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4212A - 착용형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착용형 전자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74212A KR20030074212A KR10-2003-0013604A KR20030013604A KR20030074212A KR 20030074212 A KR20030074212 A KR 20030074212A KR 20030013604 A KR20030013604 A KR 20030013604A KR 20030074212 A KR20030074212 A KR 200300742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closure
- sound
- acoustic signal
- propagation path
- us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3
- 101100123718 Neurospora crassa (strain ATCC 24698 / 74-OR23-1A / CBS 708.71 / DSM 1257 / FGSC 987) pda-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02 propa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875 Eboni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45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7 surface acoustic wav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음향 변환기의 음 송출 및 음 수신 작동이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는 착용형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착용형 전자기기는 이용시에 이용자의 손목부에 착용되는 엔클로저부분을 구비하는 개인휴대단말기(PDA)일 수 있다. 전기음향 변환기는 엔클로저부분에 내장된다. 엔클로저부분의 벽을 관통한 음 송출 및 음 수신 구멍은 엔클로저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된다. 내측 표면은 변환기를 둘러싸는 한편, 외측 표면은 기기가 착용될 때, 이용자의 손목부와 접촉하게 된다. 엔클로저부분은 음향 신호 전파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음 송출 및 음 수신 구멍의 개구 둘레 외측 표면의 부분 위 또는 내에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구비한다. 이들 경로는 엔클로저부분이 이용자의 손목부에 착용되고, 개구 둘레 표면부분이 이용자의 손목부와 접촉할 때, 음 송출 및 음 수신 구멍의 개구와 외부 환경과의 사이에 음향 신호의 전파를 허용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손목 등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손목장착형 휴대전화기 등의 착용형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형 전자 기기가 보편화되어, 이용자의 신체에 장착되는 상태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착용형 전자기기가 제안되고 있다. 이들 착용형 전자기기 중에서,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 등과 같은 전기음향 변환기(electroacoustic converter)가 엔클로저(enclosure) 내에 설치되는 형식의 착용형 전자기기는 전기음향 변환기를 둘러싼 내측 표면과 기기를 장착시, 이용자의 신체 표면에 밀접하는 외측 표면과의 사이에 엔클로저의 벽을 관통하는 음향 구멍(acoustic hole)을 구비한다. 스피커로부터 나온 음향 신호는 음향 구멍을 통해 외부로 송출된다. 이용자의 음성(speech) 등의 음향 신호는 음 수신 구멍(sound reception hole)을 통해 마이크로폰의 음 수신부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용자가 소위, 핸즈프리 방식(hands-free manner)(즉, 이용자가 장치를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 이용자의 신체 표면에 밀접하여 장치가 배치됨)으로 전기음향 변환기가 장착된 이러한 형식의 착용형 전자기기를 이용하기를 시도한다면,스피커의 전방표면의 음 송출 구멍(sound radiation hole) 및 마이크로폰의 전방 표면의 음 수신 구멍은 팔 등의 이용자의 신체 표면에 밀접되어 쉽게 막히게 된다. 그 결과, 스피커의 음이 음 송출 구멍을 통해 외부로 쉽게 송출되지 않는다. 이는 스피커의 음압(音壓)의 저하를 유발한다. 또한, 음성이 마이크로폰의 음 수신 구멍에 도달하기 전에 매우 감쇄되어 마이크로폰의 감도의 저하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광의의 관점에서 휴대형 전자 기기의 음향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제안이 있다.
예컨대, 일본국 특허출원 10-304036호에는, 이용자의 귀가 스피커보다 앞에 있으며 음 송출 구멍이 설치된 케이싱(엔클로저)의 벽과의 접촉여부와 관계없이, 대체로 일정한 주파수 특성을 갖는 음향 신호가 이용자의 귀에 도달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이용자의 귀의 반대측에 휴대전화기의 케이싱의 외부측 영역에 음향 누출 구멍(sound-leaking hole)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영역은 음 송출 구멍 형성 영역으로 언급된다. 또한, 일본국 특허출원 11-308314호에는, 휴대전화기의 본체를 덮는 폐쇄 위치와 본체에 대해 각도를 형성하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플립에 마이크로폰이 설치되어 있으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의 주파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플립(flip)의 양쪽 면에 음향 구멍을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경우는, 착용형 전자기기의 본질적인 이용 방식에 의해 야기되는 음 송출 및 음 수신 작동의 문제 즉, 스피커의 전방 표면의 음 송출 구멍 및 마이크로폰의 전방 표면의 음 수신 구멍이 이용자의 신체 표면에 밀접되어 실제로 막히게 되는 문제를 제외하고 휴대형 전자기기의 전기음향 변환기의 음향 특성의 개선에만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어떠한 수단도 개시되어 있지 않다.
전술한 관점에 의해, 본 발명이 제안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음향 변환기의 음 송출 또는 음 수신 작동을 확실하게 행하는 착용형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전자기기는 이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전기음향 변환기, 및 이 전기음향 변환기를 둘러싼 내측 표면과 기기를 장착시, 이용자의 귀와 입 이외의 신체 표면에 밀접 배치되는 밀접 표면부분을 포함하는 외측 표면을 구비하는 엔클로저를 구비한다. 이 전자기기는 엔클로저가 엔클로저의 외측 표면의 노출 표면부분과 내측 표면과의 사이에, 음향 신호의 전파를 허용하는 음향 신호 전파 경로(acoustic signal propagation path)를 제공하는 음향 신호 전파 경로 형성수단(acoustic signal propagation path formation means)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출 표면부분은 기기를 장착시, 이용자의 신체에서 떨어져 외부 환경(outside environment)을 향한다.
본 발명의 착용형 전자기기는 특히, 엔클로저가 엔클로저의 외측 표면의 노출 표면부분과 내측 표면과의 사이에, 음향 신호의 전파를 허용하는 음향 신호 전파 경로를 제공하는 음향 신호 전파 경로 형성수단을 구비하며, 노출 표면부분은기기를 장착시, 이용자의 신체에서 떨어져 외부 환경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착용형 전자기기가 이용자의 신체에 장착되고, 장치의 엔클로저가 이용자의 신체 표면에 밀접 배치될지라도, 음향 신호 전파 경로 형성수단이 내측 표면과 외부 환경과의 사이에 음향 신호가 음향 신호 전파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것을 확보한다. 그러므로, 전기음향 변환기와 외부 환경과의 사이의 음향 신호의 전파를 방해하는 어떠한 차단 또는 감쇄가 회피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음향 변환기가 확성기(loudspeaker) 등과 같이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형식의 변환기인 경우, 착용형 전자기기가 이용자의 신체에 장착되고, 착용형 기기의 엔클로저가 이용자의 신체 표면에 밀접 배치된다면, 전기음향 변환기로부터 음향 신호가 음향 신호 전파 경로 형성수단에 의해 엔클로저의 내측 표면과 외부 환경과의 사이에 형성된 음향 신호 전파 경로를 통해 외부 환경으로 전파되어 이용자의 귀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전기음향 장치가 마이크로폰 등과 같이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형식의 변환기인 경우, 착용형 전자기기가 이용자의 신체에 장착되고, 착용형 기기의 엔클로저가 이용자의 신체 표면에 밀접 배치된다면, 이용자가 말하는 음성 등의 음향 신호가 음향 신호 전파 경로 형성수단에 의해 엔클로저의 내측 표면과 외부 환경과의 사이에 형성된 음향 신호 전파 경로를 통해 마이크로폰 등과 같은 전기음향 변환기로 전파된다. 신호는 전기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전자기기에서, 음 송출 또는 음 수신 작동이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엔클로저의 외측 표면은 전기음향 변환기를 수용하는 엔클로저의 외부측에 위치되며, 착용형 기기의 엔클로저가 이용자의 신체에 장착될 때, 이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표면부분을 의미한다. 따라서, 착용형 기기의 엔클로저가 이용자의 손목부 또는 다른 부분에 장착되면서, 전체 착용형 전자기기가 링형상으로 가정된다. 이 링에 대해, 그 내측 표면은 엔클로저의 외측 표면에 해당한다.
착용형 기기의 엔클로저의 외측 표면의 밀접 표면부분이 밀접되는 이용자의 신체의 부분은 음향 신호를 수신하거나 발신하는 본래의 부분 이외의 부분이다. 이 부분에 밀접되어, 음향 신호의 전파가 방해되는 우려가 있다. 확성기와 같이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전기음향 변환기에서는, 이용자의 신체는 이용자의 귀 이외의 부분이다. 마이크로폰과 같이 음향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전기음향 변환기에서는, 이용자의 신체는 이용자의 입 이외의 부분이다.
