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3641A - 인성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성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3641A
KR20000063641A KR1020000043497A KR20000043497A KR20000063641A KR 20000063641 A KR20000063641 A KR 20000063641A KR 1020000043497 A KR1020000043497 A KR 1020000043497A KR 20000043497 A KR20000043497 A KR 20000043497A KR 20000063641 A KR20000063641 A KR 20000063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personality
aptitude
intelligence
web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철
이경재
박상영
Original Assignee
김재철
주식회사 이제이십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철, 주식회사 이제이십일 filed Critical 김재철
Priority to KR1020000043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3641A/ko
Publication of KR20000063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64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적성 검사 및 모의고사를 통해 지원 가능한 대학의 계열 및 학과에 대한 정보 및 학습 자료 등을 제공하는 인성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성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은 인터넷(1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웹서버(21)를 운영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자(20)와, 인터넷 연결수단이 구비된 컴퓨터 단말기(41)를 통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20)의 웹서버(21)에 접속하여 인,적성 검사 및 수능 모의고사를 실시하므로써 지원 가능 대학 안내 서비스 제공받는 서비스 이용자(40)와, 상기 서비스 이용자(40)에게 다양한 학습자료를 제공하는 입시 관련기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20)의 웹서버(21)는 서비스 이용자(40)가 서비스 제공자(20)의 웹서버(21)에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자 인증을 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50)과, 상기 웹서버(21)에 접속된 서비스 이용자(40)의 인성, 지능 및 적성을 분석하는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 시스템(60)과, 상기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 결과가 저장되는 인성, 지능 및 적성 데이터베이스(61)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20)의 웹서버(21)를 통해 접속되는 입시 관련기관(30)의 웹서버(31)로부터 제공되는 모의고사 정보 및 각 대학별 학과 등의 다양한 교육자료가 저장되는 교육자료 데이터베이스(71)와, 상기 교육자료 데이터베이스(71)에 저장된 모의고사 정보에 따라 서비스 이용자(40)의 지적능력을 평가하는 수능 모의고사 시스템(70)과, 상기 모의고사 결과가 저장되는 성적 데이터베이스(72)와, 상기 인성, 지능 및 적성 데이터베이스(61)와 성적 데이터베이스(72) 및 교육자료 데이터베이스(71)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대학의 계열 또는 학과가 추천되는 진학진로 결정 시스템(80) 및 그 정보가 저장되는 진로 데이터베이스(8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인성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은 인성검사와 지능검사 및 그에따른 적성분석 결과를 통해 학생의 자기발견이나 자기이해를 촉진시켜 진로에 대한 자기 결단에 도움이 됨과 동시에 측면적 지도나 조언을 하고자하는 교사의 지도자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전국의 대학의 계열 및 학과에 대한 자료를 최대한 활용하여 각 회원들에게 맞는 대학의 계열 및 학과를 도출하므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학생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학생들의 진학과 진로지도 및 향후 직업의 선택에 많은 도움을 주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성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System of academic guidance counseling on the ground of character and aptitude test}
본 발명은 학생들의 인성 및 지능을 검사하고 상기 검사결과에 따른 적성분석 결과와 모의고사 성적을 조합하여 지원 가능한 대학의 계열 또는 학과 등을 추천하므로써 학생 자신의 적절한 전공과 장래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성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성검사란 피검자의 특별하거나 독특한 지적능력이나 잠재능력을 파악하고 피검자의 개별적 능력에 따른 여러 직무에서의 성공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한 검사를 의미한다.
그러나, 어떠한 적성검사도 피검자의 모든 잠재능력을 정확히 파악할 수는 없기 때문에 적성검사로부터 파악된 진단결과의 내용은 진로 판단 및 결정의 보조적인 참고자료로서만 활용되어 지고있다.
또한, 한 개인의 성격은 선천적인 부분과 여러 환경적인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후천적인 부분이 서로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있는데 반해, 적성검사와 성격검사는 측정된 진단결과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종합적인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적성검사는 세부적으로 구성된 각 검사별 결과를 측정하므로써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단순 적성에 대한 일반적 내용으로 인해 단지 상담용 보조 자료로서 이용되는데 제한되며 진학진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과거 대학의 학생 선발 방식은 일반전형에 의해 통일화된 척도와 기준으로 총점화, 석차화하여 선발하므로써 각 학생들의 다양한 소질과 잠재력을 경시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들어 개선된 대학 입학제도는 새로운 세기에 요청되는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는 시대적 소명 아래 학생들의 단편적인 지식의 암기에서 벗어나 적성, 흥미, 능력에 따라 학습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새로운 대학 입학제도에서는 학생들의 다양한 소질과 적성이 존중되고 특기, 소질, 활동 등에 두각을 나타내는 학생이 우수학생으로 대학에 쉽게 진학할 수 있으며 수학능력 시험성적의 비중이 낮아지는 반면 대학의 독자적인 학생선발 방법이 확산되고 있다.
