), 스티어링 밸브(23)의 액추에이터 포트(23c), 탱크 포트(23b), 탱크 라인(26)을 거쳐서 탱크(22)로 복귀된다. 또한, 전륜(1, 1)의 변경 각도 조타 각도도 스티어링 밸브(23)로부터의 압력유의 공급 유량[핸들(40)의 회전 각도]에 따른 각도가 된다.
모드 절환 밸브(24)가 제2 위치(B)에 있을 때 핸들(40)을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밸브(23)의 액추에이터 포트(23c)에 공급된핸들(40)의 회전 각도에 따른 유량의 압력유가 액추에이터 라인(27), 포트(14c)를 거쳐서 스티어링 실린더(14)의 실린더실(14a)에 공급되어, 전륜(1, 1)의 방향을 진행 방향 우측 방향으로 바꾼다. 또한, 스티어링 실린더(14)의 실린더실(14b)로부터의 배출유는 액추에이터 라인(29), 모드 절환 밸브(24)의 포트(24b, 24c), 액추에이터 라인(3O), 포트(15c)를 거쳐서 스티어링 실린더(15)의 실린더실(15a)에 공급되어, 후륜(2, 2)의 방향을 전륜(1, 1)의 조타 방향과 역방향의 진행 방향 좌측 방향으로 바꾼다. 이 때, 실린더실(15b)로부터의 배출유는 포트(15d), 액추에이터 라인(31), 모드 절환 밸브(24)의 포트(24d, 24a), 액추에이터 라인(28), 스티어링 밸브(23)의 액추에이터 포트(23d), 탱크 포트(23b), 탱크 라인(26)을 거쳐서 탱크(22)로 복귀된다. 또한, 스티어링 실린더(14)의 실린더실(14a)로의 압력유의 공급 유량과 실린더실(14b)로부터의 배출 유량은 같고, 전륜(1, 1), 후륜(2, 2) 모두 이들의 변경 각도 조타 각도는 스티어링 밸브(23)로부터의 압력유의 공급 유량[핸들(40)의 회전 각도]에 따른 각도가 된다.
모드 절환 밸브(24)가 제2 위치(B)에 있을 때 핸들(40)을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포트(23d)에 공급된 핸들(40)의 회전 각도에 따른 유량의 압력유가 액추에이터 라인(28), 모드 절환 밸브(24)의 포트(24a, 24d), 액추에이터 라인(31), 포트(15d)를 거쳐서 스티어링 실린더(15)의 실린더실(15b)에 공급되어, 후륜(2, 2)의 방향을 진행 방향 우측 방향으로 바꾼다. 또한, 스티어링 실린더(15)의 실린더실(15a)로부터의 배출유는 액추에이터 라인(30), 모드 절환 밸브(24)의 포트(24c, 24b), 액추에이터 라인(29), 포트(14d)를 거쳐서 스티어링 실린더(14)의 실린더실(14b)에 공급되어, 전륜(1, 1)의 방향을 후륜(2, 2)의 조타 방향과 역방향의 진행 방향 좌측 방향으로 바꾼다. 이 때, 실린더실(14a)로부터의 배출유는 포트(14c), 액추에이터 라인(27), 스티어링 밸브(23)의 액추에이터 포트(23c), 탱크 포트(23b), 탱크 라인(26)을 거쳐서 탱크(22)로 복귀된다. 또한, 스티어링 실린더(15)의 실린더실(15b)로의 압력유의 공급 유량과 실린더실(15a)로부터의 배출 유량은 같고, 전륜(1, 1), 후륜(2, 2) 모두 이들의 변경 각도 조타 각도는 스티어링 밸브(23)로부터의 압력유의 공급 유량[핸들(4O)의 회전 각도]에 따른 각도가 된다.
모드 절환 밸브(24)가 제3 위치(C)에 있을 때 핸들(40)을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밸브(23)의 액추에이터 포트(23c)에 공급된 핸들(40)의 회전 각도에 따른 유량의 압력유가 액추에이터 라인(27), 포트(14c)를 거쳐서 스티어링 실린더(14)의 실린더실(14a)에 공급되어, 전륜(1, 1)의 방향을 진행 방향 우측 방향으로 바꾼다. 또한, 스티어링 실린더(14)의 실린더실(14b)로부터의 배출유는 액추에이터 라인(29), 모드 절환 밸브(24)의 포트(24b, 24d), 액추에이터 라인(31), 포트(15d)를 거쳐서 스티어링 실린더(15)의 실린더실(15b)에 공급되어, 후륜(2, 2)의 방향을 전륜(1, 1)의 조타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진행 방향 우측 방향으로 바꾼다. 이 때, 실린더실(15a)로부터의 배출유는 포트(15c), 액추에이터 라인(30), 모드 절환 밸브(24)의 포트(24c, 24a), 액추에이터 라인(28), 스티어링 밸브(23)의 액추에이터 포트(23d), 탱크 포트(23b), 탱크 라인(26)을 거쳐서 탱크(22)로 복귀된다. 또한, 스티어링 실린더(14)의 실린더실(14a)로의 압력유의 공급 유량과 실린더실(14b)로부터의 배출 유량은 같고, 전륜(1, 1), 후륜(2, 2) 모두 이들의 변경 각도 조타 각도는 스티어링 밸브(23)로부터의 압력유의 공급 유량[핸들(40)의 회전 각도]에 따른 각도가 된다.
