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4723A - 상하차 연동모듈을 이용한 물류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하차 연동모듈을 이용한 물류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4723A
KR20030064723A KR1020030048506A KR20030048506A KR20030064723A KR 20030064723 A KR20030064723 A KR 20030064723A KR 1020030048506 A KR1020030048506 A KR 1020030048506A KR 20030048506 A KR20030048506 A KR 20030048506A KR 20030064723 A KR20030064723 A KR 20030064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vehicle
logistics
inform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인규
Original Assignee
하이덱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덱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이덱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8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4723A/ko
Publication of KR20030064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723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제주체간에 정보공유와 효율적인 물류관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물류자동화 시스템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물류관리회사, 상차지,하차지,생산공장등의 각 물류주체가 인터넷을 통하여 구현되는 연동모듈에 의해 연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한 연동모듈은 물류관리회사 물류관리시스템의 배차업무처리모듈과; 각 물류주체의 기간정보시스템과; 상차지의 상차업무처리모듈과; 하차지의 하차업무처리모듈로 이루어져 배차내역, 계근내역, 상차내역, 차량 출발 및 도착내역, 하차내역등의 물류정보를 각 물류주체가 인터넷을 통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차 연동모듈을 이용한 물류자동화 시스템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상하차 연동모듈을 이용한 물류자동화 시스템{Material flow system by up-and-down loading inter-depent module}
본 발명은 거래처별로 상차모듈과 하차모듈로 구성된 연동모듈을 구축하여 운송사 물류시스템과 연동시킴으로서 상호간의 정보공유와 효율적인 물류관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물류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효율적 물류관리를 위하여 물류회사(운송사)와 기업(고객회사) 사이에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정보공유 시스템이 구축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물류관리시스템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상에서의 관리체계, 즉, 페이퍼형태의 서류교환과 전자문서형태의 서류교환이 혼재된 상태로 운영됨으로서운영체계의 단절에 의한 비효율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예를들면, A공장에서 B회사로 원료를 공급하는 경우, 공장의 기간정보시스템(ERP시스템)과 물류회사의 관리시스템 사이에는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전자문서의 교환을 통한 정보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이 구축한 경우에도 물류회사는 차량에 배차업무를 지시하고, 지시에 따른 상차업무를 위하여 차량이 A공장에 입고될 때 A공장에서는 입고차량의 번호, 배차지시정보, 상차량, 상차전표의 발행등의 업무를 수동으로 입력하고 상차작업을 수행함으로서 입력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비능률적이었다.
또한, 상차 후 B회사로 이동하여 하차하는 경우에도 상차내역과 하차 계근량등을 A공장 및 물류회사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곤란하고, 전표등에 의해 추후 확인 정산이 이루어지는등 물류의 실시간 관리나 정보의 공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오류의 가능성이 상존하는 등 체계적인 연동관리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류관리 시스템의 배차업무처리모듈와 공장의 기간정보시스템을 온라인으로 연계시키고, 배차업무처리모듈과 공장의 기간정보시스템을 상차업무처리모듈로 연계시켜 배차내역,계근내역 및 상차증의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상하차에 관련된 제반정보에 대하여 관련주체 상호간에 정보공유가 가능하도록 하여 기업과 기업간의 연결고리에서의 낭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 효율적인 물류관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적용 상태도
도3은 다수의 각기 다른 기업계열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례도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하여 물류관리회사, 상차지,하차지,생산공장등의 각 물류주체가 연동모듈에 의해 연계되도록 구성하되 상기한 연동모듈은 물류관리회사 물류관리시스템의 배차업무처리모듈과; 각 물류주체의 기간정보시스템과; 상차지의 상차업무처리모듈과; 하차지의 하차업무처리모듈을 온라인으로 연계시키도록 구성하여 배차내역, 계근내역, 상차내역, 차량 출발 및 도착내역, 하차내역등의 정보를 각 물류주체가 인터넷을 통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의 상하차 연동모듈을 이용한 물류자동화 시스템을 제시한다.
