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4943A - 류신을 포함하는 색 개선 안정화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류신을 포함하는 색 개선 안정화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4943A
KR20030084943A KR10-2003-7011073A KR20037011073A KR20030084943A KR 20030084943 A KR20030084943 A KR 20030084943A KR 20037011073 A KR20037011073 A KR 20037011073A KR 20030084943 A KR20030084943 A KR 20030084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s
dimethylethyl
component
tris
leu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1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5352B1 (ko
Inventor
크뢴케크리스토프
Original Assignee
클라리언트 파이넌스 (비브이아이)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리언트 파이넌스 (비브이아이)리미티드 filed Critical 클라리언트 파이넌스 (비브이아이)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84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08K5/175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containing COOH-groups; Esters or sal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1개 이상의 입체 장애된 페놀, (b) 1개 이상의 인-함유 제 2의 산화 방지제 및 (c) 1개 이상의 류신 화합물을 포함하며, 특히 산소의 존재하에 열 및/또는 광의 노출로 인한 분해, 교차 결합 및/또는 퇴색에 대하여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중합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성분 (a):성분 (b):성분 (c)의 중량비가 1:5:3 내지 2:0.5:0.1인 안정화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류신을 포함하는 색 개선 안정화제 조성물{COLOR IMPROVING STABILIZING COMPOSITIONS COMPRISING LEUCINE}
제품으로 가공하는 동안, 열가소성 중합체는 중합체의 분자량 및 물리적 특성, 및 상기 중합체로 제조된 마무리 제품의 외관에 역효과를 주는 고온 및 고압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산화 및 퇴색을 최소화하는 산화 방지제 및 색 안정화 첨가제가 필요하다.
통상적인 안정화제 시스템은 유해 과정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는 유기 포스파이트, 유기 포스포나이트, 입체 장애된 페놀 산화 방지제 및/또는 선택적으로 아민으로 구성된다.
분해 과정은 공액 비닐리덴 및 카보닐 기로 구성된 공액 작용기의 형성과 같은 중합체 내의 다양한 구조적 특징에 따른다. 또한, 입체 장애된 페놀성 산화 방지제를 함유하는 중합체의 퇴색은 퀴노이드 구조를 함유하는 상기 첨가제의 착색된변형 생성물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문헌[P. P. Klemchuk and P. -L. Horng, Polym. Degr. Stab., 7, 131, 1984]; [T. J. Herman, "Development in Polymer Stabilization", Part 1, ed. G. Scott, Appl. Sci. Publ. Ltd., London, page 39, 1979]; 및 [J. Scheirs, S. W. Bigger and O. Delatycki, Polymer 30, 2080, 1989] 참조). 영향의 정도는 페놀의 구조 및 소모에 따라 좌우된다. 폴리올레핀의 퇴색은 특히 물 또는 NOx-기체와 연속적으로 접촉함으로써 발생한다. 색의 다른 기원은 산화 환원 반응, 및/또는 금속 잔류물(중합체 제조에 사용된 촉매로부터 유도)과 안정화제 또는 안정화제 전이 생성물의 착체-형성인 것으로 고려된다.
유기 포스파이트 및/또는 유기 포스포나이트와 입체 장애된 페놀의 적당한 조성물이 퇴색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문제점이 기술적인 요구조건을 달성하기 위해 추가로 감소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종 생성물의 색 안정성이 개선되도록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중합체를 안정화하기 위한 개선된 안정화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중합체를 가공하기 위한, 류신을 포함하는 색 개선 안정화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안정화제 조성물로 달성된다. 놀랍게도, 아미노산, 특히 류신을 공지된 첨가제 시스템에 비교적 소량으로 첨가하면 특히 산소의 존재하에 열 또는 광의 노출에 기인한 퇴색에 대하여 예기치 않은 상승효과를 야기하고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중합체를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 3개의 공지된 첨가제 부류중 1개 이상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정화제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첨가제 시스템보다 상당히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1개 이상의 입체 장애된 페놀, (b) 1개 이상의 인-함유 제 2의 산화 방지제 및 (c) 1개 이상의 류신 화합물을 포함하며, 이때 성분 (a):성분 (b):성분 (c)의 중량비가 1:5:3 내지 2:0.5:0.1, 바람직하게는 1:3:2 내지 1:1:0.2인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중합체용 색 개선 안정화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제 조성물에서, 성분 (a), (b) 및 (c)의 화합물중 1개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 중량비의 정의는 항상 성분 (a), (b) 또는 (c)의 총량을 의미한다.
