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2678A -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2678A
KR20110092678A KR1020100012236A KR20100012236A KR20110092678A KR 20110092678 A KR20110092678 A KR 20110092678A KR 1020100012236 A KR1020100012236 A KR 1020100012236A KR 20100012236 A KR20100012236 A KR 20100012236A KR 20110092678 A KR20110092678 A KR 20110092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student
project
education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권현
Original Assignee
한국폴리텍Iv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폴리텍Iv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폴리텍Iv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12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2678A/ko
Publication of KR20110092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6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산업체와 연계한 프로젝트 수업(project based learning)을 기반으로 하는 과제 중심형, 현장 중심형 교육 방식을 기반으로 학사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산업 현장과 연계한 현장 중심 교육을 기반으로 하여 학사 관리을 함으로써, 수요자 중심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산업체 현장과 밀접한 교과 편성, 산업체와 공동으로 프로젝트 개발, 현장 체험 등을 통해 학교 교육과 산업 현장간의 동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 방법 {Academic affairs management method based field focused education}
본 발명은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산업체와 연계한 프로젝트 수업(project based learning)을 기반으로 하는 과제 중심형, 현장 중심형 교육 방식을 기반으로 학사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학의 학사 관리는 오프라인 상에서만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교육을 받고자 하는 학생들이나 강사들은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교과 과목만을 수강하면 되었다.
이러한 오프라인 교육뿐만 아니라 온라인 강의를 이용한 교육방법도 들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예가 특허공개번호 제2001-0102588호(발명의 명칭: 인터넷과 정보통신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인터넷 온라인교육정보 제공 서비스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교육정보 제공 시스템 전체를 관리하는 메인 웹서버와; 교육 수강생 관련 제반 정보 사항을 저장하고 일반에 공개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텍스트 강의, 음성 강의, 동영상 등 4가지 형태 강의 방식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강의를 주관하는 온라인 강의 서버와; 실시간 멀티미디어 화상 강의를 주관하는 화상강의 서버와; 교수들이 이용하여 접속하는 통신수단과; 학생들이 이용하여 접속하는 통신수단; 및 상기 메인 웹서버와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강의 서버와 통신 수단들을 연결하는 전자적인 통신망을 구성하는 인터넷 온라인 교육정보 제공 서비스 운영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 온라인 수강생이 인터넷의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웹서버에 로그인하여 온라인 입학하고 수강과목을 신청하는 제 1 단계와; 학생이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텍스트 강의, 음성 강의, 동영상 강의, 실시간 멀티미디어 화상강의 중 한 가지 방식으로 진행되는 강의를 수강하여 학점을 이수하는 제 2 단계; 및 학생이 졸업/수료의 조건이 되면 졸업장/수료증을 발급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해당 학생의 졸업장/수료증 정보란에 입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식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육시스템은 학교와 학생들 간의 통신 네트워크만을 구축하고 있게 때문에, 오프라인상의 교육과 마찬가지로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길러내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교수들의 경우 산업 현장과 동떨어진 교육 과정을 계속 진행하게 되므로, 학교 교육과 산업 현장 간의 동질성이 약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산업 현장의 경우 신입 사원을 재교육하기 위해서는 시간 및 비용을 많이 투자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학교 교육과 산업 현장 간의 동질성을 향상시켜 산업체와 학교간 기술 공유 및 기술 동향 파악이 수월하게 하는 학사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다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기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 학사 관리 방법은, 현장 중심 교육 서버가 학생의 개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된 학생의 개인 정보에 따라 상기 학생을 소그룹 및 지도 교수를 할당하여 소그룹의 편성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학생의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기설정되거나 상기 학생에 의해 선택된 프로젝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실습 결과,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평가 