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041B1 - 안티폴루션 효과가 있는 콤부차 발효액의 분획물 - Google Patents

안티폴루션 효과가 있는 콤부차 발효액의 분획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041B1
KR102487041B1 KR1020210072481A KR20210072481A KR102487041B1 KR 102487041 B1 KR102487041 B1 KR 102487041B1 KR 1020210072481 A KR1020210072481 A KR 1020210072481A KR 20210072481 A KR20210072481 A KR 20210072481A KR 102487041 B1 KR102487041 B1 KR 102487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composition
kombucha
skin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4832A (ko
Inventor
곽기성
김현정
박하은
강은빈
현진아
안정연
Original Assignee
㈜허니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니스트 filed Critical ㈜허니스트
Priority to KR1020210072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041B1/ko
Publication of KR20220164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6Bacteri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부차 발효액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벤조피렌에 의해 증가된 AhR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키고,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개선 및 피부 자극 완화를 통해 피부 보호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피부 손상 개선 또는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안티폴루션 효과가 있는 콤부차 발효액의 분획물{Kombucha fraction for Anti-pollution effect}
본 발명은 콤부차 발효액의 분획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안티폴루션 효과가 있는 콤부차 발효액의 분획물에 관한 것이다.
과학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국내 미세먼지의 농도 기준이 불가피하게 증가하고 있고, 환경 오염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면서 현대인들의 건강 위해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해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거나 유해성분으로부터 차단해주는 소비자들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안티폴루션(Anti-pollution) 기능이 함유된 화장품 시장의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는 2013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한 공업 유해 물질에서 나온 화학물질을 함유한 입자상 물질로 직경 10㎛ 이하의 크기(PM10)의 입자물질을 말하며, 초미세 먼지는 이보다 더 작은 직경 2.5㎛ 이하의 크기(PM2.5)를 갖는 입자상 물질을 의미한다.
또한, 미세먼지에는 질산염, 황산염 및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이하 PAHs) 등 다양한 화학성분과 금속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은 소량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어 호흡기 질환, 면역력 저하, 피부노화 촉진 등 여러 질병을 유발한다.
특히, 미세먼지 속 중금속 성분인 벤조피렌(Benzo[a]pyrene, 이하 "B[a]P"라고 함)은 다환방향족탄화수소의 한 종류로 일상생활에서도 흔히 노출되기 쉬우며, 다량 노출 시에 피부 색소 침착, 각화증, 피부암 등을 유발할 수 있어 1급 발암물질로 지정되어있다. 또한, 이성질체인 Benzo[e]pyrene(이하“B[e]P”라고 함)은 담배연기 속에 함유되어 있으며, IARC 3급 발암물질로 비발암성 물질로 알려져 있다.
벤조피렌이 피부에 접촉하면 AhR (Aryl hydrocarbon receptor) 신호가 활성화되는데, 이러한 AhR 신호는 다양한 조직에서 독성 또는 보호 효과가 있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며, 주로 PAHs, 담배 연기 등 독성물질에 의해 활성화되어 피부 염증반응과 DNA를 손상시켜 발암을 일으키는 등 다양한 병변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독성물질, 환경오염원이 AhR과 결합해 AhR-Nuclear Transporter (ARNT)와 복합체를 이루고 핵 안으로 이동하여 xenobiotic-responsive element (XRE)와 결합하면 염증 유전자들의 발현을 유도하여 피부염증이나 노화를 일으킨다.
