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1411A - 스텐트 - Google Patents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1411A
KR20030081411A KR10-2003-7010124A KR20037010124A KR20030081411A KR 20030081411 A KR20030081411 A KR 20030081411A KR 20037010124 A KR20037010124 A KR 20037010124A KR 20030081411 A KR20030081411 A KR 20030081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approximately
component
corrugated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0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카노료지
마에다히로미
미키쇼고
Original Assignee
가네가후치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26044A external-priority patent/JP485747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26045A external-priority patent/JP501160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34838A external-priority patent/JP481505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51546A external-priority patent/JP48083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57188A external-priority patent/JP481924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85622A external-priority patent/JP476817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네가후치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가후치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4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56Single tubular stent with a side portal p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02/065Y-shaped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2/821Ostial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2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within the whole structure different bands showing different meander characteristics, e.g. frequency or amplitu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33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phase between adjacent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5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5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58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ed peak to pe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28Shapes in the form of latin or greek characters
    • A61F2230/0054V-shap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텐트 확장전에는 축 방향으로 유연하고, 또한 스텐트 확장시에, 스텐트 축 방향의 길이에 수축은 없고, 확장 후는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매우 크고, 또 스텐트의 스트러트를 균일하게 확장시킬 수 있고, 또는 확장시에 스텐트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휘어지게 되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 스텐트를 제공한다. 또 스텐트를 구성하는 기본 셀의 크기를 미세화하여 관상조직의 내피세포의 스텐트 내측으로의 삐어져 나옴을 억제한 스텐트를 제공한다. 또 고 레이디얼 포스, 우수한 스캐폴드성을 유지하면서, 분기혈관에의 Y스텐트를 가능하게 하는 스텐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텐트{STENT}
스텐트라 함은, 혈관 또는 다른 생체내 관강(管腔)이 협착 또는 폐색함으로써 생기는 여러가지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서, 그 협착 또는 폐색부위를 확장하여, 그 관강 사이즈를 유지하기 위해서 그곳에 유치하는 의료용구로서, 하나의 선 형상의 금속 또는 고분자 재료로 되는 코일 형상의 것, 금속 튜브를 레이저로 잘라내어 가공한 것, 선 형상의 부재를 레이져로 용접한 것, 복수의 선 형상 의 금속을 엮어서 만든 것 등이 있다. 이는 특개평8-332230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스텐트를 마운트한 벌룬에 의해서 확장되는 것과, 외부로부터 확장을 억제하는 부재를 제거함으로써 스스로 확장되는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벌룬에 의해서 확장되는 스텐트는, 넓히고자 하는 관상조직의 상태나, 스텐트의 기계적인 강도에 의해서 확장압을 조정하여 사용된다.
근년 특히 심장이나 경동맥의 혈관 형성기술에 대하여 이 스텐트가 많이 사용하도록 되어가고 있다. 이 스텐트를 벌룬 카테터(catheter)(스텐트 딜리버리 카테터)로 수축시킨 상태로 고정(프리 마운트)시켜서 제품으로 만들고 있다. 실제의 사용시에는 스텐트가 프리 마운트된 상태로 스텐트 딜리버리 카테터를 혈관협착부까지 유도하여, 벌룬을 확장함으로써 혈관협착부에 스텐트를 확장, 유치한다. 그 후 스텐트 테리버리 카테터를 체외로 뽑아 낸다. 이 프리 마운트에 관하여는, 특개2000-189520 등에 개시되어 있다.
스텐트를 구성하는 최소단위로 되는 선 형상 요소를 스트러트라 한다. 스텐트의 디자인은 이 스트러트가 형성하는 패턴에 의해서 오픈 타입과 클로우즈드 타입의 2종류로 크게 분류된다.
오픈 타입은 특허 제2645203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파형 형상(싸인 파형)으로 반복된 1세그멘트를, 축 방향으로 복수 세그멘트 반복하고, 그 사이를 1주 당 1~3개소의 연결 세그멘트에 의해서 연결시키는 것이다.
한편 클로우즈드 타입은, 특공평4-6377호, 특개평10-137345호, 특표평10-503676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트러트(strut)로 다각형을 형성(클로우즈)시키고, 이 다각형의 변을 공유 시켜서, 둘레 방향, 축 방향으로 그 다각형을 반복하는 것이다. 이 다각형 중에는 상기 공개특허에 나타낸 것과 같은 유연한 링크로 불리는 국소적으로 작은 커브부 또는 파상 부분을 설치함으로써, 스텐트의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특공평4-6377호에는 확장시킨 후, 구성요소가 연속된 능형(菱形) 형상으로 되는 스텐트가 기재되어 있다. 이 스텐트는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매우 크다는 이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 스텐트는 비확장시에 축 방향에서의유연성이 부족했기 때문에, 굴곡된 혈관에 삽입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고, 또한 혈관 내부를 손상시킬 가능성도 있었다. 또 확장 후에도 축 방향의 유연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굴곡된 혈관에 유치된 경우, 혈관에 과잉자극을 주게 되어 재협착을 촉진하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확장시에 스텐트 축 방향이 길이가 수축되어, 혈관의 협착 전체의 확장이 어렵거 되거나, 위치맞춤이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특공평7-24688호에는, 와이어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변형 시키고, 이를 또 원통 형상으로 되도록 나선 형상으로 감은 스텐트가 기재되어 있다. 이 스텐트는 축 방향에서의 유연성이 풍부하여, 굴곡된 혈관에의 삽입성이 우수하였다. 그러나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아주 작아서,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압력에 의해서 수축되기 쉽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스텐트는 일반적으로 목적으로 하는 직경까지 확장시킬 때에, 스텐트의 스트러트를 균일하게 확장시키기가 곤란하여, 동일 둘레 내에서도 부분적으로 크게 확장하는 부분과, 그다지 확장하지 않는 부분이 생기기 쉽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불균일한 확장을 하게 되면, 스트러트가 크게 벌어진 부분으로부터는 관상조직의 내피조직이 크게 비어져 나오게 되어, 재협착의 원인으로 되고 마는 경우가 있다. 또 불균일 확장이 심할 경우는, 다면적으로 진원(眞圓)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스텐트를 마운트하는 벌룬의 절첩(折疊) 방법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래도 충분히 균일하게 확장시키기는 곤란하다. 별도의 방법으로는 벌룬의 표면에 균일하게 확장하기쉬운 부재를 붙이는 등의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나, 벌룬의 프로파일이 커져서, 스텐트를 목적으로 하는 부위까지 딜리버리시키는 것은 곤란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생기고 있다.
또 벌룬에 따라서 확장시키는 스텐트의 대부분은, 확장시에 스텐트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휘어져서, 국소적으로 과다 확장 되는 문제가 있다. 스텐트 양단부가 과다 확장 되면 그 부분에서 관상조직의 내피세포를 자극하게 되어, 세포증식에 의해서 재협착의 원인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또 종래의 스텐트는 일반적으로 확장시에 스텐트 스트러트간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극부분이 크기 때문에, 이 공극부분으로부터 관상조직의 내피세포가 크게 비어져 나오게 되어, 재협착의 원인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스텐트를 구성하는 기본 셀의 크기가 크기 때문이지만, 이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스트러트의 폭을 작게 할 필요가 있으나, 그렇게 하면 얻어지는 레이디얼 포스, 즉 외주로부터 받는 직경 방향의 응력에 대하여 견딜 수 있는 힘이 작아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다음에 오픈 타입과 클로우즈드 타입의 스텐트의 장점, 단점을 이하에 설명하겠다.
오픈 타입의 장점은 축 방향의 유연성이 풍부하여, 굴곡된 혈관에의 삽입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첫째이다. 또 분기혈관에의 Y스텐트라는 기술이 가능하게 되는 것도 큰 장점이다. Y스텐트 또는 Y스텐팅이라는 기술은 분기부 혈관에 협착이 있는 경우에 주혈관과 옆 가지 혈관의 양쪽에 하나씩 스텐트를 유치하는 기술로서, 최근 기술례가 증가되고 있으며, 스텐트에 요구되는 성능 중, 중요한 것의 하나로되어 있다. 이 기술에 관하여는, 의학서원 발간의「PTCA 테크닉 빛 미쓰후지 도시아끼」의 22. 분기부 스텐트(203 페이지)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즉 도4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첫번째의 스텐트(621)가 주혈관(1)의 근위부(623)로부터 주혈관(601)의 원위부(624)에 걸쳐서 유치, 또는 두번쌔의 스텐트(622)를, 주혈관(601)의 근위부(623)로부터 옆 가지(602)에 걸쳐서 유치하는 것으로서, 주혈관(601)의 근위부(623)에서는 2개의 스텐트가 겹쳐지게 된다. 이 기술로는 처음에 주혈관에 첫째의 스텐트를 유치하고, 그 후 이 첫때의 스텐트 스트러트간의 개구부(공극)를 통과시키고, 두번째의 스텐트가 프리 마운트된 스텐트 딜리버리 카테터를 옆 가지를 향해서 딜리버리하고, 주혈관 근위부, 첫째의 스텐트 스트러트간의 개구부(공극), 옆 가지 입구부에 건너서 벌룬이 위치된 상태에서 벌룬을 확장한다. 이에 의해서 스텐트가 주혈관 근위부, 첫때의 스텐트 스트러트간의 개구부(공극), 옆 가지 입구부에 건너서 유치하게 된다.
오픈 타입의 경우, 연결 세그먼트가 1주 당 1~3개소 밖에 존재하지 않아, 스트러트간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극 부분의 주위 길이가 길어지고, 따라서 스트러트간의 공극 부분에 스텐트 딜리버리 카테터의 벌룬을 통해서 확장되면, 이 스트러트가 변형되고, 스트러트간에 형성되는 공극부분이 동시에 변형되어, 개구 면적이 커지고, 따라서 옆 가지에의 접속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점으로서는 레이디얼 포스가 아주 작아서,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압력에 의해서 수축되기 쉽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상술의 스트러트간에 형성되는 공극부분 주위부의 길이가 크기 때문에, 굴곡혈관에 스텐트를 확장 유치한경우, 굴곡의 외측에 위치되는 공극 부분이 크게 버러지게 되어, 혈관의 내피조직이 스텐트 내에 크게 비어져 나와서, 재협착의 원인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공극 부분의 개구 면적이 얼마나 작은지를 나타낸 성능을 스캐폴드(scaffold)성이라 한다.
한편 클로우즈드 타입의 장점은, 스트러트가 다각형을 구성하고, 이 다각형이 변(邊)을 공유하면서 둘레 방향, 축 방향으로 반복하게 되므로, 상술의 레이디얼 포스가 매우 크다는 이점이 있다. 또 동시에 주위 길이가 한정된 다각형이 존재하기 때문에, 굴곡된 혈관에 배치되어도, 굴곡 외측에 위치된 공극부분으로 되는 다각형은, 그 형상의 면적 이상으로는 벌어지지 않기 때문에, 상술의 스캐폴드성이 좋다.
그러나 상술의 분기 혈관에의 Y스텐트가 행하여지지 않는 등의 단점이 있다. 즉 Y스텐트를 행할 때, 클로우즈드 타입의 스트러트간 공극으로 되는 다각형을 통해서, 옆 가지 혈관의 방향으로, 별도의 스텐트 딜리버리 카테터의 벌룬을 통과, 확장시켜도, 이 다각형은 주위 길이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각형이 그 이상으로 크게 벌어지지 않는, 즉 따라서 옆 가지에의 접속을 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각형의 면적을 크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행한 경우, 오픈 타입과 마찬가지로 스캐폴드(scaffold)성을 희생하게 된다.
발명의 개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1발명은 스텐트 확장전에는 축 방향으로 유연하고, 또한 스텐트 확장시에 스텐트 축 방향의 길이에 수축이 없고, 확장 후는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매우 크고, 또 스텐트의 스트러트를 균일하게 확장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확장시에 스텐트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휘어지게 되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 스텐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로서, 상기 스텐트(101)가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로 되고, 복수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가 서로 직접으로는 연결되지 않고, 스텐트(101)의 대략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복수의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가 서로 직접으로는 연결되지 않고 스텐트(101)의 대략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들이 서로 스텐트 축 방향으로 교호로 주기적으로 연속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은,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로서, 상기 스텐트(101)가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로 되고,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의 1단의 연결부(127)와,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의 1단의 연결부(131)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의 나머지 1단의 연결부(139)와, 상기와는 별개체의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의 상기 (127)과는 반대 측의 1단의 연결부(121)가 연결됨으로써,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가 주기적으로 연속되고, 또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의 산(山) 또는 골(谷)의 凸부의 연결부(123)와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의 1단의 연결부(131)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의 나머지 1단의 연결부(139)와, 상기와는 별개체의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의 상기와는 반대 측에 존재하는 산 또는 골의 凸부의 연결부(125)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가 주기적으로 연속해서 형성되는 스텐트도 제공된다.
상기 스텐트(101)는, 스텐트의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요소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요소를 겸비함으로써, 확장시에 스텐트의 축 방향의 수축을 저감할 수 있고, 또 대략 파형 구성요소의 적절한 배치에 의해서, 축 방향으로 유연하여 확장시에 균일하게 확장되고, 또 혈관의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하여 큰 저항력을 나타낼 수 있어 상기 과제를 달성한다.
또 본 발명은, 스텐트(101)의 축 방향의 양단만이 직접 연속된 복수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가, 스텐트의 원주를 따라 배열되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상기 스텐트로서도 제공되나, 이에 의해서 스텐트 양단은 스텐트 중앙 부분에 비해서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커지고, 또한 확장시에 스텐트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휘어지는 것을 저감하여, 상기 과제를 달성한다.
또 본 발명은,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201)로서, 상기 스텐트가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와,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로 되고, 복수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가 서로 직접으로는 연결되지 않고, 스텐트의 대략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복수의 상기 대략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가 서로 직접으로는 연결되지 않고, 스텐트의 대략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또 복수의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가 서로 직접으로는 연결되지 않고, 스텐트의 대략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들이 서로 스텐트 축 방향으로 교호로 주기적으로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은,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로서, 상기 스텐트(201)가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와, 상기 스텐트가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로 되고,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의 1단의 연결부(227)와,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1단의 연결부(241)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나머지 1단의 연결부(249)와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의 산 또는 골의 凸부의 연결부(233)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파형 구성요소(203)의 상기 연결부(233)와는 반대 측에 존재하는 산 또는 골의 凸부의 연결부(235)와, 상기와는 별개체의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1단의 연결부(241)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나머지 1단의 연결부(249)와, 상기와는 별개체의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의 상기 연결부(227)와는 반대 측의 1단의 연결부(221)가 연결됨으로써,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와,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가 주기적으로 연속되고, 또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의 산 또는 골의 凸부의 연결부(223)와,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1단의 연결부(241)가 연결되고, 또한 상 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나머지 1단의 연결부(249)와,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의 1단의 연결부(237)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의 상기 연결부(237)와는 반대 측에 존재하는 1단의 연결부(231)와, 상기와는 별개체의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1단의 연결부(241)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나머지 1단의 연결부(249)와, 상기와는 별개체의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의 상기 연결부(223)와는 반대 측의 산 또는 골의 凸부의 연결부(225)가 연결됨으로써,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와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와,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가 주기적으로 연속됨으로써,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와,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가 주기적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는 스텐트도 제공된다.
상기 스텐트(201)는 스텐트의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요소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요소를 겸비함으로써, 확장시에 스텐트의 축 방향의 수축을 저감할 수 있고, 또 대략 파형 구성요소의 적절한 배치에 의해서, 축 방향으로 유연하여, 확장시에 균일하게 확장되고, 또 혈관의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하여 큰 저항력을 나타낼 수 있어, 상기 과제를 달성한다.
또 본 발명은, 스텐트(201)의 축 방향의 양단만이 직접 연속된 복수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또는 (203), 또는 그 양쪽이 스텐트의 원주를 따라 배열되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상기 스텐트로서도 제공되나, 이에 의해서 스텐트 양단은 스텐트 중앙 부분에 비해서,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커지고, 또한 확장시에 스텐트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휘어지는 것을 저감하여, 상기 과제를 달성한다.
본 발명은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내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로서, 상기 스텐트(301, 303, 305)를 구성하는 기본요소가 대략 평행사변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를 제공한다.
또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2, 304, 306)가 서로 엇갈리게 조합되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를 제공한다.
또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2, 304, 306)가 엇갈리게 조합되어서 되고, 스텐트 확장전에는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2, 304, 306)의 각 변이 스텐트 축선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고, 스텐트 확장 후에는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2, 304, 306)의 각 변이 스텐트 축선 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를 제공한다.
또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 (304, 306)가 대략 직선 스트러트321, 331)와 대략 파형 스트러트(321, 331)로 구성되는 스텐트를 제공한다.
