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090A - 밀봉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밀봉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090A
KR20030063090A KR1020020064113A KR20020064113A KR20030063090A KR 20030063090 A KR20030063090 A KR 20030063090A KR 1020020064113 A KR1020020064113 A KR 1020020064113A KR 20020064113 A KR20020064113 A KR 20020064113A KR 20030063090 A KR20030063090 A KR 20030063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filled
sealing
chamber
char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하시마사시
요시와라데츠오
Original Assignee
닛뽄 탄산가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뽄 탄산가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뽄 탄산가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3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09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06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using counterpressure, i.e. filling while the container is under pressure
    • B67C3/1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using counterpressure, i.e. filling while the container is under pressure preliminary filling with inert gases, e.g. 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cuum Packag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Abstract

액체로 녹여서 마시기 위한 분말원료, 액체원료, 또는 개체원료를 압력기체와 함께, 수용실을 구비하는 보틀캡에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밀봉충전장치(1)는, 피충전물(21)이 배치되는 지지부(2)와, 밀전(23)의 유지부(3)와, 지지부(2) 및 유지부(3)를 기밀하게 포위하는 기밀실(4)과, 이 기밀실 내부에 개폐밸브(7, 8)를 통하여 각각 별도로 연통하는 압력기체 공급수단(9) 및 진공빼기수단(10)을 구비한다. 이 피충전물은, 개구부(22)를 가지는 수용실(24)을 구비하고 있고, 이 수용실에 충전재(25)의 충전이 이루어지고, 이 개구부를 상측으로 하여 이 지지부에 배치된다. 이 밀전은 이 개구부를 밀봉 고정하는 것이다. 이 기밀실은, 주요부(5)와 덮개부(6)로 구성되고, 이 주요부와 이 덮개부는 상대적으로 진퇴 또한 밀접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 이 지지부는 이 주요부와, 이 유지부는 이 덮개부와 각각 상대적으로 또한 기밀하게 이동자유로우며, 이 지지부와 이 유지부가 서로 접합 분리 자유롭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밀봉충전장치{SEALING 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압력기체를 기체이외의 충전재와 함께 피충전물에 밀봉충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체로 녹여서 마시기 위한 분말원료, 액체원료, 또는 개체원료 등의 충전재가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충전재를, 압력기체와 함께 보틀캡의 수용실에 충전하는 밀봉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페트보틀 등의 보틀에 채워진 음료(보틀채우기 음료)가 넓게 보급되어 있다. 그리고 많은 보틀채우기 음료는 액체와 원료가 혼합된 것인데, 그 원료는 외기온, 자외선, 공기중의 산소 등의 영향으로 변질(산화 등)되고 말기 때문에, 보틀채우기 음료의 제조시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일본 특원 2001-185428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원료 및 압력기체의 수용실을 구비하는 보틀캡을 개발하고 있다. 이 보틀캡에 의하면, 원료는 압력기체와 함께 밀전(密栓)으로 밀봉고정되는 수용실에 수용되고, 그 수용실은 소비자가 사용시에 마개 개방수단에 의해 마개 개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원료와액체로 구성되는 보틀채우기 음료를, 원료의 열화 등을 일으키지 않도록 제조시의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압력기체를 충전하고 밀전으로 봉입하는 기술로서,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이 갖는 가스 카트리지에의 충전기술이 존재한다. 이 충전기술에 의하면, 피충전물인 용기의 충전구를 기밀실에 배치하고, 그 기밀실에 충전재인 압력기체를 충만하게 하여 용기에 충전한 후, 충전구에 밀봉판을 용접하여 밀봉기구를 가진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충전기술에서는, 압력기체 이외의 충전재를 충전할 수 없었다. 또, 그 밖에 일반적인 충전기술을 이용해도, 상기 수용실을 구비하는 보틀캡에 원료 및 압력기체를 효율좋게 충전할 수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기체를 기체 이외의 충전재와 함께 피충전물에 밀봉충전할 수 있게 하고, 액체로 녹여서 마시는 분말원료, 액체원료, 또는 개체원료를 압력기체와 함께, 수용실을 구비하는 보틀캡에 충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밀봉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밀봉충전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정단면도,