모드 절환 밸브(24)가 제3 위치(C)에 있을 때 핸들(40)을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포트(23d)에 공급된 핸들(40)의 회전 각도에 따른 유량의 압력유가 액추에이터 라인(28), 모드 절환 밸브(24)의 포트(24a, 24c), 액추에이터 라인(30), 포트(15c)를 거쳐서 스티어링 실린더(15)의 실린더실(15a)에 공급되어, 후륜(2, 2)의 방향을 진행 방향 좌측 방향으로 바꾼다. 또한, 스티어링 실린더(15)의 실린더실(15b)로부터의 배출유는 액추에이터 라인(31), 모드 절환 밸브(24)의 포트(24d, 24b), 액추에이터 라인(29), 포트(14d)를 거쳐서 스티어링 실린더(14)의 실린더실(14b)에 공급되어, 전륜(1, 1)의 방향을 후륜(2, 2)의 조타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진행 방향 좌측 방향으로 바꾼다. 이 때, 실린더실(14a)로부터의 배출유는 포트(14c), 액추에이터 라인(27), 스티어링 밸브(23)의 액추에이터 포트(23c), 탱크 포트(23b), 탱크 라인(26)을 거쳐서 탱크(22)로 복귀된다. 또한, 스티어링 실린더(15)의 실린더실(15a)로의 압력유의 공급 유량과 실린더실(15b)로부터의 배출 유량은 같고, 전륜(1, 1)의 변경 각도 조타 각도는 스티어링 밸브(23)로부터의 압력유의 공급 유량[핸들(4O)의 회전 각도]에 따른 각도가 된다.
모드 절환 밸브(24)를 절환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전륜(1, 1) 및 후륜(2, 2)의 조타 모드의 절환을 지시하는 3 버튼식의 모드 절환 스위치(35), 전륜(1, 1)의중립을 검출하는 전륜 중립 센서(36), 후륜(2, 2)의 중립을 검출하는 후륜 중립 센서(37), 모드 절환 스위치(35)와 일체화되고, 전륜(1, 1) 및 후륜(2, 2)의 현재의 조타 모드를 표시하는 동시에, 전륜(1, 1) 및 후륜(2, 2)이 중립에 있는지 여부(조타 모드의 절환이 지시 가능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모드 표시 장치(38)와, 제어기(39)가 설치되어 있다.
모드 절환 스위치(35)는 2WS(전륜 2륜 조타)와 4WS(역위상 4륜 조타)와 측방 이동(동위상 4륜 조타)의 각각에 대응하는 3개의 누름 버튼(35a, 35b, 35c)을 갖고, 이들 누름 버튼(35a, 35b, 35c)은 운전자가 눌렀을 때만 신호를 출력하고, 운전자가 손을 떼면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는 순간 작동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전륜 및 후륜의 중립 센서(36, 37)는 각각 스티어링 실린더(14, 15)의 실린더 외면에 부착된 위치 센서이며, 피스톤(16, 17)이 스티어링 실린더(14, 15)의 중앙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전륜(1, 1) 및 후륜(2, 2)의 중립을 검출한다.
모드 표시 장치(38)는 2WS(전륜 2륜 조타), 4WS(역위상 4륜 조타), 측방 이동(동위상 4륜 조타)의 3개의 모드 램프(38a, 38b, 38c)를 갖고, 모드 절환 스위치(35)의 3개의 누름 버튼(35a, 35b, 35c)은 모드 램프(38a, 38b, 38c)가 아주 가깝게 그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기(39)는 모드 절환 스위치(35)의 3개의 누름 버튼(35a, 35b, 35c)으로부터의 지시 신호 및 중립 센서(36, 37)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입력하고,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여 모드 표시 장치(38)의 3개의 모드 램프(38a, 38b, 38c)와 모드절환 밸브(24)의 솔레노이드(33a, 33b)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현재의 조타 모드[모드 절환 밸브(24)의 현재의 절환 위치]에 대응하는 모드 램프는 황색으로 점등시키고, 전륜(1, 1) 및 후륜(2, 2)이 중립 위치에 없을 때, 현재의 조타 모드에 대응하는 모드 램프 이외의 모드 램프는 소등시키고, 전륜(1, 1) 및 후륜(2, 2)이 중립 위치에 있을 때, 현재의 조타 모드에 대응하는 모드 램프 이외의 모드 램프는 녹색으로 점등시킨다. 또한, 전륜(1, 1) 및 후륜(2, 2)이 중립 위치에 없을 때는 누름 버튼(35a, 35b, 35c)으로부터의 지시 신호는 무효로 하고, 전륜(1, 1) 및 후륜(2, 2)이 중립 위치가 되면 누름 버튼(35a, 35b, 35c)으로부터의 지시 신호를 유효화하여, 그 지시 신호에 따른 조타 모드가 되도록 모드 절환 밸브(24)를 절환하여 작동시킨다.
