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526B1 -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526B1
KR101416526B1 KR1020130137149A KR20130137149A KR101416526B1 KR 101416526 B1 KR101416526 B1 KR 101416526B1 KR 1020130137149 A KR1020130137149 A KR 1020130137149A KR 20130137149 A KR20130137149 A KR 20130137149A KR 101416526 B1 KR101416526 B1 KR 101416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information
candidate
examination
sim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눔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눔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눔이앤씨
Priority to KR1020130137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국시원의 의사 실기 시험 센터와 동일한 환경으로 모의 실기 시험을 치루고 그 진행 상황을 원격 제어하고 자동 녹화 및 수집하여 채점하여 대학 내 학사 관리시스템과 연동시켜 공유하고 통합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모의 실기 시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진료 장비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모의 실기 시험실에 각각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녹화 시스템, 하나 이상의 녹화 시스템과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 사이에서 원격 제어신호 또는 응시자 정보와 사이 시험 답안 정보 및 각 녹화 시스템의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를 전달하는 스위치 허브, 및 상황 유형별 모의 실기 시험의 실시를 위한 하나 이상의 모의 실기 시험 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시험 날짜와 시작 시간에 각 시험실의 녹화 시스템을 일괄 제어하여 응시자 정보와 사이 시험 답안 정보 및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며 그 각각에 대한 평가 자료를 대학 내 학사 관리시스템과 연동 및 공유시켜 학사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여, 각 의과대학에서의 의사 임상 모의 실기 시험 및 학사 관리를 편리하게 운영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시스템 및 방법{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d evaluating of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본 발명은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국시원 의사 실기 시험 센터와 동일한 환경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모의 실기 시험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을 자동 녹화하여 평가 및 저장하고 대학 내 학사 관리시스템과 연동시켜 공유하고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의과대학에서의 의사 임상 모의 실기 시험 및 학사 관리를 편리하게 운영할 수 있게 하는 의사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09년부터 한국보건 의료인 국가시험원은 의사 국시 실기 시험으로서 진료능력 측정시험(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cpx)과 임상수행능력 측정시험(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osce)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응시자들은 사전에 자신의 실력을 모의로 평가해보고 자신이 수행 가능한 진료 또는 임상 수행 능력을 측정하고 시험 결과를 예상하기 위해 개인적으로 연습을 실시하거나 모의 실기 시험을 치러야 한다.
한편, 최근 정부의 의사 인턴제 폐지와 뉴 레지던트(NR) 제도의 도입이 발표되면서 그간 55년을 넘게 이어온 의사 인턴제가 조만간 폐지될 예정에 있으며, 이에 대비하여 각 대학에서는 각자의 방식대로 여러 가지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서울대 의대의 경우 인턴제 폐지 적용 대상이 되는 학생들(3학년)에게는 자체 인증 시험을 통과해야만 4학년으로 진급시킬 방침을 세우고 있으며, 이를 위해 임상 실습 센터(예를 들어 2013년 지석영 임상 실습 센터 개관)를 구축하고 데이터베이스 연동에 의한 진료 영상 녹화 관리 평가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또한, 가천대 의전원의 경우 의학과 3학년에 대해서는 분야별 통합 임상 실습을, 4학년은 서브인턴제를 20주로 늘려 강화할 계획에 있으며, 성균관대 의대의 경우 의학과 3학년은 임상 실습 내용과 평가를 강화하고 4학년은 서브인턴제 도입 계획을 세우고 있고, 인제대 의대의 경우 임상 실습 기간을 확대하는 것 외에 4개 필수 전문 과목별 교수 1명과 학생 12명이 한 조를 이뤄 환자를 진료할 때 고려해야할 점 등에 대해 토론하는 닥터링 포럼을 도입할 계획이고, 연세 의대와 울산 의대 등도 서브인턴제를 강화할 계획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각 대학별 노력에도 불구하고 의사 인턴제 폐지로 인해 의대생들에게는 여전히 전공 선택을 위한 탐색의 기회가 충분하게 제공되지 못하고 있으며, 임상 경험 부족 등의 우려도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각 대학에서는 국시원에서 시행하는 의사 실기 시험 센터와 동일한 환경의 임상 실기 센터를 구축하여 의대생들에게 모의 실기 시험을 충분히 연습하고 수행할 수 있게 하거나 의대생들의 임상 실습을 강화할 수 있는 온라인 상의 시험 운영 시스템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한편, 종래 온라인 상의 시험 운영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04529호(2003.01.15 공개; 이하 '특허문헌1'이라 약칭함)에는, 예체능계 수험생을 대상으로 인터넷에 의해 모의 실기시험에 대한 안내 및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에 의한 실기 모의 평가방법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 의하면, 운영자의 웹사이트에서 회원가입하여 로그인하면 실기시험에 대한 일반 정보와 함께, 모의실기시험에 대한 예약 및 시험결과에 의한 분석과 대책 방안을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9542호(2013.06.21 등록; 이하 '특허문헌2'이라 약칭함)에는, 응시자의 운전면허 도로주행 시험에 대한 신뢰성을 제공하기 위한 도로주행 시험 검증을 위한 영상기록/검색 시스템 및 영상기록/검색 방법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 의하면, 도로주행 시험에 응시한 응시자의 도로주행 시험을 녹화하여 생성된 영상데이터, 각 채점 이벤트에 대한 시각 정보와 채점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통제실 서버로 전송하는 영상기록장치와, 통제실 서버 상에 설치되어, 검색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검색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채점 정보에 대한 선택에 따라, 그 선택된 채점 정보에 해당하는 시각 정보의 시각부터 영상데이터가 검색 단말로 전송되어 출력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예체능 대입 및 