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3897A - 집적회로의 인터럽트 검출 및 선언 장치 - Google Patents

집적회로의 인터럽트 검출 및 선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3897A
KR20030053897A KR1020010083924A KR20010083924A KR20030053897A KR 20030053897 A KR20030053897 A KR 20030053897A KR 1020010083924 A KR1020010083924 A KR 1020010083924A KR 20010083924 A KR20010083924 A KR 20010083924A KR 20030053897 A KR20030053897 A KR 20030053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rupt
unit
integrated circuit
declaration
decl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3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3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3897A/ko
Publication of KR20030053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389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2Address formation of the next instruction, e.g. by incrementing the instruction counter
    • G06F9/322Address formation of the next instruction, e.g. by incrementing the instruction counter for non-sequential address
    • G06F9/327Address formation of the next instruction, e.g. by incrementing the instruction counter for non-sequential address for interrup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ASIC에서 알려주는 서비스 장애를 자체적으로 선별하여 검출 및 선언하고 이를 주제어부에 보고함으로써 불필요한 처리를 미연에 방지하여 시스템의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집적회로의 인터럽트 검출 및 선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되는 클럭을 분주하여 부하펄스를 생성하기 위한 카운터부와; 카운터부에 의해 생성된 부하펄스에 의해 리셋되며, 입력되는 데이터를 클럭으로 읽어 입력되는 데이터가 인터럽트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인터럽트 판단부와; 인터럽트 판단부가 입력 데이터를 인터럽트로 판단하면 해당 인터럽트를 선언하고 래치하였다가 선언된 인터럽트를 주제어부가 읽으면 해당 인터럽트를 리셋시키는 인터럽트 선언 및 리셋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ASIC에 관계없이 인터럽트 신호를 관찰하여 인터럽트 판단여부를 결정하므로 동일회로에 적용이 가능하고 많은 수의 ASIC에서 오는 인터럽트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주제어부에서 용이하게 구성을 변경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집적회로의 인터럽트 검출 및 선언 장치 {Apparatus for detection and reporting of interrupt in integrated circuit}
본 발명은 집적회로의 인터럽트(Interrupt) 검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서 알려주는 서비스 장애를 검출 및 선언하고 이를 보고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집적회로의 인터럽트 검출 및 선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모든 유형의 시스템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장애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 장애를 주제어부가 처리하여 운영자에게 알려주는 한편 해당 유니트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장애의 발생시 주제어부는 각각의 유니트에 있는 ASIC을 통해 장애 상황을 읽고, 이를 적절히 처리하게 된다. 이때 집적회로인 ASIC은 각 유니트의 장애 상황에 대한 정보를 인터럽트 방식으로 주제어부에 전달하게 된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인터럽트를 이용한 장애 검출 및 선언 수행에 관한 종래기술을 설명한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집적회로의 인터럽트 검출 및 선언장치의 블록도이고, 도2는 도1에서 인터럽트 감지부의 상세도이며, 도3은 도1에서 인터럽트 리셋부의 상세도이고, 도4는 도1에서 인터럽트 선언부의 상세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럽트 처리와 관련된 블록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즉, 인터럽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터럽트 감지부(110), 인터럽트를 다시 초기화하는 인터럽트 초기화부(120), 및 인터럽트가 발생했음을 레지스터(140)를 경유해 주제어부에 알려주는 인터럽트 선언부(130) 등이다.
도2에 따르면, 인터럽트 감지부(110)는 두 개의 D-플립플롭(111)(112) 및 앤드(AND) 게이트(113)로 구성되며, 액티브 하이(Active High)인 인터럽트(INTERRUPT)가 발생했을 때 똑같은 데이터를 비교하여 둘 다 하이인 경우에만 인터럽트 검출신호(DETECT)가 하이로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클럭(CLK)은 적정하게 선택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4.096MHz의 오실레이터 출력을 이용한다.