점수를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평가 점수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패스 또는 과락 여부를 판단하고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학생에 의해 수행된 현장 산업체에서의 현장 실습 결과, 상기 현장 실습에 대한 현장 실습 평가 점수를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현장 실습 평가 점수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패스 또는 과락 여부를 판단하고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학생의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실무 능력 인증 테스트를 위한 과제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학생에 의해 수행된 과제 수행 결과, 상기 과제에 대한 과제 평가 점수를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과제 평가 점수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실무 능력 인증 테스트의 패스 또는 과락 여부를 판단하고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이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 방법은, 상기 실무 능력 인증 테스트를 패스한 경우, 상기 실무 능력 인증 테스트에 대한 인증서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학생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젝트, 현장 실습, 및 실무 능력 인증 테스트는 단계별로 패스 또는 과락을 적용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그룹의 편성은, 1학년 1학기에는 자율 배분 또는 상기 학생의 선택에 의해 편성되고, 1학년 2학기 이후에는 지도 교수의 전공에 따라 상기 학생의 직접 선택에 의해 편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프로젝트, 현장 실습, 및 실무 능력 인증 테스트는 학교와 산업체간 공동 협력으로 문제화되어 상기 현장 중심 교육 서버에 저장되어 온라인 상으로 상기 학생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산업 현장과 연계한 현장 중심 교육을 기반으로 하여 학사 관리를 함으로써, 수요자 중심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산업체 현장과 밀접한 교과 편성, 산업체와 공동으로 프로젝트 개발, 현장 체험 등을 통해 학교 교육과 산업 현장 간의 동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 과정 중 학생의 입학으로부터 소그룹 편성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 교육 서버에 접속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완성된 프로젝트에 의해 등급이 결정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 산업체를 선택하여 현장 산업체에서의 실습에 따른 등급이 결정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에서 과제를 선택하여 테스트를 받음으로써 실무 능력을 인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그룹 편성을 위한 데이터 입력 화면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 결과 화면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 시스템 구성도에는 컴퓨터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할 클라이언트 컴퓨터(100a 내지 100n), 이들 클라이언트 컴퓨터(100a 내지 100n)와 데이터를 전송/수신하는 네트워크(110), 산업체의 정보를 관리하는 산업체 서버(120), 클라이언트 컴퓨터(100a 내지 100n) 및 산업체 서버(120)와 네트워크(110)를 통하여 연결되어 학생들의 학사를 관리하는 현장 중심 교육 서버(130)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컴퓨터(100a 내지 100n)에는 웹 브라우저가 설치되며, 이 웹 브라우저로는 보통 개인용 컴퓨터에 많이 사용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넷스케이프(Netscape), 모질라(Mozilla) 등의 웹 브라우저를 들 수 있다.
클라이언트 컴퓨터(100a 내지 100n)는 네트워크(미도시)에 의해 현장 주심 교육 서버(130)에 연결되며, 이 현장 중심 교육 서버(130)는 보통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100a 내지 100n)로부터의 요청과 응답을 처리하는 HTTP 서버가 된다. 이는 인터넷상에서 웹페이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웹페이지 및 클라이언트 컴퓨터(100a 내지 100n)에 의한 요청에 대하여 해당정보를 처리하기 위해서 현장 중심 교육 서버(130)에는 현장 중심 교육 데이터베이스(131)가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현장 중심 교육 데이터베이스(131)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테이프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또한, 도 1에서는 현장 중심 교육 서버(100)와 현장 중심 교육 데이터베이스(131)만으로 구성하였으나, 데이터베이스만을 관리하는 별도의 서버 또는 백업 서버를 둘 수 있다.
이 현장 중심 교육 데이터베이스(131)에는, 현장 중심 교육에 기반한 학사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정보가 구축된다. 이들 정보의 예로서는, 학생의 이름, 입학 년도, 학과, 지도 교수, 소속된 소그룹, 산업체명, 이수 과목, 프로젝트명 등을 들 수 있다.
물론, 이 현장 중심 교육 데이터베이스(131)는 산업체 서버(120)에 구성된 산업체 데이터베이스(121)가 가지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 실무자 이름, 경력, 특기분야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컴퓨터(100a 내지 100n)를 사용하여 현장 중심 교육 서버(130)에 접속하려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접속 웹페이지, 사용자인 학생의 실무 수행 능력을 인증하기 위한 실무 인증 웹페이지, 현장 실습 후 평가 점수를 입력하기 위한 평가 점수 입력 웹페이지 파일 등이 저장된다.
