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8710A - 조타각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조타각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8710A
KR20030078710A KR10-2003-0019082A KR20030019082A KR20030078710A KR 20030078710 A KR20030078710 A KR 20030078710A KR 20030019082 A KR20030019082 A KR 20030019082A KR 20030078710 A KR20030078710 A KR 20030078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ceiving
receiving element
light
slit
angl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2007B1 (ko
Inventor
사노다다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8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0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Abstract

본 발명은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티어링 휠의 절대각 검출의 분해능을 높일 수 있는 조타각(操舵角)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스티어링 휠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2)에 코드판(3)을 설치하고, 이 코드판(3)과 각 포토인터럽터(6)에 의하여 스티어링 휠의 회전량과 회전방향을 검출한다. 또 회전부재(2)의 제 1 기어(4)에 제 2 기어(8)를 맞물려 스크루 샤프트(7)를 회전시킴으로써, 캐리지(10)를 스크루 샤프트(7)의 축선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이 캐리지(10)에 설치한 차광판(12)의 슬릿(13)을 LED(14)와 2분할 포토 다이오드(15)에 대하여 이동시킨다. 그리고 슬릿(13)의 이동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2분할 포토 다이오드(15)의 수광량 변화에 의거하여 스티어링 휠의 중립위치로부터의 절대각도를 검출한다.

Description

조타각 검출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STEERING ANGLE}
본 발명은 자동차에 구비되는 스티어링 휠의 조타각도나 조타방향을 검출하는 조타각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티어링 휠의 중립위치로부터의 절대각도를 검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조타각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휠의 조타각 검출장치에는 로터리 인코더가 사용되고 있고, 스티어링 휠에 연동하여 로터리 인코더의 로터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로터리 인코더로부터 출력되는 90도의 위상차를 가지는 2종류의 펄스신호에 의거하여, 스티어링 휠의 조타각도나 조타방향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스티어링 휠은 중립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복수 회전되기 때문에, 조타각 검출장치에 스티어링 휠의 중립위치로부터의 절대각도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게 할 필요가 있다.
종래부터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조타각 검출장치로서, 스티어링 휠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로터리 인코더에 래치트 기어를 병설하고, 이 래치트 기어에 설치한 로터리 스위치에 의하여 스티어링 휠의 중립위치로부터의 절대각도를 검출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지의 조타각 검출장치는, 로터리 인코더의 로터부재의 바깥 둘레 가장자리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한쌍의 돌기를 설치함과동시에, 래치트 기어에 복수의 래치트 톱니를 단이 다르게 교대로 설치하여, 위치가 높은 쪽의 래치트 톱니가 1 톱니만큼 양 돌기의 회전궤적내에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개략 구성된 조타각 검출장치에 의하면, 스티어링 휠에 연동하여 로터부재가 1회전하면, 로터부재의 돌기에 래치트 톱니가 맞닿아 래치트 기어를 1 톱니분만큼 간헐적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래치트 기어의 회전각도에 따라 변화하는 로터리 스위치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스티어링 휠의 중립위치로부터의 절대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조타각 검출장치에서는, 로터리 인코더의 로터부재가 1 회전할 때마다 돌기와 래치트 톱니가 맞닿아 래치트 기어를 1 톱니만큼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와 래치트 톱니가 맞닿을 때마다 귀에 거슬리는 충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로터부재의 1 회전마다 래치트 기어가 1 톱니분만큼 간헐 회전하여 로터리 스위치의 접점을 전환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스티어링 휠이 몇 회전째에 있는지를 로터리 스위치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검출할 수 있으나, 스티어링 휠의 1 회전내에서의 절대각도를 검출할 수는 없어, 절대각 검출의 분해능이 낮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티어링 휠의 절대각 검출의 분해능을 높일 수 있는 조타각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관한 조타각 검출장치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상기 조타각 검출장치의 내부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상기 조타각 검출장치에 구비되는 제 2 검출수단의 설명도,
