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941B1 -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자동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자동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941B1
KR100706941B1 KR1020050119316A KR20050119316A KR100706941B1 KR 100706941 B1 KR100706941 B1 KR 100706941B1 KR 1020050119316 A KR1020050119316 A KR 1020050119316A KR 20050119316 A KR20050119316 A KR 20050119316A KR 100706941 B1 KR100706941 B1 KR 100706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handy terminal
screen
menu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일
오종필
Original Assignee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9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핸디 터미널을 소지한 관리자(작업 실무자 또는 대리점)의 로그온을 수행하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에 관련된 SM 업무, 검수 업무 등의 작업을 위한 소정의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른 택배 상품의 해당 정보를 누적, 저장하고, 관리자의 전송 조작에 따라 기저장된 집하/배송 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며, 서버 컴퓨터에서 핸디 터미널로부터 전송되는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를 각 택배 상품별로 누적, 저장한 후, 택배 상품을 발송하거나 수신받는 고객의 요청에 따라 현재 진행중인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과정을 해당 고객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비자들이 택배 상품의 이동경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출발지와 도착지의 물량 정보 확인을 통해 상품의 분실 유무 파악 및 상품배송에 따른 클레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핸디 터미널, 택배, 집하, 배송, 경로확인

Description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Automatic processing method for gathering and delivery information of home delivery commodities using a handy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도 2의 S200 단계의 작업선택 및 입력/전송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8은 도 3의 각 SM 업무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 내지 도 14는 도 3의 각 검수 업무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네트워크 통신망 200 : 핸디 터미널
300 : 서버 컴퓨터
본 발명은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객들이 택배 상품의 이동경로를 손쉽게 확인하고, 집하/배송 물량의 정확한 정보 수집을 통해 상품배송시 발생할 수 있는 클레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산업 및 교통이 발전하고 복잡화됨에 따라 물건들을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키는 물류의 비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 케이블 TV 등을 이용하는 전자 상거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각각의 상품들을 안전하며 신속하게 구매자에게 배달하는 문제가 더욱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택배 업체들은 배송 의뢰 관리, 배송 현황, 배차 관리, 배송 기록 등을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객들은 자신이 받을 상품의 배송 과정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어려웠으며, 상품 배송과정에서 택배 상품의 분실 등으로 인하여 다툼이 발생될 소지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핸디 터미널을 사용하여 택배 상품의 집하에서 배송에 이르는 과정을 전산처리함으로써, 택배 상품의 이 동경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핸디 터미널을 통해 집하/배송 물량의 정보를 정확하게 수집함으로써, 배송중 발생할 수 있는 상품의 분실 유무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상품배송시 발생할 수 있는 클레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은, (a)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를 취합 관리하는 서버 컴퓨터에서 핸디 터미널로 로그온과 관련된 기초 정보 및 집하/배송정보 취합을 위한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핸디 터미널을 소지한 관리자가 입력하는 관리자 아이디, 비밀번호의 로그온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 로그온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에 관련된 SM 업무 및 검수 업무 메뉴가 화면상에 표시되는 메뉴 선택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SM 업무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집하, 배송, 실적, 전송, 등의 SM 업무에 대한 메뉴가 화면상에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SM 업무에 대한 메뉴 중 집하, 배송, 또는 실적 메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SM 업무에 대한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 정보를 누적·저장하는 단계; (d) 상기 (b) 단계에서 검수 업무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상차, 하차, 잔류, 간선, 실적, 전송 등의 검수 업무에 대한 메뉴가 화면상에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검수 업무에 대한 메뉴 중 상차, 하차, 잔류, 간선 또는 실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검수 업무에 대한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 정보를 누적·저장하는 단계; (e) 상기 (c) 단계 또는 (d) 단계에서 전송 메뉴가 선택되면, 기 저장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 정보가 상기 핸디 터미널에 표시되고, 상기 저장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상기 서버 컴퓨터로 전송되는 단계; (f) 상기 서버 컴퓨터에서 상기 전송받은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 정보를 각 택배 상품별로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하는 단계; 및 (g) 상기 서버 컴퓨터에서 현재 진행중인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과정을 해당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통신망(100)은 유/무선 인터넷, 유/무선 통신망 등의 각종 통신망으로서, 복수의 핸디 터미널(200)과 서버 컴퓨터(300) 사이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에 대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핸디 터미널(200)은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에 관한 업무에 종사하는 관리자(개인 또는 대리점)들이 소지하는 기기로서, 문자/숫자 입력을 위한 키, 기능키(Function Key), 스캐너 등이 구비되어 있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에 관련된 SM(System Management) 업무, 검수 업무 등의 작업을 위한 소정의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화면상에 표시된 SM 업무, 검수 업무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확인한 관리자의 조작(직접적인 데이터 입력, 택배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의 스캔정보 등)에 따른 택배 상품의 해당 정보를 누적, 저장하며, 관리자의 전송 조작에 따라 기저장된 집하/배송 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망(100) 을 통해 서버 컴퓨터(300)로 전송한다.
