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4647A - 클립 커넥터 - Google Patents
클립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64647A KR20030064647A KR10-2003-0005282A KR20030005282A KR20030064647A KR 20030064647 A KR20030064647 A KR 20030064647A KR 20030005282 A KR20030005282 A KR 20030005282A KR 20030064647 A KR20030064647 A KR 200300646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circuit board
- clip connector
- cable
- flexible cab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3—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nected with pivoting of printed circuits or like after inser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1—Observation aide, e.g. transparent material, window in hous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케이블 단자와 클립 커넥터의 콘택트의 오접속 저감 및 그들의 접속 작업성을 개선한다.
전단부에 콘택트를 배치하고 해당 콘택트에 접속한 상기 패턴을 구비한 회로 기판(30)과, 회로 기판(30)을 수납하는 하우징으로서, 회로 기판(30)을 지지하는 기판 지지면(11), 수납된 상기 회로 기판의 콘택트와 간극을 갖고 대향 가능한 콘택트 대향면(16), 접속하고자 하는 가요성 케이블(1)의 단부를 내장하는 케이블 삽입구(14), 및 가요성 케이블의 단부를 상기 간극으로 안내하는 케이블 안내 홈(15)을 구비한 하우징(10, 20)과, 회로 기판(30)의 콘택트 배치면과 콘택트 대향면(16) 사이에 가요성 케이블(1)의 단부를 가압 유지하거나 또는 그 가압 유지를 해제하는 가압 기구(5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요성 케이블[가요성 프린트 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FPC) 케이블이라고도 함]을 중계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클립 커넥터(또는 클립식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주로 가요성 케이블을 접속용으로 구비한 기기를 검사할 때에, 검사 장치의 중계 지그로서 사용되는 클립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가요성 케이블을 중계할 때에, 클립 커넥터를 이용하여, 가요성 케이블의 케이블 단자를 그 클립 커넥터의 콘택트(contact)에 접촉시켜, 가요성 케이블을 회로 기판, 중계 케이블, 또는 각종 기기 등에 접속시키는 것이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거기에서 사용되고 있던 클립 커넥터의 콘택트는, 복수의 핀(프로브)으로 구성되고, 그것들의 각 핀의 선단을 가요성 케이블의 대응하는 케이블 단자와 접속시키는 형태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핀이 박히는 정밀도에 따라서는, 가요성 케이블의 인접하는 케이블 단자 사이에서 오접속이나 단락 등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가요성 케이블의 케이블 단자의 간격은 매우 좁기 때문에(예컨대 0.5㎜ 피치), 그 케이블 단자와 클립 커넥터의 콘택트의 위치 조정 작업은, 종래의 클립 커넥터로는 간단히 실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케이블 단자와 클립 커넥터의 콘택트의 오접속 저감, 그것들의 접촉 안정성 향상, 및 그것들의 접속 작업성을 개선하는, 가요성 케이블 중계용의 클립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클립 커넥터는, 전단부에 콘택트를 배치하고 해당 콘택트에 접속한 회로 패턴을 구비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을 수납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회로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 지지면, 수납된 상기 회로 기판의 콘택트와 간극을 갖고 대향 가능한 콘택트 대향면, 접속하고자 하는 가요성 케이블의 단부를 받아들이는 케이블 삽입구, 및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단부를 상기 간극으로 안내하는 케이블 안내 홈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회로 기판의 콘택트 배치면과 상기 콘택트 대향면 사이에서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단부를 가압 유지하고 또는 그 가압 유지를 해제하는 가압 기구를 구비한 것이다. 이로써, 클립 커넥터의 콘택트와 가요성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때에, 인접하는 케이블 단자 사이에서의 단락률 저감, 콘택트와 케이블 단자의 접촉 안정성 및 접속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극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기판 지지면과 상기 콘택트 대향면 사이에 설치된 단차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삽입구가 외측을 향해 확장된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로써, 클립 커넥터로의 가요성 케이블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대향면에 상기 기판의 콘택트 배열 방향을 따라 융기부를 설치한 것이다. 이로써, 클립 커넥터의 콘택트와 케이블 단자의 접촉을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일부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시키고, 해당 회로 기판의 돌출부를 이용하여 상기 회로 기판을 그 콘택트가 배열된 폭 방향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배치한 것이다. 