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522A - 항산화활성 및 글루타티온 에스 트랜스퍼라제의 저해활성을 갖는 한방약술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활성 및 글루타티온 에스 트랜스퍼라제의 저해활성을 갖는 한방약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522A
KR20180031522A KR1020160120299A KR20160120299A KR20180031522A KR 20180031522 A KR20180031522 A KR 20180031522A KR 1020160120299 A KR1020160120299 A KR 1020160120299A KR 20160120299 A KR20160120299 A KR 20160120299A KR 20180031522 A KR20180031522 A KR 20180031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weight
activity
herbal
g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천
정재길
Original Assignee
오성천
정재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천, 정재길 filed Critical 오성천
Priority to KR1020160120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1522A/ko
Publication of KR20180031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5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5/00Transferases transferring alkyl or aryl groups, other than methyl groups (2.5)
    • C12Y205/01Transferases transferring alkyl or aryl groups, other than methyl groups (2.5) transferring alkyl or aryl groups, other than methyl groups (2.5.1)
    • C12Y205/01018Glutathione transferase (2.5.1.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 2~5중량%, 백출 2~5중량%, 복령 2~5중량%, 당귀 2~5중량%, 천궁 2~5중량%, 백작약 2~5중량%, 숙지황 2~5중량%, 황기 2~5중량%, 육계 2~5중량%, 구기자 2~5중량%, 토사자 2~5중량%, 복분자 2~5중량%, 차전차 2~5중량%, 파극천 2~5중량%, 산수유 2~5중량%, 육종용 2~5중량%, 감초 1~3중량%, 및 잔량의 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약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산화활성 및 글루타티온 에스 트랜스퍼라제의 저해활성을 갖는 한방약술 조성물{Herbal Wine Composition with Activity of GST Inhibition and Antioxidant}
본 발명은 한방약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숙취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항산화활성 및 글루타티온 S 트랜스퍼라제의 저해활성이 우수하여 원기회복에 도움이 되고, 뿐만 아니라 관능적 품질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한방약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술은 인류의 문명과 더불어 만들어지고 발전되어 왔는바, 그 제조방법 및 재료에 따라 여러 분류로 나뉘어지고 있는데, 제조방법에 따라서는 발효주와 증류주로 나뉜다.
발효주는 곡물이나 과일의 즙을 효모를 이용하여 발효한 술이다. 발효주는 대개 1~8%의 알코올을 함유하며 함유량이 높아도 12% 정도이다. 효모가 생존할 수 있는 최대 알코올 함유량이 13%이기 때문이다. 증류주는 일단 만든 술을 다시 증류해서 도수를 높인 술로서, 위스키·브랜디·소주 따위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증류주에 약용 재료를 넣어 약주(약술)를 만들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약술이란 약초, 향미가 뛰어난 의료나 강정(强精)에 도움이 될만한 물질의 성분을 침출한 술의 약칭으로, 민간에 전해져 내려오는 약술로서는 모과주, 사과주, 포도주, 살구주, 앵두주, 진달래주, 머루주, 다래주 등의 과일이나 열매등을 주정(증류주)에 침지, 발효시켜 제조한 술이나, 인삼주, 칡주, 마늘주 등의 인체에 유익한 한약재 등의 재료를 주정에 침지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서 된 것이 있다.
이러한 약술은 한약재를 포함한 재료를 신선한 상태 혹은 건조한 상태 그대로 용기에 넣고 주정을 부어 밀봉한 후 시원한 곳에 보관하면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마개를 열어 액을 걸러내는 것으로, 필요한 경우 밀봉 초기에는 하루에 1 내지 수차례 용기를 흔들어주기도 한다.