도2에 제어기(39)의 처리 기능을 흐름도로 도시한다.
도2에 있어서, 우선 모드 절환 스위치(35)로부터의 지시 신호 및 중립 센서(36, 37)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입력한다(스텝 S100). 계속해서, 모드 절환 스위치(35)로부터 누름 버튼(35a)에 의한 2WS 모드의 지시 신호가 있는지 여부(스텝 S102), 누름 버튼(35b)에 의한 4WS 모드의 지시 신호가 있는지 여부(스텝 S104), 누름 버튼(35c)에 의한 측방 이동 모드의 지시 신호가 있는지 여부(스텝 S106)를 판단한다. 어떠한 판단도 부정되면, 즉 어떠한 지시 신호도 나타내지 않으면, 다음에 중립 센서(36, 37)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전륜(1, 1) 및 후륜(2, 2) 모두 중립인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08), 이 판단이 아니오(No)이면 즉 전륜(1, 1) 및 후륜(2, 2) 모두 중립이 아니면 현재의 조타 모드[모드 절환 밸브(24)의 현재의절환 위치]에 대응하는 모드 표시 장치(38)의 모드 램프를 황색으로 점등하여 다른 모드 램프를 소등한다(스텝 S110). 또한, 그 판단이 예(Yes)이며, 전륜(1, 1) 및 후륜(2, 2) 모두 중립이면 현재의 조타 모드[모드 절환 밸브(24)의 현재의 절환 위치]에 대응하는 모드 표시 장치(38)의 모드 램프를 황색으로 점등하여 다른 모드 램프를 녹색으로 점등한다(스텝 S112).
한편, 스텝 S102의 판단이 긍정되어 모드 절환 스위치(35)로부터 누름 버튼(35a)에 의한 2WS 모드의 지시 신호가 있으면, 다시 중립 센서(36, 37)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전륜(1, 1) 및 후륜(2, 2) 모두 중립인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20), 이 판단이 부정되면 스텝 S100으로 복귀하고, 상기한 순서를 반복하여 판단이 긍정되면, 즉 전륜(1, 1) 및 후륜(2, 2) 모두 중립으로 모드 절환 밸브(24)를 제1 위치(A)의 2WS 모드로 절환한다(스텝 S122). 실제의 제어에서는 솔레노이드(33a, 33b)로의 제어 신호를 0으로 한다. 동시에, 모드 표시 장치(38)의 2WS의 모드 램프(38a)를 황색으로 점등하여 다른 모드 램프(38b, 38c)를 녹색으로 점등한다(스텝 S124).
또한, 스텝 S104의 판단이 긍정되어 모드 절환 스위치(35)로부터 누름 버튼(35b)에 의한 4WS 모드의 지시 신호가 있는 경우도, 다시 중립 센서(36, 37)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전륜(1, 1) 및 후륜(2, 2) 모두 중립인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30), 이 판단이 부정되면 스텝 S100으로 복귀하고, 상기한 순서를 반복하여 판단이 긍정되면, 즉 전륜(1, 1) 및 후륜(2, 2) 모두 중립으로 모드 절환하여 밸브(24)를 제2 위치(B)의 4WS 모드로 절환한다(스텝 S132). 실제의 제어에서는 솔레노이드(33a)에 소정 레벨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동시에, 모드 표시 장치(38)의 4WS의 모드 램프(38b)를 황색으로 점등하여 다른 모드 램프(38a, 38c)를 녹색으로 점등한다(스텝 S134).
스텝 S106의 판단이 긍정되어 모드 절환 스위치(35)로부터 누름 버튼(35c)에 의한 측방 이동 모드의 지시 신호가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다시 중립 센서(36, 37)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전륜(1, 1) 및 후륜(2, 2) 모두 중립인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40), 이 판단이 부정되면 스텝 S100으로 복귀하고, 상기한 순서를 반복하여 판단이 긍정되면, 즉 전륜(1, 1) 및 후륜(2, 2) 모두 중립으로 모드 절환 밸브(24)를 제3 위치(C)의 측방 이동 모드로 절환한다(스텝 S142). 실제의 제어에서는 솔레노이드(33b)에 소정 레벨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동시에, 모드 표시 장치(38)의 측방 이동의 모드 램프(38c)를 황색으로 점등하여 다른 모드 램프(38a, 38b)를 녹색으로 점등한다(스텝 S144).
