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7572A -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좌가 개설되도록 하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좌가 개설되도록 하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7572A
KR20210127572A KR1020200045609A KR20200045609A KR20210127572A KR 20210127572 A KR20210127572 A KR 20210127572A KR 1020200045609 A KR1020200045609 A KR 1020200045609A KR 20200045609 A KR20200045609 A KR 20200045609A KR 20210127572 A KR20210127572 A KR 20210127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rse
lecture
instructor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360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360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360
Priority to KR1020200045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7572A/ko
Publication of KR20210127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5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Abstract

본 발명은 강의를 수강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강사, 과목, 강의 방식 등으로 강좌가 개설되도록 신청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좌가 개설되도록 하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클라이언트와 클라이언트에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강의 솔루션을 전송하는 운영서버 및 운영서 버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며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서,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이용자가 운영서버에 접속하면, 회원정보 DB로부터 등록된 회원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이용자가 회원인 경우에 회원으로부터 수강하고자 하는 과목과 강사를 요청받는 단계와, 회원의 요청 과목을 과목정보 DB와 강사정보 DB로부터 확인하여 강의 과목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과목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와, 과목정보 DB에 일치하는 과목이 있는 경우에 과목을 강좌로 개설하는 단계와, 과목정보 DB에 일치하는 과목이 없는 경우에는, 회원이 요청한 강사의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와, 강사가 있는 경우에는 강사의 강의 솔류션을 구축 하여 강좌정보 DB에 저장하고 회원이 수강 가능한 강좌를 개설하는 단계와, 개설된 강좌가 등급별 수준으로 나누어진 경우에 강좌를 수강하는 회원을 테스트하여 회원을 등급별로 재분류하는 단계, 및 등급별로 분류된 회원에게 강좌의 강의 솔루션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좌가 개설되도록 하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Customized online education system that allows users to open courses suitable for users}
본 발명은 온라인 강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의를 수강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강사, 과목, 강의 방식 등으로 강좌가 개설되도록 신청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좌가 개설되도록 하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사용의 대중화는 정보통신의 급격한 발전은 물론 모든 산업분야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중의 하나인 교육 부분에서는 인터넷을 매개체로 한 원격 교육을 통해 학원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에는 인터넷으로 강의할 내용을 일방적으로 또는 작성한 학습 자료를 동영상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영상으로 제작하고, 이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형태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은 제공된 학습 자료를 작성 후 교육 결과를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자신의 수준에 맞는 강의 솔루션을 효과적으로 선택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특정 강사에게 강의를 요구할 수도 없었다. 따라서,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은 단지 제공되는 내용만을 학습하기 때문에 효율성을 높이지 못하고 있고, 오히려 화면의 불러오기(Loading) 시간의 지체와 모니터를 이용한 학습은 교과서를 이용한 학습에 익숙해져 있는 이용자에서 상당한 부담을 주고 있는 형편이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이용자의 수준에 따라서 강의 솔루션에 따라 수강할 수 있도록 일정한 테스트를 거쳐 강의 등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있으나, 이러한 테스트는 자신의 등급이 달라지면 이용자가 원하는 강사로부터 강의 수강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으로 강의를 수강하고자 하는 이용자 자신이 운영서버에 자신이 필요한 강사, 과목, 강의 방식, 수강료 등을 신청하여 해당 강좌가 개설되도록 요청하고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좌가 개설되도록 하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좌가 개설되도록 하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클라이언트와 클라이 언트에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강의 솔루션을 전송하는 운영서버 및 