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363B1 - 재능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시스템 및 학사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재능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시스템 및 학사관리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5363B1 KR101435363B1 KR1020140058784A KR20140058784A KR101435363B1 KR 101435363 B1 KR101435363 B1 KR 101435363B1 KR 1020140058784 A KR1020140058784 A KR 1020140058784A KR 20140058784 A KR20140058784 A KR 20140058784A KR 101435363 B1 KR101435363 B1 KR 1014353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eer
- talent
- student
- credits
- serv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5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5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797 qual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75 auth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4 evalu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761 scalp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능중심학점 또는 경력중심학점을 인정하는 학사관리시스템 및 학사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학사관리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 및 인증서버와 연결되는 학사관리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학생의 경력사항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경력사항 데이터에 포함된 경력사항을 기설정된 기준을 토대로 경력사정하는 경력사정부, 및 경력사항이 인정되면, 경력사항에 대한 학생의 전공에 대하여 경력사정의 결과점수에 상응하는 학점을 부여하는 학점수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재능인정학점 또는 경력인정학점을 수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능과 경력을 함께 인정한 재능경력인정학점을 수여할 수 있는 학사관리시스템 및 학사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식기반사회에서 사람이 보유한 지식은 경쟁력의 원천이다. 따라서 인적자원 개발 및 효율적인 활용은 국가나 기업의 경쟁력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최근 상당수의 기업에서는 한계에 봉착한 자본이나 노동력 투입 위주의 성장 전략 대신에 지식과 기술을 체화한 인적 자원 중심의 성장 전략으로 조직 시스템을 전환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사용하는 학사 관리 시스템은 소속 학생들에 대한 인적자원 개발이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전혀 준비되어 있지 못하다.
일부 대학교에서는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 방법을 통해 인적자원 개발을 도모하고 있기는 하지만, 근본적으로 학생들이 소유한 다양한 재능이나 경력에 대하여 고려하고 있지 않으므로 인적자원의 개발이나 활용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그 활용 범위가 매우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한편, 근자에 지리적 시간적 요소 등에 의해 오프라인의 수강이 어려운 경우를 상정해 다양한 온라인 교육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교육시스템은 온라인 교육에 수반되는 통신이나 접속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특화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 관련하여 출결석의 평가나 교육수강의 내실을 기하기 위해 실질적인 수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감시 내지는 점검 등에 관한 방안이 추가로 제시되고 있다.
일례로, 등록특허번호 제10-0610276호의 "인터넷 강의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강의방법"에서는 사용자 단말기, 강의자에 의한 강의내용을 동영상 및 음성의 데이터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메인서버, 메인서버에 저장된 데이터스트림을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함과 동시에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피강의자가 메모를 입력할 수 있도록 메모장을 제공하는 웹서버, 메모장에 표시되는 메모를 단문메시지서비스(SMS) 데이터로 변환하는 SMS변환서버,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강의내용을 시청하는 피강의자 및 강의자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 및 SMS변환서버에 의해 변환된 SMS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메모전송 서버를 구비함으로써 피강의자 및 강의자 사이에 실시간 대화가 수행될 수 있고, 피강의자가 수강한 강의를 반복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온라인 교육시스템은 학습효율을 향상시키거나 실질적인 수업의 진행을 가능케 하여 오프라인과 유사한 효과를 얻고자 할 뿐 학생의 재능이나 경력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87839호에서는, 입/출력수단과 인식/피인식수단을 포함함과 동시에 성적 평가 시스템, 학사 행정 시스템, 수업 콘텐츠지원 시스템, 정보 분석 시스템, 온라인 상호 작용 시스템 및 정보 입출력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e-Class 관리 시스템과 성적 평가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그러나, 온라인 학사관리를 위한 종래의 시스템 및 방법은 성적 평가나 학사 관리 측면에 치중되어 있을 뿐 여전히 학생의 재능이나 경력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학사 관리 관련 시스템은 학생의 재능이나 경력을 반영하지 않거나 고려하고 있지 않으므로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발굴이나 활용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학생이 소유한 재능이나 경력을 학점으로 인정함으로써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발굴과 활용에 유용한 학사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학생이 소유한 재능이나 경력을 소정의 인증 절차를 거쳐 학점으로 인정함으로써 인적자원의 발굴과 효율적인 활용에 유용한 학사관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학이 소유한 지식들을 특정공간에서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장소에서 언제 어디서나 지식을 습득하고 배우며 학습 장소에 상관없이 지식을 쌓고 학위를 인정받을 수 있는 학사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교육시스템 및 방법에서 시도하지 않는 영역으로서, 학교 수업 외의 경력을 정해진 규정에 의거 평가하고 인증하여 온라인 교육 이수체계에 병합시키고 이를 학위 등의 취득에 요구되는 학점에 연계시킬 수 있는 학사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학을 입학하지 못한 사람들, 학위가 필요한 사람들, 좀 더 많은 지식을 습득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손쉽고 다양하게 접근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사람들의 다양한 문화욕구를 채워줄 수 있는 공간으로의 활용도 가능하며, 대학이나 대학원 학생들이 학과 수업을 충실하게 공부할 수 있는 자료실도 되고, 자신의 재능을 다른 이에게 전수하여 지식을 나누는 창구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는 학사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경력사정 이외에 사회에 존재하는 협회 등과 같은 다양한 직능집단이 교수영역에 참여할 수 있고, 회사 단위의 조직이 그 자체로 교수영역 및 수강자 영역에 동반 참여함으로써 실질적인 산학연계 기반의 수업과목 수강이 가능한 학사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안대학 형태의 재능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시스템 및 학사관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재능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시스템(이하, 간략히 학사관리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고 경력과 재능을 학점으로 인정하는 학사관리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학생의 경력사항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경력사항 데이터에 포함된 경력사항을 기설정된 기준을 토대로 경력사정하는 경력사정부, 및 경력사항이 인정되면, 경력사항에 대한 학생의 전공에 대하여 경력사정의 결과점수에 상응하는 학점을 부여하는 학점수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학사관리시스템은, 경력사항 데이터에 포함된 경력사항의 사실 유무를 해당 인증기관에 질의하고 인증기관으로부터 경력사항의 사실 유무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는 인증기관 연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점수여부는, 경력사항에 포함된 사업체에서의 전공관련업무에 대한 일정 기준 이상의 근무 시간 또는 기지정된 교육기관에서의 일정 기준 이상의 교육 이수 시간을 기설정된 학점으로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재능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방법(이하, 간략히 학사관리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는 학사관리시스템에서 경력을 학점으로 인정하는 학사관리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학생의 경력사항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경력사항 데이터에 포함된 경력사항을 기설정된 기준을 토대로 경력사정하는 단계, 및 경력사항이 인정되면, 경력사항에 대한 학생의 전공에 대하여 경력사정의 결과점수에 상응하는 학점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학사관리방법은, 경력사정하는 단계 이전에, 경력사항 데이터에 포함된 경력사항의 사실 유무를 해당 인증기관에 질의하는 단계, 및 인증기관으로부터 경력사항의 사실 유무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점을 부여하는 단계는, 경력사항에 포함된 사업체에서의 전공관련업무에 대한 일정 기준 이상의 근무 시간 또는 기지정된 교육기관에서의 일정 기준 이상의 교육 이수 시간을 기설정된 학점으로 부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학사관리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고 재능 또는 경력을 학점으로 인정하는 학사관리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학생의 재능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재능관련 데이터에 포함된 재능사항을 연계기관에 질의하고 연계기관으로부터 재능사항에 대한 사실 유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연계기관 연동부, 재능사항을 기설정된 기준을 토대로 재능사정하는 재능사정부, 및 재능사항이 인정되면 재능사항에 대한 학생의 전공에 대하여 재능사정의 결과점수에 상응하는 학점을 부여하는 학점수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학사관리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학생의 경력사항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 경력사항 데이터에 포함된 경력사항을 기설정된 기준을 토대로 경력사정하는 경력사정부, 경력사항이 인정되면 경력사항에 대한 학생의 전공에 대하여 경력사정의 결과점수에 상응하는 학점을 부여하는 학점수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사관리시스템은, 경력사항 데이터에 포함된 경력사항의 사실 유무를 기설정 인증기관에 질의하고 인증기관으로부터 경력사항의 사실 유무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는 인증기관 연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점수여부는, 연계기관에 등록된 재능기부 시간을 기설정된 학점으로 부여하거나, 경력사항에 포함된 사업체에서의 전공관련업무에 대한 일정 기준 이상의 근무 시간 또는 기지정된 교육기관에서의 일정 기준 이상의 교육 이수 시간을 