이상에 있어서, 모드 절환 밸브(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륜(1, 1) 및 후륜(2, 2)의 조타 모드를 2륜 조타(2WS)와 역위상 4륜 조타(4WS)와 동위상 4륜 조타(측방 이동)로 절환하는 모드 절환 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모드 절환 스위치(35)는 전륜(1, 1) 및 후륜(2, 2)의 조타 모드의 절환을 지시하는 모드 절환 지시 수단을 구성하고, 모드 표시 장치(38)는 전륜(1, 1) 및 후륜(2, 2)의 현재의 조타 모드를 표시하는 제1 표시 수단을 구성하고, 모드 표시 장치(38)의 모드 램프(38a, 38b, 38c) 중 현재의 조타 모드에 대응하는 황색으로 점등한 모드 램프 이외의 모드 램프는, 전륜(1, 1) 및 후륜(2, 2)이 중립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제2표시 수단을 구성하고, 전륜 중립 센서(36) 및 후륜 중립 센서(37)와 제어기(39)의 도2에 흐름도로 도시한 처리 기능은, 제2 표시 수단이 전륜(1, 1) 및 후륜(2, 2)이 중립에 없는 것을 나타내고 있을 때는, 모드 절환 지시 수단(35)의 지시가 있어도 모드 절환 수단(24)을 작동시키지 않고(도2의 S110 → S100 → S102, S130, S140 → S100), 제2 표시 수단이 전륜(1, 1) 및 후륜(2, 2)이 중립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을 때는, 모드 절환 지시 수단(35)의 지시가 있으면 그에 따른 조타 모드가 되도록 모드 절환 수단(24)을 작동시키고(도2의 S112 → S100 → S102 → S122 ; S130 → 132 ; S140 → 142), 또한 모드 절환 지시 수단(35)의 지시에 상관없이 제1 표시 수단(38)에 현재의 조타 모드로서 항상 모드 절환 수단(24)의 조타 모드에 대응한 조타 모드를 표시시키는(도2의 S124, S134, S144) 제어 수단을 구성한다.
도3에 동작예를 도시한다.
현재의 조타 모드[모드 절환 밸브(24)의 현재의 절환 위치]가 모드 절환 밸브(24)가 제2 위치(B)에 있는 4WS 모드이며, 전륜(1, 1) 및 후륜(2, 2) 모두 중립이 아닌 경우는, 모드 표시 장치(38)의 4WS의 모드 램프(38b)가 황색으로 점등하여 다른 모드 램프(38a, 38c)는 소등하고 있다(도2의 S110). 이 상태에서는 예를 들어 2WS의 누름 버튼(35a)을 눌러도 그 지시 신호는 무시되어 조타 모드는 절환되지 않아, 모드 램프(38a 내지 38c)의 점등 상태도 변화하지 않는다(도2의 S102 → S120 → S100). 또한, 이 4WS 모드인 상태로 핸들(40)을 돌리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륜(1, 1) 및 후륜(2, 2)의 각도가 변화되어 스티어링이 꺾인다. 전륜(1, 1)및 후륜(2, 2)의 스티어링을 꺾은 결과, 전륜(1, 1) 및 후륜(2, 2) 모두 중립이 되면, 모드 표시 장치(38)의 소등하고 있었던 모드 램프(38a, 38c)는 녹색으로 점등한다(도2의 S112). 이 4WS 모드인 상태로 다시 핸들(40)을 돌리면, 전륜(1, 1) 및 후륜(2, 2)의 스티어링이 꺾여 전륜(1, 1) 및 후륜(2, 2) 모두 중립은 없어진다. 이로 인해, 모드 표시 장치(38)의 녹색으로 점등한 모드 램프(38a, 38c)는 다시 소등한다(도2의 S110).
한편, 전륜(1, 1) 및 후륜(2, 2) 모두 중립이 되며, 모드 램프(38a, 38c)가 녹색으로 점등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2WS의 누름 버튼(35a)을 누르면, 모드 절환 밸브(24)는 제1 위치(A)로 절환되고, 조타 모드는 4WS로부터 2WS로 절환된다(도2의 S102 → S120 → S122). 또한, 모드 표시 장치(38)의 2WS의 모드 램프(38a)는 황색으로 점등하고, 지금까지 황색으로 점등하고 있었던 4WS의 모드 램프(38b)는 녹색으로 점등한다(도2의 S124). 이 2WS 모드의 상태에서 핸들(40)을 돌리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륜(1, 1)의 각도가 변화되어 전륜(1, 1)의 스티어링이 꺾인다. 전륜(1, 1)의 스티어링을 꺾은 결과, 전륜(1, 1)이 중립이 없어지면, 모드 표시 장치(38)의 녹색으로 점등하고 있었던 모드 램프(38a, 38c)는 소등한다(도2의 S110).