운영서버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며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며,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클라이언트, 상기 클라이언트에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강의 솔루션을 전송하는 운영서버 및 상기 운영서버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는 온라인 교육방법에 있어서,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 이언트 이용자가 운영서버에 접속하면, 회원정보 DB로부터 등록된 회원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가 회원인 경우에 상기 회원은 수강하고자 하는 과목과 강사를 신청하는 단계, 상기 회원이 신청한 강사를 강사정보 DB로부터 확인하여 일치하는 강사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회원이 신청한 과목을 과목정보 DB로부터 확인하여 일치하는 과목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회원이 신청한 강사 및 과목이 모두 있으면 해당 강사의 강의 솔루션을 구축하여 강좌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회원이 수강 가능한 강좌를 개설하는 단계, 상기 개설된 강좌가 등급별 수준으로 나누어진 경우에 상기 강좌를 수강하는 회원을 테스트하여 상기 회원을 등급별로 재분류하는 단계, 상기 등급별로 분류된 회원에게 상기 강좌의 강의 솔루션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맞춤형 온라인 교육 방법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클라이언트와, 상기 클라이언트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강의 솔루션을 전송하는 운영서버 및 상기 운영서버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인터넷으로 강의를 수강하고자 하는 이용자를 회원으로 등록받아 상기 회원에 관한 정보를 회원정보 DB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회원 등록모듈, 상기 인터넷으로 제공되는 과목의 강좌를 개설하여 상기 회원에게 강의를 제공하는 강사에 관한 정보를 강사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회원이 신청한 강사를 섭외하고 관리하는 강사 관리모 듈, 상기 강사가 제공하는 강의 과목과 강의 등급에 따른 강의 솔루션에 관한 정보를 강좌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강의 과목과 강의 등급에 따른 강좌를 개설하는 강좌 구축모듈, 상기 강의 등급에 따른 수강 회원의 수준을 테스트하고 상기 테스트 결과에 따라 강의 등급을 분류하는 테스트 분석모듈, 상기 강좌별 강의 솔루션을 상기 회원에게 강의 솔루션을 전송하는 통신 관리모듈 및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회원이 과목 및 강사를 선택하여 해당 강좌의 개설을 요청하면,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회원이 요청한 강좌를 개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좌가 개설되도록 하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터넷으로 강의를 수강하고자 하는 이용자 자신이 운영서버에 수강하고자 하는 과목 및 강사를 요구하면 해당 강사의 과목을 강좌로서 개설시킴으로써 이용자가 선택한 강사와 과목을 수강할 수 있다.
또한 강의를 수강하고자 하는 이용자가 자신이 필요한 강사, 과목, 강의 방식, 수강료 등을 신청하여 해당 강좌를 개설시켜 수강할 수 있으므로 강의를 받기 위해 강좌가 개설되는 교육 사이트를 찾는 소비적인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좌가 개설되도록 하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좌가 개설되도록 하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의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좌가 개설되도록 하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의 작용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좌가 개설되도록 하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의 맞춤형 역교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좌가 개설되도록 하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좌가 개설되도록 하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좌가 개설되도록 하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의 작용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좌가 개설되도록 하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인터넷을 이용해서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서버(200)와, TCP/IP 혹은 WAP을 통해 운영서버(200)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안내받는 클라이언트(100)를 포함하고, 운영서버와 클라이언트(100)를 네트위크로 연결시키는 인터넷망(300)으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운영서버(200)는 회원 등록모듈(202), 강사 관리모듈(204), 학원 관리모듈(205), 강좌 구축모듈(206), 테스트 분석모듈(208), 통신 관리모듈(210) 및 제어모듈(212)로 구성되며, 각종 데이터베이스(214~220DB)와 연동된다.
데이터베이스는 등록한 회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 DB(214), 운영서버를 통해 강의를 제공하는 강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강사정보 DB(216), 각 강사가 개설할 수 있는 과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과목정보 DB(218) 및 각 과목의 인터넷 강의 솔루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강좌정보 DB(220)를 포함한다. 강좌정보 DB(220)에 저장 되는 강의 솔루션은 텍스트 중심의 문서형으로 구성되거 나, 음성과 화상이 포함된 동영상형으로 구축될 수 있다.
회원 등록모듈(202)은 각종 과목을 수강하고자 하는 이용자를 회원으로 등록받고, 회원에 관한 정보를 회원정보 DB(214)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때, 회원으로 등록하는 이용자는 회원 ID와 비밀번호를 비롯하여 관심분야 및 관심과목을 필수항목으로 등록한다.