본 발명의 착용형 전자기기에서, (1) 이용자의 신체 표면에 밀접하는 엔클로저의 표면부분에 음향 신호 전파 경로 형성수단을 구성하는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이하, 제1 바람직한 실시예 또는 제1 실시예로 언급됨). (2) 엔클로저는 엔클로저 본체부분 및 커버부(cover portion)로 구성될 수 있다. 음향 신호 전파 경로 형성수단을 구성하는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 형성수단이 엔클로저 본체부분 및 커버부와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이하, 제2 바람직한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로 언급됨).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기기에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클로저는 전기음향 변환기를 둘러싼 내측 표면에 밀접 표면부분과의 사이에서 엔클로저의 벽부를 관통하는 음향 구멍을 구비한다.
음향 신호 전파 경로 형성수단은 음향 구멍, 및 장치가 이용자의 신체에 장착되고, 밀접 표면부분이 이용자의 신체 표면에 밀접 배치될 때, 음향 구멍의 밀접 표면부분에서 개구부와 외부 환경과의 사이의 표면부분을 따라 음향 신호의 전파를 허용하도록 음향 구멍의 개구부의 밀접 표면부분과 외부 환경을 향하는 노출 표면부분과의 사이의 상기 엔클로저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을 구비한다.
환원하면,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착용형 전자기기는 상기 기술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엔클로저에 내장된 전기음향 변환기 및, 전기음향 변환기를 둘러싼 엔클로저의 내측 표면과 장착시에, 이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외측 표면과의 사이에, 엔클로저의 벽부를 관통하는 음향 구멍을 구비하는 착용형 전자기기이다. 착용형 기기는 이용자의 신체에 엔클로저가 장착되어 이용된다.
상기 엔클로저는 음향 신호 전파 경로를 제공하는 음향 신호 전파 경로 형성수단을 구비하며, 엔클로저가 이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표면부분이 이용자의 신체에 접촉할 때, 음향 구멍의 개구부와 외부 환경과의 사이에 음향 구멍의 개구부 둘레의 외측 표면의 표면부분을 따라 음향 신호의 전파를 허용한다.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기기에서, 전기음향 장치는 엔클로저 내에 장착된다. 음향 구멍은 전기음향 변환기를 둘러싼 내측 표면과장착시에, 이용자의 신체에 접촉배치되는 외측 표면과의 사이에, 엔클로저의 벽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전기음향 변환기와 외부 환경과의 사이의 음향 신호의 전파는 엔클로저의 벽부를 관통하는 음향 구멍을 통해 행해진다. 본 발명의 착용형 전자기기는 엔클로저가 이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표면부분이 이용자의 신체에 접촉할 때, 장착시 이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음향 구멍의 개구부 둘레의 엔클로저의 외측 표면의 표면부분에서 음향 구멍의 개구부와 외부 환경과의 사이에 음향 신호의 전파를 허용하는 음향 신호 전파 경로를 제공하는 음향 신호 전파 경로 형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착용형 전자기기가 이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착용형 전자기기의 엔클로저가 이용자의 신체 표면에 밀접될지라도,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은 음향 신호의 개구부와 외부 환경 과의 사이에 음향 신호가 전파되는 음향 신호를 따라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를 보장한다. 전기음향 변환기와 외부 환경과의 사이의 음향 신호의 전파를 방해하는 차단물 또는 감쇄가 회피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음향 변환기는 확성기 등과 같이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형식의 변환기이며,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은 착용형 기기가 이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장치의 엔클로저가 이용자의 신체에 밀접될지라도, 이용자의 신체 표면과 외부 환경과의 사이에 형성된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를 통해 전기음향 변환기로부터 외부 환경으로 음향 신호가 전파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후, 신호가 이용자의 귀에 도달한다. 전기음향 변환기가 마이크로폰 등과 같이 음향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형식의 변환기인 경우, 이용자가 말하는 음성 등의 음향 신호는 착용형 기기가 이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장치의 엔클로저가 이용자의 신체 표면에 밀접될지라도, 이용자의 신체 표면과 외부 환경과의 사이에,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에 의해 형성된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를 통해 마이크로폰 등의 전기음향 변환기로 전파될 수 있다. 이후, 신호가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착용형 전자기기에서, 음의 송출 또는 수신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기기에서,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은 외측 표면부분 위에 또는 내에 형성된 오목 또는 볼록부를 포함한다. 즉,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은 외부 환경 위에 또는 내에 형성된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외측 표면부분에 형성된 홈부에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 볼록부 및 홈부가 조합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은 외측 표면부분에 분리 형성된 복수 개의 볼록부를 포함하며,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는 분리된 볼록부와 볼록부에 접촉하는 이용자의 신체 표면과 사이 공간의 분리 볼록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를 구성한다. 즉, 음향 신호는 이용자의 신체 표면과 접촉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분리 볼록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를 통해 전파된다.
분리 볼록부(discrete convex portion)는 볼록부 사이에 비례하여 형성된 오목부를 통해 음향 신호의 전파를 허용하는 길이만큼 마음대로 형성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리 볼록부는 아크 형상(arc-shaped)이다. 이 경우, 아크를 형성하는 볼록부는 비교적 얇은 아크 형상 라인 또는 비교적 두꺼운 아크 형상 라인(예컨대, 부채꼴 형상(sector-shaped))이다. 분리 볼록부에 관하여 언급하면,다수의 볼록부가 아크 형상부분 대신에 분산되거나 분포된다. 이 경우, 각각의 볼록부는 다른 형상도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돔 형상(dome-shaped form)으로 형성된다. 전기음향 변환기가 확성기 및 분리 볼록부를 구성하는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으로 구성되며, 볼록부는 음 송출 구멍의 개구부 둘레 좁은 범위에 바람직하게 제한되므로, 스피커의 음 송출 구멍 둘레 외측 표면부분에 형성된 분리 볼록부는 이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외측 표면부분의 영역 내부에 위치된다. 이 경우, 착용형 기기가 귀에 부착되어 이용될 때, 음 송출 구멍을 통해 스피커로부터 송출된 음(잡음으로 둘레에 퍼지는 음)의 누출이 최소로 억제될 수 있다.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이 표면부분에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며, 홈부는 일반적으로 음향 구멍의 개구부 및 외측 표면의 가장자리(fringe)를 연결하기 위해 외측 표면의 가장자리를 연장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기기에서, 엔클로저는 엔클로저 본체부분 및 커버부로 구성된다. 엔클로저 본체부분은 엔클로저의 내측 표면을 규정하기 위해 전기음향 장치를 둘러싼 본체 내측 표면을 구비한다. 엔클로저 본체부분의 벽부를 관통하는 음향 구멍은 본체 내측 표면과 본체 내측 표면의 반대측의 외측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된다. 커버부는 커버 외측 표면과 커버 외측 표면과 엔클로저의 각각의 커버 밀접 표면부분을 규정하는 커버 밀접 표면부분을 포함한다. 커버부는 본체 외측 표면의 음향 구멍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덮기 위해 엔클로저 본체부분에 장착된다. 커버 외측 표면의 커버 밀접 표면부분이 이용자의 신체 표면에 밀접되도록 장착될 때, 음향 신호 전파 경로 형성수단은, 노출 표면부분과 본체 외측 표면의 개구부와의 사이에 음향 신호의 전파를 허용하는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는 본체 외측 표면과 본체 외측 표면에 대향된 커버부의 부분과의 사이에 형성된다. 노출 표면부분은 커버 외측 표면의 커버 밀접 표면부분이 이용자의 신체 표면에 밀접 배치되도록 장착될 때, 이용자의 신체 표면에서 떨어져 외부 환경을 향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언급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전자기기는 전기음향 장치, 엔클로저 본체부분을 갖는 엔클로저, 및 커버부를 구비한다. 엔클로저 본체부분은 전기음향 변환기를 둘러싼 본체 내측 표면 및 본체 내측 표면과 본체 내측 표면의 반대측의 본체 외측 표면과의 사이에, 엔클로저 본체부분의 벽부를 관통하는 음향 구멍을 구비한다. 커버부는 기기를 장착시, 이용자의 신체 표면에 밀접 배치되는 커버 밀접 표면부분을 포함하는 커버 외측 표면을 구비한다. 커버부는 음향 구멍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본체 외측 표면의 영역을 덮도록 엔클로저 본체부분에 장착된다. 커부 외측 표면의 커버 밀접 표면부분이 이용자의 신체 표면에 밀접되는 방식으로 착용형 기기가 장착될 때, 본체 외측 표면의 음향 구멍의 개구부와 노출 표면부과의 사이에 음향 신호의 전파를 허용하는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 형성수단은 본체 외측 표면과 본체 외측 표면을 향하는 커버부의 부분과의 사이에 형성된다. 노출 표면부는 장치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장착될 때, 이용자의 신체 표면에서 떨어져 외부 환경을 향한다.
