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4649A - 2단계 이동 제공 방법, 타이어 몰드용 팽창가능한 비드성형 링 조립체 및 생 타이어용 몰드 - Google Patents

2단계 이동 제공 방법, 타이어 몰드용 팽창가능한 비드성형 링 조립체 및 생 타이어용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4649A
KR20030064649A KR10-2003-0005285A KR20030005285A KR20030064649A KR 20030064649 A KR20030064649 A KR 20030064649A KR 20030005285 A KR20030005285 A KR 20030005285A KR 20030064649 A KR20030064649 A KR 20030064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bead
bead forming
movement
radi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7975B1 (ko
Inventor
지라드장-클로드
캐스퍼브렛트알란
Original Assignee
더 굿이어 타이어 앤드 러버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굿이어 타이어 앤드 러버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굿이어 타이어 앤드 러버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30064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9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48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2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30/0629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with radially movable s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2Means for sealing the tyre against the mould in the bead areas
    • B29D2030/0621Means for sealing the tyre against the mould in the bead areas to seal the bead portions against the mould i.e. by using pres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2Means for sealing the tyre against the mould in the bead areas
    • B29D2030/0621Means for sealing the tyre against the mould in the bead areas to seal the bead portions against the mould i.e. by using pressing devices
    • B29D2030/0622Means for sealing the tyre against the mould in the bead areas to seal the bead portions against the mould i.e. by using pressing devices the pressing devices being collapsable, e.g. annular element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250)로 타이어(110)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은 수축된 및 분리된 상태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팽창된 상태로, 다음에 타이어 비드(112b)를 성형하기 위한 팽창된 및 결합된 상태로 2단계 이동을 구비한다. 2단계 이동은 용이하게 제조되는 부품의 간단한 조립체를 이용하여 성취되며, 몰드 프레스(220)의 허브(209)의 간단한 연속적인 하방(축방향으로 외측) 이동(320)에 의해 구동된다. 스프링을 구비한 환형 요소의 조합체는 허브 이동을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세그먼트(254, 256)의 소망의 2단계 이동으로 전환한다. 절두원추형 캠 표면(258, 266)은 몰드 프레스 이동(320)으로부터의 축방향 배향 힘(420a, 420b)을 반경방향 힘 성분(410a, 410b) 및 축방향 힘 성분(415a, 415b)으로 분할하여 2단계 이동 동안에 대응하는 반경방향 이동(310) 및 축방향 이동(315)을 야기시키는데 사용된다. 스프링 저항은 균형을 이루며, 정지 표면은 2단계 이동을 제어 및 적절하게 나열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의 요소는 측벽 몰드와 조립되어, 상이한 타이어 구조의 비드상에서 성형될 상이한 프로파일을 채택하기 위해 몰드 교체를 위한 몰드 프레스 내외로 쉽게 수리 및 쉽게 교체되는 단일 유닛(280)을 형성한다.

Description

2단계 이동 제공 방법, 타이어 몰드용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 및 생 타이어용 몰드{EXPANDABLE BEAD MOLDING RING FOR A TIRE MOLD}
본 발명은 타이어의 성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타이어를 이용하는 타이어 비드를 성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드 기부(휠 림의 비드 안착 부분내에 안착되는 타이어 비드의 반경방향 내측 표면)의 형상을 기준으로 하는 "언더컷(undercut)" 비드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타이어 비드 기부는 실질적으로 대부분 공지되어 있으며, 축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비드 기부 각도를 구비하는 축방향에 대해서 제로로부터 몇 도까지 각을 이루고 있다. 언더컷 비드 기부는 비드 기부 각도가 축방향 내측으로 개방된 것을 제외하고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언더컷 비드 기부를 구비한 타이어의 예와, 이러한 타이어를 이용하는 휠 림의 예가 미국 특허 제 6,092,575 호에 개시되어 있다. 특히, 언더컷 비드 기부 디자인을 가진 타이어의 통상적인 변형예는 동일한 타이어의 2개의 상이한 직경의 비드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언더컷 비드를 구비한 것과 같은 특정 타이어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비드 성형 링 또는 카운터-성형 링으로서 공지된 타이어 몰드의 일부분을 타이어의 내부로 도입하여 비드 기부에 대해 성형 표면을 결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타이어 비드의 언더컷 부분의 성형을 성취하기 위한 수단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5,129,802 호에는 비드의 축방향으로 그리고 반경방향으로 내측 부분을 위한 2개의 카운터-성형 링(비드 성형 링)을 이용하는것이 제안되어 있으며, 상기 링은 연속적이다. 타이어의 내부로 카운터-성형 링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비드의 적어도 일부분을 타원형을 함으로써 타이어의 원료 블랭크를 형성하여, 비드가 카운터-성형 링 또는 링들을 지나 통과되도록 제조될 수 있어야 한다.
비드의 반경방향으로 그리고 축방향으로 내측 부분을 성형하기 위한 링은 소위 무박막 가황처리 공정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4,236,883 호에는 성형 위치에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몇몇 세그먼트로 제조된 링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링은 반경방향으로 수축가능하여, 이들은 타이어 비드의 변형이 필요없이 타이어 내부로 도입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 4,236,883 호에는 상기 세그먼트가 폐쇄 또는 개방 이동을 시퀀스로 수용하도록 몇몇 링 세그먼트에 필요한 이동이 부여될 수 있도록 프레스의 내부 용적을 일체로 차지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시퀀스 이동(movement in sequence)"이라는 것은 몰드가 개방된 구성에 있어서 세그먼트가 동시에 그 성형 위치로 모두 진행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그룹이 그 최종 성형 위치로 진행되고, 다음에 제 2 그룹의 세그먼트가 제 1 그룹의 세그먼트 사이에 삽입되어 연속적인 링을 제조한다. 미국 특허 제 4,236,883 호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세그먼트는 축방향으로 정렬된 평면 표면을 따라 결합되며, 모든 세그먼트는 현수 클레비스(74)에서 피봇(70)상에서 회전되는 벨크랭크(66)에 의해 제 위치로 회전된다. 벨크랭크는 이 위에 장착된 세그먼트의 작용을 제어하기 위해서 다중면체 선형 캠 조립체(102)와 공동작용하는 캠 종동자를 구비한다.
미국 특허 제 6,238,193 호에는 타이용 몰드와, 상기 몰드를 수납하도록 끼워맞춰진 가황처리 프레스와, 상이한 직경의 비드를 구비하는 타이어 성형용 몰드가 개시되어 있으며, Φ0은 보다 작은 직경의 비드에서 타이어 영역의 최소 직경이며, Φ2는 보다 큰 직영의 비드에서 타이어 영역의 최대 직경이다. 몰드는 각기 측벽의 외측 표면 및 타이어 영역의 직경이 각기 Φ0 및 Φ2인 반경방향 내측 한계까지의 각 비드의 외측 부분과, 타이어 영역의 직경이 Φ0인 상기 반경방향 내측 한계로부터 직경이 Φ1인 축방향으로 내측 한계까지 보다 작은 직경의 비드를 성형하기 위한 연속적인 카운터-성형 링과, 타이어 영역의 직경이 Φ2인 상기 반경방향 내측 한계로부터 직경이 Φ3인 축방향 내측 한계까지 보다 큰 직경의 비드를 성형하기 위한 분할 카운터-성형 링을 성형하기 위한 2개의 측벽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미국 특허 제 6,238,193 호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비드 기부는 언더컷되어 있는데, 즉 Φ1이 Φ0보다 크며, Φ3이 Φ2보다 크다. 분할 링은 성형 위치에 인접한 다수의 수축가능한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가요성 박막은 직경 Φ1의 한계와 직경 Φ3의 한계 사이에서 타이의 내부 캐비티의 부분에서 타이어의 내부 표면을 성형한다.
