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038B1 -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038B1
KR101899038B1 KR1020170081460A KR20170081460A KR101899038B1 KR 101899038 B1 KR101899038 B1 KR 101899038B1 KR 1020170081460 A KR1020170081460 A KR 1020170081460A KR 20170081460 A KR20170081460 A KR 20170081460A KR 101899038 B1 KR101899038 B1 KR 101899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data
learning
content
auth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원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앰플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앰플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앰플소프트
Priority to KR1020170081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데이터 수집장치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이용하는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환경하에서 전자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하여 학습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며, 학습자의 학습데이터 수집, 분석하여 학습자의 학습패턴에 관한 정확하고 면밀한 분석을 통해 학습자 및 선생님에게 적합한 학습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콘텐츠 저작자는 학습자의 학습패턴 분석 결과를 토대로 양질의 교육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는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on-line study and authoring system for eduction contents using analysis of big data}
본 발명은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데이터 수집장치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태도를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는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학습자의 급속한 증가와,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일선 교육 현장에서도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이용한 새로운 학습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학습 관련 사이트와 학습 서비스들이 급성장하고 있다.
현재 많은 사람이 선호하는 학원 교육은 학습자가 학원으로 이동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학원 교육 커리큘럼 상 소수가 아닌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특성을 지니고 있어 개인 학습자의 학습 능력 차이가 반영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시간, 공간적인 문제점을 극복했다고 이야기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역시 각 개인의 학습 성취능력에 맞춘 능력별 학습패턴이 적용될 수 없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반하여 온라인 학습은 시공간 상의 제약이 거의 없으므로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있다. 현재 국어, 수학, 과학 등과 같은 학교 교육 과정의 과목들에 대한 강좌,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과 같은 어학 강좌, 프레젠테이션 스킬과 같은 직장인 직무 관련 강좌뿐만 아니라, 골프와 같은 체육 강좌에 대한 온라인 학습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분야에 대해 제공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는 그 유용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우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 공간상의 제약이 거의 없으므로 학습자가 원하는 시간에 학습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동일한 온라인 학습 강좌를 반복하여 학습함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점도 온라인 학습 서비스가 지닌 장점이라고 볼 수 있다.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인터넷 프로토콜 방송 단말기(IPTV)를 통한 교육 콘텐츠 서비스도 여전히 학습자 주도형이 아닌 단방향의 객관적 학습자 주도권에 머물러 있는 상황으로, 학습자의 강의 이해력 및 각 개인의 학업 성취능력에 따른 난이도별 실시간 콘텐츠 제공과는 무관한 강좌가 제공되어 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온라인을 통한 학습의 경우, 자신의 학습 상태를 스스로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고, 학습자 스스로 의지만으로 학습 과정을 끝까지 마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몇몇 온라인 학습 서비스는 학습 진도를 관리하는 서비스와 함께 학습 내용에 대한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내용과 관련된 발명이 공개특허 제10-2009-0015556호에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5556호 '인터넷을 이용한 동영상 강좌 상호 연동 학습 서비스 방법및 그 시스템'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2728호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콘텐츠 저작자는 멀티미디어를 이용하여 다양한 유형과 내용의 학습 콘텐츠를 간편하게 저작하고, 학습데이터 수집장치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태도를 분석하고, 사용자 학습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선생님이 학생의 학습이력을 모니터링하고, 학생은 학습성취율에 맞게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학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은 저작자가 콘텐츠를 저작하는데 필요한 저작 도구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작장치, 학습데이터 수집장치 및 미들웨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저작시스템; 상기 콘텐츠 저작시스템에 의하여 저작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상기 콘텐츠를 이용하는 학생들의 학습이력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학습이력 관리장치, 상기 수집된 정보를 학생 정보에 맞게 학습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시스템 제어부, 상기 학습이력은 저장하는 학습이력 데이터베이스 및 선생이 배포하거나 학생이 선택한 콘텐츠를 저장하는 학습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학습관리 시스템; 및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저작시스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학습관리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를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학습 데이터 수집장치는 시간데이터 수집장치, 포인트데이터 수집장치, 유형데이터 수집장치, 힌트데이터 수집장치 및 학습데이터베이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환경하에서 전자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하여 학습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며, 콘텐츠 학습자의 학습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학습자의 학습패턴에 관한 정확하고 면밀한 분석을 통해 학습자 및 선생님에게 적합한 학습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콘텐츠 저작자는 학습자의 학습패턴 분석 결과를 토대로 양질의 교육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는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저작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문제형 저작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문제형 저작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제1 인터페이스의 일례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암기형 저작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제2 인터페이스의 일례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동영상형 저작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제3 인터페이스의 일례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북형 저작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제4 인터페이스의 일례이다.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첨삭형 저작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제5 인터페이스의 일례이다.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형 저작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제6 인터페이스의 일례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학습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며, 도 4b는 학습이력 관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학생의 학습이력 데이터베이스의 일례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또는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를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러한 구성요소는 상기와 같은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또는 단계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은 서버(100), 콘텐츠 저작시스템(200),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00), 사용자 학습관리 시스템(400), 콘텐츠 저작자 단말기(500), 교사 단말기(600) 및 학생 단말기(70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저작자 단말기(500)는 콘텐츠 저작자의 키 조작에 따라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콘텐츠 저작자가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도록 서버(100)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저작시스템(200)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콘텐츠 저작자는 상기 콘텐츠 저작 시스템(200)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저작하고, 저작된 콘텐츠는 서버(100)에 전송된 후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다.
