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9395A -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온라인 화상교육을 위한 서비스 제공서버 - Google Patents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온라인 화상교육을 위한 서비스 제공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395A
KR20150139395A KR1020140079104A KR20140079104A KR20150139395A KR 20150139395 A KR20150139395 A KR 20150139395A KR 1020140079104 A KR1020140079104 A KR 1020140079104A KR 20140079104 A KR20140079104 A KR 20140079104A KR 20150139395 A KR20150139395 A KR 20150139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
lecturer
lesson
service providing
provid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진승
Original Assignee
한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진승 filed Critical 한진승
Publication of KR20150139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3Education institution selection, admissions, or financial ai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온라인 화상교육을 위한 서비스 제공서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강의자로부터 등록된 레슨을 수강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강의자와 수강자 간의 교육 서비스를 중개하며 상기 교육 서비스가 온라인 상에서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게 한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온라인 화상교육을 위한 서비스 제공서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온라인 화상교육을 위한 서비스 제공서버{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online video-education service}
본 발명은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온라인 화상교육을 위한 서비스 제공서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강의자로부터 등록된 레슨을 수강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강의자와 수강자 간의 교육 서비스를 중개하며 상기 교육 서비스가 온라인 상에서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게 한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온라인 화상교육을 위한 서비스 제공서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라인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서비스는 교육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섭외한 강사의 강좌를 비디오 파일로 보관하고,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이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특정 프로그램의 설치를 통해 상기 비디오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교육을 받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교육 서비스는 단순히 학생들이 비디오 파일을 보면서 학습을 하는 일방적인 수업 형태를 가지므로, 학생들이 이해하지 못하거나 궁금한 부분에 대해 질문을 할 수 없어서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를 높이기 어렵고 학습 효율의 향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교육 서비스는 교육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다양한 교육 분야의 강좌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강사를 섭외하여야 하므로 비용의 소모가 증가하므로,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는 학생에게 비용의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교육 서비스의 다른 예로, 학생과 강사 간의 개인 교습을 온라인 상에서 중개하고 오프라인으로 개인 교습을 하는 방식으로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 경우, 학생과 강사 간의 교육 효율 및 집중도를 최대한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실제 교육 서비스가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장소와 이동 거리의 제한이 큰 문제점이 있으며, 대부분 한 달 내지 수 달의 계약을 맺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비용의 소모가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강의자와 수강자가 온라인 상에서 서로의 화상 및 음성을 실시간으로 보고 듣는 교육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며, 서비스 사업자가 별도로 강의자를 섭외하지 않고 오픈 마켓 방식으로 강의자와 수강자 간의 교육 서비스를 중개할 수 있게 한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온라인 화상교육을 위한 서비스 제공서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서버가 강의자 클라이언트 및 수강자 클라이언트에서 강의자 계정 또는 수강자 계정의 생성을 요청받는 회원가입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강의자 계정의 레슨 개설을 요청받아 레슨 리스트에 등록하는 레슨 등록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수강자 계정으로 상기 레슨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수강자 계정으로부터 특정 강의자 계정에 대한 레슨 예약요청을 수신하는 레슨 예약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레슨 예약요청된 레슨 룸을 생성하고, 강의자 및 수강자가 각각의 계정으로 상기 레슨 룸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레슨을 진행하는 실시간 레슨 진행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온라인 화상교육을 위한 서비스 제공서버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레슨 룸에서 강의자 및 수강자가 서로의 화상 및 음성을 보고 들으며 레슨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레슨 룸에서 강의자 또는 수강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문자 또는 그림으로 쓰거나 그릴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레슨 진행단계 이후에,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레슨 룸에서 상기 강의자 계정 또는 상기 수강자 계정으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레슨 분석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슨 분석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음성 데이터, 상기 문자 데이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파일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저장된 음성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텍스트 데이터 또는 상기 문자 데이터에서 주요 단어를 추출하는 주요 단어 추출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주요 