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5137A - 무선 통신 환경에서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을 위한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환경에서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을 위한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5137A
KR20030085137A KR10-2003-7011475A KR20037011475A KR20030085137A KR 20030085137 A KR20030085137 A KR 20030085137A KR 20037011475 A KR20037011475 A KR 20037011475A KR 20030085137 A KR20030085137 A KR 20030085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ple access
division multiple
code division
carrier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1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7311B1 (ko
Inventor
페리얄워샬리니에스
하셈바삼엠
스트라우친스키레오엘
Original Assignee
노오텔 네트웍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오텔 네트웍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노오텔 네트웍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85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5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3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wireless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97Direct sequence modulation interference
    • H04B2201/709709Methods of preventing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장치와 기지국 사이의 무선 역방향 링크 통신을 위해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반송파를 이용하는 방법, 장치 및 기지국이 제공된다. 장치의 동작 프로파일이 결정되며, 상기 동작 프로파일은 유닛 이동도를 포함한다. 장치로부터 기지국으로의 무선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을 위한 제1 반송파는 상기 결정된 장치의 동작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장치와 기지국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는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수립된다. 일면에 의하면, 제1 반송파는 비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신호 및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신호 중 하나이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환경에서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무선 통신의 성공으로 인하여 무선 장치의 양적 증가 뿐만 아니라, 새로운 유형의 무선 장치에 대한 요구 또한 증가하였다.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함)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과 같은 셀 기반 시스템을 통한 통신에 적합한 무선 장치는 전통적으로 전화에 소속되었으나, 더 이상 그러하지가 않다.
오히려, 무선 통신 장치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하 'PDA'라 함), 호출기, 네트워크 기구(appliance), 랩톱 및 데스크톱 컴퓨터 등도 포함한다. 이들 장치 및 이들의 사용자는 세가지카테고리(category), 즉 이동(mobile), 노매딕(nomadic) 및 고정(stationary)으로 나눌 수 있다. 이동 장치는 사용 중 이동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예컨대 보행중 또는 차량에 탑승한 채로 사용되는 전화기 및 PDA 등이 있다. 고정 장치는 통상적으로 이동 경향이 없는 장치를 말하며, 반복 사용 동안에도 그러한 장치를 일컫는다. 고정 장치의 예로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춘 개인용 타워 컴퓨터가 있다. 노매딕 장치는 여기 저기 이동할 수 있으나 사용중에는 통상적으로 고정되는 장치를 말한다. 노매딕 장치는 사용중 통상적으로 고정되지만, 사용중에 이동할 수도 있다. 노매딕 장치의 예로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사무실에서 사용되며 후속 사용을 위해 또 다른 장소로 이동되는 랩톱 컴퓨터가 있다. 상기 예에 따르면, 상기 랩톱 컴퓨터는 기차 또는 차량에 탑승한 경우와 같이 이동 중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무선 통신 인프라스트럭처는, 상기 무선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며, 외부 서비스로의 액세스(예컨대 인터넷 액세스)가 제공되는 네트워크에 구성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한다. 장치들이 이러한 시스템에 추가됨에 따라, 이러한 인프라스트럭처는 기지국 통신 장치에 가해지는 처리 부담(load)의 증가뿐만 아니라, 기지국 및 안테나 밀도의 증가 형태로 존재하도록 요구되고 있다.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이하 '3GPP'라 함)와 같은 현재 및 제안된 무선 통신 환경은 전술한 상이한 카테고리에 대하여 상이한 설계를 제안한다. 장치 카테고리는 역방향 링크(장치에서 기지국으로의 링크)에 대한 설계를 결정함에 있어 특히 중요하게 된다. 특히, 3GPP와 같은 CDMA 환경은 두가지 유형의 역방향 링크 설계, 즉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SCDMA; 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SCDMA'라 함)와 비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ACDMA: a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ACDMA'라 함)를 제안하며, 장치는 SCDMA 또는 ACDMA 중 한 유형의 링크 상에서 동작된다. 그런데, 3GPP는 역방향 링크 상에서 SCDMA 및 ACDMA의 상호 보완적 이용을 다루지 않고 있다. 더욱이, 3GPP 뿐만 아니라 CDMA2000 통신 환경도 장치 유형(예컨대 고정 또는 이동)에 기초한 SCDMA 코드 및 ACDMA 코드의 상호 보완적 이용을 다루지 않고 있다.
SCDMA는 동기식 직교 전송으로서, 각 통신 채널이 상이한 직교 확산 시퀀스에 의해 식별되며, 전송이 각 수신기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각에 도달하도록 보장함으로써 채널간 동기가 달성된다. 반면에, ACDMA 링크는 전송이 수신기들에 상이한 시각에 도달되는 링크이다. ACDMA 링크는 SCDMA와 비교할 때, 결과적으로 시스템의 직교성(orthogonality)이 손상되며, 각 기지국의 커버리지 구역, 즉 셀 내에서 간섭이 증가한다.
SCDMA 전송의 직교성의 결과로서, 상응하는 ACDMA 링크에 비하여 주어진 비트 오류율(BER; bit error rate) 달성을 위해 필요한 반송파 대 간섭 비율(carrier to interference ratio)에 대해서 3 ㏈ 정도 또는 그 이상의 직교성 이득(gain)을 실현하게 된다. SCDMA 구성은 모든 장치가 동기로 동작할 때 반송파 채널의 용량이 증가되기 때문에 ACDMA 동작에 비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시간 정렬이 되지 않고 동작하는 장치(즉, 나머지 장치와 비동기됨)의 존재는 채널의 간섭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채널의 용량 및 성능을 감소시킨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SCDMA 링크는 수신기 사이의 시간 정렬을 요구하며, 또한 Walsh 확산 코드와 같은 직교 확산 코드의 사용을 요구한다. ACDMA 링크에서 사용되는 코드와 같은 비직교 코드와 비교할 때 직교 확산 코드 확경에서 코드의 수가 제한되기 때문에, 셀 내부에서 특정 반송파로 동시에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의 수가 제한된다.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코드 할당 측면이 특히 중요하게 되며, 따라서 시스템 복잡도가 증가하게 된다.
CDMA 시스템의 통합적 특징(integral feature)은 소프트 핸드오버의 개념이다. 소프트 핸드오버란 무선 장치와 다수의 기지국 사이에서 통신이 메이크-비포-브레이크(make-before-break) 방식(즉, 현재의 기지국과의 통신 링크를 단절하기 전에 새로운 기지국과 통신이 수립됨)으로 하나의 기지국에서 또 다른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동시 통신을 말한다. SCDMA 코드를 사용하는 장치는 다른 기지국과 소프트 핸드오프를 유지할 수 있으나, 이들 다른 기지국은 SCDMA 코드를 통상의 의사-잡음(pseudo-noise) 코드로 본다. 따라서, 소프트 핸드오프하는 장치는 셀 내의 SCDMA 장치가 경험하는 간섭의 양을 증가시킨다.