가요성 케이블의 케이블 단자를 케이블 안내 홈을 이용하여 클립 커넥터의 콘택트에 대향하는 위치에 도입해도, 가요성 케이블이 반드시 모두 동일한 사이즈로 완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케이블 단자가 대응해야 할 콘택트에 대하여 어긋나 삽입되는 경우가 생긴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이 형태에 따라, 회로 기판의 위치를 조정하여 그 위치어긋남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투명 부재로 구성한 것이다. 이로써, 가요성 케이블의 케이블 단자와 클립 커넥터의 콘택트의 접속 상태나, 클립 커넥터의 콘택트 등에의 먼지의 부착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전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투명 부재의 전방부를 볼록 곡면 형상으로 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상기 회로 기판의 전단부가 볼록 렌즈로서 작용하여, 가요성 케이블의 케이블 단자와 클립 커넥터의 콘택트의 접속 상태나, 클립 커넥터의 콘택트 등에의 먼지의 부착 등의 상태가 확대되어 용이하게 확인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콘택트가 형성된 면과 반대면에, 해당 콘택트와 동일한 피치의 패턴을 상기 콘택트와 면대칭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회로 기판의 실제 콘택트, 또는 그 콘택트 형성면은 반대면에 형성된 피치 패턴을 보면서, 가요성 케이블의 케이블 단자와 클립 커넥터의 콘택트를 접속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접속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압 기구에 의한 가압 또는 그 가압 해제에 따라 변형하고,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콘택트 대향면의 간극을 밀폐하는 지주를 상기 콘택트의 후방부에 배치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클립 커넥터 내부로의 가요성 케이블의 삽입시, 가요성 케이블의 선단이 그 지주에 접촉하여 정지하기 때문에, 가요성 케이블의 하우징으로의 과도한 삽입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이 각 콘택트에 대응한 중계 단자를 구비하고, 해당 중계 단자로부터 소정의 검사 장치에 접속 가능한 중계 케이블이 연장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로써, 클립 커넥터를, 입출력용으로 가요성 케이블을 구비한 기기의 검사를 위한 중계 지그로서 이용하여, 검사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클립 커넥터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클립 커넥터의 저면도,
도 4는 도 1의 클립 커넥터로 사용하는 하측 하우징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하측 하우징의 I-I 방향의 단면도,
도 6은 도 1의 클립 커넥터로 사용하는 상측 하우징의 측면도,
도 7은 도 1의 클립 커넥터로 사용하는 상측 하우징의 저면도,
도 8은 도 1의 클립 커넥터로 사용하는 회로 기판의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 커넥터의 조작 및 작용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 커넥터의 회로 기판이 중계 케이블을 구비한 형태의 클립 커넥터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요성 케이블1a : 가요성 케이블의 케이블 단자
10 : 하측 하우징11 : 하측 하우징의 기판 지지면
14, 14a, 14b : 하측 하우징의 케이블 삽입구
15 : 하측 하우징의 케이블 안내 홈
16 : 하측 하우징의 콘택트 대향면
20 : 상측 하우징23 : 상측 하우징의 전방부
30 : 회로 기판30a : 회로 기판의 콘택트
30b : 회로 기판의 회로 패턴30c : 회로 기판의 중계 단자
40 : 나사50 : 가압 기구
51 : 레버52 : 회전축
53 : 스프링60 : 세장형 바아
70 : 스토퍼80 : 중계 케이블
다음에, 본 발명의 클립 커넥터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클립 커넥터의 평면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의 클립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단, 이들 도면에서, 참조 부호(1)는 클립 커넥터에 접속되거나 또는 접속된 가요성 케이블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클립 커넥터는, 외측이 하측 하우징(10)과 상측 하우징(20)으로 구성되고, 하측 하우징(10)과 상측 하우징(20) 사이에는, 전단부에 콘택트(30a)를 배치한 회로 패턴이 형성된 회로 기판(30)이 끼워진 상태로, 하측 하우징(10)과 상측 하우징(20)이 2개의 나사(40)로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측 하우징(20)에는 회로 기판(30)을 하측 하우징(10)측으로 가압하고, 또한 그 가압을 해제하는 가압 기구(50)가 장착되어 있다. 하측 하우징(10)에는 회로 기판(30)을 탑재하여 지지하는 기판 지지면(11)과, 기판 지지면(11)과는 단차를 갖고 형성된 회로 기판(30)의 콘택트(30a)에 대향하는 콘택트 대향면(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콘택트 대향면(16)에는 세장(細長)형 바아(60)를 배치하고, 세장형 바아(60)의단부면을 콘택트 대향면(16)으로부터 융기시키며, 그 융기부를 이용하여 기판 지지면(11)과의 상기 단차를 작게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클립 커넥터는, 가요성 케이블(1)이 일정 이상 하우징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회로 기판(30)의 콘택트(30a) 후방부에 있어서, 고무(예컨대 우레탄 고무) 등의 연질 재료로 구성되는 스토퍼(70)로 하측 하우징(10)과 회로 기판(30) 사이의 간극을 밀폐하고 있다.