용어 "류신 화합물"이란, 하기 기본적인 류신 구조를 갖는 임의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또한, 류신의 화학 구조가 변형된 화합물, 예를 들어 류신의 이성질체인 이소-류신도 개시되어 있다.
환경 친화적인 GRAS(generally regarded as safe, 식품 첨가물에 대한 FDA의 합격증) 목록 화합물, 특히 류신은 폴리 올레핀의 용융 가공 동안 색 개선 화합물로서 적은 농도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능력은 다양한 폴리올레핀의 가공에 대한 일반적으로 중요한 기술적 향상을 의미한다.
용융 안정화 공정에 기여하는 메티오닌, 시스틴 및 시스테인과 같은 다른 아미노산과 비교하여, 류신은 용융 안정화 효율이 훨씬 낮다고 해도 뚜렷한 색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입체 장애된 페놀"이란, 바람직하게는 2,6-디-t-부틸-페놀, 2-t-부틸-6-메틸페놀, 2-t-부틸-5-메틸페놀 또는 기타 장애된 페놀로부터 유도된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로는 2,2'-비스[3,5-[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페닐]-1-옥소프로폭시]메틸-1,3-프로판디일-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벤젠프로파노에이트; 옥타데실-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벤젠프로파노에이트; 1,3,5-트리스[[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페닐]메틸]-1,3,5-트리아진-2,4,6(1H, 3H, 5H)-트리온; 4,4',4"-[2,4,6-트리메틸-1,3,5-벤젠트리일)트리스(메틸렌)]트리스[2,6-비스(1,1-디메틸에틸)-페놀; 에탄디일-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티오디-2,1-벤젠프로파노에이트; 모노에틸-[[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페닐]메틸]-포스폰산 에스테르의 2:1 칼슘염; 2-[3-[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페닐]-1-옥소-프로필]하이드라지드-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벤젠프로판산; 2,2'-옥사미도-비스[에틸-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또한, 본원에 사용된 용어 "인-함유 제 2의 산화 방지제"란, 과산화수소 분해자인 화합물, 즉 과산화수소와 반응하고 비-라디칼 생성물을 생성하여 본질적으로 과산화수소를 안정한 부산물로 분해하는 능력을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로는 아인산(포스포나이트)의 트리에스테르 및 아인산(포스포나이트)의 디에스테르가 있다.
인-함유 제 2의 산화 방지제의 바람직한 특정 성원으로는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이소데실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2,4,6-트리-t-부틸페닐-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틸 디포스파이트; 2,2',2"-니트릴로 트리에틸-트리스[3,3',5,5'-테트라-t-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6-메틸페닐]에틸 포스파이트; 2,2'-에틸리덴-비스(4,6-디-t-부틸페닐)-플루오로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4,6-디-t-부틸-m-크레졸과, 비페닐과 삼염화인의 프리델-크래프츠(Friedel-Crafts) 반응 생성물의 축합 생성물; 테트라키스[2,4-디-t-부틸페닐]-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및 2,4-디-t-부틸페놀과, 비페닐과 PCl3의 프리델-크래프츠 반응 생성물의 축합 생성물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안정화되는 적당한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하기 중합체가 있다:
(1) 모노올레핀과 디올레핀의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트-1-엔, 폴리-4-메틸펜트-1-엔, 폴리이소프렌 또는 폴리부타디엔뿐만 아니라 사이클로올레핀의 중합체, 예를 들어 사이클로펜텐, 노보넨 및 폴리에틸렌(선택적으로 교차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고밀도 및 고몰질량의 폴리에틸렌(HDPE-HMW), 고밀도 및 초고몰질량의 폴리에틸렌(HDPE-UHMW), 중밀도 폴리에틸렌(HM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분지형 저밀도 폴리에틸렌(BLDPE);
(2) (1)에서 전술된 중합체의 혼합물,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이소부틸렌의 혼합물, 폴리에틸렌과 폴리이소부틸렌의 혼합물,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예를 들어, PP/HDPE/LDPE), 및 다양한 유형의 폴리에틸렌(예를 들어, LDPE/HDPE)과 서로의 혼합물; 및
(3) 모노올레핀과 디올레핀과 서로 또는 다른 비닐 단량체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이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의 혼합물, 프로필렌-부트-1-엔 공중합체, 프로필렌-이소부틸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트-1-엔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에틸렌-메틸펜텐 공중합체, 에틸렌-헵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이와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이의 염(이오노머(ionomer)) 뿐만 아니라 에틸렌과 프로필렌 및 디엔, 예를 들어 헥사디엔,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또는 에틸리덴-노보넨의 3량체; 및 이들 공중합체와, 서로 및 (1)에서 전술된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LDPE-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공중합체, LDPE-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LLDPE-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공중합체, LLDPE-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교대 혼성 또는 무작위 폴리알킬렌-일산화탄소 공중합체의 혼합물, 및 이들과 다른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의 혼합물.
