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8246A - 주조에 의해 결합된 복합색상 귀금속 장신구의 제조방법및 이에 따른 장신구 - Google Patents

주조에 의해 결합된 복합색상 귀금속 장신구의 제조방법및 이에 따른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8246A
KR20030078246A KR1020020017152A KR20020017152A KR20030078246A KR 20030078246 A KR20030078246 A KR 20030078246A KR 1020020017152 A KR1020020017152 A KR 1020020017152A KR 20020017152 A KR20020017152 A KR 20020017152A KR 20030078246 A KR20030078246 A KR 20030078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ax
casting
precious metal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7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영보
Original Assignee
(주) 나우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나우젬 filed Critical (주) 나우젬
Priority to KR1020020017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8246A/ko
Publication of KR20030078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24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금속 장신구 제품의 장식효과를 향상시킬수 있도록 각각 다른 색상의 귀금속 부품들을 주조에 의해 결합하여 복합색상 귀금속 장신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조에 의해 결합된 복합색상 귀금속 장신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른 장신구{Casting method of joined multi color ornaments and Castinged multi color ornaments}
일반적으로 귀금속 장신구의 색상을 보면 순금에 노란색 계열의 합금재를 혼입하여 합금한 노란색상 장신구, 순금이나 백금에 백색 계열의 합금재를 혼입하여 합금하거나 은을 사용한 백색색상 장신구, 순금에 구리등의 적색 계열의 합금재를 혼입하여 합금한 적색색상의 장신구등과 같이 단일 색상의 제품과 이들 단일 색상의 제품의 일정부분을 특정색상으로 부분도금하여 만든 복합색상 장신구 및 각각 색상이 다른 귀금속 부품들을 땜하여 결합한 복합 색상 귀금속 장신구등이 있다
이들중 각각 색상이 다른 귀금속 부품들을 땜하여 결합한 복합 색상 귀금속 장신구는 제품이 고급스러우며 고부가가치 제품이나 제조과정이 까다롭고 고도로 숙련된 기능인이 필요하며 제조시간 역시 많이 소요되는등 제조상의 어려움이 많다
각각 색상이 다른 귀금속 부품들을 땜하여 결합한 복합 색상 귀금속 장신구 제품의 제조를 위해 종래에 실시해오던 과정을 설명하면
각각 다른 색상의 조립용 부품(1)과 부품(2)와 부품(3)을 로스트 왁스 주조법으로 주조하기위하여 부품(1)과 부품(2)와 부품(3)등의 각각의 마스터 모델이 만들어지고 이 마스터 모델들을 이용하여 부품(1)과 부품(2)와 부품(3)등과 동일한 형상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 각각의 부품별 왁스사출 고무형틀이 제작되며 이 왁스사출 고무형틀에 왁스를 주입시켜 부품(1)과 부품(2)와 부품(3)과 동일한 형상의 왁스로 이루어진 왁스 패턴을 만들고, 이 각각의 왁스 패턴들을 주조용 석고로 매몰하고 전기로에서 소성하여 왁스를 제거한후 주조하는 로스트 왁스 주조법으로, 각각 다른색상의 귀금속 소재로 주조하여, 부품별로 각각 다른 색상의 귀금속 부품(1)과 부품(2)와 부품(3)을 만드는 것이다.
이렇게 주조된 각각 다른 색상의 귀금속 소재 부품을 적절히 배치 조립하고 땜하여 소정의 장식효과를 내는 복합색상 귀금속 장신구 제품을 제조함에 있어 종래에는 각각 다른 색상의 조립용 부품(1)과 부품(2)와 부품(3)을 도 2와 같이 조립하고 도 3과 같이 땜을 행한후 땜부위를 연삭하여 평활히 한후 도 1과 같이 보석을 삽입하고 연마 및 광택 작업을 거처 다중색상의 귀금속 장신구를 완성시키고 있다.
