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4800A - 염색성 폴리올레핀 섬유 및 직물 - Google Patents

염색성 폴리올레핀 섬유 및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4800A
KR20030064800A KR10-2003-7007325A KR20037007325A KR20030064800A KR 20030064800 A KR20030064800 A KR 20030064800A KR 20037007325 A KR20037007325 A KR 20037007325A KR 20030064800 A KR20030064800 A KR 20030064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t
butyl
fiber
fibers
polyole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4071B1 (ko
Inventor
리솅싱
레기오앤드류조셉
에어겐크나디
Original Assignee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64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0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4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4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0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olefin as constitu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15Rod, strand, filament or fiber including textile, cloth or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9Bicomponent, conjugate, composite or collateral fibers or filaments [i.e., coextruded sheath-core or side-by-sid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46Strand material is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46Strand material is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10T442/3171Strand material is a blend of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444Strand is a monofilament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37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a monofilament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Woven Fabrics (AREA)
  • Colo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A)폴리올레핀, 그리고 (B)방향족 디올-유도 부분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를 포함하는 용융 블렌드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섬유, 필라멘트 및 그로부터 제조된 직물은 영구적인 염색성을 나타낸다. 직물은 직물 의류, 카페트, 가구용 및 자동차 내장재용 직물, 산업용 직물,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된 부직 흡수재, 일회용 의료 의류를 포함하는 부직 의류, 필터 매체, 합성 종이 등에 유용하다.

Description

염색성 폴리올레핀 섬유 및 직물{Dyeable Polyolefin Fibers and Fabrics}
미국 특허 제5,096,995호에서는 방향족 골격을 갖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3,487,453호에서는 방향족 폴리에테르에스테르를 첨가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염료 수용성(receptivity)을 개선시키는 것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140,065호에서는 블록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블록 폴리에테르에스테르폴리아미드, 무정형 코폴리아미드 및 변형된 코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안료-상용성(compatible)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604,284호; 제5,652,326호 및 제5,886,098호에서는 특정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첨가제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985,999호에서는 폴리에테르아민이 관능화된 폴리프로필렌에 그라프트된 관능화된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테르아민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염색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GB-A-2 111 789에서는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을 개선시키고, 염색 친화성 및 대전방지성을 개선시킨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GB-A-2 112 795에서는 염색성과 대전방지성을 개선시킨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직물 조성물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WO-A-97/47684에서는 아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 코폴리아미드, 및 EVA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분산 염료에 대한 친화성을 나타내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우수한 염색성을 나타내는 신규 올레핀 중합체 섬유 및 직물에 관한 것이다. 이 섬유는 의복, 카펫, 가구, 일회용 의료복, 기저귀 등에 유용하다.
폴리올레핀, 이를테면 폴리프로필렌은 많은 유리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그의 고유 염색성은 매우 나쁘다. 염색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특히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오랜 염원이었다.
대부분, 섬유 형태의 착색된 폴리프로필렌은 고체 안료를 첨가함으로써 얻어진다. 불행하게도, 고체 안료를 함유하는 섬유는 염색된 섬유만큼 좋지 않다. 또한, 그들의 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안료는 염료에 비해서 선택의 폭이 매우 좁다. 마찬가지로, 안료를 사용하면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제조된 의류 제품에 적용될 수 있는 패턴을 제한한다. 어떤 안료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연신성과 체종 특성에 추가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폴리에틸렌과 같은 기타 폴리올레핀은 유사한 단점을 갖는다. 염색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이를테면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필요성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
놀랍게도, 특정 종류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는 용융 첨가제로서 혼입될 때 폴리올레핀 섬유 및 직물에 대해 염색성을 부여하는 데 특히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본 발명은 하기 성분 (A) 및 (B)로 이루어진 용융 블렌드를 포함하는 염색성 섬유 또는 필라멘트에 관한 것이다:
(A) 폴리올레핀, 및
(B) 방향족 디올이 하기 일반식(I), (II) 및 (III)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디올-유도 부분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상기 식에서,
R1및 R2가 독립적으로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이고,
Y가 공유결합, C1-C6알킬렌기, C2-C6알킬리덴기, C5-C12시클로알킬리덴기, C7-C15아릴알킬리덴기, O, SO, SO2, CO, S, CF2, C(CF3)2또는 NH이고,
X1및 X2가 독립적으로 수소, 직쇄 또는 측쇄 C1-C6알킬, C6-C10아르알킬, 아릴, 할로겐, 술폰산 또는 술폰산염이고,
j는 0∼4이고, 그리고
m 및 n은 독립적으로 1∼32이다.
C1-C6알킬렌기는 측쇄 또는 비측쇄 라디칼, 이를테면 메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트리메틸렌, 테트라메틸렌, 펜타메틸렌 또는 헥사메틸렌이다.
C2-C6알킬리덴기는 측쇄 또는 비측쇄 라디칼, 이를테면 에틸리덴, 프로필리덴, 부틸리덴, 펜틸리덴, 펜틸리덴 4-메틸펜틸리덴 또는 헥실리덴이다.
C5-C12시클로알킬리덴기는 이를테면 시클로펜틸리덴, 시클로헥실리덴, 시클로헵틸리덴, 시클로옥틸리덴, 시클로노닐리덴, 시클로데실리덴, 시클로운데실리덴 또는 시클로도데실리덴이다.
C7-C15아릴알킬리덴기는 이를테면 벤질리덴 또는 2-페닐에틸리덴이다.
직쇄 또는 측쇄 C1-C6알킬은, 이를테면 메틸, 에틸, 프로필, n-부틸, i-부틸, 3차 부틸, 펜틸 또는 헥실이다.
C6-C10아르알킬은, 이를테면 티에닐메틸, 벤질, α-메틸벤질, α,α-디메틸벤질 또는 2-페닐에틸이다.
아릴은 이를테면 티에닐, 페닐, 피리딜 또는 이미다졸릴이다.
할로겐은, 이를테면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이며, 바람직한 것은 염소 및 브롬이다.
술폰산 염은, 이를테면 술폰산의 나트륨 또는 칼륨염이다.
성분(B)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첨가제는 본 발명에서 참고로 하는 USP 5,096,995; 5,604,284; 5,652,326 및 5,886,098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한다. 이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는 이들 특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방향족 폴리에테르 부분을 갖는 USP 5,096,995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는 하기 성분(a), (b), (c) 및 (d)를 공중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성분(a): 아미노카르복시산, 락탐 또는 디아민과 디카르복시산으로부터 합성된 염;
성분(b): 상기 일반식(I), (II) 및 (III)의 방향족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디올;
성분(c):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 및 디올 HO-R3-OH(여기서 R3는 탄소수 2∼16을 갖는 알킬렌, 알킬리덴, 시클로알킬리덴 또는 아릴알킬리덴 기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디올 화합물; 및
성분(d): C4-C20디카르복시산(여기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단위체의 함량은 10∼90 중량%임).
성분(c)의 화합물,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은 이를테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이다.
USP 5,604,284; 5,652,326 및 5,886,098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는 수평균 분자량이 200∼5,000인 카르복시 사슬 말단을 갖는 폴리아미드 올리고머와 수평균 분자량이 300∼3,000이며 옥시알킬렌 단위체를 함유하는 비스페놀 화합물로 주로 이루어져 있다.
USP 5,604,284; 5,652,326 및 5,886,098에서, "옥시알킬렌 단위체를 함유하는 비스페놀" 및 "옥시알킬화 비스페놀"이란 용어는 본 발명의 경우에 일반식(II)의 "방향족 디올"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주로"란 용어는,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가 상기한 2 성분들로 사실상 이루어질지라도 본 발명의 목적 및 유리한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중합체에 제3 성분을 첨가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 화합물들은 아미노 카르복시산, 락탐 및 디아민과 디카르복시산의 염이다. 아미노 카르복시산의 예로는 ω-아미노 카프로산, ω-아미노에난트산, ω-아미노카프릴산, ω-아미노퍼알곤산, ω-아미노카프르산, 11-아미노데카노산 및 12-아미노데카노산이 있다. 락탐의 예로는 카프로락탐, 에난토락탐, 카프릴로락탐 및 라우롤락탐이 있다. 상기한 염의 성분들로서 디아민류는 헥사메틸렌 디아민, 헵타메틸렌 디아민, 옥타메틸렌 디아민 및 데카메틸렌 디아민이 있으며, 디카르복시산류는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운데칸 디카르복시산, 도데칸 디카르복시산 및 이소프탈산이 있다. 이들 화합물중의 예로는 카프로락탐, 12-아미노도데카노산 및 아디프산과 헥사메틸렌 디아민의 염이다.
수평균 분자량이 200∼5,000인 카르복시 체인 말단을 갖는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분자량 조절제의 존재 하에 폴리아미드 형성 성분의 중축합 반응 또는 개환 중합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분자량 조절제로서 C4-C20디카르복시산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며, 특히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운데칸 디카르복시산 및 도데칸 디카르복시산과 같은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복시산 및 3-술포이소프탈산 알칼리 금속 염과 같은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및 1,4-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시산, 디시클로헥실-4,4'-디카르복시산과 같은 지환족 디카르복시산이 사용된다. 이들 카르복시산의 할로겐 또는 술폭실 유도체가 또한 사용된다. 이들 화합물중의 예로는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및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바람직하기로는 아디프산, 세바스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3-술포이소프탈산 알칼리 금속염이 있다.
비스페놀 화합물의 예로는 C-알킬 치환 비스페놀; 할로겐화 비스페놀; 비스페놀 F와 같은 알킬렌 비스페놀; 비스페놀 A, 시클로헥실리덴 비스페놀 및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 메틸렌 비스페놀과 같은 알킬리덴 비스페놀; 아릴 알킬리덴 비스페놀; 비스페놀 S 및 히드록시벤조페논이 있다. 이들 화합물 중에서 특별한 예는 알킬리덴 비스페놀, 이를테면 비스페놀 A이다.
