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5830A -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5830A
KR20100025830A KR1020080084547A KR20080084547A KR20100025830A KR 20100025830 A KR20100025830 A KR 20100025830A KR 1020080084547 A KR1020080084547 A KR 1020080084547A KR 20080084547 A KR20080084547 A KR 20080084547A KR 20100025830 A KR20100025830 A KR 20100025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rse
cyber
school
information management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항수
Original Assignee
조항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항수 filed Critical 조항수
Priority to KR1020080084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5830A/ko
Publication of KR20100025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학원이나 학교들이 온라인 강좌를 위한 영상, 화상, 텍스트, 동영상 자료들을 업로드시켜 통합 온라인 강좌시스템을 구축하고, 수강자가 수강료 정산후 해당 온라인 강좌를 수강하도록 하고, 그 교육효과를 체크하기 위한 테스트 자료를 통해 그 수강결과를 게임방식으로 테스트하여 일정 수준이상의 수강자에게 수료증을 발급함으로써 저비용으로 학교나 학원의 온라인 강좌가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학원과 학교가 온라인 시스템을 구축한 것과 동일하게 학원 수강생이나 학생이 온라인에서 강좌를 수강할 수 있으며, 학원 수강생의 경우 결제처리까지 이루어지고, 강좌 모의고사를 온라인상에서 치룰 수 있으므로 저비용으로 높은 수익성을 보장하며,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의 경우에는 온라인 강좌를 통해 예습 및 복습 등 반복학습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학습 성취도가 높아지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Figure P1020080084547
사이버 학사정보, 사이버 강좌, 온라인 강좌, 학원강좌, 학교강좌.

Description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CYBER ON-LINE LECTURE INFORMATION MANAGING SYSTEM}
본 발명은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다수의 학원이나 학교들이 온라인 강좌를 위한 영상, 화상, 텍스트, 동영상 자료들을 업로드시켜 통합 온라인 강좌시스템을 구축하고, 수강자가 수강료 정산후 해당 온라인 강좌를 수강하도록 하고, 그 교육효과를 체크하기 위한 테스트 자료를 통해 그 수강결과를 게임방식으로 테스트하여 일정 수준이상의 수강자에게 수료증을 발급함으로써 저비용으로 학교나 학원의 온라인 강좌가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원거리 데이터통신망을 매개하여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이상의 호스트서버를 통하여 다수의 가입자측으로 실시간 제공하는 정보제공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이를 기반으로, 최근에는 가입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캐쉬메모리 확장기술 등 주변기술과 가입자의 취향 및 선호도에 보다 편리하 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 선별기술 및 압축기술이 개발중이며, 이를 통한 각종 콘텐츠 및 그 솔루션의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각종 동영상 강좌자료를 웹서버에 업로드시켜 온라인 교육시스템을 개발중인 학원이 속속 출현하고 있으며, 사이버 대학 등 학교강좌도 온라인상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학원의 경우에는 온라인 강좌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중소 규모의 학원은 온라인 강좌시스템을 구축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대규모 학원들에 제한되어 온라인 강좌시스템이 구축되고 있지만, 수강생의 입장에서는 다른 학원의 다양한 강사진에 대한 온라인 강좌를 접할 수 없으므로 수강생에게 상대적으로 불리하거나 서비스의 질에 대한 제한이 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프라인에서는 중소 규모의 학원은 훌륭한 강사진이 존재하더라도 학원의 규모를 중시하는 분위기로 인해 훌륭한 강사진의 존재를 외부로 알리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학교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온라인 강좌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소규모의 학교는 온라인 강좌시스템을 구축하기가 거의 불가능하였으므로, 학생들에 대한 질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학교 교육이나 학원 교육의 경우 반복적으로 강좌를 수강함으로써 수강효과를 높일 수 있으나, 이와 같은 반복적 수강의 경우에는 온라인 강의가 적합하지만 비용적인 부담을 감수해야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록 강좌의 내용은 상이하더라도 유사한 온라인 강좌 시스템을 각 학원이나 학교별로 별로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중복 투자이므로 전체 산업의 관점에서는 불필요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비효율적이었다.
한편, 온라인 강좌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하여도, 반복적으로 온라인 강좌를 수강하는 것은 수강자의 입장에서는 매우 지루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온라인 시험(테스트)의 경우에는 대리시험자를 적발해내기 어려웠으며, 책을 보면서 답을 기재하는 경우도 적발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다수의 학원이나 학교들이 온라인 강좌를 위한 영상, 화상, 텍스트, 동영상 자료들을 업로드시켜 통합 온라인 강좌시스템을 구축하고, 수강자가 수강료 정산후 해당 온라인 강좌를 수강하도록 하고, 그 교육효과를 체크하기 위한 테스트 자료를 통해 그 수강결과를 게임방식으로 테스트하여 일정 수준이상의 수강자에게 수료증을 발급함으로써 저비용으로 학교나 학원의 온라인 강좌가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에 접속하여 학원 수강생이나 학생의 인증처리를 위한 데이터를 서버측으로 전송하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에 하이퍼텍스 트(Hyper text)방식으로 링크된 학교 또는 학원강좌 및 게임 테스트 자료를 열람하여 강좌를 수강하고, 게임 테스트 자료를 통해 수강결과를 테스트받기 위한 자료의 화면 출력 및 선택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강자 단말기(2)와; 온라인 교육 강좌시스템의 구축을 필요로 하는 