미국 특허 제 6,238,193 호의 도 2 내지 도 11에는 하부 비드(보다 큰 직경을 가진 비드)를 성형하기 위해서 분할 카운터-성형 링을 결합하기 위한 복잡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분할 카운터-성형 링은 고리이며, 경사형 에지를 구비한 대형 세그먼트(141)와, 대응하는 경사형 에지를 구비하는 소형 키 세그먼트(142)를 포함한다. 에지가 축방향(도 4 참조)에 대해서 일정 각도로 경사져 있어서, 키 세그먼트는 대형 세그먼트 사이에서 축방향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서 환형 링내로 끼워맞춰질 수 있다. 세그먼트가 함께 끼워맞춰진 후에(도 8 내지 도 10), 링은 하부 성형 측벽 플레이트(12)를 향해 축방향 하방으로 가압되어 비드 영역을 형성한다(도 11). 분할 카운터-성형 링 디자인의 문제점은 몰드 프레스에 부착된 복잡한 세트의 링크장치 및 메카니즘이며, 이로 인해 제조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며, 또한 프레스에서 가황처리 몰드를 유지 및 교체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어려운 공정이 된다. 미국 특허 제 6,238,193 호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카운터-성형 링(14)은 제 1 세그먼트(141)를 포함하며, 각 세그먼트는 그 자체가 슬라이드(17)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로킹 아암(52)상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드는 프레스의 하부 프레임(22)상에 장착된다. 각 로킹 아암상에 장착된 롤러(521)는 하부 박막 플레이트(32)와 일체인 제 1 캠(42)에 대해서 작용한다. 제 2 (키) 세그먼트(142)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321)와 제 1 캠(42) 사이에 형성된 홈(53)내의 가이드 플레이트(321)상에 장착되어 있다. 롤러(531)는 제 2 세그먼트의 각각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프레스의 하부 프레임(22)상에 고정된 제 2 캠(43)을 향해 탑재된다. 상기 제 2 캠(43)의 반경방향 외측 표면의 프로파일은 제 2 세그먼트(142)의 각각의 진행을 위한 제어된 운동을 부여하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몰드, 특히 언더컷 비드를 성형하기 위한 것과 같은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을 이용하는 몰드의 문제점 및 제한을 해결하는 것이다. 몰드의 제조가 간단해져 기계적인 복잡성을 감소시키고, 몰드/프레스의 유지 및 교체가 용이해져서 문제점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을 측벽 성형 플레이트와 결합시켜서 몰드 프레스내의 타이어 몰드에 비드 성형 포켓을 형성하도록 2단계 이동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제 1 단계 이동은 비드 성형 링의 반경방향 팽창을 제공하여 측벽 성형 플레이트의 축방향 내측에 위치된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인 외측을 향한 비드 성형 표면을 형성하며, 제 2 단계 이동은 비드 성형 링을 축방향 외측으로 가압하여 비드 성형 표면을 측벽 성형 플레이트와 결합시키며, 이에 의해 생 타이어 비드를 성형하기 위한 비드 성형 포켓을 형성하는, 2단계 이동 제공 방법에 있어서, 몰드 프레스의 축방향 이동을 이용하여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 이동을 야기시키는 단계와, 제 1 세트의 스프링에 의해 제 1 단계 이동에 저항하는 단계와,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인 외측을 향한 비드 성형 표면이 형성될 때 제 1 단계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제 1 정지 표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제 2 세트의 스프링에 의해 제 2 단계 이동에 저항하는 단계와, 제 1 단계 이동이 제 1 정지 표면에 의해 정지된 후까지 비드 성형 링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스프링 저항을 가진 제 2 세트의 스프링을 제공하는 단계와, 비드 성형 포켓이 형성된 경우 제 2 단계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 2 정지 표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계 이동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몰드 프레스로부터의 축방향 힘을 반경방향 힘 성분 및 축방향 힘 성분으로 분할하기 위한 비드 성형 링상에서 캠 표면을 제공하여, 비드 성형 링의 대응하는 반경방향 이동 및 축방향 이동을 야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제 2 세트의 스프링을 이용하여 몰드 프레스의 축방향 이동이 제 2 세트의 스프링으로부터의 힘을 제거할 때 상기 측벽 성형 플레이트로부터 비드 성형 표면을 축방향 분리시키는 단계와, 제 1 세트의 스프링을 이용하여 몰드 프레스의 축방향 이동이 제 1 세트의 스프링으로부터의 힘을 제거할 때 비드 성형 링의 반경방향 수축을 야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레드, 2개의 비드 및 비드와 트레드 사이로 연장되는 2개의 측벽을 포함하는 생 타이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몰드 프레스에서 타이어 몰드용의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에 있어서, 비드중 하나를 성형하기 위해서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인 반경방향으로 외측을 향한 표면을 형성하도록 반경방향으로 팽창된 다수의 세그먼트와, 축방향으로 향한 힘을 반경방향 힘 성분 및 축방향 힘 성분으로 분할하기 위한 반경방향 내측 절두원추형 캠 표면을 포함하는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인 제 1 고리와, 상기 제 1 고리와 동심이며 이와 축방향으로 인접해 있으며, 다수의 세그먼트의 반경방향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세그먼트 모두에 부착된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반경방향 스프링을 포함하는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인 제 2 고리와, 상기 제 2 고리와 동심이며 이와 축방향으로 인접해 있는 제 3 고리로서, 상기 제 3 고리는 다수의 세그먼트의 축방향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 2 고리 제 3 고리 사이에서 작용하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축방향 스프링을 포함하는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인, 상기 제 3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몰드용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가 제 1 고리의 반경방향 내측 캠 표면에 상보적인 절두원추형 반경방향 외측 캠 표면을 구비하는 제 4 고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4 고리는 몰드 프레스에 부착되어, 몰드 프레스가 제 4 고리에 축방향으로 배향된 이동 및 축방향으로 배향된 힘을 부여하며; 상기 제 4 고리의 반경방향 외측 캠 표면은 제 1 고리내에 동심으로 위치되어, 제 4 고리의 반경방향 외측 캠 표면은 제 1 고리의 반경방향 내측 캠 표면상에 지지되어 몰드 프레스로부터의 축방향으로 배향된 힘을 제 1 고리의 캠 표면에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가 인접한 제 2 고리를 향해 제 1 고리 개구부에 다수의 T자형상 가이드 슬롯을 더 구비하고 있으며, T자형상부의 넓은 크로스바 부분은 반경방향으로 정렬된 슬롯 가이드 표면을 구비하며, 또한 인접한 제 1 고리를 향해 제 2 고리로부터 돌출되고 T자형상 가이드 슬롯 내측에 끼워맞춰지도록 형성 및 치수설정된 다수의 가이드 T자형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T자형상부는 슬롯 가이드 표면에 상보적인 T자형상 가이드 표면을 구비하는 크로스바를 포함하여 제 1 고리의 세그먼트를 제 2 고리로부터 일정한 축방향 거리에 유지하는 동시에 세그먼트가 반경방향 내외로 활주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가 제 3 고리내의 축방향 정렬 가이드 구멍을 통해 활주식으로 통과되고 제 2 고리에 부착된 다수의 가이드볼트를 더 포함하여 제 2 및 제 3 고리를 동심으로 그리고 축방향으로 인접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제 2 고리의 이동을 축방향으로만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각 가이드 볼트상에 볼트 헤드와, 제 3 고리내의 각 가이드 구멍을 확장하는 캐비티가 있으며, 이에 의해 볼트 헤드는 캐비티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지만 볼트 헤드가 캐비티의 단부를 향해 정지될 때 가이드 볼트에 부착된 제 2 고리의 축방향 내측 이동을 제한하는 간극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가 제 1 고리의 세그먼트에 부착된 다수의 스프링 후크를 더 포함하여, 각 스프링 후크는 상호작용을 위해 제 2 고리의 반경방향 스프링중 하나까지 연장되며, 이에 의해 반경방향 스프링은 세그먼트상에서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힘을 발휘한다. 바람직하게, 제 2 고리의 반경방향 스프링은 각 스프링 유지 구멍의 측면을 따라 개구부를 제공하기 위해 후크 슬롯을 구비하는 반경방향으로 정렬된 스프링 유지 구멍내에 유지되며, 스프링 후크는 반경방향 스프링과 상호작용하도록 스프링 유지 구멍내로 후크 슬롯을 통해 후크고정되며, 반경방향 스프링은 제 1 고리의 세그먼트상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배향된 힘을 발휘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후크는 스프링 후크가 후크 슬롯의 단부를 향해 정지될 때 제 1 고리의 세그먼트의 반경방향 이동의 범위를 제한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는, 각 축방향으로 배향된 스프링이 제 2 고리내의 제 1 축방향 스프링 포켓내에 안착된 일 단부를 구비하며, 제 3 고리내의 제 2 축방향 스프링 포켓내에 안착된 다른 단부를 구비하여, 축방향 스프링이 제 2 고리와 제 3 고리 사이에서 분리하는 힘을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는, 제 1 고리의 다수의 세그먼트의 절반이 제 2 세그먼트에 상보적이며 제 2 세그먼트와 원주방향으로 교호로 배치되는 제 1 세그먼트이며; 제 1 세그먼트는 비드 성형 링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한 비드 성형 표면쪽으로 수렴하는 원주방향 횡방향 면을 구비하는 쐐기 형상이며, 제 1 세그먼트 횡방향 면은 평면이며 축방향으로 배향되어 있으며; 제 2 세그먼트는 제 1 세그먼트 횡방향 면에 상보적인 횡방향 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는, 제 1, 제 2 및 제 3 고리가 환형 측벽 성형 플레이트에 동심이며 이 플레이트내에 반경방향으로 있으며, 어댑터 플레이트인 제 5 고리는 측벽 성형 플레이트와 동심이며 이 플레이트의 축방향 외측에 있으며, 제 3 고리는 제 5 고리에 부착되어, 제 5 고리의 반경방향 내주연부로부터 돌출된 텅이 플랜지와 제 3 고리의 반경방향 외주연부 사이의 홈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레드와, 축방향으로 외측 힐(heel)로부터 축방향으로 내측 토(toe)까지 연장되는 반경방향으로 내측을 향한 비드 기부를 각각 구비하는 2개의 비드와, 상기 비드와 상기 트레드 사이로 연장되는 2개의 측벽을 포함하는 생 타이어용 몰드에 있어서, 각 측벽의 외측 표면과, 각 비드의 축방향 외측 부분을 각각 대략 힐내로 성형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측벽 플레이트와, 2개의 비드의적어도 비드 기부를 성형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비드 성형 링과, 타이어의 내측 표면을 성형하기 위한 팽창가능한 가황처리 박막을 포함하며; 고리이며, 측벽 플레이트중 하나 및 가황처리 박막과 협력하여 비드중 하나를 성형하기 위한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인 반경방향으로 외측을 향한 표면을 형성하도록 반경방향으로 팽창된 다수의 세그먼트와, 축방향으로 배향된 힘을 반경방향 힘 성분과 축방향 힘 성분으로 분할하기 위한 반경방향 내측 절두원추형 캠 표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과, 상기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과 동심이며 이와 축방향으로 인접해 있으며, 다수의 세그먼트의 반경방향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세그먼트 모두에 부착된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반경방향 스프링을 포함하는 환형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와 동심이며 이와 축방향으로 인접해 있는 환형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로서, 상기 환형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는 다수의 세그먼트의 축방향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와 상기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 사이에서 작용하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축방향 스프링을 포함하는, 상기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와, 제 1 고리의 반경방?? 내측 캠 표면에 상보적인 절두원추형의 반경방향 외측 캠 표면을 구비하는 환형 로크 링을 포함하며; 상기 로크 링은 몰드 프레스에 부착되어, 몰드 프레스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이동 및 축방향으로 배향된 힘을 로크 링에 부여하게 되며, 상기 로크 링의 반경방향 외측 캠 표면은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내에 반경방향으로 동심으로 위치되며, 이에 의해 로크 링의 반경방향 외측 캠 표면은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의 반경방향 내측 캠 표면상에 지지되어 축방향 배향 힘을 몰드 프레스로부터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의 캠 표면으로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 타이어용 몰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몰드는 인접한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쪽의 세그먼트형 비드 링 개구부내에 다수의 T자형상 가이드 슬롯을 더 포함하며, T자형상부의 넓은 크로스바 부분은 반경방향으로 정렬된 슬롯 가이드 표면을 구비하며, 또한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로부터 인접한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을 향해 돌출되고 T자형상 가이드 슬롯 내측에 끼워맞춰지도록 형성 및 치수설정된 다수의 가이드 T자형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T자형상부는 슬롯 가이드 표면에 상보적인 T자형상 가이드 표면을 구비하는 크로스바를 포함하여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의 세그먼트를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로부터 일정한 축방향 거리에 유지하는 동시에 세그먼트가 반경방향 내외로 활주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몰드가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내의 축방향 정렬 가이드 구멍을 통해 활주식으로 통과되고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에 부착된 다수의 가이드 볼트를 더 포함하여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 및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를 동심으로 그리고 축방향으로 인접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의 이동을 축방향으로만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몰드가 타이어 비드를 구비한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의 결합을 위한 2단계 이동을 포함하며, 제 1 단계 이동은 타이어 비드의 축방향 내측에 위치된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인 외측을 향한 비드 성형 표면을 형성하도록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의 반경방향 팽창을 포함하며; 제 2 단계 이동은 생 타이어 비드와 비드 성형 표면이 결합하도록 그리고 비드 성형 포켓을 형성하도록 측벽 플레이트중 하나와 작용하도록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을 축방향 외측으로 가압하는 것을 포함하며;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인 외측을 향한 비드 성형 표면이 형성되는 경우에 제 1 단계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 1 정지 표면과, 제 1 단계 이동이 제 1 정지 표면에 의해 정지된 후까지 비드 성형 링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축방향 스프링의 스프링 저항과, 비드 성형 포켓이 형성된 경우 제 2 단계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 2 정지 표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몰드는,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과 동심이며 이에 축방향으로 인접하며 이 링의 축방향 외측에 조립되는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와 동심이며 이에 축방향으로 인접하며 이 링의 축방향 외측에 조립된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와 동심이며 이에 반경방향으로 인접하며 이 링의 반경방향 외측에 조립된 환형 어댑터 플레이트; 어댑터 플레이트와 동심이며 이에 축방향으로 인접하며 이 플레이트의 축방향 외측에 조립된 측벽 플레이트중 하나를 포함하는 단일 유닛으로서 몰드 프레스 내외로 교체하기 위한 몰드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어댑터 플레이트는 플랜지와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의 반경방향 외주연부 사이의 홈내에 걸리도록 어댑터 플레이트의 반경방향 내주연부로부터 돌출되는 텅에 의해서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며, 어댑터 플레이트는 측벽 플레이트중 하나를 어댑터 플레이트에 동심으로 정렬되게 유지하기 위해서 측벽 플레이트중 인접한 하나를 향해 축방향으로 돌출된 환형 맞춤 립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하기의 설명을 참조하면 자명해진다.
