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859A - 저 비중, 저 선팽창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 Google Patents

저 비중, 저 선팽창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859A
KR20160066859A KR1020140172178A KR20140172178A KR20160066859A KR 20160066859 A KR20160066859 A KR 20160066859A KR 1020140172178 A KR1020140172178 A KR 1020140172178A KR 20140172178 A KR20140172178 A KR 20140172178A KR 20160066859 A KR20160066859 A KR 20160066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resin
resin composition
weight
ethylene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3084B1 (ko
Inventor
김윤영
유재정
이수민
김응수
김홍진
임성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72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084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0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 비중, 저 선팽창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열변화에 따른 선팽창 계수가 낮아 주변 환경 온도변화에 민감하지 않고 부품의 치수를 유지하면서도 제품의 중량을 결정짓는 비중이 낮아 부품의 경량화가 가능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저 비중, 저 선팽창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Polypropylene composition having low density and low linear thermal expansion, and molded product}
본 발명은 저 비중, 저 선팽창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변화에 따른 선팽창 계수가 낮아 주변 환경 온도변화에 민감하지 않고 부품의 치수를 유지하면서도 제품의 중량을 결정짓는 비중이 낮아 부품의 경량화가 가능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부품이 점진적으로 얇아짐에 따라 소재의 기계적 특성은 더욱 우수해져야 하는 상황에서 부품의 치수를 결정짓는 중요한 특성의 하나인 열변화에 따른 선팽창계수와 제품의 중량을 결정짓는 비중이 낮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중요시되고 있다.
즉, 차량의 무게를 줄여 연비 향상 등을 실현하려는 목적으로 성형 부품의 특성 중 무기물 함량이 저감되고도 열적 특성이 우수하고, 사출성형이 용이하며, 주변온도 변화에 따른 치수 안정성이 탁월한 자동차 내외장 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개발이 절실하다.
종래 탈크 등의 무기 충진재를 20% 이상 사용하고 고무 등의 충격보강제로 강성과 충격 밸런스를 갖춘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는 비중이 1.2 이상이었으며, 이를 비중 감소화 및 저 수축 특성을 구현하고자 글라스 버블(glass bubble) 등의 저비중 고강성 무기필러을 도입하는 예가 한국공개특허 제2011-0062430호 등에 개시되었고, 혹은 침상형의 울라스토나이트(wollastonite) 등의 도입에 대한 연구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무기 충진재의 분산성 및 원가 상승, 그리고 침상형의 울라스토나이트의 경우 이방 수축율 차이가 커 사출후의 휨 변형 등의 문제가 있으며 충격강도에 취약한 한계가 있다.
특히 계절변화에 따른 칫수 안정성이 중요한 외장부품 중 사이드실 몰딩(sidesill molding)과 같은 부품이 길고 두께가 얇은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낮은 함량의 무기 충진재를 사용하면서도 강성, 충격강도, 저 수축성과 치수 안정성을 모두 확보하는 소재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자동차 내외장재 용도에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관련하여, 특정 등급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특정 성분의 무기 충진재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출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자동차 내외장재 부품, 특히 부품이 길고 두께가 얇은 부품에까지 계절변화에 따른 칫수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강성, 충격강도, 저 수축성을 제공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60 내지 70 중량%, 폴리올레핀계 탄성체 20 내지 35 중량%, 무기충진재 1 내지 12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결정화도가 70% 이상인(또는 isotacticity가 95%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결정화도가 50 내지 70%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97:3 내지 60:40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무기충진재는 판상형 필러와 침상형 필러를 10:90 내지 90:1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성형시켜 수득되고, 선팽창 계수 변화(△(TD-MD), 여기서 TD는 흐름방향 반대 방향을, MD는 흐름방향을 칭함)가 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변화에 따른 선팽창 계수가 낮아 주변 환경 온도변화에 민감하지 않고 부품의 치수를 유지하면서도 제품의 중량을 결정짓는 비중이 낮아 부품의 경량화가 가능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60 내지 70 중량%, 폴리올레핀계 탄성체 20 내지 35 중량%, 무기충진재 1 내지 12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결정화도가 70%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결정화도가 50 내지 65%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97:3 내지 60:40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무기충진재는 판상형 필러와 침상형 필러를 10:90 내지 90:1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정화도가 70% 이상(또는 isotacticity가 95%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일례로, ASTM D1238에 따라 측정된 용융지수(230 ℃, 2.16 kg 하중)가 10 내지 60 g/10분, 혹은 15 내지 45 g/10분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소재의 유동성을 향상시켜 대형부품의 사출 가공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용어 "결정화도"는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XRD 분석에 의한 값을 지칭하는 것으로, 그 결정화도가 약 70% 정도이거나, 통상적으로 NMR 분석에 의한 입체규칙도가 95% 이상, 또는 용매추출법인 Xylene Soluble 의 함량이 1.0% 미만인 경우를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이라 정의한다.