정밀한 시간 정렬[예컨대 1 칩(chip)의 8분의 1 또는 4분의 1 내]이 대용량 SCDMA 시스템에서 요구되기 때문에, 전술한 이동 카테고리의 장치는 다른 장치 및 그 기지국과 관련한 장치의 이동으로 인하여 역방향 채널에서 동기 동작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게다가, 동기 유지 능력은 페이딩(fading) 및 간섭의 변동성에도 영향을 받으며, 고정 사용에서도 그러하다. 이러한 불리한 영향은 광대역(즉, 5 ㎒ 이상) 시스템에서 특히 일반적이며, 이는 초고속 칩 속도가 관련되기 때문이다. 결과로서, 3GPP 규격에 적합한 시스템 등은 저 이동성 및 고 이동성 장치에 대하여 별도의 설계를 제안하고 있다.
장치가 동작하는 카테고리는 변경될 수 있으며, 예로써 이동 장치 사용자가 장기간 이동을 멈추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현재의 시스템은 하나의 카테고리와 또 다른 카테고리[예컨대, ACDMA 에서 SCDMA(또는 그 반대)로의 역방향 링크 동작] 사이의 전환을 지원하지 않고 있다. 그러하게, 고정으로 되는 이동 장치는, 실제로 SCDMA 역방향 링크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경우임에도 보다 덜 효율적이면서 보다 저용량의 비동기 동작에 소속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고정 동작에서 이동 동작으로 변경되는 노매딕 장치는 원래 할당된 SCDMA 역방향 링크의 성능에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직교성 유지 불능으로 인해 채널 간섭을 증가시키는 부담에 기인한다.
따라서, 동작 중인 무선 장치의 특정 프로파일에 따라 장치가 SCDMA 역방향 링크 모드 또는 ACDMA 역방향 링크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현재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통신 세션 중에 ACDMA에서 SCDMA( 및 그 반대)로의 전환을 촉진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현재 시스템은 장치의 동작 모드를 모니터링하여 장치의 동작 카테고리 변경, 즉 동기를 유지하는 장치의 능력(유닛 이동도)을 검출하지 않는다. 또한 현재의 시스템은 SCDMA 코드의 사용을 제한하는 상황에 대하여 최적화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장치의 동작 특성, 즉 동작 카테고리를 모니터링하여 이의 변경을 검출하는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시스템 제공자가 자신들의 광대역 주파수 스펙트럼을 다수의 이산 반송파로 할당하여 각 반송파가 특정 유형의 동작, 예컨대 SCDMA 또는 ACDMA 동작을 지원하도록 하는 다중-반송파 광대역 동작에서 특히 그러하다.
또한, 최적 시스템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이동 사용자에게 무제한의 ACDMA 코드를 제공하면서, SCDMA 모드로 동작하는 장치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는 CDMA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대역 반송파가 다수의 이산 반송파로 분할되는 광대역 다중-캐리어 CDMA 시스템(예컨대 3개의 1.25 ㎒ 반송파를 지원하는 5㎒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들 시스템은 특정 반송파를 특정 서비스에 전용(예컨대, 동일한 시스템에서 하나의 반송파에 대해서는 SCDMA, 다른 반송파에 대해서는 ACDMA)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서비스의 이용을 최적화하고 장치가 필요에 따라 서비스 사이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반송파를 특정 서비스에 전용하는 CDMA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역방향 통신 링크(무선 장치에서 기지국으로의 링크)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동작 요인에 기초하여 비동기 동작 및 동기 동작을 수용하고 그 사이를 전환할 수 있는 다중-반송파(multi-carrier) 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다중-반송파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장치의 무선 통신부에 대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기지국의 무선 통신부에 대한 구성도.
도 5는 상기 시스템 및 통신 유닛의 전체 동작에 대한 흐름도.
도 6은 신규 반송파 선택 프로세스의 흐름도.
본 발명은 장치의 동작 프로파일(profile)에 기초하여 최적화된 반송파 및 역방향 링크 코딩 기술을 이용하여 장치와 기지국이 상호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는 점에 장점이 있다. 예컨대, 고정인 장치는SCDMA 링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동 장치는 ACDMA 링크를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장치와 기지국의 동기가 모니터링되고, 이동성에 변경(예컨대 고정에서 이동 동작으로 변경)이 검출되면 통신이 현재의 반송파로부터 변경된 이동성 상태에 적합한 CDMA 코드의 링크를 채용한 반송파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으로서, 장치와 기지국 사이의 무선 통신을 위해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반송파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에서 상기 장치의 동작 프로파일(operational profile)이 결정된다. 상기 동작 프로파일은 유닛 이동도를 포함한다. 상기 결정된 상기 장치의 동작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의 무선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용 제1 반송파가 선택된다. 상기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와 상기 기지국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가 수립된다.
또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을 위해 하나 이상의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반송파를 이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와 동작 교신(operative communication)을 하는 중앙 처리 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송신기는 제1 지정 반송파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에 제1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중앙 처리 유닛은 동작 프로파일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동작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지정 반송파를 선택하며, 상기 제1 지정 반송파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무선 통신 링크를 수립한다. 상기 동작 프로파일은 유닛 이동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장치와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위한 무선 신호로서, 복수의 반송파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각 복수의 반송파는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링크 또는 비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을 제공한다. 상기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각 반송파는 고정 무선 장치에 의해 이용되며, 상기 비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각 반송파는 이동 무선 장치에 의해 이용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장치로부터 무선 통신을 수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반송파를 이용하는 기지국을 제공하며, 상기 기지국은 수신기, 그리고 상기 수신기와 동작 교신하는 중앙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 처리 유닛은 상기 장치의 동작 프로파일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동작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제1 지정 반송파를 선택하며, 상기 제1 지정 반송파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와 무선 통신 링크를 수립한다. 상기 동작 프로파일은 유닛 이동도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 지정 반송파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대한 보다 완벽한 이해와 그에 따른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후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부터는 도면을 참고하며,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통신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10으로 표시되어 있다. 통신 시스템(10)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16)를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14)과 통신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무선 장치(12)[핸드헬드(handheld) 무선 장치(12a), 무선 타워 컴퓨터(12b), 차량 장착 무선 전화(12c) 및 무선 랩톱 컴퓨터(12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12)와 기지국(14)은 본 명세서에서 통상적으로 함께 "유닛(unit)"으로 부른다.