단어로부터 상기 강의자 계정 및 상기 수강자 계정의 성향을 분석하는 성향 분석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성향 분석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주요 단어에서 긍정적 단어, 부정적 단어, 반복사용 빈도 및 반복사용 시차를 계산하여, 상기 강의자 계정의 성향 또는 상기 수강자 계정의 성향을 분석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슨 분석단계 이후에,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강의자 계정 및 상기 수강자 계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평가를 입력받는 레슨 평가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슨 평가단계 이후에,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강의자 계정 및 상기 수강자 계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유사 성향의 레슨, 유사 성향의 강의자 계정 또는 유사 성향의 수강자 계정을 추천하는 선별적 레슨 추천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원가입 단계에서 상기 강의자 계정의 생성은, 상기 강의자 클라이언트가 아이디, 비밀번호, 개인정보, 연락처 및 성적증명서를 입력 및 업로드하여 상기 강의자 계정의 생성을 요청하는 강의자 계정 생성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상기 강의자 계정의 연락처로 소정의 코드 및 링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여 인증을 수행하게 하는 연락처 인증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성적 증명서를 조회하는 자격 심사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상기 강의자 계정의 계정비용을 결제하게 하는 계정비용 지불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강의자 계정이 생성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격 심사단계는, 상기 강의자 계정의 개인정보 조회 시 범죄 기록 정보를 더 조회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원가입 단계에서 상기 수강자 계정의 생성은, 상기 수강자 클라이언트가 아이디, 비밀번호, 개인정보 및 연락처를 입력하여 상기 수강자 계정의 생성을 요청하는 수강자 계정 생성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상기 수강자 계정의 연락처로 소정의 코드 및 링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여 인증을 수행하게 하는 인증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수강자 계정이 생성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슨 예약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수강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레슨 리스트의 검색을 요청받는 레슨 리스트 검색단계;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선택된 특정 레슨에 대해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레슨 예약비용을 결제받는 레슨비 지불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수강자 계정의 레슨 예약을 완료하고, 상기 강의자 계정 및 상기 수강자 계정의 연락처로 레슨 예약완료 메세지를 전송하는 레슨 예약 완료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별적 레슨 추천단계는,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진행한 레슨과 유사 범주의 레슨을 추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별적 레슨 추천단계는, 상기 수강자 계정의 성향과 매치되는 특정 강의자 계정을 추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별적 레슨 추천단계는, 상기 강의자 계정의 성향과 매치되는 특정 수강자 계정을 추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별적 레슨 추천단계는,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레슨, 비디오 또는 콘텐츠를 검색할 때, 상기 수강자 계정과 성향이 매치되는 특정 레슨, 특정 비디오 또는 특정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표시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레슨 진행단계는, 상기 레슨 룸에서 상기 강의자 계정에서 입력된 특정 단어 또는 문장의 음성 데이터와,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입력된 동일 단어 또는 문장의 음성 데이터를 비교분석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강의자 계정의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수강자 계정의 음성 데이터로부터 각각의 음성 데이터 파형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음성 데이터 파형들을 표시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서버가 강의자로부터 강의하고자 하는 학습 내용을 레슨 리스트에 등록받고, 수강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내용을 선택하여 특정 강의자의 레슨을 수강할 수 있게 하므로, 서비스 사업자가 별도로 강의자를 섭외하지 않고도 강의자와 수강자 간의 교육 서비스를 중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서버가 레슨 룸을 생성하여 강의자와 수강자가 온라인 상에서 서로의 화상 및 음성을 보고 들으며 레슨을 진행할 수 있게 하므로, 수강자 및 강의자가 시간과 장소의 제한을 적게 받으며 수강자의 학습 효율은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서버가 레슨 룸에서 진행된 학습 내용에서 주요 단어를 추출하여 강의자 및 수강자의 성향을 분석하며 각각의 성향에 맞춰 선별적으로 강의자 또는 수강자를 추천하므로, 수강자의 학습 만족도는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수강자의 학습 능력에 적합한 강의자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강의자와 수강자의 음성 데이터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두 개의 음성 데이터 파형을 그래프 상의 비교분석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자 계정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강자 계정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슨 예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슨 분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화상교육 서비스 제공방법은 실질적으로 온라인 화상교육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온라인 화상교육을 위한 서비스 제공서버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를 수단으로 기능시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강의자 클라이언트 및 수강자 클라이언트 간의 온라인 화상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동작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그램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SSD, USB메모리 및 SD카드와 같이 공지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상기 컴퓨터에서 읽혀짐으로써 상기 컴퓨터가 기능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명령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가 포함된 컴퓨터 장치라면, 어떠한 컴퓨터 장치라도 가능하다.