이 경우에, 음향 신호 전파 경로는 커버부와 엔클로저 본체부분과의 사이에형성된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이다. 그러므로, 팔 등과 같은 신체에 착용형 전자기기가 장착될지라도, 전파 경로는 신체 표면에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파 경로는 땀에 기인한 이물질 또는 먼지에 의해 막히지 않는다.
또한,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가 커버부와 엔클로저 본체부분과의 사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내부전파 경로의 방향 및 루트는 음향 구멍의 위치 및 방향에 관계없이 커버부 및 엔클로저 본체부분에 의해 마음대로 설정될 수 있다. 전파 경로는 방사형상, 아크 형상, 곡선 또는 다른 소망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전파 경로는 2차원적인 방식으로 연장하거나 3차원적인 방식으로 절곡될 수 있다.
커버부는 일반적으로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연질의 고무 또는 우레탄 등과 같은 연질의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확성기 등으로 전기음향 변환기가 구성되며, 손으로 파지되며 귀에 대해 직접 파지된다면, 높은 밀접도가 얻어지며, 음향이 용이하게 청취될 수 있다. 장치가 팔에 장착되며, 장치는 용이하게 고정된다. 소망한다면, 커버부는 비교적 경질의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 형성수단은 본체 외측 표면 및 커버 내측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볼록부를 포함한다. 또한, 형성수단은 본체 외측 표면 및 커버 내측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착용형 전자기기에서, 전기음향 장치는 마이크로폰, 확성기 또는 마이크로폰 및 확성기의 양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용형 전자기기는 예컨대, 휴대전화기 기능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전자기기는 예컨대, 엔클로저가 팔에 장착되는 팔장착형이다. 착용형 전자기기는 목, 머리 및 이용되는 팔의 상부 이외에 장착될 수 있다. 착용형 전자기기에는 라디오 또는 다양한 종류의 재생기 등과 같이 음향 신호를 송출하는 전기음향 변환기만 또는 녹음 장치 등과 같은 음향 신호를 수용하는 전기음향 변환기만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기기로서 작용하는 손목시계형 개인휴대단말기(PDA)의 평면도이며, PDA가 팔에서 탈착된 개방 위치를 도시한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PDA의 측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PDA의 내부(이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d는 도 1a에 도시된 PDA의 측면도이며, PDA가 팔(손목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PDA의 음 송출부의 내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음 송출부의 측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선ⅡC-ⅡC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a에 도시된 PDA의 음 수신부의 내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음 수신부의 측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선ⅢC-ⅢC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PDA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음 송출부의 평면도이며, 내부를 도시한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음 송출부의 측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선ⅤC-ⅤC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음 수신부의 평면도이며, 내부를 도시한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음 수신부의 측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선ⅥC-ⅥC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음 송출부의 평면도이며, 내부를 도시한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음 송출부의 측면도이다.
도 7c는 도 7a의 선ⅦC-ⅦC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음 수신부의 평면도이며, 내부를 도시한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음 수신부의 측면도이다.
도 8c는 도 8a의 선ⅧC-ⅧC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음 송출부의 평면도이며, 내부를 도시한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음 송출부의 측면도이다.
도 10c는 도 10a의 선ⅩC-ⅩC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음 수신부의 평면도이며, 내부를 도시한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음 수신부의 측면도이다.
도 11c는 도 11a의 선ⅩⅠC-ⅩⅠC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음 송출부의 평면도이며, 내부를 도시한다.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음 송출부의 측면도이다.
도 13c는 도 13a의 선ⅩⅢC-ⅩⅢC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음 수신부의 평면도이며, 내부를 도시한다.
도 14b는 도 14a에 도시된 음 수신부의 측면도이다.
도 14c는 도 14a의 선ⅩⅣC-ⅩⅣC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장치중 스피커가 내장된 측의 팔장착용 강성 밴드부의 엔클로저를 구성하는 엔클로저 본체부분의 일부 및 커버부를 분해하여 도시한분해사시도이다(내주측(커버부측)으로부터 취한 도면).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장치중 스피커가 내장된 측의 팔장착용 강성 밴드부의 엔클로저를 구성하는 엔클로저 본체부분의 일부 및 커버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외주측(엔클로저 본체부분측)으로부터 취한 도면).
도 19a는 도 16에 도시된 장치의 강성 밴드부의 구조를 도시하며, 도 19b의 화살표ⅩⅨA로 지시된 방향으로부터 취한 평면도이다.
도 19b는 도 19a의 화살표ⅩⅥⅩB로 지시된 방향으로부터 취한 측면도이다.
도 19c는 도 19a의 화살표ⅩⅨC-ⅩⅨ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301 : 손목장착형 개인휴대단말기(착용형 전자기기)
10, 110, 310 : 전자기기본체
11, 111, 311 : 엔클로저부분(전자기기본체)
14, 15, 114, 115, 314, 315 : 회전축
20, 30, 120, 130, 320, 330 : 강성 밴드부
21, 121, 321 : 입력조작부
23, 31, 123, 131, 323, 331 : 외측 표면
23a, 31a : 밀접 표면부분24, 32 : 엔클로저부분(강성 밴드부)
24a, 32a : 내측 표면26, 37, 35, 36 : 측면(노출 표면부분)
40, 140 : 음 수신부41, 141 : 음 수신 구멍
41a : 개구부42 : 마이크로폰(전기음향 변환기)
43, 53 : 오목부44 :홈부
44a, 54a : 연장단부45 :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46 :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
47, 47A, 47B : 볼록부48, 48A, 48B : 오목부
49 : 공극부50, 150, 350 : 음 송출부
51, 151, 351 : 음 송출 구멍51a : 개구부
52 : 스피커(전기음향 변환기)54 : 홈부
55 :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56 :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
57, 57A, 57B : 볼록부58, 58A, 58B : 오목부
59 : 공극부
91, 92, 191, 192, 391, 392 : 음향 신호 전파 경로 형성수단
145, 345 :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
146, 346 :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 형성수단
155, 355 :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
156, 356 :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 형성수단
210 ,230, 410, 430 : 엔클로저
124, 132, 324, 332 : 엔클로저 본체부분
220, 240, 420, 440 : 커버부
D : 손목부 Da : 표면