도 2는 동 밀봉충전장치의 요부의 작동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a)는 밀전 및 피충전물이 배치된 초기상태의 정단면도, (b)는 기밀실의 내부에서 밀전이 개구부에 부착된 상태의 정단면도, (c)는 일련의 동작이 종료되고 피충전물의 밀봉이 완료된 상태의 정단면도, 및
도 3은 동 밀봉충전장치의 요부의 개관을 도시하고,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부호의 설명)
1 : 밀봉충전장치2 : 지지부
3 : 유지부4 : 기밀실
5 : 주요부6 : 덮개부
7, 8 : 개폐밸브9 : 압력기체 공급수단
10 : 진공빼기수단11 : 배치면
12, 14 : 오목함몰부13 : 유지면
15 : 관통구멍21 : 피충전물
22 : 개구부23 : 밀전
24 : 수용실25 : 충전재
31 : 축부재32 : 정치
33 : 암34 : 편심판
L, M : 축심
본 발명에 관한 밀봉충전장치는, 개구부를 갖는 수용실을 구비하고, 이 수용실에 충전재의 충전이 이루어진 피충전물이 이 개구를 상측으로 하여 배치되는 지지부와, 이 개구부를 밀봉고정하는 밀전의 유지부와, 이 지지부 및 이 유지부를 기밀하게 포위하는 기밀실과, 이 기밀실 내부에 개폐밸브를 통하여 각각 별도로 연통하는 압력기체 공급수단 및 진공빼기수단을 구비하고, 이 기밀실은, 주요부와 덮개부로 구성되고, 이 주요부와 이 덮개부는 상대적으로 진퇴 또한 밀접 자유로우며, 이 지지부는 이 주요부와, 또 이 지지부는 이 덮개부와 각각 상대적으로 또한 기밀하게 이동 자유로우며, 이 지지부와 이 유지부가 서로 접합 분리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밀봉충전장치에 의하면, 충전재의 충전이 이루어진 피충전물에 압력기체를 충전하고, 그 개구부에 밀전을 부착함으로써, 충전재를 압력기체와 함께 피충전물에 밀봉할 수 있다. 또한 밀봉작업은 이하의 동작에 의해 행해진다.
우선, 개구부를 가지는 수용실을 구비하고 그 수용실에 충전재의 충전이 이루어진 피충전물이, 개구부를 상측으로 하여 지지부에 배치된다, 이 때, 개구부를 상측으로 함으로써 충전재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개구부를 밀봉고정하는 밀전이 유지부에 배치되어, 그곳에서 유지된다.
다음에, 주요부와 덮개부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덮개부가 주요부에 밀착되고, 지지부와 유지부를 기밀하게 포위하는 기밀실이 형성된다. 여기서, 기밀실은 주요부와 덮개부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밀봉작업을 개시할 때에는, 피충전물 및 밀전을, 기밀실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부 및 유지부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계속해서, 기밀실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진공빼기수단에 의해 제거되고, 압력기체 공급수단에 의해 압력기체가 기밀실에 충전되어, 피충전물의 수용실에 압력기체가 충전된다.
압력기체의 충전이 완료되면, 지지부와 유지부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밀전이 개구부에 부착된다. 그리고, 밀전의 부착이 완료되면, 지지부와 유지부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최후에 주요부와 덮개부가 분리하여 일련의 동작이 종료하고, 밀봉작업이 완료된다. 이 때, 기밀실은 개방된 상태로 되므로, 밀봉된 피충전물을 취출해서 다음에 밀봉하는 다른 피충전물의 배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지지부는 이 피충전물의 설치면에 이 피충전물이 적합하게 하는 오목함몰부를 가지고, 이 유지부는 이 밀전의 유지면에 이 밀전이 적합하는 오목함몰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오목함몰부를 적정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피충전물 및 밀전의 위치결정수단으로 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피충전물 및 밀전을 각각 오목함몰부에 적합하게 하여 배치하는 것 만으로, 적정한 위치관계로 하고, 밀전의 개구부로의 부착작업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이 유지부는, 이 밀전을 밀착시키는 유지면과, 이 유지면에 개구하는 관통구멍을 가지고, 이 관통구멍은 제 2의 진공빼기수단에 연통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2의 진공빼기수단에 의해 관통구멍의 기압을 낮추므로써, 대기압을 이용하여 밀전을 유지부에 유지할 수 있다. 단, 관통구멍의 기압은, 상기 기밀실의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진공빼기수단에 의해 제거될 때의 최저기압보다도 낮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덮개부는, 축부재에 의해 정치(定置:고정된 위치)측으로 요동 자유롭게지지되어 이 덮개부의 축선이 이 지지부의 축선과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퇴피 자유롭게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밀봉작업시에는 지지부에 대향한 위치에 있는 덮개부 및 유지부를, 필요에 따라 그 위치로부터 퇴피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밀전 및 피충전물의 배치작업이나 취출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는 덮개부에 상대적 또한 기밀하게 이동 자유롭게 되어 있는데, 여기서 유지부의 이동 자유롭다라는 것은 지지부에 대하여 접합 분리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 즉, 지지부에 대향한 위치에 있는 경우에 지지부의 축선과 동일방향으로 되는 유지부 자신의 축선상으로 이동 자유롭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 밖의 방향으로의 이동에 있어서는 덮개부와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 되고 덮개부의 축선을 지지부의 축선과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퇴피하게 하면, 유지부도 함께 지지부에 대향한 위치로부터 퇴피하는 것으로 된다.
