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6385A - 전압 제어 발진기 - Google Patents

전압 제어 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6385A
KR20030066385A KR10-2003-0006089A KR20030006089A KR20030066385A KR 20030066385 A KR20030066385 A KR 20030066385A KR 20030006089 A KR20030006089 A KR 20030006089A KR 20030066385 A KR20030066385 A KR 20030066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inductor
inductors
oscillation frequency
transis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6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라마쯔요시노리
오까모또후유끼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30066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38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06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multiple transistors for amplification
    • H03B5/12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multiple transistors for amplification the amplifier comprising a pair of transistors, wherein an output terminal of each being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other, e.g. a cross coupled pai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37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 H03B5/124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the means comprising a voltage dependent capacitan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37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 H03B5/126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the means comprising switched elements
    • H03B5/126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the means comprising switched elements switched induc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37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 H03B5/1293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having means for achieving a desired tuning characteristic, e.g. linearis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across the tuning voltage rang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2201/00Aspects of oscillators relating to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ions
    • H03B2201/02Varying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ions by electronic means
    • H03B2201/0208Varying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ions by electronic means the means being an element with a variable capacitance, e.g. capacitance diod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2201/00Aspects of oscillators relating to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ions
    • H03B2201/02Varying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ions by electronic means
    • H03B2201/025Varying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ions by electronic means the means being an electronic switch for switching in or out oscillat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Abstract

동일한 제어 전압 (Vtune)에서, 스위치 (SW1) 및 스위치 (SW2) 만이 단락되었을 때보다 스위치 (SW3) 및 스위치 (SW4) 만이 단락되었을 때의 발진 주파수가 더 높다. 따라서, 스위치 (SW1) 및 스위치 (SW2) 만이 단락된 경우의 발진 주파수가 설계치 보다 작고 가변용량 다이오드 (D1 및 D2)가 원하는 발진 주파수를 제공하도록 제어될 수 없는 경우에도, 가변용량 다이오드 (D1 및 D2)의 용량을 제어하기 위해 스위치 (SW3) 및 스위치 (SW4) 만을 단락함으로써 원하는 발진 주파수가 제공될 수 있다. 발진 주파수에서, 스위치 (SW1 내지 SW4)를 제어함으로써 어림 조정이 행해질 수 있고, 가변용량 다이오드 (D1 및 D2)로 미세 조정이 행해질 수 있다. 그 결과, 발진 주파수의 범위가 증가한다.

Description

전압 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본 발명은 고주파 신호 발진기에 적합한 전압 제어 발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진 주파수의 증가된 가역 범위를 갖는 향상된 전압 제어 발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압 제어 발진기 (VCO)가 고주파 반도체 등에 내장되어 이용되어 왔다. 도 1은 종래의 전압 제어 발진기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종래의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인덕터 (L101) 및 인덕터 (L102)는 한쪽 끝이 정전류원 (101)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인덕터 (L101)의 인덕턴스는 인덕터 (L102)의 인덕턴스와 동일하다. 다른 한편, 인덕터 (L101)는 그 다른 한쪽 끝이 가변용량 다이오드 (D101), P-채널 트랜지스터 (Tr101)의 드레인, 및 P-채널 트랜지스터 (Tr102)의 게이트와 접속되어 있고, 인덕터 (L102)는 그 다른 한쪽 끝이 가변용량 다이오드 (D102), P-채널 트랜지스터 (Tr102)의 드레인, 및 P-채널 트랜지스터 (Tr101)의 게이트와 접속되어 있다. 아날로그 제어 전압은 가변용량 다이오드 (D101 및 D102)에 공급되고, 전원 전압 (VDD)은 P-채널 트랜지스터 (Tr101 및 Tr102)의 소스에 각각 공급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는, P-채널 트랜지스터 (Tr101 및 Tr102)의 드레인으로부터 발진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발진 신호의 발진 주파수를 ω, 인덕터 (L101 및 L102)의 인덕턴스의 합은 L, 그리고 가변용량 다이오드 (D101 및 D102)의 용량 및 기생용량의 총합을 C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발진 주파수 ω는 다음 식 (1)으로 주어진다.