다수의 학교 또는 학원들이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에 접속하여 학생 신상자료 및 학교 또는 학원강좌 및 테스트 자료를 업로드시켜 등록시키고, 그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로부터 각 학생의 출결 정보 및 테스트 결과정보를 전송받고, 학원 수강생의 수강료 결제정보 및 테스트 결과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강좌정보 제공서버(4)와; 다수의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로부터 전송받은 학생 신상자료 및 학교 또는 학원강좌 및 테스트 자료를 통해 인증자료를 분류하고 갱신처리하며, 학교나 학원 강좌자료를 웹상에서 열람 가능하게 처리하고, 테스트 자료를 게임방식으로 자동 선별되게 처리하여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의 접속에 의해 해당 강좌를 수강할 수 있게 하며 그 수강결과를 게임방식으로 테스트하도록 한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는 학교나 학원에 비치된 단말기일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가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에 업로드시키는 학교 또는 학원강좌자료는 학교나 학원에서 강의하는 자료로서, 동영상 파일, 화상파일, 텍스트파일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가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에 업로드시키는 테스트 자료는 게임 테스트로 변경되기 이전 단계의 문제 출제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수강자 단말기(2)를 통해 접속하는 각 학생이 어느 학교의 소속인지 또는 학원 수강생이 어느 강좌에 대한 수강료를 결제한 수강생인지를 인증할 수 있도록 인증 처리를 수행하고, 해당 학원 수강생이 결제한 강좌만을 수강할 수 있도록 제한하며, 학교의 경우에도 소속된 학교의 강좌만을 수강하도록 제한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그 내부에 접속하는 학생 및 온라인 강의자료 업로더를 인증하고, 강좌파일에 대한 웹 링크 처리를 수행하며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된 온라인 강좌파일 및 게임 테스트 파일의 추출 및 전송을 수행하고,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의 출결을 체크하는 학사정보 관리서버(8)와; 상기 학사정보 관리서버(8)와 연동되어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DBMS: 10)가 구비되어져 있고, 그 데이터베이스관리서버(10)의 내부에 데이터베이스(22)로부터 파일을 추출 및 갱신 처리하는 파일 처리부(20)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학사정보 관리서버(8)는 내부에 학생과 학원 수강생에 부여된 ID 및 패스워드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처리부(12)가 내장되어져 있으며, 강좌파일을 웹상에 링크되게 처리하는 강좌처리부(16)가 구비되어져 있고,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의 출결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출결 처리부(14)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의 항목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온라인 강좌파일 또는 게임 테스트 파일을 추출하기 위한 파일 추출부(18)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로부터 전송받은 온라인 강좌파일을 상기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하여 구축할 때, 해당 학교나 학원별, 과목별, 강좌별, 강좌번호별로 분류하여 등록시키고, 수강생 단말기(2)의 각 항목별 선택에 따라 차등적인 온라인 강좌파일이 추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학교 홈페이지에 하이퍼텍스트(Hyper Text) 형태로 온라인 강좌 페이지를 매칭시킨 상태에서, 학생이 해당 학교의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강좌의 선택시 해당 학교의 온라인 강좌 페이지가 직접 출력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학원 홈페이지에 하이퍼텍스트(Hyper Text) 형태로 온라인 강좌 페이지를 매칭시키거나, 학원명을 제외하고 강사명만을 게시함으로써 통합 학원의 형태로 운영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내부에 다수의 학교 또는 학원에 구비된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로부터 학생 신상자료 및 온라인 강 좌파일 및 테스트 파일을 수신받으며, 수강자 단말기(2)로부터 학년이나 과목, 강좌번호 선택신호 및 게임 테스트 선택신호를 수신하고, 각 게임 테스트의 답안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수신부와; 상기 수강자 단말기(2)로 온라인 강좌파일을 전송처리하고, 게임테스트 정보를 전송하며, 해당 게임 테스트의 정답정보 및 획득 포인트 정보, 누적 포인트 정보, 수료증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부와; 온라인 강좌자료를 업로드하고, 수강료를 이체받을 수 있도록 학교나 학원의 강좌처를 인증하는 강좌처 인증처리 프로세서와; 다수의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로부터 수신받은 온라인 강좌파일 및 테스트 자료를 각 학교나 학원별, 강사별, 과목별, 강좌번호별로 분류하여 등록관리하고, 웹상에서 열람 가능하게 처리하기 위한 교육강좌 관리프로세서와; 다수의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로부터 수신받은 테스트 자료를 게임방식으로 자동 선별되게 처리하여 사원의 접속에 의해 그 게임 테스트파일을 추출하여 제공하며, 수강생으로부터 전송받은 게임테스트에 대한 답안을 처리하는 게임 테스트자료 관리프로세서와; 온라인 강좌파일에 대한 열람의 댓가로 수강생으로부터 강의료를 결제받도록 처리하는 강의료 결제처리 프로세서와;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의 출결 관리를 수행하는 출결관리 프로세서와; 상기 게임 테스트자료 관리프로세서(100)와 연동되어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이 입력한 답이 정답으로 판명될 경우, 미리 설정된 포인트를 제공하고, 각 수강생별로 포인트를 누적 처리하는 포인트 부여처리 프로세서와; 상기 포인트 부여처리 프로세서(106)에서 처리된 수강생의 누적 포인트가 기설정 포인트이상일 경우, 해당 수강생에게 해당 온라인 강좌의 수료증을 생성하여 부여하도록 처리하는 수료증 발급관리 프로세서와;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로부터 전송받은 온라인 강좌파일 및 테스트파일을 해당 학교별, 학원별, 학년별, 과목별, 강사별, 강좌번호별로 분류하여 등록시키고, 수강생 신상정보를 소속 강의처별로 분류하여 등록시키고, 수강생의 강의료 결제정보를 저장하고, 각 수강생별 획득 포인트 정보를 저장하며, 게임테스트 처리를 위한 게임 알고리즘이 저장되어져 있고, 수료증 기본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로부터 온라인 강좌파일 