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2562A - 피부재생 및 피부 노화지연 효과를 가지는 콤부차 발효배양액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재생 및 피부 노화지연 효과를 가지는 콤부차 발효배양액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2562A
KR20030062562A KR1020020002811A KR20020002811A KR20030062562A KR 20030062562 A KR20030062562 A KR 20030062562A KR 1020020002811 A KR1020020002811 A KR 1020020002811A KR 20020002811 A KR20020002811 A KR 20020002811A KR 20030062562 A KR20030062562 A KR 20030062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ombucha
fermentation broth
skin
aging
kombucha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6623B1 (ko
Inventor
이상은
최진석
권영이
이계호
김국환
김안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Priority to KR10-2002-0002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6623B1/ko
Publication of KR20030062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2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6Milk; Derivatives thereof, e.g. butt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6Bacteri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재생 및 피부 노화지연 효과를 가지는 콤부차 발효 배양액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의 과산화를 방지, 피부의 재생력을 높여주며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여 노화를 지연시켜 주는 효과를 가지는 콤부차(Kombucha)균을 이용한 발효유로부터 얻은 발효 배양액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재생 및 피부 노화지연 효과를 가지는 콤부차 발효 배양액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The culture medium for Kombucha fermentation, that has functions of skin regeneration and anti-aging,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reof}
본 발명은 피부재생 및 피부 노화지연 효과를 가지는 콤부차 발효 배양액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의 과산화를 방지, 피부의 재생력을 높여주며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여 노화를 지연시켜 주는 효과를 가지는 콤부차(Kombucha)균을 이용한 발효유로부터 얻은 발효 배양액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콤부차는 박테리아와 효묘와 균사의 공생제이다. 열대성 박테리아 3종류와 효묘가 실같은 균사를 모체로 공생하는, 버섯이라고 말하기 어려운 종류이다. 버섯의 일종이 아니라 유기산생성균(유산균)의 일종으로 발효식품의 개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는 유산균의 효시라 생각하면 된다.
메이저 등(1995)은 콤부차가 아세토박터 자이리눔(Acetobacter xylinum)과 다양한 효모의 공생체로 보고하고 있으며, 브레타노마이세스(Brettanomyces), 자이고사카로마이세스(Zygosaccharomyces)와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의 효모가 56, 29와 26%로 각각 존재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
미국, 러시아와 독일, 스위스와 같은 유럽 등지에서 거의 100년 동안 콤부차의 효능에 대해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많이 부족한 상태였다. 콤부차를 이용하여 미국, 한국 등지에선 우유에 넣어 발효유를, 동남아 지역에선 야자수를 이용한 발효액을, 러시아, 중국 등지에선 홍차에 설탕을 넣어 발효시킨 발효차를주로 애용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화장품의 궁극적인 목표는 노화 지연 및 방지에 있다. 인체에서 생성되는 유리 자유 라디칼로는 R00ㆍ, R0ㆍ,등이 있고 활성 산소류로는1O2, ,OH, O2, H2O2등이 있으며 이들은 생체내의 각종 효소 반응에 의해 생성되어 생리 활성 물질의 생합성, 면역기능, 약물의 대사 등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그 반응성이 매우 커서 이들이 과잉 생성될 경우에는 오히려 생체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생체는 그 대책으로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카탈라아제(Catalase) 등의 효소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유리 자유 라디칼과 활성 산소류는 빛과 광 증감 작용을 갖는 각종 약물로 인해서도 생성될 수 있는데 현대사회에서 각종 약물에 대한 접촉이 많아지면서 과잉의 유리 자유 라디칼과 활성 산소류에 의한 생체폐해가 우려되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 자유 라디칼을 안정화시키고 생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많은 신규물질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나, 현재 알려진 물질로는 비타민 E,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 β-카로틴, 탄닌, 진코 빌로바(Ginko bilova) 및 셀레늄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 중 어느 한 성분만으로는 "자유 라디칼"에 대하여 효과적인 방어를 할 수 없다. 