자동차 도로 주행에 관련된 기술로서, 의사 인턴제의 폐지에 따라 파생되는 문제의 해결 방안과는 거리가 먼 기술들이며, 특히 환자의 안전과 생명을 담보로 해야 하는 의사 국시 실기 시험 및 인턴제 폐지에 대한 대책 방안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특허문헌1 KR 10-2003-0004529 A 2003.01.15 공개 특허문헌2 KR 10-1279542 B1 2013.06.21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국시원 의사 실기 시험 센터와 동일한 환경으로 하나 이상의 모의 실기 시험실을 구비하고 각 시험실 내의 모의 실기 시험 및 그 진행 상황을 통제실에서 원격 제어하고 자동 녹화 및 수집하여 평가자 권한의 관리자에 의해 채점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모의 실기 시험 응시자료 및 평가자료를 하나 이상의 대학 내 학사 관리시스템과 연동시켜 공유하고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의과대학에서의 의사 임상 모의 실기 시험 및 학사 관리를 편리하게 운영할 수 있게 하는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모의 실기 시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진료 장비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모의 실기 시험실에 각각 설치되며 스위치 허브에 공통 연결되어 스위치 허브를 통해 제공되는 외부 제어신호 또는 키입력을 통한 자체 제어신호에 의해 모의 실기 시험실 내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를 자동 녹화하고 모의 실기 시험 전 감독관에 의한 모의 실기 시험 상황 유형 입력 및 모의 실기 시험 후 응시자에 의한 사이 시험 답안 작성을 위한 연동 단말기를 구비하여 스위치 허브를 통해 모의 실기 시험 진행과 사이 시험 답안 작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시험안내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하거나 연동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응시자 정보 및 사이 시험 답안 정보를 자동 녹화된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와 함께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에 전송하거나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 정보를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녹화 시스템, 하나 이상의 녹화 시스템과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 사이에 연결되어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의 원격 제어신호를 하나 이상의 녹화 시스템으로 전달하거나 각 녹화 시스템에 연결된 연동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응시자 정보와 사이 시험 답안 정보 및 각 녹화 시스템의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에 전달하는 스위치 허브, 및 출제자 또는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로부터 상황 유형별 모의 실기 시험의 실시를 위한 시험 날짜와 시간 정보, 시험 문제 정보, 및 시험실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모의 실기 시험 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기 등록된 모의 실기 시험 정보에 따른 시험 날짜와 시작 시간에 스위치 허브를 통해 원격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각 시험실의 녹화 시스템을 일괄 제어하며, 각 녹화 시스템에 연결된 연동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응시자 정보와 사이 시험 답안 정보 및 각 녹화 시스템에서 녹화되는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를 스위치 허브를 통해 수집하여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응시자료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응시자료에 대한 평가자 또는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따라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 및 사이 시험 답안 정보와 그 각각에 대한 평가 자료의 입력이 가능한 채점창을 생성하여 제공하고 채점창을 통해 입력되는 해당 평가 자료를 대학 내 학사 관리시스템과 연동 및 공유시켜 학사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시스템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모의 실기 시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진료 장비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시험실에 녹화 시스템 및 그에 연동되는 연동 단말기가 각각 설치되고, 각 녹화 시스템을 스위치 허브를 통해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에 연결하여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에 의해 원격 제어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에 의해 이루어지는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방법에 있어서, (a) 출제자 또는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로부터 상황 유형별 모의 실기 시험의 실시를 위한 시험 날짜와 시간 정보, 시험 문제 정보, 및 시험실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모의 실기 시험 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제1단계, (b) 제1단계에서 기 등록된 모의 실기 시험 정보에 따른 시험 날짜와 시작 시간을 체크하여 해당 시험 날짜와 시간에 각 시험실의 녹화 시스템에 원격 제어신호를 동시에 전송하여 자동 녹화 가능한 상태로 각각 동작 대기시키고 각 녹화 시스템의 연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응시자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 확인하는 제2단계, (c) 제2단계에서 인증 확인된 각 응시자의 시험실 입실 및 퇴실 여부에 따라 각 녹화 시스템을 제어(녹화 개시 및 종료)하여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를 녹화하고, 각 녹화 시스템의 연동 단말기를 통한 사이 시험 문제의 제시 및 답안 작성 안내를 제어하여, 연동 단말기에서의 사이 시험 답안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자동 녹화된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 정보와 사이 시험 답안 정보를 응시자 정보와 함께 각 녹화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제3단계, 및 (d) 제3단계에서 수신된 각 응시자의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 및 사이 시험 답안 정보를 수집하여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응시자료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방법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방법은, (e) 제4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응시자료에 대한 평가자 또는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통제실의 