상기 단말기(500)는, 콘텐츠 저작자가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도록, 콘텐츠 저작 시스템의 내용을 시각과 청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장치,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저작자가 콘텐츠 저작 시스템을 이용하여 그 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 패널,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500)로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톱 컴퓨터(desk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디지털 TV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500)는 각각 서로 다른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서버(100)의 운영체제와 호환이 되지 않는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단말기(500)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기(500)에서는 상기 서버(100)가 전송하는 콘텐츠 저작시스템(200)이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콘텐츠 저작시스템(200)은 미들웨어(23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콘텐츠 저작시스템이 각각의 운영체제와 호환성을 가질 수 있도록 변환할 수 있으며, 상기 변환된 콘텐츠 저작시스템을 상기 단말기(5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500)에는 유일한 킷값이 할당되며, 상기 킷값을 통하여 저작자가 저작한 콘텐츠의 복제방지가 가능하고, 콘텐츠를 유료로 배포할 수 있으며, 여러 명의 저작자가 그룹을 설정하여 킷값을 공유하여 콘텐츠를 동시에 저작할 수 있어 많은 양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저작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저작자 단말기(500)는 2개 이상일 수 있으며, 여러 명의 저작자가 동시에 콘텐츠를 저작하고 수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저작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콘텐츠 저작시스템은 문제형 저작장치(210), 암기형 저작장치(220), 동영상형 저작장치(230), 북형 저작장치(240), 첨삭형 저작장치(250), 통합형 저작장치(260), 학습데이터 수집장치(270) 및 미들웨어(28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저작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제어부, 통신부, 입력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고, 일실시예로 도 2b를 참조하면, 문제형 저작장치(210)는 문제형 디스플레이부(211), 문제형 제어부(212), 문제형 통신부(213) 및 문제형 입력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문제형 저작장치(210)는, 문제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콘텐츠 저작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되는 문제의 유형이나 상기 문제에 삽입되는 멀티미디어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문제형 저작장치(210)는 문제 생성을 위한 제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콘텐츠 저작자로부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문제의 유형 및 상기 문제에 포함되는 속성요소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상기 문제형 저작장치(210)는 상기 입력에 따라 문제형 콘텐츠를 생성한다.
상기 문제형 저작장치(210)는, 상기 문제 생성을 위한 제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문제형 디스플레이부(2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문제의 유형 및 상기 문제에 포함되는 속성요소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문제형 입력부(214)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문제형 제어부(212)의 구성을 더 포함하여, 상기 문제형 디스플레이부(211)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문제형 입력부(214)에서 입력된 문제의 유형 및 속성요소에 따라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문제형 디스플레이부(211)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저작자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문제가 생성되면, 생성된 문제를 상기 문제형 디스플레이부(211)를 통하여 나타낼 수 있다.
문제형 입력부(214)는, 상기 문제출제 디스플레이부(211)에 표시된 문제의 유형요소, 속성요소 및 액션요소에 대한 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 저작자는 상기 문제형 입력부(214)를 이용하여 상기 유형요소, 속성요소 및 액션요소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문제형 제어부(212)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문제형 제어부(212)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문제형 입력부(211)는, 상기 문제형 저작장치(210)에 상기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활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키보드나 마우스 또는 터치 패널 등일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문제형 입력부(214)는 상기 문제의 유형요소, 속성요소 및 액션요소에 대한 선택 이외에도 상기 문제형 저작장치(2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3a를 참고하면, 문제형 디스플레이부(211)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면서, 유형선택영역(a), 속성선택영역(b), 액션선택영역(c) 및 문제작성영역(d)을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유형선택영역(a)은 문제의 형식을 결정하는 유형요소들을 나타내는 영역으로서, 답안제출방식에 따른 답안제출유형요소, 문제의 형식에 따른 지문유형요소 및 문제에 대한 부가정보 유형요소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답안제출유형요소에는, 객관식, 주관식, 말하기, 단답형, 다답형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출제자는 상기 답안제출유형요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문제의 유형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관식과 다답형이 동시에 선택되어 여러 개의 예문 중에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도록 하는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주관식, 말하기, 단답형을 동시에 선택하는 등 출제자의 출제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이 가능하다. 지문유형요소로는 지시문, 본문, 예문, 해설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문제에 삽입되는 지문의 종류 및 개수를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속성선택영역(b)은, 상기 문제에 삽입될 수 있는 속성요소를 나타내는 영역으로서, 상기 속성요소에는 텍스트, 사진, 동영상, 오디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액션선택영역(c)은, 생성된 문제가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을 설정하는 액션요소를 나타내는 영역으로서, 상기 문제는 전자기기인 단말기에 제공되므로 상기 액션요소를 추가하여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문제작성영역(d)은, 상기 유형선택영역(a) 및 속성선택영역(b)에서 선택한 유형요소 및 속성요소에 따라 설정되는 문제의 포맷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문제의 포맷에는 상기 속성요소가 배치되는 속성요소 배치영역, 문제의 지문이 배치되는 텍스트 배치영역 및 문제에 대한 부가정보가 표시되는 부가정보 배치영역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배치영역에는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출제자는 상기 문제작성영역에서 설정된 문제의 포맷에 따라, 상기 속성요소 배치영역에 포함할 구체적인 속성요소, 예를 들어 동영상 파일이나 이미지 파일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텍스트 배치영역 내부에 지시문이나 예문 등의 텍스트를 문제형 입력부(214) 등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부가정보 배치영역에 대하여, 배점이나 난이도와 같은 부가정보를 상기 문제형 입력부(214) 등을 통하여 텍스트로 입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암기형 저작장치(220)를 설명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문제형 저작창지와 마찬가지로, 암기형 저작장치(220)는 암기형 디스플레이부, 암기형 입력부 및 암기형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암기형 디스플레이부는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별되는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제시화면영역(e), 데이터 유형영역(f), 데이터 리스트 영역(g) 및 데이터 입력 영역(h)을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시화면영역(e)은 콘텐츠 이용자가 콘텐츠 학습시 사용하는 실행화면 창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는 영역으로 1개 또는 2개를 선택할 수 있다. 데이터 유형영역(f)은 콘텐츠에 삽입될 수 있는 속성요소를 나타내는 영역으로서, 상기 속성요소에는 텍스트, 블라인드 텍스트, 사진, 동영상, 오디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블라인드 텍스트는 텍스트의 일부를 가린 상태로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블라인드 텍스트를 활용하면 학습자는 학습내용에 대한 암기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속"이라는 뜻의 영단어 "appointment"에 대하여 "ap○○○○○○○t"의 형식으로 제시하여, 학습자가 "appointment"의 영단어를 암기하는지를 평가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영역에는 영어 단어나, 한자, 성경 구절 등이 입력될 수 있다.