또한, 인공합성물의 경우에는 피부에 발진이나, 알레르기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 천연물의 원료로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연구가 절실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독성 및 부작용이 매우 미약한 천연물에서 원료를 탐색하고자 연구한 결과, 식용으로 이용되는 콤부차 발효 배양액이 피부의 주 구성성분인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이용하여 노화의 주원인인 과산화수소를 인위적으로 처리함으로써 노화와 같은 성장중지(Senescence like growth arrest) 상태를 유도 시, 섬유아세포 성장 촉진과 피부 노화 억제 기능이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체 피부의 과산화를 방지하고, 피부의 재생력을 높여주며 피부의 영양을 공급함으로써 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콤부차 발효 배양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콤부차 발효 배양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약제 또는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콤부차의 최적 배양조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콤부차를 이용한 발효액이 과산화수소 유도 세포독성에 대한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콤부차 발효액의 세포 증식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콤부차 배양액 처리 후 과산화수소로 노화유도 시, 세포 내 항산화 효소인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OD, 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콤부차 배양액 처리 후 과산화수소로 노화유도 시, 세포내 항산화 효소인 카타라아제(Catalase)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콤부차 배양액 처리 후 과산화수소로 노화유도 시, 세포 내 항산화 효소인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Glutathioine peroxidase)의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우유(멸균유)에 콤부차 2%(v/w)을 접종하여 28 ∼ 35 ℃, 21 ∼ 33시간 발효시켜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노화 지연 효과를 갖는 콤부차 발효 배양액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콤부차 발효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약제, 식품 첨가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콤부차(Kombucha)균을 이용한 발효유로부터 얻은 발효 배양액이 피부의 과산화를 방지, 피부의 재생력을 높여주며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여 노화를 지연시켜 주는 효과를 가짐으로써 화장품, 의약품, 식품의 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콤부차 발효 배양액은 우유(또는 멸균유)에 콤부차 2% (w/v)을 접종하여 28 ∼ 35 ℃, 바람직하게는 30 ℃, 21 ∼ 33 시간으로 발효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콤부차 발효 배양액에서부터 얻은 여액은 감압 농축하여 배양 엑기스를 얻는다. 또한, 잔사에 메탄올을 가하여 24시간 침지 후 여과하여, 여액은 감압 농축하고,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로 용매분획을 행하고 농축하여 각각의 용매 분획 엑기스를 얻는다.
상기의 시료는 디엠이엠(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양액에 녹인 후 세포에 투여하기 전 0.2 ㎛ 필터로 여과 멸균하여 사용한다.
상기한 방법으로 얻은 콤부차 발효 배양액에 대하여 과산화수소 유도 세포독성에 대한 억제효과, 인간 섬유아세포 증식율,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과산화수소로 노화유도시 세포내 항산화 효소인 슈퍼옥사이드 디즈뮤테이즈, 카타라아제 및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의 활성변화를 조사한 결과, 콤부차 발효 배양액이 피부의 과산화를 방지하고, 피부의 재생력을 높여주며 피부의 영양을 공급함으로써 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본 발명은 콤부차 발효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품, 의약품 또는 식품 첨가제를 포함하는 바, 이의 화장품, 의약물 또는 식품첨가제로의 제조방법은 공지방법을 따른다.