상기 결정화도가 70%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다른 예로, 결정화 온도(Tc) 120 내지 140℃, 및 용융온도(Tm) 160 내지 170℃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용어 "결정화 온도(Tc)" 및 "용융 온도(Tm)"은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고분자 물질의 열분석 장비인 시차주사열량계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을 지칭한다.
상기 결정화도가 50 내지 70%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일례로, ASTM D1238에 따라 측정된 용융지수(230 ℃, 2.16 kg 하중)가 5 내지 30 g/10분, 혹은 15 내지 20 g/10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정화도가 50 내지 70%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구체적인 예로,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에틸렌-1-부텐 코폴리머, 에틸렌-1-헥산 코폴리머, 에틸렌-4-메틸펜텐 코폴리머 중 1종 이상 선택된 C2계 이종 블록 공중합체 폴리머, 및 프로필렌과의 코폴리머, 랜덤 공중합체 혹은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정화도가 50 내지 70%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다른 예로, 상기 결정화 온도(Tc) 110 내지 130℃, 및 용융온도(Tm) 160 내지 165℃인 에틸렌-프로필렌 및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과의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그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C2계 이종 블록 공중합체는 일례로, 상기 소재 조성 중 전체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 중 20중량% 이하 범위 내로 포함되고, 이 범위 내에서 범용 폴리프로필렌 대비 우수한 저수축 특성을 나타내며 고 충격강도 특성으로 필러 보강 폴리프로필렌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탄성체는 일례로, 무정형 에틸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무정형 에틸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는 일례로, 알파 올레핀으로서 옥텐을 포함하되, 상기 알파 올레핀은 무정형 에틸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 총 100 중량% 중 30 중량% 이하를 충격강보 보강제 역할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정형 에틸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는 구체적인 예로, 용융지수(190 ℃, 2.16kg)이 1-10g/10분, 혹은 1-7g/10분이고, 밀도가 0.850 내지 0.890 g/cm3, 혹은 0.860 내지 0.880 g/cm3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판상형 필러는 일례로, 비중이 2.5 내지 3.0이고, 직경이 1 내지 15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판상형 필러는 구체적인 예로, 탈크(hydrous magnesium silicate)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침상형 필러는 비중이 1.5 내지 2.5이고, 직경이 0.5 내지 1.0 ㎛이고, 직경이 10 내지 20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침상형 필러는 마그네슘계 휘스커(magnesium hydroxide sulfate trihydrat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침상형 필러의 분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상형 필러의 분산제는 일례로, 수지 조성물 총 100 중량% 중 0.1 내지 5 중량%, 혹은 0.5 내지 2 중량% 범위 내로 포함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침상형 필러의 분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침상형 필러의 분산제는 구체적인 예로, 마그네슘이 10 내지 90중량% 범위로 포함된 스테아레이트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구체적인 예로 폴리프로필렌 수지 60 내지 75 중량%, 폴리올레핀계 탄성체 15 내지 30 중량%, 무기충진재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결정화도가 70%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결정화도가 50 내지 70%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92:8 내지 70:30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무기충진재는 판상형 필러와 침상형 필러를 20:80 내지 80:2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활제, 광안정제, 사슬연장제, 촉매, 이형제, 안료, 염료, 대전방지제, 항균제, 가공조제, 금속불활성화제, 발연억제제, 무기 충진제, 유리섬유, 내마찰제, 내마모제 및 커플링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일례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물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사출성형 금형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성형시켜 수득되고, 선팽창 계수 변화(△(TD-MD), 여기서 TD는 흐름방향 반대 방향을, MD는 흐름방향을 칭함)가 7.0 이하인, 혹은 4.2 내지 7.0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일례로, 자동차용 인스트루먼트 패널, 도어 트림, 콘솔 바디, 필러, 범퍼 등의 내장 부품, 사이드 몰딩, 사이드실 몰딩 등의 외장 부품일 수 있다.