핸드헬드 무선 장치(12a)는 이동 장치의 예이고, 무선 타워(12b)는 고정 장치의 예이며, 차량 장착 무선 전화(12c)는 이동 장치의 예이며, 무선 랩톱 컴퓨터(12d)는 노매딕 장치의 예이다. 물론, 핸드헬드 무선 장치(12a)와 차량 장착 무선 전화(12c)는 사용자(또는 차량)가 이동할 때 뿐만 아니라 사용자(또는 차량)가 고정인 경우에도 동작 가능하므로 노매딕 장치로 간주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장치(12a, 12c)는 사용 중에 통상적으로 이동 상태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이동으로 간주한다. 또한 통신 시스템(10)은 통신 링크(20)를 통해 기지국(14)과 연결된 기지국 통신 네트워크(18)로 구성된다. 통신 링크(20)와 통신네트워크(18)는 기지국(14) 사이 및/또는 기지국(14)과 외부 서비스(도시되지 않음)(예컨대, 인터넷 액세스, 뉴스 및 주식 시세 서비스 등)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디지털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18) 및 통신 링크(20)에 대한 구성은 알려져 있다. 예컨대, 통신 링크(20)는 수 메가비트/초·링크와 같은 무선 또는 유선 링크일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8)는 디지털 스위치, 라우터 및 기타 공지된 디지털 통신 장치들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장치(12)는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이며, 도 1에 도시된 네가지 유형의 장치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각 장치(12)는 기지국으로, 그리고 기지국(14)으로부터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14)으로 무선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상세하게 후술함)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6)는 광대역 시스템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대역"이란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최소 5 ㎒ 대역폭을 갖는 시스템을 말한다. 광대역 시스템은 다중-반송파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다중-반송파 시스템에서 반송파 중 하나를 사용하여 장치(12) 및/또는 기지국(14)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가 수립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역방향 링크용 다중-반송파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반송파 시스템(22)은 복수의 반송파, 즉 반송파 A(24a), 반송파 B(24b) 및 반송파 C(24c)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인접 반송파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다중-반송파 시스템(22)은 반송파 A 내지 C(24a, 24b, 24c)가 각각 1.25 ㎒ 반송파 채널인 5 ㎒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별 반송파는 그 반송파를 사용하는 장치에 대한 개개의 특징에 적합한 개개의 링크 구성(예컨대 ACDMA 및 SCDMA 무선 통신 링크)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이, 그리고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반송파 A(24a)는 ACDMA 역방향 링크를 지원하도록 사용할 수 있으며, 반송파 B(24b)는 SCDMA 역방향 링크를 지원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6)는 무선 고속 데이터 프로토콜(HDP: Highspeed Data Protocol) 또는 무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신호를 채용하는 무선 고속 고정 액세스 데이터 시스템을 포함한 임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음이 고려되었다. 또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16)는 무선랜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음이 고려되었다. 무선 고속 데이터 프로토콜, 무선 D니 신호 및 무선랜 신호를 제공하는 표준 프로토콜은 알려져 있다. "프로토콜"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데이터 패킷 내에서 데이터의 구성(예컨대 패킷 헤더, 풋터(footer) 및 패킷 사이즈 등)을 말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장치(12)의 무선 통신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2)의 무선 통신부는 장치 수신기(26) 및 장치 송신기(2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장치 수신기(26)와 장치 송신기(28) 각각은 장치의 중앙 처리 유닛(30)에 연결되고 이에 의해 제어된다. 장치 수신기(26)와 장치 송신기(28)는 다른 유닛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유닛으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안테나(32)에 연결된다.
장치 수신기(16)는 기지국(14)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 송신기(28)는 안테나(32)를 통해 기지국(14)으로 CDMA 확산 대역 신호(예컨대, ACDMA 및 SCDMA 확산 대역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의 중앙 처리 유닛(30)은 상세히 후술하는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중앙 처리 유닛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의 중앙 처리 유닛(30)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버퍼링하며, 지정 기능(후술함)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충분한 메모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거나 이를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치의 중앙 처리 유닛(30)은 장치(12)로 하여금 다중-반송파 시스템에서 반송파 사이를 전환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장치(12)가 반송파 전환의 필요를 결정하는지 여부 또는 기지국(14)과 같은 별도의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기초하여 반송파 전환이 수행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그러하다.
장치(12)는 그 장치의 동작 프로파일에 따라, 역방향 링크 상에서 SCDMA 또는 ACDMA 통신을 사용하여 기지국(14)과 통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다중-반송파 무선 통신에서 반송파를 변경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반송파 핸드오프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ACDMA와 SCDMA 통신 링크 사이를 전환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기지국(14)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4)은 기지국 수신기(34) 및 기지국 송신기(36)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지국 수신기(34)와 기지국 송신기(36) 각각은 기지국 중앙 처리 유닛(38)에 연결되어 이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기지국(14)은 장치(12)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장치(12)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각각 기지국 수신기(34) 및 기지국 송신기(36)에 연결된 기지국 안테나 서브시스템(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지국(14)은 통신 링크(20)를 통해 기지국(14)을 통신 네트워크(18)로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인터페이스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기지국 링크(4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페이스 하드웨어는 플러그, 잭 및 전자 회로 소자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는 실행될 경우, 통신 네트워크(18)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통신 네트워크(18)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드라이버 및 기타 기능을 제공한다.
기지국 수신기(34)는 복수의 장치(12)로부터 ACDMA 및 SCDMA 신호와 같은 무선 확산 대역 CDMA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지국(14)은 장치(12)로 하여금 그들의 전송 타이밍을 조정하여 전송 중에 동기 정렬을 유지하도록 시간 정렬 명령을 장치(12)로 전송한다. 무선 통신 환경에서 시간 정렬 명령을 결정하고 전송하는 기술은 공지되어 있다.
기지국 중앙 처리 유닛(38)은 후술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을 포함하거나 이를 액세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 유닛은, 장치(12)와의 진행중인(in-progress) 통신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장치(12) 및 통신 네트워크(18) 등으로/으로부터 전송 및/또는 수신되는 데이터의 버퍼링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설명된 기지국(14)의 기능을 제공하는 임의의 중앙 처리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장치(12) 및 기지국(14) 모두의 경우에, 각 장치의 전술한 구성 요소 각각은 각 구성 요소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통신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 개개의 장치(12) 및 기지국(14)의 구성 요소의 임의의 조합(예컨대 수신기, 송신기 및 중앙 처리 유닛)은 단일 반도체 집적 회로로서 제공될 수 있음이 고려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기지국(14)은 다중-반송파 환경에서 하나의 반송파 또는 복수의 반송파 조합을 사용하여 장치(12)와 통신할 수 있는 능력이 구비된다. 또한, 각 기지국(14)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동작 프로파일 특성에 기초하여, ACDMA 링크 또는 SCDMA 링크, 특히 역방향 링크를 통해 장치(12)와 통신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동작한다. 이들 특성에는 장치가 이동 또는 고정인지와, SCDMA 동작을 위해 사용 가능한 충분한 직교 확산 코드가 존재하는지가 포함된다.