인터럽트 초기화부(120)는 인터럽트가 발생하고, 이를 주제어부가 읽고 난 후에는 인터럽트 선언부(130)에서 인터럽트를 해제할 수 있도록 리셋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인터럽트 초기화부(12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어(OR) 게이트(121), 2개의 D-플립플롭(122)(125), 인버터(INVERTER) 게이트(123), 및 낸드(NAND) 게이트(1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오어 게이트(121)로 인가되는 인에이블 신호(ENABLE)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내부에 있는 레지스터 어드레스 번지이고, 읽기 신호(READ)는 주제어부가 인터럽트를 읽을 때 발생되며, 클럭(CLK)은 인터럽트 감지부(110)에서 사용된 클럭(CLK)과 같다.
그래서 인터럽트 초기화부(120)는 읽기 신호(READ)가 들어오면 액티브 하이인 초기화 신호(RESET)를 출력하여 인터럽트 선언부(130)로 공급한다.
도4에 따르면, 인터럽트 선언부(130)는 3개의 인버터 게이트(131)(134)(136), 2개의 앤드 게이트(132)(133), 및 JK-플립플롭(1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인터럽트 선언부(130)는 JK-플립플롭(135)의 Q단자 출력으로 인터럽트(INTERRUPT)가 발생되었음을 선언하고 주제어부에 보고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인터럽트 감지부(110)로부터 인터럽트 발생을 알리는 인터럽트 검출신호(DETECT)가 인가되고 주제어부가 해당 인터럽트를 읽어감으로써 인터럽트 초기화부(120)에서 초기화 신호(RESET)가 입력되면 다시 초기화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상 설명한 종래기술은 인터럽트에 대한 기준이 없으므로, 세세한 부분까지 감지를 하여 주제어부에 알려주는 장점도 있지만, 불필요한 인터럽트 작업까지 해야 하고 이를 처리하는데 시간을 낭비하여 원활한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장애가 될 수 있고, 또 래치시켜 주는 부분의 미비로 인하여 주제어부가 인터럽트를 읽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시스템 측면에서 볼 때, 서비스에는 전혀 문제가 없는 시스템의 작은 미동 발생시에도 인터럽트로 인식하고 처리하게 됨으로써 실제 중요한 인터럽트 정보는 무시하게 되어 시스템의 불안정을 유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ASIC에서 알려주는 서비스 장애를 자체적으로 선별하여 검출및 선언하고 이를 주제어부에 보고함으로써 불필요한 처리를 미연에 방지하여 시스템의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집적회로의 인터럽트 검출 및 선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집적회로의 인터럽트 검출 및 선언 장치는, 입력되는 클럭을 분주하여 부하펄스를 생성하기 위한 카운터부와; 상기 카운터부에 의해 생성된 부하펄스에 의해 리셋되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클럭으로 읽어 입력되는 데이터가 인터럽트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인터럽트 판단부와; 상기 인터럽트 판단부가 상기 입력 데이터를 인터럽트로 판단하면 해당 인터럽트를 선언하고 래치하였다가 상기 선언된 인터럽트를 주제어부가 읽으면 해당 인터럽트를 리셋시키는 인터럽트 선언 및 리셋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집적회로의 인터럽트 검출 및 선언장치의 블록도.
도2는 도1에서 인터럽트 감지부의 상세도.
도3은 도1에서 인터럽트 리셋부의 상세도.
도4는 도1에서 인터럽트 선언부의 상세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의 인터럽트 검출 및 선언 장치의 블록도.
도6은 도5에서 카운터부의 상세도.
도7은 도5에서 인터럽트 판단부의 상세도.
도8은 도5에서 인터럽트 선언부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10 : 카운터부520 : 인터럽트 판단부
530 : 인터럽트 선언부511, 512, 513 : 16진 카운터
514, 621 : 반전 게이트
622, 628, 632, 731, 732 : D-플립플롭
624, 625, 736 : 비동기 리셋 D-플립플롭
623, 626, 630, 735 : OR 게이트
627, 629, 631 : AND 게이트
733, 734 : NOR 게이트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의 인터럽트 검출 및 선언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6은 도5에서 카운터부의 상세도이며, 도7은 도5에서 인터럽트 판단부의 상세도이고, 도8은 도5에서 인터럽트 선언부의 상세도이다.