한편, 전세계적으로 하루에도 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인터넷 사이트가 생겨날 정도로 인터넷 기반 시장이 엄청난 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나, 국내의 인터넷 시장의 콘텐츠 제공자는 소비자들이 진정으로 무엇을 원하고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를 간과하고 있어 소비자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과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성과 지능 및 적성 분석결과와 수학능력 모의고사 결과를 결합한 인적성 검사에 의한 대학의 계열 또는 학과 안내 서비스를 구축하여 학생의 자질이나 가능성에 부합되는 다각적이고 종합적인 진로 지도를 함과 동시에, 대학 진학진로 가이드의 질을 한단계 향상시키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양질의 진학진로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 인성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2는 본 발명 인성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웹서버를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3은 본 발명 인성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의 순차적인 흐름도.
도4는 도2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자의 웹서버를 구성하는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 시스템의 순차적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인터넷 20. 서비스 제공자
30. 입시 관련기관 40. 서비스 이용자
50. 인증 시스템 60.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 시스템 70. 수능 모의고사 시스템 80. 진학진로 결정 시스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소정의 인터넷 연결수단으로 인터넷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웹서버를 운영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자와, 인터넷 연결수단이 구비된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웹서버에 접속하여 인,적성 검사 및 수능 모의고사를 통한 지능 검사를 실시하므로써 지원가능 대학안내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 이용자와, 상기 서비스 이용자에게 다양한 학습자료를 제공하는 입시 관련기관을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자는 입시 관련기관과의 제휴를 통해 입시 관련기관에서 제공하는 교육자료 및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입시 관련기관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상기 입시 관련기관에서 제공하는 모의고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를 실시하므로써 상기 모의고사 결과 및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 결과를 조합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적절한 대학의 계열 또는 학과에 대한 데이터를 도출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1은 본 발명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은 인터넷(1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웹서버(21)를 운영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자(20)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20)의 웹서버(21)에 접속하여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와 수능 모의고사를 실시하므로써 지원 가능 대학 안내 서비스 제공받는 서비스 이용자(40)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20)와의 제휴를 통해 서비스 이용자(40)에게 다양한 학습자료를 제공하는 입시 관련기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비스 제공자(20)는 서비스 이용자(40)에게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20)의 웹서버(21)에 링크된 입시 관련기관(30)의 웹서버(31)로부터 수능 모의고사 및 다양한 학습자료 등을 함께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이용자(40)는 서비스 제공자(20)의 웹서버(21)에 접속하여 인성 및 적성 검사를 실시하고, 최근의 수능 모의고사 결과를 입력하거나 또는 서비스 제공자(20)의 홈페이지에 링크된 입시 관련기관(30)으로부터 제공되는 모의고사를 직접 실시하므로써 상기 인성 및 적성검사 결과와 수능 모의고사 결과에 따라 지원 가능한 대학의 계열 및 학과를 추천받을 수 있으며 아울러 다양한 교육정보 및 학습자료 등을 제공받는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자(20)는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 자료 및 입시 관련기관(30)으로부터 제공된 학습자료를 콤팩트 디스크 등의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서비스 이용자(40)에게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 서비스 및 다양한 학습자료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 도2는 본 발명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을 구성하는 웹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서비스 제공자(20)의 웹서버(21)는 서비스 이용자(40)가 서비스 제공자(20)의 웹서버(21)에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자 인증을 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50)과, 상기 웹서버(21)에 접속된 서비스 이용자(40)의 인성, 지능 및 적성을 분석하는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 시스템(60)과, 상기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 결과가 저장되는 인성, 지능 및 적성 데이터베이스(61)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20)의 웹서버(21)를 통해 접속되는 입시 관련기관(30)의 웹서버(31)로부터 제공되는 모의고사 정보 및 각 대학별 학과 등의 다양한 교육자료가 저장되는 교육자료 데이터베이스(71)와, 상기 교육자료 데이터베이스(71)에 저장된 모의고사 정보에 따라 서비스 이용자(40)의 지적능력을 평가하는 수능 모의고사 시스템(70)과, 상기 모의고사 결과가 저장되는 성적 데이터베이스(72)와, 상기 인성, 지능 및 적성 데이터베이스(61)와 성적 데이터베이스(72) 및 교육자료 데이터베이스(71)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대학의 계열 또는 학과가 추천되는 진학진로 결정 시스템(80) 및 그 정보가 저장되는 진로 데이터베이스(8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증 시스템(50)은 서비스 이용자(40)가 이용자 확인 식별정보인 아이디(ID)와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하므로써 서비스 이용자 데이터베이스(51)에 등록된 회원 여부를 인증하게 되며 인증이 되지 않는 서비스 이용자(40)에게는 회원 가입 양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회원 가입을 유도한다.
