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5790A -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5790A
KR20040005790A KR1020030097391A KR20030097391A KR20040005790A KR 20040005790 A KR20040005790 A KR 20040005790A KR 1020030097391 A KR1020030097391 A KR 1020030097391A KR 20030097391 A KR20030097391 A KR 20030097391A KR 20040005790 A KR20040005790 A KR 20040005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er
learning
information
evaluation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명남
문희수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연세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연세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연세대학교
Priority to KR1020030097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5790A/ko
Publication of KR20040005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5790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과목에 대해 미리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학점을 취득한 선학습자와 당해 선학습자와 해당 과목에 대한 협동 학습을 수행하고자 하는 후학습자를 연결하여 상호간에 협동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 후, 평가 시점에 협동 학습에 대한 평가 정보를 수신하여 평가 정보 등이 긍정적인 경우 당해 선학습자에게 사회 봉사 등의 과목에 대한 학점 취득을 인정하는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학습 커뮤니티에서 학생들간의 상호 작용을 통한 협동 학습을 통한 학습 효과 향상 및 학습 결과의 평가를 가능하게 하며, 선학습자는 부가적인 학점 취득의 기회뿐 아니라 사회 봉사를 수행했다는 인증서(certification)를 부여받을 수 있고, 사회 봉사 수행 결과에 따른 마일리지도 제공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co-learning in learning community}
본 발명은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학습 커뮤니티에서 학생들간의 협동 학습을 통한 학습 효과 향상 및 학습 결과의 평가를 가능하게 하는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학생 학습 지도 방법으로는 학교에서의 학습, 과외, 학원에서의 학습, 교육 웹사이트를 이용한 학습 등이 있다.
이중 과외는 학습 지도 희망자(즉, 강사)가 전단지를 배포하거나 생활 정보지에 과외 희망 사실을 게재하면, 과외 희망 학생 또는 그의 부모가 연락을 취하고상호간의 요구가 만족된 경우 학습 지도 희망자와 학생간에 과외 학습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학원이나 교육 웹사이트를 이용해 학습을 하고자 하는 학생의 경우에는 학원을 방문하거나 교육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강의를 받고자하는 강사를 선택하고 강의료를 지불함으로써 해당 강사의 강의를 들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학습 지도 방법은 모든 경우에 있어 강사가 가진 지식을 일방적으로 학생에게 전달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을 뿐 당해 강사의 지도 능력, 학습 능력 등을 학생의 입장에서 다각도로 평가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학생의 학습 태도 등을 강사의 입장에서 평가한다는 개념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학습 지도 방법은 금전을 매개로 일방적 지식 제공 방법으로 이루어져 있어, 강사와 학생 각자의 자발적인 자기 계발 및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충분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 커뮤니티에서 학생들간의 상호 작용을 통한 협동 학습을 통한 학습 효과 향상 및 학습 결과의 평가를 가능하게 하는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전을 매개로 하는 협동 학습이 아닌 학생들간의 상호 협동 및 자기 계발 노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학습 효과가 발생되는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협동 학습을 수행하는 학생들 상호간에 학습 태도 평가가 이루어지므로 자기 계발 및 대인 관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도적으로 협동 학습을 진행하는 학생에게 학점 취득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자발적인 협동 학습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협동 학습자 연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협동 학습 결과의 평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학습자의 후학습자 평가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후학습자의 선학습자 평가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선학습자 단말기
120 : 후학습자 단말기
130 : 학습 관리 시스템
135 : 송수신부
140 : 저장부
145 : 학습 수준 관리부
150 : 학습자 연결부
155 : 학습 진행 관리부
160 : 평가 결과 관리부
