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754B1 -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754B1
KR102371754B1 KR1020210052362A KR20210052362A KR102371754B1 KR 102371754 B1 KR102371754 B1 KR 102371754B1 KR 1020210052362 A KR1020210052362 A KR 1020210052362A KR 20210052362 A KR20210052362 A KR 20210052362A KR 102371754 B1 KR102371754 B1 KR 102371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code
delivery
information
store
br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치숙
Original Assignee
김치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치숙 filed Critical 김치숙
Priority to KR1020210052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행낭을 통해 업체의 매장 간 물류의 이송을 신속하게 처리하는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물류 이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후, 출력되는 화면을 통해 미리 발급된 바코드 번호, 받는 브랜드, 받는 매장 및 물품정보를 등록하여 배송접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배송접수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접수 단말; 상기 배송 접수된 배송물품에 부착되며 배송물품을 보내는 지사, 매장 및 브랜드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바코드 번호가 인쇄된 바코드 스티커; 물품을 보내는 매장 및 브랜드별로 고유 행낭번호를 가지며, 배송 접수된 배송물품이 수납되는 입고행낭; 물품을 받는 매장 및 브랜드별로 고유 행낭번호를 가지며, 상기 배송 접수된 배송물품의 출고시 수납되는 출고행낭; 상기 입고행낭의 고유 행낭번호 및 배송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스티커로부터 바코드 번호를 스캔을 통하여 획득한 후 배송물품 입고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배송물품 입고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받는 매장 및 브랜드 정보에 따라 분류된 배송물품이 수납된 출고행낭의 고유 행낭번호와 배송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스티커로부터 바코드 번호를 스캔을 통하여 획득한 후 배송물품 출고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배송물품 출고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집화허브 서버; 및 지사별, 매장별 및 브랜드별로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 번호를 할당하고, 전송된 배송접수 정보, 배송물품 입고정보 및 배송물품 출고정보를 바코드 번호별로 전송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기록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이다.

Description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 {LOGISTICS TRANSFER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행낭을 통해 업체의 매장 간 물류의 이송을 신속하게 처리하는 동시에, 업체 담당자로 하여금 물류의 수거 및 배송 현황에 대한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배 서비스란 개인 또는 기업으로부터 소형 및 소량 화물의 수송을 의뢰받아 화물의 접수로부터 포장, 수송 및 배달에 이르기까지 일체의 수송 서비스를 의미한다.
특히 기업물류의 경우 수거와 배송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데, 배송기사가 수거 위치에 도달하여 물류를 수거하여 사내업체, 여러 협력사 등의 배송지로 배송을 수행한다.
이러한 택배 서비스는 송하인이 물품에 대한 별도의 포장 및 운송장 작성 및 접수를 수행하고, 배송기사의 수거 이후 택배사의 물류 인프라를 이용하여 수하인에게 전달함으로써 물류 배송 과정에 따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8020호(2006.03.29.)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행낭을 통해 신속한 물류 이송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송 전과정에 대한 상태 정보를 관리 서버에서 관리함으로써 물류의 배송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송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배송물품에 부착하고, 스캔 작업을 통해 이를 확인하여 분류함으로써 오배송을 방지할 수 있는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은, 물류 이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후, 출력되는 화면을 통해 미리 발급된 바코드 번호, 받는 브랜드, 받는 매장 및 배송물품정보를 등록하여 배송접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배송접수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접수 단말; 상기 배송 접수된 배송물품에 부착되며 배송물품을 보내는 지사, 매장 및 브랜드를 식별하기 위한 바코드 번호가 인쇄된 바코드 스티커; 배송물품을 보내는 매장 및 브랜드별로 고유 행낭번호를 가지며, 배송 접수된 배송물품이 수납되는 입고행낭; 배송물품을 받는 매장 및 브랜드별로 고유 행낭번호를 가지며, 상기 배송 접수된 배송물품의 출고시 수납되는 출고행낭; 상기 입고행낭의 고유 행낭번호 및 배송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스티커를 스캔하여 바코드 번호를 획득한 후 배송물품 입고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배송물품 입고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받는 매장 및 브랜드에 따라 분류된 배송물품이 수납된 출고행낭의 고유 행낭번호와 배송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스티커를 스캔하여 바코드 번호를 획득한 후 배송물품 출고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배송물품 출고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집화허브 서버; 및 지사별, 매장별 및 브랜드별로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 번호를 할당하고, 전송된 배송접수 정보, 배송물품 입고정보 및 배송물품 출고정보를 바코드 번호별로 전송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기록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상기 접수 단말이 접속되면, 바코드 등록 메뉴, 보낸 배송물품 조회 메뉴, 받은 배송물품 조회 메뉴, 받을 배송물품 조회 메뉴, 바코드 신청 메뉴 및 매장 게시판 메뉴를 적어도 포함하는 작업 메뉴가 표시된 화면을 상기 접수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바코드 등록 메뉴의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받는 매장 및 브랜드, 바코드 번호, 배송물품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입력란이 표시된 작업 화면을 상기 접수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바코드 등록 결과 생성된 배송접수 정보가 수신되면, 배송접수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보낸 배송물품 조회, 상기 받은 배송물품 조회 및 상기 받을 배송물품 조회 메뉴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조회할 날짜 및 매장을 적어도 포함하는 입력란이 표시된 작업 화면을 상기 접수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조회할 날짜 및 매장이 지정된 후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지정된 날짜 및 매장을 검색 조건으로 하여 일치하는 배송물품 정보를 리스트업하여 상기 접수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바코드 신청 메뉴의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입력된 매장 및 브랜드를 이용하여 저장된 바코드 번호를 검색하고, 검색된 바코드 번호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스티커형 인쇄매체에 인쇄하여 바코드 스티커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은, 물류 이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배송물품을 보내는 매장 및 브랜드 정보와 바코드 번호가 적어도 포함된 배송접수 목록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받아 출력하며, 상기 입고행낭의 고유 행낭번호 및 상기 입고행낭에 수납된 배송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스티커의 스캔을 통해 바코드 번호를 획득하여 수거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수거완료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배송물품을 받는 매장 및 브랜드와 바코드 번호가 적어도 포함된 배송목록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받아 출력하며, 상기 출고행낭의 고유 행낭번호 및 상기 출고행낭에 수납된 배송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스티커의 스캔을 통해 바코드 번호를 획득하여 배송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배송완료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기사측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리 발급된 바코드 번호는 보내는 매장 및 