상기 압출 조성물은 일례로, 에틸렌계 충격보강제를 압출 조성물을 구성하는 펠릿 및 화합물 총 100 중량부 기준, 5 내지 35 중량부, 혹은 20 내지 30 중량부 범위 내로 포함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어떠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내지 4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을 니더(kneader)에 투입하고 혼련한 다음 이축 압출기를 통해 압출하고 펠릿타이저로부터 펠릿을 수득하였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재료들은 다음과 같다:
* 폴리프로필렌 수지1(PP-1): 결정화도 70%이상, 결정화온도(Tc) 120℃ 이상 및 용융온도 (Tm) 162℃이며 ASTM D1238에 따라, 230℃의 온도에서 2.16kg 하중 하에서 10분간 측정되는 무게(g)가 30g/10분인 에틸렌 프로필렌 폴리머와 프로필렌의 공중합체(대한유화사, 제품명 Moplen CB5230).
*폴리프로필렌 수지2(PP-2): 결정화도 50~70%, 결정화온도(Tc) 110-130℃ 및 용융온도(Tm) 160℃이며, ASTM D1238에 따라, 230℃의 온도에서 2.16kg 하중 하에서 10분간 측정되는 무게(g)가 20g/10분인 에틸렌 프로필렌 및 에틸렌 부텐 폴리머와 프로필렌의 공중합체(폴리미래사, 제품명 Clyrell EC5082).
*폴리올레핀계 탄성체(EOR-1): 옥텐 함량이 30중량% 이하인 에틸렌-옥텐계 공중합체로서 용융지수(190℃, 2.16 kg 하중)가 1.1 6/10분이고, 밀도가 0.870g/cm3임(LG화학사 제조 제품명 LUCENE LC170).
*판상형 필러(MF-1): 비중 2.7, 직경 1-15㎛인 탈크(hydrous magnesium silicate).
*침상형 필러(MF-2): 비중 2.3, 직경 0.5-1.0㎛, 길이 10-20㎛인 마그네슘계 휘스커(magnesium hydroxide sulfate trihydrate).
*침상형 필러의 분산제(A-2):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계 화합물.
구분
(wt%)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PP-1 59 59 54 51 64 40 56 56
PP-2 5 5 10 15 - 25 5 5
EOR-1 26 26 26 24 26 25 28 28
MF-1 2 5 5 7 7 5 - 10
MF-2 7 4 4 2 2 4 - 10
A-1 1 1 1 1 1 1 1 1
총합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PP-1:PP-2
(중량비)
92:8 92:8 84:16 77:23 100:0 62:38 84:16 84:16
MF-1:MF-2
(중량비)
22:78 56:44 56:44 78:22 78:22 56:44 0:100 100:0
<사출 성형품>
상기 펠릿을 사출기(ENGEL 80Ton)에서 바렐 온도 230 ℃ 조건하 사출하여 충격강도 측정용(6.4mm thick) 시편 및 인장시험용(수축율 측정용) 3.2mm thick Bar 형태의 시편을 준비하여 물성 테스트에 사용하였다.
물성 테스트 방식은 다음과 같으며, 결과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시험 방식>
*비중(g/cm3): ASTM D792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굴곡 탄성률(10mm/min, kgf/cm2): ASTM D270에 의거하여 속도 10mm/min 조건하에 시험하였다.