데이터 리스트 영역(g)은 콘텐츠로 학습하는 학습자료를 나타낼 수 있으며, 저작자는 데이터 리스트 영역(g)에서 추가할 학습자료를 선택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 영역(h)은 상기 선택한 실행화면 개수, 속성요소 및 학습자료에 따라 생산되는 콘텐츠의 포맷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선택한 실행화면 개수, 속성요소 및 학습자료에 따라 달리 생성되는 콘텐츠의 포맷이 데이터 입력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암기형 입력부는, 상기 암기형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실행화면창의 개수, 속성요소의 종류 및 학습자료에 대한 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 저작자는 상기 암기형 입력부를 이용하여 상기 실행화면창의 개수, 속성요소의 종류 및 학습자료를 선택할 수 있으며, 암기형 입력부는 상기 선택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암기형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으며, 암기형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암기형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암기형 입력부는 상기 암기형 저작장치에 상기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활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키보드나 마우스 또는 터치 패널 등일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암기형 입력부는 상기 암기형 저작도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저작자의 입력을 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동영상형 저작장치(230)를 설명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문제형 저작창지와 마찬가지로, 동영상형 저작장치(230)는 동영상형 디스플레이부, 동영상형 입력부 및 동영상형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c를 참조하면, 동영상형 디스플레이부는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별되는 제3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입력영역(i), 재생 조절영역(k), 구간 반복 설정영역(j) 및 상기 설정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영역(l)을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입력영역(i)은 콘텐츠에 삽입될 수 있는 속성요소를 나타내는 영역으로서, 상기 속성요소에는 동영상, 오디오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동영상 또는 오디오 파일은 AVI, WMV, MP4, FLX, ASF, MKV, FLI, FLC 등의 다양한 파일로 업로드가 가능하며, 유튜브 또는 비메에 업로드 되어 있는 동영상에 대하여 링크하는 형식으로도 가능하다.
재생 조절 영역(k)은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을 재생, 정지 및 처음으로 돌아가기 등의 기능을 표시할 수 있으며, 구간 반복 설정영역(j)는 콘텐츠 이용자가 원하는 구간을 설정하여 그 구간만을 반복하여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영역이다.
멀티미디어 재생영역(l)은 상기 속성요소 및 구간 반복 설정 등에 따라 생산되는 콘텐츠의 포맷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선택한 속성요소 및 구간 반복 기능에 따라 달리 생성되는 콘텐츠의 포맷이 멀티미디어 재생영역(l)에 표시될 수 있다.
동영상형 입력부는, 상기 동영상형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텍스트, 동영상, 오디오 등과 상기 텍스트, 동영상, 오디오 등의 속성요소 및 구간 반복에 대한 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 저작자는 상기 동영상형 입력부를 이용하여 상기 실행화면창의 속성요소의 종류 및 텍스트, 동영상, 오디오 등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동영상형 입력부는 상기 선택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동영상형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으며, 동영상형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동영상형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형 입력부는 상기 동영상형 저작장치에 상기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활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키보드나 마우스 또는 터치 패널 등일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동영상형 입력부는 상기 동영상형 저작도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저작자의 입력을 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북형 저작장치(240)를 설명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문제형 저작창지와 마찬가지로, 북형 저작장치(240)는 북형 디스플레이부, 북형 입력부 및 북형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d를 참조하면, 북형 디스플레이부는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별되는 제4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인터페이스에는 멀티미디어 입력영역(m), 재생 속도 조절영역(n), 재생 조절영역(o) 및 멀티미디어 재생영역(p)을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입력영역(m)은 콘텐츠에 삽입될 수 있는 속성요소를 나타내는 영역으로서, 상기 속성요소에는 북형 콘텐츠가 제공하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의 포함될 수 있다.
재생속도 조절영역(n)은 콘텐츠에 삽입된 멀티미디어의 재생 속도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내는 영역이며, 재생 조절영역(o)은 콘텐츠에 포함된 멀티미디어를 재생, 정지, 뒤로가기, 처음으로 돌아가기 등의 기능을 표시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영역(p)은 상기 속성요소 및 재생속도, 재생 기능 등에 따라 생산되는 콘텐츠의 포맷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선택한 속성요소 및 재생속도, 재생 기능 등에 따라 달리 생성되는 콘텐츠의 포맷이 멀티미디어 재생영역(p)에 표시될 수 있다.
북형 입력부는, 상기 북형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의 속성요소, 재생방법, 재생속도 및 재생 설정에 대한 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 저작자는 상기 북형 입력부를 이용하여 상기 실행화면창의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북형 입력부는 상기 선택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북형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으며, 북형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북형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북형 입력부는 상기 북형 저작장치에 상기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활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키보드나 마우스 또는 터치 패널 등일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북형 입력부는 상기 북형 저작도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저작자의 입력을 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첨삭형 저작장치(250)를 설명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문제형 저작창지와 마찬가지로, 첨삭형 저작장치(250)는 첨삭형 디스플레이부, 첨삭형 입력부 및 첨삭형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e를 참조하면, 첨삭형 디스플레이부는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별되는 제5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제5 인터페이스에는 멀티미디어 입력영역(q), 학습도구영역(r), 멀티미디어 표시영역(s)을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입력영역(q)은 콘텐츠에 삽입될 수 있는 속성요소를 나타내는 영역으로서, 상기 속성요소에는 첨삭형 콘텐츠가 제공하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학습도구영역(r)은 학습자가 답안작성에 필요한 도구를 선택할 수 있는 영역으로 텍스트입력, 그리기입력, 그리기 입력 도형의 모양, 모두 지우기, 제출 등의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멀티미디어 표시영역(s)에는 상기 속성요소 및 학습도구 등에 따라 생산되는 콘텐츠의 포맷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선택한 속성요소 및 학습도구 등에 따라 달리 생성되는 콘텐츠의 포맷이 멀티미디어 표시영역(s)이 표시될 수 있다.