또한, 하측 하우징(10)과 상측 하우징(20)중 적어도 한쪽은 아크릴 수지 등의 투명체로 구성하여, 가요성 케이블(1)의 케이블 단자와 회로 기판(30)의 콘택트(30a)의 접속 또는 접촉 상황을 시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예에서는, 하측 하우징(10)과 상측 하우징(20)을 모두 투명 부재로 구성하여, 하측 하우징(10) 또는 상측 하우징(20)중 어느 방향에서도 회로 기판(30)의 전단부가 보이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상술한 각 요소(10 내지 7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하측 하우징(10)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의 I-I 방향의 단면도이다. 하측 하우징(10)은, 도 4의 빗금 표시부를 회로 기판(30)의 기판 지지면(11)으로서 형성하고, 그 기판 지지면(11)에 회로 기판(30)을 탑재하여 지지한다. 하측 하우징(10)의 선단부는, 외측을 향해 상하 확장되도록 경사진 경사면(14a)과, 좌우를 향해 확장되도록 경사진 경사 홈(14b)을 구비하여, 가요성 케이블(1)의 삽입구(14)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그 삽입구(14)에 이어서, 가요성 케이블(1)의 케이블 단자(1a)를 회로 기판(30)의 콘택트(30a)에 대응하는 위치로 안내하는 케이블 안내 홈(15)이, 가요성 케이블(1)의 폭보다 약간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블 안내홈(15)은, 그 홈의 양측벽을 이용하여 가요성 케이블(1)을 목적하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또한, 케이블 안내 홈(15)의 후방부에는, 케이블 안내 홈(15)의 홈 폭보다 넓은 폭의 콘택트 대향면(16)이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대향면(16)에는, 회로 기판(30)의 콘택트(30a)의 배열 방향에 설치되는 세장형 바아(60)의 하부를 끼워맞추기 위해 세장형 홈(17)이 형성되고, 또한 그 세장형 홈(17)의 후방부[회로 기판(30)의 콘택트의 후방부에 상당]에는 스토퍼(70)를 압입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용 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참조 부호(19a)로 나타내는 구멍은 상하 하우징(10, 20)을 고정하는 나사(40)의 장착용 구멍이고, 참조 부호(19b)로 나타내는 구멍은 필요에 따라 클립 커넥터를 작업대 등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이에 대하여 상측 하우징(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키보드 마우스와 유사한 형상을 갖고, 그 저면에는 회로 기판(30)을 수납하는 회로 기판 수납부(2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측 하우징(20)에는, 회로 기판(30)의 가압 기구(50)가 장착되지만, 그 가압 기구(50)는 회로 기판(30)에 직접 작용하여 그것을 가압하는 한편, 필요할 때에는 그 가압을 해제하는 레버(51)와, 레버(5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52)과, 레버(51)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탄성 수단인 스프링(53)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하우징(20)에는 스프링(53)을 수납 유지하는 스프링 유지 구멍(21)과, 레버(51)를 수납하여 레버(51)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레버용 공간(22), 및 회전축(52)을 장착하는 축 구멍(24)(도 6 참조)을 구비한다. 또한, 회로 기판(30)의 전단부에 대응하는 하우징의 전방부(23)는 볼록면형상으로 형성하여 볼록 렌즈로서 작용하고 있다. 이 볼록 렌즈는 가요성 케이블(1)의 케이블 단자(1a)와 회로 기판(30)의 콘택트(30a)의 접속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측 하우징(20)의 전방부(23)의 선단부는, 가요성 케이블(1)이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외측으로 확장되는 경사면(23a)을 형성하고 있다.