이 덮개부는, 암을 구비한 편심판에 부착되고, 이 암의 타단이 이 축부재와 고착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덮개부 및 유지부의 지지부로부터의 퇴피거리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밀전 및 피충전물의 착탈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덮개부는 수지제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 덮개부에 탄력성을 부여함으로써, 벽부와 덮개부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이 피충전물은 보틀캡이고, 이 수용실은 원료 및 압력기체를 수용하기 위한것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 충전재를 액체로 녹여서 마시기 위한 분말원료, 액체원료, 또는 개체원료로 하면, 이들 원료를 압력기체와 함께 또한 액체로 구분된 형태로 보틀캡에 충전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3에, 본 발명에 관한 밀봉충전장치의 구체예를 도시한다. 도 1은 동 밀봉충전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동 밀봉충전장치의 요부의 작동상태를 확대해서 도시하고, (a)는 밀전 및 피충전물이 배치된 초기상태의 정단면도, (b)는 기밀실의 내부에서 밀전이 개구부에 부착된 상태의 정단면도, (c)는 일련의 동작이 종료하고 피충전물의 밀봉이 완료된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동 밀봉충전장치의 요부의 개관을 도시하고,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밀봉충전장치(1)는, 피충전물(21)이 배치되는 지지부(2)와, 밀전(23)의 유지부(3)와, 지지부(2) 및 유지부(3)를 기밀하게 포위하는 기밀실(4)과, 기밀실(4)내부에 개폐밸브(7, 8)를 통하여 각각 별도로 연통하는 압력기체 공급수단(9) 및 진공빼기수단(10)을 구비한다. 피충전물(21)은, 개구부(22)를 가지는 수용실(24)을 구비하고 있고, 수용실(24)에 충전재(25)의 충전이 이루어지고, 개구부(22)를 상측으로 하여 지지부(2)에 배치된다. 밀전(23)은 개구부(22)를 밀봉고정하는 것이다. 기밀실(4)은, 주요부(5)와 덮개부(6)로 구성되고, 주요부(5)와 덮개부(6)는 상대적으로 진퇴 또한 밀접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 지지부(2)는 주요부(5)와,유지부(3)는 덮개부(6)와 각각 상대적으로 또한 기밀하게 이동 자유롭고, 지지부(2)와 유지부(3)가 서로 접합 분리 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 밀봉충전장치(1)에 의하면, 충전재(25)의 충전이 이루어진 피충전물(21)에 압력기체를 충전하고, 그 개구부(22)에 밀전(23)을 부착함으로써, 충전재(25)를 압력기체와 함께 피충전물(21)에 밀봉할 수가 있다. 또한 밀봉작업은 이하의 동작에 의해 행해진다.