특히, 화장품으로 제조시에는 콤부차 발효 배양액을 화장료의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로 함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의약물으로 제조시에는 콤부차 발효 배양액 그 자체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carrier), 부형제(forming agent), 희석제(diluent) 등과 혼합하여 분말, 과립, 캡슐, 연고제 또는 주사제 등으로도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콤부차 발효 배양액은 예로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어온 것으로 그 투여용량에 특별한 제약은 없고, 체내 흡수도, 체중, 환자의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 방법, 배설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콤부차 발효 배양액은 체중 1 ㎏당 0.1 내지 10 ㎎ 정도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유효량 범위를 고려하여 제조하도록 하며, 이렇게 제형화된 단위투여형 제제는 필요에 따라 약제의 투여를 감시하거나 관찰하는 전문가의 판단과 개인의 요구에 따라 전문화된 투약법을 사용하거나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식품첨가제로 제조시에는 음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콤부차 발효 배양액을 포함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콤부차 발효 배양액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화장품, 의약품및 식품은 피부 재생, 피부 노화 지연 및 방지 효과에 매우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콤부차를 이용한 발효 배양액의 배양조건
콤부차 발효의 최적조건은 스테인크라우스(Steinkraus) 등 (1994)의 방법에 의거하여 우유(멸균유)에 콤부차 2%(v/w)을 접종하여 30 ℃에서 24시간, 48시간 및 25 ℃에서 24시간, 48시간 발효시킨 후, 각각의 발효 배양액을 원심분리(7000 rpm, 10 min)하였고, 여액의 pH, O.D(600 nm) 및 잔사의 무게를 측정하여 30 ℃에서 24시간 발효하는 조건을 얻었으며, 최적 조건을 잡기 위해 시간대별로 각각의 pH, O.D 및 무게를 측정하였다.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대별로 각각의 pH, O.D 및 무게 값을 종합하여, 콤부차 배양의 최적 조건(30 ℃, 21 ∼ 33시간)을 얻었다[도 1 참조].
실험예 2: 콤부차 발효 배양액의 과산화수소 유도 세포독성에 대한 억제효과
콤부차 발효 배양액의 과산화수소 유도 세포독성에 대한 억제효과는 본 연구실에서 1차 세포배양(Primary cell culture)을 통해 분리한 인간 섬유아세포(Human Diploid Fibroblas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차 세포배양 방법은 다음과 같다. 1차 세포배양에 필요한 사람의 피부조직은 비뇨기과의 포경 수술 시 생성되는 것으로 표피와 진피를 분리한 후, 진피에서 섬유아세포를 분리하여 형태를 확인하였다. 확인된 섬유아세포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계대배양을 하였으며, 초기 패세지(Early passage, passage 7)의 세포를 사용하였다. 과산화수소는 세포내에서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을 생성하여 세포독성을 일으킨다. 콤부차 발효 배양액의 세포독성 완화를 시험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1) 실험방법
콤부차 발효 배양액은 위에 언급한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대수증식기의 인간 1차 섬유아세포를 웰(well)당 2 ×104개를 9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DMEM 배지 100 ㎕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콤부차 발효 배양액을 최종농도가 각각 1, 10 ㎎/㎖이 되도록 가하여 72시간 배양한 후, 과산화 수소가 배지 중의 최종농도가 1 mM이 되도록 희석시켜 세포독성을 유발하였다. 5 ㎎/㎖의 엠티티(MTT, Tetrazolium sal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용액을 50 ㎕씩 첨가하고 3시간 후에 디메틸설폭시드를 웰당 100 ㎕씩 가해 용해시킨 다음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콤부차 발효액의 과산화수소 유도 세포독성에 대한 억제 효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세포독성 억제효과는 세포생존율로써 다음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하였다.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콤부차 발효 배양액은 피부 섬유아세포 내에서 과산화수소 유도 세포독성에 대한 억제를 나타내었다[도 2 참조].
실험예 3: 콤부차 발효 배양액의 인간 섬유아세포 증식율
콤부차 발효 배양액 자체의 세포증식율을 상기 실험예 2에서 언급한 방법으로 분리한 인간 1차 섬유아세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 실험방법
콤부차 발효 배양액은 위에서 언급한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대수증식기의 인간 1차 섬유아세포를 웰당 2 ×104개를 9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DMEM 배지 100 ℓ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콤부차 배양액을 최종농도가 0.01, 0.1, 1, 10 ㎎/㎖이 되도록 가하여 72시간 배양한 후, 5 ㎎/㎖의 MTT 용액을 50 ㎕씩 첨가하고 3시간 후에 디메틸설폭시드를 웰당 100 ㎕씩 가해 용해시킨 다음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microplate reader)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콤부차 발효 배양액 자체의 세포증식율을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세포증식율은 세포독성의 유무도 함께 살펴볼 수 있다. 세포증식율은 다음 수학식 2에 의해 산출하였다.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콤부차 발효 배양액 그 자체로서 세포독성을나타내지 않았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세포 증식율을 보여주고 있다[도 3 참조].