또 스텐트 축 방향으로 다른 면적의 대략 평행사변형을 배치한 스텐트를 제공한다.
스텐트 축 방향으로, 다른 스트러트의 폭, 스트러트의 두께, 또는 그 양쪽을 조합하여 스텐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쪽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로서, 그 스텐트(401, 402)는 직경 방향으로 확장가능한 환상의 제1 대략 파형요소(411, 451)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링크부 요소(413, 453)와, 제1 대략 파형요소(411, 451)로부터 신장하는 가지 상 요소(412, 452)로 되고, 제1 대략 파형요소(411, 451)에 링크부 요소(413, 453)의 한쪽 끝이 연결되고, 링크부 요소(413, 453)의 다른 단부가 가지 형상의 요소(412, 452)의 한쪽 단부에 연되고, 가지 형상의 요소(412, 452)의 다른 끝이 제1 대략 파형요소(411, 451)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쪽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로서, 그 스텐트(403)는 반경 방향으로 확장가능한 환상의 제1 대략 파형요소(481)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링크부 요소(483)와, 상기 제1 대략 파형상 요소(481)로부터 신장하는 가지 형상의 요소(482)와, 대략 N자 형 요소(485)로 되는 스텐트를 제공한다.
스텐트 양단 부분이 반경 방향으로 확장가능한 환상의 제2대략 파형요소(414, 454, 484)로 되는 스텐트를 제공한다.
양단 부분을 제외하여 대체로 동일형상으로 균일하게 확장되는 스텐트를 제공한다.
다음에 제2발명은 균일하게 확장하고, 또한 과확장을 억제하면서, 또 스텐트를 구성하는 기본 셀의 크기를 미세화하여 관상조직의 내피세포의 스텐트 내측으로의 비어져 나옴을 억제하는 스텐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한, 체강 내의 관상조직에 유치하기 위한 스텐트(501, 502, 503)로서, 목적으로 하는 직경 이상으로 과확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스텐트(501, 502, 503)에 있어서, 스텐트를 구성하는 기본 셀(511)이, 미확장시에 스텐트 축 방향으로 긴 쪽을 향해서 배치된 메인 스트러트(514)와, 그 사이에 접어져서 확장시에 메인 스트러트(514)를 둘레 방향으로 지지하는 서브 스트러트(515)로 되고, 확장시에 메인 스트러트(514)와 서브 스트러트(515)가 적어도 3변 이상으로 되는 환상의 대략 다각형 형상을 형성하고,이 기본 셀(511)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연속해서 밴드부(512)를 형성하고, 이 밴드부(512)가 링크부(513)를 거쳐서 길이 방향으로 복수 연속하여 되는 구조로서도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스텐트(501, 502, 503)는 메인 스트러트(514)의 사이에 절첩되어 있는 하나의 기본 셀(511) 내의 서브 스트러트(515)의 총 길이를 A, 또 기본 셀(511)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연속해서 형성되는 하나의 밴드부(512) 내의 기본 셀수를 B, 목적으로 하는 스텐트의 확장 직경을 D로 한 경우에, π×D= 0.5×A×Sinθ×B 이고, 또한 60°≤θ<90°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미확장시의 기본 셀(511) 내에 있어서의 메인 스트러트(514)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L로 한 경우에, L≤A<2×L의 관계를 충족시키 것이 바람직하다. 또 메인 스트러트(514), 서브 스트러트(515)를 구성하는 선재 철강의 폭을 W, 두께를 T로 한 경우에, 0.5×W≤T≤3×W 의 관계를 충족시키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스텐트(501, 502, 503)는 스텐트 확장시의 기본 셀(511)의 형상이, 대략 삼각형, 또는 대략 사각형, 또는 대략 사다리꼴이며, 또 이 기본 셀(511)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연속해서 형성되는 밴드부(512) 끼리를 잇는 링크부(513)가 길이 방향으로 신축가능한 구조를 갖는 동시에, 미확장시에 있어서의 링크부(513)의 스텐트 축 방향의 길이를 C로 하면, 0.3×L≤C≤2L의 관계를 충족시키게 되어 바람직하다.
이의 스텐트(501, 502, 503)는 적어도 메인 스트러트(514)와 서브 스트러트(515)가 스테인레스, 초탄성금속, 휨 탄성률이 1GPa이상인 고분자 재료,생분해성 고분자 재료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스텐트(501, 502, 503)는 상기 스텐트의 외주면에 통 형상의 박막 고분자막을 형성시킨 구조로서도 제공된다.
또 이의 스텐트(501, 502, 503)는 X선조형 하에 있어서,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X선 불투과 마커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재협착을 예방 및 혈전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약제 및 치료용의 위전자를 부여, 또는 표면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제3발명은 클로우즈드 타입의 장점을 유지하고, 반대로 그 단점을 해결하여, 동시에 오픈 타입의 단점을 일으키지 않고 그 장점만을 갖는 클로우즈드 타입의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클로우즈드 타입의 장점인 고레이디얼 포스, 우수한 스캐폴드성을 유지하면서, 클로우즈드 타입의 단점인 분기 혈관에의 Y스텐트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클로우즈드 타입의 스텐트(603)이고, 그 선 형상 요소인 스트러트(604)로 둘러싸인 대략 다각형 형상의 패턴(605)으로, 우수한 스캐폴드 성능과 고레이디얼 포스를 유지하기 위해서 요구될 정도의 직선적인 주위 길이와 개구부 면적을 갖게 하고, 동시에 그 다각형 형상 패턴(605)으로, 그 다각형 형상 패턴(605)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서 눌러 확대함으로써, 이 다각형 형상 패턴의 개구부가, 옆 가지에 접속하는데 충분한 크기로 넓혀지도록(확장변형 가능한) 신률 변형가능한 국소적 절첩(折疊) 부분(607)을 비교적 많이 배치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스텐트(603)는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하고, 또 선 형상요소인 스트러트(604)로 둘러싸인 대략 다각형의 형상으로 된 패턴(605)은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으로, 복수 배열한 스텐트이고, 그 다각형 형상 패턴(605)은 직선적인 주위 길이(606, 609)(원래의 직선적 주위의 길이)를 갖고 있고, 또한 이 그 다각형 형상의 패턴(605)은, 그 내측에서 외측으로 확대됨으로써, 확대된 후의 주의 길이(608)가, 그 원래의 직선적 주위 길이(606, 609)의 1.3배 내지 2.0배로 넓어지도록, 신률 변형가능한 국소적 절첩 부분(607, 610)을 하나의 그 다각형 형상의 패턴(605) 당, 3개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를 공급하는 것이다. 또 하나의 그 다각형 형상 패턴(605) 당의 신률 변형가능한 국소적 절첩 부분(607, 610)의 수가 그 다각형의 수와 같아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하고, 또 선 형상이 요소인 스트러트(604)로 둘러싸인 대략 다각형의 형상으로 된 패턴(605)이,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으로 복수 배열된 스텐트(603)이고, 그 다각형 형상 패턴(605)은 직선적인 주위 길이(606, 609)를 갖고 있고, 또한 그 다각형 형상 패턴(605)은 그 내측에서 외측으로 확대됨으로써, 그 다각형 형상의 패턴(605)의 주위 길이가, 그 직선적 주위 길이(606, 609)의 1.3배 내지 2.0배로 넓어지도록, 그 다각형 형상의 패턴(605)으로는 신률 변형가능한 부분(607, 610)을 갖고, 이 신률 변형 가능한 부분의 그 다각형 변 방향의 직선적인 길이의 합계가, 그 다각형 형상 패턴(605)의 직선적 길이의 1/3배 내지 1배에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스텐트(603)는 다각형 패턴(605)을 둘레 방향, 축 방향으로 복수 가짐으로써, 높은 레이디얼 포스를 유지할 수 있는 동시 가 우수한 스캐폴드성을 갖는다. 또 각각의 다각형 형상 패턴(605)에는, 신률 변형가능한 국소적 절첩 부분(607, 610)이,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교적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다각형 형상 패턴(605)을 통해서 옆 가지에 배치된 별도의 스텐트 딜리버리 카테터의 벌룬의 확장에 의해서, 그 각형 형상 패턴(605)의 주위 길이가 크게 변형할 수 있으며, 따라서 분기 혈관에의 억세스, 그리고 Y스텐트가 가능하게 된다.
특개평10-137345호, 특표평10-503676호 등에 기재된 기술에는, 스트러트가 형성하는 능형부에 있어서, U자상의 부분이 2개 대향하여 존재하지만, 이것은 스텐트에 축 방향으로 유연성을 주는 것이 목적이고, 이 U자상 부분은, Y스텐팅을 가능으로 하기 때문에, 신률 변형시키는 것은 아니며, 그와 같은 기재는 일체 없다. 또 실제로 능형 하나 당, 특허 명세서에 기재된 U자 형상부분 2개소 만으로는 상술의 스텐트 딜리버리 카테터의 벌룬 확장 확대에 의해서, 옆 가지의 억세스를 행하는데 충분한 개구면적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체내의 관상조직에 유치 또는 이식하기 위한 스텐트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면 혈관의 협착 또는 폐색부위를 확장한 후, 그 부위의 재협착을 방지하기 위해서 혈관 내에 유치 또는 이식하기 위한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1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스텐트(101)를 나타낸 전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스텐트(101)의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를 나타낸 설명도.
도 3는, 도 1에 나타낸 스텐트(101)의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스텐트(101)의 미확장시의 전개도.
도 5는 제2실시예의 변형례를 나타낸 스텐트(101)의 전개도.
도 6은 제1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스텐트(201)를 나타낸 전개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스텐트(201)의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를 나타낸 설명도.
도 8은 도 6에 나타낸 스텐트(201)의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을 나타낸 설명도.
도 9는 도 6에 나타낸 스텐트(201)의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를 나타낸 설명도.
도 10은 도 6에 나타낸 스텐트(201)의 미확장시의 전개도.
도 11은 도 6에 나타낸 스텐트(201)의 확장 후의 전개도.
도 12는 제2실시예의 변형례를 나타낸 스텐트(201)의 전개도.
도 13은 제1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스텐트(301)를 나타낸 전개도.
도 14는 제3실시예의 변형례를 나타낸 스텐트(303)의 전개도.
도 15는 제3실시예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스텐트(305)의 스텐트 확장 후의 전개도.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스텐트(305)의 확장전의 전개도.
도 17은 제1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스텐트(401)를 나타낸 전개도.
도 18은 도 17에 나타낸 스텐트(401)의 스텐트 중앙부분의 전개도.
도 19는 도 17에 나타낸 스텐트(401)의 스텐트 양단부분의 전개도.
도 20은 도 17에 나타낸 스텐트(401)의 스텐트 양단부분의 전개도.
도 21은 제4실시예의 변형례를 나타낸 스텐트(402)의 전개도.
도 22는 도 21에 나타낸 스텐트(402)의 스텐트 중앙부분의 전개도.
도 23은 도 21에 나타낸 스텐트(402)의 스텐트 양단부분의 전개도.
도 24는 제4실시예의 별도의 변형례를 나타낸 스텐트(403)의 전개도.
도 25는 도 24에 나타낸 스텐트(403)의 스텐트 중앙부분의 전개도.
도 26은 도 24에 나타낸 스텐트(3)의 스텐트 양단부분의 전개도.
도 27은 제2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텐트(501)를 나타낸 전개도.
도 28은 도 27에 나타낸 스텐트(501)의 확장전의 기본 셀을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29는 도 27에 나타낸 스텐트(501)의 확장 후의 기본 셀을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30은 도 27의 스텐트(501)의 확장전의 기본 셀의 스트러트를 선분으로 모식화한 설명도.
도 31은 도 27에 나타낸 스텐트(501)의 확장 후의 전개도.
도 32는 도 27에 나타낸 스텐트(501)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33은 스텐트 확장시의 소성변형이 일어나는 부분의 형상 변화의 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34는 도 33에 나타낸 형상변화된 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35는 제2발명의 별도의 실시예에 의한 스텐트(502)의 확장전의 전개도.
도 36은 제2발명의 또다른 별도의 실시예에 의한 스텐트(503)의 확장전의 전개도.
도 37은 도 35에 나타낸 스텐트(502)의 확장 후의 전개도.
도 38은 도 36에 나타낸 스텐트(503)의 확장 후의 전개도.
도 39는 제2발명에 의한 스텐트의 링크부(513)의 하나의 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40은 제2발명에 의한 스텐트의 링크부(513)에서, 길이 방향으로 수직의 힘에 대하여 유연성을 부여한 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41은 제2발명에 의한 스텐트의 링크부(513)에서, 길이 방향으로 수직의 힘에 대하여 유연성을 부여한 별도의 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42는 제2발명에 의한 스텐트의 링크부(513)에서, 길이 방향으로 수직의 힘에 대하여 유연성을 부여한 별도의 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43은 제2발명에 의한 스텐트의 링크부(513)에서, 길이 방향으로 수직의 힘에 대하여 유연성을 부여한 별도의 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44는 제2발명에 의한 스텐트(501)의 밴드부(512)와 링크부(513)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45는 Y스텐트, 또는 Y스텐팅을 나타낸 설명도.
도 46은 제3발명에 의한 스텐트(603)의 실시예를 나타낸 전개도.
도 47은 도 46도에 나타낸 스텐트(603)에서의 원래의 직선적 주위 길이(606)를 나타낸 다각형 형상 패턴(605)의 부분확대도.
도 48은 특정한 다각형 형상 패턴(605)의 개구부가 확대된 후의 주위 길이(608)를 나타낸 전개도.
도 49는 제3발명의 별도의 실시예를 나타낸 스텐트(603)의 다각형 형상 패턴(605)의 부분확대도.
도 50은 도 49에 나타낸 실시예로써, 신률 변형가능한 국소적 부분의 다각형의 변 방향의 직선적인 길이를 나타낸 다각형 형상의 패턴(605)의 부분확대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도 5는 제1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스텐트를 나타내며, 도 1는 스텐트(101)의 전개도이다. 스텐트(101)는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로서,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로 되고, 3개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가 서로 직접으로는 연결하지 않고, 스텐트의 대략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6개의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가 서로 직접으로는 연결하지 않고, 스텐트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들이 서로 스텐트의 축 방향으로 교호로 주기적으로 연속해서 스텐트를 구성한다. 원주 1주 당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 및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의 개수는, 제조하는 스텐트의 길이, 외경에 맞추어서 결정되고, 3개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 및 6개의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스텐트(101)는 스텐트의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요소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요소를 겸비함으로써, 반경방향의 바깥 쪽으로 확장 가능하며, 그 때에 스텐트의 축 방향의 수축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원주 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 각각이 서로 직접으로는 연결되지 않고 스텐트의 대략 원주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스텐트에의 유연성 부여가 가능하다.
여기서 말하는 원주 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구성요소라 함은, 각각 관상의 스텐트의 원주 방향, 스텐트의 축 방향(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요소를 의미하지만, 수축이 가능한 구조임이 더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스텐트가 똑바로 혈관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신장하는 변형만으로는 문제가 없으나, 굴곡된 혈관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굴곡부의 외측에서는, 확장시에 생기는 신장 이외에 혈관의 형상으로 배치하기 위한 불필요한 신장이 생기게 된다. 이 경우 굴곡부의 내측에서 수축변형이 가능하면, 굴곡 혈관의 외측에서의 신장과인에 의한 스텐트 스트러트간이 너무 커지게 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스텐트(101)에 나타낸 원주 방향, 또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는 각각 수축도 가능한 구조이다.
또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는, 각각 원주 방향, 축 방향으로 신장할 수 있는 구조이면, 도 1에 나타낸 것 이외에 각종 형상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는, 요구되는 신장시 치수, 확장력의 조정을 위해서 각도 등의 조정, 또 전체를 곡면으로 형성하는 등의 형상변경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는, 산과 골의 정부를 합하여 2개 이상을 갖는 구조임이 바람직하고, 2보다 적으면 신장능력을 갖는 데에 있어서 연결개소의 수를 확보하기는 어렵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4개를 갖는 구조가 요망된다. 도 1에 나타낸 스텐트(101)의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는, 단부에 산과 골의 정부를 갖고, 그 단부를 포함해서 산과 골의 정부를 합친 수가 4개이다. 또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는, 요구되는 신장시 치수, 확장력의 조정을 위해서, 예를 들면 굴곡 개소의 수, 각도 등에 대하여 각종 형상이 가능하다. 다만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의 산과 골의 정부를 합친 수는 1개 이상을 갖는 구조임이 바람직하고, 하나도 없으면 신장 능력을 갖게 하기는 어렵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2 또는 4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4개를 갖는 구조가 요망된다. 도 1에 나타낸 스텐트(101)의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의 산과 골을 합친 수는 4개이다.