브랜드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 서버는, 수신된 수거완료 정보에 포함된 바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보내는 매장 및 브랜드와 수신된 배송접수 정보의 바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보내는 매장 및 브랜드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접수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기사측 단말 및 접수 단말로 전송하며, 수신된 배송완료 정보에 포함된 바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받는 매장 및 브랜드와 수신된 배송접수 정보의 바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받는 매장 및 브랜드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오배송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기사측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사측 단말은, 상기 스캔을 통해 획득된 입고행낭에 수납된 배송물품의 바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보내는 매장 및 브랜드와 상기 배송접수 목록의 바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보내는 매장 및 브랜드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일치하는 경우 수거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일치하지 않은 경우 접수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스캔을 통해 획득된 출고행낭에 수납된 배송물품의 바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받는 매장 및 브랜드와 상기 배송목록의 바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받는 매장 및 브랜드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일치하는 경우 배송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일치하지 않은 경우 오배송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행낭을 통해 매장 간 배송이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배송 포장, 운송장 작성 등의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신속한 물류 이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품의 배송 접수로부터 납품에 이르는 배송 전과정에 대한 상태 정보를 관리 서버에서 관리함으로써 배송 현황에 대한 실시간 조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업체의 매장별, 브랜드별로 고유 식별정보를 갖도록 바코드 번호를 할당하고, 할당된 바코드 번호를 포함하는 바코드 스티커를 배송물품에 부착하고, 배송물품의 배송 접수, 배송물품의 수거, 센터 입고, 분류, 센터 출고, 배송물품의 배송시마다 바코드 스티커를 스캔함으로써 실시간 정보 비교를 통해 오배송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송 물품에 배송지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를 부착하고, 이를 스캔 작업을 통해 배송지 정보를 획득하여 분류함으로써 오배송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수 단말 및 관리 서버 간 데이터 흐름 및 작업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사측 단말 및 관리 서버 간 데이터 흐름 및 작업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집화허브 서버 및 관리 서버 간 데이터 흐름 및 작업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서버에서 물류 이송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웹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매장 모드의 선택시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웹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웹화면에서 바코드 등록 메뉴의 선택시 제공되는 웹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웹화면에서 보낸 물품 조회 메뉴의 선택시 제공되는 웹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웹화면에서 물품 조회 결과 중 하나의 항목 선택시 제공되는 웹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웹화면에서 받은 물품 조회 메뉴의 선택시 제공되는 웹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자 모드의 선택시 제공되는 웹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바코드 등록 메뉴 선택시 제공되는 웹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또한, 이미 공지된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그 설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각각의 도면에 그려진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여기에 기재되는 내용들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은 업체의 매장 간에 택배를 제외한 물품을 행낭을 통해 배송하기 위한 허브센터, 이송 수단, 전산 시스템 등의 인프라가 기 구축되어 있으며, 택배 서비스와는 별도로 일정 주기를 갖고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은 웹 상에 구현되어 물품 배송 접수, 배송 현황 조회 등 물류 이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거나 웹사이트에 직접 로그인하는 것에 의해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은, 접수 단말(100), 기사측 단말(200), 집화허브 서버(300) 및 관리 서버(400)를 적어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수 단말(100), 기사측 단말(200), 집화허브 서버(300) 및 관리 서버(400)는 네트워크 통신망(500)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이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망(500)은 유/무선 통신망일 수 있으며,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망(500)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접수 단말(100)은, 각 업체의 지사별 매장에 구비되는 단말로, 물품 배송 및/또는 물품 수거를 위한 물류 이송 서비스를 지원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거나 웹사이트에 직접 접속하여 네트워크 통신망(500)을 통해 관리 서버(40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물류 이송 서비스는 바코드 신청 서비스, 물품 배송 및/또는 수거 서비스, 물품 배송 현황 조회 서비스 등이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리 서버(400)는 업체별, 지사별, 매장별 각 브랜드를 식별할 수 있도록 고유 식별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발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수 단말(100)은, 관리 서버(400)로 해당 매장의 업체명(브랜드)에 대한 고유 식별정보가 포함된 바코드가 인쇄된 스티커형 인쇄매체를 요청하는 바코드 신청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고유 식별정보는 브랜드명, 매장명, 지사명, 매장전화번호 등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바코드 신청을 수신한 관리 서버(400)는 해당 매장의 업체명(브랜드)에 대한 고유 식별정보를 표현한 식별코드가 포함된 바코드를 스티커형 인쇄매체에 인쇄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스티커형 인쇄매체는 적어도 바코드 번호를 포함하는 바코드가 인쇄된 스티커로, 운송장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배송할 물품(이하, 배송 물품이라 함)에 부착한다. 배송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기사측 단말기(200)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후 기사측 단말(200)과 연동된 스캐너(미도시)를 이용하여 스캔할 수 있다. 스캔된 정보는 기사측 단말(200)을 통해 관리 서버(400)로 전송된다.
또한, 접수 단말(100)은, 관리 서버(400)에 연결되면, 바코드 번호를 등록하여 물품의 배송 요청을 접수할 수 있다.
즉, 접수 단말(100)은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거나 해당 웹사이트를 통해 관리 서버(400)와 연결되고, 받는 브랜드명, 받는 매장명, 물품정보, 바코드 번호 등을 적어도 입력하여 바코드 등록 정보가 생성 및 저장되며, 생성된 바코드 등록 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망(500)을 통하여 관리 서버(400)로 전송함으로써 물품 배송 및/또는 수거를 요청할 수 있다. 바코드 등록 정보는 바코드 번호, 보내는 브랜드, 보내는 매장, 보내는 지사, 받는 브랜드, 받는 매장, 물품정보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관리 서버(400)는 물품 배송 및/또는 수거에 대한 접수 결과를 실시간으로 리스트업하여, 배송접수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400)는 설정된 당일 접수 마감 시간까지 접수된 배송접수 목록을 생성한 후 이를 저장하고, 생성된 배송접수 목록을 기사측 단말(200)로 전송하거나, 기사측 단말(200)의 요청시 화면에 출력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배송기사는 기사측 단말(200)의 화면에 출력된 배송접수 목록에 해당하는 본사, 지점 등의 매장에 방문하여 특정장소에서 직원들로부터 배송물품이 수납된 입고행낭을 수거할 수 있다.