첨삭형 입력부는, 상기 첨삭형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텍스트, 동영상, 오디오 등의 속성요소 및 학습자가 답안작성에 필요한 학습도구에 대한 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 저작자는 상기 첨삭형 입력부를 이용하여 상기 속성요소의 종류 및 학습도구를 입력할 수 있으며, 첨삭형 입력부는 상기 선택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첨삭형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으며, 첨삭형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첨삭형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첨삭형 입력부는 상기 첨삭형 저작장치에 상기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활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키보드나 마우스 또는 터치 패널 등일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첨삭형 입력부는 상기 첨삭형 저작도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저작자의 입력을 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형 저작장치(260)를 설명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문제형 저작장치와 마찬가지로, 통합형 저작장치(260)는 통합형 디스플레이부, 통합형 입력부 및 통합형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f를 참조하면, 통합형 디스플레이부는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별되는 제6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콘텐츠 선택영역(t)을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선택영역(t)에는 문제형 저작장치(210), 암기형 저작장치(220), 동영상형 저작장치(230), 북형 저작장치(240), 첨삭형 저작장치(250)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도록 실행화면창을 표시한다. 저작자가 원하는 저작장치를 선택하면 새로운 실행화면이 형성되면서, 각각의 저작장치에 의하여 저작된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통합형 입력부는, 상기 통합형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콘텐츠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 저작자는 상기 통합형 입력부를 상기의 저작장치를 이용하여 저작된 콘텐츠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통합형 입력부는 상기 선택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통합형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으며, 통합형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추출하여 통합형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통합형 입력부는 상기 통합형 저작장치에 상기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활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키보드나 마우스 또는 터치 패널 등일 수 있다 추가로, 상기 통합 입력부는 상기 첨삭형 저작도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저작자의 입력을 받는 것도 가능하다.
콘텐츠 저작시스템은 학습데이터 수집장치(270)를 포함하며, 콘텐츠 저작자는 저작장치를 이용하여 저작된 콘텐츠에 학습데이터 수집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데이터 수집장치(270)는 콘텐츠 사용자의 학습데이터를 역할에 따라서 자동으로 수집하고 이를 가공하여 저장한다. 학습데이터 수집장치(270)는 시간데이터 수집장치(271), 포인트데이터 수집장치(272), 유형데이터 수집장치(273), 힌트데이터 수집장치(274) 및 학습 데이터베이스(275)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데이터 수집장치(271)는 콘텐츠 이용자가 콘텐츠를 학습할 때 실시간으로 학습시간데이터를 수집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시간데이터 수집부(271)는 제어부, 통신부 및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데이터 제어부는 설정에 의하여 0.1초에서 10초까지 시간데이터 수집주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콘텐츠 이용자가 콘텐츠를 이용하기 시작하면 자동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며 이용을 종료하는 경우 자동으로 데이터 수집을 중지하며, 실제 학습이 이루어진 시간을 측정한다. 시간데이터 제어부는 마우스 커서의 이동속도가 0으로 일정시간(예를 들어 10초)이상 지속되는 경우 자동으로 학생 단말기(700) 화면에 이미지, 동영상 등(이하, 이벤트)을 나타낸다. 학생이 학생 단말기(700) 화면에 나타난 이벤트에 반응하는 경우, 시간데이터 제어부는 계속 학습 시간데이터를 수집하고, 설정 값(예를 들어 30초) 이상 반응하지 않는 경우, 시간데이터 제어부는 즉시 시간데이터 수집을 중지하고, 실제 학습이 이루어진 시간만을 측정한다. 자칫 상기 이벤트에 의해 콘텐츠 이용이 방해되어 집중력을 저해시킬 수 있으므로 학생은 이벤트 설정주기와 이벤트 반응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를 위하여 포인트데이터 수집장치는 포인트데이터 통신부를 통하여 시간데이터 제어부로 포인트데이터 제어부에 의하여 수집된 포인트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시간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시간데이터 제어부에 의하여 측정된 시간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는 예를 들어, 램(RAM,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하드디스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저장장치일 수 있다. 시간데이터 제어부에 의해 수집된 시간데이터는 시간데이터 저장부에서 임시 저장되며 콘텐츠 이용이 종료되거나 비정상적인 종료가 발생한 경우 수집된 데이터는 학습 데이터베이스(275)에 전송하고 소멸된다.
시간데이터 통신부는 시간데이터 제어부에 의하여 측정된 시간데이터를 시간데이터 저장부에 전송하거나, 시간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시간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베이스(275)에 전송할 수 있다. 시간데이터 통신부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어댑터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다.
포인트데이터 수집장치(272)의 목적은 콘텐츠 이용에 대한 성실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즉 선택한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얼마나 많이 마우스를 클릭하고 마우스를 이동하였는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포인트데이터 수집부(272)는 제어부, 통신부 및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포인트데이터 제어부는 학생 단말기(700) 화면을 콘텐츠 영역과 콘텐츠화면 이외의 윈도우영역 및 듀얼모니터 영역으로 구분하고, 마우스 커서가 어느 영역에 위치하는지, 마우스 커서의 이동속도 및 이동경로를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이는 콘텐츠에 대한 집중력과 콘텐츠 이용에 대한 인지%등에 대한 기초자료로 수집된다. 또한, 마우스 클릭 수와 마우스 커서의 위치별 분포도를 산출하여 콘텐츠 이용자가 어디에 집중하고 있는지 수집할 수 있다. 또한, 포인트데이터 제어부는 콘텐츠 영역 이외에 다른 화면 영역에 대해서 윈도우API 등을 통해 일시적인 마우스 작동금지나 마우스 커서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화면이 시작되면 특정 윈도우 프로그램의 구동을 차단할 수 있어서 콘텐츠 이용에 방해되는 프로그램의 구동을 차단시킬 수 있다.