한편, 콤부차(Kombucha)는 약간 달고 신맛이 나는 발효 음료로 당이 첨가된 홍차 추출액에 박테리아와 효모의 공생균체(synbiom)를 접종하여 얻을 수 있다. 현재까지 연구를 통해 분리된 콤부차의 균주는 대부분 초산균이며, 그중 아세토박터 자이리눔(Acetobacter xylinum)은 콤부차 상층부에 막 형태의 셀룰로오즈(cellulose) 덩어리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콤부차의 주요 성분은 페놀 화합류로 항바이러스 효능이 뛰어난 카테닌(catenin), 플라보놀(flavonol),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아미노산(amino acid) 등이 함유되어 있고, 비타민(vitamin), 글루콘산(gluconic acid), 미네랄(mineral), 아세트산(acetic acid) 등도 포함하고 있어 항산화, 신진대사 촉진, 항염, 항균 등의 효능이 우수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특히, 녹차 유래의 콤부차는 카테킨(catechin)이 풍부하고, 홍차 유래의 콤부차에는 퀘르세틴(quercetine)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퀘르세틴은 항산화, 항염증 및 기억력 증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플라보노이드로서, 사과, 살구, 포도 및 베리류와 같은 과일 또는 브로콜리, 상추, 토마토 및 양파와 같은 야채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퀘르세틴은 다른 플라보노이드처럼 항산화 효과가 있어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세포 내 글루타티온의 양을 적절하게 유지시키며, 면역체계를 유지시키고 히스타민의 방출과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효과 및 동맥경화를 막고 혈압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알려져 있다.
한편, 피부재생 및 피부 노화지연과 밀접한 항산화, 항염 효과에 대해 콤부차를 이용한 선행기술은 일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6623호에 "피부재생 및 피부 노화지연 효과를 가지는 콤부차 발효 배양액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공고된 바 있는데 이는 항산화 특성을 갖는 콤부차 발효액을 이용하여 피부의 과산화를 방지함으로써 피부 재생효과 및 피부 노화지연 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콤부차 발효액을 이용한 안티폴루션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어 이에 대해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종래의 미세먼지 유해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안티폴루션(anti-pollution) 화장품 개발은 주로 피부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닦아내는 클렌징 제품에 한정되어 있는 바 피부에 흡수 중인 미세먼지에 대한 대처가 미약해 피부질환에 대한 충분한 치료가 되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66623호(2005.01.15. 공고)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콤부차를 용매 극성의 성질을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한 후, TLC를 실시하여 유효 성분 유무를 확인한 다음 그 분획물을 시료로 하여 벤조피렌과 미세먼지로부터 안티폴루션 기능성 조성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보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콤부차 발효액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안티폴루션 효과를 갖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획물은 퀘르세틴 글리코사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획물은 물-메탄올 혼합 용액을 전개용매로 하고, TLC로 상기 콤부차 발효액을 분획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획을 위한 전개용매는 물-메탄올의 혼합 비율이 50:50 부피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콤부차 발효액의 분획물 내 퀘르세틴 글리코사이드의 농도는 10 내지 1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분획물은 벤조피렌의 AhR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획물은 HaCaT cell이 미세먼지 자극군 대비 50% 이상의 생존율 개선효과를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획물은 HaCaT cell에서 90% 이상의 생존율을 보이며, 벤조피렌에 의한 AhR 발현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부 보호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홍차 추출물 수득단계, SCOBY에 의한 발효단계, 퀘르세틴 글리코사이드 함량조절단계 및 분획물을 획득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본 발명인 콤부차 발효액의 분획물에 의해 벤조피렌을 포함한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자극을 억제시키고,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K-QG 농도에 따른 HaCaT cell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Benzo[e]pyrene 자극에 의한 세포 생존율 확인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Fine dust (PM10-like) 자극에 의한 세포 생존율 확인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Western blot을 통한 AhR 단백질 발현 확인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콤부차 발효액 내의 유효성분을 포함함으로써, 안티폴루션 효과를 위한 기능성 화장품, 식품, 의약품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효성분"의 의미는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콤부차의 발효액의 제조>
콤부차의 일반적인 제조방법은 홍차와 녹차를 물에 우려낸 뒤 아세트산 박테리아와 효모의 종균 집합체인 스코비(Symbiotic Colony Of Bacteria and Yeasts, 이하 'SCOBY'라고 함)를 접종해준다. 이 SCOBY균이 공생 배양을 하면서 당을 먹이로 하는 대사활동으로 인해 자연 발효되어, 프리바이오틱스와 같은 유익균이 생성된 건강 음료인 콤부차가 만들어진다.
