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1266A - 화상 픽업 유닛 및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픽업 유닛 및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1266A
KR20030051266A KR1020020078576A KR20020078576A KR20030051266A KR 20030051266 A KR20030051266 A KR 20030051266A KR 1020020078576 A KR1020020078576 A KR 1020020078576A KR 20020078576 A KR20020078576 A KR 20020078576A KR 20030051266 A KR20030051266 A KR 20030051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ickup
case body
communication connection
pivot support
picku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단쇼가즈오
미즈까미마사후미
아따라시유이찌
이또게이이찌
미또베겐지
Original Assignee
코니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8197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8914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9587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9891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15381A external-priority patent/JP3867584B2/ja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코니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51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26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3Containers; Encapsulations, e.g. encapsulation of photodi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32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01L31/02325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the optical elements not being integrated nor being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픽업 유닛은 화상 픽업 요소를 갖는 화상 픽업 기판과; 화상 픽업 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외측으로 화상 픽업 요소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를 전송하고, 화상 픽업 기판과 연결되는 통신 연결부와; 케이스 본체를 피벗식으로 지지하고, 그 내에 케이스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통신 연결부를 배열하는 피벗 지지부와;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통신 연결부를 안내하고, 피벗 지지부의 주연면 상에 형성되는 슬릿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통신 연결부는 케이스 본체로부터 피벗 지지부로 케이스 본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방향 연장부와; 회전축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피벗 지지부 내의 통신 연결부가 굽혀지게 하도록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 상에 형성되는 굽힘부와; 슬릿부를 통해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픽업 유닛 및 전자 장치{IMAGE PICKUP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픽업 요소에 의해 얻어진 피사체(photographic subject)의 화상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연결부를 포함하는 화상 픽업 유닛과, 이 화상 픽업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들어, 화상 픽업 유닛을 포함한 휴대용 전화기 등의 전자 장치가 알려지게 되었다. 화상 픽업 유닛은 화상 픽업 요소를 갖는 화상 픽업 기판이 제공되는 케이스 본체를 포함한다. 케이스 본체는 전자 장치의 본체에 고정되어 부착된다. 화상 픽업 요소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연결부의 일단부는 화상 픽업 기판과 연결된다. 통신 연결부는 가요성 기판으로 제조된다. 통신 연결부의 타단부는 전자 장치의 처리부(processing part)와 연결된다. 그러므로, 화상 픽업 요소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는 전자 장치의 표시부 상에 표시된다.
그러나, 전술된 화상 픽업 유닛에서, 케이스 본체는 전자 장치의 본체에 고정되어 부착되기 때문에, 전자 장치의 사용자는 전자 장치와 함께 화상 픽업 유닛을 이동시켜야 한다. 화상을 픽업하는 동작은 매우 번거롭다. 그러므로, 화상 픽업 유닛의 케이스 본체는 회전 가능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전자 장치가 케이스 본체가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지면, 굽힘, 비틀림 등의 과도한 하중이 케이스 본체의 회전에 의해 화상 픽업 기판과 연결된 통신 연결부로 인가된다. 결과적으로, 통신 연결부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픽업 유닛의 케이스 본체가 피사체의 위치에 따라 회전 가능하고 케이스 본체의 회전에 의해 통신 연결부로 인가되는 하중이 감쇠될 수 있는 화상 픽업 유닛과; 전술된 화상 픽업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화상 픽업 요소를 갖는 화상 픽업 기판과; 그 내에 화상 픽업 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외측으로 화상 픽업 요소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를 전송하고, 화상 픽업 기판과 연결되는 통신 연결부와; 케이스 본체를 피벗식으로 지지하고, 그 내에 케이스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통신 연결부를 배열하는 피벗 지지부와;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통신 연결부를 안내하고, 피벗 지지부의 주연면 상에 형성되는 슬릿부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통신 연결부는 케이스 본체로부터 피벗 지지부로 케이스 본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방향 연장부와; 회전축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피벗 지지부 내의 통신 연결부가 굽혀지게 하도록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 상에 형성되는 굽힘부와; 슬릿부를 통해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이 제공된다.
명세서에서, 어구 "통신 연결부"는 외측으로 화상 픽업 요소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통신 연결부, 가요성 기판, 가요성 와이어 등이 예이다.
어구 "피벗 지지부"는 케이스 본체를 피벗식으로 지지할 수 있고 그 내에 케이스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통신 연결부를 배열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임의의 형상의 피벗 지지부가 채택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화상 픽업 유닛의 사용자 등은 피사체 등의 위치에 따라 예컨대 전자 장치 등의 본체에 고정된 피벗 지지부에 대해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피사체의 화상을 픽업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등은 피사체의 화상 픽업 시 전자 장치 등과 함께 화상 픽업 유닛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그러면, 통신 연결부의 연장부측은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기 때문에, 비틀림 등의 하중이 축 방향 연장부측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이로써, 통신 연결부로 인가되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것과, 기하급수적으로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신 연결부의 1개의 연결부가 굽혀지게 함으로써, 축 방향 연장부, 굽힘부 및 연장부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피벗 지지부는 통신 연결부의 굽힘부와 접촉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 연결부의 굽힘부는 통신 연결부가 굽혀지게 하도록 통신 연결부가 접촉 부재와 접촉되게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접촉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통신 연결부가 굽혀지게 하는 것과, 적절하게 굽힘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굽힘부의 형상은 접촉 부재에 의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의 회전에 따라 굽힘부를 변형시킴으로써 유발되는 응력이 집중될 가능성이 없다. 이로써, 기하급수적으로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화상 픽업 요소를 갖는 화상 픽업 기판과; 그 내에 화상 픽업 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외측으로 화상 픽업 요소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를 전송하고, 화상 픽업 기판과 연결되는 통신 연결부와; 케이스 본체를 피벗식으로 지지하고, 그 내에 케이스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통신 연결부를 배열하는 피벗 지지부와;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통신 연결부를 안내하고, 피벗 지지부의 주연면 상에 형성되는 슬릿부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통신 연결부는 케이스 본체로부터 피벗 지지부로 케이스 본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방향 연장부와;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와 연결되고, 회전축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방향 연장부와; 슬릿부를 통해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이 제공된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화상 픽업 유닛의 사용자 등은 피사체 등의 위치에 따라 예컨대 전자 장치 등의 본체에 고정된 피벗 지지부에 대해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피사체의 화상을 픽업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등은 피사체의 화상 픽업 시 전자 장치 등과 함께 화상 픽업 유닛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그러면, 통신 연결부의 연장부측은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기 때문에, 비틀림 등의 하중이 축 방향 연장부측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이로써, 통신 연결부로 인가되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것과, 기하급수적으로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 연결부는 축 방향 연장부가 수직 방향 연장부와 연결되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축 방향 연장부 및 수직 방향 연장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축 방향 연장부 및 수직 방향 연장부는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축 방향 연장부와 수직 방향 연장부 사이의 조인트부의 강도는 기하급수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즉, 통신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조인트부에서 약 90˚만큼 변하기 때문에, 응력은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인트부 상에 집중된다. 그러나, 조인트부는 응력 등에 대해 효과적으로 강화된다. 나아가,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 연결부의 축 방향 연장부 및 수직 방향 연장부는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피벗 지지부는 복수개의 슬릿부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 연결부는 각각의 슬릿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화상 픽업 유닛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 등은 통신 연결부의 복수개의 연장부를 통해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전송된다. 즉, 복수개의 연장부에 의해, 소정량의 화상 정보 등이 전송될 수 있다.
나아가, 통신 연결부는 복수개의 연장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1개의 연장부의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케이스 본체의 회전에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로 인가되는 하중은 분산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슬릿부는 케이스 본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비틀림력은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통신 연결부의 연장부로 인가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은 개선된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통신 연결부는 피벗 지지부 내의 피벗 지지부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주 방향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통신 연결부의 원주 방향은 원주 방향을 따라 슬릿부를 관통하도록 피벗 지지부 내에서 만곡된다. 즉, 케이스 본체가 회전될 때, 굽힘 변형은 슬릿부를 관통하는 통신 연결부의 일부에 심하게 유발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굽힘 응력 등은 슬릿부를 관통하는 통신 연결부의 일부로 심하게 인가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통신 연결부의 연장부가 반복적으로 슬릿부를 관통하는 통신 연결부의 일부에 심한 굽힘 응력 등을 인가함으로써 파손될 가능성이 없다.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을 더욱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통신 연결부의 축 방향 연장부는 피벗 지지부의 반경 방향을 향해 케이스 본체의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통신 연결부의 원주 방향 연장부는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진 공간을 사용함으로써 피벗 지지부 내에서 완만하게 만곡된다. 결과적으로, 형상이 만곡된 원주 방향 연장부가 일부라도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므로,응력 등은 원주 방향 연장부의 특정부 상에 집중되지 않는다.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통신 연결부의 원주 방향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피벗 지지부의 내부면에 고정될 수 있고, 통신 연결부는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통신 연결부는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확장되기 때문에, 통신 연결부는 피벗 지지부 내에서 확장되지 않는다. 즉, 피벗 지지부 내에서 만곡되는 통신 연결부의 원주 방향 연장부 등은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변형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하중은 통신 연결부의 만곡부 등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을 더욱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통신 연결부의 원주 방향 연장부는 피벗 지지부 내에서 권취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통신 연결부는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피벗 지지부 내에서 확장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통신 연결부는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피벗 지지부 내에서 확장되기 때문에, 통신 연결부는 피벗 지지부로부터 확장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통신 연결부의 연장부측의 단부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연장부측 상의 통신 연결부의 단부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의 처리부 등이 통신 연결부의 확장에 대처하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화상 픽업 유닛을 갖는 전자 장치 등이 설계될 때 매우 유리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통신 연장부 중, 적어도 원주 방향 연장부는 가요성 기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비틀림 등의 하중은 판형 가요성 기판의 각각의 부분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케이스 본체가 회전되는 화상 픽업 유닛 내에, 판형 가요성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통신 연장부 중, 축 방향 연장부로부터 연장부로의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 기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비틀림 등의 하중은 판형 가요성 기판의 각각의 부분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케이스 본체가 회전되는 화상 픽업 유닛 내에, 판형 가요성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가요성 기판은 연장부의 폭 방향이 케이스 본체의 회전축 방향과 일치되도록 배열될 수 있고, 슬릿부는 가요성 기판의 연장부의 폭에 따라 케이스 본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슬릿부를 연장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비틀림력은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요성 기판의 연장부로 인가되지 않는다. 가요성 기판은 굽힘 강성률(flexural rigidity)이 비교적 작은 두께 방향으로 굽혀진다. 그러므로, 가요성 기판의 신뢰성은 개선된다. 가요성 기판은 케이스 본체가 회전될 때 굽혀진다. 매끄럽게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피벗 지지부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평탄부가 피벗 지지부의 주연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피벗 지지부의 평탄부를 사용함으로써, 화상 픽업 유닛은 예컨대 전자 장치 등에 용이하게 고정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즉, 화상 픽업 유닛이 전자 장치 등 내로 합체될 때, 전자 장치 등에 대한 대략 원통형의 피벗 지지부의 위치는 기준으로서 평탄부를 사용함으로써 정밀하게 결정될 수 있다. 나아가, 예컨대 전자 장치측 상의 평탄부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제공함으로써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 피벗 지지부에서, 피벗 지지부의 회전은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르면, 화상 픽업 요소를 갖는 화상 픽업 기판과; 그 내에 화상 픽업 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외측으로 화상 픽업 요소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를 전송하고, 화상 픽업 기판과 연결되는 통신 연결부와; 케이스 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통신 연결부를 배열하는 케이스 샤프트부와; 케이스 샤프트부를 피벗식으로 지지하고, 그 내에 케이스 샤프트부로부터 연장되는 통신 연결부를 배열하는 피벗 지지부와;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통신 연결부를 안내하고, 피벗 지지부의 주연면 상에 형성되는 슬릿부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화상 픽업 유닛은 케이스 본체가 피벗 지지부만에 의해 지지되는 캔틸레버 구조를 갖고, 통신 연결부는 케이스 본체로부터 피벗 지지부로 케이스 본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방향 연장부와; 회전축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피벗 지지부 내의 통신 연결부가 굽혀지게 하도록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 상에 형성되는 굽힘부와; 슬릿부를 통해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이 제공된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통신 연결부는 피벗 지지부에 의해 피벗식으로 지지되는 케이스 샤프트부 내에 배열되기 때문에, 통신 연결부는 외측으로 통신 연결부를 안내하는 안내 부재 등을 형성하지 않고 케이스 샤프트부를 사용함으로써 외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즉, 화상 픽업 유닛은 더욱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 등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설계 및 제조에 유리하다.
화상 픽업 유닛은 케이스 본체가 피벗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캔틸레버 구조를 갖기 때문에, 화상 픽업 유닛은 피벗 지지부에만 전자 장치 등을 고정함으로써 휴대용 전화 등의 전자 장치 등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화상 픽업 유닛은 전자 장치 등 내로 용이하게 합체된다. 케이스 본체의 양측이 전자 장치 등에 고정되는 화상 픽업 유닛과 비교할 때, 화상 픽업 유닛과 이 화상 픽업 유닛이 고정되는 전자 장치 등은 더욱 자유롭게 설계될 수 있다.
화상 픽업 유닛의 사용자 등은 피사체 등의 위치에 따라 예컨대 전자 장치 등의 본체에 고정된 피벗 지지부에 대해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피사체의 화상을 픽업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등은 피사체의 화상 픽업 시 전자 장치 등과 함께 화상 픽업 유닛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그러면, 통신 연결부의 연장부측은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기 때문에, 비틀림 등의 하중이 축 방향 연장부측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이로써, 통신 연결부로 인가되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것과, 기하급수적으로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신 연결부의 1개의 연결부가 굽혀지게 함으로써, 축 방향 연장부, 굽힘부 및 연장부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따르면, 화상 픽업 요소를 갖는 화상 픽업 기판과; 그 내에 화상 픽업 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외측으로 화상 픽업 요소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를 전송하고, 화상 픽업 기판과 연결되는 통신 연결부와; 케이스 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통신 연결부를 배열하는 케이스 샤프트부와; 케이스 샤프트부를 피벗식으로 지지하고, 그 내에 케이스 샤프트부로부터 연장되는 통신 연결부를 배열하는 피벗 지지부와;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통신 연결부를 안내하고, 피벗 지지부의 주연면 상에 형성되는 슬릿부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화상 픽업 유닛은 케이스 본체가 피벗 지지부만에 의해 지지되는 캔틸레버 구조를 갖고, 통신 연결부는 케이스 본체로부터 피벗 지지부로 케이스 본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방향 연장부와;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와 연결되고, 회전축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방향 연장부와; 슬릿부를 통해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이 제공된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통신 연결부는 피벗 지지부에 의해 피벗식으로 지지되는 케이스 샤프트부 내에 배열되기 때문에, 통신 연결부는 외측으로 통신 연결부를 안내하는 안내 부재 등을 형성하지 않고 케이스 샤프트부를 사용함으로써 외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즉, 화상 픽업 유닛은 더욱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다.케이스 본체 등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설계 및 제조에 유리하다.
화상 픽업 유닛은 케이스 본체가 피벗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캔틸레버 구조를 갖기 때문에, 화상 픽업 유닛은 피벗 지지부에만 전자 장치 등을 고정함으로써 휴대용 전화 등의 전자 장치 등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화상 픽업 유닛은 전자 장치 등 내로 용이하게 합체된다. 케이스 본체의 양측이 전자 장치 등에 고정되는 화상 픽업 유닛과 비교할 때, 화상 픽업 유닛과 이 화상 픽업 유닛이 고정되는 전자 장치 등은 더욱 자유롭게 설계될 수 있다.
화상 픽업 유닛의 사용자 등은 피사체 등의 위치에 따라 예컨대 전자 장치 등의 본체에 고정된 피벗 지지부에 대해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피사체의 화상을 픽업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등은 피사체의 화상 픽업 시 전자 장치 등과 함께 화상 픽업 유닛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그러면, 통신 연결부의 연장부측은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기 때문에, 비틀림 등의 하중이 축 방향 연장부측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이로써, 통신 연결부로 인가되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것과, 기하급수적으로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 연장부는 축 방향 연장부가 수직 방향 연장부와 연결되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축 방향 연장부 및 수직 방향 연장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축 방향 연장부 및 수직 방향 연장부는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축 방향 연장부와 수직 방향 연장부 사이의 조인트부의 강도는 기하급수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즉, 통신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조인트부에서 약 90˚만큼 변하기 때문에, 응력은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인트부 상에 집중된다. 그러나, 조인트부는 응력 등에 대해 효과적으로 강화된다. 나아가,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 연결부의 축 방향 연장부 및 수직 방향 연장부는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피벗 지지부는 케이스 본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2개의 블록 본체로 분할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피벗 지지부는 케이스 본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2개의 블록 본체로 분할되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는 케이스 본체에 가장 근접한 블록 본체(이하, "가장 근접한 블록 본체")에 의해 피벗식으로 지지될 수 있다. 통신 연결부의 연장부측은 가장 근접한 블록 본체를 제외한 블록 본체(이하, "다른 블록 본체")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이로써, 화상 픽업 유닛은 더욱 자유롭게 조립될 수 있다. 예컨대, 가장 근접한 블록 본체가 케이스 본체에 부착된 후, 통신 연결부의 연장부측은 다른 블록 본체 내에 수용되고, 다른 블록 본체는 가장 근접한 블록 본체 내로 합체된다. 결과적으로, 작업자 등이 화상 픽업 유닛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나아가, 케이스 본체를 피벗식으로 지지하도록 가장 가까운 블록 본체를 형성하는 것과, 다른 블록 본체 중 적어도 1개 내에 통신 연결부를 위한 슬릿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케이스 본체 및 슬릿부를 피벗식으로 지지하는 부재가 별도로 각각의 블록 본체 내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피벗 지지부는 매우 용이하게 형성된다.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통신 연결부의 연장부측은 블록 본체들 중 회전축 방향으로 케이스 본체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배열되는 외부 블록 본체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통신 연결부의 연장부측은 예컨대 회전축 방향으로 케이스 본체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배열되는 외부 블록 본체 내에 배열되기 때문에, 축 방향 연장부가 그 내로 삽입되고 통신 연결부가 외부 블록 본체의 소정 위치 내에 수용된 상태로 외부 블록 본체를 제외한 블록 본체가 케이스 본체측 내로 합체된 후 케이스 본체 내로 외부 블록 본체를 합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작업자 등이 화상 픽업 유닛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 연결부의 축 방향 연장부는 비교적 긴 섹션을 통해 케이스 본체부로부터 외부 블록 본체로 연장되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통신 연결부의 축 방향 연장부로 인가되는 단위 길이 당 비틀림 하중이 작아진다. 그러므로, 기하급수적으로 통신 연결부의 내구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피벗 지지부는 복수개의 회전 위치로부터 선택된 1개의 위치 내에 케이스 본체를 보유하는 회전 조절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케이스 본체는 선택적으로 각각의 회전 위치내에 보유되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는 화상 픽업 시 회전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화상 픽업 시 카메라 흔들림(camera shake)을 유발시키지 않고 선명하게 피사체의 화상 픽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케이스 본체는 피사체 등의 위치에 따라 피사체로 향하도록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회전 조절 기구는 케이스 본체와 연결되는 피벗 지지부의 연결측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회전 조절 기구는 케이스 본체와 연결되는 피벗 지지부의 연결측 상에 제공되기 때문에, 회전 조절 기구와 케이스 본체 사이의 간격과, 회전 조절 기구와 피벗 지지부의 연결부 사이의 간격은 짧아진다. 이로써,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케이스 본체로부터 피벗 지지부의 연결부로 힘이 인가될 때 회전 조절 기구의 각각의 부분으로 인가되는 모멘트는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회전 조절 기구의 각각의 부분의 변형은 방지될 수 있다. 각각의 부분의 내구성은 개선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가 회전 조절 기구에 의해 보유된 상태로 각각의 부분을 변형시킴으로써 유발되는 피사체 등에 대한 약간의 카메라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회전 조절 기구는 그 표면이 회전축에 수직하도록 배열되는 결합판과; 결합판의 표면 상에 형성되고,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결합 구멍과;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결합판의 표면 상에서 이동되고, 복수개의 결합 구멍으로부터 선택된 1개의 구멍 내로 삽입되는 볼 본체와; 결합판을 향해 볼 본체를 편의시키는 편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볼 본체가 결합판의 표면 상에서 이동되어 1개의 결합 구멍 내로 삽입될 때, 케이스 본체의 회전은 조절된다. 이 경우, 힘이 원주 방향으로 케이스 본체로 인가될 때, 볼 본체는 편의 부재의 편의력에 대해 결합 구멍으로부터 탈출되어 결합판 상에서 이동된다. 그 후, 볼 본체가 인접한 결합 구멍에 도달될 때, 볼 본체는 편의 부재의 편의력에 의해 결합 구멍 내로 삽입된다.
