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1810A - 에스컬레이터의 계단 체인 위의 계단 부착물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의 계단 체인 위의 계단 부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1810A
KR20030051810A KR10-2003-7006506A KR20037006506A KR20030051810A KR 20030051810 A KR20030051810 A KR 20030051810A KR 20037006506 A KR20037006506 A KR 20037006506A KR 20030051810 A KR20030051810 A KR 20030051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r
escalator
staircase
stairs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1837B1 (ko
Inventor
하우어우베
스투펠안드레아스
베. 마이어헬무트요트.
파고리차드엔.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125686A external-priority patent/DE10125686B4/d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01/044983 external-priority patent/WO2002044070A1/en
Publication of KR20030051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8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66B23/026Driving gear with a drive or carrying sprocket wheel located at end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2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2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responsive to, or preventing, jamming by foreign object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상호 연결된 계단들(4)로 구성된 무단의 계단 밴드(6)을 구비한 에스컬레이터(2)에 관한 것으로서, 계단(4)은 디딤 표면(16) 및 전면(18)을 포함하고 구동기에 의해 하부 및 상부 반환점(22) 주위에서 구동되는 각각의 측면 계단 체인(8)에 연결되고, 계단(4)은 계단 롤러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된 적어도 하나의 계단 롤러(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계단(4)이 계단 체인(8)에 체결된 지점(32)이 계단(4)의 전면(18) 부근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의 계단 체인 위의 계단 부착물 {STEP ATTACHMENT ON THE STEP CHAIN OF AN ESCALATOR}
이러한 형태의 수많은 에스컬레이터가 운행되고 있다. 반환점들은 전형적으로 두개의 측면에 정렬된 계단 밴드의 계단 체인이 가이드되고 구동되는 하나의 체인 반환 휠 또는 한 쌍의 체인 반환 휠의 형태로 실현된다. 또한 계단 체인 추진이 반환점 부근에서 일어나지 않고, 오히려, 예를 들면, 전방 이동 섹션 또는 후방 이동 섹션에서 일어나는 에스컬레이터도 존재한다. 이러한 형태의 에스컬레이터에서는, 체인 반환 휠 대신에 예를 들면, 반환판 또는 기본적으로 반원형인 가이드웨이(guideway)가 제공되는데, 여기서 반환판 또는 가이드웨이는 각각 계단 체인 롤러의 가이드를 따르고, 계단 체인 롤러는 반환판 또는 가이드웨이에서 승객 컨베이어의 전방 이동 섹션으로부터 후방 이동 섹션으로 반환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반환점이라는 용어는 모든 형태의 구조물, 예를 들면, 체인 반환 휠, 반환 가이드웨이 또는 반환판을 포함하려는 의도이다.
에스컬레이터의 계단은 전형적으로 "발판(tread)"으로도 언급되는 디딤 표면과 에스컬레이터의 경사 구역에서 노출되고 "층뒤판(riser)"로 언급되는 전면을 구비한 기본적으로 박스 형상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중 승객에게 절대 노출되지 않는 박스의 나머지 면은 또한 밀폐될 수 있으나, 종종 개방된 상태로 두기도 한다. 이것은 특히, 디딤 표면과 반대쪽에 위치된 계단 저면과 계단 배면에 적용된다. 계단 체인 쪽으로 지향된 계단의 측벽들은 전형적으로 구조상의 이유로 규칙적으로 배열된다. 박스형 계단 부품의 배벽이 전면과 반대쪽에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계단 체인 쪽으로 지향된 박스의 측벽들은 종종 바닥을 향하여 테이퍼링된 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계단 그 자체는 전면 부근에서의 계단 두께에 비해 배면 구역에서 비교적 작은 두께만을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량 및 재료 필요량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계단들은 전형적으로 계단 축에 의해 계단 체인에 체결된다. 