이때, 서비스 이용자(40)의 정보는 서비스 이용자 데이터베이스(51)에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20)의 웹서버(21)에 등록되는 입시 관련기관(30)의 웹서버(31)와 공유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 시스템(60)은 감정상태, 정서상태, 근면성, 책임감, 협동성, 자율성, 준법성, 리더쉽 등의 인성 검사항목에 따른 점수와 해설문장을 도출하고 언어구사 능력, 이해능력, 도형추리 능력, 언어추리 능력, 계산능력, 지각속도 능력 등의 지능검사 항목에 따른 점수와 해설문장을 도출하며, 상기 인성검사 점수와 지능검사 점수의 조합으로 적성 및 그에 적합한 계열 및 학과를 도출한다.
한편, 상기 서비스 제공자(20)의 웹서버(21)에 접속된 서비스 이용자(40)는 상기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를 실시하고 수능 모의고사 성적을 입력하므로써 자신의 진로 안내 자료를 제공받게 되는데 이때, 상기 수능 모의고사 성적에 대한 자료가 없을 경우에는 서비스 제공자(20)의 웹서버(21)를 통해 입시 관련기관(30)에서 제공하는 수능 모의고사 테스트를 직접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의 순차적인 구동 순서를 도3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서비스 이용자가 소정의 인터넷 연결수단이 구비된 컴퓨터 단말기상에 웹브라우져를 구동(A101 단계)시켜 서비스 제공자의 웹서버에 접속(A102 단계)하므로써 서비스 제공자의 홈페이지가 디스플레이(A103 단계)되면, 서비스 이용자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회원 인증 과정을 수행(A104 단계)한다.
다음, 회원 인증된 서비스 이용자는 서비스 제공자의 웹서버를 통해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A105 단계)를 실시하게 되면 각 검사결과가 서비스 이용자의 컴퓨터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A106 단계)된다.
상기 서비스 이용자가 상기 검사결과와 자신의 수능 모의고사 성적에 따른 지원 가능 대학의 계열 및 학과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할때, 수능 모의고사를 실시하였는지(A107 단계)의 여부에 따라 수능 성적을 입력(A108 단계)하거나 또는 수능 모의고사를 실시하지 않은 경우, 입시관련 기관에서 제공하는 교육자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의고사 형식에 따라 수능 모의고사를 실시(A109 단계)하면 모의고사 성적이 디스플레이(A110 단계)되며, 상기 각종 검사 결과와 수능 모의고사 성적에 적합한 대학의 계열 및 학과가 디스플레이(A111 단계)되는 순차적인 시간적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비스 제공자(20)의 웹서버(21)를 구성하는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 시스템(60)의 구동 순서를 도4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서비스 이용자가 자신의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감정상태, 정서상태, 근면성, 책임감, 협동성, 자율성, 준법성, 리더쉽 등을 판단하는 10 내지 2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며 '예' 또는 '아니오' 방식의 설문으로 이루어지는 인성검사 항목 및 언어구사 능력, 이해능력, 도형추리 능력, 언어추리 능력, 계산능력, 지각속도 능력 등을 판단하는 약 20개의 4 내지 5지선다형 문항으로 구성되는 지능검사 항목에 따라 정보를 입력하여 검사를 실시(B101 단계)한다.
다음, 상기 인성검사 항목에 대한 입력정보에 따라 서비스 이용자의 인성을 분석(B102 단계)하고 분석결과에 따른 점수를 산출(B103 단계)하며, 지능검사 항목에 대한 입력정보에 따라 서비스 이용자의 지능을 분석(B104 단계)하고 분석결과에 따른 점수를 산출(B105 단계)한다.