상기에서 물류관리회사, 상차지,하차지, 생산공장은 동일 계열기업군 뿐만 아니라 각기 물류회사, 생산자, 원료 또는 물품 공급사가 독립된 경제주체인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며, 각각의 경제주체는 물류회사의 배차업무시스템과 인터넷에 의해 연결되어 각기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도록 된 물류자동화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형태는 상차지와 하차지에 설치된 계근대에서 공차의 입고정보, 차량번호인식수단, 계근정보, 상차정보, 하차정보,차량의 출발정보등이 제공되고, 상기한 각 정보가 물류관리시스템 상에서 통합 관리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유용한 입력수단으로서 RF모듈에 의한 차량의 자동인식 수단이 결합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한 실시례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례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물류관리회사(또는 운송사)의 물류관리시스템과 공장의 기간정보시스템 및 상차지와 하차지가 상차모듈과 하차모듈로 이루어진 연동모듈에 의해 통합되어 인터넷상에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물류회사의 물류관리시스템에는 배차업무처리모듈이 구비되어 배차시스템 서버가 오더를 접수하고, 차량을 배차하며, 배차내역을 상차지에 제공하고, 상차지로부터 원료나 제품의 상차계근량, 하차지로부터 원료나 제품의 하차계근량을 실시간으로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공장의 기간정보시스템은 특성에 따라 따라 생산관리,재고관리,판매관리,영업관리등 자체시스템에 따라 운영되고, 상차모듈과 하차모듈에 따라 물류관리시스템과 연계되어 물류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차모듈과 하차모듈은 특정회사(운송사 입장에서 고객회사), 공장, 원료수입사, 대리점, 특정회사의 고객회사등 운송사 입장에서 거래관계가 성립되어 있거나 성립하는 경우 각 경제주체의 ERP서버를 통하여 운송사의 물류관리시스템과 통합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연동모듈이다.(단 자체 ERP서버가 없을 경우 물류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물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상차모듈은 공차의 입고단계와, 입력수단에 의한 차량번호인식단계와,공차량의 계근단계와, 원료 또는 제품의 상차단계와, 상차량 계근단계와, 전표발행단계와, 차량출발단계로 구성되며, 배차업무처리모듈에 의해 지시된 원료 또는 제품의 배차정보에 따라 원료 또는 제품을 상차하고, 계근내역, 상차정보, 차량정보를 포함한 물류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장의 EPP서버 및 물류관리시스템에 연계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차모듈은 상차된 차량의 입고단계와, 입력수단에 의한 차량번호인식단계와, 상차량 계근단계와, 원료 또는 제품의 하차단계와, 공차량 계근단계와, 하차전표발행단계와, 차량출발단계로 구성되며, 배차업무처리모듈에 의해 지시된 원료 또는 제품의 상차내역에 따라 원료 또는 제품을 하차하고, 계근내역, 하차정보, 차량정보를 포함한 물류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장의 EPP서버 및 물류관리시스템에 연계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상차모듈과 하차모듈은 공차량 또는 상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고, 배차업무처리모듈로부터의 지시사항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계근대상에 차량번호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수단이 적용된다.
이와 같은 차량번호 인식수단으로서 소속차량(이하 공차라 함)에 RF카드를 설치하고, 계근대상에 RF카드 리더기를 설치하여 차량번호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기타의 입력장치(예를 들면, BAR CODE, RF MEMORY CHIP 등)를 을 결합함으로서 차량범호 자동 인식, 배차내역 자동확인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자동인식수단의 사용이 곤란한 용차의 경우에는 차량번호나 기타 식별번호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Key Pad)를 통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실시례에 의한 구성에 따라 상차업무 및 하차업무의 처리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WEP을 통하여 공장의 ERP서버로부터 인터넷을 통하여 제품이나 원료(이하 원료라 함)의 운송을 의뢰하는 오더가 물류회사의 물류관리시스템에 인가된다.
②물류관리시스템은 오더를 자동으로 접수하고, 주문에 부합되는 공차를 선택하거나 필요시 용차를 배정하여 운전자에게 지시서를 발송하는 등 일련의 배차업무처리모듈이 진행된다.
운전자에게 작업지시는 유무선통신, 문자전송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며,배차된 차량은 차량위치추적정보에 따라 실시간으로 현재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시스템과 연계됨으로서 인터넷을 통하여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대한민국특허공개 2001-0044414호 참조)
③상차업무를 위한 공차가 원료상차지의 계근대에 진입함으로서 공차입고 단계가 진행된다.