*충격 강도(kgf.cm/cm, 23℃, -30℃): ASTM D256에 의거하여 시편을 Notch내어 시험하였다.
*수축율(3T 인장시편, 1/1000 단위: 인장시편 양끝단에 표시된(금형상 150mm 간격) 두 선의 길이를 2일간 시편 Aging 뒤에 측정하여 수축율을 계산하였다.
* 산팽창 계수( CLTE , the Coefficient of Linear Thermal Expansion , 10(㎛/m℃): 3mm 두께 x 1cm2 면적 시편을 TMA 기기를 사용하여 -40 내지 80℃ 온도 변화에 따른 -30 내지 30℃ 구간 길이 변화를 확인하였다. MD는 시편에서 흐름 방향을 그리고 TD는 시편에서 흐름 반대방향을 칭한다.
물성 단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비중 g/cm3 0.95 0.95 0.95 0.95 0.94 0.95 0.98 0.97
굴곡탄성율
(10mm/min)
Kgf/cm2 1600 1720 1650 1880 1820 1450 19000 21000
충격강도(23℃) kgf.cm/cm 50 45 48 40 35 53 36 32
충격강도(-30℃) kgf.cm/cm 5 4.5 5 4 2.5 5.5 3.7 2.2
수축율(3T 인장시편) 1/1000 7.8 7.3 7 7.5 7.7 6.5 8 6
CLTE(MD) 10(㎛/m℃) 7.8 6 5.5 6.7 7 5.5 7 5.8
CLTE(TD) 12 11.7 11 13 13.5 10.6 12 13.6
△(TD-MD) 4.2 5.7 5.5 6.3 6.5 5.1 5 7.5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라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올레핀계 탄성체, 무기충진재를 포함하되,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고결정 등급의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특정 범용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적정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무기충진재는 판상형 필러와 침상형 필러를 적정 중량비로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4의 압출 성형품에서는 비중, 굴곡 탄성율, 충격강도(상온, 저온) 및 수축율, 선팽창 계수가 모두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올레핀계 탄성체, 무기충진재를 포함하되,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특정 C2계 이종 공중합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미포함한 비교예 1의 사출 성형품은 실시예 1 내지 4 대비 충격강도(상온, 저온)가 현저하게 저감되고, 선팽창계수 편차가 다소 불량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올레핀계 탄성체, 무기충진재를 포함하되,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고결정 등급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적정량 미달 함량으로 사용하고, C2계 이종 공중합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적정량보다 과량 포함한 비교예 2의 사출 성형품은 실시예 1 내지 4 대비 굴곡탄성율이 확연히 저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올레핀계 탄성체, 무기충진재를 포함하되, 상기 무기충진재는 침상형 필러를 미포함하는 비교예 3의 사출 성형품은 실시예 1 내지 4 대비 비중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충격강도가 상대적으로 저감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올레핀계 탄성체, 무기충진재를 포함하되, 상기 무기충진재는 판상형 필러를 미포함하는 비교예 4의 사출 성형품은 실시예 1 내지 4 대비 비중이 다소 증가되고, 충격강도(상온, 저온), 감소하며, 선팽창 계수(MD)값은 낮아지지만 MD/TD 차이가 커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6)

  1. 폴리프로필렌 수지 60 내지 70 중량%, 폴리올레핀계 탄성체 20 내지 35 중량%, 무기충진재 1 내지 12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결정화도가 70%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결정화도가 50 내지 70%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97:3 내지 60:40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무기충진재는 판상형 필러와 침상형 필러를 10:90 내지 90:1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도가 70%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용융지수가 10 내지 60 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도가 70%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결정화 온도(Tc) 120 내지 140℃, 및 용융온도(Tm) 160 내지 170℃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도가 50% 내지 70%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용융지수가 5 내지 30 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도가 50% 내지 70%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에틸렌-1-부텐 코폴리머, 에틸렌-1-헥산 코폴리머, 에틸렌-4-메틸펜텐 코폴리머 중 1종 이상 선택된 C2계 이종 블록 공중합체 폴리머, 와 프로필렌과의 코폴리머, 랜덤 공중합체 혹은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도가 50 내지 70%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상기 결정화 온도(Tc) 110 내지 130℃, 및 용융온도(Tm) 160 내지 165℃인 에틸렌-프로필렌 및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와 프로필렌과의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그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2계 이종 공중합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총 100 중량% 중 20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탄성체는 무정형 에틸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형 에틸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는 알파 올레핀으로서 옥텐을 포함하되, 상기 알파 올레핀은 무정형 에틸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 총 100 중량% 중 30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형 필러는 비중이 2.5 내지 3.0이고, 직경이 1 내지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상형 필러는 비중이 1.5 내지 2.5이고, 직경이 0.5 내지 1.0 ㎛이고, 직경이 10 내지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침상형 필러의 분산제를 수지 조성물 총 100 중량% 중 0.1 내지 5 중량%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침상형 필러의 분산제는 마그네슘이 10 내지 90 중량% 포함된 스테아레이트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사출성형 금형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5. 