SCOBY균은 발효 시 사용되는 균 종, 발효 조건에 따라 콤부차의 특성을 다양하게 만든다. 특히 SCOBY균은 당분을 먹이로 흡수한 뒤 다양한 유기산, 부산물을 생성시키고 천연 탄산(H2CO3) 또한 만들어진다.
그런데 시판 중인 기존의 콤부차 제품들은 소비자의 맛과 향에 대한 선호도 등의 이유로 인해 콤부 식초 제조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발효를 중간에 중지하여 제품화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탄산이 과량 생성되는 경우 용기가 폭발할 수 있어 발효를 장시간 할 수 없다. 이러한 불완전한 발효로 인하여 유용한 성분이 충분히 생성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퀘르세틴을 포함한 유용한 성분이 충분히 생성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발효 기간은 통상의 콤부차 제조과정보다 길게 하되, 발생되는 탄산 가스를 주기적으로 용기 밖으로 배출시킴으로써 발효 용기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SCOBY균에 의한 콤부차 발효 조건을 15일 이상 지속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에서 20일 이상을 발효시키는 것이 좋다.
한편, 식물 내에서 퀘르세틴은 그대로 또는 퀘르세틴 글리코사이드와 같은 배당체의 형태로 존재하고, 발효 조건에 따라 퀘르세틴 글리코사이드가 퀘르세틴으로 전환하거나 그 반대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그 원인 중의 하나는 발효균 때문이며, 상기 발효균이 생산하는 가수분해 효소에 의하여 배당체가 애글리콘(aglycone) 형태로 분해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생체 내의 흡수도 및 활성도를 고려하여 콤부차 발효액 내 퀘르세틴의 비배당체와 퀘르세틴 배당체(퀘르세틴 글리코사이드)의 비율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발효 조건을 달리하는 것 외에도 퀘르세틴으로부터 퀘르세틴 글리코사이드로의 당전이 반응을 유도하기 위하여 SCOBY균에 의해 1차 발효된 콤부차에 당전이 효소를 추가적으로 반응을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당전이 효소로는 Amylosucrase, maltosyltransferase 및 glycosynthas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반대로 퀘르세틴 글리코사이드로부터 퀘르세틴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초음파 처리가 가능하다. 초음파 처리를 통해 고분자인 퀘르세틴 글리코사이드가 유리되어 저분자인 퀘르세틴의 함량이 증가하며 항산화능도 증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초음파의 인가 전압 세기는 2 V~1.0 kV 이며, 초음파의 인가 시간은 1초~24시간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COBY 균에 의한 홍차 추출물의 1차 발효 후에 당전이 효소에 의한 퀘르세틴의 당전이 반응을 일으킨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발효액 내 퀘르세틴 글리코사이드의 함량을 조절한 다음 발효액의 분획 과정을 거쳐 원하는 분획물을 얻게 된다.
<실시예 2. 콤부차 발효액의 분획물의 제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콤부차(Kombucha)는 충청남도 논산시에 소재한 아임얼라이브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콤부차를 감압농축 한 다음, 용매를 제거하여 얻은 1차 농축물 126.56 g을 200 mL 증류수에 현탁하여 여과 후 Diaion HP-20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획하였다.