및 테스트파일을 접수받아 등록시키고, 수강자 단말기(2)로부터의 억세스 신호 및 조건설정신호에 상응하여 각 프로세서를 구동 제어하며, 파일 저장이나 열람시 데이터베이스(22)로부터 파일 추출 및 단말기로의 전송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각 온라인 강좌를 다수의 항목으로 분류하고, 각 온라인 강좌 항목별로 테스트 파일을 출력 가능하게 첨부하여, 각 온라인 강좌항목과 테스트항목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구성되어 수강생의 지루함을 방지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대리시험이나 책을 찾아보면서 시험을 치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스트 시 답안 클릭속도, 테스트 전체 소요시간, 오답 비율을 통해 차별화된 포인트를 지급하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은 학원과 학교가 온라인 시스템을 구축한 것과 동일하게 학원 수강생이나 학생이 온라인에서 강좌를 수강할 수 있으며, 학원 수강생의 경우 결제처리까지 이루어지고, 강좌 모의고사를 온라인상에서 치룰 수 있으므로 저비용으로 높은 수익성을 보장하며,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의 경우에는 온라인 강좌를 통해 예습 및 복습 등 반복학습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학습 성취도가 높아지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은 다수의 학원이나 학교들이 온라인 강좌를 위한 영상, 화상, 텍스트, 동영상 자료들을 업로드시켜 통합 온라인 강좌시스템을 구축하고, 수강자가 수강료 정산후 해당 온라인 강좌를 수강하도록 하고, 그 교육효과를 체크하기 위한 테스트 자료를 통해 그 수강결과를 게임방식으로 테스트하여 일정 수준이상의 수강자에게 수료증을 발급함으로써 저비용으로 학교나 학원의 온라인 강좌가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은 학교는 그 학교명을 표시하되, 학원은 그 학원명을 표시하지 않고 강사명만을 표시하여 다른 조건은 배제하고 다양한 강사들의 강의질만을 평가할 수 있도록 통합 온라인 강좌시 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소규모의 학교나 학원들이 수강생을 대상으로 저비용으로 보조 강좌의 길을 제공하고 수강자는 반복 학습을 통해 더 높은 교육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시스템 운영자는 수강생이 지불하는 수강료의 일부를 지불받아 운영 자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에는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에 접속하여 학원 수강생이나 학생의 인증처리를 위한 데이터를 서버측으로 전송하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에 하이퍼텍스트(Hyper text)방식으로 링크된 학교 또는 학원강좌 및 게임 테스트 자료를 열람하여 강좌를 수강하고, 게임 테스트 자료를 통해 수강결과를 테스트받기 위한 자료의 화면 출력 및 선택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강자 단말기(2)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에는 온라인 교육 강좌시스템의 구축을 필요로 하는 다수의 학교 또는 학원들이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에 접속하여 학생 신상자료 및 학교 또는 학원강좌 및 테스트 자료를 업로드시켜 등록시키고, 그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로부터 각 학생의 출결 정보 및 테스트 결과정보를 전송받고, 학원 수강생의 수강료 결제정보 및 테스트 결과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강좌정보 제공서버(4)가 구비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는 그 표현상으로는 웹서버와 같은 표현이지만, 실제로 서버가 구성되어져 있지 않은 학교나 학원의 경우에는 학교나 학원에 비치된 단말기라고 하는 것을 더 옳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서버라고 명명하였지만 이는 단말기임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가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에 업로드시키는 학교 또는 학원강좌자료의 경우에는 학교나 학원에서 강의하는 자료로서, 동영상 파일, 화상파일, 텍스트파일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가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에 업로드시키는 테스트 자료는 게임 테스트로 변경되기 이전 단계의 문제 출제데이터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에는 다수의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로부터 전송받은 학생 신상자료 및 학교 또는 학원강좌 및 테스트 자료를 통해 인증자료를 분류하고 갱신처리하며, 학교나 학원 강좌자료를 웹상에서 열람 가능하게 처리하고, 테스트 자료를 게임방식으로 자동 선별되게 처리하여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의 접속에 의해 해당 강좌를 수강할 수 있게 하며 그 수강결과를 게임방식으로 테스트하도록 한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가 구비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다양한 학교나 학원들에 소속된 강사들의 강좌자료를 업로드시키고 해당 학교에 소속된 학생이나 학원에 소속된 학원 수강생이 접속하여 수강할 수 있도록 한 온라인 강좌시스템이므로,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수강자 단말기(2)를 통해 접속하는 각 학생이 어느 학교의 소속인지 또는 학원 수강생이 어느 강좌에 대한 수강료를 결제한 수강생인지를 인증할 수 있도록 인증 처리를 수행하고, 해당 학원 수강생이 결제한 강좌만을 수강할 수 있도록 제한하며, 학교의 경우에도 소속된 학교의 강좌만을 수강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그 내부에 접속하는 학생 및 온라인 강의자료 업로더를 인증하고, 강좌파일에 대한 웹 링크 처리를 수행하며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된 온라인 강좌파일 및 게임 테스트 파일의 추출 및 전송을 수행하고,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의 출결을 체크하는 학사정보 관리서버(8)가 구비되는 바, 그 학사정보 관리서버(8)는 내부에 학생과 학원 수강생에 부여된 ID 및 패스워드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처리부(12)가 내장되어져 있으며, 강좌파일을 웹상에 링크되게 처리하는 강좌처리부(16)가 구비되어져 있고,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의 출결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출결 처리부(14)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의 항목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온라인 강좌파일 또는 게임 테스트 파일을 추출하기 위한 파일 추출부(18)가 내장되어져 있다.
