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4143A -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이버학교의 출석확인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이버학교의 출석확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4143A
KR20010074143A KR1020010017240A KR20010017240A KR20010074143A KR 20010074143 A KR20010074143 A KR 20010074143A KR 1020010017240 A KR1020010017240 A KR 1020010017240A KR 20010017240 A KR20010017240 A KR 20010017240A KR 20010074143 A KR20010074143 A KR 20010074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ber
course
fingerprint
school
atten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종 해 김
Original Assignee
종 해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종 해 김 filed Critical 종 해 김
Priority to KR1020010017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4143A/ko
Publication of KR20010074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143A/ko
Priority to US10/467,520 priority patent/US20050019741A1/en
Priority to GB0320671A priority patent/GB2393013B/en
Priority to PCT/KR2002/000138 priority patent/WO2002063525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이버학교의 운영과 학사관리에 관한 것으로서, 수강신청한 수강자가 특정과목의 사이버강좌를 DB에 접속하여 수강했는지 여부를 수강자의 지문이나 홍채로 측정하는 사이버강좌 출석확인 방법과 이 확인방법을 계산의 근거로 하여 수강자의 강좌별 수강시간을 누적 계산하며 일정한 기준을 충족할시 호스트 컴퓨터의 프로그램으로 수강자 ID별 학점을 자동부여하고 학사관리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사이버학교의 학사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이버학교의 출석확인 방법{The method for validating the attendance of cyber class utilizing internet system.}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이버학교 운영에 있어서, 특정과목을 수강등록한 수강자가 특정과목의 사이버강좌를 수강했는지 여부를 수강자의 지문이나 홍채로 확인하여 사이버상 강좌의 출석을 확인하는 방법과 위 출석확인 방법을 근거로 하여 강좌별 출석시간을 누적계산하고 일정한 기준을 충족할시 호스트컴퓨터로 학점을 자동 인정하는 사이버학교의 학사 운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학습방법의 개발로 각국 정부는 사이버대학이나, 사이버대학원등 사이버학교의 설립과 학위 수여를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등록한 수강자들이 등록한 강좌를 인터넷 수단으로 수강했는지 여부를 수강자들의 ID입력방법으로 확인하고 있으나 이 경우 대리인이 ID를 입력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 없다.
또한, 수강자들이 특정과목의 강좌를 한꺼번에 수강하지 못하고, 수시로 나누어 분할 수강코자 할시 이를 인정하고 학점을 부여할 계산 근거가 미약하다.
또한, 사이버강좌는 인터넷 특성상 국경을 초월하는 것이며, 언어 또한 동시번역이나 동시통역 시스템의 발달로 제한이 없는 것이므로 수많은 수강자의 학점과 수강기록을 관리하여야 하는 것이며, 인력으로 수많은 사람들의 사이버강좌 출석여부와 학점을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전산관리할 수 있는 기준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이버학교에 등록하는 수강자가 자신만이 소지하고 있는 자신의 지문이나 홍채를 디지털데이터로 사이버학교의 호스트컴퓨터에 등록하고, 수강자가 특정 신청과목 강좌에 대한 DB에 접속하여 수강시작시간과 수강 종료시간에 자신의 지문이나 홍채를 입력함으로서 호스트컴퓨터가 메모리수단에 기억 저장되어 있는 수강자의 지문이나 홍채의 디지털데이터와, 수강자가 수강시 입력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등록된 진성 수강자인지 여부를 호스트컴퓨터가 식별하고, 수강자 ID별로 수강 과목별 수강시간 기록을 호스트컴퓨터가 기억 저장하며 수강 신청자의 수강내역을 스스로 계산하여 프로그램된 기준에 부합하면 학점을 자동 부여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 블록도이다.
10 : 사이버 학교
11 : 데이터베이스(DB)
12 : DB에 대한 접근 제한수단
13 : 인터넷 영역
14-1∼14-N : 수강자
15 : 사이버학교의 호스트컴퓨터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그에 따른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1에 의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이버학교(10)와, 사이버학교의 호스트컴퓨터(15)와, 호스트컴퓨터가 관리하며 강좌별 강의 내용을 디지털데이터로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11)와, 수강자들(14-1∼14-N)이 인터넷영역(13)을 통하여 DB에 접속할 때 무자격자의 DB 접속을 제어하는 접근제한수단(12)으로 구성된다.