여기서, 웹페이지 파일은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할 때 맨 처음에 접하게 되는 웹 페이지 문서뿐만 아니라 현장 중심 교육 서버(130)가 제공하는 모든 웹 페이지문서를 포함한다. 이러한 웹페이지 파일을 보여주는 화면예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다.
특히, 웹페이지 파일은 클라이언트 컴퓨터(100a 내지 100n) 사용자에게 소그룹 편성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고, 소그룹 편성에 따라 수행되는 프로젝트, 현장 실습 후 평가 점수, 실무 인증을 위한 실무 능력 인증제를 수행하는 웹 페이지 문서를 포함한다.
여기의 웹 페이지문서는 한정적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파일일 필요는 없으며, 자바, PHP(Personal HomePage tools), ASP(Active Server Pages),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등의 다른 언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현장 중심 교육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되는 테이블을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면 다음 표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우선 학생 정보 테이블을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학번 소그룹 지도교수 ...
김철수 200801110 A 이고수 ...
김철희 200801111 C 박삼룡 ...
김영희 200802001 H 이기자 ...
나억만 200802010 G 김박사 ...
최명희 200801113 A 이고수 ...
최곤 ... ... ... ...
... ... ... ... ...
여기서 세로줄은 학생 이름을 나타내고, 가로줄은 이 학생 이름에 해당하는 학번, 소그룹, 지도 교수 등을 나타낸다. 물론, 학번은 학생마다 고유 번호가 할당되므로 이 학번으로 학생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산업체 테이블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나타내면 다음 표와 같다.
주업종 현장
전문가
프로젝트 교육 현장실습
지원자
...
한국전자 냉장고 제조 김팔봉 김철수 ...
대국전자 전기밥솥 제조 이만수 김철희 ...
한국기계 자전거 제조 박영철 김영희 ...
만능화학 치약 제조 손사래 최명희 ...
우주건설 토목 김중배 최곤
삼선무역 의류 중개 ... ... ...
... ... ... ... ...
여기서 세로줄은 산업체명을 나타내고, 가로줄은 주업종, 산업체의 교육을 담당하는 현장 전문가, 학교와 협력하여 진행하는 프로젝트 교육, 현장실습 지원자 등을 나타낸다.
물론, 현장 실습 지원자의 경우 표 2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름으로 표기하였으나, 학번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김철수의 경우에는 학번인 "200801110"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그러면, 학생들이 수행하게 되는 프로젝트 테이블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나타내면 다음 표와 같다.
일시 산업체 학점 단계 ...
프로젝트A 2008.03.15 한국전자 4 초급 ...
프로젝트B 2008.11.02 한국전자 4 중급 ...
프로젝트C 2008.11.02 한국기계 4 초급 ...
프로젝트D 2009.02.05 만능화학 3 고급 ...
프로젝트E 2009.04.07 우주건설 3 초급 ...
프로젝트F ... ... ...
... ... ... ...
여기서 세로줄은 프로젝트명을 나타내고, 가로줄은 실시된 일자, 이 프로젝트를 학교와 연계하여 실시한 산업체, 할당되는 학점, 단계 등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학생들이 신청한 산업체에서 현장 실습하는 현장 실습 테이블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나타내면 다음 표와 같다.
일시 산업체 학점 ...
현장실습A 2008.04.15 한국기계 6 ...
현장실습B 2008.12.02 한국기계 4 ...
현장실습C 2009.01.02 만능화학 3 ...
현장실습D 2009.03.05 우주건설 5 ...
현장실습E 2009.05.07 한국전자 8 ...
현장실습F ... ... ...
... ... ... ...
여기서 세로줄은 현장 실습명을 나타내고, 가로줄은 실시된 일자, 이 현장실습을 수행하는 산업체, 할당되는 학점 등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학생들의 실무 능력을 인증하는 실무 능력 인증 테이블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나타내면 다음 표와 같다.
일시 산업체 단계 ...
실무 능력 인증A 2008.04.15 한국기계 기초 ...
실무 능력 인증B 2008.12.02 한국기계 향상 ...
실무 능력 인증C 2009.01.02 만능화학 기초 ...
실무 능력 인증D 2009.03.05 우주건설 기초 ...
실무 능력 인증E 2009.05.07 한국전자 향상 ...
실무 능력 인증F ... ...
... ... ... ...