ω=(LC)-1/2
일반적으로, 가변용량 다이오드 (D101 및 D102)는 기본 소자로 MOS 트랜지스터를 각각 구비하고 있고, 그 총 용량은 게이트 산화 막의 용량 및 기판내의 공핍층 용량의 합으로부터 나온다. 따라서, 가변용량 다이오드를 구성하는 상기 MOS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적용되는 바이어스의 변동은 공핍층 깊이의 변화를 일으키고, 결국 총 용량의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즉, 제어 전압의 변화가 총 용량 C 의 변화를 가져오고, 따라서 발진 주파수 ω가 변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전압 제어 발진기는 그 평균 주파수에 대해 약 +/-15%의 발진 주파수의 가변 범위를 갖는다. 종래에는 이 범위를 초과하는 어떤 조정도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어 전압은 게이트 산화 막의 용량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고, 공핍층은 용량의 변화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는 가변용량 다이오드 그 자체가 어느 정도 제한된 용량의 가변 범위를 갖고 기생 용량도 제어 전압에 의해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된다. 최근에 고속 동작의 발진기가 요구되어졌기 때문에, 인덕터들은 더 높은 발진 주파수를 제공하기 위해 낮은 인덕턴스를 갖도록 설계되어 왔다. 인덕턴스가 더욱 낮아짐에 따라 인덕터의 모양에 의존하는 인덕턴스의 변화율은 더욱 커지게 되었다. 즉, 설계된 인덕터의 형상과 실제로 제조된 인덕터의 형상들의 사소한 차이점은 발진 주파수에서 현저한 결과를 갖게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발진 주파수의 가변 범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좁게 제한되어 있으면, 인덕턴스의 형상들 간의 상대적으로 작은 차이를 가질 때 발진 주파수에서의 심각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으나 설계된 발진 주파수를 얻을 수 없고 발진기는 전혀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점은 발진기의 제조수율을 심각하게 감소시킨다.
일본 특개평8-162331호에는 발진 주파수의 가변 범위에 대한 회로가 공개되어 있다. 이 회로에는, 인덕터가 회로 장치 안에 결합되어 있고, 그 인덕턴스는 평면에서 볼 때 나선형의 배선에 일치하게 나선형 배선 층에 루프 형상을 제공하여 가변될 수 있도록 만들어지고, 이것은 루프 형상에 따라 상호 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나선형 배선의 인덕턴스를 조정한다. 그러나, 전류는 나선형 배선뿐만 아니라 루프형 배선에 항상 제공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회로는 큰 전류를 소모한다. 게다가, 루푸형 배선에 기생용량이 생긴다. 더욱이, 상기 상호 자기 유도는 큰 가변 인덕턴스 범위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발진 주파수의 가변 범위는 충분하게 증가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가된 발진 주파수의 가변 범위를 제공할 수 있는 전압 제어 발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기는 동일 제어 전압에 의해 제어되는 용량을 갖는 한 쌍의 가변 용량 커패시터; 상기 한 쌍의 가변 용량 커패시터에 각각 접속된 한 쌍의 인덕터; 상기 한 쌍의 인덕터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정전류원; 전류가 흐르는 상기 한쌍의 인덕터의 길이들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는, 전류가 흐르는 인덕터의 길이들 간을 스위칭 장치에 의해 스위칭함으로써 전체 회로의 인덕턴스의 변동을 유발한다. 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덕턴스의 변동은 발진 주파수의 변화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진 주파수가 가변용량 커패시터의 용량에 의해서만 조정된다는 점에서 종래의 발진기에 비해 증가된 발진 주파수의 가변 범위를 제공한다. 따라서, 인덕터가 설계되었던 인덕터의 형상과 약간 다르게 제조되더라도, 원하는 발진 주파수를 제공할수 있도록 조정이 행해질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인덕터의 가변용량 커패시터의 접속된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접속된 한 쌍의 스위치; 한 쌍 또는 복수의 쌍의 스위치들은 각각 상기 각 인덕터들의 양 끝 단부에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제어 발진기는 한 쌍의 가변 용량 커패시터에 접속된 한 쌍 또는 복수의 쌍의 인덕터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인덕터들은 정전류원에 의해 전류가 공급되며, 상기 전류의 흐름은 스위칭 장치에 의해 스위칭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전압 제어 발진기는, 동일한 제어 전압에 의해 제어되는 용량을 갖는 한 쌍의 가변 용량 커패시터; 상기 한 쌍의 가변 용량 커패시터의 각각에 접속된 한 쌍의 인덕터; 상기 한 쌍의 인덕터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정전류원; 전류가 공급되는 상기 한 쌍의 인덕터의 위치 사이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인덕터의 상기 가변용량 커패시터에 접속된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접속된 한 쌍의 트랜지스터; 상기 인덕터들의 양 단부 사이의 위치에 각각 접속된 한 쌍 또는 복수의 쌍의 트랜지스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제어 발진기는 한 쌍의 인덕터들이 접속된 한 쌍 또는 복수의 쌍의 트랜지스터에서의 위치보다 가변용량 커패시터의 각각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의 한 쌍의 인덕터들 사이의 단락을 위한 단락 라인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것은 발진 신호에 안정된 진폭을 제공하면서 향상된 발진 주파수의 가변 범위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인덕터의 상기 가변용량 커패시터에 접속된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접속된 한 쌍의 트랜지스터; 상기 인덕터들의 양 단부간의 임의의 위치에 설계된 그 인덕터의 일부를 단락하는 한 쌍 또는 복수 쌍의 트랜지스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인덕터들은 상기 스위칭 장치를 통해 상기 정전류원에 접속될 수 있고, 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칭 장치를 그 사이에 두어 대칭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압 제어 발진기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기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전압 Vtune 및 발진 주파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에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기의 레이아웃.