도 4는 상기 제 2 검출수단에 구비되는 차광판과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의 설명도,
도 5는 상기 차광판의 슬릿과 수광소자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상기 수광소자의 수광량에 의거하는 절대각 검출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있어서의 부호의 설명
2 : 회전부재 3 : 코드판
4 : 제 1 기어 6 : 포토 인터럽터
7 : 스크루 샤프트 7a : 나선형상 홈
8 : 제 2 기어 9 : 가이드 샤프트
10 : 캐리지(이동부재) 1Oa : 걸어맞춤 톱니부
11 : 판스프링 12 : 차광판
13 : 슬릿 13a : 직선부
14 : LED(발광소자) 15 : 2분할 포토 다이오드(수광소자)
15a : 제 1 수광부 15b : 제 2 수광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타각 검출장치에서는 스티어링 휠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이 회전부재에 설치된 코드판과 협동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각도에 따른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제 1 검출수단과, 둘레면에 나선형상 홈을 가지는 스크루 샤프트와, 상기 나선형상 홈에 걸어 멎추어 상기 스크루 샤프트의 축선방향에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이 이동부재와 협동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의 중립위치로부터의 절대각도를 검출하는 제 2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된 제 1 기어와 상기 스크루 샤프트에 설치된 제 2 기어를 항상 맞물림시키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타각 검출장치에 있어서는, 스티어링 휠에 연동하여 회전부재가 회전하면, 제 1 검출수단이 회전부재에 설치된 코드판과 협동하여 스티어링 휠의 회전정보를 검출함과 동시에, 이 회전부재에 항상 맞물려 회전하는 스크루 샤프트의 축선방향을 따라 이동부재가 직선적으로 이동하고, 제 2 검출수단이 이동부재와 협동하여 스티어링 휠의 중립위치로부터의 절대각도를 검출하기 때문에, 회전부재로부터 스크루 샤프트에의 동력전달을 양자의 기어 맞물림으로 함으로써 저소음화가 도모되고, 또한 제 1 기어와 제 2 기어의 기어비나 스크루 샤프트의 나선형상 홈의 피치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절대각 검출의 분해능을 높일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회전부재의 중심축에 대하여 스크루 샤프트의 축선방향을 평행하게 설치하면, 조타각 검출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제 2 검출수단은 이동부재의 이동량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라도 좋으나, 제 2 검출수단이 슬릿을 가지는 차광판과, 이 차광판을 거쳐 대향하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구비하고, 이동부재가 차광판과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광투과식의 제 2 검출수단을 채용하면, 차광판과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의 상대적 이동범위에 있어서, 그 상대적 위치의 변화에 따라 수광소자의 수광량을 아날로그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절대각 검출의 검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그 때, 차광판을 이동부재측에 설치하고, 이 이동부재에 대향 설치된 고정부재에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수광소자로서 제 1 수광부와 제 2 수광부를 가지는 2분할 수광소자를 사용하여, 이 2분할 수광소자와 슬릿이 상대 이동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수광부의 수광량 비율이 변화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 슬릿이 이동부재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직선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하면 2분할 수광소자의 수광량 변화를 더욱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특히, 2분할 수광소자의 전체형상이 직사각형인 경우, 슬릿의 직선부를 그 2분할 수광소자의 긴 변과 대략 직교시키면, 2분할 수광소자의 불감대 영역이 저감되어 바람직하다.