도4 및 도5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작업용 차량의 일례로서 리프트ㆍ트랙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4 및 도5에 있어서, 부호 100은 리프트ㆍ트랙이며, 리프트ㆍ트랙(100)은 전륜(1, 1) 및 후륜(2, 2)이 부착되는 차륜 장치용의 구조체를 구성하는 지지 데크구조체(102)와, 지지 데크 구조체(102)에 지지된 직립판(104)의 후단부에 저어널된 신축 가능한 리프트 아암(106)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 데크 구조체(102)의 일측방의 상면에, 또한 리프트ㆍ트랙(100)의 차 길이 방향의 축선(L-L)의 한 쪽에, 조작 운전실(108)이 지지되어 있다.
축선(L-L)에 대해 조작ㆍ운전실(108)과 반대측에서는 지지 데크 구조체(102)로 하우징(110)을 지지하고 있고, 하우징(110)에는 수직 방향을 향한 배기 파이프(112)를 구비한 내연 기관(114)이 내연 기관(114)의 샤프트가 상기 축선(L-L)에 대해 평행하게 되도록, 차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수납되어 있다. 하우징(110)은 조작ㆍ운전실(108)로부터, 조작ㆍ운전실(108)에 대해 간극(116)을 두는 거리에 배치되고, 간극(116)은 적어도 리프트ㆍ아암(106)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배치된다. 리프트ㆍ아암(106)은 차 길이 방향의 축선(L-L)과 직각 방향에 배치된 수평 축선을 구성하는 수평 핀(118)을 지점으로 하여 저어널되고, 수평 핀(118)은 상기 리프트ㆍ아암(106)이 완전한 하방 위치에 있어서 간극(116)에 부분적으로 수납되는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4에 있어서, 신축 가능한 리프트ㆍ아암(106)은 완전히 인입된 위치에 도시되어 있고, 점선의 외형선으로 부분적으로 상승 위치를 나타내고, 또한 실선으로 완전한 하방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이 하방 위치에 있어서 리프트ㆍ아암(106)은 간극(116)을 두고 조작ㆍ운전실(108)에 인접하여 차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조작ㆍ운전실(108)에서 작업하는 조작자의 시계를 방해하는 일이 없다.
리프트ㆍ아암(106)은 유압 잭(120)에 의해 수평 핀(118) 주위에 회전하고,유압 잭(120)의 하방 부분(122)은 지지 데크 구조체(102)의 중앙 부분에 저어널되어 있다. 리프트ㆍ아암(106)이 하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유압 잭(120)은 전방이 내려 간 상태로 경사져 있다.
신축 가능한 리프트ㆍ아암(106)의 내부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단부 요소(124)는 헤드부(126)를 지지하고 있고, 헤드부(126)에는 잭(128)에 의해 회전하는 공구(130)가 핀(132)에 의해 저어널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공구(130)는 포크형의 승강대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승강대 대신에, 예를 들어 버킷과 같은 다른 타입의 공구와 치환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음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① 전륜(1, 1) 및 후륜(2, 2)이 중립에 없을 때[모드 표시 장치(38)의 모드 램프(38a, 38b, 38c) 중의 현재의 조타 모드에 대응하는 황색으로 점등한 모드 램프 이외의 모드 램프가 소등되어 있을 때]는, 모드 절환 스위치(35)의 지시가 있어도 모드 절환 밸브(24)는 작동하지 않으므로, 운전자가 무심코 전륜(1, 1) 및 후륜(2, 2)의 비중립시에 모드 절환 스위치(35)를 조작해도 조타 모드는 절환되지 않고, 전륜(1, 1) 및 후륜(2, 2)은 항상 올바른 조타 모드 자세가 되어, 우수한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
② 모드 표시 장치(38)에 현재의 조타 모드로서 항상 모드 절환 밸브(24)의 절환 위치에 대응한 조타 모드를 표시시키므로[모드 표시 장치(38)의 모드 램프(38a, 38b, 38c) 중 현재의 조타 모드에 대응하는 모드 램프로서, 항상 모드 절환 밸브(24)의 조타 모드에 대응한 것을 황색으로 점등시킴], 운전자가 무심코전륜(1, 1) 및 후륜(2, 2)의 비중립시에 모드 절환 스위치(35)를 조작해도, 상기한 바와 같이 모드 절환 밸브(24)가 절환되지 않으므로, 모드 표시 장치(38)의 표시도 절환되지 않아 운전자는 항상 올바른 조타 모드를 인식하면서 조타 모드를 절환할 수 있고, 안심되어 모드 절환 조작을 행할 수 있어, 높은 신뢰성을 발휘할 수 있다.
③ 모드 표시 장치(38)의 램프의 일부[모드 표시 장치(38)의 모드 램프(38a, 38b, 38c) 중 현재의 조타 모드에 대응하는 황색으로 점등한 모드 램프이외의 모드 램프]를, 전륜(1, 1) 및 후륜(2, 2)이 중립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중립 램프(제2 표시 수단)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모드 램프(38a, 38b, 38c)가 중립 램프도 겸하게 되며,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모드 표시 장치(38)의 모드 램프(38a, 38b, 38c)에 의해 현재의 조타 모드와 전륜(1, 1) 및 후륜(2, 2)이 중립에 있는지 여부를 동시에 알 수 있어, 매우 사용하기 쉬운 것이 된다.