165 : 제어부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학습자간의 상호 협동 학습 결과를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학습자 단말기로부터 후학습자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후학습자 연결 요청은 제1 협동 학습 희망 과목 정보 및 선학습자 정보를 포함함-; 상기 제1 협동 학습 희망 과목 정보에 상응하는 과목에 대한 선학습자의 취득 학점이 상호 협동 학습을 위한 선학습자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부합하는 경우, 상기 후학습자 연결 요청을 저장하는 단계; 후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선학습자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선학습자 연결 요청은 제2 협동 학습 희망 과목 정보 및 후학습자 정보를 포함함-; 상기 선학습자 연결 요청에 상응하는 선학습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선학습자 정보 및 상기 후학습자 정보를 이용하여 협동 학습자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 협동 학습에 대한 평가 시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평가 시점인 경우, 상기 후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선학습자에 대한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학습자에 대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선학습자 평가 결과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이 제공되고, 당해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장치 및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선학습자 평가 결과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선학습자의 세미나 참석 여부, 학습 자료 등록 건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학습 진행 이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학습 진행 이력 정보 및 상기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학습자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선학습자 평가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은 학점 취득을 인정하기 위한 평가 결과 기준치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선학습자 평가 결과가 상기 평가 결과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만족하는 경우 상기 선학습자에 대한 학점 취득 인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은 상기 선학습자 단말기로부터 후학습자에 대한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후학습자에 대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후학습자 평가 결과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선학습자 단말기(110), 후학습자 단말기(120) 및 학습 관리 시스템(130)을 포함한다. 도 1에는 각각 하나씩의 선학습자 단말기(110) 및 후학습자 단말기(120)가 도시되었으나 그룹 스터디의 개념으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이 추가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선학습자 단말기(110) 및 후학습자 단말기(120)는 통신망을 통해 학습 관리 시스템(130)에 접속하여 학습자 연결 요청, 학습 진행 사항 등록, 학습자 평가 정보 전송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면 아무런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 휴대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선학습자 단말기(110)는 미리 특정 과목 또는 분야에 학습을 수행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학습 능력을 가진 것으로 인정된 학생(즉, 선학습자)의 단말기이다. 후학습자 단말기(120)는 임의의 과목 또는 분야에 학습을 진행하고자 하는 학생(즉, 후학습자)의 단말기이다. 예를 들어, 지난 학기에 민사소송법을 수강하여 A학점을 취득한 학생(즉, 선학습자)이 협동 학습 요청을 하고, 이번 학기에 민사소송법을 수강하고자하는 학생(즉, 후학습자)이 협동 학습 요청을 한 경우 당해 선학습자와 당해 후학습자간에 협동 학습을 위한 학습자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선학습자는 자신이 학습한 내용을 후학습자에게 전달하여 후학습자의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세미나 등을 통해 민사소송법에 대한 개별 학습 및 협동 학습을 수행한다. 또한, 선학습자는 후학습자와의 협동 학습을 정상적으로 수행한 경우 교양 학점(예를 들어, 사회 봉사 과목)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물론, 이는 학습자 평가 점수에 상응하여 당해 학점 취득 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며, 평가 점수가 저조한 경우에는 당해 학점 취득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선학습자와 후학습자의 협동 학습을 지도하고 관리하는 교수의 교수 단말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교수는 당해 학습자들을 상대로 통신망을 통해 동영상 강의 등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당해 학습자들의 세미나 주관, 참석 및 지도 등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해 학습자들의 협동 학습 과목이 민사소송법이라면 당해 지도 교수는 법대 교수일 수 있다. 물론, 당해 지도 교수는 과목별로 미리 지정되어 있거나 학습자들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학습 관리 시스템(130)은 송수신부(135), 저장부(140), 학습 수준 관리부(145), 학습자 연결부(150), 학습 진행 관리부(155), 평가 결과 관리부(160) 및 제어부(165)를 포함한다. 물론, 일부 구성 요소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타 시스템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학습 수준 관리부(145)는 학점 관리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의 일 구성요소일 수 있다.
송수신부(135)는 선학습자 단말기(110) 및 후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학습자 연결 요청, 학습자 평가 정보를 수신하고, 선학습자 단말기(110) 및 후학습자 단말기(120)로 학습 대상자 정보, 평가 결과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교수 단말기 등으로부터 세미나 요청 및 세미나 데이터(예를 들어, 동영상 데이터)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학습 관리 시스템(130)의 운용 프로그램, 학습 진행 정보(예를 들어, 대화, 문제 풀이 등), 학습 결과물, 학습자 연결 정보, 학습자 평가 정보, 평가 결과 정보, 지도 교수 정보 등을 저장한다. 물론, 저장부(140)는 저장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저장부로 구분될 수 있다.