실제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온라인 화상교육을 위한 서비스 제공서버를 컴퓨터로 이용하여 강의자 클라이언트 및 수강자 클라이언트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가능한 웹 사이트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들여 HTML 문서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로 반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강의자 클라이언트 및 상기 수강자 클라이언트는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태블릿PC 및 퍼스널 컴퓨터뿐만 아니라 용도에 따라 특이하게 제작된 산업용 및 개인용 컴퓨터 장치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은, 서비스 제공서버(100),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100)와 각각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강의자 클라이언트(200)와 수강자 클라이언트(300)가 구비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수행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본 발명의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을 서비스하기 위한 서비스 사업자 측의 서버이고, 상기 강의자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100)를 통해 화상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강의자 측의 단말이며, 상기 수강자 클라이언트(300)는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100)를 통해 화상 교육을 제공받고자 하는 수강자 측의 단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100)에서 웹 사이트로 구현되며, 상기 강의자 클라이언트(200) 및 상기 수강자 클라이언트(300)가 웹 브라우저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100)에서 구현된 웹 사이트는 오픈 마켓 방식을 취하여 강의자와 수강자 간의 화상 교육 서비스가 거래될 수 있도록 중개를 하며, 상기 강의자 클라이언트(200)를 이용한 강의자가 교육하고자 하는 레슨을 등록하면 상기 수강자 클라이언트(300)를 이용하는 수강자가 레슨비를 결제하고 실시간으로 화상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강의자의 화상이 표시되는 강의자 표시수단(111), 수강자의 화상이 표시되는 수강자 표시수단(112) 및 강의자와 수강자로부터 입력되는 문자 또는 그림이 표시되는 학습내용 표시수단(113)을 포함하는 레슨 룸(110)을 상기 웹 사이트에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레슨 룸은 상기 강의자 표시수단(111) 및 상기 수강자 표시수단(112)은 온라인 비디오 컨퍼런싱(online video conferencing)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특히, 웹알티씨(web real time communication, Web RTC) 기술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내용 표시수단(113)은 버츄얼 화이트보드(virtual whiteboard) 기술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슨 룸(110)에 접속하여 강의자와 수강자가 실시간으로 화상 및 음성을 보고 들으며 강의자가 학습내용과 관련한 문자, 그림 및 파일을 입력 및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상기 레슨 룸(110)에서 일대일 방식의 교육 서비스 뿐만 아니라, 적어도 두 개의 수강자 클라이언트(300)가 접속된 일대다 방식의 교육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다른 예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상기 레슨 룸(110)에서 복수의 수강자 클라이언트(300)가 동시에 접속되는 강좌 방식으로도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강의자와 수강자의 음성 데이터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두 개의 음성 데이터 파형을 그래프 상의 비교분석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은, 먼저, 강의자와 수강자가 회원 가입을 하여 각각의 계정을 생성하며, 이때, 서비스 제공서버는 온라인으로 접속하는 강의자 클라이언트 및 수강자 클라이언트로부터 각각 강의자 계정 또는 수강자 계정의 생성을 요청받는다(S110).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소정의 회원 가입 항목을 제공하여, 상기 강의자 클라이언트와 상기 수강자 클라이언트가 각각의 계정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강의자 계정은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를 통해 화상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강의자의 계정을 뜻하며, 상기 수강자 계정은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를 통해 화상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는 수강자의 계정을 뜻한다.
다음, 강의자로부터 강의하고자 하는 레슨을 등록받아 수강자가 검색할 수 있도록 등록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강의자 계정으로부터 레슨 개설을 요청받아 레슨 리스트에 등록하게 된다(S120).
또한, 상기 강의자 계정에서는 레슨 타이틀, 레슨 예약비용, 레슨 분야, 레슨 내용 및 레슨 시간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로 입력하여 상기 레슨 개설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강의자 계정에서 입력된 레슨 분야 및 레슨 내용에 따라 상기 강의자 계정의 레슨을 레슨 리스트에 등록한다.