포인트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포인트데이터 제어부에 의하여 측정된 포인트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포인트데이터 저장부는 예를 들어, 램(RAM,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하드디스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저장장치일 수 있다. 포인트데이터 제어부에 의해 수집된 포인트데이터는 포인트데이터 저장부에서 임시 저장되며 콘텐츠 이용이 종료되거나 비정상적인 종료가 발생한 경우 수집된 데이터는 학습 데이터베이스(275)에 전송하고 소멸된다.
포인트데이터 통신부는 포인트데이터 제어부에 의하여 측정된 포인트데이터를 포인트데이터 저장부에 전송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된 포인트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베이스(275)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어댑터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다.
유형데이터 수집장치(273)는 콘텐츠의 유형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는 장치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유형데이터 수집부(273)는 제어부, 통신부 및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형데이터 제어부는 각각의 콘텐츠 유형에 대하여 학습 데이터베이스(275)에 저장되어 있는 시간데이터 및 포인트데이터 값을 구분하여 추출한 후 콘텐츠 유형별로 유형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각각의 데이터 수집장치에 의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직접 전송받을 수도 있다. 유형데이터 제어부는 시간데이터 및 포인트데이터를 그래프로 표시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용자에 따라서 특정 콘텐츠 유형을 잘 이용하거나 못하는 경우가 있다. 유형데이터 수집장치(273)는 이용자가 어떠한 유형의 콘텐츠를 자주 이용하고 집중력 있게 지속적으로 이용하는지 시간데이터 수집장치(271) 및 포인트데이터 수집장치(272)에 의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콘텐츠 유형별로 정리 분석하여, 콘텐츠 이용자에게 부족한 유형을 반복학습 또는 집중학습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콘텐츠 유형별 총이용시간을 수집하여 다른 그룹사용자와의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에게 부족한 부분을 스스로 찾아볼 수 있다.
유형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유형데이터 제어부에 의하여 수집된 유형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유형데이터 저장부는 예를 들어, 램(RAM,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하드디스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저장장치일 수 있다. 유형데이터 제어부에 의해 수집된 유형데이터는 유형데이터 저장부에서 임시 저장되며 콘텐츠 이용이 종료되거나 비정상적인 종료가 발생한 경우 수집된 데이터는 학습 데이터베이스(275)에 전송하고 소멸된다.
유형데이터 통신부는 학습 데이터베이스(275)에 저장된 시간데이터 및 포인트 데이터를 유형데이터 제어부에 전송하거나, 상기 유형데이터 제어부에 의하여 수집된 유형데이터를 유형데이터 저장부에 전송하거나, 유형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유형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베이스(275)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어댑터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다.
힌트데이터 수집장치(274)는 문제해결 능력을 도와주기 위한 힌트제공 및 처리과정을 수집하고 힌트에 대한 반응 및 정답률을 통해 사용자의 스스로 해결능력을 키워주기 위한 티칭데이터를 수집 정리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힌트데이터 수집장치(274)는 제어부, 통신부 및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힌트데이터 제어부는 학생이 학생 단말기(700)에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힌트를 요청하거나, 시간데이터 수집장치에 의하여 시간데이터 수집이 중지될 경우, 힌트데이터 통신부를 통하여 힌트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에 관련된 해설, 힌트, 답안을 학생 단말기(7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은 학생 단말기(700)에 표시된 버튼을 누르거나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답안 분포를 요청할 수 있다. 힌트데이터 제어부는 학생의 힌트요청 수준에 따라서 풀이과정, 정답 등을 보여주게 되며 음성인식과 TTS를 통한 질문과 답변을 할 수 있다. 또한, 힌트데이터 제어부는 콘텐츠 유형별로 힌트 요청의 횟수를 측정하여 수집한다.
힌트데이터 저장부는 콘텐츠에 대한 정답, 해설, 힌트, 답안, 동일집단의 평균응답 내용, 응답 시간 및 콘텐츠 유형별 힌트 요청횟수 등에 대한 자료를 저장할 수 있다. 힌트데이터 저장부는 예를 들어, 램(RAM,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하드디스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저장장치일 수 있다. 힌트데이터 제어부에 의해 수집된 힌트데이터는 힌트데이터 저장부에서 임시 저장되며 콘텐츠 이용이 종료되거나 비정상적인 종료가 발생한 경우 수집된 데이터는 학습 데이터베이스(275)에 전송하고 소멸된다.
힌트데이터 통신부는 학생 단말기(700)로부터 힌트 요청을 수신하고,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답, 해설, 힌트, 답안 등을 학생 단말기(7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힌트데이터 제어부에서 수집된 콘텐츠 유형별 힌트 요청횟수를 힌트데이터 저장부 또는 학습 데이터 베이스(275)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어댑터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다.
학습 데이터베이스(275)는 상기 4가지 데이터 수집부에 의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콘텐츠 이용자의 학습노트로 저장한다. 또한, 동일 콘텐츠에 대한 다른 그룹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함께 저장한다. 학습 데이터베이스(275)은 레포팅 형태로 출력이나 보고용으로 사용되며, 콘텐츠 이용자는 언제든지 열람할 수 있다. 또한, 통합된 보고서를 통해 교사는 쉽게 학생 이용자의 학습패턴과 학습성취도 등을 분석과 지도를 할 수 있게 된다. 학습 데이터베이스(275)은 콘텐츠 이용이 완료된 후 메모리 상태의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저장하며 레포팅을 제출하거나 공유할 수 있다. 학습 데이터베이스(275)를 통해 상위 10%, 20% 등의 특정구간의 학습패턴을 분석할 수 있으며 콘텐츠에 대한 흥미도 평가에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를 통해 콘텐츠 이용자의 학습에 대하여 면밀한 분석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콘텐츠 이용자의 올바른 학습습관을 지도할 수 있으며, 진도나 문제풀이 점수로만 평가되는 현행 학습 성적을 탈피하여 학습태도 즉,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나 학습 지구력 등을 판단할 수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적은 낮지만 학습자는 문제해결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고민하고 있다는 판단을 통해 학습에 대한 태도를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는 학습자의 학습패턴을 분석하여 통계적으로 나타내어 주고 학습자에게 진단 결과를 알려준다. 또한, 상위그룹이나 특정그룹의 학습패턴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학습 코스를 선택할 수 있고, 콘텐츠 저작자는 사용자의 학습 패턴을 분석하여 콘텐츠의 질적 수준을 점검할 수 있고, 학습자에게 유용한 양질의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다.
