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6485A - 컴퓨터를 이용하여 피교육자의 교육참여상태를모니터링하는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컴퓨터를 이용하여 피교육자의 교육참여상태를모니터링하는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6485A
KR20030056485A KR1020010086704A KR20010086704A KR20030056485A KR 20030056485 A KR20030056485 A KR 20030056485A KR 1020010086704 A KR1020010086704 A KR 1020010086704A KR 20010086704 A KR20010086704 A KR 20010086704A KR 20030056485 A KR20030056485 A KR 20030056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ee
computer
information
file
re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봉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Yejinet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Yejinet filed Critical 주식회사 Yejinet
Priority to KR1020010086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6485A/ko
Publication of KR20030056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485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교육자의 학습상황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체크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교육 관리 컴퓨터로부터 동영상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이를 피교육자 정보통신단말에 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파일을 실행하고, 그 실행 이벤트 상황을 체크하는 단계와;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타입, 이벤트 발생시각, 피교육자 고유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출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출결정보를 상기 교육관리 컴퓨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교육용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실행과 연동하여 피교육자의 학습태도를 체크하기 때문에 출결정보의 체크를 위해 별도의 피교육자 액션이 요구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컴퓨터를 이용하여 피교육자의 교육참여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A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MONITORING PRESENCE AND ABSENCE OF STUDENT BY USING THE COMPUTER}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교육자의 학습상황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체크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과 같은 대단위 컴퓨터 통신망의 등장과 더불어 컴퓨터를 이용한 원격 온라인 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다. 즉, 이제 피교육자들은 오프라인상의 학원을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자신의 컴퓨터를 통해 다양한 학습 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동영상 전송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온라인 원격교육이 텍스트 기반에서 멀티미디어 기반으로 변화됨에 따라 오프라인 교육의 상당 부분을 온라인이 대체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온라인 교육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근래에는 단순한 교육 컨텐츠 제공차원의 교육방법에서 컨텐츠 제공과 학습관리를 동시에 수행하는 학습관리 시스템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온라인 교육에 있어서는 강사와 학생들이 서로 통신망을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기 때문에 피교육생들의 학습 참여도(특히, 출석상황의 체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이 부재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들어 교육 관리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들이 다수 등장하고 있다.
예를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1-74143 호는 수강자의 지문이나 홍채를 인식하는 것에 의해 사이버 강좌의 출석 상황을 확인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1-69669 호는 VOD 학습 중간에 문제를 삽입하여 피교육자를 테스트 함으로써 피교육자의 당일 출결사항을 체크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1-850 호, 제 1996-15284 호 등에도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교육관리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들은 모두 피교육자 단말과 학습 서버 컴퓨터가 상호 통신접속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실시간 교육에서의 출결체크 방법만을 제시할 뿐 본 발명과 같이 학습 서버 컴퓨터로 부터 교육 컨텐츠를 제공받은 후, 이를 로컬에서 실행하는 경우에 대한 출결체크 방법에 대해서는 아무런 개시도 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로컬 컴퓨터에서 이루어지는 피교육자의 학습 상황을 리모트 컴퓨터에서 자동으로 체크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1차적인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로컬 컴퓨터에 로드되어 있는 교육 컨텐츠의 실행상황을 리모트 컴퓨터에 자동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오프라인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피교육자의 학습 상황을 자동으로 체크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2차적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교육자의 교육참여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피교육자 정보통신단말에 출결관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고, 인스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출결정보 파일의 바람직한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에서 실시간으로 교육용 동영상을 파일을 실행하고, 그 실행 상황을 리모트 컴퓨터에서 체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교육자 정보통신단말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의 실행 상황을 리모트 컴퓨터에서 체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0: 네트워크200: 피교육자 단말
230: 출결관리 모듈252: 출결정보 파일
300: 서버 컴퓨터320: 출결관리 모듈
330: 동영상 파일 제공모듈365: 출결관리 프로그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출결관리 시스템은 교육정보를 담은 동영상 파일을 보관하는 제 1 컴퓨터 시스템과, 상기 제 1 컴퓨터 시스템에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가능한 제 2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1 컴퓨터 시스템과 상호 정보를 송, 수신하기 위한 통신수단과;
동영상 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동영상 파일에 대한 실행 이벤트정보를 체크하고,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타입과 이벤트 발생시각을 포함하는 출결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출결정보를 상기 제 1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하기 위한 출결관리 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벤트 타입은 시작, 잠시 멈춤, 종료 등과 같이 상기 동영상 파일의 실행 상태정보를 정의한다.
또한, 상기 출결정보에는 상기 동영상 파일과 관련된 과목코드와, 피교육자 식별코드가 더 포함된다.