여기서, 상기 레슨 리스트는 복수의 강의자 계정에서 등록된 레슨을 레슨 시간, 레슨 분야 또는 레슨 내용에 따라 분류하여 표시하며, 수강자 계정에서 키워드 등을 입력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레슨 리스트는 검색어 순위 및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실제 수행한 레슨의 검색 기록을 조합하여 정렬 표시될 수 있다.
다음, 수강자로부터 특정 레슨의 레슨 예약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수강자 계정으로부터 특정 강의자 계정에 대한 레슨 예약요청을 수신하게 된다(S130).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상기 레슨 리스트를 검색할 수 있게 하여 수강자가 필요로 하는 레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강의자 계정의 레슨에는 실제 강의할 시간 또는 일정을 포함하고 있어, 수강자는 레슨 내용, 레슨 시간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분야의 레슨을 선택하여 레슨 예약요청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특정 레슨의 예약을 위해 검색한 키워드 및 레슨 리스트를 검색 기록으로 저장하여, 상기 수강자 계정의 관심 레슨 분야 및 관심 주요 단어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검색 기록은 상기 키워드 및 상기 레슨의 검색 횟수 및 해당 웹 페이지에 머무른 시간값까지 포함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검색한 강의자 계정의 검색 빈도를 상기 수강자 계정의 강의자 선호 순위로 저장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검색하거나 실제 진행한 레슨 및 강의자 계정에 대해 저장하고, 상기 수강자 계정이 재방문하거나 레슨을 검색할 때 우선적으로 표시되게 하거나 연관 분야의 레슨을 추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음, 강의자와 수강자 간의 실시간 레슨이 진행되며,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레슨 예약요청된 레슨 룸을 정해진 레슨 시간에 생성하며 상기 레슨 룸에서 상기 강의자와 수강자 간의 실시간 레슨이 진행되게 된다(S140).
여기서, 상기 레슨 룸은 강의자와 수강자가 각각의 계정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는 공간으로, 상기 강의자가 미리 입력한 레슨 시간에 생성되며 상기 레슨 시간 전에 상기 강의자 계정 및 상기 수강자 계정의 연락처로 알림, 메세지 또는 이메일을 전송하여 상기 레슨 룸의 생성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레슨 룸이 생성되면, 강의자와 수강자가 각각의 계정으로 상기 레슨 룸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레슨 룸은 강의자의 화상이 표시되는 강의자 표시수단, 수강자의 화상이 표시되는 수강자 표시수단 및 강의자와 수강자로부터 입력되는 문자 또는 그림이 표시되는 학습내용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레슨 룸에서 상기 강의자 계정 및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재생되도록 하여, 강의자와 수강자는 서로의 화상과 음성을 보고 들으며 레슨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레슨 룸에서 상기 강의자 계정 또는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입력된 문자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파일을 화면 상에서 표시되거나 공유될 수 있게 하여, 강의자와 수강자 간에 학습내용을 문자 또는 그림으로 입력하며 레슨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레슨 룸에서 상기 강의자 계정에서 입력된 특정 단어 또는 문장의 음성 데이터와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입력된 동일 단어 또는 문장의 음성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강의자가 실시간으로 수강자의 발음을 교정해줄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강의자 계정 및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각각 입력된 음성 데이터 파형을 그래프로 나타내거나 두 개의 음성 데이터를 동시에 재생시켜서, 강의자와 수강자가 보다 편리하게 음고와 음절의 차이를 확인하여 수강자의 발음을 교정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푸리에 변환 알고리즘 또는 고속 푸리에 변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강의자 계정 및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각각 입력된 음성 데이터의 주파수 성분을 계산하여 음성 데이터 파형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강의자 계정의 음성 데이터 파형 및 상기 수강자 계정의 음성 데이터 파형을 그래프 상에서 비교분석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강의자와 수강자는 보다 직관적으로 발음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언어별 억양 차이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레슨 룸에서 이루어진 강의를 분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레슨 룸에서 상기 강의자 계정 또는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입력된 데이터 및 파일을 분석하게 된다(S150).
