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109B1 -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오동작 감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오동작 감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109B1
KR100628109B1 KR1020040114908A KR20040114908A KR100628109B1 KR 100628109 B1 KR100628109 B1 KR 100628109B1 KR 1020040114908 A KR1020040114908 A KR 1020040114908A KR 20040114908 A KR20040114908 A KR 20040114908A KR 100628109 B1 KR100628109 B1 KR 100628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lock
camera module
counter
interrup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4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6485A (ko
Inventor
성일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4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109B1/ko
Priority to CNB2005101320243A priority patent/CN100369466C/zh
Publication of KR20060076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6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51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 G06F11/0754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by exceeding limits
    • G06F11/0757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by exceeding limits by exceeding a time limit, i.e. time-out, e.g. watchdo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udio Device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의 오동작을 감시하는 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 모듈에서 실제로 제어부로 클럭이 제대로 출력되는지를 감시하기 위해 클럭(PCLK)을 체크하여 출력을 내보내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의 출력을 이용하여 제어부에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D-플립플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 오동작 감시 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게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인터럽트 방식을 취하여 제어부의 부하를 줄일 수 있고, 레지스터가 없는 등 비정상적인 상태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1 카운터, 제 2 카운터, D-플립플롭, 제어부(CPU)

Description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 오동작 감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Watch-Dog of Camera module for Handhelds device using Hardware logic}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동작 감시 장치의 각종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동작 감시 장치의 타이밍 시뮬레이션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카운터 20 : 제 2 카운터
30 : D-플립플롭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오동작 감시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의 오동작을 감시하는 하드웨어 로직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 오동작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모든 이벤트(event)를 처리하여,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CPU)의 부하를 가중시키며 카메라 모듈의 상태를 인지하기 위한 레지스터(register)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카메라 자체의 성능이 우수 하더라도 카메라 모듈의 선택의 대상에서 제외되어 오동작을 감시하지 못한다.
카메라 모듈의 감시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 내부의 상태 레지스터(status register)를 수십 ms 마다 폴링(Polling, 이하 ‘폴링’)하여 상태를 체크하여 카메라 모듈을 재부팅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ESD(Electronic Static discharge : 정전기, 이하 ‘ESD’)문제 혹은 카메라 모듈의 오동작을 방지하였다.
상기에서 폴링이라 함은 소프트웨어적으로 특정 플래그(Flag)를 감시하는 절차를 말하는 것으로, 일단 제어부는 특정 시간 단위(일반적으로 ㎲나 ms단위)로 회로 내부의 상태 레지스터를 계속 감시한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오동작을 감시하기 위해 상기 소프트웨어적인 폴링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소프트웨어적인 폴링 방식은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회로 내부의 상태 레지스터의 값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계속 폴링하여야 하며, 이는 제어부의 부하로 작용하여 전체적인 시스템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소프트웨어적인 폴링 방식은 태스크 스위치(Task switch)로 인한 지연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태스크수행에 문제점이 있다.