또 직접으로는 연속되지 않는 복수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가 스텐트의 대략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서 구성하는 원주 요소(104)는, 그 축 방향의 길이가 짧은 편이 굴곡된 혈관에 삽입되는 경우, 스텐트가 원활하게 굴곡하기 때문에, 혈관벽을 손상시키지 않아 아주 적절하다. 바람직하기로는 스텐트 10mm 당 5개 이상의 원주 요소(104)를 갖는 편이 바람직하다.
원주 1주 당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 및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의 개수가 적으면, 큰 혈관 유지력을 기대할 수 없다. 바람직하기로는 원주 1주 당,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가 3개 이상,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가 6개 이상이며, 이 경우에는 높은 혈관보관 유지력을 발현할 수 있다.
스텐트(101)의 양단은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가 직접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형상이 1주에 걸쳐서 구성된다. 이에 스텐트 양단은 스텐트 중앙부분에 비해서,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커지고, 또한 확장시에 스텐트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휘어지는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또 스텐트의 축 방향의 양단을 구성하는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의 스텐트 축 방향의 길이가, 스텐트의 축 방향의 양단 이외를 구성하는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의 스텐트 축 방향의 길이에 비해서 짧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더 커지고, 또한 확장시에 스텐트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휘어지는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또 스텐트의 축 방향의 양단만이, 스텐트 축 방향 양단 이외의 개소에 비해서,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의 스트러트의 폭을 넓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힘에 대한 저항이 더 커지고, 또한 확장시에 스텐트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휘어지게 되는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다만 여기서 말하는 스트러트라 함은 스텐트를 구성하는 선 형상의 부재를 의미한다.
또 스텐트의 축 방향이 양단에만, 스텐트 축 방향의 양단 이외의 개소에 비해서,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의 스트러트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더 커지고, 또한 확장시에 스텐트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휘어지게 되는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또 스텐트의 축 방향의 양단만이, 스텐트 축 방향의 양단 이외의 개소에 비해서,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의 스텐트 축 방향의 길이가 짧은 것, 스트러트의 폭이 넓은 것, 스트러트의 두께가 두꺼운 것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스텐트의 축 방향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단부에 변이됨에 따라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와,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스텐트 축 방향의 길이를 단계적으로 짧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를 행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더 커지고, 또한 확장시에 스텐트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휘어지게 되는 문제도 생기지 않고, 또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이 큰 변화를 갖지 않고, 단계적으로 유연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 스텐트의 축 방향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단부에 감에 따라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와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스트러트의 폭을 단계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를 행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더 커지고, 또한 확장시에 스텐트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휘어지게 되는 문제도 생기지 않고, 또 스텐트 축 방향 유연성이 큰 변화를 갖지 않고, 단계적으로 유연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 스텐트의 축 방향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단부에 감에 따라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와,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스트러트의 두께를 단계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를 행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더 커지고, 또한 확장시에 스텐트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휘어지게 되는 문제도 생기지 않고, 또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이 큰 변화를 갖지 않고, 단계적으로 유연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 스텐트의 축 방향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단부에 감에 따라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와,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의 구성요소(103)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스텐트 축 방향의 길이를 단계적으로 짧게 하고, 스트러트의 폭을 단계적으로 넓게 하고, 스트러트의 두께를 단계적으로 두껍게 하는 등을 병용할 수 있다.
도 1의 스텐트(101)는 스텐트 축 방향으로, 양단을 포함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가 9열,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가 8열, 교호로 연속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양단을 포함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는 9열,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 8열은, 제조하는 스텐트의 길이, 외경에 맞추어서 결정되고, 양단을 포함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는 9열,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는 8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가 스텐트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하고, 또한 직접으로는 연속되지 않는다. 또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도 스텐트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고, 또한 직접으로는 연속하지 않는다.
도 2에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의 1태양, 도 3에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의 1태양을 나타냈다.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는 직선부(122, 124, 126)와, 연결부(121, 123, 125, 127)로 구성되고,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는 직선부(133, 135, 137)와, 연결부(131, 139) 및 만곡부(132, 134, 136, 138)로 구성된다. 모든 연결부(121, 123, 125, 127)가 각각 연결부(131) 또는 (139) 중의 어느 것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스텐트가 확장될 때에,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 및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에 힘이 균등하게 전해지기 쉬어, 스텐트 스트러트를 균일하게 확장할 수 있다.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의 직선부(122,124, 126), 및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의 직선부(133, 135, 137)에 관하여, 스트러트의 폭 및 두께를 크게 (두껍게)하면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을 손상시키고, 반대로 폭 및 두께를 작게 (얇게)하면 외주로부터 받는 직경 방향의 응력에 대하여 견딜 수 있는 힘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 및 외주로부터 받는 직경 방향의 응력에 대하여 견딜 수 있는 힘의 쌍방의 성능을 적절히 충족시키기 위해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의 직선부(122, 124, 126)는 폭 80㎛에서 150㎛, 또한 두께 70㎛에서 150㎛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폭 120㎛에서 140㎛, 또한 두께 100㎛에서 120㎛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의 직선부(133, 135, 137)는 폭 50㎛에서 100㎛, 또한 두께 50㎛에서 150㎛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폭 60㎛에서 80㎛, 또한 두께 80㎛에서 120㎛가 바람직하다. 다만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 103), 모두 스텐트를 구성하는 재료, 사용되는 부위에 따라서는 상기 치수 이외의 각종 사이즈로 조정을 할 수 있다.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의 축 방향의 길이가 길면, 스텐트가 굴곡된 혈관에 삽입될 때에, 스텐트가 매끄럽게 굴곡되지 않아 스트러트의 모가 나기 쉽고, 반대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의 축 방향의 길이가 짧으면, 스텐트를 확장할 때에 필요한 스텐트 직경까지 확장할 수 없다. 또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의 축 방향의 길이가 길면, 확장시에 스텐트 스트러트간에 의해서형성되는 공극이 커져서, 이 공극 부분으로부터 관상조직의 내피세포가 크게 비어져나오게 되어, 재협착의 원인으로 되는 경우도 있다. 반대로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의 축 방향의 길이가 짧으면,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이 손상을 입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의 축 방향의 길이는 0.8mm에서 1.8mm임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1.0mm에서 1.4mm이다. 또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의 축 방향의 길이는 0.5 mm에서 1.5mm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7mm에서 1.0mm이다. 다만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 103) 모두 스텐트를 구성하는 재료, 사용되는 부위에 따라서는 상기 치수 이외의 각종 사이즈로 조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는, 적절한 강성 또한 탄성을 갖는 스테인레스강, Ni-Ti합금, Cu-Al-Mn합금 등의 금속, 적절한 강성 또한 탄성을 갖는 고분자 소재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는 보호재료의 플레이팅, 의약품의 함침 및 재료에서의 커버 중 어느 것에 의해서 마무리되어도 좋다.
또 스텐트 성형방법으로서는, 레이져가공법, 방전가공법, 기계적인 절삭방법, 에칭방법 등이 가능하다.
제4도에 벌룬 카테터에 마운트되었을 때의,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의 전개도를 나타낸다. 제4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벌룬 카테터에 마운트되었을 때에도,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가 스텐트의 원주 방향으로배열하고, 또한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도 스텐트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하고, 또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가 원주 방향으로 배열하여 되는 원주 요소(104)와,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가 원주 방향으로 배열하여 되는 원주요소는, 스텐트의 축 방향에 대하여 교호로 연속된다. 이에 의해서 스텐트가 확장될 때,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가 축 방향으로 수축되어도,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는 축 방향으로 확장되므로, 스텐트 전체신장은 스텐트 확장 전후에 있어서,거의 같은 길이를 유지할 수 있다.
제5도에는 제1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변형례를 나타내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텐트의 축 방향의 양단만이 직접 연속된 복수의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가 스텐트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서 형성되고, 또 축 방향의 길이는, 스텐트의 축 방향 양단 이외를 구성하는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의 축 방향의 길이에 비해서 짧게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스텐트 단부의 스트러트의 휘어짐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양단부의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양단부만의 스트러트 폭,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도 6~도 12는 제1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스텐트를 나타내고,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201)의 전개도이다. 스텐트(201)는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쪽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로서,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와,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로 되고, 3개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가 서로 직접으로는 연결되지 않고 스텐트의 대략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3개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가 서로 직접으로는 연결하지 않고, 스텐트의 대략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또 6개의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는 서로 직접으로는 연결되지 않고 스텐트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것은 서로 스텐트의 축 방향으로 교호로 주기적으로 연속하여 스텐트를 구성한다. 원주 1주 당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 및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개수는, 제조하는 스텐트의 길이, 외경에 맞추어 결정되고, 3개의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3개의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 및 6개의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텐트(201)는 스텐트의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요소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요소를 겸비함으로써,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확장 가능하고, 그 때에 스텐트의 축 방향의 수축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원주 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203), 204) 각각이 서로 직접으로는 연결되지 않고, 스텐트의 대략 원주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스텐트에의 유연성 부여가 가능하다.
여기서 말하는 원주 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구성요소라 함음, 각각 관상의 스텐트의 원주 방향, 스텐트의 축 방향(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것이가능한 구조를 갖는 요소를 의미하지만, 수축이 가능한 구조임이 더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스텐트가 똑바로 혈관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신장하는 변형 만으로 문제는 없으나, 굴곡된 혈관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굴곡부의 외측에서는 확장시에 생기는 신장 이외에 혈관의 형상에 배치하기 위한 불필요한 신장이 생기게 된다. 이 경우 굴곡부의 내측에 있어서 수축변형이 가능하면, 굴곡혈관의 외측에서의 과잉신장에 의한 스텐트 스트러트간이 너무 커지는 일이 저감된다. 스텐트(201)에 나타낸 원주 방향, 또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203), 204)는 각각 수축도 가능한 구조이다.
또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203)과 204)는 각각 원주 방향과 축 방향으로 신장할 수 있는 구조이면, 도 6에 나타낸 것 이외에 각종 형상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203))는 요구되는 신장시 치수, 확장력의 조정을 위해서, 각도 등의 조정, 또 전체를 곡면으로 형성하는 등의 형상변경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203))는 모두 산과 골의 정부를 합쳐서 2개 이상을 갖는 구조가 바람직하고, 2보다 적으면 신장능력을 갖는 데 있어서 연결 개소의 수를 확보하기가 어렵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4개를 갖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도 6에 나타낸 스텐트(201)의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203))는 모두 단부에 산과 골의 정부를 갖고, 그 끝을 포함해서 산과 골의 정부를 합친 수가 4개이다. 또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는, 요구되는 신장시 치수, 확장력의 조정을 위해서, 예를 들면 굴곡 개소의 수, 각도 등에 대하여 각종형상이 가능하다. 다만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산과 골의 정부를 합친 수는 1개 이상을 갖는 구조임이 바람직하고, 하나도 없으면 신장능력을 갖게 하기가 어렵다. 또 바람직하기로는 2 또는 4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4개를 갖는 구조가 요망된다. 도 6에 나타낸 스텐트(201)의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산과 골을 합친 수는 4개이다.
또 도 6에 나타낸 스텐트(201)는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와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가 서로 선대칭 형상의 관계에 있다. 선대칭 형상인 경우, 확장시에 스트러트를 균일하게 확장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직접으로는 연속하지 않은 복수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가 스텐트의 대략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구성하는 원주요소(205), 직접으로는 연속하지 않은 복수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가 스텐트의 대략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구성하는 원주요소(206)는, 그 축 방향의 길이가 짧은 편이, 굴곡된 혈관에 삽입되는 경우에, 스텐트가 매끄럽게 굴곡되므로, 혈관벽을 손상시키지 않아서 적절하다. 바람직하기로는 스텐트의 길이는 10mm 당, 원주요소(205)와 원주요소(206)를 합하여 5개 이상을 갖는 편이 바람직하다.
원주 1주 당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203) 및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개수가 적으면, 큰 혈관유지력을 기대할 수 없다. 바람직하기로는 원주 1주 당,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또는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가 3개이상,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가 6개 이상이고, 이 경우에는 높은 혈관 보관유지력을 발현할 수 있다.
스텐트(201)의 양단은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또는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가 직접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형상이 1주에 걸쳐서 구성된다. 이에 의해서 스텐트 양단은 스텐트 중앙부분에 비해서,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커지고, 또한 확장시에 스텐트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휘어지게 되는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또 스텐트의 축 방향 양단을 구성하는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또는 (203)의 스텐트 축 방향의 길이가, 스텐트의 축 방향의 양단 이외를 구성하는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또는 (203)의 스텐트 축 방향의 길이에 비해서 짧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더 커지고, 또한 확장시에 스텐트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휘어지게 되는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또 스텐트의 축 방향의 양단만이, 스텐트 축 방향의 양단 이외의 개소에 비해서,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또는 (203), 또는 그 양쪽의 스트러트의 폭을 넓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더 커지고, 또한 확장시에 스텐트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휘어지게 되는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다만 여기서 말하는 스트러트라 함은, 스텐트를 구성하는 선 형상 부재를 의미한다.
또 스텐트의 축 방향의 양단만이, 스텐트 축 방향의 양단 이외의 개소에 비해서,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또는 (203), 또는 그 양쪽 스트러트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더 커지고, 또한 확장시에 스텐트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휘어지게 되는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또 스텐트의 축 방향의 양단만이, 스텐트 축 방향의 양단 이외의 개소에 비해서,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또는 (203), 또는 그 양쪽 스텐트 축 방향의 길이가 짧은 것, 스트러트의 폭이 넓은 것, 스트러트의 두께가 두꺼운 것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스텐트 축 방향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단부로 변이(變移)함에 따라서,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와, (203)이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스텐트의 축 방향의 길이를 단계적으로 짧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더 커지고, 또한 확장시에 스텐트 양단부는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휘어지게 되는 문제도 생기지 않고, 또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이 큰 변화를 갖지 않고, 단계적으로 유연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 스텐트의 축 방향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단부에 감에 따라서,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와, (203)이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스트러트의 폭을 단계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힘에 대한 저항이 더 커지게 되고, 또한 확장시에 스텐트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휘어지게 되는 문제도 생기지 않고, 또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이 큰 변화를 갖지 않고, 단계적으로 유연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 스텐트의 축 방향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단부에 감에 따라서,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와, (203)이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스트러트의 두께를 단계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또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커지고, 또한 확장시에 스텐트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휘어지게 되는 문제도 생기지 않고, 또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이 큰 변화를 갖지 않고, 단계적으로 유연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 스텐트의 축 방향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단부로 감에 따라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와, (203)이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스텐트 축 방향의 길이를 단계적으로 짧게 하고, 스트러트의 폭을 단계적으로 넓게 하고, 스트러트의 두께를 단계적으로 두껍게 하는 등을 병용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및 (203)은, 스텐트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하고, 또한 직접으로는 연속하지 않는다. 또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도, 스텐트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하고, 또한 직접으로는 연속하지 않는다.
도 7에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의 1태양, 제8도에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의 1태양, 제9도에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1태양을 나타냈다.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는, 직선부(222, 224, 226)와 연결부(221, 223, 225, 227)로 구성되고,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는 직선부(232, 234, 236)와 연결부(231, 233, 235, 237)로 구성되고,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는 직선부(243, 245, 247)와 연결부(241, 249) 및 만곡부(242, 244, 246, 248)로 구성된다.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및 (203)의 모든 연결부(221, 223, 225, 227, 231, 233, 235, 237)는, 각각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연결부(241) 또는 (249)의 어느 것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스텐트가 확장될 때에,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203) 및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에 힘이 균등하게 전해지기 쉬어, 스텐트 스트러트을 균일하게 확장할 수 있다.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의 직선부(222, 224, 226),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의 직선부(232, 234, 236), 및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직선부(243, 245, 247)에 관하여, 스트러트의 폭 및 두께를 크게 (두껍게)하면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을 손상하지 않고, 반대로 폭 및 두께를 작게(가늘게) 하면 외주로부터 받는 직경 방향의 응력에 대하여 견딜 수 있는 힘이 작어진다. 따라서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 및 외주로부터 받는 직경 방향의 응력에 대하여 견딜 수 있는 힘의 쌍방의 성능을 적절히 충족시키기 위해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및 (203)의 직선부(222, 224, 226, 232, 234, 236)는 폭 80㎛로부터 150㎛, 또한 두께는 70㎛로부터 150㎛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폭 120㎛로부터 140㎛, 또 두께는 100㎛에서 120㎛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직선부(243, 245, 247)는 폭 50㎛에서 100㎛ , 또한 두께 50㎛에서 150㎛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폭 60㎛에서 80㎛, 두께 80㎛에서 120㎛가 바람직하다. 다만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203),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 모두 스텐트를 구성하는 재료, 사용되는 부위에 따라서는 상기 치수 이외의 각종 사이즈로 조정을할 수 있다.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및 (203)의 축 방향이 길이가 길면, 스텐트가 굴곡된 혈관에 삽입될 때에, 스텐트가 매끄럽게 굴곡되지 않아 스트러트의 모가 나기 쉽고, 반대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및 (203)의 축 방향의 길이가 짧으면, 스텐트를 확장할 때에 필요한 스텐트 직경까지 확장할 수 없다. 또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축 방향의 길이가 길면, 확장시에 스텐트 스트러트간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극이 커지고, 이 공극부분으로부터 관상조직의 내피세포가 크게 비어져 나오게 되어, 재협착의 원인으로 되는 경우도 있다. 반대로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축 방향의 길이가 짧으면,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이 손상을 입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및 (203)의 축 방향의 길이는 0.8mm에서 1.8mm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기로는1.0mm에서 1.4mm이다. 또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축 방향의 길이는, 0.5mm에서 1.5mm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0.7mm에서 1.0mm이다. 다만 원주 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203), 204) 모두, 스텐트를 구성하는 재료, 사용되는 부위에 따라서는, 상기 치수 이외의 각종 사이즈로 조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는, 적절한 강성 또한 탄성을 갖는 스테인레스강, Ni-Ti합금, Cu-Al-Mn합금 등의 금속, 적절한 강성 또한 탄성을 갖는 고분자 소재로 제조할 수 있다.