④ 모드 절환 스위치(35)의 누름 버튼(35a, 35b, 35c)은, 모드 표시 장치(38)의 모드 램프(38a, 38b, 38c)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므로, 모드 램프(38a, 38b, 38c)(제1 및 제2 표시 수단)를 보면서 조타 모드의 절환을 지시할 수 있어, 매우 사용하기 쉬운 것이 된다.
⑤ 모드 절환 스위치(35)의 누름 버튼(35a, 35b, 35c)은, 조작하였을 때만 신호를 출력하는 순간 작동 스위치로 구성하였으므로, 운전자가 무심코 전륜(1, 1) 및 후륜(2, 2)의 비중립시에 모드 절환 스위치(35)의 누름 버튼을 조작해도, 누름 버튼으로부터 손을 떼면 신호는 소실하기 때문에, 전륜(1, 1) 및 후륜(2, 2)이 중립으로 되었을 때에 다시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으면 조타 모드는 절환하지 않도록 되고, 결과적으로 운전자의 의지로 확실하게 조타 모드를 절환할 수 있어, 조작성 및 신뢰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된다.
또,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작업용 차량으로서 리프트ㆍ트랙에 적용하였지만, 라프텔렌 크레인 등, 전륜과 후륜을 갖는 그 밖의 작업용 차량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또한, 2WS(전륜 2륜 조타), 4WS(역위상 4륜 조타), 측방 이동(동위상 4륜 조타)의 3 조타 모드 절환 방식에 본 발명을 적용하였지만, 2WS(전륜 2륜 조타), 4WS(역위상 4륜 조타)의 2조타 모드 절환 방식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모드 절환 스위치(35)와 모드 표시 장치(36)를 일체화하고, 모드 절환 스위치(35)의 누름 버튼(35a, 35b, 35c)을 모드 표시 장치(38)의 모드 램프(38a, 38b, 38c)의 가깝게 그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하였지만, 모드 절환 스위치(35)와 모드 표시 장치(36)는 분리하여 배치해도 좋고, 이에 의해서도 상기 ①, ②, ③, ⑤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모드 절환 스위치(35)의 누름 버튼(35a, 35b, 35c)을 조작하였을 때만 신호를 출력하는 순간 작동의 스위치로 구성하였지만, 모드 절환 스위치(35)의 누름 버튼(35a, 35b, 35c)은 누른 후 다른 버튼을 누를 때까지 온 상태를 유지하는 홀드식이라도 좋고, 이 경우라도 상기 ①, ②, ③, ④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륜(1, 1) 및 후륜(2, 2)의 중립을 검출하는 중립 센서로서, 전륜(1, 1) 및 후륜(2, 2)의 양 쪽의 중립 센서(36, 37)를 이용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전륜(1, 1) 및 후륜(2, 2)의 동기가 도모되므로, 모든 조타 모드라도 각도가 변하는 전륜(1, 1)의 중립을 검출하는 중립 센서(36)만을 이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륜 및 후륜의 조타 모드를 2륜 조타와 4륜 조타로 절환 가능한 작업용 차량에 있어서, 조작성이 우수하면서 신뢰성이 높은 조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 전륜(1, 1) 및 후륜(2, 2)과, 이 전륜 및 후륜의 스티어링을 꺾기 위한 조타 장치(50)를 구비한 작업용 차량의 조향 장치에 있어서,상기 조타 장치(50)에 설치되어, 상기 전륜(1, 1) 및 후륜(2, 2)의 조타 모드를 2륜 조타와 4륜 조타로 절환하는 모드 절환 수단(24)과,상기 전륜 및 후륜의 조타 모드의 절환을 지시하는 모드 절환 지시 수단(35)과,상기 전륜 및 후륜의 현재의 조타 모드를 표시하는 제1 표시 수단(38)과,상기 전륜 및 후륜이 중립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제2 표시 수단(38)과,상기 제2 표시 수단(38)이 전륜 및 후륜이 중립에 없는 것을 표시하고 있을 때는, 상기 모드 절환 지시 수단의 지시가 있어도 상기 모드 절환 수단을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제2 표시 수단이 전륜 및 후륜이 중립에 있는 것을 표시하고 있을 때는, 상기 모드 절환 지시 수단의 지시가 있으면 그에 따른 조타 모드가 되도록 상기 모드 절환 수단을 작동시키고, 또한 상기 모드 절환 지시 수단의 지시에 상관없이 상기 제1 표시 수단(38)에 현재의 조타 모드로서 항상 상기 모드 절환 수단의 작동 상태에 대응한 조타 모드를 표시시키는 제어 수단(36, 37, 3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차량의 조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수단(38)은 상기 조타 모드의 종류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현재의 조타 모드에 대응하는 것이 특정한 색깔로 점등하는 복수의 모드 램프(38a, 38b, 38c)를 갖고,이들 복수의 모드 램프 중 현재의 조타 모드에 대응하는 모드 램프 이외의 모드 램프를 상기 제2 표시 수단(38)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차량의 조향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수단으로서의 모드 램프(38a, 38b, 38c)는 상기 전륜(1, 1) 및 후륜(2, 2)이 중립 위치에 있을 때, 현재의 조타 모드에 대응하는 모드 램프와 다른 색깔로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차량의 조향 장치.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절환 지시 수단(35)은 상기 복수의 모드 램프(38a, 38b, 38c)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35a, 35b, 35c)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차량의 조향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35a, 35b, 35c)는 조작하였을 때만 신호를 출력하는 순간 작동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차량의 조향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절환 수단(24)은 상기 전륜(1, 1) 및 후륜(2, 2)의 조타 모드를 2륜 조타와 역위상 4륜 조타와 동위상 4륜 조타로 절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차량의 조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2-00051675 | 2002-02-27 | ||