학습 수준 관리부(145)는 선학습자의 협동 학습 요청에 상응하는 과목 또는 분야에 대해 당해 선학습자의 학습 수준(예를 들어, 해당 과목의 취득 학점)을 관리하고, 선학습자 단말기(110)로부터 특정 과목에 대한 협동 학습을 위한 학습자 연결 요청이 수신된 경우 해당 선학습자가 협동 학습이 가능한 선학습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협동 학습에 있어 선학습자가 해당 과목을 이수한 자로서 취득 학점 B학점 이상인 자로 제한되어 있다면, 협동 학습 요청을 전송한 학생이 선학습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학습자 연결부(150)는 후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된 학습자 연결 요청에 상응하는 선학습자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후학습자는 복수의 과목을 순차적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선순위 과목부터 상응하는 선학습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차순위 과목에 상응하는 선학습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대부분의 후학습자가 적절한 선학습자를 배정받을 수있도록 한다.
학습 진행 관리부(155)는 협동 학습을 위해 연결된 선학습자와 후학습자의 관계에서 진행되는 학습 진행 사항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학습 진행 관리부(155)는 선학습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되는 문제 정보 및 질의 정보에 상응하는 답변 정보를 게시판에 등록하고, 후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되는 문제 정보에 상응하는 답변 정보 및 질의 정보를 게시판에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학습 진행 관리부(155)는 선학습자와 후학습자의 협동 학습 상황을 열람한 지도 교수 또는 외부 학습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조언 정보 등을 게시판에 등록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평가 결과 관리부(160)는 송수신부(135)를 통해 선학습자 단말기(110) 및 후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되는 학습자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평가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평가 결과 관리부(160)는 생성된 평가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학습자에 대한 학점 취득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5)는 선학습자와 후학습자의 연결 및 게시판, 온라인상의 세미나 공간 등을 이용한 상호간의 협동 학습, 협동 학습 평가 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송수신부(135), 저장부(140), 학습 수준 관리부(145), 학습자 연결부(150), 학습 진행 관리부(155) 및 평가 결과 관리부(16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선학습자와 후학습자의 학습 공간(예를 들어, 게시판, 세미나 공간 등)에 지정된 또는 제한된 범위의 사용자(예를 들어, 교수,외부 학습자 등)만이 접속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접속 관리부(도시되지 않음), 선학습자와 후학습자간의 협동 학습 기간을 지정하고 관리하는 학습 기간 관리부(도시되지 않음), 협동 학습 진행 또는 완료에 의해 생성되고 저장된 학습 결과물 등을 관리하고 이후의 협동 학습 요청자들에게 제공하는 학습 결과물 관리부(도시되지 않음)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협동 학습자 연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선학습자 단말기(110)는 선학습자에 의해 입력된 후학습자 연결 요청을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학습 관리 시스템(130)으로 전송한다. 후학습자 연결 요청은 선학습자의 단과대학, 학과, 학년, 학번, 이름, 협동 학습 희망 과목(또는 과목 코드), 협동 학습 기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선학습자는 선학습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학습 관리 시스템(130)으로 접속하고 학습 관리 시스템(130)에서 제공하는 선학습자 정보 입력 웹페이지 내의 각각의 정보 요청 항목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함으로써 후학습자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당해 선학습자는 후학습자에게 자신이 특정 과목에 대해 이미 학습한 내용을 전달함으로써 교양 학점 이수를 인정받고자하는 학생일 수 있으며, 후학습자 연결 요청은 수강 신청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학습 관리 시스템(130)은 단계 215에서 선학습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되는 후학습자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단계 220으로 진행하여 당해 선학습자가 지정한 협동 학습 희망 과목에 대한 학습 수준이 미리 지정된 기준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당해 선학습자의 당해 협동 학습 희망 과목에 대한 취득 학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가 선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협동 학습 희망 과목이 민사소송법(예를 들어, 과목 코드 B01)인 경우 선학습자의 조건이 B학점 이상이어야 하는 경우, 당해 선학습자가 민사소송법이라는 과목을 지정하여 협동 학습을 희망하였다면 당해 선학습자가 해당 과목을 이수하였는지 여부 및 취득 학점 등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취득 학점 정보가 B학점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미리 지정된 기준값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단계 225로 진행하여 에러 메시지(예를 들어, '홍길동님의 민사소송법 학점은 C+입니다. 다른 과목을 선택하세요' 등)를 생성하고, 생성된 에러 메시지를 통신망을 통해 선학습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물론, 수강 신청 과정에서 후학습자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는 해당 신청 과목에 대해서만 수강 신청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을 수 있다. 