기설정된 학점으로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점수여부 또는 학사관리시스템은, 재능사정 및 경력사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취득한 학점이 기준학점 또는 졸업학점의 60% 이상일 때, 해당 학생의 데이터베이스에 재능인정학점, 경력인정학점 또는 재능경력인정학점에 의한 학위 취득임을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재능인정학점, 경력인정학점 또는 재능경력인정학점에 의한 학위 취득에 대한 기록은 '재능인정전자공학사', '경력인정전자공학사', '재능경력인정전자공학사', '재능경력인정전자공학석사', '전자공학사(재능인정)', '전자공학석사(반도체설계)(경력인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학사관리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는 학사관리시스템에서 재능 또는 경력을 학점으로 인정하는 학사관리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학생의 재능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재능관련 데이터에 포함된 재능사항을 연계기관에 질의하는 단계, 연계기관으로부터 재능사항에 대한 사실 유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재능사항을 기설정된 기준을 토대로 재능사정하는 단계, 및 재능사항이 인정되면 재능사항에 대한 학생의 전공에 대하여 재능사정의 결과점수에 상응하는 학점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학사관리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학생의 경력사항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경력사항 데이터에 포함된 경력사항을 기설정된 기준을 토대로 경력사정하는 단계, 및 경력사항이 인정되면 경력사항에 대한 학생의 전공에 대하여 경력사정의 결과점수에 상응하는 학점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사관리방법은, 경력사정하는 단계 이전에, 경력사항 데이터에 포함된 경력사항의 사실 유무를 기설정 인증기관에 질의하는 단계, 및 인증기관으로부터 경력사항의 사실 유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점을 부여하는 단계는, 연계기관에 등록된 재능기부 시간을 기설정된 학점으로 부여하거나, 경력사항에 포함된 사업체에서의 전공관련업무에 대한 일정 기준 이상의 근무 시간 또는 기지정된 교육기관에서의 일정 기준 이상의 교육 이수 시간을 기설정된 학점으로 부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능 또는 경력은 기설정된 기관에서의 봉사활동 시간 등을 포함하는 사회공헌도, 또는 기설정된 대회의 입상 성적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점을 부여하는 단계는, 재능사정 및 경력사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취득한 학점이 기준학점 또는 졸업학점의 60% 이상일 때, 해당 학생의 데이터베이스에 재능인정학점, 경력인정학점 또는 재능경력인정학점에 의한 학위 취득임을 기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학생이 소유한 재능이나 경력을 학점으로 인정함으로써 인적자원의 개발과 효율적인 활용에 효과적인 학사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학생이 소유한 재능이나 경력을 소정의 인증 절차를 거쳐 학점으로 인정함으로써 인적자원의 개발과 효율적인 활용에 유용한 학사관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대학이 소유한 지식을 특정공간에서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장소에서 언제 어디서나 지식을 습득하고 배움으로 학습하는 장소에 상관없이 지식을 쌓고 학위를 인정받을 수 있는 학사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온라인 교육시스템 및 방법 등에서 시도하지 않는 영역으로서, 학교 외의 경력을 정해진 규정에 의거 평가하고 인증하여 온라인 교육 이수체계에 병합시킴으로써 이를 학위 등의 취득에 요구되는 학점 등에 연계시키는 학사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대학을 입학하지 못한 사람들, 학위가 필요한 사람들, 좀 더 많은 지식을 습득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손쉽고 다양하게 접근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사람들의 다양한 문화욕구를 채워줄 수 있는 공간으로의 활용도 가능하며, 대학이나 대학원의 학생들이 학과 수업을 충실하게 공부할 수 있는 자료실도 되고, 자신의 재능을 다른 이에게 전수하여 지식을 나누는 창고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는 학사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경력사정 이외에 사회에 존재하는 협회 등과 같은 다양한 직능집단이 교수영역에 참여할 수 있고, 회사 단위의 조직이 그 자체로 교수영역 및 수강자 영역에 동반 참여함으로써 실질적인 산학연계 기반의 수업과목 수강이 가능한 학사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대안대학 형태의 재능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시스템 및 학사관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능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시스템(이하, 간략히 학사관리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학사관리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재능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방법(이하, 간략히 학사관리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도 1의 학사관리시스템을 채용한 통합학사관리시스템의 일례에 대한 블록도
도 4는 도 3의 통합학사관리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학사관리방법의 일례에 대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학사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학사관리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학사관리방법의 흐름도
도 7은 도 5의 학사관리시스템을 채용한 통합학사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8은 도 7의 재능 분류서버의 작동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9는 도 7의 연계기관 분류서버의 작동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10은 도 7의 회사 분류서버의 작동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11은 도 7의 학생 분류서버의 작동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12는 도 7의 평가서버의 작동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2는 도 1의 학사관리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재능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방법(이하, 간략히 학사관리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도 1의 학사관리시스템을 채용한 통합학사관리시스템의 일례에 대한 블록도
도 4는 도 3의 통합학사관리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학사관리방법의 일례에 대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학사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학사관리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학사관리방법의 흐름도
도 7은 도 5의 학사관리시스템을 채용한 통합학사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8은 도 7의 재능 분류서버의 작동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9는 도 7의 연계기관 분류서버의 작동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10은 도 7의 회사 분류서버의 작동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11은 도 7의 학생 분류서버의 작동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12는 도 7의 평가서버의 작동 과정에 대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능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시스템(이하, 간략히 학사관리시스템)(120)은, 학교 서버(100)에 탑재되거나 학교 서버(100)와 연동하는 학사관리 서버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 111) 및 인증 서버(140)와 연결되며 경력을 학점으로 인정한다. 이를 위해, 학사관리시스템(120)은, 사용자 단말(110, 111)로부터 학생의 경력사항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125), 경력사항 데이터에 포함된 경력사항을 기설정된 기준을 토대로 경력사정하는 경력사정부(127), 및 경력사항이 인정되면 경력사항에 대한 학생의 전공에 대하여 경력사정의 결과점수에 상응하는 학점을 부여하는 학점수여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학사관리시스템(120)은 경력사항 데이터에 포함된 경력사항의 사실 유무를 해당 인증기관(140)에 질의하고 인증기관(140)으로부터 경력사항의 사실 유무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는 인증기관 연동부(1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신부(125)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 111)로부터 학생의 경력사항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나 이러한 수단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이다. 수신부(125)는 기설정 통신 방식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10, 111)에 경력사항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경력사정부(127)는, 저장장치나 데이터베이스 내에 기저장된 기준(평가기준)에 따라 인증기관(140)을 통해 확인된 학생의 경력사항을 사정한다. 경력사정부(127)에 대하여는 도 3 및 도 4의 경력사정 과정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학점수여부(124)는, 경력사항에 포함된 기관이나 사업체에서의 관련업무에 대한 일정 기준 이상의 근무 시간 또는 기지정된 교육기관에서의 일정 기준 이상의 교육 이수 시간을 기설정된 학점으로 부여할 수 있다.
학점수여부(124)는, 저장장치나 데이터베이스 내 학생의 학사기록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식 등으로 학생의 전공에 대한 학점을 부여하는 수단이나 이러한 수단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학점수여부(124)는 학사관리시스템(120)의 학점관리모듈(도 3의 12 참조) 내의 일부 기능부나 이 기능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인증기관 연동부(126)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기관(140)과 연결되며 인증기관(140)에 학생의 경력사항에 대한 사실 여부를 질의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수단이나 이러한 수단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로 구현된다. 인증기관(140)은 자동자정비사협회 서버, 미용사협회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학사관리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방법(이하, 간략히 학사관리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학사관리방법은, 학교서버(100)에 탑재되거나 연동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는 학사관리시스템에서 경력을 학점으로 인정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학사관리시스템(120)은 먼저 사용자 단말(110 또는 111)로부터 학생의 경력사항 데이터를 수신한다(S111).
다음, 학사관리시스템(120)은 경력사항 데이터에 포함된 경력사항을 기설정된 기준을 토대로 경력사정한다(S115).
한편, 학사관리시스템(120)은, 경력사정하는 과정(S115) 이전에, 경력사항 데이터에 포함된 경력사항의 사실 유무를 해당 인증기관(140)에 질의하는 과정(S112)과, 인증기관(140)의 인증처리(S113) 후 인증기관(140)으로부터 경력사항의 사실 유무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S11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력사정 결과(S116), 경력사항이 불인정되면, 학사관리시스템(120)은 사용자 단말(110)에 경력사항 학점 불인정에 대한 통보를 전달한다(S117). 한편, 경력사항이 인정되면, 학사관리시스템(120)은 사용자 단말(110)에 경력사항 학점 인정에 대한 통보를 전달한다(S118).