④입고 차량은 고정차량의 경우 RF카드를 통한 차량번호 자동 인식 및 배차내역 자동 확인 처리가 가능하며, 용차의 경우 해당 차량번호를 입력장치(Key Pad)를 통하여 차량번호를 입력하여 차량번호 인식과 배차내역 업무를 물류 시스템과의 연동 프로그램으로 자동 처리하여 업무 지시서를 출력한다.
또한, 차량의 입고시간을 체크하여 차량이 상차를 위한 업무 시간 및 공장의 입고시간, 또는 원료 상차를 위한 하역사 입고 시간을 공장과 물류 회사에서 공유하도록 한다.
⑤다음단계로, 물류 시스템을 통한 상차 업무의 자동 출력 및 업무 지시 확인 후 실 차량의 공차량을 계근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공차량의 계근은 해당 상차지에서의 상차량을 계산하기 위한 조치로서 상차전과 상차후의 계근량에 의해 해당 상차지에서 상차량이 자동으로 계산될 수 있고, 공차가 여러 상차지를 경유하여 상차하는 경우에도 매우 유용한 상차량 계산 수단이 된다.
⑥상차 업무는 원료의 상차 나 반제품, 완성품의 상차업무 전체를 포함한다.
⑦상차 시 다품종을 상차할 경우 해당 상차 제품의 오더번호를 입력하여 계근하도록 하며, 이에 따른 계근량은 계근대 연동모듈을 통하여 물류사의 물류 시스템과 공장의 erp시스템과 연계하여 상차 계근 정보가 공유된다.
⑧상차 업무가 완결 된 후에는 해당 업무 지시서에 대한 상차 전표를 자동 발행처리 하며, 전자 문서화 하여 하차지의 담당자에게 상차 항목을 자동 전송하고, 하차지에서 하차 담당자가 해당 품목의 인수증을 대신 처리하게 된다.
⑨ 모든 상차단계의 업무가 종결 후 차량이 출발하게 되며, 물류주체가 요구할 경우 차량의 위치를 핸드폰이나, GPS 시스템을 통하여 물류시스템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은 하차업무관련 처리과정을 설명한다.
①하차업무는 하차지의 계근대에 상차된 차량의 입고가 이루어짐으로서 진행된다.
②입고 차량은 고정차량의 경우 RF카드를 통한 차량번호 인식과 용차의 경우해당 차량번호를 입력장치(Key Pad)로 입력하여 자동으로 상차전표를 하차 업무 담당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차량번호 인식과 물류 시스템 연동이 이루어져 상차내역표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차량번호의 인식은 RF카드와 기타 입력장치가 활용된다.또한 차량의 입고시간을 체크하여 차량이 하차를 위한 업무 시간 및 공장이나 기타 하자지의 입고시간이나 하차 업무시간 등이 공장과 물류 회사에서 공유하여 업무에 활용된다.
③물류 시스템의 연동을 통한 상차 전표의 자동 화면 출력 및 하차 업무 지시 확인 후 상차된 차량의 상차량을 계근한다.
④하차 업무는 원료의 하차나 반제품, 완성품의 하차업무 전체를 포함한다.
⑤하차 시 다품종을 하차할 경우 해당 제품의 오더번호를 입력하여 계근하도록 하며, 이에 따른 계근량은 계근대 연동모듈을 통하여 물류사의 물류 시스템과 공장의 erp시스템과 연계하여 정보공유가 이루어진다.
⑥하차 업무가 완결 된 후에는 해당 상차 전표에 대한 인수증을 하차담당자의 인수확인 의사에 따라 하차 전표로 자동 발행처리토록 하며, 전자 문서화 하여 인수증을 상차지의 공장 erp 시스템과 물류 시스템에 자동 전송토록 하여 전산시스템을 통한 인수업무가 처리된다.
또한, 하차한 차량의 공차량을 계근하여 실 하차량을 계근하고, 자동으로 물류 시스템과 공장의 erp시스템에 연동하여 제공함으로써 하차 계근량을 자동 입력 처리토록 한다.