먼저, 출석을 확인하는 방법부터 설명하면, 수강자(14-1∼14-N)는 사이버학교에 등록할 때 자신이 수강시 사용할 지문을 학교의 호스트컴퓨터(15)에 등록하고 DB(11)에 접속할 수 있는 ID를 부여받는다.
호스트컴퓨터(15)는 등록신청한 수강자들의 ID와 지문을 디지털데이터로 메모리 수단에 기억 저장하게 된다.
수강자가 인터넷영역(13)으로 학교의 DB(11)에 접속코자 하면 학교에 등록한 ID 코드를 입력하여 DB에 접속하며 접속 방법은 공지의 기술과 같다.
수강자가 DB에 접속하여 자신이 수강코자하는 특정 교과목에 접속하게 되면, PC의 지문 입력수단으로 자신의 지문을 입력한다. 이때 호스트컴퓨터는 입력된 지문의 디지털데이터와 메모리수단에 기억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데이터가 일치하면 진성 등록자로 처리하며 수강자의 특정과목에 대한 이용을 허가하고 동시에 이용 시작 시간을 수강자의 ID에 메모리시킨다.
수강자가 DB접속을 종료코자하면, 종료신호와 함께 자신의 지문데이터를 PC의 지문인식장치로 호스트컴퓨터에 송신하게 되고, 호스트컴퓨터(15)는 메모리수단에 기억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데이터가 일치하면 수강자의 특정 DB접속 이용시간을 기 메모리된 시작 시간부터 계산하여 수강자의 ID에 과목별로 수강시간 데이터가 기억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만일 DB접속 종료시간에 입력하는 지문의 데이터가 호스트컴퓨터에 기억 저장된것과 일치하지 아니하면 호스트컴퓨터는 그 사실을 이용자에게 ERROR등의 표시로 통지하고 지문을 다시 입력하게 하는 것이며, 정확한 지문의 입력이 없이 접속을 OFF하게되면 진정한 수강자가 DB를 이용한 것이 아닌 것으로 간주하여 해당과목의 수강기록을 0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또한, 학교에서 좀더 자세히 수강자의 DB접속을 확인코자한다면, 특정한 시간단위로 즉 30분 단위로 프로그램 한다면 매30분마다 지문입력을 지시하는 신호가 수강자의 PC에 뜨게되고 수강자가 지문을 입력하게되면 호스트컴퓨터가 메모리 수단에 기억 저장된 것과 비교하여 계속적으로 진성 수강자인지 여부를 확인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학교에서 교과목을 세분하여 예컨대 2시간짜리 강좌를 30분 단위나 1시간 단위로 강좌를 세분하고, 수강자가 위 세분된 시간단위에서 수강을 멈추거나 또는 계속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한다면 수강자는 자신이 편리한 시간대에 세분된시간의 강좌를 수강하게 되고, 호스트컴퓨터가 수강자 ID별로 세분된 강좌의 수강시간을 누적 계산하여 이를 모두 이수한 것으로 일정한 시간이 계산되면 그 과목을 이수한 것으로 처리하여 학점을 부여하게 프로그램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일정한 과목수를 모두 이수하게 되면 호스트컴퓨터는 수강자 ID별 적립된 학점의 누계에 따라 일정한 학점을 이수한 수강자에게 그 사실을 고지하고 졸업 논문을 제출할 자격을 부여하는 것이다.
수강자는 학교에서 지정한 범주내의 과제를 선택하여 논문을 작성하고, ON-LINE이나 또는 OFF-LINE수단으로 학교의 논문심사 기구에 논문을 제출하는 것이며, 논문심사에 합격하게 되면 학교는 학위를 수여하게 된다.