상기 개시된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 뿐만 아니라 입체 장애된 페놀은 공지된 화합물로부터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이들은 상업적으로 수득될 수 있다. 이들의 상표명 및 화학 구조식을 포함하는 화합물의 선택은 하기 표 1에서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안정화제 조성물은 성분 (a), (b) 및 (c)를 공지된 방법에 따라 목적하는 중량비로 간단히 물리적으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방법은 예비-사출 성형 단계를 추가로 적용하여 균질성 및 취급상 용이한 펠렛을 달성할 수 있는 자유-유동 혼합물을 생성하는 성분의 건식 블렌딩이다. 안정화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제 조성물 및 안정화될 열가소성 중합체와 동일하거나 상용가능한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마스터배치(masterbatch) 조성물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배치 조성물은 1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중량%의 안정화제 조성물 및 90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75 중량%의 상기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정화량의 안정화제 조성물을 포함하는(임의의 편리한 가공 상태에서 그에 혼입함)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중합체의 색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되며, 안정화제 조성물을 그자체로 또는 전술된 마스터배치의 형태로 혼입함을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성분들은 정확한 비율로 별도로 혼입될 수 있다.
안정화제 조성물의 농도는 안정화될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중량%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안정화된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중합체, 및 안정화량의 안정화제 조성물을 그에 혼입하여 안정화함으로써 제조된 제품을 추가로 포함한다.
중합체는 기타 성분, 예를 들어 유기 포스판, 벤조푸라논계 가공 안정화제, 폴리페놀 및/또는 하이드록시크로만-유도체, 기타 아미노산계 안정화제, 입체 장애된 피페리딘계 광 안정화제 및 열 안정화제(HA[L]S), 광학 광택제, UV 흡수재, U.V. 소광제, 산 포착제, 금속 불활성제, 핵형성제, 충전제, 정전기 방지제, 가소제, 윤활제, 염료, 안료, 유화제, 방염제, 취입 성형제, 가교결합제, 항차단제, 슬립제(slip agent), 황 상승제 및 가공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나노-크기의 입자 형태로 사용되는 전술된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사용된 안정화제 조성물의 각각의 성분에 대한 상표명, 화학명 및 화학 구조식
호스타녹스(Hostanox, 등록상표) O 10(클라리언트(Clariant))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하이드로신나메이트:
호스타녹스(등록상표) O 16(클라리언트)옥타데실-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벤젠프로파노에이트:
호스타녹스(등록상표) PAR 24(클라리언트)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산도스탭(Sandostab, 등록상표) P-EPQ(클라리언트):(1) 50 내지 80부의 테트라키스(2,4-디-t-부틸페닐)-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2) 10 내지 25부의 비스(2,4-디-t-부틸페닐)비페닐렌-모노포스포나이트; 및(3) 10 내지 25부의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로 구성됨.
울트라녹스(Ultranox) 626(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비스(2,4-디-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입증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폴리에틸렌-LLD의 가공
호스타녹스 O 16(0.03 중량부), Zn-스테아레이트(0.05 중량부), 산도스탭 P-EPQ(0.04 중량부) 및 D,L-류신(0.01 중량부)을 첨가하여 실험용 혼합기(켄우드(Kenwood))에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PE-LLD)인 F 유형-30 FG-N(내부 코드 LL 96-2, 미쯔비시(Mitsubishi))[MFI: 0.9 g/10분/190℃/2.16 kg](100 중량부)을 혼합하였다. 이어서, 단일 스크루 사출 성형기 유형 콜린(Collin)(스크루 압축 1:3, 다이 직경 3mm 및 스크루 속도 80 rpm)을 210℃에서 사용하여 예비-사출 성형을 수행하였다. 주요 사출 성형(1회 내지 5회)은 240℃에서 각각 4개의 가열 영역을 갖는 단일 스크루 사출 성형기 유형 괴트페르트 엑스트루시미터(Gottfert Extrusimeter)(스크루 압착 1:3, 70 rpm 및 다이 직경 4mm)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미놀타(Minolta) 분광 색도계를 사용하여 DIN 6167에 따라 색을 측정하였다. 상응하는 색 결과물은 하기 표 2에 제시된다. YI는 황색 지수를 나타내고 기술적으로 원하지 않은 황색을 측정하며, 숫자가 낮을수록 색 안정성이 높음을 나타낸다. YI 뒤의 숫자는 사출 성형 과정의 회수를 규정한다.