핸디 터미널(200)은 서버 컴퓨터(300)로부터 사원 번호, 기초 코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으며(예를 들어, 로그온 화면상에서 F1 : 기초코드 수신, F2 : 날짜 변경, F6 : 장비 번호 등록 등의 기능키 조작을 통해 다운로드 및 변경하도록 함), 관리자가 로그온을 수행할 때 오타 및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번을 입력한 후 패스워드에 다시 사번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현재 시간, 날짜, 장비 번호 등록 등을 수행할 경우, 특정 암호를 입력하도록 하여 관리자가 임의로 이를 조작하여 집하/배송에 따른 문제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며, 로우 배터리 상태가 되면 관리자의 입력작업을 강제로 종료시키고 배터리 교체 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핸디 터미널(200)은 여러 가지 특수 키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F1은 도움말 화면을 부르는데 사용하고, F3은 바로 상위 작업 화면으로 이동할 때 사용하고, F4는 동일 작업에서 깊이(depth)가 2 이상일 때 그 작업의 첫 화면으로 이동할 때 사용하고, F5는 동일 화면에서 상위 입력 항목으로 이동할 때 사용하고 C는 입력 항목을 클리어 할 때 사용하고, BS는 입력 항목에서 한자씩 지울 때 사용하며, M1은 일반적인 바코드 스캔을 수행할 때 사용한다.
서버 컴퓨터(300)는 핸디 터미널(200)에서 사용하는 로그온과 관련된 기초 정보 및 집하/배송정보 취합을 위한 관련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핸디 터미널(200)로부터 전송되는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를 취합하여 관리한다.
또한, 서버 컴퓨터(300)는 택배 상품을 발송하거나 수신받는 고객들이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통신 접속을 수행한 후, 해당 택배 상품의 이동경로를 요청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과정을 해당 고객에게 제공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우선,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를 취합 관리하는 서버 컴퓨터(300)에서 핸디 터미널(200)로 로그온과 관련된 기초 정보 및 집하/배송정보 취합을 위한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핸디 터미널(200)을 소지한 관리자(작업 실무자 또는 대리점)가 입력하는 관리자 아이디, 비밀번호의 로그온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 로그온을 수행한다(S100). 이때 로그온 데이터는 사번을 사용한다.
핸디 터미널(200)에서는 사용자 로그온을 수행한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에 관련된 SM 업무, 검수 업무 등의 작업을 위한 소정의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화면상에 표시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확인한 관리자의 조작에 따른 택배 상품의 해당 정보를 누적, 저장하며, 관리자의 전송 조작에 따라 기저장된 집하/배송 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서버 컴퓨터(300)로 전송한다(S200).
핸디 터미널(200)에서 상술한 단계(S200)를 통해 처리한 집하/배송에 관련된 정보를 서버 컴퓨터(300)로 전송하면, 서버 컴퓨터(300)에서는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핸디 터미널(200)로부터 전송되는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를 각 택배 상품별로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한다(S300).
이후, 서버 컴퓨터(300)에서는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서버 컴퓨터(300)로 통신 접속을 수행한 택배 상품을 발송하거나 수신받는 고객의 요청에 따라 현재 진행중인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과정을 해당 고객에게 제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400). 이때, 고객들은 서버 컴퓨터(300)와 접속 가능하며, 문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컴퓨터, 유/무선 통신기기 등의 각종 통신수단을 사용한다.