이 과정에 좀더 철저히 논문을 심사하겠다면 수강자를 논문심사기구에 출석케하여 OFF-LINE학교에서 행하는 기존의 방법으로 논문을 심사할 수도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방법을 사이버상에서 운영하는 전문학교나 각급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공히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또한 인체의 홍채를 인식하는 장치가 저가로 보급될 때에는 지문인식 장치 대신 홍채인식 장치로 대치하거나 또는 음성데이터의 특성을 인식하는 장치로 대치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은 국경이 없는 것이므로 국경이나 언어를 초월하여 사이버학교를 운영코자 한다면 각 강좌에 대한 강의를 언어별로 구분한 DB를 구성하고, 수강자가 원하는 언어권의 DB에 접속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문이나 홍채로사이버상의 강좌에 대한 출석을 확인하게되면 사이버학교를 유니버설화하여 국제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것이다.
사이버학교의 운영에 있어서, 등록된 수강자의 수강여부를 등록된 지문이나 홍채로 확인함으로서 수강여부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방법의 개발로 사이버학교에서 학점의 관리를 호스트컴퓨터에 의한 전산관리가 가능하게 되어 막대한 인력과 운영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며, 전산으로 자동 관리하는 합리적인 학사관리체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교과내용에 대한 DB를 언어별로 구분하여 구성하고, 수강자의 지문이나 홍채로 사이버강좌에 대한 출석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사이버학교를 다국적으로 유니버설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9)

  1.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이버학교의 교육시스템에 있어서,
    (1) 수강자가 사이버학교에 등록할 때 자신이 사용할 지문을 등록하고, 교육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ID를 부여받는 단계와;
    (2) 수강자가 교육사이트에 접속하여 수강 시작시간에 자신의 지문을 입력하여 사이버강좌 출석시간을 확정하는 단계와;
    (3) 수강자가 수강을 종료하는 시간에 자신의 지문을 입력하여 수강 종료시간을 지문으로 확정하는 단계와;
    (4) 호스트 컴퓨터가 ID별로 사용자의 지문이 입력될시 지문의 디지털 데이터를 호스트컴퓨터의 메모리수단에 등록된 지문데이터가 비교하여 지문이 일치할시 등록한 강좌의 진정한 출석으로 간주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강 시작 및 종료시간에 수강자가 지문을 입력하여 자신의 사이버강좌 출석 사실을 지문으로 사이버학교의 호스트컴퓨터에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강좌 출석 확인방법
  2. 청구항1에서,
    수강자가 지문을 입력하는 수강 개시 때와 지문을 입력하는 수강 종료때까지 사이에 사이버학교에서 특정한 시간단위로 수강자가 지문을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부가하여, 수강자의 사이버강좌 출석을 특정시간 단위의 지문입력으로 확인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강좌 출석 확인방법
  3.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가 수강자 ID별, 강좌별 수강시간을, 특정 강좌에 대한 DB접속시간을 누적 계산하여 특정한 시간 이상 접속할 시 해당 강좌에 대한 교육을 이수한 것으로 계산하여 학점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강좌 출석 확인 방법
  4.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특정강좌에 대한 DB의 총 러닝타임을 다수개의 소강좌 단위로 세분하여 DB화하고, 수강자가 각 소강좌 단위로 지문을 입력하여 학교의 호스트 컴퓨터가 각 소강좌 단위의 수강개시 및 종료시간의 확인으로 각 단위 소강좌에 대한 수강자의 수강기록을 누적 계산하여 특정 강좌에 대한 특정 수강자의 수강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강좌 출석 확인 방법
  5.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지문대신 수강자가 자신의 홍채나 음성데이터를 등록하여 수강자의 사이버강좌 출석 사실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강좌 출석 확인방법
  6. 수강자가 사이버학교에 등록한 지문으로 사이버 강좌의 수강여부를 확인하는학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1) 사이버학교의 호스트 컴퓨터가 수강시작과 수강종료시 수강자가 등록한 수강자 ID별 지문의 입력시간으로 특정ID의 수강자가 특정 사이버강좌에 출석하여 수강한 시간을 계산하여 호스트 수강자 ID별로 컴퓨터에 메모리 시키는 단계와;
    (2) 위 ID별로 강좌별 수강자의 수강시간이 사이버학교에서 정한 일정한 수강시간을 충족하면, 단위강좌를 이수한 것으로 인정하여 학점을 부여하는 단계와;