USP 5,604,284; 5,652,326 및 5,886,098의 비스페놀 화합물에 포함되는 옥시알킬렌 단위체는 옥시에틸렌 단위체, 옥시프로필렌 단위체, 1- 또는 2-옥시부틸렌 단위체 및 옥시테트라메틸렌 단위체이다. 이들 옥시알킬렌 단위체중의 예로는 옥시에틸렌 단위체 또는 옥시에틸렌과 옥시프로필렌 단위체의 조합이다.
옥시알킬렌 단위체를 함유하는 비스페놀 화합물, 즉 옥시알킬화 비스페놀 화합물은 수평균 분자량 300∼3,000, 이를테면 1,600∼3,000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32∼60 옥시에틸렌 단위체를 갖는 비스페놀 화합물이 유리하게 이용된다.
관심이 있는 것은, 옥시알킬화 비스페놀 화합물이 옥시알킬화 알킬리덴 비스페놀, 이를테면 옥시알킬화 비스페놀 A를 포함하는 섬유나 필라멘트이다.
USP 5,604,284; 5,652,326 및 5,886,098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는 필요에 따라 삼산화 안티몬, 모노부틸 주석 산화물,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 테트라부틸 지르코네이트 및 아연 아세테이트와 같은 공지의 촉매 존재 하에 상술한 폴리아미드 올리고머 및 비스페놀 화합물의 중축합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옥시알킬렌 단위체를 갖는 비스페놀 사슬이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20∼8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의 상대 점도는 이를테면 0.5∼4.0, 바람직하기로는 0.6∼3.0이다. 상대 점도는 m-크레졸 중에서 25℃에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의 0.5 중량% 용액으로서 측정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는 ε-카프로락탐과 아디프산으로부터 제조된 카르복시 사슬 단부를 갖는 올리고머와 비스페놀A의 에틸렌 산화물 부생물과의 반응 생성물일 수 있다.
비스페놀 화합물, 즉 방향족 디올-유도 기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는 폴리올레핀 섬유, 필라멘트 및 직물에 대해 우수한 염색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2 이상의 서로 다른 성분(B)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의 부가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섬유" 또는 "필라멘트"란 폭에 대한 길이의 비가 크고 단면적이 적은 가요성, 합성, 외견상 동종체를 의미한다. 이들 섬유는 직접 프로필(profile) 압출, 및 슬릿 또는 섬유(fibrillated) 테이프를 포함한 공지 방법중 어느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색성 직조 및 부직 폴리올레핀 섬유를 포함한 염색성 섬유의 제조에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조성물은 섬유 또는 필라멘트를 형성하기 위한 용융 압출법에 의해 제조된다. 야안(yarn) 또는 스테이플 섬유에 대한 연속적 필라멘트 방사와 같은 공지 기술과 스펀본드(spunbond) 제조 및 용융취입 제조와 같은 부직 공정에 따라서, 섬유 또는 필라멘트는 용융 중합체를 작은 오리피스를 통해 압출함으로써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이 형성된 섬유나 필라멘트는 연신되어 분자 배향을 유발하고 결정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직경이 감소하고 물리적 성질이 개선된다. 스펀본딩 및 용융취입과 같은 부직 공정에서, 섬유나 필라멘트는 이동식 플랫 콘베이어와 같은 기공(foraminous) 표면에 직접 퇴적된 후, 열적, 기계적 또는 화학적 접합법을 포함한 여러 방법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지만, 위 접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분야의 숙련자라면 원하는 특성을 갖는 복합 직물을 제조하기위한 여러 방법으로부터 직물이나 방법들을 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예들은 SMS 로서 가장 잘 알려진 라미네이트 직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스펀본드 및 용융취입을 조합하는 데, 이는 스펀본드 직물의 2 외층과 용융 직물의 내층을 나타내는 의미이다. 부가적으로 이들 방법중 하나 또는 모두가 부직 스테이플 카딩 공정으로부터 얻어지는 접합 직물이나 스테이플 섬유 카딩 공정과의 어떠한 배열로도 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라미네이트 직물에서, 층들은 일반적으로 상기 수단들 중 하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성분들중 하나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인 용융 압출된 2 성분 섬유에 이용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의 부직 직물은, 섬유나 필라멘트가 임의의 배열로 분포되는 매트를 포함하거나 카드형 섬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직물은 직물로 만들어질 물품의 최종 용도에 따라, 하이드로엔탱글먼트 (hydroentanglement)나 스펀-레이스 (spun-lace) 기술을 포함한 수많은 공지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또는 공기 도입 또는 용융-취입 필라멘트, 배트(batt) 연신, 스티취본딩(stitchbonding)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스펀본드 필라멘트 크기는 약1.0∼약3.2 데니어이다. 용융-취입 섬유는 통상 15 미크론 미만의 섬유 직경을 갖고, 서브미크론 수준까지 내려가는 5 미크론 미만이다. 복잡한 구조의 웨브는 광범위한 기준 중량으로 가공될 수 있다. 섬유의 크기는 최종 용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면, 더 무거운 섬유는 의류 등을 제조하는 데 사용된 섬유와는 달리 카펫 이면체로 종종 이용된다. 본 발명의 섬유는 이를 테면 약1∼약1500 데니어로 될 수 있다.
통상 약210℃∼약240℃의 온도에서 압출되는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주로 비 다공성이고 염료에 끌리거나 접합할 수 있는 연속 분자 사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섬유는 본래 소수성이다. 그 결과, 비처리 폴리프로필렌 직물은 개방된 기공 구조를 가지고 있을 지라도 염료의 이용을 어렵게 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첨가제는 용융물 내의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에 혼입된 후, 폴리올레핀과 함께 섬유와 필라멘트의 형태로 압출되고, 이 섬유와 필라멘트는 급냉된 후, 감쇄(attenuated)된 다음, 후속 또는 동반하는 가공 단계에서 직물로 형성된다.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는 용융 압출되어야 하는 중합체 펠릿과 함께 혼합될 수 있다. 가공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는 탈크와 같은 소량의 무기 분말 및 기타 통상의 안정화제를 함유할 수 있는 낮은 MFR 폴리프로필렌으로 예비 조제 또는 혼합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에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를 혼합하는 것은 롤-밀링, 밴부리형 혼합기에서의 혼합 또는 압출기 배럴에서의 혼합 등과 같은 공지 기술에 의해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를 용융 중합체에 혼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열 이력(승온에서 유지되는 시간)은 중합체 전체에 대한 약품의 균일한 분산을 이루도록 비가열 중합체 입자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를 혼합함으로써 단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용융 온도에서 강한 혼합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편리하게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첨가제는 어떤 경우에 필요해 질 수있는 어떤 다른 첨가제와 함께 거의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는 기타 첨가제와 함께 예비혼합될 수 있고, 그 블렌드는 중합체에 첨가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 기타 첨가제를 더 쉽거나 균일하게 폴리올레핀에 분산 또는 용해되는 것을 돕는 추가적인 장점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뱃치-뱃치(batch-to-batch) 공정시 품질을 더 쉽게 조절하기 위해서, 최종 원하는 배합물을 얻기 위해서 중합체의 추가량에 후속적으로 혼합되는 중합체/첨가제 블렌드의 농축된 마스터뱃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마스터뱃치나 순수한(neat) 첨가제는 중합체가 용융되어 있는 동안 그리고 중합반응 용기나 트레인을 떠난 후에 새롭게 제조된 중합체에 주입될 수 있고, 용융된 중합체가 고체로 되기 까지 냉각되거나 더 가공되기 전에 서로 블렌드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성분(A)의 폴리올레핀에 대한 성분(B)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의 중량비[(B):(A)]는 0.1:99.9∼40:60이다. 수많은 이용 분야에 있어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는 성분(A)의 중량을 기준으로 0.1∼15 중량%, 이를테면 1%∼7 중량%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 섬유나 필라멘트에 성분(B)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를 혼입하면, 이들의 천연적인 소수성 물질의 염색성이 개선된 것으로 관찰된다. 이러한 개선은 섬유나 필라멘트 및 그들로부터 제조된 직물이 에이징이나 취급시에 염색성을 잃지 않을 정도로 영구적이다. 개선된 염색성은 장기간 걸쳐서라도 기능이 손실되지 않고 반복된 세척에도 안정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과 적어도 하나의 성분(B)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용융압출함으로써 폴리올레핀 섬유, 필라멘트와 그로부터 제조된 직물 또는 부직 직물에 영구적인 염색성을 부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직 직물, 이를 테면 폴리프로필렌 직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방직 공정에서 직조(weaving) 또는 니팅(knitting)을 위한 스레드(threads)나 야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첨가제는, 부직 직물의 성질, 예를 들면 기준 중량, 섬유 직경, 섬유의 접합 형태 및 정도, 상술한 바와 같은 SMS 구조와 같은 복합 구조물의 영향 및 상승작용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인과 무관하게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단일 성분 섬유에 제한되지 않는다. 폴리올레핀 2성분 섬유, 특히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사이드-바이-사이드 또는 시스(sheath)-코어 섬유는 어느 한 형태의 단일 성분 섬유와 동일한 실용적인 장점을 나타낼 것으로 에상된다.
본 발명의 섬유 및 필라멘트로부터 제조된 염색성 직물은 직물 의류(겉옷 및 속옷); 카페트; 가구 및 자동차 내장 산업용 직물; 기저귀, 위생 패드, 요실금 패드, 습식 및 건식 걸레, 권취 드레싱, 엎지름 방지 및 의료용 흡수 패드에 사용되는 부직 흡수물; 일회용 의료용 의류를 포함하는 부직 의류; 펠트; 압축 시트; 게오-텍스타일(geo-textile); 필터(바이폴라); 봉투를 포함한 포장 재료, 및 합성 종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직물은 약0.5∼약10 메가라드의 감마선을 조사함으로써 멸균될 수있다. 감마선 멸균은 병원 의류 등에 이용된다.