이동상 용매로 H2O-MeOH을 흘려주어 Fr.1 (100% H2O), Fr.2 (50% MeOH), Fr.3 (100% MeOH) 3개의 분획물을 획득하였다. 그 후, 유효성분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퀘르세틴 글리코사이드를 표준물질로 하여 TLC(Thin layer Chromatography)를 실시하였다. 전개 용매는 (CHCl3: MeOH: H2O = 70: 30: 4)으로 흘려주었으며, 결과적으로 Fr.2에서 퀘르세틴 글리코사이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콤부차의 Fr.2 분획물(이하 "K-QG"라고 함)을 동결 건조하여 최종 시료로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HaCaT cell(각질 형성 세포)은 한약진흥재단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세포 배양에 사용된 fetal bovine serum (FBS),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와 세포독성 측정에 사용된 MTT 시약은 Sigma Aldrich Co., Ltd. (St. Louis, MO, USA) 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Trypsin-EDTA는 Gibco Co. (grand Island, NY,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안티폴루션 효과 확인을 위한 Benzo[a]Pyrene, Benzo[e]Pyrene과 Fine dust (PM10-like)는 Sigma Aldrich Co., Ltd. (St. Louis, MO, USA) 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Western blot을 위한 ripa buffer, protease inhibitor, phosphatase inhibitor 등은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 에서 구매하였으며, 단백질 정량을 위한 BCA protein assay kit는 Thermo Fisher Scientific (Rockford, IL, USA) 에서 구매하였다. 2차 항체 horseradish peroxidase-conjugated는 Santa Cruz (Biotech, CA, USA), AhR은 Abcam (Cambridge, MA,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기기는 ELISA reader (Spectra max 190, Moleculer devices, Sunnyvate, USA), freeze drier (Ilshin, Korea), autoclave (Hanbaek Scientiffic Co., Korea), Microscope (Olympus Co., Ltd,. Japan), Rotary vacuum evaporator (Rikakikai Co., Ltd., Japan), Digital reciprocating shaker (Daihan scientific Co., Ltd., Korea), Western imaging system (CAS-400SM, Davinch-K Co., Ltd.,Korea),CO2 incubator (VS-9160GC, Hanbaek Scientiffic Co., Daejeon, korea)를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HaCaT cell은 10% FBS와 1% penicillin/streptomycin (100 U/㎖)을 첨가한 DMEM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37 ℃, 5% CO2 incubator에 적응시켜 계대 배양하였다. phosphate buffer saline (PBS)로 2번 세척 후 trypsin-EDTA를 사용해서 분리시킨 뒤 세포를 계대 배양 하였다.
<실험예 1. MTT assay에 의한 세포독성 측정>
(1) 시료 준비
세포 독성 측정은 Carmichael이 제안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96 well plate에 HaCaT cell을 1 104 cells/well을 분주하고 24 시간 경과 뒤 시료를 DMEM 배지를 용매로 하여 10, 25, 50, 100, 250 ㎍/ mL 농도 별로 희석한 후 각각 20 ㎕첨가하고 37 ℃, 5% CO2 incubator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2.5 mg/mL 농도로 만든 MTT 용액을 20 ㎕ 첨가하여 4 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상등액을 제거한 다음 각 well에 DMSO 100 ㎕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0 분 동안 반응시키고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 안티폴루션(Anti-pollution) 효과 측정
안티폴루션 효과는 96 well plate에 HaCaT cell을 1 X 104 cells/well을 분주하고, 24 시간 뒤 상등액을 제거 한 다음 혈청 무첨가 DMEM 배지로 교환하고 B[e]P과 Fine dust를 150 ㎍/㎖ 처리하여 자극해준다.
그리고 시료를 10, 25, 50, 100, 250 ㎍/mL 농도 별로 희석한 후 각각 20㎕ 첨가하고 37 ℃, 5% CO2 incubator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2.5 mg/mL 농도로 만든 MTT 용액을 20㎕ 첨가하여 4 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상등액을 제거한 다음 각 well에 DMSO 100 ㎕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0 분 동안 반응시키고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3) Western blot을 통한 단백질 발현 측정
AhR 단백질 발현량 측정을 위해 FBS 첨가 DMEM 배지를 활용하여 HaCaT cell을 6 well plate에 1 X 106 cells/well 만큼 도포 후 24 시간 동안 37 ℃,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시료를 농도 별로 처리하고 B[a]P 150 ㎍/mL 로 자극하여 37 ℃, 5% CO2 incubator에서 24 시간 배양시켜 중금속 독성 완화 효과 및 안티폴루션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뒤 배지를 제거하고 cold PBS로 2회 세척 후 RIPA buffer로 세포를 용해시키고, 4 ℃, 12,000rpm에서 15 분 동안 원심분리 시킨 뒤 얻은 상등액을 새 튜브에 옮겼다.
