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541A - 천공 호스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천공 호스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541A
KR20030063541A KR1020020003707A KR20020003707A KR20030063541A KR 20030063541 A KR20030063541 A KR 20030063541A KR 1020020003707 A KR1020020003707 A KR 1020020003707A KR 20020003707 A KR20020003707 A KR 20020003707A KR 20030063541 A KR20030063541 A KR 20030063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unit
roller
hos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인
Original Assignee
(주)삼성종합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성종합호스 filed Critical (주)삼성종합호스
Priority to KR1020020003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3541A/ko
Publication of KR20030063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54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00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winding and joining
    • B29C53/8041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06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with punching tools moving with the work
    • B26F1/10Roller type pu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36Bending and joining, e.g. for making hollow articles
    • B29C53/38Bending and joining, e.g. for making hollow articles by bending sheets or strips at right angles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article being formed and joining the edges
    • B29C53/48Bending and joining, e.g. for making hollow articles by bending sheets or strips at right angles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article being formed and joining the edges for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i.e. bending a strip progressiv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0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1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 B29C66/83413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cooperating rollers, cylinder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중합체 재질의 원단이 일정한 장력을 가지는 동시에 좌우로 치우치지 않고 일정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천공 호스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해서, 원단 롤(10)과; 상기 원단 롤(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풀려 나오는 원단(1)의 좌우 치우침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유닛(20)과; 상기 원단 롤(10)로부터 풀려 나오는 원단의 장력을 소정값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장력 유지유닛(30)과; 상기 보정유닛(20)과 상기 장력 유지유닛(30)에 의해 치우침이 보정되고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이송되는 원단(1)의 표면에 라벨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유닛(40)과; 상기 인쇄유닛(40)을 통과한 원단(1)에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천공유닛(50)과; 상기 천공유닛(50)을 통과한 원단(1)을 원통형상 호스(2)로 만들기 위한 원통 형성유닛(60)과; 완성된 완제품 호스를 감아두는 완제품 롤(19)과; 복수개의 보조롤러들(71 ∼ 7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호스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천공 호스 제조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perforated hoses}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구멍이 천공된 천공 호스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중합체 재질의 원단이 일정한 장력을 가지는 동시에 좌우로 치우치지 않고 일정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천공 호스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천공 호스, 소위 분수호스는 제직된 원단의 양면을 코팅처리 한 뒤 소정의 폭으로 재단하여 천공하고 원통형으로 형성한 뒤 접착물질을 길이방향으로 도포하고 압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천공 호스는 통상 고무와 같은 탄성중합체 재질로 제조되기 때문에, 제조과정에 있어서 기다란 원단이 연속적으로 이송됨에 따라 좌우로 치우침이 발생하여 천공이 직선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원단에 소정의 장력이 유지되는 상태로 이송되어야만 천공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호스의 천공상태가 불량해지지 않으려면 원단에 가해지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과정에 있어서 탄성중합체 재질의 기다란 원단이 연속적으로 이송되더라도 좌우로 치우침이 발생하지 않는 동시에 원단에 소정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호스 천공상태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천공 호스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공 호스 제조장치의 전체 개략 구성도,
도 2는 원단의 좌우 치우침을 보정하는 보정유닛의 주요부 사시도,
도 3은 보정유닛에 포함된 제1 센서의 사시도,
도 4는 센서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원단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장력 유지유닛 및 인쇄유닛의 주요부 사시도,
도 6은 천공유닛의 주요부 사시도,
도 7은 원통 형성유닛의 주요부 사시도,