계단 축은 대체로 계단 본체를 통과하여 그 양 자유단을 가지며 계단 체인과 연결된다. 계단 체인 위의 계단 부착점은 일반적으로 전면의 반대쪽 계단의 후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대체로 특별히 두껍지 않다. 계단은 용이하게 가공될 수 있는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플라스틱과 같이 압출될 수 있는 재료로부터 상업적으로 제조된다. 계단 축은 보다 강한 재료, 예를 들면, 철 또는 강으로 제조된다. 계단 축은 계단 후단부에 제공되는 적절한 부착 장치에 의해 계단에 체결된다. 종종 유지 목적으로 필요할 때 계단을 계단 체인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계단 축이 계단 및 계단 체인으로부터 제거될 필요가 있다. 계단 축으로부터 계단을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다. 그러한 분리는 계단의 디딤 표면과 반대쪽 계단 배면으로부터 계단 축에 접근하는 것을 필요로 하므로, 계단은 두 계단 사이 거리가 작업 인부가 양손으로 접근하여 계단 축으로부터 계단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위치에서만 합당한 노동 비용으로 반환 구역에서 분리될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의 유지시에, 계단을 분리하기 위한 계단 밴드의 변위가 불가능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다양한 상황이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전방 이동 섹션 내의 어떤 임의의 지점에서라도 비교적 저 노동 비용으로 에스컬레이터의 구조를 변경하는 것이 계속 시도되어 왔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계단은 후단부에서 비교적 얇다. 이것은 어느 위치에서라도 계단 체인으로부터 계단의 분리를 인가하는 계단 체인에 계단을 부착하기 위한 대안의 구조가 공간상의 이유로 거의 실현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에스컬레이터의 완전히 다른 문제점은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및 사고 방지에 관한 것이다. 에스컬레이터에서, 각각의 계단은 전형적으로 "스커트 보드(skirt board)"로 언급되는 판넬 부품에 의해 측면으로 제한된 매우 협소한 "채널" 내에서 이동한다. 이러한 스커트 보드는 에스컬레이터의 프레임에 굳건하게 배열되고, 계단은 스커트 보드에 상대 운동한다. 계단과 스커트 보드 사이의 간격은 안전상의 이유로, 승객의 물건이나 신체 일부가 이 간격으로 빠져서 그 안에 갇혀있지 않도록 확실히 보장하기 위해서, 매우 작게 유지될 필요가 있다. 매우 협소한 간격을보장할 필요는 고 유지 비용과 연관되어 있다. 어떤 경우에는, 협소한 간격에 대한 안전상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이 완전히 가능하진 않다. 협소한 간격을 통한 것을 제외하고 이러한 위험성을 낮추는 하나의 대안은 계단과 함께 이동하는 바닥 판넬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러한 이동 가능한 판넬은, 예를 들면, US-A-4,470,497에 개시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그러한 바닥 판넬은 그것들이 에스컬레이터의 수평 구역, 예를 들면, 입구 지점 및 출구 지점에서 계단의 디딤 표면을 넘어서 비교적 상당히 위로 돌출되거나, 또는 비교적 복잡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상호 연결된 계단들로 구성된 무단 계단 밴드를 구비한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계단은 디딤 표면과 전면을 포함하고 구동기에 의해 하부 및 상부 반환점 주위에서 구동되는 각각의 측면 계단 체인과 연결되고, 계단은 계단 롤러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는 적어도 하나의 계단 롤러를 포함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도1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계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대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도3에 따른 실시예의 대안의 변경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계단의 측벽, 즉 계단이 계단 체인에 체결되는 구역에서 계단 체인에 계단을 측면으로 부착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이용 가능하도록 에스컬레이터의 구조가 실현되고, 계단과 함께 이동하는 바닥 판넬이 상기 언급한 단점 없이 실현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를 이용 가능하게 하는 목적에 근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초 개시한 형태의 에스컬레이터에서는, 계단이 계단 체인에 체결되는 지점은 계단의 전면 부근에 배열된다는 사실에 의해 이러한 목적이 달성된다. 