도5에 따르면, 본 실시예는 입력되는 클럭을 분주하기 위한 카운터부(510), 인터럽트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인터럽트 판단부(520), 인터럽트를 선언하고 선언된 인터럽트를 주제어부가 읽으면 해당 인터럽트를 리셋시키는 인터럽트 선언 및 리셋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는 인터럽트 신호를 따로 선별하지 않고 인터럽트를 검출하는 종래의 방식과는 달리, 입력되는 인터럽트 신호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해 부하펄스로 검출해야 할 영역을 설정하고 이처럼 설정된 영역내 '0' 또는 '1'의 개수를 계수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검출하므로 주제어부의 조작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부(510)는 다수개의 4비트 16진 카운터(511)(512)(513)와 반전 게이트(514)로 구성되며, 부하값(LOAD)을 변화시켜 사용이 가능하다.
인터럽트 판단부(520)는 입력되는 데이터(DATA)에 대해 '0'의 개수를 계수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D-플립플롭(622)(624)(625)(628)(632)과 논리 게이트들(621)(623)(626)(627)(629)(630)(631)로 구성된다.
인터럽트 선언 및 리셋부(530)는 카운터부(510)에서 입력되는 부하펄스의 로드 타임(LOAD TIME)에 인터럽트 판단부(520)의 판단결과를 래치하며, 인터럽트를 주제어부가 읽으면 인터럽트 상태를 리셋시키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D-플립플롭(731)(732)(736)과 논리 게이트들(733)(734)(735)로 구성된다.
ASIC(Application Specific IC)에서 발생하는 인터럽트를 검출하기 위해 인터럽트를 모니터하여 2개 이상의 '1'이 나오는 경우에는 인터럽트이고, 하나 이하의 '1'이 발생하면 인터럽트가 아닌 것으로 처리한다. 순간의 미동에 의해 인터럽트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처럼 인터럽트를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4.096MHz의 발진기를 사용하여 클럭(CLK)을 공급하며, 부하값(LOAD)은 'C00h(16진수)'로 입력하여 매 1024 클럭마다 부하펄스(LOAD PULSE)를 제공한다. 부하펄스는 액티브 로우(Active Low) 신호이다.
인터럽트 판단부(520)로 입력되는 데이터(DATA)는 발진기에서 공급되는 클럭(CLK)의 반전된 위상으로 읽혀진 후, 그 값과 입력 데이터(DATA)가 논리합 연산되어 D-플립플롭 D2(624) 및 D3(625)의 리셋신호로 사용된다. 이러한 D-플립플롭 D2(624) 및 D3(625)은 CD단자에의 입력에 따라 리셋되도록 된 비동기 리셋 D-플립플롭이다.
D-플립플롭 D2(624)는 입력되는 데이터(DATA)의 '1'을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데이터(DATA)가 '1'인 경우에는 CD단자가 '1' 상태가 되어 출력 Q의 상태를 항상 '0'으로 유지하게 되고, 데이터(DATA)가 '0'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입력단자 D의 값을 받아 출력 Q가 '1'로 변하게 된다.
인터럽트 데이터(DATA)가 계속 '1' 상태이면 인터럽트의 상태에서 D-플립플롭 D2(624)의 출력 Q는 항상 '0' 상태가 되고, D-플립플롭 D3(625), D4, 및 D5의 상태도 '0'으로 유지된다.
D-플립플롭 D5의 출력 Q는 인터럽트 선언 및 리셋부(530)의 입력이 되어 부하펄스 타임(LOAD PULSE TIME)에 인터럽트로 선언된다.
또한, 부하펄스 타임에 D-플립플롭 D4 및 D5의 래치되어 있는 상태도 리셋된다.
만약 '0' 상태의 데이터(DATA)가 1비트 입력되면, D-플립플롭 D2(624)의 출력 Q값이 하이 상태로 출력되고 이 값은 D-플립플롭 D4(628)에 래치되며 부하펄스(LOAD)가 입력되는 동안 더 이상의 '0'이 입력되지 않으면 역시 인터럽트로 선언하게 된다.
그러나 '0' 상태의 데이터(DATA)가 1비트 더 입력되면, D-플립플롭 D5(632)의 출력 Q가 하이 상태로 변하게 되며 역시 부하펄스 타임에 인터럽트가 아닌 상태가 인터럽트 선언 및 리셋부(530)의 D-플립플롭 D6(736)에 래치되어진다.