도 8은 원통 형성유닛에 포함된 제2 센서 및 접착제 도포장치의 사시도,
도 9는 접착제 도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원단 2 : 호스
10 : 원단 롤 19 : 완제품 롤
20 : 보정유닛 23 : 프레임
25 : 제1 센서 26 : 구동수단
30 : 장력 유지유닛 31 : 회전 측정용 롤러
33 : 회전 감지센서 35 : 브레이크 장치
40 : 인쇄유닛 41 : 음각롤러
42 : 가압롤러 50 : 천공유닛
55 : 천공롤러 56 : 지지롤러
60 : 원통 형성유닛 65 : 접착제 도포장치
67 : 제2 센서 68 : 압착롤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공 호스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공 호스 제조장치는, 원단 롤(10)과, 상기 원단 롤(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풀려 나오는 원단(1)의 좌우 치우침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유닛(20)과, 상기 원단 롤(10)로부터 풀려 나오는 원단의 장력을 소정값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장력 유지유닛(30)과, 상기 보정유닛(20)과 상기 장력 유지유닛(30)에 의해 치우침이 보정되고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이송되는 원단(1)의 표면에 라벨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유닛(40)과, 상기 인쇄유닛(40)을 통과한 원단(1)에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천공유닛(50)과, 상기 천공유닛(50)을 통과한 원단(1)을 원통형상호스(2)로 만들기 위한 원통 형성유닛(60)과, 완성된 완제품 호스를 감아두는 완제품 롤(19)과, 복수개의 보조롤러들(71 ∼ 7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정유닛(20)은, 상기 원단 롤(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원단(1)의 이송방향에 수직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프레임(23)과, 이송되는 원단(1)의 좌우 치우침을 검출하는 제1 센서(25)와, 상기 제1 센서(25)에 의해 검출된 원단(1)의 좌우 치우침을 보정하기 위해서 상기 프레임(23)을 상기 원단(1)의 이송방향에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26)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21) 상에는 원단 이송방향에 수직으로 복수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가이드 봉(2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3)에는 프레임(23)이 상기 가이드 봉(22)을 따라서 직선이동될 수 있도록 구동수단(26)으로서의 모터와 복수개의 바퀴(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수단(26)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과 랙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유압실린더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원단(1)의 이송을 보조하기 위해서 한 쌍의 제1 이송롤러(27) 및 복수개의 보조롤러(71, 72, 73)가 프레임(23) 상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센서(25)는 베이스(21) 혹은 바닥면에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센서(25)는 말굽형상으로서 가운데의 개구된 공간으로 원단(1)이 이송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 센서(25)는 광센서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되는 원단의 일측 가장자리에 빛을 비추어 원단에 의해서 가려지는 정도를 측정하여 원단의 좌우 치우침을 검출해 낸다.
상기 제1 센서(25)에 의해 원단의 치우침이 검출되면 상기 구동수단(26)으로 신호가 전달되어 원단 롤(10)을 지지하는 프레임(23)을 베이스(21) 상에서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서 이송되는 원단의 좌우 치우침을 보정하게 된다.
상기 장력 유지유닛(3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단(1)의 이송에 의해 종동되는 회전 측정용 롤러(31)와, 상기 회전 측정용 롤러(31)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감지센서(33)와, 상기 회전 감지센서(33)로부터 검출된 정보에 근거하여 원단 롤(10)의 회전을 제어하는 브레이크 장치(35)를 포함한다.
상기 인쇄유닛(4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1)의 표면에 라벨을 인쇄하는 음각롤러(41) 및 가압롤러(42)와, 상기 음각롤러(41)의 표면에 페인트와 같은 도료를 적시기 위하여 도료를 수용하고 있는 도료 수용부재(43)와, 상기 음각롤러(41)의 음각부분 이외의 부분에 묻어 있는 도료를 긁어내기 위한 긁개(45)로 이루어진다. 도 4에는 상기 긁개(45)가 유지보수를 위해 이격된 상태로 나타나 있다.
상기 천공유닛(50)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1)의 이송을 안내하여 천공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한 쌍의 제2 이송롤러(51) 및 전후방 안내롤러(53, 54)와, 상기 전후방 안내롤러(53, 54)의 사이에 위치되어 원단(1)에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천공롤러(55) 및 지지롤러(56)를 포함한다.
상기 천공롤러(55) 및 지지롤러(56)는 몇 열의 관통구멍을 형성하나에 따라서 한 조 혹은 복수개의 조가 장착될 수 있다. 도 6에는 관통구멍을 일렬로 형성하기 위해서 한 조의 천공롤러(55) 및 지지롤러(56)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모습이나타나 있다.
상기 원통 형성유닛(60)은, 도 1,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 형태를 이루기 위해서 서로 협력하여 평평한 원단의 양쪽 가장자리를 말아 올리도록 안내하는 원통 형성용 롤러(61) 및 수평 안내롤러(62)와, 복수개의 원추형 롤러(63)와, 호스 형태를 이룬 원단의 서로 겹쳐지는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접착제 도포장치(65)와, 접착제가 도포된 후 압착하여 접착시킴으로서 호스 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한 쌍의 압착롤러(68)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착제 도포장치(65)의 선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 형태를 이룬 원단의 서로 겹쳐지는 부분의 사이로 삽입되어 접착제를 도포한다. 상기 원통 형성유닛(60)은 상기 보정유닛(20)의 제1 센서(25)와 같은 원리로 호스 형태를 이룬 원단의 좌우 치우침을 검출하는 제2 센서(6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센서(67)는 제1 센서와 마찬가지로 광센서로서, 이송되는 원단의 일측 가장자리에 빛을 비추어 원단에 의해서 가려지는 정도를 측정하여 원단의 좌우 치우침을 검출해 낸다.