JP2002051675A JP2003252230A (ja) | 2002-02-27 | 2002-02-27 | 作業用車両の操向装置 |
PCT/JP2003/002128 WO2003072419A1 (fr) | 2002-02-27 | 2003-02-26 | Systeme de direction de camion de travaux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87085A true KR20030087085A (ko) | 2003-11-12 |
Family
ID=27764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7013918A KR20030087085A (ko) | 2002-02-27 | 2003-02-26 | 작업용 차량의 조향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7114591B2 (ko) |
EP (1) | EP1479595A4 (ko) |
JP (1) | JP2003252230A (ko) |
KR (1) | KR20030087085A (ko) |
CN (1) | CN1514787A (ko) |
WO (1) | WO200307241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0386481C (zh) * | 2005-12-30 | 2008-05-07 |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 铣刨机单、双手柄可切换转向的控制方法和装置 |
US8753695B1 (en) * | 2007-08-10 | 2014-06-17 | Lori Ann Porter | Insect repellent formulation |
FR2952893B1 (fr) * | 2009-11-23 | 2016-06-10 | Artec Pulverisation | Systeme de direction pour vehicules a deux ou quatre roues directrices |
JP2012017093A (ja) * | 2010-06-09 | 2012-01-26 | Ntn Corp | 電気自動車 |
CN102372029A (zh) * | 2011-07-23 | 2012-03-14 | 青岛理工大学 | 多轴汽车电控全轮转向系统 |
CN102514616B (zh) * | 2011-12-21 | 2013-12-25 |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 工程车辆及其电控转向系统的安全控制方法与装置 |
DE102012107777B4 (de) * | 2012-08-23 | 2023-04-27 | Robert Bosch Gmbh | Lenksystem für eine nachlaufachse eines fahrzeugs |
RU2545157C1 (ru) * | 2013-11-11 | 2015-03-27 | Юрий Феликсович Черняков | Рулев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всеми колёсами трактора |
CN104354762A (zh) * | 2014-10-24 | 2015-02-18 | 江苏柳工机械有限公司 | 挖掘装载机四轮转向控制系统 |
CN104613029B (zh) * | 2015-02-12 | 2016-11-16 | 柏跃龙 | 新型移动升降平台的液压系统 |
KR20160148518A (ko) | 2015-05-25 | 2016-12-26 |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 작업 기계의 출력 장치 및 작업 기계의 출력 방법 |
CN108189907B (zh) * | 2016-12-08 | 2023-12-26 | 辽宁丹东新弘源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企业技术研究开发中心 | 汽拖一体机用液压转向控制系统 |
CN111267951B (zh) * | 2020-03-16 | 2024-01-19 | 吉林大学 | 一种电液耦合式全轮转向系统 |
CN111959604B (zh) * | 2020-07-27 | 2021-10-29 |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 一种多模式转向系统 |
US11873046B2 (en) * | 2021-05-06 | 2024-01-16 | Zoomlion Heavy Industry Na, Inc. | Electrical method for centering telehandler rear wheels |
IT202100026735A1 (it) * | 2021-10-19 | 2023-04-19 | Magni Real Estate S R L | Sollevatore telescopico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596730A (en) * | 1969-04-22 | 1971-08-03 | Fairchild Hiller Corp | Steering system |
US3903983A (en) * | 1972-12-29 | 1975-09-09 | Case Co J I | Steering system for vehicles |
US3856102A (en) * | 1973-07-11 | 1974-12-24 | Harnischfeger Corp | Electro-hydraulic steering system for vehicle having steerable front and rear ground wheels |
US4621702A (en) * | 1983-09-08 | 1986-11-11 | Mazda Motor Corp. | Four-wheel steering apparatus of a vehicle |
FR2578217B1 (fr) * | 1984-12-20 | 1991-11-22 | Honda Motor Co Ltd | Engin de travail pilote par un conducteur et equipe d'un systeme de direction a quatre roues directrices |