그러므로, 케이스 본체는 볼 본체를 이동시킴으로써 매끄럽게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볼 본체는 선택적으로 각각의 결합 구멍 내로 삽입되기 때문에, 신뢰성 있게 케이스 본체의 회전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결합판은 케이스 본체의 케이스 샤프트부에 고정될 수 있고, 볼 본체 및 편의 부재는 피벗 지지부측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피벗 지지부는 케이스 본체측으로부터 내부 블록 본체, 중앙 블록 본체 및 외부 블록 본체의 순서로 회전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3개의 블록 본체로 분할될 수 있고, 케이스 샤프트부는 내부 블록 본체에 의해 피벗식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볼 본체 및 편의 부재는 중앙 블록 본체측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결합판은 케이스 본체와 함께 회전되고 피벗 지지부측 상에 제공된 볼 본체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이 경우, 볼 본체 및 편의 부재는 피벗 지지부의 각각의 블록 본체 내에 배치된다. 피벗 지지부가 케이스 본체 내로 합체될 때, 볼 본체 및 편의 부재는 이들이 각각의 블록 본체 내에 배치된 상태로 화상 픽업 유닛 내로 합체된다. 그러므로,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은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제한 기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케이스 본체는 회전 제한 기구에 의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되기만 한다. 그러므로, 케이스 본체는 심하게 회전되지 않는다. 인장, 압축 등의 힘이 통신 연결부 등의 연장부로 인가되지 않는다.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을 더욱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회전 제한 기구는 케이스 본체의 케이스 샤프트부 상에 제공되는 돌출부와; 돌출부가 삽입되고,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제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케이스 본체의 케이스 샤프트부 내에 제공된 돌출부는 케이스 본체의 회전에 따라 피벗 지지부 상에 형성된 회전 제한 홈 내에서 이동된다. 이 경우, 돌출부의 이동은 회전 제한 홈의 양단부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소정 각도 범위에 걸친 케이스 본체의 회전은 전술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신뢰성 있게 제한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통신 연결부는 피벗 지지부 내의 피벗 지지부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주 방향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통신 연결부의 원주 방향은 원주 방향을 따라 슬릿부를 관통하도록 피벗 지지부 내에서 만곡된다. 즉, 케이스 본체가 회전될때, 만곡 변형은 슬릿부를 관통하는 통신 연결부의 일부에 심하게 유발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굽힘 응력 등은 슬릿부를 관통하는 통신 연결부의 일부로 심하게 인가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통신 연결부의 연장부가 반복적으로 슬릿부를 관통하는 통신 연결부의 일부에 심한 굽힘 응력 등을 인가함으로써 파손될 가능성이 없다.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을 더욱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통신 연장부 중, 적어도 원주 방향 연장부는 가요성 기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비틀림 등의 하중은 판형 가요성 기판의 각각의 부분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케이스 본체가 회전되는 화상 픽업 유닛 내에, 판형 가요성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통신 연장부 중, 축 방향 연장부로부터 연장부로의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 기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비틀림 등의 하중은 판형 가요성 기판의 각각의 부분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케이스 본체가 회전되는 화상 픽업 유닛 내에, 판형 가요성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따르면, 화상 픽업 요소를 갖는 화상 픽업 기판과; 그 내에 화상 픽업 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외측으로 화상 픽업 요소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를 전송하고, 화상 픽업 기판과 연결되는 통신 연결부와; 케이스 본체를 피벗식으로 지지하고, 그 내에 케이스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통신 연결부를 배열하는 피벗 지지부와;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통신 연결부를 안내하고, 피벗 지지부의 주연면 상에 형성되는 슬릿부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통신 연결부는 케이스 본체로부터 피벗 지지부로 케이스 본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방향 연장부와;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피벗 지지부 내에서 피벗 지지부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주 방향 연장부와; 슬릿부를 통해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축 방향 연장부와 원주 방향 연장부 사이의 조인트부를 보강하는 연결 보강 부재가 통신 연결부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이 제공된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화상 픽업 유닛의 사용자 등은 피사체 등의 위치에 따라 예컨대 전자 장치 등의 본체에 고정된 피벗 지지부에 대해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피사체의 화상을 픽업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등은 피사체의 화상 픽업 시 전자 장치 등과 함께 화상 픽업 유닛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의 강성률은 연결 보강 부재에 의해 증가되기 때문에, 단부는 원주 방향 연장부가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확장될 때 원주 방향 연장부에 의해 인가되는 힘을 견딜 수 있다.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의 비틀림은 방지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축 방향 연장부와 원주 방향 연장부 사이의 조인트부에서 약 90˚만큼 변하기 때문에, 응력은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인트부 상에서 집중된다. 그러나, 조인트부는 응력 등에 대해 효과적으로 강화된다. 나아가, 통신 연결부로 인가되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것과, 기하급수적으로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연결 보강 부재는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연결 보강 부재는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의 비틀림 강성률은 연결 보강 부재의 전술된 연장부에 의해 기하급수적으로 개선된다. 즉, 조인트부의 강성률은 전술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연결 보강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피벗 지지부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결 보강 부재는 피벗 지지부의 수용부에 의해 수용되기 때문에, 연결 보강 부재는 수용부에 의해 지지되어 힘이 원주 방향 연장부로부터 축 방향 연장부로 인가될 때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연결 보강 부재 및 축 방향 연장부는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동되지 않는다. 충분히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연결 보강 부재는 통신 연결부 상에 형성되어 축 방향 연장부와 일체화되는 보강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보강 연장부는 축 방향 연장부를 연장시키도록 형성된다. 즉, 통신 연결부의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는 대략 T자형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용이하게 연결 보강 부재를 형성하는 것과, 축 방향 연장부 및 연결 보강 부재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과,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연결 보강 부재는 통신 연결부의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측에 고정되는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의 강성률은 보강부에 의해 증가되기 때문에, 축 방향 연장부와 원주 방향 연장부 사이의 조인트부의 비틀림 강성률은 증가된다. 그러므로, 통신 연결부의 조인트부의 강성률은 효과적으로 국부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통신 연결부는 가요성 기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비틀림 등의 하중은 판형 가요성 기판의 각각의 부분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케이스 본체가 회전되는 화상 픽업 유닛 내에, 판형 가요성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가요성 기판은 그 일표면 상에 제공되는 금속으로 제조된 배선부와; 가요성 기판의 타표면 상에 제공되는 수지로 제조된 강화부를 포함할 수 있고, 원주 방향 연장부는 가요성 기판의 일표면이 만곡된 원주 방향 연장부의 내부면이 되도록 만곡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금속으로 제조된 배선부는 내부면이기 때문에, 만곡된 가요성 기판의 하중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가요성 기판의 신뢰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가요성 기판의 배선부는 내부면이기 때문에, 배선부는 충분히 보호될 수 있다. 즉, 가요성 기판의 외부면이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피벗 지지부의 내주연면 상에서 활주되는 경우, 강화부가 활주되기 때문에, 통신 연결부의 전송 기능이 배선부를 손상시킴으로써 문제가 될 가능성이 없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연결 보강 부재는 만곡된 판형 안내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가요성 기판의 원주 방향 연장부의 적어도 단부측이 안내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가요성 기판의 원주 방향 연장부는 안내 부재에 부착되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의 강성률은 증가된다. 이 경우, 가요성 기판의 원주 방향 연장부의 단부측은 안내 부재에 부착되기 때문에, 굽힘 등의 변형은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원주 방향 연장부의 단부측 상에 유발되지 않는다. 나아가, 안내 부재는 만곡된 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은 안내 부재를 따라 만곡된다. 그러므로, 가요성 기판은 안정적으로 만곡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연결 보강 부재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안내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가요성 기판의 원주 방향 연장부의 적어도 단부측이 안내 부재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가요성 기판의 원주 방향 연장부는 안내 부재에 부착되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의 강성률은 증가된다. 이 경우, 가요성 기판의 원주 방향 연장부의 단부측은 안내 부재에 부착되기 때문에, 굽힘 등의 변형은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원주 방향 연장부의 단부측 상에 유발되지 않는다. 나아가, 안내 부재는 만곡된 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은 안내 부재를 따라 만곡된다. 그러므로, 가요성 기판은 안정적으로 만곡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안내 부재는 피벗 지지부의 내부면측 내로 돌출될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안내 부재는 피벗 지지부에 고정된다. 가요성 기판의 조인트부의 강성률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된다. 나아가, 피벗 지지부 및 안내 부재와 가요성 기판의 조인트부는 함께 이동되기 때문에, 축 방향 지지부의 이동은 가요성 기판의 조인트부를 따른다. 그러므로,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유발되는 가요성 기판의 비틀림 등은 억제된다. 조인트부 상에 응력을 집중시키는 것을 신뢰성 있게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서, 형상 처리는 원주 방향 연장부가 만곡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이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형상 처리가 가요성 기판의 원주 방향 연장부에 대해 수행된 후, 가요성 기판이 화상 픽업 유닛 내로 합체되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은 피벗 지지부에 용이하게 부착된다. 나아가, 내부 응력이 가요성 기판 내에서 발생되고 가요성 기판 등의 내구성에 대한 신뢰성이 판형 가요성 기판으로 힘을 인가함으로써 만곡되는 가요성 기판과 같이 감소될 가능성이 없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따르면, 전술된 화상 픽업 유닛과; 통신 연결부와 연결되고, 화상 정보가 전송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이 전자 장치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사용자 등은 피사체 등의 위치에 따라 예컨대 전자 장치의 본체에 고정된 피벗 지지부에 대해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피사체의 화상을 픽업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등은 피사체의 화상 픽업 시전자 장치의 본체와 등과 함께 화상 픽업 유닛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그러면, 통신 연결부의 연장부측은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기 때문에, 비틀림 등의 하중이 축 방향 연장부측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이로써, 기하급수적으로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의 강성률은 연결 보강 부재에 의해 증가되기 때문에, 단부는 원주 방향 연장부가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확장될 때 원주 방향 연장부에 의해 인가되는 힘을 견딜 수 있다.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의 비틀림은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기하급수적으로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을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
도2는 화상 픽업 유닛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3은 화상 픽업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4는 소형 화상 픽업 장치의 외부 사시도.
도5는 소형 화상 픽업 장치의 측단면도.
도6은 광학 부재의 외부 사시도.
도7은 광학 부재의 저면도.
도8은 광학 부재, 탄성 부재 및 중간 부재가 소형 화상 픽업 장치 내로 합체된 상태를 도시하는 소형 화상 픽업 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9는 화상 픽업 요소의 평면도.
도10은 화상 픽업 유닛이 전자 장치 내로 합체된 상태를 도시하는 전자 장치의 부분 단면 평면도.
도11은 화상 픽업 유닛이 전자 장치 내로 합체된 상태를 도시하는 전자 장치의 부분 단면 측면도.
도12는 원형 보유부의 측단면도.
도13은 회전 보유부의 분해 사시도.
도14는 가요성 기판의 굽힘부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접촉 부재에 의해 보유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15는 화상 픽업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전자 장치 내로 합체된 상태를 도시하는 전자 장치의 부분 단면 측면도.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의 원형 보유부의 측단면도.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의 가요성 기판의 개략 평면도.
도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의 가요성 기판의 개략 평면도.
도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을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
도20은 화상 픽업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21은 케이스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22는 내부 블록 본체를 구성하는 우측 블록의 배면도.
도23은 내부 블록 본체를 구성하는 우측 블록의 측면도.
도24는 내부 블록 본체를 구성하는 좌측 블록의 배면도.
도25는 중앙 블록 본체의 정면도.
도26은 도25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
도27은 중앙 블록 본체의 배면도.
도28은 외부 블록 본체의 정면도.
도29는 도28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
도30은 외부 블록 본체의 저면도.
도31은 결합판의 정면도.
도32는 화상 픽업 유닛이 전자 장치 내로 합체된 상태를 도시하는 전자 장치의 개략 평면도.
도3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의 가요성 기판의 개략 평면도.
도3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의 가요성 기판의 개략 평면도.
도3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을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
도36은 화상 픽업 유닛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37은 화상 픽업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38은 화상 픽업 유닛이 전자 장치 내로 합체된 상태를 도시하는 전자 장치의 부분 단면 측면도.
도39는 가요성 기판의 분해 사시도.
도40은 회전 보유부의 분해 사시도.
도41은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의 가요성 기판의 분해 사시도.
도42는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의 원형 보유부의 외부 사시도.
도43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에서의 원형 보유부의 외부 사시도.
도44는 가요성 기판의 외부 사시도.
도45는 제4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의 가요성 기판의 외부 사시도.
도46은 제4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의 가요성 기판의 외부 사시도.
도47은 제4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의 원형 보유부의 외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 픽업 유닛
11 : 상부 케이스
11a, 12a : 좌측 회전 샤프트 부재
11b, 12b : 우측 회전 샤프트 부재
12 : 하부 케이스
20 : 원형 보유부
20a : 슬릿부
30 : 회전 보유부
40 : 가요성 기판
41 : 축 방향 연장부
42 : 굽힘부
43 : 원주 방향 연장부
44 : 연장부
본 발명은 이하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과 도시 및 설명만을 위해 주어지는 첨부 도면으로부터 더욱 완전히 이해될 것이고,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한 사항의 한정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한다.
<제1 실시예>
도1 내지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1은 화상 픽업 유닛을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이다. 도2는 화상 픽업 유닛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화상 픽업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픽업 유닛(1)은 그 내에 피사체의 화상을 픽업하는 소형 화상 픽업 장치(50)를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10)와, 케이스본체(10)의 좌우측 상에 제공되는 케이스 본체(10)를 피벗식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원형 보유부(20) 및 회전 보유부(30)를 포함한다. 통신 연결부로서, 소형 화상 픽업 장치(50)와 연결되는 가요성 기판(40)이 피벗 지지 부재로서 사용되는 원형 보유부(20)를 통해 케이스 본체(10)로부터 화상 픽업 장치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화상 픽업 유닛(1)은 휴대용 전화 등의 전자 장치(100) 내에 제공된다. 원형 보유부(20) 및 회전 보유부(30)는 전자 장치의 본체(101)에 대해 케이스 본체(10)를 회전시키도록 전자 장치의 본체(101)에 고정된다. 화상 픽업 유닛(1)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기판(40)은 전자 장치(100) 내에 제공되는 처리부와 연결된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0)는 피사체로 향한 반투명 패널(10a)을 갖는 상부 케이스(11)와, 소형 픽업 장치(50)가 고정되는 하부 케이스(12)를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 케이스(12)는 각각 원형 보유부(20)를 향해 연장되는 좌측 회전 샤프트 부재(11a, 12a)와, 회전 보유부(30)를 향해 연장되는 우측 회전 샤프트 부재(11b, 12b)를 포함한다. 좌측 회전 샤프트 부재(11a, 12a)의 각각의 단부 상에, 케이스 본체(10)가 회전되게 하도록 원형 보유부(20)의 좌측부와 결합되는 역회전 방지부(pawl portion)(11a1, 12a1)가 형성된다. 전술된 가요성 기판(40)은 좌측 회전 샤프트 부재(11a, 12a) 사이에 배열된다. 각각의 우측 회전 샤프트 부재(11b, 12b)는 회전 보유부(30)의 비회전부(35)에 대해 회전되도록 회전부(31)에 고정된다. 즉, 케이스 본체(10)는 회전 가능하도록 원형 보유부(20) 및 회전 보유부(30)에 의해 지지된다. 제1 실시예에서, 회전 보유부(30)는 소정 회전 각도로 케이스 본체(10)를 위치시키는 위치 설정 기능을 갖는다.
소형 화상 픽업 장치(5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픽업 요소(51)와, 화상 픽업 요소(51)가 제공되는 화상 픽업 기판(PC)을 포함한다. 가요성 기판(40)은 화상 픽업 기판(PC)과 연결된다. 나아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화상 픽업 장치(50)는 화상 픽업 요소(51) 상에 피사체의 화상을 형성하는 광학 부재(52)와, 광학 부재(52)의 외부측을 덮는 광차폐성을 갖는 렌즈 프레임(53)과, 렌즈 프레임(53)의 상부 상에 제공되는 광차폐성을 갖는 광차폐판(54)과, 광차폐판(54)의 상부면 상에 제공되는 광차폐 시트(55)와, 광차폐 시트(55)의 대략 중앙 상에 제공되는 필터(56)를 포함한다.