상기 출결관리 수단은 상기 출결정보의 전송 가능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출결정보에 전송 상태코드를 부가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결관리 수단은 상기 전송 상태코드를 조회하여 미전송 출결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미전송 출결정보를 상기 제 1 컴퓨터 시스템에 자동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의 피교육자의 교육참여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은 교육정보를 담은 동영상 파일을 보관하고, 다수의 피교육자를 관리하기 위한 교육관리 컴퓨터와, 이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피교육자 정보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아래의 단계들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컴퓨터로부터 동영상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이를 피교육자 정보통신단말에 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파일을 실행하고, 그 실행 이벤트 상황을 체크하는 단계와;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타입, 이벤트 발생시각, 피교육자 고유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출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출결정보를 상기 교육관리 컴퓨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출결정보의 전송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출결정보에 전송 상태코드를 부가하고, 이를 상기 피교육자 정보통신단말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전송 상태코드를 조회하여 미전송 출결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불러오는 단계와;
상기 미전송 출결정보를 상기 교육관리 컴퓨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로서의 피교육자의 교육참여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은 다수의 피교육자를 관리하기 위한 교육관리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가능한 다수의 피육자 정보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아래의 단계들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방법은 교육정보를 담은 동영상 파일을 상기 피교육자 정보통신단말에 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파일을 실행하고, 그 실행 이벤트 상황을 체크하는 단계와;
이벤트 발생시 피교육자 고유 식별코드, 이벤트 타입, 이벤트 발생시각 등과 같은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출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출결정보를 상기 피교육자 정보통신단말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교육관리 컴퓨터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미전송 출결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불러들이고, 이를 상기 교육관리컴퓨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다수의 피교육자 정보통신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출결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피교육자의 과목별 출결통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로서의 기록매체는 동영상 파일의 실행이 가능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에 존재하는 리모트 컴퓨터와 정보의 송, 수신이 가능한 컴퓨터에 로드되어 아래의 절차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동영상 파일의 실행과 동시에 구동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의 실행에 따른 이벤트 발생 상황을 체크하는 절차와;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타입, 이벤트 발생시각과 같은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출결정보를 생성하는 절차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리모트 컴퓨터에 상기 출결정보와 함께 피교육자 고유 식별코드를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출결정보의 전송 상태를 체크하는 절차와;
상기 출결정보에 전송 상태코드를 부가하고, 이를 상기 컴퓨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절차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전송 상태코드를 조회하여 미전송 출결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불러오는 절차와;
상기 미전송 출결정보를 상기 리모트 컴퓨터에 전송하는 절차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서버 컴퓨터 시스템(300)과, 피교육자 단말(200)이 네트워크망(100)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피교육자 단말(200)은 상기 네트워크(100)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장치와, 플로피디스크, 콤팩트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브를 갖는 정보단말장치이다. 이 정보단말장치는 데이터의 입력 또는 기능의 설정을 위한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와,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처리기능을 실행하는 정보단말본체 및 데이터 처리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모니터를 주변장치로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정보단말본체에는 전체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CD-ROM과 같은 외부 보조기억장치에 수록된 정보나 프로그램을 읽어 들이기 위한 최소한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ROM, 상기 프로그램이나 처리결과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 이들 각종 장치 사이를 접속하는 시스템 버스 등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피교육자 단말(200)로는 랩탑 컴퓨터나 핸드헬드 PC를 채택하는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상의 서버컴퓨터와 정보를 송, 수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유, 무선상의 모든 정보통신단말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능적으로 볼 때, 본 발명의 피교육자 단말(200)은 운영체제 프로그램(210), 미디어 플레이어(220), 출결관리모듈(230), 웹브라저(240) 및 동영상 파일(251)과 출결정보 파일(252)을 보관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장치(250)를 포함한다.
상기 운영체제 프로그램(210)은 하드웨어와 응용프로그램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면서 CPU, 주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의 컴퓨터 자원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다.
상기 웹브라우저(240)는 월드와이드웹에서 모든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해 주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인터넷 웹 서버에 자료를 요청하기 위해 HTTP를 사용한다.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20)는 텍스트, 사운드, 동영상이 결합된 멀티미디어 정보, 애니메이션, 플래시 등의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다.
상기 출결관리모듈(230)은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20)의 동작과 관련된 이벤트 상황을 체크하고, 이벤트 발생시에 도 3과 같은 형태의 출결정보파일(252)을 생성하며, 이렇게 생성된 출결정보파일을 상기 서버컴퓨터(300)에 자동 전송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다.
또한, 상기 피교육자 단말의 데이터 저장장치(250)에는 상술한출결정보파일(252)과 더불어 동영상 파일(251)이 저장된다.