한편, 최근 고령화가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건강하게 오래 살기 위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데, 중장년 이후 연령대에서는 통상 면역력 감퇴, 성인병 질환(간장질환, 혈압 등) 등의 각종 문제가 많이 발생되므로 이들의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식품 등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나, 종래 약술은 오히려 간기능을 약화시키거나 숙취발생 등의 문제가 야기되고 있어 약술로써의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숙취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항산화활성 및 글루타티온 S 트랜스퍼라제의 저해활성이 우수하여 원기회복에 도움이 되고, 뿐만 아니라 관능적 품질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한방약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인삼, 백출, 복령, 당귀, 천궁, 백작약, 숙지황, 황기, 육계, 구기자, 토사자, 복분자, 차전차, 파극천, 산수유, 육종용, 감초, 및 잔량의 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약술 조성물.
(2) 상기 (1)에 있어서, 인삼 2~5중량%, 백출 2~5중량%, 복령 2~5중량%, 당귀 2~5중량%, 천궁 2~5중량%, 백작약 2~5중량%, 숙지황 2~5중량%, 황기 2~5중량%, 육계 2~5중량%, 구기자 2~5중량%, 토사자 2~5중량%, 복분자 2~5중량%, 차전차 2~5중량%, 파극천 2~5중량%, 산수유 2~5중량%, 육종용 2~5중량%, 감초 1~3중량%, 및 잔량의 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약술 조성물.
(3) 인삼 2~5중량%, 백출 2~5중량%, 복령 2~5중량%, 당귀 2~5중량%, 천궁 2~5중량%, 백작약 2~5중량%, 숙지황 2~5중량%, 황기 2~5중량%, 육계 2~5중량%, 구기자 2~5중량%, 토사자 2~5중량%, 복분자 2~5중량%, 차전차 2~5중량%, 파극천 2~5중량%, 산수유 2~5중량%, 육종용 2~5중량%, 감초 1~3중량%, 및 잔량의 주정을 혼합하는 단계; 혼합된 것을 밀봉 후 2~6개월 숙성하고 여과하는 단계; 및 여과액을 다시 밀봉하여 1~3개월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방약술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한방약술은 숙취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항산화활성 및 글루타티온 S 트랜스퍼라제의 저해활성이 우수하여 원기회복에 도움이 되고, 뿐만 아니라 관능적 품질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방약술 조성물의 제조공정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약술 조성물은 인삼, 백출, 복령, 당귀, 천궁, 백작약, 숙지황, 황기, 육계, 구기자, 토사자, 복분자, 차전차, 파극천, 산수유, 육종용, 감초, 및 잔량의 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한방약술 조성물은 인삼 2~5중량%, 백출 2~5중량%, 복령 2~5중량%, 당귀 2~5중량%, 천궁 2~5중량%, 백작약 2~5중량%, 숙지황 2~5중량%, 황기 2~5중량%, 육계 2~5중량%, 구기자 2~5중량%, 토사자 2~5중량%, 복분자 2~5중량%, 차전차 2~5중량%, 파극천 2~5중량%, 산수유 2~5중량%, 육종용 2~5중량%, 감초 1~3중량%, 및 잔량의 주정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한방약술 조성물은 인삼 2~5중량%, 백출 2~5중량%, 복령 2~5중량%, 당귀 2~5중량%, 천궁 2~5중량%, 백작약 2~5중량%, 숙지황 2~5중량%, 황기 2~5중량%, 육계 2~5중량%, 구기자 2~5중량%, 토사자 2~5중량%, 복분자 2~5중량%, 차전차 2~5중량%, 파극천 2~5중량%, 산수유 2~5중량%, 육종용 2~5중량%, 감초 1~3중량%, 및 잔량의 주정을 혼합하고, 밀봉 후 2~6개월, 바람직하게는 3개월 숙성하고 여과한 후, 여과액을 다시 밀봉하여 1~3개월 동안 숙성시키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한방약술 조성물은 한약재 추출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폴리페놀의 함량 