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2961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결정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2961A
KR20020042961A KR1020000072330A KR20000072330A KR20020042961A KR 20020042961 A KR20020042961 A KR 20020042961A KR 1020000072330 A KR1020000072330 A KR 1020000072330A KR 20000072330 A KR20000072330 A KR 20000072330A KR 20020042961 A KR20020042961 A KR 20020042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ts
mobil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mode
wireless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8165B1 (ko
Inventor
박진효
최경섭
이상연
박형록
Original Assignee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정남
Priority to KR1020000072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8165B1/ko
Publication of KR20020042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1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6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 결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망에 초기 등록하거나 혹은 핸드오프 완료후 망에 등록할 때, 이동국의 불필요한 USTS 모드로의 변환을 억제하여 서비스 장애 및 통화 품질 저하의 발생 확률을 줄이기 위한 USTS 변환 결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USTS, 이하 "USTS"라 함) 모드(Mode)로의 변환 결정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이 무선망에 새로 등록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국에서 새로 등록할 상기 무선망이 상기 USTS를 지원하는 망인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망이 상기 USTS를 지원하면, 상기 이동국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확산인자(SF)가 채널 할당 알고리즘에 적합하고 요구되는 서비스품질(QoS)이 상기 USTS에 적합하며 이동속도가 상기 USTS를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USTS 모드로 변경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IMT-2000 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 결정 방법{Method for dicision of changing to USTS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USTS : Uplink Syncronous Transmission Scheme, 이하 "USTS"라 함) 모드(Mode)로의 변환 결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단말기(UE : User Equipment))이 망에 초기 등록하거나 혹은 핸드오프 완료후 망에 등록할 때 USTS 모드로의 변환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이동통신 망에서 이동국과 기지국간에 생성되는 통화로는 순방향 채널(Forward Channel)과 역방향 채널(Reverse Channel)이 있다. 한 기지국내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이동국과 기지국간의 복수개 순방향 채널은 시간(Timing) 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동기화가 되어 있어 각 채널간 직교성(Orthogonality)을 갖는 직교 부호를 이용하여 복조(Decoding)시 채널간 간섭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의 역방향 채널은 시간(Timing) 정보를 사용하지 않아 동기화를 이룰 수 없으므로 직교성(Orthogonality)을 이용할 수 없어 이동국의 채널이 증가함에 따라 역방향의 간섭이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결국에는 역방향의 용량이 제한되게 된다.
그러므로, 역방향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역방향에서도 모든 이동국이 채널간 동일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화를 시켜서 각 채널간직교성(Orthogonality)을 이용한 직교부호로 채널을 구분하여 각 채널간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 방식을 "USTS(Uplink Synchronous Transmission Scheme)"라 한다.
이러한 USTS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용 가능한 환경이 제한적이므로 이동국에서 선택적으로 USTS 모드로 변경하여야 한다.
USTS는 기지국이 자신이 관리하는 셀내의 이동국들에 대해 역방향 데이터의 전송시간을 제어함으로써 기지국이 원하는 기준시간에 직교코드를 사용하는 이동국의 역방향 신호가 동시에 도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직교부호의 특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 셀에서의 전송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USTS를 이동국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동국이 초기에 망에 등록하거나 핸드오프를 하여 새로운 망에 등록을 할 때, USTS를 사용할지 아니면 사용하지 않을지를 결정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동국이 불필요하게 USTS 모드로 변환을 하여, 서비스 장애 및 통화 품질 저하를 야기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망에 초기 등록하거나 혹은 핸드오프 완료후 망에 등록할 때, 이동국의 불필요한 USTS 모드로의 변환을 억제하여 서비스 장애 및 통화 품질 저하의 발생 확률을 줄이기 위한 USTS 변환 결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USTS) 변환 결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국이 망에 초기 등록시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USTS) 변환 결정 방법이 수행되어야 하는 시점을 나타낸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국이 핸드오프 수행후 망에 등록시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USTS) 변환 결정 방법이 수행되어야 하는 시점을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국(단말기(UE)) 20 : 기지국(Node B)