광학 부재(52)는 투명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형 푸트부(foot portion)(52c), 푸트부(52c)의 일부로서 푸트부(52c)의 하단 상에 형성되는 4개의 맞닿음부(52d), 푸트부(52c)의 상단의 주연부 상에 형성되는 스테이지부(stage portion)(52e), 푸트부(52c)의 상단을 밀봉하는 판형 상부면부(52b)와, 상부면부(52b)의 중심 상에 형성되는 볼록 렌즈부(52a)가 광학 부재(52) 내로 일체로 형성된다.
광학 부재(52)의 외부측 상에, 광차폐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된 렌즈 프레임이 배치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형 하부(53a) 및 원통형 상부(53b)가 렌즈 프레임(53) 상에 제공된다. 하부(53a)의 하단은 화상 픽업 기판(PC) 상에 맞닿고 접합제(B)에 의해 고정된다. 하부(53a)의 상부면에는 광학 부재(52)의 주연측 상의 구획벽(53c)이 덮인다. 광학 부재(52)의 푸트부(52c)는 구획벽(53c)으로 푸트부(52c)를 끼우도록 구획벽(53c)의 내부면과 접촉된다.
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53)의 상부(53b)의 상단 상에, 광차폐판(54)이 접합제(B)에 의해 부착된다. 광차폐판(54)의 상부면 상에, 광차폐 시트(55)가 접합제(B)에 의해 부착된다.
광차폐판(54)의 중심 상에 제공된 개구(54a) 내에, 적외선 흡수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된 필터(56)가 끼워진다. 광차폐판(54)의 개구(54a)의 상부 모서리 상에, 테이퍼면(54b)이 형성된다. 광차폐판(54), 필터(56) 및 광차폐 시트(55)는 테이퍼면(54b) 상에 접합제(B)를 제공함으로써 결합된다.
나아가, 광차폐판(54)은 개구(54a)의 하부 위치를 향해 돌출되고 점차 단축되는 내경을 갖는 직경 단축부(54c)를 갖는다. 직경 단축부(54c)의 하단에서 가장 좁아지는 부분은 제1 조리개(aperture) 및 개구(54d)를 구성한다. 광차폐 시트(55)의 중심 개구(55a)는 제2 조리개를 구성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부재(52)와 광차폐판(54) 사이에,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제조된 시트형 탄성 부재(57)와, 원형 단면을 갖는 대략 원형 형상(대략 C자 형상)을 갖는 스테인리스로 제조된 중간 부재(58)가 배열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57)는 소정 간격으로 주연부 상에 노치부(57a)를 제공함으로써 형성되는 기어 형상을 갖는 시트이다. 탄성 부재(57)의 중심 상에 배열되는 대략 원형 평면부(57b)가 광학 부재(52)의 상부면부(52b)와 접촉되도록 제공된다. 중간 부재(58)는 탄성 부재(57)의 외부 모서리측 상에 형성된 8개의 돌출부(57c)의 상부면과 접촉되도록 제공된다.
즉, 광차폐판(54)은 렌즈 프레임(53)에 부착되기 때문에, 광차폐판(54)은 탄성 부재(57)로 중간 부재(58)를 가압한다. 이로써, 탄성 부재(57)는 탄성 변형되어 화상 픽업 요소(51)를 향해 광학 부재(52)를 편의시키도록 도5의 아래에 있는 광학 부재(52)를 가압한다. 나아가, 중간 부재(58)는 탄성 부재(57)를 통해 광학 부재(52)를 향해 가압되기 때문에, 시트 탄성 부재(57)의 돌출부(57c)는 탄성 변형되어 굽혀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중간 부재(58) 및 탄성 부재(57)는 소정 탄성력으로 화상 픽업 요소(51)를 향해 광학 부재(52)를 편의시킨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픽업 요소(51)는 CMOS 화상 센서로 제조된다. 사각형의 얇은 화상 픽업 요소(51)의 하부면은 화상 픽업 기판(PC)의 상부면에 부착된다. 화상 픽업 요소(51)의 상부면의 중심 상에, 픽셀이 2차원으로 배열되는 광전 변환부(photoelectric transfer portion)(51a)가 형성된다. 화상 픽업 요소(51)의 주연부 상에, 주연면(51b)이 형성된다. 주연면(51b)의 내부측 상에, 화상 처리 회로가 설치된다. 복수개의 패드(51c)가 주연면(51b)의 외부 모서리부 부근에 배열된다. 연결을 위한 단자인 패드(51c)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와이어(W)를 통해 화상 픽업 기판(PC)과 연결된다. 와이어(W)는 화상 픽업 기판(PC) 상에 제공된 소정 회로와 연결된다. 즉, 피사체의 화상이 광학 요소(52)의 렌즈부(52a)에 의해 광학 픽업 요소(51)의 광전 변환부(51a) 상에 형성된다. 화상 픽업 요소(51)는 수용된 광량에 따라 화상 신호 등으로 전기 신호를 변환시켜 패드(51c) 및 와이어(W)를 통해 화상 신호 등을 출력한다.
나아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부재(52)의 맞닿음부(52d)는푸트부(52c)의 하부 모서리로부터 돌출되고, 푸트부(52c)의 일부를 구성한다. 제1 실시예에서, 도9의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맞닿음부(52d)만 화상 픽업 요소(51)의 주연면(51b) 내의 패드(51c)의 내부측 상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광학 부재(52)의 평탄도는 소정 범위 내에서 맞닿음부(52d)의 하부면의 평탄도를 유지시킴으로써만 충족된다. 푸트부(52c)[맞닿음부(52d)]는 4개이기 때문에, 광학 부재(52)의 무게 중심은 그 중심 내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렌즈부(52a)는 광학 부재(52)가 단일 본체로 평면 상에 배치될 때 그 광학축이 평면에 수직하도록 위치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예컨대 맞닿음부(52d)의 맞닿음 위치는 화상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지 않은 영역인데, 이는 활성 픽셀 영역이 코너부(51d)를 제거함으로써 모든 픽셀 영역보다 약간 작기 때문이다. 이로써, 맞닿음부(52d)가 광전 변환부(51a) 내의 코너부(51d) 상에 맞닿아도, 화상 픽업 요소(51)의 화상 픽업 성능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 지지부로서 사용되는 원형 보유부(2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케이스 본체(10)로부터 연장되는 각각의 좌측 회전 샤프트 부재(11a, 12a)는 원형 보유부(20) 내로 삽입된다. 나아가, 좌측 회전 샤프트 부재(11a, 12a) 사이에, 케이스 본체(10)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기판(40)이 배열된다. 원형 보유부(20)의 주연면 상에, 원형 보유부(20)의 외측으로 가요성 기판(40)을 안내하는 슬릿부(20a)가 형성된다. 나아가, 원형 보유부(20)의 외주연면 상에, 주연면의 일부가 절단된 형상을 갖는 평탄부(21)가 형성된다.
평탄부(21)는 전자 장치의 본체(101) 내에 제공되는 수용부(102)와 접촉된다. 이로써, 원형 보유부(20)는 전자 장치(100)와 결합된다. 전자 장치의 본체(101)에 대한 원형 보유부(20)의 회전은 조절된다.
통신 연결부로서의 가요성 기판(40)은 화상 픽업 유닛(1)의 외측으로 화상 픽업 요소(51)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를 전송한다.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기판(40)은 케이스 본체(10)로부터 원형 보유부(20)로의 케이스 본체(10)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방향 연장부(41)와, 회전축 방향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원형 보유부(20) 내의 통신 연결부(40)가 굽혀지게 하도록 축 방향 연장부(41)의 단부 상에 형성되는 굽힘부(42)와, 원형 보유부(20) 내의 굽힘부(42)의 단부로부터 원형 보유부(20)로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주 방향 연장부(43)와, 슬릿부(20a)를 통해 원형 보유부(2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4)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서,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기판(40)이 굽혀지게 함으로써, 축 방향 연장부(41), 굽힘부(42), 원주 방향 연장부(43) 및 연장부(44)는 형성된다. 즉, 통신 연결부 중, 축 방향 연장부(41)로부터 연장부(44)로의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 기판(40)으로 제조된다. 이 경우, 가요성 기판(40)의 굽힘부(42)는 가요성 기판(40)이 굽힘부(42)로 급격한 하중을 인가하지 않도록 화상 픽업 유닛(1)의 외측에서 점차 굽혀진 후 화상 픽업 유닛(1) 내로 합체된다.
제1 실시예에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방향 연장부(41)는 케이스 본체(10)의 회전축 방향과 대략 일치된다. 굽힘부(42)는 상부측으로부터 보여질 때회전축에 대해 약 45˚로 형성되도록 굽혀진다. 굽힘부(42)로 연속되는 원주 방향 연장부(43)는 만곡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 연장부(43)의 굽힘부(42)측은 케이스 본체(10)의 각각의 좌측 회전 샤프트 부재(11a, 12a)를 권취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원주 방향 연장부(43)의 연장부(44)측은 원형 보유부(20)의 내부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원주 방향 연장부(43)로 연속되는 연장부(44)는 원형 보유부(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슬릿부(20a) 내로 삽입된다.
원주 방향 연장부(43)는 원형 보유부(20) 내에 권취되도록 형성된다. 케이스 본체(10)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요성 기판(40)의 원주 방향 연장부(43)는 원형 보유부(20) 내에서 확장된다.
가요성 기판(40)의 연장부(44)는 그 폭 방향이 케이스 본체(10)의 회전축 방향과 일치되도록 배열된다. 연장부(44)가 삽입되는 원형 보유부(20)의 슬릿부(20a)는 연장부(44)의 폭에 따라 케이스 본체(10)의 회전축 방향으로 슬릿부(20a)를 연장시키도록 형성된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보유부(3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케이스 본체(10)의 우측 회전 샤프트 부재(11b, 12b)로 끼워지는 회전부(31)와, 일체로 회전부(31)와 회전되는 결합판(32)과, 선택적으로 결합판(32)의 각각의 구멍부(32a)와 결합되는 결합 부재(33)와, 결합판(32)을 향해 결합 부재(33)를 편의시키는 탄성체(34)와, 전자 장치의 본체(101)에 고정되는 비회전부(35)와, 결합판(32) 및 비회전부(35) 내로 삽입되어 회전부(31)를 나사 고정하는 계단형 나사(36)를 포함한다. 회전 보유부(30)는 회전 가능하도록 케이스 본체(10)를 지지한다.
회전부(31)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우측 개구를 덮는 결합판(32)과 결합된다. 회전부(31)는 결합판(32) 및 비회전부(35) 내로 삽입된 계단형 나사(36)에 의해 나사 결합된다. 이로써, 회전부(31), 결합판(32) 및 계단형 나사(36)는 비회전부(35)에 대해 일체로 회전된다.
결합판(32) 내에, 복수개의 결합 구멍이 원주 방향으로[케이스 본체(10)를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결합 부재(33)는 각각의 구멍(32a)과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비회전부(35)에 대한 회전부(31)의 회전 각도는 선택적으로 결정된다. 즉, 일체로 회전부(31)와 회전되는 케이스 본체(10)의 회전 각도도 선택적으로 결정된다.
결합 부재(33)는 대략 볼형으로 형성되고, 탄성체(34)에 의해 결합판(32)으로 편의된다. 즉, 결합 부재(33)가 구멍(32a) 중 임의의 1개와 결합된 상태로 회전력이 케이스 본체(10)[회전부(31)]로 인가될 때, 결합 부재(33)는 탄성체(34)의 편의력에 대해 구멍(32a)으로부터 탈출되어, 결합판(32) 상에서 이동된다.
탄성체(34)는 나선 형성을 갖는 헬리컬 스프링이고, 비회전부(35)의 소정 위치 내에 결합된다. 즉, 결합 부재(33) 및 탄성체(34)는 비회전부(35)에 항상 고정된다.
비회전부(35)는 회전 보유부(30)의 외부 형상을 거의 구성하고,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비회전부(35)의 외주연면 상에, 2개의 평탄부(37)가 형성된다. 각각의 평탄부(37)는 전자 장치의 본체(101) 내에 제공되는 수용부(103)와 접촉된다. 이로써, 회전 보유부(30)는 전자 장치(100)와 결합된다. 전자 장치의 본체(101)에 대한 회전 보유부(30)의 회전은 조절된다.
전술된 구조를 갖는 화상 픽업 유닛(1)에서,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 등은 피사체 등의 위치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고정된 원형 보유부(20)에 대해 케이스 본체(10)를 회전시킴으로써 피사체의 화상을 픽업할 수 있다.
가요성 기판(40)의 연장부(44)측은 케이스 본체(10)를 회전시킴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기 때문에, 비틀림 등의 하중이 축 방향 연장부(41)측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가요성 기판(40)의 연장부(44)는 그 폭 방향이 회전축 방향과 일치되지 않도록 배열되기 때문에, 비틀림 등의 하중이 연장부(44)측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가요성 기판(40)은 굽힘 강성률이 비교적 작은 두께 방향으로 굽혀진다.
원주 방향 연장부(43)는 원형 보유부(20) 내에서 권취되고 가요성 기판(40)은 케이스 본체(10)를 회전시킴으로써 원형 보유부(20) 내에서 확장되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40)은 원형 보유부(20)로부터 확장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가요성 기판(40)과 전자 장치의 처리부 사이의 연결 단부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1)과, 이 화상 픽업 유닛(1)을 갖는 전자 장치(100)에 따르면, 케이스 본체(10)를 회전시킴으로써 피사체의 화상을 픽업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 등이 피사체의 화상 픽업 시 전자 장치의 본체(101)와 함께 화상 픽업 유닛(1)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제1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1)과, 이 화상 픽업 유닛(1)을 갖는 전자장치(100)에 따르면, 가요성 기판(40)의 연장부(44)측은 케이스 본체(10)에 의해 확장되고 비틀림 등이 하중이 축 방향 연장부(41)측으로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40)으로 인가되는 하중은 감소된다. 기하급수적으로 가요성 기판(40)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1)과, 이 화상 픽업 유닛(1)을 갖는 전자 장치(100)에 따르면, 가요성 기판(40)은 연장부(44)의 폭 방향이 회전축 방향과 일치되도록 배열되기 때문에, 비틀림력은 연장부(44)로 인가되지 않는다. 이로써, 기하급수적으로 가요성 기판(40)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비틀림 등의 하중이 판형 가요성 기판(40)의 각각의 부분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케이스 본체가 회전되는 화상 픽업 유닛 내에, 판형 가요성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나아가, 가요성 기판(40)의 연장부(44)는 굽힘 강성률이 비교적 작은 두께 방향으로 굽혀지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40)은 케이스 본체(10)가 회전될 때 굽혀진다. 매끄럽게 케이스 본체(10)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1)과, 이 화상 픽업 유닛(1)을 갖는 전자 장치(100)에 따르면, 가요성 기판(40)은 케이스 본체(10)를 회전시킴으로써 원형 보유부(20) 내에서 확장되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40)의 연장부(44)의 단부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연장부(44)의 단부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100)의 처리부가 가요성 기판(40)의 확장에 대처하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화상 픽업 유닛(1)을 갖는 전자 장치(100)가 설계될 때 매우 유리하다.
제1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1)과, 이 화상 픽업 유닛(1)을 갖는 전자 장치(100)에 따르면, 평탄부(21)는 원형 보유부(20)의 외주연면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원형 보유부(20)의 평탄부(21)를 사용함으로써, 화상 픽업 유닛(1)은 전자 장치의 본체(101)에 용이하게 고정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즉, 화상 픽업 유닛(1)이 전자 장치(100) 내로 합체될 때, 전자 장치의 본체(101)에 대한 대략 원통형 원형 보유부(20)의 위치는 기준으로서 평탄부(21)를 사용함으로써 정밀하게 결정될 수 있다. 나아가,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 원형 보유부(20)에서, 평탄부(21)가 전자 장치의 본체(101)와 접촉되게 하는 수용부(102)를 제공함으로써, 원형 보유부(20)의 회전은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조절될 수 있다. 나아가, 회전부(30)에서, 회전부(30)의 외주연면 상에 평탄부(37)를 형성함으로써, 원형 보유부(20)의 외주연면 상에 평탄부(21)를 형성함으로써 얻어진 것과 동일한 기능 및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1)과, 이 화상 픽업 유닛(1)을 갖는 전자 장치(100)에 따르면, 구획벽(53c)의 원형 개구부의 중심이 화상 픽업 요소(51)의 광전 변환부(51a)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예컨대 자동 조립기 상에 제공되는 광학 센서 등으로써 화상 픽업 기판(PC) 및 렌즈 프레임(53)을 위치시키기만 함으로써, 광학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화상 픽업 요소(51)의 광전 변환부(51a)에 대해 렌즈부(52a)를 정밀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1)과, 이 화상 픽업 유닛(1)을 갖는 전자 장치(100)에 따르면, 광차폐판(54), 광차폐 시트(55) 및 필터(56)는 커버 부재를구성하고 화상 픽업 기판(PC), 렌즈 프레임(53) 및 커버 부재는 접근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소형 화상 픽업 장치(50)로부터 먼지 및 습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1)과, 이 화상 픽업 유닛(1)을 갖는 전자 장치(100)에 따르면, 힘이 광차폐판(54)으로부터 화상 픽업 요소(51)를 향해 인가될 때, 힘은 이를 흡수하는 쿠션 기능을 작동시키도록 탄성 부재(57)를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화상 픽업 요소(51)로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화상 픽업 요소(51)의 손상은 방지된다.
제1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1)과, 이 화상 픽업 유닛(1)을 갖는 전자 장치(100)에 따르면, 상이한 탄성력이 상이한 형상 또는 상이한 두께를 갖는 중간 부재(58)를 사용함으로써 1개의 탄성 부재(57)로부터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강도로 탄성력을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1)과, 이 화상 픽업 유닛(1)을 갖는 전자 장치(100)에 따르면, 탄성 부재(57) 및 중간 부재(58)로부터 선택된 1개가 렌즈부의 광학축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취해진 대략 원형 단면을 갖기 때문에, 광차폐판(54)에 의해 발생된 가압 하중은 균일하게 광학 부재(52)로 인가된다. 결과적으로, 광학 부재(52)는 안정적으로 편의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1)과, 이 화상 픽업 유닛(1)을 갖는 전자 장치(100)에 따르면, 기어형으로 탄성 부재(57)를 형성하도록 탄성 부재(57)의 외주연부 상에 노치부(57a)를 제공함으로써, 탄성 부재(57)가 탄성 변형되어 굽혀지게 함으로써 발생되는 스트레인(strain)을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예컨대 탄성 부재(57)가 그 외주연부 상에 어떠한 노치부도 갖지 않는 도넛형으로 형성된 경우, 그 외주연부가 대략 원형 중간 부재(58)에 의해 가압될 때, 스트레인이 외주연부와 내주연부 사이의 가요성의 변동의 차이 때문에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레인이 탄성 부재(57)에 유발될 가능성이 없다. 결과적으로, 탄성 부재(57)는 탄성 수단의 기능에 대한 어떠한 단점도 갖지 않는다.