계단이 계단의 후단부 부근에서 계단 체인에 체결되는 종래 기술에 비하면, 본 발명은 완전히 반대의 해결책을 제시한다. 하부 입구 지점으로부터 상부 출구 지점으로 상향 운송 에스컬레이터의 경로에 걸쳐 계단의 이동을 따라가 보면, 계단들은 입구 지점에서 기본적으로 수평의 위치에서 콤 플레이트(comb plate) 밑에서 나타난다. 각각의 계단의 디딤 표면들은 이 위치에서 기본적으로 하나의 평면으로 위치된다. 이 수평 구역으로부터, 계단들의 이동 경로는 하부 전이 구역에서 경사 이동 경로로 변환되고, 그 후 계단들이 출구 지점에서 궁극적으로 콤 플레이트 밑으로 사라지는 상부 전이 구역에서 수평 이동 경로로 다시 변환된다. 각각의 계단들의 디딤 표면들은 이 전체 노출된 이동 경로에 걸쳐 수평 위치를 유지한다. 이것은 인접 계단들의 디딤 표면들 사이에 수평거리만이 시작에서 0으로부터 이동 경로의 경사 구역에서 최고 거리까지 증가하고, 그 후 다시 기본적으로 0으로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계단 롤러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된 계단 롤러는 계단의 디딤 표면의 정확한 수평 위치를 제어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계단의 전면 상에 위치한 디딤 표면의 전단부는 하부 전이 구역에서 인접 하부 계단 위로 점차 올라간다. 유사하게, 이러한 계단의 전단부는 그것이 인접 계단과 기본적으로 같은 높이에 위치될 때까지 상부 전이 구역에서 다시 내려간다. 본 발명은 전면과 반대쪽 계단의 후단부가 하부 전이 구역에서 인접 상부 계단의 디딤 표면의 높이 밑으로 "가라앉도록" 계단 롤러에 의해 가이드되는 동안 전단부는 "위치 고정" 되는 완전히 다른 장치를 제시한다. 유사하게, 후단부는 상부 전이 구역에서 "상승한다". 이 이동 시퀀스에서, 이동가능한 바닥 판넬은 계단 상에 측면에 체결된 플랜지를 포함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실현되고, 실제적으로 계단 밴드가 기본적으로 수평하게 뻗어 있는 구역에서 디딤 표면 위에 상향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단이 측벽에 체결되는 지점은, 계단 체인 상에 계단을 위한 대안의 부착 장치, 즉 계단이 노출된 계단 밴드 구역의 어떤 임의의 지점에서도 비교적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부착 장치를 실현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이용 가능하도록, 측벽이 비교적 큰 표면을 가지는 측벽 구역에 배열된다.
계단 롤러를 계단의 후단부, 즉, 계단의 전면의 반대쪽 단부에 배열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것은 계단 밴드에서 계단의 안정되고, 믿을만하고 정확한 가이드를 달성하기 위해서 계단 롤러에 대해 비교적 긴 레버 암을 초래한다.
에스컬레이터 운행중 계단과 함께 이동하는 바닥 판넬의 일부를 형성하는 측면 플랜지 부품은 양호하게는 계단들에 연결된다. 하나의 특히 양호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플랜지 부품은 그 중심은 계단 체인에 상대적으로 계단 회전축 위에 배열되며, 원의 활꼴과 유사한 형상으로 실현된다. 예를 들면, 플랜지 부품은 계단과 일체형으로 실현될 수 있다. 대안으로는, 그것들은 계단에 분리 가능하게 또는 굳건하게 체결될 수 있다.
계단 롤러는 양호하게는 에스컬레이터 운행중 하나의 계단이 인접 계단에 상대적으로 변위되는, 즉 두 계단의 디딤 표면이 기본적으로 하나의 평면에 있는 위치로부터 디딤 표면들이 서로 높이 h 차로 오프셋되는 위치로 변위되는 방식으로 계단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된다. 이 경우, 부착점은 이 계단의 디딤 표면에 대해 기본적으로 높이 h 아래로 오프셋되도록 전면 부근에 있고 기본적으로 계단 전면에 배열된다. 이 디자인은 부착점 위로 계단의 측벽 상에서 부착 장치의 특별한 실시예를 실현하기에 충분한 표면이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양호하다. 이 디자인은 꽤 조밀한 에스컬레이터 구조가 특히, 디딤 표면 위로 배열된 계단 롤러와 연결되어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또한 양호하다.
대안으로는, 부착점은 양호하게는 계단의 전면 부근, 디딤 표면 약간 밑에 배열된다. 디딤 표면 "약간 밑에"라는 용어는 높이 h 의 반 이하의 차를 두고 디딤 표면의 상부면 아래에 기본적으로 위치된 부착점을 언급한다. 높이 h 의 1/4 또는 그 이하에 상응하는 거리를 선택하는 것이 양호하다.