JPS62120276A (ja) * | 1985-11-20 | 1987-06-01 | Nissan Motor Co Ltd | 4輪駆動・4輪操舵車両 |
GB8717192D0 (en) | 1987-07-21 | 1987-08-26 | Bamford Excavators Ltd | Materials handling vehicle |
US5020627A (en) * | 1989-04-21 | 1991-06-04 | Wittke Rudolph H | Four-wheel drive tractor |
JPH0361477A (ja) | 1989-07-31 | 1991-03-18 | Mizushi Fujimoto | 茸種菌等の培地用容器 |
JP2514952Y2 (ja) * | 1989-10-20 | 1996-10-23 |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 四輪操舵車 |
US5139105A (en) | 1990-01-25 | 1992-08-18 | J. C. Bamford Excavators Limited | Four wheel steering vehicle with valve position retaining means |
JPH0419267A (ja) * | 1990-05-12 | 1992-01-23 | Iseki & Co Ltd | 動力車両の四輪操舵装置 |
JPH04230474A (ja) * | 1990-12-28 | 1992-08-19 | Niigata Eng Co Ltd | 車両の操舵切換方法 |
JP3222274B2 (ja) | 1993-07-12 | 2001-10-22 | 石川島芝浦機械株式会社 | 土壌消毒装置 |
JPH0723686U (ja) * | 1993-10-13 | 1995-05-02 | 小松メック株式会社 | 操向モード切換装置 |
US5515026A (en) * | 1994-01-28 | 1996-05-07 | Ewert; Roger D. | Total alert driver safety system |
AUPP737098A0 (en) * | 1998-11-30 | 1998-12-24 | Grant, Brendan Joel | A modular wheel and/or conventional wheel assembly and control system |
US6481524B1 (en) * | 1999-08-10 | 2002-11-19 |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 Vehicle equipped with turning mechanism |
IT1317438B1 (it) * | 2000-05-02 | 2003-07-09 | Dana Italia Spa | Dispositivo elettronico di selezione e controllo delle modalita' disterzata dei veicoli, in particolare di veicoli industriali a quattro |
-
2002
- 2002-02-27 JP JP2002051675A patent/JP2003252230A/ja active Pending
-
2003
- 2003-02-26 EP EP03743033A patent/EP1479595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3-02-26 KR KR10-2003-7013918A patent/KR2003008708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3-02-26 US US10/500,656 patent/US711459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2-26 CN CNA038003961A patent/CN1514787A/zh active Pending
- 2003-02-26 WO PCT/JP2003/002128 patent/WO2003072419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50067212A1 (en) | 2005-03-31 |
EP1479595A1 (en) | 2004-11-24 |
CN1514787A (zh) | 2004-07-21 |
US7114591B2 (en) | 2006-10-03 |
EP1479595A4 (en) | 2007-07-04 |
WO2003072419A1 (fr) | 2003-09-04 |
JP2003252230A (ja) | 2003-09-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0087085A (ko) | 작업용 차량의 조향 장치 | |
AU2008253242B2 (en) | Three-wheel forklift truck | |
US5533584A (en) | Vehicle with front and rear steering | |
JP2006069412A (ja) | 車両系作業機械の操向モード切換システム | |
JPH0419267A (ja) | 動力車両の四輪操舵装置 | |
JP2916194B2 (ja) | 高所作業車の操向機構 | |
JP2006069444A (ja) | 作業用車両の操向装置 | |
JP2822576B2 (ja) | 四輪操舵制御装置 | |
JP2888442B2 (ja) | 動力車両の四輪操舵装置 | |
JP2007203963A (ja) | 作業用車両の操向装置 | |
JP2551181B2 (ja) | 動力車両に於ける四輪操舵装置 | |
JP4652508B2 (ja) | ホイールクレーン | |
JP2822578B2 (ja) | 四輪操舵制御装置 | |
JP2006035917A (ja) | 四輪操舵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 |
JP2503694B2 (ja) | 動力車両に於ける四輪操舵装置 | |
JP3118856B2 (ja) | 動力車輌における操舵装置 | |
JPH0525985Y2 (ko) | ||
AU2022398298A1 (en) | Self-propelled vehicle, in particular self-propelled load-handling vehicle | |
JPH04271963A (ja) | 動力車両の四輪操舵装置 | |
JPH0776284A (ja) | 後輪操向装置 | |
JPH0840297A (ja) | トラクタの操向装置 | |
JPH03276873A (ja) | 動力車両の四輪操舵装置 | |
JPH0526730U (ja) | 四輪操舵車両 | |
JPH0550942A (ja) | 四輪操舵制御装置 | |
JPS63293228A (ja) | 胴折れ型ショベルロ−ダの操向操作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