상기 산출된 인성점수 및 지능점수에는 각 계열 및 학과에 적합하도록 인성검사 항목 및 지능검사 항목별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가 적용(B106 단계)되고, 가중치가 적용되어 재계산된 항목별 점수를 조합하므로써 계열별 평균 점수가 도출(B107 단계)된다.
예를 들어, 어문학의 경우 인성검사 항목의 정서상태 점수가 86점이고, 지능검사 항목의 언어구사 능력 점수가 82점이면, 정서상태의 비중이 3/10이고 언어구사 능력의 비중이 7/10인 어문학의 점수는 가중치가 적용된 정서상태 점수인 25.8점과 가중치가 적용된 언어구사 능력 점수인 57.4점의 합인 83.2점이 된다.
다른 예로, 공학의 경우 인성검사 항목의 근면성 점수가 90점이고, 지능검사 항목의 계산능력 점수가 80점이면, 근면성의 비중이 4/10이고 계산능력의 비중이 6/10인 공학의 점수는 가중치가 적용된 근면성 점수인 36점과 가중치가 적용된 계산능력 점수인 48점의 합인 84점이 되는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계열별 평균 점수에 따라 적성에 맞는 계열 및 학과가 도출(B108 단계)되어 서비스 이용자의 컴퓨터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순차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인성검사 결과 및 지능검사 결과와 적성분석 결과 등은 해설 문장과 상기 설명한 점수의 형태로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 인성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은 인성, 지능 및 적성 검사를 통해 학생의 자기발견이나 자기이해를 촉진시켜 진로에 대한 자기 결단에 도움이 됨과 동시에 측면적 지도나 조언을 하고자하는 교사의 지도자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전국의 대학의 계열 및 학과에 대한 자료를 최대한 활용하여 각 서비스 이용자에게 맞는 대학의 계열 및 학과를 도출하므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학생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학생들의 진학과 진로지도 및 향후 직업의 선택에 많은 도움을 주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소정의 인터넷 연결수단으로 인터넷(1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웹서버(21)를 운영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자(20)와, 인터넷 연결수단이 구비된 컴퓨터 단말기(41)를 통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20)의 웹서버(21)에 접속하여 인,적성 검사 및 수능 모의고사를 실시하므로써 지원 가능 대학 안내 서비스 제공받는 서비스 이용자(40)와, 상기 서비스 이용자(40)에게 다양한 학습자료를 제공하는 입시 관련기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성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20)의 웹서버(21)는 사용자 인증을 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50)과, 상기 웹서버(21)에 접속된 서비스 이용자(40)의 인성, 지능 및 적성을 분석하는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 시스템(60)과, 상기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 결과가 저장되는 인성, 지능 및 적성 데이터베이스(61)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20)의 웹서버(21)를 통해 접속되는 입시 관련기관(30)의 웹서버(31)로부터 제공되는 모의고사 정보 및 각 대학별 학과 등의 다양한 교육자료가 저장되는 교육자료 데이터베이스(71)와, 상기 교육자료 데이터베이스(71)에 저장된 모의고사 정보에 따라 서비스 이용자(40)의 지적능력을 평가하는 수능 모의고사 시스템(70)과, 상기 모의고사 결과가 저장되는 성적 데이터베이스(72)와, 상기 인성, 지능 및 적성 데이터베이스(61)와 성적 데이터베이스(72) 및 교육자료 데이터베이스(71)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대학의 계열 또는 학과가 추천되는 진학진로 결정 시스템(80) 및 그 정보가 저장되는 진로 데이터베이스(81)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성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20)와 입시 관련기관(30) 및 서비스 이용자(40)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구동 순서는, 서비스 이용자가 소정의 인터넷 연결수단이 구비된 컴퓨터 단말기상에 웹브라우져를 구동시키는 단계(A101)와,
    상기 서비스 이용자가 서비스 제공자의 웹서버에 접속하는 단계(A102)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홈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A103)와,
    서비스 이용자가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회원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A104)와,
    다음, 서비스 제공자의 웹서버를 통해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를 실시하는 단계(A105)와,
    상기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 결과가 서비스 이용자의 컴퓨터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A106)와,
    수능 모의고사를 실시하였는지 여부를 묻는 단계(A107)와,
    수능 모의고사를 실시한 경우, 수능 성적을 입력하는 단계(A108)와,
    수능 모의고사를 실시하지 않은 경우, 입시 관련기관에서 제공하는 교육자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의고사 형식에 따라 수능 모의고사를 실시하는 단계(A109) 및 모의고사 성적이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A110)와,
    상기 서비스 이용자의 각종 검사 결과와 수능 모의고사 성적에 의한 지원 가능 대학의 계열 및 학과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A111)의 순차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20)의 웹서버(21)를 구성하는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 시스템(60)의 구동 순서는, 서비스 이용자가 인성검사 항목 및 지능검사 항목에 따라 정보를 입력하여 검사를 실시하는 단계(B101)와,
    상기 인성검사 항목에 대한 입력정보에 따라 서비스 이용자의 인성을 분석하는 단계(B102)와,