시스템(10) 및 통신 유닛의 전체적 동작은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하며, 장치(12)와 기지국(14) 사이의 통신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초기에, 장치(12)의 동작 프로파일이 결정되며(단계 S100), 기지국(14)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작 프로파일에는 장치의 이동도를 나타내는 특성이 포함된다. 이동도는 고정 또는 이동과 같이 이진 결정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또는 구체적인 이동도가 결정되고 동작 프로파일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14)에서 수신 신호의 타이밍 변동에 기초하여 이동 장치(12)의 속도를 추정함으로써 구체적인 이동도를 결정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초기에, 속도 추정을 위해 SCDMA 반송파 또는 ACDMA 반송파 상의 액세스 채널 혹은 시그널링 채널이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14)은 장치(12)로 전송된 시간 정렬 변화의 주파수를 추적함으로써 장치(12)의 이동도를 추정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도는 이동성이 미리 지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에 고정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또는 이동성이 미리 지정된 값보다 큰 경우에 이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지정된 값은 칩 속도와, 장치(12)와의 SCDMA 링크를 유지하기 위한 기지국의 결과적 능력에 기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치(12)는 그 자신의 이동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을 기지국(14)에 제공할 수 있음이 고려되었다. 예컨대, 장치(12)는 시간에 걸쳐 장치(12)의 위치 변경(즉, 속도)을 결정하는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receiver)와 같은 추적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장치(12)와 기지국(14) 사이의 통신 링크용 반송파는 동작 프로파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선택된다(단계 S102). 반송파는 SCDMA 확산 대역 통신 링크 및 ACDMA 확산 대역 통신 링크에 전용된 다중-반송파 환경의 반송파 중에서 기지국(14)에 의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12)도 상기 반송파를 선택할 수 있음이 고려되었다. 반송파 선택 프로세스는 상세히 후술한다.
통신 링크는 상기 선택된 반송파를 사용하여 수립되며(단계 S104), 장치(12)와 기지국(14)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상기 선택된 반송파를 사용하여 개시된다(단계 S106). ACDMA 통신 링크로서 수립된 통신 링크는 ACDMA 통신을 위해 시스템이제공하는 설비를 사용하여 진행된다. 예컨대, ACDMA 통신 링크를 지원하는 반송파 상에서 이동 장치를 지원하는 시스템은 이동 장치(12)[예컨대, 차량 장착 무선 전화(12c)]와 다수의 기지국(14) 사이에서 "소프트 핸드오버" 기법을 채용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은 통신 세션(즉, 호, 데이터 전송 등)이 지속되는 동안 상기 통신 세션이 종료되거나 장치(12)의 동작 프로파일 변경이 검출될 때까지 계속된다(단계 S108).
장치(12)의 동작 프로파일 변경은 단계(S100)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정되는 초기 동작 파일과 유사한 방법으로 검출된다. 특히, 기지국(14)은 장치(12)의 이동도를 결정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장치(12)가 자기 자신의 이동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랩톱(12d)과 같은 노매딕 장치는 고정 상태를 반영하는 자신의 초기 동작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립했을 수 있다. 랩톱(12d)은 이동을 시작하여, 이로 인해 고정에서 이동으로 자신의 동작 상태 변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컨대, 랩톱(12D)이 초기에 이동하지 않다가 이어서 이동을 시작하는 기차 또는 차량에서 동작되는 경우에 그러하다. 동작 프로파일의 변경을 검출하면(단계 S108), 어쩌면 신규인 반송파가 상기 변경에 기초하여 선택된다(단계 S110). 상기 신규 반송파는 상기 다중-반송파 광대역 통신 환경 내의 반송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치의 동작 프로파일 변경은 신규 반송파의 선택으로 반드시 귀결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신규 반송파에 의해 지원되는 역방향 SCDMA 링크에 사용 가능한 확산 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그렇다. 기지국(14)이 신규 반송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장치(12)가 신규 반송파를 선택하고 신규 반송파 정보를 기지국(14)에 제공할 수 있음이 고려되었다.
단계(S104)와 관련하여, 통신 링크는 신규 반송파를 사용하여 수립된다(단계 S112). 통신 세션을 종료하지 않으면서 무선 반송파 주파수 사이를 전환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단계(S108-S112)에서 동작 프로파일 변경의 모니터링과 이에 이은 신규 반송파 선택은 통신 세션이 완료될 때(단계 S114)까지 계속된다.
단계(S102) 및 단계(S110)의 신규 반송파 선택 프로세스는 도 6의 흐름도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장치가 고정인지 또는 미리 지정된 정도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하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동작 프로파일을 평가된다. 만약 장치가 고정이고(단계 S116), SCDMA를 지원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반송파에서 확산 코드(예컨대, 직교 Walsh 확산 코드)를 사용할 수 있으면(단계 S118), SCDMA 채널을 구비한 반송파가 선택된다(단계 S120). 이는 무선 타워 컴퓨터(12b)와 같은 고정 무선 장치의 경우에 그렇다. 사용 가능한 확산 코드가 없으면, ACDMA 채널을 구비한 반송파가 사용된다(단계 S122).
이와 유사하게, 일반적으로는 고정이 아니지만(단계 S116) 현재 이동이 아닌(단계 S124) 장치에 대하여 확산 코드가 사용 가능하면(단계 S118) SCDMA 채널을 구비한 반송파가 선택된다. ACDMA 채널을 구비한 반송파는 확산 코드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선택된다.
현재 이동인 것으로 카테고리 분류되는 장치(단계 S124), 즉 고정이 아니거나 미리 지정된 양보다 많은 이동도를 갖는 장치[예컨대, 무선 전화(12a) 및 차량 장착 무선 장치(12c)]는 ACDMA 채널을 구비한 반송파를 사용한다(단계 S122).
동작 프로파일은 장치가 고정인지 또는 이동인지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동작 프로파일은 장치의 이동성 이력을 저장함으로써 장치가 노매딕 장치임을 표시할 수 있음을 고려하였다. 상기 이동성 이력은 장치의 초기 동작 특성을 고정 또는 이동으로 예측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 중에 통상적으로 고정이지만 이동 사용에 적합한 장치는 통상적으로 노매딕 장치인 것으로 생각된다.