상기 동영상 파일(251)은 상기 서버컴퓨터(300)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저장되거나 CD-ROM과 같은 다른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피교육자 단말(200)에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동영상 파일(251)은 피교육자 단말의 데이터 저장장치(250)에 별도로 저장되지 않고, 상기 서버 컴퓨터(3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상기 피교육자 단말(200)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상기 동영상 파일(200)은 텍스트, 사운드, 이미지(그래픽 이미지, 동영상 이미지, 애니메이션, 플래시 등 포함) 등이 결합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정보로서, 특히 각종 교육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피교육자는 상기 동영상 파일(200)을 자신의 정보통신단말상에 실행시킴으로써 입체적이고도 사실적인 교육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출결정보파일(252)은 피교육자의 학습상황과 관련된 데이터들의 집합이다. 이 출결정보파일(252)의 데이터구조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출결정보파일(252)은 사용자 ID, 과목코드, 이벤트 정보, 시각정보, 전송코드 등의 정보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자 ID는 상기 서버 컴퓨터가 각각의 피교육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것으로서, 각 피교육자에 대해 고유하게 하나씩 부여한다. 물론, 이 사용자 ID는 최초 회원가입시에 피교육자에 의해 입력되는 인증용 식별코드일 수도 있다.
상기 과목코드는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의해 현재 실행되는 멀티미디어 교육정보의 식별코드로서, 예를들어 도 3의 252A와 같은 형태를 갖는다.
상기 이벤트정보는 상기 교육용 동영상파일의 실행상태 정보 즉, 미디어 플레이어의 동작상태 정보로 정의된다. 예를들어, 상기 이벤트정보는 도 3의 252B와 같이 시작, 잠시멈춤, 종료 등과 같이 미디어 플레이어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이벤트 타입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시각정보는 상기 이벤트(시작, 잠시멈춤, 종료 등)가 발생된 시점에 관한 시각정보로 정의된다.
상기 전송코드는 해당 출결정보의 전송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를들어 도 3의 252C와 같이 해당 출결정보가 이미 서버컴퓨터에 전송된 경우에는 Y로, 해당 출결정보가 여전히 미전송된 상태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N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 컴퓨터(300)는 개별 피교육자들에게 교육용 동영상 파일과 상기 출결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상기 피교육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출결정보에 근거하여 피교육자들의 학습상태를 체크하고, 관리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이 서버 컴퓨터(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원관리 모듈(310), 출결관리 모듈(320), 동영상 파일 제공모듈(330), 수강관리 모듈(340) 및 학점관리 모듈(350)과 같은 프로그램 모듈과 저장장치(360)를 포함한다. 또한, 이 저장장치에는 회원관리 파일(361), 학점 파일(362), 수강정보 파일(363), 출결정보 파일(364) 및 출결관리 프로그램(365) 등이 저장된다.
이 서버 컴퓨터(300)는 중앙처리장치, 램(RAM), 롬(ROM),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데이터 기억장치 등을 포함하는 대용량의 컴퓨터 시스템이다. 상당한 양의 메모리와 처리능력을 갖춘 전통적인 개인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이 본 발명의 서버 컴퓨터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버 컴퓨터(300)는 정보처리나 데이터베이스 탐색에 있어 엄청난 양의 수학적 계산을 실행함으로써 대량의 업무처리를 할 수 있다. 주로 인텔사에서 생산되는 팬티엄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중앙처리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서버 컴퓨터(300)의 구체적인 기능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서버 컴퓨터의 회원관리 모듈(310)은 도 2의 프로세스 루틴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다수의 사용자들을 피교육자 회원으로 등록하고, 이 등록정보를 후술하는 회원관리 파일(361)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회원관리 파일(361)에는 피교육자의 신상정보(성명, 주민등록번호, 나이, 성별, 주소, 이메일 어드레스, 학력 등)와 사용자 인증정보(사용자 ID 또는 패스워드) 등이 포함된다.