스텐트(201)는 보호재료의 플레이팅, 의약품의 함침 및 재료에서의 커버 중의 어느 것에 의해서 마무리되어도 좋다.
또 스텐트 성형 방법으로서는, 레이져 가공법, 방전가공법, 기계적인 절삭방법, 에칭방법 등이 가능하다.
도10에 벌룬 카테터에 마운트되었을 때의,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의 전개도를 나타낸다. 도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벌룬 카테터에 마운트되었을 때에도,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는, 서로 직접 연결하지 않고 스텐트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하는 원주 요소(205)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도 서로 직접 연결하지 않고, 스텐트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하여 원주요소(206)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도 서로 직접 연결하지 않고, 스텐트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하여 원주 요소(207)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원주 요소(205), 상기 원주요소(206), 상기 원주 요소(207)은, 원주 요소(205), 원주 요소(207), 원주 요소(206), 원주 요소(207)의 순서로 스텐트 축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연속한다. 이에 의해서 스텐트가 확장될 때,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또는 (203)이 축 방향으로 수축하여도,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가 축 방향으로 확장되므로 스텐트 전체신장은, 스텐트 확장 전후에 거의 같은 길이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1에는 확장 후의 스텐트의 전개도를 나타냈다. 도 11 와 같고, 확장 후의 스텐트(201)는 스텐트 양단 부분을 제외하고, 긴 쪽의 사변형이 조합되어서 구성되어 있고, 또 상기 긴 쪽의 사변형은 스텐트 축 방향과 일정한 각도를 갖는 2방향의 사변형이 존재하고,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은 규칙성을 갖고 연속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사변형이 스텐트 축 방향과 일정한 각도를 갖는다 함은, 사변형이 스텐트 축 방향과 평행한 변을 갖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스텐트 확장 후에, 스텐트 축 방향과 일정한 각도를 갖고, 존재하는 2종의 긴 쪽의 사변형이 도 11와 같은 규칙성을 갖고 배치됨으로써,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크고, 또한 축 방향으로 유연한 스텐트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2에는 제1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변형례를 나타내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텐트의 축 방향의 양단만이, 직접 연속된 복수의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또는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는 스텐트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서 형성되고, 또 상기 스텐트의 축 방향의 양단만의 축 방향의 길이는, 스텐트의 축 방향의 양단 이외를 구성하는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파형 구성요소(202), 또는 (203)의 축 방향의 길이에 비해서 짧아져 있다. 이에 의해서 스텐트 단부의 스트러트의 휘어짐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양단부의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양단부만의 스트러트 폭, 두께를 두껍를 두껍게 함으로써,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도 13~도 16은 제1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스텐트를 나타내고, 제1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301)의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내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로서, 상기 스텐트를 구성하는 기본요소는 대략 평행사변형으로서, 상기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2)가 엇갈리게 조합되어서 스텐트(301)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2)가 엇갈리게 조합되었다 함음, 전개도에서 본 경우에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배열하는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2)가 존재하고, 그들이 서로 조합되어서 구성된 것을 말한다. 스텐트 양단부를 스텐트 축 방향과 대략 직교되는 반경 단면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스텐트 양단부에만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 이외의 요소를 포함하는 일이 있다.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2)로 구성함으로써, 종래 스텐트에 비해서 접속 개소를 줄일 수 있어, 스텐트 확장전에 있어서느 높은 유연성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스텐트 확장 후에는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2)가 엇갈리게 조합됨으로써, 높은 레이디얼 포스를 갖는다. 즉 상기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2)는, 스텐트의 확장 전후에 스텐트 축 방향과 이룬 각도가 변화되고, 확장전에 있어서의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2)와, 스텐트 축 방향이 형성하는 각도는 확장 후에 있어서의 대략평행사변형 요소(302)와, 스텐트 축 방향이 형성되는 각도보다 작다. 따라서 종래의 스텐트에 비해서 접속 개소를 줄일 수 있는 것과 아울러, 스텐트 확장전에 있어서는 높은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을 갖는 동시에, 스텐트 확장 후에는 레이디얼 포스가 높다는 등의 2개의 성능을 양립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이디얼 포스라 함은,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을 표시한다. 레이디얼 포스가 낮으면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낮고,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하여 스텐트가 축경(縮徑)되어, 혈류를 저해하여, 최악의 경우는 재협착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어, 높은 레이디얼 포스가 필요하게 된다.
스텐트(301)는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2)가 균일하게 배치되므로, 스텐트의 스트러트를 균일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스텐트(301)의 축 방향으로 배열하는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2)의 개수를 적게 하면, 높은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을 얻을 수 있으나, 레이디얼 포스가 낮어진다. 또 상기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2)의 개수를 많이 늘리면, 높은 레이디얼 포스를 얻을 수 있으나,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이 낮어진다. 적절한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과 높은 레이디얼 포스를 얻기 위해서는, 스텐트(301)의 축 방향으로 배열하는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2)의 개수는, 스텐트 축 방향의 길이 20mm 당 7개 이상 11개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8개 이상 10개 이하이다.
도 14는 제1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변형례의 스텐트(303)의 전개도이다. 스텐트(303)는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내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로서, 상기 스텐트(303)는 구성하는 기본요소는 대략 평행사변형이고, 상기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4)는 엇갈리게 조합되어서 스텐트(303)를 구성하고,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4)는 대략 직선 스트러트(321)와 대략 파형 스트러트(322)로 구성된다. 여기서 말하는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4)가 엇갈리게 조합되었다 함은, 전개도에서 본 경우,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배열하는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4)가 존재하고, 그들이 서로 조합되어서 구성된 것을 말한다. 스텐트 양단부를 스텐트 축 방향과 대략 직교되는 반경 단면으로 조정하기 때문에, 스텐트 양단부에만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 이외의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4)로 구성함으로써, 종래 스텐트에 비해서 접속 개소를 줄일 수 있고, 스텐트 확장전에는 높은 유연성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스텐트 확장 후는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4)가 엇갈리게 조합됨으로써 높은 레이디얼 포스를 갖는다. 즉 상기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4)는, 스텐트의 확장 전후에 있어서, 스텐트 축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변화되고, 확장 전에 있어서의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4)와 스텐트 축 방향이 형성하는 각도는, 확장 후의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4)와 스텐트 축 방향이 형성되는 각도보다 작다. 따라서 종래 스텐트에 비해서 접속 개소를 줄일 수 있는 것과 아울러, 스텐트 확장전에는 높은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을 갖는 동시에, 스텐트 확장 후에는 레이디얼 포스가 높다는 2개의 성능을 양립할 수 있다.
또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4)가 대략 파형 스트러트(322)를 갖기 때문에, 스텐트 확장 전에는 보다 높은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대략 파형 스트러트(322)가 축 방향으로 신축함으로써, 확장시의 스텐트 축 방향의길이의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스텐트(303)는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4)가 균일하게 배치되므로, 스텐트의 스트러트를 균일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스텐트(303)의 축 방향으로 배열하는 대략 평행사변형의 개수를 적게 하면, 높은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을 얻을 수 있으나, 레이디얼 포스가 낮어진다. 또 상기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4)의 개수를 많이 늘리면, 높은 레이디얼 포스가 얻어지지만,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이 낮어진다. 적절한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과 높은 레이디얼 포스를 얻기 위해서는, 스텐트(303)의 축 방향으로 배열하는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4)의 개수가, 스텐트 축 방향의 길이 20mm 당 5개 이상, 9개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6개 이상, 8개 이하이다.
도 15는 제1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의 별도의 변형례의 스텐트(305)의 스텐트 확장 후의 전개도이고, 제16도는 상기 스텐트(305)의 확장 전의 전개도이다. 스텐트(305)는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내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로서, 상기 스텐트(305)를 구성하는 기본요소는 대략 평행사변형이고, 상기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6)는 엇갈리게 조합되어서 스텐트(305)를 구성하고 있으며,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6)는 대략 직선 스트러트(331)가 대략 파형 스트러트(332)로 구성된다. 여기서 말하는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6)가 엇갈리게 조합되었다 함은, 평면도에서 본 경우에,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배열하는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6)가 존재하고, 그들이 서로 조합되어서 구성된 것을 말한다. 스텐트 양단부를 스텐트 축 방향과 대략 직교되는 반경 단면으로 조정하기 때문에,스텐트 양단부에만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 이외의 요소를 포함하는 일이 있다. 또 스텐트(305)는 스텐트 확장 전에는,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6)의 각 변이 스텐트 축선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고(제16도), 스텐트 확장 후는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6)의 각 변이 스텐트 축선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갖는다(도 15).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6)로 구성함으로써, 종래 스텐트에 비해서 접속 개소를 줄일 수 있어, 스텐트 확장 전에는 높은 유연성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스텐트 확장 후에는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가 엇갈리게 조합됨으로써 높은 레이디얼 포스를 갖는다. 즉 상기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6)는, 스텐트의 확장 전후에 스텐트 축 방향과 이룬 각도가 변화되고, 스텐트 확장 전에는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6)의 각 변이 스텐트 축선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고(도 16), 스텐트 확장 후에는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6)의 각 변이 스텐트 축선 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가짐으로써, 종래의 스텐트에 비해서, 스텐트 확장 전에는 높은 스텐트 축 방향으로 유연성을 갖는 동시에, 스텐트 확장 후는 레이디얼 포스가 높다는 2개의 성능을 양립할 수 있다.
또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6)가 대략 파형 스트러트(332)를 갖기 때문에, 스텐트 확장 전에는 보다 높은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대략 파형 스트러트(332)가 축 방향으로 신축되므로, 확장시의 스텐트 축 방향의 길이의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스텐트(305)는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6)가 균일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스텐트의 스트러트를 균일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스텐트(305)의 축 방향으로 배열하는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6)의 개수를 적게 하면, 높은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을 얻을 수 있으나, 레이디얼 포스가 낮어진다. 또 상기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6)의 개수를 많이 늘리면, 높은 레이디얼 포스를 얻을 수 있으나,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이 낮어진다. 적절한 스텐트 축 방향이 유연성과 높은 레이디얼 포스를 얻기 위해서는, 스텐트(305)의 축 방향으로 배열하는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6)의 개수는, 스텐트 축 방향의 길이 20mm 당 5개 이상, 9개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6개 이상, 8개 이하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는 스텐트 축 방향으로, 상이한 면적인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6)를 배치함으로써, 스텐트 축 방향에서 상이한 유연성, 레이디얼 포스를 얻을 수 있고, 상기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6)의 각 면적은 스텐트의 직경, 길이에 맞추어서 적절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305)는, 스텐트 축 방향으로 상이한 스트러트의 폭, 스트러트의 두께, 또는 그 양쪽을 조합함으로써 스텐트 축 방향에서 상이한 유연성, 레이디얼 포스를 얻을 수 있고, 상기 스트러트의 폭, 스트러트의 두께는 스텐트의 직경, 길이에 맞추어 적절하게 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의한 스텐트(301, 303, 305)는 적절한 강성 또한 탄성을 갖는 스테인레스강, Ni-Ti합금, Cu-Al-Mn합금 등의 금속, 적절한 강성, 또한 탄성을 갖는 고분자 소재로 제조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의한 스텐트(301, 303, 305)는, 보호재료의 플레이팅, 의약품의 함침(含浸) 및 재료에서의 커버 중의 어느 것에 의해서 마무리되어도 좋다.
제3실시예에 의한 스텐트(301, 303, 305)에, 동맥내막(動脈內膜) 비후(肥厚)를 억제할 수 있는 약제, 또는 혈관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약제, 항혈소판약(아스피린, 헤파린, 항트롬빈 제약, 디피리미다몰 등), 항염증약(스테로이드 등)을 부착·코팅할 수 있다.
도 17~도 26은 제1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스텐트를 나타내고, 도 17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401)의 전개도이다. 스텐트(401)는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로서, 그 스텐트는 직경 방향으로 확장가능한 환상의 제1 대략 파형요소(411)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링크부 요소(413)와, 제1 대략 파형요소로부터 신장하는 가지 형상의 요소(412)와, 및 양단부를 형성하는 제2대략 파형요소(414)로 되고, 제1 대략 파형요소(411)의 정점에 링크부 요소(413)의 한쪽 끝이 연결되고, 링크부 요소(413)의 다른 끝이 가지 형상의 요소(412)의 한쪽 단부에 연결되고, 가지 형상의 요소(412)의 다른 끝이 제1 대략 파형요소(411)의 중점에 연결되어서, 축 방향으로 연속되고, 링크부 요소(413)를 거쳐서 스텐트 양단부에 제2대략 파형요소(414)를 연결하여 구성된다. 스텐트(401)는 스텐트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확장가능한 요소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요소를 겸비함으로써,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확장가능하고, 그 때에 스텐트의 축 방향의 수축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스텐트(401)가, 직경 방향으로 확장가능한 환상의 제1 대략 파형요소(411)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링크부 요소(413)와, 제1 대략 파형요소로부터 신장하는 가지 형상의 요소(412)와, 및 양단부를 형성하는 제2 대략 파형요소(414)로 되므로, 스텐트 확장시에, 스텐트(401)는 4변 모두가 스텐트 축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갖는 사각형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사각형이 엇갈리게 배치되고, 또 상기 사각형이 스텐트 확장 전에, 4변 모두가 스텐트 축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 스텐트 확장 전에는, 스텐트 축 방향으로 우수한 유연성을 갖는 동시에, 스텐트 확장 후는, 스텐트 반경 방향에 대하여 우수한 강도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말하는 스텐트 반경 방향이란, 스텐트 축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의 방향을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반경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구성요소라 함은, 각각 관상의 스텐트의 반경 방향, 스텐트의 축 방향으로 신장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요소를 의미하지만, 또 수축이 가능한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스텐트가 똑바로 혈관에 배치되는 경우는, 기본적으로 신장하는 것 만의 변형으로는 문제 없으나, 굴곡된 혈관에 배치되는 경우는, 굴곡부의 외측에서는 확장시에 생기는 신장 이외에 혈관의 형상으로 배치하기 위한 불필요한 신장이 생기게 된다. 이 경우 굴곡부의 내측에서 수축 변형이 가능하면, 굴곡혈관의 외측에서의 과잉 신장에 의한 스텐트 스트러트간이 너무 커지는 것을 주릴 수 있다. 스텐트(401)에 나타낸 반경 방향,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제1 대략 파형요소(411), 제2대략 파형요소(414), 링크부 요소(413)는 각각 수축도 가능한 구조이다.