D-플립플롭 D6(736)에 래치된 인터럽트(INTERRUPT)는 외부의 주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읽혀지게 된다.
인터럽트 선언 및 리셋부(530)는 주제어부가 인터럽트 상태를 읽어 해당 인터럽트를 읽었음을 나타내는 읽기신호(READ)가 입력되면 D-플립플롭 D6(736)을 리셋시킨다. 이를 위해서 D-플립플롭 D6(736)도 비동기 리셋 D-플립플롭으로 구현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는 ASIC 등의 집적회로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받아 해당 데이터가 인터럽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단일의 데이터선을 통한 인터럽트 전송 및 선언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변화, 변경 및 균등물의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대한 기재내용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집적회로의 인터럽트 검출 및 선언 장치는, ASIC에 관계없이 인터럽트 신호를 관찰하여 인터럽트 판단여부를 결정하므로 동일회로에 적용이 가능하고 많은 수의 ASIC에서 오는 인터럽트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주제어부에서 용이하게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Claims (2)

  1. 입력되는 클럭을 분주하여 부하펄스를 생성하기 위한 카운터부와;
    상기 카운터부에 의해 생성된 부하펄스에 의해 리셋되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클럭으로 읽어 입력되는 데이터가 인터럽트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인터럽트 판단부와;
    상기 인터럽트 판단부가 상기 입력 데이터를 인터럽트로 판단하면 해당 인터럽트를 선언하고 래치하였다가 상기 선언된 인터럽트를 주제어부가 읽으면 해당 인터럽트를 리셋시키는 인터럽트 선언 및 리셋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의 인터럽트 검출 및 선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 판단부는,
    상기 입력되는 데이터의 이진 논리값을 계수하여 설정된 개수 이상의 논리 '1'이 나오는 경우에는 인터럽트로 판단하고, 상기 설정된 개수 미만의 논리 '1'이 발생하면 인터럽트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인터럽트 선언 및 리셋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의 인터럽트 검출 및 선언 장치.
KR1020010083924A 2001-12-24 2001-12-24 집적회로의 인터럽트 검출 및 선언 장치 KR20030053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924A KR20030053897A (ko) 2001-12-24 2001-12-24 집적회로의 인터럽트 검출 및 선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924A KR20030053897A (ko) 2001-12-24 2001-12-24 집적회로의 인터럽트 검출 및 선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897A true KR20030053897A (ko) 2003-07-02

Family

ID=32212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3924A KR20030053897A (ko) 2001-12-24 2001-12-24 집적회로의 인터럽트 검출 및 선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38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3444A2 (en) Clock supervision unit
US6711692B1 (en) Data processing unit including central unit and peripheral unit driven by separate power supplies
KR20020069143A (ko) 클록 신호 주기 이상의 검출
US20170288677A1 (en) Clock signal stop detection circuit
JP2007135190A (ja) シングルイベント機能割込み検出システム
KR20030053897A (ko) 집적회로의 인터럽트 검출 및 선언 장치
JPS6260038A (ja) ウオツチドツグ回路
KR100282778B1 (ko) 시스템 클럭 유실 검출 회로
KR100438534B1 (ko) 팬 고장 검출장치
KR100463846B1 (ko) 교환 시스템의 클럭 모니터링 장치
US20220414269A1 (en) Microcontroller, protection circuit, and protection method capable of avoiding interference from sudden events
KR100208295B1 (ko) 클럭 감시장치
KR960012981B1 (ko) 전송시스템의 장애 발생/해제 실시간 처리회로
KR200280669Y1 (ko) 오류검출기능이 구비된 인터럽트 장치
JP2006031133A (ja) 半導体装置
JP3267035B2 (ja) シーケンサ診断装置
KR100366800B1 (ko) 전송시스템의 외부클럭 오류 감지장치
JPH0573360A (ja) ウオツチドツグ・タイマ
KR100628109B1 (ko)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오동작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0229429B1 (ko) 인터럽트 요구 신호 발생장치
JPS60262252A (ja) マイクロプロセツサ暴走監視方式
JP202007149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507853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システム障害監視方法
KR20020065051A (ko)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이용한 이중화 보드 자동 절체 회로
JPH01199242A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系の異常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