또, 가압 기구(50)를 구성하는 코일 스프링(53)은 판 스프링이나 고무로 대용할 수도 있다.
도 6, 도 7은 상측 하우징(20)의 각각 측면도, 저면도이다. 상측 하우징(20)의 저면에는 회로 기판(30)을 수납하여 그것을 하측 하우징(10)과의 사이에 끼운 기판 수납부(25)(도 6의 파선부, 도 7의 빗금 표시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측 하우징(20)의 저면에는, 레버용 공간(22)의 저면측 개구(26), 나사(40) 체결용 나사 구멍(27), 회로 기판(30)에 형성되는 중계 단자 또는 중계 단자와 중계 케이블의 고정에 기초하는 요철을 흡수하기 위해, 기판 수납부(25)와 단차를 갖고 형성되는 오목부(28)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8은 회로 기판(30)의 사시도이다. 회로 기판(30)은 유연성을 갖는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기판(예컨대 에폭시 기판, 페놀 기판 등)으로서, 그 한쪽면에 콘택트(30a) 및 그 콘택트로부터 연장되는 배선(30b)이 패턴 인쇄되어 있다. 콘택트(30a)는 가요성 케이블(1)의 케이블 단자(1a)와 접촉하는 것으로, 회로 기판(30)의 전단부에 있어서, 그 폭 방향으로 가요성 케이블(1)의 케이블 단자수에 일치하는 개수가 배치되어 있다. 콘택트(30a)의 후방부에 배치된 각 배선의 종단부에는, 중계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중계 단자(30c)[여기서는 아일렛(eyelet) 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콘택트(30a)와 중계 단자(30c)를 제외하고, 기판의 표면에는 레지스트 처리가 실행되어 있다. 또한, 콘택트(30a)가 형성된 측과 반대면에, 콘택트(30a)와 동일한 피치의 패턴(이 패턴에는 도전성은 불필요)을 그 콘택트(30a)와 면대칭으로 형성해 두면, 그 피치 패턴을 보면서, 가요성 케이블(1)의 케이블 단자(1a)와 클립 커넥터의 콘택트(30a)를 확실히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참조 부호(30d)로 나타내는 노치는, 나사(40) 등의 관통을 피하고 또한 회로 기판(30)이 필요 이상의 어긋남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회로 기판(30)은 하측 하우징(10)과 상측 하우징(20) 사이에 끼워 유지되고, 그 대부분이 하우징(10, 20)의 내측에 수납된다. 단, 회로 기판(30)의 후방부만은 이들 개체로부터 돌출시켜 두는 것으로 한다. 이렇게 해 두면, 회로 기판(30)은, 하측 하우징(10)이나 상측 하우징(20)과는 직접 나사 등으로 완전히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상하 하우징의 지지면을 이용하여 끼워져 있을 뿐이기 때문에, 그 하우징으로부터의 돌출부를 이용하여, 하측 하우징(10) 및 상측 하우징(20)에 대하여, 회로 기판(30)을 그 폭 방향[콘택트(30a)의 배열 방향]으로 미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을 이용하면, 클립 커넥터내에 삽입된 가요성 케이블(1)의 케이블 단자(1a)와 클립 커넥터의 콘택트(30a) 사이에 어긋남이 있는 경우 등에 그 위치 수정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회로 기판(30)의 미동의 형태는 하측 하우징(10)과 상측 하우징(20)을 고정하고 있는 나사(40)의 체결 압력을 변경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그런데, 회로 기판(30)의 중계 단자(30c)는, 상기와 같은 아일렛 단자(eyelet terminal)에 한정되지 않고, 콘택트(30a)와 같이 패턴 형성에 의한 단자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중계 단자(30c)로의 중계 케이블의 접속도, 단자에 직접 납땜하는 것 외에, 별도의 커넥터를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가압 기구(50)는 주로 그 작용단이 회로 기판(30)의 콘택트 배열 폭과 동일한 폭 또는 그것보다 조금 넓은 폭으로 형성된 레버(51)와, 그 레버(51)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스프링(53)으로 구성된다. 가압 기구(50)는 통상 스프링(53)의 가압력에 의해 레버(51)가 밀어 올려지고, 그로써 레버(51)의 작용단이 회로 기판(30)의 콘택트(30a) 배열부를 하측 하우징(10)의 콘택트 대향면(16)측에 가압 유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51)가 도 1의 화살표(A) 방향으로 밀어 내려지면 레버(51)의 작용단이 회로 기판(30)으로부터 분리되어, 회로 기판(30)으로의 가압이 해제된다. 이 레버(51)가 밀어 내려질 때, 회로 기판(30)의 콘택트(30a)와 세장형 바아(60) 사이에는, 가요성 케이블(1)이 삽입 가능한 간극이 생기도록 해 둔다. 단, 이 간극은, 가요성 케이블(1)의 삽입 후, 레버(51)로 가압하여 밀폐하는 것을 고려하여, 가요성 케이블(1)의 두께의 3배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배 정도로 한다. 또한, 레버(51)에 의한 회로 기판(30)으로의 가압력은, 회로 기판(30)과 세장형 바아(60)로 끼워진 가요성 케이블(1)의 케이블 단자(1a)와 콘택트(30a)가 전기적으로 확실히 접속되는 압력으로 한다.