상기 절차에 따라 수득된 결과는 표 2 내지 4에 제시된다. 안정화제 화합물의 양을 의미하는 모든 숫자는 중량부이다.
색(YI) 자료
안정화제 배합물 (기본 안정화:0.03 호스타녹스 O 16 및 0.05 Zn-스테아레이트) 1회 과정 3회 과정 5회 과정
0.04 산도스탭 P-EPQ (참조 1) 1.75 2.56 2.78
0.05 산도스탭 P-EPQ (참조 2) 1.63 2.20 2.44
0.07 산도스탭 P-EPQ (참조 3) 1.46 2.64 2.34
0.04 산도스탭 P-EPQ + 0.01 D,L-류신 0.52 1.18 1.77
220℃에서 복수 과정의 사출 성형에 의한 PE-LLD의 가공
안정화제 농도 안정화제 황색 지수
0.05000 아연 스테아레이트
0.03000 호스타녹스 O 16 YI0 YI1 YI3 YI5
0.05000 산도스탭 P-EPQ 참조 -1.08 -0.65 2.04 4.40
0.0500 아연 스테아레이트
0.0300 호스타녹스 O 16 YI0 YI1 YI3 YI5
0.0800 산도스탭 P-EPQ 참조 -1.56 -0.40 1.95 3.04
0.0500 아연 스테아레이트
0.0300 호스타녹스 O 16
0.0450 산도스탭 P-EPQ 참조 YI0 YI1 YI3 YI5
0.0050 D,L-류신 -1.29 -0.80 1.06 1.84
0.0500 아연 스테아레이트
0.0300 호스타녹스 O 16
0.0400 산도스탭 P-EPQ 참조 YI0 YI1 YI3 YI5
0.0050 D,L-류신 -1.15 -1.53 1.17 4.63
0.0050 D,L-α-토코페롤 E 307
0.0500 아연 스테아레이트
0.0300 호스타녹스 O 16
0.0400 산도스탭 P-EPQ 참조 YI0 YI1 YI3 YI5
0.0025 D,L-류신 -0.28 -0.67 1.82 4.83
0.0075 D,L-α-토코페롤 E 307
0.0500 아연 스테아레이트
0.0300 호스타녹스 O 16
0.0400 산도스탭 P-EPQ 참조 YI0 YI1 YI3 YI5
0.0075 D,L-류신 -1.16 -1.37 0.95 4.04
0.0025 D,L-α-토코페롤 E 307
200℃에서 복수 과정의 사출 성형에 의한 PE-LLD의 가공
안정화제 농도 안정화제 황색 지수
0.05000 아연 스테아레이트
0.03000 호스타녹스 O 16 YI0 YI1 YI3 YI5
0.05000 산도스탭 P-EPQ 참조 -1.06 0.55 3.44 4.87
0.0500 아연 스테아레이트
0.0300 호스타녹스 O 16
0.0400 산도스탭 P-EPQ 참조
0.0025 차 폴리페놀 라이트 그린 YI0 YI1 YI3 YI5
0.0075 D,L-류신 -0.19 0.58 1.92 2.91
0.0500 아연 스테아레이트
0.0300 호스타녹스 O 16
0.0400 산도스탭 P-EPQ 참조
0.0050 차 폴리페놀 라이트 그린 YI0 YI1 YI3 YI5
0.0050 D,L-류신 3.49 3.09 4.02 4.58
0.0500 아연 스테아레이트
0.0300 호스타녹스 O 16
0.0400 산도스탭 P-EPQ 참조
0.0075 차 폴리페놀 라이트 그린 YI0 YI1 YI3 YI5
0.0025 D,L-류신 8.78 9.65 8.86 9.13
류신의 첨가는 색 안정성을 명백하게 개선시켰다. 산도스탭 P-EPQ를 α-토코페롤 또는 차 폴리페놀 라이트 그린(녹차 추출물과 같은 본초 추출물로부터 수득된 천연 폴리페놀)로 일부 대체한 덜 안정한 색 시스템에서도, 류신의 양을 증가시키면 여전히 색 안정성이 향상된다.