및 전자공여능이 증가하였으며, 간기능개선 및 항암제의 효율과 관련되는 GST(Glutathione S-transferase)의 저해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한방약술 조성물의 구성성분 중, 인삼, 복령, 당귀, 천궁, 백작약, 숙지황, 구기자, 토사자, 차전차, 파극천, 육종용은 백출, 황기, 육계, 복분자, 산수유, 감초만을 혼합한 경우인 비교예에 비하여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GST(Glutathione S-transferase)의 저해활성의 측면에서 비약적인 상승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취와 관련된 메스꺼움이나 두통이 전혀 나타나지 않고, 관능적 품질면에서도 현저히 우수하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방약술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조예는 인삼 70~100g, 백출 70~100g, 복령 70~100g, 당귀 70~100g, 천궁 70~100g, 백작약 70~100g, 숙지황 70~100g, 황기 70~100g, 육계 70~100g, 구기자 70~100g, 토사자 70~100g, 복분자 70~100g, 차전차 70~100g, 파극천 70~100g, 산수유 70~100g, 육종용 70~100g, 감초 35~50g, 및 주정(35%) 20~22L를 혼합하고, 밀봉 후 2~6개월 숙성하고 여과한 후, 여과액을 다시 밀봉하여 1~3개월 동안 숙성시켜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약술 조성물의 통상적인 1 회 투여량은 상기 구체적인 제조예에서 제시한 조성물 기준으로 체중 1 kg당 1.0~2.0㎖이다. 예를 들어, 체중 60 kg인 성인의 경우, 1 회 60~120 ㎖씩 1 일 3 회 복용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한방약술 조성물은 복용하는 사람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소화상태에 따라 복용량을 적의 증감할 수 있다. 기타 제제에 있어서도 상기 한방약술의 복용량을 고려하여 산출된 적정량을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다. 빠르면 복용 시작일 기준 15~20 일 후부터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나 개인차가 있다. 지속적 효과를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삼 70g, 백출 70g, 복령 70g, 당귀 70g, 천궁 70g, 백작약 70g, 숙지황 70g, 황기 70g, 육계 70g, 구기자 70g, 토사자 70g, 복분자 70g, 차전차 70g, 파극천 70g, 산수유 70g, 육종용 70g, 감초 35g, 및 주정(35%) 21L를 혼합하고, 밀봉 후 3개월 숙성하고 여과한 후, 여과액을 다시 밀봉하여 2개월 동안 숙성시켜 한방약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인삼 80g, 백출 80g, 복령 80g, 당귀 80g, 천궁 80g, 백작약 80g, 숙지황 80g, 황기 80g, 육계 80g, 구기자 80g, 토사자 80g, 복분자 80g, 차전차 80g, 파극천 80g, 산수유 80g, 육종용 80g, 감초 40g, 및 주정(35%) 21L를 혼합하고, 밀봉 후 3개월 숙성하고 여과한 후, 여과액을 다시 밀봉하여 2개월 동안 숙성시켜 한방약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백출 80g, 황기 80g, 육계 80g, 복분자 80g, 산수유 80g, 감초 40g, 및 주정(35%) 21L를 혼합하고, 밀봉 후 3개월 숙성하고 여과한 후, 여과액을 다시 밀봉하여 2개월 동안 숙성시켜 한방약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총 폴리페놀 함량
총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추출한 모든 시료는 증류수로 100 배 희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 희석액 0.4 ㎖를 취하여 증류수 3.0 ㎖와 혼합한 후에 Folin-Ciocalteu reagent 0.2 ㎖를 넣었고 이 용액에 포화 Na2CO3용액 0.4 ㎖를 넣고 1시간 정치시킨 다음에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gallic acid를 사용하여 표준 검량선을 구하고, 시료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산출하였다.