제1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1)과, 이 화상 픽업 유닛(1)을 갖는 전자 장치(100)에 따르면, 렌즈 프레임(53)의 내주연면과 광학 부재(52)의 외주연면 사이에 공간이 있지만, 푸트부(52c)가 화상 픽업 요소(51)의 주연면(51b) 상에 맞닿을 때, 광학축은 화상 픽업 요소(51)의 광전 변환부(51a)에 수직하다. 그러므로, 적은 변형을 갖는 화상이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주연면(51b)의 후방측(도1의 경우 하부면측) 상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한) 화상 픽업 요소(51)의 회로가 제공된다. 그러나, 회로에 의해 수행된 처리는 맞닿음부(52d)가 주연면(51b)과 접촉되게 함으로써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제1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1)과, 이 화상 픽업 유닛(1)을 갖는 전자 장치(100)에 따르면, 공간(Δ)은 맞닿음부(52d)가 화상 픽업 요소(51)의 주연면(51b) 상에 맞닿은 상태로 광학 부재(52)의 스테이지부(52e)의 하부면과 렌즈 프레임(53)의 하부(53a)의 구획벽(53c) 사이에 제공되기 때문에, 렌즈부(52a)와 화상 픽업 요소(51)의 광전 변환부(51a) 사이의 길이(L)(즉, 광학축 방향으로의 위치 설정)는 푸트부(52c)의 길이에 따라 정밀하게 설정된다. 이 경우, 제1 실시예에 따르면, 4개의 맞닿음부(52d)가 제공된다. 그러나, 1개 내지 3개의 맞닿음부가 제공될 수 있다. 패드(51c)와의 방해가 회피될 수 있다면, 광학 부재(52)의 원형 푸트부(52c)를 따라 형성된 링형 맞닿음부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1)과, 이 화상 픽업 유닛(1)을 갖는 전자 장치(100)에 따르면, 광학 부재(52)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온도의 변화로 인한 렌즈부의 굴절률의 변동에 의해 유발되는 초점의 이동이 감소될 수 있다. 즉, 온도가 증가됨에 따라, 플라스틱 렌즈의 굴절률은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초점은 렌즈로부터 떨어져 이동된다. 그러나, 푸트부(52c)는 온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확장되기 때문에, 초점의 이동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예의 광학 부재(52)는 비교적 가벼운 중량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플라스틱 렌즈는 이와 동일한 체적을 갖는 유리 렌즈보다 가볍다. 나아가, 플라스틱 렌즈는 우수한 충격 흡수성을 갖기 때문에, 화상 픽업 요소(51)의 손상은 예컨대 전자 장치(100)가 잘못하여 떨어질 때 충격이 소형 화상 픽업 장치(50)로 인가되더라도 가능하면 작게 억제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1)과, 이 화상 픽업 유닛(1)을 갖는 전자 장치(100)에 따르면, 광학 부재(52)는 화상 픽업 기판(PC)이 아니라 화상 픽업 요소(51) 상에 부착되기 때문에, [맞닿음부(52d)를 포함한] 푸트부(52c)의 크기의 정밀도를 제어함으로써 즉 전술된 길이(L)의 정밀도를 제어함으로써 광학 부재(52) 등의 합체 시 렌즈부(52a)의 초점을 제어할 필요가 없다. 초점의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게 하기 위해, 화상 픽업 요소(51)의 광전 변환부(51a)와 광학 부재(52)의렌즈부(52a)의 화상 지점 사이의 이동 길이가 공기 중에서 감소된 길이에 의해 표현된 약 ±F×2P(F: 렌즈부의 F값, P: 화상 픽업 요소의 픽셀 피치) 내에서 억제될 필요가 있다.
제1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1)과, 이 화상 픽업 유닛(1)을 갖는 전자 장치(100)에 따르면, 광학 부재(52)의 푸트부(52c)의 맞닿음부(52d)가 화상 픽업 요소(51)의 주연면(51b)과 접촉되게 함으로써, 렌즈부(52a)의 위치와, 광학축 방향으로의 화상 픽업 요소(51)의 광전 변환부(51a)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렌즈 프레임(53)은 화상 픽업 요소(51)의 광전 변환부(51a)의 위치의 기준으로서 화상 픽업 기판(PC) 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렌즈부(52a)의 위치와, 광학축 방향으로의 화상 픽업 요소(51)의 광전 변환부(51a)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위치 설정의 높은 정밀도는 낮은 비용으로 성취될 수 있다.
패드(51c)와, 화상 픽업 요소(51)가 화상 픽업 기판(PC)과 접촉되게 하는 와이어(W)가 화상 픽업 요소(51)의 주연면(51b) 상에 형성된 경우, 푸트부(52c)의 맞닿음부(52d)가 패드(51c)로부터 떨어져 주연면(51b)의 광전 변환부(51)측 상에 맞닿도록 형성될 때, 소형 구조로 광학 픽업 요소를 유지시키는 것과, 맞닿음부(52d)의 큰 맞닿음 영역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광학 부재(52)를 안정화시키는 것과, 맞닿음면으로 인가된 표면 압력을 억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화상 픽업 요소(51)를 보호하는 것과, 패드(51c) 및 와이어(W)와의 방해를 방지하는 것과, 높고 정밀한 위치 설정을 성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렌즈 프레임(53)은 외래 물체가 소형 화상 픽업 장치(50) 내로 진입되지 않도록 밀봉 상태로 소형 화상 픽업 장치(50)를 유지시키기 위해 2개의 접합부에 추가하여 접합제에 의해 화상 픽업 기판(PC)에 접합되기 때문에, 외래 물체에 의해 유발되는 화상 픽업 요소(51)의 광전 변환부(51a)에 대한 악영향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내습성을 갖는 접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소형 화상 픽업 장치(50) 내로 진입된 습기에 의해 유발되는 화상 픽업 요소(51)의 각각의 표면과 패드(51c)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1)과, 이 화상 픽업 유닛(1)을 갖는 전자 장치(100)에 따르면, 광학축으로 소정 탄성력으로 광학 부재(52)의 스테이지부(52e)를 가압하는 탄성 부재(57)가 제공되기 때문에, 푸트부(52c)[맞닿음부(52d)]는 광학축 방향을 따라 적절한 맞닿음력으로 렌즈 프레임(53)에 대해 탄성 부재(57)의 탄성력을 사용함으로써 화상 픽업 요소(51)의 주연면(51b)으로 가압된다. 그러므로, 광학 부재(52)의 위치와 광학축 방향으로의 화상 픽업 요소의 위치를 용이하게 결정하는 것과, 와핑(warping) 등의 변형이 시간에 따라 소정 부분으로 유발되더라도 안정된 탄성력에 의해 화상 픽업 요소(51)를 향해 광학 부재(52)를 편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전자 장치가 진동될 때 광학 부재(52)의 역회전(backlash)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충격이 유발될 때 과도한 응력이 그 내측 상에 회로가 제공되는 화상 픽업 요소(51)의 주연면(51b)으로 인가된다. 충격력 등의 큰 힘이 광학축 방향으로 렌즈 프레임(53)으로 인가될 때, 이 힘은 화상 픽업 기판(PC)으로 전달된다. 그러나, 이 힘은 화상 픽업 요소(51)로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화상 픽업 요소(51)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탄성부재(57)의 일례로서, 우레탄, 스폰지 등이 사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장시간 동안 안정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조된 시트형 부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1)과, 이 화상 픽업 유닛(1)을 갖는 전자 장치(100)에 따르면, 광차폐판(54), 광차폐 시트(55) 및 필터(56)에 의해 형성된 커버 부재는 렌즈부(52a)와 비교될 때 피사체측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렌즈부(52a)는 노출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렌즈부(52a)를 보호하는 것과, 렌즈에 대한 외래 물체의 부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필터(56)는 적외선 흡수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또 다른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ting filter)가 제공될 필요가 없다. 부품의 개수는 감소될 수 있다. 광학 부재(52) 자체가 필터(56)에 적외선 차단성을 제공하지 않고 적외선 흡수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적외선 차단성을 갖는 필름이 렌즈부(52a)의 표면 상에 코팅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1)과, 이 화상 픽업 유닛(1)을 갖는 전자 장치(100)에 따르면, 광학 부재(52) 등이 합체될 때, 광차폐판(54)은 렌즈 프레임(53)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광학 부재(52)가 피사체측으로부터 렌즈 프레임(53) 내로 삽입된 후 렌즈 프레임(53)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써, 광학 부재(52)의 부착은 개선되고, 예컨대 자동 부착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렌즈 프레임(53)과 광학 부재(52) 사이에 공간이 있더라도 렌즈 프레임(53)의 하부(53a) 상에 공기를 탈출시키는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광학부재(52)를 용이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학 부재(52)가 부착된 후 공기를 탈출시키는 구멍에 충전 재료를 밀봉함으로써, 외측으로부터의 외래 물체의 진입을 방지하는 것과, 습기 등에 의해 유발되는 화상 픽업 요소(51)의 각각의 표면과 패드(51c)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이 경우, 광누설을 방지하도록 광차폐성을 갖는 충전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 프레임(53)이 화상 픽업 기판(PC)에 접합된 후, 광학 부재(52)가 삽입될 수 있다. 광학 부재(52)가 렌즈 프레임(53)에 부착된 후, 그 유닛이 화상 픽업 기판(PC)에 접합될 수 있다. 이로써, 자유롭게 화상 픽업 유닛을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 픽업 유닛을 조립하는 후자의 경우, 렌즈 프레임(53)의 구획벽(53c)은 광학 부재(52)가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1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1)과, 이 화상 픽업 유닛(1)을 갖는 전자 장치(100)에 따르면, 한계 광속(marginal light flux)을 조절하는 제2 조리개[개구 (55a)]는 과도한 입사광을 감소시키도록 렌즈부(52a)의 F값을 한정하는 제1 조리개[개구(54d)]의 피사체측 상에 배열된다. 그러므로, 화상 픽업 요소(51)의 광전 변환부(51a) 부근에 광학 부재(52)의 푸트부(52c)를 배치하여 푸트부(52c) 상에 화상 형성에 기여하지 않는 광속을 반사시킴으로써 그리고 광전 변환부(51a)로의 반사된 광속의 진입에 의해 유발되는 가상(ghost) 또는 광반(flare)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1개의 시야 각도(field angle)가 화상 픽업 요소(51)의 광전 변환부(51a)의 단측 방향, 장측 방향 및 대각선 방향으로 또 다른 것과 상이하기 때문에, 사각형으로 개구(55a)인 제2 조리개를 형성함으로써 더욱 크게 전술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예에서, 광차폐판(54)의 개구(54d)는 전술된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개구가 필요한 개구부를 제외한 필터(56)의 피사체측 상에 광차폐성을 갖는 필름을 코팅하거나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동일한 이유로부터, 푸트부(52c)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내부 표면 반사 방지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표면 방사 방지 공전은 예컨대 미세 불규칙부가 화상 형성에 기여하지 않는 광속을 분산시키도록 제공되는 표면을 형성함으로써 또는 반사 방지 코팅이나 낮은 반사성을 갖는 코팅을 도포함으로써 수행된다.
제1 실시예에서, 화상 정보는 가요성 기판(40)에 의해 전송된다. 그러나, 화상 정보는 또 다른 통신 연결부 예컨대 전송 케이블 등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가요성 기판(40)의 굽힘부(42)는 화상 픽업 유닛(1)과 독립적이도록 굽혀진다. 그러나,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굽힘부(42)와 접촉되는 접촉 부재(13)가 좌측 회전 샤프트 부재(11a, 12a) 중 1개 내에 제공될 수 있고, 가요성 기판(40)의 굽힘부(42)는 가요성 기판(40)이 굽혀지게 하도록 가요성 기판(40)이 접촉 부재(13)와 접촉되게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충분히 굽힘부(42)를 형성하도록 접촉 부재(13)를 사용함으로써 가요성 기판(40)이 굽혀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굽힘부(42)의 형상은 접촉 부재(13)에 의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10)의 회전에 따라 굽힘부(42)를 변형시킴으로써 유발되는 응력이 집중될 가능성이 없다. 이로써, 기하급수적으로 가요성 기판(40)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예에서, 축 방향 연장부(41)는 케이스 본체(10)의 회전축 방향과 대략 일치된다. 그러나,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방향 연장부는 케이스 본체(10)의 회전축으로부터 원형 보유부(20)의 반경 방향을 향해 떨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굽힘부(42)는 회전축을 향해 굽혀진다. 원주 방향 연장부(43)는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져 공간을 사용함으로써 완만하게 만곡되도록 형성된다.
즉, 가요성 기판(40)의 원주 방향 연장부(43)는 완만하게 만곡되기 때문에, 급격하게 만곡되는 원주 방향 연장부(43)가 일부라도 형성되지 않는다. 응력 등은 케이스 본체(10)를 회전시킴으로써 원주 방향 연장부(43)의 특정부 상에 집중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더욱 가요성 연결부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예에서, 1개의 슬릿부(20a)가 원형 보유부(20) 상에 형성된다. 가요성 기판(40)의 1개의 연장부(44)가 슬릿부(20a) 내로 삽입된다. 그러나,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보유부(20)는 복수개의 슬릿부(20b)를 포함할 수 있고, 가요성 기판(40)은 각각의 슬릿부(20b)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16에서, 원형 보유부(20)는 그 중심축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된 2개의 슬릿부(20b)를 포함한다. 가요성 기판(40a)은 각각의 슬릿부(20b) 내로 삽입되는 2개의 연장부(44a)를 포함한다.
이 경우, 화상 픽업 유닛(1)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 등은 가요성 기판(40a)의 복수개의 연장부(44a)를 통해 원형 보유부(20)의 외측으로 전송된다. 즉, 복수개의 연장부(44a)에 의해, 소정량의 화상 정보 등이 전송된다. 나아가, 가요성 기판(40a)은 복수개의 연장부(44a)를 포함하기 때문에, 1개의 연장부(44a)의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케이스 본체(10)의 회전에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44a)로인가되는 하중은 분산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가요성 기판(40)은 원형 보유부(20) 내에서 확장된다. 그러나, 원주 방향 연장부(43)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d tape) 등에 의해 원형 보유부(20)의 내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가요성 기판(40)은 케이스 본체(10)를 회전시킴으로써 원형 보유부(20)의 외측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요성 기판(40)은 원형 보유부(20) 내에서 확장되지 않는다. 원형 보유부(20) 내에서 만곡되는 가요성 기판(40)의 원주 방향 연장부(43) 등은 케이스 본체(10)를 회전시킴으로써 변형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하중은 가요성 기판(40)의 만곡부 등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더욱 가요성 기판(40)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예에서, 통신 연결부는 1개의 가요성 기판이 굽혀지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예컨대,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연결부는 복수개의 가요성 기판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통신 연결부로서 사용되는 가요성 기판(40b)은 제1 실시예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축 방향 연장부(41b)와, 축 방향 연장부(41b)의 단부와 연결되고 회전축 방향으로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방향 연장부(45)와, 제1 실시예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연장부(44b)를 포함한다. 가요성 기판(40b)은 축 방향 연장부(41b)측 및 연장부(44b)측으로 분리되는 상이한 기판으로 구성된다. 축 방향 연장부(41b)의 단부는 수직 방향 연장부(45)의 단부와 결합된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 등은 피사체 등의 위치에 따라 예컨대 전자 장치 등의 본체에 고정된 원형 보유부(20)에 대해 케이스 본체(10)를 회전시킴으로써 피사체의 화상을 픽업할 수 있다. 나아가, 가요성 기판(40b)의 연장부(44b)측은 케이스 본체(10)를 회전시킴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기 때문에, 비틀림 등의 하중이 축 방향 연장부(41b)측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나아가, 이 경우, 가요성 기판(40b)은 축 방향 연장부(41b)가 수직 방향 연장부(45)와 접촉되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복수개의 가요성 기판 부분을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가요성 기판(40)에 추가하여, 축 방향 연장부 및 수직 방향 연장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가요성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즉, 가요성 기판은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축 방향 연장부 및 수직 방향 연장부는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축 방향 연장부와 수직 방향 연장부 사이의 조인트부의 강도는 기하급수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조인트부에서 약 90˚만큼 변하기 때문에, 응력 등은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인트부 상에 집중된다. 그러나, 조인트부는 응력 등에 대해 효과적으로 강화된다. 나아가,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 연결부의 축 방향 연장부 및 수직 방향 연장부는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제1 실시예에서, 가요성 기판(40)의 폭은 전체 길이에서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예컨대,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연결부(40c)의 폭은 변할 수 있다. 통신 연결부(40c)에서, 축 방향 연장부(41c)의 폭은 굽힘부(42c)를 향해점차 좁아진다. 가요성 기판으로 제조된 원주 방향 연장부(43c)의 폭은 연장부(44c)를 향해 점차 넓어진다. 즉, 통신 연결부(40c) 중, 적어도 원주 방향 연장부(43c)는 가요성 기판으로 제조된다. 이 경우, 비틀림 등의 하중은 판형 가요성 기판의 각각의 부분[원주 방향 연장부(43c) 등]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케이스 본체(10)가 회전되는 화상 픽업 유닛 내에, 판형 가요성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제1 실시예에서, 평탄부(21, 37)는 각각 원형 보유부(20) 및 회전 보유부(30) 상에 제공된다. 그러나, 평탄부는 원형 보유부(20) 및 회전 보유부(30) 중 1개 상에 제공되거나, 어느 곳에도 전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제1 실시예에서, 원형 보유부(20) 및 회전 보유부(30)는 전자 장치의 본체(101)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들 중 1개는 본체에 고정된다.