또,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그 내부에 상기 학사정보 관리서버(8)와 연동되어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이하, DBMS라 함: 10)가 구비되는 바, 그 DBMS(10)는 내부에 데이터베이스(22)로부터 파일을 추출 및 갱신 처리하는 파일 처리부(20)가 내장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로부터 전송받은 온라인 강좌파일을 상기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하여 구축할 때, 해당 학교나 학원별, 과목별, 강좌별, 강좌번호별로 분류하여 등록시키고, 수강생 단말기(2)의 각 항목별 선택에 따라 차등적인 온라인 강좌파일이 추출되도록 처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수강생이 온라인 강좌를 지속적으로 시청할 때의 지루함을 방지하기 위해, 각 강좌항목별로 테스트 파일을 연동시켜 짧은 시간동안 사내 강좌를 수강한 이후, 바로 이어서 해당 강좌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대리시험이나 책을 찾아보면서 시험을 치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스트 파일이 열람된 상태에서, 각 문제별 답안 입력시간을 분석하여 기설정 시간이 초과된 경우에는 해당 답안이 정답과 일치된다고 하여도 동일한 포인트를 지급하지 않고 소정비율 낮은 포인트를 지급하도록 설정되어져 있다. 즉,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온라인 강좌에 대한 테스트시 클릭 속도를 반영하여 차별화된 포인트를 지급하도록 설정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테스트 시 답안 클릭속도, 테스트 전체 소요시간, 오답 비율을 통해 차별화된 포인트를 지급하게 설정되어져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학교 홈페이지에 하이퍼텍스트(Hyper Text) 형태로 온라인 강좌 페이지를 매칭시킨 상태에서, 학생이 해당 학교의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강좌를 클릭하게 되면, 해당 학교의 온라인 강좌 페이지가 바로 출력되게 함으로써 해당 학교에서 온라인 강좌 시스템을 구축한 것처럼 시스템을 제작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학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학원 홈페이지에 하이퍼텍스트(Hyper Text) 형 태로 온라인 강좌 페이지를 매칭시킨 상태에서, 학원 수강생이 해당 학원의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강좌를 클릭하게 되면, 해당 학원의 온라인 강좌 페이지가 바로 출력되게 함으로써 해당 학원에서 온라인 강좌 시스템을 구축한 것처럼 시스템을 제작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 좋을 것이며, 학원의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학원명을 게시하는 것이 아니고, 강사명만을 게시함으로써 통합 학원의 형태로 시스템을 운영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우수한 강사가 학원의 규모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방지하고 강의의 질만으로 평가받을 수 있으므로 중소학원에서는 학원명을 게시하지 않는 방식의 운영을 더 선호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은 학원과 학교가 온라인 시스템을 구축한 것과 동일하게 학원 수강생이나 학생이 온라인에서 강좌를 수강할 수 있으며, 학원 수강생의 경우 결제처리까지 이루어지고, 강좌 모의고사를 온라인상에서 치룰 수 있으므로 저비용으로 높은 수익성을 보장하며,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의 경우에는 온라인 강좌를 통해 예습 및 복습 등 반복학습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학습 성취도가 높아지게 된다.
도 2a, 2b,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을 통해 출력되는 웹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은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이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 정보관리서버(6)에 접속한 경우에는 도 2a와 같은 메인페이지(24)가 출력되고, 학교 홈페이지에 링크된 사이버 학교 수강홈을 클릭하여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 정보관리서버(6)에 접속한 경우라면 사 이버 학교 수강홈페이지(40)가 출력되게 된다.
즉, 학생의 경우에는 학교 홈페이지에 하이퍼텍스트로 링크된 아이콘을 클릭하여 사이버 학교 수강홈페이지(40)에 접속할 수도 있으며,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 정보관리서버(6)에 먼저 접속한 이후, 사이버 학교 수강홈페이지(40)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 정보관리서버(6)의 메인 페이지(24)에는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입력란(26)이 구비되어져 있는 바, 그 입력란(26)에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이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 정보관리서버(6)는 해당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의 ID를 통해 어느 학교나 학원 소속의 수강생인지, 어느 과목을 수강하는 수강생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페이지(24)에는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이 선택할 수 있는 사이버 학교 항목(28) 및 사이버 학원강좌항목(30), 각각의 게임 테스트를 통해 수강결과를 테스트할 수 있는 게임 테스트 항목(34)이 링크되어져 있다.
상기 사이버 학교 항목(28) 및 사이버 학원강좌항목(30)의 하단에는 학년 및 과목, 강좌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란(32)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메인페이지(24)의 하단에는 입력버튼(36)이 구비되어져 있고 웹페이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페이지 이동버튼(38)이 구비되어져 있다.
상기 메인페이지(24)에서 상기 사이버 학교 항목(28)을 선택하고, 입력버튼(36)을 조작하면, 사이버 학교수강홈에 대한 서브 페이지(40)가 출력되는 바, 그 사이버 학교 수강홈의 서브 페이지(40)에는 출석체크를 위한 입력창(42)이 구비되 어져 있고, 학년, 과목, 강사, 강좌번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창(44)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온라인 학교 강좌파일의 출력창(46)이 구비되어져 있고, 그 하단에 파일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툴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닫기 버튼(48)과 게임 테스트항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버튼(50)이 구비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메인페이지(24)에서 상기 사이버 학원강좌 항목(30)을 선택하고, 입력버튼(36)을 조작하면, 사이버 학원 강좌홈에 대한 서브 페이지(52)가 출력되는 바, 그 사이버 학원 강좌홈의 서브 페이지(52)에는 강좌정보 보기와, 강의료 정보/시간정보보기 버튼(54)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강좌가입(온라인 결제)버튼(56)이 구비되어져 있고, 강좌바로가기 버튼(58)과, 학년, 과목, 강사, 강좌번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창(60)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닫기 버튼(64)과 게임 테스트항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버튼(62)이 구비되어져 있다.
도 2b를 살펴보면, 게임테스트를 위한 서브 페이지(66)에는 사이버 학교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란(68)과, 사이버 학원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란(70)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다수 유형의 출제파일이 슬롯머신 형태로 출력되는 게임창(72)이 구비되어져 있고, 그 하단에는 다수 유형의 출제파일의 추출을 개시명령하는 스타트버튼(74)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하단에는 상기 게임창(72)에 정렬된 출제파일이 오픈되어 문제를 풀 수 있도록 한 문제 출력창(76)이 구비되어져 있고, 그 하단에는 답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창(78)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선택한 답을 입력처리하기 위한 입력버튼(80)이 구비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게임 테스트에 대한 서브 페이지(66)의 하단에는 해당 문제의 정 답시 획득한 포인트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창(82)이 개시되어져 있고, 해당 사원의 전체 누적포인트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창(84)이 개시되어져 있다.