SCDMA 코드를 사용하는 장치(12)는 자신의 1차 기지국(primary base station)(14) 이외의 기지국과 소프트 핸드 오프를 유지할 수 있지만, 이들 다른 기지국(14)은 상기 SCDMA 코드를 각 기지국에 특정된 "커버(cover)" 스크램블링 코드와 직교 코드의 조합에 의해 생성된 통상의 의사-잡음 코드로서 수신한다.
예컨대, 주 링크로서 기지국(14)(기지국 A라 칭함)과 관련된 장치(12)는 SCDMA 직교 가변 확산 인자(OVSF; orthogonal variable spreading factor) 트리 또는 직교 코드 세트로부터의 코드 C1과, 기지국 A와 관련된 스크램블링 코드 S1을 가지고 있다. 장치(12)가 고유의 스크램블링 코드 S2를 갖는 또 다른 기지국(14)(기지국 B라 칭함)과의 소프트 핸드오프에 진입하면, 장치(12)로부터 기지국 A로의 전송은 SCDMA 모드를 사용하지만, 기지국 B에서 수신되는 동일한 전송은 단지 별도의 의사-잡음 코드로서 경험된다. 따라서, SCDMA 모드인 장치(12)는 다른 기지국과 소프트 핸드오프를 유지할 수 있지만, 이들 기지국이 동일한 스크램블링 코드를 구비하는 경우(이러한 구성은 섹터화된 셀 사이트에 적용될 수 있음)가 아니면 이들 기지국과 SCDMA 모드로 동작할 수 없다. 따라서, 소프트 핸드오프하는 SCDMA 모드 장치는 1차 기지국이 기지국 B인 SCDMA 장치에 대해서 간섭으로 나타날 것이며, 이는 이들이 동일한 반송파 주파수에서 동작하고 있기 때문이다.
소프트 핸드오프하는 장치(12)는 먼저 ACDMA 반송파로 이동(migration)할 수 있으며, 이는 이들 장치의 코드가 비(非) 1차 기지국에 의해 의사-잡음 코드로 보일 것이며 따라서 이들 기지국에서 셀 내의(in-cell) (비 소프트 핸드오프) SCDMA 코드 사용자에게 간섭원(source of interference)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선택된 링크 유형이 장치의 동작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그 장치에 대한 최적의 링크가 되도록 통신 링크, 특히 역방향 링크가 수립되고 유지되는 다중-반송파 환경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통신 링크의 유형은 링크 유형의 변경이 필요하도록 동작 프로파일이 변경되는 경우(예컨대, SCDMA 링크를 사용하는 노매딕 장치가 이동을 시작하여 ACDMA 동작이 바람직하게 되는 경우)에 변경된다. 또 다른 예로서, 링크는 SCDMA 코드를 사용하는 장치가 소프트 핸드오프 진입을 필요로 할 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프트 핸드오프에서 2차 기지국(secondary base station)(14)의 수신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장치(12)의 동기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장치(12)가 2차 기지국(14) 중 하나로 핸드오프되는 경우에[이의 파일롯(pilot)이 가장 강하게 사용 가능케 되는 것에 기인함], 동기 정보는 장치(12)가 SCDMA 코드의 사용으로부터 즉각적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즉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저 이동성 및 고 이동성 장치를 지원하면서 사용중 이동성이 변경되는 장치를 수용하는 다중-반송파 환경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소수의 부반송파(subcarrier) 사이에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분할하는 것은 반송파별로 이용되는 칩 속도를 감소시킨다. 보다 낮은 칩 속도는 SCDMA 동작에 필요한 시간 정렬을 수립하고 유지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해준다. SCDMA 반송파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장치, 즉 저 이동성 장치는 고 이동성 장치와 같이 시간 정렬을 유지할 수 없는 장치들의 유해한 영향으로부터 격리된다. SCDMA 동작을 위한 엄격한 시간 정렬 요건과 소프트 핸드오프에서 모든 2차 기지국 내부의 동기 결여는 SCDMA 동작의 이점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상기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중-반송파 광대역 시스템으로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개별 반송파는 시스템 환경에 적합한 최적의 반송파 유형 분포를 제공하도록 구성 및 재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세 개의 1.25 ㎒ 반송파를 지원하는 5 ㎒ 다중-반송파 시스템은 SCDMA 반송파 대 ACDMA 반송파의 비율이 시스템 및 시스템의 사용자들에게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오피스 파크(office park)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시스템이 이동 장치보다 많은 고정 장치를 지원하는 경우에, 시스템 제공자는 두 개의 반송파를 SCDMA 동작에 할당하고, 하나의 반송파를 ACDMA 동작에 할당할 수 있다. 고정 대 이동 장치의 분포가 변경되면, 시스템 제공자는 필요에 따라 보다 많은 ACDMA 반송파와 보다 적은 SCDMA 반송파를 지원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지원하도록 시스템을 재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연성으로 인해 시스템 제공자는 제공자의 필요 및 시스템에 놓인 요구에 기초하여 전 시스템 규모로 또는 셀/섹터별 규모로 반송파 할당 비율을 최적화할 수 있다.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에서 SCDMA 코드와 종래의 의사-잡음 ACDMA 코드의 상호 보안적 이용을 다룬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SCDMA 코드는 칩 타이밍 정렬에 있어 미소한 편차만을 허용하며 따라서 상당히 정확한 칩 동기를 요구하는 직교 코드라는 점에서, ACDMA 코드와 상이하다. 셀/섹터 구역에 걸쳐 분포하는 장치에 대한 역방향 링크에 적용할 경우에, SCDMA 코드는 셀 내(intra-cell)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결과적으로 용량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동기를 지정된 허용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 SCDMA 코드의 성능은 ACDMA 코드의 성능까지 점진적으로(gracefully) 저하된다. 덧붙여, 동기 유지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ACDMA 코드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이는 ACDMA 코드가 SCDMA 코드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수량에 제한이 없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본 발명은 역방향 링크에서 이용하기 위한 두가지 액세스 모드를 제공하며, 상기 역방향 링크에서 장치의 동작 프로파일에 최적인 모드가 선택되고 이로써 ACDMA 및 SCDMA 액세스 모드 양자로부터 생기는 이점을 최대화한다. 그 결과로서 셀 및 시스템 용량이 증가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이 앞서 본 명세서에서 특정적으로 개시되고 설명된 것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위에서 상반된 언급이 없다면, 모든 첨부 도면은 일정한 스케일(scale)로 이루어진 것이 아님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주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전술한 교시에 비추어 각종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은 이후의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44)

  1. 장치와 기지국 사이의 무선 통신을 위해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반송파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유닛 이동도를 포함하는 상기 장치의 동작 프로파일(operational profile)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상기 장치의 동작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의 무선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용 제1 반송파를 선택하며,
    상기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와 상기 기지국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를 수립하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동작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변경을 검출하고,
    상기 장치의 동작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의 무선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용 제2 반송파를 선택하며,
    상기 제2 반송파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의 무선 통신 링크를 수립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 및 제2 반송파 중 하나는 비동기식 코드분할 다중 접속 통신 링크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반송파 및 제2 반송파 중 나머지 하나는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것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송파의 선택은 이용 가능한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확산 코드의 양에 추가로 기초하는 것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제2 반송파는 상기 이용 가능한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확산 코드의 양이 미리 지정된 양보다 적은 경우에 상기 비동기식 코드 부할 다중 접속 링크에 대응하는 것인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도는 이동(mobile) 및 고정(stationary) 중 하나에 대응하며,
    상기 제2 반송파는 상기 이동도가 이동에 대응하는 경우에 비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링크를 제공하며, 상기 이동도가 고정에 대응하는 경우에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도는 이동 및 고정 중 하나에 대응하며,
    상기 제1 반송파는 상기 이동도가 이동에 대응하는 경우에 비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링크를 제공하며, 상기 이동도가 고정에 대응하는 경우에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것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도는 상기 장치의 속도가 미리 지정된 양보다 작은 경우에 고정인 것인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도는 상기 장치의 속도가 미리 지정된 양보다 작은 경우에 고정인 것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무선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반송파가 존재하는 것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이동도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는 비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링크 및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링크 중 하나를 제공하며,
    상기 제2 반송파는 상기 비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링크 및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링크 중 다른 하나를 제공하는 것인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도는 이동 및 고정 중 하나에 대응하는 것인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이동도 이력은 상기 장치 및 상기 기지국 중 하나에 의해 저장되는 것인 방법.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이동도 이력은 상기 장치 및 상기 기지국 중 하나에 의해 저장되는 것인 방법.