상기 저작장치에 의하여 저작된 콘텐츠는 미들웨어(280)를 통해 보안처리가 된 후 서버(100)를 통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다. 또한, 미들웨어는 보안기능뿐만 아니라, PC, 모바일(안드로이드, ios), TV 등 N스크린 기반 콘텐츠 활용을 위해 데이터를 XML과 JSON으로 송출하여 저작된 콘텐츠를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학습관리 시스템(4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 학습관리 시스템(400)은 학습이력 관리장치(410), 시스템 제어부(420), 학습콘텐츠 데이터베이스(430) 및 학습 데이터베이스(4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교사는 교사 단말기(600)로 사용자 학습관리 시스템(400)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학습관리 시스템(400)은 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서버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교사 단말기(600) 또는 학생 단말기(70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교사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고, 필요한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콘텐츠는 학습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되며 학생은 학생 단말기(700)로 사용자 학습 관리 시스템(400)에 접속하여 학습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스템 제어부(420)는 학생이 학습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자격요건 또는 학생의 학습 수준에 따라 알맞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학습이력 관리장치(410)는 학생의 학습이력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 학생이 콘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콘텐츠를 학습하는 날짜, 콘텐츠의 종류, 학습시간, 진도율, 학습횟수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학습이력 데이터베이스(440)에 저장한다. 이때, 시스템 제어부(420)는 상기 수집된 정보를 학생정보에 따라 학습이력 데이터베이스(440)에 전송하고, 학습이력 데이터베이스(440)은 상기 정보를 저장한다.
학습이력 데이터베이스(440)에는 학생 또는 교사의 회원정보 및 학생의 학습이력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학습이력 데이터베이스는, 회원정보 테이블, 학습 콘텐츠 테이블, 학습정보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작성된 학생의 학습이력 데이터베이스의 일예이다.
학생 회원정보는 정해진 교사를 기준으로 회원정보 테이블에 저장되고, 회원가입자는 교사의 승인에 의하여 학생회원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학생은 정해진 교사에 소속되어 있으며, 각각의 학생에 대한 정보는 회원정보 테이블에 개인의 기본 정보 즉, 아이디, 패스워드, 이름, 이메일, 생년월인, 성별 등이 저장된다.
교사 회원정보 또한, 교사 개인의 기본 정보 즉, 아이디, 패스워드, 이름, 이메일, 생년월인, 성별, 가입일, 가입경로, 회원유형 등이 저장된다.
학습 콘텐츠 테이블에는 개인적으로 구입하거나 도는 선생님이 배포한 학습 콘텐츠 리스트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콘텐츠 등록일, 콘텐츠 이용기간 만료일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학습정보 테이블에는 학생이 학습 콘텐츠 테이블에 저장된 콘텐츠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학습일, 교재명, 학습 콘텐츠, 학습시간, 학습성취율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교사는 교사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 학습관리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 교사에 소속되는 학생 리스트가 보여지고, 각 학생에 대하여 승인대기중인 학생을 학생회원으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학생회원으로 승인된 학생은 교사가 배포하는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으며, 교사는 학생의 회원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또한, 교사는 자기의 학생의 학습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각각의 학생의 학습성취율에 맞는 콘텐츠를 배포할 수 있으며, 학습 스케쥴을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서버 272: 포인트데이터 수집장치
200: 콘텐츠저작시스템 273: 유형데이터 수집장치
210: 문제형 저작장치 274: 힌트데이터 수집장치
211: 문제형 디스플레이부 275: 학습데이터베이스
212: 문제형 제어부 280: 미들웨어
213: 문제형 통신부 300: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214: 문제형 입력부 400: 사용자 학습관리시스템
220: 암기형 저작장치 410: 학습이력 관리장치
230: 동영상형 저작장치 420: 시스템 제어부
240: 북형 저작장치 430: 학습콘텐츠 데이터베이스
250: 첨삭형 저작장치 440: 학습이력 데이터베이스
260: 통합형 저작장치 500: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
270: 학습데이터 수집장치 600: 교사단말기
271: 시간데이터 수집장치 700: 학생 단말기

Claims (14)

  1. 저작자가 콘텐츠를 저작하는데 필요한 저작 도구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작장치, 콘텐츠 이용자의 학습데이터를 수집하기위한 시간데이터 수집장치, 포인트데이터 수집장치, 유형데이터 수집장치, 힌트데이터 수집장치 및 학습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학습데이터 수집장치 및 미들웨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저작시스템;
    상기 콘텐츠 저작시스템에 의하여 저작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상기 콘텐츠를 이용하는 학생들의 학습이력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학습이력 관리장치, 상기 수집된 정보를 학생 정보에 맞게 학습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시스템 제어부, 상기 학습이력을 저장하는 학습이력 데이터베이스 및 선생이 배포하거나 학생이 선택한 콘텐츠를 저장하는 학습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학습관리 시스템; 및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저작시스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학습관리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콘텐츠 저작에 필요한 콘텐츠 저작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 의하여 저작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를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으로서,
    상기 포인트데이터 수집장치는 학생 단말기 화면상에서 마우스 커서의 위치, 이동속도 및 이동경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포인트데이터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측정된 포인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포인트데이터 저장부, 상기 포인트데이터 제어부에 의하여 측정된 포인트데이터를 포인트데이터 저장부 또는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포인트데이터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형데이터 수집장치는 각각의 콘텐츠 유형에 대하여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시간데이터 및 포인트 데이터 값을 추출한 후 콘텐츠 유형별로 유형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유형데이터 제어부, 상기 유형데이터 제어부에 의하여 수집된 유형데이터를 저장하는 유형데이터 저장부,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간데이터 및 포인트데이터를 유형데이터 제어부에 전송하거나, 유형데이터 제어부에 의하여 수집된 유형데이터를 유형데이터 저장부 또는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유형데이터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시간데이터 수집장치는 콘텐츠를 이용하기 시작하면 자동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용을 종료하는 경우 데이터 수집을 종료하는 시간데이터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측정된 시간데이터를 저장하는 시간데이터 저장부;