다음, 학사관리시스템(120)은 경력사항에 대한 학생의 전공에 대하여 경력사정의 결과점수에 상응하는 학점을 부여한다(S119). 그리고, 사용자 단말(110)에 경력사항에 대한 학점 인정 결과 또는 학점 부여 결과를 통보할 수 있다(S120).
도 3은 도 1의 학사관리시스템을 채용한 통합학사관리시스템의 일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학사관리시스템은, 학교서버(100)와 학생컴퓨터(110) 및 교수컴퓨터(112)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학교서버(100)는 인적관리모듈(11), 학점관리모듈(12) 및 학과관리모듈(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적관리모듈(11)은 학생데이터베이스(15)와 교수데이터베이스(14)를 포함하며, 학점관리모듈(12)은 경력데이터베이스(16)와 학점데이터베이스(17)를 포함하고, 학과관리모듈(13)은 교양데이터베이스(18)와 전공데이터베이스(1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들 또는 데이터베이스들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학교서버(100)는 교수진의 교수컴퓨터(112)와 학생의 학생컴퓨터(110)를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학교서버의 웹사이트를 제공하며, 인적관리모듈(11)을 통하여 학교서버(100)에 연결된 교수컴퓨터(112) 또는 학생컴퓨터(110)의 인증요청을 받아 교수진 또는 학생의 신원을 확인하고 인증하며, 학과관리모듈(13)을 통하여 교재 및 멀티미디어 영상 콘텐츠를 포함한 강좌 데이터를 제공하고 개설학과의 온/오프라인 강의 및 개설강의에 대한 수강기록을 관리하며, 학점관리모듈(12)을 통하여 학생의 경력사항을 사정하여 전공학점으로 인정하고, 학위에 필요한 교양 및 전공학점을 수여하거나 관리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적관리모듈(11)은 교수데이터베이스(14)를 통하여 교수진 신원을 인증하고, 신원확인 기록 및 교수진 리스트를 교수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하며, 학생 데이터베이스(15)를 통하여 학생 수강신청을 완비하고 신원확인을 하며 신원확인 기록 및 학생 리스트를 학생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한다.
학과관리모듈(13)은 교양데이터베이스(18) 및 전공데이터베이스(19)를 통하여 교재 및 멀티미디어 영상 콘텐츠를 포함하는 강좌 데이터를 학생에게 제공하고, 교수가 제공하는 교재 및 멀티미디어 영상 콘텐츠를 포함한 강좌 데이터를 교양데이터베이스(18) 또는 전공데이터베이스(19)에 저장한다.
학점관리모듈(12)은 경력데이터베이스(16)를 통하여 학생의 경력사항을 사정하여 전공학점으로 전환하며, 학점데이터베이스(17)를 통하여 학생의 학습 수행에 대해 즉시 성적을 매기고, 모든 성적 통계를 수집하며 현재 수준에 대한 학습성적을 학점데이터베이스(17)에 저장한다.
학생의 경력사항의 전공학점 인정은 경력사항이 경력사정 기준에 부합할 때 일정 학점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즉, 사업자등록증, 납세사실증명서, 원천징수영수증, 경력증명서, 자격증사본, 대회수상경력, 단체 및 협회의 경력인정증명서 등의 경력사항 중 기설정 직업 또는 산업체에서의 일정 근무기간을 해당 학과의 특정 교양이나 전공의 학점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정비학과의 경우, 자동차정비 경력 40시간을 1학점으로 하여 25학점 이상 취득하면 1학년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해주는 것으로, 정비과정 중 탈부착 및 기초 고정진단, 엔진, 시스템 이해와 고장진단, 시스템별 제어장치 이해 및 숙지와 고장 현상에 따른 단독 진단, 난해한 고장에 대한 수리와 진단 및 고객서비스과정과 리딩 과정 숙지 등의 기설정 과정의 경력사항을 학점으로 환산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미용관련학과의 경우, 미용관련 경력 40시간을 1학점으로 하여 25학점 이상 취득하면 1학년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해주는 것으로, 고객서비스과정(고객에 대한 정보정리, 두피 모발관련 측정), 전문성과정(스켈링, 위생상태, 복장, 숙련도, 자세), 체계화과정(유연성, 연결성, 배려, 드라이, 영양공급, 트리트먼트), 마스터과정(고객응대처리, 스켈링마스터, 마사지, 숙련처리) 등의 기설정 과정의 경력사항을 학점으로 환산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부사관학과의 경우, 군병과 경력을 학점으로 인정하는 것으로서, 군병과 경력 40시간을 1학점으로 하여 25학점 이상 취득하면 1학년을 인정해주며, 군병과별과 관련 전공분야의 학점으로 인정하여 주는 것으로 군병과가 수송이면 자동차정비학과, 군병과가 통신이면 전기 또는 전자과 등의 전공분야 학점으로 인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력으로 전공학점을 취득하고, 부족한 전공학점과 교양학점은 학교서버(100)에 개설되어 있는 전공과목과 교양과목을 이수하여 전공 및 교양학점을 취득하여 학위에 필요한 전공학점과 교양학점을 취득 완료하면, 학교서버(100)는 학생에게 해당 학과의 학위를 수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학사관리시스템에서는 졸업 학점(예컨대, 140 학점) 중 일정 학점 이상을 경력인정학점으로 취득한 학생에 대하여 '전자공학사(경력인정)', '경력인정 전자공학사', '경력인정 전자공학석사', '전자공학석사(반도체설계)(경력인정)' 등의 형태로 해당 학생에게 수여된 학위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3의 통합학사관리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학사관리방법의 일례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학사관리방법은, 학생 또는 교수가 학생컴퓨터(110) 또는 교수컴퓨터(112)를 통해 학교서버(100)에 접속하여 학교회원등록을 하는 단계(S41), 학생 또는 교수진의 신원을 확인하는 단계(S42), 학생인 경우 경력사항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단계(S43), 교수인 경우 교재 및 멀티미디어 영상 컨텐츠를 포함하는 강좌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단계(S44), 학생의 경력사항 데이터를 기준으로 경력사정을 하는 단계(S45), 전공학점이 기준 이하일 때 전공과목 교수진 리스트와 강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46), 전공학점이 기준 이상일 때 교양과목 교수진 리스트와 강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47), 학생이 교양 또는 전공과목 수강신청을 하는 단계(S48), 수강일정에 따라 온/오프라인 학습활동을 실행하거나 학습성적을 평가하는 단계(S49), 교양 및 전공학점을 합산하는 단계(S50), 학점이 기준학점이상인가 평가(학점사정)하는 단계(S51), 학점이 기준학점이상인 경우 학위를 수여하여 수강생이 학위를 취득하도록 하는 단계(S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학사관리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생 또는 교수가 학생컴퓨터(110) 또는 교수컴퓨터(112)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학교서버(100)에 접속하고, 신원확인을 위한 인적데이터를 업로드하여 학교회원등록을 수행하면, 통합학사관리시스템 또는 학사관리시스템(120)은 학생 또는 교수의 신원확인을 위한 인적데이터를 학생데이터베이스(15)와 교수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하고 학생 또는 교수의 학교회원등록을 인증한다(S41).
다음, 학생 또는 교수가 학생컴퓨터(110) 또는 교수컴퓨터(112)를 통하여 학교서버(100)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하면 학사관리시스템(120)은 인적관리모듈(11)을 통하여 학생데이터베이스(15) 또는 교수데이터베이스(14)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원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미가입회원인 경우, 학사관리시스템(120)은 학교회원등록 단계(S41)로 이동하고, 가입된 학생 또는 교수인 경우, 다음의 단계로 진행한다(S42).
상기의 단계(S42)에서 학생인 경우, 학사관리시스템(120)은 학생의 경력사항 데이터를 요청한다. 학생컴퓨터(110)에서 학사관리시스템(120)이 요청한 경력사항 데이터를 업로드하면, 학사관리시스템(120)은 학생의 경력사항 데이터를 경력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한다(S43).
여기서, 학사관리시스템(120)이 요청하는 경력사항 데이터는 사업자등록증, 납세사실증명서, 원천징수영수증, 경력증명서, 자격증사본, 대회수상경력, 해당 단체 및 협회의 경력인정증명서 등의 경력을 증명할 수 있는 정보나 전자 서류를 지칭한다.