도 5는 도 4에서 A-A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4에서 B-B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기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기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내는 등가 회로도.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기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2a 및 12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내는 등가 회로도.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기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5a 및 15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내는 등가 회로도.
도 16a 및 16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17은 제 2 실시예에서 한 트랜지스터에 집적된 한 쌍의 트랜지스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전류원L1, L2 : 가변용량 다이오드
SW1, SW2, SW3, SW4 : 스위치
Tr1, Tr2, Tr4, Tr5, Tr6, Tr7, Tr10, Tr11, Tr12 : P 채널 트랜지스터
Tr8, Tr9 : 트랜지스터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기 (VCO)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제어 발진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정전류원 (1)의 한 단부에 각각 접속된 4개의 스위치 (SW1 내지 SW4)가 있다. 스위치 (SW1 및 SW2)의 다른 단부는 인덕터 (L1 및 L2)의 한 단부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인덕터 (L1 및 L2)는 그 인덕턴스가 서로 동일하다. 스위치 (SW3 및 SW4)의 다른 단부는 인덕터 (L1 및 L2)의 중간 지점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SW1 및 SW3) 사이의 인덕터 (L1)의 인덕턴스는 스위치 (SW2 및 SW4) 사이의 인덕터 (L2)의 인덕턴스와 서로 동일하다.
인덕터 (L1)의 다른 단부는 가변용량 다이오드 (D1), P-채널 트랜지스터 (Tr1)의 드레인, P-채널 트랜지스터 (Tr2)의 게이트와 접속되고, 인덕터 (L2)의 다른 단부는 가변용량 다이오드 (D2), P-채널 트랜지스터 (Tr2)의 드레인, P-채널 트랜지스터 (Tr1)의 게이트와 접속된다. 아날로그 제어 전압 (Vtune)은 가변용량 다이오드 (D1 및 D2)에 공급되고, 전원 전압 (VDD)은 P-채널 트랜지스터 (Tr1 및 Tr2)의 소오스에 공급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전압 (Vtune)과 발진 주파수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의 실선은 스위치 (SW1 및 SW2)만이 단락된 경우의 관계를 나타내고, 파선은 스위치 (SW3 및 SW4)만이 단락된 경우의 관계를 나타낸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P-채널 트랜지스터 (Tr1 및 Tr2)의 드레인으로부터 발진 신호를 얻는 게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진 신호의 발진 주파수는 제어 전압 (Vtune)에 따라 변한다. 즉, 발진 주파수는 스위치 (SW1 및 SW2) 만이 단락되거나 스위치 (SW3 및 SW4)만이 단락되는 양 경우에서 제어 전압 (Vtune)이 증가됨에 따라 증가된다. 즉, 동일한 제어 전압 (Vtune)에서 스위치 (SW3 및 SW4)가 단락된 경우에 제공되는 발진 주파수는 스위치 (SW1 및 SW2)만이 단락된 경우에 제공되는 주파수보다 높다. 이것은 전류가 스위치 (SW3 및 SW4) 만이 단락된 상태에서 인덕터 (L1 및 L2)의 일부로 흐르기 때문이며, 따라서 전류 경로의 인덕턴스가 감소한다.
스위치 (SW1 및 SW2) 만이 단락된 상태로 설계된 것보다 발진 주파수가 더낮고 가변용량 다이오드 (D1 및 D2)의 용량은 원하는 발진 주파수로 제공되도록 제어될 수 없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에도, 가변용량 다이오드 (D1 및 D2)의 용량을 제어하는 스위치 (SW3 및 SW4) 만을 단락함으로써 원하는 발진 주파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발진 주파수에서, 스위치 (SW1) 내지 스위치 (S\4)를 제어하는 것으로 어림 조정이 행해질 수 있고, 가변용량 다이오드 (D1 및 D2)로 미세 조정을 행해질 수 있다. 그 결과, 발진 주파수의 범위는 증가된다. 예를 들어, 기준 주파수에 비해 약 +/-30%로 발진 주파수의 범위가 증가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두 쌍의 스위치들이 인덕터 (L1 및 L2)에 접속된다. 그러나, 많은 수의 스위치들이 사용될수록 많은 단계의 어림 조정이 이용되고, 따라서 발진 주파수의 범위도 더 증가된다.