실험예 4: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콤부차 발효 배양액 처리 후 과산화수소로 노화유도시 세포내 항산화 효소인 슈퍼옥사이드 디즈뮤테이즈(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변화
상기 실험예 2에서 언급한 방법으로 분리한 대수증식기의 인간 1차 섬유아세포를 75 cm2플라스크에 2.3 ×106개를 접종하여 DMEM 배지 15 ㎖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콤부차 배양액을 최종농도가 1, 10 ㎎/㎖이 되도록 가하여 72시간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과산화수소가 배지 중의 최종농도가 1 mM이 되도록 배지에 희석시켜 2시간 가하여 세포독성을 유발하였으며, 노화유도물질 대처능력을 알아보고자 3시간 후 세포내 단백질을 추출한 후, 브레드포드(Bradford) 등의 방법에 준하여 소 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을 표준품으로 하여 정량하였다.
1) 실험방법
슈퍼옥사이드 디즈뮤타아제(SOD)의 활성측정은 마틴(Martin)의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반응액은 50 mM 인산용액(K.P. buffer)에 5 mM 헤마톡실린(hematoxylin) 효소액의 용량을 달리하여 첨가하고 최종 반응액이 1.5 ㎖ 되게 하여 25 ℃에서 5분간 반응시킨 다음 550 nm에서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여 효소활성을 산정하였다. 효소활성의 unit는 효소를 넣지 않고 반응시킨 5 mM헤마톡실린(hematoxylin)액의 흡광도 증가를 50% 억제하는 단백질의 양으로 산정하였다. 대조군(음성대조군)은 어떠한 시료도 첨가하지 않은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양성대조군은 1 ㎎/㎖의 N-아세틸-L-라이스테인(N-acetyl-L-Lysteine)을 배지에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2) 실험결과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콤부차 발효 배양액 처리 후 과산화수소로 노화유도시 세포내 항산화 효소인 슈퍼옥사이드 디즈뮤테이즈(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변화를 측정하여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의 노화 유도 물질인 1 mM 과산화수소 처리시 대조군에 비해 콤부차 발효 배양액(핵산층 및 1, 10 ㎎/㎖ 물층)에서 슈퍼옥사이드 디즈뮤타아제(SOD) 효소활성을 24%, 33%, 41% 지연되고 있으며, 양성대조군은 35%의 지연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노화유도 시 대조군에서는 세포내 효소인 슈퍼옥사이드 디즈뮤테이즈(SOD)의 큰 증가를 볼 수 있었으나, 콤부차 처리군에서는 보다 작은 차이를 보여줌으로 노화가 지연됨을 나타내었다[도 4 참조].
실험예 5: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콤부차 발효 배양액 처리 후 과산화수소로 노화 유도 처리 시 세포내 항산화 효소인 카타라아제(CAT, Catalase)의 활성변화
본 실험은 상기 실험예 4와 같이 단백질을 준비하였다.
1) 실험방법
CAT의 활성측정은 일정량의 0.05 M 인산용액(K.P. buffer , pH 7.2)에 기질인 과산화수소가 10.5 mM가 되게 한 후, 효소원을 첨가하여 25 ℃, 30초간 반응시킨 다음 240 nm에서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여 효소활성을 산정하였다. 효소의 활성은 1분당 1 ㎎의 단백질이 감소시킨 과산화수소의 양을 nmole로 나타내었다.