    (3) 수강자가 위의 절차로 사이버학교에서 정한 일정한 학점을 취득하게되면 논문을 제출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며, 사이버학교에서 정한 과제로 논문을 ON LINE 또는 OFF LINE으로 학교의 논문 심사위원회에 제출하는 단계와;
    (4) 위 논문이 학교의 논문심사위원회를 통과할시 수강자의 사이버학교 졸업을 인정하고 학위를 수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학교의 학사관리방법
  7. 청구항6에 있어서,
    최종 논문 심사에는 수강자가 논문심사 위원회에 출석하여 논문에 대한 심사를 받은후에 학위를 수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사 관리 방법
  8. 수강자가 사이버학교에서 사이버강좌를 수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1) 학교의 데이터베이스(DB)를 구성하는 교과강좌를 언어별로 분리하여 언어별 DB를 구성하는 단계와;
    (2) 수강 신청한 수강자가 학교의 호스트컴퓨터에 자신의 지문을 등록하고 ID를 교부받아 자신이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여 해당언어권의 DB에 접속하는 단계와;
    (3) 해당 언어권에서 특정 강좌를 선택하고 수강시작과 수강 종료시 수강자가 자신의 지문을 입력하여 사이버강좌의 출석을 확인하는 단계와;
    (4) 학교의 호스트컴퓨터가 수강자 ID별, 강좌별, 지문입력 시간을 누적 계산하여, 일정한 사이버강좌 출석시간을 충족하면 단위강좌를 이수한 것으로 인정하여 학점을 부여하는 단계로;
    동일한 강좌에 언어별로 분리된 DB구성과 지문으로 사이버강좌의 출석시간을 확인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사이버학교 운영방법
  9. 청구항8에 있어서,
    출석을 확인하는 지문대신 수강자가 자신의 홍채나 음성데이터를 등록하여 사이버강좌의 출석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사이버학교 운영방법
KR1020010017240A 2001-02-08 2001-03-31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이버학교의 출석확인 방법 KR2001007414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240A KR20010074143A (ko) 2001-03-31 2001-03-31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이버학교의 출석확인 방법
US10/467,520 US20050019741A1 (en) 2001-02-08 2002-01-31 Method of education and scholastic management for cyber education system utilizing internet
GB0320671A GB2393013B (en) 2001-02-08 2002-01-31 The method of education and scholastic management for cyber education system utilizing internet
PCT/KR2002/000138 WO2002063525A1 (en) 2001-02-08 2002-01-31 The method of education and scholastic management for cyber education system utilizing inter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240A KR20010074143A (ko) 2001-03-31 2001-03-31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이버학교의 출석확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143A true KR20010074143A (ko) 2001-08-04

Family

ID=1970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240A KR20010074143A (ko) 2001-02-08 2001-03-31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이버학교의 출석확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4143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515A (ko) * 2001-06-04 2002-12-12 주식회사 리즈텍 온라인 강의의 수강 인증 방법
KR20020096442A (ko) * 2001-06-20 2002-12-31 (주)니트 젠 온라인 교육시스템 상에서의 사용자인증에 의한 출결관리방법
KR20030026026A (ko) * 2001-09-24 2003-03-31 주식회사 뉴레카 지문 정보를 이용한 사이버(원격) 교육에서의 출결관리를위한 시스템과 방법.
KR20030056485A (ko) * 2001-12-28 2003-07-04 주식회사 Yejinet 컴퓨터를 이용하여 피교육자의 교육참여상태를모니터링하는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20030068358A (ko) * 2002-07-19 2003-08-21 (주)이폴랩 출결관리 시스템 및 출결관리방법
KR100450019B1 (ko) * 2001-11-17 2004-09-30 전준호 인터넷을 이용한 음성인식 영어 학습서비스방법
WO2008038996A1 (en) * 2006-09-27 2008-04-03 Jong Hae Kim Method and related system for authenticating e-learning study.