여기서 세로줄은 실무 능력 인증명을 나타내고, 가로줄은 실시된 일자, 이 실무 능력 인증을 학교와 협력한 산업체, 단계 등을 나타낸다.
물론, 표 1 내지 표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테이블에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표 1 내지 표 5가 테이블로서 현장 중심 교육 데이터베이스(131)에 구현된다.
네트워크망(110)은 유선 또는 무선망이 될 수 있으며, 유선과 무선을 혼합한 망일 수 있다. 물론, 네트워크망(11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공중 네트워크, 사설 네트워크, 가상 사설 네트워크 등이 될 수 있다.
이 네트워크망(110)을 통하여 사용자인 학생은 클라이언트 컴퓨터(100a 내지 100n)는 현장 중심 교육 서버(130)에 접속하여, 현장 중심 교육에 기반한 학사 관리에 가입하고, 실무 능력 인증을 검증받을 수 있다.
산업체 서버(120)는 일반 산업체, 또는 한국 전력, 조달청, 수자원 공사, 구청 등과 같은 공공 기관이 구비하는 있는 서버가 될 수 있다. 물론, 이 산업체 서버(120)에도 산업체 데이터베이스(121)가 구축되어 있다.
이 산업체 데이터베이스(121)에는 해당 산업체가 회사 운영을 위해서 구비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학교와 산학 협력하여 현장 중심 교육에 기반한 학사 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면, 이 산업체 데이터베이스(121)에는 현장 중심 교육 서버(130) 쪽에 전송할 프로젝트 과제를 위한 정보, 실무 능력 인증을 위한 평가 문제 정보 등이 저장된다.
따라서, 현장 중심 교육 서버(130)는 산업체 서버(120)와 연결되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산업체 서버(120)로부터 수신받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산업체 서버(120), 클라이언트 컴퓨터(100a 내지 100n)와 연결되어 학생이 이수한 과목, 프로젝트, 과제 등에 대한 평가를 통해 학점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설명이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 과정 중 학생의 입학으로부터 소그룹 편성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즉, 학생이 입학하면, 현장 중심 교육에 기반한 학사 관리의 대상이 된다(단계 S200).
현장 중심 교육에 기반한 학사 관리의 대상인 학생은 클라이언트 컴퓨터(100a 내지 100n)를 이용하여 현장 중심 교육 서버(130)에 접속하여 현장중심 교육에 기반한 학사 관리에 가입하게 된다(단계 S210). 물론, 학생이 입력하지 않고, 학교의 교무처에서 해당 학생에 대한 정보를 기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학생이 이 학사 관리에 가입하게 되면, 개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데, 이를 보여주는 화면예가 도 6에 도시된다. 도 6의 화면예에는 학생 개인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란이 배치된다. 예를 들면, 학생 개인이 가입하고 싶어하는 소그룹을 선택할 수 있는 그룹 선택 롤 다운 메뉴(600), 지도 교수를 선택할 수 있는 지도 교수 선택 롤 다운 메뉴(610) 등을 들 수 있다. 물론, 도 6의 화면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다른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학생은 도 6에 도시된 화면예에서 해당하는 정보를 간단하게 입력하기만 하면 된다(단계 S220).
개인 정보 입력이 이루어지면, 이 학생에게 해당하는 소그룹이 편성되고, 이 소그룹에 교수 1인이 할당된다(단계 S230, S240). 즉, 앞의 표 1에 도시된 테이블의 데이터베이스가 구현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지도 교수를 개인이 사용하는 것으로 도 6의 화면예에 표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소그룹 편성은 1학년 1학기에는 자율 배분 또는 학생이 선택하게 하고, 1학년 2학기 이후에는 교수 전공에 따라 재학생이 직접 선택한다. 이 경우, 지도 교수의 변경을 불가하게 하는 방식을 들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지도 교수 1인에 10명 내외의 학생이 할당된다.
물론, 소그룹이 편성되면, 이 소그룹에 속해있는 학생들은 각 지도 교수의 연구실에 배치되어 지도를 받게 된다. 즉, 학사 지도, 학교 생활, 적응력 배양, 상담 취업 및 사후지도 등의 전인 교육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소그룹에 편성되면, 해당 학생이 졸업한 이후에도, 사후 지도 등이 이루어진다.