다음, 상술한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기의 레이아웃이다. 도 5는 도 4의 A-A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반도체 기판 (11)의 표면에, 스위치 (SW1) 및 스위치 (SW2)의 공통의 확산층 (12), 스위치 (SW1)의 확산층 (13), 스위치 (SW2)의 확산층 (14), 스위치 (SW3) 및 스위치 (SW4)의 공통의 확산층 (15), 스위치 (SW3)의 확산층 (16), 스위치 (SW4)의 확산층 (17)이 형성된다. 확산층 (12)은 확산층 (13) 및 확산층 (14) 사이에 위치하며, 확산층 (15)은 확산층 (16) 및 확산층 (17) 사이에 위치한다. 스위치(SW1)를 위한 게이트 절연막 (18)은 반도체 기판 (11) 상의 확산층 (12) 및 확산층 (13)사이에 형성되며, 스위치 (SW2)를 위한 게이트 절연막 (19)은 반도체 기판 (11) 상의 확산층 (12) 및 확산층 (14) 사이에 형성된다. 스위치 (SW3)를 위한 게이트 절연막 (20)은 반도체 기판 (11)상의 확산층 (15) 및 확산층 (16) 사이에 형성되며, 스위치 (SW4)를 위한 게이트 절연막 (21)은 반도체 기판 (11)상의 확산층 (15) 및 확산층 (17) 사이에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 (18) 내지 (21) 상에는 게이트 전극 (22) 내지 (25)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전체 표면 상에는 층간 절연막 (26)이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 (26)에는 도전층 (27 내지 31)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층간 절연막 (26)에는, 도전층 (27) 및 확산층 (12) 사이를 접속하는 콘택트 (32)가, 도전층 (28) 및 확산층 (13) 사이를 접속하는 콘택트 (33)가, 도전층 (29) 및 확산층 (14) 사이를 접속하는 콘택트 (34)가, 도전층 (27) 및 확산층 (15) 사이를 접속하는 콘택트 (35)가, 도전층 (30) 및 확산층 (16)사이를 접속하는 콘택트 (36)가, 도전층 (31) 및 확산층 (17) 사이를 접속하는 콘택트 (37)가 형성된다. 또한, 층간 절연막 (26) 상에는, 도전 나선층 (38 및 39)이 인덕터 (L1 및 L2)로서 각각 형성된다. 도전층 (38 및 39)은 평면에서 볼 때 도전층 (27)에 대해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 (26)에는, 도전층 (28) 및 도전층 (38)의 내측의 단부를 접속하는 콘택트 (40)가, 도전층 (29) 및 도전층 (39)의 내측의 단부를 접속하는 콘택트 (41)가, 도전층 (30) 및 도전층 (38)의 내측의 단부를 접속하는 콘택트 (42)가, 도전층 (31) 및 도전층 (39)의 내측의 단부를 접속하는 콘택트 (43)가 형성된다. 콘택트 (42및 43)는 평면에서 볼 때 도전층 (27)에 대해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도전층 (27)은 정전류원 (1)에 의해 전류가 공급되고, 가변용량 다이오드 등은 도전층 (38 및 39)의 외측 단부에 각각 접속된다.