⑦모든 업무의 종결 후 차량이 출발하게 되며, 이후 차량의 위치는 화주에게서 없어지며, 물류 시스템의 업무 부분을 위한 차량 위치 추적은 물류 시스템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차량위치 추적을 하게 된다.
도2는 본 발명을 적용한 경제주체간의 업무형태를 도식화한 것으로 각기 기업군이 다른 원료수입사와, 생산공장, 운송사 및 소비자로 이루어진 각 경제주체간에 연동모듈에 의해 통합관리되는 구조를 보인 것이다.
즉, 원료수입사(A 사), 생산공장(B 사), 물류센터( C 사), 소비자 및 운송사 물류시스템이 각기 다른 경제주체를 이룬 경우에도 연동모듈에 의해 물류관련업무가 각기 통합됨으로서 기업간의 정보공유가 가능해 진다.
상기 구성은 도3와 같이 통합계열기업군간에도 필요한 부분에서의 정보공유가 이루어지도록 통합물류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서 동일 물류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연계된 별개의 통합기업간 원료의 양도/양수 지원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공장 상호간, 공급자와 공장 및 고객사간, 공급자의 공급자나 고객사의 고객사간의 이질적인 시스템 환경하에서도 WEP을 통하여 구축되는 연동모듈에 의해 상호 통합됨으로서 기업간 연결고리에서 낭비를 획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상호 업무협력 및 정보공유를 통하여 효율적인 물류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동일기업군 뿐만 아니라 별개의 기업군도 인터넷상에서 구현되는 연동모듈에 의해 통합되고, 정보공유가 이루어져 기업과 기업간의 연결고리에서의 낭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효율적인 물류관리가 가능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물류관리회사, 상차지,하차지,생산공장등의 각 물류주체가 인터넷을 통하여 구현되는 연동모듈에 의해 연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한 연동모듈은 물류관리회사 물류관리시스템의 배차업무처리모듈과; 각 물류주체의 기간정보시스템과; 상차지의 상차업무처리모듈과; 하차지의 하차업무처리모듈로 이루어져 배차내역, 계근내역, 상차내역, 차량 출발 및 도착내역, 하차내역등의 물류정보를 각 물류주체가 인터넷을 통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차 연동모듈을 이용한 물류자동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차지의 상차업무처리모듈은 공차의 입고단계와, 입력수단에 의한 차량번호인식단계와,공차량의 계근단계와, 원료 또는 제품의 상차단계와, 상차량 계근단계와, 전표발행단계와, 차량출발단계로 구성되며, 배차업무처리모듈에 의해 지시된 원료 또는 제품의 배차정보에 따라 원료 또는 제품을 상차하고, 계근내역, 상차정보, 차량정보를 포함한 물류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장의 EPP서버 및 물류관리시스템에 연계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하차모듈은 상차된 차량의 입고단계와, 입력수단에 의한 차량번호인식단계와, 상차량 계근단계와, 원료 또는 제품의 하차단계와, 공차량 계근단계와, 하차전표발행단계와, 차량출발단계로 구성되며, 배차업무처리모듈에 의해 지시된 원료 또는 제품의 상차내역에 따라 원료 또는 제품을 하차하고, 계근내역, 하차정보, 차량정보를 포함한 물류정보를 실시간으로공장의 EPP서버 및 물류관리시스템에 연계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차 연동모듈을 이용한 물류자동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차량번호 인식수단으로서 차량에 RF카드를 설치하고, 계근대상에서 RF카드리더기를 설치하여 차량입고시 차량번호를 자동으로 인식하도록 구성함으로서 배차내역의 자동확인처리가 가능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차 연동모듈을 이용한 물류자동화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차량번호 인식수단으로서 계근대상에 키패드를 설치하여 차량입고시 차량번호를 입력함으로서 배차내역의 자동확인처리가 가능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차 연동모듈을 이용한 물류자동화 시스템.