첨가된 한약재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총 폴리페놀 함량은 한방약술 15%에서는 328.66±4.11 ㎍ GAE/㎖로 나타났고, 첨가되는 추출물의 양이 증가할수록 총 폴리페놀의 함량도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보여(p<0.05) 한방약술 35%에서는 815.91±37.50 ㎍ GAE/㎖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농도 증가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의 증가 폭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약재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한방약술 내 총 폴리페놀 함량
샘플명 총 폴리페놀(/)1)
실시예 2의 한방약술 15% 328.66a 0
실시예 2의 한방약술 20% 453.03b 124.37
실시예 2의 한방약술 25% 575.76c 122.73
실시예 2의 한방약술 30% 709.60d 133.84
실시예 2의 한방약술 35% 815.91e 106.31
F value 57436.04*
(0.000)
비교예 267.55a -61.11
1)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expressed as ㎍/㎖ gallic acid equivalents(GAE)
2) Each value is meanㅁSD of triplicate determination (n=3)
* Means with different letters(a∼e) with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실험예 2] 전자공여능 측정
자유 라디칼 소거능은 Blois의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여과된 시료 0.1 ml에 0.2 ml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DPPH)을 4 ml 첨가하여 37 ℃에서 30 분간 방치한 후 UV/VIS spectrophotometer(Model U-2000, Hitachi, Japan)로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다음 식에 의하여 항산화성을 나타내었다.
항산화성(%) = [1-시료첨가군의 흡광도/시료무첨가군의 흡광도] x 100
첨가된 한약재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전자공여능(EDA)은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첨가된 추출물의 농도가 15%인 경우에는 54.321%, 추출물의 농도가 20%에서는 69.72%, 그리고 첨가된 추출물의 농도가 35%로 가장 높은 경우에는 89.40%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첨가된 한약재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전자공여능은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보였다(p<0.05).
Kang 등(1995)은 쑥잎에서 열수와 70% 아세톤으로 추출한 것의 전자공여능 측정에서 각각 47.1%와 45.8%로 나타났고, 이는 낮은 전자공여능을 보인 것으로 보고하였다. 가장 농도가 높은 35% 추출물 첨가에서의 40.45% 전자공여능은 이보다 더 낮게 나타났으므로 전자공여능은 미약한 것으로 사료된다.
한약재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한방약술의 전자공여능(EDA)
샘플명 전자공여능(EDA)1)
실시예 2의 한방약술 15% 54.32a 0
실시예 2의 한방약술 20% 69.72b 15.40
실시예 2의 한방약술 25% 78.02c 8.30
실시예 2의 한방약술 30% 86.30d 8.28
실시예 2의 한방약술 35% 89.40e 3.10
F value 186.67*
(0.000)
비교예 38.12 -16.20
1)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content was %
2) Each value is meanㅁSD of triplicate determination (n=3)
* Means with different letters(a∼e) with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실험예 3] 글루타티온 S 트랜스퍼라제 저해능
항암제 내성(anti-cancer drug resistance)을 설명하기 위해 제안된 하나의 메카니즘은 정상세포에 비해서 내성세포에서 GST 분자 종들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이다. Batist 등은 adriamycin-resistant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AdrRMCF-7)의 발생과정에서 내성세포에서는 야생형 일반 세포에 비해서 GST 활성이 45배 증가되었고, 이 증가된 활성 중 90% 이상이 야생형 일반 세포에서는 정상적으로 발견되지 않는 Pi GST 분자종이라고 보고하였다. 또한 Fahl 등은 배양시킨 mammalian cell에서 GST 분자 종들을 발현시켰더니 항암제인 클로람부틸, 멜파란, 시스플라틴에 의한 내성이 크게 강화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mammalian cell에서 특정 GST 분자 종들의 과다한 발현은 암 화학요법에서 사용되고 있는 알킬화제에 의한 생물학적 내성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특정 GST 저해는 항암제, 특히 알킬화제의 효율을 높이는 방안으로 기대할 수 있다.