강사 관리모듈(204)은 회원에게 강의하는 강사에 대한 정보를 강사정보 DB(216)에 저장하고, 강사가 강의하는 과목에 관한 정보를 과목정보 DB(218)에 저장하여 강사 및 해당 과목을 과목과 강사에 대한 정보를 회원에게 제공할 수있도록 한다. 즉, 강의 과목에 따라 강사별 리스트가 제공되거나 또는 강사에 따라 강의 과목이 리스트별로 제공된다.
학원 관리모듈(205)은 오프라인에서 인터넷으로 개설된 강좌와 동일한 내용의 강의 솔루션을 회원에게 제공하는 전문학원에 대한 정보를 학원정보 DB(215)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따라서, 인터넷으로 강의 솔루션을 제공받은 회원은 오프라인에서 동일한 내용을 강의하거나 또는 강의 받은 중에서 발생하는 의문 사항을 해결할 수 있다.
강좌 구축모듈(206)은 회원이 과목 및 강사를 선택하면 해당 강의 솔루션을 강의하기 위해 개설되는 강좌를 관리하 며, 운영서버(200)의 과목정보 DB(218)와 강사정보 DB(216)에 과목 및 강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회원이 요청한 과목 및 강사를 섭외하여 강좌를 개설하는 것을 관리한다. 이때, 강좌정보 DB(220)에 저장되는 강의 솔루션은 텍스트 형태의 솔루션, 음성 솔루션, 텍스트와 음성을 결합시 킨 솔루션, 텍스트, 음성 및 화상을 결합한 솔루센, 동화상 솔루션 등 다양한 형태로 구축할 수 있다.
테스트 분석모듈(208)은 개설된 강좌가 일정한 등급으로 분류된 경우에 수강하는 회원의 현재 수강 능력을 테스트하고 테스트 결과에 따라 강의 등급을 분류하는 하는 것을 관리한다.
통신 관리모듈(210)은 강의를 신청한 회원에서 강좌에 해당하는 강의 솔루션을 전송하는 것을 관리한다. 이때, 통신 관리모듈(210)은 운영서버에 접속한 유·무선 클라이언트 이용자에게 전송하고, 회원의 요청에 따라 이메일 등으로 필요한 부분의 강의 내용을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모듈(212)은 각 모듈을 기능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를 바탕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의를 수강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인터넷(200)에 연결된 유선 및 무선 클라이언트(100)를 사용하여 운영서버(200)에 접속한다(단계 S301).
운영서버(200)에 접속한 이용자가 운영서버(200)에서 제공하는 강의를 수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원 ID와 패스워 드를 입력하여 회원인지 또는 비회원인지의 유무를 확인한다(단계 S303). 이때, 이용자가 운영서버(200)는 이용자의 회원 ID와 패스원드를 회원정보 DB(214)에 등록된 회원 ID 및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회원인지 또는 비회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비회원의 경우에는 회원으로 가입한 후에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공지사항을 표시한다(단계 S329). 이때, 이용자가 신규 회원으로 가입하는 경우에는 이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회원정보 DB(214)에 저장하고 회원 ID 및 패스워드를 부여한다.
상기 이용자가 회원인 경우에 상기 회원은 수강하고자 하는 과목과 강사, 강의 방식을 신청한다(단계 S307). 즉, 수강 하고자 하는 회원은 운영서버(200)에서 제공하는 강사와 과목에 대한 목록을 확인하면서 수강을 신청하거나, 또는 회원 자신이 알고 있는 과목을 강의하는 강사에 대하여 수강을 신청할 수도 있다. 또한 수강하고자 하는 회원은 대화형, 강의형 등의 강의 방식 중에서 회원에게 가장 적합한 강의 방식을 신청할 수 있다.
운영서버(210)는 회원이 수강하고자 신청한 강사를 강사정보 DB(216)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강사를 선택한다(단계 S 309). 이때, 강사정보 DB(218)에 저장된 강사 리스트는 현재 운영서버에 등록된 강사를 의미하며, 강사정보 DB(218 )의 강사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과정을 통해 선정한다.
회원이 신청한 강사가 강사정보 DB(216)에 존재하면 해당 강사가 강의하는 과목과 회원이 신청한 과목을 과목정보 DB(218)의 과목 리스트와 비교하여 확인한다(단계 S311). 이때, 회원이 선택한 강의 방식과 과목정보 DB(218)에 저장된 과목의 강의 방식이 일치하는 여부를 함께 확인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단계 S335로 이동한다.