30 : 제어국(RNC) 40 : 코어망(Core Networ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USTS, 이하 "USTS"라 함) 모드(Mode)로의 변환 결정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이 무선망에 새로 등록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국에서 새로 등록할 상기 무선망이 상기 USTS를 지원하는 망인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망이 상기 USTS를 지원하면, 상기 이동국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확산인자(SF)가 채널 할당 알고리즘에 적합하고 요구되는 서비스품질(QoS)이 상기 USTS에 적합하며 이동속도가 상기 USTS를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USTS 모드로 변경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비동기 무선망이 상기 USTS를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국이 non-USTS 모드로 계속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동국이 확산인자(SF) 256보다 상위의 확산인자(SF)를 요구하면, 상기 이동국이 non-UTST 모드로 계속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동국이 요구하는 서비스품질(QoS)이 상기 USTS에 적합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국이 non-USTS 모드로 계속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동국의 이동속도(Mobility)가 고속(바람직하게는 보행속도, 시속 4Km 이상)이면, 상기 이동국이 non-USTS 모드로 계속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USTS, 이하 "USTS"라 함) 모드(Mode)로의 변환 결정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이 핸드오프를 수행한 후 무선망에 새로 등록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국에서 새로 등록할 상기 무선망이 상기 USTS를 지원하는 망인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망이 상기 USTS를 지원하면, 상기 이동국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확산인자(SF)가 채널 할당 알고리즘에 적합하고 요구되는 서비스품질(QoS)이 상기 USTS에 적합하며 이동속도가 상기 USTS를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USTS 모드로 변경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비동기 무선망이 상기 USTS를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국이 non-USTS 모드로 계속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동국이 확산인자(SF) 256보다 상위의 확산인자(SF)를 요구하면, 상기 이동국이 non-UTST 모드로 계속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동국이 요구하는 서비스품질(QoS)이 상기 USTS에 적합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국이 non-USTS 모드로 계속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동국의 이동속도(Mobility)가 고속(바람직하게는 보행속도, 시속 4Km 이상)이면, 상기 이동국이 non-USTS 모드로 계속 동작하는 제 3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USTS, 이하 "USTS"라 함) 모드(Mode)로의 변환 결정을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 시스템에, 이동국이 무선망에 새로 등록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국에서 새로 등록할 상기 무선망이 상기 USTS를 지원하는 망인지를 검사하는 제 1 기능; 및 상기 제 1 기능의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망이 상기 USTS를 지원하면, 상기 이동국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확산인자(SF)가 채널 할당 알고리즘에 적합하고 요구되는 서비스품질(QoS)이 상기 USTS에 적합하며 이동속도가 상기 USTS를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USTS 모드로 변경 결정하는 제 2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USTS, 이하 "USTS"라 함) 모드(Mode)로의 변환 결정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 시스템에, 이동국이 핸드오프를 수행한 후 무선망에 새로 등록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국에서 새로 등록할 상기 무선망이 상기 USTS를 지원하는 망인지를 검사하는 제 1 기능; 및 상기 제 1 기능의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망이 상기 USTS를 지원하면, 상기 이동국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확산인자(SF)가 채널 할당 알고리즘에 적합하고 요구되는 서비스품질(QoS)이 상기 USTS에 적합하며 이동속도가 상기 USTS를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USTS 모드로 변경 결정하는 제 2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등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망 기반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기지국간 비동기방식 IMT-2000에서 이동국이 망에 등록 및 핸드오버 완료후 망에 등록할 때, USTS 모드로의 변환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동국이 여러 가지 요소, 바람직하게는 확산 인자(SF : Spreading Facotr), 서비스품질(QoS : Quality of Service), 이동속도(Mobility)를 고려하여 자신이 USTS를 사용하여도 되는지를 결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국이 불필요하게 USTS 모드로 변환되는 것을 억제하여 서비스 장애 및 통화 품질 저하의 발생 확률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로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UTRAN) 환경을 일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면에서, "10"은 이동국(단말기(UE), "20"은 기지국(Node B), "30"은 제어국(RNC : Radio Network Controller), 그리고 "40"은 코어망(Core Network)을 각각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UTRAN)은 이동국(단말기(UE))(10), 비동기 무선망(기지국(Node B)(20) 및 제어국(RNC)(30)), 그리고 무선통신 코어망(예를 들면, GSM-MAP Core Network 등)(40)간에 유기적으로연결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USTS 모드로의 변환 결정 방법은 이동국(10)에 적용되는 기술로서, 이동국이 망에 초기 등록하거나 혹은 핸드오프 완료후 망에 등록할 때 이용되는 기술이다.
이동국(10)은 임의의 기지국(20)의 범위내에 있고, 이동국(10)의 정보는 기지국(20)과 이를 제어하는 제어국(30)을 거쳐 코어망(40)에 전송되며, 코어망(40)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는 제어국(30) 및 기지국(20)을 거쳐 이동국(10)으로 전송된다.