폴리프로필렌의 가공
호스타녹스 O 10(0.05 중량부), Ca-스테아레이트(0.05 중량부), 산도스탭 P-EPQ(0.05 중량부) 및 D,L-류신(0.01 중량부)을 첨가하여 실험용 혼합기(켄우드)에서 폴리프로필렌(PP)인 유형 엘텍스(Eltex) P(내부 코드 PP 99-10,솔베이(Solvay))[MFI: 3.3 g/10분/230℃/2.16 kg](100 중량부)을 혼합하였다. 다르게는, 인계 가공 보조제로서 울트라녹스 626(0.5 중량부)를 사용하거나, 호스타녹스 PAR 24(0.025부)와 함께 산도스탭 P-EPQ(0.025부)를 사용하거나, 또는 호스타녹스 PAR 24(0.0225부)와 함께 및 α-토코페롤(0.005부)과 함께 산도스탭 P-EPQ(0.0225부)를 사용하였다. 이어서, 단일 스크루 사출 성형기 유형 핸들(Haendle) KPS 25(스크루 압축 1:3, 다이 직경 4mm 및 스크루 속도 80 rpm)를 210℃에서 사용하여 예비-사출 성형을 수행하였다. 주요 사출 성형(1회 내지 5회)은 240℃, 270℃, 또는 300℃에서 각각 4개의 가열 영역을 갖는 단일 스크루 사출 성형기 유형 괴트페르트 엑스트루시미터(스크루 압착 1:3, 50 rpm 및 다이 직경 2mm)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미놀타 분광 색도계를 사용하여 DIN 6167에 따라 색을 측정하였다. 상응하는 색 결과물의 선택은 하기 표 5a 내지 5c에 제시된다:
240℃에서 복수 과정의 사출 성형에 의한 폴리프로필렌의 가공
안정화제 농도 안정화제 황색 지수
0.1000 칼슘 스테아레이트 DW
0.0500 호스타녹스 O 10
0.0225 산도스탭 P-EPQ 참조
0.0225 호스타녹스 PAR 24 블렌드 YI0 YI1 YI3 YI5
0.0050 α-토코페롤 3.27 5.32 11.29 15.30
0.1000 칼슘 스테아레이트 DW
0.0500 호스타녹스 O 10
0.0225 산도스탭 P-EPQ 참조
0.0225 호스타녹스 PAR 24 블렌드
0.0050 α-토코페롤 YI0 YI1 YI3 YI5
0.0100 D,L-류신 2.08 2.58 7.45 13.08
0.1000 칼슘 스테아레이트 DW
0.0500 호스타녹스 O 10
0.0450 울트라녹스 626 YI0 YI1 YI3 YI5
0.0050 α-토코페롤 2.03 2.53 5.23 10.22
0.1000 칼슘 스테아레이트 DW
0.0500 호스타녹스 O 10
0.0450 울트라녹스 626
0.0050 α-토코페롤 YI0 YI1 YI3 YI5
0.0100 D,L-류신 1.24 1.74 4.83 8.02
270℃에서 복수 과정의 사출 성형에 의한 폴리프로필렌의 가공
안정화제 농도 안정화제 황색 지수
0.1000 칼슘 스테아레이트 DW
0.0500 호스타녹스 O 10
0.0225 산도스탭 P-EPQ 참조
0.0225 호스타녹스 PAR 24 YI0 YI1 YI3 YI5
0.0050 α-토코페롤 3.27 5.00 9.52 15.47
0.1000 칼슘 스테아레이트 DW
0.0500 호스타녹스 O 10
0.0225 산도스탭 P-EPQ 참조
0.0225 호스타녹스 PAR 24
0.0050 α-토코페롤 YI0 YI1 YI3 YI5
0.0100 D,L-류신 2.15 3.11 8.85 12.54
0.1000 칼슘 스테아레이트 DW
0.0500 호스타녹스 O 10
0.0450 울트라녹스 626 YI0 YI1 YI3 YI5
0.0050 α-토코페롤 2.11 5.20 9.85 13.40
0.1000 칼슘 스테아레이트 DW
0.0500 호스타녹스 O 10
0.0450 울트라녹스 626
0.0050 α-토코페롤 YI0 YI1 YI3 YI5
0.0100 D,L-류신 1.44 2.45 7.18 12.91
300℃에서 복수 과정의 사출 성형에 의한 폴리프로필렌의 가공
안정화제 농도 안정화제 황색 지수
0.1000 칼슘 스테아레이트 DW
0.0500 호스타녹스 O 10
0.0225 산도스탭 P-EPQ 참조
0.0225 호스타녹스 PAR 24 YI0 YI1 YI3 YI5
0.0050 α-토코페롤 2.91 4.91 9.70 13.14
0.1000 칼슘 스테아레이트 DW
0.0500 호스타녹스 O 10
0.0225 산도스탭 P-EPQ 참조
0.0225 호스타녹스 PAR 24
0.0050 α-토코페롤 YI0 YI1 YI3 YI5
0.0100 D,L-류신 1.82 3.28 7.23 10.25
0.1000 칼슘 스테아레이트 DW
0.0500 호스타녹스 O 10
0.0450 울트라녹스 626 YI0 YI1 YI3 YI5
0.0050 α-토코페롤 2.51 5.00 10.76 14.55
0.1000 칼슘 스테아레이트 DW
0.0500 호스타녹스 O 10
0.0450 울트라녹스 626
0.0050 α-토코페롤 YI0 YI1 YI3 YI5
0.0100 D,L-류신 1.10 2.02 6.88 12.40
상기 결과는 폴리프로필렌에서도 본 발명의 안정화제 조성물이 상당히 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Claims (10)

  1. (a) 1개 이상의 입체 장애된 페놀;
    (b) 1개 이상의 인-함유 제 2의 산화 방지제; 및
    (c) 1개 이상의 류신 화합물