P1 : 장착 위치 P2 : 개방 위치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기기로 작용하는 손목시계형 개인휴대단말기(PDA)가 도시되어 있다. PDA(1)는 휴대전화기의 기능을 갖는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A(1)는 대향 단부(12, 13)를 갖는 엔클로저부분(11)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본체(10)를 구비한다. PDA(1)는 각각의 방향(A1, A2, B1, B2)으로 각각의 대향 단부(12, 13)의 회전축(14, 1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엔클로저부분(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강성 밴드부(20, 30)를 더 구비한다. 전형적으로, 강성 밴드부(20, 30)는 전자기기의 부품이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전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비교적 경질의 재료로 제작된다. 그러나, 강성 밴드부(20, 30)는 다소 변형 가능하다. 전자기기 본체(10)에는 액정 패널(liquid crystal panel)과 같은 표시부(16)가 제공된다. 표시부(16)에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가 표시된다. 예컨대, 이 표시부(16)는 시계와 같은 시간 표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강성 밴드부(20)는 푸시 버튼(push button) 및 키 스위치(key switch) 등의입력조작부(21)가 설치되는 표면(22)을 구비한다. 또한, 이 밴드부는 이용자의 손목부(D)와 접촉되는 외측 표면(23)을 구비하며, 음 수신 구멍(41)을 통해 개방된 음 수신부(40)를 구비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전화기 등에서 음 수신 기능을 실행하는 음 수신부(40)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 밴드부(20)의 엔클로저부분(24)에 위치된 마이크로폰(42), 엔클로저부분(24) 내의 마이크로폰(42)에 음성 등의 음향 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엔클로저부분(24) 중의 마이크로폰(42)을 둘러싼 내측 표면(24a)과 외측 표면(23)과의 사이에 형성된 음 수신 구멍(41), 오목부(43, recessed portion), 및 홈부(44, groove portion)를 포함한다. 오목부(43) 및 홈부(44)는 음 수신 구멍(41)의 개구부(41a)로 음향 신호를 유도하기 위해 음 수신부(41)의 개구부(41a)둘레의 표면부분에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 실시예에서, 오목부(43)는 음 수신 구멍(41)의 개구부(41a)의 전체 외주의 둘레에 형성되어 강성 밴드부(20)의 단부(29)를 향해 편향된다. 홈부(44)는 강성 밴드부(20)의 측면(26, 27)에 의해 오목부(43)와 연결하도록 외측 표면(23)을 통해 측방으로 연장한다. PDA(1)가 도 1d 및 도 4에 도시된 장착 위치(P1)로 가정하고, 강성 밴드부(20)의 외측 표면(23)이 이용자의 손목부(D)의 표면(Da)과 접촉할 때, 홈부(44)는 측면(26, 27)을 향하는 외부 환경을 연결하는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45)를 형성하거나 제공하도록 오목부(43) 및 외측 표면(23)의 밀접한 접촉과 손목부(D)의 표면(Da)과의 사이의 음 수신 구멍(41)을 연결한다. 측면(26, 27)은 PDA(1)의 강성 밴드부(20)의 엔클로저부분(24)의 노출 표면부분으로 작용한다. 음 수신 구멍(41)은 마이크로폰(42)과 연결배치된다.즉, 홈부(44) 및 오목부(43)(상세하게는, 홈부(44) 및 오목부(43)의 표면 또는 벽표면)는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46)을 함께 구성한다. 음 수신 구멍(41) 및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46)은 음향 신호 전파 경로 형성수단(91)을 함께 형성한다. 홈부(44)는 장착 위치(P1)의 외부 환경으로 연장단부(44a)를 개방하는 길이 만큼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것 대신에 서로 경사지게 연장할 수 있다. 홈부(44) 중의 어느 하나는 제거될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홈부(44)가 음 수신 구멍(41)에 대해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용자의 손목부(D) 위에 전자기기 본체(10)의 부착을 허용하도록 강성 밴드부(20)와 연결된 강성 밴드부(30)는 외측 표면(31)의 측면상에 음 송출부(50)를 구비한다. 음 송출부(50)는 그 음 송출 구멍(51)을 통해 개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전화기 등의 음 송출 기능을 수행하는 음 송출부(50)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 밴드부(30)의 엔클로저부분(32) 내에 배치된 스피커(52), 송출 구멍(51), 오목부(53), 및 홈부(54)를 구비한다. 송출 구멍(51)은 엔클로저부분(32)으로부터 외부로 스피커(52)로부터 음향 신호가 송출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스피커(52)를 둘러싼 내측 표면(32a)과 외측 표면(31) 과의 사이 엔클로저부분(32)에 형성된다. 오목부(53) 및 홈부(54)는 음 송출 구멍(51)의 개구부(51a)로부터 음향 신호를 안내하기 위해 음 송출 구멍(51)의 개구부(51a) 둘레의 표면부분에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오목부(53)는 음 송출 구멍(51)의 개구부(51a)로부터 음향 신호를 넓은 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해 음 송출 구멍(51)의 개구부(51a) 둘레에 확성기와 같은 외측 표면(31)에 형성된다.홈부(54)는 강성 밴드부(30)의 노출된 표면부분으로 작용하는 측면(35, 36)에 의해 오목부(53)를 연결하도록 외측 표면(31)을 통해 측방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PDA(1)가 도 1d 및 도 4에 도시된 장착 위치(P1)로 가정하고, 강성 밴드부(30)의 외측 표면(31)이 이용자의 손목부(D)의 표면(Da)과 접촉할 때, 홈부(54)는 외측 표면(31)의 밀접 표면부분(31a)과 손목표면과의 사이에 외부 환경과 연결하여 음 송출 구멍(51)을 배치하는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55)를 형성하거나 제공하도록 오목부(53)를 연결한다. 즉, 홈부(54) 및 오목부(53)(상세하게는, 홈부(54) 및 오목부(53)의 표면 또는 벽표면)는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56)을 함께 구성한다. 음 수신 구멍(51) 및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56)은 음향 신호 전파 경로 형성수단(92)을 함께 형성한다. 홈부(54)는 장착 위치(P1)의 외부 환경으로 연장단부(54a)를 개방하는 길이 만큼 일직선으로 위치되는 것 대신에 서로 경사지게 연장할 수 있다. 홈부(54) 중의 어느 하나는 제거될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홈부(54)가 음 송출 구멍(51)에 대해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손목시계형 PDA(1)에 의해, 강성 밴드부(20, 30)는 전자기기 본체(10)에 대해 방향(A1, B1)으로 수직하게 회전되며, PDA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의 손목부(D)를 장치가 둘러싸는 장착 위치(P1)로 가정한다. 필요하다면, 강성 밴드부(20, 30)는 전자기기 본체(10)에 대해 방향(A2, B2)으로 회전되어,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개방 위치(P2)를 취한다. PDA(1)의 엔클로저는 전자기기 본체(10)의 엔클로저부분(11) 및 강성 밴드부(20, 30)의 엔클로저부분(24, 32)을 구성한다.
손목시계형 PDA(1)는 이용자의 손목부(D)에 부착되면서 휴대전화기로서 기능할수도 있다. 특히, 도 1d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A(1)가 장착 위치(P1)에 유지되면서 전화통화가 이루어질 때, 이용자는 입력조작부(21)에 의해 상대방의 전화 번호 등을 입력하므로, 전화통화 작동을 실행한다. 이 때, 스피커(52)로부터 음향 신호(S1)가 음 송출 구멍(51)을 통과한 후, 음향 신호 전파 경로 형성수단(56)으로 작용하는 강성 밴드부(30)의 외측 표면(31)의 오목부(53) 및 홈부(54)의 존재로 인해 즉, 이용자의 손목부(D)의 표면(Da)과 강성 밴드부(30)의 외측 표면(31)의 밀접 표면부분(31a)과의 사이에 형성된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루트 또는 간극)(55)를 통해 외부 환경으로 방향(E)으로 송출된다. 유사하게, 이용자의 음성(S2)은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46)으로 작용하는 강성 밴드부(20)의 외측 표면(23)의 홈부(44) 및 오목부(43)의 존재로 인해, 이용자의 손목부(D)의 표면(Da)과 강성 밴드부(20)의 외측 표면(23)의 밀접 표면부분(23a) 사이에 형성된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루트 또는 간극)(45)를 통해 음 수신 구멍(41)에 도달한다. 음성은 음 수신 구멍(41)을 통해 마이크로폰(42)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PDA(1)가 이용자의 손목부(D)에 부착되어 유지될 때조차, 음향 신호(S1, S2)가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45, 55)를 통해 스피커(52) 및 마이크로폰(42)을 출입하는 것이 보장된다. 통화 중에는, 음파 및 음 압력 전파 경로가 고정된다. 핸즈프리 통화 중에는 통화품질(즉, 음향 신호의 질)이 높게 유지된다. 이 PDA(1)에서,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46, 56)은 홈부(44, 54) 및 오목부(43, 53)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므로, 먼지 또는 이물질이 붙게된다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PDA는 장기간동안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강성 밴드부(20)에 형성된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46)은 외측 표면(23)에 형성된 홈부(44) 대신에 외측 표면(23)에 돌출하는 복수 개의 볼록부(47)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볼록부(47)는 예컨대,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크 형상(arc-shaped)으로 형성되며, 간극 또는 오목부(48)가 인접한 아크 형상의 볼록부(47) 사이에 상대적으로 형성된다. 음향 신호의 전파를 허용하는 오목부 또는 공극부(49)가 아크 형상 볼록부(47)와 오목부(63)와의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 1d 내지 도 4에 이미 기술된 방식과 동일하게, 강성 밴드부(20)가 장착 위치(P1)로 설정되고, 볼록부(47)의 최상부가 이용자의 손목부(D)의 표면에 밀접될지라도, 인접하게 위치된 볼록부(47) 사이의 간극으로 작용하는 오목부(48), 공극부(49) 및 오목부(63)가 서로 연결되므로, 음향 신호의 전파 경로를 고정한다. 이는 볼록부(47) 사이의 오목부(48), 공극부(49) 및 오목부(63)를 통해 음 수신 구멍(41), 이후 마이크로폰(42)으로 음성 등의 음향 신호가 통과하는 것을 보장한다.