관리자 또는 교수 연구실의 교수 등)의 검색 요청에 따라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 및 사이 시험 답안 정보와 그 각각에 대한 평가 자료의 입력이 가능한 채점창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제5단계, 및 (f) 제5단계에서 생성된 채점창을 통해 해당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 및 사이 시험 답안 정보에 대한 평가 자료의 입력 완료 여부를 확인하여, 평가 자료의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평가자료를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 및 사이 시험 답안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며, 해당 평가 자료를 대학 내 학사 관리시스템과 공유시켜 학사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제6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국시 실기 시험실 내에서 각 응시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실기 시험 진행 상황을 녹화하여 각 응시자별 실기 시험 응시자료로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에 전송할 수 있게 되고, 평가자 권한의 관리자가 채점한 온라인 평가자료를 응시자료와 함께 대응시켜 저장하고 해당 응시자료 및 평가자료를 하나 이상의 대학 내 학사 관리시스템과 연동시켜 공유하고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의과대학에서의 국시 실기 시험 및 학사 관리를 편리하게 운영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여러 장비의 필요한 기능만 모아 하나로 통합하고 원격 제어를 통한 자동 운영이 가능하게 하므로 예산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녹화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상세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의 내부 구성을 상세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통합 관리부 상세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시스템 및 방법의 구성 및 전체적인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이고, 도 2와 도 3은 도 1의 녹화 시스템(100a-100n) 및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300)의 내부 구성을 상세 예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3의 통합 관리부(320) 상세도로서,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크게 하나 이상의 녹화 시스템(100a-100n),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을 하나의 서버로 연결하는 스위치 허브(200), 통제실에 설치되는 모의 국시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300)와 운영자 단말기(301), 및 데이터 베이스(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녹화 시스템(100a-100n)은 모의 실기 시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진료 장비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모의 실기 시험실에 각각 설치되며,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험실 외부에 설치되어 각 녹화 시스템과 연동하는 별도의 연동 단말기(101a)를 구비하고, 마우스 또는 키보드에 의한 키입력을 통해 자체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키입력부(110), 녹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녹화 제어부(120), 영상신호의 입력을 위한 카메라(131), 통제실에서 전송되는 방송 영상신호의 출력을 위한 모니터(133), 음성신호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132), 통제실에서의 실시간 음향 송출이 가능하게 하는 스피커(134), 영상신호와 음성신호의 입출력 처리와 저장 및 영상과 음성의 입/출력 전환을 위한 영상/음성 처리부(140)와 저장부(150),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6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때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의 카메라(131)와 마이크(132)는 하나 이상이 시험실 내부에 각각 설치되며, 특히 카메라(131)는 외부의 원격 제어신호에 의해 녹화를 자동으로 개시하거나 종료할 수 있는 자동 녹화 준비 대기 상태로 모드 전환되고 응시자의 시험실 입실 및 퇴실 여부에 따라 녹화를 개시하고 종료하는 펜 틸트 카메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의 연동 단말기(101a)는 필요에 따라 모의 실기 시험 전 또는 후에 시험 감독관 또는 모의 실기 시험을 마친 응시자에 의해 사용이 가능하도록 시험실 앞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각각의 녹화 시스템(100a-100n)은, 통신부(160)를 통해 스위치 허브(200)에 공통 연결되어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300)로부터 스위치 허브(200)를 통해 제공되는 외부 제어신호(예를 들면 통제실의 원격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모의 실기 시험실 내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를 응시자의 입실 및 퇴실 여부에 따라 자동 녹화할 수 있는 대기상태로 제어되거나 또는 키입력부(110)를 통해 발생되는 자체 제어신호(예를 들면 마우스나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녹화 제어신호)에 의해 모의 실기 시험실 내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를 녹화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녹화 시스템(100a-100n)은,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300)로부터 스위치 허브(200)를 통해 제공되는 모의 실기 시험 진행과 사이 시험 답안 작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시험안내정보를 수신하여 연동 단말기(101a)를 통해 모의 실기 시험 전 감독관에 의한 모의 실기 시험 상황 유형 입력 및 모의 실기 시험 후 응시자에 의한 사이 시험 답안 작성을 안내하고, 아울러 연동 단말기(101a)를 통해 입력되는 응시자 정보 및 사이 시험 답안 정보를 자동 녹화된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와 함께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300)에 전송하며, 연동 단말기(101a) 또는 키입력부(110)를 통한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 정보를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단말기의 모니터에 표시한다. 이때 연동 단말기(101a)를 통해 제공되는 시험안내정보는, 감독관에 의한 모의 실기 시험 상황 유형 입력 안내, 응시자의 시험실 앞 대기와 입실 및 응시자 정보(응시번호 및 이름)의 입력 안내, 인증 확인된 각 응시자에 대한 시험의 시작과 상황 유형 숙지 후 시험실 입장안내, 사이 시험 문제의 제시 및 답안 작성 안내 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안내정보일 수 있다.