상기 제2 센서(67)에 의해 원단의 치우침이 검출되면 상기 접착제 도포장치(65)로 신호가 전달되어 상기 접착제 도포장치의 선단(66)이 도 9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이동되면서 정확한 위치에 접착제를 도포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 호스 제조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원단이 도면의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이송되는 상태로 도시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 롤(10)로부터 풀려 나오는 원단(1)은 제1 이송롤러(27)와 제1 센서(25)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좌우 치우침이 감시된다. 제1 센서에 의해 치우침이 검출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26)으로 신호가 전달되어 원단 롤(10)을 지지하는 프레임(23)을 베이스(21) 상에서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서 이송되는 원단의 좌우 치우침을 보정하게 된다.
원단이 도면의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이송되는 상태로 도시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되는 원단(1)은 계속해서 장력 유지유닛(30)의 회전 측정용 롤러(31)를 통과하면서 이 회전 측정용 롤러(31)를 회전시킨다. 그러나 원단(1)이 원단 롤(10)로부터 과도하게 풀려 나오게 되면 원단(1)에 가해지는 장력의 세기가 변화되면서 회전 측정용 롤러(31)가 회전하지 않거나 그 회전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회전 감지센서(33)는 이러한 변화를 검출하여 브레이크 장치(35)를 작동시킨다. 브레이크 장치(35)는 원단 롤(10)이 회전하는 것을 방해하여 더 이상 원단(1)이 풀려 나가는 것을 막는다. 원단(1)이 풀려 나가지 않아 소정의 장력이 회복되면 브레이크 장치(35)의 작동은 해제되어 원단 롤(10)로부터 원단(1)이 풀려 나가게 된다. 따라서 이송되는 원단(1)에는 소정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보정유닛(20)과 장력 유지유닛(30)을 통과하면서 치우침이 보정되고 장력이 유지되어 이송되는 원단은, 인쇄유닛(40)을 통과하면서 그 표면에 상표 등이 인쇄된다. 도료 수용부재(43) 내에 수용된 페인트 등의 도료는 회전하는 음각롤러(41)의 표면에 묻어진 후 호스로 옮겨진다. 이 과정에서 음각롤러(41)의 음각부분 이외의 부분에 묻어진 도료는 긁개(45)에 의해서 제거됨으로써, 소정형상의 상표 등이 인쇄된다.
원단이 도면의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이송되는 상태로 도시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공유닛(50)을 통과하면서 천공롤러(55) 및 지지롤러(56)에 의해 원단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렬로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관통구멍이 형성된 원단은, 계속해서, 원단이 도면의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이송되는 상태로 도시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 형성유닛(60)을 통과하면서 호스의 형태를 이룬다. 상기 원통 형성유닛(60)의 원통 형성용 롤러(61)와 수평 안내롤러(62)는 원단의 양쪽 가장자리를 말아 올리고, 하류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원추형 롤러(33)에 의해 말아 올려진 원단의 양쪽 가장자리를 접어 양쪽 가장자리가 서로 겹치도록 한다.
접혀진 원단이 도면의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상태로 도시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으로부터 접착제가 흘러나오는 접착제 도포장치(65)에 의해 원단의 접혀져 서로 겹쳐진 부분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상기 접착제로서는 PE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상기 접착제 도포장치(65)의 선단이 호스 형태를 이룬 원단의 서로 겹쳐지는 부분의 사이로 삽입되어 접착제를 도포할 때, 호스가 좌우로 치우쳐 접착제가 겹쳐진 부분 이외의 부분에 도포되어 호스의 제작 상태가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원통 형성유닛(60)에는 상기 보정유닛(20)의 제1 센서(25)와 같은 원리로 호스 형태를 이룬 원단의 좌우 치우침을 검출하는 제2 센서(67)가 더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센서(67)는 광센서로서, 이송되는 원단의 일측 가장자리에 빛을 비추어 원단에 의해서 가려지는 정도를 측정하여 원단의 좌우 치우침을 검출해 낸다. 상기 제2 센서(67)에 의해 원단의 치우침이 검출되면 상기 접착제 도포장치(65)로 신호가 전달되어 상기 접착제 도포장치의 선단(66)이 도 9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이동되면서 정확한 위치에 접착제를 도포시킨다.