도 1은 언더컷 비드 기부 및 비대칭 비드 직경부를 구비하는 종래 기술의 타이어를, 명확한 설명을 위해서 음영을 생략한 자오선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비성형 타이어가 장전된 몰드의 일부분을, 명확한 설명을 위해서 음영을 생략한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라 비드 성형 링을 비성형 바닥 비드를 결합시키기 위해서 2단 프로세스중 제 1 스테이지에서 반경방향으로 팽창된 비드 성형 링을 도시하는 몰드의 일부분을, 명확한 설명을 위해서 음영을 생략한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비드 성형 링을 비성형 바닥 비드와 결합시키기 위해서 2단 프로세스중 제 2 스테이지에서 축방향 외측으로 이동된 비드 성형 링을 도시하는 몰드의 일부분을, 명확한 설명을 위해서 음영을 생략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측벽 및 비드를 성형 위치로 당기기 위해서 팽창된 가황처리 박막을 구비한 몰드의 일부분을, 명확한 설명을 위해서 음영을 생략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몰드가 성형을 위해서 타이어 둘레에서 폐쇄되어 있는 몰드의 일부분을, 명확한 설명을 위해서 음영을 생략한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라 팽창된 상태에 있고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상에 안착된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의 평면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라 수축된 상태에 있고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상에 안착된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몰드에서 분리 그리고 수축될 때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의 주 요소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2의 일부분(타이어 및 가황처리 박막이 생략됨)의 상세 단면도로서, 이 단면도는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의 반경방향 스프링 요소를 도시하기 위해서 도 2에서의 방사상 라인과 상이한 방사상 라인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라 몰드에서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때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의 주 요소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3a의 몰드의 일부분(타이어 및 가황처리 박막이 생략됨)의 상세 단면도로서, 이 단면도는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의 축방향 스프링 요소를 도시하기 위해서 도 3a 및 도 7에서의 방사상 라인과 상이한 방사상 라인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라 몰드에서 축방향 외측으로 이동될 때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의 주 요소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3b의 몰드의 일부분(타이어 및 가황처리 박막이 생략됨)의 상세 단면도로서, 이 단면도는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의 축방향 스프링 요소를 도시하기 위해서 도 3b에서의 방사상 라인과 상이한 방사상 라인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도 6a의 평면도에 도시되었지만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가 없는 팽창된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의 저면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라 도 9의 9A-9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의 모든 세그먼트에 공통인 단면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라 도 9의 9B-9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의 모든 세그먼트에 공통인 T자형-슬롯 및 스프링 후크 특징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도 6a의 평면도에 도시되어 있지만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이 그 위에 안착되어 있지 않은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라 도 10의 10A-10A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상에 장착된 가이드 T자형상부의 대표적인 하나의 단면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라 도 10의 10B-10B 선을 따라 취한 반경방향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 아래에 조립하기 위한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라 도 11의 11A-11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전형적인 가이드 홀 및 스프링 포켓의 단면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라 도 11의 11B-11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전형적인 플랜지의 단면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라 도 11의 11C-11C 선을 따라 위한 단면도로서, 키홀을 구비하는 플랜지를 도시하는 반경방향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측벽 몰드 플레이트 아래에 그리고 도 11의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의 외측 원주 둘레에 고리로 조립하기 위한 어댑터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라 도 12의 12A-12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전형적인 텅 요소를 포함하는 단면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생 타이어112a, 112b : 비드
114a, 114b : 측벽116 : 트레드
200 : 타이어 몰드202b : 측벽 성형 플레이트
220 : 몰드 프레스250, 280 : 비드 성형 링 조립체
252 : 비드 성형 링254, 256 : 세그먼트
259 : 비드 성형 표면260 :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
262 :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7 : 캠 표면
272 : 제 1 세트 스프링276 : 제 2 세트 스프링
410a, 410b : 반경방향 힘 성분415a, 415b : 축방향 힘 성분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그 예가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은 설명을 위한 것이지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을 이들 바람직한 실시예의 내용으로 일반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특정 실시예로 본 발명의 영역 및 정신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면의 선택된 것들에서 특정 요소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서 정확한 비율로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필요하다면 설명된 단면도는 "슬라이스" 또는 "근시안적" 단면도의 형태이며, 명확한 설명을 위해서 실제 단면도에서 보일 수 있는 특정 음영선은 생략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조, 작동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이해하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에서, 종래 기술(미국 특허 제 6,092,575 호 참조)의 타이어(10)가 자오선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타이어(10)는 트레드(16), 각기 제 1 및 제 2 비드(12a, 12b) 및 트레드(16)와 각기 비드(12a, 12b) 사이에서 연장되는 2개의 측벽(14a, 14b)을 포함한다. 비드(12a, 12b)는 언더컷되어 있으며, 타이어는 비대칭이며 상이한 비드 직경을 가진다. 각 비드(12a, 12b)는 각기 힐(20a, 20b), 각기 토(22a, 22b) 및 힐(20a, 20b)과 토(22a, 22b) 사이로 연장되는 각기 비드 기부(24a, 24b)를 구비한다. 전형적으로, 타이어 비드 기부는 힐로부터 토까지 평면이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표면을 구비할 수 있다. 비드(12a, 12b)의 언더컷 성질은 축방향 내측으로 개방되는 하나 이상의 비드 기부 예각(α, β)에 특징이 있다. 그 결과, 힐(비드 기부의 축방향 최외측 범위)에서의 비드 직경은 토(비드 기부의 축방향 최내측 범위)에서의 비드 직경보다 작은데, 즉 비드 힐 직경(D1)은 제 1 비드(12a)에 대한 비드 토 직경(D2)보다 작으며, 비드 힐 직경(D4)은 제 2 비드(12b)에 대한 비드 토 직경(D3)보다 작다. 타이어(10)의 비대칭 성질은 2개의 비드(12a, 12b)의 공칭 직경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타이어(10)에 있어서, 제 1 비드(12a)의 비드 토 직경(D2)은 제 2 비드(12b)의 비드 힐 직경(D4)보다 작다. 비드(12a, 12b)의 반경방향 내측 한계는 각기 참조부호(L1, L2)로 표시되어 있다. 이들 한계는 타이어 직경이 가장 작은 지점에 대응한다. 따라서, 비드(12a)에 있어서, 한계(L1)에서의 직경은 D1이다. 비드(12b)에 있어서, 한계(L2)에서의 직경은 D4이다. 이러한 타이어 구성은 특정 휠 림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타이어 성형시에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 1의 종래 기술의 타이어(10)와 같은 언더컷 비드 및 비대칭 비드 직경을 구비하는 생(가황처리되지 않은) 타이어를 성형하는데 유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타이어의 성형으로만 제한되지 않는 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오히려, 본 발명은 모든 타이어 몰드, 특히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몰드에 사용될 때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개선점 및 이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은 통상적인 대칭 비드 직경 및 모든 비드기부 프로파일을 가진 타이어용 몰드에 사용되지만, 비드 성형 링의 적어도 일부분을 비드의 축방향 내측에 위치시키지 않고 성형될 수 없는 언더컷 비드 기부용 몰드에 사용된다. 또한,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은 미국 특허 제 4,236,883 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박막이 없는 가황처리 프로세스"에서 타이어 성형을 하기 위해서 비드의 내측 부분을 파지하는데 이용된다.
상세한 설명은 특정 방향성 용어, 즉 "반경방향", "축방향", "자오선", "내측" 및 "외측"이란 용어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용어는 타이어 분야에 잘 공지되어 있으며, 타이어 몰드 및 몰드 프레스에 대해서 설명될 때 이들 용어는 유사한 방법에 있어서 몰드 프레스의 특정 지주가 몰드의 회전축에 뿐만 아니라 몰드에 위치된 타이어의 회전축에 위치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축" 방향은 중앙 지주에 평행하고 몰드에 위치된 타이어의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이다. 유사하게, 반경방향은 몰드내에 위치된 타이어의 축인 몰드의 회전축에서 시작되는 반경 라인의 방향이다. 유사하게, "내측", "외측" 및 관련 용어는 몰드 및/또는 타이어의 내측 캐비티에 대한 것이다.
도 2, 도 3a, 도 3b, 도 4 및 도 5(도 2 내지 도 5)는 몰드 프레스(220)내의 타이어(110) 및 몰드(200)의 하나의 반부에 대해서 자오선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110)상에서 실행된 본 발명의 성형 공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주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타이어(110)가 성형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 5를 참조하면, 타이어(110)는 언더컷 비드(112a, 112b)(전체적으로 참조부호 112라고 함) 및비대칭 타이어 직경을 구비하는 타이어(10)와 유사하며, 바닥 비드(112b)의 힐(120b)에서의 직경(D4)은 상부 비드(112a)의 토(122a)에서의 직경(D2)보다 크거나 동일하다. 이러한 특정 비드 직경 비대칭으로 인해 종래 기술의 미국 특허 제 6,238,193 호의 연속적인 중앙 성형 링(13)과 같은 중실(세그먼트형이 아니라 연속적인 링) 상부 비드 성형 링(230)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250)는 바닥 비드(112b)를 성형하는데 이용된다.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250)는 이하에 규정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에서 간략함 및 명확함을 위해서, 부품의 단면 음영은 타이어(110)의 내측 요소에서와 같이 생략했다. 타이어(110)는 비드(112)와, 트레드(116)와, 트레드(116)와 각 비드(112) 사이로 연장되는 측벽(114a, 114b)(전체적으로 참조부호 114라고 함)을 구비한다.