    상기 시간데이터 제어부에 의하여 측정된 시간데이터를 시간데이터 저장부 또는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시간데이터 통신부;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힌트데이터 수집장치는 학생이 학생 단말기에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힌트를 요청하거나, 시간데이터 수집장치에 의하여 시간데이터 수집이 중지될 경우, 힌트데이터 통신부를 통하여 힌트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에 관련된 해설, 힌트, 답안을 학생 단말기에 전송하는 힌트데이터 제어부;
    콘텐츠에 대한 정답, 해설, 힌트, 답안, 동일집단의 평균응답 내용, 응답 시간 및 콘텐츠 유형별 힌트 요청횟수에 대한 자료를 저장하는 힌트데이터 저장부;
    학생 단말기로부터 힌트 요청을 수신하고,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답, 해설, 힌트, 답안을 학생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힌트데이터 제어부에서 수집된 힌트요청횟수를 힌트데이터 저장부 또는 학습 데이터 베이스에 전송하는 힌트데이터 통신부;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학습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시간데이터 수집장치, 포인트데이터 수집장치, 유형데이터 수집장치 및 힌트데이터 수집장치에 의하여 수집된 학습 데이터를 콘텐츠 이용자의 학습노트로 저장하는 것인,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저작 장치는 문제형 저작장치, 암기형 저작장치, 동영상형 저작장치, 북형 저작장치, 첨삭형 저작장치 및 통합형 저작장치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형 저작장치는 문제의 형식을 결정하는 유형요소를 나타내는 유형선택영역, 상기 문제에 삽입되는 속성요소를 나타내는 속성선택영역, 생성된 문제의 표시형식을 결정하는 액션요소를 나타내는 액션선택영역 및 상기 문제의 유형요소와 속성요소에 따라 생성되는 문제의 포맷을 나타내는 문제작성영역을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문제형 디스플레이부;
    상기 문제형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문제의 유형요소, 속성요소 및 액션요소에 대한 선택을 입력하는 문제형 입력부; 및
    상기 제1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문제형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문제의 유형요소, 속성요소 및 액션요소를 이용하여 문제를 생성하는 문제형 제어부;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암기형 저작장치는 콘텐츠 이용시 사용하는 실행화면창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시화면영역, 실행화면창에 삽입하는 속성요소의 종류를 나타태는 데이터 유형영역, 학습자료를 나타내는 데이터 리스트 영역, 상기 실행화면창의 개수, 속성요소 및 학습자료에 따라 생산되는 콘텐츠의 포맷을 나타낼 수 있는 데이터 입력영역을 포함하는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암기형 디스플레이부;
    상기 암기형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실행화면창의 개수, 속성요소의 종류 및 학습자료에 대한 선택을 입력하는 암기형 입력부;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암기형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실행화면창의 개수, 속성요소의 종류 및 학습자료에 대한 선택에 따라 콘텐츠를 생성하는 암기형 제어부;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형 저작장치는 멀티미디어를 표시하고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입력영역, 상기 멀티미디어의 재생, 정지 및 처음으로 돌아가기 기능을 입력할 수 있는 재생 조절영역, 콘텐츠 이용자가 원하는 구간을 설정하여 반복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설정하는 구간 반복 설정영역 및 상기 입력된 멀티미디어 및 설정에 따라 생산되는 콘텐츠의 포맷을 나타낼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재생영역을 포함하는 제3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영상형 디스플레이부;
    상기 동영상형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멀티미디어 및 상기 멀티미디어의 재생방법 및 구간반복에 대한 선택을 입력하는 동영상형 입력부; 및
    상기 제3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동영상형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멀티미디어 및 재생방법 및 구간 반복에 대한 선택에 따라 콘텐츠를 생성하는 동영상형 제어부;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북형 저작장치는 멀티미디어를 표시하고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입력영역, 상기 멀티미디어의 재생 속도를 설정할 수 있는 재생속도 조절영역, 상기 멀티미디어의 재생기능을 표시할 수 있는 재생 조절영역 및 상기 입력된 멀티미디어, 재생 속도, 기능 설정에 따라 생산되는 콘텐츠의 포맷을 나타낼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재생영역을 포함하는 제4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북형 디스플레이부;
    상기 북형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멀티미디어, 상기 멀티미디어의 재생속도 및 재생기능에 대한 선택을 입력하는 북형 입력부; 및
    상기 제4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북형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멀티미디어, 재생속도 및 재생기능에 대한 선택에 따라 콘텐츠를 생성하는 북형 제어부;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첨삭형 저작장치는 멀티미디어를 표시하고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입력영역, 학습자가 답안작성에 필요한 도구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는 학습도구영역 및 상기 입력된 멀티미디어 및 학습 도구설정에 따라 생산되는 콘텐츠의 포맷을 나타낼 수 있는 멀티미디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5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첨삭형 디스플레이부;
    상기 첨삭형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멀티미디어 및 학습자가 답안작성에 필요한 도구에 대한 선택을 입력하는 첨삭형 입력부; 및
    상기 제5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첨삭형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멀티미디어 및 답안작성에 필요한 도구에 대한 선택에 따라 콘텐츠를 생성하는 첨삭형 제어부;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저작장치는 문제형 저작장치, 암기형 저작장치, 동영상형 저작장치, 북형 저작장치, 첨삭형 저작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는 콘텐츠 선택영역을 포함하는 제6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첨삭형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개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통합형 입력부; 및
    상기 제6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통합형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콘텐츠를 생성하는 통합형 제어부;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
  14. 제 7항에 있어서,
    미들웨어는 상기 저작장치에 의하여 저작된 콘텐츠를 서로 다른 운영체제와 호환 가능한 XML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
KR1020170081460A 2017-06-27 2017-06-27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 KR101899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460A KR101899038B1 (ko) 2017-06-27 2017-06-27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460A KR101899038B1 (ko) 2017-06-27 2017-06-27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038B1 true KR101899038B1 (ko) 2018-09-14

Family

ID=6359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460A KR101899038B1 (ko) 2017-06-27 2017-06-27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03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844B1 (ko) * 2019-01-31 2019-12-05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에듀 학습 분석 방법 및 시스템
CN111540244A (zh) * 2020-05-11 2020-08-14 镇江纵陌阡横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分析的多端线上授课系统
KR20210015397A (ko) 2019-08-02 2021-02-10 챌린고 주식회사 소규모 창작 콘텐츠의 통합 제공 방법