도 3은 상술한 집하/배송에 관련된 작업선택 및 입력/전송 단계(S200)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도면으로서, 핸디 터미널(200)은 사용자 로그온을 수행한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에 관련된 SM 업무, 검수 업무 메뉴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메뉴를 확인한 관리자가 SM 업무를 선택하면 집하(S211), 배송(S212), 실적(S213), 전송(S214), 삭제(S215) 등의 SM 업무에 대한 메뉴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른 SM 업무에 대한 데이터를 누적, 저장하며, 전송 메뉴 선택에 따라 기저장된 SM 업무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서버 컴퓨터(300)로 전송한다(S210).
또한, 핸디 터미널(200)은 관리자의 검수 업무 선택에 따라 상차(S221), 하 차(S222), 잔류(S223), 간선(S224), 실적(S225), 전송(S226) 등의 검수 업무에 대한 메뉴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른 검수 업무에 대한 데이터를 누적, 저장하며, 전송 메뉴 선택에 따라 기저장된 검수 업무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서버 컴퓨터(300)로 전송한다(S220).
도 4 내지 도 8은 상술한 SM 업무(S210)의 각 메뉴 항목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각 메뉴 항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는 SM 업무(S210)의 집하(S211) 항목에 대한 핸디 터미널(200)의 화면 상태의 일 실시예로서, 관리자가 집하 업무를 선택하면, 핸디 터미널(200)은 단수, 복수, 신용, 미집하의 메뉴 항목을 화면상에 표시한다(S211a). 관리자가 단수 항목을 선택하면 단수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른 주송장 번호를 저장한다(S211b). 관리자가 복수 항목을 선택하면 복수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른 주/보조송장 번호, 수량 등을 저장한다(S211c). 관리자가 신용 항목을 선택하면 신용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른 주/보조송장 번호를 저장한다(S211d). 관리자가 미집하 항목을 선택하면 미집하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른 사유 코드정보, 예약 정보를 저장한다(S211e).
이때, 도면상의 'TOT'는 동일 작업에 대한 총 건수이고, 'NEW'는 동일 작업에 대하여 금회의 작업 건수를 나타내고, 송장번호는 10자리를 사용하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또한, 미배송 사유는 2자리를 사용하는 데, 사유에 대한 코드 정보는 예 를 들어 F1 키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사전에 서버 컴퓨터(30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사용한다.
도 5는 SM 업무(S210)의 배송(S212) 항목에 대한 핸디 터미널(200)의 화면 상태의 일 실시예로서, 관리자가 배송 업무를 선택하면 핸디 터미널(200)은 출발, 완료의 메뉴 항목을 화면상에 표시한다(S212a). 관리자가 출발 항목을 선택하면 출발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른 송장 번호를 저장한다(S212b). 관리자가 완료 항목을 선택하면 완료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른 주/보조송장 번호, 사유 코드정보, 착지 금액, 수량 정보를 저장한다(S212c).
이때, 사유 코드정보는 정상 완료, 주소 오류, 지정일 배송 등에 대한 정보이다.
도 6은 SM 업무(S210)의 실적(S213) 항목에 대한 핸디 터미널(200)의 화면 상태의 일 실시예로서, 관리자가 실적 업무를 선택하면 핸디 터미널(200)은 누적, 저장된 집하, 배송, 미배송에 대한 실적조회 상황을 화면상에 표시한다(S213a).
도 7은 SM 업무(S210)의 전송(S214) 항목에 대한 핸디 터미널(200)의 화면 상태의 일 실시예로서, 관리자가 전송 업무를 선택하면 핸디 터미널(200)은 누적, 저장된 처리건수에 대한 상황을 화면상에 표시한다(S214a). 전송 정보를 확인한 관리자의 전송 선택에 따라 현재 저장된 SM 업무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서버 컴퓨터(300)로 전송한다(S214b). 이후 핸디 터미널(200)은 전송 완료된 SM 업무에 대한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관리자가 확인하도록 한다 (S214c).