실질적으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레슨 룸에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여 사용 빈도가 높은 주요 단어를 추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강의자 계정 또는 상기 수강자 계정의 주요 단어로부터 각각의 계정의 성향을 분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요 단어는 상기 강의자 계정 또는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입력된 빈도 수가 높은 특정 단어를 뜻하는 것으로, 특히, 강의자의 레슨 내용과 매치되는 단어로 추출될 수 있다.
다음, 레슨이 종료된 후 강의자 계정 또는 수강자 계정에 대한 평가를 입력받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수강자 계정 또는 상기 강의자 계정에서 직접 평가 점수를 입력받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강의자 계정의 성향 또는 상기 수강자 계정을 성향을 근거로 평가 점수를 자동 계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S160).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입력된 레슨 후기에서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강의자 계정의 평가 점수에 반영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강의자 계정 또는 상기 수강자 계정으로 유사 성향의 계정을 추천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레슨 룸에서 분석된 상기 강의자 계정의 성향 또는 상기 수강자 계정의 성향을 근거로 유사한 성향의 다른 계정을 추천한다(S170).
여기서, 유사 성향의 계정은 레슨 분야, 레슨 내용 및 주요 단어가 일치하거나 임계치 이상 중복된 계정을 뜻하며, 특히,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또 다른 레슨을 수강하고자 할 경우 유사 성향의 강의자 계정 또는 유사 성향의 레슨이 선별적으로 추천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강의자 계정의 성향과 매치되는 특정 수강자 계정을 상기 강의자 계정으로 추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신규 레슨 및 신규 강의자 계정이 등록되었을 때, 상기 수강자 계정의 성향을 근거로 선별적인 레슨 및 상기 신규 강의자 계정을 추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레슨, 비디오 또는 콘텐츠를 검색할 경우, 상기 수강자 계정의 성향과 매치되는 특정 레슨, 특정 비디오 또는 특정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강의자 계정의 영상 데이터와 주요 단어가 시간을 기준으로 동기화된 샘플 비디오를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주요 단어를 검색하면 상기 샘플 비디오가 제공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상기 샘플 비디오를 재생할 시 상기 주요 단어와 동기화된 시간부터 재생되게 하여, 수강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샘플 비디오를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자 계정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의자 계정은, 먼저,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강의자 클라이언트로부터 강의자 계정의 생성을 요청받게 된다(S111).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강의자 클라이언트가 입력할 회원 가입 정보를 입력받게 되는데, 예컨대, 아이디, 비밀번호, 개인정보 및 연락처를 입력받고, 성적증명서 및 신분증 사본을 업로드받아 저장한다.
다음,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강의자 계정의 인증을 수행하며, 예컨대,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강의자 계정의 연락처로 소정의 코드 또는 링크가 전송될 수 있다(S112).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강의자 계정의 전화번호 및 이메일로 코드 또는 링크를 전송하여 인증을 수행하게 하며, 정확한 코드가 입력되었을 때 인증을 완료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는 상기 강의자 클라이언트에서 접속가능한 웹 페이지를 연결시켜 소정의 숫자 또는 문자로 이루어진 코드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은 상기 강의자 계정의 연락처에 대한 인증을 뜻하며, 실질적으로 상기 강의자 계정은 자격 심사 및 계정비용을 지불하였을 때 활성화되게 된다.
다음, 상기 강의자 계정에 대한 자격을 심사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강의자 클라이언트에서 업로드된 개인정보 및 성적 증명서를 조회하여 자격 심사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성적 증명서는 특정 대학의 졸업을 증명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개인정보의 조회 시 범죄 기록 정보를 더 조회할 수 있다(S113).
따라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강의자 계정의 생성 시 범죄 기록이 없는 강의자를 선별하여 수강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강의자 계정의 계정비용을 결제받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강의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강의자 계정의 활성화를 위한 소정의 비용을 상기 계정비용으로 결제받는다(S114).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계정비용이 결제되면 상기 강의자 계정에서 레슨을 개설할 수 있도록 허가하며 상기 강의자 계정의 이메일 또는 전화번호로 이메일 또는 문자 메세지를 전송하여 계정비용의 지불완료를 알릴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강자 계정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강자 계정은 상기 강의자 계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소화된 과정으로 계정의 생성이 이루어지며, 먼저,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수강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수강자 계정의 생성을 요청받게 된다(S115).