세장형 바아(60)는 하측 하우징(10)의 콘택트 대향면(16)의 세장형 홈(17)에 끼워맞춘 예컨대 원기둥 형상의 바아로서, 금속 등의 경질 재료로 형성된다. 이세장형 바아(60)는 하측 하우징(10)의 기판 지지면(11)에 있어서는, 그 하우징(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위치하고 있다. 이 세장형 바아(60)는 회로 기판(30)에 대하여 가해지는 가압력을 지지하고, 클립 커넥터의 콘택트(30a)와 가요성 케이블(1)의 케이블 단자(1a)를 낮은 가압력으로 안정 접촉시키는 작용을 하고 있다. 또한, 콘택트 대향면(16)에 세장형 바아(60)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하우징 자체에 세장형 바아(60)에 대응하는 돌기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스토퍼(70)는 하측 하우징(10)의 세장형 구멍(17) 후방부에 형성된 스토퍼용 구멍(18)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지주로서, 고무(예컨대 우레탄 고무) 등의 연질 재료로 형성된다. 이 스토퍼(70)는 레버(51)에 의한 회로 기판(30)의 가압 또는 그 가압의 해제에 따라 변형되면서, 회로 기판(30)과 콘택트 대향면(16)의 간극을 밀폐하고 있는 것으로, 가요성 케이블(1)의 하우징(10, 20)내로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각 요소로 구성되는 클립 커넥터는, 종래의 핀을 사용한 커넥터에 비해, 부품의 가공이나 조립이 용이하게 되어, 클립 커넥터의 수명이나 강도도 향상된다.
다음에, 상기 클립 커넥터의 조작 및 작용을 도 9a 및 도 9b의 모식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가요성 케이블(1)을 클립 커넥터와 접속하기 위해서는, 우선 엄지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레버(51)를 밀어 내리고, 회로 기판(30)에 가해지고 있는 가압력을 해제한다. 가압력이 해제된 회로 기판(30)은 원래의 자연스러운 형상으로 복귀하여,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30)의 콘택트(30a)와 하측하우징(10)의 콘택트 대향면(16) 사이에, 하측 하우징(10)의 기판 지지면(11)과 콘택트 대향면(16)의 단차에 기인하는 간극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레버(51)를 밀어 내린 상태에서, 가요성 케이블(1)을 케이블 삽입구(14)로부터 케이블 안내 홈(15)을 따라 하우징내로 도입하고, 또한 회로 기판(30)의 콘택트(30a)와 세장형 바아(60) 사이를 통해, 스토퍼(70)에 접촉할 때까지 인입한다.
다음에, 상측 하우징(20)의 전방부(23)의 볼록 렌즈부를 통해 회로 기판(30)의 상면측 피치 패턴 및 가요성 케이블(1)의 케이블 단자(1a) 등을 보면서, 또는 회로 기판(30) 하면의 콘택트(30a) 및 가요성 케이블(1)의 케이블 단자(1a) 등을 보면서, 회로 기판(30)의 콘택트(30a)와 가요성 케이블(1)의 케이블 단자(1a)의 적절한 접촉 위치 결정을 가요성 케이블(1) 및/또는 회로 기판(30)을 미동시키면서 실행한다.