이동국(10)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이동하면서 통신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로서, 데이터 수신시는 순방향 채널(Forward Channel)을 이용하고, 발신시에는 역방향 채널(Reverse Channel)을 사용한다.
이동국(10)에서 송수신된 음성, 문자 및 영상 메시지는 고주파 신호처리 및 호처리를 위한 기지국(20)을 통해 제어국(30)으로 접속된다.
기지국(20)은 이동국(10)을 제어국(30)에 접속시키며, 이동국(10)과 무선을 통해 통신하고, 제어국(30)과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유무선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국(30)은 다수의 기지국(20)을 접속시켜 기지국(20)간의 연결을 조정하며, 기지국(20)과 코어망(40)간의 통신을 위한 신호처리 기능을 한다.
USTS는 한 기지국(20)내의 다수의 이동국(10)의 송신을 기지국(20)이 관리하는 기준 시간에 맞추서 역방향으로 신호를 전송할 때, 각 채널간직교성(Orthogonality)을 유지하여 각 이동국(10)간 상호간섭을 최소화하여 망 효율을 증대하는 것이다.
USTS는 역방향 채널에 대해서 순방향 채널에서와 같이 직교 부호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방안이다. 즉, 동일한 셀 내에서는 모든 이동국(10)이 동일한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며, 각 이동국(10)의 구별은 직교화된 채널코드를 사용한다. 이때, 사용되는 채널코드는 직교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을 갖는다.
이러한 제한 요소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금까지 고려되고 있는 채널 할당 알고리즘에 의하면 SF(Spreading Factor)가 256인 경우가 고려되고 있으므로, SF 256 이상을 요구하는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이동국(10)은 USTS를 사용할 수 없다. 그리고, 이동국(10)이 요구하는 QoS가 USTS가 지원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에도 이동국(10)은 USTS로의 변경을 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USTS 초저속 서비스이다. 즉, 이동국(10)이 특정 속도(바람직하게는 보행속도 대략 시속 4Km 정도)를 초과하는 이동을 수행중일 때도 USTS의 지원이 불가능하므로 이동국(10)은 USTS로의 모드 변경을 제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이동국(10)이 비동기 무선망에 등록후 망이 USTS를 지원하면 USTS로의 변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SF, QoS, 이동속도 등)을 고려하여 모드 변경을 결정하여야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USTS) 변환 결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10)에서의 USTS 모드로의 변환 결정 방법은, 먼저 이동국(10)이 비동기 무선망에 새로 등록하거나 핸드오프 수행후 새로 등록을 할 때(201), 이동국(10)에서는 새로 등록할 비동기 무선망이 USTS를 지원하는 망인지를 판단한다(202). 이는 제어국(30)이 새로 등록을 요청하는 이동국(10)에 대해서 측정제어 절차를 수행할 때 USTS를 지원할 수 있는지를 알려 주기 때문에 가능하다. 따라서, 이동국(10)은 이 메시지의 USTS 지시자(Indicator)를 통해서 비동기 무선망이 USTS를 지원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비동기 무선망이 USTS를 지원하지 않으면, 이동국(10)은 non-USTS 모드로 계속 작동한다(207).
판단결과, 비동기 무선망이 USTS를 지원하면, 이동국(10)은 자신에게 필요한 SF(Spreading Factor)를 검사한다(203). 이는 SF가 이동국(10)의 채널 할당 알고리즘에 적합한지를 검사하는 것이다. 만약, 정상 상태(Normal Case)로 SF 256를 사용하여 채널코드를 할당하는 것이 필요하면, 이동국(10)은 USTS 모드 변환 결정을 판단하기 위한 다음 절차로 넘어가고, 반면에 이동국(10)이 SF 256보다 상위의 SF를 요구하면(이 경우는 이동국(10)이 더 넓은 밴드의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로서, 데이터 서비스의 경우는 대용량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서 256보다 큰 SF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음) 이동국(10)은 USTS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non-UTST 모드로 계속 작동하여야 한다(207).
한편, 비동기 무선망이 USTS를 지원하고 이동국(10)이 요구하는 SF가 256인경우에, 이동국(10)은 필요한 QoS를 분석하여(204) USTS 모드로의 변경을 결정한다.
분석결과, 이동국(10)이 요구하는 QoS가 USTS에 적합하지 않으면, 이동국(10)은 non-USTS 모드로 계속 작동한다(207).