성분(A)의 폴리올레핀에 대한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모노올레핀 및 디올레핀들의 중합체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트-1-엔, 폴리-4-메틸펜트-1-엔, 폴리이소프렌 또는 폴리부타디엔) 뿐만 아니라 시클로올레핀(예컨대, 시클로펜텐 또는 노르보르넨)의 중합체, 폴리에틸렌(임의로 가교될 수 있음), 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고밀도 및 고분자량 폴리에틸렌(HDPE-HMW), 고밀도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HDPE-UHMW), 중간밀도 폴리에틸렌(M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VLDPE) 및 (ULDPE).
폴리올레핀, 즉 앞 단락에서 예시된 모노올레핀들의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은 다양하게, 특히 하기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a) 라디칼 중합 반응(통상 고압 및 승온 하에서)
b) 통상 주기율표의 Ⅳb,Ⅴb, VIb 또는 Ⅷ족 금속 1개 이상을 포함하는 촉매를 사용하는 촉매 중합반응. 이 같은 금속은 일반적으로 1개 이상의 리간드, 전형적으로 π- 또는 σ-배위될 수 있는 산화물, 할로겐화물, 알코올레이트,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알킬, 알켄일 및/또는 아릴을 갖는다. 이 같은 금속 착물은 자유 형태이거나 기질(전형적으로, 활성 염화 마그네슘, 염화 티탄(Ⅲ), 알루미나 또는 실리콘 산화물)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같은 촉매는 중합반응 매질에 가용성 또는 불용성일 수 있다. 이 촉매는 중합반응에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추가의 활성제(전형적으로는 금속이 주기율표 Ia, IIa 및/또는 IIIa족의 원소인 금속 알킬, 금속수소화물, 금속 알킬 할로겐화물, 금속 알킬 산화물 또는 금속 알킬옥산)가 사용될 수 있다. 활성제는 추가의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또는 실릴 에테르기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개질될 수 있다. 이들 촉매 시스템을 일반적으로 Phillips, Standard Oil Indiana, Ziegler(-Natta), TNZ(DuPont), 메탈로센 또는 단자리 촉매(SSC)라고 칭한다.
2. 상기 1)에서 언급된 중합체의 혼합물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이소부틸렌의 혼합물,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예컨대, PP/HDPE, PP/LDPE) 및 다양한 형태의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예컨대, LDPE/HDPE).
3. 모노올레핀 및 디올레핀 서로간 또는 다른 비닐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예컨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과 이들의 혼합물, 프로필렌/부트-1-엔 공중합체, 프로필렌/이소부틸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트-1-엔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에틸렌/메틸펜텐 공중합체, 에틸렌/헵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일산화탄소와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염(이오노머), 뿐만 아니라 에틸렌과 프로필렌 및 디엔(예컨대, 헥사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또는 에틸리덴-노르보르넨)의 삼원공중합체; 및 이 같은 공중합체 상호간 그리고 이 같은 공중합체와 상기 1)에서 언급한 중합체의 혼합물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LDPE/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LDPE/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LLDPE/EVA, LLDPE/EAA 및 교대의 또는 랜덤 폴리알킬렌/일산화탄소 공중합체 및 다른 중합체(예컨대, 폴리아미드)와 이들의 혼합물.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은, 이를테면 폴리프로피렌 또는 폴리에틸렌이다. 특히 관심있는 것은 폴리프로필렌 단중합체 및 공중합체 그리고 폴리에틸렌 단중합체 및 공중합체이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선형 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폴리프로필렌 랜덤 및 임팩트 공중합체이다.
올레핀 중합체의 블렌드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폴리올레핀 섬유, 필라멘트 및 직물에는 또한 자외선 흡수제, 가리워진 아민 광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가공 보조제 및 기타 첨가제와 같은 적절한 첨가제를 혼입 또는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의로 약0.01∼약1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약0.025∼약5중량%,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약0.1∼약3중량%의 여러 공지된 안정화제 공통 첨가제, 이를테면 하기 열거한 물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1. 산화방지제
1.1. 알킬화 모노페놀, 예를들어 2,6-디-삼차-부틸-4-메틸페놀, 2-삼차-부틸-4,6-디메틸페놀, 2,6-디-삼차-부틸-4-에틸페놀, 2,6-디-삼차-부틸-4-n-부틸페놀, 2,6-디-삼차-부틸-4-이소부틸페놀, 2,6-디-시클로펜틸-4-메틸페놀, 2-(α-메틸시클로헥실)-4,6-디메틸페놀, 2,6-디-옥타데실-4-메틸페놀, 2,4,6-트리-시클로헥실페놀, 2,6-디-삼차-부틸-4-메톡시메틸페놀, 직쇄 또는 측쇄에서 분지된 노닐페놀, 예컨대 2,6-디-노닐-4-메틸페놀, 2,4-디메틸-6-(1'-메틸-운데스-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헵타데스-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트리데스-1'-일)-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
1.2. 알킬티오메틸페놀, 예를들어 2,4-디-옥틸티오메틸-6-삼차-부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메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에틸페놀, 2,6-디-도데실티오메틸-4-노닐페놀.
1.3. 히드로퀴논 및 알킬화 히드로퀴논, 예컨대 2,6-디-삼차-부틸-4-메톡시페놀, 2,5-디-삼차-부틸-히드로퀴논, 2,5-디-삼차-아밀히드로퀴논,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2,6-디-삼차-부틸히드로퀴논, 2,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 스테아레이트, 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아디페이트.
1.4. 토코페롤,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및 이들의 혼합물(비타민 E).
1.5. 히드록시화 티오디페닐 에테르, 예를들어 2,2'-티오비스(6-삼차-부틸-4-메틸페놀), 2,2'-티오비스(4-옥틸페놀), 4,4'-티오비스(6-삼차-부틸-3-메틸페놀), 4,4'-티오비스(6-삼차-부틸-2-메틸페놀), 4,4'-티오비스(3,6-디-이차-아밀페놀), 4,4'-비스(2,6-디메틸-4-히드록시페닐)디술피드.
1.6. 알킬리덴비스페놀, 예를들어 2,2'-메틸렌비스(6-삼차-부틸-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삼차-부틸-4-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α-메틸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6-노닐-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4,6-디-삼차-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삼차-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6-삼차-부틸-4-이소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6-(α-메틸벤질)-4-노닐페놀], 2,2'-메틸렌비스[6-(α,α-디메틸벤질)-4-노닐페놀], 4,4'-메틸렌비스(2,6-디-삼차-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6-삼차-부틸-2-메틸페놀), 1,1-비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2,6-비스(3-삼차-부틸-5-메틸-2-히드록시벤질)-4-메틸페놀, 1,1,3-트리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1,1-비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3-n-도데실머캅토부탄, 에틸렌 글리콜 비스[3,3-비스(3'-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비스(3-삼차-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디시클로펜타디엔, 비스[2-(3'-삼차-부틸-2'-히드록시-5'-메틸벤질)-6-삼차-부틸-4-메틸페닐]테레프탈레이트, 1,1-비스(3,5-디메틸-2-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4-n-도데실머캅토부탄, 1,1,5,5-테트라(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펜탄.
1.7. O-, N- 및 S-벤질 화합물, 예를들어 3,5,3',5'-테트라-삼차-부틸-4,4'-디히드록시디벤질 에테르, 옥타데실-4-히드록시-3,5-디메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데실-4-히드록시-3,5-디-삼차부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아민, 비스(4-삼차-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디티오테레프탈레이트, 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술피드, 이소옥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1.8. 히드록시벤질화 말로네이트, 예를 들어 디옥타데실-2,2-비스(3,5-디-삼차-부틸-2-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디-옥타데실-2-(3-삼차-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질)말로네이트, 디-도데실머캅토에틸-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9. 방향족 히드록시벤질 화합물, 예를들어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1,4-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2,3,5,6-테트라메틸벤젠,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페놀.
1.10. 트리아진 화합물, 예를들어 2,4-비스(옥틸머캅토)-6-(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녹시)-1,3,5-트리아진,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녹시)-1,2,3-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4-삼차-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에틸)-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11. 벤질포스포네이트, 예컨대 디메틸-2,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 포스포네이트, 디에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5-삼차-부틸-4-히드록시-3-메틸벤질 포스포네이트,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폰산 모노에틸 에스테르의 칼슘 염.
1.12. 아실아미노페놀, 예컨대 4-히드록시라우르아닐리드, 4-히드록시스테아르아닐리드, 옥틸 N-(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카르바메이트.
1.13.1가 또는 다가 알코올과β-(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이소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의 에스테르.
1.14.1가 또는 다가 알코올과β-(5-삼차-부틸-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이소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 3,9-비스[2-{3-(3-3차-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과의 에스테르.
1.15.1가 또는 다가 알코올과β-(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이소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의 에스테르.
1.16.1가 또는 다가 알코올과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의 에스테르,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이소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의 에스테르.
1.17. β-(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아미드, 예를들어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메틸렌디아미드,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트리메틸렌디아미드,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지드, N,N'-비스[2-(3-[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옥사미드(NaugardTMXL-1, Uniroyal 사제).