스위치 허브(200)는 하나 이상의 녹화 시스템(100a-100n)과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300) 사이에 연결되어,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300)의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으로 전달하거나 각 녹화 시스템에 연결된 연동 단말기(101a)를 통해 입력되는 응시자 정보와 사이 시험 답안 정보 및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의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300)에 전달한다.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300)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제어부(310)와 통합 관리부(320) 및 통신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통합 관리부(320)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학사 관리부(321)와 자료 녹화 관리부(322)와 모의 국시 운영 관리부(323) 및 모의 국시 평가 관리부(3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앙 제어부(310)는 통합 관리부(320)의 모의 국시 운영 관리부(323)와 연계하여 운영자 단말기(301)를 통해 출제자 또는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로부터 상황 유형별 모의 실기 시험의 실시를 위한 시험 날짜와 시간(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 정보, 시험 문제 정보, 및 시험실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모의 실기 시험 정보를 등록받아 데이터 베이스(400)에 저장한다.
또한 중앙 제어부(310)는 통합 관리부(320)의 자료 녹화 관리부(322) 및 모의 국시 운영 관리부(323)와 연계하여, 기 등록된 모의 실기 시험 정보에 따른 시험 날짜와 시작 시간에 각 시험실의 녹화 시스템(100a-100n)을 일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신호를 통신부(330)로 출력하여 스위치 허브(200)를 통해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으로 전달함으로써 각 녹화시스템(100a-100n)을 기 등록된 모의 실기 시험 일정에 맞게 일괄적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앙 제어부(310)는 통합 관리부(320)의 자료 녹화 관리부(322) 및 모의 국시 운영 관리부(323)와 연계하여,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에 연결된 연동 단말기(101a)를 통해 입력되는 응시자 정보와 사이 시험 답안 정보 및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의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를 스위치 허브(200) 및 통신부(330)를 통해 수집하여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응시자료로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중앙 제어부(310)는 통합 관리부(320)의 학사 관리부(321) 및 모의 국시 평가 관리부(324)와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응시자료에 대한 평가자 또는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통제실의 관리자 또는 교수 연구실의 교수 등)의 검색 요청에 따라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 및 사이 시험 답안 정보와 그 각각에 대한 평가 자료의 입력이 가능한 채점창을 생성하여 제공하고, 채점창을 통한 해당 평가 자료를 대학 내 학사 관리시스템과 연동 및 공유시켜 학사 정보를 통합 관리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동작 흐름도로서, 본 발명 방법은 크게 제1단계 내지 제6단계로 구분되어 이루어지며, 모의 실기 시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진료 장비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시험실에 녹화 시스템(100a-100n) 및 그에 연동되는 연동 단말기(101a)가 각각 설치되고,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을 스위치 허브(200)를 통해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300)에 연결하여 구성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300)에 의해 이루어지는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방법이다.
제1단계는 운영자 단말기(301)를 통해 출제자 또는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로부터 상황 유형별 모의 실기 시험의 실시를 위한 시험 날짜와 시간(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 정보, 시험 문제 정보, 및 시험실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모의 실기 시험 정보를 등록받아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하는 단계(S301)이다.
제2단계는 제1단계에서 기 등록된 모의 실기 시험 정보에 따른 시험 날짜와 시작 시간을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300)가 체크하여 해당 시험 날짜와 시간에 각 시험실의 녹화 시스템에 원격 제어신호를 동시에 전송하여 자동 녹화 가능한 상태로 각각 동작 대기시키고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의 연동 단말기(101a)로부터 전송되는 응시자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 확인하는 단계(S302-S312)이다.
이러한 제2단계는 제1단계에서 기 등록된 모의 실기 시험 정보에 따른 시험 날짜와 시작 시간을 체크하는 단계(S302,S303), 해당 날짜와 시간에 각 시험실의 녹화 시스템(100a-100n)에 원격 제어신호를 동시에 전송하여 자동 녹화 가능한 상태로 각각 동작 대기시키는 단계(S304),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의 연동 단말기(101a)에 해당 모의 실기 시험의 상황 유형 입력을 위한 안내 화면을 제시하는 단계(S305), 감독관에 의한 상황 유형 입력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06),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의 연동 단말기(101a)에 감독관의 시험문제 설정 및 배포안내와 응시자의 시험실 앞 대기와 입실 안내 및 응시자 정보(응시번호 및 이름)의 입력을 안내하는 단계(S307-S309), 및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의 연동 단말기(101a)로부터 입력 및 전송되는 응시자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 확인 또는 에러 메시지 출력하는 단계(S310-S3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3단계는 제2단계에서 인증 확인된 각 응시자의 시험실 입실 및 퇴실 여부에 따라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을 제어(녹화 개시 및 종료)하여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를 자동 녹화하고,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의 연동 단말기(101a)를 통한 사이 시험 문제의 제시 및 답안 작성 안내를 제어하여, 연동 단말기(101a)에서의 사이 시험 답안 작성이 완료되면 자동 녹화된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 정보와 사이 시험 답안 정보를 응시자 정보와 함께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313-S320)이다. 이러한 제3단계는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의 연동 단말기(101a)에 제2단계에서 인증 확인된 각 응시자에 대한 시험의 시작과 상황 유형 숙지 후 시험실 입장을 권고하는 안내 화면을 제시하는 단계(S313), 각 시험실의 응시자 입실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S314), 응시자의 입실이 확인되면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에서의 녹화를 개시하는 단계(S315), 각 시험실의 응시자 퇴실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S316), 응시자의 퇴실이 확인되면 녹화를 종료하고 녹화된 각 응시자의 모의 실기시험 진행상황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317), 자동 녹화 종료 후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의 연동 단말기(101a)를 통해 사이 시험 문제를 제시하고 답안 작성을 안내하여 응시자로 하여금 사이 시험 답안을 작성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단계(S318), 사이 시험 답안의 작성이 완료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319), 및 사이 시험 답안 작성이 완료되면 작성된 사이 시험 답안 정보를 녹화된 모의 실기시험 진행상황 영상정보 및 응시자 정보와 함께 스위치 허브(200)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S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4단계(d)는 제3단계에서 수신된 각 응시자의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 및 사이 시험 답안 정보를 수집하여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응시자료로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S321)이다.