제1 실시예에서, 화상 픽업 요소(51)는 와이어(W)에 의해 화상 픽업 기판(PC)과 연결된다. 예컨대, 와이어 등은 화상 픽업 요소(51)의 후방면[광전 변환부(51a)에 대향면] 또는 화상 픽업 요소(51)의 측면으로부터 신호를 가져오도록 화상 픽업 요소(51)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구조에서, 넓게 화상 픽업 요소(51)의 주연면을 얻는 것과, 용이하게 와이어를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57)는 노치부(57a)를 갖는 기어형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탄성 부재(57)의 노치부(57a)는 동일한 형상을 갖지 않고 탄성 부재(57)의 돌출부(57c)는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지 않지만, 노치부(57a)로부터 탄성 부재(57)를 굽힘으로써 발생되는 스트레인을 완화시키는 것과, 탄성 부재(57)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예에서, 화상 픽업 요소(51)는 베어 칩(bare chip)이다. 그러나, 유리, 필름 등의 보호 부재로써 화상 픽업 요소(51)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을 덮음으로써, 화상 픽업 요소는 강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상 픽업 기판은 강성 기판뿐만 아니라 가요성 기판일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기어 형상을 갖는 시트형 탄성 부재(57)가 광차폐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될 때, 탄성 부재(57)의 중심 개구(57d)는 조리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중심 개구(57d)를 갖는 탄성 부재(57)는 렌즈부(52a)의 입사 평면측 상에 제공되기 때문에, 광속은 대략 수직으로 화상 픽업 요소(51)의 광전 변환부(51a)로 입사될 수 있다. 즉, 광속은 대략 텔레센트릭 상태(telecentric state)로 입사된다. 이로써, 고선명 화상이 얻어질 수 있다. 나아가, 큰 곡률을 갖는 표면이 화상측을 향하는 볼록 렌즈(positive lens) 내에 렌즈부(52a)를 형성함으로써, 조리개[중심 개구(57d)]와 렌즈부(52a)의 주요 지점 사이의 간격은 길어진다. 전술된 광학 시스템은 텔레센트릭 상태에 더욱 근접하게 된다.
제1 실시예에서, 화상 픽업 유닛(1)을 갖는 전자 장치(100)로서, 휴대용 전화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PDA, AV 장비, 텔레비전, 가정용 전기 제품 및 다른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원형 보유부(20)가 통신 연결부를 배열할 수 있도록 형성되기만 하면, 원형 보유부(20)가 원통형으로 형성될 필요가 없다. 케이스 본체(10) 등의 형상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다른 구체적 세부 구조도 변형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화상 픽업 유닛의 케이스 본체는 피사체의 위치에 따라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등은 피사체의 화상 픽업 시 화상 픽업 유닛을 포함한 전자 장치 등과 함께 케이스 본체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나아가, 비틀림 등의 하중이 축 방향 연장부측으로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통신 연결부로 인가되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것과, 기하급수적으로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신 연결부의 1개의 연결부가 굽혀지게 함으로써, 축 방향 연장부, 굽힘부 및 연장부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화상 픽업 유닛의 케이스 본체는 피사체의 위치에 따라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등은 피사체의 화상 픽업 시 화상 픽업 유닛을 포함한 전자 장치 등과 함께 케이스 본체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나아가, 비틀림 등의 하중이 축 방향 연장부측으로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통신 연결부로 인가되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것과, 기하급수적으로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 연결부는 축 방향 연장부가 수직 방향 연장부와 접촉되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자 장치에 따르면, 화상 픽업 유닛의 케이스 본체는 피사체의 위치에 따라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등은 피사체의 화상 픽업 시 화상 픽업 유닛을 포함한 전자 장치 등과 함께 케이스 본체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나아가, 비틀림 등의 하중이 축 방향 연장부측으로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통신 연결부로 인가되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것과, 기하급수적으로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
도19 내지 도3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19는 화상 픽업 유닛을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이다. 도20은 화상 픽업 유닛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21은 화상 픽업 유닛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19 및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픽업 유닛(2)은 그 내에 피사체의 화상을 픽업하는 소형 화상 픽업 장치(150)를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110)와, 케이스 본체(110)를 피벗식으로 지지하는 사각형 보유부(120)를 포함한다. 통신 연결부로서, 소형 화상 픽업 장치(150)와 연결되는 가요성 기판(140)이 피벗 지지 부재로서 사용되는 사각형 보유부(120)를 통해 케이스 본체(110)로부터 화상 픽업 장치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화상 픽업 유닛(2)은 휴대용 전화 등의 전자 장치(200) 내에 제공된다. 사각형 보유부(120)는 전자 장치의 본체(201)에 대해 케이스 본체(110)를 회전시키도록 전자 장치의 본체(201)에 고정된다. 화상 픽업 유닛(2)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기판(140)은 전자 장치(200) 내에 제공되는 처리부와 연결된다.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는 피사체로 향한 반투명 패널(110a)을 갖는 상부 케이스(111)와, 소형 픽업 장치(150)가 고정되는 하부 케이스(112)를 포함한다. 케이스 본체(110)는 사각형 보유부(120)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 케이스 샤프트부(113)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서, 케이스 샤프트부(113)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각각 상부 케이스(111) 및 하부 케이스(112) 상에 반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회전 샤프트 부재(114, 115) 등으로 구성된다. 즉, 1개의 본체 내로 상부 케이스(111) 및 하부 케이스(112)를 합체함으로써, 케이스 샤프트부(113)는 1개의 원통형 부재로 형성된다. 케이스 샤프트부(113)의 내부 공간 내에, 케이스 본체(1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전술된 가요성 기판(140)이 배열된다. 케이스 본체(110)는 자신만 사각형 보유부(120)에 의해 지지되는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다. 제2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복수개의 회전 각도로 케이스 본체(110)를 보유하는 회전 조절부(130)가 사각형 보유부(120) 내에 제공된다.
회전 조절부(130)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조절 기구로서 사용되는 회전 조절부(130)는 그 표면이 케이스 본체(110)의 회전축에 수직하도록 배열되는 결합판(131)과, 결합판(131)의 일면 상에서 이동되는 볼(132)과, 결합판(131)을 향해 볼(132)을 편의시키는 코일 스프링(133)을 포함한다. 도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결합 구멍(134)이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결합판(131) 상에 형성된다. 볼 본체로서 사용되는 볼(132)은 선택적으로 각각의 결합 구멍 내로 삽입된다. 결합판(131)의 중심 내에, 가요성 기판(140)의 축방향 연장부(141)가 삽입되는 연결 구멍(131b)이 형성된다. 편의 부재로서 사용되는 코일 스프링(133)은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회전축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사각형 보유부(120) 내에 배치된다. 코일 스프링(133)은 결합판(131)을 향해 볼(132)을 항상 편의시킨다. 이하에서는 결합판(131), 볼(132), 코일 스프링(133) 등이 사각형 보유부(120) 내에 배열된 배열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샤프트부(113)의 단부 상에, 반경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플랜지부(113a)가 형성된다. 플랜지부(113a)의 후방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된다. 후방면 상에, 후방으로 돌출되는 2개의 돌출부(113b)가 형성된다. 각각의 돌출부(113b)는 결합판(131) 내에 형성된 삽입 구멍(131a) 내로 삽입된다. 이로써, 결합판은 케이스 본체(110)측에 고정된다. 제2 실시예에서, 1개의 돌출부(113b)가 다른 돌출부(113b)보다 길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도19 및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 지지부로서 사용되는 사각형 보유부(120)는 대략 중공의 사각형 프리즘(quadratic prism) 내에 형성되고, 케이스 본체(110)로부터 연장되는 케이스 샤프트부(113)를 피벗식으로 지지한다. 케이스 샤프트부(113)의 내부 공간 내에, 케이스 본체(110)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기판(140)이 배열된다. 사각형 보유판(120)의 주연면 상에, 사각형 보유부(120)의 외측으로 가요성 기판(140)을 안내하는 슬릿부(121)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케이스 본체(110)측은 전방측이고 사각형 보유부(120)측은 후방측인 것으로 즉 케이스 본체(110)의 회전축 방향은 전방 및 후방 방향인 것으로 가정하여, 화상 픽업 유닛(2)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보유부(120)는 케이스 본체(110)의 회전축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블록 본체로 분할된다. 제2 실시예에서, 사각형 보유부(120)는 케이스 본체측으로부터 내부 블록 본체(122), 중앙 블록 본체(123) 및 외부 블록 본체(124)의 순서로 회전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3개의 블록 본체로 분할된다. 각각의 블록 본체(122, 123, 124) 내에,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 구멍(122a, 123a, 124a)이 각각 형성된다.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구멍(122a, 123a, 124a)과 이 나사 구멍 내로 삽입되는 나사(125)에 의해, 블록 본체(122, 123, 124)는 일체로 고정된다. 제2 실시예에서, 각각의 나사 구멍(122a, 123a, 124a)은 각각의 블록 본체(122, 123, 124)의 4개의 코너부 주위에 형성된다. 4개의 나사(125)에 의해, 블록 본체(122, 123, 124)는 고정된다.
도19 및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블록 본체(122)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케이스 본체(110)의 케이스 샤프트부(113)를 피벗식으로 지지한다. 내부 블록 본체(122)의 중심부 상에, 케이스 샤프트부(113)의 플랜지부(113a)의 외주연면과 접촉되는 피벗 지지 구멍(122b)이 회전축 방향으로 내부 블록 본체(122)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중앙 블록 본체(123)측 상에서, 피벗 지지 구멍(122b)의 직경은 확장된다. 피벗 지지 구멍(122b)의 확장부는 결합판(131)을 부착시키는 전방측 결합판 부착 구멍(122c)이다. 내부 블록 본체(122)의 후방면 상에, 중앙 블록 본체(123)를 향해 연장되는 끼움부(122d)가 형성된다. 제2 실시예에서, 3개의 끼움부(122d)가 형성되고, 중앙 블록 본체(123) 상에 형성되는 끼움 구멍(123b) 내로 끼워진다.
내부 블록 본체(122)는 우측 블록(122e)(도22 및 도23 참조) 및 좌측 블록(122f)(도24 참조)으로 분할된다.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22e, 122f) 중 1개 상에, 다른 블록을 향해 연장되는 끼움부(122g)가 형성된다. 나아가,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22e, 122f)의 다른 블록 상에, 끼움부(122g)를 끼우는 끼움 구멍(122h)이 형성된다. 즉,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의 케이스 샤프트부(133)의 플랜지부(113a)의 외측으로부터 블록(122f) 내로 블록(122e)을 끼움으로써, 내부 블록 본체(122)는 케이스 본체(110) 내로 합체된다.
도19 및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블록 본체(123)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가요성 기판(140)을 삽입시키는 삽입 구멍(123f)을 포함하는데, 이 삽입 구멍은 회전축 방향으로 중앙 블록 본체(123)를 관통한다. 중앙 블록 본체(123)의 전방측 상에, 내부 블록 본체(122) 상에 형성된 끼움부(122d)를 끼우는 끼움 구멍(123b)이 형성된다.
도25 및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블록 본체(123)의 전방면 상에, 결합판(131)을 부착시키는 후방측 결합판 부착 구멍(123c)이 중앙 블록 본체(123)의 중심에 형성된다. 즉, 결합판(131)은 내부 블록 본체(122)가 중앙 블록 본체(123)와 연결된 상태로 전방측 결합판 부착 구멍(122c) 및 후방측결합판 부착 구멍(123c)에 의해 수용된다.
중앙 블록 본체(123) 상에, 케이스 본체(110)의 플랜지부(113a) 상에 형성되는 1개의 돌출부(113b)를 삽입시키는 회전 제한 홈(123d)이 형성된다. 회전 제한홈(123d)은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삽입된 돌출부(113b)는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제한 홈(123d) 내에서 이동 가능하다. 즉, 1개의 돌출부(113b) 및 회전 제한 홈(123d)은 회전 제한 기구로서 회전 제한부(160)를 구성한다. 케이스 본체(110)는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사각형 보유부(120)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도25 내지 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블록 본체(123) 내에, 볼(132) 및 코일 스프링(133)을 수용하는 회전 조절 구멍(123e)이 형성된다. 회전 조절 구멍(123e)은 회전축 방향으로 중앙 블록 본체(123)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볼(132)은 회전 조절 구멍(123e)의 내부 블록 본체(122)측 상에 배치된다. 코일 스프링(133)은 회전 조절 구멍(123e)의 외부 블록 본체(124)측 상에 배치된다. 이 경우, 코일 스프링(133)은 외부 블록 본체(124)의 돌출부(124d)에 의해 가압된다. 코일 스프링(133)이 압축된 상태로, 코일 스프링(133)은 중앙 블록 본체(123) 내에 수용된다. 이로써, 볼은 결합판(131)을 향해 항상 편의된다.
도26 및 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블록 본체(123)의 후방면 상에, 외부 블록 본체(124)의 끼움부(124b)를 끼우는 끼움 구멍(123h)이 형성된다. 이로써, 중심 블록 본체(123)의 위치와 외부 블록 본체(124)의 위치는 충분히 결정된다.
도28 및 도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블록 본체(124)의 전방면 상에, 중앙 블록 본체(123)를 향해 연장되는 끼움부(124b)가 형성된다. 도28 및 도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이 외부 블록 본체(124) 내에 형성된다. 공동은 가요성기판(140)의 굽힘부(142), 원주 방향 연장부(143), 연장부(144) 등을 수용하는 기판 수용부(124c)를 구성한다. 기판 수용부(124) 내에,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 돌출부(124d)가 형성된다. 돌출부(124d)는 외부 블록 본체(124)의 전방면으로부터 중앙 블록 본체(123) 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124d)의 돌출부는 중앙 블록 본체(123)의 회전 조절 구멍(123e)에 의해 수용되고, 코일 스프링(133)의 1개의 모서리를 지지한다.
외부 블록 본체(124) 상에, 가요성 기판(140)이 외부 블록 본체(124)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슬릿부(121)가 형성된다. 도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부(121)는 중앙 블록 본체(123)측 상에 형성된 모서리로부터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외부 블록 본체(124)의 일측면 상에 형성된다.
화상 픽업 장치(150)의 설명은 제1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화상 픽업 장치(50)의 설명과 대략 동일하다.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 연결부로서 사용되는 가요성 기판(140)은 화상 픽업 유닛(2)의 외측으로 화상 픽업 요소(151)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를 전달한다. 도28 및 도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기판(140)은 케이스 본체(110)로부터 사각형 보유부(120)로 케이스 본체(110)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방향 연장부(141)와, 회전축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사각형 보유부(120) 내의 가요성 기판(140)이 굽혀지게 하도록 축 방향 연장부(141)의 단부 상에 형성되는 굽힘부(142)와, 사각형 보유부(120) 내의 굽힘부(142)의 단부로부터 사각형 보유부(12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주 방향 연장부(143)와, 슬릿부(121)를 통해 사각형 보유부(12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44)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서,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1개의 가요성 기판(140)이 굽혀지게 함으로써, 축 방향 연장부(141), 굽힘부(142), 원주 방향 연장부(143) 및 연장부가 형성된다. 즉, 통신 연결부 중, 축 방향 연장부(141)로부터 연장부(144)로의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 기판(140)으로 제조된다. 이 경우, 가요성 기판(140)의 굽힘부(142)는 가요성 기판(140)이 굽힘부(142)로 급격한 하중을 인가하지 않도록 화상 픽업 유닛(2)의 외측에서 점차 굽혀진 후 화상 픽업 유닛(2) 내로 합체된다.
제2 실시예에서, 축 방향 연장부(141)는 케이스 본체(110)의 회전축 방향과 대략 일치된다. 굽힘부(142)는 상부측으로부터 보여질 때 회전축에 대해 약 45˚로 형성되도록 굽혀진다. 굽힘부(142)로 연속되는 원주 방향 연장부(143)는 만곡된다. 원주 방향 연장부(143)의 굽힘부(142)측은 외부 케이스 본체(124)의 기판 수용부(124c) 내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원주 방향 연장부(143)의 연장부(144)측은 사각형 보유부(120)의 내부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원주 방향 연장부(143)로 연속되는 연장부(144)는 사각형 보유부(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슬릿부(121) 내로 삽입된다.
원주 방향 연장부(143)는 기판 수용부(124c) 내에 권취되도록 형성된다. 케이스 본체(110)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요성 기판(140)의 원주 방향 연장부(143)는 기판 보유부(124c) 내에서 확장된다.
가요성 기판(140)의 연장부(144)는 그 폭 방향이 케이스 본체(110)의 회전축 방향과 일치되도록 배열된다. 연장부(144)가 삽입되는 사각형 보유부(120)의 슬릿부(121)는 연장부(144)의 폭에 따라 케이스 본체(110)의 회전축 방향으로 슬릿부(121)를 연장시키도록 형성된다.
전술된 구조를 갖는 화상 픽업 유닛(2)에서, 가요성 기판(140)의 축 방향 연장부(141)는 사각형 보유부(120)에 의해 피벗식으로 지지되는 케이스 샤프트부(113) 내에 배열되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140)은 외측으로 가요성 기판(140)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 등을 형성하지 않고 케이스 샤프트부(113)를 사용함으로써 외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화상 픽업 유닛(2)은 도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보유부(120)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캔틸레버 구조를 갖기 때문에, 화상 픽업 유닛(2)은 사각형 보유부(120)에만 전자 장치(200)의 본체(201)를 고정함으로써 휴대용 전화 등의 전자 장치(2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사각형 보유부(120)는 복수개의 블록 본체(122, 123, 124)로 분할되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110)는 그에 가장 근접한 내부 블록 본체(122)에 의해 피벗식으로 지지될 수 있다. 가요성 기판(140)의 수직 방향 연장부(143)는 다른 블록 본체(123, 124)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 연장부(143)는 외부 블록 본체(124)의 기판 보유부(124c) 내에 배열된다.
나아가, 케이스 본체(110)를 피벗식으로 지지하도록 내부 블록 본체(122)를 형성하는 것과, 다른 블록 본체(123, 124) 중 적어도 1개 내에 가요성 기판(140)을 위한 슬릿부(121)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슬릿부(121)는 외부 블록 본체(124) 상에 형성된다.
가요성 기판(140)의 수직 방향 연장부(142)는 회전축 방향으로 케이스 본체(110)로부터 가장 떨어져 배열되는 외부 블록 본체(124) 내에 배열되기 때문에, 축 방향 연장부(141)가 그 내로 삽입되고 가요성 기판(140)의 굽힘부(142) 등이 외부 블록 본체(124)의 소정 위치 내에 수용된 상태로 외부 블록 본체(124)를 제외한 블록 본체(122, 123)가 케이스 본체(110) 내로 합체된 후 케이스 본체(110) 내로 외부 블록 본체(124)를 합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외부 블록 본체(124)의 슬릿부(121)는 중앙 블록 본체(123)측 상에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굽힘부(142), 원주 방향 연장부(143) 및 연장부(144) 등이 가요성 기판(140)을 가공함으로써 이전에 형성되고 다음에 중앙 블록 본체(123)에 외부 블록 본체(124)를 부착시킨 상태로 기판 수용부(124c) 내에 원주 방향 연장부(143)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가요성 기판(140)의 축 방향 연장부(141)는 비교적 긴 섹션을 통해 케이스 본체(110)로부터 사각형 보유부(120)의 외부 블록 본체(124)로 연장되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110)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요성 기판(140)의 축 방향 연장부(141)로 인가되는 단위 길이 당 비틀림 하중이 작아진다.