1.18.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
1.19. 아민성 산화방지제,예컨대 N,N'-디이소프로필-p-페닐렌디아민, N,N'-디-2차-부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4-디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에틸-3-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메틸헵틸)-p-페닐렌디아민, N,N'-디시클로헥실-p-페닐렌디아민,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N,N'-비스(2-나프틸)-p-페닐렌디아민,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N-(1,3-디메틸-부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1-메틸헵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시클로헥실-N'-페닐-p-페닐렌디아민, 4-(p-톨루엔술파모일)디페닐아민, N,N'-디메틸-N,N'-디-2차-부틸-p-페닐렌디아민, 디페닐아민, N-알릴디페닐아민, 4-이소프로폭시디페닐아민, N-페닐-1-나프틸아민, N-페닐-2-나프틸아민, 옥틸화 디페닐아민, 예컨대 p,p'-디-3차-옥틸디페닐아민, 4-n-부틸아미노페놀, 4-부티릴아미노페놀, 4-노난오일아미노페놀, 4-도데칸오일아미노페놀, 4-옥타데칸오일아미노페놀, 비스(4-메톡시페닐)아민, 2,6-디-3차-부틸-4-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2,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페닐메탄, N,N,N',N'-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1,2-비스[(2-메틸-페닐)아미노]에탄, 1,2-비스-(페닐아미노)프로판, (o-톨릴)비구아니드, 비스[4-(1',3'-디메틸부틸)페닐]아민, 3차-옥틸화 N-페닐-1-나프틸아민, 모노- 및 디알킬화 3차-부틸/3차-옥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노닐디페닐아민, 모노- 및 디알킬화 도데실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이소프로필/이소헥실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3차-부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2,3-디히드로-3,3-디메틸-4H-1,4-벤조티아진, 페노티아진,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부틸/삼차옥틸 페노티아진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 옥틸 페노티아진의 혼합물, N-알릴페노티아진, N,N,N',N'-테트라페닐-1,4-디아미노부트-2-엔.
2. UV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
2.1. 2-(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예를들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5'-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이차부틸-5'-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아밀-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비스-(α,α-디메틸벤질)-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의 혼합물, 2-(3'-삼차-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도데실-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및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벤조트리아졸-2-일페놀]; 폴리에틸렌 글리콜 300과 2-[3'-삼차-부틸-5'-(2-메톡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의 에스테르 교환반응 생성물; R이 3'-삼차-부틸-4'-히드록시-5'-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인 [R-CH2CH2-COO-CH2CH2)2]2-; 2-[2'-히드록시-3'-(α,α-디메틸벤질)-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1,1,3,3-테트라메틸부틸)-5'-(α,α-디메틸벤질)페닐]벤조트리아졸.
2.2. 2-히드록시벤조페논, 예를들어 4-히드록시, 4-메톡시, 4-옥틸옥시, 4-데실옥시, 4-도데실옥시, 4-벤질옥시, 4,2',4'-트리히드록시 및 2'-히드록시-4,4'-디메톡시 유도체.
2.3. 비치환 또는 치환된 벤조산의 에스테르, 예를들어 4-삼차-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 디벤조일 레조르시놀, 비스(4-삼차-부틸-벤조일)레조르시놀, 벤조일 레조르시놀, 2,4-디-삼차-부틸페닐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옥타데실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메틸-4,6-디-삼차-부틸페닐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4. 아크릴레이트, 예를들어 에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 α-카르보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부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카르보메톡시-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N-(β-카르보메톡시-β-시아노비닐)-2-메틸인돌린.
2.5. 니켈 화합물, 예를들어 적절한 경우 부가적인 리간드(예: n-부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N-시클로헥실디에탄올아민)가 있는 2,2'-티오-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니켈 착물(예컨대 1:1 또는 1:2 착물), 니켈 디부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 4-히드록시-3,5-디-삼차부틸 벤질 포스폰산 모노알킬 에스테르(예: 메틸 에스테르 또는 에틸 에스테르)의 니켈 염, 케톡심(예: 2-히드록시-4-메틸페닐운데실 케톡심)의 니켈 착물, 적절한 경우 부가적인 리간드가 있는 1-페닐-4-라우로일-5-히드록시 피라졸의 니켈 착물.
2.6. 입체 장애 아민, 예를들어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숙시네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 n-부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 말로네이트, 1-(2-히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과 숙신산의 축합 생성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삼차옥틸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 생성물, 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시레이트, 1,1'-(1,2-에탄디일)비스(3,3,5,5-테트라메틸피페라지논), 4-벤조일-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2-n-부틸-2-(2-히드록시-3,5-디-삼차부틸벤질)말로네이트, 3-n-옥틸-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숙시네이트,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모르폴리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선형 또는 시클릭 축합 생성물, 2-클로로-4,6-비스(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 생성물, 2-클로로-4,6-비스(4-n-부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 생성물, 8-아세틸-3-도데실-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3-도데실-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3-도데실-1-(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4-헥사데실옥시 및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혼합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 및 4-시클로헥실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반응생성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 및 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과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CAS Reg. No. [136504-96-6])의 축합반응생성물; 1,6-헥산디아민과 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 그리고 N,N-디부틸아민과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CAS Reg. No. [192268-64-7])의 축합반응생성물;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2-운데실-7,7,9,9-테트라메틸-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7,7,9,9-테트라메틸-2-시클로운데실-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반응 생성물, 1,1-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옥시카르보닐)-2-(4-메톡시페닐)에탄, N,N'-비스-포르밀-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 4-메톡시메틸렌말론산과 1,2,2,6,6-펜타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의 디에스테르, 폴리[메틸프로필-3-옥시-4-(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실옥산, 말레산 무수물-α-올레핀 공중합체와 2,2,6,6-테트라메틸-4-아미노피페리딘 또는 1,2,2,6,6-펜타메틸-4-아미노피페리딘의 반응 생성물.
입체 장애 아민은 GB-A-2 301 106의 68∼73 면에 열거된 다음과 같은 화합물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성분 I-a), I-b), I-c), I-d), I-e), I-f), I-g), I-h), I-i), I-j), I-k) 또는 I-l), 특히 광안정화제 1-a-1, 1-a-2, 1-b-1, 1-c-1, 1-c-2, 1-d-1, 1-d-2, 1-d-3, 1-e-1, 1-f-1, 1-g-1, 1-g-2 또는 1-k-1.
입체 장애 아민은 또한 EP-A-0 782 994에 기재된 화합물들 중 하나, 예를 들면 실시예 1∼12 도는 D-1∼D-5에 기재된 화합물일 수 있다.
2.7. N-원자에 히드록시-치환 알콕시기로 치환된 입체 장애 아민,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화합물: 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4-옥타데카노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4-헥사데카노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1-옥실-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과 t-아밀알코올로부터의 탄소 라디칼과의 반응 생성물, 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4-옥소-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비스(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세바케이트, 비스(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아디페이트, 비스(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굴루타레이트 및 2,4-비스{N-[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N-부틸아미노}-6-(2-히드록시에틸아미노)-s-트리아진.
2.8. 옥사미드, 예를들어 4,4'-디옥틸옥시옥사닐리드, 2,2'-디에톡시옥사닐리드, 2,2'-디옥틸옥시-5,5'-디-삼차부톡사닐리드, 2,2'-디도데실옥시-5,5'-디-삼차부톡사닐리드, 2-에톡시-2'-에틸옥사닐리드,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옥사미드, 2-에톡시-5-삼차부틸-2'-에톡사닐리드 및 그와 2-에톡시-2'-에틸-5,4'-디-삼차부톡사닐리드와의 혼합물, o- 및 p-메톡시-이중 치환된 옥사닐리드의 혼합물 및 o- 및 p-에톡시-이치환된 옥사닐리드의 혼합물.
2.9. 2-(2-히드록시페닐)-1,3,5-트리아진, 예를들어 2,4,6-트리스(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4-디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프로필옥시페닐)-6-(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4-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도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트리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부틸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옥틸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도데실옥시/트리데실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헥실옥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메톡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3-부톡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페닐)-4-(4-메톡시페닐)-6-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3-(2-에틸헥실-1-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3. 금속 탈활성화제, 예를들어 N,N'-디페닐옥사미드, N-살리실알-N'-살리실로일히드라진, N,N'-비스(살리실로일)히드라진,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 3-살리실로일아미노-1,2,4-트리아졸, 비스(벤질리덴)옥살릴 디히드라지드, 옥사닐리드, 이소프탈로일 디히드라지드, 세바코일 비스페닐히드라지드, N,N'-디아세틸아디포일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로일)옥살릴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로일)티오프로피오닐 디히드라지드.
4.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 예를들어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디페닐 알킬 포스파이트, 페닐 디알킬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 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삼차부틸페닐)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삼차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옥시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6-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6-트리스-삼차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테아릴 소르비톨 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삼차부틸페닐)-4,4'-비페닐렌 디포스포나이트, 6-이소옥틸옥시-2,4,8,10-테트라-삼차부틸-12H-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6-플루오로-2,4,8,10-테트라-삼차부틸-12-메틸-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비스(2,4-디-삼차부틸-6-메틸페닐)메틸 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6-메틸페닐)에틸 포스파이트, 6-플루오로-2,4,8,10-테트라-3차-부틸-12-메틸-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2,2',2"-니트릴로[트리에틸트리스(3,3',5,5'-테트라-3차-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2-에틸헥실(3,3',5,5'-테트라-3차-부틸-1,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5-부틸-5-에틸-2-(2,4,6-트리-3차-부틸페녹시)-1,3,2-디옥사포스피란.
다음 포스파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트리스(2,4-디-3차-부틸페닐)포스파이트(IrgafosTM168, Ciba Specialty Chemicals Inc.),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A)
(B)
(F)
5. 히드록실아민,예컨대 N,N-디벤질히드록실아민, N,N-디에틸히드록실아민, N,N-디옥틸히드록실아민, N,N-디라우릴히드록실아민, N,N-디테트라데실히드록실아민, N,N-디헥사데실히드록실아민, N,N-디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N-헥사데실-N-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N-헵타데실-N-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수소화된 동물기름 아민으로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
6. 니트론,예컨대 N-벤질-알파-페닐-니트론, N-에틸-알파-메틸-니트론, N-옥틸-알파-헵틸-니트론, N-라우릴-알파-운데실-니트론, N-테트라데실-알파-트리데실-니트론, N-헥사데실-알파-펜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알파-헵타데실-니트론, N-헥사데실-알파-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알파-펜타데실-니트론, N-헵타데실-알파-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알파-헥사데실-니트론, 수소화된 동물기름 아민으로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으로부터 유도된 니트론.
7. 아민 옥사이드,예컨대 미국특허 5,844,029 및 5,880,191에 기재된 아민 옥사이드 유도체, 디데실 메틸 아민 옥사이드, 트리데실 아민 옥사이드, 트리도데실 아민 옥사이드 및 트리헥사데실 아민 옥사이드.