선학습자 단말기(110)는 단계 227에서 학습 관리 시스템(130)으로부터 에러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당해 선학습자가 협동 학습을 포기하거나 다른 과목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미리 지정된 기준값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단계 230으로 진행하여 단계 215를 통해 수신한 선학습자 정보(즉, 후학습자 연결 요청에 포함된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단계 235에서 후학습자 단말기(120)는 후학습자에 의해 입력된 선학습자 연결 요청을 통신망을 통해 학습 관리 시스템(130)으로 전송한다. 선학습자 연결 요청은 후학습자의 단과대학, 학과, 학년, 학번, 이름, 협동 학습 희망 과목, 협동 학습 기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협동 학습 희망 과목은 순서를 정하여 복수의 과목(예를 들어, 1지망 : 민사소송법(과목 코드 B01), 2지망 : 민법(과목 코드 B03), 3지망 : 형법(과목 코드 B13))으로 지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과목에 대한 협동 학습 기간도 개별적으로 지정될 수 있다. 즉, 후학습자는 후학습자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학습 관리 시스템(130)으로 접속하고 학습 관리 시스템(130)에서 제공하는 후학습자 정보 입력 웹페이지 내의 각각의 정보 요청 항목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함으로써 선학습자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학습 관리 시스템(130)은 단계 240에서 후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선학습자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단계 245에서 당해 후학습자가 지정한 학습 희망 과목에 해당하는 선학습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계 245에서 차순위 희망 과목에 대해서는 상응하는 선학습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하고, 후학습자의 희망 과목 모두에 대해 상응하는 선학습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에러 메시지(예를 들어, '선학습자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른 과목을 지정하세요' 등)를 후학습자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그러나, 적합한 선학습자가 존재하는 경우 단계 250으로 진행하여 학습자 연결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학습자 연결 결과 메시지(예를 들어, '협동 학습 과목 : 민사소송법, 선학습자 : 법학과 3학년 홍길동, 후학습자 : 사회학과 2학년 성춘향, 협동 학습 기간 : ~2004.05.30.' 등)를 선학습자 단말기(110)와 후학습자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물론, 선학습자 단말기(110)와 후학습자 단말기(120)로 전송되는 정보는 각각 상이하게 구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당해 협동 학습을 위한 게시판을 생성하는 단계가 선행될 수 있으며, 당해 학습자 연결 결과 메시지에 당해 게시판 주소 또는 협동 학습을 위해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 접속 번호 정보(즉, 초기 게시판에는 게시판 접속 번호 입력창만이 표시되고, 특정 게시판으로 접속되도록 하기 위해 입력될 접속 번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시판 접속 번호 정보가 입력된 경우 해당 게시판 접속 번호와 접속한 학습자의 아이디(ID)를 이용하여 적절한 학습자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적절한 학습자인 경우에만 해당 게시판에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게시판을 생성하지 않고 각 학습자에 독립적인 게시판을 할당하여 해당 학습자에 상응하는 학습정보가 추출되어 해당 게시판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개방형 게시판을 이용하여 외부 학습자들의 자유로운 접속이 허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제까지, 미리 저장된 선학습자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후학습자에 상응하는 선학습자를 추출하여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적절한 선학습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후학습자 정보를 미리 저장한 후 적절한 선학습자 정보가 저장될 때까지 대기할 수도 있다.
또한, 에러 메시지 송수신, 결과 메시지 송수신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학습자 연결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으며, 해당 메시지는 각각의 학습자가 지정(예를 들어, 단계 210 또는 단계 235를 통해)한 전자우편 주소 또는 SMS 메시지 등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선학습자, 후학습자 등에 의해 지도 교수를 선택하는 단계, 게시판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예를 들어, 지도 교수, 외부 학습자 등) 범위를 지정하는 단계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협동 학습 결과의 평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학습자의 후학습자 평가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후학습자의 선학습자 평가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학습 관리 시스템(130)은 현재 시점이 복수의 학습자들간의 협동 학습에 대한 평가 시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평가 시점은 협동 학습을 위해 지정된 시점(예를 들어, 매분기, 종료시)에 이루어지거나 각 학습자들이 자유롭게 평가 정보를 전송하는 시점일 수 있다. 다만, 여기서는 평가 시점은 지정된 시점에 행해지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평가 시점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310에서 평가 시점이 도래할때까지 대기한다.
