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0324A - 내충격성 및 내스크레치성이 향상된 투명시트용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충격성 및 내스크레치성이 향상된 투명시트용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0324A
KR20030050324A KR1020010080738A KR20010080738A KR20030050324A KR 20030050324 A KR20030050324 A KR 20030050324A KR 1020010080738 A KR1020010080738 A KR 1020010080738A KR 20010080738 A KR20010080738 A KR 20010080738A KR 20030050324 A KR20030050324 A KR 20030050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ethylene
propylene
buten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0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2116B1 (ko
Inventor
김창희
박영도
차승엽
Original Assignee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0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2116B1/ko
Publication of KR20030050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0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 내충격성 및 내스크레치성이 우수한 투명시트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부텐 함량이 1~10 몰%이고 용융지수(230℃, 2.16kg 하중조건하, ASTM D1238 규격)가 1~10 g/10min인 프로필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100 중량부, 솔비톨계 핵제 0.05~0.5 중량부,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투명시트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 투명성, 저온 내충격성 및 내스크레치성이 모두 우수하므로, 파일 등의 문구용 시트, 또는 산업용 자재, 특히 우수한 투명성과 내스크레치성을 동시에 요구하는 시트 등의 제조에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내충격성 및 내스크레치성이 향상된 투명시트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or transparent sheet having high impact resistance and scratch resistance}
본 발명은 저온 내충격성 및 내스크레치성이 우수한 투명시트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필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에 투명성 개선 목적으로 솔비톨계 핵제를, 그리고 저온 내충격성 개선 목적으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첨가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구류 용도의 폴리프로필렌 투명시트는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된 경우, 투명성은 우수하나 저온충격특성이 열세하고 표면에 스크레치가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98-042450호에서는 0.5 내지 90 몰%의 1-부텐을 함유하는 프로필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를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공중합체는 경도가 낮아 유연성이 뛰어나며, 이를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혼합한 경우 유연성, 인장신율 및 특성, 내상부성 및 투명성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수지 조성물 역시 내스크레치성 및 내블로킹성 면에서 미흡한 점이 있다. 반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블록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온충격특성은 우수하나 투명성이 떨어지고, 특히 낙하충격시 백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투명시트 제품은 투명성과 저온 내충격성, 내블로킹성 및 내열성 등 제반 물성을 동시에 만족 시키는 것이 불가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투명성과 저온 내충격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내스크레치성이 우수한 시트를 성형하기에 적합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1-부텐 함량이 1~10 몰%이고 용융지수(230℃, 2.16kg 하중조건하, ASTM D1238 규격)가 1~10 g/10min인 프로필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100 중량부, 솔비톨계 핵제 0.05~0.5 중량부,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투명시트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각 구성 성분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프로필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수지는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결정성 공중합체로서, 1-부텐의 함량이 1~10 몰%이고, 용융지수(230℃, 2.16kg 하중조건하, ASTM D1238 규격)가 1~10 g/10min의 범위 내에 든다. 상기 프로필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중의 1-부텐 함량이 1 몰% 미만이면 결정성 상승에 따른 투명성 저하 및 충격특성 저하로 인하여 폴리프로필렌 시트에의 적용이 어렵게 되는 반면, 10 몰%를 초과하면 결정성이 감소하여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적용시 블로킹력이 높고 스크레치 발생이 심하여 시트 제품으로서의 품질이 열세한 문제점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공중합체 수지의 용융지수가 1 g/10min 미만이면 가공성이 저하되며, 10 g/10min를 초과하면 다이(die) 통과시 낮은 용융강도로 인해 성형이 어렵게 된다.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투명성 개선용 핵제로는 통상 무기계 핵제와 솔비톨계 핵제가 사용되나, 무기계 핵제는 투명성 향상 효과가 떨어지고 분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최종 시트의 투명성 향상을 위한 핵제로서 솔비톨계 핵제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투명성을 발현하며 냄새 문제가 가장 적은 것으로 알려진 3,4-디메틸벤질리덴 솔비톨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솔비톨계 핵제는 상기 프로필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 당 0.05~0.5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된다. 만일 상기 솔비톨계 핵제의 첨가량이 0.05 중량부 미만이면 투명성이 발현되지 않으며, 0.5 중량부를 초과하면 초과된 양에 비하여 시트의 투명성 향상 효과가 거의 없다.