우선, 개구부(22)를 가지는 수용실(24)을 구비하여 그 수용실(24)에 충전재(25)의 충전이 이루어진 피충전물(21)이, 개구부(22)를 상측으로 하여 지지부(2)에 배치된다. 이 때, 개구부(22)를 상측으로 함으로써 충전재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재(25)는 도시하지 않는 별체의 충전장치로 충전되어 있다. 그리고, 충전재(25)가 충전된 피충전물(21)은 지지부(2)에 수동작업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공지의 기술에 의해 자동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한편 개구부(22)를 밀봉고정하는 밀전은 유지부에 배치되어, 그곳에서 유지되고, 도 2 (a)에 도시하는 상태로 된다. 또한, 도 2(a)에 있어서의 말단표시는, 개폐밸브(7 또는 8)가 폐지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에, 주요부(5)와 덮개부(6)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덮개부(6)가 주요부(5)에 밀착하고, 지지부(2)와 유지부(3)를 기밀하게 포위하는 기밀실(4)이 형성된다. 여기서, 기밀실(4)은 주요부(5)와 덮개부(6)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밀봉작업을 개시할 때에는,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충전물(21) 및 밀전(23)을, 기밀실(4)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부(2) 및 유지부(3)에 용이하게배치할 수 있다.
계속해서, 기밀실(4)의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진공빼기수단(10)에 의해 제거되고(도 2(b)에서 화살표선(V)), 압력기체 공급수단(9)에 의해 압력기체가 기밀실에 충전되어(도 2(b)에서 화살표선(P)), 피충전물(21)의 수용실(24)에 압력기체가 충전된다. 또한, 도 2(b)에는, 설명의 편의상, 화살표선(V, P)가 병기되어 있는데, 실제로는 개폐밸브(7 및 8)가 동시에 개방되는 일은 없다.
압력기체의 충전이 완료되면, 지지부(2)와 유지부(3)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밀전(23)이 개구부(22)에 부착되어, 도 2(b)의 상태로 된다. 그리고, 밀전(23)의 부착이 완료되면, 지지부(2)와 유지부(3)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최후로 주요부(5)와 덮개부(6)가 분리되어 일련의 동작이 종료되고, 밀봉작업이 완료되어, 도 2(c)에 도시하는 상태로 된다. 이 때, 기밀실(4)은 개방된 상태로 되므로, 밀봉된 피충전물(21)을 취출해서 다음에 밀봉하는 다른 피충전물의 배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지지부(2)는 피충전물(21)의 배치면(11)에 피충전물(21)이 적합하게 되는 오목함몰부(12)를 가지고 있다. 또, 유지부(3)는 밀전(23)의 유지면(13)에 밀전(23)이 적합하는 오목함몰부(14)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하면, 오목함몰부(12, 14)를 적정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피충전물(21) 및 밀전(23)의 위치결정수단으로 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피충전물(21) 및 밀전(23)을 각각 오목함몰부(12, 14)에 적합하게 하여 배치하는 것 만으로, 적정한 위치관계로 하고, 밀전(23)의 개구부(22)에의 부착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유지부(3)는, 밀전(23)을 밀착하게 하는 유지면(13)과, 유지면(13)에 개구되는 관통구멍(15)을 가지고, 이 관통구멍(15)은 도시하지 않는 제 2의 진공빼기수단에 연통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제 2의 진공빼기수단에 의해 관통구멍(15)의 기압을 낮추므로써, 대기압을 이용하여 밀전(23)을 유지부(3)에 유지할 수 있다. 단, 관통구멍(15)의 기압은, 상기 기밀실(4)의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진공빼기수단(10)에 의해 제거될 때의 최저기압보다도 낮게 할 필요가 있다.
유지부(3)는 지지부(2)에 대향한 위치에 있는 경우에 지지부(2)의 축선(M)과 동일 방향으로 되는 유지부 자신의 축선상에 이동 자유로운데, 그 밖의 방향으로의 이동에 있어서는 덮개부(6)와 함께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덮개부(6)는, 축부재(31)에 의해 정치측(32)에 요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덮개부(6)의 축선(L)이 지지부(2)의 축선(M)과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퇴피 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밀봉작업시에는 지지부(2)에 대향한 위치에 있는 덮개부(6) 및 유지부(3)를, 필요에 따라 그 위치로부터 퇴피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밀전(23) 및 피충전물(21)의 배치작업이나 취출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더욱이, 덮개부(6)는, 암(33)을 구비한 편심판(34)에 부착되고, 암(33)의 타단이 상기 축부재(32)와 고착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덮개부(23) 및 유지부(3)의 지지부(2)로부터의 퇴피거리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밀전(23) 및 피충전물(21)의 착탈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또, 덮개부(6)는 수지제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덮개부(6)에 탄력성을 부여함으로써, 주요부(5)와 덮개부(6)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정치측(32)의 기대(35) 내부에는, 주요부(5)를 진퇴이동하게 하는 도시하지 않는 구동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주요부(5)는, 밀전(23) 및 피충전물(21)의 배치작업이나 취출작업시에는, 도 3(a)의 실선으로 도시하는 하방위치에, 밀봉작업시에는 상상선으로 도시하는 상방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피충전물(21)은 보틀캡이다. 그리고, 수용실(24)은 원료 및 압력기체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되어 있고, 충전재(25)는 액체로 녹여서 마시기 위한 원료이다. 원료의 형태에 제한은 없고, 분말, 액체, 또는 개체중 어느것이든 좋다.