유사하게, 강성 밴드부(30)에 형성된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56)은 외측 표면(31)에 형성된 홈부(54) 대신에 외측 표면(31)에 돌출하도록 복수 개의 볼록부(57)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볼록부(57)는 도 5a 내지 도 5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간극 또는 오목부(58)는 인접한 아크 형상 볼록부(57) 사이에 상대적으로 형성된다. 음향 신호의 전파를 허용하는공극부(59)는 아크 형상 볼록부(57)와 오목부(73)와의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 1d 및 도 4에 이미 기술된 방식과 동일하게, 강성 밴드부(30)가 장착 위치(P1)로 설정되고, 볼록부(57)의 최상부가 이용자의 손목부(D)의 표면(Da)에 밀접될지라도, 인접하게 위치된 볼록부(57) 사이의 간극으로 작용하는 오목부(58), 공극부(59), 및 오목부(73)는 음향 신호의 전파 경로를 유지하기 위해 연결된다. 그러므로, 스피커(52)로부터 송출되고, 음 송출 구멍(51)으로부터 송출된 음향 신호(S1)는 인접 볼록부(57) 사이에서 공극부(59) 및 오목부(58)를 통해 외부 환경으로 방향(E)으로 외부로 송출된다. 이어서, 이용자는 스피커(52)로부터 음향 신호(S1)를 듣게된다. 이 경우, 이용자의 귀가 접촉하는 면적(C1)(도 5a의 가상선으로 지시된 면적)보다 더 작은 아크형 볼록부(57)(도 5a의 실시예에서, 스피커(52)를 지시하는 파단선과 일치함) 세트에 의해 생성된 크기의 원(C)을 설치하므로, 이용자가 정상적인 방식으로 휴대전화기를 이용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용자의 귀에 음 송출부(50)를 부착하면서 전화통화를 할 때, 외측 표면(31)의 전체 원주는 이용자의 귀에 접촉된다. 이 경우에, 도 1과 비교하여 외측 표면(31)이 홈부(54)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홈부를 통한 외부로의 음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46, 56)은 도 6 또는 도 5에 도시된 아크 형상 볼록부(47, 57) 대신에 도 8, 도 7 또는 도 9에 도시된 대략 부채꼴 형상(sector-shaped)(두꺼운 아크 형상)의 볼록부(47A 또는 57A)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볼록부(48A 또는 58A)는 이용자의 손목부(D)의 표면(Da)과 접촉하는 증가된 면적을 제공한다. 이는 이용자가 볼록부(47A 또는 57A)로부터 받게되는 단위면적당 가압력(pushing force)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이용자가 장착부의 압박감을 감지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이 경우, 인접 볼록부(47A 또는 57A) 사이의 간극으로 되는 오목부(48A 또는 58A)는 실제상, 가늘게 연장된 음향 신호 전파 경로의 형태로 가정되기 때문에, 전파하는 음향 신호는 쉽게 약화된다. 그러므로, 가끔 간극을 더 넓게 설정해야 한다. 볼록부(47A 또는 57A)의 내부 가장자리(fringe)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42) 또는 스피커(52)의 오목부(83 또는 93)에 도달하거나 도달하지 않는다.
또한,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46, 56)을 구성하는 볼록부는 아크형 또는 부채꼴 형상 대신에 도 11, 도 10,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끝이 가늘어지는 반구형 또는 돔형 볼록부(47B 또는 57B)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오목부(48B 또는 58B) 및 인접 볼록부(47B 또는 57B) 사이의 간극은 음향 신호의 전파 경로를 제공한다. 도 11 및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볼록부(47B 또는 57B)가 동심원형상으로 배치되지만, 원한다면 다른 형태로 분포될 수 있다. 볼록부(47B 또는 57B)가 모두 동일한 크기 또는 형상이지만, 전파 경로의 크기 또는 루트를 고려하여, 크기 또는 형상이 다른 볼록부가 이용될 수 있다.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이 다수의 볼록부(47B 또는 57B)로 구성되는 위치에, 적절한 간극이 이용자의 손목부(D)의 피부에 형성된다. 이는 공기의 투과성(air permeability)을 향상시킨다. 그러므로, 손목부(D)의 표면(Da)의 끈적거림(stickiness)이 쉽게 회피될 수 있다. 또한, 장착시에, 손목부 표면에 대한미끄러짐(slippage)은 볼록부의 크기, 그 배치, 각 볼록부의 전방 단부의 형상, 및 재료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음을 수신하는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46) 및 음 송출용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56)은 동일 홈부 또는 볼록부를 구비한다. 음 수신의 용이함이 음 송출의 용이함과 다르기 때문에, 음 수신용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46)은 음 수신을 위해 적용된 상기 실시예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음 송출용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56)은 음 송출을 위해 적용된 상기 실시예 중의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순위의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형 전자기기의 다수의 실시예가 도 13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5에 대해 언급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기기로 작용하는 개인휴대단말기(PDA)(10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서, 도 1 내지 도 12에서 이미 기술된 실시예의 대응부와 동일한 구성요소, 부품 및 소자는 부호"100"을 추가하여 동일부호로 지시된다.
PDA(101)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 밴드부(130)의 엔클로저(210)는 엔클로저 본체부분으로 작용하는 엔클로저부분 즉, 엔클로저 본체부분(132) 및 연질의 고무로 만들어진 커버부(220)로 구성된다.
엔클로저 본체부분(132)은 표면(131)에 홈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엔클로저부분(32)과 동일하게 제작된다. 본체의 내측표면(132a)은 스피커(152)를 둘러싼다. 음 송출 구멍(151)이 본체의 내측 표면(132a)과 본체의 외측 표면(131)과의 사이에 형성되며,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155)가 되는 홈(221)이 커버부(220)에 형성된다.
커버부(220)는 낮은 돔 형상을 취하며, 음 송출 구멍(151)의 개구부(151a) 및 엔클로저 본체부분(132)의 둘레 오목부(153)를 둘러싸는 돔형 챔버(222)를 형성하기 위해 그 내측 표면(223)에 오목부(224)를 구비한다. 또한, 커버부(220)는 저부면(226)을 갖는 고리모양의 가장자리부(225)를 포함한다. 커버부(220)가 저부면(226)에 엔클로저 본체부분(132)의 표면(131)에 밀접 배치되어 고정된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버부(220)는 점착되어 유지된다. 그 대신에 커버부는 제거 가능하게 맞물릴 수도 있다.
커버부(220)의 홈(221)은 돔형 오목부(224)와 커버부(220)의 가장자리부(225)의 외측 표면(227)과의 사이에 가장자리부(225)의 저부면(226)에 형성된다. 이는 음 송출 구멍(151)의 개구부(151a)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표면부(131a)에 존재하는 돔형 챔버(222)로부터 연장하는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155)를 형성한다.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 형성수단(156)은 엔클로저 본체부분(132)(특히, 그 외측 표면(131)), 커버부(220)(특히, 그 고리형상 저부면(226)), 홈(221), 및 돔 형상 오목부(224)로 구성된다. 즉, 이 전자기기 본체 또는 PDA 본체(110)에서,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155)는 돔 형상 커버부(220)와 엔클로저 본체부분(132)과의 사이에 형성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 형상 커버부(220)의 외측 표면, 즉 커버부(228)는 이용자의 손목부(D)의 표면(Da)에 밀접 배치되는 표면부분을 갖는 외측 표면, 즉 커버 밀접 표면부분(229)이다. 커버부(220)의 최상부에는 장치가 장착되지 않을 때, 음 송출 구멍으로 작용하는 구멍(211)이 제공된다.
PDA(101)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 밴드부(120)의 엔클로저(230)는 엔클로저 본체부분으로 작용하는 엔클로저부분(즉, 엔클로저 본체부분(124)), 및 연질의 고무로 만들어진 커버부(240)로 구성된다.
엔클로저 본체부분(124)은 그 표면(123)에 홈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엔클로저부분(24)과 유사하게 만들어진다. 본체의 내측 표면(124)은 마이크로폰(142)을 둘러싼다. 음 수신 구멍(141)은 본체의 내측 표면(124a)과 본체의 외측 표면(123)과의 사이에 형성된다.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145)가 되는 홈(241)은 커버부(240)에 형성된다.
커버부(240)는 낮은 돔 형상을 취하며, 음 송출 구멍(141)의 개구부(141a) 및 엔클로저 본체부분(124) 둘레의 오목부(143)를 둘러싼 돔 형상 챔버(242)를 형성하기 위해 그 내측 표면(243)에 오목부(244)를 구비한다. 또한, 커버부(240)는 저부면(246)을 갖는 고리형상의 가장자리부(245)를 포함한다. 커버부(240)는 저부면(246)에 엔클로저 본체부분(124)의 표면(123)에 밀접 배치되어 고정된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버부(240)는 점착되어 유지된다. 대신에, 커버부(240)는 제거 가능하게 맞물림될 수 있다.