도 8은 SM 업무(S210)의 삭제(S215) 항목에 대한 핸디 터미널(200)의 화면 상태의 일 실시예로서, 관리자가 삭제 업무를 선택하면 핸디 터미널(200)은 집하, 미집하, 출발, 배송완료의 메뉴 항목을 화면상에 표시한다(S215a). 관리자가 집하 항목을 선택하면 집하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송장번호가 입력되면 해당 집하 정보를 삭제한다(S215b). 관리자가 미집하 항목을 선택하면 미집하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송장번호가 입력되면 해당 미집하 정보를 삭제한다(S215c). 관리자가 출발 항목을 선택하면 출발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송장번호가 입력되면 해당 출발 정보를 삭제한다(S215d). 관리자가 배송완료 항목을 선택하면 배송완료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송장번호가 입력되면 해당 배송완료 정보를 삭제한다(S215e).
이때, 삭제(S215) 항목에서는 집하의 경우 송장번호 삭제시 보조송장도 같이 삭제하며, 보조송장의 경우 삭제하지 않는다.
다음의 도 9 내지 도 14는 상술한 검수 업무(S220)의 각 메뉴 항목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각 메뉴 항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검수 업무(S220)에서는, 삭제 항목은 지원되지 않는다.
우선, 도 9는 검수(S220)의 상차(S221) 항목에 대한 핸디 터미널(200)의 화면 상태의 일 실시예로서, 관리자가 상차 업무를 선택하면 핸디 터미널(200)은 검 수 상차 입력화면을 화면상에 표시한다(S221a).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검수 상차 입력화면에 간선번호가 입력되면 화면상에 간선번호를 표시하고 간선 상차 업무를 처리한다(S221b).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검수 상차 입력화면에 차량 번호가 입력되면 화면상에 차량번호를 표시하고 송장번호를 입력받아 셔틀 상차 업무를 처리한다(S221c).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검수 상차 입력화면에 사번이 입력되면 화면상에 사번을 표시하고 송장번호를 입력받아 배송출발 업무를 처리한다(S221d).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검수 상차 입력화면에 행낭 번호가 입력되면 화면상에 행낭 번호를 표시하고 도착지 코드정보, 송장번호를 입력받아 행낭 IN 업무를 처리한다(S221e).
이때, 간선번호는 8자(영문 네 자리 + 숫자 네 자리)를 사용하고, 차량번호는 입력하는 대로 받아들이며, 행낭 번호는 10자(974로 시작)를 사용하는 것을 예로 한다. 또한, 도착지는 도착지 TR 코드 3∼7자리를 입력(예를 들어, 3006은 서산 TR을 나타냄)한다.
도 10은 검수(S220)의 하차(S222) 항목에 대한 핸디 터미널(200)의 화면 상태의 일 실시예로서, 관리자가 하차 업무를 선택하면 핸디 터미널(200)은 검수 하차 입력화면을 화면상에 표시한다(S222a).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검수 하차 입력화면에 간선번호가 입력되면 화면상에 간선번호를 표시하고 간선 하차 업무를 처리한다(S222b).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검수 하차 입력화면에 차량 번호가 입력되면 화면상에 차량번호를 표시하고 송장번호를 입력받아 입고 업무를 처리한다(S222c).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검수 하차 입력화면에 행낭 번호가 입력되면 화면상에 행낭 번호를 표시하고 송장번호를 입력받아 행낭 OUT 업무를 처리한다(S222d).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검수 하차 입력화면에 소분류 코드가 입력되면 화면상에 코드정보를 표시하고 소분류 통과 업무를 처리한다(S222e).
이때, 간선 하차(S222b) 업무에서 간선 상차에서 읽은 송장을 다시 읽으면 간선 상차 삭제의 기능이 있고, 입고(S222c) 업무에서 셔틀 상차에서 읽은 송장을 다시 읽으면 셔틀 상차 삭제의 기능이 있고, 행낭 OUT(S222d) 업무에서 행낭 IN에서 읽은 송장을 다시 읽으면 행낭 IN 삭제의 기능이 있으며, 물류 코드는 두 자리(첫째 자리는 영문, 둘째 자리는 숫자)를 사용한다.
한편, 상술한 검수(S220) 업무에서 상차(S221) 및 하차(S222) 항목은, 관리자의 임의 조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캔방식을 통해서만 입력받는다.