본 발명에서는 최종 시트에 우수한 저온 내충격성을 부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프로필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 당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1~5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는데, 이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첨가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충격특성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운 반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내블로킹성 및 내스크레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밀도가 0.88 이상 0.90 이하이고, 용융지수(190℃)가 1~10g/10min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온 내충격성 측면에서, 상기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α-올레핀 성분은 3~8의 탄소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성분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산화방지제, 중화제, 대전방지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본 발명의 목적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1-부텐 함량이 3 몰%이고 용융지수(230℃, 2.16kg 조건하, ASTM D1238 규격)가 4.0 g/10min인 프로필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 및 3,4-디메틸벤질리덴 솔비톨 0.2 중량부의 혼합물에, 밀도가 0.88이고 용융지수(190℃)가3.0g/10min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타프머, 미쓰이석유화학)를 3 중량부 첨가하고, 여기에 페놀계 산화방지제로서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0.1 중량부, 인계 산화방지제로서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0.1 중량부, 그리고 중화제로서 DHT-4A(일본 교화산업) 0.03 중량부를 더 첨가하고 혼련한 후, 이께가이 이축 압출기로 200℃에서 압출하여 직경 2mm 정도의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 펠렛을 T 다이 및 연마롤(polishing roll)이 장착된 시트성형기를 이용하여 T-다이법으로 압출온도 220℃, 냉각롤 온도 40℃, 및 성형속도 2mm/분의 조건하에 성형하여, 두께 0.3mm의 시트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1
1-부텐 함량이 3 몰%인 프로필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수지 대신에 1-부텐 함량이 7 몰%인 프로필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하고, 3,4-디메틸벤질리덴 솔비톨을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시트를 성형하였다.
비교예 2
3,4-디메틸벤질리덴 솔비톨 대신에 무기계 핵제인 알킬안식향산 알루미늄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시트를 성형하였다.
비교예 3
1-부텐 함량이 3 몰%인 프로필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수지 대신에 1-부텐 함량이 15 몰%인 프로필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시트를 성형하였다.
비교예 4
1-부텐 함량이 3 몰%인 프로필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수지 대신에 에틸렌 함량이 3 몰%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시트를 성형하였다.
비교예 5
1-부텐 함량이 3 몰%인 프로필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수지 대신에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인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시트를 성형하였다.
비교예 6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시트를 성형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6에 사용된 수지 및 핵제의 종류를 하기 표 1에요약하여 나타내었으며, 수득된 시트의 투명성(헤이즈), 내열성, 저온 내충격성, 및 내스크레치성의 평가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성분
기본 수지 핵제 추가 처방 수지
실시예 1 프로필렌-1-부텐랜덤 공중합체(1-부텐: 3몰%) 3,4-디메틸벤질리덴 솔비톨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비교예 1 프로필렌-1-부텐랜덤 공중합체(1-부텐: 7몰%) -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비교예 2 프로필렌-1-부텐랜덤 공중합체(1-부텐: 3몰%) 알킬안식향산 알루미늄염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비교예 3 프로필렌-1-부텐랜덤 공중합체(1-부텐: 15몰%) 3,4-디메틸벤질리덴 솔비톨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비교예 4 프로필렌-에틸렌랜덤 공중합체(에틸렌: 3몰%) 3,4-디메틸벤질리덴 솔비톨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비교예 5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3,4-디메틸벤질리덴 솔비톨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비교예 6 프로필렌-1-부텐랜덤 공중합체(1-부텐: 3몰%) 3,4-디메틸벤질리덴 솔비톨 -
투명성 내열성 저온 내충격성(-20℃) 내스크레치성
단위 % J 연필경도
실시예 1 4 130 8 3B
비교예 1 15 133 9 4B
비교예 2 10 132 6 3B
비교예 3 3 123 10 5B
비교예 4 4 125 4 4B
비교예 5 8 145 3 1B
비교예 6 6 135 1 2B
[물성 평가 방법]
(1) 투명성: ASTM D1003A 규격에 따라 측정된 헤이즈 값으로 나타내었으며, 헤이즈 값이 낮을수록 투명성이 우수하다.
(2) 내열성: 비캣(Vicat) 연화온도를 JIS-K7206에 따라 측정하여 내열성의 지표로삼았다. 비캣(Vicat) 연화온도 값이 클수록 양호한 내열성을 나타낸다.