상술한 구조에서, 게이트 전극 (22)을 갖는 MOS 트랜지스터는 스위치 (SW1)로 기능하고, 게이트 전극 (23)을 갖는 MOS 트랜지스터는 스위치 (SW2)로 기능하고, 게이트 전극 (24)을 갖는 MOS 트랜지스터는 스위치 (SW3)로 기능하고, 게이트 전극 (25)을 갖는 MOS 트랜지스터는 스위치 (SW4)로 기능한다. 따라서, 게이트 전극 (22 및 23)의 전위 및 게이트 전극 (24 및 25)의 전위는 상호 배타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따라서 스위치 (SW1) 및 스위치 (SW2) 만 단락되거나 스위치 (SW3) 및 스위치 (SW4) 만 단락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스위치의 제어를 행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넓은 범위의 발진 주파수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스위치 (SW1 내지 SW4)는 전형적으로 제어 전압 (Vtune) 만으로 조정하여 원하는 발진 주파수를 얻도록 일단 제조되고 고정되지만, 용도에 따라 바뀔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복수 쌍의 스위치들은 한 쌍의 인덕터에 접속되어 넓은 범위의 발진 주파수를 제공한다. 그러나, 복수 쌍의 인덕터를 제공하고 그 중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쌍을 선택함으로써 향상된 발진 주파수 범위를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 (Tr1 및 Tr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류원 (1) 및 인덕터 (L1 및 L2)의 사이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
이하, 제 2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 2 실시예에서, P-채널 트랜지스터 (Tr6 및 Tr7)의 드레인은 인덕터 (L1) 및 인덕터 (L2) 사이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 (Tr6 및 Tr7)의 소오스는 전원전압 (VDD)이 공급되고, 제어 신호 (C2)는 상기 트랜지스터 (Tr6 및 Tr7)의 게이트에 공급된다. P-채널 트랜지스터 (Tr4 및 Tr5)의 드레인은 인덕터 (L1 및 L2)의 중간 지점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Tr4)의 드레인 및 트랜지스터 (Tr6)의 드레인 사이의 인덕턴스는 트랜지스터 (Tr5)의 드레인 및 트랜지스터 (Tr7)의 드레인 사이의 인덕턴스와 동일하다. 상기 트랜지스터 (Tr4 및 Tr5)의 소오스에는 전원전압 (VDD)이 공급되고, 제어 신호 (C1)는 상기 트랜지스터 (Tr4 및 Tr5)의 게이트에 공급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제 2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9a는 제어 신호 (C1)가 액티브 (low) 상태에 있고 제어 신호 (C2)가 인액티브 (high) 상태에 있을 때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다. 다른 한편, 도 9b는 제어 신호 (C1)가 인액티브 (high) 상태에 있고 제어 신호 (C2)가 액티브 (low) 상태에 있을 때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다. 또한, 도 9a는 트랜지스터 (Tr4 및 Tr5)의 드레인 및 인덕터 (L1 및 L2) 사이의 접속 포인트가 인덕터 (L1 및 L2)의 외측에 설치하는 극단의 경우를 나타낸다. 도 10a는 제어 신호 (C1)가 액티브 상태에 있고 제어 신호 (C2)가 인액티브 상태에 있을 때의 파형을 갖는 발진 신호를 나타낸다. 반면에, 도 10b는 제어 신호 (C1)가 인액티브 상태에 있고 제어 신호 (C2)가 액티브 상태에 있을 때의 파형을 갖는 발진 신호를 나타낸다.
제어 신호 (C1)가 액티브 상태에 있고 제어 신호 (C2)가 인액티브 상태에 있는 경우, 트랜지스터 (Tr4 및 Tr5)는 온 (ON) 상태에 있고 트랜지스터 (Tr6 및 Tr7)는 오프 (OFF) 상태에 있다. 따라서, 도 9a에 도시된 상태는 전원 전압 (VDD)이 직접 가변용량 커패시터에 공급되는 경우와 매우 유사하다. 다른 한편, 제어 신호 (C1)가 인액티브 상태에 있고 제어 신호 (C2)가 액티브 상태에 있는 경우, 트랜지스터 (Tr6 및 Tr7)는 온 (ON) 상태에 있고 트랜지스터 (Tr4 및 Tr5)는 오프 (OFF) 상태에 있다. 따라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전압 (VDD)는 인덕터 (L1 및 L2)의 접속 포인트에 공급된다. 도 10a 및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진 신호의 주파수 및 최대 진폭은, 인덕터를 걸친 진폭이 VDD에서 0V로의 진폭을 갖는 도 9a에 나타난 상태에서와 인덕터를 걸친 +VDD에서 -VDD로의 진폭을 갖는 도 9b에 나타낸 상태에서 차이를 갖게 된다. 따라서, 주파수 및 최대 진폭은 제어 신호 (C1)가 인액티브 상태에 있고 제어 신호 (C2)가 액티브 상태에 있는 경우보다 더 크다. 발진 신호가 동일한 진폭을 갖는 경우에도, 인덕터를 걸친 발진 상태의 차이에 의해, 발진 신호의 주파수는 제어 신호 (C1)가 인액티브 상태에 있고 제어 신호 (C2)가 액티브 상태에 있는 경우에 더 크게 된다.