이때, 매장에서 배송물품이 수거되는 시점에 기사측 단말(200)은 배송물품의 바코드 및 입고행낭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물품 수거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 통신망(500)을 통하여 관리 서버(400)에 전송한다. 즉, 기사측 단말(200)과 연동되는 스캐너를 통해 수거된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로부터 획득된 바코드 번호와 배송접수 목록의 바코드 번호가 일치하면 자동으로 물품 수거완료 정보가 생성되고, 수거완료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접수 단말(100)은 배송물품의 배송 현황 또는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다. 즉, 접수 단말(100)은, 관리 서버(400)로 바코드 등록 현황 조회, 보낸 물품, 받은 물품, 받을 물품의 조회 서비스를 각각 신청할 수 있다. 이때, 접수 단말(100)은 각 조회 요청 화면의 입력란에 조회할 기간을 지정하거나 매장명을 지정하여 검색 조건을 입력한 후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관리 서버(400)는 지정된 기간 또는 매장명을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 결과를 리스트업하여 목록을 생성한 후 생성된 목록을 접수 단말(100)에 표시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접수 단말(100)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수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내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사측 단말(200)은, 물류 이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되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관리 서버(400)와 연결되며, 배송접수 목록을 관리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배송접수 목록은 업체별, 지사별, 매장별로 분류되어 각 담당 기사의 단말(20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기사측 단말(200)은, 기사가 매장에 방문하여 배송물품이 수납된 입고행낭을 수거하면서, 입고행낭에 부착된 고유 행낭번호 및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스티커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수거완료 정보를 생성한 후 관리 서버(4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수거완료 정보가 생성되는 동시에 배송접수 목록에 수거완료 상태 표시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기사측 단말(200)은, 배송기사가 매장에 방문하여 물품이 수납된 출고행낭을 배송하면서, 출고행낭에 부착된 고유 행낭번호 및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스티커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배송완료 정보를 생성한 후 관리 서버(4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배송완료 정보가 생성되는 동시에 배송 접수 목록에 배송완료 상태 표시가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기사측 단말(200)은 배송기사가 매장을 방문하여 배송물품을 수거하거나 배송물품을 이송하면서 바코드 스캔이 가능하고 휴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기사측 단말(200)은 바코드 스캔이 가능한 스캐너(미도시)와의 연동을 통해 스캔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예를 들면, 기사측 단말(200)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내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스캐너는 스캔 정보를 블루투스(bluetooth)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기사측 단말(200)에 전송한다. 스캔 방식은 바코드/QR코드 스캐닝, RFID 스캐닝, NFC 스캐닝 등의 다양한 공지된 스캐닝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집화허브 서버(300)는 배송물품이 집화허브 센터(미도시)로 입고 및 출고되면 이에 대응되는 센터 입고/출고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이를 네트워크 통신망(500)을 통하여 관리 서버(400)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집화허브 서버(300)는 수거된 입고행낭이 집화될 때, 입고행낭의 고유 행낭번호와 해당 입고행낭에 수납된 배송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번호를 스캔을 통하여 입력받아 입고완료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4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집화허브 서버(300)는, 배송 예정지에 따른 분류 결과, 동일 매장으로 배송될 배송물품 목록을 리스트업하여 인쇄매체에 인쇄되도록 출력하며, 배송될 배송물품에 할당된 출고행낭의 고유 행낭번호를 스캔을 통하여 입력받아 출고완료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4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배송될 배송물품은 배송물품 목록이 인쇄된 인쇄매체와 함께 해당 출고행낭에 수납될 수 있다. 물품을 배송 받은 매장에서는 출고행낭에 수납된 배송물품 목록과 배송물품을 대조하여 배송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기사측 단말(200)은 연동된 스캐너를 통해 출고행낭의 고유 행낭번호와 배송물품의 바코드 번호를 스캔을 통하여 획득하는 것에 의해 배송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관리 서버(4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집화허브 서버(300)는, 입력되는 배송물품의 바코드 정보로부터 배송 예정지 정보가 획득되고, 획득된 배송 예정지에 해당하는 출고행낭의 고유 행낭번호를 자동으로 할당하고, 할당된 출고행낭 번호를 입력된 바코드 정보에 대한 이력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집화허브 서버(300)는 집화허브 센터(미도시)에 구비되는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으며, 여기서, 컴퓨터 시스템은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집화허브 센터에서는 집화된 입고행낭에 수납된 배송물품들을 배송 예정지에 따라 지사별, 매장별로 분류작업이 이루어지며, 배송물품들을 배송 예정지에 따라 지정된 출고행낭에 수납된다. 집화허브 센터는 상품 집화, 보관 및 분류 작업을 위하여 비교적 대규모의 창고 시설을 갖추고 접근성이 용이한 지역에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집화허브 센터와 매장 간 물품 배송을 위한 이송수단으로는 물류 차량등이 포함되며, 예를 들어, 물류 차량은 1톤 화물 차량일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400)는 매장 모드와 관리자(본사) 모드에 따른 물류 이송 서비스의 작업 환경을 웹 상에 구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매장 모드는 각 매장에 구비된 접수 단말(100)을 통해 연결된 후 로그인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관리자 모드는 관리자 단말(미도시)을 통해 연결된 후 로그인을 통해 실행될 수 있으며 물류 이송 관리를 위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400)는 접수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바코드 등록 정보를 통해 물품 배송 요청을 접수받고 접수된 배송접수 목록을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 리스트업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400)는 설정된 접수 마감 시간을 기준으로 최종적인 배송접수 목록을 리스트업하고, 최종 목록을 기사측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400)는 접수 단말(100)이 연결되면, 바코드 신청 및 등록, 보낸 물품 조회, 받은 물품 조회, 받을 물품 조회, 매장 게시판 등을 적어도 포함하는 작업 항목이 표시된 화면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각 작업 항목의 선택시 해당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입력란이 포함된 화면과 처리 결과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400)는 접수 단말(100)로부터 바코드 신청 항목이 선택되면, 지사명, 매장명, 브랜드명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란을 적어도 포함하는 작업 화면을 제공하고, 입력되는 지사명, 매장명, 브랜드명에 해당하는 고유 식별정보가 포함된 바코드 번호를 할당하여 바코드를 생성하거나, 입력되는 지사명, 매장명, 브랜드명에 해당하는 저장된 바코드 번호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바코드 또는 검색된 바코드는 스티커형 인쇄매체에 인쇄되며, 바코드가 인쇄된 스티커형 인쇄매체는 바코드를 신청한 브랜드 매장으로 배송기사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바코드가 인쇄된 스티커형 인쇄매체는 해당 매장에서 물품의 배송 요청시 배송물품에 부착된다.