한편,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게임 테스트를 통해 획득한 포인트가 기설정 포인트와 같거나 많은 지를 본 발명에 구비된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 정보관리서버(6)가 판단하여 획득한 포인트가 기설정 포인트와 같거나 많은 경우라면,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 정보관리서버(6)는 해당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에게 온라인 강좌수료증을 발급해준다.
그 온라인 강좌수료증(86)은 성명과, 학년, 과목, 강좌번호에 대한 정보(88)가 출력되며, 그 하단에는 수료증의 구체적인 수료내역(89)이 게재되어져 있으며, 일정 포인트 이상의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은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 정보관리서버(6)로 장학생 신청을 할 수 있는 버튼(90)이 온라인 강좌 수료증(86)에 구비되어져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에 포함된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에 포함된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그 내부에 인증처리부, 데이터 수신부, 데이터 전송부, 강좌처 인증처리 프로세서, 교육강좌 관리 프로세서, 게임 테스트 자료관리 프로세서, 강의료 결제처리 프로세서, 출결 관리 프로세서, 포인트 부여 처리 프로세서, 수료증 발급관리 프로세서, 데이터베이스, 제어부가 구성되어져 있다.
참조부호 92는 다수의 학교 또는 학원에 구비된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로부터 학생 신상자료 및 온라인 강좌파일 및 테스트 파일을 수신받으며, 수강자 단말기(2)로부터 학년이나 과목, 강좌번호 선택신호 및 게임 테스트 선택신호를 수신하고, 각 게임 테스트의 답안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수신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94는 상기 수강자 단말기(2)로 온라인 강좌파일을 전송처리하고, 게임테스트 정보를 전송하며, 해당 게임 테스트의 정답정보 및 획득 포인트 정보, 누적 포인트 정보, 수료증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96은 온라인 강좌자료를 업로드하고, 수강료를 이체받을 수 있도록 학교나 학원의 강좌처를 인증하는 강좌처 인증처리 프로세서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98은 다수의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로부터 수신받은 온라인 강좌파일 및 테스트 자료를 각 학교나 학원별, 강사별, 과목별, 강좌번호별로 분류하여 등록관리하고, 웹상에서 열람 가능하게 처리하기 위한 교육강좌 관리프로세서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00은 다수의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로부터 수신받은 테스트 자료를 게임방식으로 자동 선별되게 처리하여 사원의 접속에 의해 그 게임 테스트파일을 추출하여 제공하며, 수강생으로부터 전송받은 게임테스트에 대한 답안을 처리하는 게임 테스트자료 관리프로세서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02는 온라인 강좌파일에 대한 열람의 댓가로 수강생으로부터 강의료를 결제받도록 처리하는 강의료 결제처리 프로세서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04는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의 출결 관리를 수행하는 출결관리 프로세서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06은 상기 게임 테스트자료 관리프로세서(100)와 연동되어 학생이 나 학원 수강생이 입력한 답이 정답으로 판명될 경우, 미리 설정된 포인트를 제공하고, 각 수강생별로 포인트를 누적 처리하는 포인트 부여처리 프로세서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08은 상기 포인트 부여처리 프로세서(106)에서 처리된 수강생의 누적 포인트가 기설정 포인트이상일 경우, 해당 수강생에게 해당 온라인 강좌의 수료증을 생성하여 부여하도록 처리하는 수료증 발급관리 프로세서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2는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로부터 전송받은 온라인 강좌파일 및 테스트파일을 해당 학교별, 학원별, 학년별, 과목별, 강사별, 강좌번호별로 분류하여 등록시키고, 수강생 신상정보를 소속 강의처별로 분류하여 등록시키고, 수강생의 강의료 결제정보를 저장하고, 각 수강생별 획득 포인트 정보를 저장하며, 게임테스트 처리를 위한 게임 알고리즘이 저장되어져 있고, 수료증 기본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10은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로부터 온라인 강좌파일 및 테스트파일을 접수받아 등록시키고, 수강자 단말기(2)로부터의 억세스 신호 및 조건설정신호에 상응하여 각 프로세서를 구동 제어하며, 파일 저장이나 열람시 데이터베이스(22)로부터 파일 추출 및 단말기로의 전송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나타낸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을 통해 강좌 파일을 업로드시키는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은 강의처에 구비된 자료 업로드용 서버 즉,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로부터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로 온라인 강좌파일을 업로드시켜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에 포함된 다수의 강의처 즉, 학교나 학원에 구비된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를 통해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로 억세스한다.
미리 해당 학교나 학원들은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를 운영하는 업체와 제휴관계를 형성해야 하며, 온라인 강좌파일을 온라인에서 접속하여 사이버 강좌를 수강할 수 있는 온라인 강좌시스템을 구축과 운영에 대한 비용에 대해 양자의 정산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로부터 억세스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강좌정보 제공서버(4)의 업체가 제휴 강좌처인지를 확인하고, 제휴 강좌처가 아닌 경우라면 제휴 약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를 통해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로 억세스한 상태에서,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로부터 온라인 강좌자료 및 수강생 정보, 테스트 자료를 수신한다.
그러면,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는 해당 온라인 강좌파일과 테 스트 파일을 분류하고, 학년별, 강좌별로 분류하여 등록시킨다.
그리고,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온라인 강좌파일을 온라인 출력툴에 인서트처리하여 온라인 강좌파일을 생성하고 그 온라인 강좌파일을 업로드시키는 바, 이러한 절차는 웹상에 강좌의 수강이 가능하도록 업로드시키는 과정이다.
또한,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게임 테스트 파일을 이용하여 다양한 게임 예컨대, 슬롯머신 등의 게임툴에 인서트처리하여 게임 테스트파일을 구축하고, 웹상에서 열람 가능하게 업로드시킨다.
그리고,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해당 수강생 신상정보를 소속 학원이나 학교별로 등록시켜 차후 해당 수강생의 접속시 ID를 계정하고 해당 수강생이 가입한 학교나 학원의 강좌만을 제한적으로 수강할 수 있도록 등록시킨다.