계단 롤러는 양호하게는 디딤 표면 위로 배열되는 방식으로 계단에 연결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계단 롤러의 이러한 배열은 기본적으로 높이 h 차를 두고 디딤 표면으로부터 아래로 오프셋된 부착점과 연결되어 특히 이롭다. 계단의 디딤 표면 위에 계단 롤러를 배열함으로써, 그래서 실현된 조밀한 구조 뿐만 아니라, 계단의 간단한 분리에 관한 또 다른 이점이 달성된다. 운송 경로의 어떤 임의의 지점에서라도 계단을 분리하기 위해서 난간 판넬을 제거할 때, 계단 롤러는 또한 용이하게 접근 가능하다. 어떤 환경 하에서는, 계단 롤러가 디딤 표면 밑에 위치되면 이것은 문제점을 제시한다. 그런 경우에서는, 계단 롤러는 전형적으로 계단이 계단 체인에 체결되는 지점 밑, 결과적으로 계단 체인 가이드 밑에 위치된다. 이것은 분리를 상당히 더 어렵게 만든다.
계단 롤러는 양호하게는 부착 암으로 계단과 연결된다. 부착 암은 분리된 부품의 형태로 계단에 배열되거나 일체형 부품의 형태로, 예를 들면 사출 성형 가공에 의해서 계단과 함께 제조될 수 있다.
계단 롤러는 양호하게는 디딤 표면 밑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계단에 연결된다. 기하학적 고려에 관해, 이 배열은 부착점이 계단의 디딤 표면의 약간 밑에 있는 경우에 양호하다. 계단 롤러는 이 경우 또한 부착 암으로 계단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개시된다.
도1은 여러 개의 상호 연결된 계단(4)으로 구성된 무단 계단 밴드(6)를 구비한 에스컬레이터(2)를 도시한다. 계단(4)은 각각 측면에 배열된 운송 체인에 연결된다. 계단(4)에 연결된 "측면으로"란 용어는 운송 또는 계단 체인(8)이 위에서 보면, 계단(4)에 인접하여 측면에 배열된 실시예 뿐만 아니라 계단 체인(8)이 위에서 보면, 계단(4)의 디딤 표면(16) 밑에 측면에 배열된 실시예를 포함한다. 운송 체인(8)은 일련의 체인 링크(10)로 구성된다. 체인 링크(10)는 피봇(12)에서 서로 연결된다. 계단 체인 가이드(도시되지 않음)내의 폐쇄 연속 경로를 따라 계단 체인(8)을 가이드하는 계단 체인 롤러(14)는 또한 이러한 피봇(12)위에 배열된다.
에스컬레이터(2)는 무단 회전 톱니 구동 벨트로 실현된 선형 구동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된다. 톱니 구동 벨트의 톱니는 체인 링크(10)의 톱니(16)와 맞물린다. 선형 구동기는 양호하게는 일정한 경사를 가지는 에스컬레이터(2)의 구역에 배열된다.
도1은 또한 계단(4)이 디딤 표면 또는 "발판"(16) 및 전면 또는 "층뒤판"(18)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계단(4)의 후단부(20)는 전면(18)의 반대쪽에 계단(4) 위에 배열된다. 또한 일정한 경사를 가지는 에스컬레이터(2)의 구역에서 계단(4)의 디딤 표면(16)과 인접 하부 계단(4)의 디딤 표면(16) 사이에 높이 차 h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부 오른쪽 면 위에 배열된 계단 밴드(6)의 세개의 계단(4)에 관하여, 이 계단들의 디딤 표면(16)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평면에 있다. 반환점(22)은 그 오른쪽에 위치된다.
도1은 또한 계단과 함께 이동하는 바닥 판넬(24) 뿐만 아니라 바닥 판넬(24)의 상부를 덮고 상향 연속되는 난간 판넬(26)을 도시한다. 예를 들면, 손잡이 레일(도시되지 않음)이 상기 난간 위에서 계단 밴드(6)와 기본적으로 같은 속도로 회전하며, 유리 난간이 판넬(26) 위에 배열될 수 있다.
도2는 하나의 계단(4)을 도시한다. 디딤 표면(16), 전면(18) 및 후단부(20)을 볼 수 있다. 또한 이동 바닥 판넬(24)의 부분을 형성하는 측면 부착 플랜지(28)를 확인할 수 있다. 계단(4)을 계단 체인(8)에 연결하기 위한 부착 부품(30)은 활꼴형 플랜지(28)의 중심에 위치된다. 부착 부품(30)은 포켓 형상의 용기와 유사하게 실현된다. 상기 계단이 회전할 수 있는 계단(4)의 부착점(32)은 이 부착 부품(30)의 중심에 위치된다. 양호하게는 그 단부에 씨크닝(thickening)을 포함하는 계단 체인(8)의 대응하는 볼트형 부착 부품이 포켓형 부착 부품(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장치는 볼트 스터브 위로 프레스되어 그 외측 레이스에 의해 포켓형 용기에 고정되는 볼 베어링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체결 요소는 외측 레이스가 잠금 위치에서 고정되고 열림 위치에서 풀려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형태는 난간의 일부를 제거한 후에 계단(4)을 한쪽 면 위의 계단 체인(8)으로부터 매우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만든다. 이것은 계단(4)이 운송 경로의 어떤 임의의 지점에서도 비교적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2는 또한 계단 롤러 가이드(도시되지 않음)에서 가이드되는 계단 롤러(34)를 도시한다.