이 밀봉충전장치(1)에 의하면, 그 원료를 압력기체와 함께 또한 액체로 구분된 형태로 보틀캡에 충전할 수 있다. 또한, 피충전물(21)은 보틀캡에 한정되지 않고, 밀전으로 밀봉고정되는 개구부를 가지고 지지부(2)에 배치되는 것이라면, 그 밖의 용기이더라도 좋다.
이 밀봉충전장치에 의하면, 충전재의 충전이 이루어진 피충전물에 압력기체를 충전하고, 그 개구부에 밀전을 부착함으로써, 충전재를 압력기체와 함께 피충전물에 밀봉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의하면, 오목함몰부를 적정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피충전물 및 밀전의 위치결정수단으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피충전물 및 밀전을 각각 오목함몰부에 적합하게 하여 배치하는 것만으로, 적정한 위치관계로하여, 밀전의 개구부에의 부착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의하면, 제 2의 진공빼기수단에 의해 관통구멍의 기압을 낮추므로써, 대기압을 이용해서 밀전을 유지부에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의하면, 밀봉작업시에는 지지부에 대향한 위치에 있는 덮개부 및 유지부를, 필요에 따라 그 위치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밀전 및 피충전물의 배치작업이나 취출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의하면, 이 덮개부는, 암을 구비한 편심판에 부착되고, 이 암의 타단이 이 축부재와 고착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덮개부 및 유지부의 지지부로부터의 퇴피거리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밀전 및 피충전물의 배치작업이나 취출작업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의하면, 덮개부에 탄력성을 부여함으로써, 벽부와 덮개부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7에 의하면, 충전재를 액체로 녹여서 마시기 위한 분말원료, 액체원료, 또는 개체원료로 하면, 이들 원료를 압력기체와 함께 또한 액체와 구분된 형태로 보틀캡에 충전할 수 있다.

Claims (7)

  1. 개구부(22)를 가지는 수용실(24)을 구비하고 이 수용실(24)에 충전재(25)의 충전이 이루어진 피충전물(21)이 이 개구부(22)를 상측으로 하여 배치되는 지지부(2)와, 이 개구부(22)를 밀봉고정하는 밀전(23)의 유지부(3)와, 이 지지부(2) 및 이 유지부(3)를 기밀하게 포위하는 기밀실(4)과, 이 기밀실(4)내부에 개폐밸브(7, 8)를 통하여 각각 별도로 연통하는 압력기체 공급수단(9) 및 진공빼기수단(10)을 구비하고,
    이 기밀실(4)은, 주요부(5)와 덮개부(6)로 구성되고, 이 주요부(5)와 이 덮개부(6)는 상대적으로 진퇴 또한 밀접 자유로우며,
    이 지지부(2)는 이 주요부(5)와, 또 이 유지부(3)는 이 덮개부(6)와 각각 상대적으로 또한 기밀하게 이동 자유로우며, 이 지지부(2)와 이 유지부(3)가 서로 접합 분리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충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이 지지부(2)는 이 피충전물(21)의 배치면(11)에 이 피충전물(21)이 적합하게 되는 오목함몰부(12)를 가지고, 이 유지부(3)는 이 밀전(23)의 유지면(13)에 이 밀전(23)이 적합하게 되는 오목함몰부(14)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충전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 유지부(3)는, 이 밀전(23)의 유지면에개구하는 관통구멍(15)을 가지고, 이 관통구멍(15)은 제 2의 진공빼기수단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충전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 덮개부(6)는, 축부재(31)에 의해 정치측(32)에 요동자유롭게 지지되어 이 덮개부(6)의 축선(L)이 이 지지부(2)의 축선(M)과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퇴피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충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이 덮개부(6)는, 암(33)을 구비한 편심판(34)에 부착되고, 이 암(33)의 타단이 이 축부재(31)와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충전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 덮개부(6)는,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충전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 피충전물(21)은 보틀캡이고, 이 수용실(24)은 원료 및 압력기체를 수용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충전장치.