도 5a, 5b,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을 통한 수강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도 5a는 수강자가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에 접속하여 온라인 학교수강홈을 선택하였을 때의 온라인 학교 수강절차를 도시한 것으로, 수강자가 상기 수강자 단말기(2)를 통해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에 억세스한 상태에서,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의 메인 페이지에 출력되는 ID와 패스워드 입력란에 ID를 입력하여 수강생 인증을 수행한다.
그러면,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그 ID를 통해 어느 학교 나 학원 수강생인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온라인 강좌의 수강자로서 등록이 되지 않은 수강생은 수강생 정보를 통해 기등록된 학교나 학원 수강생인지를 파악하고 ID 계정을 실행시킨다. 또한, 수강생이 소속된 학교가 아닌 다른 학교의 온라인 강좌를 선택한 경우라면 부정학생 정보를 통보한다.
수강생이 로그인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해당 학교의 온라인 학교 수강홈의 페이지를 출력시키고, 학교, 과목, 강좌번호를 입력하도록 하여 그 선택신호나 입력신호를 수신받는다.
상기 수강자 단말기(2)로부터 온라인 강좌의 수강을 위한 선택항목(학년, 과목, 강좌번호)이 수신된 경우라면,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그 수강자 단말기(2)로부터 강좌파일을 열람할 것인지, 게임 테스트를 실행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받게 되며, 온라인 수강을 소망하는 경우라면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그 수강자 단말기(2)로부터 전송받은 ID를 이용하여 해당 수강자의 출석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해당 선택항목(학년, 과목, 강좌번호)에 대해 미리 분류된 온라인 강좌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수강자 단말기(2)의 웹화면에 출력시킨다. 이때, 상기 온라인 강좌 파일은 동영상, 텍스트, 화상으로 된 강좌파일이다.
따라서, 학생은 해당 온라인 강좌파일을 웹상에서 열람하여 강좌를 수강하게 된다. 이때, 해당 학교는 온라인 강좌시스템을 구축할 수 없는 소규모의 학교이다.
한편,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해당 강좌파일이 종료되었 는 지를 판단하고, 강좌파일이 종료된 경우라면 상기 수강자 단말기(2)로부터 강좌 닫기 선택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고, 지속적으로 온라인 강좌를 수강할 경우라면 다시 전단계로 복귀하고, 강좌 웹화면을 닫고자 하는 경우라면 종료처리한다.
반면에, 상기 수강자 단말기(2)로부터 강좌 수강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게임 테스트 선택신호가 수신된 경우라면,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게임 테스트 항목의 서브페이지로 수강자 단말기(2)에 출력되는 웹브라우저를 이동시킨다.
도 5b를 참조하면, 게임 테스트 절차에 대해 예시되어져 있다.
게임 테스트가 선택된 경우라면,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게임 스타트 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고, 게임 스타트 신호가 수신된 경우이고 그 게임이 슬롯머신인 경우라면 데이터베이스(22)에 기저장된 문제들을 랜덤하게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해당 문제내용을 상기 수강자 단말기(2)의 웹화면에 출력시켜 문제를 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상기 수강자 단말기(2)로부터 답선택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고, 답이 선택된 경우에는 정답과 입력된 답을 비교한다.
그리고, 수강자가 선택한 답이 정답인지를 판단하고, 정답인 경우라면 포인트를 부여하고, 오답인 경우에는 다른 문제를 풀도록 제출한다.
또한,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해당 수강자가 모든 문제를 풀었는 지를 판단하고, 문제를 모두 푼 경우라면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 서버(6)는 해당 사원의 포인트를 연산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해당 수강자의 누적 포인트가 기설정 포인트이상인지를 판단하고, 기설정 포인트 이상인 경우라면 해당 사원에게 온라인 강좌 수료증을 발급하여 전송처리한다.
도 5c는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의 메인페이지(24)에서 사이버 학원강좌를 선택한 경우의 절차를 예시한 것으로, 수강자가 상기 수강자 단말기(2)를 통해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에 억세스한 상태에서,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의 메인 페이지에 출력되는 ID와 패스워드 입력란에 ID를 입력하여 수강생 인증을 수행한다.
만약, 해당 수강생이 아직 수강자로서 등록되지 않은 경우라면,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다양한 온라인 학원의 강좌정보를 출력시킨다. 이때, 온라인 학원의 강좌정보는 학원을 기준으로 출력시킬 수도 있지만, 학원의 규모에 대한 선입견을 배제하기 위해 강사정보 및 강좌정보, 수강후기에 대한 정보를 출력시키도록 한다.
그 강좌정보를 열람한 후, 상기 수강자 단말기(2)로부터 특정 강좌 선택신호가 수신된 경우라면,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해당 강좌의 상세 정보를 출력시키고, 해당 강좌에 대한 가입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한다.
강좌 가입신호가 인가된 경우라면,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상기 수강자 단말기(2)로 결제 요청정보를 출력시키고, 결제 여부를 확인하여 ID를 계정처리하고, 해당 수강자를 등록시킨다. 그리고,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 보 관리서버(6)는 해당 강의료를 해당 학원으로 이체시키고, 온라인 학원 운용에 대한 수수료를 해당 학원측으로 부과한다.
수강생이 특정 강좌에 대해 가입된 상태라면,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상기 수강자 단말기(2)로부터 학교, 과목, 강사, 강좌번호를 입력하도록 하여 그 선택신호나 입력신호를 수신받는다.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그 ID를 통해 어느 강좌의 수강생인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수강생이 소속된 강좌가 아닌 다른 온라인 강좌를 선택한 경우라면 가입 요구정보를 통보한다.