도 11은 검수(S220)의 잔류(S223) 항목에 대한 핸디 터미널(200)의 화면 상태의 일 실시예로서, 관리자가 잔류 업무를 선택하면 핸디 터미널(200)은 미발송, 오도착, 미출고, 무분류, 삭제의 메뉴 항목을 화면상에 표시한다(S223a). 관리자가 미발송 항목을 선택하면 미발송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른 사유 코드정보, 송장번호를 저장한다(S223b). 관리자가 오도착 항목을 선택하면 오도착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른 사유 코드정보, 송장번호를 저장한다(S223c). 관리자가 미출고 항목을 선택하면 미출고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른 사유 코드정보, 송장번호를 저장한다(S223d). 관리자가 무분류 항목을 선택하면 무분류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른 사유 코드정보, 송장번호를 저장한다(S223e). 관리자가 삭제 항목을 선택하면 잔류화물 삭제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송장번호가 입력되면 삭제 처리한다(S223f).
이때, 사유에 대한 코드를 입력할 경우에는 기능키 F1을 이용하며, 무분류의 경우에는 별도의 사유는 입력받지 않고 '00'으로 고정한다.
도 12는 검수(S220)의 간선(S224) 항목에 대한 핸디 터미널(200)의 화면 상태의 일 실시예로서, 관리자가 간선 업무를 선택하면 핸디 터미널(200)은 간선출발, 간선도착의 메뉴 항목을 화면상에 표시한다(S224a). 관리자가 간선출발을 선택하면 간선출발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른 봉인번호, 적재물 상황, 간선번호를 저장한다(S224b). 관리자가 간선도착을 선택하면 간선도착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른 봉인번호, 간선번호를 저장한다(S224c).
이때, 적재율은 1%에서 100%까지 입력하고, 봉인번호는 한자리 이상 여덟 자리까지 입력하며, R/B No는 간선번호를 표시하는 자리이다.
도 13은 검수(S220)의 실적(S225) 항목에 대한 핸디 터미널(200)의 화면 상태의 일 실시예로서, 관리자가 실적 업무를 선택하면 핸디 터미널(200)은 상차, 하차, 미배송, 잔류에 대한 실적조회 상황을 화면상에 표시한다(S225a).
도 14는 검수(S220)의 전송(S226) 항목에 대한 핸디 터미널(200)의 화면 상태의 일 실시예로서, 관리자가 전송 업무를 선택하면 핸디 터미널(200)은 누적, 저장된 처리건수에 대한 상황을 화면상에 표시한다(S226a). 전송 정보를 확인한 관리자의 전송 선택에 따라 현재 저장된 검수 업무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망 (100)을 통해 서버 컴퓨터(300)로 전송한다(S226b). 이후 핸디 터미널(200)은 전송 완료된 검수 업무에 대한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관리자가 확인하도록 한다(S226c).
이때, 전송완료된 자료는 자동으로 삭제된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에 따르면, 택배 상품의 집하에서 배송에 이르는 과정중에서 집하, 터미널 입고, 간선 상차, 간선 하차, 소분류, 출고, 배송완료 등을 핸디 터미널을 사용하여 전산처리함으로써, 고객들이 주문한 상품의 이동경로를 인터넷 등을 통해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버에서 핸디 터미널을 통해 집하/배송 물량의 정보를 정확하게 수집하여 택배 상품의 출발지와 도착지의 물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택배 상품의 분실 유무 파악은 물론, 이를 통해 고객들의 상품배송에 대한 클레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a)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를 취합 관리하는 서버 컴퓨터에서 핸디 터미널로 로그온과 관련된 기초 정보 및 집하/배송정보 취합을 위한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핸디 터미널을 소지한 관리자가 입력하는 관리자 아이디, 비밀번호의 로그온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 로그온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에 관련된 SM 업무 및 검수 업무 메뉴가 화면상에 표시되는 메뉴 선택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SM 업무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집하, 배송, 실적, 전송, 등의 SM 업무에 대한 메뉴가 화면상에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SM 업무에 대한 메뉴 중 집하, 배송, 또는 실적 메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SM 업무에 대한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 정보를 누적·저장하는 단계;
    (d) 상기 (b) 단계에서 검수 업무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상차, 하차, 잔류, 간선, 실적, 전송 등의 검수 업무에 대한 메뉴가 화면상에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검수 업무에 대한 메뉴 중 상차, 하차, 잔류, 간선 또는 실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검수 업무에 대한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 정보를 누적·저장하는 단계;
    (e) 상기 (c) 단계 또는 (d) 단계에서 전송 메뉴가 선택되면, 기 저장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 정보가 상기 핸디 터미널에 표시되고, 상기 저장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상기 서버 컴퓨터로 전송되는 단계;
    (f) 상기 서버 컴퓨터에서 상기 전송받은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 정보를 각 택배 상품별로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하는 단계; 및
    (g) 상기 서버 컴퓨터에서 현재 진행중인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과정을 해당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SM 업무에 대한 메뉴 중 집하 업무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단수, 복수, 신용, 미집하의 메뉴 항목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수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단수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주송장 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주송장 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복수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복수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주/보조송장 번호, 수량 등을 입력받아 상기 주/보조송장 번호, 수량 등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신용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신용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주/보조송장 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주/보조송장 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미집하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미집하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사유 