2) 실험결과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콤부차 발효 배양액 처리 후 과산화수소로 노화 유도 처리시 세포내 항산화 효소인 카타라아제(Catalase)의 활성변화를 측정하여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의 노화 유도물질인 1 mM 과산화수소 처리 시 대조군에 비해 콤부차 발효 배양액(핵산층 및 1, 10 ㎎/㎖ 물층)에서 카탈라아제(CAT) 효소활성을 3.0, 3.7, 2.7배 지연되고 있으며, 양성 대조군은 2.9배의 활성변화 지연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노화유도 시 대조군에서는 과산화수소를 물로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포내 효소인 CAT의 증가를 볼 수 있었으나, 콤부차 처리군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줌을 통해 노화가 지연됨을 나타내었다[도 5 참조].
실험예 6: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콤부차 발효 배양액 처리 후 과산화수소로 노화 유도 처리시 세포내 항산화 효소인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Gpx,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변화
본 실험은 상기 실험예 4와 같이 단백질을 준비하였다.
1) 실험방법
GPx의 활성측정은 Paglia 등의 방법에 준하여 일정량의 0.1 M Tris-HCL buffer(pH 7.2) 용액에 기질인 H2O2, 1 mM GSH, 0.2 mM NADPH 및 효소원을 첨가하여 25 ℃, 5분간 반응시키는 동안에 생성되는 산화형 글루타치온(Glutathione)을 환원시키는데 소비된 NADPH의 함량을 340 nm에서 측정하여 그 활성을 산정하였다. 효소의 활성은 1분당 1 ㎎의 단백질이 산화시킨 NADPH의 양을 nmole로 나타내었다.
2) 실험결과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콤부차 발효 배양액 처리 후 과산화수소로 노화 유도 처리 시 세포내 항산화 효소인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변화를 측정하여 다음 표 6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의 노화 유도물질인 1 mM 과산화수소처리 시 대조군에 비해 콤부차 발효 배양액(핵산층 및 1, 10 ㎎/㎖ 물층)에서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GPx) 효소활성을 18.2, 20.5, 21.2배 지연되고 있으며, 양성 대조군은 20.4배의 활성변화 지연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노화유도 시 대조군에서는 과산화수소를 물로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포 내 효소인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GPx)의 증가를 볼 수 있었으나, 콤부차 처리군에서는 활성의 변화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노화가 지연됨을 알 수 있었다[도 6 참조].
실험예 7: 독성시험
본 발명의 콤부차 발효 배양액에 대하여 독성실험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양액을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이하 DMSO)에 용해하고 물로 희석한 후 이를 마우스(군당 10마리)에 각각 1 g/㎏을 투여한 다음 7일간 관찰하였으나 사망하는 쥐는 없었다.
제조실시예 1
콤부차 발효 배양액을 함유한 유연 화장수의 제조는 다음과 같다.
콤부차 발효 배양액 5.0 %
1,3-부틸렌 글리콜 6.0 %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2.0 %
글리세린 4.0 %
PEG 4000 1.0 %
폴리 솔베이트 20 0.5 %
에탄올 10.0 %
방부제 적량
벤조페논-9 0.05 %
향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
제조실시예 2
콤부차 발효 배양액을 함유한 밀크 로션의 제조는 다음과 같다.
콤부차 발효 배양액 5.0 %
스테아린산 0.4 %
1,3-부틸렌 글리콜 6.0 %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1.2 %
글리세린 4.0 %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0 %
트리에탄올 아민 0.25 %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3.0 %
유동 파라핀 5.0 %
스쿠알란 5.0 %
아카다미아 너트 오일 2.0 %
폴리 솔베이트 60 1.5 %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5 %
방부제 적량
향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
제조실시예 3
콤부차 발효 배양액을 함유한 영양 크림의 제조는 다음과 같다.
콤부차 발효 배양액 5.0 %
바세린 7.0 %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2.5 %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2.0 %
스테아린산 1.5 %
유동 파라핀 10.0 %
밀 납 2.0 %
폴리 솔베이트 60 1.5 %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8 %
스쿠알란 3.0 %
1,3-부틸렌 글리콜 6.0 %
글리세린 4.0 %
트리에탄올 아민 0.5 %
코토페릴 아세테이트 0.1 %
방부제 적량
향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
제조실시예 4
콤부차 발효 배양액을 함유한 에센스의 제조는 다음과 같다.