상기 출결관리 모듈(320)은 상기 피교육자 단말(200)로부터 출결정보를 전송받고, 이 출결정보를 개별 피교육자, 개별 과목별로 분류하여 후술하는 출결정보파일(364)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출결정보파일(364)의 구체적인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즉, 이 출결정보파일(364)은 상술한 피교육자 단말의 저장장치에 기록되어 있는 출결정보파일(252)과 전송코드가 불필요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그 데이터구조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동영상파일 제공모듈(330)은 상기 피교육자 단말(200)로부터 교육요청을 수신하고, 이 교육요청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과목과 관련된 교육용 동영상 파일(366)을 상기 저장장치(360)로부터 추출하여 이를 해당 피교육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본 발명의 교육용 동영상 파일은 반드시 네트워크를 통해 피교육자에게 제공될 필요는 없으며, CD-ROM과 같은 기록매체에 수납되어 상기 피교육자에게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 동영상 파일(366)은 피교육자를 교육하기 위한 컨텐츠로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정보로서, 반드시 특정한 동영상 파일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애니메이션이나 플래시 등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수강관리 모듈(340)은 피교육자로부터 수강신청을 접수받은 후에 이 수강신청에 근거하여 해당 피교육자를 위한 교육스케쥴을 작성하고, 이 수강정보(예를들어, 수강신청정보, 교육스케쥴 등)를 파일(363)의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학점관리 모듈(350)은 특정 피교육자의 수강정보 및 출결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피교육자의 학습 성실도 및 성취도를 평가하고, 이 평가결과에 근거하여 과목별 학점을 생성하여 이를 학점파일(362)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출결관리 프로그램(365)은 상기 피교육자 단말(200)에 전송, 설치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다. 이 출결관리 프로그램(365)은 상기 피교육자 단말에 설치된 상태에서 교육용 동영상 파일의 실행과 관련된 이벤트 상황을 체크하고, 이벤트 발생시에 도 3과 같은 형태의 출결정보파일(252)을 생성하며, 이렇게 생성된 출결정보파일을 서버컴퓨터(300)에 전송하는 피교육자 단말측의 프로그램(즉, 도면부호 230의 출결관리 모듈)이다.
따라서, 상기 출결관리 프로그램(365)은 피교육자의 수강신청시 피교육자 단말(200)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되거나 플로피디스크나 CD-ROM 등과 같은 기록매체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피교육자 단말(200)에 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교육자 단말(200)과 서버 컴퓨터(3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망(100)은 대표적으로 유, 무선 인터넷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LAN(근거리 통신망), WAN(원거리 통신망), 전용선망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시스템 구성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피교육자가 서버 컴퓨터를 통해 수강신청을 하고, 출결관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온라인 원격교육을 희망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정보통신단말(즉, 피교육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 컴퓨터(300)에 접속한다.(S100) 이때, 상기 사용자가 회원인 경우에는 곧바로 로그인을 통해 해당 사용자를 인증하고(S125), 비회원인 경우에는 상기 피교육자 단말(200)에 회원등록문서를 전송한다.
사용자는 피교육자 단말(200)의 브라우저 화면에 표시된 회원등록문서에 자신의 신상정보를 입력하고, 이렇게 입력된 신상정보를 회원관리 파일(361)로 저장함으로써 회원가입 절차를 완료한다.(S115) 또한, 사용자는 인증을 위한 피교육자식별코드(즉, 사용자 ID)를 입력하고, 서버 컴퓨터의 회원관리 모듈(310)은 이 식별코드를 해당 사용자의 신상정보와 더불어 상기 회원관리 파일(361)로 저장한다.(S120)
이와같이, 회원가입 절차를 완료한 피교육자는 상기한 단계 S125의 로그인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인증절차를 완료한다.(S125)
이와같이, 정당 사용자로 인증된 피교육자는 소망하는 원격교육 메뉴에 근거하여 상기 서버 컴퓨터에 수강신청정보를 입력한다. 즉, 피교육자는 자신이 소망하는 교육과목을 선택하여 입력함으로써 서버 컴퓨터에 대한 수강등록을 완료한다.
피교육자로부터 수강신청정보를 입력받은 서버 컴퓨터의 수강관리모듈은 수강신청된 과목에 대해 과목코드를 부여하고, 해당 피교육자를 위한 교육 스케쥴을 작성하여 이를 피교육자에게 출력한다. 또한, 상기 수강관리 모듈(340)은 수강신청된 과목코드를 해당 피교육자 식별코드와 매칭시켜 수강정보 파일(363)을 형성하고, 이를 데이터 저장장치(360)에 저장한다.(S130)
수강신청을 완료한 피교육자에 대해서는 상기 출결관리 프로그램(365)을 다운로드시킨다.(S135)
서버 컴퓨터로부터 출결관리 프로그램(365)을 다운로드 받은 피교육자 단말(200)은 이 프로그램을 해당 단말기내에 설치한다.(S140)
상술한 도 2의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에 의해 피교육자의 단말(200)에는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출결관리 모듈(230)이 클라이언트측의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인스톨된다.
상기 도 2의 경우 피교육자가 반드시 회원일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를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회원가입 여부와 상관없이 수강신청한 모든 피교육자를 대상으로 출결관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다수의 피교육자를 서로 구별하기 위한 피교육자 식별코드는 서버 컴퓨터에서 임의로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의 경우 출결관리 프로그램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피교육자 단말로 다운로드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출결관리 프로그램은 플로피디스크나 CD-ROM 등의 기록매체를 통해 상기 피교육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피교육자의 학습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는 서버 컴퓨터로부터 동영상 파일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실행하고, 이 실행에 따른 출결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학습을 소망하는 피교육자는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접속하여 자신의 식별코드(즉, 사용자 ID)를 입력한다.(S210) 상기 피교육자 식별코드를 통해 상기 서버 컴퓨터는 해당 피교육자를 식별한다.