커버부(240)의 홈(241)은 돔 형상 오목부(244)와 커버부(240)의 가장자리부(245)의 외측 표면(247)과의 사이 가장자리부(245)의 저부면(226)에 형성된다. 이것은 음 송출 구멍(141)의 개구부(141a)가 외부 환경에 노출된 노출 표면부분(123a)으로 개방되는 곳에 돔 형상 챔버(242)를 연결하는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145)를 형성한다.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 형성수단(146)은 엔클로저 본체부분(124)(특히, 그 외측 표면(123)), 커버부(240)(특히, 그 고리형상의 저부면(246)), 홈(241) 및 돔 형상 오목부(244)로 구성된다. 즉, 이 전자기기 본체 또는 PDA 본체(110)에서,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145)는 돔 형상 커버부(240)와 엔클로저 본체부분(124)과의 사이에 형성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 형상 커버부(240)의 외측 표면, 즉 커버 외측 표면(248)은 이용자의 손목부(D)의 표면(Da)에 밀접 배치된 표면부분, 즉 커버 밀접 표면부분(249)이다. 커버부(240)의 최상부에는 장치가 장착되지 않을 때, 음 송출 구멍으로 작용하는 구멍(231)이 제공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착용형 전자기기로 작용하는 PDA(101)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P1)로 이용자의 손목부(D)에 장착될 때, 이용자의 음향 신호(S2)는 홈(241) 및 음 수신 구멍(141)으로 구성된 음향 신호 전파 경로 형성수단(191)의 음향 신호 전파 경로를 통해 마이크로폰(142)에 송출되며, 홈(241)은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 형성수단(145)을 구성한다. 또한, 스피커로부터 송출된 음향 신호는 음 송출 구멍(151) 및 홈(221)으로 구성된 음향 신호 전파 경로 형성수단(192)의 음향 신호 전파 경로를 통해 외부로 송출될 수 있으며, 홈(221)은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 형성수단(156)을 구성한다.
이 경우, 음향 신호 전파 경로는 커버부(220, 240)와 엔클로저부분(332,324)과의 사이에 형성된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155, 145)로 구성되며, 착용형 전자기기(101)가 팔 등의 신체에 장착된다면, 전파 경로(155, 145)가 땀으로 인한 이물질 또는 먼지로 막힐 염려가 없다.
상기 설명한 장치에서, 커버부(220, 240)는 연질의 고무 대신에 경질의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엔클로저 본체부분은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만약 원한다면, 엔클로저 본체부분은 금속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커버부(220, 240)의 연결부에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145, 155)를 형성하는 것 대신에, 커버부와 엔클로저 본체부분(332)의 연결부에 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예컨대, 전파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엔클로저 본체부분(332)의 연결 표면에 불규칙이 형성된다.
분명히, 커버부 및 엔클로저 본체부분은 음향 신호 전파 경로를 통해 음향 신호의 전파를 허용하는 밀접 접촉부 및 노출 표면부분을 제공하는 한 어떠한 형상 및 어떠한 구조도 취할 수 있다.
엔클로저는 엔클로저 본체부분 및 커버부로 구성되며,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는 엔클로저 본체부분 및 커버부가 접촉 또는 서로 결합되거나 그 사이 경계면 부근에 형성되는 것 대신에 커버부에 부분적, 대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의 예시는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로 하여 제6 실시예로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제6 실시예에서, 도 13 내지 도 15에서 이미 기술된 제5 실시예의 대응부와 동일한 구성요소, 부품 및 소자는 부호"200"를 추가하여 동일부호로 지시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형 전자기기로 작용하는 개인휴대단말기(PDA)(301)는 전자기기 본체 또는 PDA 본체(310) 및 전자기기 본체(310)에 대해 각각 방향(A1, A2, B1, B2)으로 이동 가능한 강성 밴드부(320, 330)를 구비한다. 강성 밴드부(320, 330)는 각각 엔클로저(430, 410)를 구비한다.
강성 밴드부(320)의 엔클로저(430)는 강성 엔클로저 본체부분(324) 및 연질 고무의 커버부(440)로 구성되며, 커버부는 엔클로저 본체부분(324)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강성 밴드부(330)의 엔클로저(410)는 엔클로저 본체부분(332) 및 연질 고무의 커버부(420)로 구성되며, 커버부는 엔클로저 본체부분(332)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엔클로저(410, 430)는 각각 음 수신 기능 및 음 송출 기능을 수행하는 그 독특한 형상 및 구조를 제외하고 음향 신호 전파 기능의 점에서 기본적으로 유사하다. 하기의 설명에서, 음 송출 기능을 수행하는 엔클로저(410)의 구조에 대해 예시를 들어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엔클로저(430)는 음 송출 기능 대신에 음 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 전기음향 변환기의 감도에 대응하여 구조적으로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 음향 신호 전파 기능의 관점에서 엔클로저(410)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기의 설명은 음 송출 및 음 수신이 번갈아 일어난다면 자명한 차이를 제외하고, 엔클로저(430)에 기본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클로저(410)는 곡선형 팔과 같은 형상의 강성 엔클로저 본체부분(332) 및 고무로 만들어진 커버부(420)를 포함한다. 엔클로저 본체부분(332)은 그 회전축(315)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전자기기 본체(310)의단부(313)에 그 일단이 장착된다. 커버부(420)는 강성 엔클로저 본체부분(332)의 타단 또는 전방 단부(332b)에 근접한 영역에 엔클로저 본체부분(332)의 오목한 곡선형 내측 표면에 장착된다.
엔클로저 본체부분(332)은 외부측에 강성 케이스부(501) 및 내부측에 강성 케이스부 또는 강성 커버부(502)를 포함한다.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음향 변환기로 작용하는 스피커(352)는 케이스부 세트(501, 502)로 형성된 수납 챔버(503) 내에 배치된다. 챔버(503)의 외측 표면은 스피커(352)를 둘러싼 본체 내측 표면이다. 스피커(352)로부터 챔버(503)의 외부(즉, 엔클로저 본체부분(332)의 챔버(503) 외부)로 송출된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음향 구멍으로 작용하는 음 송출 구멍(351)은 내부측에 강성 케이스부(502)가 형성된다.
음 송출 구멍(351)은 외부측상의 강성 케이스부(501) 보다 오히려 스피커(352)와 마주하는 위치의 내부측 강성 케이스부(502)에 형성된다. 따라서, PDA(301)가 손목부(D)에 장착될 때, 음 송출 구멍(351)이 빗물 등에 노출될 우려가 거의 없다. 또한, 케이스부(501)를 포함하는 강성 밴드부(330)의 미적인 외관이 손상되지 않는다.
엔클로저 본체부분(332)의 내부 강성 케이스부(502)는 음 송출 구멍(351)을 둘러싼 영역에 그 내측 표면(503)에 긴 원통형 돌출부(510)를 구비한다. 도 19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돌출부(510)는 내부 케이스부(502)의 본체부(502a)로부터 분리되어 만들어지며, 이들은 함께 견고하게 결합된다. 물론, 이들은 일체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원통형 돌출부(510)는 베이스측에 원통형부(511) 및 돌출단부에 플랜지 형상 맞물림부(512)를 포함한다. 돌출부(510)의 중심의 긴 구멍(513)은 음 송출 구멍(351)의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음 송출 구멍(351)의 베이스측부(351b)에 연속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2개의 베이스측부(351b)가 있다(도 17).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돌출부(510)의 중심 구멍(513)에서, 전방단부측상의 측면은 경사벽부(513a)에 의해 규정된다. 내부측을 향해갈수록 구멍이 더 넓어진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 케이스부 또는 내부측의 강성 커버부(502)는 엔클로저 본체부분(332)의 전방 단부(332b)로부터 비교적 떨어진 영역에 그 양측에 맞물림 돌출부(514) 및 맞물림 오목부(515)를 구비한다. 맞물림 돌출부(514) 및 맞물림 오목부(515)는 베이스측상의 플랜지 형상 맞물림부(512) 및 원통형부(511)를 따라, 엔클로저 본체부분(332)의 부여된 위치에 고무 커버부(420)를 제거 가능하게 유지하는 맞물림부로서 함께 작용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로 만들어진 커버부(420)는 강성 밴드부(330)의 엔클로저 본체부분(332)의 전방 단부(332b)에 엔클로저 본체부분(332)의 내부 또는 후방측 및 전방 단부(332b)에 근접하게 부여된 영역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로 만들어진 커버부(420)는 내측 표면측에 위치된 메인 곡면(451)을 규정하는 메인 벽부(450) 및 메인 벽부(45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측벽부(460)를 구비한다. 메인 벽부(450)는 메인 벽부가 원통형 본체부(332)의 원통형 돌출부(510)를 겹치는 위치에 내측 표면(452)으로부터 내방으로 돌출하는 원통형 돌출부(453)를 구비한다. 원통형 돌출부(453)의 중심 구멍(454)의 단부벽(455)이 되는 메인 벽부(450)의 부분에는 장치가 장착되지 않을 때, 음향 신호가 송출되는 다수의 소형 음 송출 구멍(456)이 설치된다. 또한, 단부벽(455)의 중심부는 스피커의 내측 표면과 같이 연장하는 오목부(457)가 부여되도록 만곡된다. 강성 케이스부(502)의 돌출부(510)의 플랜지 형상 맞물림부(512)와 맞물리는 오목부(458)는 원통형 돌출부(453)의 돌출 단부의 내측 표면에 형성된다.