코드정보, 예약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사유 코드정보, 예약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검수 업무에 대한 메뉴 중 상차 업무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검수 상차 입력화면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검수 상차 입력화면에 간선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화면상에 간선번호를 표시하고 간선 상차 업무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검수 상차 입력화면에 차량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화면상에 차량번호를 표시하고 송장번호를 입력받아 셔틀 상차 업무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검수 상차 입력화면에 사번이 입력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화면상에 사번을 표시하고 송장번호를 입력받아 배송출발 업무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검수 상차 입력화면에 행낭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화면상에 행낭 번호를 표시하고 도착지 코드정보를 입력받아 행낭 IN 업무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검수 업무에 대한 메뉴 중 하차 업무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검수 하차 입력화면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검수 하차 입력화면에 간선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화면상에 간선번호를 표시하고 간선 하차 업무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검수 하차 입력화면에 차량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화면상에 차량번호를 표시하고 송장번호를 입력받아 입고 업무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검수 하차 입력화면에 행낭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화면상에 행낭 번호를 표시하고 송장번호를 입력받아 행낭 OUT 업무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검수 하차 입력화면에 소분류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화면상에 코드정보를 표시하고 소분류 통과 업무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검수 업무에 대한 메뉴 중 잔류 업무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미발송, 오도착, 미출고, 무분류, 삭제의 메뉴 항목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메뉴 항목 중 미발송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미발송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사유 코드정보, 송장번호를 입력 받아 상기 사유 코드정보, 송장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뉴 항목 중 오도착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오도착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사유 코드정보, 송장번호를 입력 받아 상기 사유 코드정보, 송장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뉴 항목 중 미출고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미출고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사유 코드정보, 송장번호를 입력 받아 상기 사유 코드정보, 송장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뉴 항목 중 무분류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무분류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사유 코드정보, 송장번호를 입력 받아 상기 사유 코드정보, 송장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 항목 중 삭제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잔류화물 삭제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송장번호가 입력되면 삭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검수 업무에 대한 메뉴 중 간선 업무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간선출발, 간선도착의 메뉴 항목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메뉴 항목 중 간선출발이 선택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간선출발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봉인번호, 적재물 상황, 간선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봉인번호, 적재물 상황, 간선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 항목 중 간선도착이 선택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간선도착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양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봉인번호, 간선번호를 입력 받아 상기 봉인번호, 간선번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검수 업무에 대한 메뉴 중 실적 업무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핸디 터미널에서 누적, 저장된 상차, 하차, 미배송, 잔류에 대한 실적조회 상황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
  13. 삭제
  14.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차 및 하차 항목은,
    관리자의 임의 조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캔방식을 통해서만 입력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검수 업무에 대한 메뉴 중 삭제 업무는 지원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온 데이터는,
    사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디 터미널은,
    상기 관리자가 현재시간 또는 날짜를 변경할 경우 특정 암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암호가 입력된 경우에만 상기 현재시간 또는 날짜가 변경되도록 하여 집하/배송에 따른 조작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서버 컴퓨터로 상기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 정보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전송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 정보 및 전송 완료 정보가 상기 핸디 터미널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 자동처리방법.