단백질은 BCA assay 기준으로 정량을 하였으며, 20㎍의 단백질을 10% SDS-PAGE를 이용해 크기 별로 분리해주었다.
분리된 단백질을 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transfer 해주고 항체의 비특이적 반응을 막기 위해 membrane을 5% skim milk로 2 시간 blocking 한 다음 1차 항체를 over night 후 1 TBST로 10 분간 3번 세척하였다.
그 다음 membrane에 각 항체의 숙주에 해당하는 2차 항체를 1: 1,000으로 희석하여 1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1 TBST로 10 분간 3번 세척하고 Davinch western imaging system을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양을 측정하였다.
(4) HaCaT cell의 세포독성 확인
도 1은 K-QG에 의한 HaCaT cell의 세포 생존율을 MTT assay를 통해 확인한 그래프이다. K-QG의 농도를 각각 10, 25, 50, 100, 250 ㎍/mL 농도 별로 달리하면서 측정한 결과 K-QG의 농도가 100 ㎍/mL에 달할 때 까지 9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으며, 후에 western blot 실험에서 25, 50, 100 ㎍/㎖ 농도 구간으로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5) Benzo[e]pyrene 자극에 의한 세포 생존율 확인
도 2는 Benzo[e]pyrene 자극에 의한 세포 생존율 확인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HaCaT cell에 B[e]P로 자극만 준 control 군은 아무 자극도 주지 않은 normal 군 보다 약 36% 사멸하였다. 그 다음 B[e]P를 처리 한 세포군에 K-QG를 10, 25, 50, 100 ㎍/mL 농도 별로 처리하였을 때, 100 ㎍/mL 농도에서 control 군과 비교하여 약 68.79% 이상 개선된 효과를 보였다.
(6) Fine dust (PM10-like) 자극에 의한 세포 생존율 확인
도 3은 Fine dust (PM10-like) 자극에 의한 세포 생존율 확인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HaCaT cell에 Fine dust로 자극만 준 control 군은 아무 자극도 주지 않은 normal 군보다 약 62% 사멸하였다. Fine dust(150 ㎍/mL)를 처리한 세포군에 K-QG를 10, 25, 50, 100 ㎍/mL 농도 별로 처리하였을 때, 100 ㎍/mL 농도에서 control 군에 대비하여 약 50.68% 이상 개선 효과를 보였다.
(7) Western blot을 통한 AhR 단백질 발현 확인
도 4는 중금속 독성 완화 효과를 보기 위해 B[a]P에 의해 유도되는 AhR 단백질 발현에 K-QG를 처리하여 측정한 그래프이다. 결과적으로 B[a]P 150 ㎍/mL으로 발현이 증가된 AhR이 양성 대조군인 Ammonium PDTC(pyrrolidinedithiocarbamate) 150 ㎍/mL로 처리했을 때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K-QG를 농도 별로 처리했을 때 100 ㎍/mL 농도에서 AhR 발현이 control 군에 대비하여 31.08%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a) 홍차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홍차 추출물에 SCOBY균을 접종하여 발효액을 만드는 단계;
    (c) 상기 발효액 내 퀘르세틴 글리코사이드의 함량을 조절하는 단계; 및
    (d) 상기 퀘르세틴 글리코사이드 함량이 조절된 발효액을 분획하여 분획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콤부차 발효액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안티폴루션(Anti-polluution) 효과를 갖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물-메탄올 혼합 용액을 전개용매로 하고, TLC로 상기 콤부차 발효액을 분획한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폴루션 효과를 갖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용매는 물-메탄올의 혼합 비율이 50:50 부피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폴루션 효과를 갖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분획물 내 퀘르세틴 글리코사이드의 농도가 10 내지 100 ㎍/mL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폴루션 효과를 갖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벤조피렌(Benzo[a]pyrene)의 AhR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폴루션 효과를 갖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HaCaT cell이 미세먼지 자극군 대비 50% 이상의 생존율 개선효과를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폴루션 효과를 갖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HaCaT cell에서 90% 이상의 생존율을 보이며,
    벤조피렌(Benzo[a]pyrene)에 의한 AhR 발현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폴루션 효과를 갖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피부 보호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10. 삭제