  16.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을 위해 하나 이상의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반송파를 이용하는 장치로서,
    제1 지정 반송파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제1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와 동작 교신(operative communication)을 하는 중앙 처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 유닛은
    유닛 이동도를 포함하는 동작 프로파일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동작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지정 반송파를 선택하며,
    상기 제1 지정 반송파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무선 통신 링크를 수립하는 것인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정 반송파는 비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링크 및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링크 중 하나에 대응하는 것인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정 반송파의 선택은 이용 가능한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확산 코드의 양에 추가로 기초하는 것인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정 반송파는 상기 이용 가능한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확산 코드의 양이 미리 지정된 양보다 적은 경우에 상기 비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링크에 대응하는 것인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유닛은 상기 비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링크 및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링크 중 나머지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지정 반송파를 제공하는 별도의 인접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상기 송신기를 추가로 이용하는 것인 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유닛은
    상기 동작 프로파일의 변경을 검출하고,
    상기 동작 프로파일의 변경에 기초하여, 무선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을 위한 수정된 제1 지정 반송파를 선택하며,
    상기 수정된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무선 통신 링크를 수립하는 것인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제1 지정 반송파는 비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링크 및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링크 중 하나에 대응하는 것인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제1 지정 반송파의 선택은 이용 가능한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확산 코드의 양에 추가로 기초하는 것인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수정 제1 지정 반송파는 상기 이용 가능한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확산 코드의 양이 미리 지정된 양보다 적은 경우에 상기 비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링크에 대응하는 것인 장치.
  25. 제16항에 있어서,
    제2 지정 반송파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기는 상기 중앙 처리 유닛과 동작 교신을 하는 것인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제2 신호는 이동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처리 유닛은 상기 장치의 이동도를 추가로 결정하는 것인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제2 신호는 상기 장치의 속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처리 유닛은 상기 장치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의 이동도를 추가로 결정하는 것인 장치.
  28. 장치와 기지국 사이의 무선 통신 매체에서 구현되는 통신 신호로서,
    복수의 반송파를 포함하며,
    상기 각 복수의 반송파는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링크 및 비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링크 중 하나를 제공하며,
    상기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각 반송파는 고정 무선 장치에 의해 이용되며, 상기 비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각 반송파는 이동 무선 장치에 의해 이용되는 것인 통신 신호.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송파는 다중-반송파(multi-carrier) 광대역 신호로서 구성되는 것인 통신 신호.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반송파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은 5 ㎒ 이상인 것인 통신 신호.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는 상기 장치의 이동도를 더 포함하는 것인통신 신호.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도는 고정 또는 이동 중 하나에 대응하는 것인 통신 신호.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도는 상기 장치의 속도가 미리 지정된 양보다 작은 경우에 고정인 것인 통신 신호.
  34. 장치로부터 무선 통신을 수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반송파를 이용하는 기지국으로서,
    송신기와 동작 통신을 하는 중앙 처리 유닛과;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처리 유닛은
    유닛 이동도를 포함하는 상기 장치의 동작 프로파일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동작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제1 지정 반송파를 선택하며,
    상기 제1 지정 반송파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와 무선 통신 링크를 수립하며,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 지정 반송파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것인 기지국.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정 반송파는 비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링크 및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링크 중 하나에 대응하는 것인 기지국.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정 반송파의 선택은 이용 가능한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확산 코드의 양에 추가로 기초하는 것인 기지국.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정 반송파는 상기 이용 가능한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확산 코드의 양이 미리 지정된 양보다 적은 경우에 상기 비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링크에 대응하는 것인 기지국.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유닛은 추가로,
    상기 장치의 동작 프로파일의 변경을 검출하고,
    상기 동작 프로파일의 변경에 기초하여, 무선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을 위한 수정된 제1 지정 반송파를 선택하며,
    상기 수정된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와 무선 통신 링크를 수립하는 것인 기지국.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제1 지정 반송파는 비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링크 및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링크 중 하나에 대응하는 것인 기지국.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제1 지정 반송파의 선택은 이용 가능한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확산 코드의 양에 추가로 기초하는 것인 기지국.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수정 제1 지정 반송파는 상기 이용 가능한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확산 코드의 양이 미리 지정된 양보다 적은 경우에 상기 비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링크에 대응하는 것인 기지국.
  42.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제2 지정 반송파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것인 기지국.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제2 신호는 이동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처리 유닛은 상기 수신된 제2 신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의 이동도를 추가로 결정하는 것인 기지국.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제2 신호는 상기 장치의 속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처리 유닛은 상기 장치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의 이동도를 추가로 결정하는 것인 기지국.