그러나 부품(1)과 부품(2)와 부품(3)을 만드는 과정중에는 왁스사출 고무형틀에서 왁스가 냉각되고 또 이 왁스 패턴를 왁스사출 고무형틀에서 빼내는 과정에서 수축과 변형이 이루어지고 또 로스트 왁스 주조법으로 주조하는 과정에서 약간씩의 변형이 발생되기에 부품(1)과 부품(2)와 부품(3)간의 정확하고 원활한 조립이 되기위해서는 일일이 연삭 도구를 사용하여 갈아 맞추어 가며 조립하고 땜을 해야했으며 이렇게 연삭해 가며 조립한다 하더라도 부품(1)과 부품(2)와 부품(3)의 조립 경계면은 틈새가 일정치않아 부품(1)과 부품(2)와 부품(3)의 조립 경계면중 틈새가 넓은 부분은 땜이 잘 타고 들어가지 못 할 뿐아니라 땜 실시후 평활 연마작업을 해보면 부품(1)과 부품(2)와 부품(3)의 조립 경계면에 행하여진 땜부분엔 부품(1)과 부품(2)와 부품(3)의 고유색상이외에도 따로 땜의 색이 드러나보여 제품의 완성도와 미려함에 지장을 줄 수 밖에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부품(1)과 부품(2)와 부품(3)의 결합시 조립부위 연마 작업과 땜 작업이 생략되어 생산 능률을 향상시키고,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각각 다른 색상의 부품(1)과 부품(2-2)와 부품(3-2)을 주조에 의하여 간단히 결합하는 다중색 귀금속 장신구 부품의 주조에 의한 결합 방법을 제공하려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종래의 복합색상 장신구 작업도
도3는 본 고안의 반지 실시 작업도
도4는 본 고안의 메달 실시 작업도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메달 실시 작업도
도6은 왁스사출 고무형틀(12)에 부품(2-2),부품(3-2)을 꽂아넣은 실시도
도7은 전체 부품이 결합된 형상과 동일한 내부공간을 갖는 왁스사출 고무형틀 제작도
도8은 부품들을 꽂아 넣은 왁스사출 고무형틀(12)에 왁스를 주입하여 왁스결합체(10)를 얻어내는 실시도
도9는 다른형상의 결합돌기 형성 예
도10은 귀금속 부품(2), 부품(3)의 사시도
도11은 귀금속 부품(2-1), 부품(3-1)의 사시도
도12는 왁스결합체(10)를 주조키위해 주조용 석고에 매몰한 실시예의 단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귀금속 부품(2-2) 2: 귀금속 부품(2-2) 3: 귀금속 부품(1)
4: 보석 5:금속판 6: 금속틀
7: 고무 8: 금속 플라스크 9: 주조용 석고
10: 왁스결합체 11: 전체 조립체
12: 부품전체가 결합된 형상과 동일한 내부공간을 가진 왁스사출 고무형틀
13: 귀금속 부품(2) 14: 귀금속 부품(3) 15: 귀금속 부품(2-1)
16: 귀금속 부품(3-1)
a: 지지핀 b: 결합돌기 c: 지지핀홀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재래식 방법과는 다른 왁스사출고무형틀을 제작해야한다
재래식 방법에의한 제조에 필요한 왁스사출 고무형틀은 부품(1),부품(2),부품(3)등의 각각 용도의 왁스사출 고무형틀을 제작해야했으나 본 고안을 실시하려면 부품(1)용 왁스사출 고무형틀 대신 부품전체가 결합된 형상과 동일한 내부 공간을 가진 왁스사출 고무형틀(12)이 필요하다
본 고안을 실시하기위하여 정밀하게 부품(1),부품(2),부품(3)을 만들고 부품(2)와 부품(3)에 소정의 지지핀(a)을 땜하여 붙여 부품(2-1),부품(3-1)을 제작하며 이 부품(2-1),부품(3-1)을 부품(1)에 조립해 넣고 조립 경계면을 에폭시 접착제등으로 충진 접착하여 전체 조립체(11)를 만든후 이 전체 조립체(11)를 이용하여 부품전체가 결합된 형상과 동일한 내부 공간을 가진 왁스사출 고무형틀(12)을 먼저 제작하는 단계(도7).