셋째, 어떤 카메라 모듈은 정상적인 동작의 확인 유무를 알 수 있는 상태 레지스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이 경우 소프트웨어적인 폴링 방식으로는 카메라 모듈의 오동작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하드웨어적인 로직을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의 오동작을 감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서 실제로 제어부로 클럭이 제대로 출력되는지를 감시하기 위해 클럭을 체크하여 출력을 내보내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제어부에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D-플립플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 오동작 감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카운터는, 제 1 카운터와 제 2 카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카운터는, 카메라 모듈에서 클럭(PLCK)이 출력되면 제 1 출력을 출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카운터는, 상기 제 1 카운터에서 출력되는 제 1 출력을 이용하여 기준클럭을 인에이블시켜 임의의 펄스로 출력되는 제 2 출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플립플롭은, 상기 제 2 카운터로부터 제 2 출력이 출력되면 이를 입력으로 하여 트리거하면서 제어부에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서 실제로 제어부로 클럭이 제대로 출력되는지를 감시하는 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클럭(PCLK)이 출력되면 이를 클럭으로 하여 제 1 출력을 출력하는 제 1 카운트 단계와; 상기 제 1 카운트 단계에서 나온 제 1 출력과 기준클럭을 비교하여 출력 제 2 출력을 내보내는 제 2 카운트 단계와; 상기 제 2 카운트 단계에서 나온 제 2 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D-플립플롭을 트리거하면서 제어부에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 오동작 감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 2 카운트 단계는, 상기 제 1 카운트 단계에서 나온 제 1 출력이 시스템 내부의 임의의 클럭인 기준클럭보다 높은 클럭이면 기준클럭이 디스인에이블되어 제 2 카운트 단계의 출력인 제 2 출력을 내보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카운트 단계는, 상기 제 1 카운트 단계에서 나온 제 1 출력이 시스템 내부의 임의의 클럭인 기준클럭보다 낮은 클럭이면 기준클럭이 인에이블되어 제 2 카운트 단계의 출력인 제 2 출력을 D-플립플롭으로 내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에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2 카운트 단계에서 출력된 제 2 출력을 D-플립플롭의 입력으로 하여 트리거하면서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이를 제어부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됨을 밝혀 두고자 한다.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감시하는 방법을, 간단한 하드웨어 로직을 구성하여 종래의 소프트웨어적인 폴링방식 대신 하드웨어 인터럽트 방식을 취하여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에만 카메라 모듈을 재부팅시키며 만약 카메라 모듈 내부의 상태 레지스터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이용 가능하도록 구성된 로직(LOGIC)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서 제어부로 전송하는 클럭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리셋(RESET)을 걸어주며 이러한 카메라 모듈의 이상 상태는 ESD상 혹은 비정상 상태에서 수시로 발생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 오동작 감시 장치의 모듈을 도시한 것으로, 오동작 감시 장치의 모듈은 제 1 카운터(10), 제 2 카운터(20), D-플립플롭(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카운터(10)는 74163 IC칩을 이용한 카운터로, 카메라 모듈에서 실제로 제어부(CPU)로 클럭이 제대로 출력되는지를 감시하는 회로로서, 상기 제 1 카운터(10)는 카메라 모듈에서의 제어부로 전송되는 클럭(PLCK)을 상기 제 1 카운터의 클럭으로 하여 제 1 출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카운터(20)는 상기 제 1 카운터(10)의 출력인 제 1 출력을 입력으로 하고, 시스템 내부의 임의의 클럭인 기준클럭과 비교하여 기준클럭이 디스인에 이블되면 제 2 출력을 출력하지 않고, 상기 기준클럭이 인에이블되면 제 2 출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기준클럭은 각 카메라 모듈에 따라 결정되는 클럭 주파수이다.
상기 D-플립플롭(30)은 상기 제 2 카운터(20)의 출력인 제 2 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에 하드웨어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D-플립플롭(30)은 일반적으로 입력 신호를 클럭 펄스의 시간 간격만큼 지연시켜 출력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2개의 안정된 상태를 가지는 쌍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이며, 트리거 신호에 의하여 어떤 안정 상태로 되어 다음 트리거 신호가 들어올 때까지 계속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특징을 가진다.
상술한 오동작 감시 회로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오동작 감시 장치의 타이밍 시뮬레이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2개의 카운터(10,20)와 1개의 D-플립플롭(30)으로 이루어지며, 2개의 카운터(10,20)는 카메라 모듈에서 실제로 제어부로 클럭이 제대로 출력되는지를 감시하는 회로이다.
이 회로는 만약 카메라 모듈에서 제어부로 일정 주파수의 클럭(PCLK)이 출력되면 상기 제 1 카운터(10)는 제 1 출력을 출력한다. 상기 출력되는 제 1 출력의 펄스폭은 상기 PCLK의 클럭 주파수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출력된 제 1 출력은 상기 제 2 카운터(20)의 입력으로 들어가는데, 상 기 제 2 카운터(20)에서는 제 1 출력의 펄스폭과 시스템 내부의 임의의 클럭인 기준클럭의 펄스폭을 비교하여 상기 기준클럭 펄스폭이 상기 제 1 카운터(10)의 출력인 제 1 출력의 펄스폭보다 좁은 펄스폭을 가지면 상기 기준클럭은 디스인에이블되어 상기 제 2 카운터(20)는 출력으로 제 2 출력 신호를 내보내지 못하게 된다. 결국, 상기에서 제 1 카운터(10)로 들어가는 클럭인 PCLK가 제 2 카운터(20)에서의 기준클럭보다 높은 클럭 주파수를 가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 카메라 모듈은 정상적인 상태로 판단된다.
그러나, 상기 제 2 카운터(20)에서 제 1 출력의 펄스폭과 시스템 내부의 임의의 클럭인 기준클럭의 펄스폭을 비교하여 상기 기준클럭의 펄스폭이 제 1 출력의 펄스폭보다 더 넓은 펄스폭을 가지면 상기 기준클럭은 인에이블되어 출력으로 제 2 추력 신호를 내보낸다.
결국, 이 경우에는 상기 제 1 카운터(10)로 들어가는 클럭인 PCLK가 비정상적으로 클럭이 다운되어 수 메가 혹은 수십 킬로로 클럭(PCLK)이 다운되었을 경우로서, 상기 기준클럭 주파수보다 더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상기 제 2 카운터(20)를 거쳐 출력된 제 2 출력 신호는 임의의 펄스로 출력되어지 면서 D-플립플롭(30)의 입력으로 들어가 상기 D-플립플롭(30)을 트리거(Trigger)하면서 인터럽트를 출력으로 내보낸다.