회로 기판(30)의 콘택트(30a)와 가요성 케이블(1)의 케이블 단자(1a)의 접촉 위치 결정이 종료하면, 레버(51)로부터 그것을 조작하고 있던 손가락 등을 떼어, 레버(51)의 가압을 해제한다. 그렇게 하면, 레버(51)가 스프링(53)의 가압력으로 통상의 위치로 복귀하고, 그 작용단이 회로 기판(30)의 전단부를 가압하여 그것을 밀어내려,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30)의 전단부와 콘택트 대향면(16) 사이에 가요성 케이블(1)의 단부를 가압 유지한 상태로 된다. 이로써, 회로 기판(30)의 콘택트(30a)와 가요성 케이블(1)의 케이블 단자(1a)의 적절한 접속이 확보된다. 또한, 다시 레버(51)를 밀어 내리면, 가요성 케이블(1)을 클립 커넥터로부터 분리하여 인출할 수도 있다.
도 10은, 상기 클립 커넥터에 있어서, 회로 기판(30)이 중계 케이블을 구비한 형태를 도시하는 클립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회로 기판(30)의 각 중계 단자(30c)에 각각 케이블을 접속하고, 그것들의 케이블을 정리하여 케이블 유닛(80)으로서 클립 커넥터의 후단으로부터 인출하고 있다. 이들 케이블 유닛(80)은, 예컨대 가요성 케이블(1)이 접속된 기기를 위한 검사 기기이다. 이와 같은 클립 커넥터는, 착탈이 용이하고 게다가 보다 확실한 접속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가요성 케이블(1)이 접속된 기기의 검사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검사의 일례로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기기(부품)인, 가요성 케이블을 입출력 수단으로서 구비한 액정 패널에 대하여, 프로젝터에의 내장전에 미리 그 동작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클립 커넥터는 검사 장치와의 중계 지그로서의 이용에 한정되지 않고, 가요성 케이블의 일반적인 중계 커넥터로서 이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회로 기판의 콘택트 배치면과 콘택트 대향면을 이용하여 접속하고자 하는 가요성 케이블의 단부를 가압 유지하는 구조로는, 콘택트 대향면을 본 실시예의 회로 기판과 같이 변형 가능하게 구성하고, 그 콘택트 대향면을 가압에 의해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된 회로 기판측으로 가압하여 실행하는 가요성 케이블 유지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클립 커넥터에 따르면, 가요성 케이블의 케이블 단자와 클립 커넥터의 콘택트의 접속시에 있어서의 오접속의 저감, 접속 작업성의 향상, 및 케이블 단자와 클립 커넥터의 접촉 안정성의 개선이 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클립 커넥터를 가요성 케이블을 입출력용으로 구비한 기기의 검사에 있어서, 그 기기와 검사 장치를 연결하는 중계 지그로서 이용함으로써, 그 검사 효율이 향상되는 동시에, 안전하고 정확한 검사가 가능해진다.