8. 벤조푸라논 및 인돌리논,U.S.4 325 863호, U.S.4 338 244호, U.S.5 175 312호, U.S.5 216 052호, U.S.5 252 643호, DE-A-4 316 611호, DE-A-4 316 622호, DE-A-4 316 876호, EP-A-0 589 839호 또는 EP-A-0 591 102호 또는 3-[4-(2-아세톡시에톡시)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5,7-디-삼차부틸-3-[4-(2-스테아로일옥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3'-비스[5,7-디-삼차부틸-3-(4-[2-히드록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5,7-디-삼차부틸-3-(4-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4-아세톡시-3,5-디메틸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3-(3,5-디메틸-4-피발로일옥시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9. 티오상승제,예컨대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또는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10. 과산화물-제거제, 예를들어 β-티오디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예컨대 라우릴, 스테아릴, 미리스틸 또는 트리데실 에스테르, 머캅토벤조이미다졸 또는 2-머캅토벤즈이미다졸의 아연 염, 아연 디부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디옥타데실 디술피드,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β-도데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11. 폴리아미드 안정화제, 예를들어 요오드화물 및/또는 인 화합물과의 구리 염 및 2가 망간 염.
12. 염기성 공안정화제, 예를들어 멜라민, 폴리비닐피롤리돈, 디시안디아미드,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우레아 유도체, 히드라진 유도체, 아민,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토금속 염, 예컨대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아연, 베헨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리시놀레산나트륨, 팔미트산칼륨, 피로카테콜산안티몬 또는 피로카테콜산아연.
13. 핵 생성제, 예를들어 활석과 같은 무기 물질, 이산화 티탄 또는 산화 마그네슘과 같은 금속 산화물, 알칼리 토금속의 인산염, 탄산염 또는 술페이트; 모노- 또는 폴리카르복시산과 같은 유기 화합물 및 그의 염, 예컨대 4-삼차부틸벤조산, 아디프산, 디페닐아세트산, 숙신산 나트륨 또는 벤조산 나트륨; 이온성 공중합체(이오노머)와 같은 중합성 화합물. 특히 바람직한 것은 1,3:2,4-비스(3',4'-디메틸벤질리딘)소르비톨, 1,3:2,4-디(파라메틸디벤질리덴)소르비톨, 및 1,3:2,4-디(벤질리덴)소르비톨.
14. 충전재 및 강화제, 예를들어 탄산칼슘, 실리케이트, 유리 섬유, 유리 벌브, 석면, 활석, 카올린, 운모, 황산바륨, 금속 산화물 및 수산화물, 카본 블랙, 흑연, 나무 가루 및 기타 천연 생성물, 합성 섬유의 가루 또는 섬유.
15. 분산제, 예를들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왁스 또는 미네랄 유.
16. 다른 첨가제, 예컨대 가소제, 윤활제, 유화제, 안료, 유동 보조제, 촉매, 유동조절제, 광학 광택제(brighteners), 미끄럼제, 가교제, 가교 부스터(boosters), 할로겐 제거제, 매연 억제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치환 및 비치환 비스벤질리덴 소르비톨과 같은 청정제(clarifiers), 2,2'-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과 같은 벤조옥사지논 UV 흡수제, CyasorbR3638(CAS# 18600-59-4) 및 발포제.
예를 들면, 본 기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된 첨가제는 본 발명의 염색성 섬유에 선택적으로 혼입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의 대표적인 예로는 모노글리세라이드, 이를테면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친수성 조절제(modifier), 선형 알킬 포스페이트의 칼륨 또는 나트륨염과 같이 친수성기가 붙은 긴 사슬 탄화수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있다. 친수성 기는 카르복실레이트, 술페이트, 술포네이트, 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트 뿐만아니라 4차 암모늄염 및 폴리에테르기가 있다. 또한, 염색하는 동안 팽윤제 뿐만 아니라 습윤제, 염료 상용화제 및 여러 검과 같은 혼탁제가 사용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섬유는 옥외 카페트와 같이 옥외용으로 종종 사용될 수 있으며, 자외선 안정화제가 유리하게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산화방지제가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직물 섬유 또는 부직 매트의 세탁성을 개선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비극성 폴리올레핀은 그들의 소수성 때문에 먼지를 유지시키는 경향이 있다. 성분(B)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는 세제로 하여금 직물이나 매트릭스를 용이하게 투과시켜 세제가 먼지와 오일을 떼어내고 세척해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성분(B)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를 폴리올레핀에 도입하면 폴리올레핀 직물과 부직물의 흡수성 및 위커빌리티(wickability)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한 예는 아기 기저귀에 있는 용융 취입된, 부직 흡수제이다. 극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를 폴리올레핀에 혼입함으로써 부직 필라멘트의 표면을 더 친수성으로 만들면 기저귀의 수분 흡수성을 크게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성분(B)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를 혼입하면 섬유, 직물 및 기타 물품의 내마모성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내마모성은 형성된 섬유의 연신에 중요하다. 통상적으로, 연신 장치의 금속 표면과 섬유 간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싸이징을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올레핀 직조 및 부직 섬유 및 직물은 또한 예상외의 인쇄성을 나타낸다. 그들 고유의 소수성으로 인해, 폴리올레핀 섬유와 직물은 인쇄성, 즉 표준 인쇄 기술에 대한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종래의 방법은 본 발명의 섬유를 염색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섬유는 종래의 염료 및 분산 염료 기술을 이용하여 염료로 염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염료는 염료 용액의 형태로 이용되므로, 이를테면 염료 용액을 함유하는 홈통(trough)을 통해서 섬유를 침지시키거나, 염료 용액을 섬유에 분무시키거나 또는 캐스케이딩(cascading) 롤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쉽게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염료 용액은 인쇄 페이스트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롤러 프린팅 또는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염색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진다. 섬유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염색 기술을 이용하여 여러 번 염색될 수 있다.
수성 염료 배스(bath)는 산 염료에 대해 통상적으로 약2∼약11, 일반적으로 약2∼약6의 pH를 갖는다. 필요한 경우, 하기와 같은 여러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pH를 조절할 수 있다: 포름산, 아세트산, 술팜산, 구연산, 인산, 질산, 황산, 모노나트륨 인산염, 테트라나트륨 인산염, 트리나트륨 인산염, 암모늄 수산화물, 나트륨 수산화물, 및 이들의 조합물. 계면 활성제는 염료 배스에 약간의 수용성 분산 염료를 분산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이러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염색 공정 동안, 염료 배스는 염색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교반될 수 있다. 염색 단계는 여러 온도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염색 속도를 촉진시킬 수 있다.
본 기술에서 알려진 또 다른 기술은 베추리 제트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이동하는 직물에 염료의 고온 염색 및 충돌(impingement)을 허용하는 제트 염색 기술이다. 캐리어는 100℃ 이하와 대기압에서 염색을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캐리어는 통상적으로 물에 유화될 수 있고 섬유에 대한 친화성이 있는 유기 화합물이다. 이러한 캐리어의 대표적인 예로는 디페닐 및 메틸 나프탈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페닐페놀과 같은 페놀, 디클로로- 및 트리클로로-벤젠과 같은 염화 탄화수소, 및 메틸 살리실레이트, 부틸 벤조에이트, 디에틸프탈레이트와 같은 방향족 에스테르, 그리고 벤즈알데히드가 있다. 캐리어는 일반적으로 염색 후에 제거된다.
염색 후에 상기 첨가제와 함께 염료 혼합물을 사용하므로, 염료가 섬유에 침투하여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 승온의 넓은 범위에서 섬유를 건식 가열할 수 있다. 염료 고정 단계는 오븐 같은 곳에서 섬유를 건식 가열하는 것을 포함한다. 온도는 조성물 섬유의 용융 온도나 유리 전이 온도까지 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조 온도를 더 높이면 건조 시간이 더 짧아진다. 일반적으로, 가열 시간은 약1분∼약10분이다. 그 후 잔류 염료는 섬유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분산 염료 혼합물은 여러 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 섬유에 이용될 수 있다. 염료 혼합물은 여러 공지 기술을 이용하여 섬유로부터 형성된 야안의 길이를 따라 단속적으로 사용되어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섬유를 염색하는 데 적합한 방법은 "니트-디니트(knit-deknit)" 염색 기술이다. 이 방법에 따라, 섬유들을 야안으로 만들고 다시 니팅하여 튜브 구조로 만든다. 염료 혼합물을 니트 튜빙(knit tubing)에 단속적으로 이용한다. 염색 후에, 튜빙은 나타나지 않고 야안은 단속적인 형태를 가진다. 대안적인 인쇄 방법에 따라서, 섬유를 먼저 야안으로 형성하고, 이 야안을 직조하여 직물로 만들고 카페트로 터프팅(tuft)한다. 종래의 편평한 스크린 인쇄 장치는 염료 혼합물을 직물이나 카페트에 적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연속적인 염색은 직물이나 카페트가 초기 염료 침투를 달성하는 데 충분한 길이의 염료 용액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염색 범위에서 실시된다. 약간의 분산 염료는 본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 가열 및 부분 진공 하에 중합체 섬유 속으로 승화되어 들어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염료를 폴리올레핀에 확산 또는 분사시키기에 충분한 가열과 함께 가압 하에 열전사 인쇄에 의해 분산 염료로 인쇄될 수 있다. 블록, 편평한 스크린 및 열전사 회분식 공정, 및 홈패인 롤러와 회전 스크린 인쇄 연속 공정이 이용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염료 용액은 직물이 제트를 통과하여 패턴을 형성함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직물이나 카페트에 프로그램된 순서로 제트-분무될 수 있다. 염료 용액은 카페트에 확산 오버 염색된 패턴을 제공하기 위해서 하부를 통과하는 염색된 카페트에 떨어지도록 방울 형태로 계측 및 분쇄되거나 절단된다.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올레핀 등과 같은 수 개의 서로 다른 섬유로 이루어진 스타일-형성된 카페트를염색할 때 폴리올레핀의 경쟁적인(competitive) 염색이 유용하다. 서로 다른 스타일링 효과는 존재하는 섬유의 각 형태에 쉐이드(shade)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존재하는 섬유에 따라 달라지는 산, 분산 및 예비 금속화 염료 또는 이들의 조합물이 스타일링 효과를 얻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염색성 조성물 내의 반응 생성물 및/또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트위드(tweed)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인쇄 염색, 스페이스 염색 및 연속 염색은 이러한 야안으로 제조된 직물로 실시될 수 있다.