따라서, 제 2 실시예는 가변용량 다이오드 (D1 및 D2)의 제어 전압 (Vtune)의 변화 없이 발진 주파수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제 3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2 실시예가 트랜지스터 (Tr4 및 Tr5)의 드레인과 대응되는 인덕터 (L1 및 L2)의 접속점에서보다도 가변용량 다이오드 (D1 및 D2) 측에 더 가까운 곳에서 단락 라인 (2)에 의해 인덕터 (L1 및 L2)가 단락되도록 수정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제 3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2a는 제어 신호 (C1)가 액티브 상태에 있고 제어 신호 (C2)가 인액티브 상태에 있을 때의 등가회로를 나타낸다. 반면, 도 12b는 제어 신호 (C1)가 인액티브 상태에 있고 제어 신호 (C2)가 액티브 상태에 있을 때의 등가회로를 나타낸다. 도 13a는 제어 신호 (C1)가 액티브 상태에 있고 제어 신호 (C2)가 인액티브 상태에 있을 때의 파형을 갖는 발진 신호를 나타낸다. 반편 도 13b는 제어 신호 (C1)가 인액티브 상태에 있고 제어 신호 (C2)가 액티브 상태에 있을 때의 파형을 갖는 발진 신호를 나타낸다.
제 3 실시예에서, 제어 신호 (C1)가 액티브 상태에 있고 제어 신호 (C2)가 인액티브 상태에 있는 경우, 트랜지스터 (Tr4 및 Tr5)를 갖는 인덕터 (L1 및 L2)의 접속점 사이의 코일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크 코일 (L3)로 기능한다. 한편,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신호 (C1)가 인액티브 상태에 있고, 제어신호 (C2)가 액티브 상태에 있는 경우, 본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상태를 제공한다. 도 13a 및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제어 신호 (C1)가 액티브 상태에 있고 제어 신호 (C2)가 인액티브 상태에 있는 경우의 진폭이, 제어 신호 (C1)가 인액티브 상태에 있고 제어 신호 (C2)가 액티브 상태에 있는 경우의 진폭과거의 동일한 결과를 가져온다. 이것은 또한 제어 신호 (C1)가 액티브 상태에 있고 제어 신호 (C2)가 인액티브 상태에 있는 경우의 주파수가, 제어 신호 (C1)가 인액티브 상태에 있고 제어 신호 (C2)가 액티브 상태에 있는 경우의 주파수보다 더 높도록 하는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제 3 실시예는 가변용량 다이오드 (D1 및 D2)의 제어 전압 (Vtune)의 변화 없이도 발진 주파수가 변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또한 발진 주파수를 바꾸어도 안정된 진폭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제 4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기의 회로도이다.
제 4 실시예는 인덕터 (L1)의 두 포인트 사이를 단락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 (Tr8)와 인덕터 (L2)의 두 포인트 사이를 단락할 수 있는 단락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 (Tr9)가 제공된다. 제어 신호 (C1)는 트랜지스터 (Tr8 및 Tr9)의 게이트에 공급된다. P-채널 트랜지스터 (Tr10)의 드레인은 인덕터 (L1 및 L2) 사이에 접속된다. 상기 트랜지스터 (Tr10)의 소오스에는 전원 전압 (VDD)가 공급되고 게이트에는 제어 신호 (C2)가 공급된다.
이하, 상술한 구조를 갖는 제 4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5a는 제어 신호 (C1 및 C2)가 액티브 상태에 있는 경우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다. 반면, 도 15b는 제어 신호 (C1)가 인액티브 상태에 있고 제어 신호 (C2)가 액티브 상태에 있는 경우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다. 도 16a는 제어 신호 (C1)가 액티브 상태에 있고 제어 신호 (C2)가 인액티브 상태에 있는 파형을 갖는 발진 신호를 나타낸다.반면, 도 16b는 제어 신호 (C1)가 인액티브 상태에 있고 제어 신호 (C2)가 액티브 상태에 있는 파형을 갖는 발진 신호를 나타낸다.
제어 신호 (C1 및 C2)가 액티브 상태에 있는 경우, 트랜지스터 (Tr8 및 Tr9)는 온 (ON) 상태에 있다. 트랜지스터 (Tr10)는 오프 (OFF) 상태에 있다. 반면, 제어 신호 (C1)가 인액티브 상태에 있고 제어 신호 (C2)가 액티브 상태에 있는 경우, 트랜지스터 (Tr10)는 온 (ON) 상태에 잇고 트랜지스터 (Tr8 및 Tr9)는 오프 (OFF) 상태에 있다. 발진 회로의 인덕턴스는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신호 (C1 및 C2)가 액티브 상태에 있는 경우보다 낮고,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진 신호의 주파수는 더 높다.
따라서, 제 4 실시예는 발진 주파수가 변하더라도 안정된 진폭을 얻을 뿐만 아니라 가변용량 다이오드 (D1 및 D2)의 제어 전압 (Vtune)의 변화 없이 발진 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게 한다.