    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성분 (a):성분 (b):성분 (c)의 중량비가 1:5:3 내지 2:0.5:0.1인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중합체용 색 개선 안정화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a):성분 (b):성분 (c)의 중량비가 1:3:2 내지 1:1:0.2인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류신 화합물이 류신인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체 장애된 페놀이
    2,2'-비스[3,5-[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페닐]-1-옥소프로폭시]메틸-1,3-프로판디일-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벤젠프로파노에이트;
    옥타데실-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벤젠프로파노에이트;
    1,3,5-트리스[[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페닐]메틸]-1,3,5-트리아진-2,4,6(1H, 3H, 5H)-트리온;
    4,4',4"-[2,4,6-트리메틸-1,3,5-벤젠트리일)트리스(메틸렌)]트리스[2,6-비스(1,1-디메틸에틸)-페놀;
    에탄디일-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티오디-2,1-벤젠프로파노에이트;
    모노에틸-[[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페닐]메틸]-포스폰산 에스테르의 2:1 칼슘염;
    2-[3-[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페닐]-1-옥소-프로필]하이드라지드-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벤젠프로판산;
    2,2'-옥사미도-비스[에틸-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함유 제 2의 산화 방지제가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이소데실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2,4,6-트리-t-부틸페닐-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틸 디포스파이트;
    2,2',2"-니트릴로트리에틸-트리스[3,3',5,5'-테트라-t-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6-메틸페닐]에틸 포스파이트;
    2,2'-에틸리덴-비스(4,6-디-t-부틸페닐)-플루오로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4,6-디-t-부틸-m-크레졸과, 비페닐과 삼염화인의 프리델-크래프츠(Friedel-Crafts) 반응 생성물의 축합 생성물;
    테트라키스[2,4-디-t-부틸페닐]-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및
    2,4-디-t-부틸페놀과, 비페닐과 PCl3의 프리델-크래프츠 반응 생성물의 축합 생성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정화량의 안정화제 조성물을 가공 전 또는 동안에 혼입함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중합체의 색 안정성을 개선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안정화제 조성물을, 열가소성 중합체를 기준으로 약 0.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는 방법.
  8. 성분 (a):성분 (b):성분 (c)를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정의된 중량비로 혼합함을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정화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정화제 조성물 및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마스터배치(masterbatch)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1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중량%의 안정화제 조성물 및 90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75 중량%의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마스터배치 조성물.