접혀진 부분에 접착제가 도포된 원단은 한 쌍의 압착롤러(68)를 통과하면서 압착되어 호스 형상을 가지게 된다. 압착롤러(68)를 통과하여 완성된 천공 호스는 완제품 롤(19)에 감겨져 보관 및 수송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과정에 있어서 탄성중합체 재질의 기다란 원단이 연속적으로 이송되더라도 좌우로 치우침이 발생하지 않는 동시에 원단에 소정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는 천공 호스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천공 호스 제조장치에 의하면, 천공이 좌우측으로 치우쳐 이루어지거나 천공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호스 천공상태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원단 롤(10)과;
    상기 원단 롤(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풀려 나오는 원단(1)의 좌우 치우침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유닛(20)과;
    상기 원단 롤(10)로부터 풀려 나오는 원단의 장력을 소정값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장력 유지유닛(30)과;
    상기 보정유닛(20)과 상기 장력 유지유닛(30)에 의해 치우침이 보정되고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이송되는 원단(1)의 표면에 라벨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유닛(40)과;
    상기 인쇄유닛(40)을 통과한 원단(1)에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천공유닛(50)과;
    상기 천공유닛(50)을 통과한 원단(1)을 원통형상 호스(2)로 만들기 위한 원통 형성유닛(60)과;
    완성된 완제품 호스를 감아두는 완제품 롤(19)과;
    복수개의 보조롤러들(71 ∼ 7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호스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유닛(20)은, 상기 원단 롤(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원단(1)의 이송방향에 수직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프레임(23)과, 이송되는 원단(1)의 좌우 치우침을 검출하는 제1 센서(25)와, 상기 제1 센서(25)에 의해 검출된 원단(1)의 좌우 치우침을 보정하기 위해서 상기 프레임(23)을 상기 원단(1)의이송방향에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26)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력 유지유닛(30)은, 상기 원단(1)의 이송에 의해 종동되는 회전 측정용 롤러(31)와, 상기 회전 측정용 롤러(31)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감지센서(33)와, 상기 회전 감지센서(33)로부터 검출된 정보에 근거하여 원단 롤(10)의 회전을 제어하는 브레이크 장치(35)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쇄유닛(40)은, 원단(1)의 표면에 라벨을 인쇄하는 음각롤러(41) 및 가압롤러(42)와, 상기 음각롤러(41)의 표면을 적시기 위한 도료를 수용하고 있는 도료 수용부재(43)와, 상기 음각롤러(41)의 음각부분 이외의 부분에 묻어 있는 도료를 긁어내기 위한 긁개(45)로 이루어지며,
    상기 천공유닛(50)은, 원단(1)의 이송을 안내하여 천공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한 쌍의 제2 이송롤러(51) 및 전후방 안내롤러(53, 54)와, 상기 전후방 안내롤러(53, 54)의 사이에 위치되어 원단(1)에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천공롤러(55) 및 지지롤러(56)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 형성유닛(60)은, 호스 형태를 이루기 위해서 서로 협력하여 평평한 원단의 양쪽 가장자리를 말아 올리도록 안내하는 원통 형성용 롤러(61) 및 수평 안내롤러(62)와, 복수개의 원추형 롤러(63)와, 호스 형태를 이룬 원단의 서로 겹쳐지는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접착제 도포장치(65)와, 호스 형태를 이룬 원단의 좌우 치우침을 검출하는 제2 센서(67)와, 접착제가 도포된 후 압착하여 접착시킴으로서 호스 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한 쌍의 압착롤러(6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호스 제조장치.