스텐트(401)에 있어서, 직경 방향으로 확장가능한 환상의 제1 대략 파형요소(411)는, 축 방향에 대하여 동위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환상의 제1 대략 파형요소(411)가, 축 방향에 대하여 동위상(同位相)으로 배치함으로써 스텐트를 확장할 때, 스텐트를 균일하게 확장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제1 대략 파형요소(411), 상기 제2 대략 파형요소(414) 및 상기 링크부 요소(413)는, 각각 반경 방향, 축 방향으로 신장할 수 있는 구조라면, 도 17에 나타낸 것 이외에 각종 형상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반경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제1 대략 파형요소(411), 제2대략 파형요소(414)는, 요구되는 신장시 치수, 확장력의 조정을 위해서, 대략 파형의 산과 골의 수, 각도 등의 조정, 또 전체를 곡면으로 형성하는 등의 형상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반경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제1 대략 파형요소(411)의 축 방향의 길이가 길면, 스텐트가 굴곡된 혈관에 삽입될 때에, 스텐트가 매끄럽게 굴곡될 수 없어, 스텐트의 모가 나기 쉽고, 반대로 짧으면, 스텐트가 확장할 때에 필요한 스텐트 직경까지 확장할 수가 없다. 또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링크부 요소(413)의 축 방향의 길이가 길면, 확장시에 스텐트 스트러트간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극이 커지고, 이 공극 부분으로부터 관상조직의 내피세포가 크게 비어져 나오게 되어서, 재협착의 원인으로 되는 경우도 있다. 반대로 링크부 요소(413)의 축 방향의 길이가 짧으면,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이 손상을 입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반경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제1 대략 파형요소(411)의 축 방향의 길이는 1.0mm에서 2.2mm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1.4mm에서 1.8mm이다. 또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링크부 요소(413)의 축 방향의 길이는 0.5mm에서 1.5mm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0.8mm에서 1.2mm이다.
원주 1주 당 상기 환상의 제1 대략 파형요소(411)의 파형수가 적으면, 큰 혈관 보관유지력을 기대할 수 없다. 바람직하기로는 원주 1주 당의 상기 환상의 제1 대략 파형요소(411)의 파형수는 3개 이상이고, 이 경우는 높은 혈관 보관유지력을 발현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원주 1주 당의 상기 환상의 제1 대략 파형요소(411)의 파형수란 산과 골을 포함한 1주기를 파형 하나로 셈하여, 도 17에서의 원주 1주 당의 상기 환상의 제1 대략 파형요소(411)의 파형수는 3개다.
스텐트(401)의 양단은 상기 가지 형상의 요소(412)와 연속하지 않은 상기 환상의 제2대략 파형요소(414)로 구성된다. 또 원주 1주 당의 파형수도, 스텐트 중앙부를 구성하는 상기 환상의 제1 대략 파형요소(411)의 파형수보다, 스텐트 양단부를 구성하는 상기 환상의 제2대략 파형요소(414)의 파형수를 많이 늘림으로써, 스텐트 양단은 스텐트 중앙부에 비해서,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커지고, 또한 확장시에 스텐트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휘어지게 되는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또 스텐트 양단부를 구성하는 상기 환상의 제2대략 파형요소(414)의 축 방향의 길이를, 스텐트 중앙부를 구성하는 상기 환상의 제1 대략 파형요소(411)의 축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또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커지고, 또한 확장시에 스텐트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휘어지게 되는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또 스텐트 양단부를 구성하는 상기 환상의 제2대략 파형요소(414)의 스트러트의 폭을, 스텐트 중앙부를 구성하는 상기 환상의 제1 대략 파형요소(411)의 축 방향의 스트러트의 폭에 비해서 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를 하지 않는 경우에비해서,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더 커지고, 또한 확장시에 스텐트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휘어지게 되는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또 스텐트 양단부를 구성하는 상기 환상의 제2대략 파형요소(414)의 스트러트의 두께를, 스텐트 중앙부를 구성하는 상기 환상의 제1 대략 파형요소(411)의 축 방향의 스트러트의 두께에 비해서 두껍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더 커지고, 또한 확장시에 스텐트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휘어지게 되는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또 스텐트 양단부를 구성하는 상기 환상의 제2대략 파형요소(414)만이, 스텐트 중앙부를 구성하는 상기 환상의 제1 대략 파형요소(411)에 비해서, 스텐트 축 방향의 길이를 짧게, 스트러트 폭을 크게, 스트러트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을 병용할 수 있다.
또 스텐트 중앙부를 구성하는 상기 환상의 제1 대략 파형요소(411), 및 스텐트 양단부를 구성하는 상기 환상의 제2대략 파형요소(414)가, 스텐트 축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 단부로 감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스텐트 축 방향의 길이를 짧게, 스트러트 폭을 크게, 스트러트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커지고, 또한 확장시에 스텐트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휘어지게 되는 문제도 생기지 않고, 또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대략 파형요소(411) 및 상기 제2대략 파형요소(414)에 관하여, 스트러트의 폭 및 두께를 크게 (두껍게)하면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을 손상시키고, 반대로 폭 및 두께를 작게(얇게) 하면 외주로부터 받는 직경 방향의 응력에 대하여 견딜 수 있는 힘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 및 외주로부터 받는 직경 방향의 응력에 대하여, 견딜 수 있는 힘의 쌍방의 성능을 적절히 충족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 대략 파형요소(411) 및 상기 제2대략 파형요소(414)는, 폭 80㎛에서 150㎛ 또한 두께 70㎛에서 150㎛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폭 120㎛에서 140㎛, 또한 두께 100㎛에서 120㎛가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부 요소(413)에 관하여, 스트러트의 폭 및 두께를 크게(두껍게) 하면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을 손산시키지 않고, 반대로 폭 및 두께를 작게(얇게) 하면, 스텐트 굴곡시에 파단되고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 및 스텐트 굴곡시의 파단에 대한 강도의 쌍방의 성능을 적절히 충족시키기 위해서, 상기 링크부 요소(413)는 폭 30㎛에서 90㎛ 또한 두께 70㎛로부터 150㎛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폭 50㎛에서 70㎛ 또한 두께 100㎛에서 120㎛가 바람직하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401)의 스텐트 중앙 부분의 전개도이고, 상기 제1 대략 파형요소(411)와 상기 가지 형상의 요소(412)로 구성되는 부분이다. 제1 대략 파형요소(411)는 직경 방향으로 확장가능한 환상체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대략 파형요소(411)의 대략 직선 형상의 1변에 대하여 하나의 가지 형상의 요소(41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대략 파형요소(411)의 대략 직선 형상의 1변의 중점에 상기 가지 형상의 요소(412)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서 스텐트를 균일하게 확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401)의 스텐트 양단 부분의 전개도이다. 상기 스텐트 양단 부분은 제2대략 파형요소(414)로 되고, 대략 파형의 정점 부근에서 링크부 요소(413)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대략 파형요소(414)의 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대략 파형요소(411)의 축 방향의 기리는 독립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대략 파형요소(414)의 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가지 형상의 요소(412)의 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대략 파형요소(411)의 축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스텐트 유연성은 축 방향에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401)의 확장 전의 전개도이고, 벌룬 카테터에 마운트되었을 때의 상태에서의 전개도를 나타낸다. 스텐트가 확장될 때, 반경 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제1 대략 파형요소(411) 및 제2대략 파형요소(414)가 축 방향으로 수축되어도, 링크부 요소(413)가 축 방향으로 확장되므로, 스텐트 전장은 스텐트 확장 전후에 거의 같은 길이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1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402)의 전개도이다. 스텐트(402)는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인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로서, 그 스텐트는 직경 방향으로 확장가능한 환상의 제1 대략 파형요소(451)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링크부 요소(453)와, 제1 대략 파형요소(451)로부터 신장하는 가지 형상의 요소(452)와, 양단부를 형성하는 제2대략 파형요소(454)로 되고, 제1 대략 파형요소(451)의 정점에 링크부 요소(453)의 한쪽 끝이 연결되고, 링크부 요소(453)의 다른 끝이 가지 형상의 요소(452)의 한쪽 단부에 연결되고, 가지형상의 요소(452)의 다른 끝이 제1 대략 파형요소(451)의 중점에 연결되어, 축 방향으로 연속되고, 링크부 요소(453)를 거쳐서 스텐트 양 단부에 제2대략 파형요소(454)를 연결하여 구성된다. 스텐트(402)는 스텐트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확장가능한 요소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요소를 겸비함으로써,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확장가능하여, 그 때 스텐트의 축 방향의 수축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스텐트(402)가 직경 방향으로 확장가능한 환상의 제1 대략 파형요소(451)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링크부 요소(453)와, 제1 대략 파형요소(451)로부터 신장하는 가지 형상의 요소(452)와, 및 양 단부를 형성하는 제2대략 파형요소(454)로 되므로, 스텐트 확장시에, 스텐트(402)는 4변 모두가 스텐트 축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는 사각형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사각형이 엇갈리게 배치되고, 또 상기 사각형은 스텐트 확장 전에, 4변 모두가 스텐트 축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 스텐트 확장 전에는 스텐트 축 방향이 우수한 유연성을 갖는 동시에, 스텐트 확장 후는, 스텐트 반경 방향에 대하여 우수한 강도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402)의 스텐트 중앙 부분의 전개도이고, 상기 제1 대략 파형요소(451)와 상기 기장요소(452)로 구성되는 부분이다. 제1 대략 파형요소(451)는 직경 방향으로 확장가능한 환상체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대략 파형요소(451)의 대략 직선 형상의 1변에 대하여 하나의 기지 요소(45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대략 파형요소(451)의 대략 직선 형상의 1변의 중점에 상기 가지 형상의 요소(452)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서 스텐트를 균일하게 확장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402)의 스텐트 양단 부분의 전개도이다. 상기 스텐트 양단 부분은 제2대략 파형요소(454)로 되며, 대략 파형의 정점 부근에서 링크부 요소(453)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대략 파형요소(454)의 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대략 파형요소(451)의 축 방향의 길이와는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대략 파형요소(454)의 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가지 형상의 요소(452)의 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대략 파형요소(451)의 축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스텐트 유연성이 축 방향에서 균일로 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403)의 전개도이다. 스텐트(403)는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로서, 그 스텐트는 직경 방향으로 확장가능한 환상의 제1 대략 파형요소(481)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링크부 요소(483)와, 제1 대략 파형요소(481)로부터 신장하는 가지 형상의 요소(482)와, 대략 N자형 요소(485)와, 및 양단부를 형성하는 제2대략 파형요소(484)로 되고, 제1 대략 파형요소(481)의 정점에 링크부 요소(483)의 한쪽 끝이 연결되고, 그 링크부 요소(483)의 다른 끝이 대략 N자형 요소(485)의 한쪽 끝에 연결되고, 제1 대략 파형요소(481)의 중점으로부터 신장한 가지 형상의 요소(482)의 한쪽 끝이 링크부 요소(483)의 한쪽 단부에 연결되고, 그 링크부 요소(483)의 다른 끝이 대략 N자형 요소(485)의 정점에 연결되고, 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대략 N자형 요소(485, 485)의 한쪽의 대략 N자형 요소(485)의 정점에 링크부 요소(483)의 한쪽 끝이 연결되고, 그 링크부 요소(483)의 다른 끝이 다른 쪽의대략 N자형 요소(485)의 한쪽 단부에 연결되고, 한쪽의 대략 N자형 요소(485)의 다른 단부에 링크부 요소(483)의 한쪽 끝이 연결되고, 그 링크부 요소(483)의 다른 끝이 다른 쪽의 대략 N자형 요소(485)의 정점에 연결되어서 구성된다.
스텐트(403)은 스텐트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확장가능한 요소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요소를 겸비함으로써,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확장가능하고, 그 때에 스텐트의 축 방향의 수축을 저감할 수 있다. 또 N자형 요소(485)를 포함함으로써, 스텐트 축 방향의 유연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또한 N자형 요소(485)를 포함한 셀은 셀 1주 당 링크부 요소(483)를 4개를 갖게 되므로, 필요한 경우에는, 벌룬 카테터를 사용하여, 이 부분을 크게 벌리게 하고, 이 개구로 부터 더 깊숙한 곳의 병변부도 치료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스텐트(403)가, 직경 방향으로 확장가능한 환상의 제1 대략 파형요소(481)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링크부 요소(483)와, 제1 대략 파형요소(481)로부터 신장하는 가지 형상의 요소(482)와, 대략 N자형 요소(485)와, 및 양 단부를 형성하는 제2대략 파형요소(484)로 되므로, 스텐트 확장시에 있어서, 스텐트(403)는 4면 모두가 스텐트 축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는 사각형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사각형이 엇갈리게 배치되고, 또 상기 사각형이 스텐트 확장 전에, 4변 모두가 스텐트 축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 스텐트 확장 전에는, 스텐트 축 방향 으로 우수한 유연성을 갖는 동시에, 스텐트 확장 후는, 스텐트 반경 방향에 대하여 우수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403)의 스텐트 중앙 부분의 전개도이고, 직경 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환상의 제1 대략 파형요소(481)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링크부 요소(483)와, 제1 대략 파형요소(481)로부터 신장하는 가지 형상의 요소(482)와, 대략 N자형 요소(485)로 구성되는 부분이다. 제1 대략 파형요소(481)는 직경 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환상체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대략 파형요소(481)의 대략 직선 형상의 1변에 대하여 하나의 가지 형상의 요소(48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대략 파형요소(481)의 대략 직선 형상의 1변의 중점에 상기 가지 형상의 요소(482)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서 스텐트를 균일하게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403)의 스텐트 양단 부분의 전개도이다. 상기 스텐트 양단 부분은 제2대략 파형요소(484)로 되고, 대략 파형의 정점 부근에서 링크부 요소(483)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대략 파형요소(484)의 축 방향의 길이와는 상기 대략 파형요소(481)의 축 방향의 길이와는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대략 파형요소(484)의 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가지 형상의 요소(482)의 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대략 파형요소(481)의 축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서 스텐트 유연성이, 축 방향에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401, 402, 403)는 적절한 강성 또한 탄성을 갖는 스테인레스강, Ni-Ti합금, Cu-Al-Mn합금 등의 금속, 적절한 강성 또한 탄성을 갖는 고분자 소재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401, 402, 403)는 보호재료의 플레이 팅, 의약품의 함침 및 재료로서의 커버 중의 어느 것에 의해서 마무리되어도 좋다.
또 스텐트 성형방법으로서는 레이져 가공법, 방전가공법, 기계적인 절삭방법, 에칭방법 등이 가능하다.
도 27~도 44는 제2발명에 의한 스텐트를 나타내고, 도 27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501)의 미확장시의 전개도이다. 스텐트(501)는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로서, 스텐트의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기본 셀(511)이 둘레 방향으로 복수개 연속해서, 확장시에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향하는 힘, 즉 레이디얼 포스를 발생하는 밴드부(512)가 형성된다. 각 밴드부(512)는 혈관 등 굴곡된 관강 내를 진행하여 가기 때문에, 스텐트(501)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의 방향으로부터의 힘에 대하여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링크부(513)에서 연결되어 있고, 밴드부(512)와 링크부(513)는 스텐트로서 필요한 길이만큼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다.
도 28은 이 스텐트(501)의 기본 셀(511)의 구조를 확대한 도면이다. 기본 셀(511)은 스텐트의 축 방향으로 긴 쪽을 향해서 배치된 메인 스트러트(514)와 그 사이에 접혀져서 확장시에 메인 스트러트(514)를 둘레 방향으로 지지하는 서브 스트러트(515)로 되고, 이 서브 스트러트(515)는 메인 스트러트(514)를 둘레 방향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스텐트(501)가 직경 방향으로 확장할 때에, 확장하는 직경을 규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29는 스텐트(501)이 확장된 상태에서의 기본 셀(511)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메인 스트러트(514)와 서브 스트러트(515)는 연속해서 환상으로 되어 있어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도 30은 이 기본 셀(511)을 선분으로 모식화한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각 치수는, 선분으로 모식화했을 때의 치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 셀(511)의 길이 방향의 길이, 즉 메인 스트러트(514)의 길이를 L, 메인 스트러트(514)의 사이에 접혀진 하나의 기본 셀(511) 내의 서브 스트러트(515)의 총 길이, 즉 515a+515b+515c+515d에 상당한 길이를 A로 하고, 또 스텐트(501)의 하나인 밴드부(512) 내에 둘레 방향으로 연속되는 기본 셀(511)의 수를 B, 목적으로 하는 스텐트의 확장 직경을 D로 한 경우에, π×D= 0.5×A×Sinθ×B 이고 또한 60°≤θ<90°인 관계를 충족시키는 치수비로 되어 있다. 여기서 π는 원주율을 나타낸다. 또 θ는 확장시에 서브 스트러트(515)를 모식화했을 때의 선분과 스텐트의 축 방향의 축이 이룬 각도 중, 대략 다각형의 내각을 포함한 측의 각도, 즉 90°보다 작은 쪽의 각도이고, 둘레 방향으로 연속되는 각 기본 셀(511)이 균일한 확장을 하기 위해서는 θ가 60°이상임이 중요하고, 이 이하이면 충분한 균일 확장을 얻을 수 없다. 또 이 θ의 값은 이론적으로 최대한 확장된 상태인 θ=90°보다 작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 서브 스트러트(515)가 메인 스트러트(514)를 큰 각도로 지지하는 것이 최대의 특징이고, 큰 레이디얼 포스와 스텐트의 과도한 확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레이디얼 포스를 강하게 할 수 있다면, 스텐트를 구성하는 메인 스트러트(514), 서브 스트러트(515)를 구성하는 선재의 폭W를 작게 할 수 있게 되어, 하나의 밴드 내에 형성시키는 기본 셀수를 많이 할 수 있다. 그 결과 기본 셀의 크기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확장시의 기본 셀의 개구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관상조직의 내피세포가 비어져 나오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레이디얼 포스와 과도한 확장의 억제라는 관점에서, 서브스트러트(515)와 스텐트의 축 방향의 각도와 이룬 각도는 70°≤θ≤80°임이 바람직하다.