다른 예를 들어, 관리 서버(400)는 접수 단말(100)로부터 바코드 등록 항목이 선택되면, 브랜드명, 받는 매장명, 물품정보, 바코드 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란을 적어도 포함하는 작업 화면을 제공하고, 입력되는 브랜드명, 받는 매장명, 물품정보, 바코드 번호를 포함하는 배송 접수 정보를 저장하고 배송 접수를 처리한다. 즉, 바코드 등록은 배송물품의 배송 요청을 접수하기 위한 서비스 항목이다. 이때 관리 서버(400)는 처리된 배송접수 목록을 실시간으로 리스트업하거나 접수 마감 시간에 일괄 리스트업한 후, 지역별, 매장별로 목록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관리 서버(400)는 접수 단말(100)로부터 보낸 물품 조회가 선택되면, 기간 및 받는 매장명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란을 적어도 포함하는 작업 화면을 제공하고, 지정되는 기간 및/또는 받는 매장명을 검색 키워드로 하여 보낸 물품을 조회한 후 그 결과를 접수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관리 서버(400)는 접수 단말(100)로부터 받은 물품 조회 또는 받을 물품 조회가 선택되면, 기간 및 보낸 매장명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란을 적어도 포함하는 작업 화면을 제공하고, 지정되는 기간 및/또는 보낸 매장명을 검색 키워드로 하여 받은 물품 또는 받을 물품을 조회한 후 그 결과를 접수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400)는 관리자 모드의 경우, 바코드 등록, 조회, 본사 게시판 등을 적어도 포함하는 작업 항목이 표시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바코드 등록은 매장에서 접수 마감 시간 이전에 배송 접수를 하지 못하고 임의적으로 배송물품의 배송을 진행하게 될 경우, 관리 서버(400)에서 보낸 브랜드, 보낸 매장, 받는 브랜드, 받는 매장, 물품정보, 임시 바코드 번호를 입력하여 바코드 등록을 수행해 배송 접수를 처리하고, 임시 바코드 번호를 스티커형 인쇄매체에 인쇄(이하, 바코드 스티커라고 함)한 후 배송기사를 통해 배송물품 수거시 부착시키거나 집화허브 센터에서 바코드 스티커를 배송물품에 부착시킬 수 있다. 조회는 바코드 등록 현황 조회 및 입출고 조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코드 등록 현황 조회는 매장의 바코드 등록에 따른 배송 요청 현황을 조회 및 확인할 수 있고 입출고 조회는 물품 배송 현황을 조회 및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작업 항목들이다.
한편, 관리 서버(400)는 접수 단말(100)로부터 배송접수 정보를 수신하고, 기사측 단말(200)로부터 배송물품 수거완료 정보 및 배송물품 배송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집화허브 서버(300)로부터 센터 입고정보 및 센터 출고정보를 수신한다. 즉, 관리 서버(400)에 수신된 정보들은 바코드 번호에 의해 특정되어 관리되며, 배송 과정에서 정보가 바코드 번호별로 순차 입력되어 기록되고 이를 통해 배송 정보의 관리가 행해진다.
또한, 관리 서버(400)는 배송물품 수거완료 정보, 배송물품 배송완료 정보, 센터 입고정보 및 센터 출고정보가 각각 수신되는 시점에, 배송 접수된 바코드 번호와 수신된 정보의 바코드 번호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 해당 시점의 담당자 단말로 경고 알림을 통지하거나 입력 에러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400)는 배송 접수된 바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정보(받는 매장 및 브랜드, 물품정보)와 수신된 정보의 바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정보(받는 매장 및 브랜드, 물품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 서버(4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 시스템은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은, 각 업체의 매장별, 브랜드별로 고유 식별정보를 갖도록 바코드 번호를 할당하고, 할당된 바코드 번호를 물품 배송 접수, 물품 수거, 센터 입고, 분류, 센터 출고, 물품 배송시마다 스캔함으로써 오배송을 사전 차단하는 동시에, 배송 전과정에 대한 현재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기록 및 저장함으로써, 실시간 배송 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은, 업체의 상품을 불특정 다수의 고객에게 배송하는 택배 서비스와 다르게, 업체의 매장 간 물품 이송이 행낭을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포장, 운송장 작성 및 인수증 작성 등의 절차가 생략되어 신속한 배송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은, 행낭을 이용하여 각 업체별 매장 간 물품 이송을 수행하는 물품 이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된 수송지와 배송지 간 물류 이송을 행낭을 통해 수행한다는 특징을 가지므로, 개별 포장된 배송물품을 수거하여 허브터미널에 집결한 후 배송 예정지 정보를 이용해 1차 분류 작업을 수행하고, 각 지역의 서브터미널로 간선하차된 후 2차 분류 작업을 수행한 후 각 담당 기사가 고객에게 배송물품을 배송하는 택배 물류 서비스와는 차이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은, 각 업체의 계열사/브랜드 내의 매장간 상품/제품의 이동 및 매장에서 본사로 A/S 및 물량 리오더를 수행하되, 행낭을 통해 물품의 이송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은, 고객사의 각 매장(백화점 매장, 로드샵 등)에 원하는 사이즈의 상품이 없는 경우 바로 다음날 다른 매장에서 해당 상품을 배송받아 고객에게 제공하는 방식이 행낭을 통한 물류 이송으로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행낭을 통해 매장과 매장 간 사이즈 이동, 또는 매장에서 본사(A/S 센터, 물량 요청 등)로 행낭으로 진행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배송접수 목록을 이용해 전국에 흩어진 매장을 배송기사가 직접 방문하여 배송물품이 수납된 입고행낭을 수거하고, 배송물품의 수거 당일에 허브센터로 집결한 후 야간동안 수거된 배송물품의 분류 작업을 수행한 후 다음날 오전에 전국 각지의 매장을 방문하여 배송물품의 배송을 수행하는 동시에 전날 접수된 배송물품의 수거를 진행할 수 있다. 이는 배송의 접수부터 수거, 분류 및 배송에 이르는 모든 과정의 정보를 바코드 번호별로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써 가능해진 것이며, 따라서, 신속하게 거의 하루 내에 물류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물류 이송에 따른 모든 과정의 정보를 바코드 번호별로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써 실시간 정보 비교가 가능하므로 오접수 및 오배송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수 단말 및 관리 서버 간 데이터 흐름 및 작업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접수 단말(100)은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또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고, 출력되는 화면에 매장 직원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바코드 신청 정보를 생성한 후 관리 서버(400)로 전달한다(S10). 바코드 신청 정보는 지사명, 매장명, 브랜드명, 매장 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관리 서버(400)는 전달된 바코드 신청 정보를 이용해 해당 브랜드 매장의 고유 식별정보를 가지는 바코드번호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400)는 검색된 바코드번호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스티커형 인쇄매체에 인쇄되도록 프린터(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S11). 바코드번호를 포함하는 바코드가 인쇄된 스티커형 인쇄매체는 바코드 스티커로 배송기사에 의해 해당 브랜드 매장으로 전달되며(S12), 이후, 해당 브랜드 매장에서 배송물품에 부착하여 사용될 수 있다(S13). 여기서, 바코드 번호는 미리 발급되어 저장되며, 배송물품을 보내는 매장 및 브랜드를 적어도 포함한다.