KR1020037011073A 2001-02-22 2002-02-20 류신을 포함하는 색 개선 안정화제 조성물 KR100845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104371.0A GB0104371D0 (en) 2001-02-22 2001-02-22 Color improving stabilizing compositions comprising leucine
GB0104371.0 2001-02-22
PCT/IB2002/000521 WO2002066551A1 (en) 2001-02-22 2002-02-20 Color improving stabilizing compositions comprising leuc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943A true KR20030084943A (ko) 2003-11-01
KR100845352B1 KR100845352B1 (ko) 2008-07-09

Family

ID=9909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1073A KR100845352B1 (ko) 2001-02-22 2002-02-20 류신을 포함하는 색 개선 안정화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995200B2 (ko)
EP (1) EP1373392B1 (ko)
JP (1) JP3877068B2 (ko)
KR (1) KR100845352B1 (ko)
CN (1) CN1221600C (ko)
AT (1) ATE317872T1 (ko)
DE (1) DE60209215T2 (ko)
ES (1) ES2256448T3 (ko)
GB (1) GB0104371D0 (ko)
RU (1) RU2276166C2 (ko)
TW (1) TW567206B (ko)
WO (1) WO20020665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A82370C2 (uk) 2003-07-14 2008-04-10 Франс Норен Афдихтингссистемен Б.В. Застосування композиції для захисту фасонного виробу від корозії, захисна обмотка для захисту фасонного виробу та спосіб її виготовлення
WO2006009183A1 (ja) * 2004-07-22 2006-01-26 Jsr Corporation 重合体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ATE460269T1 (de) 2006-11-08 2010-03-15 Frans Nooren Afdichtingssystem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eines verlängerten röhrenförmigen artikels mit einem selbstreparatureigenschaften aufweisenden korrosionsschutzbeschichtungssystem
MX2020005326A (es) 2008-08-15 2022-03-03 Ironwood Pharmaceuticals Inc Formulaciones que contienen linaclotida para administracion oral.
US8067490B2 (en) * 2008-09-24 2011-11-29 Chemtura Corporation Blended phosphite or phosphonite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hydrolytic stability
US8748573B2 (en) * 2009-08-06 2014-06-10 Ironwood Pharmaceuticals, Inc. Formulations comprising linaclotide
US8933030B2 (en) 2010-02-17 2015-01-13 Ironwwod Pharmaceuticals, Inc. Treatments for gastrointestinal disorders
ES2919136T3 (es) 2010-08-11 2022-07-22 Ironwood Pharmaceuticals Inc Formulaciones estables de linaclotida
US9708371B2 (en) 2011-08-17 2017-07-18 Ironwood Pharmaceuticals, Inc. Treatments for gastrointestinal disorders
JP6274674B2 (ja) 2012-07-13 2018-02-07 フランス ノーレン アフディクティングスシステメン ビー.ブイ.Frans Nooren Afdichtingssystemen B.V. 湿潤環境にある物品を腐食に対して保護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組成物
CA2886424A1 (en) * 2012-09-28 2014-04-03 Clariant Finance (Bvi) Limited Process for preparing a polypropylene-based object having an increased surface energy
CN104250394B (zh) * 2013-06-26 2017-08-01 合肥杰事杰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改性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903412A (zh) * 2017-11-15 2018-04-13 苏州博云塑业有限公司 一种能够提高颜色稳定性的抗静电色母粒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4579A (en) * 1973-09-24 1975-09-09 Union Carbide Corp Novel floor-tile compositions comprising plasticized vinyl chloride polymers
GB2042562B (en) * 1979-02-05 1983-05-11 Sandoz Ltd Stabilising polymers
JPS61174270A (ja) * 1985-01-29 1986-08-05 Kyowa Chem Ind Co Ltd 耐発錆性ないし耐着色性賦与剤
JPH01245044A (ja) * 1988-03-28 1989-09-29 Mitsubishi Rayon Co Ltd 耐熱着色性、耐熱劣化性に優れた熱可塑性樹脂用衝撃改質剤及びそれを用い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
DE3919691A1 (de) * 1989-06-16 1990-12-20 Hoechst Ag Polymere polyalkyl-1-oxa-diazaspirodecane
JP2758031B2 (ja) * 1989-07-04 1998-05-25 協和化学工業株式会社 含ハロゲン樹脂用の安定剤組成物
US5175312A (en) * 1989-08-31 1992-12-29 Ciba-Geigy Corporation 3-phenylbenzofuran-2-ones
US5126052A (en) * 1991-02-07 1992-06-30 The Graver Company Condensate polishing system incorporating a membrane filter
US5252643A (en) * 1991-07-01 1993-10-12 Ciba-Geigy Corporation Thiomethylated benzofuran-2-ones
US5616636A (en) * 1992-03-11 1997-04-01 Sandoz Ltd. Phosphonite-hals and phosphite-hals compounds as stabilizers
DE4215141C1 (de) * 1992-05-08 1993-12-09 Hoechst Ag Polyvinylbutyrale mit verbesserter Thermostabilität und Lichtbeständigkeit
TW260686B (ko) * 1992-05-22 1995-10-21 Ciba Geigy
NL9300801A (nl) * 1992-05-22 1993-12-16 Ciba Geigy 3-(acyloxyfenyl)benzofuran-2-on als stabilisatoren.