시중에서 얻을 수 있는 수많은 염료가 있다. 염료는 이용 방법에 따라 그리고 어떤 때는 "the Society of Dyers and Colorists"에 의한 화학 구성에 따라 분류된다. 여러 분산 염료들은 "the American Association of Textile Chemists and Colorists"에서 발행한 "Textile Chemist and Colorist, July 1992, vol. 24, No.7"에 언급한 "Dyes and Pigments by Color Index and Generic Names" 목록에서 알아낼 수 있다.
염료는 종이, 플라스틱 또는 직물 재료와 같은 여러가지 기재(substrate)의 착색을 위해 사용된 견고하게 착색된 물질이다. 염료는 물리적 흡수, 염이나 금속-착물 형성 또는 화학 공유 결합의 형성에 의해 이들 기재에 보유된다고 믿어진다. 염료를 기재에 이용하기 위해 사용된 방법은 기재와 염료의 종류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염료가 안료와 구별되는 것은 화학적 구성보다는 이용방법에 의한 것이다. 이용하는 과정에서, 염료는 용해나 기화에 의해 그 결정 구조를 잃게된다. 결정 구조는 어떤 경우에 염색 공정의 후 단계동안 회복될 수 있다. 한편, 안료는 전체적인 이용 과정을 통해 그 결정이나 미립자를 보유한다.
그러므로, 여러 가지 성질을 갖는 수많은 염료는 염색시킬 물질의 다양성 때문에 필요하다. 세계적인 추세로, 수천 개의 서로 다른 염료들은 상업적인 중요성을 달성한 것으로 믿어진다. 일반적으로, 염료들은 2가지 방법으로 여러 그룹들로 분류된다. 한 가지 분류 방법은 염료가 분자의 색상 제공 단위나 발색단에 따라 분류되는 화학적 구성에 의한 것이다. 두 번째 분류 방법은 염료의 최종 용도의 이용 분류에 따른 것이다. 색상 지수(CI)에 사용된 이중 분류 시스템은 염료-제조 및 염료-사용 분야를 통해서 국제적으로 형용된다. 이 시스템에서, 각 화합물에 대한 CI 수로 화학적 분류에 따라 그리고 각 염료에 대한 CI 명으로 용도 분류에 따라 염료들을 분류한다. 일반적으로, 분산 염료는 수성 분산액으로부터 친수성 섬유를 염색하는 데 통상적으로 사용된 수-불용성 비이온성 염료이다. 분산 염료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및 아세테이트 섬유에 사용되어 왔다. 수 많은 스핀 마무리제(finish)를 연신 전에 섬유에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마무리제는 물 계통일 수 있다. 스핀 마무리제는 본 기술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일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기계적 크림핑(crimping) 또는 형성(forming)을 통해 직물화 하는 것처럼 염색 전에 섬유를 마무리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폴리올레핀 섬유나 필라멘트 또는 그로부터 제조된 직조 또는 부직 직물에 영구적인 염색성을 부여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향족 디올-유도 부분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와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복수 개의 섬유로 용융압출하는 단계와 섬유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방향족 디올이 하기 화합물(I), (II) 및 (III)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섬유나 필라멘트 또는 그로부터 제조된 직조 또는 부직 직물에 영구적인 염색성을 부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독립적으로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이고,
Y는 공유결합, C1-C6알킬렌기, C2-C6알킬리덴기, C5-C12시클로알킬리덴기, C7-C15아릴알킬리덴기, O, SO, SO2, CO, S, CF2, C(CF3)2또는 NH이고,
X1및 X2는 독립적으로 수소, 직쇄 또는 측쇄 C1-C6알킬, C6-C10아르알킬, 아릴, 할로겐, 술폰산 또는 술폰산염이고,
j는 0∼4이고, 그리고
m 및 n은 독립적으로 1∼32이다.
바람직하기로는, 이 방법은 섬유를 염색하는 데 유효한 조건 하에서 염료와 섬유, 필라멘트 또는 직물을 더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직물 의류, 카페트, 가구 내장재, 자동차 내장재; 산업용 직물, 일회용 기저귀, 위생 패드, 요실금 패드, 습식 및 건식 걸레, 권취 드레싱, 엎지름 방지 패드, 의료용 흡수 패드, 부직 의류, 일회용 의료용 의류, 펠트, 압축 시트, 게오-텍스타일(geo-textile), 바이폴라 필터, 포장 재료, 봉투 및 합성 종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직조 또는 부직 직물을 포함하는 제조 물품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폴리올레핀 섬유, 필라멘트 또는 직물이나 부직물에 영구적인 염색성을 부여하기 위한 성분(B)의 용도이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들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첨가제들이 사용된다:
PEBAX 1074(RTM, Elf Atochem)는 융점 158℃를 갖는, PA 12와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제조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이다.
PELESTAT 1250(RTM, Sanyo Chemical Industries),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는 융점 약150℃를 갖고, 옥시알킬화 비스페놀을 함유한다.
PELESTAT 6321(RTM, Sanyo Chemical Industries),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는 융점 약203℃를 갖고, 옥시알킬화 비스페놀을 함유한다.
IRGASTAB FS 410(RTM, Ciba SC)는 Irgastab FS-042[RTM, Ciba SC, N,N-디(수소화 우지(tallow))아민의 직접 산화에 의해 제조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 및 CHIMASSORB 944(RTM, Ciba SC)의 1:1 블렌드이다.
IRGANOX B 1411(RTM, Ciba SC)는 IRGAFOS 168(RTM, Ciba SC)와 IRGANOX 3114(RTM, Ciba SC)의 1:1 상승작용 블렌드이다. IRGAFOS 168(RTM)은 트리스(2,4-디-3차-부틸페닐)포스파이트, IRGANOX 3114(RTM)는 트리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이다.
IRGANOX XP 620(RTM, Ciba SC)는 33%의 IRGAFOS 126[RTM, Ciba SC, 비스(2,4-디-3차-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17%의 IRGANOX HP-136(RTM, Ciba SC, 3-(3,4-디메틸페닐)-5,7-디-3차-부틸-벤조푸란-2-온] 및 50%의 IRGANOX 1010[RTM, Ciba SC,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의 혼합물이다.
TINUVIN 234(RTM, Ciba SC)는 2-(3,5-비스-알파-쿠밀-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이다.
TINUVIN 1577(RTM, Ciba SC)는 4,6-디페닐-2-(4-헥실옥시-2-히드록시페닐)-s-트리아진이다.
CHIMASSORB 81(RTM, Ciba SC)는 2-히드록시-4-옥틸옥시벤조페논이다.
FLAMESTAB FR 116(RTM, Ciba SC)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이다:
FLAMESTAB FR 116
TINUVIN 111(RTM, Ciba SC)는 CHIMASSORB 119(RTM, Ciba SC)와 TINUVIN 622(RTM, Ciba SC)의 상승작용 혼합물이다.
TINUVIN 783(RTM, Ciba SC)는 CHIMASSORB 944(RTM, Ciba SC)와 TINUVIN 622(RTM, Ciba SC)의 상승작용 혼합물이다.
여기서, m은 2∼200의 수이다.
Chimassorb 119(RTM)
여기서, R'이다.
다음 실시예들은 예증 목적으로만 주어지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첨가제 수준은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 1:폴리프로필렌 섬유 염색성
섬유 급 폴리프로필렌, profax 6301(RTM, Montell), 및 적당량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첨가제를 관형 혼합기에서 15분 동안 혼합한다. 블렌딩된 혼합물을 218, 232, 246 및 246℃에서 스크루 속도가 80 rpm인 우수한 MPM 단일 스크루 랩 압출기에 첨가한다. 첨가제와 함께 용융된 폴리프로필렌은 둥근 다이를 나가서, 물통에서 냉각되고 콘에어 제트로(conair zetro) 펠리타이저로 공급한다. 혼합된 펠렛을 232, 246, 260 및 274℃에서 41 홀 델타 스피너렛(spinneret)을 갖는 "Hills Lab" 섬유 압출기에 공급한다. 750 psi의 일정 압력은 피드백 루프를 통해 스크루 속도를 조절한다. 공급, 인출 및 릴랙스 롤은 79℃ 및 100℃에 있으며, 120, 400 및 383 m/분의 속도로 회전한다. 섬유는 공급 롤 바로 앞에서 6% 섬유 마무리제 수용액과 접촉된다. 이 용액은 "Goulston Industries" 제의 LUROL PP-4521(RTM)이다. 라인 끝에 있는 Leesona(RTM) 와인더는 섬유를 스풀에 모은다. 필라멘트당 최종 데니어는 15이다. 모아진 섬유는 스풀로부터 제거되고 Lawson Hemphill FAK(RTM) 샘플러 니터로 양말을 짠다.
염료 용액은 별도의 용기에 있는 증류수에서 1.0 g/L로 제조된다. 분산 염료에 있어서, 이는 물을 63∼85℃까지 가열한 후, 물을 염료에 첨가함으로써 제조된다. 산 염료의 용액은 물을 85∼100℃로 가열함으로써 제조된다. 레벨러, 윤활제 및 pH 조절제의 용액은 실온에서 10% w/w 수준으로 제조된다.
ROACHES(RTM) 프로그램 가능한 염료 배스는 다음 조건으로 고정된다:
PP에 대한 분산 염료: 3.5℃/분의 속도로 98℃까지 온도 상승, 98℃에서 60분간 유지된 다음, 최대 냉각 속도 5.5℃/분으로 냉각.