KR1020050119316A 2005-12-08 2005-12-08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자동처리방법 KR100706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316A KR100706941B1 (ko) 2005-12-08 2005-12-08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자동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316A KR100706941B1 (ko) 2005-12-08 2005-12-08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자동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6941B1 true KR100706941B1 (ko) 2007-04-12

Family

ID=38161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316A KR100706941B1 (ko) 2005-12-08 2005-12-08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자동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94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646A (ko) 2019-05-03 2020-11-11 양영제 출장스팀세차 관리서버 및 그를 포함하는 택배 서비스 시스템
KR102371754B1 (ko) * 2021-04-22 2022-03-04 김치숙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
KR102371461B1 (ko) 2021-04-02 2022-03-07 김기영 택배 물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1716A (ko) 2020-12-09 2022-06-16 김영민 택배기사 건강 상태에 따른 업무량 조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042A (ko) * 2000-01-06 2000-04-06 성낙명 인터넷과 무선통신을 이용한 화물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방법
KR20020013175A (ko) * 2000-08-11 2002-02-20 이형진 물류자동화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41393A (ko) * 2002-05-16 2002-06-01 모빌솔루션 주식회사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물류 처리방법 및 시스템
KR20050018013A (ko) * 2003-08-12 2005-02-23 주식회사 엘지홈쇼핑 배송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042A (ko) * 2000-01-06 2000-04-06 성낙명 인터넷과 무선통신을 이용한 화물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방법
KR20020013175A (ko) * 2000-08-11 2002-02-20 이형진 물류자동화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41393A (ko) * 2002-05-16 2002-06-01 모빌솔루션 주식회사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물류 처리방법 및 시스템
KR20050018013A (ko) * 2003-08-12 2005-02-23 주식회사 엘지홈쇼핑 배송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646A (ko) 2019-05-03 2020-11-11 양영제 출장스팀세차 관리서버 및 그를 포함하는 택배 서비스 시스템
KR20220081716A (ko) 2020-12-09 2022-06-16 김영민 택배기사 건강 상태에 따른 업무량 조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71461B1 (ko) 2021-04-02 2022-03-07 김기영 택배 물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71754B1 (ko) * 2021-04-22 2022-03-04 김치숙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5377B2 (en) Online controlled picking in a warehouse
US8219503B2 (en) Estimated time of arrival (ETA) systems and methods
JP4012622B2 (ja) 電子タグを用いた貨物情報管理方法および貨物管理システム
AU2020260504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risk-informed return item collection using an automated kiosk
CN107274019A (zh) 智能调度货运管理系统
US20210304132A1 (en) Product return/replacement system, product return/replacement server, and product return/replacement device
US11361396B2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centralized logics monitoring
CN110178150B (zh) 船坞管理系统和预约管理服务器
KR100706941B1 (ko)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자동처리방법
KR102525685B1 (ko) 아이템 정보에 대한 제한된 액세스를 기반으로 아이템을 효율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컴퓨터-구현 방법 및 시스템
CN107274126A (zh) 物流货运考核系统
CN112819586A (zh) 货物装卸匹配方法、系统、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070098141A (ko) 네트워크 기반의 택배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36335B1 (ko) 자동 및 지능형 소포 검색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524919B1 (ko) 보장된 배달 시간 선택의 표시 및 결정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 및 방법
CN107274127A (zh) 分级货运管理系统
JP4135000B2 (ja) 電子タグを用いた貨物情報管理方法
JP4163976B2 (ja) 在庫管理システム及び在庫管理方法
JP2002259770A (ja) 資材注文配送システム
KR102382625B1 (ko) 최소 검출 가능 효과를 예측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28020A (ko) 피오에스 시스템을 이용한 택배 시스템 및 그 방법
JP4359524B2 (ja) 出荷指示管理方法、出荷指示管理プログラム及び出荷指示システム
JP2956088B2 (ja) 発注指示装置
JP2005263477A (ja) 配車管理システム、配車管理サーバ、配車管理方法、及び配車管理プログラム
JP2023043786A (ja) 業務管理システム及び業務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