이때, 상기 수강자 클라이언트는 아이디, 비밀번호, 개인정보 및 연락처를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로 입력하여 상기 수강자 계정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수강자 계정의 인증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상기 수강자 계정의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로 소정의 코드 및 링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게 된다(S116).
또한,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수강자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코드가 정확하게 입력되었을 때 상기 수강자 계정의 인증을 완료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링크를 문자 메세지 또는 이메일로 전송하여, 소정의 숫자 또는 문자로 이루어진 코드를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연결시킬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슨 예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슨 예약 과정은, 먼저,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수강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레슨 리스트의 검색을 요청받게 된다(S131).
이때, 상기 레슨 리스트는 복수의 강의자 계정의 레슨이 표시 또는 정렬되어 있으며, 상기 수강자 계정은 특정 강의자 계정의 레슨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레슨 예약비용을 결제받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선택된 특정 레슨에 대해 상기 레슨 예약비용을 결제받으며, 상기 레슨 예약비용은 상기 강의자 계정에서 입력된 특정 금액의 비용일 수 있다(S132).
다음,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레슨 예약비용을 결제받은 후 상기 수강자 계정의 레슨 예약이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레슨 예약비용의 결제 후 상기 강의자 계정 및 상기 수강자 계정의 연락처로 레슨 예약완료 메세지를 전송하게 된다(S133).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슨 분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슨 분석 과정은, 먼저,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파일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S151).
이때,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음성 데이터, 상기 문자 데이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파일은 상기 강의자 계정 및 상기 수강자 계정이 레슨 룸에서 입력 또는 업로드한 데이터와 파일이다.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는 상기 강의자와 상기 수강자의 화상 및 음성의 데이터이며, 상기 문자 데이터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강의자 계정 또는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학습 내용에 관련한 설명 또는 질문하면서 그리거나 입력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은 상기 강의자 계정 또는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상기 레슨 룸에 업로드된 문서 데이터 또는 다른 형식의 데이터 파일일 수 있다.
다음,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음성 데이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게 된다(S152).
이때, 상기 음성 데이터는 음성인식(Speech-to-Text) 기술을 이용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경우에는 이미지-텍스트 변환 기술을 적용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 또는 상기 문자 데이터에서 주요 단어로 추출하게 된다(S153).
이때, 상기 주요 단어는 레슨 분야 및 레슨 내용과 관련성이 높은 단어 중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단어로서, 예컨대, 상기 강의자 계정에서 입력된 레슨 타이틀, 레슨 내용 및 레슨 분야의 키워드와 일치하는 특정 단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주요 단어는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 각각의 레슨 분야별로 미리 설정된 특정 단어일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주요 단어로부터 상기 강의자 계정 및 상기 수강자 계정의 성향을 분석하게 된다(S154).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주요 단어의 사용 빈도에 따른 추출 순위를 부여하고, 레슨 분야 및 레슨 내용별로 연관성이 있는 특정 주요 단어를 분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주요 단어가 긍정적 단어 또는 부정적 단어에 해당하는지 비교하여 상기 강의자 계정 또는 상기 수강자 계정의 성향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긍정적 단어 및 상기 부정적 단어는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 미리 저장된 특정 단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주요 단어의 반복사용 빈도 및 반복사용 시차를 계산하여 상기 강의자 계정 또는 상기 수강자 계정의 성향을 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주요 단어의 반복사용 빈도가 높은 경우 상기 수강자 계정의 이해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하거나, 상기 강의자 계정의 강의 능력이 낮은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요 단어의 반복사용 시차는 특정 레슨 내용의 학습이 완료된 시간을 뜻하며, 예컨대, 상기 주요 단어의 반복사용 시차가 짧으면 레슨 내용에 대한 수강자의 학습 능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하고, 반대의 경우 레슨 내용에 대한 수강자의 학습 능력이 낮은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강의자 계정별로 상기 주요 단어, 레슨 타이틀, 레슨 내용을 저장한 후, 수강자의 후기 또는 평가 점수에 따라 강의자 계정의 선호 순위를 계산하고 상기 강의자 계정의 선호 순위를 기준으로 레슨 분야별 주요 단어 및 연관 단어의 순위를 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 서비스 제공서버
200 : 강의자 클라이언트
300 : 수강자 클라이언트

Claims (19)