비드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측벽의 축방향 외측 표면은 상부 측벽 플레이트(202a) 및 바닥 측벽 플레이트(202b)로서 도시된 측벽 플레이트라고 하는 부품에 의해 일반적으로 성형되며, 상기 측벽 플레이트(202a, 202b)는 전체적으로 측벽 플레이트(202)라고 한다. 측벽 플레이트(202)는 최소 직경의 위치, 즉 종래에 비드(112)의 반경방향 최내측 팁으로부터 개시되며, 대략 타이어의 숄더까지 연장된다. 실제로, 때때로 측벽 플레이트(202)와 독립적인 요소는 비드(112)의 축방향 외측 면을 성형하는데 사용되지만, 본 발명의 내용에 있어서 비드(112)의 외측 표면을 성형하는 부분이 측벽 플레이트(202)와 일체인 또는 이와 별개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타이어(110)의 장전, 성형 및 해제는 타이어(110)와 이것을 성형하는 각 측벽 플레이트(202) 사이의 축방향에서의 상대적인 운동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5에 있어서, 비드(112) 및 측벽(114)의 외측 표면에 부여되는 형상은 각 측벽 플레이트(202)와 타이어(110) 사이의 축방향에서의 상대적인 운동에 순응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언더컷 비드 설계는 가황처리 박막(210)에 의해서 소망의 정확도로 부여될 수 없는 형상으로 성형되어야 하는 비드(112)의 축방향으로 내측을 향한 부분을 생성한다. 따라서, 추가 강성 성형 부품 및 비드 성형 링을 사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비드 성형 링(230)은 연적인 링이며, 바닥 비드 성형 링(252)은 세그먼트형 링이다. 보다 큰 직경의 비드를 성형하기 위한 링이 세그먼트형 링이라는 사실로 인해서 도시된 비드(112)와 같은 언더컷 비드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비드 성형 링(230, 252)은 측벽 플레이트(202)가 그 성형 실행이 종료되는 지점으로부터 가황처리 박막(210)이 효과적인 성형을 개시할 수 있는 내측 지점까지 비드(112)의 각각의 부분을 성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제안된 몰드(200)에 있어서, 보다 적은 직경의 비드(112a)에 대한 직경(D2)의 수치는 보다 큰 직경의 비드(112b)에 대한 직경(D4)보다 작거나 이와 동일하다. 따라서, 연속적인 비드 성형 링(230)을 대향 비드(112b) 내측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속적인 비드 성형 링(230)은 단일편으로 제조된다. 다른 측면상에서,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은 몇 개의 그룹, 즉 제 1 세그먼트(254)의 그룹 및 제 2 세그먼트(256)의 그룹으로 제조된다.이것은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이 수축될 수 있게 하여, 타이어(110)가 몰드(220)내에 위치될 수 있고 가황처리후에 추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6a 및 도 6b에는 비드 성형 링(252)이 제 1 세그먼트(254)의 개수(N)(여기에서 N=3)와, 제 1 세그먼트(254)와 상보적이며 이와 원주방향으로 교호하는 제 2 세그먼트(256)의 유사한 개수(N)를 포함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제 1 세그먼트(254)(또한 쐐기 세그먼트로서 공지되어 있음)는 비드 성형 링(252)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을 향한 비드 성형 표면(259)(도 9a의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음)을 향해 수렴하는 원주방향 측방향 면(255)을 구비하는 쐐기 형상이며, 제 1 세그먼트 측방향 면(255)은 평면이며 축방향으로 향해 있다. 제 2 세그먼트(256)는 제 1 세그먼트(254)의 측방향 면(255)에 상보적인 측방향 면(257)을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서 절취부를 회피하기 위해서, 측방향 면(255, 257)은 도 6a 및 도 6b의 상부에서 제 1 세그먼트(254)중 하나에 대해서만 참조부호가 붙여있지만, 유사한 참조부호를 붙이는 것은 모든 세그먼트(254, 256)에 대해서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도 6a는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을 반경방향으로 팽창된 상태로 도시한 것이며, 도 6b는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을 반경방향으로 수축된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제 1 세그먼트(254)상에서 반경방향 외측(방향 참조부호 310)으로 밀면 제 1 세그먼트(254)가 제 2 세그먼트(256) 사이에 쐐기 고정되고 이 제 1 세그먼트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또한 밀어낸다.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은 수축된 외경(Dr)(도 6b에서 점선 원으로 표시됨)으로부터 팽창된 외경(De)까지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하다. 수축된 외경(Dr)은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에 의해 성형되게 되는 비형성된 비드(112b')의 내경(D4')(도 2 참조)보다 작거나 이와 동일하다. 팽창된 외경(De)으로 팽창될 때, 세그먼트형 성형 링은 비드(112b')를 성형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비드 기부(124b)를 형성하기 위해서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인 반경방향으로 외측을 향한 표면(259)을 구비한다.
마지막으로, 타이어(110)의 내측 캐비티의 나머지를 성형하기 위해서, 가황처리 박막(210)이 이용되며, 박막 가황처리는 오랫동안 사용되고 입증된 기술이다. 또한, 몰드(200)는 측벽 플레이트(202)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다중 섹터(201)(예를 들면 6개의 섹터)를 이용한다.
몰드(200)는 바닥 측벽 플레이트(202b)가 그 위에 고정된 기부(206)와, 중앙 지주(204)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어댑터 플레이트(264)는 바닥 측벽 플레이트(202b)와 프레스 기부(206) 사이에 고정된다. 또한, 프레스(220)는 상부 프레임이라고도 하는 가동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며, 상부 측벽 플레이트(202a)는 상기 가동 프레임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프레스(220), 몰드(200) 및 타이어(110)의 특정 부품은 프레스가 그 축방향 수직방향으로 위치된 몰드를 수납하도록 대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통상적인 용어에 대응하는 부속적인 "바닥" 및 "상부"를 기준으로 한다. 물론, 프레스(220), 몰드(200) 및 타이어(110)의 부품의 "바닥" 또는 "상부" 설명은 제한되지 않으며, 이들 용어는 종래의 용어를 사용하는데만 이용된다.
몰드(200)는 대칭 가황처리 박막(210)을 이용하고 있지만, 박막의 대칭은 제한되지 않는다. 가황처리 박막(210)의 상부 단부는 상부 비드 성형 링(230)과, 중앙 지주(204)에 이동가능하게 부착된 상부 클램프 링(208a) 사이에 체결된다. 그 바닥 단부에 있어서, 가황처리 박막(210)은 바닥 로크 링(266)과, 상하(축방향으로)로 활주되는 허브(209)에 의해서 중앙 지주(204)에 이동가능하게 부착된 바닥 클램프 링(208b) 사이에 체결된다. 바닥 로크 링(266)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형상(절두원추형) 및 기능을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프레스(22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지된 다른 표준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표준 요소는 가황처리 열 및 압력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몰드(200) 및 프레스(220)의 부품에 필요한 운동을 제공한다. 특히, 일반적으로 허브(209)는 성형 공정 동안에 다양한 시간에 중앙 지주(204)상에서 상하로 활주되게 된다. 본 발명은 바닥 비드(112b)와 본 발명의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250)의 구동 결합 및 분리되게 하는 이러한 표준 운동 능력을 이용한다.
이제 본 발명의 성형 공정을 공정의 주요 단계를 도시하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성형되고 가황처리되지 않은 타이어(110')는 개방 장전 상태에 있는 몰드(200)내로 하방 장전된다. 가황처리 박막(210)은 특이한 방법으로 수축되고 내측으로 접혀지며, 트레드 섹터(201)(도시되지 않음) 및 상부 측벽 플레이트(202a)(도시되지 않음)도 또한 표준 실시예에 따라 비차폐 위치로 이동된다. 비성형 하부 비드(112b')는 최대 외경(D2)을 가진 연속적인 상부 비드 성형 링(230)상으로 통과되기에 충분히 큰 내경(D4')을 가지며, 상기 외경은 내경(D4')보다 작거나 이와 동일하다. 이것은 세그먼트형이 아니고 비팽창성의 상부 비드 성형 링(230)이 비성형 상부 비드(112a')의 축방향 내측에 있도록 한다. 비성형 바닥 비드(112b')는 바닥의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 위를 통과한 후에 바닥 측벽 플레이트(202b)의 비드 성형 부분(244)에 안착되게 되며, 이에 의해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은 비성형 바닥 비드(112b')의 축방향 내측에 있게 된다.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은 바닥 클램프 링(208b) 및 허브(209)에 의해 상방으로 당겨지는 바닥 로크 링(266)의 수직 상방향 이동에 의해 이뤄지는 바와 같이 수축 및 분리되며, 바닥 로크 링(266)은 상기 링(208b) 및 허브(209)에 부착된다.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분리는 이후에 설명하는 스프링에 의해 구동되며, 2단계 이동, 즉 수직방향(축방향 내측) 상승 운동 및 반경방향 수축(도 6b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분리 상태에서,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은 바닥 측벽 플레이트(202b)의 비드 성형 부분(244)에 안착되는 비성형 바닥 비드(112b')의 반경방향 내측 그리고 또한 비드(112b')의 위로(축방향 내측) 위치된다.
다음에,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은 제 1 단계 이동시에 반경방향으로 팽창되어(도 6a에 도시됨), 바닥 클램프 링(208b) 및 허브(209)에 의해 하방으로 밀려지는 바닥 로크 링(266)의 수직방향 하방 운동으로 수축시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쐐기 고정되며, 바닥 로크 링(266)은 상기 링(208b) 및 허브(209)에 부착된다.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세그먼트(254, 256)는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T자형상부(도 3a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단지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며,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외측 정지부 표면(278)과 바닥 측벽 플레이트(202b)의 반경방향 내측 표면(242)의 접촉에 의해 그 반경방향 운동의 범위가 제한된다.
다음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은 제 2 단계 운동시에 비드(112b')와 결합되어, 바닥 클램프 링(208b) 및 허브(209)에 의해 하방으로 밀려진 바닥 로크 링(266)의 추가 수직방향 하방 운동으로 수축시에 축방향 외측(하방)으로 압착되며, 바닥 로크 링(266)은 링(208b) 및 허브(209)에 고정된다. 결합된 상태에서,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은 바닥 측벽 플레이트(202b)의 인접한 비드 성형 부분(244)과 작동하는 위치에 그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인 비드 성형 표면(259)을 위치시켜서 가황처리 박막(210)에 의해 이동가능한 내측 표면을 제외한 바닥 비드(112b')의 모든 표면을 성형하는 바닥 비드 성형 포켓(240b)을 형성한다. 제 2 단계 이동시에,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세그먼트(254, 25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볼트(도 3b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축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제한된다.