GB2267490B (en) 1992-05-22 1995-08-09 Ciba Geigy Ag 3-(Carboxymethoxyphenyl)benzofuran-2-one stabilisers
GB9211602D0 (en) * 1992-06-02 1992-07-15 Sandoz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TW255902B (ko) * 1992-09-23 1995-09-01 Ciba Geigy
MX9305489A (es) * 1992-09-23 1994-03-31 Ciba Geigy Ag 3-(dihidrobenzofuran-5-il)benzofuran-2-onas, estabilizadores.
CH686519A5 (de) * 1993-05-24 1996-04-15 Sandoz Ag Stabilisatoren fuer polymere Materialien.
US6593485B1 (en) * 1994-10-06 2003-07-15 Clariant Finance (Bvi) Limited Stabilizer composition
TW438850B (en) 1995-09-15 2001-06-07 Ciba Sc Holding Ag Stabilization of polyolefin composition in permanent contact with extracting media
GB9607565D0 (en) * 1996-04-12 1996-06-12 Clariant Int Ltd Stabilizer composition
GB9613515D0 (en) * 1996-06-27 1996-08-28 Clariant Int Ltd Stabilizer compositions
DE19631244A1 (de) * 1996-08-02 1998-02-12 Clariant Gmbh Neue Lichtstabilisatoren auf Basis von sterisch gehinderten Aminen
US5985691A (en) 1997-05-16 1999-11-16 International Solar Electric Technology, Inc. Method of making compound semiconductor films and making related electronic devices
US5985961A (en) * 1997-06-17 1999-11-16 Johns Manville International, Inc. Monofilament
DE19735255B4 (de) * 1997-08-14 2007-08-23 Clariant Produkte (Deutschland) Gmbh Synergistisches Stabilisatorgemisch auf Basis von Polyalkyl-1-oxa-diazaspirodecan-Verbindungen und dessen Verwendung
DE19738615A1 (de) * 1997-09-04 1999-03-11 Clariant Gmbh Neue Lichtschutzmittel auf Basis von sterisch gehinderten Aminen
US5969014A (en) * 1997-09-23 1999-10-19 Clariant Finance (Bvi) Limited Synergistic polyamide stabilization method
DE19812224A1 (de) * 1998-03-20 1999-09-23 Clariant Gmbh Oligomeres Stabilisatorgemisch
JP3762571B2 (ja) * 1998-07-27 2006-04-05 協和化学工業株式会社 新規な微粒状合成チャルコアルマイト化合物、その製造法、該微粒状合成チャルコアルマイト化合物を含有する保温剤及び農業用フィルム
GB0004436D0 (en) * 2000-02-25 2000-04-12 Clariant Int Ltd Synergistic stabilizer compositions for thermoplastic polymers in prolonged contact with 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77068B2 (ja) 2007-02-07
ATE317872T1 (de) 2006-03-15
DE60209215T2 (de) 2006-07-20
RU2003128101A (ru) 2005-02-27
CN1221600C (zh) 2005-10-05
EP1373392A1 (en) 2004-01-02
KR100845352B1 (ko) 2008-07-09
GB0104371D0 (en) 2001-04-11
US20040072932A1 (en) 2004-04-15
JP2004521979A (ja) 2004-07-22
CN1492901A (zh) 2004-04-28
ES2256448T3 (es) 2006-07-16
EP1373392B1 (en) 2006-02-15
US6995200B2 (en) 2006-02-07
RU2276166C2 (ru) 2006-05-10
WO2002066551A1 (en) 2002-08-29
DE60209215D1 (de) 2006-04-20
TW567206B (en) 200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352B1 (ko) 류신을 포함하는 색 개선 안정화제 조성물
CA2904201C (en) Stabilized polym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230015239A1 (en) Stabilising Composition
JPH06329830A (ja) 加工安定剤組成物
US20090170987A1 (en) Process for producing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N111051412B (zh) 组合物、使用其的热塑性树脂组合物及其成型体
WO2020239963A1 (en) Antidegradant blend
JP7299993B2 (ja) プロセス安定化剤としてのホスホナイト化合物
US20080262124A1 (en) Master Batch for Resin
EP1985652B1 (en) Process for Producing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O2020239962A1 (en) Antidegradant blend
CN112724632A (zh) 一种高耐热稳定pc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12087310A (ja) 樹脂用マスターバ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