분석결과, 이동국(10)이 요구하는 QoS가 USTS에 적합하면, 이동국(10)은 자신의 이동속도(Mobility)를 측정하여 저속(Low Mobility) 상황인지를 판단한다(205). 왜냐하면, USTS는 기본적으로 고정된 상태 혹은 보행자 수준의 이동속도(Mobility)에 지원이 가능하기 때문에 만약 이동국(10)이 보행자 수준의 이동속도보다 빠른 이동을 수행중이면 USTS 모드로의 변경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 이동국(10)은 non-USTS 모드로 계속 작동하여야 한다(207).
정리해 보면, 이동국(10)이 비동기 무선망에 새로 등록하거나 핸드오프 수행 후 새로 등록을 할 때, 이동국(10)은 새로 등록할 비동기 무선망이 USTS를 지원하고 이동국(10)이 요구하는 SF가 256이며, 그리고 이동국(10)이 요구하는 QoS가 USTS에 적합하고 자신의 이동속도(Mobility)가 고정 혹은 저속(Low Mobility) 상태(바람직하게는 보행자 속도)이면, USTS 모드로 변경 결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USTS 모드로의 변경 결정 방법이 수행되어야 하는 시점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이동국(10)은 새로 비동기 무선망에 등록을 수행할 때 자신의 능력에 대한 정보를 비동기 무선망에 알려준다. 그러므로, 이동국(10)의 능력을 알려주는 절차보다 먼저 USTS 모드로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이 결정 사항에 따라, 이동국(10)의 능력이 달라지고, 이 능럭에 따라 비동기 무선망에서의 물리적 구성요소들의 기능이 달라진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국(10)이 핸드오프 수행후 비동기 무선망에 새로 등록(즉, 이동국이 셀을 이동하여 새로운 셀에 등록)하는 경우에도 USTS 모드로의 변경 결정 방법이 수행되어야 하는 시점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국이 불필요하게 USTS 모드로 변환되는 것을 억제하여 서비스 장애 및 통화 품질 저하의 발생 확률을 줄일 수 있고, 적절한 USTS로의 변경 결정에 따라 이동국의 USTS 수용시 수용 능력(사용자, 대역폭 등)을 증가(대략 10~20%)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USTS, 이하 "USTS"라 함) 모드(Mode)로의 변환 결정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이 무선망에 새로 등록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국에서 새로 등록할 상기 무선망이 상기 USTS를 지원하는 망인지를 검사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의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망이 상기 USTS를 지원하면, 상기 이동국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확산인자(SF)가 채널 할당 알고리즘에 적합하고 요구되는 서비스품질(QoS)이 상기 USTS에 적합하며 이동속도가 상기 USTS를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USTS 모드로 변경 결정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 결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망은,
    실질적으로, 비동기 무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 결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인자(SF)는,
    실질적으로, 25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 결정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비동기 무선망이 상기 USTS를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국이 non-USTS 모드로 계속 동작하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 결정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확산인자(SF) 256보다 상위의 확산인자(SF)를 요구하면, 상기 이동국이 non-UTST 모드로 계속 동작하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 결정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요구하는 서비스품질(QoS)이 상기 USTS에 적합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국이 non-USTS 모드로 계속 동작하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 결정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이동속도(Mobility)가 고속(바람직하게는 보행속도, 시속 4Km 이상)이면, 상기 이동국이 non-USTS 모드로 계속 동작하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 결정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새로 비동기 무선망에 등록을 수행할 때, 자신의 능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비동기 무선망으로 알려 주되, 자신의 능력을 알려주는 절차보다 먼저 상기 USTS 모드로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 결정 방법.
  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USTS, 이하 "USTS"라 함) 모드(Mode)로의 변환 결정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이 핸드오프를 수행한 후 무선망에 새로 등록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국에서 새로 등록할 상기 무선망이 상기 USTS를 지원하는 망인지를 검사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의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망이 상기 USTS를 지원하면, 상기 이동국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확산인자(SF)가 채널 할당 알고리즘에 적합하고 요구되는 서비스품질(QoS)이 상기 USTS에 적합하며 이동속도가 상기 USTS를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USTS 모드로 변경 결정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 결정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망은,
    실질적으로, 비동기 무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 결정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인자(SF)는,
    실질적으로, 25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 결정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비동기 무선망이 상기 USTS를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국이 non-USTS 모드로 계속 동작하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 결정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확산인자(SF) 256보다 상위의 확산인자(SF)를 요구하면, 상기 이동국이 non-UTST 모드로 계속 동작하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 결정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요구하는 서비스품질(QoS)이 상기 USTS에 적합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국이 non-USTS 모드로 계속 동작하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 결정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이동속도(Mobility)가 고속(바람직하게는 보행속도, 시속 4Km 이상)이면, 상기 이동국이 non-USTS 모드로 계속 동작하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 결정 방법.