또한, 접수 단말(100)은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또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고, 출력되는 화면에 매장 직원을 통해 바코드번호를 입력받아 배송접수 정보를 생성한 후 관리 서버(400)로 전달한다(S14). 배송접수 정보는 바코드번호, 받는 브랜드명, 받는 매장명, 물품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접수 단말(100)은 바코드번호 외 받는 브랜드명, 받는 매장명, 물품정보 등을 입력받아 바코드 등록을 요청하고, 관리 서버(400)는 접수 단말(100)로부터 배송접수 정보를 수신받아 바코드 등록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그러면, 관리 서버(400)는 배송접수 결과를 출력하여 접수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S15). 즉, 관리 서버(400)는 접수 단말(100)의 바코드 등록 요청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통지하기 위해, 배송접수 정보를 정해진 규칙에 따라 나열하여 배송접수 목록을 생성하나 후 접수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보낸 물품 조회의 결과로도 제공될 수 있다. 이후, 배송접수 목록은 기사측 단말(200)로도 제공되며, 이를 이용하여 배송기사는 해당 매장을 방문하여 배송물품을 수거할 수 있다(S16).
또한, 접수 단말(100)은 보낸 물품 조회, 받은 물품 조회 및 받을 물품 조회 등 다양한 정보 조회 요청시 날자 및 매장명을 지정하여 조회요청 정보를 관리 서버(400)로 전달할 수 있다(S17). 조회요청 정보는 지정된 날짜 및/또는 받는 매장명 또는 보낸 매장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관리 서버(400)는 지정된 날짜 및/또는 매장명을 키워드로 하여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 결과를 리스트업(정렬)하여 접수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S18).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사측 단말 및 관리 서버 간 데이터 흐름 및 작업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서버(400)는 접수 단말(100)로부터 접수된 배송접수 목록을 기사측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S20). 이때, 배송접수 목록은 지사별, 매장별 또는 지역별로 구분되어 해당 담당 기사측 단말(200)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기사측 단말(200)은 제공된 배송접수 목록을 화면에 출력하고, 이후 배송기사의 매장 방문시 배송물품이 수납된 입고행낭을 수거(S21)하면서 배송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번호와 입고행낭의 고유행낭번호를 스캔을 통해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기사측 단말(200)은 배송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번호를 이용해 배송접수 목록의 바코드번호를 검색한 후, 입고행낭의 고유행낭번호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바코드번호와 입고행낭의 고유행낭번호를 포함하는 수거완료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400)로 전달할 수 있다(S22). 여기서, 입고행낭의 고유행낭번호는 지사별, 매장의 브랜드별로 고유 식별정보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기사측 단말(200)은 스캔을 통해 획득된 배송물품의 바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정보(바코드 번호, 보내는 매장 및 브랜드, 받는 매장 및 브랜드, 물품정보)와 배송접수 목록의 바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정보(바코드 번호, 보내는 매장 및 브랜드, 받는 매장 및 브랜드, 물품정보)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고, 일치하면 수거완료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배송 접수에 오류가 있음을 표시하고, 접수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오배송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송 접수 오류 확인은 기사측 단말(200)에서 수행할 수도 있으나, 관리 서버(400)에서 전달된 수거완료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400)는 배송접수 정보로부터 배송 예정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배송목록을 생성하고, 이를 기사측 단말(200)로 전송한다(S23). 여기서, 배송물품을 수거하는 기사측 단말과 배송물품을 배송하는 기사측 단말은 서로 다른 단말이다.
그러면, 기사측 단말(200)은, 배송목록을 화면에 출력하고, 배송기사는 출력된 배송목록의 배송지를 방문하여 출고행낭을 배송한다(S24). 이때, 기사측 단말(200)은 스캐너를 통하여 출고행낭의 고유행낭번호와 출고행낭에 수납된 배송물품의 바코드 번호를 획득하여 저장하고, 획득된 출고행낭의 고유행낭번호 및 배송물품의 바코드 번호를 포함하는 배송완료 정보를 관리 서버(400)로 전달한다(S25).
여기서, 기사측 단말(200)은 스캔을 통해 획득된 출고행낭에 수납된 배송물품의 바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정보(출고행낭의 행낭번호, 바코드 번호, 보내는 매장 및 브랜드, 받는 매장 및 브랜드, 물품정보), 배송목록의 바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정보(출고행낭의 행낭번호, 바코드 번호, 보내는 매장 및 브랜드, 받는 매장 및 브랜드, 물품정보)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배송물품의 오배송으로 판단하여 경고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오배송 여부 확인은 기사측 단말(200)에서 수행할 수도 있으나, 관리 서버(400)에서 전달된 배송완료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집화허브 서버 및 관리 서버 간 데이터 흐름 및 작업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배송 기사에 의해 수거된 배송물품이 수납된 입고행낭들은 집화허브 센터(600)에 집결되며(S30), 집화허브 서버(300)는 집결된 입고행낭의 고유행낭번호를 스캔을 통해 획득하고, 마찬가지로 입고행낭에 수납된 배송물품에 부착된 스티커 바코드를 스캔하여 바코드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집화허브 서버(300)는 획득된 입고행낭의 고유행낭번호 및 바코드번호를 이용하여 배송물품 입고정보를 생성한 후 관리 서버(400)로 전달한다(S31).
그러면, 관리 서버(400)는 전달된 배송물품 입고정보를 해당 바코드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배송물품의 입고 상태로 표시한다(S32).
그리고, 집화허브 센터(600)에서는 집화된 배송물품의 분류 작업을 수행한다(S33). 즉, 스캔을 통해 배송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로부터 배송지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배송지 정보를 이용하여 배송물품들을 지역별, 지사별, 매장별, 브랜드별로 각각 분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배송물품의 분류 작업은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거나 배송기사의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동일 매장으로 배송될 배송물품들에 대한 배송물품 목록을 인쇄하고(S34), 분류 작업이 완료된 배송물품과 인쇄된 배송물품 목록을 해당 매장별로 지정된 출고행낭에 수납된다(S35). 이때, 집화허브 서버(300)는 출고행낭의 고유행낭번호를 스캔을 통해 획득하고, 배송물품의 바코드번호와 획득된 출고행낭의 고유행낭번호를 매칭하여 배송물품 출고정보를 관리 서버(400)로 전달한다(S36).
그러면, 관리 서버(400)는 전달된 배송물품 출고정보를 해당 바코드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배송물품의 출고 상태로 표시한다(S37).
한편, 집화허브 서버(300)는 바코드번호 및 고유행낭번호를 획득하기 위해 별도의 스캐너(미도시)를 구비하며 집화허브 서버(300)와 스캐너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유선 연결을 통해 연동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서버에서 물류 이송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웹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서버(400)는 물류 이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거나 웹사이트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접수 단말(100) 및 집화허브 단말(300)로 서비스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웹화면(1000)을 제공한다.