KR1020020003707A 2002-01-22 2002-01-22 천공 호스 제조장치 KR20030063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707A KR20030063541A (ko) 2002-01-22 2002-01-22 천공 호스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707A KR20030063541A (ko) 2002-01-22 2002-01-22 천공 호스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541A true KR20030063541A (ko) 2003-07-31

Family

ID=32218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707A KR20030063541A (ko) 2002-01-22 2002-01-22 천공 호스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35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5106A (zh) * 2019-04-25 2019-07-30 苏州斯凯特电子科技有限公司 应用于吸附棉模压设备的模压成型工艺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392A (ko) * 1990-09-20 1992-04-28 정용운 다수의 nos를 갖는 lan의 데이타 처리방법
KR960001076U (ko) * 1994-06-30 1996-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히비트 스위치의 작동 제어장치
KR960029217A (ko) * 1995-01-21 1996-08-17 박희복 원단롤의 띠지 자동권취 장치
KR19990080626A (ko) * 1998-04-20 1999-11-15 이영규 신선도 유지용 비닐포장대와 그 통기공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20000039959A (ko) * 1998-12-16 2000-07-05 박창호 시트, 원단 등의 폭 측정 시스템
KR20010054183A (ko) * 1999-12-03 2001-07-02 이상구 호스의 표출무늬 인쇄장치와 이에 의해 제조된 호스
KR20010069910A (ko) * 2001-05-18 2001-07-25 이점길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
KR200273027Y1 (ko) * 2001-12-27 2002-04-20 남운숙 안전띠의 발광 결합부 자동 천공장치
KR100392636B1 (ko) * 2000-07-04 2003-07-28 정인선 내압호스 성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392A (ko) * 1990-09-20 1992-04-28 정용운 다수의 nos를 갖는 lan의 데이타 처리방법
KR960001076U (ko) * 1994-06-30 1996-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히비트 스위치의 작동 제어장치
KR960029217A (ko) * 1995-01-21 1996-08-17 박희복 원단롤의 띠지 자동권취 장치
KR19990080626A (ko) * 1998-04-20 1999-11-15 이영규 신선도 유지용 비닐포장대와 그 통기공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20000039959A (ko) * 1998-12-16 2000-07-05 박창호 시트, 원단 등의 폭 측정 시스템
KR20010054183A (ko) * 1999-12-03 2001-07-02 이상구 호스의 표출무늬 인쇄장치와 이에 의해 제조된 호스
KR100392636B1 (ko) * 2000-07-04 2003-07-28 정인선 내압호스 성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69910A (ko) * 2001-05-18 2001-07-25 이점길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
KR200273027Y1 (ko) * 2001-12-27 2002-04-20 남운숙 안전띠의 발광 결합부 자동 천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5106A (zh) * 2019-04-25 2019-07-30 苏州斯凯特电子科技有限公司 应用于吸附棉模压设备的模压成型工艺
CN110065106B (zh) * 2019-04-25 2020-08-07 苏州斯凯特电子科技有限公司 应用于吸附棉模压设备的模压成型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26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end portion of roll paper
EP1159135B1 (en) Transfer printing machine
JPS6327256A (ja) ウェブ材料の印刷装置
US6779453B2 (en) Fabric printing system and method utilizing a removable/reusable fabric backing
JP2002068154A (ja)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US5772147A (en) Apparatus for performing a work operation on sheet material and a sheet material feed mechanism therefor
JP4791174B2 (ja) ラベル貼付装置及びラベル貼付方法
KR20030063541A (ko) 천공 호스 제조장치
JPS606463A (ja) 連続多色印刷方法及び装置
JP4429381B2 (ja)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延伸装置
EP1813536B1 (de) Vorrichtung zum Anbringen von Klebeetiketten
JP2006327628A (ja) ラベル貼付装置
KR20080052654A (ko) 접착 라벨 및 접착 라벨 롤
KR100500130B1 (ko) 자동 스크린 날염 장치
KR100412323B1 (ko) 그라비아 인쇄기의 언와인더 스플라이싱 조정장치
DE102019110339B4 (de) Druck- und Etikettiermaschine und Verfahren zum individualisierten Bedrucken von Etiketten
ATE311338T1 (de) Vorrichtung zum verbinden des ablaufenden endes einer papierrolle mit dem anfang einer neuen rolle
CN204414743U (zh) 制版装置及具有该制版装置的孔版印刷机
KR100424903B1 (ko) 접착테이프용 지관의 시트 자동 부착장치
JP4435908B2 (ja) 被印刷材用異物除去装置
NL1035313C2 (nl) Een folieverbindingsinrichting.
KR20030063525A (ko) 다층 호스 제조장치
JP2012190767A (ja) 除電装置およびウェブ材処理装置
DE102008062140A1 (de) Druckverfahren
JP2009189945A (ja) 塗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