피교육자는 학습하고자 하는 수강과목을 선택한 후, 이 과목선택 정보를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전송하고(S203), 서버 컴퓨터는 이 과목선택 정보를 수신한다.(S205)
과목 선택정보를 수신한 서버 컴퓨터는 해당 과목에 대응하는 과목코드를 추출하고, 이 과목코드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를 위한 교육용 동영상 강의파일을 추출한다. 즉, 서버 컴퓨터는 수강정보 파일(363)을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의 교육 스케쥴 정보를 확인하고, 이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피교육자의 해당 과목에 대한 진도정보를 산출한다. 이렇게 산출된 진도정보와 과목코드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동영상 강의파일을 추출한다.(S207)
다운로드할 동영상 강의 파일의 추출이 완료되면, 서버 컴퓨터는 이 동영상 파일을 과목코드, 피교육자 식별코드와 더불어 피교육자 단말에 전송한다.(S209)
피교육자 단말은 이 동영상 강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은 후(S211), 이 동영상 파일을 실시간으로 실행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13)
이때, 실시간 실행이 선택된 경우 피교육자 단말의 미디어 플레이어가 실행됨과 동시에 출결관리 모듈이 구동된다.(S215)
미디어 플레이어와 동시에 구동된 출결관리 모듈은 미디어 플레이어의 이벤트 발생상황(예를들어, 시작, 잠시멈춤, 종료 등)을 체크한다.(S217)
이때, 이벤트가 존재하면 상기 출결관리 모듈은 발생된 이벤트 타입(즉, 시작, 잠시멈춤, 종료 등), 이벤트 발생시각에 근거하여 출결정보를 생성한다.(S221)
출결정보가 생성되면, 출결관리 모듈은 이 출결정보에 과목코드와 피교육자 식별코드를 부가하여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전송한다.(S223)
상기 출결관리 모듈(230)은 상기 출결정보의 전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출결정보에 과목코드, 피교육자 식별코드 및 전송코드(Y:전송)를 부가하여 출결정보 파일(252)을 생성하고, 이를 저장장치(250)에 기록한다.(S233)
한편, 상기 서버 컴퓨터(300)는 피교육자 단말(200)로부터 출결정보를 수신받은 후(S227), 이 출결정보를 이용하여 출결정보 파일(364)을 형성하고, 이를 저장장치(360)에 기록한다.(S229)
또한, 서버 컴퓨터의 학점관리 모듈(350)은 일정기간 후에 상기 출결정보 파일(364)에 근거하여 해당 피교육자를 위한 과목별 학점을 산출하여 학점파일(362)을 생성하고, 이를 저장장치(360)에 기록한다.(S231)
한편, 상기 단계 S225에서 출결정보가 서버 컴퓨터(300)에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출결관리 모듈(230)은 상기 출결정보에 과목코드, 피교육자 식별코드 및 전송코드(N:미전송)를 부가하여 출결정보 파일(252)을 생성하고, 이를 저장장치(250)에 기록한다.(S235)
또한, 출결관리 모듈(230)은 미디어 플레이어(220)의 이벤트 타입을 체크하여 해당 동영상 파일에 근거한 멀티미디어 강의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7)
이때, 해당 과목에 대한 강의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출결관리 모듈은 상기 단계 S217로 복귀하여 상술한 루틴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S239)
반면에, 해당 과목에 대한 강의가 종료된 경우, 상기 출결관리 모듈(230)은상기 저장장치(250)에 기억되어 있는 출결정보 파일(252)의 전송코드를 검색하여 미전송 출결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3)
이때, 미전송 출결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출결관리 모듈(230)은 미전송 출결정보를 상기 저장장치(250)로부터 추출하고(S245), 이 추출된 출결정보를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전송한다.(S247)
출결정보의 전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출결관리 모듈(은 해당 출결정보의 전송코드를 N에서 Y로 변환한 후, 상기 단계 S243으로 복귀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는 서버 컴퓨터와 피교육자 단말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태에서 동영상 파일을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다운로드받아 실행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의 실행상태를 나타내는 출결정보를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서버 컴퓨터에 전송한다.