PP에 대한 산 염료: 3.5℃/분의 속도로 98℃까지 온도 상승, 98℃에서 30분간 유지된 다음, 최대 냉각 속도 5.5℃/분으로 냉각.
적당량의 용액(표1 참조)을 5.0 중량의 양말을 기준으로 강철 500 mL 실린더에 첨가한다. 양말을 세탁 태그로 표시하여 실린더에 놓는다. 실린더를 증류수로 채운다. pH를 체크하고 분산 염색을 위해 4∼5 그리고 산 염색을 위해 6∼6.5로 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실린더를 밀봉하고 염료 배스에 넣은 다음 순환을 개시한다. 염료 순환이 종료된 후, 양말을 실린더에서 꺼낸 다음 수도물로 헹군다. 과잉의 물을 원심분리에 의해 양말에서 제거하고 100℃의 강제 순환식 공기 오븐에서 15분 동안 건조시킨다.
양말의 밝기 및 어둡기(L)를 "Datacolor Spectrophotometer SF600"으로 측정한다. L은 0(어두움)∼100(밝음)의 등급으로 나타내지는 밝기와 어두움의 척도이다. 장치 조건은 CIE 랩, D65, 10 도, SCI, SAV, UV400-700이다.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더 낮은 L 값은 염색성이 개선된 것을 나타낸다.
표 1
염료 용액
산 염료 섬유 상의 중량%
IRGALAN Yellow 2GL1.0
IRGALAN Bordeaux EL0.2
ERIONYL Black MR0.3
나트륨 포스페이트 일염기성3.0
테트라나트륨 피로포스페이트 1.0
IRGASOL SW 1.0
분산 염료
Yellow K-GL 0.5
Red K-BB 0.5
Blue K-RB 1.0
UNIVADINE DIF 2.0
CIBAFLUID UA 1.0
아세트산 0.5
표 2
염색성
배 합 물 첨 가 제 L 값
산 염료 A 없음 78.9
B 5% PELESTAT 1250 65.8
C 5% PEBAX 1074 68.2
D 10% PELESTAT 1250 52.6
E 10% PEBAX 1074 53.6
분산 염료 A 없음 54.2
B 5% PELESTAT 1250 23.4
C 5% PEBAX 1074 29.9
D 10% PELESTAT 1250 19.2
E 10% PEBAX 1074 21.1
첨가제는 폴리프로필렌을 기준으로 한 중량%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첨가제를 함유하는 배합물 B 및 D는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양말과 본 발명의 것이 아닌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첨가제(배합물 C 및 E)를 함유하는 것들과는 달리 폴리프로필렌 양말에 대한 염색성을 개선시킨다.
습식 및 건식 크록(crock) 값에 대해 조성물을 시험하였다. 크로킹 시험법은 러빙에 의해 기타 표면에 염색된 물품의 표면으로부터 전이될 수 있는 색상의 정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염료 전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 시험은 염색된 물품에 걸쳐 건식 및 습식 백색 시험 천으로 크록 측정기를 통해 특정 러빙을 요한다. 천은 회색 등급을 통해 평가한다. 회색 등급은 5 단위 등급이고(1-5@ 0.5 분할), 5는 무시할 수 있는 염료 전이를 나타낸다.
폴리올레핀 염색성을 촉진시키기에 성공적인 첨가제로서 자격을 얻기 위해서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양말은 크로킹 시험으로 평가할 때 무시할 수 있는 염료 전이를 나타내야 하고, 물리적 특성의 손실이 없어야 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를 함유하는 양말은 허용할 수 있는 습식 및 건식 크록 값을 나타낸 바와 같이 우수한 염색성을 나타낸다.
염료 조성물은 또한 인장 강도에 대한 시험을 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를 함유하는 양말은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은 양말에 비해 인장강도의 손실을 나타내지 않는다.
실시예 2:폴리올레핀 염색성
실시예 1의 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배합물을 제조하여 염색성에 대한 시험을 하였다(모든 양은 중량%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산화 방지제 UVA HAS
97 3 0.1 - 0.2
95 5 0.1 0.1 0.2
90 10 0.2 0.2 0.1
85 15 0.2 0.2 0.3
80 20 0.2 0.3 0.2
70 30 0.3 0.3 0.3
폴리에틸렌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산화 방지제 UVA HAS
95 5 0.1 0.15 0.25
90 10 0.1 0.2 0.25
85 15 0.2 0.2 0.3
75 25 0.2 0.3 0.3
65 35 0.3 0.4 0.2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첨가제는 PELESTAT 1250 및 PELESTAT 6321(RTM, Sanyo Chemical Industries)로부터 선택된다. 산화 방지제는 IRGASTAB FS 410, IRGANOX B 1411 및 IRGANOX XP 620(RTM, Ciba SC)로부터 선택된다. 자외선 흡수제(UVAs)는 TINUVIN 234, TINUVIN 1577 및 CHIMASSORB 81(RTM, Ciba SC)로부터 선택된다. 가리워진 아민 안정화제(HAS)는 TINUVIN 111, TINUVIN 622, TINUVIN 783, CHIMASSORB 944 및 FLAMESTAB FR 116(RTM, Ciba SC)로부터 선택된다.
자외선 흡수제, 가리워진 아민, 히드록실아민, 포스파이트 및 페놀성 산화방지제와 같은 첨가제를 더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낮은 L 값과 허용되는 습식 및 건식 크록 값을 갖는 것으로 밝혀진 것처럼 우수한 염색성을 나타낸다.

Claims (16)

  1. 하기 성분 (A) 및 (B)로 이루어진 용융 블렌드를 포함하는 염색성 섬유 또는 필라멘트:
    (A) 폴리올레핀 및
    (B) 방향족 디올이 하기 일반식(I), (II) 및 (III)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디올-유도 부분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상기 식에서,
    R1및 R2가 독립적으로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이고,
    Y가 공유결합, C1-C6알킬렌기, C2-C6알킬리덴기, C5-C12시클로알킬리덴기, C7-C15아릴알킬리덴기, O, SO, SO2, CO, S, CF2, C(CF3)2또는 NH이고,
    X1및 X2가 독립적으로 수소, 직쇄 또는 측쇄 C1-C6알킬, C6-C10아르알킬, 아릴, 할로겐, 술폰산 또는 술폰산염이고,
    j는 0∼4이고, 그리고
    m 및 n은 독립적으로 1∼32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가 주로 (1)수평균 분자량이 200∼5,000이고 카르복시기를 함유하는 말단 단위체를 갖는 폴리아미드 올리고머 및 (2)수평균 분자량이 300∼3,000인 일반식(II)의 옥시알킬화 비스페놀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잔류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또는 필라멘트.
  3.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또는 필라멘트.
  4. 제 2항에 있어서, 카르복시기가 아디프산, 세바스산, 테레프탈산 또는 이소프탈산 또는 3-술포이소프탈산 알칼리 금속으로부터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또는 필라멘트.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알킬화 비스페놀 화합물이 옥시알킬화 알킬리덴 비스페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또는 필라멘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알킬화 알킬리덴 비스페놀이 옥시알킬화 비스페놀 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또는 필라멘트.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알킬화 비스페놀 화합물이 약20중량%∼약80중량%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또는 필라멘트.
  8. 제 1항에 있어서, 성분(A)의 폴리올레핀에 대한 성분(B)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의 중량비[(B):(A)]가 0.1:99.9∼4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또는 필라멘트.
  9. 제 1항에 있어서, 성분(B)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가 성분(A)의 중량을 기준으로 총 0.1∼15 중량%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또는 필라멘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염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또는 필라멘트.
  11. 폴리올레핀 성분이 제1항에 따른 성분(A) 및 (B)를 포함하는 용융 블렌드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섬유.
  12. 제1항에 따른 니트되거나 접합된 폴리올레핀 섬유를 포함하는 직조 또는 부직 직물.
  13. 폴리올레핀 섬유나 필라멘트 또는 그로부터 제조된 직조 또는 부직 직물에 영구적인 염색성을 부여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향족 디올-유도 부분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와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복수 개의 섬유로 용융압출하는 단계와 섬유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방향족 디올이 하기 화합물(I), (II) 및 (III)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섬유나 필라멘트 또는 그로부터 제조된 직조 또는 부직 직물에 영구적인 염색성을 부여하는 방법: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독립적으로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이고,
    Y는 공유결합, C1-C6알킬렌기, C2-C6알킬리덴기, C5-C12시클로알킬리덴기, C7-C15아릴알킬리덴기, O, SO, SO2, CO, S, CF2, C(CF3)2또는 NH이고,
    X1및 X2는 독립적으로 수소, 직쇄 또는 측쇄 C1-C6알킬, C6-C10아르알킬, 아릴, 할로겐, 술폰산 또는 술폰산염이고,
    j는 0∼4이고, 그리고
    m 및 n은 독립적으로 1∼32이다.
  14. 제 13항에 있어서, 섬유를 염색시키는 데 유효한 조건에서 섬유, 필라멘트 또는 직물을 염료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직물 의류, 카페트, 가구용 직물, 자동차 내장재용 직물, 산업용 직물, 일회용 기저귀, 위생 패드, 요실금 패드, 습식 및 건식 걸레, 권취 드레싱, 엎지름 방지 패드, 의료용 흡수 패드, 부직 의류, 일회용 의료 의류, 펠트, 압축 시트, 게오-텍스타일, 바이폴라 필터, 포장 재료, 봉투 및 합성 종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12항에 따른 직물 또는 부직물을 포함하는 제조 물품.
  16. 폴리올레핀 섬유, 필라멘트나 직물 또는 부직물에 영구적인 염색성을 제공하기 위한 제 1항에 따른 성분(B)의 용도.