이하,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실시형태예에 관한 조타각 검출장치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상기 조타각 검출장치의 내부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상기 조타각 검출장치에 구비되는 제 2 검출수단의 설명도, 도 4는 상기 제 2 검출수단에 구비되는 차광판과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의 설명도, 도 5는 상기 차광판의 슬릿과 수광소자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상기 수광소자의 수광량에 의거한 절대각 검출의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조타각 검출장치는 도시 생략한 스티어링장치의 고정자부재에 고정되는 외장 케이스(1)를 구비하고 있고, 이 외장 케이스(1)에 회전부재(2)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회전부재(2)의 중심에 도시 생략한 스티어링 샤프트가 삽입되고, 마찬가지로 도시 생략한 스티어링 휠이 회전부재(2)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회전부재(2)에 코드판(3)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또 회전부재(2)의 하부 바깥 둘레면에 제 1 기어(4)가 세겨져 설치되어 있다. 코드판(3)에는 안쪽 돌기군(3a)과 바깥쪽 돌기군(3b)이 동심원형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외장 케이스(1)에 고정된 프린트기판(5)에는 안쪽 돌기군(3a)과 바깥쪽 돌기군(3b)에 대응하여 복수의 포토 인터럽터(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코드판(3)과 포토 인터럽터(6)는 제 1 검출수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회전부재(2)의 회전에 따라 각 포토 인터럽터(6)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에 의거하여 회전부재(2)를 회전 동작하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량과 회전방향이 검출된다.
외장 케이스(1)의 내부에 스크루 샤프트(7)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스크루 샤프트(7)의 축선방향과 회전부재(2)의 중심축과는 서로 평행하게 설정되어 있다. 스크루 샤프트(7)의 한쪽 끝에 제 2 기어(8)가 고정되어 있고, 이 제 2 기어(8)는 회전부재(2)의 제 1 기어(4)와 맞물려 있다. 또 외장 케이스(1)의 내부에 스크루 샤프트(7)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 샤프트(9)가 고정되어 있고,이 가이드 샤프트(9)에 이동부재인 캐리지(10)가 슬라이딩 자유롭게 걸어 맞춰져 있다. 스크루 샤프트(7)의 둘레면에 나선형상 홈(7a)이 세겨 설치되어 있고, 캐리지(10)에 일체 형성된 걸어맞춤 톱니부(10a)가 이 나선형상 홈(7a)에 맞물리고, 이 걸어맞춤 톱니부(10a)는 캐리지(10)에 설치된 판스프링(11)의 탄성가세력에 의하여 나선형상 홈(7a)에 압접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루 샤프트(7)가 회전하면, 걸어맞춤 톱니부(10a)가 나선형상 홈(7a)을 따라 이동하고, 그에 따라 캐리지(10)가 스크루 샤프트(7)와 가이드 샤프트(9)의 축선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왕복 이동한다. 또한 캐리지(10)의 걸어맞춤 톱니부(10a)와 반대측의 끝부에 차광판(12)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차광판(12)에 슬릿(1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외장 케이스(1)의 내부에는 발광소자인 LED(14)와 수광소자인 2분할 포토 다이오드(15)가 설치되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LED(14)와 2분할 포토 다이오드(15)는 차광판(12)의 슬릿(13)을 거쳐 대향하고 있고, LED(14)로부터의 출사광이 차광판(12)의 슬릿(13)을 투과하여 2분할 포토 다이오드(15)로 수광되도록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2분할 포토 다이오드(15)는 제 1 수광부(15a)와 제 2 수광부(15b)를 빗살형상의 분할선을 따라 2분할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슬릿(13)은 캐리지(10)의 이동방향(도면 중 화살표 P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직선부(13a)를 가지고 있고, 이 직선부(13a)가 2분할 포토 다이오드(15)의 긴 변과 대략 직교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루 샤프트(7)의 회전에 따라 캐리지(10)가 화살표 P 방향으로 이동하면, 슬릿(13)의 직선부(13a)는 2분할 포토 다이오드(15)의 서로 대향하는 짧은 변 사이를 긴 변을 따르는 방향(도면 중 화살표 Q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이동위치에 따라 제 1 및 제 2 수광부(15a, 15b)의 수광량이 변화한다. 또한 상기한 차광판(12)의 슬릿(13)과 LED(14) 및 2분할 포토 다이오드(15)는 제 2 검출수단을 구성하는 것이고, 캐리지(10)의 이동에 따라 변화하는 제 1 및 제 2 수광부(15a, 15b)의 출력값에 의거하여, 스티어링 휠의 중립위치로부터의 절대각도가 검출된다.