그러나, 평가 시점인 경우 단계 315로 진행하여 선학습자 단말기(110) 및/또는 후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학습자 평가 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양쪽의 또는 어느 한 쪽의 학습자 평가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320으로 진행하여 평가 요청 메시지를 해당 학습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당해 평가 요청 메시지는 전자우편, SMS 메시지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학습자 평가 정보가 선학습자 단말기(110) 및 후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모두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325로 진행하여, 수신된 당해 학습자 평가 정보가 정상적인 내용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 4a 및 도 4b에 선학습자 및 후학습자가 상대방을 평가하기 위한 학습자 평가 화면이 예시되어 있다. 각 학습자는 통신망을 통해 학습 관리 시스템(130)에 접속하면, 협동 학습을 수행하고 있는 상대방에 대한 평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학습자 평가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 각 학습자 평가 화면에 표시되는 평가표에는 각 학습자의 학습 태도, 대인 관계, 학습 수준 등을 평가할 수 있는 복수의 평가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정상적인 평가 정보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 330으로 진행하여 재평가 요청 메시지를 선학습자 단말기(110) 및/또는 후학습자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정상적인 평가 정보인 경우, 학습 관리 시스템(130)은 단계 335에서 학습자 평가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학습 관리 시스템(130)은 단계 340에서 당해 협동 학습에 대한 평가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 복수의 학습자들이 특정 과목 또는 분야에 대해 협동 학습을 수행함에 있어, 학습 방법은 선학습자의 문제 정보 및 후학습자의 답변 정보 등을 등록하기 위한 게시판 이용 방법, 실시간 온라인 채팅을 이용한 상호 협동 학습방법, 지도 교수의 동영상 강의 등을 이용한 세미나 활용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각 학습 방법에 따른 학습 결과물(예를 들어, 문제 정보, 답변 정보, 실시간 채팅 정보 등)은 저장부(140)에 저장되며, 세미나의 참여 여부나 정해진 시간내에 게시물을 등록하였는지 여부 등의 학습 진행 상황도 저장부(140)에 함께 저장된다. 따라서, 학습 관리 시스템(130)은 협동 학습에 대해 각 학습자에 대한 평가 결과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 상대방 학습자가 전송한 평가 결과 정보 외에 세미나 등의 출석 이력, 학습 자료 등록 및 방문 횟수, 학습 커뮤니티 내에서의 활동 내역 등이 각 항목별로 점수화되어 환산 점수가 산출될 수 있다. 또한, 환산 점수 산출시 각 항목별로 가중치를 달리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학습 관리 시스템(130)은 단계 345에서 생성된 평가 결과 정보가 미리 지정된 학점 이수 인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학점 이수 인정 조건이 80점인 경우 당해 환산 점수가 80점 이상인 경우에만 학점 이수가 인정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물론, 단계 345는 학점 부여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산 점수가 80점인 경우에는 B를 부여하도록 하고, 55점인 경우에는 F를 부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학점 이수 인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단계 350으로 진행하여 학점 이수 인정 결과를 저장하나, 학점 이수 인정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단계 355로 진행하여 학점 이수 불인정 결과를 저장한다.