KR1020037007325A 2000-12-06 2001-11-27 염색성 폴리올레핀 섬유 및 직물 KR100764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163800P 2000-12-06 2000-12-06
US60/251,638 2000-12-06
US27782301P 2001-03-22 2001-03-22
US60/277,823 2001-03-22
PCT/EP2001/013790 WO2002046503A1 (en) 2000-12-06 2001-11-27 Dyeable polyolefin fibers and fabric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800A true KR20030064800A (ko) 2003-08-02
KR100764071B1 KR100764071B1 (ko) 2007-10-08

Family

ID=26941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325A KR100764071B1 (ko) 2000-12-06 2001-11-27 염색성 폴리올레핀 섬유 및 직물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679754B2 (ko)
EP (1) EP1354083B1 (ko)
JP (1) JP3959688B2 (ko)
KR (1) KR100764071B1 (ko)
CN (1) CN1239762C (ko)
AT (1) ATE317922T1 (ko)
AU (2) AU2189902A (ko)
BR (1) BR0115962B1 (ko)
CZ (1) CZ20031835A3 (ko)
DE (1) DE60117301T2 (ko)
DK (1) DK1354083T3 (ko)
ES (1) ES2257472T3 (ko)
MX (1) MXPA03004827A (ko)
SK (1) SK8632003A3 (ko)
TW (1) TWI297367B (ko)
WO (1) WO20020465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1613A (ja) * 2002-08-30 2004-05-20 Japan Vilene Co Ltd 医療衛生用基材
US7247658B2 (en) * 2003-07-08 2007-07-24 Milliken & Company Reduction of discoloration in white polyurethane foams
US20090104426A1 (en) * 2003-07-22 2009-04-23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ibers, Tapes and Films Prepared from Olefinic and Segmented Elastomers
US20060191493A1 (en) * 2003-12-29 2006-08-31 Better Gear Inc. Whale safe groundline and yarn and fiber therefor
US20050150152A1 (en) * 2003-12-29 2005-07-14 Holy Norman L. Whale safe groundline
US7094127B2 (en) * 2004-03-01 2006-08-22 Milliken & Company Apparel articles including white polyurethane foams that exhibit a reduction in propensity for discoloring
CN1942613A (zh) * 2004-04-23 2007-04-04 西巴特殊化学品控股有限公司 可染色的聚烯烃纤维和织物
TWI358481B (en) * 2004-06-03 2012-02-21 Takemoto Oil & Fat Co Ltd Processing agents and methods for synthetic fibers
JP4691415B2 (ja) * 2004-11-02 2011-06-01 竹本油脂株式会社 合成繊維用処理剤及び合成繊維の処理方法
US7074483B2 (en) * 2004-11-05 2006-07-11 Innegrity, Llc Melt-spun multifilament polyolefin yarn formation processes and yarns formed therefrom
US7364672B2 (en) * 2004-12-06 2008-04-29 Arlon, Inc. Low loss prepregs, compositions useful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uses therefor
JP4902113B2 (ja) * 2004-12-13 2012-03-21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可染性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繊維・不織布
BRPI0610488A2 (pt) 2005-05-30 2016-11-16 Basf Ag composição polimérica, e, processo para produzir a mesma
US7648607B2 (en) * 2005-08-17 2010-01-19 Innegrity, Llc Methods of forming composite materials including high modulus polyolefin fibers
US7892633B2 (en) * 2005-08-17 2011-02-22 Innegrity, Llc Low dielectric composite materials including high modulus polyolefin fibers
US8057887B2 (en) * 2005-08-17 2011-11-15 Rampart Fibers, LLC Composite materials including high modulus polyolefin fibers
US20080009211A1 (en) * 2006-07-07 2008-01-10 Matthew Raymond Himes Assemblies useful for the prepara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EP2436729A1 (en) * 2007-03-29 2012-04-04 INVISTA Technologies S.à.r.l. Wash resistant synthetic 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active compounds
EP2397293A1 (en) * 2007-06-03 2011-12-21 Imerys Pigments, Inc. Spunlaid fibers comprising coated calcium carbonate,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and nonwoven products
RU2543257C2 (ru) 2008-07-30 2015-02-27 Басф Се Сетки, пропитанные инсектицидами,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защиты от вредителей
MX2012000258A (es) 2009-07-09 2012-01-25 Basf Se Sustrato recubrimiento con insecticida para proteger seres humanos y animales domesticos.
JP2012532841A (ja) 2009-07-09 2012-12-20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ヒトおよびペットを保護するための殺虫性のシート状成形体
US8292863B2 (en) * 2009-10-21 2012-10-23 Donoho Christopher D Disposable diaper with pouches
US8759430B1 (en) 2010-06-02 2014-06-24 Aquadye Fibers, Inc. Acid dyed polyester (PET) or olefin yarns and textile fabrics using such yarns
US20130065468A1 (en) * 2010-06-02 2013-03-14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Ink/dye receptive films, papers, and fabrics
BR112013006895A2 (pt) 2010-09-23 2016-07-12 Basf Se método para proteger plantas vivas contra insetos nocivos, estrutura laminar retangular impregnada com um inseticida e uso de uma estrutura laminar
JP5370390B2 (ja) * 2011-02-14 2013-12-18 Jnc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帯電防止繊維およびそれからなる不織布
WO2013000907A1 (en) 2011-06-27 2013-01-03 Basf Se System for protecting goods during transport
AR086770A4 (es) 2011-06-27 2014-01-22 Basf Se Sistema para proteger mercaderia almacenada
EP2849937A4 (en) 2012-05-15 2016-03-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 POLYURETHANE BASED COATINGS FOR ROTOR BLADES
GB2510550B (en) 2012-09-06 2017-05-17 Devan Chemicals Nv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ifying polypropylene-based fibres
US10266986B2 (en) * 2014-02-21 2019-04-23 Cocona, Inc. Incorporation of active particles into substrates
BR112016024150B1 (pt) 2014-04-17 2021-06-08 Basf Se fita e método para o controle de pragas rastejantes, método para proteção e método para sua produção
CN105707988A (zh) * 2014-12-05 2016-06-29 东营市半球纺织有限公司 一种防脱丝丝袜
CN107531864B (zh) 2015-04-24 2018-12-11 3M创新有限公司 两部分聚氨酯抗腐蚀涂料
CA3025954A1 (en) * 2016-05-31 2017-12-07 Basf Se Nonwoven fabrics made of bicomponent fibers
JP7356905B2 (ja) * 2016-11-09 2023-10-05 ボレアリス エージー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US11931973B2 (en) * 2018-03-02 2024-03-19 Ticona Llc Weatherable fiber-reinforced propylene composition
CN111088549B (zh) * 2019-12-24 2022-05-20 温州大学 一种用于制备飞织鞋面的低熔点锦纶热熔丝
EP4263705A1 (en) 2020-12-16 2023-10-25 Ticona LLC Uv stable fiber-reinforced polymer composition
US20230365782A1 (en) * 2022-05-11 2023-11-16 Braskem S.A. Bio-based hdpe for non-woven appl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36115C (ko) 1968-03-25
GB1414778A (en) 1972-01-13 1975-11-19 Herbert C W Rotational drive shaft arrangements
FR2519034A1 (fr) * 1981-12-29 1983-07-01 Ato Chimie Matieres textiles a base de polyolefines
FR2519012B1 (fr) * 1981-12-29 1987-04-10 Ato Chimie Composition nouvelle formee d'un melange intime de polyolefines et de polyetheresteramides
US5096995A (en) 1987-08-13 1992-03-17 Toray Industries, Inc. Polyether-ester amide and permanently antistatic resin composition
CH677674A5 (ko) 1989-03-30 1991-06-14 Inventa Ag
US5652326A (en) * 1993-03-03 1997-07-29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Polyetheresteramide and antistatic resin composition
US5985999A (en) 1993-07-13 1999-11-16 Huntsman, Petrochemical Corporation Dyeable polyolefin containing polyetheramine modified functionalized polyolefin
BE1010347A4 (nl) 1996-06-12 1998-06-02 Wetenschappelijk En Tech Ct Va Verfbare en bedrukbare polypropyleensamenstelling en daaruit vervaardigde producten.
DE59712007D1 (de) * 1996-09-16 2004-11-18 Ciba Sc Holding Ag Antistatische Zusammensetz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61123A1 (en) 2002-10-31
CN1479812A (zh) 2004-03-03
MXPA03004827A (es) 2003-08-19
AU2189902A (en) 2002-06-18
JP2004515658A (ja) 2004-05-27
ATE317922T1 (de) 2006-03-15
US6679754B2 (en) 2004-01-20
DE60117301D1 (de) 2006-04-20
KR100764071B1 (ko) 2007-10-08
EP1354083A1 (en) 2003-10-22
ES2257472T3 (es) 2006-08-01
WO2002046503A1 (en) 2002-06-13
BR0115962A (pt) 2003-10-28
JP3959688B2 (ja) 2007-08-15
AU2002221899B2 (en) 2006-12-07
CZ20031835A3 (cs) 2003-10-15
DK1354083T3 (da) 2006-06-06
CN1239762C (zh) 2006-02-01
SK8632003A3 (en) 2003-11-04
TWI297367B (en) 2008-06-01
EP1354083B1 (en) 2006-02-15
BR0115962B1 (pt) 2010-06-01
DE60117301T2 (de) 200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4071B1 (ko) 염색성 폴리올레핀 섬유 및 직물
AU2002221899A1 (en) Dyeable polyolefin fibers and fabrics
KR100764070B1 (ko) 습윤성 폴리올레핀 섬유 및 직물
KR20070004054A (ko) 염색성 폴리올레핀 섬유 및 직물
JP2008507632A (ja) 湿潤性ポリエステル繊維及び布
WO1995033882A1 (en) Dyeable polyolefin compositions and method
CA2529609C (en) Polycondensates as dyeing promoters for hydrophobic polymer articles
EP2122020A1 (en) Wettable polyester fibers and fabrics
ZA200303766B (en) Dyeable polyolefin fibers and fabrics.
KR20070035566A (ko) 습윤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직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