비성형 비드(112b')가 대략 규정된 형상을 가질지라도, 본 발명의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252)의 2 단계 맞물림 운동은 비드 성형 링(252)이 1차로 비성형 타이어(110')의 캐비티내에 연속적인 성형 표면(259)을 형성하고, 2차로 비성형 바닥 비드(112b')를 바닥 비드 성형 포켓(240b)내로 축방향 외측으로 효율적으로 "집중시킨다"(중앙집중을 포함).
다음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황처리 박막(210)은 비성형 타이어(110')내에서 팽창된다. 바닥 비드(112b)는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에 의해서 바닥 비드 성형 포켓(240b)내에 유지되며, 이에 의해 팽창하는 가황처리 박막(210)으로부터의 반경방향 외측 압력이 측벽(114) 및 그에 따른 비드(112)를 축방향 내측으로 끌어당기게 될 때, 비성형 상부 비드(112a')는 (상부) 연속적인 비드 성형 링(230)을 향해 하방으로 당겨질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110)의 성형은 트레드-성형 섹터(201) 및 상부 측벽 플레이트(202a)를 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타이어(110) 둘레의 몰드(200)를 폐쇄하는 종래의 방법으로 완료된다. 몰드 프레스(220) 및 가황처리 박막(210)을 이용하여 종래의 방법으로 압력 및 열이 가해진다. 상부 측벽 플레이트(202a)가 제 위치에 있을 때, 플레이트(202a)는 인접한 연속적인 비드 성형 링(230)과 함께 작동하여, 가황처리 박막(210)에 의해 이동가능한 내측 표면을 제외한 상부 비드(112a)의 모든 표면을 성형하는 상부 비드 성형 포켓(240a)을 형성한다.
도 6a, 도 6b, 도 7, 도 8a, 도 8b, 도 9, 도 9a, 도 9b, 도 10, 도 10a, 도 10b, 도 11, 도 11a, 도 11b, 도 11c, 도 12 및 도 12a(도 6a 내지 도 12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250)의 상세를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비드 성형 링 조립체(250)의 주요 요소는 제 1 세그먼트(254) 및 제 2 세그먼트(256)를 포함하는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도 6a, 도 6b, 도 9, 도 9a 및 도 9b 참조); 반경방향 압축 스프링(272) 및 가이드 T자형상부(290)를 구비한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도 6a, 도 6b, 도 10, 도 10a 및 도 10b 참조); 축방향 압축 스프링(276) 및 가이드 볼트(282)를 구비한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도 8a, 도 8b, 도 11, 도 11a, 도 11b 및 도 11c 참조); 어댑터 플레이트(264)(도 12 및 도 12a 참조); 및 바닥 로크 링(266)(도 7, 도 8a 및 도 8b 참조)이 있다. 비드 성형 링 조립체(250)의 요소는 쉽게 제거가능하며, 이에 의해 일부 또는 모든 요소가 타이어의 대응하는 비드상에서 성형될 소망의 치수 및 프로파일에 따라서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 및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는 쉽게 제거되는 소조립체를 형성하며, 다음에 소조립체는 바닥 측벽 플레이트(202b)와 조립되는 어댑터 플레이트(264)에 용이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몰드 교체는 매우 간단하며;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 및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는 소조립체로서 교체될 수 있거나,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 어댑터 플레이트(264) 및 바닥 측벽 플레이트(202b)의 전체 조립체는 조립체로서 교체될 수 있다. 바닥 로크 링(266)은 상이한 비드 성형 표면(259) 및 상이한 팽창 외경(De)을 구비하는 다양한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으로 통상 이용가능하지만, 필요하다면 바닥 로크 링(266)은 바닥 클램프 링(208b)으로부터 이것을 볼트를 풀음으로써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 요소는 도 7, 도 8a 및 도 8b에의 전형적인 단면도에서 함께조립된 요소로 도시되어 있고, 요소의 상세한 도면은 도 6a, 도 6b, 도 9, 도 9a, 도 9b, 도 10, 도 10a, 도 10b, 도 11, 도 11a, 도 11b, 도 11c, 도 12 및 도 12a에서의 다양한 평면도 및 단면도에 개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술된 도 6a 및 도 6b는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상에 안착되는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이 그 팽창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 위치된 세그먼트(254, 256)를 도시한 것이며, 도 6b는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이 그 수축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 위치된 세그먼트(254, 256)를 도시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세그먼트(254) 및 제 2 세그먼트(256)는 단지 상술한 바와 같이 원주방향 범위에서 그리고 각기 그 원주방향 측방향 면(255, 257)의 배향에서 상이하다. 도 6a 및 도 6b에서의 실선은 평면도에서 볼 수 있는 프로파일 에지 또는 코어를 나타낸다.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반경방향 내측 표면은 상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 및 축방향 외측(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경사져서 절두원추형 단면에 상보적인 환형 표면을 형성하는 캠 표면(258)이다. 세그먼트(254, 256)와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 사이에서 작동하는 특정 다른 요소(268, 271, 290)도 또한 도 6a 및 도 6b에서 볼 수 있다. 참조부호(268, 271, 290)가 도 6a에서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하나의 세그먼트(256)에서 그 대응하는 요소에 대해서만 표시되어 있지만, 이들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모든 세그먼트(254, 256)에서의 대응하는 요소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가이드 T자형상부(290)는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를 향해 각 세그먼트를 유지하며, 반경방향(즉, 방향 310)의 세그먼트 운동을 규정한다. 스프링 후크(268)(세그먼트당 2개)는 후크 슬롯(271)을 통해 하방에서 후크고정하여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내에 수용된 반경방향 스프링(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과 서로 작용한다.
도 9는 팽창된 상태(도 6a의 평면도와 비교할 때)에서의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저면도이다. 3개의 쐐기 세그먼트(254)(제 1 세그먼트)는 3개의 제 2 세그먼트(256)와 교호한다. T자형상 가이드 슬롯(294)은 각 세그먼트(254, 256)의 중앙에 반경방향으로 배향되며, 스프링 후크(268)는 각 세그먼트(254, 256)내의 T자형상 가이드 슬롯(294)의 양 측면상의 등거리 지점에 부착된다.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반경방향 외측 프로파일의 특징부(270, 259, 278)가 표시되어 있지만, 단면도(도 9a)를 참조하여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의 9A-9A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 9a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도면은 제 1 세그먼트(254) 및 제 2 세그먼트(256) 양자에 공통인 단면 프로파일을 도시하고 있다. 단면은 도 9와 동일한 배향, 즉 상부에 도시된 축방향 외측(바닥) 표면을 구비한 "상측 하방(upside-down)"으로 도시되어 있다.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반경방향 최외측 표면은 전형적으로 비드 기부(124b)를 성형하기 위해 형성된 비드 성형 표면(259)이다. 비드 성형 표면(259)은 비드 기부(124b)에 대한 다중 각도, 예를 들면 종래 기술의 타이어(10)에 대한 도 1에 도시된 기부 각도(α, β)를 제공하기 위해 팁(270)을 포함할 수 있는 모든 소망의 형상일 수 있다. 비드 성형 표면(259)으로부터 축방향 외측으로, 하부 정지 표면(279)으로서 기능하는 수평방향 표면과,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세그먼트(254, 256)의각각 축방향 외측 그리고 반경방향 외측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외측 정지 표면(278)으로서 기능하는 수직방향 표면이 있다.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반경방향 내측 표면은 캠 표면(258)이며, 이 표면(258)은 반경방향 내측 및 축방향 외측(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각도(θ)로 경사져서 절두원추형 섹션에 상보적인 환형 표면을 형성한다. 스프링 후크(268)는 나사(269)에 의해 세그먼트(254)에 부착된다.
도 9의 9B-9B 라인을 따라 취한 반경방향 측면도가 도 9b에 도시되어 있다. 스프링 후크(268)는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세그먼트(254, 256)중 전형적으로 세그먼트(254)내의 T자형상의 T자형상부 가이드 슬롯(294)의 양 측면상에 도시되어 있다. T자형상 가이드 슬롯(294) 내측의 표면(295a, 295b)은 도 10a를 참조하여 이하에 더 설명될 것이다.
도 10은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상부 좌측 부분에서 요소에 붙여진 참조부호는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 둘레의 이러한 모든 요소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6개의 가이드 T자형상부(290)는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내의 T자형상 가이드 슬롯(294)의 일정한 위치에 대응하는 일정한 위치에 부착되어, 이들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조립될 때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상에 안착된다. 각 가이드 T자형상부(290)의 양 측면상의 등거리에는 반경방향 스프링(272)이 있으며, 상기 스프링(272)은 각 스프링 유지 구멍(270)의 상부 측면을 따라 개구부를 제공하는 후크 슬롯(271)을 구비하는 반경방향으로 정렬된 스프링 유지 구멍(274)에 유지된다. 스프링 유지 구멍(274) 및 후크 슬롯(271)은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 아래에 부착된 스프링 후크(268)와 대응적으로 위치되어, 이들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될 때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상에 안착된다. 나사형성 장착 구멍(284)은 가이드 볼트(282)(도 8a 및 도 8b에 도시되어 있으며, 후술됨)를 제 위치에 나사체결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예를 들면 6개의 위치)으로 제공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예를 들면 3개)의 상부 축방향 스프링 포켓(275)은 또한 일정한 간격(예를 들면 6개의 위치)으로 제공되며, 축방향 스프링(276)(도 8a 및 도 8b에 잘 도시되어 있으며, 후술됨)의 상부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서 하방에 포켓 구멍 개구를 구비한다.