상술한 단계들을 통해 인정된 학점 이수 인정 결과 또는 불인정 결과는 해당 학기 종료후 성적표에 기재되어 선학습자가 학점 취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제까지 특정 과목에 대해 강의를 듣고 학점을 취득한 선학습자가 자신이 들었던 과목에 대해 후학습자(즉, 학습하고자 하는 학생)와 협동 학습을 진행함으로써 사회봉사 등의 과목에 대한 학점을 취득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후학습자와 협동 학습을 수행한 선학습자는 부가적인 학점 취득의 기회뿐 아니라 사회 봉사를 수행했다는 인증서(certification)를 학교로부터 부여받을 수 있고, 또한 사회 봉사 수행 결과에 따른 마일리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해당 마일리지는 학습 관리 시스템(130)에서 당해 선학습자에 상응하여 통합 누적 관리되며, 향후 취업 등에서의 인성 증명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물론, 헌혈 증서 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당 마일리지를 이용하여 제3자로부터 봉사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이제까지는 복수의 대학생간에 협동 학습을 진행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초등학교 내지 고등학교에서도 고학년 학생이 저학년 학생과 저학년 과목을 협동 학습하는 방법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이때, 고학년 학생에게는 사회 봉사 실적이 제공되며, 해당 실적은 특정 대학교의 특차 입학 요건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및 시스템은 학습 커뮤니티에서 학생들간의 상호 작용을 통한 협동 학습을 통한 학습 효과 향상 및 학습 결과의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전을 매개로 하는 협동 학습이 아닌 학생들간의 상호 협동 및 자기 계발 노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학습 효과가 발생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협동 학습을 수행하는 학생들 상호간에 학습 태도 평가가 이루어지므로 자기 계발 및 대인 관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도적으로 협동 학습을 진행하는 학생에게 학점 취득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자발적인 협동 학습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학습자간의 상호 협동 학습 결과를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학습자 단말기로부터 후학습자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후학습자 연결 요청은 제1 협동 학습 희망 과목 정보 및 선학습자 정보를 포함함-;
    상기 제1 협동 학습 희망 과목 정보에 상응하는 과목에 대한 선학습자의 취득 학점이 상호 협동 학습을 위한 선학습자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부합하는 경우, 상기 후학습자 연결 요청을 저장하는 단계;
    후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선학습자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선학습자 연결 요청은 제2 협동 학습 희망 과목 정보 및 후학습자 정보를 포함함-;
    상기 선학습자 연결 요청에 상응하는 선학습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선학습자 정보 및 상기 후학습자 정보를 이용하여 협동 학습자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
    협동 학습에 대한 평가 시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평가 시점인 경우, 상기 후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선학습자에 대한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학습자에 대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선학습자 평가 결과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학습자 평가 결과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선학습자의 세미나 참석 여부, 학습 자료 등록 건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학습 진행 이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학습 진행 이력 정보 및 상기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학습자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선학습자 평가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학점 취득을 인정하기 위한 평가 결과 기준치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선학습자 평가 결과가 상기 평가 결과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만족하는 경우 상기 선학습자에 대한 학점 취득 인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학습자 단말기로부터 후학습자에 대한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후학습자에 대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후학습자 평가 결과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
  5.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웹 서버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웹 서버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선학습자 단말기로부터 후학습자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후학습자 연결 요청은 제1 협동 학습 희망 과목 정보 및 선학습자 정보를 포함함-;
    상기 제1 협동 학습 희망 과목 정보에 상응하는 과목에 대한 선학습자의 취득 학점이 상호 협동 학습을 위한 선학습자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부합하는 경우, 상기 후학습자 연결 요청을 저장하는 단계;
    후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선학습자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선학습자 연결 요청은 제2 협동 학습 희망 과목 정보 및 후학습자 정보를 포함함-;
    상기 선학습자 연결 요청에 상응하는 선학습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선학습자 정보 및 상기 후학습자 정보를 이용하여 협동 학습자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
    협동 학습에 대한 평가 시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평가 시점인 경우, 상기 후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선학습자에 대한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학습자에 대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선학습자 평가 결과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30097391A 2003-12-26 2003-12-26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057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391A KR20040005790A (ko) 2003-12-26 2003-12-26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391A KR20040005790A (ko) 2003-12-26 2003-12-26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790A true KR20040005790A (ko) 2004-01-16

Family