고무로 만들어진 커버부(420)의 측벽부(460)는 측벽부(460)의 단부의 내측 표면측에 맞물림 오목부(462) 및 돌출부(461)를 구비한다. 맞물림 오목부(462) 및 돌출부(461)는 엔클로저 본체부분(332)의 전방 단부(332b)로부터 떨어진 영역에 내부 강성 케이스부(502)와 측벽부(460)가 적절하게 맞물리는 것을 허용하도록 내부 강성 케이스부(502)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맞물림 돌출부(514)와 맞물림 오목부(515)를 맞물림한다.
도 18 및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로 만들어진 커버부(420)는 원통형 돌출부(453)에서 중심 구멍(454)의 측벽(455)의 중심부(459)로부터 원통형 돌출부(453)의 벽부(453a)를 관통하는 홈부(470)를 구비하며, 홈부(470)는 메인 벽부(450)의 내측 표면(452)을 따라 측벽부(460)를 향해 그 폭을 연장한다. 홈부(470)는 단부벽(455)에 형성된 홈부분(471), 홈부분(471)에 연속하여 원통형 돌출부(453)에 형성된 홈부분(472), 및 원통형 돌출부(453)와 측벽부(460)와의 사이 홈부분(472)에 연속하여 메인 벽부(450)의 내측 표면(452)에 형성된홈부분(473)을 포함한다. 홈부(470)의 홈부분(473)의 단부(474)에 대향하는 측벽부(460) 부분에는 홈부분(473)에 연속하게 연결된 관통 구멍 또는 개구(480)가 제공된다. 관통 구멍(480)을 개방하는 측벽부(460)의 외측 표면부분은 노출 커버표면부분(460a)을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 형성수단(356)을 형성하는 홈부(470) 및 관통 구멍(480)은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355)를 형성하거나 제공한다. 음향 신호 전파 경로 형성수단(392)은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 형성수단(356) 및 음 송출 구멍(351)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PDA(301)에서, 강성 밴드부(320, 330)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A1, B1)으로 회전 편향되어 이용자의 손목부(D)에 장착되는 장착 상태(P1)에서, 음향 신호가 스피커(352)로부터 송출될 때(도 19c), 단부 벽부(455)의 표면(즉, 고무로 만들어진 커버부(420)의 외측 표면), 즉 커버 외측 표면(455a)의 중심 돌출부(오목부(457) 둘레부)가 이용자의 손목부(D)의 표면(Da)에 밀접하여 커버 밀접 표면부분(455b)에 접촉되고, 단부 벽부(455)의 소형 음 송출 구멍(456)이 손목부(D)에 의해 막히게 된다면, 음향 신호는 커버부(420)의 홈부(470) 및 구멍(480)에 의해 커버부(420)와 엔클로저 본체부분(332)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480)로부터 외부로 송출될 수 있다. 이는 이용자가 스피커(352)로부터 음향 신호를 들을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상기 언급된 설명에서, 강성 밴드부(330)의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355)를 부여하는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 형성수단(356)이 설명되었다. 명확하게, 마이크로폰(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음 수신은 개구부(480)와 유사한 개구부(580)를 갖는 음향 신호 내부 전파 경로 형성수단(346)을 갖는 강성 밴드(320)와 유사하게 행해지고, 스피커(352)의 위치와 유사한 위치에 배치된 마이크로폰의 개구 홈(470)과 유사한 홈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355)는 커버부(420)의 홈부(470)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355)가 엔클로저 본체부분(332)의 내부 케이스(502)에 형성되며, 특히 예컨대, 내부 케이스(502)의 돌출부(510)의 홈부를 형성하고, 돌출부(510)의 원통형 벽부(511)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전자기기에 의해 음 송출 및 음 수신 작동의 문제 즉, 스피커의 전방 표면의 음 송출 구멍 및 마이크로폰의 전방 표면의 음 수신 구멍이 이용자의 신체 표면에 밀접되어 실제로 막히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며, 전기음향 변환기의 음 송출 또는 음 수신 작동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17)
- 전기음향 변환기(electroacoustic converter), 및 이 전기음향 변환기를 둘러싼 내측 표면과 기기를 장착시, 이용자의 귀 또는 입 이외의 신체표면에 밀접 배치되는 밀접 표면부분을 포함하는 외측 표면을 구비하는 엔클로저(enclosure)를 갖는 착용형 전자기기에 있어서,상기 엔클로저는, 기기를 장착시, 이용자의 신체 표면에서 떨어져 외부 환경을 향하는 엔클로저의 외측 표면의 노출 표면부분과 내측 표면과의 사이에, 음성 등의 음향 신호(acoustic signal)의 전파를 허용하는 음향 신호 전파 경로를 제공하는 음향 신호 전파 경로 형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엔클로저는, 전기음향 변환기를 둘러싼 내측 표면과 상기 밀접 표면부분과의 사이에 상기 엔클로저의 벽부를 관통하는 음향 구멍을 구비하며,상기 음향 신호 전파 경로 형성수단은, 상기 음향 구멍, 및 이용자의 신체에 장착되는 밀접 표면부분(intimate contact surface portion)이 이용자의 신체 표면에 밀접 배치될 때, 음향 구멍의 밀접 표면부분에서의 개구부와 외부 환경과의 사이에, 이 표면부분을 따라 음향 신호의 전파를 허용하도록, 음향 구멍의 개구부 둘레의 밀접 표면부분과 외부 환경을 향하는 노출 표면부분과의 사이에 상기 엔클로저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acoustic signal surface propagation path formation means)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전자기기.
- 전기음향 변환기를 엔클로저 내부에 구비하는 동시에, 전기음향 변환기를 둘러싼 내측 표면과 장착시에, 이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외측 표면과의 사이에 엔클로저의 벽부를 관통하는 음향 구멍을 구비하며, 엔클로저가 이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이용되는 착용형 전자기기에 있어서,상기 엔클로저는, 외측 표면 중의 음향 구멍의 개구부의 표면부분에, 엔클로저가 이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이 개구부 둘레의 표면부분이 이용자의 신체에 접촉할 때, 음향 구멍의 개구부와 외부 환경과의 사이에, 음향 구멍의 둘레의 외측 표면의 표면부분을 따라 음향 신호의 전파를 허용하는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를 제공하는 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전자기기.
- 제2항에 있어서,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은, 엔클로저의 외측 표면의 상기 표면부분에 분리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볼록부(convex por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전자기기.
- 제4항에 있어서,상기 각각의 볼록부는 아크 형상(arc-shap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전자기기.
- 제4항에 있어서,상기 각각의 볼록부는 돔 형상(dome-shap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전자기기.
- 제2항에 있어서,음향 신호 표면전파 경로 형성수단은 상기 표면부분에 형성된 홈부(groove portion)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엔클로저는 엔클로저 본체부분 및 커버부(cover portion)로 구성되며,엔클로저 본체부분은, 엔클로저의 내측 표면을 규정하기 위해 전기음향 변환기를 둘러싼 본체 내측 표면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본체 내측 표면과 상기 본체 내측 표면의 반대측의 본체 외측 표면과의 사이에 상기 엔클로저 본체부분의 벽부를 관통하는 음향 구멍을 구비하며,커버부는, 엔클로저의 외측 표면과 그 밀접 표면부분을 규정하는 커버 외측 표면 및 커버 밀접 표면부분을 포함하며, 음향 구멍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본체 외측 표면의 영역을 덮기 위해 엔클로저 본체부분에 장착되며,음향 신호 전파 경로 형성수단은, 커버 외측 표면의 커버 밀접 표면부분이 이용자의 신체 표면에 밀접하도록 장착될 때, 이용자의 신체 표면에서 떨어져 외부 환경을 향하는 노출 표면부분과 본체 외측 표면의 음향 구멍의 개구부와의 사이에 음향 신호의 전파를 허용하는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를, 본체 외측 표면과 커버부 중 본체 외측 표면에 대향하는 부분과의 사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전자기기.