따라서, 서버 컴퓨터는 피교육자가 현재 학습을 성실히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특별한 노력없이 쉽게 캐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과는 달리 서버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교육용 동영상 파일을 실시간으로 실행하지 않고, 오프라인 상태에서 실행시키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즉, 서버 컴퓨터로부터 동영상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한 후 추후에 실행하거나 CD-ROM에 수납된 동영상 파일을 피교육자 단말에 로딩하여 실행하는 경우가 본 실시예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해당 동영상 파일의 실행상태 정보(즉, 학습상황 정보)가 피교육자 단말의 통신접속상태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전환된 후 상기 서버 컴퓨터로 전송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도 4a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에 있어서, 학습을 소망하는 피교육자는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접속하여 자신의 식별코드(즉, 사용자 ID)를 입력한다.(S210) 상기 피교육자 식별코드를 통해 상기 서버 컴퓨터(300)는 해당 피교육자를 식별한다.
피교육자는 학습하고자 하는 수강과목을 선택한 후, 이 과목선택 정보를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전송하고(S203), 서버 컴퓨터는 이 과목선택 정보를 수신한다.(S205)
과목 선택정보를 수신한 서버 컴퓨터는 해당 과목에 대응하는 과목코드를 추출하고, 이 과목코드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를 위한 교육용 동영상 강의파일을 추출한다. 즉, 서버 컴퓨터는 수강정보 파일(363)을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의 교육 스케쥴 정보를 확인하고, 이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피교육자의 해당 과목에 대한 진도정보를 산출한다. 이렇게 산출된 진도정보와 과목코드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동영상 강의파일을 추출한다.(S207)
다운로드할 동영상 강의 파일의 추출이 완료되면, 서버 컴퓨터는 이 동영상 파일을 과목코드, 피교육자 식별코드와 더불어 피교육자 단말에 전송한다.(S209)
피교육자 단말은 이 동영상 강의 파일을 수신받은 후(S211), 이 동영상 파일을 실시간으로 실행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13)
이때, 비실시간 실행이 선택되면, 피교육자 단말(200)은 상기 동영상 강의파일(251)을 상기 서버 컴퓨터(300)로부터 다운로드 받고(S301), 이 동영상강의파일(251)을 저장장치(250)에 저장한다.(S303)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동영상 강의파일이 상기 서버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플로피디스크, CD-ROM과 같은 외부기록매체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피교육자 단말로 로딩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동영상 파일의 실행요청이 입력되면 미디어 플레이어(220)는 저장장치(250) 또는 외부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동영상 파일(251)을 로딩하여 실행한다. 또한, 미디어 플레이어의 실행과 더불어 상기 출결관리 모듈(즉, 출결관리 프로그램)이 구동된다.(S305, S307)
미디어 플레이어(220)와 동시에 구동된 출결관리 모듈(230)은 미디어 플레이어(220)의 이벤트 발생상황(예를들어, 시작, 잠시멈춤, 종료 등)을 체크한다.(S309)
이때, 이벤트가 존재하면 상기 출결관리 모듈(230)은 발생된 이벤트 타입(즉, 시작, 잠시멈춤, 종료 등), 이벤트 발생시각에 근거하여 출결정보를 생성한다.(S313)
출결정보가 생성되면, 출결관리 모듈(230)은 이 출결정보에 과목코드와 피교육자 식별코드 및 전송코드(N:미전송)를 부가하여 출결정보 파일(252)을 생성하고, 이를 저장장치(250)에 저장한다.(S315)
또한, 출결관리 모듈(230)은 미디어 플레이어(220)의 이벤트 타입을 체크하여 해당 동영상 파일에 근거한 멀티미디어 강의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17)
이때, 해당 과목에 대한 강의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출결관리 모듈(230)은 상기 단계 S309로 복귀하여 상술한 루틴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S319)
반면에, 해당 과목에 대한 강의가 종료된 경우, 상기 출결관리 모듈(230)은 피교육자 단말이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21)
이때, 피교육자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출결관리 모듈(230)은 피교육자에게 메시지나 사운드를 통해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하는 알람을 경보한다.(S323)
알람의 경보에 따라 피교육자는 자신의 피교육자 단말을 네트워크에 접속시킨다.(S325)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단계 S323 내지 S325 대신에 피교육자 단말을 자동으로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경우, 상기 피교육자 단말에는 네트워크 자동접속 프로그램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이와같이, 피교육자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출결관리 모듈(230)은 저장장치(250)의 출결정보 파일(252)을 검색하여 전송코드가 N으로 설정되어 있는 미전송 출결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조회한다.(S327)
미전송 출결정보의 조회결과, 미전송 출결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출결관리 모듈(230)은 미전송 출결정보를 상기 저장장치(250)로부터 추출하고(S331), 이 추출된 출결정보를 상기 서버 컴퓨터(300)에 전송한다.(S333)
출결정보의 전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출결관리 모듈(230)은 해당 출결정보의 전송코드를 N에서 Y로 변환한 후, 상기 단계 S329로 복귀한다.