도1은 이동 바닥 판넬(24)이 플랜지 부품(28) 및 기본적으로 삼각형의 중간체 부품(36)으로 구성됨을 지시한다. 플랜지 부품(28) 및 중간 부품(36)은 예를 들면, 설부 및 홈 연결에서와 같이 서로 결합하고, 결과적으로 그것들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위로 돌출되고 이동 바닥 판넬과 중첩되는 난간 판넬을 제공하는 대신에, 이동 바닥 판넬에 직접 인접하여 위치된 판넬을 선택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정지형 판넬과 이동 바닥 판넬 사이에 설부 및 홈 연결과 유사한 연결이 이러한 목적으로 또한 선택될 수 있다.
도2는 또한 부착점(32)이 계단(4)의 디딤 표면(16) 밑에 기본적으로 높이 h 의 차로 분명히 위치됨을 지시한다. 이 도면은 또한 계단(4)의 디딤 표면(16) 위로 상향 돌출되고, 계단 롤러(34)가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 부착 암(38)을 도시한다.
도3은 도1에 따른 실시예의 대안적 변경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대응 부품 및 특징은 도1 및 도2에서와 같이 같은 참조 기호에 의해 구별된다. 그 범위까지, 이 도면에 관한 설명은 또한 도3 및 도4에도 적용된다. 도3에 따른 실시예에서, 부착점(32)은 계단(4)의 디딤 표면 약간 밑에 배열된다. 그러나, 부착점은 이 디딤 표면 약간 위에 배열될 수도 있다. 암(38) 위에 배열된 계단 롤러(34)를 또한 볼 수 있다. 이동 바닥 판넬(24)은 계단 체인(8) 위에 배열되거나 계단(4) 위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 플랜지 부품(28)을 포함한다. 도1에 유사하게, 이 도면은 또한 이동 바닥 판넬(24)이 기본적으로 계단 밴드(6)의 상부 수평 구역에 디딤 표면(16) 높이 밑에 위치됨을 도시한다.
도4는 도3에 따른 에스컬레이터(2)의 대안적 변경을 도시한다. 이 경우, 부착점(32)은 또한 계단의 디딤 표면(16) 약간 밑에 위치된다. 이 부착 장치는, 특히, 연속 계단 축(40)의 형태로 실현된다. 또한 디딤 표면(16)의 밑에 있고 계단(4)의 구조적 프레임에 배열된 계단 롤러(34)를 볼 수 있다.

Claims (8)

  1. 여러 개의 상호 연결된 계단들(4)로 구성된 무단의 계단 밴드(6)를 구비하고, 계단(4)은 디딤 표면(16) 및 전면(18)을 포함하고 구동기에 의해 하부 및 상부 반환점(22) 주위에서 구동되는 각각의 측면 계단 체인(8)에 연결되고, 계단(4)은 계단 롤러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된 적어도 하나의 계단 롤러(34)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2)에 있어서,
    계단(4)이 계단 체인(8)에 부착된 지점(32)은 계단(4)의 전면(18) 부근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계단 롤러(34)는 계단(4)의 전면(18) 반대쪽 면(20) 위에서 계단(4)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측면 플랜지 부품(28)은 계단(4)에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 부품은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중에 계단(4)과 함께 이동하는 바닥 판넬(24)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단 롤러(4)는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중 계단(4)이 인접 계단(4)과 상대적으로 양 계단(4)의 디딤 표면(16)이 기본적으로 하나의 평면에 놓여 있는 위치로부터 디딤 표면(16)이 높이(h) 차를 두고서로 상대적으로 오프셋되는 위치로 변위되는 방식으로 계단 롤러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고, 부착점(32)은 계단(4)의 전면(18) 부근에 배열되고 디딤 표면(16)으로부터 높이(h) 차를 두고 아래로 기본적으로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착점(32)은 계단(4)의 전면(18) 부근, 디딤 표면(16) 약간 밑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단 롤러(34)는 그것이 디딤 표면(16) 위로 배열되는 방식으로 계단(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계단 롤러(34)는 부착 암(38)에 의해 계단(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단 롤러(34)는 디딤 표면(16) 밑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계단(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KR1020037006506A 2000-11-28 2001-11-15 에스컬레이터의 계단 체인 위의 계단 부착물 KR1008318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724,090 2000-11-28
US09/724,090 US6450316B1 (en) 2000-11-28 2000-11-28 Escalator with step flange