제5단계(e)는 제4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응시자료에 대한 평가자 또는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통제실의 관리자 또는 교수 연구실의 교수 등)의 검색 요청에 따라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 및 사이 시험 답안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S322), 및 검색된 각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 및 사이 시험 답안 정보에 대한 평가 자료의 입력이 가능한 채점창을 생성하여 함께 제공하는 단계(S323)이다.
제6단계는 제5단계에서 생성된 채점창을 통해 해당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 및 사이 시험 답안 정보에 대한 평가 자료의 입력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24), 평가 자료의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평가자료를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 및 사이 시험 답안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 저장하는 단계(S325), 및 해당 평가 자료를 대학 내 학사 관리시스템과 공유시켜 학사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단계(S3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시스템 및 방법에서의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단계에서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300)는 운영자 단말기(301)를 통해 출제자 또는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로부터 상황 유형별 모의 실기 시험의 실시를 위한 시험 날짜와 시간(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 정보, 시험 문제 정보, 및 시험실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모의 실기 시험 정보를 등록받아 데이터베이스(400)에 등록 및 저장(S301)한다.
이와 같이 하나 이상의 모의 실기 시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400)에 등록된 상태이면,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300)는 기 등록된 모의 실기 시험 정보에 따른 시험 날짜와 시간(예를 들면 모의 실기 시험 시작 시간)을 체크(S302)하여 해당 시험 날짜와 시간이 도래하는지를 판단(S303)한다.
상기 판단 결과, 기등록된 시험 날짜와 시간(예를 들면 시험 시작 시간)이 도래하면(S303의 Y분기), 통신부(330)와 스위치 허브(200)를 통해 각 시험실의 녹화 시스템(100a-100n)에 원격 제어신호를 동시에 전송(S304)하여 각 각 시험실의 녹화 시스템(100a-100n)을 자동 녹화 가능한 상태로 각각 동작 대기시킨다. 아울러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300)는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의 연동 단말기(101a)에 해당 모의 실기 시험의 상황 유형 입력을 위한 안내 화면을 제시(S305)하여 감독관으로 하여금 모의 실기 시험의 상황 유형을 입력할 수 있도록 안내하면서 감독관에 의해 상황 유형 입력이 완료되는지의 여부를 확인(S306)한다.
이때, 감독관에 의해 상황 유형 입력이 완료되면(S306의 Y분기), 다시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의 연동 단말기(101a)에 감독관의 시험문제 설정 및 배포안내(S307), 응시자의 시험실 앞 대기안내(S308), 입실 안내 및 응시자 정보(응시번호 및 이름)의 입력을 차례로 안내(S309)한다.
응시자 정보(응시번호 및 이름)의 입력이 확인되면(S310의 Y분기)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의 연동 단말기(101a)로부터 입력 및 전송되는 응시자 정보를 수신하여 응시자 정보의 인증을 실시(S311)하고, 인증 확인되지 않은 응시자 정보에 대해서는 에러 메시지 출력(S312)하여 응시자 정보를 다시 입력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응시자 정보 입력단계로 복귀한다.
제3단계에서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300)는 인증 확인된 응시자 정보에 대해서는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의 연동 단말기(101a)를 통해 모의 실시 시험의 시작 및 상황 유형 숙지 후 시험실에 입실할 수 있도록 안내(S313)하면서, 인증 확인된 각 응시자의 시험실 입실 여부를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의 연동 단말기(101a)를 통해 입력되는 응시자 입실 확인신호로 판단 (S314)하여 입실이 확인되면(S314의 Y분기)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의 자동 녹화가 개시되도록 제어(S315)하고 응시자의 시험실 퇴실 여부를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의 연동 단말기(101a)를 통해 입력되는 응시자 퇴실 확인신호로 판단 (S316)하여 퇴실이 확인되면(S316의 Y분기)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의 자동 녹화 종료 및 녹화된 영상 정보의 자동 저장(S317)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의 자동 녹화를 수행하고 녹화된 영상은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의 저장부(150)에 개별 저장되게 제어한다.