    상기 인성분석 결과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B103)와,
    상기 지능검사 항목에 대한 입력정보에 따라 서비스 이용자의 지능을 분석하는 단계(B104)와,
    상기 지능분석 결과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B105)와,
    각 계열 및 학과에 적합하도록 인성검사 항목 및 지능검사 항목에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B106)와,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항목별 점수에 따라 계열별 평균 점수를 도출하는 단계(B107)와,
    상기 계열별 평균 점수에 따라 적성에 맞는 계열 및 학과를 도출하는 단계(B108)의 순차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성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
  5.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 자료와 입시 관련기관(30)으로부터 제공된 다양한 학습자료가 저장 되어지는 콤팩트 디스크(CD)나 디지탈 영상 디스크(DVD) 등의 저장매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20)와, 상기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인성, 지능 및 적성검사 서비스 및 다양한 학습자료를 제공받는 서비스 이용자(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성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
KR1020000043497A 2000-07-27 2000-07-27 인성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 KR200000636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497A KR20000063641A (ko) 2000-07-27 2000-07-27 인성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497A KR20000063641A (ko) 2000-07-27 2000-07-27 인성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641A true KR20000063641A (ko) 2000-11-06

Family

ID=19680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497A KR20000063641A (ko) 2000-07-27 2000-07-27 인성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3641A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333A (ko) * 2000-08-14 2002-02-20 한재우 적성검사방법
KR20020013338A (ko) * 2000-08-14 2002-02-20 박대희 학교 선정을 위한 웹 기반 퍼지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
KR20020066732A (ko) * 2001-02-13 2002-08-21 (주)한국미래학연구원 인터넷을 이용한 자기진단 및 학습내용 제공방법 및 장치
KR100440615B1 (ko) * 2002-06-07 2004-07-19 고려아카데미컨설팅(주) 인적자원 역량 평가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0597465B1 (ko) * 2005-12-12 2006-07-05 와이즈멘토 유한회사 학과계열 선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88751B1 (ko) * 2006-06-12 2007-12-26 (주)퍼프컴 아동의 조기 적성발견 장치 및 그 방법
WO2010131882A2 (ko) * 2009-05-09 2010-11-18 Kim Namhyun 실시간 아이큐 테스트 방법 및 시스템
KR101018642B1 (ko) * 2008-07-25 2011-03-03 방현석 교습자별 진로맵 생성 장치 및 방법
WO2011034381A2 (ko) * 2009-09-18 2011-03-24 송영선 진로 상담 시스템 및 방법
KR101144998B1 (ko) * 2010-04-23 2012-05-11 주식회사 청담러닝 역량 검사를 위한 서버 시스템 및 역량 검사 방법
KR20210032212A (ko) * 2019-09-16 2021-03-24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공 추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공 추천 방법
KR102391166B1 (ko) * 2021-10-26 2022-04-27 주식회사 꿈구두교육 학생의 내신 관리 및 가이드 시스템
KR20220150173A (ko) 2021-05-03 2022-11-10 다움커리어주식회사 빅데이터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교과 커리큘럼 추천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20230109591A (ko) 2022-01-13 2023-07-20 다움커리어주식회사 수학학습결과에 기초한 전공별 핵심역량 진단평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7352A (ja) * 1992-04-08 1993-11-19 Fukuto:Kk 進路適性検査システム
EP0974921A1 (en) * 1996-06-10 2000-01-26 Nurali Nurislamovich Latypov Method for remote users to participate in an interactive competitive examination
JP2000090167A (ja) * 1998-09-16 2000-03-31 Recruit Co Ltd 進路選択支援システム
KR100334138B1 (ko) * 1999-11-04 2002-04-25 박노열 진로진단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7352A (ja) * 1992-04-08 1993-11-19 Fukuto:Kk 進路適性検査システム
EP0974921A1 (en) * 1996-06-10 2000-01-26 Nurali Nurislamovich Latypov Method for remote users to participate in an interactive competitive examination
JP2000090167A (ja) * 1998-09-16 2000-03-31 Recruit Co Ltd 進路選択支援システム
KR100334138B1 (ko) * 1999-11-04 2002-04-25 박노열 진로진단시스템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333A (ko) * 2000-08-14 2002-02-20 한재우 적성검사방법
KR20020013338A (ko) * 2000-08-14 2002-02-20 박대희 학교 선정을 위한 웹 기반 퍼지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