KR1020020064113A 2002-01-22 2002-10-21 밀봉충전장치 KR200300630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12358 2002-01-22
JP2002012358A JP2003212212A (ja) 2002-01-22 2002-01-22 密封充填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090A true KR20030063090A (ko) 2003-07-28

Family

ID=19191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113A KR20030063090A (ko) 2002-01-22 2002-10-21 밀봉충전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94709B2 (ko)
EP (1) EP1329386A3 (ko)
JP (1) JP2003212212A (ko)
KR (1) KR20030063090A (ko)
CN (1) CN1433956A (ko)
CA (1) CA24038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00463A1 (en) * 2002-09-20 2004-03-24 CFS Palazzolo S.p.A. Sealed packaging container,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of sealing the packaging container
US7165581B2 (en) * 2003-10-29 2007-01-23 Vinit Chantalat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rving beverages and foodstuff
JP2006307898A (ja) * 2005-04-26 2006-11-09 Major Tsushin:Kk ガス充填装置、ガス充填方法及びガス噴出装置の製造方法
EP1908689A3 (de) * 2006-10-06 2008-04-23 Multivac Sepp Haggenmüller GmbH & Co. KG Abdichtleiste für kontrollierte Gaszufuhr in die Verpackungen
TWI472459B (zh) 2008-05-19 2015-02-11 Melrose David 移除真空壓力之頂部空間改性方法及其裝置
FR2933380B1 (fr) * 2008-07-01 2013-01-18 Airlessystems Procede de conditionnement de produit fluide dans un distributeur
BR112012011655A2 (pt) * 2009-11-17 2016-07-05 Amcor Rigid Plastics Usa Inc aparelho de fechamento pressurizado
JP5779391B2 (ja) * 2011-04-28 2015-09-16 株式会社フレッシュ 粉末封入装置及び容器製造方法
KR20140105820A (ko) * 2011-12-15 2014-09-02 사노피-아벤티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약물 전달 시스템용 저장조 또는 투약 모듈 및 이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 및 조립체
CN105189293A (zh) * 2013-04-24 2015-12-23 Gea食品策划德国股份有限公司 用于低真空和/或高真空的工具集成阀
CN105715623B (zh) * 2014-11-30 2018-04-06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一种水下液压补偿系统真空抽取及气泡排出装置
TWM506233U (zh) * 2015-01-14 2015-08-01 Shang Metal Corp G 改良之高壓氣瓶
US10906791B2 (en) * 2016-10-06 2021-02-02 Norik Kagramanya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ntainer content preservation
US10773872B2 (en) * 2016-10-06 2020-09-15 Norik Kagramanya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ntainer content preservation
KR101995241B1 (ko) * 2017-03-09 2019-07-02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식품의 산화방지를 위한 진공-가스치환 분쇄 및 연속 포장 가공장치
DE102017114388A1 (de) * 2017-06-28 2019-01-03 Krones Ag Vorrichtung zum Behandeln eines Behälters in einer Füllproduktabfüllanlage
CN109911291B (zh) * 2019-04-10 2020-12-22 温州国军机械有限公司 一种真空瓶罐包装设备
AU2021306268A1 (en) 2020-07-06 2023-02-09 Glup LL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CN112357146A (zh) * 2020-11-10 2021-02-12 湖南佳元禄食品有限公司 一种半固体调味酱料生产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31911A (en) * 1929-10-02 1933-10-24 White Cap Co Packing method and apparatus
US1992556A (en) * 1931-11-10 1935-02-26 Jay E Tone Process of packing coffee
US2496877A (en) * 1948-02-14 1950-02-07 Fmc Corp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ealing containers
DE1177065B (de) * 1961-06-30 1964-08-27 Hesser Ag Maschf Kammer fuer das Evakuieren und Begasen von gefuellten Packungen aller Art
US3255568A (en) * 1962-05-14 1966-06-14 M And K Jar Cleaner Corp Jar capping machine
DE1232602B (de) * 1963-04-04 1967-01-19 Novima A 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uellen von Aerosolbehaeltern
SE313147B (ko) * 1966-03-07 1969-08-04 Tepar Ag
US3508373A (en) * 1967-09-20 1970-04-28 Scientific Atlanta Method and apparatus for evacuating and gas-flushing packages
CH549503A (de) * 1972-09-20 1974-05-31 Alupak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luftdichten verschliessen eines abgefuellten behaelters.