이어서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300)는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의 연동 단말기(101a)를 통한 사이 시험 문제의 제시 및 답안 작성을 안내(S318)하면서, 연동 단말기(101a)를 통해 응시자에 의한 사이 시험 답안 작성이 완료되는지의 여부를 확인(S319)하고, 연동 단말기(101a)에서의 사이 시험 답안 작성이 완료되면(S319의 Y분기), 모의 실기 시험을 종료하고 자동 녹화된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 정보와 사이 시험 답안 정보를 응시자 정보와 함께 각 녹화 시스템(100a-100n)으로부터 스위치 허브(200)를 통해 수신(S320)한다.
제4단계에서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300)는 제3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녹화 시스템(100a-100n)으로부터 수신된 각 응시자의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 및 사이 시험 답안 정보를 수집하여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응시자료로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 및 관리(S321)한다.
제5단계에서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300)는 제4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응시자료에 대한 평가자 또는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통제실의 관리자 또는 교수 연구실의 교수 등)의 실시간 검색 요청에 따라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 및 사이 시험 답안 정보를 검색(S322)하여 제시하고, 그 검색된 각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 및 사이 시험 답안 정보에 대한 평가 자료의 입력이 가능한 채점창을 생성하여 함께 제공(S323)함으로써, 모의 실기 시험 응시자료에 대한 평가자 또는 관리자 권한을 가진 통제실의 관리자 또는 교수 연구실의 교수 등으로 하여금 모의 실기 시험 진행상황 영상정보 및 사이 시험 답안 정보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평가하고 입력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제6단계에서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300)는 제5단계에서 생성된 채점창을 통해 해당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 및 사이 시험 답안 정보에 대한 평가 자료의 입력 완료 여부를 확인(S324)하여, 평가 자료의 입력이 완료되면(S324의 Y분기) 입력된 평가자료를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 및 사이 시험 답안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 저장(S325)하고, 해당 평가 자료를 대학 내 학사 관리시스템과 공유시켜 학사 정보를 통합 관리(S326) 가능하게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모의 실기 시험 시간/시험 문제/시험실 등의 설정을 통해 상황 유형의 소개-시험 녹화-사이 시험이 기등록된 모의 실기 시험 사이클에 맞추어 자동으로 시험이 진행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해 학번/응시 번호/시험 시간/시험실/시험 일자 등으로 자유로운 검색과 녹화 영상 다운로드, 디브리핑, 녹화된 영상을 통한 평가가 가능하게 되므로, 각 의과대학에서의 국시 실기 시험 및 학사 관리를 편리하게 운영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여러 장비의 필요한 기능만 모아 하나로 통합하고 원격 제어를 통한 자동 운영이 가능하게 하므로 예산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a-100n : 녹화 시스템 101a : 연동 단말기
110 : 키입력부 120 : 녹화 제어부
131 : 카메라 132 : 마이크
133 : 모니터 134 : 스피커
140 : 영상/음성 처리부 150 : 저장부
160,330 : 통신부 200 : 스위치 허브
300 : 모의 국시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
301 : 운영자 단말기 310 : 중앙 제어부
320 : 통합 관리부 321 : 학사 관리부
322 : 자료 녹화 관리부 323 : 모의 국시 운영 관리부
324 : 모의 국시 평가 관리부 400 : 데이터베이스

Claims (8)

  1. 모의 실기 시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진료 장비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모의 실기 시험실에 각각 설치되며, 스위치 허브에 공통 연결되어 스위치 허브를 통해 제공되는 외부 제어신호 또는 키입력을 통한 자체 제어신호에 의해 모의 실기 시험실 내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를 자동 녹화하고, 모의 실기 시험 전 감독관에 의한 모의 실기 시험 상황 유형 입력 및 모의 실기 시험 후 응시자에 의한 사이 시험 답안 작성을 위한 연동 단말기를 구비하여 스위치 허브를 통해 모의 실기 시험 진행과 사이 시험 답안 작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시험안내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하거나 연동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응시자 정보 및 사이 시험 답안 정보를 상기 자동 녹화된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와 함께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에 전송하거나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 정보를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녹화 시스템;
    상기 하나 이상의 녹화 시스템과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 사이에 연결되어,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의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녹화 시스템으로 전달하거나 각 녹화 시스템에 연결된 연동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응시자 정보와 사이 시험 답안 정보 및 각 녹화 시스템의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에 전달하는 스위치 허브; 및
    출제자 또는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로부터 상황 유형별 모의 실기 시험의 실시를 위한 시험 날짜와 시간 정보, 시험 문제 정보, 및 시험실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모의 실기 시험 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기 등록된 모의 실기 시험 정보에 따른 시험 날짜와 시작 시간에 각 시험실의 녹화 시스템을 일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치 허브를 통해 각 녹화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각 녹화 시스템에 연결된 연동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응시자 정보와 사이 시험 답안 정보 및 각 녹화 시스템의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를 스위치 허브를 통해 수집하여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응시자료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응시자료에 대한 평가자 또는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따라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 및 사이 시험 답안 정보와 그 각각에 대한 평가 자료의 입력이 가능한 채점창을 생성하여 제공하고, 채점창을 통한 해당 평가 자료를 대학 내 학사 관리시스템과 연동 및 공유시켜 학사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 녹화 시스템은,