KR1020037011475A 2001-03-01 2002-01-10 무선 통신 환경에서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을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1008873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797,273 2001-03-01
US09/797,273 US6930470B2 (en) 2001-03-01 2001-03-01 System and method fo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PCT/CA2002/000037 WO2002071633A2 (en) 2001-03-01 2002-01-10 System and method fo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137A true KR20030085137A (ko) 2003-11-03
KR100887311B1 KR100887311B1 (ko) 2009-03-06

Family

ID=251703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1475A KR100887311B1 (ko) 2001-03-01 2002-01-10 무선 통신 환경에서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을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10-2003-7011469A KR20030084957A (ko) 2001-03-01 2002-02-28 무선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1469A KR20030084957A (ko) 2001-03-01 2002-02-28 무선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930470B2 (ko)
EP (1) EP1405420A2 (ko)
KR (2) KR100887311B1 (ko)
CN (1) CN1284405C (ko)
AU (2) AU2002224712A1 (ko)
WO (1) WO2002071633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951B1 (ko) * 2004-11-16 2009-08-0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시스템들에서 반송파 커스토마이제이션을 위한 방법및 장치
KR100964830B1 (ko) * 2005-04-28 2010-06-28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데이터 전송 시스템들에서의 다중-캐리어 동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2494B1 (en) * 1999-05-14 2002-04-16 Advanced Tissue Sciences, Inc. Methods of making conditioned cell culture medium compositions
US8537656B2 (en) 2000-07-19 2013-09-17 Ipr Licensing, Inc. Method for compensating for multi-path of a CDMA reverse link utilizing an orthogonal channel structure
US7911993B2 (en) 2000-07-19 2011-03-22 Ipr Licens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soft handoff of a CDMA reverse link utilizing an orthogonal channel structure
US7295509B2 (en) 2000-09-13 2007-11-13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method in an OFDM multiple access system
US9130810B2 (en) 2000-09-13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OFDM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US6985746B2 (en) * 2001-04-30 2006-01-10 Ipr Licensing,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mobility-based content delivery
US8160020B2 (en) 2001-06-25 2012-04-17 Airvana Network Solutions, Inc. Radio network control
US6917581B2 (en) 2001-07-17 2005-07-12 Ipr Licensing, Inc. Use of orthogonal or near orthogonal codes in reverse link
US7443793B2 (en) 2002-02-28 2008-10-28 Agere Systems Inc. Processor with dynamic table-based scheduling using linked transmission elements for handling transmission request collisions
US7245624B2 (en) 2002-02-28 2007-07-17 Agere Systems Inc. Processor with table-based scheduling using software-controlled interval computation
US7224681B2 (en) * 2002-02-28 2007-05-29 Agere Systems Inc. Processor with dynamic table-based scheduling using multi-entry table locations for handling transmission request collisions
US7215675B2 (en) * 2002-02-28 2007-05-08 Agere Systems Inc. Processor with software-controlled programmable service levels
KR100474683B1 (ko) * 2002-08-23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기 획득 장치 및 방법
US20040071115A1 (en) * 2002-10-11 2004-04-15 Mark Earnshaw Intelligent uplink SCDMA scheduling incorporating polarization and/or spatial information to determine SCDMA code set assignment
TWI357730B (en) * 2002-11-20 2012-02-01 Ipr Licensing Inc Soft handoff of a cdma reverse link
KR100735277B1 (ko) * 2003-07-30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레인징 방법
US20070274214A1 (en) * 2003-11-18 2007-11-29 Oleg Logvinov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communications on a communications network
EP2632076A3 (en) * 2004-04-15 2013-11-20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rrier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US7853292B2 (en) * 2004-05-06 2010-12-14 Alcatel-Lucent Usa Inc. Distributed resource management for enhanced dedicated channel
US9148256B2 (en) 2004-07-21 2015-09-29 Qualcomm Incorporated Performance based rank prediction for MIMO design
US9137822B2 (en) 2004-07-21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signaling over access channel
US7733831B2 (en) * 2004-08-23 2010-06-08 Alcatel-Lucent Usa Inc. Detecting a wireless network air interface
KR100898235B1 (ko) * 2004-12-30 2009-05-18 메시네트웍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망에서 노드의 이동성을 판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060209734A1 (en) * 2005-03-09 2006-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and indicating ranging region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9246560B2 (en) 2005-03-10 2016-01-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ing and rate control in a multi-input multi-output communication systems
US9154211B2 (en) 2005-03-11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ing feedback in multi antenna communication systems
US8446892B2 (en) * 2005-03-16 2013-05-21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ructures for a quasi-orthogonal multiple-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9143305B2 (en) 2005-03-17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61859B2 (en) 2005-03-17 2016-10-04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20972B2 (en) 2005-03-17 2016-12-13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84870B2 (en) 2005-04-01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channel signaling
US9036538B2 (en) 2005-04-19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hopping design for single carrier FDMA systems
US9408220B2 (en) 2005-04-19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quality reporting for adaptive sectorization
US8565194B2 (en) 2005-10-27 2013-10-22 Qualcomm Incorporated Puncturing signaling channe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79511B2 (en) 2005-10-27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Assignment acknowledgement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11284B2 (en) 2005-05-31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Use of supplemental assignments to decrement resources
US8462859B2 (en) 2005-06-01 2013-06-11 Qualcomm Incorporated Sphere decoding apparatus
US9179319B2 (en) 2005-06-16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sectorization in cellular systems
US8599945B2 (en) 2005-06-16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Robust rank prediction for a MIMO system
US8885628B2 (en) 2005-08-08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Code division multiplexing in a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US20070041457A1 (en) 2005-08-22 2007-02-22 Tamer Kadou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tenna divers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09956B2 (en) 2005-08-22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Segment sensitive scheduling
US8644292B2 (en) 2005-08-24 2014-02-04 Qualcomm Incorporated Varied transmission time interval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36974B2 (en) 2005-08-30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Precoding and SDMA support
US9088384B2 (en) 2005-10-27 2015-07-21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ymbol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172453B2 (en) 2005-10-27 2015-10-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oding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system
US8477684B2 (en) 2005-10-27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Acknowledgement of control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44060B2 (en) 2005-10-27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for shared signaling channels
US9225416B2 (en) 2005-10-27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Varied signaling channels for a reverse 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10651B2 (en) 2005-10-27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ootstraping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582509B2 (en) 2005-10-27 2013-11-12 Qualcomm Incorporated Scalable frequency ban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225488B2 (en) 2005-10-27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Shared signaling channel
US8693405B2 (en) 2005-10-27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SDMA resource management