도 10의 10A-10A 라인을 따라 취한 반경방향 측면도가 도 10a에 도시되어 있다. 스프링 유지 구멍(274)은 이 구멍내에 삽입된 스프링 유지 플러그(273)를 구비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스프링 유지 플러그(273)는 자체-로킹의 소켓-헤드 나사형성 플러그이며, 이 플러그는 스프링 유지 구멍(274)의 단부내로 나사체결되어 반경방향 스프링(272)을 스프링 유지 구멍(274)(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내에 유지할 수 있다. 가이드 T자형상부(290)는 나사(292)에 의해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의 측면에 나사체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 T자형상부(290)는 기계가공된 금속의 단일편이거나, 2개의 부분, 즉 크로스바(291a) 및 스탠드오프(291b)로 구성된다. 스탠드오프(291b)는 중요한 T자형상 가이드 표면(293a, 293b)을 위해서 "T자형상부"를 제공하기 위해서 크로스바(291a)보다 좁다. 가이드 T자형상부(290)는,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상에 일정한 축방향 거리에서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세그먼트(254, 256)를 유지하는 동시에 또한 세그먼트(254, 256)를 반경방향으로 내외로 활주되게 하는 방법으로 가이드 슬롯(294)(도 9b 참조)을 내측에 끼워맞추도록 형성 및 치수설정된다. 크로스바(291a)의 축방향 외측(하부) 표면은 대응하는 슬롯 축방향 가이드 표면(295a)을 향해 활주되는 T자형상 축방향 가이드 표면(293a)을 제공하여,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세그먼트(254, 256)와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 사이의 축방향의 상대적인 이동을 방지한다. 크로스바(291a)의 원주방향 측면 표면은 대응하는 슬롯 반경방향 가이드 표면(295b)을 향해 활주되는 T자형상 반경방향 가이드 표면(293b)을 제공하여, 반경방향(예를 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310))에서의 이동에 대한,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세그먼트(254, 256)와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제한한다.
도 10의 10B-10B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이 도 10b에 도시되어 있다. 단면은 나사(292)에 의해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에 부착된 전형적인 가이드 T자형상부(290)의 중간을 통해 연장되며, 스탠드오프(291b)는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상에 크로스바(291a)를 적당한 정도로 유지하여, 가이드 T자형상부(290)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슬롯(294) 내측에 끼워맞춰진다.
도 11은 도 2 내지 도 5, 도 7, 도 8a 및 도 8b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 아래에 동심으로 조립되도록 설계된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상부 좌측 부분에서의 요소에 붙여진 참조부호는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 둘레의 이러한 모든 요소에도 유사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가이드 구멍(286)은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내의 나사형성 장착 구멍(284)과 대응적으로 위치되며, 바닥 축방향 스프링 포켓(277)은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내의 상부 축방향 스프링 포켓(275)과 대응적으로 위치된다. 또한, 도 11의 11A-11A 라인을 따라 취한 도 11a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바닥 축방향 스프링 포켓(277)은 축방향 스프링(276)의 하부 단부를 수용하도록 상방이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도 8a 및 도 8b에 도시되어 있으며, 후술된다). 가이드 구멍(286)은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의 상부를 관통하는 통로에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다음에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의 바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캐비티(288)내로 확장된다. 가이드 구멍(286) 및 캐비티(288)는 가이드 볼트(282)의 부분을 수용하도록 설계된다(도 8a 및 도 8b에 도시되어 있으며, 후술된다).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의 반경방향 외주연부(299)는 어댑터 플레이트(264)의 반경방향 내주연부(305)의 대응하는 특징부와 상호로킹되도록 설계된 특징부(296, 297, 298a)를 구비하며, 상기 어댑터 플레이트(264)는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 둘레에 동심으로 조립되며, 도 12 및 도 12a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후술된다. 도 11을 더 참조하면, 도 11의 11B-11B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 11b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의 11C-11C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 11c에 도시되어 있다. 다수(예를 들면 3개)의 바람직하게 일정하게 이격된 플랜지(297)는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의 반경방향 외주연부(299)상에 제공되어 있다. 도 11의 숨겨진(점선) 라인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296)은 반경방향 외주연부(299)의 바닥 부분내로 절취되며, 외주연부(299) 둘레에서 모든 방법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1b의 단면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97)는 홈(296)의 부분내로 돌출되어 있지만, 홈(296)의 일부분을 항상 개방시켜 둠으로써, 홈(296)이 외주연부(299) 둘레에서 모든 방법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된다. 도 11c의 측면도에 도시된 플랜지(297)는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의 반경방향 외주연부(299)의 상부로부터 바닥까지 수직방향(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키 슬롯(298a)에 의해 차단된다.
도 12는 어댑터 플레이트(264)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어댑터 플레이트(264)는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를 동심으로 둘러싸도록 조립되게 설계되며, 또한 도 2 내지 도 5, 도 7, 도 8a 및 도 8b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 프레스(220)의 바닥 측벽 플레이트(202b)와 기부(206) 사이에서 스페이서로서 기능한다. 도 12와, 도 12의 12A-12A 라인을 따라 취한 도 12a를 참조하면, 텅(304)은 어댑터 플레이트(264)의 반경방향 내주연부(305)상에 제공되어 있다. 텅(304)은 내주연부(305) 둘레로 연장되지만,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의 플랜지(297)로 양, 크기 및 이격 간격에 대응하는 플랜지 갭(300)에 의해 차단된다. 텅 키 슬롯(298b)이 적당한 위치에 제공되며, 이에 의해 어댑터 플레이트(264) 및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가 적절하게 조립될 때,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는 플랜지 키 슬롯(298a) 및 텅 키 슬롯(298b)이 정렬될 때까지 회전되어, 키(도시되지 않음)가 플레이트(262, 264)를 함께 로킹시키기 위해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맞춤 립(302)이 제공되어, 어댑터 플레이트(264) 및 바닥 측벽 플레이트(202b)가 몰드 프레스(220)내에 조립될 때 이들의 동심성을 확보한다. 다수의나사형성 구멍(306a) 및/또는 오목한 구멍(306b)이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나사 및/또는 스터드가 몰드 프레스(220)의 바닥 측벽 플레이트(202b) 및 기부(206)에 대해서 어댑터 플레이트(264)를 부착 및 위치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도 7, 도 8a 및 도 8b는 몰드(200)의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b 및 도 2에 도시된 결합된 그리고 수축된 상태이지만 반경방향 스프링(272)과 결합된 요소를 도시하기 위해서 도 2와는 상이한 반경 라인상에 취한 단면을 가진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을 구비한 조립체(250)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도 6 및 도 3a에 도시된 반경방향으로 팽창된 상태이지만 축방향 스프링 요소(276)와 관련된 요소를 도시하기 위해서 도 3a 및 도 7과는 상이한 반경상에서 취한 단면을 가진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을 구비한 조립체(250)를 도시한 것이다. 도 8b는 도 3b에 도시된 비성형 비드(112b')(도시되지 않음)를 결합하기 위한 위치로 축방향 외측으로 이동되어 있지만 도 8a와 동일한 라인상에서 취한 단면을 가진 이미 팽창된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을 구비한 조립체(250)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9의 9A-9A 라인, 즉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중 대표적인 세그먼트(예를 들면 제 1 세그먼트(254))내의 스프링 후크(268)중 하나의 중심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취한 단면도이다. 제 1 세그먼트(254)가 도 7에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동일한 요소가 제 2 세그먼트(256)에 유사한 형태로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8a 및 도 8b는 도 11의 11A-11A 라인을 따라, 즉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대표적인 세그먼트(예를 들면 제 2 세그먼트(256)) 아래의 전형적인 축방향 스프링 포켓(277)및 전형적인 가이드 구멍/캐비티(286/288)의 중심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취한 단면도이다.
도 5, 도 6a, 도 7,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250)가 조립체로서 도시되어 있다. 바닥 로크 링(266)은 바닥 클램프 링(208b)에 볼트체결되며, 서로 부착되지 않고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상에 위치되어 있지만, 로크 캠 표면(267)이 비드 성형 링(252)의 캠 표면(258)을 향해 활주될 때 상호작용한다.
T자형상 가이드 슬롯(294)내의 가이드 T자형상부(290)에 의해서,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세그먼트(254, 256)는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의 상부상에 축방향으로 유지되지만, 세그먼트(254, 256)는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에 대해서 반경방향으로 활주될 수 있게 된다. 각 스프링 후크(268)는 세그먼트(254, 256)의 바닥에 부착되며, 후크 슬롯(271)을 통해서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내의 스프링 유지 구멍(274)내로 후크고정되어, 반경방향 스프링(272)과 상호작용하여 세그먼트(254, 256)상에 반경방향 내측 힘을 발휘한다.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는 동심으로 그리고 가이드 볼트(282)에 의해서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상에 유지되며, 상기 가이드 볼트(282)는, 가이드 볼트(282)의 생크 부분(283b)이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의 가이드 구멍(286)내에서 활주될 때 단지 축(수직방향)방향에서의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의 이동을 안내한다. 바람직하게, 가이드 볼트(282)는,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의 장착 구멍(284)내로 나사체결하기 위한 나사형성 부분(283a)과; 가이드 구멍(286)에 활주식으로 끼워맞춰진 부드러운 측면의 숄더 또는 "생크"(283)와; 볼트 헤드(283c)를 구비하는 숄더 볼트이다. 가이드 볼트 헤드(283c)는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내의 캐비티(288)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간극을 갖고 있지만, 볼트 헤드(283c)가 캐비티(288)의 상부 단부(289)를 향해 정지될 때 가이드 볼트(282)와, 그에 따라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의 상방 이동을 제한한다. 축방향 스프링(276)은 스프링 포켓, 즉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내의 상부 축방향 스프링 포켓(275)과,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내의 바닥 축방향 스프링 포켓(277)에 안착된다. 축방향 스프링(276)은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를 상방(축방향 내측)으로 밀어내는 분리력을 발휘한다.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는 이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의 홈(296) 및 플랜지(297)와 상호작용하는 어댑터 플레이트(264)의 텅(304)에 의해서 어댑터 플레이트(264)에 동심으로 그리고 플레이트(264)내에서 반경방향으로 제거가능하게 부착된다. 플랜지(297)가 텅(304)내의 플랜지 갭(300)과 정렬될 때,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는 어댑터 플레이트(264)의 중심내로 하강되며, 이에 의해 플랜지(297)는 플랜지 갭(300)을 통해 텅(300)의 다른 측면으로 하방 통과되며, 텅(304)은 홈(296)내에 안착되게 된다. 다음에,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는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어서, 플랜지(297)가 텅(304) 아래 주변에서 활주되며, 이에 의해 플랜지(297)와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의 반경방향 외주연부 사이에서 홈(296)내의 어댑터 플레이트(264)의 텅(304)을 파지한다.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 및 어댑터 플레이트(264)는, 각기 선택적인 키 슬롯(298a, 298b)을정렬하고, 다음에 키(예를 들면 롤 핀, 도시되지 않음)를 삽입함으로써 함께 로킹될 수 있다.