상기의 단계(S42)에서 등록회원이 교수인 경우, 학사관리시스템(120)은 학교서버(100)와 연동하여 교수에게 교재 및 멀티미디어 영상 콘텐츠를 포함하는 강좌 데이터를 요청한다. 교수컴퓨터(112)에서 학사관리시스템(120)이 요청한 강좌 데이터를 업로드 하면, 학사관리시스템(120)는 교수의 교재 및 멀티미디어 영상 콘텐츠를 포함하는 강좌 데이터를 교양데이터베이스(18)와 전공데이터베이스(19)에 저장한다(S44).
다음, 학사관리시스템(120)은 학점관리모듈(12)을 통해 경력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된 학생의 경력사항 데이터를 기준으로 경력사정을 수행하여 학생의 경력사항을 전공학점으로 인정해주고 전공학점을 학점데이터베이스(17)에 저장하고, 후단의 각 단계로 이동한다(S45).
여기서, 상기의 단계(S45)의 경력사정은 학생의 경력사항을 일정 학점으로 인정하는 것으로, 기설정된 기준 또는 인증기관의 인정 기준에 따라 경력사항을 소정의 학점으로 인정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의 단계(S45)에서 경력사항이 학점으로 인정된 후에도 전공학점이 기준 이하일 때, 학사관리시스템(120)은 학과관리모듈(13)을 통하여 교수데이터베이스(14)와 전공데이터베이스(19)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공과목 교수진 리스트와 강좌정보를 학생컴퓨터(110)에 제공하고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S46).
또한, 상기의 단계(S45)에서 경력사항이 학점으로 인정된 후 전공학점이 기준 이상일 때, 학사관리시스템(10)은 학과관리모듈(13)을 통하여 교수데이터베이스(14)와 교양데이터베이스(18)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교양과목 교수진 리스트와 강좌정보를 학생컴퓨터(110)에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S47).
이때, 학생은 학교서버(100)가 학생컴퓨터(110)에 제공하는 교양 및 전공과목 교수진 리스트와 강좌정보를 보고, 학생이 필요한 교양 및 전공과목에 대한 수강신청을 할 수 있고, 수강 신청시, 학교서버(100)는 학점관리모듈(12)을 통하여 학생이 수강 신청한 내용을 학점데이터베이스(17)에 저장할 수 있다(S48).
학생은 학생컴퓨터(110)를 통하여 학교서버(100)에 접속하고, 학교서버(100)가 학과관리모듈(13)을 통하여 수강일정에 따라 교양데이터베이스(18) 또는 전공데이터베이스(19)를 통하여 제공하는 교재 및 멀티미디어 영상 콘텐츠를 포함한 강좌 데이터를 온/오프라인으로 수강하여 학습활동을 실행하거나, 학습성적을 평가받을 수 있다. 이때, 학교서버(100)는 학점관리모듈(12)을 통하여 학생의 출결사항 및 학습성적을 학점데이터베이스(17)에 저장한다(S49).
그리고, 학교서버(100)는 학점관리모듈(12)을 통하여 교양 및 전공학점을 합산하여 학점데이터베이스(17)에 저장한다(S50).
학교서버(100)는 학점관리모듈(12)을 통하여 학점데이터베이스(17)의 데이터를 토대로 학점사정을 수행하여 학점이 기준학점 이상인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기준학점 이하이면, 학교서버(100)는, 상기의 단계(S49)로 다시 진행하고, 기준학점 이상이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S51). 즉, 이수학점이 기준학점 이상이면, 학위를 수여하여 수강생이 학위를 취득하도록 한다(S52).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학사관리방법은 경력을 학점으로 인정하고, 네트워크상의 방대한 정보를 이용하며, 시간을 절약하고, 시간 및 공간적인 제약이 없는 상호작용의 실시간 학습과 학사업무 관리를 제공하며, 학생들은 언제, 어디에서든지 요망하는 강좌 콘텐츠와 강의 교수진을 선택할 수 있게 하고, 학습성적을 즉시 요청할 수 있는 편리함을 얻을 수 있으며, 학위에 필요한 학점을 경력을 통해 이수하여 학위를 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사관리시스템은 지역대회, 전국대회, 국제대회 등에서 입상한 미리 정해진 종목의 성적을 경력이나 재능으로 인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 경우, 입상 성적은 기설정 기준에 따라 점수화되고, 입상 성적이 일정 점수 이상이면, 미리 정해진 종목에 해당하는 전공학점으로 인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사관리시스템은 봉사활동 등의 미리 정해진 항목에 대한 사회공헌도를 경력이나 재능으로 인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 경우, 사회공헌도는 기설정 기준(봉사 시간 등)에 따라 미리 정해진 학과 또는 전공과목에 해당하는 전공학점으로 인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학사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학사관리시스템(120)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 연계기관(서버) 및 인증기관(서버)과 연결되고 재능 또는 경력을 학점으로 인정하는 학사관리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110, 111)로부터 학생의 재능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121), 재능관련 데이터에 포함된 재능사항을 연계기관(130)에 질의하고 연계기관(130)으로부터 재능사항에 대한 사실 유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연계기관 연동부(122), 재능사항을 기설정된 기준을 토대로 재능사정하는 재능사정부(123), 및 재능사항이 인정되면 재능사항에 대한 학생의 전공에 대하여 재능사정의 결과점수에 상응하는 학점을 부여하는 학점수여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학사관리시스템(120)은, 사용자 단말(110, 111)로부터 학생의 경력사항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125), 및 경력사항 데이터에 포함된 경력사항을 기설정된 기준을 토대로 경력사정하는 경력사정부(12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학점수여부(124)는, 경력사항이 인정되면 경력사항에 대한 학생의 전공에 대하여 경력사정의 결과점수에 상응하는 학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학사관리시스템(120)은, 경력사항 데이터에 포함된 경력사항의 사실 유무를 기설정 인증기관(140)에 질의하고 인증기관(140)으로부터 경력사항의 사실 유무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는 인증기관 연동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네트워크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통합망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이나 광대역 통신망(3G, WiMAX, WiBro, LTE, LTE-A, 위성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네트워크를 통해 학사관리시스템(120)에 접속하고 학사관리시스템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컴퓨터 단말을 지칭하는 것으로, 아이폰, 갤럭시 노트 등의 스마트폰(111)이나 아이패드, 갤럭시탭 등의 스마트패드나, 노트북, 데스크탑 컴퓨터 등의 컴퓨터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상의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서버의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은 다양한 형태와 통신 방식(유선, 무선, 또는 이들의 조합 등)으로 서버 장치에 접근가능한 단말로 구현가능하다.
전술한 학사관리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수신부(121)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학생의 재능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나 이러한 수단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이다. 제1 수신부(121)는 기설정 통신 방식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10)에 재능관련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재능관련 데이터는 연계기관에 기설정된 재능기부 항목에 해당하는 재능사항을 포함한다.
제2 수신부(125)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학생의 경력사항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나 이러한 수단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이다. 제2 수신부(125)는 기설정 통신 방식의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10)에 경력사항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경력사항 데이터는 인증기관(140)에 기설정된 경력 또는 교육이수 항목에 해당하는 경력사항을 포함한다.
연계기관 연동부(122)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계기관(130)과 연결되며 연계기관에 학생의 재능사항에 대한 사실 여부를 질의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수단이나 이러한 수단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로 구현된다. 연계기관(130)은 재능기부재단의 멘토링관리서버, 방과후수업관리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기관 연동부(126)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기관(140)과 연결되며 인증기관에 학생의 경력사항에 대한 사실 여부를 질의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수단이나 이러한 수단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로 구현된다. 인증기관(140)은 자동자정비사협회 서버, 미용사협회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연계기관 연동부(122)는 간단히 제1 연동부로, 인증기관 연동부(126)는 제2 연동부로 지칭하기로 한다.
재능사정부(123)는 저장장치나 데이터베이스 내에 기저장된 기준(제1 기준)에 따라 연계기관(130)을 통해 확인된 학생의 재능사항을 사정한다.
경력사정부(127)는 저장장치나 데이터베이스 내에 기저장된 기준(제2 기준)에 따라 인증기관(140)을 통해 확인된 학생의 경력사항을 사정한다.