    하나 이상이 시험실 내부에 각각 설치되며 외부의 원격 제어신호에 의해 녹화를 자동으로 개시하거나 종료할 수 있는 자동 녹화 준비 대기 상태로 모드 전환되고, 응시자의 시험실 입실 및 퇴실 여부 (녹화 시스템의 연동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응시자 입실 확인신호 또는 퇴실 확인신호) 에 따라 녹화를 개시하고 종료하는 펜 틸트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동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시험안내정보는,
    감독관에 의한 모의 실기 시험 상황 유형 입력 안내, 응시자의 시험실 앞 대기와 입실 및 응시자 정보의 입력 안내, 인증 확인된 각 응시자에 대한 시험의 시작과 상황 유형 숙지 후 시험실 입장안내, 사이 시험 문제의 제시 및 답안 작성 안내 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안내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모의 실기 시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진료 장비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시험실에 녹화 시스템 및 그에 연동되는 연동 단말기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 녹화 시스템을 스위치 허브를 통해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에 연결하여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에 의해 원격 제어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모의 국시 운영 및 평가 관리서버에 의해 이루어지는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방법에 있어서,
    (a) 출제자 또는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로부터 상황 유형별 모의 실기 시험의 실시를 위한 시험 날짜와 시간 정보, 시험 문제 정보, 및 시험실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모의 실기 시험 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제1단계;
    (b) 제1단계에서 기 등록된 모의 실기 시험 정보에 따른 시험 날짜와 시작 시간을 체크하여 해당 시험 날짜와 시간에 각 시험실의 녹화 시스템에 원격 제어신호를 동시에 전송하여 자동 녹화 가능한 상태로 각각 동작 대기시키고 각 녹화 시스템의 연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응시자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 확인하는 제2단계;
    (c) 제2단계에서 인증 확인된 각 응시자의 시험실 입실 및 퇴실 여부 를 녹화 시스템의 연동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응시자 입실 확인신호 또는 퇴실 확인신호에 따라 판단하여 각 녹화 시스템을 제어하여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를 녹화하고, 각 녹화 시스템의 연동 단말기를 통한 사이 시험 문제의 제시 및 답안 작성 안내를 제어하여, 연동 단말기에서의 사이 시험 답안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자동 녹화된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 정보와 사이 시험 답안 정보를 응시자 정보와 함께 각 녹화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제3단계;
    (d) 제3단계에서 수신된 각 응시자의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 및 사이 시험 답안 정보를 수집하여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응시자료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는 제4단계;
    (e) 제4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응시자료에 대한 평가자 또는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따라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 및 사이 시험 답안 정보와 그 각각에 대한 평가 자료의 입력이 가능한 채점창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제5단계; 및
    (f) 제5단계에서 생성된 채점창을 통해 해당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 및 사이 시험 답안 정보에 대한 평가 자료의 입력 완료 여부를 확인하여, 평가 자료의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평가자료를 각 응시자별 모의 실기 시험 진행 상황 영상정보 및 사이 시험 답안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며, 해당 평가 자료를 대학 내 학사 관리시스템과 공유시켜 학사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b)는,
    (b1) 제1단계에서 기 등록된 모의 실기 시험 정보에 따른 시험 날짜와 시작 시간을 체크하여 해당 날짜와 시간에 각 시험실의 녹화 시스템에 원격 제어신호를 동시에 전송하여 자동 녹화 가능한 상태로 각각 동작 대기시키는 단계;
    (b2) 각 녹화 시스템의 연동 단말기에 해당 모의 실기 시험의 상황 유형 입력을 위한 안내 화면을 제시하고 감독관에 의한 상황 유형 입력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b3) 각 녹화 시스템의 연동 단말기에 응시자의 시험실 앞 대기와 입실 안내 및 응시자 정보의 입력을 안내하고, 각 녹화 시스템의 연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응시자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c)는,
    (c1) 각 녹화 시스템의 연동 단말기에 제2단계에서 인증 확인된 각 응시자에 대한 시험의 시작과 상황 유형 숙지 후 시험실 입장을 권고하는 안내 화면을 제시하는 단계;
    (c2) 각 시험실의 응시자 입실 및 퇴실 여부를 녹화 시스템의 연동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응시자 입실 확인신호 또는 퇴실 확인신호에 따라 판단 하여, 응시자의 입실이 확인되면 각 녹화 시스템에서의 녹화를 개시하고 응시자의 퇴실이 확인되면 녹화를 종료하여 각 응시자의 모의 실기시험 진행상황 영상정보를 자동 녹화하는 단계;
    (c3) 자동 녹화가 종료되면 각 녹화 시스템의 연동 단말기를 통해 사이 시험 문제를 제시하고 답안 작성을 안내하여 응시자로 하여금 사이 시험 답안을 작성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단계; 및
    (c4) 사이 시험 답안의 작성이 완료되면 작성된 사이 시험 답안 정보를 녹화된 모의 실기시험 진행상황 영상정보 및 응시자 정보와 함께 스위치 허브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방법.