  1. 서비스 제공서버가 강의자 클라이언트 및 수강자 클라이언트에서 강의자 계정 또는 수강자 계정의 생성을 요청받는 회원가입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강의자 계정의 레슨 개설을 요청받아 레슨 리스트에 등록하는 레슨 등록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수강자 계정으로 상기 레슨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수강자 계정으로부터 특정 강의자 계정에 대한 레슨 예약요청을 수신하는 레슨 예약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레슨 예약요청된 레슨 룸을 생성하고, 강의자 및 수강자가 각각의 계정으로 상기 레슨 룸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레슨을 진행하는 실시간 레슨 진행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레슨 룸에서 강의자 및 수강자가 서로의 화상 및 음성을 보고 들으며 레슨을 진행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레슨 룸에서 강의자 또는 수강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문자 또는 그림으로 쓰거나 그릴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레슨 진행단계 이후에,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레슨 룸에서 상기 강의자 계정 또는 상기 수강자 계정으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레슨 분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레슨 분석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음성 데이터, 상기 문자 데이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파일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저장된 음성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텍스트 데이터 또는 상기 문자 데이터에서 주요 단어를 추출하는 주요 단어 추출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주요 단어로부터 상기 강의자 계정 및 상기 수강자 계정의 성향을 분석하는 성향 분석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성향 분석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주요 단어에서 긍정적 단어, 부정적 단어, 반복사용 빈도 및 반복사용 시차를 계산하여, 상기 강의자 계정의 성향 또는 상기 수강자 계정의 성향을 분석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레슨 분석단계 이후에,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강의자 계정 및 상기 수강자 계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평가를 입력받는 레슨 평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레슨 평가단계 이후에,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강의자 계정 및 상기 수강자 계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유사 성향의 레슨, 유사 성향의 강의자 계정 또는 유사 성향의 수강자 계정을 추천하는 선별적 레슨 추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가입 단계에서 상기 강의자 계정의 생성은,
    상기 강의자 클라이언트가 아이디, 비밀번호, 개인정보, 연락처 및 성적증명서를 입력 및 업로드하여 상기 강의자 계정의 생성을 요청하는 강의자 계정 생성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상기 강의자 계정의 연락처로 소정의 코드 및 링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여 인증을 수행하게 하는 연락처 인증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성적 증명서를 조회하는 자격 심사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상기 강의자 계정의 계정비용을 결제하게 하는 계정비용 지불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강의자 계정이 생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자격 심사단계는,
    상기 강의자 계정의 개인정보 조회 시 범죄 기록 정보를 더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가입 단계에서 상기 수강자 계정의 생성은,
    상기 수강자 클라이언트가 아이디, 비밀번호, 개인정보 및 연락처를 입력하여 상기 수강자 계정의 생성을 요청하는 수강자 계정 생성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상기 수강자 계정의 연락처로 소정의 코드 및 링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여 인증을 수행하게 하는 인증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수강자 계정이 생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슨 예약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수강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레슨 리스트의 검색을 요청받는 레슨 리스트 검색단계;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선택된 특정 레슨에 대해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레슨 예약비용을 결제받는 레슨비 지불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수강자 계정의 레슨 예약을 완료하고, 상기 강의자 계정 및 상기 수강자 계정의 연락처로 레슨 예약완료 메세지를 전송하는 레슨 예약 완료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적 레슨 추천단계는,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진행한 레슨과 유사 범주의 레슨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적 레슨 추천단계는,
    상기 수강자 계정의 성향과 매치되는 특정 강의자 계정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적 레슨 추천단계는,
    상기 강의자 계정의 성향과 매치되는 특정 수강자 계정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적 레슨 추천단계는,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레슨, 비디오 또는 콘텐츠를 검색할 때, 상기 수강자 계정과 성향이 매치되는 특정 레슨, 특정 비디오 또는 특정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표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레슨 진행단계는,
    상기 레슨 룸에서 상기 강의자 계정에서 입력된 특정 단어 또는 문장의 음성 데이터와, 상기 수강자 계정에서 입력된 동일 단어 또는 문장의 음성 데이터를 비교분석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강의자 계정의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수강자 계정의 음성 데이터로부터 각각의 음성 데이터 파형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음성 데이터 파형들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의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온라인 화상교육을 위한 서비스 제공서버.