한편, 상기 서버 컴퓨터(300)는 피교육자 단말(200)로부터 출결정보를 수신받은 후(S335), 이 출결정보를 이용하여 출결정보 파일(364)을 형성하고, 이를 저장장치(360)에 기록한다.(S337)
또한, 서버 컴퓨터의 학점관리 모듈(350)은 일정기간 경과후에 상기 출결정보 파일(364)에 근거하여 해당 피교육자를 위한 과목별 학점을 산출하여 학점파일(362)을 생성하고, 이를 저장장치(360)에 기록한다.(S339)
이와같이, 본 실시예는 피교육자 단말이 오프라인 상태로 놓여 있더라도 피교육자의 학습진행 상황을 원격 컴퓨터에서 체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반드시 서버 컴퓨터와 온라인 상태로 연결되어 학습을 진행할때에만 관리가 가능했던 것을 서버 컴퓨터와 연결이 끊어진 상태에서도 학습의 진행상황을 체크할 수 있게 되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로컬에서 수행되는 교육용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실행 상황을 원격지에서 자동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육용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실행과 연동하여 피교육자의 학습태도를 체크하기 때문에 출결정보의 체크를 위해 별도의 피교육자 액션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오프라인 상태에 있는 컴퓨터에서의 학습상황을 원격지에서 자동으로 인지 가능하게 한다.

Claims (15)

  1. 교육정보를 담은 동영상 파일을 보관하는 제 1 컴퓨터 시스템과,
    상기 제 1 컴퓨터 시스템에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가능한 제 2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1 컴퓨터 시스템과 상호 정보를 송, 수신하기 위한 통신수단과;
    동영상 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동영상 파일에 대한 실행 이벤트정보를 체크하고,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타입과 이벤트 발생시각을 포함하는 출결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출결정보를 상기 제 1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하기 위한 출결관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타입이 시작, 잠시 멈춤, 종료 등과 같이 상기 동영상 파일의 실행 상태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결정보에는 상기 동영상 파일과 관련된 과목코드와, 피교육자 식별코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결관리 수단은
    상기 출결정보의 전송 가능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출결정보에 전송 상태코드를 부가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결관리 수단은
    상기 전송 상태코드를 조회하여 미전송 출결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미전송 출결정보를 상기 제 1 컴퓨터 시스템에 자동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교육정보를 담은 동영상 파일을 보관하고, 다수의 피교육자를 관리하기 위한 교육관리 컴퓨터와, 이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피교육자 정보통신단말을 이용하여 피교육자의 교육참여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컴퓨터로부터 동영상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이를 피교육자 정보통신단말에 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파일을 실행하고, 그 실행 이벤트 상황을 체크하는 단계와;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타입, 이벤트 발생시각, 피교육자 고유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출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출결정보를 상기 교육관리 컴퓨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교육자의 교육참여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결정보의 전송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출결정보에 전송 상태코드를 부가하고, 이를 상기 피교육자 정보통신단말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교육자의 교육참여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상태코드를 조회하여 미전송 출결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불러오는 단계와;
    상기 미전송 출결정보를 상기 교육관리 컴퓨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교육자의 교육참여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9. 다수의 피교육자를 관리하기 위한 교육관리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가능한 다수의 피육자 정보통신단말을 이용하여 피교육자의 교육참여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서,
    교육정보를 담은 동영상 파일을 상기 피교육자 정보통신단말에 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파일을 실행하고, 그 실행 이벤트 상황을 체크하는 단계와;
    이벤트 발생시 피교육자 고유 식별코드, 이벤트 타입, 이벤트 발생시각 등과 같은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출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출결정보를 상기 피교육자 정보통신단말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교육관리 컴퓨터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미전송 출결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불러들이고, 이를 상기 교육관리 컴퓨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교육자의 교육참여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10. 제 6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타입이 시작, 잠시 멈춤, 종료 등과 같은 동영상 파일의 실행상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결정보는 상기 동영상 파일과 관련된 과목코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피교육자 정보통신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출결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피교육자의 과목별 출결통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동영상 파일의 실행이 가능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에 존재하는 리모트 컴퓨터와 정보의 송, 수신이 가능한 컴퓨터에 로드되어 아래의 절차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동영상 파일의 실행과 동시에 구동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의 실행에 따른 이벤트 발생 상황을 체크하는 절차와;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타입, 이벤트 발생시각과 같은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출결정보를 생성하는 절차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리모트 컴퓨터에 상기 출결정보와 함께 피교육자 고유 식별코드를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내장한 기록매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출결정보의 전송 상태를 체크하는 절차와;
    상기 출결정보에 전송 상태코드를 부가하고, 이를 상기 컴퓨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절차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내장한 기록매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전송 상태코드를 조회하여 미전송 출결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불러오는 절차와;
    상기 미전송 출결정보를 상기 리모트 컴퓨터에 전송하는 절차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내장한 기록매체.