이러한 상기 D-플립플롭(30)의 출력인 인터럽트는 제어부로 하드웨어적인 인터럽트 상황을 보내게 되고, 이러한 인터럽트 신호를 받은 제어부에서는 이런 인터럽트 상황을 인지한 후 소프트 웨어적인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수행하며 카메라 모듈을 리셋(RESET)시킨다.
이렇게 카메라 모듈에서의 제어부로의 클럭을 체크하여 비정상적인 경우에 카메라 모듈을 리셋시킨 후 카메라 모듈에서 다시 오동작을 감시하기 위해서 제어부에서는 GPIO(General Purpose I/O)를 1 핀(pin) 할당하여 인터럽트 핀을 하이(High)로 만들어 정상 상태로 바꾸어 놓음으로써,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 오동작 감시장치는 다시 동작하게 된다.
상기에서 제어부에서 인터럽트 상황 인지부터 리셋 후에 다시 인터럽트 핀을 하이로 만들기까지의 상황은 소프트웨어적인 과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폴링방식은 어떤 이벤트가 있는지 계속해서 모니터링 (monitoring)을 하는 것으로, 이벤트가 없으면 쓸데없이 제어부를 차지하고 있게 된다. 계속 감시를 하다가 감시되는 동작이 행해지면 어떤 해당하는 일을 하는 것으로, 이런 폴링방식은 프로세서가 계속 할당되어야 하기 때문에 긴 프로그램을 돌릴때에는 속도가 느려진다거나 타임이 맞지 않을 때에는 이벤트가 행해졌는지 확인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간단한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인터럽터 방식은 프로세서가 다른 일을 하다가 인터럽터가 걸릴때 인터럽트 루틴에서 그에 해당하는 일만 하면 되므로 훨씬 효율적이다.
위와 같은 경우는 D-플립플롭(30)에서 출력으로 인터럽트 신호가 나가면 외부 인터럽트가 걸리고 제어부에서는 인터럽트 루틴으로 가서 해당하는 일을 수행하고 끝나면 메인으로 복귀한다. 인터럽트가 걸리면 여기 일을 하고 메인으로 돌아간 다. 인터럽트 처리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때 프로그램내의 해당 함수가 실행되게 하는 것이다. 또, 해당 함수가 바로 수행되게 할 수도 있고, 순서를 기다렸다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은 카메라 클럭의 정상적인 상태와 비정상적인 상태의 클럭 간의 시간차이, 즉 제 1 카운터(10)의 출력인 제 1 출력의 클럭폭을 하드웨어적으로 인지 해서 그와 관련된 펄스의 폭을 이용하여 제 2 카운터(20)를 인에이블되게 구성하여 제 2 출력을 출력함으로써 간단하지만 아주 유용한 감시 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보드 내부에 하드웨어적인 감시 타이머(Watch-Dog Timer)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 혹은 74123 IC칩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만약 비정상적인 조건으로 카메라 모듈에서 클럭이 전혀 출력되지 않을 경우에도 감시 타이머와 74123 IC칩등을 이용하여 D-플립플롭(30)을 제어하여 상기에서와 같이 오동작 감시회로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감시 타이머와 74123 IC칩은 클럭의 유무와 상관없이 자체적으로 카메라 모듈의 상태를 감시하여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는 경우 이러한 상태를 D-플립플롭(30)으로 보내어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하여 오동작을 감시한다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으로 본 발명에 쓰인 카운터(10,20)등은 상기 바람직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로직들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 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 오동작 감시 장치 및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간단한 하드웨어 로직을 구성하여 종래의 소프트웨어적인 폴링방식 대신 하드웨어적인 인터럽트 방식을 취하여 제어부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비정상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 내부의 상태 레지스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D-플립플롭을 이용하여 인터럽트를 발생하여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감시 타이머와 74123 IC칩등과 결합하여 클럭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도 오동작을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카메라 모듈에서 제어부로 클럭이 제대로 출력되는지를 감시하기 위해 클럭을 체크하여 출력을 내보내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제어부에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D-플립플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 오동작 감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는,
    제 1 카운터와 제 2 카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 오동작 감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운터는,
    카메라 모듈에서 클럭(PLCK)이 출력되면 이를 상기 제 1 카운터의 클럭으로 사용하여 제 1 출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 오동작 감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운터는,
    상기 제 1 카운터에서 출력되는 제 1 출력과 시스템 내부의 임의의 클럭인 기준클럭을 비교하여 기준클럭을 인에이블시켜 임의의 펄스로 출력되는 제 2 출력 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 오동작 감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플립플롭은,
    상기 제 2 카운터로부터 제 2 출력이 출력되면 이를 입력으로 하여 트리거하면서 제어부에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 오동작 감시 장치.