- 전기음향 변환기 및,이 전기음향 변환기를 둘러싼 본체 내측 표면을 구비하는 엔클로저 본체부분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측 표면과 상기 본체 내측 표면의 반대측의 본체 외측 표면과의 사이에 상기 엔클로저 본체부분의 벽부를 관통하는 음향 구멍을 구비하며, 기기를 장착시, 이용자의 신체 표면에 밀접 배치되는 커버 밀접 표면부분을 포함하는 커버 외측 표면을 구비하는 본체외측 표면 중의 음향 구멍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덮도록 엔클로저 본체부분에 장착되는 커버부를 구비한 엔클로저를 갖는 착용형 전자기기에 있어서,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 형성수단은, 커버 외측 표면의 커버 밀접 표면부분이 이용자의 신체 표면에 밀접하도록 장착될 때, 이용자의 신체 표면에서 떨어져 외부 환경을 향하는 노출 표면부분과 본체 외측 표면의 음향 구멍의 개구부와의 사이에 음향 신호의 전파를 허용하는 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를 제공하는 음향 신호내부전파 경로 형성수단을, 본체 외측 표면과 커버부 중 본체 외측 표면에 대향하는 부분과의 사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전자기기.
- 제8항에 있어서,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 형성수단은, 본체 외측 표면 및 커버 내측 표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형성되는 볼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전자기기.
- 제9항에 있어서,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 형성수단은, 본체 외측 표면 및 커버 내측 표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형성된 볼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전자기기.
- 제8항에 있어서,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 형성수단은, 본체 외측 표면 및 커버 내측 표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형성된 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전자기기.
- 제9항에 있어서,음향 신호 내부전파 경로 형성수단은, 본체 외측 표면 및 커버 내측 표면 중적어도 어느 한 쪽에 형성된 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전기음향 변환기는 마이크로폰 또는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휴대전화기 기능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엔클로저가 팔에 장착되는 팔장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엔클로저는 엔클로저가 팔에 장착되는 제1 위치와 엔클로저가 팔에서 탈착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제2 위치의 전기음향 변환기로의 억세스(access)를 허용하는 다른 개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2058587 | 2002-03-05 | ||
JPJP-P-2002-00058587 | 2002-03-05 | ||
JP2003043803A JP2003333152A (ja) | 2002-03-05 | 2003-02-21 | ウエアラブル電子機器 |
JPJP-P-2003-00043803 | 2003-02-2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74212A true KR20030074212A (ko) | 2003-09-19 |
Family
ID=2776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13604A KR20030074212A (ko) | 2002-03-05 | 2003-03-05 | 착용형 전자기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040203414A1 (ko) |
JP (1) | JP2003333152A (ko) |
KR (1) | KR20030074212A (ko) |
CN (1) | CN1442990A (ko) |
DE (1) | DE10309597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8755B1 (ko) * | 2011-03-31 | 2013-04-03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착용식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775432B2 (en) * | 2003-10-16 | 2010-08-17 | Nokia Corporation |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eracting with a signaling tag |
KR100702857B1 (ko) * | 2005-12-19 | 2007-04-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 |
US7844310B2 (en) * | 2006-07-20 | 2010-11-30 | L3 Communications Corporation |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contoured back |
ITUD20070127A1 (it) * | 2007-07-16 | 2009-01-17 | Eurotech S P A | Apparecchiatura elettronica indossabile |
US8564961B2 (en) | 2007-11-30 | 2013-10-22 | Apple Inc. |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oles through portions of a housing of an electronic device |
US8452037B2 (en) * | 2010-05-05 | 2013-05-28 | Apple Inc. | Speaker clip |
US8929816B2 (en) | 2011-05-13 | 2015-01-06 | Nokia Corporation | Multiple apparatus selection via touch |
US8929817B2 (en) | 2011-05-13 | 2015-01-06 | Nokia Corporation | Sensor-based touch inquiry control |
US9098069B2 (en) | 2011-11-16 | 2015-08-04 |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for orienting output on a display |
US8947382B2 (en) * | 2012-02-28 | 2015-02-03 | Motorola Mobility Llc | Wearable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 for presenting output on the same |
US8988349B2 (en) | 2012-02-28 | 2015-03-24 |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a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
US9582035B2 (en) * | 2014-02-25 | 2017-02-28 | Medibotics Llc | Wearable computing devices and methods for the wrist and/or forearm |
KR102021058B1 (ko) | 2013-10-30 | 2019-09-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보안 시스템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US10466741B2 (en) | 2014-02-25 | 2019-11-05 | Medibotics | Dual-display smart watch with proximal and distal (analog and electronic) displays |
US9648419B2 (en) | 2014-11-12 | 2017-05-09 | Motorola Solution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coordinating use of different microphones in a communication device |
KR101694592B1 (ko) * | 2014-11-18 | 2017-01-09 |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 골전도 스피커를 이용하는 착용형 장치 |
US11241160B2 (en) * | 2015-04-08 | 2022-02-08 | Nipro Corporation | Blood pressure measuring device |
US11007406B2 (en) | 2019-05-03 | 2021-05-18 | Xperience Robotics, Inc. | Wearable device systems and methods for guiding physical movements |
CN111061339B (zh) * | 2019-05-05 | 2023-03-10 | 西安文理学院 | 一种可佩戴式计算机 |
CN111030720B (zh) * | 2019-12-23 | 2021-05-25 |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 一种电子穿戴设备 |
CN111596539A (zh) * | 2020-05-15 | 2020-08-28 | 王冠龙 | 表 |
JP7552465B2 (ja) | 2021-03-22 | 2024-09-18 |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 ヘッドホン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92573B1 (en) * | 1999-09-30 | 2001-09-18 | Motorola, Inc.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collapsible speaker enclosure |
JP2001345907A (ja) * | 2000-03-28 | 2001-12-14 | Seiko Instruments Inc | 腕時計型無線電話機 |
-
2003
- 2003-02-21 JP JP2003043803A patent/JP2003333152A/ja active Pending
- 2003-03-04 US US10/378,725 patent/US2004020341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03-05 KR KR10-2003-0013604A patent/KR2003007421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3-03-05 CN CN03120232A patent/CN1442990A/zh active Pending
- 2003-03-05 DE DE10309597A patent/DE10309597A1/de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8755B1 (ko) * | 2011-03-31 | 2013-04-03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착용식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40203414A1 (en) | 2004-10-14 |
DE10309597A1 (de) | 2003-09-18 |
CN1442990A (zh) | 2003-09-17 |
JP2003333152A (ja) | 2003-1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0074212A (ko) | 착용형 전자기기 | |
US20240259728A1 (en) | Loudspeaker apparatus | |
US6052464A (en) | Telephone set having a microphone for receiving or an earpiece for generating an acoustic signal via a keypad | |
KR100329134B1 (ko) | 스피커 조립체를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 | |
US6137883A (en) | Telephone set having a microphone for receiving an acoustic signal via keypad | |
US20040029530A1 (en) | Waterproof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 |
WO2000076184A1 (fr) | Unite de communication mobile comprenant un haut-parleur a conduction par les os | |
CA2108535C (en) | Compact wrist telephone | |
JP3418798B2 (ja) | 移動通信用端末機 | |
JP2000324217A (ja) | 携帯機器における音情報伝達装置および携帯機器 | |
JP2002344602A (ja) | 携帯機器 | |
JP3600619B2 (ja) | 多数の開口を備えた単方向性耳取付型イヤー・マイクロフォン | |
JP2006513425A (ja) | 改良した音響機能を有する電話兼用時計 | |
WO2020220633A1 (zh) | 一种可定向传声的智能手表 | |
JP2007281607A (ja) | 電子機器 | |
KR20040012263A (ko) |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 |
JP2004328047A (ja) | 携帯端末装置 | |
CN117857975A (zh) | 可穿戴设备、可穿戴设备的控制方法及其控制装置 | |
JP2005175764A (ja) | 装着型音声受信装置および装着型音声通信装置 | |
KR101061573B1 (ko) | 휴대폰 손목시계 | |
KR200233067Y1 (ko) | 이중 목적의 휴대 전화기용 이어폰 | |
JP2560884B2 (ja) | 携帯無線電話機 | |
JP2002084353A (ja) | 携帯電話の送受話部構造 | |
JP2004248010A (ja) | 携帯電話機 | |
JP2009071402A (ja) | 腕時計型携帯電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