어댑터 플레이트(264)는 이 플레이트에 동심으로 정렬된 바닥 측벽 플레이트(202b)를 유지하기 위한 맞춤 립(302)을 구비한다. 구멍(예를 들면 어댑터 플레이트(264)내의 구멍(306))내의 페그 또는 나사(도시되지 않음)가 사용되어 어댑터 플레이트(264)의 상부상의 제 위치에 바닥 측벽 플레이트(202b)를 유지할 수 있다. 유사하게, 구멍(예를 들면 어댑터 플레이트(264)내의 구멍(306))내의 페그 또는 나사(도시되지 않음)가 사용되어 어댑터 플레이트(264)를 유지하고, 그에 따라 프레스 기부(206)상의 적절한 위치에 전체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250)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 어댑터 플레이트(264) 및 바닥 측벽 플레이트(202b)를 포함하는 몰드 조립체(280)는, 상이한 타이어 구조의 비드상에서 성형될 수 있게 상이한 프로파일을 채택하도록 몰드 수리 또는 몰드 교체를 위해 몰드 프레스(220) 내외로 쉽게 교체될 수 있는 단일 유닛이다.
이제 본 발명의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250)의 요소의 상호작용에 대해서 도 7,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252)의 2단계 이동이 용이하게 제조되는 부품의 단순한 조립체를 이용하여 성취되고, 그에 따라 종래 기술의 복잡한 메카니즘보다 비용이 저렴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수축된 및 분리된 상태(도 7)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팽창된상태(도 8a)로, 그리고 팽창된 그리고 결합된 상태(도 8b)로의 2단계 이동은 몰드 프레스(220)의 허브(209)의 간단한 연속적인 하방(축방향 외측) 이동에 의해 이뤄진다. 스프링과 환형 요소의 조합체는 허브(209)의 이동을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세그먼트(254, 256)의 소망의 2단계 이동으로 전환한다. 환형 요소는 간단한 기계가공 및 구멍 보링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7은 타이어(110', 110)를 장전 및 분리하는데 필요한 반경방향으로 수축된 그리고 분리된 상태에서의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세그먼트(254)를 도시한 것이다.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은, 바닥 측벽 플레이트(202b)(또한 도 2에 도시됨)에 안착되는 경우에 바닥 비드(112', 112)의 위치의 반경방향 내측 그리고 또한 위치상에(축방향 내측) 위치된다. 반경방향 스프링(272)은 세그먼트(254)용의 이러한 2개 스프링(272)(가이드 토(290)의 양 측면상에 하나씩)중 하나이며, 한쌍의 스프링(272)은 도 2, 도 6b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을 수축된 위치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밀어내도록 반경방향에서 (한쌍으로) 충분한 힘을 가하도록 설계된 압축 스프링이다. 도 7에서, 절두원추형상 바닥 로크 링(266)은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을 수축시키도록, 즉 중앙 지주(204)쪽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상승된 위치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T자형상부(290)는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세그먼트(254, 256)를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에 대한 반경방향 이동으로만 제한한다. 스프링 후크(268)가 후크 슬롯(271)의 단부를 향해 정지될 때 스프링 후크(268)가 반경방향 이동의 범위를 제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세그먼트(254, 256)의 반경방향 내측 이동은 바닥 로크 링(266)의 위치에 의해 제한된다.
도 8a는 반경방향으로 팽창된 상태로의 이동의 제 1 단계후, 즉 도 3a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을 도시한 것이다. 하방 이동시에(화살표(320)로 표시된 방향에서 축방향 외측으로), 몰드 프레스(220)는 허브(209)에 충돌하고, 바닥 클램프 링(208b)은 바닥 로크 링(266)을 하방(방향(320))으로 이동시켜서 하방 제 1 힘(420a)을 발휘한다. 바닥 로크 링(266)이 각도(θ)에 있는 캠 표면(267)에 의해서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상에 제 1 힘(420a)을 발휘하기 때문에, 제 1 힘(420a)은 링(252)상에서 발휘되는 2개 성분의 힘, 즉 수평방향(반경방향) 제 1 힘 성분(410a) 및 수직방향(축방향) 제 1 힘 성분(415a)으로 분할된다. 바닥 로크 링(266)이 반경방향으로 정렬된 가이드 T자형상부(290)에 의해 허용되는 이동방향에서만 화살표(310)로 표시된 방향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제 1 세그먼트(254)를 쐐기고정하도록, 제 1 힘(420a)은 반경방향 스프링(272)의 압축 저항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반경방향 제 1 힘 성분(410a)을 생성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세그먼트(256)는 제 1 세그먼트(254)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쐐기고정된다. 도 6a 및 도 6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닥 로크 링(266)은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이 도 6a에서와 같이 완전히 팽창될 때까지 제 2 세그먼트(256)의 캠 표면(258)에 접촉되지 않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바닥 로크 링(266)은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세그먼트(254, 256)의 상보적인 캠 표면(258)(도 9a 참조)의 캠 각도(θ)와 일치하는 캠 각도(θ)를 가진 절두원추형의 반경방향 외측 캠 표면(267)(도 7에 잘 도시됨)을 구비한 링이다.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 발명의 영역내에 있어서, 바닥 로크 링(266)의 절두원추형 캠 표면(267)은 적어도 제 1 세그먼트(254)의 캠 표면(258)과 상호작용하는 다른 장치로 대체되어, 허브(209)가 하방으로 이동될 때(방향(320)) 제 1 세그먼트를 외측(방향(310))으로 쐐기고정한다. 예를 들면, 캠 롤러(도시되지 않음)는 허브(209)에 부착되며, 이 롤러는 적어도 제 1 세그먼트(254)의 캠 표면(258)을 향해 롤링된다. 또한, 제 1 힘(420a)은 마찰 저항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축방향의 제 1 힘 성분(415a)을 생성하기에 충분하며, 이에 의해 바닥 로크 링(266)은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을 반경방향 외측(310)으로 쐐기고정할 때 하방(320)으로 활주된다. 캠 각도(θ)는 제 1 힘 성분을 적절하게 균형을 맞추도록 선택되며,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고 반경방향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45°보다 작은(예를 들면 30°) 것이 적절하다.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제 1 단계 이동이 축방향이 아닌 반경방향으로 이뤄지게 보장하기 위해서, 축방향 스프링(276)은, 그 압축 저항이 축방향 제 1 힘 성분(415a)보다 큰 동시에 바닥 로크 링(266)이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제 1 단계 반경방향 이동을 야기시키도록 설계된다.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반경방향 팽창(반경방향 외측 방향(310))은,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외측 정지 표면(278)이 바닥 측벽 플레이트(202b)의 반경방향 내측 표면(242)을 향해 정지될 때까지 정지된다. 또한, 허브(209) 및 그에 따라 바닥 로크 링(266)의 하방 이동(축방향으로 외측방향(320)은 축방향 스프링(276)의 압축을 야기시켜서, 바닥 로크 링(266)상의 몰드 프레스(220)에 의해 발휘된 하방 제 2 힘(420b)이 충분하게 한다. 다시, 캠 각도(θ)로 인해서, 제 2 힘(420b)은 링(252)상에서 발휘된 2개 성분 힘, 즉 수평방향(반경방향) 제 2 힘 성분(410b) 및 수직방향(축방향) 제 2 힘 성분(415b)으로 분할된다. 반경방향 제 2 힘 성분(410b)은 반경방향 내측 표면(242)을 향해 외부 정지 표면(278)을 가압하여,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의 하방 활주에 저항하는 마찰을 생성한다. 소망의 제 2 단계 축방향 이동을 야기시키기 위해서, 축방향 제 2 힘 성분(415b)은 축방향 스프링(276)의 압축 저항과 표면(278, 242) 사이의 마찰 저항의 합을 초과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도 8b는 도 3b, 도 4 및 도 5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 성형을 위해서 최종 결합된 상태로의 이동의 제 2 단계후의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을 도시한 것이다. 세그먼트(254, 256)의 반경방향 이동(310)이 이들이 바닥 측벽 플레이트(202b)를 향해 정지될 때까지 중지되기 때문에, 바닥 로크 링(266)의 연속적인 하방 이동(320)은 제 2 힘(420b)을 가하는 것이 필요하며, 제 2 힘(420b)은 축방향 스프링(276)이 압축되게 하기에 충분하며, 이에 의해 세그먼트(254, 256)가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를 따라 하방(축방향 외측 방향(315))으로 가압되게 한다. 바닥 측벽 플레이트(202b)를 향해 반경방향 외측에서 연속적으로 가압되는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은 하방으로 이동되며, 세그먼트(254, 256)의 하부 정지 표면이 바닥 측벽 플레이트(202b)의 상부 정지 표면(203)을 향해 정지되는 경우 하방 이동이 정지될 때까지 외측 정지 표면(278)은 반경방향 내측 표면(242)을 향해 활주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을 구비한 본 발명의 타이어 몰드와, 본 발명의 몰드를 이용하여 타이어를 성형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을 기술하였다. 바람직한 2단계 결합 이동을 구현한 반면에,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252)은 종래 기술의 팽창가능한 링보다 간단하며, 이에 의해 2단계 이동은 단일 링 형상 캠(266)에 의해 야기된 간단한 쐐기 작용에 의해 구동된다. 비드 성형 링 조립체(250)의 요소는 측벽 성형 플레이트(202b)와 조합되어, 상이한 타이어 구조의 비드상에서 성형될 상이한 프로파일을 채택하도록 몰드 교체를 위해 몰드 프레스(220)에서 용이하게 수리되고 용이하게 교체되는 몰드 조립체(280)를 형성한다.
본 발명을 도면과 상기 설명에서 상세히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설명으로서 간주되며 그 특징을 제한하지 않으며,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영역내에 있는 모든 수정 및 변경이 보호되어야 한다. 확실히, 상술한 "요지"의 많은 "변경"이 본 발명이 속해 있는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이뤄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역내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을 구비한 타이어 몰드와, 이 몰드를 이용하여 타이어를 성형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바람직한 2단계 결합 이동을 구현한 반면에,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은 종래 기술의 팽창가능한 링보다간단하며, 이에 의해 2단계 이동은 단일 링 형상 캠에 의해 야기된 간단한 쐐기 작용에 의해 구동된다. 비드 성형 링 조립체의 요소는 측벽 성형 플레이트와 조합되어, 상이한 타이어 구조의 비드상에서 성형될 상이한 프로파일을 채택하도록 몰드 교체를 위해 몰드 프레스에서 용이하게 수리되고 용이하게 교체되는 몰드 조립체를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252)을 측벽 성형 플레이트(202b)와 결합시켜서 몰드 프레스(220)내의 타이어 몰드(200)에 비드 성형 포켓(240b)을 형성하도록 2단계 이동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제 1 단계 이동(310)은 비드 성형 링의 반경방향 팽창(310)을 제공하여 측벽 성형 플레이트의 축방향 내측에 위치된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인 외측을 향한 비드 성형 표면(259)을 형성하며, 제 2 단계 이동(315)은 비드 성형 링을 축방향 외측으로 가압하여 비드 성형 표면을 측벽 성형 플레이트와 결합시키며, 이에 의해 생 타이어 비드(112b')를 성형하기 위한 비드 성형 포켓을 형성하는, 2단계 이동 제공 방법에 있어서,
    몰드 프레스의 축방향 이동(320)을 이용하여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 이동을 야기시키는 단계와,
    제 1 세트의 스프링(272)에 의해 제 1 단계 이동에 저항하는 단계와,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인 외측을 향한 비드 성형 표면이 형성될 때 제 1 단계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제 1 정지 표면(242, 278)을 제공하는 단계와,
    제 2 세트의 스프링(276)에 의해 제 2 단계 이동에 저항하는 단계와,
    제 1 단계 이동이 제 1 정지 표면에 의해 정지된 후까지 비드 성형 링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스프링 저항을 가진 제 2 세트의 스프링을 제공하는 단계와,
    비드 성형 포켓이 형성된 경우 제 2 단계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 2 정지표면(203, 279)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계 이동 제공 방법.