KR20020066732A (ko) * 2001-02-13 2002-08-21 (주)한국미래학연구원 인터넷을 이용한 자기진단 및 학습내용 제공방법 및 장치
KR100440615B1 (ko) * 2002-06-07 2004-07-19 고려아카데미컨설팅(주) 인적자원 역량 평가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0597465B1 (ko) * 2005-12-12 2006-07-05 와이즈멘토 유한회사 학과계열 선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88751B1 (ko) * 2006-06-12 2007-12-26 (주)퍼프컴 아동의 조기 적성발견 장치 및 그 방법
KR101018642B1 (ko) * 2008-07-25 2011-03-03 방현석 교습자별 진로맵 생성 장치 및 방법
WO2010131882A3 (ko) * 2009-05-09 2011-02-24 Kim Namhyun 실시간 아이큐 테스트 방법 및 시스템
WO2010131882A2 (ko) * 2009-05-09 2010-11-18 Kim Namhyun 실시간 아이큐 테스트 방법 및 시스템
WO2011034381A2 (ko) * 2009-09-18 2011-03-24 송영선 진로 상담 시스템 및 방법
WO2011034381A3 (ko) * 2009-09-18 2011-08-04 송영선 진로 상담 시스템 및 방법
CN102630322A (zh) * 2009-09-18 2012-08-08 宋永璿 就业前程咨询系统及方法
KR101144998B1 (ko) * 2010-04-23 2012-05-11 주식회사 청담러닝 역량 검사를 위한 서버 시스템 및 역량 검사 방법
KR20210032212A (ko) * 2019-09-16 2021-03-24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공 추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공 추천 방법
KR20220150173A (ko) 2021-05-03 2022-11-10 다움커리어주식회사 빅데이터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교과 커리큘럼 추천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102391166B1 (ko) * 2021-10-26 2022-04-27 주식회사 꿈구두교육 학생의 내신 관리 및 가이드 시스템
KR20230109591A (ko) 2022-01-13 2023-07-20 다움커리어주식회사 수학학습결과에 기초한 전공별 핵심역량 진단평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lgaz et al. Providing online exams for online learners: Does it really matter for them?
Carney et al. Statewide mathematics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er knowledge, self-efficacy, and beliefs
Liu et al. Measuring learning outcomes in higher education: Motivation matters
Kersting et al. Measuring usable knowledge: Teachers’ analyses of mathematics classroom videos predict teaching quality and student learning
Ertmer et al. Using peer feedback to enhance the quality of student online postings: An exploratory study
Wickersham et al. Bridging the divide: Reconciling administrator and faculty concerns regarding online education
Georgina et al. Higher education faculty perceptions on technology integration and training
KR101609417B1 (ko) 독서신장을 위한 독서지도시스템 및 그 방법
Erlich et al. Assessing student learning in academic advising using social cognitive theory
Wu et al. Personlized English reading sequencing based on learning portfolio analysis
Idris et al. Strategies in mastering science process skills in science experiment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KR20000063641A (ko) 인성 및 적성검사에 의한 진학진로 안내 시스템
Gu et al. Promoting students’ motivation and use of SRL strategies in the web-based mathematics learning environment
Hsu et al. A competency-based guided-learning algorithm applied on adaptively guiding e-learning
Lv et al. Efficiency model of micro-course study based on cognitive psychology in the college
KR100994457B1 (ko) 사용자 맞춤형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ena et al. Effects of Online Technology Based Scaffolding on Asynchronous Learning Performance of Students.
KR20110092678A (ko)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 방법
Ait Ali et al. Empirical research on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framework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 literature review
Tesch Implementing pre‐post test designs in higher education evaluations
Manan et al. Moodle-based speaking learning model
Moss et al. Rising frankness in educational assessment
Lee et al. Personalized item generation method for adaptive testing systems
Haryulinda et al. Development of Brain-Based Learning Model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BBL-PBL)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and Learning Outcomes
Nyudak et al. Investigating the implementation of online learning in remote learning contex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