KR1020210072481A 2021-06-04 2021-06-04 안티폴루션 효과가 있는 콤부차 발효액의 분획물 KR102487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481A KR102487041B1 (ko) 2021-06-04 2021-06-04 안티폴루션 효과가 있는 콤부차 발효액의 분획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481A KR102487041B1 (ko) 2021-06-04 2021-06-04 안티폴루션 효과가 있는 콤부차 발효액의 분획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832A KR20220164832A (ko) 2022-12-14
KR102487041B1 true KR102487041B1 (ko) 2023-01-11

Family

ID=84438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481A KR102487041B1 (ko) 2021-06-04 2021-06-04 안티폴루션 효과가 있는 콤부차 발효액의 분획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04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623B1 (ko) 2002-01-17 2005-01-15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피부재생 및 피부 노화지연 효과를 가지는 콤부차 발효배양액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2418100B1 (ko) * 2016-10-18 2022-07-08 (주)아모레퍼시픽 신규한 퀘르세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76334B1 (ko) * 2018-12-03 2020-11-09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콤부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www.cosmopolitan.co.kr/article/51028. 24시간24시간 건강하게 빛나는 피부 비결, 프레쉬 콤부차 안티폴루션 듀오, COSMOPOLITAN, 2021.01.04.
고혜명. 콤부차 대표 균주 3종을 이용한 감귤 발효액의 기능성 연구.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식품영양학과 학위논문, 2017
박신영 외 1명. 감귤콤부차 발효액과 비발효액의 식후혈당 강하 및 항고혈압 생리활성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832A (ko) 2022-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g et al.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morin isolated from mulberry fruits (Morus alba L.)
Palmieri et al. Enhancement of antioxidant properties from green coffee as promising ingredient for food and cosmetic industries
JP6666837B2 (ja) メトキシフラボンを含むNOX阻害剤及びNFκB阻害剤
JPH0222755B2 (ko)
Othman et al. Epicatechin content and antioxidant capacity of cocoa beans from four different countries
JP4713324B2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102487041B1 (ko) 안티폴루션 효과가 있는 콤부차 발효액의 분획물
JP4672303B2 (ja) 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皮膚化粧料及び美容用飲食品
Caillet et al. Effect of juice processing on the cancer chemopreventive effect of cranberry
WO2022254868A1 (ja) 新規イソフラボン化合物
WO2022215441A1 (ja) 新規ポリフェノール化合物
KR101483872B1 (ko) 신갈나무 잎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주름용 조성물
KR10190450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444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7492B1 (ko) 폴리페놀산화효소를 이용한 갈산 반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 또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 조성물
KR20180110417A (ko) 3,5,6,7,8,3&#39;,4&#39;-헵타메톡시플라본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816601B1 (ko) 오가피 열매 유래 물질이 포함된 혈관노화 예방 또는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91408B1 (ko) 영지버섯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 조성물
JP4431301B2 (ja) 癌細胞のアポトーシス誘導剤、その製造方法、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抗癌剤、食品製剤及び化粧品
US10293013B2 (en) Water soluble Psidium guajava leaf extract having standardized phytochemicals
Chung et al. The high potential of a red-light submerged fermentation technique in the biofunctionality improvement of rambutan extracts
KR102512643B1 (ko) 바이오황 함유 여액 분획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29921B1 (ko) 락토바실러스 속 신균주를 이용한 바다제비집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JP6811435B1 (ja) Kgf受容体活性化作用を介した表皮細胞増殖作用を呈するポリフェノール誘導体
KR20180031522A (ko) 항산화활성 및 글루타티온 에스 트랜스퍼라제의 저해활성을 갖는 한방약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