콤부차 발효 배양액 5.0 %
글리세린 10.0 %
PEG 1500 2.0 %
알라토인 0.1 %
판테놀 0.3 %
EDTA 0.02 %
벤조페논-9 0.04 %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0.1 %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8.0 %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2 %
트리에탄올아민 0.18 %
옥틸도데세스-25 0.6 %
에탄올 6.0 %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
제조실시예 5
콤부차 발효 배양액을 함유한 맛사지 크림의 제조는 다음과 같다.
콤부차 발효 배양액 3.0 %
스테아린산 1.0 %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2.5 %
폴리 솔베이트 60 1.5 %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0.6 %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2.0 %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5.0 %
스쿠알란 5.0 %
광물유 35.0 %
디메치콘 1.0 %
이키다미아 너트 오일 2.0 %
산탄검 0.1 %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2 %
글리세린 6.0 %
트리에탄올 아민 0.5 %
방부제 적량
향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
제조실시예 6
콤부차 발효 배양액을 함유한 팩의 제조는 다음과 같다.
콤부차 발효 배양액 3.0 %
폴리비닐 알코올 15.0 %
셀루로오스 검 0.15 %
글리세린 3.0 %
PEG 1500 2.0 %
알라토인 0.1 %
판테놀 0.4 %
에탄올 6.0 %
PEG 40 경화 피마자유 0.3 %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
제조실시예 7: 음료 제조
콤부차 발효 배양액 0.1%, 정제당 2.8%, 과당 11%, 물엿 0.25%, 구연산 0.15%, 구연산 나트륨 0.04%, 비타민 C 0.03%, 정제염 0.02%, 식용 황색소 0.005%, 사과향 0.07%, 대추향 0.01%, 페퍼민트향 0.01%를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완전히 용해시켰다. 용해된 조성물을 메스실린더 또는 메스플라스크에 가하고 총량이 100%가 되도록 정제수로 조정하였다. 조성물을 25 마이크로필터에 통과시켜 여과한 후 92 ℃에서 20초간 살균하고 용기에 충전한 다음 포장, 냉각시켜 본 발명에 따른 드링크 타입의 음료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조실시예 8: 연고제의 제조
멸균한 유리제 사발에 콤부차 발효 배양액 3%와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5%을 취하고, 멸균 정제수를 적량 가하여 녹인 후, 여기에 무수 라놀린 1%을 가하면서 연합하여 균질하게 될 때까지 혼화하여 연고제를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장품, 식품, 의약품 원료로 콤부차 발효 배양액을 적용함으로써 피부의 재생 효과와 동시에 피부 노화를 지연,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우유(멸균유)에 콤부차 2% (v/w)을 접종하여 28 ∼ 35 ℃, 21 ∼ 33시간 발효시켜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콤부차 발효 배양액.
  2. 콤부차 발효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콤부차 발효 배양액이 화장료의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의 양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팩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콤부차 발효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노화 방지용 약제 조성물.
  6. 콤부차 발효 배양액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식품첨가제.
KR10-2002-0002811A 2002-01-17 2002-01-17 피부재생 및 피부 노화지연 효과를 가지는 콤부차 발효배양액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0466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811A KR100466623B1 (ko) 2002-01-17 2002-01-17 피부재생 및 피부 노화지연 효과를 가지는 콤부차 발효배양액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811A KR100466623B1 (ko) 2002-01-17 2002-01-17 피부재생 및 피부 노화지연 효과를 가지는 콤부차 발효배양액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562A true KR20030062562A (ko) 2003-07-28
KR100466623B1 KR100466623B1 (ko) 2005-01-15

Family

ID=32218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811A KR100466623B1 (ko) 2002-01-17 2002-01-17 피부재생 및 피부 노화지연 효과를 가지는 콤부차 발효배양액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662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16585A3 (nl) * 2005-04-07 2007-02-06 Daniel Follebout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een drank op basis van komboecha, en een drank op basis van komboecha.