DE2636003C2 (de) * 1976-08-11 1984-03-01 Ludwig Schwerdtel GmbH, 8047 Karlsfeld Vorrichtung zum Verschließen von Dosen mit jeweils einem Deckel unter Vakuum
GB1558013A (en) * 1976-08-31 1979-12-19 In Da Te Ag Preserving food products
US4707213A (en) * 1985-11-12 1987-11-17 Continental Can Company, Inc. Induction heating unit for heat bonding a lid having a metallic layer to a container
US4909022A (en) * 1988-06-16 1990-03-20 Continental Can Company, Inc. Nest for container closing machine
SE467001B (sv) * 1990-03-26 1992-05-11 Norden Pac Dev Ab Anordning och foerfarande vid vaermefoersegling av en roerformad plastfoerpackning
US5419096A (en) * 1993-07-28 1995-05-30 World Class Packaging Systems, Inc. Packag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large meat products in a desired gaseous atmosphere
DE19806520A1 (de) * 1998-02-17 1999-08-19 Ruediger Haaga Gmbh Verfahren zum Sterilisieren, Befüllen und Verschließen von Behältern
IL132708A (en) * 1999-02-24 2004-12-15 Hefestus Ltd Packaging method and apparatus
JP3436226B2 (ja) 1999-12-27 2003-08-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マグネトロン駆動用昇圧トランス装置
FR2826336B1 (fr) * 2001-06-20 2004-01-16 Automatisme Assistance Dispositif d'operculage sous film de contenants rigides pour emballage sous vide ou sous atmosphere modifiee de produits alimentai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36091A1 (en) 2003-07-24
CN1433956A (zh) 2003-08-06
CA2403891A1 (en) 2003-07-22
EP1329386A3 (en) 2003-07-30
JP2003212212A (ja) 2003-07-30
EP1329386A2 (en) 2003-07-23
US6694709B2 (en) 200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63090A (ko) 밀봉충전장치
KR100276985B1 (ko) 단열용기와 그 제조방법
CA2524292A1 (en) A method for dispensing a beverage and devices therefor
CN101077765B (zh) 用于灌装机的阀门单元和灌装机
CA2477147A1 (en) Device, unit, and system for fluid extraction
PL1900653T3 (pl) Szczelnie zamknięta kapsułka do przyrządzania napoju
DE60304095D1 (de) Tintenkartuschenverpackungsanordnung und Herstellungsverfahren
AU2004240172A8 (en) Device for blow moulding, filling and closing plastic containers
US430981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gas-charged electric switches
TW372325B (en) Sealed container
KR20210059693A (ko) 로드 포트 장치, 로드 포트 장치의 구동 방법
JP3778524B2 (ja) 電解液注入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40095103A (ko) 스파우트 파우치용기 충진포장 장치 및 그 방법
JP5345591B2 (ja) 小口径容器と大口径容器の兼用充填バルブ
US8349079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group III nitride semiconductor
CN107335919B (zh) 一种激光封装装置及封装方法
CN105200373A (zh) 用于有机发光二极管蒸镀系统中的填料装置及方法
JP2011037468A (ja) 充填装置および充填方法
CN213976962U (zh) 一种自动出浆装置
JP2928145B2 (ja) 断熱容器とその製造方法
JP2014237458A (ja) 液充填装置
JP7260973B2 (ja) 加圧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加圧剤充填装置
CN212539303U (zh) 一种物联网智能水表密封装置
KR20020097123A (ko) 밀폐부가 보강된 액체용기의 배출대 구조
CN109980147B (zh) 水下电源的排气封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