제 2 내지 제 4 실시예에서, 인덕터에 접속된 드레인을 갖는 1개의 트랜지스터가 각 인덕터에 제공되며, 이러한 트랜지스터들은 하나의 트랜지스터로 집적될 수 있다. 도 17은 제 2 실시예에서 한 쌍의 트랜지스터가 하나의 트랜지스터로 집적된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P-채널 트랜지스터 (Tr11)는 트랜지스터 (Tr4) 및 트랜지스터 (Tr5)에 해당되고, P-채널 트랜지스터 (Tr12)는 트랜지스터 (Tr6) 및 트랜시스터 (Tr7)에 해당된다.
한편, 제 1 실시예에서, 드레인이 인덕터의 가운데 부분에 접속되는 복수의 쌍의 트랜지스터를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로 전체의 인덕턴스 값을 변화시켜, 발진 주파수의 가변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작된 인덕터의 형상이 설계된 것으로부터 약간 다르게 제작되더라도, 원하는 발진 주파수를 제공하도록 조정이 가능하다.

Claims (10)

  1. 동일한 제어 전압에 의해 제어되는 용량 (capacitor)을 갖는 한 쌍의 가변용량 커패시터;
    상기 한 쌍의 가변용량 커패시터에 각각 접속된 한 쌍의 인덕터;
    상기 한 쌍의 인덕터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정전류원; 및
    전류가 흐르는 상기 한 쌍의 인덕터 부분의 길이들 사이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가변용량 커패시터와 접속된 상기 인덕터의 타 단부와는 반대측에 있는 상기 인덕터의 일 단부에 각각 접속된 한 쌍의 스위치; 및
    상기 인덕터의 양 단부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각각 접속된 한 쌍 또는 복수 쌍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변용량 커패시터에 접속된 한 쌍 또는 복수의 쌍의 인덕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인덕터는 상기 정전류원에 의해 전류가 공급되며, 상기 인덕터를 흐르는 상기 전류는 상기 스위칭 장치에 의해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
  5. 동일한 제어 전압에 의해 제어되는 용량 (capacitor)을 갖는 한 쌍의 가변용량 커패시터;
    상기 한 쌍의 가변용량 커패시터에 각각 접속된 한 쌍의 인덕터;
    상기 한 쌍의 인덕터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정전류원; 및
    전류가 공급되는 상기 한 쌍의 인덕터상의 위치들 사이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가변용량 커패시터와 접속된 상기 인덕터의 타 단부와는 반대측에 있는 상기 인덕터의 일 단부에 각각 접속된 한 쌍의 트랜지스터; 및
    상기 인덕터의 양 단부 사이의 위치에 각각 접속된 한 쌍 또는 복수의 쌍의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 또는 복수의 쌍의 트랜지스터가 상기 한 쌍의 인덕터에 접속된 위치보다 상기 가변용량 커패시터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인덕터 사이를 단락시키기 위한 단락 라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가변용량 커패시터에 접속된 상기 인덕터의 타 단부와는 반대측에 있는 상기 인덕터의 일 단부에 접속된 트랜지스터; 및
    상기 인덕터의 양 단부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제공되어 상기 인덕터를 단락 하는 한 쌍 또는 복수 쌍의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
  9. 제 1, 2, 3, 5, 6, 7 및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는 상기 스위칭 장치를 통해 상기 정전류원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
  10. 제 1, 2, 3, 5, 6, 7 및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들은 그 사이에 배치된 상기 스위칭 장치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
KR10-2003-0006089A 2002-02-01 2003-01-30 전압 제어 발진기 KR200300663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26079A JP2003229718A (ja) 2002-02-01 2002-02-01 電圧制御発振器
JPJP-P-2002-00026079 2002-0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385A true KR20030066385A (ko) 2003-08-09

Family

ID=27654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6089A KR20030066385A (ko) 2002-02-01 2003-01-30 전압 제어 발진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54111B2 (ko)
JP (1) JP2003229718A (ko)
KR (1) KR20030066385A (ko)
TW (1) TW2003036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8983A (ko) * 2016-07-15 2018-01-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파수 체배기를 이용한 초고주파 신호 생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8754B2 (ja) * 2003-03-04 2010-04-28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L負荷差動回路
JP2005006153A (ja) * 2003-06-13 2005-01-06 Nec Electronics Corp 電圧制御発振器
US7460001B2 (en) * 2003-09-25 2008-12-02 Qualcomm Incorporated Variable inductor for integrated circuit and printed circuit board
US7049898B2 (en) * 2003-09-30 2006-05-23 Intel Corporation Strained-silico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KR100572128B1 (ko) 2004-08-30 2006-04-18 (주)에프씨아이 엘씨 공진기를 이용한 전압제어발진기
CN100407570C (zh) * 2004-12-03 2008-07-30 北京大学 宽频带的压控振荡器
KR100727319B1 (ko) 2005-05-04 2007-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미세 조정 장치와 디지털 조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압제어 발진기
JP4358185B2 (ja) 2005-12-12 2009-11-04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圧制御発振器、並びに、送信機及び受信機
TW200950309A (en) * 2008-05-21 2009-12-01 Ralink Technology Corp Resonator circuit and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using the same