또 확장 후의 메인 스트러트(514)와 서브 스트러트(515)가 형성하는 대략 사각형 중에서 관상조직의 내피세포가 비어져 나오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메인 스트러트(514)의 길이L와 서브 스트러트(515)의 하나의 기본 셀 내의 총 길이A의 관계는 L≤A< 2×L임이 바람직하다. L>A이면 확장시의 기본 셀(511)이 길이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으로 되지만, 이와 같은 조건에서는 메인 스트러트(514)의 중앙부분 부근의 레이디얼 포스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 반대로 A≥2×L인 경우는, 메인 스트러트(514) 사이에 절첩되어 있는 서브 스트러트(515) 끼리가 길이 방향으로 겹쳐지고, 또 둘레 방향으로 연속되는 기본 셀 수B를 크게 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는, 확장 후의 메인 스트러트(514)와 서브 스트러트(515)가 형성하는 대략 사각형의 크기가 커져서, 관상조직의 내피 세포가 비어져 나오기 쉽게 되고 만다. 또 둘레 방향의 레이디얼 포스도 약해지는 등의 문제도 있다. 가장 이상적인 상태는 서브 스트러트(515)의 하나인 기본 셀 내의 총 길이A가 2×L보다 작고, 하나의 기본 셀 내에서 서브 스트러트(515) 끼리 겹쳐지지 않고, 또한 A가 최대의 길이로 되는 것과 같은 상태이다. 이 때 메인 스트러트(514)와 서브 스트러트(515)가 형성하는 대략 사각형은 정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된다. 도 31은 본 스텐트(501)를 확장했을 때의 전개도를 나타낸다.
도 32는 스텐트(501) 단면의 일부분의 도면이다. 도면 중 메인 스트러트(514), 서브 스트러트(515)를 구성하는 선재의 폭을 W, 두께를 T로하면,0.5×W≤T≤3×W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T가 0.5×W 보다 작을 경우, 스텐트 확장시에 크게 소성(塑性) 변형하는 부분, 즉 메인 스트러트(514)와 서브 스트러트(515)가 이어지는 부분(516)이나 서브 스트러트(515)의 절첩 선단 부분(517)이 소성(塑性) 변형시에 도 33도과 같이 젖혀져서, 이 부분이 관상조직의 내표면에 먹어들어가는 등의 문제가 생기고 만다. 도 34는 도 33의 젖혀진 부분(517)의 X-X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각 스트러트의 두께T는 0.5×W 이상임이 바람직하고, 0.7×W 이상은 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건은 초탄성 금속이나, 일부의 고분자 재료로 되는 자기 확장성의 스텐트의 경우에도 적합하여, 스텐트 미확장시의 형상으로 접혀졌을 때에, 크게 탄성 변형하는 부분, 즉 메인 스트러트(514)와 서브 스트러트(515)가 이어지는 부분(516)이나 메인 스트러트(514) 중에 절첩되어 있는 서브 스트러트(515)의 절첩 선단부분(517)이 제33도와 같이 변형되고 만다. 자기 확장형의 스텐트는 일반적으로 체내의 목적으로 하는 관상조직 중에 스텐트를 반송 시킬 때에, 스텐트의 확장을 억제시키는 시스의 내측에 작게 접은 상태로 넣어 두고, 스텐트의 내측의 카테터로 반송하여 목적 부위에서 스텐트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하면서, 외측의 시스를 뽑아내어 스텐트를 자기 확장시키는 방식이 취해지고 있다. 스텐트를 미확장시의 형상으로 접었을 때에 제33도와 같은 변형 부분이 생기게 되면, 접은 스텐트를 시스 중에 균일하게 넣기 어렵게 되는 것과, 시스를 뽑아내서 스텐트를 확장시킬 때에, 상기의 젖혀진 부분이 시스에 걸려게 되어, 최악의 경우는 시스로부터 방출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스텐트의두께T가 3×W 보다 크게 되면, 스텐트의 패턴을 레이저로 가공할 때의 가공 정밀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도 35 및 도 36은 다른 실시예의 스텐트(502, 503)이며, 확장시의 기본 셀(511)이 각각, 대략 삼각형과 대략 사다리꼴을 형성한다. 도 37과 도 38은 이의 스텐트(502, 503)를 확장한 상태에서의 전개도를 나타낸다. 이의 예에서는 각 기본 셀(511)이 둘레 방향으로 연속되는 경우에, 스텐트의 축 방향에 대하여 대상으로 되는 형태, 즉 확장시의 기본 셀이 대략 삼각형을 형성하는 경우(제35도, 제37도)는 대략 삼각형의 정점과 저변이 교호로 되도록, 확장시의 기본 셀이 대략 사다리꼴을 형성하는 경우(도 36, 도 38)는 대략 사다리꼴 위 바닥과 밑 바닥이 교호로 되도록, 연속할 필요가 있고, 1주 사이에 있는 기본 셀수, 즉 하나의 밴드부 내에 존재하는 기본 셀수가 짝수이어야 한다. 이 경우 목적으로 하는 스텐트의 확장시의 직경과 기본 셀의 각 스트러트의 길이는, 상술의 조건 중에서 밸런스를 취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실현이 가능하다. 또 이와 같이 확장시의 기본 셀(511)이 대략 삼각형이나 대략 사다리꼴을 형성하는 것일 때, 메인 스트러트(514)가 스텐트의 축 방향의 축을 이룬 각도가 크면 스텐트 확장시에 스텐트의 축 방향의 수축이 커져서, 스텐트를 유치할 때의 위치맞춤 등이 곤란하게 된다. 스텐트 확장시에 스텐트의 축 방향의 수축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이 메인 스트러트(5)와 스텐트 축 방향과 이룬 각도를 작게 하는 것이 중요하고, 실용적으로는 이 각도는 30°이내임이 바람직하다. 메인 스트러트(514)와 스텐트 축 방향각도가 0°인 경우, 스텐트 확장시의 길이 방향의 수축은 0으로 되고, 그 때의 기본 셀(511)의 형상은 대략 사각형을 형성한다. 스텐트 확장시의 기본 셀(511)의 형상이 대략 삼각형인 경우, 레이디얼 포스와 스텐트 확장시의 길이 방향의 수축을 밸런스를 취하게 하는 것은 어럽개 때문에, 스텐트 확장시의 기본 셀의 형상은 정삼각형에 가까운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때의 기본 셀(511)의 길이 방향의 수축률은15% 정도이다.
도 39는 기본 셀(511)이 연속되는 밴드부(512)를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링크부(513) 내의 링크(518)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링크(518)는 스텐트가 굴곡된 관상조직 안에서 목적으로 하는 위치까지 반송되고 있을 때에, 굴곡된 관상조직에 대하여 추수(追隨)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0~도 43은 이와 같은 굴곡된 관상조직 안을 추수할 수 있도록 링크(518) 내의 만곡부(519)를 적어도 1개 이상 갖고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는 기능을 부가한 것의 예이다.
도 44는 기본 셀(511)이 연속하여 되는 밴드부(512)의 폭, 즉 기본 셀(511)의 길이 방향의 길이L와, 링크부(513)의 길이 방향의 길이C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굴곡된 관상조직 안을 스텐트가 추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링크부(513)의 길이는 긴 쪽이 유연성이 높아서 바람직하지만, 링크부 단독으로는 레이디얼 포스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레이디얼 포스만을 생각하면 짧은 편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서 링크부(513)의 길이C는, 0.3×L≤C≤2×L 임이 바람직하다. C가 0.3×L보다 작을 경우는 충분한 유연성을 얻을 수 없어, 굴곡된 관상조직 안을 추수하는 성능이 낮아지게 된다. 또 C가 2×L보다 클 경우는 링크부(513)의 레이디얼 포스가 약해져서, 링크 부분의 확장직경이 작아지는 등의 문제가 현저하게 된다.
이상 언급한 스텐트, 특히 메인 스트러트(514)와 서브 스트러트(515)는 레이디얼 포스를 확보할 수 있는 금속 또는 고분자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금속재료로서는 SUS(316)를 대표로 하는 스테인레스나, Ni-Ti합금인 초탄성금속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을 사용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는 컴퓨터로 가공하는 스텐트의 위치를 제어하면서 YAG 레이져를 사용하여, 스텐트의 패턴을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고분자 재료로서는 열가소성 고분자, 열경화성 고분자, 생분해성 고분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스텐트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휨 탄성률은 1GPa 이상의 재료가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휨 탄성률은 2GPa 이상이 바람직하고, 휨 탄성률이 높을수록 스텐트의 스트러트의 폭이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스텐트로서는 생체에 유치 후의 어떤 일정기간의 후에, 분해흡수되어 버리는 것이 바람직하는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생분해성의 고분자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텐트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생분해성 고분자의 구체적인 재료로서는, 폴리젖산, 폴리글리콜산, 폴리(ε-카프롤락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의 고분자 재료를 스텐트의 원재료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YAG나 탄산가스 레이져를 사용하여 가공하면, 레이져 조사부에 버닝(burning)이 발생하거나, 레이져 조사부분 부근에 용융된 부재의 부풀어오름 부분이 생기기 때문에, 엑시머 레이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이들 재료로 스텐트를 가공하는 경우, 벌룬으로 확장시키는 타입의 것, 또는 스스로 확장하는 타입의 것인지에 따라서, 원재료로 되는 관상부재의 직경의 크기가 달라진다. 즉 벌룬으로 확장시키는 것이면, 일반적으로 스텐트를 마운트하는 벌룬은 접는 직경 이상에서, 목적으로 하는 스텐트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관상부재를 원재료로서 사용하다. 또 스스로 확장하는 타입의 것이라면 목적으로 하는 스텐트 직경 근방의 직경의 관상부재를 원료로서 가 공하면 좋다.
일반적으로 스텐트는 체내의 관상조직의 협착부나 폐색부를 확장하기 위해서 사용되지만, 이와 같은 목적과는 달리, 관상조직에 천공이 생긴 경우, 예를 들면 혈관에 천공이 생기게 되는 경우에, 응급처치로서 스텐트의 외표면에 박막의 커버가 붙은 스텐트를 사용하여 천공을 막는 치료가 행해지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증례(症例)에 대하여도, 본 스텐트의 외포면에 박막의 고분자 재료를 부여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박막의 고분자 재료로서는 테플론계 수지, 실리콘 수지 등으로, 신률이 큰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 스텐트는 통상 X선 조영하에서 사용되므로, 스텐트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X선 불투과 마커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X선 불투과 마커로서는, 금, 백금, 백금 로듐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X선불투과 마커는 스텐트의 양단부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마커의 부여방법에 대하여는 물리적인 방법에 의한 고정 이외에, 금속재료로 되는 스텐트의 경우는 도금에 의한 마커의 부여도 가능하다.
또 이의 스텐트에 대하여, 재협착을 예방 및 혈전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약제 및 치료용의 위전자를 부여, 또는 표면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5~도 50은 제3발명에 의한 스텐트를 나타내고, 도 46은 본 발명에 관한스텐트(603)의 실시예이며(실시예 1), 그 전개도이다. 스텐트(603)은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하고, 또 선 형상의 요소인 스트러트(604)로 둘러싸인 대략 다각형의 형상으로 된 패턴(605)이,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으로, 복수 배열한 스텐트이다. 「대략 다각형으로 된」이라 함은, 이 다각형 형상이, 삼각형, 능형, 직사각형, 평행사변형, 오각형, 또는 어떠한 폴리곤 형상도 포함하고, 또 그 각은 예각이 아니고, 커브 상의 둥그스름함을 띤 것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그 다각형 형상의 패턴(605)은 원래의 직선적인 주위 길이를 가지고 있다. 이 원래의 직선적인 주위 길이라 함은, 도 47의 굵은 선(606)으로 나타낸 길이이고, 후술하는 신률 변형가능한 국소적인 절첩 부분(607)이 꼬불꼬불 구부러진 토탈의 길이를 고려하지 않는, 이른바 다각형 형상 패턴의 직선적인 최소 주위 길이를 표시한다.
실시예의 스텐트(603)는 또, 그 다각형 형상 패턴부(605)에 있어서, 그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서, 스텐트 딜리버리 카테터의 벌룬 확장 등에 의해 확대함으로써, 눌려 확대된 후의 주위 길이가, 그 원래의 직선적 주위 길이의 1.3배 내지 2.0배로 넓어지도록, 신률 변형가능한 국소적 절첩 부분(607)을, 하나의 그 다각형 형상의 패턴 당, 4개를 갖고 있다.
그 신률 변형가능한 국소적 절첩 부분(607)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2주기 분의 싸인파 형상으로 했으나, 전술과 같이, 그 다각형 형상 패턴부(605)에 있어서, 그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스텐트 딜리버리 카테터의벌룬 확장 등에 의해 확대함으로써, 눌려 확대된 후의 주위 길이가 그 원래의 직선적 주위 길이(606)의 1.3배 내지 2.0배로 넓어지는 것과 같은 것이면 아무 것이라도 좋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확대된 후의 주위 길이라 함은, 제48도의 (608)에 나타낸과 같이, 하나의 원래의 직선적 주위 길이가 확장되어서 형성된 패턴의 주위 길이를 말한다.
여기서 스텐트 딜리버리 카테터의 벌룬 확장 등에 의해서 확대되므로써, 눌려 확대된 후의 주위 길이(608)가 그 원래의 직선적 주위 길이(606)의 1.3배 내지 2.0배로 한 것은, 고레이디얼 포스를 얻는 것, 그리고 우수한 스캐폴드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그 다각형 형상 패턴부(605)의 원래의 직선적 주위 길이(606)를 후술하는 것과 같은 범위로 선택하고, 하나의 그 다각형 형상 패턴부(605) 당 신률 변형 가능한 국소적 절첩 부분(607)의 수를 3개 이상으로 한 경우, 스텐트 딜리버리 카테터의 벌룬 확장 등에 의해서 확대된 후의 주위 길이(608)는, 그 원래의 직선적 주위 길이(606)의 1.3배 내지 2.0배의 범위로 넓어지면, 옆 가지에 억세스하는 충분한 개구부 면적/주위 길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나의 그 다각형 형상 패턴부(605) 당 신률 변형가능한 국소적 절첩 부분(607)의 수는 3개 이상이 바람직하지만, 보다 바람직한 것은 다각형 변의 수와 같게 하는 것이다. 이는 확장동작, 레이디얼 포스, 유연성, 이 모두에 대하여, 스텐트(603)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될 수 있는 한 다각형인 각변의 구조를 흡사하게 하는 편이 좋기 때문이다. 실시예에서는 평행사변형으로 4개의 변을 가지므로, 신률 변형가능한 국소적인 절첩 부분(607)의 수가 4개이다.
또 그 다각형 형상 패턴(605)의 원래의 직선적 주위 길이(606)는, 고레이디얼 포스를 얻는 것, 그리고 우수한 스캐폴드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6.0mm 내지 12.0mm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8.0mm 내지 10.0mm이다.
또 같은 이유로 그 다각형 형상 패턴(605)의 원래의 개구부의 면적은, 스텐트 확장 후에 있어서 2.0mm2내지 9.0mm2임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한 것은 3.0mm2내지 6.25mm2이다.
도 49는 신률 변형가능한 절첩 부분에 대하여, 앞서의 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취한 경우의 다른 실시예이고, 신률 변형가능한 절첩 부분의 구성은 앞의 실시예와 다를 뿐이며, 그 다각형 형상 패턴(605)을 나타낸다.
즉 본 실시예의 스텐트(603)는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하고, 또 선 형상요소인 스트러트(604)로 둘러싸인 다각형의 형상으로 된 패턴(605)이,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으로 복수, 배열한 스텐트이다. 또「다각형의 형상으로 된」이라 함은, 다각형 형상이 삼각형, 능형, 직사각형, 평행사변형, 오각형, 또는 어떠한 폴리곤 형상도 포함하고, 또 그 각이 예각이 아니고, 커브상의 둥그스름함을 띤 것도 포함한다는 의미이다.