그러면, 이제 해당 학생이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등급을 결정받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 3에 도시된다. 즉,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 교육 서버에 접속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완성된 프로젝트에 의해 등급이 결정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학생이 현장 중심 교육 서버(130)에 접속하여 하고 싶은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이 프로젝트를 완성한다(단계 S300, S310). 물론 프로젝트는 미리 학교와 산업체에서 협의하여 공동으로 개발하고, 이를 현장 중심 교육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해 둔다.
따라서, 학생들은 클라이언트 컴퓨터(100a 내지 100n)를 이용하여 현장 중심 교육 서버(130)에 접속하고 이 프로젝트를 다운로드받아 볼 수 있다. 물론, 프로젝트에는 단계별로, 초급 중급 고급과 같은 구분을 두어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마다 점수 평가가 이루어져 패스, 과락, 등급결정이 가능하다.
즉, 학생들이 프로젝트를 실습하고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 컴퓨터(100a 내지 100n)를 이용하여 현장 중심 교육 서버(130)에 제출하면 지도 교수와 산업체의 현장 전문가에 의해 점수가 평가되어 현장 중심 교육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다(단계 S320). 물론, 학생들이 수행한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는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오프라인상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평가 점수가 현장 중심 교육 데이터베이스(131)에 입력되면, 현장 중심 교육 서버(130)는 해당 프로젝트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해당 학생의 패스(pass) 또는 과락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30).
판단결과, 과락이면 프로젝트 과정은 종료된다(단계 S331). 물론, 이는 이해를 위한 것으로 과락의 경우, 다시 해당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달리, 패스이면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등급이 결정되고 다음 단계의 프로젝트로 진행한다(단계 S340). 예를 들면, 초급의 프로젝트를 패스하였다면 중급의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이를 실습하여 그 결과를 현장 중심 교육 서버(130)에 제출할 수 있다(단계 S350).
또한, 이러한 등급 결정의 화면예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 7에 도시된다. 즉, 도 7의 화면예에는 학생의 이름과, 등급이 표시되며, 다음 단계의 프로젝트의 수강여부를 묻는 내용이 디스플레이된다.
실습 결과에 따른 그 결과는 지도 교수와 산업체의 현장 전문가에 의해 점수가 평가되어 현장 중심 교육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다(단계 S360).
평가 점수가 현장 중심 교육 데이터베이스(131)에 입력되면, 현장 중심 교육 서버(130)는 해당 프로젝트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해당 학생의 패스 또는 과락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70).
판단결과, 과락이면 해당 프로젝트 과정은 종료된다(단계 S371). 물론, 이는 이해를 위한 것으로 과락의 경우, 다시 해당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달리, 패스이면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등급이 결정되고 그 결과는 현장 중심 교육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다(단계 S380). 물론 이러한 등급 결정의 화면예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사하게 디스플레이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 산업체를 선택하여 현장 산업체에서의 실습에 따른 등급이 결정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물론, 학생들은 현장 중심 교육 서버(130)에 접속하여, 현장 실습을 하고 싶어하는 산업체를 선택한다(단계 S400). 물론, 현장 산업체는 학생이 자율적으로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고, 현장 중심 교육 서버(130)에서 제공하는 일정에 따라 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현장 실습할 산업체가 선택되면, 해당 학생은 그 현장 산업체에서 실습한다(단계 S410). 실습이 완료되면, 산업 현장 전문가가 그 실습 결과를 점수로 평가하여 평가 점수를 산업체 서버(120)에 입력하거나, 현장 중심 교육 서버(130)에 접속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단계 S420). 물론, 학생이 점수를 받아 직접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현장 실습은 졸업을 위한 필수학점으로 예를 들면, 1학년 8주, 2학년 8주가 될 수 있다. 평가 항목으로는 산업체 60%, 대학 20%, 출석 20%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이들 예는 이해를 위한 것으로 수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할 것이다.
평가 점수가 입력되면, 현장 중심 교육 서버(130)는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해당 학생의 패스 또는 과락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30).