케이스 본체(110)는 선택적으로 각각의 회전 위치 내에 보유되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110)는 화상 픽업 시 회전되지 않는다. 나아가, 케이스 본체는 피사체 등의 위치에 따라 피사체로 향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회전 조절부(130)는 케이스 본체(110)와 연결되는 사각형 보유부(120)의 연결측 상에 제공되기 때문에, 회전 조절부(130)와 케이스 본체(110) 사이의 간격과,회전 조절부(130)와 사각형 보유부(120)의 연결부 사이의 간격은 짧아진다. 이로써, 케이스 본체(110)를 회전시킴으로써 케이스 본체(100)로부터 사각형 보유부(120)의 연결부로 힘이 인가될 때 회전 조절부(130)의 결합판(131) 등으로 인가되는 모멘트는 감소될 수 있다.
나아가, 볼(132)이 결합판(131)의 표면 상에서 이동되어 1개의 결합 구멍(134) 내로 삽입될 때, 케이스 본체(110)의 회전은 조절된다. 이 경우, 힘이 원주 방향으로 케이스 본체(110)로 인가될 때, 볼(132)은 코일 스프링(133)의 편의력에 대해 결합 구멍(134)으로부터 탈출되어 결합판(131) 상에서 이동된다. 그 후, 볼(132)이 인접한 결합 구멍(134)에 도달될 때, 볼(132)은 코일 스프링(133)의 편의력에 의해 결합 구멍(134) 내로 삽입된다. 이 경우, 결합판(131)은 케이스 본체(110)와 함께 회전되고, 사각형 보유판(120)측 상에 제공된 볼(132)과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이 경우, 볼(132) 및 코일 스프링(133)은 사각형 보유부(120) 내에 배치된다. 사각형 보유부(120)가 케이스 본체(110) 내로 합체될 때, 볼(132) 및 코일 스프링(133)은 이들이 각각의 블록 본체(123, 124) 내에 배치된 상태로 화상 픽업 유닛(2) 내로 합체된다.
케이스 본체(110)는 회전 제한 기구(160)에 의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되기만 한다. 제2 실시예에서, 케이스 본체(110)의 케이스 샤프트부(113) 상에 제공되는 1개의 돌출부(113b)가 사각형 보유부(120)의 중앙 블록 본체(123) 상에 형성된 회전 제한 홈(123d) 내에서 이동된다. 이로써, 돌출부(113b)의 이동은 회전 제한 홈(123d)의 양단부에 의해 제한된다.
전자 장치(200)의 사용자 등은 피사체 등의 위치에 따라 전자 장치(200)에 고정된 사각형 보유부(120)에 대해 케이스 본체(110)를 회전시킴으로써 피사체의 화상을 픽업할 수 있다.
그러면, 가요성 기판(140)의 연장부(144)측은 케이스 본체(110)를 회전시킴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기 때문에, 비틀림 등의 하중이 축 방향 연장부(141)측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가요성 기판(140)은 연장부(144)의 폭 방향이 회전축 방향과 일치되도록 배열되기 때문에, 비틀림 등의 힘이 연장부(144)측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가요성 기판은 굽힘 강성률이 비교적 작은 두께 방향으로 굽혀진다.
원주 방향 연장부(143)는 사각형 보유부(120) 내에 권취되도록 형성되고 가요성 기판(140)은 케이스 본체(110)를 회전시킴으로써 사각형 보유부(120) 내에서 확장되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140)은 사각형 보유부(120)로부터 확장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가요성 기판(140)과 전자 장치(200)의 처리부 사이의 연결 단부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2)과, 이 화상 픽업 유닛(2)을 갖는 전자 장치(200)에 따르면, 가요성 기판(140)은 외측으로 가요성 기판(140)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 등을 형성하지 않고 케이스 샤프트부(113)를 사용함으로써 외측으로 안내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픽업 유닛(2)은 더욱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 등도 용이하게 형성된다. 이는 설계 및 제조에 유리하다.
제2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2)과, 이 화상 픽업 유닛(2)을 갖는 전자 장치(200)에 따르면, 화상 픽업 유닛(2)은 케이스 본체(110)가 사각형 보유부(120)만에 의해 지지되는 캔틸레버 구조를 갖기 때문에, 화상 픽업 유닛(2)은 전자 장치(200) 내로 용이하게 합체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110)의 양측이 전자 장치(200)에 고정되는 화상 픽업 유닛과 비교될 때, 화상 픽업 유닛(2)과, 이 화상 픽업 유닛(2)이 고정되는 전자 장치(200)는 더욱 자유롭게 설계된다.
제2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2)과, 이 화상 픽업 유닛(2)을 갖는 전자 장치(200)에 따르면, 피사체의 화상은 케이스 본체(110)를 회전시킴으로써 픽업되기 때문에, 사용자 등은 피사체의 화상 픽업 시 전자 장치의 본체(201)와 함께 화상 픽업 유닛(2)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제2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2)과, 이 화상 픽업 유닛(2)을 갖는 전자 장치(200)에 따르면, 사각형 보유부(120)는 복수개의 본체(122, 123, 124)로 분할되기 때문에, 화상 픽업 유닛(2)은 더욱 자유롭게 조립될 수 있다. 예컨대, 가장 근접한 블록 본체로서 사용되는 내부 블록 본체(122)가 케이스 본체(110)에 부착된 후, 가요성 기판(140)의 굽힘부(142)가 다른 블록 본체 중 1개인 외부 블록 본체(124) 내에 수용되고, 외부 블록 본체(124)가 내부 블록 본체(122)측 내로 합체된다. 결과적으로, 작업자 등이 화상 픽업 유닛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2)과, 이 화상 픽업 유닛(2)을 갖는 전자 장치(200)에 따르면, 케이스 본체(110)를 피벗식으로 지지하도록 내부 블록본체(122)를 형성하는 것과, 외부 블록 본체(124) 내에 가요성 기판(140)을 위한 슬릿부(121)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110) 및 슬릿부(121)를 피벗식으로 지지하는 부재가 별도로 각각의 블록 본체(122, 124) 내에 형성된다. 사각형 보유부(120)는 매우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2)과, 이 화상 픽업 유닛(2)을 갖는 전자 장치(200)에 따르면, 가요성 기판(140)의 수직 방향 연장부(142)는 회전축 방향으로 케이스 본체(110)로부터 가장 떨어져 배열되는 외부 블록 본체(124) 내에 배열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110)측 내로 외부 블록 본체(124)를 용이하게 합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작업자 등이 화상 픽업 유닛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2)과, 이 화상 픽업 유닛(2)을 갖는 전자 장치(200)에 따르면, 케이스 본체(110)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요성 기판(140)의 축 방향 연장부(141)로 인가되는 단위 길이 당 비틀림 하중이 작아지기 때문에, 기하급수적으로 가요성 기판(140)의 내구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2)과, 이 화상 픽업 유닛(2)을 갖는 전자 장치(200)에 따르면, 케이스 본체(110)는 선택적으로 각각의 회전 위치 내에 보유되고 화상 픽업 시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화상 픽업 시 카메라 흔들림을 유발시키지 않고 선명하게 피사체의 화상 픽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케이스 본체는 피사체 등의 위치에 따라 피사체로 향하도록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제2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2)과, 이 화상 픽업 유닛(2)을 갖는 전자 장치(200)에 따르면, 회전 조절부(130)는 케이스 본체(110)와 연결되는 사각형 보유부(120)의 연결측 상에 제공되기 때문에, 회전 조절부(130)의 결합판(131) 등으로 인가되는 모멘트는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회전 조절부(130)의 각각의 부분의 변형은 방지될 수 있다. 각각의 부분의 내구성은 개선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가 회전 조절부(130)에 의해 보유된 상태로 각각의 부분을 변형시킴으로써 유발되는 피사체 등에 대한 약간의 카메라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2)과, 이 화상 픽업 유닛(2)을 갖는 전자 장치(200)에 따르면, 볼(132)이 결합판(131)의 표면 상에서 이동되어 1개의 결합 구멍(134) 내로 삽입될 때, 케이스 본체(110)의 회전은 조절된다. 따라서, 케이스 본체(110)가 볼(132)을 이동시킴으로써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다. 볼(132)은 선택적으로 각각의 결합 구멍(134) 내로 삽입되기 때문에, 신뢰성 있게 케이스 본체(100)의 회전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2)과, 이 화상 픽업 유닛(2)을 갖는 전자 장치(200)에 따르면, 볼(132) 및 코일 스프링(133) 등은 사각형 보유부(120)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각형 보유부(120)가 케이스 본체(110) 내로 합체될 때, 볼(132) 및 코일 스프링(133)은 이들이 각각의 블록 본체(123, 124) 내에 배치된 상태로 화상 픽업 유닛(2) 내로 합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제2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2)과, 이 화상 픽업 유닛(2)을 갖는 전자 장치(200)에 따르면, 회전 제한부(160)가 제공되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110)는 심하게 회전되지 않는다. 인장, 압축 등의 힘이 가요성 기판(140) 등의 연장부(144)로 인가되지 않는다. 더욱 가요성 기판(140)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돌출부(113b)의 이동은 회전 제한 홈(123d)의 양단부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소정 각도 범위에 걸친 케이스 본체(110)의 회전은 전술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신뢰성 있게 제한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2)과, 이 화상 픽업 유닛(2)을 갖는 전자 장치(200)에 따르면, 가요성 기판(140)의 연장부(144)측은 케이스 본체(110)를 회전시킴으로써 확장되기 때문에, 비틀림 등의 하중이 축 방향 연장부(144)측으로 인가되지 않고, 가요성 기판(140)으로 인가되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것과, 기하급수적으로 가요성 기판(140)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2)과, 이 화상 픽업 유닛(2)을 갖는 전자 장치(200)에 따르면, 가요성 기판(140)은 연장부(144)의 폭 방향이 회전축 방향과 일치되도록 배열되기 때문에, 비틀림력은 연장부(144)측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이로써, 기하급수적으로 가요성 기판(140)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비틀림 등의 하중이 판형 가요성 기판(140)의 각각의 부분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케이스 본체(110)가 회전되는 화상 픽업 유닛 내에, 판형 가요성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나아가, 가요성 기판(140)은 굽힘 강성률이 비교적 작은 두께 방향으로 굽혀지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140)은 케이스본체(110)가 회전될 때 굽혀진다. 매끄럽게 케이스 본체(110)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2)과, 이 화상 픽업 유닛(2)을 갖는 전자 장치(200)에 따르면, 가요성 기판(140)은 케이스 본체(110)를 회전시킴으로써 사각형 보유부(120) 내에서 확장되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140)의 연장부(144)의 단부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연장부(144)의 단부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200)의 처리부가 가요성 기판(140)의 확장에 대처하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화상 픽업 유닛(2)을 갖는 전자 장치(200)가 설계될 때 매우 유리하다.
제2 실시예에서, 화상 정보는 가요성 기판(140)에 의해 전송된다. 그러나, 화상 정보는 또 다른 통신 연결부 예컨대 전송 케이블 등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가요성 기판(140)의 굽힘부(142)는 화상 픽업 유닛(2)과 독립적이도록 굽혀진다. 그러나, 굽힘부(142)와 접촉되는 접촉 부재가 외부 블록 본체(124)의 기판 보유부(124c) 내에 제공될 수 있고, 가요성 기판(140)의 굽힘부(142)는 가요성 기판(140)이 굽혀지게 하도록 가요성 기판(140)이 접촉 부재와 접촉되게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충분히 굽힘부(142)를 형성하도록 접촉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가요성 기판(140)이 굽혀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굽힘부(142)의 형상은 접촉 부재에 의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110)의 회전에 따라 굽힘부(142)를 변형시킴으로써 유발되는 응력이 집중될 가능성이 없다. 이로써, 기하급수적으로 가요성 기판(140)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에서, 축 방향 연장부(141)는 케이스 본체(110)의 회전축 방향과 대략 일치된다. 그러나, 축 방향 연장부는 케이스 본체의 회전축으로부터 사각형 보유부의 반경 방향을 향해 떨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굽힘부는 회전축을 향해 굽혀진다. 원주 방향 연장부는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져 공간을 사용함으로써 완만하게 만곡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가요성 기판의 원주 방향 연장부는 완만하게 만곡되기 때문에, 급격하게 만곡되는 원주 방향 연장부가 일부라도 형성되지 않는다. 응력 등은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원주 방향 연장부의 특정부 상에 집중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더욱 가요성 연결부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에서, 1개의 슬릿부(121)가 사각형 보유부(120) 상에 형성된다. 가요성 기판(140)의 1개의 연장부(144)가 슬릿부(121) 내로 삽입된다. 그러나, 사각형 보유부는 복수개의 슬릿부를 포함할 수 있고, 가요성 기판은 각각의 슬릿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픽업 유닛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 등은 가요성 기판의 복수개의 연장부를 통해 사각형 보유부의 외측으로 전송된다. 즉, 복수개의 연장부에 의해, 소정량의 화상 정보 등이 전송된다. 나아가, 가요성 기판은 복수개의 연장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1개의 연장부의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케이스 본체의 회전에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로 인가되는 하중은 분산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가요성 기판(140)은 사각형 보유부(120) 내에서 확장된다. 그러나, 원주 방향 연장부는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사각형 보유부의 내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가요성 기판은 케이스 본체(110)를 회전시킴으로써 사각형 보유부의 외측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요성 기판은 사각형 보유부 내에서 확장되지 않는다. 사각형 보유부 내에서 만곡되는 가요성 기판의 원주 방향 연장부 등은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변형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하중은 가요성 기판의 만곡부 등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더욱 가요성 기판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에서, 통신 연결부는 1개의 가요성 기판(140)이 굽혀지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예컨대, 도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연결부는 복수개의 가요성 기판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통신 연결부로서 사용되는 가요성 기판(140a)은 제2 실시예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축 방향 연장부(141a)와, 축 방향 연장부(141a)의 단부와 연결되고 회전축 방향으로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방향 연장부(145)와, 제2 실시예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연장부(144a)를 포함한다. 가요성 기판(140a)은 축 방향 연장부(141a)측 및 연장부(144a)측으로 분리되는 상이한 기판으로 구성된다. 축 방향 연장부(141a)의 단부는 수직 방향 연장부(145)의 단부와 결합된다.
이 경우, 전자 장치(200)의 사용자 등은 피사체 등의 위치에 따라 전자 장치(200)에 고정된 사각형 보유부(120)에 대해 케이스 본체(110)를 회전시킴으로써 피사체의 화상을 픽업할 수 있다. 나아가, 가요성 기판(140a)의 연장부(144a)측은 케이스 본체(110)를 회전시킴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기 때문에, 비틀림 등의 하중이 축 방향 연장부(141a)측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나아가, 이 경우, 가요성 기판(140a)은 축 방향 연장부(141a)가 수직 방향 연장부(145)와 접촉되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복수개의 가요성 기판 부분을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가요성 기판에 추가하여, 축 방향 연장부 및 수직 방향 연장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가요성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즉, 가요성 기판은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축 방향 연장부 및 수직 방향 연장부는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축 방향 연장부와 수직 방향 연장부 사이의 조인트부의 강도는 기하급수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조인트부에서 약 90˚만큼 변하기 때문에, 응력 등은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인트부 상에 집중된다. 그러나, 조인트부는 응력 등에 대해 효과적으로 강화된다. 나아가,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 연결부의 축 방향 연장부 및 수직 방향 연장부는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제2 실시예에서, 가요성 기판(140)의 폭은 전체 길이에서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예컨대, 도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연결부(140b)의 폭은 변할 수 있다. 통신 연결부(140b)에서, 축 방향 연장부(141b)의 폭은 굽힘부(142b)를 향해 점차 좁아진다. 가요성 기판으로 제조된 원주 방향 연장부(143b)의 폭은 연장부(144b)를 향해 점차 넓어진다. 즉, 통신 연결부(140b) 중, 적어도 원주 방향 연장부(143b)는 가요성 기판으로 제조된다. 이 경우, 비틀림 등의 하중은 판형 가요성 기판의 각각의 부분[원주 방향 연장부(143b) 등]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케이스 본체(110)가 회전되는 화상 픽업 유닛 내에, 판형 가요성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제2 실시예에서, 피벗 지지부로서 사용되는 사각형 보유부(120)는 3개의 블록 본체(122, 123, 124)로 분할된다. 사각형 보유부가 적어도 2개로 분할되기만 하면, 화상 픽업 유닛은 제2 실시예와 같이 더욱 자유롭게 조립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 및 슬릿부를 피벗식으로 지지하는 부재가 별도로 각각의 블록 본체 내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사각형 보유부는 매우 용이하게 형성된다.
제2 실시예에서, 결합판(131), 볼(132), 코일 스프링(133) 및 각각의 결합 구멍(134)은 회전 조절부(130)를 구성한다. 그러나, 케이스 본체가 선택적으로 복수개의 회전 위치 내에 보유되기만 하면, 회전 조절부는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제2 실시예에서, 1개의 돌출부(113b), 회전 제한 홈(123d) 등은 회전 제한부(160)를 구성한다. 케이스 본체가 소정 각도 범위로 제한되기만 하면, 회전 제한부는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화상 픽업 유닛(2)을 갖는 전자 장치(200)로서, 휴대용 전화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PDA, AV 장비, 텔레비전, 가정용 전기 제품 및 다른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사각형 보유부(120)가 통신 연결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기만 하면, 사각형 보유부(120)는 중공 사각형 프리즘으로 형성될 필요가 없다. 케이스 본체(110) 등의 형상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다른 구체적 세부 구조도 변형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통신 연결부는 케이스 샤프트부를 사용함으로써 외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화상 픽업 유닛은 더욱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 등은 용이하게 형성된다. 설계 및 제조에 유리하다.
화상 픽업 유닛은 케이스 본체가 피벗 지지부만에 의해 지지되는 캔틸레버 구조를 갖기 때문에, 화상 픽업 유닛은 전자 장치 등 내로 용이하게 합체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의 양측이 전자 장치 등에 고정되는 화상 픽업 유닛과 비교될 때, 화상 픽업 유닛과, 이 화상 픽업 유닛이 고정되는 전자 장치 등은 더욱 자유롭게 설계된다.
화상 픽업 유닛의 케이스 본체는 피사체의 위치에 따라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등은 피사체의 화상 픽업 시 화상 픽업 유닛을 포함한 전자 장치 등과 함께 케이스 본체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나아가, 비틀림 등의 하중이 축 방향 연장부측으로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통신 연결부로 인가되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것과, 기하급수적으로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신 연결부의 1개의 연결부가 굽혀지게 함으로써, 축 방향 연장부, 굽힘부 및 연장부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통신 연결부는 케이스 샤프트부를 사용함으로써 외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화상 픽업 유닛은 더욱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 등은 용이하게 형성된다. 설계 및 제조에 유리하다.