즉, 스티어링 휠이 중립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2회전(+ 720도 내지 -720도)하는 경우, 도 5의 2 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의 회전각에 따라 직선부(13a)와 제 1 및 제 2 수광부(15a, 15b)의 상대위치가 변화하기 때문에, 이들 제 1 및 제 2 수광부(15a, 15b)로부터 얻어지는 전류치를 연산함으로써, 스티어링 휠의 중립위치로부터의 절대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수광부(15a)로부터 얻어지는 전류치를 I1, 제 2 수광부(15b)로부터 얻어지는 전류치를 I2라고 하면, 이들 전류치(I1, I2)는 직선부(13a)의 이동위치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로서 연산하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의 절대각도를 전류치(I)의 아날로그적인 변화로서 검출할 수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조타각 검출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티어링 휠을 회전조작하면, 스티어링 휠에 연동하여 회전부재(2)가 일체적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이 회전력이 제 1 기어(4)로부터 제 2 기어(8)로 전달되기 때문에, 회전부재(2)에 연동하여 스크루 샤프트(7)도 회전한다. 회전부재(2)에는 코드판(3)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부재(2)의 회전에 따라 코드판(3)의 안쪽 및 바깥쪽 돌기군(3a, 3b)과 각 포토 인터럽터(6)와의 상대위치가 변화하고, 각 포토 인터럽터(6)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에 의거하여 스티어링 휠의 회전량과 회전방향이 검출된다. 이들 코드판(3)과 포토 인터럽터(6)는 인크리먼트형의 로터리 인코더로서 기능하는 것이고, 본 실시형태예의 경우는 스티어링 휠이 중립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2회전(+720도 내지 -720도)하기 때문에, 각 포토 인터럽터(6)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스티어링 휠의 전 회전범위(± 720도) 내의 회전량과 회전방향이 검출된다.
또 스크루 샤프트(7)의 나선형상 홈(7a)에 캐리지(10)의 걸어맞춤 톱니부(10a)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스크루 샤프트(7)의 회전에 따라 캐리지(10)가 스크루 샤프트(7)와 가이드 샤프트(9)의 축선방향에 직선적으로 왕복이동하고, 캐리지(10)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차광판(12)이 LED(14)와 2분할 포토 다이오드(15)사이를 이동한다. 그 결과, 차광판(12)에 형성된 슬릿(13)의 직선부(13a)가 2분할 포토 다이오드(15)의 서로 대향하는 짧은 변 사이를 도 5의 화살표 Q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이동위치에 따라 제 1 및 제 2 수광부(15a, 15b)의 수광량이 변화하기 때문에, 이들 제 1 및 제 2 수광부(15a, 15b)의 출력값에 의거하여, 스티어링 휠의 중립위치로부터의 절대각도가 검출된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수광부(15a, 15b)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치(I1, I2)를 검출하여, 이들 전류치(I1, I2)를 상기 수학식 (1)에 대입하여 전류치(I)를 연산하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의 절대각도를 전류치(I)의 아날로그적인 변화로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예의 경우는 스티어링 휠이 중립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2회전(+720도 내지 -720도)하기 때문에, 2분할 포토 다이오드(15)의 출력신호 에 의거하여 스티어링 휠의 전 회전범위(± 720도)내의 절대각도가 검출된다. 또한 2분할 포토 다이오드(15)의 출력신호로부터 구해지는 전류치(I)는 아날로그적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검출 가능한 스티어링 휠의 절대각도는 정수회전(0, ±1, ±2)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티어링 휠의 반회전(180도)마다의 절대각도를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예에서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량과 회전방향을 검출하는 제 1 검출수단으로서, 코드판(3)의 안쪽 및 바깥쪽 돌기군(3a, 3b)과 각 포토 인터럽터(6)로 구성되는 인크리먼트형의 로터리 인코더를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 이와 같은 로터리 인코더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자기식이나 브러시식의 로터리 인코더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어, 이하에 기재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스티어링 휠에 연동하여 회전부재가 회전하면, 제 1 검출수단이 회전부재에설치된 코드판과 협동하여 스티어링 휠의 회전정보를 검출함과 동시에, 이 회전부재에 항상 맞물려 회전하는 스크루 샤프트의 축선방향을 따라 이동부재가 직선적으로 이동하고, 제 2 검출수단이 이동부재와 협동하여 스티어링 휠의 중립위치로부터의 절대각도를 검출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회전부재로부터 스크루 샤프트에의 동력전달을 양자의 기어맞물림으로 함으로써 저소음화가 도모되고, 또한 제 1 기어와 제 2 기어의 기어비나 스크루 샤프트의 나선형상 홈의 피치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절대각 검출의 분해능을 높일 수 있다. 그 때, 회전부재의 중심축에 대하여 스크루 샤프트의 축선방향을 평행하게 설치하면, 조타각 검출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제 2 검출수단이 슬릿을 가지는 차광판과, 이 차광판을 거쳐 대향하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구비하고, 이동부재가 차광판과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면, 차광판과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의 상대적 이동범위에 있어서, 그 상대적위치의 변화에 따라 수광소자의 수광량을 아날로그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절대각 검출의 검출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그 때, 차광판을 이동부재측에 설치하여, 이 이동부재에 대향 설치된 고정부재에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설치하면, 수광소자의 출력신호를 끌고 다니는 처리시스템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 수광소자로서 제 1 수광부와 제 2 수광부를 가지는 2분할 수광소자를 사용하여, 이 2분할 수광소자와 슬릿이 상대이동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수광부의 수광량 비율이 변화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슬릿에 이동부재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직선부를 형성하면, 2분할 수광소자의 수광량 변화를 더욱 정확하게 검출할수 있다. 특히, 2분할 수광소자의 전체형상이 직사각형인 경우, 슬릿의 직선부를 상기 2분할 수광소자의 긴 변과 대략 직교시키면, 2분할 수광소자의 불감대 영역을 저감하여 소형화할 수 있다.