Claims (10)
- 전단부에 콘택트를 배치하고 해당 콘택트에 접속한 회로 패턴을 구비한 회로 기판과,상기 회로 기판을 수납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회로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 지지면, 수납된 상기 회로 기판의 콘택트와 간극을 갖고 대향 가능한 콘택트 대향면, 접속하고자 하는 가요성 케이블의 단부를 받아들이는 케이블 삽입구, 및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단부를 상기 간극으로 안내하는 케이블 안내 홈을 구비한 하우징과,상기 회로 기판의 콘택트 배치면과 상기 콘택트 대향면 사이에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단부를 가압 유지하거나, 또는 그 가압 유지를 해제하는 가압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클립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간극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기판 지지면과 상기 콘택트 대향면 사이에 설치된 단차에 기인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클립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케이블 삽입구를 외측을 향해 확장된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클립 커넥터.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콘택트 대향면에 상기 기판의 콘택트 배열 방향을 따라 융기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클립 커넥터.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회로 기판의 일부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시키고, 해당 회로 기판의 돌출부를 이용하여, 상기 회로 기판을 그 콘택트가 배열된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클립 커넥터.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을 투명 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클립 커넥터.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회로 기판의 전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투명 부재의 전방부를 볼록 곡면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클립 커넥터.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회로 기판의 콘택트가 배치된 면과 반대면에, 해당 콘택트와 동일한 피치의 패턴을 상기 콘택트와 면대칭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클립 커넥터.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가압 기구에 의한 가압 또는 그 가압의 해제에 따라 변형하고,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콘택트 대향면의 간극을 막는 지주를 상기 콘택트의 후방부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클립 커넥터.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회로 기판이 각 콘택트에 접속된 중계 단자를 구비하고, 해당 중계 단자로부터 소정의 검사 장치에 접속 가능한 중계 케이블이 연장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클립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2018424A JP3903800B2 (ja) | 2002-01-28 | 2002-01-28 | クリップコネクタ |
JPJP-P-2002-00018424 | 2002-01-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64647A true KR20030064647A (ko) | 2003-08-02 |
KR100525871B1 KR100525871B1 (ko) | 2005-11-02 |
Family
ID=2765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05282A KR100525871B1 (ko) | 2002-01-28 | 2003-01-27 | 클립 커넥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3903800B2 (ko) |
KR (1) | KR100525871B1 (ko) |
CN (1) | CN1200482C (ko) |
TW (1) | TW56949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20286A (ja) * | 2005-07-06 | 2007-01-25 | Yazaki Corp |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クランプ |
JP4397862B2 (ja) * | 2005-07-20 | 2010-01-13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クランプ |
KR101110925B1 (ko) * | 2010-01-21 | 2012-03-13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태양전지 패널의 정션박스용 리본 와이어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정션박스 |
CN102565956B (zh) * | 2010-12-31 | 2014-04-30 | 深圳日海通讯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光纤插头 |
-
2002
- 2002-01-28 JP JP2002018424A patent/JP390380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12-09 TW TW091135570A patent/TW569495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
- 2003-01-14 CN CNB031005284A patent/CN120048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1-27 KR KR10-2003-0005282A patent/KR10052587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25871B1 (ko) | 2005-11-02 |
JP3903800B2 (ja) | 2007-04-11 |
JP2003217708A (ja) | 2003-07-31 |
TW569495B (en) | 2004-01-01 |
CN1200482C (zh) | 2005-05-04 |
CN1435917A (zh) | 2003-08-13 |
TW200302600A (en) | 2003-08-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146278B2 (ja) | プリント基板およびプリント基板搭載構造 | |
JP2005116495A (ja) | フラットケーブルおよびコネクタならびに電子機器 | |
KR20090005978A (ko) | 소켓용 어댑터 장치 | |
WO2014157363A1 (ja) | 光伝送モジュール、光電気複合伝送モジュールおよび光コネクタ | |
EP0867979A1 (en) | Connector | |
KR100525871B1 (ko) | 클립 커넥터 | |
US7264500B2 (en) |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battery engaging terminal | |
JP2013206602A (ja) | 防塵用シャッター機構、防塵用シャッター機構を備えるデタッチャブルコネクター、および、防塵用シャッター機構を備える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 |
US20170352996A1 (en) |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assembly mounted structure | |
JP3172721B2 (ja) |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それに使用するコネクタ | |
US6976890B2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a mating contact and a connection object | |
JP3244615B2 (ja) | Pcカード | |
JPH10293150A (ja) | 電気部品用ソケット | |
JP5144036B2 (ja) | ピン挿入治具 | |
JP2008010252A (ja) | クリップコネクタ | |
JP5634120B2 (ja) | コンタクト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 | |
JP2006324109A (ja) | 平形の接続部材の接続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基板対基板の接続構造 | |
JPH1022008A (ja) | メモリカード装着装置 | |
JP3321073B2 (ja) | 計器用ムーブメントの取付構造 | |
JP3949591B2 (ja) | コネクタ | |
JPH0614170Y2 (ja) | ロックばね構造 | |
US20060067626A1 (en) | Clamping member adapted to mount an optical connector pair in a connected state and capable of improving a component mounting density | |
JP2009176774A (ja) | 電子機器 | |
JPH1174046A (ja) | 非対称型コネクタ及びその実装方法 | |
JP2000056855A (ja) | 接続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010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