KR1020130137149A 2013-11-12 2013-11-12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416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149A KR101416526B1 (ko) 2013-11-12 2013-11-12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149A KR101416526B1 (ko) 2013-11-12 2013-11-12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6526B1 true KR101416526B1 (ko) 2014-07-09

Family

ID=51741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149A KR101416526B1 (ko) 2013-11-12 2013-11-12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5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981B1 (ko) * 2016-01-05 2017-07-0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렌돔 방식의 시험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6934985A (zh) * 2017-02-20 2017-07-07 北京印刷学院 一种考场监考的系统和该系统的使用方法
CN111176523A (zh) * 2019-12-18 2020-05-19 广州盈可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截图方法和装置
CN113177866A (zh) * 2021-04-08 2021-07-27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南宁局 考评系统
KR20230069375A (ko) 2021-11-12 2023-05-19 주식회사 더파워 학습자 반응형 의료 학습정보 제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170A (ko) * 2002-09-03 2004-03-10 주식회사 이코리아이십일 온라인 네트웍을 이용한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84547A (ko) * 2005-01-20 2006-07-25 이종욱 영상장치를 사용한 실기능력 인증 방법
KR20090066825A (ko) * 2007-12-20 2009-06-24 김재우 예체능 실기 모의고사 시행시스템
KR20110092633A (ko) * 2010-02-10 2011-08-18 최정택 웹 기반의 의료교육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170A (ko) * 2002-09-03 2004-03-10 주식회사 이코리아이십일 온라인 네트웍을 이용한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84547A (ko) * 2005-01-20 2006-07-25 이종욱 영상장치를 사용한 실기능력 인증 방법
KR20090066825A (ko) * 2007-12-20 2009-06-24 김재우 예체능 실기 모의고사 시행시스템
KR20110092633A (ko) * 2010-02-10 2011-08-18 최정택 웹 기반의 의료교육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981B1 (ko) * 2016-01-05 2017-07-0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렌돔 방식의 시험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6934985A (zh) * 2017-02-20 2017-07-07 北京印刷学院 一种考场监考的系统和该系统的使用方法
CN111176523A (zh) * 2019-12-18 2020-05-19 广州盈可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截图方法和装置
CN113177866A (zh) * 2021-04-08 2021-07-27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南宁局 考评系统
CN113177866B (zh) * 2021-04-08 2024-01-02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南宁局 考评系统
KR20230069375A (ko) 2021-11-12 2023-05-19 주식회사 더파워 학습자 반응형 의료 학습정보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vey et al. Negotiating pedagogical challenges in the shift from face-to-face to fully online learning: A case study of collaborative design solutions by learning designers and subject matter experts
Owan et al. Exploring the potenti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ols in educational measurement and assessment
KR101416526B1 (ko) 임상 모의 실기 시험 운영 및 평가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080028597A (ko) e-러닝 학습인증 방법과 관련 시스템
KR20090097532A (ko) 강사 맞춤형 온라인 문제은행 학습시스템 및 방법
CN110503582A (zh) 基于混合现实及多维现实技术的群体互动教育云系统
Şen Zeytun An investigation of prospective teachers’ mathematical modelling processes and their views about factors affecting these processes
KR101012420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수준별 다자간 그룹 외국어 회화 학습 시스템
Pollock et al. Field experiences in teaching computer science: Course organization and reflections
Aguiar Applied theatre in peacebuilding and development
Hellaby Healthcare simulation in practice
Drljević et al. Observing student engagement during augmented reality learning in early primary school
Perryman et al. Developing interpersonal and counseling skills through mixed-reality simulation in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KR20220032458A (ko) 원격 강의 방법 및 시스템
Davenport et al. Athletic Training Educators' Perceptions of Using Standardized Patients in Teaching
Shevchuk Criminalistic didactics in modern conditions of war and digital technologies
Coflan et al. Understanding effective teaching practices in Chinese classrooms: evidence from a pilot study of primary and junior secondary schools in Guangdong, China
CN113268512B (zh) 基于互联网平台的企业岗位职业技能培训系统
Barmaki Gesture assessment of teachers in an immersive rehearsal environment
Lewis et al. Using video capture technology to enhance student performance
KR20170074083A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주산 교육 방법
Means et al. Enhancing Clinical Supervision Using High-Definition Real-Time Digital Recording, Annotation, and Bluetooth Technology
RU2761714C1 (ru)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ая образовательная платформа симуляционного экзамена и тренинга (ТОПСЭТ)
Wyatt-Smith et al. Assessment for learning: An Australian study in middle schooling
ALI MOBILE BASED TUTORING SYSTEM IN DISTANCE LEARNING: THE CASE OF ST. MARY’S UNIVERS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