여기서, 서비스 모드는 매장 모드(1001)와 관리자 모드(1002)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으며, 매장 모드(1001)는 매장에서 물품 배송 접수 및 조회 등을 실행할 수 있는 서비스 모드이며, 관리자 모드(1002)는 모든 매장의 물품 배송과 관련된 현황을 조회하고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 모드이다. 이러한 서비스 모드는 별도의 회원가입 절차를 통해 아이디, 비밀번호가 설정되고 설정된 아이디, 비밀번호를 이용한 로그인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매장 모드의 선택시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웹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매장에 설치된 접수 단말(100)에서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매장 모드 선택 후 로그인을 수행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매장 모드(1001)가 선택되면, 다수의 작업 메뉴가 표시된 웹화면(2000)이 출력된다. 다수의 작업 메뉴에는 바코드 등록, 보낸 물품 조회, 받은 물품 조회, 받을 물품 조회, 바코드 신청 및 매장 게시판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웹화면에서 바코드 등록 메뉴의 선택시 제공되는 웹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웹화면(2000)에 표시된 다수의 작업 메뉴 중 바코드 등록 메뉴가 선택될 때 제공되는 웹화면(3000)에는 받는 브랜드명, 받는 매장명, 물품정보, 바코드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란이 구비되며, 받는 브랜드명 및 받는 매장명은 직접 기입 또는 조회를 통해 검색 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바코드 등록 메뉴는 배송물품의 배송을 접수하기 위한 것으로, 받는 브랜드, 받는 매장, 물품정보, 바코드 번호를 적어도 포함하는 배송접수 정보가 생성되어 저장되고, 동시에 관리 서버(400)에 전달된다. 바코드 번호는 미리 바코드 신청 메뉴를 통해 할당되며, 할당된 바코드 번호는 바코드 스티커로 제공받고 이후 배송물품에 부착된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웹화면에서 보낸 물품 조회 메뉴의 선택시 제공되는 웹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웹화면(2000)에 표시된 다수의 작업 메뉴 중 보낸 물품 조회 메뉴가 선택될 때 제공되는 웹화면(4000)에는 보낸 물품을 조회할 기간 및 받는 매장을 지정하기 위한 입력란이 구비되며, 웹화면(4000)의 하단에는 조회 결과가 출력된다.
조회 결과에는 배송 접수 일자, 받는 브랜드명, 받는 매장명, 바코드 번호, 물품정보, 현재 상태가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웹화면에서 물품 조회 결과 중 하나의 항목 선택시 제공되는 웹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에 도시된 웹화면(4000)에 표시된 보낸 물품 조회 결과 중 한 항목(4001)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4001)의 상세 화면(5000)이 출력된다.
상세 화면(5000)에는 바코드 번호(12-34-5678999)를 기준으로 관련 정보들, 예를 들어, 물품정보, 보낸브랜드, 보낸매장, 보낸매장 전화번호, 보낸지사, 받는브랜드, 받는매장, 받는매장 전화번호, 받는지사 등이 표시된다.
또한, 상세 화면(5000)에는 매장 등록, 터미널 입고 및 터미널 출고에 대한 배송 현황 정보가 표 형태로 표시되며, 각 정보의 행낭번호, 등록일, 등록 시간, 등록자 등이 표시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서버(400)는 바코드 번호를 기준으로 수신되는 정보들, 예를 들어, 배송접수 정보, 수거완료 정보, 입고정보, 출고정보, 배송완료 정보들이 관리되며, 배송 과정에서 수신되는 정보들이 바코드 번호별로 순차 입력되어 기록되고 이를 통해 배송 정보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웹화면에서 받은 물품 조회 메뉴의 선택시 제공되는 웹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웹화면(2000)에 표시된 다수의 작업 메뉴 중 받은 물품 조회 메뉴가 선택될 때 제공되는 웹화면(6000)에는 받은 물품을 조회할 기간 및 보낸 매장을 지정하기 위한 입력란이 구비되며, 웹화면(6000)의 하단에는 조회 결과가 출력된다.
조회 결과에는 배송 접수 일자, 보낸 브랜드명, 보낸 매장명, 바코드 번호, 물품정보, 현재 상태가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자 모드의 선택시 제공되는 웹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관리자용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해 관리 서버(400)에 접속한 후 관리자 모드 선택 후 로그인을 수행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12는 도 11의 바코드 등록 메뉴 선택시 제공되는 웹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관리자 모드(1002)가 선택되면, 다수의 작업 메뉴가 표시된 웹화면(7000)이 출력된다. 다수의 작업 메뉴에는 바코드 등록, 조회 및 본사 게시판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바코드 등록은 도 12에 도시된 웹화면(8000)을 참조하면 매장에서 바코드 신청을 미접수한 상태에서 물품을 임의로 먼저 배송하게 될 경우, 해당 매장에 대한 바코드 등록을 대리 등록하여 물품 배송 요청 접수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바코드 등록 작업 화면에는 보낸브랜드, 보낸매장, 받는브랜드, 받는매장, 바코드번호, 물품정보 등을 입력하는 입력란이 포함된다.
그리고, 조회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코드 등록 현황 및 입출고 조회를 포함하며, 바코드 등록 현황은 배송 요청 접수 건에 대한 조회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고, 입출고 조회는 기간, 업체, 브랜드, 바코드, 보낸매장, 받는매장을 지정하여 입출고 조회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다. 입출고 조회 결과는 업체, 작업일, 보낸지사, 보낸브랜드, 보낸매장, 받는지사, 받는브랜드, 받는매장, 바코드번호, 입고상태, 출고상태, 입고행낭, 출고행낭, 물품정보, 입고시간, 출고시간 등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접수 단말 200. 기사측 단말
300. 집화허브 서버 400. 관리 서버
500. 네트워크 통신망

Claims (5)

  1. 각 업체의 지사별 매장에 구비되며, 물류 이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후, 미리 발급된 바코드 번호, 받는 브랜드, 받는 매장 및 배송물품정보를 출력되는 화면에 입력하여 배송접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배송접수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접수 단말;
    배송 접수된 배송물품에 부착되며, 배송물품을 보내는 브랜드, 상기 브랜드의 지사 및 상기 지사에서 관리하는 매장을 식별하기 위한 바코드 번호를 포함하는 바코드가 인쇄된 바코드 스티커;
    물품을 보내는 매장 및 브랜드별로 고유 행낭번호를 가지며, 배송 접수된 배송물품이 수납되는 입고행낭;
    배송물품을 받는 매장 및 브랜드별로 고유 행낭번호를 가지며, 상기 배송 접수된 배송물품의 출고시 수납되는 출고행낭;
    상기 입고행낭의 바코드 및 배송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스티커의 바코드를 각각 스캔하여 바코드에 포함된 입고행낭의 고유 행낭번호 및 바코드 번호를 획득한 후 배송물품 입고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배송물품 입고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받는 매장 및 브랜드에 따라 분류된 배송물품이 수납된 출고행낭의 바코드와 배송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스티커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바코드에 포함된 출고행낭의 고유 행낭번호 및 바코드 번호를 획득한 후 배송물품 출고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배송물품 출고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집화허브 서버;
    매장 모드 및 관리자 모드를 제공하며, 상기 바코드 번호를 브랜드별, 지사별 및 매장별로 할당하여 미리 발급 및 저장하고, 전송된 배송접수 정보, 배송물품 입고정보 및 배송물품 출고정보를 바코드 번호별로 전송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기록하되,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상기 접수 단말이 접속되면 상기 매장 모드에 따른 물류 이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배송물품의 배송접수를 위한 바코드 등록 메뉴, 보낸 배송물품 조회 메뉴, 받은 배송물품 조회 메뉴, 받을 배송물품 조회 메뉴, 바코드 스티커 제작을 위한 바코드 신청 메뉴 및 매장 게시판 메뉴를 적어도 포함하는 작업 메뉴가 표시된 화면을 상기 접수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바코드 등록 메뉴의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받는 매장 및 브랜드, 바코드 번호, 배송물품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입력란이 표시된 작업 화면을 상기 접수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바코드 등록 메뉴의 처리 결과 생성된 배송접수 정보가 수신되면, 배송물품을 보내는 매장 및 브랜드와, 바코드 번호와, 받는 매장 및 브랜드와, 배송물품정보가 적어도 포함된 배송접수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보낸 배송물품 조회 메뉴, 상기 받은 배송물품 조회 메뉴 및 상기 받을 배송물품 조회 메뉴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조회할 날짜 및 매장을 적어도 포함하는 입력란이 표시된 작업 화면을 상기 접수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조회할 날짜 및 매장이 지정된 후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지정된 날짜 및 매장을 검색 조건으로 하여 일치하는 배송물품 정보를 리스트업하여 상기 접수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바코드 신청 메뉴의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입력된 매장 및 브랜드를 이용하여 저장된 바코드 번호를 검색하고, 검색된 바코드 번호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스티커형 인쇄매체에 인쇄하여 바코드 스티커를 제작하는 관리 서버; 및