화상 픽업 유닛은 케이스 본체가 피벗 지지부만에 의해 지지되는 캔틸레버 구조를 갖기 때문에, 화상 픽업 유닛은 전자 장치 등 내로 용이하게 합체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의 양측이 전자 장치 등에 고정되는 화상 픽업 유닛과 비교될 때, 화상 픽업 유닛과, 이 화상 픽업 유닛이 고정되는 전자 장치 등은 더욱 자유롭게 설계된다.
화상 픽업 유닛의 케이스 본체는 피사체의 위치에 따라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등은 피사체의 화상 픽업 시 화상 픽업 유닛을 포함한 전자 장치 등과 함께 케이스 본체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나아가, 비틀림 등의 하중이 축 방향 연장부측으로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통신 연결부로 인가되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것과, 기하급수적으로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 연결부는 축 방향 연장부가 수직 방향 연장부와 접촉되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자 장치에 따르면, 화상 픽업 유닛의 케이스 본체는 피사체의 위치에 따라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등은 피사체의 화상 픽업 시 화상 픽업 유닛을 포함한 전자 장치와 함께 케이스 본체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나아가, 비틀림 등의 하중이 축 방향 연장부측으로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통신 연결부로 인가되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것과, 기하급수적으로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예>
도35 내지 도40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35는 화상 픽업 유닛을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이다. 도36은 화상 픽업 유닛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37은 화상 픽업 유닛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35 내지 도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픽업 유닛(3)은 그 내에 피사체의 화상을 픽업하는 소형 화상 픽업 장치(250)를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210)와, 케이스 본체(210)의 좌우측 상에 제공되는 케이스 본체(210)를 피벗식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원형 보유부(220) 및 회전 보유부(230)를 포함한다. 통신 연결부로서, 소형 화상 픽업 장치(250)와 연결되는 가요성 기판(240)이 피벗 지지 부재로서 사용되는 원형 보유부(220)를 통해 케이스 본체(10)로부터 화상 픽업 장치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화상 픽업 유닛(3)은 휴대용 전화 등의 전자 장치(300) 내에 제공된다. 원형 보유부(220) 및 회전 보유부(230)는 전자 장치의 본체(301)에 대해 케이스 본체(210)를 회전시키도록 전자 장치의 본체(301)에 고정된다. 화상 픽업 유닛(3)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기판(240)은 전자 장치(300) 내에 제공되는 처리부와 연결된다.
도36 및 도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210)는 피사체로 향한 반투명 패널(210a)을 갖는 상부 케이스(211)와, 소형 픽업 장치(250)가 고정되는 하부케이스(212)를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211) 및 하부 케이스(212)는 각각 원형 보유부(220)를 향해 연장되는 좌측 회전 샤프트 부재(211a, 212a)와, 회전 보유부(230)를 향해 연장되는 우측 회전 샤프트 부재(211b, 212b)를 포함한다. 좌측 회전 샤프트 부재(211a, 212a)의 각각의 단부 상에, 케이스 본체(210)가 회전되게 하도록 원형 보유부(220)의 좌측부와 결합되는 역회전 방지부(211a1, 212a1)가 형성된다. 전술된 가요성 기판(240)은 좌측 회전 샤프트 부재(211a, 212a) 사이에 배열된다. 각각의 우측 회전 샤프트 부재(211b, 212b)는 회전 보유부(230)의 비회전부(235)에 대해 회전되도록 회전부(231)에 고정된다. 즉, 케이스 본체(210)는 회전 가능하도록 원형 보유부(220) 및 회전 보유부(230)에 의해 지지된다. 제3 실시예에서, 회전 보유부(230)는 소정 회전 각도로 케이스 본체(210)를 위치시키는 위치 설정 기능을 갖는다.
화상 픽업 장치(250)의 설명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되었던 화상 픽업 장치(50)의 설명과 대략 동일하다.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에, 피벗 지지부로서 사용되는 원형 보유부(22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35 및 도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 지지부로서 사용되는 원형 보유부(22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케이스 본체(210)로부터 연장되는 각각의 좌측 회전 샤프트 부재(211a, 212a)는 원형 보유부(220) 내로 삽입된다. 나아가, 좌측 회전 샤프트 부재(211a, 212a) 사이에, 케이스 본체(210)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기판(240)이 배열된다. 원형 보유부(220)의 주연면 상에, 원형 보유부(220)의 외측으로 가요성 기판(240)을 안내하는 슬릿부(220a)가 형성된다. 나아가, 원형 보유부(220)의 외주연면 상에, 주연면의 일부가 절단된 형상을 갖는 평탄부(221)가 형성된다.
평탄부(221)는 전자 장치의 본체(301) 내에 제공되는 수용부(302)와 접촉된다. 이로써, 원형 보유부(20)는 전자 장치(300)와 결합된다. 전자 장치의 본체(301)에 대한 원형 보유부(220)의 회전은 조절된다.
통신 연결부로서의 가요성 기판(240)은 가요성 기판(240)의 일면 상에 제공되는 금속으로 제조된 배선부(240a)와, 가요성 기판(240)의 타면 상에 제공되는 수지로 제조된 강화부(240b)를 포함한다. 가요성 기판(240)은 화상 픽업 유닛(3)의 외측으로 화상 픽업 요소(251)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를 전송한다. 도38 및 도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기판(240)은 케이스 본체(210)로부터 원형 보유부(220)로의 케이스 본체(210)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방향 연장부(241)와, 축 방향 연장부(241)의 단부로부터 원형 보유부(220) 내의 원형 보유부(2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주 방향 연장부(242)와, 슬릿부(220a)를 통해 원형 보유부(22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43)를 포함한다.
도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방향 연장부(241)의 단부 상에,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연장부(244)가 형성된다. 보강 연장부(244)에 의해, 가요성 기판(240)의 축 방향 연장부(241)와 원주 방향 연장부(242) 사이의 조인트부(245)는 보강된다. 즉, 제3 실시예에서, 연결 보강 부재는 보강 연장부(244)를 포함한다. 나아가, 보강 연장부(244)는 축 방향 연장부(241)와 일체화되도록 가요성 기판(240) 상에 형성된다. 제3 실시예에서, 1개의 가요성 기판이 대략 T자형으로형성되도록 굽혀지게 함으로써, 축 방향 연장부(241), 원주 방향 연장부(242), 연장부(243) 및 보강 연장부(244)가 형성된다. 이 경우, 형상 처리 예컨대 열처리 등이 가요성 기판(240)의 원주 방향 연장부(242)를 만곡시키도록 화상 픽업 유닛(3)의 외측에서 수행된 후, 원주 방향 연장부(242)는 화상 픽업 유닛(3) 내로 합체된다. 열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에 추가하여, 형상 처리는 압력 등에 수행되는 처리일 수 있다.
원주 방향 연장부(242)는 가요성 기판(24)의 와이어부(240a)가 내부면이고 강화부(240b)가 외부면이도록 만곡된다. 제3 실시예에서, 가요성 기판(240)의 와이어부(240a)는 구리박(copper foil) 등으로 형성된다. 강화부(240b)는 폴리이미드 등으로 제조된다. 원주 방향 연장부(242)로 연속되는 연장부(243)는 원주 방향을 따라 슬릿부(220a) 내로 삽입된다. 즉, 원주 방향 연장부(242)는 원형 보유부(220) 내에 권취되도록 형성된다. 케이스 본체(210)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요성 기판(240)의 원주 방향 연장부(242)는 원형 보유부(220) 내에서 확장된다.
가요성 기판(240)의 연장부(243)는 그 폭 방향이 케이스 본체(210)의 회전축 방향과 일치되도록 배열된다. 연장부(243)가 삽입되는 원형 보유부(220)의 슬릿부(220a)는 연장부(243)의 폭에 따라 케이스 본체(210)의 회전축 방향으로 슬릿부(220a)를 연장시키도록 형성된다.
도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보유부(23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케이스 본체(210)의 우측 회전 샤프트 부재(211b, 212b)로 끼워지는 회전부(231)와, 일체로 회전부(231)와 회전되는 결합판(232)과, 선택적으로 결합판(232)의 각각의 구멍부(232a)와 결합되는 결합 부재(233)와, 결합판(232)을 향해 결합 부재(233)를 편의시키는 탄성체(234)와, 전자 장치의 본체(301)에 고정되는 비회전부(235)와, 결합판(232) 및 비회전부(235) 내로 삽입되어 회전부(231)를 나사 고정하는 계단형 나사(236)를 포함한다. 회전 보유부(230)는 회전 가능하도록 케이스 본체(210)를 지지한다.
회전부(231)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우측 개구를 덮는 결합판(232)과 결합된다. 회전부(231)는 결합판(232) 및 비회전부(235) 내로 삽입된 계단형 나사(236)에 의해 나사 결합된다. 이로써, 회전부(231), 결합판(232) 및 계단형 나사(236)는 비회전부(235)에 대해 일체로 회전된다.
결합판(232) 내에, 복수개의 결합 구멍이 원주 방향으로[케이스 본체(210)를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결합 부재(233)는 각각의 구멍(232a)과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비회전부(235)에 대한 회전부(231)의 회전 각도는 선택적으로 결정된다. 즉, 일체로 회전부(231)와 회전되는 케이스 본체(210)의 회전 각도도 선택적으로 결정된다.
결합 부재(233)는 대략 볼형으로 형성되고, 탄성체(234)에 의해 결합판(232)으로 편의된다. 즉, 결합 부재(233)가 구멍(232a) 중 임의의 1개와 결합된 상태로 회전력이 케이스 본체(210)[회전부(231)]로 인가될 때, 결합 부재(233)는 탄성체(234)의 편의력에 대해 구멍(232a)으로부터 탈출되어, 결합판(232) 상에서 이동된다.
탄성체(234)는 나선 형성을 갖는 헬리컬 스프링이고, 비회전부(235)의 소정위치 내에 결합된다. 즉, 결합 부재(233) 및 탄성체(234)는 비회전부(235)에 항상 고정된다.
비회전부(235)는 회전 보유부(230)의 외부 형상을 거의 구성하고,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비회전부(235)의 외주연면 상에, 2개의 평탄부(237)가 형성된다. 각각의 평탄부(237)는 전자 장치의 본체(301) 내에 제공되는 수용부(303)와 접촉된다. 이로써, 회전 보유부(230)는 전자 장치(300)와 결합된다. 전자 장치의 본체(301)에 대한 회전 보유부(230)의 회전은 조절된다.
전술된 구조를 갖는 화상 픽업 유닛(3)에서, 전자 장치(300)의 사용자 등은 피사체 등의 위치에 따라 전자 장치(300)에 고정된 원형 보유부(220)에 대해 케이스 본체(210)를 회전시킴으로써 피사체의 화상을 픽업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3)과, 이 화상 픽업 유닛(3)을 갖는 전자 장치(300)에 따르면, 케이스 본체(210)를 회전시킴으로써 피사체의 화상을 픽업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 등이 피사체의 화상 픽업 시 전자 장치의 본체(301)와 함께 화상 픽업 유닛(3)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제3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3)과, 이 화상 픽업 유닛(3)을 갖는 전자 장치(300)에 따르면, 축 방향 연장부(241)의 단부의 강성률은 보강 연장 부재(244)에 의해 증가되기 때문에, 단부는 원주 방향 연장부(242)가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확장될 때 원주 방향 연장부(242)에 의해 인가되는 힘을 견딜 수 있다. 축 방향 연장부(241)의 단부의 비틀림은 방지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요성기판(240)이 연장되는 방향은 축 방향 연장부(241)와 원주 방향 연장부(242) 사이의 조인트부(245)에서 약 90˚만큼 변하기 때문에, 응력은 케이스 본체(210)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인트부(245) 상에서 집중된다. 그러나, 조인트부(245)는 응력 등에 대해 효과적으로 강화된다. 나아가, 기하급수적으로 가요성 기판(240)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3)과, 이 화상 픽업 유닛(3)을 갖는 전자 장치(300)에 따르면, 보강 연장부(244)는 축 방향 연장부(241)의 단부로부터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축 방향 연장부(241)의 단부의 비틀림 강성률은 보강 연장부의 전술된 연장부에 의해 기하급수적으로 개선된다. 즉, 조인트부의 강성률은 전술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3)과, 이 화상 픽업 유닛(3)을 갖는 전자 장치(300)에 따르면, 축 방향 연장부(241)를 연장시키도록 형성된다. 즉, 가요성 기판(240)의 축 방향 연장부(241)의 단부는 대략 T자형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용이하게 보강 연장부를 형성하는 것과, 축 방향 연장부(241) 및 보강 연장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과,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3)과, 이 화상 픽업 유닛(3)을 갖는 전자 장치(300)에 따르면, 금속으로 제조된 배선부(240a)는 가요성 기판(240)의 원주 방향 연장부(242)의 내부면이기 때문에, 만곡된 가요성 기판(240)의 하중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가요성 기판(240)의 신뢰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가요성 기판(240)의 배선부(240a)는 내부면이기 때문에, 배선부(240a)는 충분히 보호될 수 있다. 즉, 가요성 기판(240)의 외부면이 케이스 본체(210)를 회전시킴으로써 원형 보유부(220)의 내주연면 상에서 활주되는 경우, 강화부(240b)가 활주되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240)의 전송 기능이 배선부(240a)에 손상시킴으로써 문제가 될 가능성이 없다.
제3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3)과, 이 화상 픽업 유닛(3)을 갖는 전자 장치(300)에 따르면, 비틀림 등의 하중은 판형 가요성 기판(240)의 각각의 부분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케이스 본체가 회전되는 화상 픽업 유닛 내에, 판형 가요성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제3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3)과, 이 화상 픽업 유닛(3)을 갖는 전자 장치(300)에 따르면, 형상 처리가 화상 픽업 유닛(3)의 외측에서 수행된 후, 원주 방향 연장부(241)가 화상 픽업 유닛(3) 내로 합체되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240)은 원형 보유부(220)에 용이하게 부착된다. 나아가, 내부 응력이 가요성 기판(240) 내에서 발생되고 가요성 기판(240) 등의 내구성에 대한 신뢰성이 판형 가요성 기판으로 힘을 인가함으로써 만곡되는 가요성 기판과 같이 감소될 가능성이 없다.
제3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3)과, 이 화상 픽업 유닛(3)을 갖는 전자 장치(300)에 따르면, 가요성 기판(240)은 케이스 본체(210)를 회전시킴으로써 원형 보유부(220) 내에서 확장되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240)의 연장부(243)측의 단부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연장부측 상의 통신 연결부의 단부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300)의 처리부가 가요성 기판(240)의 확장에 대처하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화상 픽업 유닛(3)을 갖는 전자 장치(300) 등이 설계될 때 매우유리하다.
제3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3)과, 이 화상 픽업 유닛(3)을 갖는 전자 장치(300)에 따르면, 평탄부(221)는 원형 보유부(220)의 외주연면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원형 보유부(220)의 평탄부(221)를 사용함으로써, 화상 픽업 유닛(3)은 전자 장치의 본체(301)에 용이하게 고정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즉, 화상 픽업 유닛(3)이 전자 장치(300) 내로 합체될 때, 전자 장치의 본체(301)에 대한 대략 원통형 원형 보유부(220)의 위치는 기준 등으로서 평탄부(221)를 사용함으로써 정밀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가요성 기판(24)의 보강 연장부(244) 및 축 방향 연장부(241)는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도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보강 부재는 가요성 기판(240)의 축 방향 연장부(241)의 단부측에 고정되는 보강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41에서, 제3 실시예와 같이 대략 T자 형상을 갖는 가요성 기판(240)이 아니라 대략 L자 형상을 갖는 가요성 기판(240)이 도시되어 있다. 보강부(260)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가요성 기판(240)의 조인트부(245)에 고정된다. 제3 실시예의 보강 연장부(244)와 같이, 보강부(260)는 축 방향 연장부로부터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 축 방향 연장부(241)의 단부의 강성률은 보강부(260)에 의해 증가되기 때문에, 축 방향 연장부(241)와 원주 방향 연장부(242) 사이의 조인트부(245)의 비틀림 강성률은 증가된다. 그러므로, 가요성 기판(240)의 조인트부(245)의 강성률은 효과적으로 국부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도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기판(240)의 보강 연장부(244)를 수용하는 수용부(222)가 원형 보유부(220)의 내부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42는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의 원형 보유부의 외부 사시도이다. 수용부(222)는 보강 연장부(244)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 내에 형성된다.
이 경우, 제3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나아가, 축 방향 연장부(24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보강 연장부(244)는 원형 보유부(220)의 수용부(222)에 의해 수용되기 때문에, 보강 연장부(244)는 수용부(244)에 의해 지지되고, 원주 방향 연장부(242)로부터 축 방향 연장부(241)로 힘이 인가될 때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보강 연장부(244) 및 축 방향 연장부(241)는 케이스 본체(210)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동되지 않는다. 충분히 축 방향 연장부(241)의 단부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강 연장부(244)는 수용부(222)에 의해 원형 보유부(220)에 고정될 수 있다. 보강부(244)는 수용부(222)에 고정될 필요가 없다. 전자의 경우, 충분히 가요성 기판(240)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가요성 기판(240)이 소정 이동 범위 내에서 이동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 실시예>
도43 및 도44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43은 원형 보유부를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이다. 도44는 가요성 기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4 실시예는 수용부가 원형 보유부 내에 형성되는 구조와, 가요성 기판이 부착되는 안내 부재가 원형 보유부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원형 보유부 내에 제공되는 구조에 있어서 제3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하, 제3 실시예와 동일한 요소에 제3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임으로써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화상 픽업 유닛에서, 가요성 기판(240)은 조인트부(245)의 부근에서 대략 T자형으로 형성된다. 도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연장부(244)를 수용하는 수용부(222)는 원형 보유부(220) 내에 형성된다. 이 수용부(222)는 제3 실시예의 변형에서 설명되었던 수용부(222)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 수용부(222)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나아가, 원형 보유부(220) 내에, 만곡된 판형 안내 부재(261)가 수용부(222)에 인접하도록 그리고 원형 보유부(220)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공된다.
도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부재(261)는 원형 보유부(220)의 원주 방향으로 만곡된다. 가요성 기판(240)은 조인트부(245) 주위에서 안내 부재(261)에 부착된다. 안내 부재(261)는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된다. 대략 T자형으로 형성된 가요성 기판(240)의 축 방향 연장부(241)의 단부와, 원주 방향 연장부(242)의 내측의 단부는 안내 부재(261)에 부착된다.