판단결과, 과락이면 해당 산업체 실습은 과락으로 결정되다(단계 S371). 물론, 이는 이해를 위한 것으로 과락이면, 다시 해당 산업체 실습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달리, 패스이면 해당 산업체 실습에 대한 등급이 결정되고 그 결과는 현장 중심 교육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다(단계 S440).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에서 과제를 선택하여 테스트를 받음으로써 실무 능력을 인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학생들은 현장 중심 교육 서버(130)에 접속하여, 실무 능력 인증 테스트를 신청한다(단계 S510).
학생이 실무 능력 인증 테스트를 신청하면, 현장 중심 교육 서버(130)는 과제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510). 물론, 과제는 다년간의 실무를 경험한 산업체 전문가가 현장의 다양한 요소 기술의 과제를 출제하는 방식이다. 또한, 이들 과제는 산업체 전문가에 의해 문제 개발 및 평가가 이루어진다. 즉, 과제에 대한 정보는 미리 현장 중심 교육 데이터베이스(131)에 미리 저장된다.
과제 수행이 완료되고(단계 S520), 산업체 전문가가 그 과제 수행 결과를 점수로 평가하여 평가 점수를 산업체 서버(120)에 입력하거나, 현장 중심 교육 서버(130)에 접속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단계 S530). 물론, 학생이 점수를 받아 직접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평가 점수가 입력되면, 현장 중심 교육 서버(130)는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실무 능력 인증 테스트에 대하여 해당 학생의 패스 또는 과락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40).
판단결과, 과락이면 해당 실무 능력 인증은 과락으로 결정된다(단계 S541). 물론, 이는 이해를 위한 것으로 과락의 경우, 일정 요건이 갖추어지면 다시 해당 실무 능력 인증 테스트 과정을 밟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달리, 패스이면 실무 능력 인증에 대한 등급이 결정되고 실무 능력 인증서를 발부한다(단계 S550). 물론, 인증서는 해당 학생에게 이메일, 이동 통신기기 등으로 통보될 수 있다.
물론, 실무 능력 인증은 기초, 향상으로 구분될 수 있고, 인증 취득자에게는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기 졸업, 장학금, 해외 연수, 우선 취업 추천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많은 변형예가 가능함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a 내지 100n: 클라이언트 컴퓨터 110: 네트워크
120: 산업체 서버 130: 현장 중심 교육 서버
121: 산업체 데이터베이스 131: 현장 중심 교육 데이터베이스

Claims (5)

  1. 현장 중심 교육 서버가 학생의 개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된 학생의 개인 정보에 따라 상기 학생을 소그룹 및 지도 교수를 할당하여 소그룹의 편성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학생의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기설정되거나 상기 학생에 의해 선택된 프로젝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실습 결과,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평가 점수를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평가 점수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패스 또는 과락 여부를 판단하고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학생에 의해 수행된 현장 산업체에서의 현장 실습 결과, 상기 현장 실습에 대한 현장 실습 평가 점수를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현장 실습 평가 점수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패스 또는 과락 여부를 판단하고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학생의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실무 능력 인증 테스트를 위한 과제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학생에 의해 수행된 과제 수행 결과, 상기 과제에 대한 과제 평가 점수를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과제 평가 점수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실무 능력 인증 테스트의 패스 또는 과락 여부를 판단하고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무 능력 인증 테스트를 패스한 경우, 상기 실무 능력 인증 테스트에 대한 인증서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학생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현장 실습, 및 실무 능력 인증 테스트는 단계별로 패스 또는 과락을 적용하는 방식인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그룹의 편성은,
    1학년 1학기에는 자율 배분 또는 상기 학생의 선택에 의해 편성되고, 1학년 2학기 이후에는 지도 교수의 전공에 따라 상기 학생의 직접 선택에 의해 편성되는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현장 실습, 및 실무 능력 인증 테스트는 학교와 산업체간 공동 협력으로 문제화되어 상기 현장 중심 교육 서버에 저장되어 온라인 상으로 상기 학생에게 제공되는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 방법.