Claims (16)

  1. 스티어링 휠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이 회전부재에 설치된 코드판과 협동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각도에 따른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제 1 검출수단과, 둘레면에 나선형상 홈을 가지는 스크루 샤프트와, 상기 나선형상 홈에 걸어 맞추어 상기 스크루 샤프트의 축선방향에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이 이동부재와 협동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의 중립위치로부터의 절대각도를 검출하는 제 2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된 제 1 기어와 상기 스크루 샤프트에 설치된 제 2 기어를 항상 맞물림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각 검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중심축에 대하여 상기 스크루 샤프트의 축선방향을 평행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각 검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검출수단이 슬릿을 가지는 차광판과, 이 차광판을 거쳐 대향하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차광판과 상기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각 검출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검출수단이 슬릿을 가지는 차광판과, 이 차광판을 거쳐 대향하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차광판과 상기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각 검출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이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되어, 이 이동부재에 대향 설치된 고정부재에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각 검출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이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되어, 이 이동부재에 대향 설치된 고정부재에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각 검출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소자가 제 1 수광부와 제 2 수광부를 가지는 2분할 수광소자로 이루어지고, 이 2분할 수광소자와 상기 슬릿이 상대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수광부의 수광량 비율이 변화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각 검출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소자가 제 1 수광부와 제 2 수광부를 가지는 2분할 수광소자로 이루어지고, 이 2분할 수광소자와 상기 슬릿이 상대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수광부의 수광량 비율이 변화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각 검출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소자가 제 1 수광부와 제 2 수광부를 가지는 2분할 수광소자로 이루어지고, 이 2분할 수광소자와 상기 슬릿이 상대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수광부의 수광량 비율이 변화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각 검출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소자가 제 1 수광부와 제 2 수광부를 가지는 2분할 수광소자로 이루어지고, 이 2분할 수광소자와 상기 슬릿이 상대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수광부의 수광량 비율이 변화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각 검출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직선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각 검출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직선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각 검출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직선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각 검출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2분할 수광소자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릿의 상기 직선부를 상기 2분할 수광소자의 긴 변과 대략 직교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각 검출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2분할 수광소자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릿의 상기 직선부를 상기 2분할 수광소자의 긴 변과 대략 직교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각 검출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2분할 수광소자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릿의 상기 직선부를 상기 2분할 수광소자의 긴 변과 대략 직교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각 검출장치.