이때 지지핀(a)는 전체 부품이 결합된 형상의 왁스사출 고무형틀(12)의 지지핀홀(c)에 꼿아 부품(2-2),부품(3-2)등이 위치를 고정시키는 용도이기에 지지핀(a) 형상및 숫자등은 필요에따라 변하여질 수 있다
전체 부품이 결합된 형상의 왁스사출 고무형틀(12)을 절반으로 절개하여 전체 조립체(11)를 빼낸후 전체 조립체(11)에 열을 가해 접착제를 태워 버려서 부품(2-1),부품(3-1)을 분리해 내고 이 부품(2-1),부품(3-1)이 부품(1)과 조립되는 경계면에 결합돌기(b)를 각각 땜하여 붙인 부품(2-2),부품(3-2)를 제작하는 단계
이때 결합돌기(b)는 부품(2-2),부품(3-2)와 부품(1)과의 주조 결합시 결합강도를 향상시키는 목적이기에 요철의 형상및 요철의 숫자등은 필요에따라 변하여질수 있다
부품(2-2),부품(3-2)를 주조하기위한 각각의 왁스사출 고무형틀을 종래의 방법으로 각각 제작하고 이 각각의 왁스사출 고무형틀을 이용하여 부품(2-2),부품(3-2)를 색상이 다른 귀금속 소재로 각각 주조하는 단계
주조된 부품(2-2),부품(3-2)을 부품 전체가 결합된 형상과 동일한 내부 공간을 가진 왁스사출 고무형틀(12)에 부품(2-2),부품(3-2)를 지지핀(a)을 기준하여 지지핀홀(c)에 꼿아넣어 (도6)와 같이 고정시킨후 왁스를 주입하여 왁스와 부품(2-2),부품(3-2)이 결합된 왁스결합체(10)를 얻는 단계
이렇게 얻어진 왁스결합체(10)를 (도12)와 같이 플라스크에 주조용 석고로 매몰하고 전기로에 의한 소성을 마친후 주조하는, 로스트 왁스 주조법으로 주조하는 단계
이렇게 주조하여 얻은 복합색상의 귀금속 장신구 주조물에서 지지핀(a)을 제거하고 보석(4)를 삽입한 후 연마 작업 및 광택 작업을 실시하여 다중색의 귀금속 장신구 제품을 완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해 주조결합된 복합색상 귀금속 장신구의 제조 과정중 주조된 장신구는 로스트 왁스 주조법으로 주조하는 귀금속의 일반적인 주조 조건인 석고 주형의 주조시 유지 온도가 650-700정도이기에 매몰된 석고안의 부품(2-2)과 부품(3-2)는 이 온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때 부품(2-2)와 부품(3-2)을 둘러 싸고있었던 왁스는 고온에서 산화되면서 부품(2-2)와 부품(3-2)의 표면을 환원시키므로 부품(1)을 형성하기 위해 유입되는 800-850의 용융된 귀금속과의 접촉면에는 금속간 경계표면에서 용침 현상이 생기며 각 귀금속 부품(2-2),부품(3-2)과 부품(1)을 결합시키며 응고되며, 혹시 부분적으로 용침에 의한 결합력이 부족하더라도 미리 형성시킨 결합돌기(b)에 의하여 부품(1)과 부품(2-2),부품(3-2)간의 결합은 땜을 할 필요가 없을 만큼 강하게 결합하게 된다.
이때문에 부품(1)과 부품(2-2) ,부품(3-2)의 접합을 위하여 땜을 실시할 필요가 없기에 재래식 제조방법처럼 땜 결합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부품(1)과 부품(2-2) ,부품(3-2)들 각각의 수축이나 변형등으로 인한 치수 불균일로 부품(1)과 부품(2-2) ,부품(3-2)의 조립과 결합시 연마 공구로 일일이 갈아 맞추며 조립하는 공정이 생략되고 또 조립 틈새의 편차로 인하여 부품간의 조립 경계면에 땜의 색이 따로 드러나보이는 현상도 전혀 없고, 주조에 의해 부품들이 한번에 결합됨으로서 작업 능률을 비약적으로 향상될 수 있으며, 장식성이 높은 고부가가치의 복합색상 귀금속 장신구 제품을 값싸게 대량 생산할 수 있을뿐아니라 제품의 완성도와 원가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각각의 색상이 다른 귀금속 부품(2-2),부품(3-2)를 부품(1)과 결합하기위해서 전체 부품이 결합된 형상과 동일한 내부 공간을 가진 왁스사출 고무형틀(12)에 부품(2-2),부품(3-2)를 지지핀(a)을 기준하여 지지핀홀(c)에 꼿아넣어 (도6)와 같이 고정시킨후 왁스를 주입하여 왁스와 부품(2-2),부품(3-2)이 결합된 왁스결합체(10)를 얻는 단계
    이렇게 얻어진 왁스결합체(10)를 도12과 같이 플라스크에 주조용 석고로 매몰하고 전기로에 의한 소성을 마친후 주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복합색상 귀금속 장신구의 제조 방법
  2. 1항에 있어서 부품(2-2),부품(3-2)를 왁스사출 고무형틀(12)에 고정시키기위해 다수개의 지지핀(a)을 부품(2-2),부품(3-2)의 일정 부위에 형성시킴을 특징으로하는 복합색상 귀금속 장신구의 제조 방법
  3. 2항에 있어서 부품(2-2),부품(3-2)이 부품(1)과 주조되며 결합되는 경계면에, 주조 결합시 결합강도를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소정 형상의 결합돌기(b)를 부품(2-2),부품(3-2)의 결합 경계면에 형성시킴을 특징으로하는 복합색상 귀금속 장신구의 제조 방법
KR1020020017152A 2002-03-28 2002-03-28 주조에 의해 결합된 복합색상 귀금속 장신구의 제조방법및 이에 따른 장신구 KR20030078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152A KR20030078246A (ko) 2002-03-28 2002-03-28 주조에 의해 결합된 복합색상 귀금속 장신구의 제조방법및 이에 따른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152A KR20030078246A (ko) 2002-03-28 2002-03-28 주조에 의해 결합된 복합색상 귀금속 장신구의 제조방법및 이에 따른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246A true KR20030078246A (ko) 2003-10-08