US7808266B2 (en) * 2008-12-31 2010-10-0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effects of stress on an RF oscillator
JP5114793B2 (ja) * 2009-03-03 2013-01-09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可変インダクタ及び電圧制御発振器
JP5114794B2 (ja) * 2009-03-03 2013-01-09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可変インダクタ及び電圧制御発振器
US8063712B2 (en) * 2009-03-03 2011-11-22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mpedance control to optimize performance, efficiency, and power consumption
US8842410B2 (en) * 2009-08-31 2014-09-23 Qualcomm Incorporated Switchable inductor network
US9219452B2 (en) 2012-05-22 2015-12-22 Intel Deutschland Gmbh Dual mode receiver with RF splitter using programmable passive components
KR20190002634A (ko) * 2016-08-02 2019-01-0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압 파형 형성 오실레이터
US11362623B2 (en) 2019-12-03 202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WO2021097493A1 (en) * 2020-09-28 2021-05-20 Futurewei Technologies, Inc. Wideband low phase noise digitally controlled oscillator using switched inductors
CN116614089B (zh) * 2023-07-21 2023-10-10 浙江大学 一种低相噪多核压控振荡器版图结构及振荡器结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3257A (en) 1985-02-28 1986-06-03 Rca Corporation Multiband local oscillator
JPH08162331A (ja) 1994-12-05 1996-06-21 Hitachi Ltd 可変インダクタ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集積回路
KR970018985A (ko) 1995-09-28 1997-04-30 김광호 채널 선택기능을 갖는 광대역 발진회로
DE19833072A1 (de) 1998-07-23 2000-02-03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Oszillatorschaltung
US6127900A (en) * 1998-09-30 2000-10-03 Conexant Systems, Inc. Dual frequency synthesis system
US6194976B1 (en) * 1999-03-29 2001-02-27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using impedance scaling
US6188295B1 (en) 1999-04-13 2001-02-13 Delta Electronics, Inc. Frequency adjustments by patterning micro-strips to form serially connected capacitors or inductor-capacitor (LC) Circuit
JP3923690B2 (ja) 1999-10-05 2007-06-06 株式会社東芝 電圧制御発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8983A (ko) * 2016-07-15 2018-01-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파수 체배기를 이용한 초고주파 신호 생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303643A (en) 2003-09-01
JP2003229718A (ja) 2003-08-15
US6954111B2 (en) 2005-10-11
US20030146799A1 (en) 200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66385A (ko) 전압 제어 발진기
US7547970B2 (en) Semiconductor device
US7193484B2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pparatus
US20070247237A1 (en) Technique for reducing capacitance of a switched capacitor array
EP0942531B1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CMOS circuit
US6661301B2 (en) Oscillator circuit
JP3892383B2 (ja) 電圧制御発振器
US20050206465A1 (en) Voltage control oscillator
US7279997B2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with a multiple gate transistor and method therefor
US6674116B1 (en) Variable capacitor using MOS gated diode with multiple segments to limit DC current
US8072280B2 (en)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US6320474B1 (en) MOS-type capacitor and integrated circuit VCO using same
US7569912B2 (en) Differential variable capacitors and their applications
JP2002151953A (ja) 電圧制御発振器の周波数切替え装置
US20090072919A1 (en)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with wide oscillation frequency range and linear characteristics
US6794707B1 (en) Variable capacitor using MOS gated diode with multiple segments to limit DC current
US7078980B2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with switched tuning capacitors
JP3940063B2 (ja) 可変容量素子および可変容量素子内蔵集積回路
US6781482B2 (en) Integrated circuit
JP3325732B2 (ja) 電圧制御圧電発振器
JP2004274463A (ja) 差動電子回路
US8981529B2 (en) Variable capacitance device
JP4356759B2 (ja) 弾性表面波発振器及びその周波数可変方法
JP2011119443A (ja) 可変スパイラルインダクタ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H04373205A (ja) Mmic発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