ID=37315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391A KR20040005790A (ko) 2003-12-26 2003-12-26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579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301B1 (ko) * 2010-11-30 2011-05-26 엘케이기초기술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냉각장치
WO2014115963A1 (ko) * 2013-01-28 2014-07-31 Ham Ki Chul 재능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시스템 및 학사관리방법
KR101435363B1 (ko) * 2014-05-16 2014-08-28 함기철 재능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시스템 및 학사관리방법
WO2020022611A1 (ko) * 2018-07-27 2020-01-30 함기철 재능경력중심 학점인정 학사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재능기부은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099A (ko) * 2000-07-14 2000-10-05 탁충실 컴퓨터 기반의 멘토링시스템 및 그 적용 방법
KR20020082530A (ko) * 2001-04-24 2002-10-31 비씨카드 주식회사 교환과외 서버 운영 방법
KR20030044137A (ko) * 2001-11-28 2003-06-09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온라인 가상 커뮤니티에서의 피어-투-피어 매칭을 이용한외국어 대화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54754A (ko) * 2001-12-26 2003-07-02 동 현 김 인터넷상에서 개인능력 맞교환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099A (ko) * 2000-07-14 2000-10-05 탁충실 컴퓨터 기반의 멘토링시스템 및 그 적용 방법
KR20020082530A (ko) * 2001-04-24 2002-10-31 비씨카드 주식회사 교환과외 서버 운영 방법
KR20030044137A (ko) * 2001-11-28 2003-06-09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온라인 가상 커뮤니티에서의 피어-투-피어 매칭을 이용한외국어 대화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54754A (ko) * 2001-12-26 2003-07-02 동 현 김 인터넷상에서 개인능력 맞교환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301B1 (ko) * 2010-11-30 2011-05-26 엘케이기초기술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냉각장치
WO2014115963A1 (ko) * 2013-01-28 2014-07-31 Ham Ki Chul 재능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시스템 및 학사관리방법
KR101435363B1 (ko) * 2014-05-16 2014-08-28 함기철 재능경력중심학점 인정 학사관리시스템 및 학사관리방법
WO2020022611A1 (ko) * 2018-07-27 2020-01-30 함기철 재능경력중심 학점인정 학사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재능기부은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EP3789952A4 (en) * 2018-07-27 2022-01-19 Ki Cheol Ham ACADEMIC MANAGEMENT SYSTEM AND PROCEDURES FOR RECOGNIZING TALENT AND WORK EXPERIENCE CENTERED STUDY ACHIEVEMENTS AND SYSTEM FOR PROVIDING A TALENT CONTRIBUTION BANK SERVIC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iney et al. Race and gender differences in how sense of belonging influences decisions to major in STEM
Ciampa et al. Blogging to enhance in-service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and development during collaborative inquiry
US20140120511A1 (en) TeachAtCafe - TeaChatCafe, Transparent Digital and Social Media as an Open Network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ool with User Driven Content and Internet Content Submission Capability for Educators and Their Students
US20120164619A1 (en) Educational Assessme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Elliott et al. Linking faculty development to community college student achievement: A mixed methods approach
Cordeau Linking the transition: A substantive theory of high-stakes clinical simulation
Cole et al. What can we do about student cheating
Du et al. Can a lean medium enhance large‐group communication? Examining the impact of interactive mobile learning
WO2011034309A2 (ko) 시험기반의 전자학습 시스템 및 방법
Cook et al. Online professional learning networks: A viable solution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dilemma
Pham et al. Classrooms going digital–evaluating online presence through students’ perception using Community of Inquiry framework
US20210027644A1 (en) Method and systems for providing educational support
Fritschi et al. Mobile learning for teachers in North America exploring the potential of mobile technologies to support teachers and improve practive
Rae Mancilla et al.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digital accessibility: A needs assessment
KR101591799B1 (ko) 오프라인 기반 자기주도 학습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학습지원 방법
KR20130042843A (ko)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공에 따른 구성원 역량 관리 시스템
KR20040005790A (ko)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100971933B1 (ko) 독서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37160A (ko) 인터넷상에서의 사이버 자격증 취득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시스템
KR100933364B1 (ko)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74465A (ko) 온라인 캠스터디 수강생 학습 지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00320652A1 (en) Heterogeneous registrar data retrieval for multi-campus tutor matching
DiVerniero et al. Twitter as a classroom tool: Exploring the use, benefits, and downfalls from the perspectives of instructors and students
Emam et al. ‘Between think big and hit hard’exploring the role of teacher agency in becoming action researchers: the Egyptian context
JP2019086549A (ja) ウェブラーニング装置及びウェブラーニ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