단계 S309와 S311에서 회원이 신청한 강사와 과목을 선택한 후에는 해당 과목을 강좌로 개설한다는 것을 회원에게 공고하면, 회원은 강좌개설에 따른 수강료 를 결재한다(단계 S313). 이때, 개설되는 강좌는 수강하는 회원의 인원 및규모에 따라 수강비용이 차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개설되는 강좌는 일정한 개설비가 적용되어 수강하고자 하는 인원이 많으면 수강료가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수강하고자 하는 인원이 적거나 또는 수강하는 회원이 수강 인원을 제한하는 경우에는 수강료가 증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수강료 결재가 완료되면 상기 회원에게 해당 강사 및 과목의 강좌를 개설하고(단계 S315), 해당 과목이 일정한 수준별 등급으로 분류되는 경우에는 수강하는 회원의 수준을 테스트한다(단계 S317, S319).
테스트가 완료되면 테스트 결과에 따라 수강하는 회원을 재배정하고(단계 S321), 해당 강의 솔루션을 회원의 클라이 언트에 전송한다(단계 S323).
이때, 강의 솔루션을 제공받은 회원이 강의 내용을 완전하게 이해할 수 없는 경우에 회원은 오프라인에서 재수강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25). 이때, 오프라인에서 재수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운영서버(200)의 가맹점으로 가입하여 학원정보 DB(215)에 저장된 전문학원을 수강하는 회원이 직접 방문하여 인터넷으로 제공받은 강의 내용을 재수강하거나 또는 수강내용의 질문 사항을 토론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309에서 회원이 수강하고자 하는 강사가 운영서버(200)의 강사정보 DB(216)에 없는 경우에는 운영서 버의 강사 관리모듈(204)에서 회원이 요청한 강사를 섭외한다(단계 S331).
강사가 섭외되면, 회원이 요청한 과목의 강의 솔루션을 작성하여 강좌정보 DB(220)에 저장하는 과정을 거쳐 강의 솔루션을 구축한다(단계 S333).
강의 솔루션이 구축되면 해당 회원에게 강좌 개설을 알려주고 강의 수강료를 결재받는다(단계 S315). 강의 수강료가 결재되면 단계 S317의 과정으로 이동하여 강의를 신청한 회원에게 해당 강의 솔루션을 전송한다.
또한 단계 S311에서 회원이 요청한 강사의 강의 과목이 운영서버(200)에서 제공하는 과목 리스트에 없는 경우에는 운영서버의 강가 관리모듈(204)에서 회원이 선정한 강사에게 해당 과목의 강의를 요청하고, 강의 솔루션이 작성되면 강좌정보 DB(220)에 저장하는 과정을 거쳐 강의 솔루션을 구축한다(단계 S335).
강의 솔루션이 구축되면 해당 회원에게 강좌 개설을 알려주고 강의 수강료를 결재받는 과정을 거친 후 강의 수강료가 결재되면 단계 S317의 과정으로 이동하여 강의를 신청한 회원에게 해당 강의 솔루션을 전송한다.