KR1020030019082A 2002-03-28 2003-03-27 조타각 검출장치 KR100552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91760A JP2003287418A (ja) 2002-03-28 2002-03-28 操舵角検出装置
JPJP-P-2002-00091760 2002-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710A true KR20030078710A (ko) 2003-10-08
KR100552007B1 KR100552007B1 (ko) 2006-02-20

Family

ID=2803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082A KR100552007B1 (ko) 2002-03-28 2003-03-27 조타각 검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10590B2 (ko)
EP (1) EP1350709B1 (ko)
JP (1) JP2003287418A (ko)
KR (1) KR100552007B1 (ko)
DE (1) DE60305558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664B1 (ko) * 2006-08-11 200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의 조타각 센서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0302A (ja) * 2002-11-21 2004-06-17 Alps Electric Co Ltd 位置検出センサ
US7000326B2 (en) * 2003-03-03 2006-02-21 Hunter Engineerin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wheel alignment sensor runout compensation
US6796036B1 (en) * 2003-03-03 2004-09-28 Hunter Engineerin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wheel alignment sensor runout compensation
DE10309060A1 (de) * 2003-03-03 2004-09-16 Bayerische Motoren Werke Ag Einrichtung zur Drehwinkelmessung zur Erfassung von absoluten Werten von Lenkwinkeln
JP2005055256A (ja) * 2003-08-01 2005-03-03 Yazaki Corp 舵角センサ
DE10342326B4 (de) * 2003-09-11 2007-10-04 Preh Gmbh Integrierter optischer Encoder
JP2006214830A (ja) * 2005-02-02 2006-08-17 Alps Electric Co Ltd 光学式回転角検出装置
US9520061B2 (en) * 2008-06-20 2016-12-13 Tk Holdings Inc. Vehicle driver messaging system and method
US8296012B2 (en) * 2007-11-13 2012-10-23 Tk Holdings Inc.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9302630B2 (en) * 2007-11-13 2016-04-05 Tk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audible input in a vehicle
US20100096092A1 (en) * 2008-10-22 2010-04-22 Shanghai Guardian Corp. Garage door assembly
GB2464413B (en) * 2010-01-05 2014-07-02 Protean Electric Ltd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DE102012101962A1 (de) * 2012-03-08 2013-09-12 Hella Kgaa Hueck & Co. Niveausensor
DE102012106021A1 (de) * 2012-07-05 2014-05-08 Hella Kgaa Hueck & Co. Niveausensor
RU2655966C2 (ru) * 2016-11-25 2018-05-3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яз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о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П.А. Костычева" (ФГБОУ ВО РГАТУ)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нежелательных углов поворота рулевого колеса, оборудованного гидроусилителем
CN109774966A (zh) * 2017-11-13 2019-05-21 中航通飞华南飞机工业有限公司 一种不顶飞机进行前轮转弯功能检查的装置及方法
CN109141486B (zh) * 2018-08-30 2021-07-27 济宁学院 电动汽车方向盘位置传感器
CN112345550B (zh) * 2020-09-27 2022-11-29 东风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多工位全自动盘类齿轮检测装置
CN112344985B (zh) * 2020-09-27 2022-11-29 东风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多工位全自动盘类齿轮检测装置
CN112345237B (zh) * 2020-09-27 2022-11-25 东风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多工位全自动盘类齿轮检测装置
CN112344984B (zh) * 2020-09-27 2022-11-29 东风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多工位全自动盘类齿轮检测装置
CN114810842B (zh) * 2022-06-28 2022-09-23 天津德沃尔智能科技有限公司 交叉轴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2310A (en) * 1978-10-20 1980-05-10 Hiromi Ogasawara Direct-acting type displacement detector
JPH01108987A (ja) 1987-10-21 1989-04-26 Nippon Kayaku Co Ltd 新規物質nk86−0186およびその製造法
JPH01118714A (ja) * 1987-10-30 1989-05-11 Omron Tateisi Electron Co 光学式位置検出センサ
GB2216268B (en) * 1988-03-31 1992-04-15 Schlumberger Ind Ltd Rotary displacement transducers
JPH02248811A (ja) * 1989-03-22 1990-10-04 Fuji Heavy Ind Ltd 車両用舵角センサの絶対舵角検出方法
FR2668258B1 (fr) * 1990-10-19 1994-05-13 Cartier Systemes G Capteur d'angle de rotation pour detecter le sens de rotation et/ou le nombre de tours effectues, et dispositif de direction assitee de vehicule comportant un tel capteur.