제1항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성형시켜 수득되고, 선팽창 계수 변화(△(TD-MD), 여기서 TD는 흐름방향 반대 방향을, MD는 흐름방향을 칭함)가 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자동차용 인스트루먼트 패널, 도어 트림, 콘솔 바디, 필러, 범퍼, 사이드 몰딩, 또는 사이드실 몰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0140172178A 2014-12-03 2014-12-03 저 비중, 저 선팽창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101783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178A KR101783084B1 (ko) 2014-12-03 2014-12-03 저 비중, 저 선팽창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178A KR101783084B1 (ko) 2014-12-03 2014-12-03 저 비중, 저 선팽창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859A true KR20160066859A (ko) 2016-06-13
KR101783084B1 KR101783084B1 (ko) 2017-09-28

Family

ID=5619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178A KR101783084B1 (ko) 2014-12-03 2014-12-03 저 비중, 저 선팽창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0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3130A1 (ko) * 2016-11-15 2018-05-24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저비중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성형품
CN111004453A (zh) * 2019-12-18 2020-04-14 大韩道恩高分子材料(上海)有限公司 一种注塑级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00083832A (ko) * 2018-12-31 2020-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충격 경량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성형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519B1 (ko) 2001-03-15 2005-07-12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되는 자동차 부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3130A1 (ko) * 2016-11-15 2018-05-24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저비중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성형품
KR101874918B1 (ko) * 2016-11-15 2018-07-06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저비중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성형품
KR20200083832A (ko) * 2018-12-31 2020-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충격 경량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성형품
CN111004453A (zh) * 2019-12-18 2020-04-14 大韩道恩高分子材料(上海)有限公司 一种注塑级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084B1 (ko)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703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874918B1 (ko) 저비중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성형품
KR101646396B1 (ko) 고유동, 고충격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EP3039071B1 (en) Soft touch compositions and articles thereof
EP2976387B1 (en) Mineral-filled polypropylene composition
CA3004383C (en) High flow tpo composition with excellent low temperature impact
KR20120057434A (ko) 내스크래치 개선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A3000906A1 (en) High flow tpo composition with excellent balance in mechanical properties for automotive interior
KR101783084B1 (ko) 저 비중, 저 선팽창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CA3003227C (en) High flow tpo composition with excellent tensile strain at break and low powder stickiness
KR101476057B1 (ko) 천질감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526586B1 (ko) 자동차 내장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836627B1 (ko) 촉감과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고강성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KR20160064389A (ko) 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사출성형품
KR102187566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0865255B1 (ko) 내충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2187560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US10550255B2 (en) Polyolefine resin composition, polyolefine master batch, method of manufacturing polyolefine master batch, and article formed of the same
KR102187583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1871099B1 (ko) 저비중, 저선팽창을 갖는 자동차 외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성형품
KR102212683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20100118664A (ko) 플로우마크 억제특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734772B1 (ko) 고충격성 및 고부착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KR100448121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60081466A (ko)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