(1) Rice 글루타티온 S 트랜스퍼라제의 발현 및 정제
Human 글루타티온 S 트랜스퍼라제의 발현 및 정제를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구행하였다. 먼저 pET-OsGSTF3/BL21(DE3)를 대량 발현하기 위해 30 ㎍/㎖의 카나마이신이 포함된 1L LB 배지에 2-3시간 동안 37 ℃에서 배양하였다. UV로 OD600(optical density) 값을 측정하여 0.3-0.4에 이르면, 발현유도제인 IPTG를 최종농도가 0.4 mM 되도록 첨가 한 뒤, 각 효소의 최대 효율을 나타내는 시간까지 배양하여 대량발현을 유도하였다. 대량 발현된 배양액은 냉동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4℃, 10,000 g, 10 분간 집균한 뒤 -20℃에서 냉동 보관하였다. 대량 발현된 OsGSTF3 균체는 20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7.0) 5 ㎖로 균일화시킨 뒤, 초음파 파쇄기를 이용하여 4 ℃, 30-40 watts, amplitude 8 %(보통의 E. coli 균 파괴 조건) 조건으로 10 분간 세포막을 파괴하였다. 이때의 과정은 열이 많이 발생하므로 얼음 위에서 실시하였다. 균 파쇄 후 10,000 g, 4 ℃로 20 분간 원심 분리하여 단백질과 다른 세포 불순물들을 분리하였다. 여기서 얻은 상징액을 앞에서 사용한 20m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7.0)로 평형화 시킨 GSH-Sepharose 또는 S-hexyl GSH-agarose 친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1 ㎖/min의 속도로 흘려주며 흡착시켰다. 이 때 크로마토그래피에 수율을 높이기 위해 흡착시킨 후의 여액을 수집하여 2-3번 흘려주었다. 컬럼 내의 불필요한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해 50 mM potassium chloride를 포함하고 있는 20 mM potassium phosphate(pH 7.0) 용액을 100 ㎖ 정도 흘려준 뒤, OD280을 측정하여 더 이상의 불순물을 포함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10 mM GSH를 포함하고 있는 50 mM Tris-Cl(pH 8.0)을 이용해 크로마토그래피에 붙어있던 효소를 1 ㎖/min의 속도로 용출하였고, 얻어진 분획은 GST의 기질인 1-클로로-2,4-디나이트로벤젠(CDNB)과 글루타티온(GSH)으로 GST 활성 및 OD280을 측정하여 높은 흡광도와 활성을 보이는 분획만 모아 20 mM potassium phosphate(pH 7.0)로 8시간씩 3번 투석하였다. 정제된 효소의 순수도는 SDS-PAGE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효소의 변성을 고려해 4℃에서 진행하였다.
(2) 글루타티온 S 트랜스퍼라제의 활성도 측정
포합 반응에 대한 초기 속도 측정에는 1,2-디클로로-4-나이트로벤젠(DCNB)을 사용하였다. 측정방법은 적정 용매와 기질, 글루타티온(GSH) 효소를 혼합한 뒤 340 nm에서 UV/VIS spectrophotometer(Model U-2000, Hitachi, Japan)를 이용해서 1분 동안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효소 활성 단위는 1분당 1 μmol의 생성물 형성을 촉매 하는 효소의 양으로 정의하였다. 기질에 대한 활성도 측정 방법은 표 3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효소의 최적 pH와 최적 온도는 각각 9.0과 55 ℃인 것으로 나타났고, GST효소 활성 저해와 관련한 실험 조건은 조 등이 밝힌 기질 농도의 영향, pH 영향, 온도의 영향 등을 참조하였다.