학점수여부(124)는, 연계기관에 등록된 재능기부 시간을 기설정된 학점으로 부여하거나, 경력사항에 포함된 사업체에서의 전공관련업무에 대한 일정 기준 이상의 근무 시간 또는 기지정된 교육기관에서의 일정 기준 이상의 교육 이수 시간을 기설정된 학점으로 부여한다. 학점수여부(124)는 저장장치나 데이터베이스 내 학생의 학사기록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식 등으로 학생의 전공에 대한 학점을 부여하는 수단이나 이러한 수단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학점수여부(124)는 관리서버의 학사관리서버(73)에 일부 기능부나 구성부를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수신부(121), 제1 연동부(122), 재능사정부(123) 및 학점수여부(124)는 학생의 재능을 학점으로 인정하는 재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부에 해당한다. 그리고, 전술한 제2 수신부(125), 제2 연동부(126), 경력사정부(127) 및 학점수여부(124)는 학생의 경력을 학점으로 인정하는 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부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재능이나 경력 중심의 학점을 인정하는 학사관리시스템 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학사관리시스템이나 이와 유사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학사관리방법에서 전혀 찾아볼 수 없는 대안대학 또는 대안대학원 형태의 재능경력중심학점을 인정하는 학사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학사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대학의 전공학과 또는 대학원 과정에서 졸업 학점(예컨대, 140학점)이나 학위 취득을 위한 점수에 대하여 필수적으로 취득해야하는 재능/경력 인정학점의 비율을 약 60%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기존의 학사관리시스템과 차별화될 수 있다. 전술한 경우, 나머지 학점은, 교양필수과목의 수강, 인터넷 강의의 수강, 최소한의 출석 수업, 논문 등에 의한 학점이나 기타 평가 기준에 따른 학점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본 실시예의 학사관리시스템의 학점 취득 규정의 일례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의 표 1과 같다.
표 1에서, 재능경력인정의 경우, 학사관리시스템은 재능인정 및 경력인증에 의한 학점들 모두가 졸업 학점 중 최소한 30% 이상인 경우로 학위 부여 조건을 설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학사관리시스템은, 재능인증 또는 경력인증 학점이 졸업학점의 필수이수 최소학점의 기준을 넘는 경우이지만 재능인증 학점 또는 경력인증 학점 중 어느 하나가 30% 미만인 경우, 더 많은 학점을 취득한 항목(재능 또는 경력)에 대하여만 인증하는 학위를 해당 학생의 데이터베이스(학적기록부 등)에 기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학사관리시스템은 졸업 학점(예컨대, 140 학점) 중 일정 학점 이상을 재능인정학점 또는 경력인정학점으로 취득한 학생에 대하여 '전자공학사(재능인정)', '재능경력인정 전자공학사', '재능인정 전자공학석사', '전자공학석사(반도체설계)(재능경력인정)' 등의 형태로 해당 학생에게 수여된 학위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학사관리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학사관리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학사관리방법에 있어서, 먼저 온라인 대학교나 대학원 또는 오프라인 대학이나 대학원 등의 대학 또는 대학원 서버(100) 내 학사관리시스템(120)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학생의 재능관련 데이터를 수신한다(S101).
다음, 학사관리시스템(120)은 재능관련 데이터에 포함된 재능사항을 연계기관(130)에 질의한다(S102). 그리고, 연계기관(130)의 질의처리(S103) 후 연계기관(130)으로부터 재능사항에 대한 사실 유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S104).
다음, 학사관리시스템(120)은 재능사항을 기설정된 기준을 토대로 재능사정한다(S105). 재능사항의 사정(S106) 후, 재능사항이 불인정되면, 학사관리시스템(120)은 사용자 단말(110)에 재능사항 불인정에 대한 통보를 전달한다(S107). 그리고, 재능사항이 인정되면, 사용자 단말(110)에 재능사항 인정에 대한 통보 신호를 전달한다(S108).
다음, 학사관리시스템(120)은 재능사항에 대한 학생의 전공에 대하여 재능사정 결과점수에 상응하는 학점을 부여한다(S109). 그리고, 단문메시지서비스(SMS)나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MMS)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에 학점부여에 대한 통보신호를 전달한다(S110).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학사관리방법을 구현하는 학사관리시스템은 학생의 재능을 학점을 인정하는 전술한 재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 과정(S101 내지 S110) 이전, 이후 또는 동시에 학생의 경력을 학점으로 인정하는 하기의 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 과정(S111 내지 S120)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학사관리방법은, 먼저 대학교, 대학원 등의 학교 서버(100)에 탑재되거나 연동하는 학사관리시스템(120)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학생의 경력사항 데이터를 수신한다(S111).
다음, 학사관리시스템(120)은 경력사항 데이터에 포함된 경력사항을 기설정된 기준을 토대로 경력사정한다(S115).
한편, 학사관리시스템(120)에서 경력사정 과정의 전후에 수행되는 경력사항 확인 과정, 통보 과정 등은 도 2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과정들(S112 내지 S114, 및 S116 내지 S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학사관리시스템(120)은 학점을 부여할 때 연계기관에 등록된 재능기부 시간을 기설정된 학점으로 부여하거나, 경력사항에 포함된 사업체에서의 전공관련업무에 대한 일정 기준 이상의 근무 시간 또는 기지정된 교육기관에서의 일정 기준 이상의 교육 이수 시간을 기설정된 학점으로 부여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학사관리시스템을 채용한 통합학사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학사관리시스템은, 재능기부(10)와 연계기관(20) 등록과 회사(30) 등록과 학위이수를 위한 학생(40)이 유무선 네트워크(50)를 통해 웹서버(61)에 접속가능하게 구비된 분류서버(60), 분류서버(60)와 연동하여 온라인 대학의 제반 사항을 관리하도록 구비된 관리서버(70), 및 관리서버(70)와 연동하여 수업이수 및 그에 따른 평가를 관장하는 평가서버(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류서버(60)는 접속자 등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대학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비된 웹서버(61)와 재능 분류서버(62)와 연계기관 분류서버(63)와 회사 분류서버(64)와 학생 분류서버(65) 및 상기 재능 분류서버(62) 내지 학생 분류서버(65)의 분류정보를 기록 저장하도록 구비된 분류정보 DB(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재능 분류서버(62)는 다양한 전문적 지식을 구비한 개개인(등록 학생, 미등록 학생 등)이 그 재능을 온라인 대학에 기부하거나 재능인정학점 신청을 하기 위해 접속한 경우 그 재능을 평가 분류하여 적합한 강의 유형을 선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연계기관 분류서버(63)는 온라인 대학에 연계되어 그 기관의 다양한 전문적 지식이나 노하우를 온라인 대학의 수업 등에 제공하기 위해 접속한 경우나 재능사항 또는 경력사항 인증을 위해 연동하는 경우, 그 연계기관의 분류 및 강의 유형을 선정 평가하거나 연동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해 구비된다.
회사 분류서버(64)는 다양한 회사들 중에 그 회사 내에서 수행되는 각종의 직능 교육이나 연구활동을 온라인 대학과 연계하여 학위 수여과정으로 산학연계를 구하는 경우 이의 평가 및 분류를 위해 구비된다.
학생 분류서버(65)는 온라인 대학의 강의 등을 수강함으로써 학위를 취득하는 경우 그 접속한 학생의 경력 유무에 따른 분류 평가를 위해 구비된다.