  16. 제 9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새로 비동기 무선망에 등록을 수행할 때, 자신의 능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비동기 무선망으로 알려 주되, 자신의 능력을 알려주는 절차보다 먼저 상기 USTS 모드로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 결정 방법.
  17.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USTS, 이하 "USTS"라 함) 모드(Mode)로의 변환 결정을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 시스템에,
    이동국이 무선망에 새로 등록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국에서 새로 등록할 상기 무선망이 상기 USTS를 지원하는 망인지를 검사하는 제 1 기능; 및
    상기 제 1 기능의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망이 상기 USTS를 지원하면, 상기 이동국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확산인자(SF)가 채널 할당 알고리즘에 적합하고 요구되는 서비스품질(QoS)이 상기 USTS에 적합하며 이동속도가 상기 USTS를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USTS 모드로 변경 결정하는 제 2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8.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USTS, 이하 "USTS"라 함) 모드(Mode)로의 변환 결정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 시스템에,
    이동국이 핸드오프를 수행한 후 무선망에 새로 등록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국에서 새로 등록할 상기 무선망이 상기 USTS를 지원하는 망인지를 검사하는 제 1 기능; 및
    상기 제 1 기능의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망이 상기 USTS를 지원하면, 상기 이동국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확산인자(SF)가 채널 할당 알고리즘에 적합하고 요구되는 서비스품질(QoS)이 상기 USTS에 적합하며 이동속도가 상기 USTS를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USTS 모드로 변경 결정하는 제 2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00072330A 2000-12-01 2000-12-0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결정 방법 KR100358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330A KR100358165B1 (ko) 2000-12-01 2000-12-0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330A KR100358165B1 (ko) 2000-12-01 2000-12-0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결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961A true KR20020042961A (ko) 2002-06-08
KR100358165B1 KR100358165B1 (ko) 2002-10-25

Family

ID=27678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330A KR100358165B1 (ko) 2000-12-01 2000-12-0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81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587B1 (ko) * 2001-01-16 2003-03-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의 지원을위한 핸드오프 방법
KR100822858B1 (ko) * 2001-12-31 2008-04-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으로의변환 방법
EP2109240A1 (en) * 2008-04-10 2009-10-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ctivation of code multiplex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587B1 (ko) * 2001-01-16 2003-03-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의 지원을위한 핸드오프 방법
KR100822858B1 (ko) * 2001-12-31 2008-04-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으로의변환 방법
EP2109240A1 (en) * 2008-04-10 2009-10-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ctivation of code multiplexing
WO2009126091A1 (en) * 2008-04-10 2009-10-1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ctivation of code multiplex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8165B1 (ko) 200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1478B1 (ko) 셀룰러시스템에서유휴상태핸드오프방법및시스템
US6975608B1 (en) Method for performing handoff between asynchronous base station and synchronous base station
KR100887311B1 (ko) 무선 통신 환경에서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을 위한시스템 및 방법
US6597679B1 (en) Control of compressed mode transmission in WCDMA
JP4382348B2 (ja) マルチセル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サービスプライオリティ
US8213381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re network node selection method, and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used therefor
US6535738B1 (en) Method for optimizing a number of communication links
KR100299280B1 (ko) Cdma셀룰러시스템에서의핸드-오프방법및장치
US7894816B1 (en) Method of selecting carrier frequency for call origination
US82549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between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 and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425125B1 (ko) 서로 다른 망 사업자간의 핸드오프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60126506A (ko)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전용 모드로부터의 천이 시의 셀 선택
US7477625B2 (en) Inter-network handoff method
KR20020064813A (ko)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의 하드 핸드오프 방법
JP2001028776A (ja) Phs(登録商標)向けの移動局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方法
KR10035816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 변환결정 방법
KR20010017860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불필요한 핸드오프 감소 방법
KR100301704B1 (ko) 무선데이터이동통신망에서패킷손실이없는패킷핸드오프제어방법
KR100971592B1 (ko) 라우팅 영역 및 위치등록 영역 업데이트 제어 방법 및시스템
KR10082285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으로의변환 방법
KR0176107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 기지국의 호 할당방법
KR100347416B1 (ko)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의 소프트웨어에 의한 인트라 하드 핸드오프 시점 결정방법
KR10031725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호에 대한 핸드 오프 제어 방법
KR100531360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하드 핸드 오프 방법
KR100329656B1 (ko) 특정기지국에서의주파수간하드핸드오프적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