JP2574189B2 (ja) * 1990-11-14 1997-01-22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カメラの測距装置
DE19601965A1 (de) * 1996-01-20 1997-07-24 Teves Gmbh Alfred Lenkwinkelsensor mit Umdrehungszählwerk
JPH09243350A (ja) * 1996-03-04 1997-09-19 Alps Electric Co Ltd 多回転体の回転検出装置
JP3488472B2 (ja) * 1996-12-02 2004-01-19 ティーアールダブリュー・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ド・コンポーネンツ・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絶対値伝送器、特に自動車のかじ取り角の検出のための回転伝送器
JPH11287634A (ja) * 1998-04-01 1999-10-19 Tokai Rika Co Ltd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センサ
JP2000205811A (ja) * 1999-01-08 2000-07-28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センサ
JP2001174289A (ja) * 1999-12-17 2001-06-29 Alps Electric Co Ltd 回転角検出装置
JP2002039798A (ja) * 2000-07-19 2002-02-06 Tokai Rika Co Ltd 回転角度検出装置及び回転角度検出方法
JP3899821B2 (ja) * 2001-01-23 2007-03-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角度検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664B1 (ko) * 2006-08-11 200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의 조타각 센서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87418A (ja) 2003-10-10
EP1350709A1 (en) 2003-10-08
DE60305558D1 (de) 2006-07-06
US20030182810A1 (en) 2003-10-02
EP1350709B1 (en) 2006-05-31
US6810590B2 (en) 2004-11-02
DE60305558T2 (de) 2006-11-02
KR100552007B1 (ko) 2006-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2007B1 (ko) 조타각 검출장치
US5029304A (en) Sensor with absolute digital output utilizing Hall Effect devices
US7145130B2 (en) Rotation detecting device and automobile with the same
EP0859220B1 (en) Rotation detecting device of multi-rotation body
US6175109B1 (en) Encoder for providing incremental and absolute position data
KR100888009B1 (ko) 절대각 검출장치
EP0474149B1 (en) Optical encoder
US4740690A (en) Absolute combinational encoders coupled through a fixed gear ratio
KR20060045462A (ko) 회전각 검출장치
JP4750407B2 (ja) 光学式エンコーダ
JP2005091092A (ja) 位置検出センサ
US7026604B2 (en) Vernier-scaled high-resolution encoder
EP1619477A2 (en) Linear encoder
CA2740250A1 (en) Optical encoder
GB2226720A (en) Position sensor with digital output
JP2006038839A (ja) リニアエンコーダ
JP2004170302A (ja) 位置検出センサ
JP2005091090A (ja) 位置検出装置
US9354087B2 (en) Single track three-channel encoder with differential index
JP2006010448A (ja) 位置検出装置
US11131563B2 (en) System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linear unit of a linear system
WO2001020263A1 (en) Position sensor
JP2008298592A (ja) 光学式エンコーダ
KR102055799B1 (ko) 페달 스트로크 측정 센서
JP3518980B2 (ja) 多回転体の回転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