상기한 각각의 분류서버는 그 서버 내에 구비된 평가기준에 따른 프로그램 및 평가기준에 따라 개개의 접속을 평가 분류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접속자에게 인적사항 내지는 경력사항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팝업이나 기타의 입력사항을 모니터 등에 현시할 수 있는 수단(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관리서버(70)는 교수 데이터베이스(DB), 학생DB 및 교직원DB 등을 관리하는 인적관리서버(71), 학점인정DB, 논문DB 및 경력에 따른 사정DB 등을 포함한 학사관리서버(72), 수강 기록DB, 동영상 강의DB 등을 포함한 강의관리서버(73), 및 온라인 대학 현황DB, 전공이수관련DB 및 학과정보DB 등을 포함한 교무관리서버(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리서버(70)는 온라인 대학의 강의와 학사행정 전반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를 기록 저장하여 관리함과 동시에 상기 분류서버(60) 및 평가서버(80)와 연동하여 웹서버(61)를 통해 접속한 접속자에게 그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평가서버(80)는 온라인 대학의 수상자가 동영상 강의 등에 접속하여 수강 여부를 평가하는 출석 및 강의이수 평가서버(81)와, 수강에 따른 결과 측정을 위한 다양한 테스트의 결과를 관리하는 테스트 관리서버(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평가서버(80)는 분류서버(60) 및 관리서버(70)와 연동하여 웹서버(61)를 통해 접속한 수강자의 평가자료를 관리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분류 서버(60)는 웹서버(61) 등을 통해 도 5의 제1 수신부 및 제2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70)는 도 5의 제1 연동부, 제2연동부 및 학점수여부를 포함할 수 있고, 평가 서버(80)는 도 5의 재능사정부 및 경력사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재능 분류서버의 작동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재능 분류서버(62)는 재능기부를 위해 접속한 경우 이를 분류하고 그에 따른 강의 유형을 분류하여 그 정보를 분류정보 DB(66)에 기록 저장한다. 이를 위해, 재능 분류 서버(62)는 재능기부 단계(S10), 분류단계(S11), 평가단계(S12), 강의유형 지정단계(S13) 및 분류정보 저장 단계(S14)의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분류단계(S11)는 기부하고자 하는 재능이 온라인 대학의 어느 학과에 속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분류하는 단계이고, 평가단계(S12)는 그 기부된 재능이 온라인 대학에서 구비한 학과에서 진행하는 교육과정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평가하는 단계로써 학과 관련성이 있다 하더라도 그 학과에서 필요한 교육과정에 해당하느냐의 여부를 평가하는 단계이다. 또한, 강의유형 지정단계(S13)는 학과 적합성이 인정된 후 그 재능이 어느 정도의 수준에 속한 수강생이 이수하도록 제공되느냐를 결정하는 단계로, 예컨대, 교양과정이나 전공필수과정 등을 정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분류정보 저장단계(S14)는 상기한 각 단계에 따라 정해진 기부된 재능의 분류, 평가 및 강의 유형의 지정에 관한 정보를 분류정보DB(66)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도 9는 도 7의 연계기관 분류서버의 작동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연계기관 분류서버(63)는 협회 등과 같은 전문가 집단이 그 집단에 속한 지식이나 노하우를 온라인 대학에 제공하기 위해 접속한 경우 이를 분류하고 그에 따른 강의 유형을 분류하여 그 정보를 분류정보 DB(66)에 기록 저장한다. 이를 위해, 연계기관 분류서버(63)는 연계기관 접속단계(S20), 분류단계(S21), 평가단계(S22), 기관 승인단계(S23), 강의유형 지정단계(S24) 및 분류정보 저장단계(S25)의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현된다.
여기서, 분류단계(S21)는 협회 등과 같은 전문가 집단이 그 집단에 속한 지식이나 노하우를 온라인 대학에 제공하기 위해 접속한 경우 온라인 대학의 어느 학과에 속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분류하는 단계이다.
평가단계(S22)는 협회 등과 같은 전문가 집단에 속한 지식이나 노하우가 온라인 대학에서 구비한 학과에서 진행하는 교육과정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평가하는 단계로써 학과 관련성이 있다 하더라도 그 학과에서 필요한 교육과정에 해당하느냐의 여부를 평가하는 단계이다.
기관 승인단계(S23)는 학과적합성이 있는 협회 등의 연계기관이 추구하는 이념 등이 온라인 대학의 추구하는 바에 적합한 경우에 한해 그 기관을 온라인 대학에서 강의할 수 있도록 승인하는 단계로써, 개개인의 재능기부와는 달리 연계기관을 통한 지식의 제공에 부수해 영리적인 목적이나 온라인 대학에 합하지 않는 연계기관의 홍보 등에 온라인 교육이 악용되는 것 등을 방지하기 위한 단계이다.
강의유형 지정단계(S24)는 학과 적합성이 인정된 후 그 협회 등과 같은 전문가 집단에 속한 지식이나 노하우가 어느 정도의 수준에 속한 수강생이 이수하도록 제공되느냐를 결정하는 단계로, 예컨대, 교양과정이나 전공필수과정 등을 정하는 단계이다.
분류정보 저장단계(S25)는 상기한 각 단계에 따라 정해진 협회 등과 같은 전문가 집단인 연계기관의 분류, 평가 및 강의 유형의 지정에 관한 정보를 분류정보DB(66)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도 10은 도 7의 회사 분류서버의 작동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회사 분류서버(64)는 온라인 대학에서 회사 내의 직무교육이나 연구활동의 수행을 연계하여 학위의 취득을 요구하기 위해 접속한 경우 이를 분류하고 그에 따른 강의 유형을 분류하여 그 정보를 분류정보 DB(66)에 기록 저장한다. 이를 위해, 회사 분류서버(64)는 회사 접속단계(S30), 유형지정단계(S31), 평가단계(S32), 승인단계(S33), 멘토링 단계(S34), 강의유형 지정단계(S35) 및 분류정보 저장단계(S36)의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유형 지정단계(S31)는 회사 내의 직무교육이나 연구활동의 수행을 연계하여 학위의 취득을 요구하기 위해 접속한 회사가 온라인 대학과 산학연계를 통한 학위 수여를 목적으로 하는지 아니면 회사 종업원 등의 단순 수강을 위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만일 회사 종업원 등의 단순 수강에 그친다면 개별적 접속을 통해 학생으로 수강하도록 유형을 지정하기 위한 단계이다. 본 실시예의 회사 분류서버(64)는 회사 내의 연구활동이나 직무교육 등을 온라인 대학과 연계하여 수행하는 경우에 이를 처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평가단계(S32)는 회사 등의 직무교육이나 연구활동이 온라인 대학에서 구비한 학과에서 진행하는 교육과정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평가하는 단계로써 학과 관련성이 있다 하더라도 그 학과에서 필요한 교육과정에 해당하느냐의 여부를 평가하는 단계이다.
승인 단계(S33)는 학과적합성이 있는 회사 등의 직무교육이나 연구활동이라 하더라도 온라인 대학의 추구하는 바에 적합한 경우에 한해 온라인 대학에서 강의할 수 있도록 승인하는 단계로써, 영리적인 목적이나 온라인 대학에 합하지 않는 홍보 등에 온라인 교육이 악용되는 것 등을 방지하기 위한 단계이다.
멘토링 단계(S34)는 회사의 직무교육이나 연구활동에 있어서, 회사 내의 조직구조에 따라 사내 선임자나 상급자가 교수의 역할을 행하고 하급자나 지시를 받아 연구를 수행하는 자가 수강생이 되어 교육을 이수하게 하는 단계로써 그에 따라 교수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한 재능기부 단계(도 8의 S10 참조)와 유사하게 그 직무상의 지식이나 연구수행에 따르는 지식을 강의하게 되고, 수강자는 학생과 유사하게 수업을 수강하고 학점을 취득하게 한다. 예컨대, 멘토링단계(S34)는 강의 수강 여부에 따라 그 수강을 요하는 경우 학생접속을 이행하고, 수강을 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재능기부 접속을 이행함으로써 온라인 대학에서 회사 직무교육이나 연구활동에 따른 교육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온라인 대학의 일반 학생이나 재능 기부자와 달리 회사 내의 조직에 따른 역할 분담을 통해 온라인 대학 내에 독자적인 회사 대학이 구현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강의 유형지정단계(S35)는 어느 정도의 수준에 속한 수강생이 이수하도록 제공되느냐를 결정하는 단계로, 예컨대, 교양과정이나 전공필수과정 등을 정하는 단계이다. 한편, 분류정보 저장단계(S36)는 상기한 각 단계에 따라 정해진 회사의 분류, 평가 및 강의 유형의 지정에 관한 정보를 분류정보DB(66)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도 11은 도 7의 학생 분류서버의 작동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학생 분류서버(65)는 학생 접속단계(S40), 경력유무 판단단계(S41), 학교경력 판단단계(S51), 산업체 경력 판단단계(S61) 및 기타 경력 판단단계(S71)의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학교경력 판단단계(S51)는 학점 및 이수단위 평가단계(S52) 및 분류정보 저장단계(S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산업체 경력 판단단계(S61)는 경력유형 파악단계(S62)와 경력인정 변환단계(S63)와 대응학점 및 이수단위 평가단계(S64) 및 분류정보 저장단계(S4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타 경력 판단단계(S71)는 경력유형 파악단계(S72)와 대응경력인정 변환단계(S73)와 대응학점 및 이수단위 평가단계(S74) 및 분류정보 저장단계(S4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학생접속(S40)이 있는 경우, 학생 분류서버(65)는 그 학생의 학교 외 경력이 없는 경우 해당 접속 학생을 일반학생으로 분류(S42)하고 그에 따라 학교의 학사일정에 따라 강의를 수강하고 필요한 학점을 이수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접속 학생이 본 발명에 따른 학교 이외에 다른 학교경력(S51)이 있는 경우, 학생 분류서버(65)는 타학교에서 이수한 학점 및 그 이수단위를 본 실시예의 학교 서버에서 인정하는 학점 및 이수단위로 평가받고(S52), 그에 따라 강의를 수강하도록 안내한다. 이 경우, 학점 및 이수단위 평가의 결과는 분류정보 저장단계(S43)를 거쳐 분류정보DB(66)에 저장될 수 있다.