GST 활성의 반응조건
기질 버퍼 pH GSHa 기질a εb
(mM-1cm-1)
(500 ) (mM) (mM)
CDNB
(340 nm)
200 mM
KPBc
6.5 50 50 9.6
a: GSH and substrate concentration refer to final concentration
b: ε- molecular coefficient
c: KPB refers to potassium phosphate buffer
먼저 1 ㎖ 바이알에 500 ㎕의 0.2 M KPB(pH 7.0)와 420㎕의 증류수를 넣고 잘 혼합시킨 후에 20 ㎕의 50 mM GSH와 20 ㎕의 GST를 넣고 강하게 혼합시킨다. 잘 혼합된 용액에 20 ㎕의 50 mM CDNB를 넣고 강하게 혼합시킨 후에 340 nm에서 UV/VIS spectrophotometer(Model U-2000, Hitachi, Japan)를 이용해서 1분 동안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여 기본 포합반응으로 하였다. 위와 동일한 조건의 혼합물에 커피에서 추출한 시료 20 ㎕를 혼합하여 강하게 저어준 다음에 340 nm에서 1분 동안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고, 기본 포합반응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한방약술이 GST 저해제로서 상관관계를 규명하려고 하였다.
첨가된 한약재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글루타티온 S 트랜스퍼라제 저해능 실험의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방약술의 약재 추출물의 농도가 20%에서는 60.9%, 한약재 추출물의 농도가 30%에서는 69.61% 저해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방약술에 함유된 한약재 추출물 중에서 글루타티온 S 트랜스퍼라제에 저해를 나타내는 약재에 대한 확인과 물질의 분리 및 구조 결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한방약술의 글루타티온 S 트랜스퍼라제에 대한 한약재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한방약술의 저해효과
샘플명 저해효과(%)
실시예 2의 한방약술 15% 47.08
실시예 2의 한방약술 20% 60.90
실시예 2의 한방약술 25% 60.97
실시예 2의 한방약술 30% 69.61
실시예 2의 한방약술 35% 69.98
비교예 35.01
1) Each value is meanㅁSD of triplicate determination (n=3)
* Means with different letters(a∼e) with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실험예 4]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한방약술을 대상으로 미각이 발달한 20대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5점 척도법을 이용하여 관능검사를 수행한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았다.
관능적 특성
구분 색택 전반적인 기호도
실시예 1 4.5 4.5 4.5 4.5
실시예 2 4.6 4.6 4.6 4.6
비교예 1 3.7 3.8 3.9 3.8
♪-1. 아주나쁘다. 2. 나쁘다. 3. 보통이다. 4. 좋다. 5. 아주좋다.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비교예의 한방약술은 색택에서 좋은 점수를 얻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맛과 향에서 이미, 이취가 발생하여 전반적으로 낮은 기호도를 보인 반면, 실시예 1 내지 2에 따른 한방약술은 모두 색택, 맛, 향 및 전반적인 기호도 측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실시예 2의 경우 관능적 특성이 더욱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숙취실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한방약술을 대상으로 20대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숙취발생(메스꺼움과 두통) 여부를 실험한 결과 하기 표 5와 같이 전혀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구분 메스꺼움 두통
실시예 1 없음 없음
실시예 2 없음 없음
비교예 약간 약간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인삼, 백출, 복령, 당귀, 천궁, 백작약, 숙지황, 황기, 육계, 구기자, 토사자, 복분자, 차전차, 파극천, 산수유, 육종용, 감초, 및 잔량의 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약술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인삼 2~5중량%, 백출 2~5중량%, 복령 2~5중량%, 당귀 2~5중량%, 천궁 2~5중량%, 백작약 2~5중량%, 숙지황 2~5중량%, 황기 2~5중량%, 육계 2~5중량%, 구기자 2~5중량%, 토사자 2~5중량%, 복분자 2~5중량%, 차전차 2~5중량%, 파극천 2~5중량%, 산수유 2~5중량%, 육종용 2~5중량%, 감초 1~3중량%, 및 잔량의 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약술 조성물.