  2. 트레드(116), 2개의 비드(112a, 112b) 및 비드와 트레드 사이로 연장되는 2개의 측벽(114a, 114b)을 포함하는 생 타이어(110)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몰드 프레스(220)에서 타이어 몰드(200)용의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250, 280)에 있어서,
    비드중 하나를 성형하기 위해서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인 반경방향으로 외측을 향한 표면(259)을 형성하도록 반경방향으로 팽창된 다수의 세그먼트(254, 256)와, 축방향으로 향한(320) 힘(420a, 420b)을 반경방향 힘 성분(410a, 410b) 및 축방향 힘 성분(415a, 415b)으로 분할하기 위한 반경방향 내측 절두원추형 캠 표면(258)을 포함하는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인 제 1 고리와,
    상기 제 1 고리와 동심이며 이와 축방향으로 인접해 있으며, 다수의 세그먼트의 반경방향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세그먼트 모두에 부착된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반경방향 스프링(272)을 포함하는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인 제 2 고리와,
    상기 제 2 고리와 동심이며 이와 축방향으로 인접해 있는 제 3 고리로서, 상기 제 3 고리는 다수의 세그먼트의 축방향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 2 고리 제 3 고리 사이에서 작용하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축방향 스프링(276)을 포함하는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인, 상기 제 3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몰드용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
  3. 트레드(116)와, 축방향으로 외측 힐(120a, 120b)로부터 축방향으로 내측 토(122a, 122b)까지 연장되는 반경방향으로 내측을 향한 비드 기부(124a, 124b)를 각각 구비하는 2개의 비드(112a, 112b)와, 상기 비드와 상기 트레드 사이로 연장되는 2개의 측벽(114a, 114b)을 포함하는 생 타이어(110)용 몰드(200)에 있어서,
    각 측벽의 외측 표면과, 각 비드의 축방향 외측 부분을 각각 대략 힐내로 성형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측벽 플레이트(202a, 202b)와,
    2개의 비드의 적어도 비드 기부를 성형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비드 성형 링(252, 230)과,
    타이어의 내측 표면을 성형하기 위한 팽창가능한 가황처리 박막(210)을 포함하며,
    고리이며, 측벽 플레이트중 하나 및 가황처리 박막과 협력하여 비드중 하나를 성형하기 위한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인 반경방향으로 외측을 향한 표면(259)을 형성하도록 반경방향으로 팽창된 다수의 세그먼트(254, 256)와, 축방향으로 배향된(320) 힘(420a, 420b)을 반경방향 힘 성분(410a, 410b)과 축방향 힘 성분(415a, 415b)으로 분할하기 위한 반경방향 내측 절두원추형 캠 표면(258)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과,
    상기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252)과 동심이며 이와 축방향으로 인접해 있으며, 다수의 세그먼트의 반경방향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세그먼트 모두에부착된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반경방향 스프링(272)을 포함하는 환형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260)와,
    상기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와 동심이며 이와 축방향으로 인접해 있는 환형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로서, 상기 환형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는 다수의 세그먼트의 축방향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와 상기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 사이에서 작용하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축방향 스프링(276)을 포함하는, 상기 바닥 스프링 플레이트(262)와,
    제 1 고리(252)의 반경방?? 내측 캠 표면(258)에 상보적인 절두원추형의 반경방향 외측 캠 표면(267)을 구비하는 환형 로크 링(266)을 포함하며;
    상기 로크 링은 몰드 프레스(220)에 부착되어, 몰드 프레스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이동(320) 및 축방향으로 배향된 힘(420a, 420b)을 로크 링에 부여하게 되며,
    상기 로크 링의 반경방향 외측 캠 표면은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내에 반경방향으로 동심으로 위치되며, 이에 의해 로크 링의 반경방향 외측 캠 표면은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의 반경방향 내측 캠 표면상에 지지되어 축방향 배향 힘을 몰드 프레스로부터 세그먼트형 비드 성형 링의 캠 표면으로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 타이어용 몰드.
KR1020030005285A 2002-01-28 2003-01-27 2단계 이동 제공 방법, 타이어 몰드용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 및 그린 타이어용 몰드 KR1009079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58,892 US6702977B2 (en) 2002-01-28 2002-01-28 Expandable bead molding ring for a tire mold
US10/058,892 2002-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649A true KR20030064649A (ko) 2003-08-02
KR100907975B1 KR100907975B1 (ko) 2009-07-16

Family

ID=22019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285A KR100907975B1 (ko) 2002-01-28 2003-01-27 2단계 이동 제공 방법, 타이어 몰드용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 및 그린 타이어용 몰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702977B2 (ko)
EP (1) EP1332854B1 (ko)
JP (1) JP4279566B2 (ko)
KR (1) KR100907975B1 (ko)
CN (1) CN1491793A (ko)
BR (1) BR0300129A (ko)
CA (1) CA2414051A1 (ko)
DE (1) DE60309222T2 (ko)
PL (1) PL2078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7093B2 (ja) * 2004-05-27 2011-08-1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の加硫モールド
JP4437330B2 (ja) * 2005-10-05 2010-03-24 株式会社市丸技研 タイヤ加硫装置
JP4971887B2 (ja) * 2007-06-28 2012-07-11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用コンテナ
JP4952925B2 (ja) * 2007-07-18 2012-06-1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加硫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CN101961896A (zh) * 2010-09-30 2011-02-02 凡嘉科技(无锡)有限公司 一种行位脱扣结构
DE102011000703A1 (de) * 2011-02-14 2012-08-16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hrzeugluftreifens
US8807976B1 (en) 2012-09-13 2014-08-1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bead area rotation apparatus
FR3024074B1 (fr) * 2014-07-25 2016-09-02 Michelin & Cie Moule de vulcanisation pour pneumatique a fermeture optimisee
US20190070814A1 (en) * 2017-09-01 2019-03-0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 of building tir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89363A (en) * 1931-12-01 1935-01-29 Nat Rubber Machinery Co Tire vulcanizing apparatus
US2904832A (en) * 1955-08-24 1959-09-22 Cleveland Trust Co Expandable bead ring for vulcanizing presses
GB1559772A (en) * 1975-10-02 1980-01-23 Dunlop Ltd Pneumatic tyre manufacture
US4236883A (en) 1979-07-05 1980-12-02 Nrm Corporation Tire press
US4582470A (en) * 1981-03-26 1986-04-15 Kazumasa Sarumaru Apparatus for vulcanizing a tire
DE3802777A1 (de) 1988-01-30 1989-09-07 Continental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ulkanisieren von fahrzeugluftreifen
EP0381632A3 (en) * 1989-01-27 1992-10-28 MARIGO S.r.l. Apparatus for retreading pneumatic tyres
FR2699121B1 (fr) 1992-12-11 1995-03-17 Michelin & Cie Ensemble formé d'un pneumatique, d'une jante et d'un anneau de soutien.
DE69410906T2 (de) 1993-08-28 1998-12-17 Kobe Steel Ltd Aluminiumlegierungsgussstück mit hoher Laserschweissbarkeit, Verbindung aus einem Aluminiumlegierungsguss und Verfahren zur Verbesserung eines Konstruktionselement aus Aluminiumlegierungsguss
FR2713557B1 (fr) 1993-12-08 1996-03-01 Michelin & Cie Jante, anneau de soutien et ensemble comprenant lesdits éléments.
US6238193B1 (en) 1998-07-23 2001-05-29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Mold for tire and vulcanizing press fitted to receive mo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32854B1 (en) 2006-10-25
CN1491793A (zh) 2004-04-28
JP4279566B2 (ja) 2009-06-17
JP2003211453A (ja) 2003-07-29
PL358450A1 (en) 2003-08-11
EP1332854A2 (en) 2003-08-06
PL207836B1 (pl) 2011-02-28
CA2414051A1 (en) 2003-07-28
BR0300129A (pt) 2003-09-09
DE60309222D1 (de) 2006-12-07
US6702977B2 (en) 2004-03-09
KR100907975B1 (ko) 2009-07-16
US20030141629A1 (en) 2003-07-31
DE60309222T2 (de) 2007-09-06
EP1332854A3 (en) 2004-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6883A (en) Tire press
US3464090A (en) Tire curing press
EP1468814B1 (en) Mould for moulding a tire comprising a locking ring for locking the tread forming segments and method of curing a tire
KR100326193B1 (ko) 타이어트레드용몰드와타이어몰딩방법
KR100907975B1 (ko) 2단계 이동 제공 방법, 타이어 몰드용 팽창가능한 비드 성형 링 조립체 및 그린 타이어용 몰드
JPH02212105A (ja) ブラダーレスタイヤ成形プレス
EP0918608A1 (en) Center split segmented mold for curing pneumatic tires
US3787155A (en) Segmented vulcanising tire mould
KR20030064648A (ko) 타이어 몰드용 비드 성형 링, 생 타이어용 몰드 및 생타이어 성형 방법
EP1652659B1 (en) Core for the manufacture of tires
EP2698244B1 (en) Sleeveless tire building drum with interchangeable width elements
CN101541518A (zh) 用于硫化和模制车辆轮胎的装置
US20080152742A1 (en) Three piece tire mold
BRPI0721631A2 (pt) aparelho para moldagem e vulcanizaÇço de pneus para rodas de veÍculos, e, processo para controlar um destacamento dos setores de molde dos pneus vulcanizados em um molde de vulcanizaÇço
JP2000326332A (ja) タイヤ加硫装置
JP5417155B2 (ja) 円筒ゴム用成形型及び円筒ゴム成形方法
US1810406A (en) Process and means for making cushion tires
JPH0872060A (ja) 分割型加硫モールド
JP2002059426A (ja) タイヤ加硫用コンテナのガ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