(3) 저온 내충격성: -20℃에서 시트 천공시의 충격강도로 나타내었다. 값이 클수록 저온 내충격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4) 내스크레치성: 연필경도계로서 측정하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 투명성, 저온 내충격성 및 내스크레치성이 모두 우수하므로, 파일 등의 문구용 시트, 또는 산업용 자재, 특히 우수한 투명성과 내스크레치성을 동시에 요구하는 시트 등의 제조에 매우 유용하다.

Claims (4)

1-부텐 함량이 1~10 몰%이고 용융지수(230℃, 2.16kg 하중조건하, ASTM D1238 규격)가 1~10 g/10min인 프로필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100 중량부, 솔비톨계 핵제 0.05~0.5 중량부,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투명시트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비톨계 핵제가 3,4-디메틸벤질리덴 솔비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시트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가 0.88~0.90이고, 용융지수(190℃)가 1~10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시트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α-올레핀 성분이 3~8의 탄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시트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0010080738A 2001-12-18 2001-12-18 내충격성 및 내스크레치성이 향상된 투명시트용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792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738A KR100792116B1 (ko) 2001-12-18 2001-12-18 내충격성 및 내스크레치성이 향상된 투명시트용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738A KR100792116B1 (ko) 2001-12-18 2001-12-18 내충격성 및 내스크레치성이 향상된 투명시트용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0324A true KR20030050324A (ko) 2003-06-25
KR100792116B1 KR100792116B1 (ko) 2008-01-04

Family

ID=29576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0738A KR100792116B1 (ko) 2001-12-18 2001-12-18 내충격성 및 내스크레치성이 향상된 투명시트용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21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2861A1 (en) * 2009-09-18 2011-03-24 Basf Se Polymer compositions of improved scratch resistance, improved mechanical stability and improved haze
KR101045008B1 (ko) * 2009-07-23 2011-06-30 이호덕 음성안내기능이 있는 칫솔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747B1 (ko) 2005-05-10 2012-09-17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우수한 내충격성, 굴곡탄성율 및 투명성을 갖는폴리프로필렌 조성물 및 이의 제품
KR102545549B1 (ko) * 2023-02-28 2023-06-21 (주)덕진플라스틱 친환경 플라스틱 시트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817A (ja) * 1994-07-01 1996-01-16 Sumitomo Chem Co Ltd レトルト包装用フィルム
JPH11335500A (ja) * 1998-03-24 1999-12-07 Japan Polychem Corp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延伸フィルム
WO2000039238A1 (en) * 1998-12-24 2000-07-06 Montell Technology Company B.V. Bottle closures made of polyolefins
KR100361550B1 (ko) * 2000-05-29 2002-11-22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압출중공성형용 수지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008B1 (ko) * 2009-07-23 2011-06-30 이호덕 음성안내기능이 있는 칫솔세트
WO2011032861A1 (en) * 2009-09-18 2011-03-24 Basf Se Polymer compositions of improved scratch resistance, improved mechanical stability and improved haze
EP2478048A1 (en) * 2009-09-18 2012-07-25 Basf Se Polymer compositions of improved scratch resistance, improved mechanical stability and improved haze
US11401399B2 (en) 2009-09-18 2022-08-02 Basf Se Polymer compositions of improved scratch resistance, improved mechanical stability and improved haz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2116B1 (ko) 200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9004A (en) Ternary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 containing polypropylene homopolymer
JP2009144108A (ja) オレフィン系弾性樹脂組成物
JP2006321914A (ja) 自動車外装部品用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外装部品
US10676609B2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manufactured from the same
KR101902081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열접착 필름
KR100792116B1 (ko) 내충격성 및 내스크레치성이 향상된 투명시트용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08208210A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US4319005A (en) Ternary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 containing polypropylene copolymers
JP4801830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KR100435942B1 (ko) 폴리프로필렌계 미연신 성형체
US10550255B2 (en) Polyolefine resin composition, polyolefine master batch, method of manufacturing polyolefine master batch, and article formed of the same
JPS60152543A (ja)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KR20160066859A (ko) 저 비중, 저 선팽창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100318648B1 (ko) 일축 연신의 폴리프로필렌계 필름
JP3396153B2 (ja) 熱成形用樹脂組成物及びシート
KR101984547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성형품
JP2017160369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2818379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KR100814985B1 (ko)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3448117B2 (ja) 結晶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KR100538713B1 (ko) 투명성 및 진공성형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KR100188041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496709B1 (ko)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성형하여 제조된 성형체
JP2013173952A (ja) オレフィン系弾性樹脂組成物
KR20000055011A (ko) 가공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