KR20220070860A (ko) 2020-11-23 2022-05-31 이수열 인터넷을 통한 원격교육용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220070849A (ko) 2020-11-23 2022-05-31 이수열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원격 교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70869A (ko) 2020-11-23 2022-05-31 이수열 인터넷을 이용한 창의력 교육 방법
KR20220070858A (ko) 2020-11-23 2022-05-31 이수열 인터넷을 통한 논술교육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0853A (ko) 2020-11-23 2022-05-31 이수열 원격교육 출석 인증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515A (ko) * 2001-06-04 2002-12-12 주식회사 리즈텍 온라인 강의의 수강 인증 방법
KR20020096442A (ko) * 2001-06-20 2002-12-31 (주)니트 젠 온라인 교육시스템 상에서의 사용자인증에 의한 출결관리방법
KR20030026026A (ko) * 2001-09-24 2003-03-31 주식회사 뉴레카 지문 정보를 이용한 사이버(원격) 교육에서의 출결관리를위한 시스템과 방법.
KR100450019B1 (ko) * 2001-11-17 2004-09-30 전준호 인터넷을 이용한 음성인식 영어 학습서비스방법
KR20030056485A (ko) * 2001-12-28 2003-07-04 주식회사 Yejinet 컴퓨터를 이용하여 피교육자의 교육참여상태를모니터링하는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20030068358A (ko) * 2002-07-19 2003-08-21 (주)이폴랩 출결관리 시스템 및 출결관리방법
WO2008038996A1 (en) * 2006-09-27 2008-04-03 Jong Hae Kim Method and related system for authenticating e-learning study.
KR100838170B1 (ko) * 2006-09-27 2008-06-16 종 해 김 e-러닝 학습인증 방법과 관련 시스템
GB2454393A (en) * 2006-09-27 2009-05-06 Jong-Hae Kim Method and related system for authenticating E-learning study
KR20220070860A (ko) 2020-11-23 2022-05-31 이수열 인터넷을 통한 원격교육용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220070849A (ko) 2020-11-23 2022-05-31 이수열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원격 교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70869A (ko) 2020-11-23 2022-05-31 이수열 인터넷을 이용한 창의력 교육 방법
KR20220070858A (ko) 2020-11-23 2022-05-31 이수열 인터넷을 통한 논술교육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0853A (ko) 2020-11-23 2022-05-31 이수열 원격교육 출석 인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170B1 (ko) e-러닝 학습인증 방법과 관련 시스템
Kuhlen et al. Language in dialogue: When confederates might be hazardous to your data
Lloyd-Jones Design and control issues in qualitative case study research
Tang The impact of school counseling supervision on practicing school counselors’ self-efficacy in building a comprehensive school counseling program
Thompson Client misconceptions in vocational counseling.
KR20010074143A (ko)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이버학교의 출석확인 방법
Leko et al. Quality indicators for mixed-methods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KR102507733B1 (ko) 인공지능 기술 기반 학생 맞춤형 교육 및 취업지원 방법 및 시스템
Lipkin et al. The history of communications skills knowledge and training
Paz et al. Clients with different problems are different and questionnaires are not blood tests: A template analysis of psychiatric and psychotherapy clients' experiences of the CORE‐OM
KR101416526B1 (ko)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시스템 및 방법
Lo Developing participation through simulations: A multi-level analysis of situational interest on students’ commitment to vote
Gibson et al. The emergence of unique elective identities in the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research in the counseling profession
Beeber et al. Developing a multicomponent implementation strategy for mental health interventions within the Nurse‐Family Partnership: An application of the EPIS framework
Pittman Perspectives in AE—First System, Best System: The Proctored Examination
Gallop et al. The Impact of Experiential Learning on Professional Identity: Comparing Community Service-Learning to Traditional Practica Pedagogy
KR102622385B1 (ko) 실습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평가 방법
KR20100025830A (ko)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
Dong et al. An Intervention Program on Assisting Retention and Transition for the First-Yea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Perkins-Muhammad Quantitative Study of Counselor Cultural Competence, Implicit Racial Bias, and Race
White A Program Evaluation on the Impact of South Carolina's Child Early Reading Development and Education Program on Kindergarten Reading Readiness in a Small Rural School District
Imaz The constitutional paradox of complex diversity: A systemic path towards political integration through deliberation
Mozia School effectiveness in juvenile detention facilities: A case study
Beattie Nursing Students' Comfort with Providing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Liu Effectiveness of a university bilingual degree program among overseas Chine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