DE10125686A DE10125686B4 (de) 2000-11-28 2001-05-25 Stufenbefestigung an der Stufenkette einer Fahrtreppe
DE10125686.8 2001-05-25
PCT/US2001/044983 WO2002044070A1 (en) 2000-11-28 2001-11-15 Step attachment on the step chain of an esca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810A true KR20030051810A (ko) 2003-06-25
KR100831837B1 KR100831837B1 (ko) 2008-05-28

Family

ID=249089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506A KR100831837B1 (ko) 2000-11-28 2001-11-15 에스컬레이터의 계단 체인 위의 계단 부착물
KR1020037006507A KR100827049B1 (ko) 2000-11-28 2001-11-15 계단 플랜지를 구비하는 에스컬레이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507A KR100827049B1 (ko) 2000-11-28 2001-11-15 계단 플랜지를 구비하는 에스컬레이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450316B1 (ko)
EP (2) EP1347934B1 (ko)
JP (1) JP3978134B2 (ko)
KR (2) KR100831837B1 (ko)
CN (1) CN1217848C (ko)
AU (2) AU2002227070B8 (ko)
BR (1) BR0115283B1 (ko)
DE (2) DE60137367D1 (ko)
ES (3) ES2259341T3 (ko)
HK (2) HK1063041A1 (ko)
TW (1) TW565527B (ko)
WO (1) WO20020440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06939B (en) * 2000-11-28 2002-10-21 Otis Elevator Co Footboard element fastening for passenger conveyors
US7222713B2 (en) * 2001-05-25 2007-05-29 Otis Elevator Company Step attachment on the step chain of an escalator
US6640957B2 (en) * 2001-12-21 2003-11-04 Otis Elevator Company Racetrack style passenger conveyor
AU2002338692A1 (en) * 2002-09-13 2004-05-04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monitoring system for a people conveyor
AU2002361668A1 (en) * 2002-12-13 2004-07-09 Otis Elevator Company Stepchain link for an escalator
DE10394099B4 (de) * 2003-02-07 2015-04-02 Otis Elevator Co. Kammplattenanordnung für Fahrgastbeförderungsmittel mit mitbewegendem Flansch
ES2285100T3 (es) * 2003-02-07 2007-11-16 Otis Elevator Company Brida movil para transportadores para pasajeros.
US7401693B2 (en) * 2003-02-07 2008-07-22 Otis Elevator Company Moving flange fastening for passenger conveyors
DE10308418B4 (de) * 2003-02-27 2005-10-20 Kone Corp Antriebsmittel für einen Rollsteig
KR100522064B1 (ko) * 2003-11-29 2005-10-18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에스컬레이터의 스텝롤러 상승억제장치
JP4882282B2 (ja) * 2005-06-06 2012-02-22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の安全装置
ZA200701671B (en) * 2006-03-03 2008-08-27 Inventio Ag Escalator with emergency guide means
ES2319082B1 (es) * 2008-10-13 2010-03-16 T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Escalera mecanica.
CN102256891B (zh) * 2008-12-22 2013-10-30 奥的斯电梯公司 乘客输送机和用于乘客输送机系统的踏板组件
DE112009004623B4 (de) * 2009-04-03 2016-08-11 Otis Elevator Company Einstellbarer Träger für eine Stufenflanschabdeckung einer Personenbeförderungsvorrichtung
ES2334630B1 (es) * 2009-07-17 2010-09-22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Center, S.A. Escalera mecanica.