Family

ID=32377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152A KR20030078246A (ko) 2002-03-28 2002-03-28 주조에 의해 결합된 복합색상 귀금속 장신구의 제조방법및 이에 따른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82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775B1 (ko) * 2004-10-19 2006-06-14 원광식 범종의 로스트왁스 주조방법
KR102098934B1 (ko) * 2020-02-24 2020-04-09 주식회사 르본인터내셔널 정밀 왁스패턴의 사출용 고무몰드
KR20210086401A (ko) * 2020-02-24 2021-07-08 주식회사 르본인터내셔널 정밀 왁스패턴의 사출용 고무몰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8203A (ja) * 1987-12-07 1989-06-09 Fine Tec Someya:Kk 装飾品の鋳造方法
JPH04253545A (ja) * 1991-02-04 1992-09-09 Tsutsumi:Kk 象嵌品の製造方法
JPH04344848A (ja) * 1991-05-21 1992-12-01 Bandou Kikinzoku:Kk 装飾具及びその鋳造方法
JPH06297078A (ja) * 1993-04-16 1994-10-25 Shinku:Kk 異種金属による象嵌品の製造方法
KR20000030704A (ko) * 2000-03-13 2000-06-05 최이재 융점 차이를 이용한 귀금속의 주물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8203A (ja) * 1987-12-07 1989-06-09 Fine Tec Someya:Kk 装飾品の鋳造方法
JPH04253545A (ja) * 1991-02-04 1992-09-09 Tsutsumi:Kk 象嵌品の製造方法
JPH04344848A (ja) * 1991-05-21 1992-12-01 Bandou Kikinzoku:Kk 装飾具及びその鋳造方法
JPH06297078A (ja) * 1993-04-16 1994-10-25 Shinku:Kk 異種金属による象嵌品の製造方法
KR20000030704A (ko) * 2000-03-13 2000-06-05 최이재 융점 차이를 이용한 귀금속의 주물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775B1 (ko) * 2004-10-19 2006-06-14 원광식 범종의 로스트왁스 주조방법
KR102098934B1 (ko) * 2020-02-24 2020-04-09 주식회사 르본인터내셔널 정밀 왁스패턴의 사출용 고무몰드
KR20210086401A (ko) * 2020-02-24 2021-07-08 주식회사 르본인터내셔널 정밀 왁스패턴의 사출용 고무몰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2719A (en) Method for producing hollow jewelry ring
CN107030254B (zh) 一种具有实心装饰件的空心首饰一体成型工艺方法
JP2006007325A (ja) 消失性模型アッセンブリ及び方法
JP2006320672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そのワックスパターンの製造方法
JPH0675523B2 (ja) 装身具の製造方法
KR102441147B1 (ko) 주물방식을 이용한 할로우 링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 할로우 링
JPH02500653A (ja) 人造装身具
KR20030078246A (ko) 주조에 의해 결합된 복합색상 귀금속 장신구의 제조방법및 이에 따른 장신구
KR200294173Y1 (ko) 주조에 의해 결합된 복합색상 귀금속 장신구
JPH04253545A (ja) 象嵌品の製造方法
US5791395A (en) One shot multi-color metal casting method
KR100332405B1 (ko) 다단 주조형 귀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JP2942805B2 (ja) 複合貴金属身装品の製造方法
JPH0442105B2 (ko)
KR200189132Y1 (ko) 다단 주조형 귀금속 장신구
KR20060074751A (ko) 중공형 반지의 제조방법
KR20030039699A (ko) 왁스파베 스톤세팅을 이용한 보석장식 귀금속 장신구의제조방법 및 그 장신구
CN116369644A (zh) 一种真分色金属饰品的制备方法
KR100313166B1 (ko) 연결용 장식물의 탄성연결부재 제조방법
KR20030054055A (ko) 복수종의 귀금속으로 문양이 형성되는 장신구 제조방법 및그 주조방법에 사용되는 제조기구
JP2002320508A (ja) 貴金属装飾品の製造方法
JP3161502U (ja) 金属製装身具並びに金属製の指輪及びペンダント
JPH0230364A (ja) 異種の貴金属を組み合せた象嵌品の製造法
JPH0380002B2 (ko)
JPS62199257A (ja) 装身具の鋳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