    물류 이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상기 배송접수 목록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받아 출력하며, 매장에서 배송물품이 수거되는 시점에 상기 입고행낭의 바코드 및 및 상기 입고행낭에 수납된 배송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스티커의 바코드를 각각 스캔하여 입고행낭의 고유 행낭번호 및 바코드 번호를 획득하여 수거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수거완료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배송물품을 받는 매장 및 브랜드와 바코드 번호가 적어도 포함된 배송목록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받아 출력하며, 상기 출고행낭의 바코드 및 상기 출고행낭에 수납된 배송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스티커의 바코드를 각각 스캔하여 상기 바코드에 포함된 상기 출고행낭의 고유 행낭번호 및 바코드 번호를 획득하여 배송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배송완료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기사측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하나의 바코드 번호에 배송접수 정보, 수거완료 정보, 배송물품 입고정보, 배송물품 출고정보 및 배송완료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며, 수신된 수거완료 정보에 포함된 바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보내는 매장 및 브랜드와 수신된 배송접수 정보의 바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보내는 매장 및 브랜드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접수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기사측 단말 및 접수 단말로 전송하며, 수신된 배송완료 정보에 포함된 바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받는 매장 및 브랜드와 수신된 배송접수 정보의 바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받는 매장 및 브랜드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오배송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기사측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관리자 모드에 따른 물류 이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임시 바코드 번호를 등록하는 메뉴, 바코드 등록 현황 조회 메뉴 및 입출고 조회 메뉴를 포함하는 작업 메뉴가 표시된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임시 바코드 번호를 등록하는 메뉴가 선택되면 보낸 브랜드, 보낸 매장, 받는 브랜드, 받는 매장, 배송물품정보 및 임시 바코드 번호를 입력하도록 입력란이 표시된 작업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임시 바코드 번호를 등록하는 메뉴의 처리 결과 입력된 임시 바코드 번호에 대한 배송접수 정보를 생성하고 배송물품 수거시 부착되도록 상기 임시 바코드 번호를 스티커형 인쇄매체에 인쇄하여 바코드 스티커를 제작하며, 상기 바코드 등록 현황 조회 메뉴가 선택되면 입력되는 검색 조건에 따른 배송 요청 현황을 조회하고 조회 결과를 제공하며, 상기 입출고 조회 메뉴가 선택되면 입력되는 검색 조건에 따른 배송물품 배송 현황을 조회하고 조회 결과를 제공하며,
    상기 미리 발급된 바코드 번호는 보내는 매장 및 브랜드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각 업체의 지사별 매장에 구비되며, 물류 이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후, 미리 발급된 바코드 번호, 받는 브랜드, 받는 매장 및 배송물품정보를 출력되는 화면에 입력하여 배송접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배송접수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접수 단말;
    배송 접수된 배송물품에 부착되며, 배송물품을 보내는 브랜드, 상기 브랜드의 지사 및 상기 지사에서 관리하는 매장을 식별하기 위한 바코드 번호를 포함하는 바코드가 인쇄된 바코드 스티커;
    물품을 보내는 매장 및 브랜드별로 고유 행낭번호를 가지며, 배송 접수된 배송물품이 수납되는 입고행낭;
    배송물품을 받는 매장 및 브랜드별로 고유 행낭번호를 가지며, 상기 배송 접수된 배송물품의 출고시 수납되는 출고행낭;
    상기 입고행낭의 바코드 및 배송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스티커의 바코드를 각각 스캔하여 바코드에 포함된 입고행낭의 고유 행낭번호 및 바코드 번호를 획득한 후 배송물품 입고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배송물품 입고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받는 매장 및 브랜드에 따라 분류된 배송물품이 수납된 출고행낭의 바코드와 배송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스티커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바코드에 포함된 출고행낭의 고유 행낭번호 및 바코드 번호를 획득한 후 배송물품 출고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배송물품 출고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집화허브 서버;
    매장 모드 및 관리자 모드를 제공하며, 상기 바코드 번호를 브랜드별, 지사별 및 매장별로 할당하여 미리 발급 및 저장하고, 전송된 배송접수 정보, 배송물품 입고정보 및 배송물품 출고정보를 바코드 번호별로 전송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기록하되,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상기 접수 단말이 접속되면 상기 매장 모드에 따른 물류 이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배송물품의 배송접수를 위한 바코드 등록 메뉴, 보낸 배송물품 조회 메뉴, 받은 배송물품 조회 메뉴, 받을 배송물품 조회 메뉴, 바코드 스티커 제작을 위한 바코드 신청 메뉴 및 매장 게시판 메뉴를 적어도 포함하는 작업 메뉴가 표시된 화면을 상기 접수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바코드 등록 메뉴의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받는 매장 및 브랜드, 바코드 번호, 배송물품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입력란이 표시된 작업 화면을 상기 접수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바코드 등록 메뉴의 처리 결과 생성된 배송접수 정보가 수신되면, 배송물품을 보내는 매장 및 브랜드와, 바코드 번호와, 받는 매장 및 브랜드와, 배송물품정보가 적어도 포함된 배송접수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보낸 배송물품 조회 메뉴, 상기 받은 배송물품 조회 메뉴 및 상기 받을 배송물품 조회 메뉴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조회할 날짜 및 매장을 적어도 포함하는 입력란이 표시된 작업 화면을 상기 접수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조회할 날짜 및 매장이 지정된 후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지정된 날짜 및 매장을 검색 조건으로 하여 일치하는 배송물품 정보를 리스트업하여 상기 접수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바코드 신청 메뉴의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입력된 매장 및 브랜드를 이용하여 저장된 바코드 번호를 검색하고, 검색된 바코드 번호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스티커형 인쇄매체에 인쇄하여 바코드 스티커를 제작하는 관리 서버; 및