상기 다각형 형상의 패턴(605)은 원래의 직선적인 주위 길이를 가지고 있다. 이 원래의 직선적인 주위 길이라 함은, 제49도에 나타낸 굵은 선(609)으로 나타낸 길이고, 후술하는 신률 변형가능한 절첩 부분(610)이 곡선 토탈의 길이를 고려하지 않는, 이른바 다각형 형상 패턴의 직선적인 최소 주위 길이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스텐트(603)는 또, 상기 다각형 형상 패턴부(605)에 있어, 그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스텐트 딜리버리 카테터의 벌룬 확장 등에 의해서 확대함으로써, 눌려 확대된 후의 주위 길이(608)가 그 원래의 직선적 주위 길이(609)의 1.3배 내지 2.0배로 넓어지도록, 신률 변형가능한 국소적인 절첩 부분(610)을 비교적 많이 설치하고, 그 신률 변형가능한 국소적인 절첩 부분(610)의 그 다각형의 변 방향의 직선적인 길이의 합계는, 그 다각형 형상 패턴(605)의 원래의 직선적 주위 길이(609)의 1/3배 내지 1배에 걸쳐서 형성한다. 상기 신률 변형가능한 국소적 절첩 부분(610)의 그 다각형의 변방향의 직선적인 길이의 정의는, 도50에 나타낸 굵은 선(611)과 같다(굵은 선부분의 합계를 의미한다).
상기 신률 변형가능한 국소적 절첩 부분(610)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대략 파형을 연속시킨 형상으로 했으나, 전술과 같이 상기 다각형 형상의 패턴부(605)에 있어서, 그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서, 스텐트 딜리버리 카테터의 벌룬 확장 등에 의해서 확대함으로써, 눌려 확대된 후의 주위 길이가, 그 원래의 직선적 주위 길이(609)의 1.3배 내지 2.0배로 넓어지는 것과 같은 것이라면, 뭐든지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신률 변형가능한 국소적인 절첩 부분(610)의 상기 다각형의 변 방향의 직선적인 길이(611)는, 상기 다각형 형상 패턴(605)의 원래의 직선적인 주위 길이(609)의 약 1/2배 강으로 선택하고 있으나, 1/3배 내지 1배의 범위 내라면, 몇배라도 좋다. 또 상기 신률 변형가능한 절첩 부분(610)을, 상기 다각형의 주위에, 연속시켜도 좋고, 또 불연속으로 한 것을 복수개 사용하여도 좋다.
여기서 상기 신률 변형 가능한 국소적 절첩 부분(610)의 그 다각형의 변 방향의 직선적인 길이(611)를 상기 다각형 형상 패턴(605)의 원래의 직선적 주위 길이(9)의 1/3배 내지 1배로 한 것은, 우선 고 레이디얼 포스를 얻는 것, 그리고 우수한 스캐폴드성을 만족시키기 위에서 상기 다각형 형상 패턴부(605)의 원래의 직선적 주위 길이(609)를 후술하는 것과 같은 범위로 선택하여, 스텐트 딜리버리 카테터의 벌룬 확장 등에 의해서 확대함으로써, 눌려 확대된 후의 주위 길이(608)는, 그 원래의 직선적 주위 길이(609)의 l.3배 내지 2.0배로 되는 것을 전제로 하면, 하나의 상기 다각형 형상의 패턴부(605) 당 신률 변형가능한 국소적인 절첩 부분(610)의 상기 다각형의 변 방향의 직선적인 길이(611)가 그 다각형 형상의 패턴(605)의 원래의 직선적 주위 길이(609)의 1/3배 내지 1배의 범위에 들어가면 확대된 후, 옆 가지에 억세스하는 충분한 개구부 면적/주위 길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상기 신률 변형 가능한 접어넣기 부(610)의, 다각형의 변방향과 다른 축 방향에의 비어져 나온 부분은, 크지 않는다. 이는 스텐트 딜리버리의 벌룬에, 스텐트를 수축시켜서 프리마운트시키는 경우에, 이 비어져나온 부분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각형의 다른 신률 변형가능한 국소적 접어넣기 부분과 겹쳐져서, 충분히 작은 외경(저 프로파일)을 유지하면서, 프리 마운트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이 의미에서도 상술의 수치로 나타낸 범위는 중요하다.
또 상기 다각형 형상 패턴(605)의 원래의 직선적 주위 길이(609)는, 고 레이디얼 포스를 얻는 것, 그리고 우수한 스캐폴드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6.0mm 내지 12.0mm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8.0mm 내지 10.0mm이다.
또 같은 이유로서 상기 다각형 형상 패턴(605)의 원래의 개구부의 면적은, 스텐트 확장 후에 2.0mm2내지 9.0mm2임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3.0mm2내지 6.25mm2이다.
상기 2개의 실시예에서 개시한 스텐트는, 다각형 패턴(605)을 둘레 방향, 축 방향으로 복수 가짐으로써 높은 레이디얼 포스를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우수한 스캐폴드성을 갖는다. 또 그 다각형 형상 패턴부(605)에 있어서, 그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서 스텐트 딜리버리 카테터의 벌룬 확장 등에 의해서 확대함으로써, 눌려 확대된 후의 주위 길이(608)는, 그 원래의 직선적 주위 길이(606, 609)의 1.3배 내지 2.0배로 넓어지도록 각각의 다각형 형상 패턴으로, 도 46~도 48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신률 변형가능한 국소적인 부분(607)을 3개 이상 설치함으로써, 제49도 및 도 50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신률 변형가능한 국소적 부분(610)의 그 다각형의 변 방향의 직선적인 길이(611)는, 상기 다각형 형상 패턴(605)의 원래의 직선적 길이(609)의 1/3배 내지 1배에 걸쳐서 형성함으로써, 다각형 형상 패턴을 통해서, 옆 가지에 배치된 별도의 스텐트 딜리버리 카테터의 벌룬의 확장으로, 상기 다각형 형상 패턴(605)의 주위 길이가 크게 변형할 수 있으며, 따라서 분기 혈관에의 억세스 그리고 Y스텐트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같이 제1발명에 의한 스텐트는, 축 방향으로 유연하고, 또한 확장시에, 스텐트 축 방향의 길이에 수축이 없고, 혈관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매우 크고, 스텐트의 스트러트를 균일하게 확장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확장시에 스텐트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휘어지게 되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또 제2발명에 의한 스텐트는, 스텐트 확장시에 스텐트가 균일하게 확장되고, 또한 과도한 확장을 억제하면서, 또 스텐트를 구성하는 기본 셀의 크기를 미세화하여 관상조직의 내피세포의 스텐트 내측에의 비어져 나옴을 억제하는 스텐트를 제공할 수 있고, 관상조직의 재협착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3발명에 의한 스텐트는 클로우즈드 타입의 장점을 유지하는 동시에 그 단점을 해결하고, 또한 오픈 타입의 단점을 나타내는 일 없이 그 장점만을 갖는 클로우즈드 타입의 스텐트, 즉 고 레이디얼 포스, 우수한 스캐폴드성을 유지하면서, 또한 분기 혈관에의 Y스텐트를 가능하게 하는 클로우즈드 타입의 스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6)

  1.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로서, 상기 스텐트(101)가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로 되고, 복수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가 서로 직접으로는 연결되지 않고 스텐트의 대략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복수의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가 서로 직접으로는 연결되지 않고 스텐트의 대략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들이 서로 스텐트 축 방향으로 교호로 주기적으로 연속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2.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로서, 상기 스텐트(101)는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로 되고,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의 1단의 연결부(127)와,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의 1단의 연결부(131)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의 나머지 1단의 연결부(139)와 상기와는 별개체의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의 상기 (127)과는 반대측의 1단의 연결부(121)가 연결됨으로써,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대략 파형 구성요소(103)가 주기적으로 연속하고, 또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의 산 또는 골의 凸부의 연결부(123)와,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의 1단의 연결부(131)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의 나머지 1단의 연결부(139)와, 상기와는 별개체의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의 상기와는 반대측에 존재하는 산 또는 골의 凸부의 연결부(125)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가 주기적으로 연속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3.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는, 파형의 진행방향이 스텐트의 원주 방향에서, 산과 골의 정부(verticle)를 합친 수가 2 이상인 대략 파형이고,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는 파형의 진행방향이 스텐트의 축 방향에서, 산과 골의 정부를 합친 수가 1 이상인 대략 파형인 스텐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는, 그 단부에 산과 골의 정부를 갖고, 그 단부를 포함해서 산과 골의 정부를 합친 수가 4의 대략 파형이고,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는, 파형의 진행방향이 스텐트의 축 방향에서, 산과 골의 정부를 합친 수가 4의 대략 파형인 스텐트.
  5.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로서, 상기 스텐트(101)가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로 되고,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의 연결부(127)와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의 연결부(131)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의 연결부(139)와,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의 연결부(121)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와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가 주기적으로 연속하고, 또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의 연결부(123)와,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의 연결부(131)가 연결되고, 또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의 연결부(125)와,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의 연결부(139)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와,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가 주기적으로 연속하고,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의 연결부(121, 123, 125, 127)의 모두가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의 연결부(131, 139) 중의 어느 것과 연결되고, 또한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의 연결부(131, 139)의 모두가 상기 파형 구성요소(102)의 연결부(121, 123, 125, 127) 중의 어느 것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가 직접으로는 연결되지 않고, 원주방향으로 배치되어서 되는 원주요소(104)가 인접한 그 원주요소(104)와는 소정의 각도 어긋남을 갖고 배치되고, 또 그 원주요소 끼리는 사이에 상기 축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를 거쳐서 연속되어 있는 스텐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텐트의 축 방향 양단만이, 직접 연속된 복수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가 스텐트의 원주를 따라 배열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스텐트.
  8. 제7항에 있어서,
    스텐드의 축 방향의 양단을 구성하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는, 스텐트의 축 방향의 양단 이외를 구성하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에 비해서,
    (1) 스텐트 축 방향의 길이가 짧다
    (2) 스트러트의 폭이 넓다
    (3) 스트러트의 두께가 두꺼운
    것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스텐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와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3)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스텐트의 축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 단부로 감에 따라서,
    (1) 스텐트 축 방향의 길이가 단계적으로 짧아진다
    (2) 스트러트의 폭이 단계적으로 넓어진다
    (3) 스트러트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스텐트.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102)가 서로 직접으로는 연결되지 않고, 스텐트의 대략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원주 요소(104)가, 스텐트의 축 방향의 길이 10mm 당 5개 이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11.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로서, 상기 스텐트(201)는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와,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로 되고, 복수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가 서로 직접으로는 연결되지 않고 스텐트의 대략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복수의 상기 대략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가 서로 직접으로는 연결되지 않고, 스텐트의 대략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또 복수의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는 서로 직접으로는 연결되지 않고 스텐트의 대략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들이 서로 스텐트 축 방향으로 교호로 주기적으로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12.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로서, 상기 스텐트(201)는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와,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로 되고, 직접으로는 연속되지 않는 복수의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가 스텐트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서 되는 원주요소(205)와, 직접으로는 연속되지 않는 복수의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가 스텐트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서 되는 원주요소(206)와, 직접은 연속하지 않는 복수의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가 스텐트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서 되는 원주요소(207)를 가지고 있고, 스텐트 축 방향으로 원주요소(205, 207, 206, 207)의 순서로 주기적으로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13.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로서, 상기 스텐트는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와, 상기 스텐트가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로 되고, 상기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의 1단의 연결부(227)와,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1단의 연결부(241)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나머지 1단의 연결부(249)와,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의 산 또는 골의 凸부의 연결부(233)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의 상기 연결부(233)와는 반대 측에 존재하는 산 또는 골의 凸부의 연결부(235)와, 상기와는 별개체의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1단의 연결부(241)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나머지 1단의 연결부(249)와, 상기와는 별개체의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의 상기 연결부(227)와는 반대 측의 1단의 연결부(221)가 연결됨으로써,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와,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가 주기적으로 연속되고, 또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의 산 또는 골의 凸부의 연결부(223)와,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1단의 연결부(241)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나머지 1단의 연결부(249)와,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의 1단의 연결부(237)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의 상기 연결부(237)와는 반대 측에 존재하는 1단의 연결부(231)와, 상기와는 별개체의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1단의연결부(241)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나머지 1단의 연결부(249)와, 상기와는 별개체의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의 상기 연결부(223)와는 반대 측의 산 또는 골의 凸부의 연결부(225)가 연결됨으로써,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와,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가 주기적으로 연속함으로써,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와,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가 주기적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와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는, 파형의 진행방향이 스텐트의 원주 방향에서, 산과 골의 정부를 합친 수가 2 이상인 대략 파형이고,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는, 파형의 진행방향이 스텐트의 축 방향에서, 산과 골의 정부를 합친 수가 1 이상인 대략 파형인 스텐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와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가, 그 단부에 산과 골의 정부를 갖고, 그 단부를 포함해서 산과 골의 정부를 합친 수가 4의 대략 파형이고,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가, 파형의 진행방향이 스텐트의 축 방향에서, 산과 골의 정부를 합친 수가 4의 대략 파형인 스텐트.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와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가 서로 선대칭 형상인 스텐트.
  17.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로서, 상기 스텐트(201)는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와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로 되고,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는 연결부(221, 223, 225, 227), 직선부(222, 224, 226)로 구성되고,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는 연결부(231, 233, 235, 237), 직선부(232, 234, 236)로 구성되고,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는 연결부(241, 249), 만곡부(242, 244, 246, 248), 직선부(243, 245, 247)로 구성되고,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의 연결부(227)와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연결부(241)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연결부(249)와,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의 연결부(233)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의 연결부(235)와,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연결부(241)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연결부(249)와,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의 연결부(221)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와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와,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가 주기적으로 연속되고, 또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의 연결부(223)와,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연결부(241),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연결부(249)와,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의 연결부(237)가 연결되고, 또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의 연결부(231)와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연결부(241),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연결부(249)와,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의 연결부(225)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와,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와,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가 주기적으로 연속되고,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의 연결부(221, 223, 225, 227)의 모두가,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연결부(241, 249)의 어느 것과 연결되고, 또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의 연결부(231, 233, 235, 237)의 모두가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연결부(241, 249)의 어느 것과 연결되고, 또한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의 연결부(241, 249)의 모두가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또는 상기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의 연결부(221, 223, 225, 227, 231, 233, 235, 237)의 어느 것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텐트의 축 방향 양단만이, 직접 연속한 복수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또는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 또는 그 양쪽 모두가 스텐트의 원주를 따라 배열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19. 제18항에 있어서,
    스텐트의 축 방향 양단을 구성하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또는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 또는 그 양쪽 모두가 스텐트의 축 방향 양단 이외를 구성하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또는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 또는 그 양쪽의 각각에 비해서,
    (1) 스텐트 축 방향의 길이가 짧다
    (2) 스트러트의 폭이 넓다
    (3) 스트러트의 두께가 두꺼운
    것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스텐트.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와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와, 상기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4)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스텐트의 축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 단부로 감에 따라서,
    (1) 스텐트 축 방향의 길이가 단계적으로 짧아진다
    (2) 스트러트의 폭이 단계적으로 넓어진다
    (3) 스트러트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스텐트.
  21. 제1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대략 파형 구성요소(202) 또는 대략 파형 구성요소(203) 각각이, 서로 직접으로는 연결되지 않고, 스텐트의 대략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서 되는 원주 요소(205) 또는 원주요소(206)가, 스텐트의 길이 10mm 당, 합쳐서 5개 이상을 갖는 스텐트.
  22.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내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로서, 상기 스텐트(301, 303, 305)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가 대략 평행사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23. 제22항에 있어서,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2, 304, 306)가 서로 엇갈려서 조합되어 되는 스텐트.
  24. 제22항에 있어서,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2, 304, 306)가 엇갈려서 조합되어 되고, 스텐트 확장전에 있어서는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2, 304, 306)의 각 변이 스텐트 축선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고, 스텐트 확장 후에는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2, 304, 306)의 각 변이 스텐트 축선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갖는 스텐트.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304, 306)가 대략 직선 스트러트(321, 331)와 대략 파형 스트러트(322, 332)로 구성되는 스텐트.
  26. 제25항에 있어서,
    스텐트 축 방향으로 다른 면적의 대략 평행사변형 요소를 배치한 스텐트.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스텐트 축 방향으로, 다른 스트러트의 폭, 스트러트의 두께, 또는 그 양쪽을 조합한 스텐트.
  28.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로서, 그 스텐트(401, 402)는 직경 방향으로 확장가능한 환상의 제1 대략 파형요소(411, 451)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링크부 요소(413, 453)와, 제1 대략 파형요소(411, 451)로부터 신장하는 가지 형상의 요소(412, 452)로 되고, 제1 대략 파형요소(411, 451)에 링크부 요소(413, 453)의 한쪽 끝이 연결되고, 링크부 요소(413, 453)의 다른 끝이 가지 형상의 요소(412, 452)의 한쪽 단부에 연결되고, 가지 형상의 요소(412, 452)의 다른 끝이 제1 대략 파형요소(411, 451)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29.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한 스텐트로서, 그 스텐트(403)는 반경 방향으로 확장가능한 환상의 제1 대략 파형요소(481)와, 축 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링크부 요소(483)와, 상기 제1 대략 파형상 요소(481)로부터 뻗은 가지 형상의 요소(482)와, 대략 N자형 요소(485)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스텐트 양단 부분이, 반경 방향으로 확장가능한 환상의 제2대략 파형요소(414, 454, 484)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31.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단 부분을 제외하고, 대체로 동일 형상으로 균일하게 확장되는 스텐트.