산업체 경력 판단단계(S61)는 산업체 경력이 있는 경우 경력유형 파악단계(S62)에서 학교 외에서의 경력의 종류 내지는 직종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고, 경력인정 변환단계(S63)에서 본 실시예의 학교 서버에 정해둔 기준에 따라 경력에 따른 가중치를 변환하여 부여하게 된다. 경력에 따른 가중치는 대응학점 및 이수단위 평가단계(S64)에서 그에 상응하는 대응학점 및 이수단위로 평가되어 분류정보 저장단계(S43)에서 분류정보DB(66)에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산업체 경력이 있는 경우 그 경력에 상응하는 학점 이수 등을 인정받게 되어 불필요한 학점의 이수를 요하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학위를 수여받을 수 있게 되어 학비의 절감 및 시간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기타 경력 판단단계(S71)는 산업체 이외에 자영업이나 1인 사업장 등에서의 경력이 있는 경우 그 종류 및 직종을 파악하는 경력유형 파악단계(S72)를 거쳐 대응 경력인정 변환단계(S73)에서 본 실시예의 학교 서버에 정해둔 기준에 따라 기타 경력에 관한 대응경력에 따른 가중치를 변환하여 부여하게 된다. 상기한 경력에 따른 가중치는 대응학점 및 이수단위 평가단계(S74)에서 그에 상응하는 대응학점 및 이수단위로 평가되어 분류정보 저장단계(S43)에서 분류정보DB(66)에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산업체가 아닌 가내 수공업이나 기타 특수한 경력에 대해서도 정해진 기준에 의거 학점 이수 정도를 판단 받고 그에 따라 불필요한 영역의 학점 이수를 중복해서 요구하지 않고도 학위 취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표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경력인정 변환단계에 적용할 수 있는 변환표의 예시이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력인정 변환단계(S63)와 대응경력 인정 변환단계(S74)에서 산업체 또는 기타 직종에서의 경력은 각 항목별로 경력 인정 사항을 규정하고 그 규정된 항목별로 A 내지 J 등으로 표시된 각각의 항목 가중치를 정의해 둔다. 그리고, 정의된 바에 따라 부여된 가중치는 본 실시예의 학교 서버(학사관리시스템)에서 규정한 학점과의 상관성에 의해 대응학점으로 부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회에서의 다양한 경력이 대학교나 대학원에서 적절하게 학점 등으로 인정될 수 있어 교육의 내실화 내지는 실질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전술한 경력인정 변환단계(S63)와 대응경력 인정 변환단계(S74)에서 학생의 경력사항을 전공학점 등으로 인정한다는 것은 각 항목별로 경력 인정 사항을 규정한 바에 따라 경력사항을 일정 학점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표 2에서와 같이 산업체 또는 기타 직종에서의 경력은 각 항목별로 경력 인정 사항을 규정하고 그 규정된 바에 따라 일정 경력을 학점으로 인정할 수 있다. 표 2에서 표기된 항목 이외에도 경력을 인정할 수 있는 항목을 추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는 도 7의 평가서버의 작동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평가서버(80)는 학교 서버에 연결되는 웹서버(61)를 통해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수강생의 평가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평가서버(80)는, 강의 수강단계(S81), 1차 평가 단계(S82), 2차 평가단계(S83), 출결 평가단계(S84), 경력인정 점수 반영단계(S85), 평가기준 이상 판단단계(S86) 및 학점 인증단계(S87)의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강의 수강단계(S81)에서 각각의 수강자가 안내에 따라 강의를 수강하고 그 수강의 중간에 1차, 2차 평가 등의 평가를 거치면, 학교 서버는 수강자에 대한 출결사항이나 평가사항을 학점에 반영하게 된다. 특히. 일반 수강자와 달리 경력인정에 따라 이수 단위가 정해진 수강생의 경우, 평가서버(80)는 수강자의 이수 단위에 따른 사항을 반영하고(S85), 그에 따른 총합 점수가 정해진 평가기준을 상회하는 경우 최종적으로 학점인증단계(S87)에서 학점을 인정하도록 동작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일부 직업이나 업종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2만여 개의 업종 대부분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업종에 따라 경력이나 재능으로 인정할 수 있는 항목 을 설정하고, 그것을 점수화하고 학생이 학점으로 인정받고자 하는 재능사항이나 경력사항의 점수가 기준 점수 이상일 때 그에 상응하는 학점을 인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경력 또는 재능 인정가능한 항목으로는 자격증, 관련 공인시험(자격검정시험 등)의 일정 기준 이상의 점수, 지정기관 교육이수 시간, 해당분야 업무 기간(월/년)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준의 학교 내 수업 교육을 생략하고 재능이나 경력으로 학점을 인정받아 대학교나 대학원의 졸업 학점을 인정받고, 그에 의해 학생이 학위(예컨대, 재능인정학위, 경력인정학위, 재능경력인정학위)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대안대학 형태의 학사관리시스템 및 학사관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재능기부 11 : 인적관리모듈
12 : 학점관리모듈 13 : 학과관리모듈
14 : 교수데이터베이스 15 : 학생데이터베이스
16 : 경력데이터베이스 17 : 학점데이터베이스
18 : 교양데이터베이스 19 : 전공데이터베이스
20, 130 : 연계기관
30 : 회사 40 : 학생
50 : 유무선 네트워크 60 : 분류서버
61 : 웹서버 62 : 재능 분류서버
63 : 연계기관 분류서버 64 : 회사 분류서버
65 : 학생 분류서버 66 : 분류정보 DB
70 : 관리서버 71 : 인적관리서버
72 : 강의관리서버 73 : 학사관리서버
74 : 교무관리서버 80 : 평가서버
81 : 출석 및 강의 이수 평가서버
82 : 테스트 관리서버
100: 학교 서버 또는 온라인 대학 서버
110: 사용자 단말
120: 학사관리시스템
140: 인증기관
12 : 학점관리모듈 13 : 학과관리모듈
14 : 교수데이터베이스 15 : 학생데이터베이스
16 : 경력데이터베이스 17 : 학점데이터베이스
18 : 교양데이터베이스 19 : 전공데이터베이스
20, 130 : 연계기관
30 : 회사 40 : 학생
50 : 유무선 네트워크 60 : 분류서버
61 : 웹서버 62 : 재능 분류서버
63 : 연계기관 분류서버 64 : 회사 분류서버
65 : 학생 분류서버 66 : 분류정보 DB
70 : 관리서버 71 : 인적관리서버
72 : 강의관리서버 73 : 학사관리서버
74 : 교무관리서버 80 : 평가서버
81 : 출석 및 강의 이수 평가서버
82 : 테스트 관리서버
100: 학교 서버 또는 온라인 대학 서버
110: 사용자 단말
120: 학사관리시스템
140: 인증기관
Claims (1)
-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고 재능 또는 경력을 학점으로 인정하는 학사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재능관련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학생의 재능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경력사항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학생의 경력사항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
상기 재능관련 데이터에 포함된 재능사항을 연계기관에 질의하고 상기 연계기관으로부터 상기 재능사항에 대한 사실 유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연계기관 연동부;
상기 경력사항 데이터에 포함된 경력사항의 사실 유무를 해당 인증기관에 질의하고 상기 인증기관으로부터 경력사항의 사실 유무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는 인증기관 연동부;
상기 연계기관에 의해 인증된 상기 재능사항을 기설정된 제1 기준을 토대로 재능사정하는 재능사정부-여기서, 제1 기준은 상기 연계기관에 등록된 재능기부 시간에 대한 학점 부여 기준을 포함함-;
상기 경력사항을 기설정된 제2 기준을 토대로 경력사정하는 경력사정부-여기서, 상기 제2 기준은 상기 경력사항에 포함된 사업체에서의 전공관련업무에 대한 일정 기준 이상의 근무 시간 또는 기지정된 교육기관에서의 일정 기준 이상의 교육 이수 시간에 대한 학점 부여 기준을 포함함-; 및
상기 재능사항이 인정되면, 상기 재능사항에 대한 사정 결과 점수에 상응하는 학점을 부여하고, 상기 경력사항이 인정되면, 상기 경력사항에 대한 사정 결과 점수에 상응하는 학점을 부여하는 학점수여부;
상기 제1수신부 및 상기 제2수신부를 포함하는 웹서버;
상기 웹서버, 재능 분류서버, 연계기관 분류서버, 회사 분류서버 및 학생 분류서버를 구비하는 분류 서버-여기서, 상기 재능 분류서버, 상기 연계기관 분류서버, 상기 회사 분류서버 및 상기 학생 분류서버는 상기 웹서버에 연결됨-;
상기 연계기관 연동부, 상기 인증기관 연동부 및 상기 학점수여부를 구비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재능사정부 및 상기 경력사정부를 구비하는 평가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재능 분류서버는 특정 전문가의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웹서버에 접속한 경우 상기 전문가에 대한 재능을 분류하고 강의 유형을 선정하며,
상기 연계기관 분류서버는 온라인 대학을 포함한 연계기관을 분류하고 강의 유형을 설정하며,
상기 회사 분류서버는 회사에서 수행하는 직능 교육이나 연구 활동을 상기 온라인 대학과 연계하여 분류하며,
상기 학생 분류서버는 상기 경력사항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학생을 경력이 있는 학생 또는 경력이 없는 학생으로 분류하면서, 상기 경력이 있는 학생을 타학교 경력이 있는 학생, 기설정된 산업체의 경력이 있는 학생 또는 기설정된 상기 산업체 외의 경력이 있는 학생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산업체의 경력이 있는 경우, 경력 유형을 인식하고, 상기 경력 유형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대응학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재능사항 및 상기 경력사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필수적으로 취득해야하는 재능인정학점, 경력인정학점 또는 재능경력인정학점의 비율은 졸업학점이나 학위 취득을 위한 기준학점에 대하여 60% 이상에서 100% 이하로 설정되고,