KR1020030048506A 2003-07-16 2003-07-16 상하차 연동모듈을 이용한 물류자동화 시스템 KR20030064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506A KR20030064723A (ko) 2003-07-16 2003-07-16 상하차 연동모듈을 이용한 물류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506A KR20030064723A (ko) 2003-07-16 2003-07-16 상하차 연동모듈을 이용한 물류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723A true KR20030064723A (ko) 2003-08-02

Family

ID=32227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506A KR20030064723A (ko) 2003-07-16 2003-07-16 상하차 연동모듈을 이용한 물류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47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983B1 (ko) * 2006-05-23 2008-03-27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무선 정보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977634B1 (ko) * 2008-03-24 2010-08-24 글로비스 주식회사 기간계 시스템과 연계된 전자식 자동납입현황 파악시스템을이용한 자동납입현황표시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7504A (ja) * 1998-10-30 2000-05-16 Nec Corp 分散生産管理システム
JP2000246603A (ja) * 1999-03-04 2000-09-12 Toshiba Corp 生産管理システム
KR20010025704A (ko) * 2001-01-18 2001-04-06 이상근 통합물류시스템
JP2001312571A (ja) * 2000-05-02 2001-11-09 Oneness Co Ltd 物流・商流・情報流の一元管理・利用システム
KR20020023893A (ko) * 2001-12-27 2002-03-29 이계철 4자 물류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합 물류관리 시스템 및 그방법
JP2002205818A (ja) * 2000-09-01 2002-07-23 Mitsui-Soko Co Ltd 在庫管理方法、および、在庫管理システム
KR20020084049A (ko) * 2002-10-16 2002-11-04 이광진 무선통신 및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통합 물류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7504A (ja) * 1998-10-30 2000-05-16 Nec Corp 分散生産管理システム
JP2000246603A (ja) * 1999-03-04 2000-09-12 Toshiba Corp 生産管理システム
JP2001312571A (ja) * 2000-05-02 2001-11-09 Oneness Co Ltd 物流・商流・情報流の一元管理・利用システム
JP2002205818A (ja) * 2000-09-01 2002-07-23 Mitsui-Soko Co Ltd 在庫管理方法、および、在庫管理システム
KR20010025704A (ko) * 2001-01-18 2001-04-06 이상근 통합물류시스템
KR20020023893A (ko) * 2001-12-27 2002-03-29 이계철 4자 물류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합 물류관리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20084049A (ko) * 2002-10-16 2002-11-04 이광진 무선통신 및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통합 물류처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983B1 (ko) * 2006-05-23 2008-03-27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무선 정보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977634B1 (ko) * 2008-03-24 2010-08-24 글로비스 주식회사 기간계 시스템과 연계된 전자식 자동납입현황 파악시스템을이용한 자동납입현황표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9543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to improve employee productivity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S8219503B2 (en) Estimated time of arrival (ETA) systems and methods
Yao et al. The impact of real-time data communication on inventory management
CN111967815A (zh) 一种仓储配送管理系统
KR20100062848A (ko) 물류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30064723A (ko) 상하차 연동모듈을 이용한 물류자동화 시스템
CN1936941A (zh) 第三方物流管理系统
JP2001312571A (ja) 物流・商流・情報流の一元管理・利用システム
JP2002321829A (ja) 物流システム
KR100706941B1 (ko)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자동처리방법
JP2003171020A (ja) 商品等の物品の物流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5809374A (zh) 一种水泥建材物流管理系统与方法
KR20070112930A (ko) 무선 정보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658912B1 (ko) 피오에스 시스템을 이용한 택배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737299A (zh) 利用射频辨识系统进行物流载量管理的平台
CN112070426A (zh) 基于码头业务的大数据智能管理系统
KR20010034959A (ko)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다자간 공동 차량관리방법 및 장치
KR20060019934A (ko) 웹기반 수,배송 관리 시스템
KR102537303B1 (ko) 지게차와 화물차를 연계하는 원터치 호출 및 추적 시스템 및 지게차와 화물차를 연계하는 원터치 호출 및 추적 방법
Okafor et al. Optimization of Distribution Network of Nigerian Bottling Company PLC Using LINGO
KR102625360B1 (ko) 우편물류 공유 플랫폼 시스템
KR20030009595A (ko) 공급망 관리 시스템
KR20010044414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이동 물류관리 시스템
Yang Research on Technologies for Automotive Logistics Optimization in Automotive Supply Chain
KR20020023986A (ko)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