US8045512B2 (en) 2005-10-27 2011-10-25 Qualcomm Incorporated Scalable frequency ban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582548B2 (en) 2005-11-18 2013-11-12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hem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8498238B2 (en) * 2006-04-13 2013-07-30 Globalstar, Inc.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a combination of time division multiplexing and non-orthogonal pseudorandom noise codes and time slots
KR101088920B1 (ko) * 2006-07-28 2011-12-01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기지국
ES2527269T3 (es) 2007-08-14 2015-01-2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Dispositivo de comunicación por radio y método de comunicación por radio
US8031693B2 (en) 2007-11-20 2011-10-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timing synchronization
US8843638B2 (en) 2007-12-13 2014-09-23 Ericsson Evdo Inc. Handing off active connections
US9125090B2 (en) * 2009-02-27 2015-09-01 At&T Mobility Ii Llc Staggered channelization code allocation for multi-carrier networks
US8886156B2 (en) * 2009-08-05 2014-11-11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mobility information to select profiles in network systems
WO2011059373A1 (en) * 2009-11-11 2011-05-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switching anchor carrier
JP5230824B2 (ja) * 2010-01-06 2013-07-10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11138716A1 (en) * 2010-05-03 2011-11-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station
US9414336B2 (en) 2010-05-12 2016-08-09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efining a burst period
EP2600550B1 (en) 2010-11-05 2014-09-03 Alcatel Lucent Network nodes and methods
GB201114079D0 (en) 2011-06-13 2011-09-28 Neul Ltd Mobile base station
US10064221B2 (en) * 2012-03-14 2018-08-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termining a transition of a terminal between its idle state and its connected state
JP6179985B2 (ja) * 2013-12-27 2017-08-16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共同受信装置及びユーザ端末
CN106254026B (zh) * 2016-04-27 2018-09-04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扩频方法、扩频控制方法、及其装置
US11363441B2 (en) * 2019-09-24 2022-06-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ng mobility as a service in fifth generation (5G) or other advanced networks
US11038763B1 (en) 2019-12-02 2021-06-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ntelligent policy control engine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JP7451249B2 (ja) 2020-03-19 2024-03-1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6645A (en) 1992-04-09 1995-03-07 Comcast Pcs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o assign a macrocell or microcell communication frequenc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5390234A (en) * 1992-04-20 1995-02-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tracking of mobile stations in wireless networks
US5991308A (en) * 1995-08-25 1999-11-23 Terayon Communication Systems, Inc. Lower overhea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using ATM and SCDMA over hybrid fiber coax cable plant
JPH0998465A (ja) * 1995-09-29 1997-04-08 Nec Corp 携帯無線電話制御法及び携帯無線電話機
US5787348A (en) 1995-12-06 1998-07-28 Motorola, Inc. Method of measuring speed of a mobile unit and a receiver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806363B2 (ja) * 1996-05-13 1998-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呼び出し方式
US5711005A (en) * 1996-08-06 1998-01-20 Hughes Electronics Method for implementing a personal access communication system in a high mobility environment
US5757846A (en) * 1996-08-30 1998-05-26 Vasudevan; Subramanian CDM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with dual-mode receiver
JPH1079701A (ja) * 1996-09-03 1998-03-24 Fujitsu Ltd 移動通信端末及びその送信電力制御方式
FR2766318B1 (fr) * 1997-07-17 2001-11-30 Alsthom Cge Alkatel Systeme de radiotelecommunications avec un terminal mobile fonctionnant en mode cellulaire et en mode sans fil
DE19741701C2 (de) 1997-09-22 1999-12-30 Siemens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Umbuchen einer Mobilstation bei einem Mobilfunksystem
JPH1198574A (ja) * 1997-09-24 1999-04-09 Toyota Motor Corp 移動体用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無線通信移動局
JP3109504B2 (ja) 1998-03-27 2000-11-20 日本電気株式会社 セルラシステムおよびセルラシステムの隣接周波数干渉回避方法と移動局
US6351642B1 (en) 1998-12-22 2002-02-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DMA soft hand-off
MXPA01008595A (es) * 1999-02-26 2002-03-14 Qualcomm Inc Metodo y sistema para conexion entre una estacion base cdma de asincronia y una estacion base cdma de sincronia.
US6907243B1 (en) * 1999-06-09 2005-06-14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soft handoff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network
EP1059818B1 (en) 1999-06-11 2007-02-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mproved random access preamble coding for initiation of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s sessions
US6631124B1 (en) 1999-11-03 2003-10-07 Ericsson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in hybrid TDMA communication system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951B1 (ko) * 2004-11-16 2009-08-0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시스템들에서 반송파 커스토마이제이션을 위한 방법및 장치
US7636333B2 (en) 2004-11-16 2009-12-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ier customiza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KR100964830B1 (ko) * 2005-04-28 2010-06-28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데이터 전송 시스템들에서의 다중-캐리어 동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84405C (zh) 2006-11-08
AU2002232077A1 (en) 2002-09-19
KR20030084957A (ko) 2003-11-01
KR100887311B1 (ko) 2009-03-06
US20020122403A1 (en) 2002-09-05
AU2002224712A1 (en) 2002-09-19
US7061898B2 (en) 2006-06-13
CN1535550A (zh) 2004-10-06
US6930470B2 (en) 2005-08-16
US20020122402A1 (en) 2002-09-05
WO2002071633A2 (en) 2002-09-12
WO2002071633A3 (en) 2003-08-07
EP1405420A2 (en) 200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7311B1 (ko) 무선 통신 환경에서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을 위한시스템 및 방법
US85377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hybrid multiple access in an OFDM-based wireless network
US7386306B2 (en) Multi-carrier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US7515568B2 (en) Neighborhood wireless protocol with switchable ad hoc and wide area network coverage
KR100441330B1 (ko) 기지국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제어 방법
US20030219063A1 (en) Spread spectrum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20035114A (ko) 주파수 분할 이중과 시 분할 이중 통신 시스템들 사이의소프트 핸드오프를 수행하기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4511980A (ja) マルチセル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サービスプライオリティ
WO200510991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hased deployment of communications systems
KR100394405B1 (ko) Tdma-tdd 방식 송수신 장치와 송수신 방법, 통신 단말 장치 및 기지국 장치
EP1327373A2 (en) Network driven cell switching and handoff with load balancing for wireless systems
EP1374423A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JPH11313357A (ja) ハンドオーバー方法及び送受信装置
JP2001285913A (ja) 移動局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02032157A2 (en) Mobile station driven cell switching and handoff with load balancing for wireless systems
KR100396152B1 (ko) 이동기지국을가진이동무선통신시스템
US6908357B2 (en) System for frame selector migration in 3G cellular networks
RU2335865C2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радиостанции и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й станции системы радиосвязи, радиостанция и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ая станция
KR20050040794A (ko) 통신 장치
KR0131162B1 (ko) 패킷 신호 선택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한 이동 교환국
KR20020042961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결정 방법
JPH1051852A (ja)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拡散コード使用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
EP262955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hased deployment of communications systems
KR20040099153A (ko) 기지국 장치,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지국 장치의제어 프로그램
JP2005521301A (ja) 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ベースの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情報伝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