이상, 본 발명의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교육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클라이언트 200 : 안내서버
300 : 인터넷 202 : 회원 등록모듈
204 : 강사 관리모듈 205 : 학원 관리모듈
206 : 강좌 구축모듈 208 : 테스트 분석모듈
210 : 통신 관리모듈 212 : 제어모듈

Claims (2)

  1.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좌가 개설되도록 하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클라이언트와, 상기 클라이언트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강의 솔루션을 전송하는 운영서버 및상기 운영서버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인터넷으로 강의를 수강하고자 하는 이용자를 회원으로 등록받아 상기 회원에 관한 정보를 회원정보 DB에 저장 하고 관리하는 회원 등록모듈, 상기 인터넷으로 제공되는 과목의 강좌를 개설하여 상기 회원에게 강의를 제공하는 강사에 관한 정보를 강사정보 DB 에 저장하고, 상기 회원이 신청한 강사를 섭외하고 관리하는 강사 관리모듈, 상기 강사가 제공하는 강의 과목과 강의 등급에 따른 강의 솔루션에 관한 정보를 강좌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강의 과목과 강의 등급에 따른 강좌를 개설하는 강좌 구축모듈, 상기 강의 등급에 따른 수강 회원의 수준을 테스트하고 상기 테스트 결과에 따라 강의 등급을 분류하는 테스트 분석 모듈, 상기 강좌별 강의 솔루션을 상기 회원에게 강의 솔루션을 전송하는 통신 관리모듈 및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회원이 과목 및 강사를 선택하여 해당 강좌의 개설을 요청하면,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회원이 요청한 강좌를 개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좌가 개설되도록 하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클라이언트, 상기 클라이언트에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강의 솔루션을 전송하는 운영서버 및 상기 운영서버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는 온라인 교육방법에 있어서,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이용자가 운영서버에 접속하면, 회원정보 DB로부터 등록된 회원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가 회원인 경우에 상기 회원은 수강하고자 하는 과목과 강사를 신청하는 단계, 상기 회원이 신청한 강사를 강사정보 DB로부터 확인하여 일치하는 강사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회원이 신청한 과목을 과목정보 DB로부터 확인하여 일치하는 과목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회원이 신청한 강사 및 과목이 모두 있으면 해당 강사의 강의 솔루션을 구축하여 강좌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회원이 수강 가능한 강좌를 개설하는 단계, 상기 개설된 강좌가 등급별 수준으로 나누어진 경우에 상기 강좌를 수강하는 회원을 테스트하여 상기 회원을 등급별로 재분류하는 단계, 상기 등급별로 분류된 회원에게 상기 강좌의 강의 솔루션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좌가 개설되도록 하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
KR1020200045609A 2020-04-14 2020-04-14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좌가 개설되도록 하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 KR202101275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609A KR20210127572A (ko) 2020-04-14 2020-04-14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좌가 개설되도록 하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609A KR20210127572A (ko) 2020-04-14 2020-04-14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좌가 개설되도록 하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572A true KR20210127572A (ko) 2021-10-22

Family

ID=78275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609A KR20210127572A (ko) 2020-04-14 2020-04-14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좌가 개설되도록 하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75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543A1 (ko) 2021-09-27 2023-03-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543A1 (ko) 2021-09-27 2023-03-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wang et al. A group-decision approach for evaluating educational web sites
Fan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reative thinking skill analysis model using human–computer interaction in art design teaching
US20020013836A1 (en) Interactive online learning with student-to-tutor matching
US201302603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learning ability
Griol et al. Incorporating android conversational agents in m‐learning apps
Frasson et al. LANCA: A distance learning architecture based on networked cognitive agents
Dinnar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echnology in teaching negotiation
KR102283804B1 (ko) 장애인 직무 교육을 이용한 지능형 멀티미디어 잡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Özbey et al. Investigation of factors affecting transactional distance in E-learning environment with artificial neural networks
KR20210127572A (ko)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좌가 개설되도록 하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
KR20000063641A (ko) 인성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
Ouatiq et al. A design of a multi-agent recommendation system using ontologies and rule-based reasoning: pandemic context.
Bukreiev Neuro-network technologies as a mean for creating individualization conditions for students learning
KR100442420B1 (ko)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교육 방법
Fedkin et al. Considering the Functioning of an e-learning System, Based on a Model for Assessing the Performance and Reliability of the System
KR20010095538A (ko)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200134993A (ko)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교육 방법
Yang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enabled interactive system modeling for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cognitive web services
KR20160057177A (ko) S-on솔루션 검색추천 온라인 교육관리 시스템
Rathore et al. Personalized engineering education model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for learning programming
KR20210042235A (ko) 맞춤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교육법
KR100366388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지식 전달 방법 및 그의 시스템
Mendoza et al. The Uti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Chatbot in Interactive Learning Media.
Aguilar-Mejía et al. Design and Use of a Chatbot for Learning Selected Topics of Physics
Abou El-Seoud et al. Semantic-Web automated course management and evaluation system using mobile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