KR1020140079104A 2014-06-03 2014-06-26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온라인 화상교육을 위한 서비스 제공서버 KR201501393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821 2014-06-03
KR20140067821 2014-06-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395A true KR20150139395A (ko) 2015-12-11

Family

ID=55020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104A KR20150139395A (ko) 2014-06-03 2014-06-26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온라인 화상교육을 위한 서비스 제공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939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203B1 (ko) * 2016-04-05 2017-03-02 김현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15337A (ko) * 2018-04-02 2019-10-11 고은혜 커뮤니티 기반의 운동예약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CN111507754A (zh) * 2020-03-31 2020-08-07 北京大米科技有限公司 在线交互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335192B1 (ko) * 2020-12-11 2021-12-06 에이치두(주) 상호작용이 가능한 홈 코칭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103680A (ko) 2021-01-11 2022-07-22 김철웅 사용자별 화이트보드 공유 및 모니터링 기능을 활용한 비대면 교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203B1 (ko) * 2016-04-05 2017-03-02 김현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15337A (ko) * 2018-04-02 2019-10-11 고은혜 커뮤니티 기반의 운동예약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CN111507754A (zh) * 2020-03-31 2020-08-07 北京大米科技有限公司 在线交互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1507754B (zh) * 2020-03-31 2023-11-14 北京大米科技有限公司 在线交互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335192B1 (ko) * 2020-12-11 2021-12-06 에이치두(주) 상호작용이 가능한 홈 코칭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103680A (ko) 2021-01-11 2022-07-22 김철웅 사용자별 화이트보드 공유 및 모니터링 기능을 활용한 비대면 교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29007A (ko) 2021-01-11 2024-03-05 김철웅 사용자별 화이트보드 공유 및 모니터링 기능을 활용한 비대면 교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hnke et al. Facilitating synchronous online language learning through Zoom
CN109801525B (zh) 一种用于网络教学的师生多维匹配方法和系统
Hasan et al. Podcast applications in language learning: A review of recent studies.
JP5421262B2 (ja) コンピュータベースの学習のための方法、媒体およびシステム
US8608477B2 (en) Selective writing assessment with tutoring
Blayone et al. Ready for digital learning? A mixed-methods exploration of surveyed technology competencies and authentic performance activity
KR101899038B1 (ko)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
US20020116183A1 (en) Speech analysis system and method
Stoszkowski et al. Using Flipgrid to improve reflection: A collaborative online approach to coach development
JP2003228272A (ja) 教材学習システム
Ou-Yang et al. Using mixed-modality vocabulary learning on mobile devices: Design and evaluation
KR20150139395A (ko) 온라인 화상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온라인 화상교육을 위한 서비스 제공서버
Çakıroğlu et al. Understanding community in synchronous online learning: do perceptions match behaviours?
US6732076B2 (en) Speech analysis and therapy system and method
Matthews et al. Investigating an innovative computer application to improve L2 word recognition from speech
KR20150101632A (ko) Qr코드 및 앱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연동 학습 시스템
Joe et al. A prototype public speaking skills assessment: An evaluation of human‐scoring quality
Jarrah et al. Arab Postgraduates' Readiness towards and Effectiveness of Utilizing Web 2.0 in Language Learning.
Garrad et al. Rethinking higher education unit design: Embedd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 online studies
KR102376790B1 (ko) 학사 관리 시스템
Marshall Contribution of open-ended questions in student evaluation of teaching
KR100772183B1 (ko) 개별 맞춤 학습이 가능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US9547995B1 (en) Dynamic instructional course
Setyawan et al. LEARNERS’PREFERENCES OF MULTIMEDIA RESOURCES IN AN EXTENSIVE LISTENING PROGRAM
KR100930333B1 (ko) 유무선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한 독서 및 어학 학습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