CN102574667B (zh) * 2009-10-16 2015-11-25 奥的斯电梯公司 带有可移动的侧面板部件的乘客输送机
KR101439383B1 (ko) 2010-10-08 2014-09-11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이동가능한 측면 패널 부재들을 갖는 승객 수송기
KR101137189B1 (ko) * 2011-07-19 2012-04-19 우탁 측면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KR101568085B1 (ko) 2014-04-14 2015-11-10 우탁 에스컬레이터의 측면 안전장치
WO2017014805A1 (en) * 2015-07-17 2017-01-26 Cybex International, Inc. Stair climb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8047043A1 (en) * 2016-09-06 2018-03-15 Sansevero Frank M Escalator system with vertical step risers and side flanges
CN108584657B (zh) * 2018-07-24 2020-02-21 浙江巨通电梯有限公司 一种适用于自动扶梯的安全踏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7515B2 (ko) * 1974-06-19 1979-06-30
US4413719A (en) * 1981-05-28 1983-11-08 White Carl J Method and apparatus for entrapment prevention and lateral guidance in passenger conveyor systems
US4470497A (en) 1982-02-26 1984-09-11 Westinghouse Electric Corp. Escalator
CH664548A5 (de) 1984-08-22 1988-03-15 Inventio Ag Stufe einer fahrtreppe.
JPS6147131U (ja) * 1984-08-31 1986-03-29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緩衝装置付扉装置
DE3663933D1 (en) 1985-08-06 1989-07-20 Inventio Ag Moving-stairs with raising sides
US5242042A (en) * 1992-12-21 1993-09-07 Inventio Ag Escalator having lateral safety boundaries
JPH074475U (ja) * 1993-06-24 1995-01-24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スカレーターのステップ
US5560468A (en) * 1994-10-18 1996-10-01 Fujitec America, Inc. Laterally adjustable side inserts for the steps of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pallets
US6213278B1 (en) * 1999-04-22 2001-04-10 Otis Elevator Company Man-conveyor step
JPH11343090A (ja) 1998-06-03 1999-12-14 Otis Elevator Co 人移送装置のステ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811A (ko) 2003-06-25
AU2002227070B8 (en) 2006-02-23
KR100831837B1 (ko) 2008-05-28
ES2321159T3 (es) 2009-06-03
EP1347934B1 (en) 2006-04-05
EP1681260A2 (en) 2006-07-19
US6450316B1 (en) 2002-09-17
WO2002044071A1 (en) 2002-06-06
BR0115283B1 (pt) 2010-09-08
AU2002227070B2 (en) 2006-02-02
BR0115283A (pt) 2003-08-19
EP1681260B1 (en) 2012-01-11
EP1347934A1 (en) 2003-10-01
CN1217848C (zh) 2005-09-07
JP3978134B2 (ja) 2007-09-19
DE60137367D1 (de) 2009-02-26
JP2004514628A (ja) 2004-05-20
DE60118607T2 (de) 2006-11-23
HK1079503A1 (en) 2006-04-07
EP1681260A3 (en) 2008-07-30
ES2259341T3 (es) 2006-10-01
HK1063041A1 (en) 2004-12-10
CN1476411A (zh) 2004-02-18
KR100827049B1 (ko) 2008-05-02
AU2707002A (en) 2002-06-11
DE60118607D1 (de) 2006-05-18
ES2380980T3 (es) 2012-05-22
TW565527B (en) 200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837B1 (ko) 에스컬레이터의 계단 체인 위의 계단 부착물
US5560468A (en) Laterally adjustable side inserts for the steps of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pallets
US20130180822A1 (en) Passenger Conveyor with Movable Lateral Panel Members
AU2002227070A1 (en) Escalator with step flange
US9227818B2 (en) Passenger conveyor with movable lateral panel members
JPH05500648A (ja) 円形エスカレータ
CN210260811U (zh) 乘客输送机
JP4051343B2 (ja) 乗客コンベア
JP2706141B2 (ja) エスカレータまたは動く歩道の手摺
US7222713B2 (en) Step attachment on the step chain of an escalator
US4004676A (en) Escalator with non-jaming step
US5291982A (en) Passenger conveyor, platform floor for passenger conveyor, and comb for platform floor
JP4071108B2 (ja) エスカレータのステップチェーン上のステップ取付部
US2135188A (en) Moving stairway
US4257515A (en) Transportation apparatus
JP4848327B2 (ja) 乗客コンベア
AU2002227061A1 (en) Step attachment on the step chain of an escalator
JPH04129991A (ja) 乗客コンベア及びその乗場床用櫛体
KR820002523Y1 (ko) 맨컨베이어의 스텝
SU1684222A1 (ru) Эскалатор
JPH0331191A (ja) 乗客コンベア
WO2001004038A1 (en) Escalator passenger safety system
JPS624027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