상기 수강자 단말기(2)로부터 온라인 강좌의 수강을 위한 선택항목(학년, 과목, 강사, 강좌번호)이 수신된 경우라면,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그 수강자 단말기(2)로부터 강좌파일을 열람할 것인지, 게임 테스트를 실행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받게 되며, 온라인 수강을 소망하는 경우라면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그 수강자 단말기(2)로부터 전송받은 ID를 이용하여 해당 수강자의 출석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해당 선택항목(학년, 과목, 강사, 강좌번호)에 대해 미리 분류된 온라인 강좌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수강자 단말기(2)의 웹화면에 출력시킨다. 이때, 상기 온라인 강좌 파일은 동영상, 텍스트, 화상으로 된 강좌파일이다.
따라서, 수강생은 해당 온라인 강좌파일을 웹상에서 열람하여 강좌를 수강하게 된다. 이때, 해당 학원은 온라인 강좌시스템을 구축할 수 없는 소규모의 학원이 다.
한편,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해당 강좌파일이 종료되었는 지를 판단하고, 강좌파일이 종료된 경우라면 상기 수강자 단말기(2)로부터 강좌 닫기 선택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고, 지속적으로 온라인 강좌를 수강할 경우라면 다시 전단계로 복귀하고, 강좌 웹화면을 닫고자 하는 경우라면 종료처리한다.
반면에, 상기 수강자 단말기(2)로부터 강좌 수강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게임 테스트 선택신호가 수신된 경우라면,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게임 테스트 항목의 서브페이지로 수강자 단말기(2)에 출력되는 웹브라우저를 이동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2a, 2b,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을 통해 출력되는 웹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에 포함된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을 통해 강좌파일을 업로드시키는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5a, 5b,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을 통한 수강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수강자 단말기, 4:강좌정보 제공서버,
6:사이버 통합 학사정보관리서버, 8:학사정보관리서버,
10:DBMS, 22:데이터베이스.

Claims (12)

  1.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에 접속하여 학원 수강생이나 학생의 인증처리를 위한 데이터를 서버측으로 전송하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에 하이퍼텍스트(Hyper text)방식으로 링크된 학교 또는 학원강좌 및 게임 테스트 자료를 열람하여 강좌를 수강하고, 게임 테스트 자료를 통해 수강결과를 테스트받기 위한 자료의 화면 출력 및 선택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강자 단말기(2)와;
    온라인 교육 강좌시스템의 구축을 필요로 하는 다수의 학교 또는 학원들이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에 접속하여 학생 신상자료 및 학교 또는 학원강좌 및 테스트 자료를 업로드시켜 등록시키고, 그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로부터 각 학생의 출결 정보 및 테스트 결과정보를 전송받고, 학원 수강생의 수강료 결제정보 및 테스트 결과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강좌정보 제공서버(4)와;
    다수의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로부터 전송받은 학생 신상자료 및 학교 또는 학원강좌 및 테스트 자료를 통해 인증자료를 분류하고 갱신처리하며, 학교나 학원 강좌자료를 웹상에서 열람 가능하게 처리하고, 테스트 자료를 게임방식으로 자동 선별되게 처리하여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의 접속에 의해 해당 강좌를 수강할 수 있게 하며 그 수강결과를 게임방식으로 테스트하도록 한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는 학교나 학원에 비치된 단말 기일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가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에 업로드시키는 학교 또는 학원강좌자료는 학교나 학원에서 강의하는 자료로서, 동영상 파일, 화상파일, 텍스트파일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가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에 업로드시키는 테스트 자료는 게임 테스트로 변경되기 이전 단계의 문제 출제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수강자 단말기(2)를 통해 접속하는 각 학생이 어느 학교의 소속인지 또는 학원 수강생이 어느 강좌에 대한 수강료를 결제한 수강생인지를 인증할 수 있도록 인증 처리를 수행하고, 해당 학원 수강생이 결제한 강좌만을 수강할 수 있도록 제한하며, 학교의 경우에도 소속된 학교의 강좌만을 수강하도록 제한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그 내부에 접속하는 학생 및 온라인 강의자료 업로더를 인증하고, 강좌파일에 대한 웹 링크 처리를 수행하며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된 온라인 강좌파일 및 게임 테스트 파일의 추출 및 전송을 수행하고,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의 출결을 체크하는 학사정보 관리 서버(8)와; 상기 학사정보 관리서버(8)와 연동되어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DBMS: 10)가 구비되어져 있고, 그 데이터베이스관리서버(10)의 내부에 데이터베이스(22)로부터 파일을 추출 및 갱신 처리하는 파일 처리부(20)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학사정보 관리서버(8)는 내부에 학생과 학원 수강생에 부여된 ID 및 패스워드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처리부(12)가 내장되어져 있으며, 강좌파일을 웹상에 링크되게 처리하는 강좌처리부(16)가 구비되어져 있고,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의 출결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출결 처리부(14)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의 항목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온라인 강좌파일 또는 게임 테스트 파일을 추출하기 위한 파일 추출부(18)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