  32.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한, 체강 내의 관상조직에 유치하기 위한 스텐트(501, 502, 503)로서, 목적으로 하는 직경 이상으로 과도하게 확장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33. 제32항에 있어서,
    스텐트(501, 502, 503)를 구성하는 기본 셀(511)이, 미확장시에 스텐트 축 방향으로 긴 쪽을 향해서 배치된 메인 스트러트(514)와, 그들 사이에 절첩되어 확장시에 메인 스트러트(514)를 둘레 방향으로 지지하는 서브 스트러트(515)로 되고, 확장시에 메인 스트러트(514)와, 서브 스트러트(515)가 적어도 3변 이상으로 되는 환상의 대략 다각형 형상을 형성하고, 이 기본 셀(511)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연속해서 밴드부(512)를 형성하고, 이 밴드부(512)는 링크부(513)를 거쳐서 길이 방향으로 복수 연속하여 되는 스텐트.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메인 스트러트(514) 사이에 절첩되어 있는 하나의 기본 셀(511) 내의 서브 스트러트(515)의 총 길이를 A, 또 기본 셀(511)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연속해서 형성되는 하나의 밴드부(512) 내의 기본 셀수를 B, 목적으로 하는 스텐트의 확장 직경을 D로 한 경우에,
    π×D= 0.5×A×Sinθ×B 이고 또한 60°≤θ<90°
    의 관계를 충족시켜서 되는 스텐트.
  35. 제34항에 있어서,
    미확장시의 기본 셀(511) 내에 있어서의 메인 스트러트(514)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L로 한 경우에,
    L≤A<2×L
    의 관계를 충족시켜서 되는 스텐트.
  36. 제32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인 스트러트(514), 서브 스트러트(515)를 구성하는 선재의 폭을 W, 두께를 T로 했을 경우에,
    0.5×W≤T≤3×W
    의 관계를 충족시켜서 되는 스텐트.
  37. 제32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스텐트 확장시의 기본 셀(511)의 형상이, 대략 삼각형, 또는 대략 사각형, 또는 대략 사다리꼴인 스텐트.
  38. 제32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본 셀(511)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연속해서 형성되는 밴드부(512)끼리를 잇는 링크부(513)가, 길이 방향으로 신축가능한 구조를 갖는 스텐트.
  39. 제32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확장시에 있어서의 링크부(513)의 스텐트 축 방향의 길이를 C, 미확장시에 있어서의 메인 스트러트(514)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L로 한 경우에,
    0.3×L≤C≤2L
    의 관계를 충족시켜서 되는 스텐트.
  40. 제32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인 스트러트(514)와 서브 스트러트(515)가 스테인레스, 초탄성 금속, 휨 탄성률이 1GPa 이상인 고분자 재료, 생분해성 고분자 재료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되는 스텐트.
  41. 제32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텐트의 외주면에 통 형상의 박막 고분자막을 갖는 스텐트.
  42. 제32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선 조영하에서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X선 불투과 마커를 갖는 스텐트.
  43.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하고, 또 선 형상요소인 스트러트(604)로 둘러싸인 대략 다각형의 형상으로 된 패턴(605)이,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으로, 복수 배열한 스텐트(603)이고, 그 다각형 형상 패턴(605)은 직선적인 주위 길이(606, 609) (원래의 직선적 주위 길이)를 갖고 있고, 또한 이 다각형 형상 패턴(605)은, 그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서 눌러 확대함으로써, 눌려 확대된 후의 주위 길이(608)가, 그 원래의 직선적 주위 길이(606, 609)의 1.3배 내지 2.0배로 넓어지도록, 신률 변형 가능한 국소적인 절첩 부분(607, 610)을 하나의 그 다각형 형상 패턴(605)당, 3개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44. 제43항에 있어서,
    하나의 그 다각형 형상 패턴(605)당 신률 변형 가능한 국소적인 절첩 부분(607, 610)의 수가 그 다각형 변의 수와 같은 스텐트.
  45. 대략 관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관상체의 반경 방향의 바깥 쪽으로 신장가능하고, 또 선 형상요소인 스트러트(604)로 둘러싸인 대략 다각형의 형상으로 된 패턴(605)이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으로 복수 배열한 스텐트(603)이고, 그 다각형 형상 패턴(605)은 직선적인 주위 길이(606, 609) (원래의 직선적 주위 길이)를 가지고 있고, 또한 이 다각형 형상 패턴은 그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서 눌러 확대함으로써, 눌려 확대된 후의 주위 길이(608)가, 그 원래의 직선적 주위 길이(606, 609)의 1.3배 내지 2.0배로 넓어지도록 신률 변형가능한 부분(607, 610)을 갖고, 이 신률 변형가능한 국소적인 절첩 부분(607, 610)의 그 다각형의 변 방향의 직선적인 길이의 합계는, 그 다각형 형상 패턴(605)의 원래의 직선적 주위 길이(606, 609)의 1/3배 내지 1배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46. 제43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 형상 패턴(605)의 원래의 직선적 주위 길이(606, 609)가 6.0mm내지 12.0mm이고, 스텐트 확장 후에 있어서의 눌려 확대된 후의 주위 길이(608)에 둘러싸인 개구부의 면적이 2.0mm2내지 9.0mm2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KR10-2003-7010124A 2001-02-01 2002-01-31 스텐트 KR200300814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26045 2001-02-01
JPJP-P-2001-00026044 2001-02-01
JP2001026044A JP4857470B2 (ja) 2001-02-01 2001-02-01 ステント
JP2001026045A JP5011604B2 (ja) 2001-02-01 2001-02-01 ステント
JP2001034838A JP4815057B2 (ja) 2001-02-13 2001-02-13 ステント
JPJP-P-2001-00034838 2001-02-13
JP2001151546A JP4808331B2 (ja) 2001-05-21 2001-05-21 ステント
JPJP-P-2001-00151546 2001-05-21
JP2001157188A JP4819245B2 (ja) 2001-05-25 2001-05-25 ステント
JPJP-P-2001-00157188 2001-05-25
JP2001285622A JP4768172B2 (ja) 2001-09-19 2001-09-19 ステント
JPJP-P-2001-00285622 2001-09-19
PCT/JP2002/000749 WO2002060521A1 (en) 2001-02-01 2002-01-31 St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411A true KR20030081411A (ko) 2003-10-17

Family

ID=27554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124A KR20030081411A (ko) 2001-02-01 2002-01-31 스텐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102834A1 (ko)
EP (1) EP1364676A4 (ko)
KR (1) KR20030081411A (ko)
CN (1) CN1289160C (ko)
CA (1) CA2436642A1 (ko)
WO (1) WO200206052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643B1 (ko) * 2009-10-30 2012-03-22 주식회사 제노스 심혈관용 스텐트
KR101643230B1 (ko) * 2015-09-17 2016-07-28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스텐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8708B2 (en) 2001-02-05 2011-10-18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Implantable device with remodelable material and covering material
US6585753B2 (en) * 2001-03-28 2003-07-01 Scimed Life Systems, Inc. Expandable coil stent
US20040054398A1 (en) * 2002-09-13 2004-03-18 Cully Edward H. Stent device with multiple helix construction
DE10243136A1 (de) * 2002-09-17 2004-05-19 Campus Medizin & Technik Gmbh Stent zur Implantation in oder um ein Hohlorgan
US7637942B2 (en) 2002-11-05 2009-12-29 Merit Medical Systems, Inc. Coated stent with geometry determinated functionalit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959671B2 (en) 2002-11-05 2011-06-14 Merit Medical Systems, Inc. Differential covering and coating methods
US7875068B2 (en) 2002-11-05 2011-01-25 Merit Medical Systems, Inc. Removable biliary stent
US7625399B2 (en) 2003-04-24 2009-12-01 Cook Incorporated Intralumenally-implantable frames
US7658759B2 (en) * 2003-04-24 2010-02-09 Cook Incorporated Intralumenally implantable frames
US7717952B2 (en) * 2003-04-24 2010-05-18 Cook Incorporated Artificial prostheses with preferred geometries
EP2926772A1 (en) 2003-04-24 2015-10-07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Artificial valve prosthesis with improved flow dynamics
US8317859B2 (en) * 2004-06-28 2012-11-27 J.W. Medical Systems Ltd.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xpandable prostheses during deployment
US7655033B2 (en) * 2004-12-09 2010-02-02 Med Institute, Inc. S-shaped stent design
US20070073380A1 (en) * 2004-12-20 2007-03-29 Vazquez Frank B Longitudinally expanding, rotating & contracting shaped memory superelastic stent
WO2006127784A2 (en) * 2005-05-23 2006-11-30 Incept Llc Mechanically actuated stents and apparatus and methods for delivering them
US9034025B2 (en) 2005-05-23 2015-05-19 Ostial Corporation Balloon catheters and methods for use
JP5000656B2 (ja) 2005-08-22 2012-08-15 インセプト・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フレア展開ステント、ならびにこれを製造・使用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100667618B1 (ko) * 2005-09-23 2007-01-11 휴메드 주식회사 이중배열 스트럿을 갖는 혈관용 스텐트
US8518100B2 (en) * 2005-12-19 2013-08-27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Drug eluting stent for the treatment of dialysis graft stenoses
US8062347B2 (en) * 2007-03-23 2011-11-22 Codman & Shurtleff, Inc. Implantable stents having a plurality of varying parallelogrammic cell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144508B2 (en) 2007-07-19 2015-09-29 Back Bay Medical Inc. Radially expandable stent
WO2010124286A1 (en) * 2009-04-24 2010-10-28 Flexible Stenting Solutions, Inc. Flexible devices
CA2779080C (en) * 2009-10-30 2018-01-16 Cordis Corporation Intraluminal device with improved flexibility and durability
DE102011009372B3 (de) * 2011-01-25 2012-07-12 Acandis Gmbh & Co. Kg Medizinische Vorrichtung mit einer Gitterstruktur und ein Behandlungssystem mit einer derartigen Gitterstruktur
EP4122626A1 (en) * 2012-01-24 2023-01-25 Smith & Nephew, Inc. Porous structure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10940167B2 (en) 2012-02-10 2021-03-09 Cvdevices, Llc Methods and uses of biological tissues for various stent and other medical applications
CN102657564B (zh) * 2012-05-10 2014-11-12 大连理工大学 一种生物可降解血管支架
EP4215163A1 (en) 2013-02-11 2023-07-26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Expandable support frame and medical device
US9566666B2 (en) 2013-03-13 2017-02-14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Short pulse laser machining of polymers enhanced with light absorbers for fabricating medical devices
JP6428925B2 (ja) 2015-04-17 2018-11-28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の装着バンド及び電子機器
CN108348345B (zh) * 2015-06-24 2021-12-28 恩朵罗杰克斯有限责任公司 腔内假体系统和方法
CN105832368B (zh) * 2016-03-17 2018-07-31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医用操作通道支架
CN106361478B (zh) * 2016-11-02 2018-08-21 江苏大学 一种混合型球囊扩张式血管支架
CA3048527C (en) 2017-01-20 2023-06-27 W. L. Gore & Associates, Inc. Embolic filter system
CN116211562B (zh) * 2023-05-06 2023-11-21 北京久事神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凸点支架
CN116370168B (zh) * 2023-05-31 2023-08-04 昆明理工大学 基于多圆弧星形胞元结构的血管支架结构、泊松比调节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8116B1 (en) * 1996-01-26 2001-07-10 Cordis Corporation Bifurcated axially flexible stent
US5843117A (en) * 1996-02-14 1998-12-01 Inflow Dynamics Inc. Implantable vascular and endoluminal stents and process of fabricating the same
US6235053B1 (en) * 1998-02-02 2001-05-22 G. David Jang Tubular stent consists of chevron-shape expansion struts and contralaterally attached diagonal connectors
ATE257002T1 (de) * 1996-05-08 2004-01-15 Sorin Biomedica Cardio Spa Ein stent für angioplastie
JPH09313617A (ja) * 1996-05-30 1997-12-09 Piolax Inc ステント
US5697971A (en) * 1996-06-11 1997-12-16 Fischell; Robert E. Multi-cell stent with cells having differing characteristics
DE29702671U1 (de) * 1997-02-17 1997-04-10 Jomed Implantate Gmbh Stent
IT1292295B1 (it) * 1997-04-29 1999-01-29 Sorin Biomedica Cardio Spa Stent per angioplastica
US6451049B2 (en) * 1998-04-29 2002-09-17 Sorin Biomedica Cardio, S.P.A. Stents for angioplasty
FR2762777B1 (fr) * 1997-05-05 1999-10-22 Patrick Sabaria Extenseurs vasculaires et coronaires, habituellement designes sous le nom de "stent"
FR2764794B1 (fr) * 1997-06-20 1999-11-12 Nycomed Lab Sa Dispositif tubulaire expanse a epaisseur variable
KR20010082497A (ko) * 1997-09-24 2001-08-30 메드 인스티튜트, 인코포레이티드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한 스텐트
US5948016A (en) * 1997-09-25 1999-09-07 Jang; G. David Intravascular stent with non-parallel slots
US6309414B1 (en) * 1997-11-04 2001-10-30 Sorin Biomedica Cardio S.P.A. Angioplasty stents
US6190406B1 (en) * 1998-01-09 2001-02-20 Nitinal Development Corporation Intravascular stent having tapered struts
US6123721A (en) * 1998-02-17 2000-09-26 Jang; G. David Tubular stent consists of chevron-shape expansion struts and ipsilaterally attached M-frame connectors
US6019789A (en) * 1998-04-01 2000-02-01 Quanam Medical Corporation Expandable unit cell and intraluminal stent
JPH11299901A (ja) * 1998-04-16 1999-11-02 Johnson & Johnson Medical Kk 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6042597A (en) * 1998-10-23 2000-03-28 Scimed Life Systems, Inc. Helical stent design
EP1152710A1 (en) * 1999-01-22 2001-11-14 Khalid Al-Saadon Expandable intravascular tubular stents
US6730116B1 (en) * 1999-04-16 2004-05-04 Medtronic, Inc. Medical device for intraluminal endovascular stenting
WO2001041675A1 (en) * 1999-12-07 2001-06-14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Novel enhanced flexible expandable stents
JP3654627B2 (ja) * 2000-04-20 2005-06-02 川澄化学工業株式会社 ステント
US6352552B1 (en) * 2000-05-02 2002-03-05 Scion Cardio-Vascular, Inc. Stent
US6602283B2 (en) * 2001-04-06 2003-08-05 Scimed Life Systems, Inc. Stent desig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643B1 (ko) * 2009-10-30 2012-03-22 주식회사 제노스 심혈관용 스텐트
KR101643230B1 (ko) * 2015-09-17 2016-07-28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스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64676A1 (en) 2003-11-26
EP1364676A4 (en) 2007-10-31
WO2002060521A1 (en) 2002-08-08
CN1533290A (zh) 2004-09-29
CN1289160C (zh) 2006-12-13
CA2436642A1 (en) 2002-08-08
US20040102834A1 (en) 200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81411A (ko) 스텐트
JP4453786B2 (ja) 柔軟性を向上させた外科用ステント
US7828835B2 (en) Longitudinally flexible stent
US6723119B2 (en) Longitudinally flexible stent
KR100455975B1 (ko) 팽창 가능한 스텐트
US6709453B2 (en) Longitudinally flexible stent
US6520987B1 (en) Expandable intravascular stent
AU2002304381A1 (en) Longitudinally flexible stent
WO2005076691A2 (en) Longitudinally flexible stent
US7621947B2 (en) Longitudinally flexible stent
CA2358453A1 (en) Expandable endovascular medical tubular stent
CN114870213A (zh) 球囊约束支架及球囊导管
CA2458996A1 (en) Longitudinally flexible stent
JP5011604B2 (ja) ステント
US8496699B2 (en) Longitudinally flexible stent
KR102666828B1 (ko) 혈류감응형 혈관 외부 스텐트
JP4768172B2 (ja) ステント
JP4857470B2 (ja) ステント
CA2358449A1 (en) Expandable intravascular tubular stents
AU2002304380A1 (en) Longitudinally flexible stent
JP2005027909A (ja) 血管追従性・拡張性のよい、血管に優しい柔軟なステ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