상기 학점수여부는, 상기 재능사항 및 상기 경력사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취득한 학점이 상기 기준학점 또는 상기 졸업학점의 60% 이상일 때, 해당 학생의 데이터베이스에 재능인정학점, 경력인정학점 또는 재능경력인정학점에 의한 학위 취득임을 기록하는 학사관리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8784A KR101435363B1 (ko) | 2014-05-16 | 2014-05-16 | 재능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시스템 및 학사관리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8784A KR101435363B1 (ko) | 2014-05-16 | 2014-05-16 | 재능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시스템 및 학사관리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27912 Division | 2013-01-28 | 2013-10-2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35363B1 true KR101435363B1 (ko) | 2014-08-28 |
Family
ID=5175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8784A KR101435363B1 (ko) | 2014-05-16 | 2014-05-16 | 재능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시스템 및 학사관리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5363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6312B1 (ko) * | 2018-07-27 | 2018-12-06 | 함기철 | 재능경력중심 학점인정 학사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재능기부은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
KR102376790B1 (ko) * | 2021-08-11 | 2022-03-21 | 주식회사 투비유니콘 | 학사 관리 시스템 |
WO2022186526A1 (ko) * | 2021-03-04 | 2022-09-09 | 함기철 | 인공지능 기반 재능 경력 인정 학사관리 및 재능 기부 은행 서비스 시스템 |
KR102555120B1 (ko) | 2022-04-13 | 2023-07-13 | 함기철 | 인공지능 기반 재능 경력 인정 학사관리, ar과 홀로그램을 이용한 명예의 전당 및 재능 기부 은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
KR102674425B1 (ko) | 2023-08-10 | 2024-06-12 | 주식회사 넥스퍼스 | 졸업 사정 시뮬레이션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5790A (ko) * | 2003-12-26 | 2004-01-16 | 학교법인연세대학교 |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 및 시스템 |
KR20110092678A (ko) * | 2010-02-10 | 2011-08-18 | 한국폴리텍Iv대학 산학협력단 |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 방법 |
KR101182246B1 (ko) | 2010-12-28 | 2012-09-17 | 이유태 | 기업과 소상공인의 상생관계를 정립하는 소점포관리사 프로보노 운용방법 |
-
2014
- 2014-05-16 KR KR1020140058784A patent/KR1014353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5790A (ko) * | 2003-12-26 | 2004-01-16 | 학교법인연세대학교 |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 및 시스템 |
KR20110092678A (ko) * | 2010-02-10 | 2011-08-18 | 한국폴리텍Iv대학 산학협력단 | 현장 중심형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학사 관리 방법 |
KR101182246B1 (ko) | 2010-12-28 | 2012-09-17 | 이유태 | 기업과 소상공인의 상생관계를 정립하는 소점포관리사 프로보노 운용방법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한국폴리텍대학 창원캠퍼스 홈페이지] 학사정보 학사안내의 학점인정에 관한 규칙(2010.09.01.) * |
[한국폴리텍대학 창원캠퍼스 홈페이지] 학사정보 학사안내의 학점인정에 관한 규칙(2010.09.01.)*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6312B1 (ko) * | 2018-07-27 | 2018-12-06 | 함기철 | 재능경력중심 학점인정 학사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재능기부은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
WO2020022611A1 (ko) * | 2018-07-27 | 2020-01-30 | 함기철 | 재능경력중심 학점인정 학사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재능기부은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
EP3789952A4 (en) * | 2018-07-27 | 2022-01-19 | Ki Cheol Ham | ACADEMIC MANAGEMENT SYSTEM AND PROCEDURES FOR RECOGNIZING TALENT AND WORK EXPERIENCE CENTERED STUDY ACHIEVEMENTS AND SYSTEM FOR PROVIDING A TALENT CONTRIBUTION BANK SERVICE THEREOF |
WO2022186526A1 (ko) * | 2021-03-04 | 2022-09-09 | 함기철 | 인공지능 기반 재능 경력 인정 학사관리 및 재능 기부 은행 서비스 시스템 |
KR20220128493A (ko) | 2021-03-04 | 2022-09-21 | 함기철 | 인공지능 기반 재능 경력 인정 학사관리 및 재능 기부 은행 서비스 시스템 |
KR102376790B1 (ko) * | 2021-08-11 | 2022-03-21 | 주식회사 투비유니콘 | 학사 관리 시스템 |
KR102555120B1 (ko) | 2022-04-13 | 2023-07-13 | 함기철 | 인공지능 기반 재능 경력 인정 학사관리, ar과 홀로그램을 이용한 명예의 전당 및 재능 기부 은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
KR102674425B1 (ko) | 2023-08-10 | 2024-06-12 | 주식회사 넥스퍼스 | 졸업 사정 시뮬레이션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Griffin et al. | The strategies and struggles of graduate diversity officers in the recruitment of doctoral students of color | |
Mahmoudi-Gahrouei et al. | Understanding what is possible across a career: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beyond transition to teaching | |
KR101926312B1 (ko) | 재능경력중심 학점인정 학사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재능기부은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 |
US20150356700A1 (en) | Educ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credits to be admitted based on talents and careers | |
KR101435363B1 (ko) | 재능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시스템 및 학사관리방법 | |
Dominguez-Whitehead | Non-academic support services and university student experiences: Adopting an organizational theory perspective | |
McQuiston et al. | E-Government and information technology coursework in public administration programs in Asia | |
Kovalik | Death of an Adjunct | |
Pitts et al. | Getting to know you: Ethnic diversity, time and performance in public organizations | |
Clemson Ed D et al. | Transitional challeng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during a period of systemic imbalance | |
Kater et al. | Getting to shared governance: New perspectives for implementing governance | |
Wright | Integrating lives through adult education: A case study of mature women training to work in childcare | |
KR20150053345A (ko) | 재능 및 경력 기반의 학사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Scott et al. | Urban teen summit: A community and school collaboration for developing student leaders of color | |
Diedrich | Classifying difference in organizing, or how to create monsters | |
KR102522192B1 (ko) | 자가 실시 평판 조회 기능을 제공하는 채용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 |
Perez Espes et al. | A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impact of e-participation experiences | |
Ludwiczak | Improving service quality at universities through student journey mapping | |
Mills et al. | Evolving a university center to a branch campus: A case study | |
Yulianto et al. | Implementation Of Tracer Study At PTNBH In Indonesia | |
Squire et al. | Learning from the past to create an equitable future: An archival study of a university emerging as a Hispanic-serving institution | |
Suroso et al. | Designing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t PT. Metropolitan Kentjana Tbk, Pondok Indah Mall Unit | |
Alcantar et al. | Para mi gente: Community responsive civic practices at Hispanic Serving Community Colleges | |
KR102554459B1 (ko) | 채용 플랫폼 이용자 간의 매칭을 통한 평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
Arellano Jr et al. | Accountable to whom? Reimagining Hispanic serving institutions’ financial mode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