  7. 제 1항 또는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로부터 전송받은 온라인 강좌파일을 상기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하여 구축할 때, 해당 학교나 학원별, 과목별, 강좌별, 강좌번호별로 분류하여 등록시키고, 수강생 단말기(2)의 각 항목별 선택에 따라 차등적인 온라인 강좌파일이 추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학교 홈페이지에 하이퍼텍스트(Hyper Text) 형태로 온라인 강좌 페이지를 매칭시킨 상태에서, 학생이 해당 학교의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강좌의 선택시 해당 학교의 온라인 강좌 페이지가 직접 출력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학원 홈페이지에 하이퍼텍스트(Hyper Text) 형태로 온라인 강좌 페이지를 매칭시키거나, 학원명을 제외하고 강사명만을 게시함으로써 통합 학원의 형태로 운영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내부에 다수의 학교 또는 학원에 구비된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로부터 학생 신상자료 및 온라인 강좌파일 및 테스트 파일을 수신받으며, 수강자 단말기(2)로부터 학년이나 과목, 강좌번호 선택신호 및 게임 테스트 선택신호를 수신하고, 각 게임 테스트의 답안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수신부와; 상기 수강자 단말기(2)로 온라인 강좌파일을 전송처리하고, 게임테스트 정보를 전송하며, 해당 게임 테스트의 정답정보 및 획득 포인트 정보, 누적 포인트 정보, 수료증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부와; 온라인 강좌자료를 업로드하고, 수강료를 이체받을 수 있도록 학교나 학원의 강좌처를 인증하는 강좌처 인증처리 프로세서와; 다수의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 버(4)로부터 수신받은 온라인 강좌파일 및 테스트 자료를 각 학교나 학원별, 강사별, 과목별, 강좌번호별로 분류하여 등록관리하고, 웹상에서 열람 가능하게 처리하기 위한 교육강좌 관리프로세서와; 다수의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로부터 수신받은 테스트 자료를 게임방식으로 자동 선별되게 처리하여 사원의 접속에 의해 그 게임 테스트파일을 추출하여 제공하며, 수강생으로부터 전송받은 게임테스트에 대한 답안을 처리하는 게임 테스트자료 관리프로세서와; 온라인 강좌파일에 대한 열람의 댓가로 수강생으로부터 강의료를 결제받도록 처리하는 강의료 결제처리 프로세서와;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의 출결 관리를 수행하는 출결관리 프로세서와; 상기 게임 테스트자료 관리프로세서(100)와 연동되어 학생이나 학원 수강생이 입력한 답이 정답으로 판명될 경우, 미리 설정된 포인트를 제공하고, 각 수강생별로 포인트를 누적 처리하는 포인트 부여처리 프로세서와; 상기 포인트 부여처리 프로세서(106)에서 처리된 수강생의 누적 포인트가 기설정 포인트이상일 경우, 해당 수강생에게 해당 온라인 강좌의 수료증을 생성하여 부여하도록 처리하는 수료증 발급관리 프로세서와;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로부터 전송받은 온라인 강좌파일 및 테스트파일을 해당 학교별, 학원별, 학년별, 과목별, 강사별, 강좌번호별로 분류하여 등록시키고, 수강생 신상정보를 소속 강의처별로 분류하여 등록시키고, 수강생의 강의료 결제정보를 저장하고, 각 수강생별 획득 포인트 정보를 저장하며, 게임테스트 처리를 위한 게임 알고리즘이 저장되어져 있고, 수료증 기본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강좌정보 제공서버(4)로부터 온라인 강좌파일 및 테스트파일을 접수받아 등록시키고, 수강자 단말기(2)로부터의 억세스 신호 및 조건설정신호 에 상응하여 각 프로세서를 구동 제어하며, 파일 저장이나 열람시 데이터베이스(22)로부터 파일 추출 및 단말기로의 전송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각 온라인 강좌를 다수의 항목으로 분류하고, 각 온라인 강좌 항목별로 테스트 파일을 출력 가능하게 첨부하여, 각 온라인 강좌항목과 테스트항목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구성되어 수강생의 지루함을 방지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버 통합 학사정보 관리서버(6)는 대리시험이나 책을 찾아보면서 시험을 치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스트 시 답안 클릭속도, 테스트 전체 소요시간, 오답 비율을 통해 차별화된 포인트를 지급하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
KR1020080084547A 2008-08-28 2008-08-28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 KR20100025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547A KR20100025830A (ko) 2008-08-28 2008-08-28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547A KR20100025830A (ko) 2008-08-28 2008-08-28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830A true KR20100025830A (ko) 2010-03-10

Family

ID=42177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547A KR20100025830A (ko) 2008-08-28 2008-08-28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58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185B1 (ko) * 2015-03-18 2016-01-06 주식회사 세인엔씨에스 온라인 강의 제공 및 수강확인에 따른 장학제공 방법
KR102335068B1 (ko) 2020-10-06 2021-12-03 최승환 지역 학교별 내신 대비용 강의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185B1 (ko) * 2015-03-18 2016-01-06 주식회사 세인엔씨에스 온라인 강의 제공 및 수강확인에 따른 장학제공 방법
KR102335068B1 (ko) 2020-10-06 2021-12-03 최승환 지역 학교별 내신 대비용 강의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256B1 (ko)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문항 저작 솔루션 제공 및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 가능한 학습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0838170B1 (ko) e-러닝 학습인증 방법과 관련 시스템
CN107093155A (zh) 一种基于慕课教育的教学管理系统、实现方法
Ahmat et al. Micro-credential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US20140227675A1 (en) Knowledge evaluation system
CN110706530A (zh) 一种基于在线直播的智能教务管理系统和方法
KR100953166B1 (ko) 시험기반의 전자학습 방법
CN106341398A (zh) 平台信息交互方法、装置和系统
US20230260065A1 (en) Enhanced teaching method and security protocol in testing students
US20140322692A1 (en) Methods for online education
KR20090126505A (ko) 쌍방향 맞춤형 온라인 교육 오픈 마켓 플레이스 운영시스템
KR20190137649A (ko) 웹 혹은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스포츠 시설 및 지도자 선택방법
KR20100101718A (ko) 메신저를 이용한 인터넷 학습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과 그 방법을 이용한 컴퓨터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210032129A (ko) 중고등학교 학생의 학교활동 인증방법 및 그 학교생활기록부db의 인증시스템
KR20170130222A (ko) 문제를 풀고 해당 문제의 해설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체계적인 구축 방법
KR20000054518A (ko)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방법 및시스템
KR102289954B1 (ko) 교육 솔루션 시스템
KR20100025830A (ko) 사이버 학사정보 관리시스템
KR101657687B1 (ko) P2p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aso et al. Using Open Badges as certification in a MOOC
KR20100025829A (ko) 사이버 사내교육 관리시스템
KR20200134993A (ko)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교육 방법
KR102605113B1 (ko) 수학교육용 플랫폼 서버
KR102619455B1 (ko) 개인 맞춤형 온라인 학습 시스템
KR102398068B1 (ko) 온라인 강의 제공 기관 맞춤형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