KR1020010086704A 2001-12-28 2001-12-28 컴퓨터를 이용하여 피교육자의 교육참여상태를모니터링하는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200300564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704A KR20030056485A (ko) 2001-12-28 2001-12-28 컴퓨터를 이용하여 피교육자의 교육참여상태를모니터링하는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704A KR20030056485A (ko) 2001-12-28 2001-12-28 컴퓨터를 이용하여 피교육자의 교육참여상태를모니터링하는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485A true KR20030056485A (ko) 2003-07-04

Family

ID=32214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704A KR20030056485A (ko) 2001-12-28 2001-12-28 컴퓨터를 이용하여 피교육자의 교육참여상태를모니터링하는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64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985B1 (ko) * 2005-09-20 2007-10-15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동화상 시청 시스템, 동화상 시청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284A (ko) * 1994-10-10 1996-05-22 김광호 교육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10069669A (ko) * 2001-04-26 2001-07-25 황인수 출결체크, 학습과정관리, 평가, 주요과제 집중지도를 위한녹화방송학습 시스템 및 동영상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법
KR20010074143A (ko) * 2001-03-31 2001-08-04 종 해 김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이버학교의 출석확인 방법
KR20010098616A (ko) * 2000-04-15 2001-11-08 김상수 학습자의 충실도를 평가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이용한교습방법과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010096774A (ko) * 2000-04-14 2001-11-08 강인화 인터넷의 학습도우미 프로그램을 이용한 학습방법
KR20020092515A (ko) * 2001-06-04 2002-12-12 주식회사 리즈텍 온라인 강의의 수강 인증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284A (ko) * 1994-10-10 1996-05-22 김광호 교육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10096774A (ko) * 2000-04-14 2001-11-08 강인화 인터넷의 학습도우미 프로그램을 이용한 학습방법
KR20010098616A (ko) * 2000-04-15 2001-11-08 김상수 학습자의 충실도를 평가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이용한교습방법과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010074143A (ko) * 2001-03-31 2001-08-04 종 해 김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이버학교의 출석확인 방법
KR20010069669A (ko) * 2001-04-26 2001-07-25 황인수 출결체크, 학습과정관리, 평가, 주요과제 집중지도를 위한녹화방송학습 시스템 및 동영상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법
KR20020092515A (ko) * 2001-06-04 2002-12-12 주식회사 리즈텍 온라인 강의의 수강 인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985B1 (ko) * 2005-09-20 2007-10-15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동화상 시청 시스템, 동화상 시청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856B1 (ko)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한 인공지능 학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인공지능을 이용한 답변 중계 방법 및 시스템
KR102341752B1 (ko) 메타버스에서 아바타를 이용한 강의 보조 방법 및 그 장치
JP2017153078A (ja) 人工知能学習方法、人工知能学習システムおよび返答中継方法
EP1351208A2 (en) Networked learning system
JPH10134028A (ja) インターネットを用いた遠隔教育方法及び装置
CN107103802A (zh) 基于在线教育的实时人眼甄别系统和方法
KR101576727B1 (ko) Qr코드 및 앱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연동 학습 시스템
Griol et al. Incorporating android conversational agents in m‐learning apps
KR20180014259A (ko) 교육 중개 서비스 제공시스템, 교육 중개 서비스 제공서버 및 제공방법
CN112596731B (zh) 一种融合智能教育的编程教学系统及方法
KR102507733B1 (ko) 인공지능 기술 기반 학생 맞춤형 교육 및 취업지원 방법 및 시스템
US201100606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Admissions Process and Yield Rate Management
KR20150139395A (ko)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온라인 화상교육을 위한 서비스 제공서버
WO20191503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earning, monitoring and managing the educational progress
CN112382151A (zh) 一种线上学习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201587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processing and replaying content
CN116684688A (zh) 基于观众情绪的直播模式切换方法及相关装置
CN113268512B (zh) 基于互联网平台的企业岗位职业技能培训系统
KR20030056485A (ko) 컴퓨터를 이용하여 피교육자의 교육참여상태를모니터링하는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20010007738A (ko) 인터넷을 이용한 다수의 사용자간 원격 학습 방법 및 그시스템
KR20220039861A (ko) 장애인 체육교육 개발과 교육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42420B1 (ko)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교육 방법
KR20200134993A (ko)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교육 방법
KR20210127572A (ko)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좌가 개설되도록 하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
US202302067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erson synchronous remote virtual reality teac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1008

Effective date: 2006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