    물류 이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상기 배송접수 목록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받아 출력하며, 매장에서 배송물품이 수거되는 시점에 상기 입고행낭의 바코드 및 및 상기 입고행낭에 수납된 배송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스티커의 바코드를 각각 스캔하여 입고행낭의 고유 행낭번호 및 바코드 번호를 획득하여 수거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수거완료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배송물품을 받는 매장 및 브랜드와 바코드 번호가 적어도 포함된 배송목록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받아 출력하며, 상기 출고행낭의 바코드 및 상기 출고행낭에 수납된 배송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스티커의 바코드를 각각 스캔하여 상기 바코드에 포함된 상기 출고행낭의 고유 행낭번호 및 바코드 번호를 획득하여 배송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배송완료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기사측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기사측 단말은, 상기 스캔을 통해 획득된 입고행낭에 수납된 배송물품의 바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보내는 매장 및 브랜드와 상기 배송접수 목록의 바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보내는 매장 및 브랜드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일치하는 경우 수거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일치하지 않은 경우 접수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스캔을 통해 획득된 출고행낭에 수납된 배송물품의 바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받는 매장 및 브랜드와 상기 배송목록의 바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받는 매장 및 브랜드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일치하는 경우 배송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일치하지 않은 경우 오배송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하나의 바코드 번호에 배송접수 정보, 수거완료 정보, 배송물품 입고정보, 배송물품 출고정보 및 배송완료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관리자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관리자 모드에 따른 물류 이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임시 바코드 번호를 등록하는 메뉴, 바코드 등록 현황 조회 메뉴 및 입출고 조회 메뉴를 포함하는 작업 메뉴가 표시된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임시 바코드 번호를 등록하는 메뉴가 선택되면 보낸 브랜드, 보낸 매장, 받는 브랜드, 받는 매장, 배송물품정보 및 임시 바코드 번호를 입력하도록 입력란이 표시된 작업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임시 바코드 번호를 등록하는 메뉴의 처리 결과 입력된 임시 바코드 번호에 대한 배송접수 정보를 생성하고 배송물품 수거시 부착되도록 상기 임시 바코드 번호를 스티커형 인쇄매체에 인쇄하여 바코드 스티커를 제작하며, 상기 바코드 등록 현황 조회 메뉴가 선택되면 입력되는 검색 조건에 따른 배송 요청 현황을 조회하고 조회 결과를 제공하며, 상기 입출고 조회 메뉴가 선택되면 입력되는 검색 조건에 따른 배송물품 배송 현황을 조회하고 조회 결과를 제공하며,
    상기 미리 발급된 바코드 번호는 보내는 매장 및 브랜드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
KR1020210052362A 2021-04-22 2021-04-22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 KR102371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362A KR102371754B1 (ko) 2021-04-22 2021-04-22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362A KR102371754B1 (ko) 2021-04-22 2021-04-22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1754B1 true KR102371754B1 (ko) 2022-03-04

Family

ID=8081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362A KR102371754B1 (ko) 2021-04-22 2021-04-22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75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736A (ko) * 2000-09-06 2002-03-13 배종렬 화물 배송 시스템 및 배송 방법
KR20060028020A (ko) 2004-09-24 2006-03-29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피오에스 시스템을 이용한 택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06941B1 (ko) * 2005-12-08 2007-04-12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자동처리방법
KR20170119994A (ko) * 2016-04-20 2017-10-30 이준승 물류 수배송 인수확인 시스템
KR20200015241A (ko) * 2018-08-03 2020-02-12 주식회사 아이더블류솔루션 Qr 코드를 활용한 실시간 입출고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736A (ko) * 2000-09-06 2002-03-13 배종렬 화물 배송 시스템 및 배송 방법
KR20060028020A (ko) 2004-09-24 2006-03-29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피오에스 시스템을 이용한 택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06941B1 (ko) * 2005-12-08 2007-04-12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자동처리방법
KR20170119994A (ko) * 2016-04-20 2017-10-30 이준승 물류 수배송 인수확인 시스템
KR20200015241A (ko) * 2018-08-03 2020-02-12 주식회사 아이더블류솔루션 Qr 코드를 활용한 실시간 입출고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0966B1 (ko) 전달 네트워크를 관리 및 최적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316577B1 (ko) 픽업 프로세스를 보조하기 위한 컴퓨터화된 시스템 및 방법
CA2817913C (en) Systems for linking object identification data to package identification data
US201702131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gistics management
US11907898B2 (en) Electronic inventory tracking system and associated user interfaces
CN105608544B (zh) 对关于货物的信息处理的支持
TWI757079B (zh) 用於剖析訊息的電腦實施的系統以及電腦實施的方法
KR20160106305A (ko) 리얼 타임 택배 위치 추적 방법 및 그 위치 추적 시스템
KR20220000529A (ko) 실시간으로 재고 추적이 가능한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
US112653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ing networks using a unified communication scheme
Muyumba et al. A Web based Inventory Control System using Cloud Architecture and Barcode Technology for Zambia Air Force
KR102453135B1 (ko) 결함 제품을 식별하기 위한 예외 이벤트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645615B2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s and systems for efficient sortation of items based on limited access to item information
KR102371754B1 (ko) 물류 이송 관리 시스템
KR20040061904A (ko) 물류 공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4498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and intelligent parcel retrieval
KR20210102574A (ko) 실시간으로 재고 추적이 가능한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
KR20210157676A (ko) 실시간으로 재고 추적이 가능한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
KR20210147814A (ko) 패키지 배달 오류 검출을 위한 컴퓨터화된 시스템 및 방법
JP4870335B2 (ja) 流通管理システム
CN110852682A (zh) 包裹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7123183B2 (ja) 統合された通信スキームを使用してネットワークをインターフェース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204975B1 (en) Program interface remote management and provisioning
KR20230014389A (ko)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간 재고파악이 가능한 물류관리시스템
JP2002297725A (ja) 配送システム及び配送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