WO2016070202A1 (en) * 2014-10-27 2016-05-06 Danjoungbio Co., Ltd.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nti-oxidation, anti-inflammation and atopic skin by using fermented black tea liquid as effective ingredient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N108096082A (zh) * 2017-12-28 2018-06-01 纽莱福泰姆网络服务(北京)有限公司 一种促进微循环护肤养颜乳液及制备工艺
CN109833267A (zh) * 2019-04-18 2019-06-04 中山市怡口康科技有限公司 一种金盏花逆龄精华酿组合物
KR20210052051A (ko) 2019-10-31 2021-05-10 서원익 발효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CN115607487A (zh) * 2022-09-16 2023-01-17 佛山天韵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亮肤抗衰制剂及其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041B1 (ko) 2021-06-04 2023-01-11 ㈜허니스트 안티폴루션 효과가 있는 콤부차 발효액의 분획물
KR102499330B1 (ko) 2022-04-26 2023-02-10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콤부차로부터 분리된 균주의 복합 배양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1812A (ja) * 1992-04-23 1993-11-16 Sansho Seiyaku Co Ltd 皮膚外用剤
JPH0710734A (ja) * 1993-06-21 1995-01-13 Dowa Mining Co Ltd 化粧料
JPH08337536A (ja) * 1995-06-14 1996-12-24 Asahi Breweries Ltd 抗活性酸素作用剤並びに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抗活性酸素剤、化粧料、食品及び医薬品
FR2843023B1 (fr) * 2002-07-30 2004-09-24 Sederma Sa Compositions cosmetiques ou dermopharmaceutiques contenant du kombucha.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16585A3 (nl) * 2005-04-07 2007-02-06 Daniel Follebout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een drank op basis van komboecha, en een drank op basis van komboecha.
WO2016070202A1 (en) * 2014-10-27 2016-05-06 Danjoungbio Co., Ltd.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nti-oxidation, anti-inflammation and atopic skin by using fermented black tea liquid as effective ingredient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N108096082A (zh) * 2017-12-28 2018-06-01 纽莱福泰姆网络服务(北京)有限公司 一种促进微循环护肤养颜乳液及制备工艺
CN109833267A (zh) * 2019-04-18 2019-06-04 中山市怡口康科技有限公司 一种金盏花逆龄精华酿组合物
KR20210052051A (ko) 2019-10-31 2021-05-10 서원익 발효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CN115607487A (zh) * 2022-09-16 2023-01-17 佛山天韵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亮肤抗衰制剂及其应用
CN115607487B (zh) * 2022-09-16 2023-09-26 佛山天韵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亮肤抗衰制剂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6623B1 (ko) 200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06175A1 (en)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Vaccinium Uliginosum Extract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KR101973639B1 (ko) 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JP2009286746A (ja) 冬虫夏草菌セミタケを含む外用剤
KR100466623B1 (ko) 피부재생 및 피부 노화지연 효과를 가지는 콤부차 발효배양액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2343112B1 (ko) 기능성 펩타이드, 아미노산, 캘러스 추출물 및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
KR20210155989A (ko)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활성, 피부 상처 재생 활성, 및 피부 장벽 강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 그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83526B1 (ko) 해조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1444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450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1600A (ko) 곡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97655B1 (ko) 미생물 발효에 의해 안전성이 증진된 발효 구아바 조성물
KR102123588B1 (ko) 복합 해조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 활성 조성물
KR102014961B1 (ko)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058022B1 (ko) 백산차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20120119520A (ko) 대나무수액의 균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CN113631227A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JP4902967B2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
KR102014960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283528B1 (ko) 상온발효 가능한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mss2 유산균을 이용한 곡류 및 해조류 혼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19463B1 (ko)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05281224A (ja) 美白剤
KR102526200B1 (ko) 데쿠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미백용 조성물
JP6969760B2 (ja) 毛髪の成長を促進させる組成物
KR102355138B1 (ko) 대추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US20220193163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ctinidia polygama extract for alleviating skin damage or moisturizing sk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