  3. 인삼 2~5중량%, 백출 2~5중량%, 복령 2~5중량%, 당귀 2~5중량%, 천궁 2~5중량%, 백작약 2~5중량%, 숙지황 2~5중량%, 황기 2~5중량%, 육계 2~5중량%, 구기자 2~5중량%, 토사자 2~5중량%, 복분자 2~5중량%, 차전차 2~5중량%, 파극천 2~5중량%, 산수유 2~5중량%, 육종용 2~5중량%, 감초 1~3중량%, 및 잔량의 주정을 혼합하는 단계; 혼합된 것을 밀봉 후 2~6개월 숙성하고 여과하는 단계; 및 여과액을 다시 밀봉하여 1~3개월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방약술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60120299A 2016-09-20 2016-09-20 항산화활성 및 글루타티온 에스 트랜스퍼라제의 저해활성을 갖는 한방약술 조성물 KR201800315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299A KR20180031522A (ko) 2016-09-20 2016-09-20 항산화활성 및 글루타티온 에스 트랜스퍼라제의 저해활성을 갖는 한방약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299A KR20180031522A (ko) 2016-09-20 2016-09-20 항산화활성 및 글루타티온 에스 트랜스퍼라제의 저해활성을 갖는 한방약술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522A true KR20180031522A (ko) 2018-03-28

Family

ID=6190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299A KR20180031522A (ko) 2016-09-20 2016-09-20 항산화활성 및 글루타티온 에스 트랜스퍼라제의 저해활성을 갖는 한방약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15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293B1 (ko) * 2020-12-03 2021-09-08 정재길 항산화활성 및 글루타티온 에스 트랜스퍼라제의 저해활성을 갖는 한방약술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293B1 (ko) * 2020-12-03 2021-09-08 정재길 항산화활성 및 글루타티온 에스 트랜스퍼라제의 저해활성을 갖는 한방약술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0132B1 (en) Method for preparing novel processed ginseng or an extract thereof, the usually minute ginsenoside content of which is increased
EA014234B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больных гепатитом с или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добавка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ли смягчения симптомов гепатита с
KR101443230B1 (ko)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압조절용, 혈당조절용,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10740648A (zh) 含有3,5-二咖啡酰奎宁酸或菊花提取物的用于预防及治疗肌肉疾病或改善肌功能的组合物
KR102060702B1 (ko) 맥문동, 오미자 및 황기를 이용하여 발효한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05072758A1 (en) Composition comprising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lindera obtusiloba blume extract, or herbal mixture extract thereof
KR20180061062A (ko) 여주 추출물, 구절초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Tisnadjaja et al. Potency of cinnamomum burmannii as antioxidant and α glucosidase inhibitor and their relation to trans-cinamaldehyde and coumarin contents
KR100375048B1 (ko) 숙취 억제 건강음료
CN111011681A (zh) 一种解酒护肝的余甘子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012872B1 (ko) 복분자, 차전자, 오미자, 구기자, 토사자 및 사상자로 이루어지는 음료용 고농축액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음료용 고농축액
KR20180031522A (ko) 항산화활성 및 글루타티온 에스 트랜스퍼라제의 저해활성을 갖는 한방약술 조성물
KR101188581B1 (ko) 향부자 메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089505A1 (en) Reduced-hangover alcoholic beverage
Azli et al. Nutritional, phytochemical,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attributes of herbal infusion from sukun (Artocarpus altilis) leaf
Ousaaid et al. New insights into Phytochemica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oroccan Fruit vinegars
TW201242607A (en) Whitening agent
JP2017165686A (ja) 肝機能改善剤
US20210212928A1 (en) Sirtuin 1 activation agent and skin cosmetic for activating sirtuin 1
KR102300293B1 (ko) 항산화활성 및 글루타티온 에스 트랜스퍼라제의 저해활성을 갖는 한방약술 조성물
KR100873256B1 (ko) 배를 활용한 기능성 주류의 제조 방법
KR101791830B1 (ko) 밀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42801B1 (ko)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당뇨 식품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20200049356A (ko)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된 스틱형 용기용 도라지 액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07663B1 (ko)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및 간 기능 장애의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