  6. 카메라 모듈에서 제어부로 클럭이 제대로 출력되는지를 감시하는 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클럭(PCLK)이 출력되면 이를 클럭으로 하여 제 1 출력을 출력하는 제 1 카운트 단계와;
    상기 제 1 카운트 단계에서 나온 제 1 출력과 기준클럭을 비교하여 출력 제 2 출력을 내보내는 제 2 카운트 단계와;
    상기 제 2 카운트 단계에서 나온 제 2 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D-플립플롭을 트리거하면서 제어부에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 오동작 감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운트 단계는,
    상기 제 1 카운트 단계에서 나온 제 1 출력이 시스템 내부의 임의의 클럭인 기준클럭보다 높은 클럭주파수를 가지면 기준클럭이 디스인에이블되어 제 2 카운트 단계의 출력인 제 2 출력을 내보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 오동작 감시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운트 단계는,
    상기 제 1 카운트 단계에서 나온 제 1 출력이 시스템 내부의 임의의 클럭인 기준클럭보다 낮은 클럭주파수를 가지면 기준클럭이 인에이블되어 제 2 카운트 단계의 출력인 제 2 출력을 D-플립플롭으로 내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 오동작 감시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2 카운트 단계에서 출력된 제 2 출력을 D-플립플롭의 입력으로 하여 트리거하면서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이를 제어부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 오동작 감시 방법.
KR1020040114908A 2004-12-29 2004-12-29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오동작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0628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908A KR100628109B1 (ko) 2004-12-29 2004-12-29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오동작 감시 장치 및 방법
CNB2005101320243A CN100369466C (zh) 2004-12-29 2005-12-16 利用硬件逻辑监视便携式终端拍摄模块的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908A KR100628109B1 (ko) 2004-12-29 2004-12-29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오동작 감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485A KR20060076485A (ko) 2006-07-04
KR100628109B1 true KR100628109B1 (ko) 2006-09-26

Family

ID=36845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4908A KR100628109B1 (ko) 2004-12-29 2004-12-29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오동작 감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28109B1 (ko)
CN (1) CN100369466C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1543B2 (ja) * 1998-07-09 2005-08-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監視カメラ装置
JP4037568B2 (ja) * 1999-08-05 2008-01-23 株式会社カプコン ビデオゲーム装置および記録媒体
CN1202616C (zh) * 2003-07-02 2005-05-18 西安大唐电信有限公司 一种低频时钟监测高频时钟脉冲丢失检测电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485A (ko) 2006-07-04
CN1812494A (zh) 2006-08-02
CN100369466C (zh) 200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7681B1 (en) Device having configurable breakpoint based on interrupt status
US8677182B2 (en) Computer system capable of generating an internal error reset signal according to a catastrophic error signal
CN106527249B (zh) 外围看门狗定时器
CN111736678B (zh) 一种芯片复位电路、方法以及设备
TWI670952B (zh) 網路切換控制系統
US8392643B2 (en) Data processing devic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KR20020069143A (ko) 클록 신호 주기 이상의 검출
CN111045505A (zh) 一种片上系统的延时复位装置及方法
JP2003248598A (ja) マイクロコントローラ及びマイクロコントローラの故障検出方法
US10606703B2 (en) Monitoring circuit
KR100628109B1 (ko)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오동작 감시 장치 및 방법
US20080140890A1 (en) Electronic Circuit Arrangement For Detecting a Failing Clock
CN114116271A (zh) 一种看门狗电路及嵌入式工业设备
KR101356700B1 (ko) 인터럽트 발생의 인식 방법
KR940008853B1 (ko) 워치독 타이밍 회로
JP2000194402A (ja) Cpu異常監視方法及び装置
KR20030049442A (ko) 리셋 회로
Strnadel On design of priority-driven load-adaptive monitoring-based hardware for managing interrupts in embedded event-triggered real-time systems
JP2011134063A (ja) ウォッチドッグタイマ
CN110928220A (zh) 一种监控方法和监控电路
KR20030066389A (ko) 프로세서의 동작을 감시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 장치
KR20040102736A (ko) 파워온 리셋과 파워페일 리셋을 구별할 수 있는 리셋신호발생기
KR20000002916A (ko) 프로세서 내장형 통신장치의 이상감지 및 처리장치와 그 방법
JPH0922403A (ja) リセット制御機能付集積回路
KR20040003870A (ko) 엠씨유의 클럭 전환 회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