KR1020100012236A 2010-02-10 2010-02-10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 방법 KR201100926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236A KR20110092678A (ko) 2010-02-10 2010-02-10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236A KR20110092678A (ko) 2010-02-10 2010-02-10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678A true KR20110092678A (ko) 2011-08-18

Family

ID=44929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236A KR20110092678A (ko) 2010-02-10 2010-02-10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267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5963A1 (ko) * 2013-01-28 2014-07-31 Ham Ki Chul 재능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시스템 및 학사관리방법
KR101435363B1 (ko) * 2014-05-16 2014-08-28 함기철 재능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시스템 및 학사관리방법
KR101445262B1 (ko) * 2013-01-04 2014-10-0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취업중심 수요자 맞춤형 교육시스템
KR101462854B1 (ko) * 2013-02-20 2014-11-21 한국복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학생 실습 관리시스템
WO2015068894A1 (ko) * 2013-11-08 2015-05-14 함기철 재능 및 경력 기반의 학사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28493A (ko) 2021-03-04 2022-09-21 함기철 인공지능 기반 재능 경력 인정 학사관리 및 재능 기부 은행 서비스 시스템
KR102555120B1 (ko) 2022-04-13 2023-07-13 함기철 인공지능 기반 재능 경력 인정 학사관리, ar과 홀로그램을 이용한 명예의 전당 및 재능 기부 은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262B1 (ko) * 2013-01-04 2014-10-0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취업중심 수요자 맞춤형 교육시스템
WO2014115963A1 (ko) * 2013-01-28 2014-07-31 Ham Ki Chul 재능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시스템 및 학사관리방법
KR101462854B1 (ko) * 2013-02-20 2014-11-21 한국복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학생 실습 관리시스템
WO2015068894A1 (ko) * 2013-11-08 2015-05-14 함기철 재능 및 경력 기반의 학사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35363B1 (ko) * 2014-05-16 2014-08-28 함기철 재능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시스템 및 학사관리방법
KR20220128493A (ko) 2021-03-04 2022-09-21 함기철 인공지능 기반 재능 경력 인정 학사관리 및 재능 기부 은행 서비스 시스템
KR102555120B1 (ko) 2022-04-13 2023-07-13 함기철 인공지능 기반 재능 경력 인정 학사관리, ar과 홀로그램을 이용한 명예의 전당 및 재능 기부 은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eorgina et al. Higher education faculty perceptions on technology integration and training
US1161549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presenting usage of an electronic learning system
Sherry Quality and its measurement in distance education
Ouellett Faculty development and universal instructional design
Torres et al. Implementing project based learning pedagogy in concrete industry project management
Dooley et al. Behaviorally anchored competencies: evaluation tool for training via distance
Lee et al. Investigating quality dimensions of hospitality higher education: From students’ perspective
KR20110092678A (ko)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 방법
Malone et al. Oral proficiency assessment: Current approaches and applications for post‐secondary foreign language programs
Littlefield et al. Designing for quality: Distance education rubrics for online MSW programs
Smith et al. Global learning is shared learning: Interdisciplinary intercultural competence at a comprehensive regional university
Overbaugh et al. Changes in teachers’ attitudes toward instructional technology attributed to completing the ISTE NETS* T certificate of proficiency capstone program
Spivakovska et al. Information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Ukraine: Development status and prospects
US20040150662A1 (en) Online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certifying competencies and compliance
Liu et al. Design of online student orientation with conceptual and procedural scaffolding
Sunindijo Teaching first-year construction management students: Lessons learned from student satisfaction surveys
Johnson Record of assessment moderation practice (RAMP): survey software as a mechanism of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Hagan‐Short et al. Competency‐based education: Multiple approaches‐a single institution
Grogan-Johnson Providing school-based speech-language therapy services by telepractice: A brief tutorial
Taylor et al. Work‐based learning in Canada and the United Kingdom: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knowledge transfer for workers with low skills and higher skills
Merchant III A revised approach to teaching audio mixing techniques: Applying the deliberate practice model
Gustavson Using ILIAC to systematically plan and implement a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assessment program for freshman classes
Jensen et al.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developing comprehensive examinations to measure student social work competencies
Senyametor et al. Relationships between dimensions of instructional quality and trainee-teacher effectiveness
Guariento et al. Constructive content-based feedback in EAP contexts: lessons from a cross-border engineering-related pre-sessional cour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