KR20210131052A (ko) 2020-04-23 2021-11-02 김형규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한 온라인 강의 양방향 실시간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47173B1 (ko) * 2021-06-02 2022-01-03 재단법인 사랑글로벌아카데미 맞춤형 복음 콘텐츠 생성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맞춤형 복음 콘텐츠 공유 방법
KR102377282B1 (ko) * 2020-09-18 2022-03-22 주식회사 유비온 온라인 수업 저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440155B1 (ko) 2022-02-09 2022-09-05 주식회사 랭버스 지식거래가 가능한 개방형 온라인 학습 시스템
KR102553818B1 (ko) * 2023-03-13 2023-07-10 페이스튼국제학원 주식회사 교육 학습도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자녀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15402B1 (ko) * 2022-08-08 2023-12-19 주식회사 케이유이에스비 교육 컨텐츠 제공 네트워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201A (ko) * 2003-08-14 2005-02-23 차응식 상대적 학습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15556A (ko) 2007-08-09 2009-02-12 주식회사 웰던컴 인터넷을 이용한 동영상 강좌 상호 연동 학습 서비스 방법및 그 시스템
KR20100059529A (ko) * 2008-11-26 2010-06-04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마우스 회전에 따른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44520A (ko) * 2010-10-28 2012-05-08 김종원 사용자 학습 내용 정보 기반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KR20130082728A (ko) 2011-12-15 2013-07-22 메가스터디(주)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17810A (ko) * 2012-08-01 2014-02-12 주식회사 앰플소프트 온라인 학습장치 및 온라인 학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201A (ko) * 2003-08-14 2005-02-23 차응식 상대적 학습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15556A (ko) 2007-08-09 2009-02-12 주식회사 웰던컴 인터넷을 이용한 동영상 강좌 상호 연동 학습 서비스 방법및 그 시스템
KR20100059529A (ko) * 2008-11-26 2010-06-04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마우스 회전에 따른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44520A (ko) * 2010-10-28 2012-05-08 김종원 사용자 학습 내용 정보 기반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KR20130082728A (ko) 2011-12-15 2013-07-22 메가스터디(주)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17810A (ko) * 2012-08-01 2014-02-12 주식회사 앰플소프트 온라인 학습장치 및 온라인 학습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844B1 (ko) * 2019-01-31 2019-12-05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에듀 학습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15397A (ko) 2019-08-02 2021-02-10 챌린고 주식회사 소규모 창작 콘텐츠의 통합 제공 방법
KR20210131052A (ko) 2020-04-23 2021-11-02 김형규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한 온라인 강의 양방향 실시간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1540244A (zh) * 2020-05-11 2020-08-14 镇江纵陌阡横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分析的多端线上授课系统
KR102377282B1 (ko) * 2020-09-18 2022-03-22 주식회사 유비온 온라인 수업 저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347173B1 (ko) * 2021-06-02 2022-01-03 재단법인 사랑글로벌아카데미 맞춤형 복음 콘텐츠 생성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맞춤형 복음 콘텐츠 공유 방법
KR102440155B1 (ko) 2022-02-09 2022-09-05 주식회사 랭버스 지식거래가 가능한 개방형 온라인 학습 시스템
KR102615402B1 (ko) * 2022-08-08 2023-12-19 주식회사 케이유이에스비 교육 컨텐츠 제공 네트워크 시스템
KR102553818B1 (ko) * 2023-03-13 2023-07-10 페이스튼국제학원 주식회사 교육 학습도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자녀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038B1 (ko)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
Dhimolea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on high-immersion virtual reality for language learning
Baker Challenges for the future of educational data mining: The Baker learning analytics prizes
CN109801525A (zh) 一种用于网络教学的师生多维匹配方法和系统
US20140322692A1 (en) Methods for online education
Adnan et al. Evaluating students' emotional response in video-based learning using Kansei Engineering
Kumar et al. AIAVRT: 5.0 Trans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with Next Generation AI-3D Animation and VR Integrated Computer Graphics Imagery.
Baecher Video in teacher learning: Through their own eyes
Sanchez et al. Defining motivation in video game‐based training: Exploring the differences between measures of motivation
Evans et al. The effect of interactivity in e-Learning systems
Driscoll et al. Applying learning theory to mobile learning
Jones A second chance to graduate on tim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n participating in an online credit recovery program
Blayone Readiness for digital learning: Examining self-reported and observed mobile competencies as steps toward more effective learner readiness assessment
King et al. Advanced technology empowering MOOCs
Amador et al. Prospective teachers’ appraisals of technology platforms: Comparing perception and complexity
Thinnukool et al. Is Facebook a Suitable Tool in Modern World Technology for Active Learning in as Regards 21st Century Learning?
Boardman Educator responses to technology influences in a 1: 1 laptop middle school
Perkoski The impact of multimedia feedback on student perceptions: Video screencast with audio compared to text based email
Božić The use of digital tools and AI in education
Flores-Palacios et al. Using bots to conduct interviews in journalism and research courses
Magagna-McBee The use of handheld devices for improved phonemic awareness in a traditional kindergarten classroom
Madiope The feasibility of using audio podcast mobile technology to teach research writing in open distance learning: Case of University of South Africa
Wesley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ing Reading and Mathematics in Inclusion Classrooms
Dartt The impact of teacher attitudes on technology use during instruction
Markovic et al. Web-Based distance learning system with adaptive testing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