즉, 제4 실시예에서, 연결 보강 부재는 보강 연장부(244)와, 이 보강 연장부(244)를 수용하는 수용부(222)와, 가요성 기판(240)이 부착되는 안내 부재(261)를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과, 이 화상 픽업 유닛을 갖는 전자 장치에 따르면, 제3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나아가, 안내 부재(261)에 가요성 기판(240)의 원주 방향 연장부(242)를 부착시킴으로써, 가요성 기판(240)의 강성률은 증가된다. 이 경우, 가요성 기판(240)의 원주 방향 연장부(242)의 단부측은 안내 부재(261)에 부착되기 때문에, 굽힘 등의 변형은 케이스 본체(210)를 회전시킴으로써 원주 방향 연장부(242)의 단부측 상에서 유발되지 않는다. 나아가, 안내 부재(261)는 만곡된 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240)은 안내 부재(261)를 따라 만곡된다. 그러므로, 가요성 기판(240)은 안정적으로 만곡될 수 있다. 원주 방향 연장부(242)가 안내 부재(261)에 부착되는 섹션은 가요성 기판(240)이 안정적으로 만곡되기만 하면 임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강력하게 가요성 기판(240)을 고정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 이 섹션은 최대한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실시예의 화상 픽업 유닛과, 이 화상 픽업 유닛을 갖는 전자 장치에 따르면, 축 방향 연장부(24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보강 연장부(244)는 원형 보유부(220)의 수용부(222)에 의해 수용되기 때문에, 보강 연장부(244)는 수용부(244)에 의해 지지되고, 원주 방향 연장부(242)로부터 축 방향 연장부(241)로 힘이 인가될 때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보강 연장부(244) 및 축 방향 연장부(241)는 케이스 본체(210)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동되지 않는다. 충분히 축 방향 연장부(241)의 단부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 실시예에서, 안내 부재(261)는 원형 보유부(220)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원형 보유부(220) 내에 제공된다. 그러나, 안내 부재(261)가 원형 보유부(220)로부터 별도로 배치되더라도, 가요성 기판(240)의 조인트부(245)를 위한 보강 효과는 얻어질 수 있다. 제3 실시예와 같이, 수용부(222)가 원형보유부(220) 내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4 실시예에서, 안내 부재(261)는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된다. 도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부재(262)는 대략 T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내 부재(262)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만곡된다. 가요성 기판(240)의 보강 연장부(244)는 안내 부재(262)에 부착된다. 이 경우, 가요성 기판(240)의 보강 연장부(244)와 안내 부재(262)의 일부는 원형 보유부(220)의 수용부(222)에 의해 수용된다. 이 경우, 전술된 경우와 같이, 수용부(222)가 원형 보유부(220) 내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4 실시예에서, 가요성 기판(240)의 원주 방향 연장부(242)의 내부면은 안내 부재(261)에 부착된다. 그러나, 원주 방향 연장부(242)의 외부면이 안내 부재에 부착되더라도, 제4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가요성 기판(240)은 대략 T자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가요성 기판은 L자형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선형 가요성 기판의 단부가 원주 방향 연장부를 형성하도록 굽혀질 수 있다. 가요성 기판의 형상은 대략 T자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나아가, 가요성 기판(240)은 판형 안내 부재(261)가 아니라 도4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형 안내 부재(263)의 외주연에 부착될 수 있다. 안내 부재(263)는 축 방향 연장부(241)와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축 방향 연장부(241)의 단부는 안내 부재(263)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다. 이 경우, 굽힘 등의 변형은 케이스 본체(210)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요성 기판(240)으로 유발되지 않는다. 가요성기판(240)은 안정적으로 만곡될 수 있다.
나아가, 도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안내 부재(264)가 원형 보유부(220)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안내 부재(264)의 중앙 상에, 노치(265)가 가요성 기판(240)의 축 방향 연장부(241)를 수용하는 수용부로서 형성된다. 노치(265)는 안내 부재(265)의 중앙부로부터 안내 부재(265)의 주연면으로 연장된다. 가요성 기판(240)의 원주 방향 연장부(242)는 노치(265)를 통해 안내 부재(264)의 주연면으로 연장되고, 안내 부재(264)의 외주연면에 부착된다. 이로써, 굽힘 등의 변형은 케이스 본체(210)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요성 기판(240)으로 유발되지 않는다. 가요성 기판(240)은 안정적으로 만곡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화상 정보는 가요성 기판(240)에 의해 전송된다. 그러나, 화상 정보는 또 다른 통신 연결부 예컨대 전송 케이블 등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가요성 기판(240)은 원형 보유부(220) 내에서 확장된다. 그러나, 원주 방향 연장부(242)는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원형 보유부(220)의 내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가요성 기판(240)은 케이스 본체(210)를 회전시킴으로써 원형 보유부(220)의 외측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 케이스 본체에서, 가요성 기판(240)은 원형 보유부(220) 내에서 확장되지 않는다. 원형 보유부(220) 내에서 만곡되는 가요성 기판(240)의 원주 방향 연장부(242) 등은 케이스 본체(210)를 회전시킴으로써 변형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하중은 가요성 기판(240)의 만곡부 등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더욱 가요성 기판(240)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3 및 제4 실시예에서, 통신 연결부는 1개의 가요성 기판(410)이 굽혀지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나, 통신 연결부는 복수개의 가요성 기판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4 실시예에서, 가요성 기판(240)의 폭은 전체 길이에서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통신 연장부의 폭은 변할 수 있다.
제3 및 제4 실시예에서, 화상 픽업 유닛(3)을 갖는 전자 장치(300)로서, 휴대용 전화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PDA, AV 장비, 텔레비전, 가정용 전기 제품 및 다른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제3 및 제4 실시예의 원형 보유부(220)가 통신 연결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기만 하면, 원형 보유부(220)가 원통형으로 형성될 필요가 없다. 케이스 본체(210) 등의 형상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다른 구체적 세부 구조도 변형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 픽업 유닛에 따르면, 사용자 등은 피사체의 화상 픽업 시 전자 장치 등과 함께 화상 픽업 유닛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나아가,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것과, 통신 연결부로 인가되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것과, 기하급수적으로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자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 등은 피사체의 화상 픽업 시 전자 장치 등과 함께 화상 픽업 유닛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실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나아가,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것과, 통신 연결부로 인가되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것과, 기하급수적으로 통신 연결부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41)

  1. 화상 픽업 요소를 갖는 화상 픽업 기판과;
    화상 픽업 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외측으로 화상 픽업 요소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를 전송하고, 화상 픽업 기판과 연결되는 통신 연결부와;
    케이스 본체를 피벗식으로 지지하고 그 내에 케이스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통신 연결부를 배열하는 피벗 지지부와;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통신 연결부를 안내하고 피벗 지지부의 주연면 상에 형성되는 슬릿부를 포함하며,
    통신 연결부는 케이스 본체로부터 피벗 지지부로 케이스 본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방향 연장부와; 회전축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피벗 지지부 내의 통신 연결부가 굽혀지게 하도록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 상에 형성되는 굽힘부와; 슬릿부를 통해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피벗 지지부는 통신 연결부의 굽힘부와 접촉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통신 연결부의 굽힘부는 통신 연결부가 굽혀지게 하도록 통신 연결부가 접촉 부재와 접촉되게 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3. 화상 픽업 요소를 갖는 화상 픽업 기판과;
    화상 픽업 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외측으로 화상 픽업 요소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를 전송하고, 화상 픽업 기판과 연결되는 통신 연결부와;
    케이스 본체를 피벗식으로 지지하고 그 내에 케이스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통신 연결부를 배열하는 피벗 지지부와;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통신 연결부를 안내하고 피벗 지지부의 주연면 상에 형성되는 슬릿부를 포함하며,
    통신 연결부는 케이스 본체로부터 피벗 지지부로 케이스 본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방향 연장부와;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와 연결되고, 회전축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방향 연장부와; 슬릿부를 통해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축 방향 연장부 및 수직 방향 연장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피벗 지지부는 복수개의 슬릿부를 포함하고, 통신 연결부는 각각의 슬릿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슬릿부는 케이스 본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통신 연결부는 피벗 지지부 내의 피벗 지지부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주 방향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통신 연결부의 축 방향 연장부는 피벗 지지부의 반경 방향을 향해 케이스 본체의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9. 제7항에 있어서, 통신 연결부의 원주 방향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피벗 지지부의 내부면에 고정되고, 통신 연결부는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10. 제7항에 있어서, 통신 연결부의 원주 방향 연장부는 피벗 지지부 내에서 권취되도록 형성되고, 통신 연결부는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피벗 지지부 내에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11. 제7항에 있어서, 통신 연결부 중, 적어도 원주 방향 연장부는 가요성 기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12. 제1항에 있어서, 통신 연결부 중, 축 방향 연장부로부터 연장부로의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 기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가요성 기판은 연장부의 폭 방향이 케이스 본체의 회전축 방향과 일치되도록 배열되고, 슬릿부는 가요성 기판의 연장부의 폭에 따라 케이스 본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슬릿부를 연장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14. 제1항에 있어서, 피벗 지지부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평탄부가 피벗 지지부의 주연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15. 화상 픽업 요소를 갖는 화상 픽업 기판과;
    화상 픽업 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외측으로 화상 픽업 요소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를 전송하고 화상 픽업 기판과 연결되는 통신 연결부와;
    케이스 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통신 연결부를 배열하는 케이스 샤프트부와;
    케이스 샤프트부를 피벗식으로 지지하고 그 내에 케이스 샤프트부로부터 연장되는 통신 연결부를 배열하는 피벗 지지부와;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통신 연결부를 안내하고 피벗 지지부의 주연면 상에 형성되는 슬릿부를 포함하며,
    화상 픽업 유닛은 케이스 본체가 피벗 지지부만에 의해 지지되는 캔틸레버 구조를 갖고,
    통신 연결부는 케이스 본체로부터 피벗 지지부로 케이스 본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방향 연장부와; 회전축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피벗 지지부 내의 통신 연결부가 굽혀지게 하도록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 상에 형성되는 굽힘부와; 슬릿부를 통해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16. 화상 픽업 요소를 갖는 화상 픽업 기판과;
    화상 픽업 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외측으로 화상 픽업 요소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를 전송하고 화상 픽업 기판과 연결되는 통신 연결부와;
    케이스 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통신 연결부를 배열하는 케이스 샤프트부와;
    케이스 샤프트부를 피벗식으로 지지하고 그 내에 케이스 샤프트부로부터 연장되는 통신 연결부를 배열하는 피벗 지지부와;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통신 연결부를 안내하고 피벗 지지부의 주연면 상에 형성되는 슬릿부를 포함하며,
    화상 픽업 유닛은 케이스 본체가 피벗 지지부만에 의해 지지되는 캔틸레버 구조를 갖고,
    통신 연결부는 케이스 본체로부터 피벗 지지부로 케이스 본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방향 연장부와;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와 연결되고, 회전축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방향 연장부와; 슬릿부를 통해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17. 제16항에 있어서, 축 방향 연장부 및 수직 방향 연장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18. 제15항에 있어서, 피벗 지지부는 케이스 본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2개의 블록 본체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19. 제18항에 있어서, 통신 연결부의 연장부측은 블록 본체들 중 회전축 방향으로 케이스 본체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배열되는 외부 블록 본체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20. 제18항에 있어서, 피벗 지지부는 복수개의 회전 위치로부터 선택된 1개의 위치 내에 케이스 본체를 보유하는 회전 조절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21. 제20항에 있어서, 회전 조절 기구는 케이스 본체와 연결되는 피벗 지지부의 연결측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22. 제20항에 있어서, 회전 조절 기구는 그 표면이 회전축에 수직하도록 배열되는 결합판과; 결합판의 표면 상에 형성되고,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결합 구멍과;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결합판의 표면 상에서 이동되고, 복수개의 결합 구멍으로부터 선택된 1개의 구멍 내로 삽입되는 볼 본체와; 결합판을 향해 볼 본체를 편의시키는 편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23. 제22항에 있어서, 결합판은 케이스 본체의 케이스 샤프트부에 고정되고, 볼 본체 및 편의 부재는 피벗 지지부측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24. 제23항에 있어서, 피벗 지지부는 케이스 본체측으로부터 내부 블록 본체, 중앙 블록 본체 및 외부 블록 본체의 순서로 회전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3개의 블록 본체로 분할되고, 케이스 샤프트부는 내부 블록 본체에 의해 피벗식으로 지지되며, 볼 본체 및 편의 부재는 중앙 블록 본체측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25. 제22항에 있어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제한 기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26. 제25항에 있어서, 회전 제한 기구는 케이스 본체의 케이스 샤프트부 상에 제공되는 돌출부와; 돌출부가 삽입되고,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제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27. 제15항에 있어서, 통신 연결부는 피벗 지지부 내의 피벗 지지부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주 방향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28. 제27항에 있어서, 통신 연결부 중, 적어도 원주 방향 연장부는 가요성 기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29. 제15항에 있어서, 통신 연결부 중, 축 방향 연장부로부터 연장부로의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 기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30. 화상 픽업 요소를 갖는 화상 픽업 기판과;
    화상 픽업 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외측으로 화상 픽업 요소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를 전송하고 화상 픽업 기판과 연결되는 통신 연결부와;
    케이스 본체를 피벗식으로 지지하고 그 내에 케이스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통신 연결부를 배열하는 피벗 지지부와;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통신 연결부를 안내하고 피벗 지지부의 주연면 상에 형성되는 슬릿부를 포함하며,
    통신 연결부는 케이스 본체로부터 피벗 지지부로 케이스 본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방향 연장부와;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피벗 지지부 내의 피벗 지지부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주 방향 연장부와; 슬릿부를 통해 피벗 지지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축 방향 연장부와 원주 방향 연장부 사이의 조인트부를 보강하는 연결 보강 부재가 통신 연결부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31. 제30항에 있어서, 연결 보강 부재는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32. 제31항에 있어서, 연결 보강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피벗 지지부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33. 제31항에 있어서, 연결 보강 부재는 통신 연결부 상에 형성되어 축 방향 연장부와 일체화되는 보강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34. 제31항에 있어서, 연결 보강 부재는 통신 연결부의 축 방향 연장부의 단부측에 고정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35. 제30항에 있어서, 통신 연결부는 가요성 기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36. 제35항에 있어서, 가요성 기판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일표면 상에 제공되는 금속으로 제조된 배선부와; 가요성 기판의 타표면 상에 제공되고 수지로 제조된 강화부를 포함하고, 원주 방향 연장부는 가요성 기판의 일표면이 만곡된 원주 방향 연장부의 내부면이 되도록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37. 제35항에 있어서, 연결 보강 부재는 만곡된 판형 안내 부재를 포함하고, 가요성 기판의 원주 방향 연장부의 적어도 단부측이 안내 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38. 제35항에 있어서, 연결 보강 부재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안내 부재를 포함하고, 가요성 기판의 원주 방향 연장부의 적어도 단부측이 안내 부재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39. 제37항에 있어서, 안내 부재는 피벗 지지부의 내부면측 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40. 제30항에 있어서, 형상 처리는 원주 방향 연장부가 만곡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유닛.
  41. 제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상 픽업 유닛과;
    통신 연결부와 연결되고 화상 정보가 전송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020078576A 2001-12-14 2002-12-11 화상 픽업 유닛 및 전자 장치 KR200300512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81978A JP2003189141A (ja) 2001-12-14 2001-12-14 撮像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JPJP-P-2001-00381978 2001-12-14
JPJP-P-2001-00395873 2001-12-27
JP2001395873A JP2003198919A (ja) 2001-12-27 2001-12-27 撮像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JPJP-P-2002-00015381 2002-01-24
JP2002015381A JP3867584B2 (ja) 2002-01-24 2002-01-24 撮像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266A true KR20030051266A (ko) 2003-06-25

Family

ID=27347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576A KR20030051266A (ko) 2001-12-14 2002-12-11 화상 픽업 유닛 및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324594A3 (ko)
KR (1) KR20030051266A (ko)
TW (1) TW2003010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134B1 (ko) * 2007-02-07 2008-06-0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278352B1 (ko) * 2011-11-07 2013-06-2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4019360D1 (de) 2003-07-04 2009-03-26 Lg Electronics Inc Drehbare Kamera für ein mobiles Kommunikationsgerät
KR100561279B1 (ko) * 2003-08-09 2006-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KR100689386B1 (ko) * 2004-03-15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KR100604323B1 (ko) * 2004-08-28 2006-07-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내장형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3492A (ja) * 1995-02-15 1996-08-30 Hitachi Ltd 携帯用撮像装置またはその撮像素子
JPH1075287A (ja) * 1996-08-30 1998-03-17 Kokusai Electric Co Ltd 携帯テレビ電話
JPH10285439A (ja) * 1997-04-10 1998-10-23 Toshiba Corp カメラ装置
JP2000200993A (ja) * 1998-12-29 2000-07-18 Sony Corp 電子機器におけるフレキシブル配線装置
JP2000221379A (ja) * 1999-01-28 2000-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小型カメラ
JP2001245267A (ja) * 2000-02-28 2001-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カメラ付き携帯型情報通信端末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134B1 (ko) * 2007-02-07 2008-06-0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278352B1 (ko) * 2011-11-07 2013-06-2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모듈
US8596891B2 (en) 2011-11-07 2013-12-0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24594A2 (en) 2003-07-02
EP1324594A3 (en) 2005-01-05
TW200301059A (en) 200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5604B1 (en) Suspension wire for compensating for hand vibration and image photographing device having the same
KR20070110235A (ko) 촬상 장치
CN109274877B (zh) 成像模组、摄像头组件及电子装置
EP1903781B1 (en) Hinge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JP2003037758A (ja) 撮像装置
CN109327572B (zh) 成像模组、摄像头组件及电子装置
JP5026198B2 (ja) レンズユニット、レンズモジュール、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搭載回路基板の製造方法
CN110967783A (zh) 驱动液态镜头的马达组件、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KR100951255B1 (ko) 카메라 모듈의 렌즈 조립체
EP2034343B1 (en) Lens driving device and imaging device
JP2007178541A (ja) 撮像レンズ構成体、光学モジュール及び携帯端末、並びにこれらの組込み、製造方法
JP4538755B2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4061936B2 (ja) 撮像装置
KR100816143B1 (ko) 촬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 및 촬상 장치의 조립방법
JP6639178B2 (ja) 電子機器
CN109218589B (zh) 成像模组、摄像头组件及电子装置
KR20030051266A (ko) 화상 픽업 유닛 및 전자 장치
JP2007148314A (ja) 撮像レンズ、光学モジュール、および携帯端末
EP1429168A2 (en) Image sens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KR20050028882A (ko)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전자 기기용 단순 힌지 장치
US20230393450A1 (en) Voice coil motor, camera, and electronic device
CN110501855B (zh) 带抖动校正功能的光学单元及其制造方法
JP4970366B2 (ja) 組合せレンズ、レンズユニット、撮像装置および光学機器
US9019625B2 (en) Lens advancing device, imaging device equipped with lens advancing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2320122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